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물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9-05)

위험물산업기사
(2010-09-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일반화학

1. 어떤 기체의 무게는 30g 인데 같은 조건에서 같은 부피의 이산화탄소의 무게가 11g 이었다. 이 기체의 분자량은?

  1. 110
  2. 120
  3. 130
  4. 140
(정답률: 68%)
  • 이산화탄소의 분자량은 44g/mol 이다. 따라서, 이 기체의 분자량을 x 라고 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한다.

    (30g/x) = (11g/44g/mol)

    이를 풀면 x = 120g/mol 이므로 정답은 1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25.0g의 물 속에 2.85g 의 설탕(C12H22O11)이 녹아있는 용액의 끓는점은? (단, 물의 끓는점 오름 상수는 0.52 이다.)

  1. 100.0℃
  2. 100.08℃
  3. 100.17℃
  4. 100.34℃
(정답률: 66%)
  • 설탕은 물에 녹을 때 물 분자와 설탕 분자 사이에 수소 결합이 형성되어 물 분자의 운동에 제약을 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용액의 끓는점이 물의 끓는점보다 높아지게 된다.

    끓는점 오름 상수는 0.52이므로, 물에 설탕이 녹아있는 용액의 끓는점 상승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T = Kb x molality

    molality = 몰 분율 / 용매 질량(kg)

    물의 몰 질량은 18g/mol 이므로, 물의 질량은 0.025kg 이다. 설탕의 몰 질량은 342g/mol 이므로, 설탕의 몰 분율은 2.85g / 342g/mol = 0.00833 mol 이다.

    molality = 0.00833 mol / 0.025 kg = 0.333 mol/kg

    따라서, ΔT = 0.52 x 0.333 = 0.173℃ 이다.

    물의 끓는점은 100℃ 이므로, 물에 설탕이 녹아있는 용액의 끓는점은 100℃ + 0.173℃ = 100.17℃ 이다. 따라서, 정답은 "100.1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에서 설명하는 물질의 명칭은?

  1. 페놀
  2. 아닐린
  3. 톨루엔
  4. 벤젠술폰산
(정답률: 69%)
  • 이 물질은 벤젠과 메틸기가 결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아닐린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아닐린"이 아닌 다른 물질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관능기와 그 명칭을 나타낸 것 중 틀린 것은?

  1. -OH : 히드록시기
  2. -NH2 : 암모니아기
  3. -CHO : 알데히드기
  4. -NO2 : 니트로기
(정답률: 63%)
  • 정답: "-CHO : 알데히드기" (알데히드기는 -CHO가 아닌 -CHOH가 맞는 명칭이다.)

    - NH2은 아민기의 일종으로, 질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기를 나타낸다. 암모니아(NH3)에서 하나의 수소가 떨어져서 생긴 -NH2 기를 가진 화합물들이 많이 존재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이아몬드의 결합 형태는?

  1. 급속결합
  2. 이온결합
  3. 공유결합
  4. 수소결합
(정답률: 77%)
  • 다이아몬드은 탄소 원자들이 서로 공유결합을 이루어 결합된 형태입니다. 이는 탄소 원자들이 서로 전자를 공유하여 결합하며, 이 공유결합이 매우 강력하여 다이아몬드의 단단하고 견고한 구조를 이루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0.001N-HCl 의 pH는?

  1. 2
  2. 3
  3. 4
  4. 5
(정답률: 85%)
  • 0.001N-HCl은 염산의 0.001배수 농도이므로, 염산의 pKa 값인 -log(Ka) = -log(1.3 x 10^-2) = 1.89에서 pH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pH = -log[H+] 이므로, [H+] = 10^-pH를 이용하여 pH를 계산하면 pH = 3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콜로이드 (10-7 ~ 10-5cm) 용액의 일반적인 특징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콜로이드 입자는 틴들현상을 보인다.
  2. 미립자가 액체 중에 분산된 것이다.
  3. 콜로이드 입자는 (+) 또는 (-)로 대전하고 있다.
  4. 콜로이드 입자는 거름종이와 반투막을 통과한다.
(정답률: 66%)
  • "콜로이드 입자는 거름종이와 반투막을 통과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콜로이드 입자는 일반적으로 거름종이와 반투막을 통과하지 못합니다.

    콜로이드는 입자의 크기가 10-7 ~ 10-5cm인 용액으로, 미립자가 액체 중에 분산된 것입니다. 이러한 입자는 틴들현상을 보이며, (+) 또는 (-)로 대전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25g 의 암모니아가 과잉의 황산과 반응하여 황산암모늄이 생성될 때 생성된 황산암모늄의 양은 약 얼마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82g
  2. 86g
  3. 92g
  4. 97g
(정답률: 5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방사성 동위원소의 반감기가 20일 일 때 40일이 지난 후 남은 원소의 분율은?

  1. 1/2
  2. 1/3
  3. 1/4
  4. 1/6
(정답률: 81%)
  • 방사성 동위원소의 반감기가 20일이므로, 20일이 지날 때마다 원소의 양은 반으로 줄어듭니다. 따라서 40일이 지난 후에는 원래의 양의 1/2만 남아있게 됩니다. 이를 간단히 계산하면 1/2 × 1/2 = 1/4 이므로, 정답은 "1/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물리적 변화보다는 화학적 변화에 해당하는 것은?

  1. 증류
  2. 발효
  3. 승화
  4. 용융
(정답률: 80%)
  • 화학적 변화에 해당하는 것은 "발효"입니다. 발효는 미생물이나 효소를 이용하여 당류나 전분 등의 탄수화물을 분해하여 알코올, 유기산, 가스 등을 생성하는 화학적 변화 과정입니다. 이는 물리적 변화가 아닌 화학적 변화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Alkyne 의 일반식 표현이 올바른 것은?

  1. CnH2n-2
  2. CnH2n
  3. C2H2n+2
  4. CnHn
(정답률: 73%)
  • 올바른 일반식 표현은 "CnH2n-2" 이다. 이유는 알킬기가 하나만 있고 이중결합이 두 개이기 때문에 탄소원자 수는 n개이고 수소원자 수는 (2n-2)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20℃ 에서 NaCl 포화용액을 잘 설명한 것은? (단, 20℃ 에서 NaCl 의 용해도는 36 이다.)

  1. 용액 100g 중에 NaCl 이 36g 녹아 있을 때
  2. 용액 100g 중에 NaCl 이 316g 녹아 있을 때
  3. 용액 136g 중에 NaCl 이 36g 녹아 있을 때
  4. 용액 136g 중에 NaCl 이 136g 녹아 있을 때
(정답률: 80%)
  • NaCl의 용해도가 36이므로, 100g의 물에는 36g의 NaCl이 녹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136g의 물에는 136g/100g × 36g = 49.0g의 NaCl이 녹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용액 136g 중에 NaCl 이 36g 녹아 있을 때"가 맞는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10.0mL 의 0.1M-NaOH 을 25.0mL 의 0.1M-HCl 에 혼합하였을 때 이 혼합의 용액의 pH 는 얼마인가?

  1. 1.37
  2. 2.82
  3. 3.37
  4. 4.82
(정답률: 48%)
  • NaOH 와 HCl 가 중화되면 NaCl 과 H2O 가 생성됩니다. 이때 NaOH 와 HCl 의 몰 농도가 같으므로 중화 후 용액의 pH 는 7 이 됩니다. 그러나 NaOH 의 농도가 HCl 보다 적으므로 NaOH 가 모두 중화되지 않고 남아 있게 됩니다. 따라서 용액의 pH 는 NaOH 의 염기성에 의해 올라갑니다. NaOH 의 몰 농도는 0.1M 이고, NaOH 의 첨가량은 10.0mL 이므로 NaOH 의 몰수는 0.001mol 입니다. 이를 전체 용액의 부피로 환산하면 35.0mL 이므로, 전체 용액의 몰수는 0.00286mol 입니다. 이때 NaOH 가 중화되지 않고 남아 있는 양은 0.001mol 이므로, NaOH 의 농도는 0.001mol/0.035L = 0.0286M 입니다. 따라서 NaOH 의 pOH 는 1.54 이고, 이를 pH 로 환산하면 1.37 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37"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에서 설명하는 이론의 명칭으로 옳은 것은?

  1. 러더퍼드의 법칙
  2. 파울리의 배타원리
  3. 헨리의 법칙
  4. 훈트의 규칙
(정답률: 60%)
  • 이론의 명칭은 "훈트의 규칙"이다. 이는 물체가 이동하는 방향과 속도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어서, 방향을 바꾸는 경우에는 속도가 변화하게 된다는 것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즉, 물체가 직진하던 방향에서 벗어나려면 힘을 가해야 하며, 이 때 속도가 변화하게 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아말간을 만들 때 사용되는 금속은?

  1. Sn
  2. Ni
  3. Fe
  4. Co
(정답률: 65%)
  • 아말간은 주로 주석(Sn)으로 만들어진다. 이는 주석이 부식에 강하고, 낮은 녹는점과 높은 인성을 가지기 때문이다. 또한, 주석은 다른 금속과 합금을 이룰 때도 우수한 특성을 보이기 때문에 아말간 제조에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산화-환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한 원소의 산화수가 증가하였을 때 산화되었다고 한다.
  2. 전자를 잃은 반응을 산화라 한다.
  3. 산화제는 다른 화학종을 환원시키며, 그 자신의 산화수는 증가하는 물질을 말한다.
  4. 중성인 화합물에서 모든 원자와 이온들의 산화수의 합은 0이다.
(정답률: 78%)
  • 정답은 "산화제는 다른 화학종을 환원시키며, 그 자신의 산화수는 증가하는 물질을 말한다." 이다. 산화제는 다른 화학종을 산화시키며, 그 자신의 산화수는 감소하는 물질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곧은 사슬 포화탄화수소의 일반적인 경향으로 옳은 것은?

  1. 탄소수가 증가할수록 비점은 증가하나 빙점은 감소한다.
  2. 탄소수가 증가할수록 비점과 빙점이 모두 감소한다.
  3. 탄소수가 증가할수록 빙점은 증가하나 비점은 감소한다.
  4. 탄소수가 증가할수록 비점과 빙점은 모두 증가한다.
(정답률: 56%)
  • 탄소수가 증가할수록 분자의 크기와 질량이 증가하므로 분자 간의 인력이 강해지고, 이로 인해 비점이 증가한다. 또한, 분자 간의 인력이 강해지면 결정화가 어려워져 빙점이 증가한다. 따라서 탄소수가 증가할수록 비점과 빙점이 모두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Mg2+ 의 전자수는 몇 개인가?

  1. 2
  2. 10
  3. 12
  4. 6×1023
(정답률: 83%)
  • Mg2+ 이온은 12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었지만, 2개의 전자를 잃어버려 10개의 전자만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Mg2+ 이온의 전자수는 10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물이 브뢴스테드의 산으로 작용한 것은?

  1. HCl + H2O ⇄ H3O + Cl-
  2. HCOOH + H2O ⇄ HCOO- + H3O+
  3. NH3 + H2O ⇄ NH+4 +OH-
  4. 3Fe + 4H2O ⇄ Fe3O4 +4H2
(정답률: 77%)
  • NH3 + H2O ⇄ NH+4 +OH- 반응에서는 암모니아(NH3)와 물(H2O)이 상호작용하여 암모늄 이온(NH+4)과 수산화 이온(OH-)이 생성됩니다. 이는 브뢴스테드의 산-염기 이론에서 물이 염기로 작용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물이 브뢴스테드의 산으로 작용하여 산성 용액을 중성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물의 끓는점을 낮출 수 있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밀폐된 그릇에서 물을 끓인다.
  2. 열전도도가 높은 용기를 사용한다.
  3. 소금을 넣어준다.
  4. 외부 압력을 낮추어 준다.
(정답률: 62%)
  • 외부 압력을 낮추어 주면 물 분자들이 더 쉽게 기화되어 끓을 수 있기 때문이다. 높은 압력은 물 분자들을 더 강하게 압축시켜 끓이기 어렵게 만든다. 따라서 외부 압력을 낮추어 주면 물의 끓는점을 낮출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재예방과 소화방법

21. 화재의 위험성이 감소한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1. 착화온도가 낮아지고 인화점이 낮아질수록
  2. 폭발 하한값이 작아지고 폭발범위가 넓어질수록
  3. 주변 온도가 낮을수록
  4. 산소농도가 높을수록
(정답률: 80%)
  • 주변 온도가 낮을수록 화재의 연소에 필요한 열이 부족해지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성이 감소한다. 즉, 불이 붙을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주된 연소형태가 증발 연소에 해당하는 물질은?

  1. 금속분
  2. 목재
  3. 피크르산
(정답률: 66%)
  • 황은 증발 연소에 해당하는 물질입니다. 이는 황이 고온에서 기체 상태로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고체 상태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할론 소화약제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할론 1011
  2. 할론 2102
  3. 할론 2402
  4. 할론 1301
(정답률: 84%)
  • 할론 2102는 할론 소화약제의 종류가 아닙니다. 이유는 해당 번호의 소화약제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포소화설비의 기준에 따르면 포헤드방식의 포헤드는 방호대상물의 표면적 1m2 당의 방사량이 몇 L/min 이상의 비율로 계산한 양의 포수용액을 표준방사량으로 방사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하는가?

  1. 3.5
  2. 4
  3. 6.5
  4. 9
(정답률: 65%)
  • 포소화설비의 기준에 따르면 포헤드방식의 포헤드는 방호대상물의 표면적 1m2 당의 방사량이 0.15 L/min 이상의 비율로 계산한 양의 포수용액을 표준방사량으로 방사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합니다. 이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m2 당의 방사량 = 0.15 L/min
    따라서, 1m2 당의 포수용액 양 = 0.15 L/min ÷ 100 = 0.0015 L/min

    포헤드는 이렇게 계산한 1m2 당의 포수용액 양을 표준방사량으로 방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합니다. 이때, 표준방사량은 0.23 L/min 이며, 따라서 포헤드는 0.0015 L/min ÷ 0.23 L/min ≈ 6.5 개의 포헤드가 설치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6.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위험물안전관리법령상 물분무등 소화설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포소화설비
  2. 분말소화설비
  3. 스프링클러설비
  4. 이산화탄소소화설비
(정답률: 71%)
  • 스프링클러설비는 물 대신 화재 발생 시 화재 지점에 물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것이 아니라, 불꽃을 탐지하여 화재 발생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물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화재감지설비에 해당하기 때문에, 물분무등 소화설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분진 폭발을 일으킬 위험성이 가장 낮은 물질은?

  1. 대리석분말
  2. 커피분말
  3. 알루미늄분말
  4. 밀가루
(정답률: 74%)
  • 대리석분말은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불순물이 적어 분진 폭발 위험이 가장 낮은 물질 중 하나입니다. 반면에 커피분말, 알루미늄분말, 밀가루는 불순물이 많아 분진 폭발 위험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질식효과를 위해 포의 성질로서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기화성이 좋을 것
  2. 부착성이 있을 것
  3. 유동성이 좋을 것
  4. 바람 등에 견디고 응집성과 안정성이 있을 것
(정답률: 76%)
  • 기화성이 좋을 것입니다. 포의 질식효과는 포 안에 있는 화학물질이 기화되어 공기 중으로 방출되면서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기화성이 좋을수록 빠르게 기화되어 질식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부착성, 유동성, 안정성 등의 성질도 중요하지만, 질식효과를 위해서는 기화성이 가장 중요한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 )안에 알맞은 반응 계수를 차례대로 옳게 나타낸 것은?

  1. 3, 6
  2. 6, 3
  3. 6, 2
  4. 2, 6
(정답률: 66%)
  • 주어진 화학식에서 산소(O)와 수소(H)의 원자 개수를 세보면, 반응 전에는 산소가 2개, 수소가 4개이고, 반응 후에는 산소가 3개, 수소가 6개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산소와 수소의 원자 개수가 일치하도록 반응 계수를 조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2를 산소 앞에, 3을 수소 앞에 붙여 계수를 조정하면, 산소는 2x2=4개, 수소는 2x3=6개가 되어 일치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 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위험물의 저장액(보호액)으로서 잘못된 것은?

  1. 황린 - 물
  2. 인화석회 - 물
  3. 급속나트륨 - 등유
  4. 니트로셀룰로오스 - 함수알코올
(정답률: 77%)
  • 인화석회는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방출하며 화재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인화석회 - 물이 위험물의 저장액으로 사용되는 것은 잘못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소화약제 또는 그 구성성분으로 사용되지 않는 물질은?

  1. CF2ClBr
  2. CO(NH2)2
  3. NH4NO3
  4. K2CO3
(정답률: 59%)
  • NH4NO3은 소화약제로 사용되기도 하지만, 폭발성이 있어서 구성성분으로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착화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1. 외부에서 점화하지 않더라도 발화하는 최저온도
  2. 외부에서 점화했을 때 발화하는 최저온도
  3. 외부에서 점화했을 때 발화하는 최고온도
  4. 외부에서 점화하지 않더라도 발화하는 최고온도
(정답률: 70%)
  • 착화점은 외부에서 점화하지 않더라도 발화하는 최저온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물질이 일정한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자체적으로 발화되는 온도를 말합니다. 따라서 "외부에서 점화하지 않더라도 발화하는 최저온도"가 가장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전기불꽃 에너지 공식에서 ( )안에 것은?

  1. QV, CV
  2. QC, CV
  3. QV, CV2
  4. QC, QV2
(정답률: 86%)
  • 전기불꽃 에너지 공식은 E = 1/2(QV + CV^2) 이다. 따라서 정답은 "QV, CV^2" 이다. QV는 전하와 전위차의 곱으로 전하가 커지면서 전위차가 커질수록 에너지가 증가하기 때문에 QV가 포함되어 있고, CV^2는 전하와 전하가 충전된 커패시터의 전압의 제곱의 곱으로 전압이 커질수록 에너지가 증가하기 때문에 CV^2가 포함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탱크내 액체가 급격히 비등하고 증기가 팽창 하면서 폭발을 일으키는 현상은?

  1. Fire ball
  2. Back draft
  3. BLEVE
  4. Flash over
(정답률: 85%)
  • BLEVE는 "Boiling Liquid Expanding Vapor Explosion"의 약자로, 탱크 내부의 액체가 급격히 비등하여 증기가 팽창하면서 폭발을 일으키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탱크 내부의 액체가 고온, 고압 상태에서 갑자기 냉각되거나 압력이 갑자기 낮아지는 등의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BLEVE는 매우 위험한 현상으로, 폭발에 따른 화재, 인명 피해 등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예방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물분무소화설비가 적응성이 있는 위험물은?

  1. 알칼리금속과산화물
  2. 금속분ㆍ마그네슘
  3. 금수성물질
  4. 인화성고체
(정답률: 77%)
  • 물분무소화설비는 물을 분무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장치입니다. 그러나 인화성고체는 물과 반응하여 더 큰 화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물분무소화설비가 적응성이 있는 위험물입니다. 따라서 인화성고체가 화재 발생 시 적절한 소화제로 진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전역방출방식 분말소화 설비의 분사헤드는 기준에서 정하는 소화약제의 양을 몇 초 이내에 균일하게 방사해야 하는가?

  1. 10
  2. 15
  3. 20
  4. 30
(정답률: 57%)
  • 전역방출방식 분말소화 설비의 분사헤드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소화약제를 빠르게 분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분사헤드가 기준에서 정하는 소화약제의 양을 빠르게 균일하게 방사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때, 분사헤드가 소화약제를 방사하는 시간이 짧을수록 빠르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분사헤드가 소화약제를 방사하는 시간이 30초 이내일수록 더욱 효과적인 소화가 가능하므로 정답은 "3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분말 소화약제에 해당하는 착색이 틀린 것은?

  1. 탄산수소나트륨 - 백색
  2. 제1인산암모늄 - 청색
  3. 탄산수소칼륨 - 담회색
  4. 탄산수소칼륨과 요소와의 반응물 - 회색
(정답률: 79%)
  • 제1인산암모늄은 분말 소화약제 중에서는 청색으로 착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인산염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인산염이 청색을 띠는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1인산암모늄은 청색으로 착색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위험물 제조소에서 옥내소화전이 가장 많이 설치된 층의 옥내소화전 설치개수가 3개 이다. 수원의 수량은 몇 m3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는가?

  1. 2.6
  2. 7.8
  3. 15.6
  4. 23.4
(정답률: 80%)
  • 옥내소화전은 한 대당 최소 7.8m3의 물을 저장할 수 있어야 하므로, 3개의 옥내소화전을 설치하려면 최소 23.4m3의 물을 저장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3.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탄화칼슘 60000kg 를 소요단위로 산정하면?

  1. 10단위
  2. 20단위
  3. 30단위
  4. 40단위
(정답률: 79%)
  • 탄화칼슘은 화학식 CaC2로 표기되며, 분자량은 약 64 g/mol입니다. 따라서 60000 kg의 탄화칼슘은 60000,000 g 또는 937,500 몰에 해당합니다.

    이를 소요단위로 산정하기 위해서는 탄화칼슘을 사용하는 과정에서 소모되는 양을 고려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탄화칼슘을 물과 반응시켜 아세틸렌 가스를 생산하는 경우, 1 몰의 CaC2가 2 몰의 아세틸렌을 생성합니다. 따라서 937,500 몰의 CaC2는 1,875,000 몰의 아세틸렌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제 이를 소요단위로 나누어보면, 예를 들어 20 단위로 나누면 1 단위당 93,750 몰의 아세틸렌을 생산할 수 있습니다. 이는 실제 사용하는 과정에 따라 다르겠지만, 이렇게 계산하여 소요단위를 산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0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과산화나트륨의 화재시 적응성이 있는 소화설비는?

  1. 포소화기
  2. 건조사
  3. 이산화탄소소화기
  4. 물통
(정답률: 73%)
  • 과산화나트륨은 물과 반응하여 화학반응을 일으키므로 물로는 소화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건조사와 같은 건조한 소화제를 사용하여 소화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포소화기는 물을 분사하여 소화하는데 적합하며, 이산화탄소소화기는 화재장소 내 산소를 제거하여 소화하는데 적합합니다. 물통은 과산화나트륨 화재를 직접적으로 소화하는데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설치장소로 적당하지 않은 곳은?

  1. 방호구역 외의 장소
  2. 온도가 40℃ 이상이고 온도변화가 적은 장소
  3. 빗물이 침투할 우려가 적은 장소
  4. 직사일광을 피한 장소
(정답률: 76%)
  •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는 온도가 높은 곳에서 저장되면 화학적 반응이 일어나거나 품질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온도가 40℃ 이상인 곳에 설치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또한 온도 변화가 적은 곳에 설치해야 하는 이유는 온도 변화가 크면 약제의 성분이 변질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소화약제 저장용기는 온도가 적당하고 안정적인 장소에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위험물의 성질과 취급

41. 위험물 간이탱크 저장소의 간이저장탱크 수압시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50kPa의 압력으로 7분간의 수압시험
  2. 70kPa의 압력으로 10분간의 수압시험
  3. 50kPa의 압력으로 10분간의 수압시험
  4. 70kPa의 압력으로 7분간의 수압시험
(정답률: 78%)
  • 위험물 간이탱크 저장소의 간이저장탱크 수압시험 기준은 안전을 위해 정해진 것입니다. 이 중에서 올바른 기준은 "70kPa의 압력으로 10분간의 수압시험" 입니다. 이유는 70kPa의 압력은 간이저장탱크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압력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10분간의 시험은 간이저장탱크가 오랫동안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이 기준을 준수하여 수압시험을 실시해야 안전한 사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취급하는 위험물의 최대수량이 지정수량의 10배를 초과할 경우 제조소 주위에 보유하여야 하는 공지의 너비는?

  1. 3m 이상
  2. 5m 이상
  3. 10m 이상
  4. 15m 이상
(정답률: 79%)
  • 취급하는 위험물의 최대수량이 지정수량의 10배를 초과할 경우, 제조소 주위에는 안전을 위해 공지를 보유해야 합니다. 이 공지는 주변인들이 위험물의 존재를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공지의 너비는 가능한 한 넓어야 하며, 최소한 5m 이상이 되어야 합니다. 이는 주변인들이 공지를 놓치지 않고 쉽게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과염소산과 과산화수소의 공통된 성질이 아닌 것은?

  1. 비중이 1보다 크다.
  2. 물에 녹지 않는다.
  3. 산화제이다.
  4. 산소를 포함한다.
(정답률: 72%)
  • 과염소산과 과산화수소는 모두 산화제이며, 산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비중이 1보다 크기 때문에 공기 중에서 하강하여 바닥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과염소산은 물에 녹을 수 있지만, 과산화수소는 물에 녹지 않습니다. 따라서 "물에 녹지 않는다."가 공통된 성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주유취급소의 고정주유설비는 고정주유설비의 중심선을 기점으로 하여 도로경계선까지 몇 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하는가?

  1. 2
  2. 3
  3. 4
  4. 5
(정답률: 67%)
  • 주유취급소의 고정주유설비는 도로경계선에서 최소 4m 이상 떨어져 있어야 합니다. 이는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규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제1류 위험물로서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고 위험성이 증가하는 것은?

  1. 염소산칼륨
  2. 과산화나트륨
  3. 과산화수소
  4. 질산암모늄
(정답률: 64%)
  • 과산화나트륨은 물과 반응하여 발열하고 산화작용이 일어나면서 산소를 방출하여 화재나 폭발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에 제1류 위험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황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비중은 약 1.82 이다.
  2. 물속에 보관한다.
  3. 저장시 pH를 9 정도로 유지한다.
  4. 연소시 포스핀 가스를 발생한다.
(정답률: 72%)
  • "연소시 포스핀 가스를 발생한다."는 황린에 대한 올바른 설명이다. 황린은 화약, 비료, 살충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연소시에는 포스핀 가스를 발생시킨다. 이 가스는 불에 노출되면 폭발할 수 있으므로 안전에 주의해야 한다. 따라서 황린을 다룰 때에는 안전한 보호장비를 착용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한 위험물 취급소의 구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주유취급소
  2. 제조취급소
  3. 판매취급소
  4. 일반취급소
(정답률: 64%)
  • 위험물안전관리법령에서 정한 위험물 취급소의 구분 중 "제조취급소"는 해당되지 않는다. 이는 위험물을 제조하는 시설이므로, 취급소가 아닌 제조시설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제조취급소"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제2류 위험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마그네슘
  2. 나트륨
  3. 철분
  4. 아연분
(정답률: 65%)
  • 나트륨은 제1류 위험물로 분류되며, 화재, 폭발, 산화 등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제2류 위험물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수소화나트륨이 물과 반응할 때 발생하는 것은?

  1. 일산화탄소
  2. 산소
  3. 아세틸렌
  4. 수소
(정답률: 73%)
  • 수소화나트륨과 물이 반응하면 수소가 발생합니다. 이는 수소화나트륨이 물과 반응하여 수산화나트륨과 수소가 생성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위험물을 적재, 운반할 때 방수성 덮개를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알칼리급속의 과산화물
  2. 마그네슘
  3. 니트로화합물
  4. 탄화칼슘
(정답률: 74%)
  • 니트로화합물은 물과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방수성 덮개를 하지 않아도 된다. 반면, 알칼리급속의 과산화물, 마그네슘, 탄화칼슘은 물과 반응하여 화재나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에 방수성 덮개를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위험물 중 착화온도가 가장 낮은 것은?

  1. 황린
  2. 삼황화린
  3. 마그네슘
  4. 적린
(정답률: 68%)
  • 착화온도란 물질이 불꽃, 열, 마찰 등으로 인해 발화하는 온도를 말합니다. 따라서 착화온도가 가장 낮은 것은 발화하기 쉬운 물질이며, 이 중에서 가장 낮은 것은 "황린"입니다. 황린은 고체 상태에서도 쉽게 산화되어 발화하기 쉽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제2석유류에 해당되는 것은?

(정답률: 59%)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제2석유류는 가솔린, 디젤 등의 연료를 말하며, 이 중에서도 ""는 디젤 연료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차량으로 운반할 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운반하는 위험물에 적응성이 있는 소형수동식소화기를 구비한다.
  2. 위험물 또는 위험물을 수압한 용기가 현저하게 마찰 또는 동요되지 않도록 운반한다.
  3. 위험물이 현저하게 새어 재난발생 우려가 있는 경우 응급조치를 한 후 목적지로 이동하고 목적지 관계기관에 통보한다.
  4. 휴식, 고장 등으로 차량을 일시 정차시킬 때는 안전한 장소를 택하고 위험물의 안전 확보에 주의한다.
(정답률: 83%)
  • "위험물이 현저하게 새어 재난발생 우려가 있는 경우 응급조치를 한 후 목적지로 이동하고 목적지 관계기관에 통보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위험물 운반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나 재난에 대비하여 적절한 대응책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위험물이 새어나는 등의 위험 상황이 발생하면 즉시 대응해야 하며, 목적지 관계기관에 통보하여 추가적인 대응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지정수량 10배의 위험물을 운반할 때 혼재가 가능한 것은?

  1. 제1류 위험물과 제2류 위험물
  2. 제2류 위험물과 제3류 위험물
  3. 제3류 위험물과 제5류 위험물
  4. 제4류 위험물과 제5류 위험물
(정답률: 81%)
  • 위험물 운반 시, 각 위험물의 특성에 따라 혼재가 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지정수량 10배의 위험물을 운반할 때 혼재가 가능한 것은 제4류 위험물과 제5류 위험물입니다. 이는 두 위험물이 모두 인화성 물질이기 때문입니다. 제1류 위험물과 제2류 위험물은 폭발성이나 인화성이 강한 물질이기 때문에 혼재가 불가능하며, 제2류 위험물과 제3류 위험물은 인화성과 산성이 강한 물질이기 때문에 혼재가 불가능합니다. 제3류 위험물과 제5류 위험물은 산성과 산화성이 강한 물질이기 때문에 혼재가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염소산나트륨의 위험성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조해성이 강하므로 저장용기는 밀전한다.
  2. 산과 반응하여 이산화연소를 발생한다.
  3. 황, 목탄, 유기물 등과 혼합한 것은 위험하다.
  4. 유리용기를 부식시키므로 철제용기에 저장한다.
(정답률: 81%)
  • "유리용기를 부식시키므로 철제용기에 저장한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올바른 설명은 "유리용기를 부식시키므로 플라스틱 용기에 저장한다."이다. 이유는 염소산나트륨이 유리를 부식시키기 때문이다. 철제 용기는 염소산나트륨과 반응하여 수소가 방출되어 용기가 부식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탄화칼슘은 물과 반응하면 어떤 기체가 발생하는가?

  1. 과산화수소
  2. 일산화탄소
  3. 아세틸렌
  4. 에틸렌
(정답률: 79%)
  • 탄화칼슘과 물이 반응하면 칼슘하이드록사이드와 아세틸렌이 생성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아세틸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물과 작용하여 포스핀 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은?

  1. P4
  2. P4S3
  3. Ca3P2
  4. CaC2
(정답률: 61%)
  • 물과 작용하여 포스핀 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은 칼슘과 인의 화합물 중에서 Ca3P2이다. 이는 칼슘과 인이 이온결합을 이루어 결합한 화합물로, 물과 반응하면 포스핀 가스를 발생시키는 반응이 일어난다. P4와 P4S3는 물과 반응하여 포스핀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CaC2는 아세틸렌 가스를 발생시키는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정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고체위험물은 운반용기 내용적의 몇 % 이하의 수납율로 수납하여야 하는가?

  1. 94%
  2. 95%
  3. 98%
  4. 99%
(정답률: 85%)
  • 고체위험물은 운반 중에 충격이나 진동 등으로 인해 운반용기가 파손되어 누출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운반용기 내부에 여유 공간을 두어 안전하게 운반해야 합니다. 이 여유 공간을 수납율이라고 하는데, 고체위험물의 경우 수납율이 95% 이하여야 합니다. 이는 운반용기 내부에 5% 이상의 여유 공간을 두어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9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제1류 위험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질산암모늄은 황색결정으로 조해성이 있다.
  2. 과망간산칼륨은 흑자색 결정으로 물에 녹지 않으나 알코올에 녹여 피부병에 사용된다.
  3. 질산나트륨은 무색결정으로 조해성이 있으며 일명 칠레 초석으로 불린다.
  4. 염소산칼륨은 청색분말로 유독하며 냉수, 알코올에 잘 녹는다.
(정답률: 58%)
  • 질산나트륨은 무색결정으로 조해성이 있으며 일명 칠레 초석으로 불린다. 이유는 질산나트륨이 칠레에서 채굴되어 생산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어떤 공장에서 아세톤과 메탄올을 18L 용기에 각각 10개, 등유를 200L 드럼으로 3드럼을 저장하고 있다면 각각의 지정수량 배수의 총합은 얼마인가?

  1. 1.3
  2. 1.5
  3. 2.3
  4. 2.5
(정답률: 69%)
  • 아세톤과 메탄올의 지정수량 배수는 각각 10개이므로 총 20개를 저장할 수 있다. 등유의 경우 200L 드럼 3개를 저장할 수 있으므로 총 600L을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지정수량 배수를 합한 총합은 20 + 600 = 620이다. 이를 18L 용기 1개당 지정수량 배수로 나누면 620 ÷ 400 = 1.5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