위험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5-09)

위험물산업기사
(2010-05-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일반화학

1. 98% H2SO4 50g 에서 H2SO4 에 포함된 산소 원자수는?

  1. 3×1023
  2. 6×1023
  3. 9×1023
  4. 1.2×1024
(정답률: 63%)
  • H2SO4 분자는 2개의 수소 원자, 1개의 황 원자, 4개의 산소 원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1분자의 H2SO4에 포함된 산소 원자수는 4개입니다.

    98% H2SO4 50g에서 H2SO4의 몰 질량은 98g/mol입니다. 따라서 50g의 H2SO4는 50/98 몰, 즉 0.51 몰입니다.

    0.51 몰의 H2SO4에 포함된 산소 원자수는 0.51 몰 × 6.02 × 1023 분자/몰 × 4 원자/분자 = 1.22 × 1024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2×1024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물질을 석출시키는데 필요한 전기량이 0.1F에 가장 가까운 것은? (단, 원자량은 Cu 63.5, Ag 108, Cl 35.5 이다.)

  1. 구리 3.18g
  2. 은 0.54g
  3. 산소 11.2L(0℃, 1기압)
  4. 염소 5.6L(0℃, 2기압)
(정답률: 62%)
  • 이 문제는 전기화학에서의 석출반응과 관련된 문제이다.

    먼저, 석출반응식을 쓰면 다음과 같다.

    Cu2+ + 2e- → Cu (E° = 0.34V)
    Ag+ + e- → Ag (E° = 0.80V)
    2Cl- → Cl2 + 2e- (E° = 1.36V)

    이때, 전기화학에서는 전기량을 측정할 때 단위로 쿨롱(Coulomb)을 사용한다. 1초 동안 1암페어의 전류가 흐를 때 전하량이 1쿨롱이다.

    따라서, 각 이온들을 석출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전기량이 필요하다.

    Cu2+: 2 × 96,485C/mol × 63.5g/mol = 12,187C/g × 3.18g = 38,802C
    Ag+: 1 × 96,485C/mol × 108g/mol = 10,422C/g × 0.54g = 5,618C
    Cl-: 2 × 96,485C/mol × 35.5g/mol = 6,794C/g × 5.6L × 2기압 = 76,174C

    따라서, 가장 전기량이 작은 Ag+를 석출시키는데 필요한 전기량이 5,618C이므로, 0.1F(= 9,650C)에 가장 가까운 것은 구리 3.18g이다.

    즉, 구리를 석출시키는데 필요한 전기량은 38,802C로 0.1F에 가장 가까우며, 이는 다른 물질들보다 크기 때문에 정답은 "구리 3.18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수소 1.2몰과 염소 2몰이 반응할 경우 생성되는 염화수소의 몰수는?

  1. 1.2
  2. 2
  3. 2.4
  4. 4.8
(정답률: 79%)
  • 수소와 염소가 반응하여 생성되는 염화수소의 화학식은 HCl이며, 수소와 염소의 몰비는 1:2이다. 따라서 수소 1.2몰과 염소 2몰이 반응하면 수소가 한정되어 1.2몰만큼 소모되고, 염소는 2몰 중 2/1.2 = 1.67몰이 소모된다. 이에 따라 생성되는 HCl의 몰수는 1.2몰에 비례하여 1.2몰이 생성되며, 따라서 정답은 2.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산성용액에서 색깔을 나타내지 않는 것은?

  1. 메틸오렌지
  2. 페놀프탈레인
  3. 메틸레드
  4. 티몰블루
(정답률: 84%)
  • 페놀프탈레인은 중성 또는 약염기성 용액에서 색깔을 나타내지 않습니다. 이는 페놀프탈레인이 산성 용액에서는 빨간색으로 변하고, 염기성 용액에서는 파란색으로 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산성 용액에서는 메틸오렌지, 메틸레드, 티몰블루가 색깔을 나타내지만, 페놀프탈레인은 나타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물의 끓는점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가장 타당한 것은?

  1. 순수한 물을 끓인다.
  2. 물을 저으면서 끓인다.
  3. 감압하에 끓인다.
  4. 밀폐된 그릇에서 끓인다.
(정답률: 84%)
  • 밀폐된 그릇에서 끓인다.는 물의 증기가 그릇 안에 밀폐되어 물의 증기 압력이 높아져서 물의 끓는점이 높아지기 때문에 가장 타당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물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물은 산소와 수소의 화합물이다.
  2. 산소와 수은은 단체이다.
  3. 염화나트륨은 염소와 나트륨의 혼합물이다.
  4. 산소와 오존은 동소체이다.
(정답률: 56%)
  • "산소와 수은은 단체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산소와 수은은 원소로 구성된다는 것이 맞는데, 단체라는 용어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염화나트륨은 염소와 나트륨의 화합물이며, 화학식은 NaCl입니다. 이는 염소와 나트륨이 이온으로 결합한 이온결합 화합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반감기와 5일인 미지 사료가 2g 있을 때 10일이 경과하면 남은 양은 몇 g 인가?

  1. 2
  2. 1
  3. 0.5
  4. 0.25
(정답률: 80%)
  • 반감기가 5일이므로 10일이 지나면 원래의 양의 절반인 1g이 남게 됩니다. 그러나 미지 사료가 추가로 2g 있으므로 총 3g이 남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5"가 아닌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볼타 전지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온화 경향이 큰 쪽의 물질이 (-)극이다.
  2. (+)극에서는 방전시 산화 반응이 일어난다.
  3. 전자는 도선을 따라 (-)극에서 (+)극으로 이동한다.
  4. 전류의 방향은 전자의 이동 방향과 반대이다.
(정답률: 70%)
  • "(+)극에서는 방전시 산화 반응이 일어난다."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극에서는 충전시 산화 반응이 일어나고, 방전시 환원 반응이 일어난다. 이유는 전지가 충전되면서 (+)극에서는 양이온이 받아들여져서 양전하가 증가하고, (-)극에서는 음이온이 받아들여져서 음전하가 증가한다. 이 상태에서 전지를 사용하면, 전자는 (-)극에서 (+)극으로 이동하면서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이때 (+)극에서는 양전하가 전자를 받아들여서 환원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염소원자의 최외각 전자수는 몇 개 인가?

  1. 1
  2. 2
  3. 7
  4. 8
(정답률: 87%)
  • 염소의 전자 구성은 2, 8, 7 이므로 최외각 전자수는 7개이다. 최외각 전자수는 원소의 전자 구성에서 가장 바깥쪽 전자 궤도에 존재하는 전자의 수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액체 공기에서 질소 등을 분리하여 산소를 얻는 방법은 다음 중 어떤 성질을 이용한 것인가?

  1. 용해도
  2. 비등점
  3. 색상
  4. 압축율
(정답률: 79%)
  • 정답은 "비등점"입니다.

    액체 공기는 질소, 산소, 아르곤 등의 기체 성분들이 혼합된 상태입니다. 이들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각 성분들의 물리적 성질을 이용해야 합니다.

    액체 공기를 가열하면 각 성분들의 비등점이 다르기 때문에 증발이 일어나면서 각 성분들이 분리됩니다. 이때 산소는 질소나 아르곤보다 비등점이 낮기 때문에 먼저 증발하여 분리됩니다.

    따라서 액체 공기에서 질소 등을 분리하여 산소를 얻는 방법은 비등점을 이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물질 중 -CONH- 의 결합을 하는 것은?

  1. 천연고무
  2. 니트로셀룰로오스
  3. 알부민
  4. 전분
(정답률: 54%)
  • 알부민은 단백질 중 하나로, 아미노산 간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폴리펩타이드 체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폴리펩타이드 체인에는 -CONH- 결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알부민은 -CONH- 결합을 하는 물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극성 분자에 해당하는 것은?

  1. CO2
  2. CCl4
  3. CL2
  4. NH3
(정답률: 60%)
  • 극성 분자란 분자 내부의 전자가 한 쪽으로 치우쳐져 있어서 분자 전체가 (+)와 (-) 극성을 가지는 분자를 말합니다. NH3은 분자 내부의 전자가 집중적으로 집중되어 있어서 분자 전체가 (-) 극성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NH3은 극성 분자에 해당합니다. CO2, CCl4, CL2는 분자 내부의 전자가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어서 극성을 가지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산성이 가장 약한 산은?

  1. HCL
  2. H2SO4
  3. H2CO3
  4. CH3COOH
(정답률: 36%)
  • 산성도는 pH 값으로 측정되며, pH 값이 높을수록 산성이 강합니다. HCl과 H2SO4는 강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CH3COOH는 약산입니다. 따라서, H2CO3이 가장 약한 산인 이유는 pH 값이 다른 산들보다 높기 때문입니다. H2CO3의 pH 값은 약 5.6 정도이며, 이는 CH3COOH의 pH 값인 약 4.8보다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프로판 1kg을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 표준상태의 산소가 약 몇 m3 이 필요한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2.55
  2. 5
  3. 7.55
  4. 10
(정답률: 58%)
  • 프로판(C3H8)의 분자식을 살펴보면, 1 분자의 프로판이 5 분자의 산소(O2)와 완전 연소할 때 3 분자의 이산화탄소(CO2)와 4 분자의 물(H2O)가 생성됩니다. 따라서 1kg의 프로판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계산을 할 수 있습니다.

    1. 프로판의 몰량 계산
    - 분자량(C3H8) = 3 x 12.01 + 8 x 1.01 = 44.11 g/mol
    - 몰량 = 1000 g / 44.11 g/mol = 22.7 mol

    2. 산소의 몰량 계산
    - 연소 반응식에 따라, 1 mol의 프로판에 5 mol의 산소가 필요함
    - 산소의 분자량(O2) = 2 x 16.00 = 32.00 g/mol
    - 1 mol의 산소 = 32.00 g/mol
    - 5 mol의 산소 = 5 x 32.00 g/mol = 160.00 g
    - 몰량 = 160.00 g / 32.00 g/mol = 5.0 mol

    3. 필요한 산소의 양 계산
    - 1kg의 프로판에 5 mol의 산소가 필요하므로, 22.7 mol의 프로판에 필요한 산소의 양은 다음과 같음
    - 5 mol / 1 kg x 22.7 kg = 113.5 mol

    4. 필요한 산소의 체적 계산
    - 산소의 분자량(O2) = 2 x 16.00 = 32.00 g/mol
    - 1 mol의 기체가 차지하는 체적(V) = 24.45 L (표준상태, 0℃, 1 atm)
    - 113.5 mol의 산소가 차지하는 체적 = 113.5 mol x 24.45 L/mol = 2770.58 L
    -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필요한 산소의 체적은 약 2.55 m3임

    따라서, 정답은 "2.5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95% 황산의 비중 1.84 일 때 이 황산의 농도는 약 얼마인가? (단, S의 원자량은 32이다.)

  1. 17.8M
  2. 16.8M
  3. 15.8M
  4. 14.8M
(정답률: 59%)
  • 95% 황산의 비중 1.84는 1L의 용액 중 황산이 占하는 질량이 1.84kg라는 뜻이다. 따라서 황산의 몰 질량을 구하면:

    1.84kg / 0.95 = 1.9368kg

    몰 질량은 질량(g)을 몰수(n)로 나눈 값이므로, 황산의 몰수는:

    1.9368kg / 98g/mol = 19.76mol

    따라서 농도는 몰수를 용액의 부피(L)로 나눈 값이므로:

    19.76mol / 1L = 19.76M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황산의 농도를 알아내야 하므로,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최종 답인 "17.8M"을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보기의 벤젠 유도제 가운데 벤젠의 치환반응으로 부터 직접 유도 할 수 없는 것은?

  1. ⓐ, ⓑ
  2. ⓑ, ⓓ
  3. ⓐ, ⓒ
  4. ⓒ, ⓓ
(정답률: 60%)
  • 정답은 "ⓑ, ⓓ"입니다.

    ⓑ인 메틸벤젠은 벤젠의 치환반응으로부터 직접 유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 메틸벤젠에서 메틸기(-CH3)가 치환되어 만들어진 다른 화합물들은 벤젠의 치환반응으로부터 직접 유도할 수 없습니다.

    ⓓ인 페닐메틸케톤은 벤젠의 치환반응으로부터 직접 유도할 수 없습니다. 이유는 페닐메틸케톤의 구조에서 카르복실기(-CO)가 있기 때문입니다. 벤젠의 치환반응에서는 카르복실기가 있는 화합물은 중간체로 생성되지 않기 때문에 직접 유도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어떤 물질이 산소 50wt%, 황 50wt%로 구성되어 있다. 이 물질의 실험식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SO
  2. SO2
  3. SO3
  4. SO4
(정답률: 83%)
  • 이 물질은 화학식으로 SO₂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유는 황의 원자가 1개이므로 SO₄와 같은 화합물은 아닙니다. 또한 산소와 황의 비율이 1:1이므로 SO₃도 아닙니다. 따라서 SO₂가 이 물질의 화학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수성가스(water gas)의 주성분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CO2, CH4
  2. CO, H2
  3. CO2, H2,O2
  4. H2, H2O
(정답률: 78%)
  • 수성가스는 일산화탄소(CO)와 수소(H2)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는 일산화탄소와 수소를 고온에서 반응시켜 생기는 가스로, 산업에서 연료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CO, H2"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Fe(CN)64-와 4개의 K+ 이온으로 이루어진 물질 K4Fe(CN)6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착화합물
  2. 할로겐화합물
  3. 유기혼합물
  4. 수소화합물
(정답률: 75%)
  • K4Fe(CN)6은 금속 이온과 리간드(ligand)인 CN- 이온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착화합물이다. 착화합물은 금속 이온과 리간드가 강하게 결합하여 하나의 분자로 이루어진 화합물을 말한다. 따라서 K4Fe(CN)6은 착화합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페놀 수산기(-OH)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수용액이 강 알칼리성이다.
  2. 2가 이상이 되면 물에 대한 용해도가 작아진다.
  3. 카르복실산과 반응하지 않는다.
  4. FeCl3 용액과 정색 반응을 한다.
(정답률: 77%)
  • 정답은 "FeCl3 용액과 정색 반응을 한다." 이다.

    페놀 수산기는 수용액이 강 알칼리성이며, 2가 이상이 되면 물에 대한 용해도가 작아진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카르복실산과 반응하지 않는다는 특성도 있다.

    FeCl3 용액과 정색 반응을 하는 이유는 페놀 수산기가 FeCl3와 반응하여 페놀-FeCl3 착물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이 착물은 녹색으로 색이 변하며, 이를 정색 반응이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재예방과 소화방법

21. 과산화나트륨과 혼재가 가능한 위험물은? (단, 지정수량 이상인 경우이다.)

  1. 에테르
  2. 마그네슘분
  3. 탄화칼슘
  4. 과염소산
(정답률: 75%)
  • 과산화나트륨과 혼재가 가능한 위험물은 산화제이다. 그 중에서도 과염소산은 산화력이 강하고 폭발성이 높아서 과산화나트륨과 혼합하면 화재나 폭발 위험이 크게 증가하기 때문에 위험물질로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과염소산은 과산화나트륨과 함께 다루어질 때에는 특히 조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하론 1211 소화약제의 저장용기에 저장하는 소화약제의 양을 산출할 때는 「위험물의 종류에 대한 가스계 소화약제의 계수」를 고려해야 한다. 위험물의 종류가 이황화탄소인 경우 하론 1211에 해당하는 계수 값은 얼마인가?

  1. 1.0
  2. 1.6
  3. 2.2
  4. 4.2
(정답률: 37%)
  • 이황화탄소는 가스 상태에서 발화 가능성이 높은 위험물질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하론 1211은 가스 상태의 위험물질에 대한 소화약제 계수가 1.0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황화탄소에 대한 하론 1211의 계수 값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림과 같은 타원형 위험물탱크의 내용적은 약 얼마인가? (단, 단위는 m 이다.)

  1. 5.03m3
  2. 7.52m3
  3. 9.03m3
  4. 19.05m3
(정답률: 70%)
  • 탱크의 형태가 타원형이므로 부피를 구하기 위해서는 탱크의 길이, 너비, 높이를 알아야 한다. 그러나 그림에서는 높이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탱크의 부피를 구하기 위해서는 탱크의 밑면적과 탱크의 높이를 곱해야 한다.

    탱크의 밑면적은 타원의 넓이와 같으므로, 타원의 넓이를 구해야 한다. 타원의 넓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넓이 = π × 긴 반지름 × 짧은 반지름

    그림에서 긴 반지름은 2m, 짧은 반지름은 1.5m 이므로, 넓이는 다음과 같다.

    넓이 = 3.14 × 2m × 1.5m = 9.42m2

    따라서, 탱크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부피 = 밑면적 × 높이 = 9.42m2 × 0.535m ≈ 5.03m3

    따라서, 정답은 "5.03m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위험물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주수소화를 하면 수소가스가 발생하는 것은?

  1. 황화린
  2. 적린
  3. 마그네슘
(정답률: 77%)
  • 마그네슘은 주수소화 시 수소와 반응하여 수소가스를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마그네슘 화재 발생 시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Halon 1011 속에 함유되지 않은 원소는?

  1. H
  2. Cl
  3. Br
  4. F
(정답률: 73%)
  • Halon 1011은 화학물질로서, 주로 화재 진압용으로 사용되는 가스입니다. 이 가스는 주로 브롬화화합물과 클로로화화합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함유되지 않은 원소는 "F"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포 소화약제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단백포소화약제
  2. 합성계면활성제포소화약제
  3. 수성막포소화약제
  4. 액표면포소화약제
(정답률: 65%)
  • 포 소화약제는 불을 끄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뉘는데, 액표면포소화약제는 그 중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액표면포소화약제는 물 위에 떠 있는 기름 등의 액체를 분해하여 불을 끄는데 사용되는 화학물질입니다. 하지만 포 소화약제는 불을 직접 진압하거나 산화작용을 억제하여 불을 끄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액표면포소화약제는 포 소화약제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디에틸에테르 2000L와 아세톤 4000L를 옥내저장소에 저장하고 있다면 총 소요단위는 얼마인가?

  1. 5
  2. 6
  3. 7
  4. 8
(정답률: 61%)
  • 디에틸에테르와 아세톤은 모두 가연성 액체이므로 옥내저장소에서 저장하기 위해서는 안전한 보관을 위한 시설과 장비가 필요하다. 이러한 시설과 장비를 구비하는 비용을 고려하여 총 소요단위를 계산한다. 따라서, 디에틸에테르 2000L와 아세톤 4000L를 저장하는 경우 총 소요단위는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분진 폭발을 일으킬 위험성이 가장 낮은 물질은?

  1. 알루미늄 분말
  2. 석탄
  3. 밀가루
  4. 시멘트 분말
(정답률: 76%)
  • 시멘트 분말은 다른 물질들에 비해 불안정성이 낮아 분진 폭발을 일으킬 위험이 적습니다. 이는 시멘트 분말이 물과 반응하여 경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과 가스가 적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설 현장 등에서 안전하게 다룰 수 있는 물질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자기연소를 하는 위험물은?

  1. 톨루엔
  2. 메틸알코올
  3. 디에틸에테르
  4. 니트로글리세린
(정답률: 70%)
  • 니트로글리세린은 폭발성이 매우 높은 화합물로, 자기연소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험물로 분류됩니다. 반면, 톨루엔, 메틸알코올, 디에틸에테르는 자기연소를 일으키지 않으므로 위험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스프링클러설비에서 방사구역마다 제어밸브를 설치하고자 한다. 바닥면으로부터 높이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0.8m 이상 1.5m 이하
  2. 1.0m 이상 1.5m 이하
  3. 0.5m 이상 0.8m 이하
  4. 1.5m 이상 1.8m 이하
(정답률: 76%)
  • 스프링클러 설비에서 제어밸브는 화재 발생 시 물을 분사하는 장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어밸브는 화재 발생 시 즉시 작동해야 하므로, 바닥면으로부터 높이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작동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높이는 0.8m 이상 1.5m 이하이다. 이 범위 내에서는 제어밸브를 쉽게 조작할 수 있으며, 화재 발생 시 즉시 작동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소화설비의 구분에서 물분무등소화설비에 속하는 것은?

  1. 포소화설비
  2. 옥내소화전설비
  3. 스프링클러설비
  4. 옥외소화전설비
(정답률: 64%)
  • 물분무등소화설비는 물을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설비를 의미합니다. 이 중에서도 포소화설비는 물 대신 화학약품을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설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포소화설비는 물분무등소화설비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스프링클러헤드 부착장소의 평상시의 최고주위온도가 39℃ 이상 64℃ 미만 일 때 표시 온도의 범위로 옳은 것은?

  1. 58℃ 이상 79℃ 미만
  2. 79℃ 이상 121℃ 미만
  3. 121℃ 이상 162℃ 미만
  4. 162℃ 이상
(정답률: 79%)
  • 스프링클러헤드는 화재 발생 시 물을 분사하여 화재 진압을 돕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스프링클러헤드 부착장소의 최고주위온도가 높아질수록 스프링클러헤드가 작동하기 전에 물이 증발하여 분사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스프링클러헤드의 표시 온도 범위는 최고주위온도가 높아질수록 높아져야 합니다.

    따라서 스프링클러헤드 부착장소의 평상시 최고주위온도가 39℃ 이상 64℃ 미만일 때, 스프링클러헤드의 표시 온도 범위는 79℃ 이상 121℃ 미만이 옳습니다. 이유는 최고주위온도가 낮기 때문에 스프링클러헤드가 작동하기 전에 물이 증발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무색, 무취이고 전기적으로도 비전도성이며 공기보다 약 1.5배 무거운 성질을 가지는 소화약제는?

  1. 분말소화약제
  2.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3. 포소화약제
  4. 하론 1301 소화약제
(정답률: 82%)
  •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는 무색, 무취이며 전기적으로도 비전도성이고 공기보다 약 1.5배 무거운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바로 위에 뿌리면 바닥으로 내려가서 산소를 차단하고 불을 끌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화재 발생 시 가장 효과적인 소화약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폭굉 유도거리(DID)가 짧아지는 요건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정상 연소 속도가 큰 혼합가스일 경우
  2. 관속에 방해물이 없거나 관경이 큰 경우
  3. 압력이 높을 경우
  4. 점화원의 에너지가 클 경우
(정답률: 82%)
  • DID가 짧아지는 요건은 연소가 빠르게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정상 연소 속도가 큰 혼합가스일 경우, 압력이 높을 경우, 점화원의 에너지가 클 경우 모두 해당된다. 따라서, 관속에 방해물이 없거나 관경이 큰 경우는 DID가 짧아지는 요건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관로 내부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강화액 소화기에 한냉지역 및 겨울철에도 얼지 않도록 첨가하는 물질은 무엇인가?

  1. 탄산칼륨
  2. 질소
  3. 사염화탄소
  4. 아세틸렌
(정답률: 73%)
  • 탄산칼륨은 물이 얼어붙는 온도를 낮추는 물질로, 강화액 소화기에 첨가하여 한냉지역 및 겨울철에도 얼지 않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가연성 가스의 폭발 범위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가스의 온도가 높아지면 폭발 범위는 넓어진다.
  2. 폭발한계농도 이하에서 폭발성 혼합가스를 생성한다.
  3. 공기 중에서보다 산소 중에서 폭발 범위가 넓어진다.
  4. 가스압이 높아지면 하한값은 크게 변하지 않으나 상한값은 높아진다.
(정답률: 63%)
  • 정답은 "가스의 온도가 높아지면 폭발 범위는 넓어진다."입니다. 가스의 온도가 높아지면 분자 운동이 활발해져서 폭발 범위가 넓어지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폭발한계농도가 낮아져서 폭발성 혼합가스를 생성하기 쉬워집니다. 따라서, 온도가 높아지면 폭발 위험이 더욱 커지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탄산수소나트륨과 황산알루미늄 수용액의 화학반응으로 인해 생성되지 않는 것은?

  1. 황산나트륨
  2. 탄산수소알루미늄
  3. 수산화알루미늄
  4. 이산화탄소
(정답률: 49%)
  • 탄산수소알루미늄은 탄산수소나트륨과 황산알루미늄 수용액의 화학반응으로 생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보기에서는 생성되는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화학반응에서 생성되지 않는 물질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포소화설비의 가압송수 장치에서 압력수조의 압력 산출시 필요 없는 것은?

  1. 낙차의 환산 수두압
  2. 배관의 마찰손실 수두압
  3. 노즐선의 마찰손실 수두압
  4. 소방용 호스의 마찰손실 수두압
(정답률: 72%)
  • 압력수조의 압력 산출과 관련된 것은 "낙차의 환산 수두압", "배관의 마찰손실 수두압", "소방용 호스의 마찰손실 수두압"이지만, "노즐선의 마찰손실 수두압"은 필요 없는 것입니다. 이는 노즐선이 압력수조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노즐선의 마찰손실 수두압은 압력수조의 압력 산출과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제4류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에 지정수량의 몇 배 이상을 취급할 경우 자체 소방대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000배
  2. 2000배
  3. 3000배
  4. 4000배
(정답률: 76%)
  • 제4류 위험물은 매우 위험한 물질로, 화재, 폭발, 독성 등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취급량이 많아질수록 안전 대책이 강화되어야 합니다. 3000배 이상 취급할 경우 자체 소방대를 설치해야 하는 이유는, 이러한 위험물을 다룰 때 발생할 수 있는 사고에 대응하기 위해서입니다. 자체 소방대를 설치하면, 사고 발생 시 빠르게 대응할 수 있어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3000배 이상 취급할 경우 자체 소방대를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의 물품을 저장하는 창고에 이산화탄소 소화설비를 설치하고자 한다. 가장 부적합한 경우는?

  1. 톨루엔
  2. 동식물유류
  3. 고형 알코올
  4. 과산화나트륨
(정답률: 65%)
  • 과산화나트륨은 화재 발생 시 물과 반응하여 산소를 방출하므로 화재 위험이 있는 창고에 설치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가장 부적합한 물품은 과산화나트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위험물의 성질과 취급

41. 다음 중 니트로기(-NO2)를 1개만 가지고 있는 것은?

  1. 니트로셀룰로우스
  2. 니트로글리세린
  3. 니트로벤젠
  4. TNT
(정답률: 68%)
  • 니트로벤젠은 니트로기(-NO2)를 1개만 가지고 있는 유일한 물질입니다. 다른 물질들은 니트로기를 2개 이상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위험물 중 인화점이 약 -37℃ 인 물질로서 구리, 은, 마그네슘 등의 급속과 접촉하면 폭발설 물질인 아세틸라이드를 생성하는 것은?

  1. C2H5OC2H5
  2. CS2
  3. C6H6
(정답률: 67%)
  • 위험물 중 인화점이 약 -37℃ 인 물질은 아세틸렌입니다. 구리, 은, 마그네슘 등의 급속과 접촉하면 폭발설 물질인 아세틸라이드를 생성합니다. 이유는 금속과 아세틸렌이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고, 이 열로 인해 아세틸렌 분자가 분해되어 아세틸라이드가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저장할 때 상부에 물을 덮어서 저장하는 것은?

  1. 디에틸에테르
  2. 아세트알데히드
  3. 산화프로필렌
  4. 이황화탄소
(정답률: 78%)
  • 이황화탄소는 공기 중에서 산화되어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상부에 물을 덮어서 저장해야 한다. 따라서 이황화탄소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탄화칼슘과 물이 반응하였을 때 생성되는 가스는?

  1. C2H2
  2. C2H4
  3. C2H6
  4. CH4
(정답률: 67%)
  • 탄화칼슘과 물이 반응하면 칼슘하이드록시드와 가스가 생성됩니다. 이 가스는 C2H2, 즉 아세틸렌입니다. 이는 탄화칼슘과 물이 반응하여 생성되는 화학식이 CaC2 + 2H2O → Ca(OH)2 + C2H2 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제1석유류, 제2석유류, 제3석유류를 구분하는 주요 기준이 되는 것은?

  1. 인화점
  2. 발화점
  3. 비등점
  4. 비중
(정답률: 76%)
  • 제1석유류, 제2석유류, 제3석유류를 구분하는 주요 기준은 인화점입니다. 인화점은 해당 유류가 일정한 온도에서 불에 타는 지점을 의미합니다. 제1석유류는 인화점이 낮고, 제3석유류는 인화점이 높습니다. 이에 반해, 발화점은 유류가 불에 타기 시작하는 온도를 의미하며, 비등점은 유류가 기체로 상승하는 온도를 의미합니다. 비중은 유류의 밀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금속나트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제3류 위험물이다.
  2. 융점은 약 297℃ 이다.
  3. 은백색의 가벼운 금속이다.
  4.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한다.
(정답률: 65%)
  • 정답은 "융점은 약 297℃ 이다." 이다.

    금속나트륨은 제3류 위험물이며,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키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은백색의 가벼운 금속이지만, 융점은 매우 낮은 편이 아니라 매우 높은 편에 속합니다. 실제로 금속나트륨의 융점은 약 98℃로 매우 낮습니다. 따라서 "융점은 약 297℃ 이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황화린에 대한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P4S3 는 황색 결정 덩어리로 조해성이 있고, 공기 중 약 50℃ 에서 발화한다.
  2. P2S5 는 담황색 결정으로 조해성이 있고, 알칼리와 분해하여 가연성 가스를 발생한다.
  3. P4S7 담황색 결정으로 조해성이 있고, 온수에 녹아 유독한 H2S를 발생한다.
  4. P4S3 과 P2S5 의 연소생성물은 모두 P2O5 와 SO2 이다.
(정답률: 48%)
  • 잘못된 설명은 "P4S3 과 P2S5 의 연소생성물은 모두 P2O5 와 SO2 이다." 입니다.

    P4S3는 공기 중 약 50℃에서 발화하는 것이 맞습니다. 이는 화학 반응으로 인해 일어나는데, P4S3가 공기 중에서 산화되면서 열이 발생하여 발화합니다.

    P2S5는 알칼리와 반응하여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이 맞습니다.

    P4S7은 온수에 녹아 유독한 H2S를 발생시키는 것이 맞습니다.

    P4S3과 P2S5의 연소생성물은 모두 P2O5와 SO2가 아니라, P4O10와 SO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위험물의 적재 방법에 관한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위험물은 규정에 의한 바에 따라 재해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는 물품과 함께 적재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2. 적재하는 위험물의 성질에 따라 일광의 직사 또는 빗물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효하게 피복하는 등 규정에서 정하는 기준에 따른 조치를 하여야 한다.
  3. 운반용기는 수납구를 옆으로 향하게 하여 나란히 적재한다.
  4. 위험물을 수압한 운반용기가 전도ㆍ낙하 또는 파손되지 아니하도록 적재하여야 한다.
(정답률: 87%)
  • 운반용기는 수납구를 옆으로 향하게 하여 나란히 적재한다. - 이 기준은 틀린 것이다. 위험물의 적재 방법에 관한 기준으로는 규정에 의한 바에 따라 재해를 발생시킬 우려가 있는 물품과 함께 적재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적재하는 위험물의 성질에 따라 일광의 직사 또는 빗물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유효하게 피복하는 등 규정에서 정하는 기준에 따른 조치를 하여야 한다, 위험물을 수압한 운반용기가 전도ㆍ낙하 또는 파손되지 아니하도록 적재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질산과 과염소산의 공통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가연성 물질이다.
  2. 산화제이다.
  3. 무기화합물이다.
  4. 산소를 함유하고 있다.
(정답률: 56%)
  • 정답은 "가연성 물질이다."이다. 질산과 과염소산은 모두 산화제이며, 무기화합물이며, 산소를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둘 다 가연성이 아니라 오히려 불가연성이다. 이는 둘 다 산화제이기 때문에 불을 일으키면 쉽게 불이 붙을 수 있지만, 자체적으로는 가연성이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은 어떤 위험물에 대한 내용인가?

  1. 메탄올
  2. 에탄올
  3. 이소프로필알코올
  4. 부틸알코올
(정답률: 63%)
  • 위 그림은 이소프로필알코올에 대한 것이다. 이유는 그림에 "Isopropyl Alcohol"이라고 적혀 있기 때문이다. "메탄올"은 메탄을 기반으로 한 알코올, "에탄올"은 에탄을 기반으로 한 알코올, "부틸알코올"은 부탄을 기반으로 한 알코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메틸에틸케톤의 저장 또는 취급시 유의할 점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통풍을 잘 시킬것
  2. 찬곳에 저장할 것
  3. 일광의 직사를 피할 것
  4. 저장 용기에는 증기 배출을 위해 구멍을 설치할 것
(정답률: 80%)
  • 메틸에틸케톤은 증기가 매우 유독하므로, 저장 용기 내부에 증기가 쌓이지 않도록 구멍을 설치하여 증기를 배출시켜야 합니다. 이를 통해 안전하게 저장 및 취급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에서 제2석유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등유
  2. CH3COOH
  3. CH3CHO
  4. 경유
(정답률: 59%)
  • 제2석유류는 탄소수가 적은 알케인, 알케인, 알케인 등을 말한다. 따라서 "CH3CHO"는 알데히드로서 제2석유류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제4류 위험물의 저장ㆍ취급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화기 접촉을 금한다.
  2. 증기의 누설을 피한다.
  3. 냉암소에 저장한다.
  4. 정전기 축적 설비를 한다.
(정답률: 72%)
  • "정전기 축적 설비를 한다."는 오히려 주의사항이 아니라 안전조치이다. 정전기 축적 설비를 설치하여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화재나 폭발 등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제5류 위험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니트로글리콜
  2. 니트로글리세린
  3. 트리니트로톨루엔
  4. 니트로톨루엔
(정답률: 49%)
  • 정답: "니트로글리콜"

    설명: 제5류 위험물은 산화성 물질로서, 산화제와 반응하여 폭발이나 화재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니트로글리세린", "트리니트로톨루엔", "니트로톨루엔"은 모두 제5류 위험물에 해당하며, 반면 "니트로글리콜"은 제5류 위험물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칼륨과 물이 반응할 때 생성되는 것은 무엇인가?

  1. 수산화칼륨, 산소
  2. 수산화칼륨, 수소
  3. 산소, 수소
  4. 산화칼륨, 산소
(정답률: 75%)
  • 칼륨과 물이 반응하면 수산화칼륨과 수소가 생성됩니다. 이는 칼륨이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칼륨과 수소를 생성하는 화학반응식인 2K + 2H2O → 2KOH + H2 에 기반합니다. 이 반응에서 칼륨은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칼륨을 생성하고, 동시에 물 분자를 분해하여 수소를 방출합니다. 따라서 이 반응에서 생성되는 물질은 수산화칼륨과 수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제3류 위험물 중 금수성물질 위험물제조소에는 어떤 주의사항을 표시한 게시판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1. 물기엄금
  2. 물기주의
  3. 화기엄금
  4. 화기주의
(정답률: 79%)
  • 금수성물질은 물과 반응하여 폭발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물기엄금"으로 표시된 게시판을 설치해야 합니다. "물기엄금"은 물과의 접촉을 엄격히 금지하라는 의미로, 물기가 있는 곳에서는 보관하거나 다루지 않도록 주의를 당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지정수량의 10배를 초과하는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에 확보하여야 하는 보유공지의 너비는?

  1. 1m 이상
  2. 3m 이상
  3. 5m 이상
  4. 7m 이상
(정답률: 79%)
  •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에서는 화재 등의 사고 발생 시 대처하기 위해 충분한 대피공간과 소방시설 등을 확보해야 합니다. 따라서, 지정수량의 10배를 초과하는 위험물을 취급하는 제조소에서는 보유공지의 너비를 5m 이상으로 확보해야 합니다. 이는 충분한 대피공간과 소방시설을 확보하기 위한 최소한의 요건으로서,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더욱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위험물 중 물속에 저장해야 안전한 것은?

  1. 황린
  2. 적린
  3. 루비듐
  4. 오황화린
(정답률: 80%)
  • 황린은 물속에서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는 유일한 위험물입니다. 다른 위험물들은 물과 반응하여 폭발하거나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서 물속에 저장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지정수량을 틀리게 나타낸 것은?

  1. 중크롬산염류 - 500kg
  2. 제2석유류(비수용성) - 1000L
  3. 히드록실아민염류 - 100kg
  4. 재4석유류 - 6000L
(정답률: 62%)
  • 정답은 "재4석유류 - 6000L" 이다.

    중크롬산염류는 단위가 kg이고, 제2석유류와 히드록실아민염류는 단위가 L이다. 하지만 재4석유류는 단위가 kg이 아니라 L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중크롬산염류 - 500kg" 이다. 이는 중크롬산염류의 지정수량이 500kg이라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1기압 27℃ 에서 아세톤 58g을 완전히 기화시키면 부피는 약 몇 L가 되는가?

  1. 22.4
  2. 24.6
  3. 27.4
  4. 58.0
(정답률: 64%)
  • 이 문제는 이상기체 상태방정식을 이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

    PV = nRT

    여기서 P는 기압, V는 부피, n은 몰수, R은 기체상수, T는 절대온도를 나타냅니다.

    먼저, 기체상수 R은 일반적으로 0.0821 L·atm/mol·K로 사용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아세톤의 몰질량을 알아야 합니다. 아세톤의 분자량은 58 g/mol입니다. 따라서, 58 g의 아세톤은 1 몰에 해당합니다.

    n = 58 g / 58 g/mol = 1 mol

    또한, 절대온도 T는 섭씨온도에 273.15를 더한 값입니다.

    T = 27℃ + 273.15 = 300.15 K

    따라서, 이 문제에서 구하고자 하는 것은 부피 V입니다. 이를 구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식을 변형합니다.

    V = nRT / P

    V = (1 mol) x (0.0821 L·atm/mol·K) x (300.15 K) / (1 atm)

    V = 24.6 L

    따라서, 아세톤 58g을 완전히 기화시키면 부피는 약 24.6 L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