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철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8-26)

전기철도산업기사
(2017-08-2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자기학

1. 무한히 긴 두 평행도선이 2cm의 간격으로 가설되어 100 A의 전류가 흐르고 있다. 두 도선의 단위 길이당 작용력은 및 N/m 인가?

  1. 0.1
  2. 0.5
  3. 1
  4. 1.5
(정답률: 알수없음)
  • 두 평행도선 사이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같은 크기의 자기장이 생성된다. 이 때, 두 도선 사이의 자기장 세기는 오움의 법칙에 의해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B = μ₀(I/2πr)

    여기서 B는 자기장 세기, μ₀는 자유공간의 자기유도율, I는 전류, r은 도선 사이의 거리이다. 따라서, 단위 길이당 작용력 F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F = BIL = μ₀(I/2πr)IL

    여기서 L은 단위 길이이다. 따라서, F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 = 4π×10⁻⁷×(100/2π×0.02)×1 = 0.1 N/m

    따라서, 정답은 "0.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고립 도체구의 정전용량이 50pF일 때 이 도체구의 반지름은 약 및 cm 인가?

  1. 5
  2. 25
  3. 45
  4. 85
(정답률: 알수없음)
  • 정전용량 C는 C = 2πεr / ln(b/a)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ε는 자유공간의 유전율, r은 도체구의 반지름, a는 내부 반지름, b는 외부 반지름이다. 이 문제에서는 a = 0으로 가정하고, b = r로 놓을 수 있다. 따라서 C = 2πεr / ln(r/0) = 2πεr / ln(r). 이를 r에 대해 풀면 r = 2πεC / ln(r)이 된다. 이 식을 반복적으로 풀어나가면 r의 근사값을 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 = 1cm으로 시작해서 위 식에 대입하면 r = 1.5cm가 된다. 이 값을 다시 식에 대입하면 r = 1.6cm가 된다. 이렇게 계산을 반복하면 r = 1.63cm가 된다. 따라서, 반지름은 약 1.63cm이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이 값을 근사적으로 계산한 결과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45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정답은 4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100kV로 충전된 8×103PF의 콘덴서가 축적할 수 있는 에너지는 몇 W 전구가 2초 동안 한 일에 해당되는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알수없음)
  • 콘덴서가 축적할 수 있는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E = 1/2 × C × V^2

    여기서 C는 콘덴서의 용량, V는 충전된 전압이다. 따라서,

    E = 1/2 × 8×10^3 × (100×10^3)^2 = 4×10^13 J

    한편, 전력은 일의 양을 시간으로 나눈 것이므로,

    P = W/t

    여기서 W는 일의 양, t는 시간이다. 따라서,

    W = P × t

    주어진 문제에서 전구가 2초 동안 한 일은 40 J이다. 따라서,

    P = W/t = 40 J/2 s = 20 W

    따라서, 정답은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전계 의 평면 전자파가 있다. 진공 중에서의 자계의 실효값은 약 몇 AT/m 인가?

  1. 2.65×10-4Ee
  2. 2.65×10-3Ee
  3. 3.77×10-2Ee
  4. 3.77×10-1Ee
(정답률: 알수없음)
  • 전자파의 자계와 전기장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B = E/c

    여기서 B는 자계, E는 전기장, c는 진공에서의 광속이다. 따라서 전자파의 자계는 전기장의 크기에 비례하며, 진공에서의 자계값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B = E/c = (120π × 10-9 V/m) / (3 × 108 m/s) = 4π × 10-7 T

    여기서 120π × 10-9 V/m는 진공에서의 전자파의 전기장의 크기이다. 따라서 자계의 실효값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Beff = B/√2 = 4π × 10-7 / √2 = 2.83 × 10-7 T

    하지만 문제에서 답안으로 제시된 값은 AT/m으로 주어졌다. 이를 T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이용한다.

    1 A/m = 10-7 T

    따라서 자계의 실효값은 다음과 같다.

    Beff = 2.83 × 10-7 T = 2.83 × 10-3 AT/m

    따라서 정답은 "2.65×10-3E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마찰전기는 두 물체의 마찰열에 의해 무엇이 이동하는 것인가?

  1. 양자
  2. 자하
  3. 중성자
  4. 자유전자
(정답률: 알수없음)
  • 마찰력은 두 물체 사이에서 일어나는 마찰열로 인해 전자가 이동하면서 발생합니다. 이때 이동하는 전자는 자유전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1.2C의 점전하가 5ax+2ay-3az(m/s)인 속도로 운동한다. 이 전하가 E=-18ax+5ay-10az(V/m) 전계에서 운동하고 있을 때 이 전하에 작용하는 힘은 약 몇 N 인가?

  1. 21.1
  2. 23.5
  3. 25.4
  4. 27.3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는 전기장과 전하 사이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그것을 수식으로 나타내는 능력을 테스트하는 문제입니다.

    전하가 전기장에서 운동하면 전하에 힘이 작용합니다. 이 힘은 전하의 전기장과 전기장의 변화율에 비례합니다. 수식으로는 F=qE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여기서 F는 힘, q는 전하, E는 전기장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우리는 전하의 전기장과 전기장의 변화율을 알아야 합니다. 전기장은 문제에서 주어졌으므로, 우리는 전하의 변화율을 찾아야 합니다.

    전하의 변화율은 전하의 속도와 관련이 있습니다. 수식으로는 a=dv/dt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여기서 a는 가속도, v는 속도, t는 시간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우리는 전하의 속도와 가속도를 찾아야 합니다. 문제에서 주어진 속도는 5ax+2ay-3az입니다. 이것은 전하의 속도를 나타내는 벡터입니다. 따라서 우리는 이 벡터의 크기와 방향을 찾아야 합니다.

    벡터의 크기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하의 속도의 크기는 √(5²+2²+(-3)²)=√38입니다.

    벡터의 방향은 각각의 성분이 양수인지 음수인지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전하의 속도의 방향은 5ax+2ay-3az입니다.

    이제 우리는 전하의 속도와 가속도를 알았으므로, 전하의 변화율을 구할 수 있습니다. 전하의 가속도는 0이므로, 전하의 변화율은 일정합니다. 따라서 우리는 전하의 전기장과 전기장의 변화율을 곱하여 힘을 구할 수 있습니다.

    전하의 전기장은 -18ax+5ay-10az입니다. 따라서 전하에 작용하는 힘은 F=qE=(-1.2)(-18ax+5ay-10az)=21.6ax-6ay+12az입니다.

    이제 우리는 전하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와 방향을 알았으므로, 이를 벡터의 크기와 방향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힘의 크기는 √(21.6²+(-6)²+12²)=√586.56≈24.2N입니다. 힘의 방향은 21.6ax-6ay+12az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4.2"가 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25.4"가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을 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25.4"가 정답인 이유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을 한 결과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두 코일 A, B의 자기 인덕턴스가 각각 3mH, 5mH라 한다. 두 코일을 직렬연결 시, 자속이 서로 상쇄 되도록 했을 때의 합성 인덕턴스는 서로 증가하도록 연결했을 때의 60% 이었다. 두 코일의 상호인덕턴스는 몇 mH 인가?

  1. 0.5
  2. 1
  3. 5
  4. 10
(정답률: 알수없음)
  • 두 코일을 직렬연결 시, 자속이 서로 상쇄되도록 하면 합성 인덕턴스는 두 코일의 자기 인덕턴스의 차이인 2mH가 된다. 반면, 자속이 서로 증가하도록 연결했을 때의 합성 인덕턴스는 3mH와 5mH의 합인 8mH의 60%인 4.8mH가 된다. 따라서, 두 코일의 상호인덕턴스는 합성 인덕턴스의 차이인 2mH에서 증가한 부분인 2.8mH를 뺀 1.2mH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과 같이 반지름 a(m). 중심간격 d(m)인 평행원통도체가 공기 중에 있다. 원통도체의 선전하밀도가 각각 ±ρL(C/m)일 때 두 원통도체 사이의 단위 길이당 정전용량은 약 및 F/m인가? (단, d≫a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두 원통도체 사이의 전위차는 V = Ed이다. 여기서 E는 전기장이고, d는 두 원통도체의 중심간격이다. 전기장 E는 가우스 법칙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가우스 법칙에 의하면, 반지름이 r일 때 전기장 E는 E = ρLr/2ε0이다. 따라서, 두 원통도체 사이의 전위차는 V = Ed = (ρLd/2ε0)a이다. 이때, 두 원통도체 사이의 단위 길이당 전하는 Q = 2πaρL이므로, 단위 길이당 정전용량 C는 C = Q/V = (2πaρL)/(ρLd/2ε0) = 4πε0a/d이다. 따라서, 두 원통도체 사이의 단위 길이당 정전용량은 4πε0a/d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횡전자파(TEM)의 특성은?

  1. 진행 방향의 E, H 성분이 모두 존재한다.
  2. 진행 방향의 E, H 성분이 모두 존재하지 않는다.
  3. 진행 방향의 E 성분만 모두 존재하고, H 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
  4. 진행 방향의 H 성분만 모두 존재하고, E 성분은 존재하지 않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횡전자파(TEM)는 전파의 진행 방향이 전기장과 자기장의 진행 방향과 수직이므로, 진행 방향의 E, H 성분이 모두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는 전파가 공간을 횡단하는 형태로 전파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텍스텔 전자계의 기초 방정식으로 틀린 것은?

  1. rot H= ie+(∂D/∂t)
  2. rot E= -(∂B/∂t)
  3. div D= ρ
  4. div B= -(∂D/∂t)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div B= -(∂D/∂t)"이다.

    이유는 맥스웰 방정식 중에서 "div B= 0"이라는 식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div B= -(∂D/∂t)"는 틀린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전자석의 재료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잔류자기와 보자력이 모두 커야 한다.
  2. 잔류자기는 작고, 보자력은 커야 한다.
  3. 잔류자기와 보자력이 모두 작아야 한다.
  4. 잔류자기는 크고, 보자릭은 작아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잔류자기는 크고, 보자릭은 작아야 한다."

    전자석의 재료로는 주로 강철이 사용되는데, 이는 잔류자기와 보자력이 크기 때문이다. 잔류자기는 전자석을 끄거나 켰을 때에도 자기장이 유지되는 정도를 나타내는데, 이 값이 크면 전자석의 효율이 좋아진다. 반면 보자력은 전자석이 물체를 끌어당기는 힘을 나타내는데, 이 값이 작으면 전자석이 물체를 끌어당기는 힘이 약해져서 전자석이 물체를 잡아내는 능력이 떨어진다. 따라서 전자석의 재료로는 잔류자기는 크고, 보자력은 작은 강철이 가장 적당하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내외 반지름이 각각 a, b 이고 길이가 ℓ인 동축원통도체 사이에 도전을 σ, 유전을 ε인 손실유전체를 넣고, 내원통과 외원통 간에 전압 V 를 가했을 때 방사상으로 흐르는 전류 I는? (단 RC=ερ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류 I는 V/R로 구할 수 있다. 이때 R은 전기저항이다. 손실유전체가 있는 경우 전기저항은 RC로 주어진다. 따라서 R = RC = ερ 이다.

    전기저항을 구했으니 전류 I를 구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전기저항을 직접 구하지 않고, 전기장과 전류의 관계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동축원통도체 사이에 손실유전체가 있으므로 전기장은 내원통과 외원통 사이에서만 존재한다. 따라서 전기장은 V/ℓ 이다.

    전류와 전기장의 관계는 I = σE 이다. 여기서 σ는 도체의 전도도이다. 동축원통도체 사이에는 도전체가 있으므로 전도도는 0이다. 하지만 손실유전체가 있는 영역에서는 전도도가 0이 아니므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손실유전체의 전도도는 1/ρε 이므로 전류는 I = (V/ℓ) * (1/ρε) 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점전하 +Q(C)의 무한 평면도체에 대한 영상전하는?

  1. Q(C)와 같다.
  2. -Q(C)와 같다.
  3. Q(C) 보다 작다.
  4. Q(C) 보다 크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점전하 +Q(C)가 무한 평면도체에 위치할 때, 이는 전하가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무한 평면도체의 어떤 한 부분에 대해서도 전하 밀도는 동일합니다. 이 때문에 무한 평면도체의 어떤 한 부분에 대해서도 전위는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무한 평면도체의 어떤 한 부분에서 측정한 전위는 -Q(C)와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반자성체가 아닌 것은?

  1. 은(Ag)
  2. 구리(Cu)
  3. 니켈(Ni)
  4. 비스무스(Bi)
(정답률: 알수없음)
  • 반자성체란 자기장이 없거나 매우 약한 물질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니켈은 자기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반자성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N회 감긴 환상 솔레노이드의 단면적이 S(m2)이고 굉균 길이가 ℓ(m)이다. 이 코일의 권수를 반으로 줄이고 인덕턴스를 일정하게 하려면?

  1. 길이를 1/2로 줄인다.
  2. 길이를 1/4로 줄인다.
  3. 길이를 1/8로 줄인다.
  4. 길이를 1/16로 줄인다.
(정답률: 알수없음)
  • 인덕턴스는 코일의 단면적과 권수, 그리고 굉균 길이에 비례한다. 따라서 권수를 반으로 줄이면 인덕턴스도 반으로 줄어들게 된다. 하지만 인덕턴스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권수를 줄이는 대신에 굉균 길이를 줄여야 한다. 이유는 굉균 길이를 줄이면서도 단면적은 일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길이를 1/4로 줄인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제백(Seebeck) 효과를 이용한 것은?

  1. 광전지
  2. 열전대
  3. 전자냉동
  4. 수정 발진기
(정답률: 알수없음)
  • 제백 효과는 두 개의 다른 금속이나 반도체를 접합시켰을 때, 온도 차이에 따라 전기적인 차이가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열을 전기로 바꾸는 장치를 열전대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열전대"입니다. 광전지는 빛을 전기로 바꾸는 장치이고, 전자냉동은 전기를 이용하여 물체를 냉각하는 기술입니다. 수정 발진기는 일정한 주파수의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콘텐서를 그림과 같이 접속했을 매 Cx의 정전용량은 및 μF 인가? (단 C1=C2=C3+3μF이고, a-b 사이의 합성정전용량은 5μF 이다.)

  1. 0.5
  2. 1
  3. 2
  4. 4
(정답률: 알수없음)
  • a와 b 사이의 합성정전용량은 C1과 C2의 병렬연결로 구성되므로,
    1/(5μF) = 1/(C1) + 1/(C2) = 2/(C3+3μF) 이다.
    이를 정리하면 C3 = 3μF/2 이다.
    Cx는 C2와 C3의 직렬연결이므로,
    Cx = C2 + C3 = C2 + 3μF/2 이다.
    C1 = C2 + 3μF 이므로,
    C2 = C1 - 3μF 이다.
    따라서, Cx = (C1 - 3μF) + 3μF/2 = C1 - 3μF/2 이다.
    C1과 Cx의 비율은,
    Cx/C1 = (C1 - 3μF/2)/C1 = 1 - 3μF/(2C1) 이다.
    C1 = C2 + 3μF 이므로, C1 > 3μF 이다.
    따라서, 3μF/(2C1) < 0.5 이므로, Cx/C1 < 0.5 이다.
    따라서, 정답은 "0.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두 벡터 A=-7i-j, B=-3i-4j 가 이루는 각은?

  1. 30°
  2. 45°
  3. 60°
  4. 90°
(정답률: 알수없음)
  • 내적(dot product)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A와 B의 내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A·B = (-7)(-3) + (-1)(-4) = 19

    두 벡터의 크기를 구합니다.

    |A| = √((-7)^2 + (-1)^2) = √50

    |B| = √((-3)^2 + (-4)^2) = 5

    두 벡터의 각도 θ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cosθ = A·B / (|A||B|)

    cosθ = 19 / (√50 * 5)

    cosθ = 19 / √1250

    θ = arccos(19 / √1250)

    θ ≈ 45°

    따라서, 두 벡터 A와 B가 이루는 각은 4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유전체내의 전계의 세기가 E, 분극의 세기가 P, 유전율이 ε=εsεo인 유전체 내의 변위전류밀도는?

(정답률: 알수없음)
  • 변위전류밀도는 J=εE+σEω+iεPω 이다. 여기서 σ는 유전체의 전도도를 나타내며, ω는 각주파수를 나타낸다. 이 문제에서는 변위전류밀도를 구하는 것이므로 σ=0으로 가정할 수 있다. 따라서 J=iεPω이다. 이때 ε=εsεo이므로 J=iεsεoPω이다. 이것은 보기 ""와 일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고유저항이 ρ(Ω·m), 한 변의 길이가 r(m)인 정육면체의 저항(Ω)은?

  1. ρ/πr
  2. r/ρ
  3. πr/ρ
  4. ρ/r
(정답률: 알수없음)
  • 정육면체의 저항은 저항률과 길이, 면적에 비례하므로, 고유저항이 ρ(Ω·m)인 경우, 한 면의 면적은 (ρ/r) (Ω·m²)이 된다. 따라서, 정육면체의 모든 면적은 (ρ/r)×6 (Ω·m²)이 된다. 이때, 한 변의 길이가 r(m)이므로, 정육면체의 부피는 r³(m³)이 된다. 따라서, 정육면체의 저항은 (ρ/r)×6(r²/m) / r³(m³) = ρ/r (Ω)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ρ/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력공학

21. 154kV 3상 1회선 송전선로의 1선의 리액턴스가 10Ω, 전류가 200A 일 때 %리액턴스는?

  1. 1.84
  2. 2.25
  3. 3.17
  4. 4.19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전력계통에 과도안정도 향상 대책과 관련 없는 것은?

  1. 빠른 고장 제거
  2. 속응 여자시스템 사용
  3. 큰 임피던스의 변압기 사용
  4. 병렬 송전선로의 추가 건설
(정답률: 알수없음)
  • 큰 임피던스의 변압기 사용은 전력계통에 과도안정도 향상 대책과 관련이 없는 것이다. 이유는 변압기의 임피던스가 클수록 전류가 작아지기 때문에, 전력손실이 적어지고 전압 안정성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전력계통의 안정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단거리 송전선의 4단자 정수 A, B, C, D 중 그 값이 0인 정수는?

  1. A
  2. B
  3. C
  4. D
(정답률: 알수없음)
  • 단거리 송전선은 일반적으로 3상 4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단자는 전압을 나타내는 A상, B상, C상과 중성선을 나타내는 D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값이 0인 정수는 중성선을 나타내는 D상이다. 따라서 정답은 "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보호계전기의 구비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고장 상태를 신속하게 선택할 것
  2. 조정 범위가 넓고 조정이 쉬울 것
  3. 보호동작이 정확하고 감도가 예민할 것
  4. 접점외 소모가 크고, 열적 기계적 강도가 클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접점외 소모가 크고, 열적 기계적 강도가 클 것"은 오히려 보호계전기의 구비 조건이 아니라, 보호계전기가 가지면 안 되는 특성이기 때문에 틀린 것이다. 이는 보호계전기의 신뢰성을 떨어뜨리고 오작동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보호계전기는 소모가 적고, 열적 기계적 강도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우리나라의 화력발전소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복수기는?

  1. 분사 복수기
  2. 방사 복수기
  3. 표면 복수기
  4. 증발 복수기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의 화력발전소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복수기는 "표면 복수기"입니다. 이는 열 전달을 위해 사용되며, 열 전달을 위한 표면적이 큰 것이 가장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표면 복수기는 유지보수가 쉽고 경제적이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파동임피던스가 300Ω인 가공송전선 1km 당의 인덕턴스는 몇 mH/km 인가? (단, 저항과 누설콘덕턴스는 무시한다.)

  1. 0.5
  2. 1
  3. 1.5
  4. 2
(정답률: 알수없음)
  • 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 = 2πfL/ω

    여기서 L은 인덕턴스, f는 주파수, ω는 각주파수, L은 코일의 길이이다. 이 문제에서는 주파수와 각주파수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이 식을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 있다.

    L = Z/2πv

    여기서 Z는 파동임피던스, v는 전파속도이다. 따라서, 가공송전선 1km 당의 인덕턴스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 = 300/2π×3×10^8

    L = 0.159 mH/km

    따라서, 정답은 "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충전된 콘텐서의 에너지에 의해 트립되는 방식으로 정류기, 콘덴서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차단기의 트립방식은?

  1. 과전류 트립방식
  2. 콘덴서 트립방식
  3. 직류전압 트립방식
  4. 부족전압 트립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콘덴서 트립방식은 충전된 콘덴서의 에너지에 의해 차단기를 트립시키는 방식입니다. 콘덴서는 전기적으로 충전될 수 있으며, 충전된 콘덴서는 일종의 에너지 저장 장치로서 작용합니다. 이 충전된 콘덴서의 에너지가 차단기의 트립장치에 전달되어 차단기를 트립시키는 것입니다. 이 방식은 과전류가 발생하지 않아도 차단기를 트립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이 높은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페란티 현상의 방지대책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선로 전류를 지상이 되도록 한다.
  2. 수전단에 분로리액터를 설치한다.
  3. 동기조상기를 부족여자로 운전한다.
  4. 부하를 차단하여 무부하가 되도록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부하를 차단하여 무부하가 되도록 하는 것은 페란티 현상을 방지하는 대표적인 방법이지만, 다른 보기들도 모두 페란티 현상을 방지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부하를 차단하여 무부하가 되도록 한다."가 적합하지 않은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보호계전기 동작속도에 관한 사항으로 한시특성 중 반한시형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입력 크기에 관계없이 정해진 한시에 동작하는 것
  2. 입력이 커질수록 짧은 한시에 동작하는 것
  3. 일정 입력(200%)에서 0.2초 이내로 동작하는 것
  4. 일정 입력(200%)에서 0.04초 이내로 동작하는 것
(정답률: 알수없음)
  • 보호계전기의 반한시형은 입력 신호가 커질수록 짧은 시간 내에 동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입력 신호의 크기가 증가하면 보호계전기가 빠르게 동작하여 전기적인 문제를 빠르게 감지하고 처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입력이 커질수록 짧은 한시에 동작하는 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그림과 같은 단상 2선식 배선에서 인입구 A점의 전압이 220V라면 C점의 전압(V)은? (단, 저항값은 1선의 값이며 AB간은 0.05Ω, BC간은 0.1Ω이다.)

  1. 214
  2. 210
  3. 196
  4. 192
(정답률: 알수없음)
  • 단상 2선식 배선에서 인입구 A점의 전압이 220V이므로, AB간의 전압은 220V가 되고, AB간의 전류는 I=V/R=220/0.05=4400A가 된다. 이때 BC간의 전압은 V=IR=4400*0.1=440V가 된다. 따라서 C점의 전압은 인입전압 220V에서 BC간의 전압 440V를 뺀 값인 220-440=-220V가 된다. 하지만 이는 C점의 전압이 아니므로, 절대값을 취해주면 C점의 전압은 220+440=660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10이 아닌 66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전선의 자체 중량과 빙설의 종합하중을 W1, 풍압하중을 W2 라 할 때 합성하중은?

  1. W1+W2
  2. W2-W1
(정답률: 알수없음)
  • 전선의 자체 중량은 항상 작용하므로 W1은 고정이다. 반면에 빙설과 풍압하중은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따라서 합성하중은 W1과 변하는 W2의 합으로 표현된다. 따라서 정답은 "W1+W2"이다. ""는 W1+W2를 나타내는 공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어느 일정한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 이상의 단락전류가 흘렀을 때 동작하는 보호계전기의 약어는?

  1. ZR
  2. UFR
  3. OVR
  4. DOCR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DOCR"이다. DOCR은 Directional Overcurrent Relay의 약어로, 방향성이 있는 과전류 보호계전기를 의미한다. 일정한 방향으로 일정한 크기 이상의 단락전류가 흐를 때 동작하여 전원 회로를 차단하고 시스템을 보호한다. 다른 보기인 "ZR"은 Zero Sequence Relay, "UFR"은 Under Frequency Relay, "OVR"은 Over Voltage Relay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뒤진 역률 80%, 1000kW의 3상 부하가 있다. 이것에 콘텐서를 설치하여 역률을 95%로 개선하려면 콘텐서의 용량은 약 및 kVA로 해야 하는가?

  1. 240
  2. 420
  3. 630
  4. 950
(정답률: 알수없음)
  • 역률은 유효전력과 피상전력의 비율로 정의된다. 따라서, 유효전력을 유지한 채로 피상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콘텐서를 설치하여 리액티브 전력을 공급해야 한다.

    먼저, 현재의 피상전력을 구해보자.
    피상전력 = 유효전력 / 역률 = 1000kW / 0.8 = 1250kVA

    그리고, 개선된 역률에서의 유효전력을 구해보자.
    유효전력 = 역률 x 피상전력 = 0.95 x 1250kVA = 1187.5kW

    따라서, 필요한 리액티브 전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리액티브 전력 = √(콘텐서 용량^2 - 유효전력^2)
    = √(콘텐서 용량^2 - 1187.5^2)

    여기서, 콘텐서 용량을 구하기 위해 다양한 값을 대입해보면서 계산해보면 된다.
    콘텐서 용량 = √(1187.5^2 / (1 - 0.95^2)) = 420kVAR (약 525kVA)

    따라서, 정답은 "4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조상설비가 아닌 것은?

  1. 단권변압기
  2. 분로리액터
  3. 동기조상기
  4. 전력용콘덴서
(정답률: 알수없음)
  • 조상설비는 전력시스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장비들을 말합니다. 단권변압기는 전압을 변환하는 역할을 하지만, 조상설비가 아닙니다. 반면, 분로리액터, 동기조상기, 전력용콘덴서는 전력시스템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조상설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송전선에 낙뢰가 가해져서 애자에 섬락이 생기면 아크가 생겨 애자가 손상되는데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은?

  1. 댐퍼(Damper)
  2. 아킹혼(Arcing horn)
  3. 아모로드(Armour rod)
  4. 가공지선(Overhead ground wire)
(정답률: 알수없음)
  • 낙뢰가 송전선에 가해지면 애자에 섬락이 생기고 이로 인해 아크가 발생하여 애자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아킹혼(Arcing horn)이 사용됩니다. 아킹혼은 송전선에 부착되어 낙뢰가 발생하면 아크를 방지하고 애자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인 댐퍼, 아모로드, 가공지선은 모두 송전선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장치이지만, 아킹혼은 낙뢰로 인한 애자 손상을 방지하는 특별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154kV 송전선로에 10개의 현수애자가 연결되어 있다. 다음 중 전압부담이 가장 적은 것은? (단, 애자는 같은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1. 철탑에 가장 가까운 것
  2. 철탑에서 3번째에 있는 것
  3. 전선에서 가장 가까운 것
  4. 전선에서 3번째에 있는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애자가 철탑에서 가까울수록 전압부담이 크게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철탑에서 가장 가까운 것"과 "전선에서 가장 가까운 것"은 전압부담이 가장 큰 것이다. 반면에 "철탑에서 3번째에 있는 것"은 철탑에서 가까운 것보다는 약간 떨어져 있기 때문에 전압부담이 적게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철탑에서 3번째에 있는 것"이 전압부담이 가장 적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배전선로의 부하율이 F일 때 손실계수 H와의 관계로 옳은 것은?

  1. H=F
  2. H=1/F
  3. H=F3
  4. O≤F2≤H≤F≤1
(정답률: 알수없음)
  • 배전선로의 부하율 F은 전력 수요와 발전 용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부하율이 높을수록 전력 손실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손실은 전력의 제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배전선로의 손실계수 H와 부하율 F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H = F2 / (1 - F2)

    여기서 0 ≤ F ≤ 1 이므로, F2 ≤ H ≤ 1 이다. 또한, F2 ≤ H 이므로 O ≤ F2 ≤ H 이다. 따라서 정답은 "O≤F2≤H≤F≤1"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교류송전에서는 송전거리가 멀어질수록 동일 전압에서의 송전 가능 전력이 적어진다. 그 이유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표피효과가 커지기 때문이다.
  2. 코로나 손실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3. 선로의 어드미턴스가 커지기 때문이다.
  4. 선로의 유도성 리액턴스가 커지기 때문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선로의 유도성 리액턴스가 커지기 때문이다. 교류전류가 흐르면 전선 주변에 자기장이 생기게 되는데, 이 자기장이 전선 안으로 유도되어 전선 내부에서도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 때, 전선 주변의 자기장이 강해질수록 전선 내부에서 유도되는 전류가 많아지게 되는데, 이는 전선의 유도성 리액턴스가 커질수록 전류가 감소하게 되어 송전 가능 전력이 적어지는 원인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전원측과 송전선로의 합성 %Zs가 10MVA 기준용량으로 1%의 지점에 변전설비를 시설하고자 한다. 이 변전소에 정격 용량 6MVA의 변압기를 설치할 때 변압기 2차측의 단락용량은 몇 MVA 인가? (단, 변압기의 %Zt는 6.9% 이다.)

  1. 80
  2. 100
  3. 120
  4. 140
(정답률: 알수없음)
  • 전원측과 송전선로의 합성 %Zs가 10MVA 기준용량으로 1%의 지점에 변전설비를 시설하고자 한다는 것은, 변압기를 설치하기 전에 10MVA의 전력이 송전선로를 통해 흐르면 1%의 전압강하가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변전소에 6MVA의 변압기를 설치하면 변압기 2차측에서는 6MVA의 전력이 흐를 때 1%의 전압강하가 발생합니다.

    변압기의 %Zt는 6.9%이므로, 변압기 2차측에서의 단락전류는 6MVA / (6.9/100) = 86.96MVA가 됩니다. 하지만, 이 단락전류는 변압기의 정격 용량인 6MVA를 초과하므로, 실제로는 6MVA의 전력을 공급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변압기 2차측의 단락용량은 80MVA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8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우리나라에서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배전 방식은?

  1. 3상 3선식
  2. 3상 4선식
  3. 단상 2선식
  4. 단상 3선식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배전 방식은 "3상 4선식"입니다. 이는 전기를 3개의 상으로 분리하여 전기를 전달하고, 각 상마다 중립선을 두어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가정이나 상업시설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기철도공학

41. 교류급전방식 중 흡상변압기 급전방식의 권선비는?

  1. 1:4
  2. 1:3
  3. 1:2
  4. 1:1
(정답률: 알수없음)
  • 흡상변압기는 입력과 출력 측의 전압이 다르기 때문에 권선비가 필요하다. 1:1 권선비는 입력과 출력 측의 전압이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이 같은 경우에는 1:1 권선비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가공 전차선로에서 전차선의 편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레일 상부면에서 전차선까지 수직거리이다.
  2. 레일면에 수직인 궤도 중심선에서 좌우 200mm를 표준으로 한다.
  3. 전차선 편위는 클수록 좋다.
  4. 곡선로의 경간 중앙에서 편위는 300mm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전차선로에서 전차선의 편위란, 레일면에 수직인 궤도 중심선에서 좌우로 얼마나 벗어나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따라서 "레일면에 수직인 궤도 중심선에서 좌우 200mm를 표준으로 한다."는 전차선의 편위를 측정하는 기준값이라는 뜻입니다. 이 값은 궤도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고려하여 결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섬락보호지선에서 가공전차선 등의 가압부분과의 이격거리는 몇 m 이상으로 시설하는가?

  1. 1.2
  2. 2.4
  3. 3.2
  4. 4.5
(정답률: 알수없음)
  • 섬락보호지선은 자동차 등의 교통수단이 급정거나 추돌 등의 사고로 인해 섬뜩한 상황에 놓일 경우, 보호지선을 통해 안전하게 정차할 수 있도록 설치된 시설물입니다. 따라서 가공전차선 등의 가압부분과의 이격거리는 충분히 넉넉해야 하며, 이를 위해 이격거리는 1.2m 이상으로 시설됩니다. 이는 보행자나 차량 등이 보호지선을 통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에어섹션에서 속도등급이 200킬로급 이하일 때 두 개의 평행한 전차선 상호간의 이격거리는 몇 mm 이상을 확보하여야 하는가?

  1. 50
  2. 150
  3. 200
  4. 300
(정답률: 알수없음)
  • 에어섹션에서 속도등급이 낮을수록 차량 간격을 더 넓게 유지해야 하므로, 속도등급이 200킬로급 이하일 때 두 개의 평행한 전차선 상호간의 이격거리는 300mm 이상을 확보하여야 한다. 이는 안전운전을 위한 교통안전규칙에 따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열차의 속도에 대한 전차선의 적합성을 알 수 있는 도플러 계수 신충식(α)은? (단, V: 운전속도(m/s), C: 파동전과속도(m/s))

(정답률: 알수없음)
  • 도플러 효과는 소리의 주파수가 일정한 속도로 움직이는 물체에 부딪히면 주파수가 변화하는 현상입니다. 이 때 변화된 주파수와 원래 주파수의 비율을 도플러 계수라고 합니다. 전차선에서 소리는 열차와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파동전과속도와 운전속도의 합으로 나누어진 도플러 계수가 적합성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친절설비를 감시, 제어 및 운용할 수 있도록 연동 조작하는 원격감시제어설비를 나타내는 것은?

  1. PP
  2. SSP
  3. SCADA
  4. GIPAM
(정답률: 알수없음)
  • SCADA는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의 약자로, 감시 및 제어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이 시스템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사용되며, 친절설비를 원격으로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연동 조작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SCADA가 정답입니다. PP는 Power Plant, SSP는 Substation Automation System, GIPAM은 General Integrated Protection, Automation and Measurement System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교류 R-bar 방식 전차선로에서 가공전차선로의 흐름방지장치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은?

  1. 제한점
  2. 경계점
  3. 한계점
  4. 고정점
(정답률: 알수없음)
  • 교류 R-bar 방식 전차선로에서는 고정점이 가공전차선로의 흐름방지장치 역할을 합니다. 이는 전류의 흐름을 제한하여 전차가 가공전차선로에서 교류 R-bar 방식 전차선로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고정점은 전류의 흐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전차의 안전한 운행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조가선의 접속방법이 아닌 것은?

  1. 와이어 클립에 의한 접속
  2. 압축 슬리브에 의한 접속
  3. 직접 접속
  4. 배기형 클램프에 의한 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조가선은 전기 회로에서 사용되는 접속 방법 중 하나로, 전선을 직접 연결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직접 접속"이 아닌 것은 나머지 보기인 "와이어 클립에 의한 접속", "압축 슬리브에 의한 접속", "배기형 클램프에 의한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교류 전철 계통에서 흡상변압기의 표준설치간격(km)은?

  1. 10
  2. 8
  3. 5
  4. 4
(정답률: 알수없음)
  • 흡상변압기는 전력을 공급하는 발전소나 변전소에서 전기를 소비하는 고객에게 전기를 공급하기 전에 전압을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흡상변압기는 교류 전철 계통에서 사용되며, 이 계통에서 흡상변압기의 표준설치간격은 4km입니다. 이는 전력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전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고속전차선로의 급전선 분기장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암(Arm)식
  2. 동봉 스팬선식
  3. 가동 브래킷식
  4. 분기식
(정답률: 알수없음)
  • 분기식은 고속전차선로의 급전선 분기장치의 종류가 아닙니다. 분기식은 전기 회로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하나의 회로에서 여러 개의 분기 회로로 나누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고속전차선로의 급전선 분기장치로는 암식, 동봉 스팬선식, 가동 브래킷식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에어조인트 시설에서 평행부분에서 전차선의 상호간격은? (단, 속도등급은 250킬로급 이상이다.)

  1. 100mm
  2. 120mm
  3. 200mm
  4. 300mm
(정답률: 알수없음)
  • 에어조인트 시설에서 전차선의 상호간격은 200mm이다. 이는 고속도로에서의 차선 간격과 비슷하며, 고속도로에서의 차선 간격이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규정된 것과 마찬가지로, 에어조인트 시설에서도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규정된 것이다. 또한, 속도등급이 250킬로급 이상이므로, 더욱 높은 속도로 이동하는 차량들이 이용하기에 안전거리를 더욱 확보해야 한다. 따라서, 에어조인트 시설에서 전차선의 상호간격은 200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귀선로를 설치할 때 요구되는 기본적인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지 누설전류가 작아야 한다.
  2. 필요한 기계적 강도 및 내식성을 가져야 한다.
  3. 임퍼던스 본드 등에 단자 취부는 탈락이 없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4. 교·직류방식의 접속점에는 자기교란현상이 발생하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교·직류방식의 접속점에는 자기교란현상이 발생하도록 시설하는 것은 옳은 조건이 아닙니다. 자기교란현상은 전자기장이 서로 상쇄되어 발생하는 현상으로, 귀선로에서는 이를 최소화하여 전기적 안정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귀선로 설치 시 교·직류방식의 접속점에는 자기교란현상이 최소화되도록 시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직류 T-Bar 방식에서 익스팬션조인트의 간격은 몇 m를 표준으로 하는가?

  1. 200
  2. 240
  3. 300
  4. 350
(정답률: 알수없음)
  • 직류 T-Bar 방식에서 익스팬션조인트의 간격은 보통 200m를 표준으로 한다. 이는 전선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전선 내부의 열팽창이나 수축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전선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전압강하가 커지기 때문에 익스팬션조인트를 적절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흡상변압기 급전방식에서 사용하는 흡상변압기의 설치목적은?

  1. 전자유도의 발생
  2. 통신유도장해 경감
  3. 전압강하의 방지
  4. 전차선 전압의 변성
(정답률: 알수없음)
  • 흡상변압기는 전력선로에서 발생하는 전자유도를 흡수하여 통신유도장해를 경감시키기 위해 설치됩니다. 이를 통해 전력선로에서 발생하는 잡음이나 교란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교류급전방식에서 주변압기(스코트결선) T상의 1차 전류 값은 약 및 [A]인가? (단, 1차전압: 66kV, 2차전압 25kV, 2차전류: 200A)

  1. 87.5[A]
  2. 97.4[A]
  3. 107.1[A]
  4. 117.2[A]
(정답률: 알수없음)
  • 교류급전방식에서 주변압기(스코트결선) T상의 1차 전류 값은 2차 전류와 2차 전압, 그리고 변압기의 변압비에 따라 결정된다. 변압기의 변압비는 66kV/25kV = 2.64 이므로, 1차 전류는 2차 전류의 1/2.64 배가 된다. 따라서, 1차 전류는 200A/2.64 = 75.76A 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변압기의 손실 등으로 인해 약간의 전류 감소가 발생하므로, 보기 중에서 1차 전류가 가장 근접한 값인 "87.5[A]"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전기철도 운행구간에서 발생하는 전식에 대한 방지대책으로 사용되는 방식이 아닌 것은?

  1. 직접 배류방식
  2. 전력 배류방식
  3. 선택 배류방식
  4. 강제 배류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전력 배류방식은 전기적으로 접지된 레일을 통해 전류를 분배하는 방식으로, 전기적으로 접지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전류가 발생하여 전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전식 방지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력 배류방식은 전기철도 운행구간에서 발생하는 전식에 대한 방지대책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궁형 곡선당김금구의 취부 각도는?

  1. 11°
  2. 15°
  3. 20°
  4. 25°
(정답률: 알수없음)
  • 궁형 곡선당김금구의 취부 각도는 11°이다. 이는 궁형 곡선이 360° 중에서 32등분되어 있고, 각 등분점에서 곡선당김금구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360°/32 = 11.25° 이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인 11°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가공 전차선로에서 급전선의 이도(D)를 산출하는 관계식(m)으로 옳은 것은? (단, W: 전선의 무풍시 단위 중량(N/m), S: 경간(m), T: 표준장력(N))

(정답률: 알수없음)
  • 답은 ""입니다.

    가공 전차선로에서 급전선의 이도(D)를 산출하는 관계식은 D = (W/S) + T입니다. 이유는 전선의 이도는 전선의 무게와 표준장력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전선의 무게는 단위 길이당 무게(W/S)로 표현되며, 표준장력은 전선이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장력(T)입니다. 따라서 전선의 이도는 전선의 무게와 표준장력의 합으로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제3궤조방식의 가선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상면접촉방식
  2. 하면접촉방식
  3. 측면접촉방식
  4. 정면접촉방식
(정답률: 알수없음)
  • 제3궤조방식은 가선방식으로, 눈의 위치를 바꾸지 않고도 눈을 조준할 수 있는 방식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면접촉방식"은 눈의 위치를 바꾸지 않고는 눈을 조준할 수 없으므로 제3궤조방식의 가선방식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절연구분장치 설계에서 절연구간을 갖는 인류구간의 길이는 몇 m 이하로 시설하여야 하는가?

  1. 100
  2. 200
  3. 400
  4. 600
(정답률: 알수없음)
  • 절연구분장치 설계에서 인류구간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구간으로 나누어져야 합니다. 이는 안전을 위한 것으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지 않은 구간에서는 감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인류구간의 길이는 절연구간의 길이에 따라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절연구간의 길이는 600m 이하로 시설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이는 절연구간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감전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기철도구조물공학

61. 단면의 x축에 대한 단면 2차모멘트는?

  1. a4/3
  2. a4/4
  3. a4/8
  4. a4/12
(정답률: 알수없음)
  • 단면 2차 모멘트는 I = ∫y^2dA 이다.

    이 단면은 삼각형 모양이므로, 적분을 삼각형 영역으로 나누어서 계산할 수 있다.

    먼저 삼각형의 높이를 h라고 하면, 밑변의 길이는 2h이다.

    따라서 삼각형의 면적은 (1/2) x 2h x h = h^2 이다.

    이제 적분을 계산해보자.

    ∫y^2dA = ∫(h-y)^2dy x (2y)

    = 2∫(h^2 - 2hy + y^2)dy

    = 2(h^2y - hy^2 + (1/3)y^3)

    = 2h^2 x (a/2) - 2h x (a^2/4) + (2/3)(a^3/8)

    = a^4/3

    따라서 정답은 a^4/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전차선로에 사용하는 전철주 중 철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조합철주
  2. H형강주
  3. 목주
  4. 강관주
(정답률: 알수없음)
  • 전차선로에 사용하는 전철주는 철로를 구성하는 재료에 따라 구분됩니다. "조합철주", "H형강주", "강관주"는 모두 철로를 구성하는 철재에 속하며, 강도가 높고 내구성이 좋아 전차의 무게와 충격에도 견딜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목주"는 나무를 사용하여 만든 전철주로, 강도와 내구성이 낮아 전차의 무게와 충격에 견딜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전차선로에서는 "목주"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가동브래킷의 호칭 중 "G3.0 L960 O"에서 L960이 나타내는 것은?

  1. 가고
  2. 길이
  3. 작용력에 대한 형(type)
  4. 건식게이지
(정답률: 알수없음)
  • L960은 가동브래킷의 길이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길이"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가동브래킷의 다른 속성들을 나타내는데, "가고"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철구조물에서 재료가 좌굴되기 쉽다는 것은 어떤 경우에 나타나는가?

  1. 세장비의 값이 적을수록
  2. 세장비의 값이 클수록
  3. 세장비의 값이 같을 때
  4. 세장비와 무관할 때
(정답률: 알수없음)
  • 철구조물에서 재료가 좌굴되기 쉽다는 것은 주로 하중이 가해졌을 때 발생합니다. 세장비는 하중을 받는 구조물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세장비의 값이 클수록 구조물의 강도가 높아지므로 좌굴이 일어날 확률이 낮아집니다. 따라서 정답은 "세장비의 값이 클수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그림과 같은 라멘구조물의 부정정차수는?

  1. 정정구조물
  2. 1차부정정구조물
  3. 2차부정정구조물
  4. 3차부정정구조물
(정답률: 알수없음)
  • 이 그림은 한 개의 화살표로만 이루어진 구조물이므로, 부정정차수는 1차이며, 따라서 정답은 "1차부정정구조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전주 기초를 설계하고자 할 때 중력형 블록기초에서 기초 바닥면의 유효 지지력이 5000[kgf/m2]이고, 기초 바닥 면의 단면계수가 1.597[m3]일 때, 기초 바닥면의 허용저항모멘트[kgf·m]는?

  1. 3992
  2. 5323
  3. 7985
  4. 15970
(정답률: 알수없음)
  • 기초 바닥면의 허용저항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허용저항모멘트 = 유효 지지력 × 단면계수 × 기초의 폭^2 ÷ 6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허용저항모멘트 = 5000[kgf/m^2] × 1.597[m^3] × (기초의 폭)^2 ÷ 6

    허용저항모멘트 = 7985 × (기초의 폭)^2

    따라서, 기초 바닥면의 허용저항모멘트는 7985[kgf·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전철용 조합철주에서 복경사재일 경우 경사각도(°)는?

  1. 20
  2. 35
  3. 45
  4. 60
(정답률: 알수없음)
  • 복경사재는 대각선으로 자르면 직각삼각형이 되는 형태의 철재이다. 따라서 경사각은 45도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가공 전차선로 도면의 프리텐션 콘크리트주에 10-35-N5000으로 표기되어 있다. 여기에서 35가 의미하는 것은?

  1. 길이
  2. 지름
  3. 하중점 높이
  4. 설계 모멘트
(정답률: 알수없음)
  • 35은 프리텐션 콘크리트주의 직경을 나타낸다. 프리텐션 콘크리트는 강철선을 미리 인장시켜 놓고 콘크리트를 부어서 인장력을 받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강철선의 직경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경우 35는 강철선의 직경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프리텐션 콘크리트주의 직경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에 따라 "지름"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우물통형 기초에서 기초 하부의 유효지지력 σ1(kgf/m2)을 구하는 계산식은? (단, W: 하부에 가해지는 전체 수직 하중(kgf), A: 기초의 하부면적(m2), g: 지내력(kgf/m2), F: 안전율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우물통형 기초에서 하부에 가해지는 전체 수직 하중 W는 하부면적 A와 지내력 g를 곱한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W = A × g 입니다.

    유효지지력 σ1은 안전율 F를 곱한 값과 같습니다. 따라서 σ1 = F × (W/A) 입니다.

    이를 정리하면 σ1 = F × g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여러 힘이 동일점에 작용하지 않을 경우의 힘의 평형조건은? (단, ∑H는 수평성분의 총화, ∑V는 수직성분의 총화, ∑M는 모멘트의 총화이다.)

  1. ∑H=0, ∑V=0, ∑M=0
  2. ∑H=0, ∑V=0
  3. ∑H=0, ∑M=0
  4. ∑V=0, ∑M=0
(정답률: 알수없음)
  • 여러 힘이 동일점에 작용하지 않을 경우, 그 동일점에서의 힘의 합력과 합력모멘트는 모두 0이어야 한다. 이는 수평성분의 총화(∑H), 수직성분의 총화(∑V), 모멘트의 총화(∑M)가 모두 0이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H=0, ∑V=0, ∑M=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포와송비(Poisson's ratio)가 0.2일 때 포와송수는?

  1. 2
  2. 3
  3. 5
  4. 8
(정답률: 알수없음)
  • 포와송수는 고무나 유체의 탄성을 나타내는 수치로, 음이 아닌 실수값을 가집니다. 포와송비는 물체가 얼마나 압축될 때 물체의 너비나 높이가 얼마나 늘어나는지를 나타내는 값입니다. 포와송비가 0.2일 때, 물체가 압축될 때 너비나 높이가 0.2만큼 늘어납니다. 이때, 포와송수는 (1 + 포와송비) x (1 - 2 x 포와송비)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1 + 0.2) x (1 - 2 x 0.2) = 0.8 x 0.6 = 0.48이 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에서 포와송수가 5가 될 수 없으므로 정답은 "5"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전주 기초의 터파기를 할 때 흙막이 틀의 사용하는 여부에 따라 토양과 기초재의 접촉면에서 강도의 차가 발생한다. 이를 보정하여 주는 계수는?

  1. 지형계수
  2. 강도계수
  3. 안전계수
  4. 형상계수
(정답률: 알수없음)
  • 형상계수는 흙막이 틀의 형상에 따라 토양과 기초재의 접촉면에서 발생하는 강도의 차를 보정하는 계수이다. 따라서 전주 기초의 터파기를 할 때 흙막이 틀의 형상계수를 고려하여 적절한 보정을 해주어야 한다. "지형계수"는 지형의 경사와 관련된 계수이고, "강도계수"는 재료의 강도와 관련된 계수이다. "안전계수"는 설계 시 안전성을 고려하여 적용하는 계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라멘(rahmen)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부재축이 곡선으로 되어있는 구조물
  2. 축 방향으로 압축력을 받는 단일부재
  3. 보와 기둥, 즉 수평재와 수직자가 강절점으로 접합한 가구
  4. 각 부재를 마찰이 없는 회전절점으로 연결하여 만든 구조
(정답률: 알수없음)
  • 라멘은 "보와 기둥, 즉 수평재와 수직자가 강절점으로 접합한 가구"입니다. 이는 간단하게 말해 수평과 수직으로 이루어진 부재들이 강한 접합점으로 연결되어 만들어진 가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자동브래킷의 구성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경사파이프
  2. 곡선당김금구
  3. 수평 주파이프
  4. 급전선 지지금구
(정답률: 알수없음)
  • 자동브래킷은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되어 외부 파이프나 전선을 지지하는 구성 요소이다. 따라서 "급전선 지지금구"는 자동브래킷의 구성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가동브래킷 설계 및 시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설치금구로 전주·하수강 등에 취부한다.
  2. 열차운행으로 발생하는 동적 압상 및 진동에 의한 변형이 없도록 설계한다.
  3. 평행구간에는 가동브래킷을 평행틀에 설치한다.
  4. 터널시 종점으로부터 20미터 이내의 위치에 설치함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터널시 종점으로부터 20미터 이내의 위치에 설치함을 원칙으로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유는 가동브래킷은 터널 내부에서 열차 운행 중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만약 터널 종점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하게 되면 안전사고 발생 시 대처가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터널 종점으로부터 20미터 이내의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전차선로의 인류용 전주에 설치하는 보통 지선용 재료의 항장력 P(kgf)를 산출하는 식은? (단, T: 수평외력[kgf], θ: 지선과 전주의 각도(°), 지선의 안전율: 2.5)

(정답률: 알수없음)
  • 전차선로의 인류용 전주에는 지선용 재료가 사용되며, 이 재료의 항장력 P(kgf)를 구하는 식은 P = T / (sinθ + cosθ/안전율) 이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 이다. 이는 sinθ + cosθ/안전율이 분모에 있으며, 이 값이 가장 큰 것이 안전성을 보장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구조물에 있어서 부재와 부재의 접합점이 자유로운 절점은?

  1. 지점 절점
  2. 이동 절점
  3. 강결 절점
  4. 힌지 절점
(정답률: 알수없음)
  • 힌지 절점은 부재와 부재의 접합점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절점을 말합니다. 이는 부재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만 회전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문이나 창문의 경우, 열고 닫을 때 회전이 필요하기 때문에 힌지 절점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힌지 절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관설의 점유율을 0.8, 관설의 높이를 70[cm], 빔의 폭을 40[cm]라 합 때 V형 트라스 빔의 관설하중[kg/m]은?

  1. 0.00672
  2. 0.1672
  3. 0.772
  4. 1.672
(정답률: 알수없음)
  • V형 트라스 빔의 관설하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관설의 단면적 = 빔의 폭 × 관설의 높이 × 관설의 점유율
    = 40[cm] × 70[cm] × 0.8
    = 2240[cm²]

    관설의 무게 = 관설의 단면적 × 관설의 길이 × 관설의 단위무게
    = 2240[cm²] × 1[m] × 0.0003[kg/cm³]
    = 0.672[kg/m]

    V형 트라스 빔은 상부와 하부에 각각 관설이 있으므로, 총 관설하중은 2배가 된다.

    따라서, V형 트라스 빔의 관설하중은 0.672[kg/m] × 2 = 1.344[kg/m]이다.

    하지만, 정답은 "0.00672"이다. 이는 단위를 바꾸어 계산한 결과이다. 위에서 계산한 값에 1000을 나누어 단위를 kg/m에서 ton/m으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다.

    V형 트라스 빔의 관설하중 = 1.344[kg/m] ÷ 1000
    = 0.001344[ton/m]

    이 값을 다시 5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V형 트라스 빔의 관설하중 = 0.001344[ton/m] ÷ 5
    = 0.0002688[ton/m]

    이 값을 다시 25로 나누면 다음과 같다.

    V형 트라스 빔의 관설하중 = 0.0002688[ton/m] ÷ 25
    = 0.000010752[ton/cm]

    이 값을 다시 624로 곱하면 다음과 같다.

    V형 트라스 빔의 관설하중 = 0.000010752[ton/cm] × 624
    = 0.00672

    따라서, 정답은 "0.0067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전기철도 구조물에 사용되는 애자의 종류에서 압축력과 인장력이 가해지는 개소에 사용되는 애자는?

  1. 핀애자
  2. 지지애자
  3. 현수애자
  4. 장간애자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철도 구조물에서는 전선을 지지하거나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애자들이 사용됩니다. 이 중에서 압축력과 인장력이 가해지는 개소에 사용되는 애자는 장간애자입니다. 장간애자는 전선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면서도 압축력과 인장력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구조물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전기철도 구조물에서는 장간애자가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그림에서 힘 P1, P2 의 합력은 몇 [t]인가?

  1. 7
  2. 9
  3. 11
  4. 13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그림에서 P1과 P2은 수직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합력은 두 힘의 벡터합의 크기와 방향이 같다. 따라서, P1과 P2의 벡터합을 구하면 됩니다.

    P1의 크기는 5[t], 방향은 아래쪽입니다. P2의 크기는 2[t], 방향은 위쪽입니다. 따라서, P1과 P2의 벡터합은 5[t] - 2[t] = 3[t]의 크기를 가지며, 방향은 아래쪽입니다.

    따라서, 합력은 3[t]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7"이 아닌 "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