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공사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6-12)

전기공사기사
(2011-06-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전기응용 및 공사재료

1. 전기철도용 변전소의 간격을 결정하는 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전압변동률
  2. 선로의 구배
  3. 수송량
  4. 노면의 상태
(정답률: 68%)
  • 전기철도용 변전소의 간격을 결정하는 요소는 전압변동률, 선로의 구배, 수송량이지만, 노면의 상태는 해당 요소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노면의 상태는 전기철도의 안전성과 편의성에 영향을 미치지만, 간격 결정 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농형 유도 전동기의 기동법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전전압 기동
  2. 기동 보상기
  3. Y - △ 기동
  4. 2차 저항 기동
(정답률: 87%)
  • 2차 저항 기동은 일반적으로 삼상 전력 회로에서 사용되는 기동 방법으로, 농형 유도 전동기에서는 사용되지 않는다. 이유는 농형 유도 전동기는 단상 전력 회로에서 사용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전지의 국부작용을 방지하는 방법은?

  1. 완전 밀폐
  2. 감극제 사용
  3. 니켈 도금
  4. 수은 도금
(정답률: 69%)
  • 전지의 국부작용은 전극에서 화학 반응이 일어나면서 전극의 표면에 물질이 축적되어 전지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현상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전극 표면에 수은 도금을 하면, 수은이 전극 표면을 완전히 덮어서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막아줍니다. 따라서 수은 도금은 전지의 국부작용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정출력부하 운전에 가장 적합한 전동기는?

  1. 직류 직권 전동기
  2. 직류 분권 전동기
  3. 권선형 유도 전동기
  4. 동기 전동기
(정답률: 74%)
  • 정출력부하 운전에서는 일정한 속도와 토크를 유지해야 하므로, 직류 직권 전동기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직류 직권 전동기가 다른 전동기에 비해 토크 변화에 덜 민감하며, 속도 제어가 용이하고 안정적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직류 직권 전동기는 간단한 구조로 제작이 가능하고,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생산할 수 있어 경제적인 장점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2종의 금속이나 반도체를 접합하여 열전대를 만들고 기전력을 공급하면 각 접점에서 열의 흡수, 발생이 일어나는 현상은?

  1. 지벡(Seebeck) 효과
  2. 펠티어(Peltier) 효과
  3. 톰슨(Thomson) 효과
  4. 핀치(Pinch) 효과
(정답률: 84%)
  • 두 종류의 금속이나 반도체를 접합하여 열전대를 만들면, 전류가 흐르면서 각 접점에서 열이 흡수되거나 발생하는 현상이 일어납니다. 이러한 현상을 펠티어(Peltier) 효과라고 합니다. 이는 열전대에서 전류가 흐를 때, 열이 전달되는 방향과 반대로 열이 발생하거나 흡수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와는 반대로, 지벡(Seebeck) 효과는 열전대에서 열이 전달되는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전기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하며, 톰슨(Thomson) 효과는 열전대에서 전류가 흐를 때 열이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핀치(Pinch) 효과는 전기와 자기장이 상호작용하여 플라즈마를 생성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LASCR은 무엇에 의해 점호되는가?

  1. 압력
  2. 온도
(정답률: 83%)
  • LASCR은 빛에 의해 점호됩니다. LASCR은 빛에 노출되면 전기적으로 활성화되어 전류를 흐르게 합니다. 따라서 LASCR은 빛에 반응하는 광전효과를 이용하여 작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직류 전동기 중 공급전원의 극성이 바뀌면 회전방향이 바뀌는 것은?

  1. 분권기
  2. 평복권기
  3. 직권기
  4. 타여자기
(정답률: 76%)
  • 직류 전동기는 회전자와 정자 사이에 자기장이 발생하도록 전류를 흐르게 한 후, 회전자가 자기장에 의해 회전하면서 움직이는 원리로 작동합니다. 이때, 공급전원의 극성이 바뀌면 자기장의 방향이 바뀌어 회전자의 회전 방향도 바뀌게 됩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회전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타여자기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타여자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저항 20[Ω]의 전열기를 100[V]의 전원에 접속하였을 때 매초 발생하는 열량[cal]은?

  1. 110
  2. 120
  3. 130
  4. 135
(정답률: 76%)
  • 전열기의 발생하는 열량은 전력과 시간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압은 100V이고 저항은 20Ω이므로 전류는 5A입니다. 따라서 전력은 100V x 5A = 500W입니다. 매초 발생하는 열량은 이 전력에 1초를 곱한 값으로 계산할 수 있으므로, 500W x 1s = 500J입니다. 이 값을 열량으로 환산하면 500J / 4.18J/cal = 119.62cal입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120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전기회로에서 전류에 해당하는 열회로의 열류의 단위는?

  1. kcal
  2. h·m·℃/kcal
  3. ℃ ·h/kcal
  4. kcal/h
(정답률: 69%)
  • 열류의 단위는 일반적으로 "W" (와트)이지만, 전기회로에서는 전류에 해당하는 열회로의 열류를 나타내기 위해 "kcal/h" (칼로리/시간)를 사용합니다. 이는 전기 에너지가 열로 변환될 때 발생하는 열량을 나타내는 단위로, 전기회로에서는 전류가 흐르면서 발생하는 열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kcal/h"가 전기회로에서 열류의 단위로 사용되는 이유는 전기 에너지와 열 에너지 간의 변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형태가 복잡한 금속제품을 급속으로 온도를 균일하게 가열하는데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적외선 가열
  2. 염욕로
  3. 유도가열
  4. 저주파 유도로
(정답률: 76%)
  • 형태가 복잡한 금속제품을 가열할 때는 염욕로가 가장 적합합니다. 이는 열전달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입니다. 염욕로는 금속제품을 염해액에 담그고, 염해액을 가열하여 금속제품을 가열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법은 금속제품의 모든 부분에 열이 균일하게 전달되므로, 형태가 복잡한 금속제품을 가열할 때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저압 배전반의 주 차단기로 주로 사용되는 차단기는?

  1. VCB 또는 TCB
  2. COS 또는 PF
  3. ACB 또는 MCCB
  4. DS 또는 OS
(정답률: 84%)
  • 저압 배전반의 주 차단기로 주로 사용되는 차단기는 ACB 또는 MCCB입니다. 이는 이들 차단기가 저압 배전반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차단기이며, ACB는 고전압용 차단기로서 대용량 전기를 차단할 수 있고, MCCB는 저전압용 차단기로서 작은 전류부터 대용량 전류까지 차단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들 차단기는 안정적이고 신뢰성이 높아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소켓의 수용구 크기 중에서 사인 전구에 사용되는 수용구 크기는?

  1. E17
  2. E26
  3. E39
  4. E10
(정답률: 64%)
  • 사인 전구는 소켓의 수용구 크기가 E17이다. "E"는 Edison의 약자이며, 숫자는 수용구의 지름을 1/8인치 단위로 표시한다. 따라서 E17은 지름이 17/8인치인 수용구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알칼리 축전지의 공칭용량은?

  1. 2[Ah]
  2. 4[Ah]
  3. 5[Ah]
  4. 10[Ah]
(정답률: 81%)
  • 알칼리 축전지의 공칭용량은 전류가 1시간 동안 흐를 때 방전할 수 있는 전하량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공칭용량이 5[Ah]인 알칼리 축전지는 1시간 동안 5암페어의 전류를 방전할 수 있습니다. 다른 선택지인 2[Ah]와 4[Ah]는 용량이 작아서, 10[Ah]는 용량이 크기 때문에 공칭용량이 5[Ah]인 것보다 더 많은 전류를 방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5[A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후강전선관은 바깥지름 21mm 이상, 안지름 16.4mm 이상이다. 두께는 몇[mm] 이상인가?

  1. 1.2
  2. 1.9
  3. 2.0
  4. 2.3
(정답률: 51%)
  • 후강전선관의 두께는 바깥지름에서 안지름을 뺀 값이므로,

    두께 = 바깥지름 - 안지름

    최소값을 구하기 위해 바깥지름과 안지름의 최소값을 대입하면,

    두께 = 21mm - 16.4mm = 4.6mm

    따라서, 후강전선관의 두께는 4.6mm 이상이다.

    정답은 "2.3"이 아닌 다른 보기들은 모두 4.6mm보다 작으므로 오답이다. "2.3"은 정답이 될 수 있는 유일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저압회로의 과전류차단기 보호방식 중 캐스케이드 보호방식은 최대 단락전류가 몇 [kA]를 초과해야 하는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68%)
  • 캐스케이드 보호방식은 여러 개의 과전류차단기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에서는 각 과전류차단기의 차단능력을 합산하여 전체 회로를 보호합니다. 따라서 최대 단락전류가 높을수록 더 많은 과전류차단기를 연속적으로 연결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캐스케이드 보호방식에서는 최대 단락전류가 10kA를 초과할 경우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피뢰기 자체의 공장이 계통사고에 파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는?

  1. 디스콘넥터(Disconnector)
  2. 압소바(Absorber)
  3. 콘넥터(Connector)
  4. 어레스터(Arrester)
(정답률: 84%)
  • 디스콘넥터는 전기회로에서 전원을 차단하는 장치로, 계통사고가 발생할 경우 피뢰기 자체의 공장을 차단하여 파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디스콘넥터가 정답입니다. 압소바는 고전압 전기장치에서 발생하는 고전압을 흡수하는 장치이며, 콘넥터는 전기회로에서 전선을 연결하는 장치, 어레스터는 고전압 전기장치에서 발생하는 고전압을 제한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높은 온도 및 기름에 가장 잘 견디며 절연성, 내온성, 내유성이 풍부하며 연피케이블에 사용하는 전기용 테이프는?

  1. 면테이프
  2. 비닐테이프
  3. 리노테이프
  4. 고무테이프
(정답률: 88%)
  • 연피케이블은 높은 온도와 기름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를 견딜 수 있는 절연성, 내온성, 내유성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전기용 테이프 중에서 가장 적합한 것은 리노테이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지선을 사용하는 경우, 지선으로 사용되는 연선은?

  1. 강심 알루미늄연선
  2. 아연도강연선
  3. 알루미늄연선
  4. 경동연선
(정답률: 70%)
  • 지선은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고정되어 전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지선으로 사용되는 연선은 내구성과 내부 저항이 높아야 하며, 부식에 강한 소재가 좋습니다. 따라서 아연도강연선이 적합한 선택입니다. 알루미늄연선은 내부 저항이 높아 전기 손실이 크고, 강심 알루미늄연선은 내구성이 떨어져 부식에 취약합니다. 경동연선은 내구성과 내부 저항이 떨어져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전동기 절연물의 허용온도는 일반적으로 저압 전동기는 E종, 고압전동기는 B종을 채택하는데 B종 절연의 허용 최고 온도[℃]는?

  1. 90℃
  2. 130℃
  3. 120℃
  4. 155℃
(정답률: 81%)
  • 고압 전동기는 일반적으로 높은 온도와 압력에 노출되기 때문에 더 높은 절연 능력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고압 전동기에는 B종 절연이 채택되며, 이는 최고 허용 온도가 130℃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애자의 형상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1. 자기애자
  2. 핀애자
  3. 지지애자
  4. 내무애자
(정답률: 65%)
  • 정답은 "자기애자"입니다.

    애자의 형상에 의한 분류는 애자가 어떤 모양인지에 따라 분류하는 것을 말합니다.

    - 핀애자: 애자가 핀처럼 가늘고 길쭉한 모양인 경우
    - 지지애자: 애자가 지지처럼 두껍고 짧은 모양인 경우
    - 내무애자: 애자가 내무처럼 둥글고 부드러운 모양인 경우

    하지만 "자기애자"는 애자의 형상에 따라 분류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성격과 태도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자기애자"는 자신의 능력과 가치를 높이 평가하고, 자신에게 자신감과 자부심을 느끼는 사람을 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전력공학

21. 애자가 갖추어야 할 구비조건으로 옳은 것은?

  1. 온도의 급변에 잘 견디고 습기도 잘 흡수하여야 한다.
  2. 지지물에 전선을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추어야 한다.
  3. 비, 눈, 안개 등에 대해서도 충분한 절연저항을 가지며, 누설전류가 많아야 한다.
  4. 선로전압에는 충분한 절연내력을 가지며, 이상전압에는 절연내력이 매우 작아야 한다.
(정답률: 21%)
  • 애자는 전선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지지물에 전선을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갖추어야 합니다. 이는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수변전설비에서 1차측에 설치하는 차단기의 용량은 어느 것에 의하여 정하는가?

  1. 변압기 용량
  2. 수전계약용량
  3. 공급측 단락용량
  4. 부하설비용량
(정답률: 23%)
  • 수변전설비에서 1차측에 설치하는 차단기의 용량은 공급측 단락용량에 의하여 정해진다. 이는 공급측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단락 전류를 차단하기 위해 차단기의 용량이 공급측 단락용량보다 크게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급측 단락용량을 고려하여 차단기의 용량을 결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송전선로의 코로나 임계전압이 높아지는 경우는?

  1. 기압이 낮아지는 경우
  2. 전선의 지름이 큰 경우
  3. 온도가 높아지는 경우
  4. 상대공기밀도가 작은 경우가.
(정답률: 17%)
  • 송전선로의 코로나 임계전압은 전기장이 공기 중에서 이온화되어 발생하는데, 전선의 지름이 크면 전기장이 분산되어 전기장이 높아지지 않아 코로나 임계전압이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전선의 지름이 큰 경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전동기 등 기계 기구류 내의 전로의 절연 불량으로 인한 감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외함 접지
  2. 저전압 사용
  3. 퓨즈 설치
  4. 누전차단기 설치
(정답률: 17%)
  • 퓨즈 설치는 전류가 과도하게 흐를 경우 전기 회로를 차단하여 감전 사고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전동기 등 기계 기구류 내의 전로의 절연 불량으로 인한 감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에서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외함 접지, 저전압 사용, 누전차단기 설치는 모두 감전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에서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고압 배전계통의 구성 순서로 알맞은 것은?

  1. 배전변전소 ⟹ 간선 ⟹ 분기선 ⟹ 급전선
  2. 배전변전소 ⟹ 급전선 ⟹ 간선 ⟹ 분기선
  3. 배전변전소 ⟹ 간선 ⟹ 급전선 ⟹ 분기선
  4. 배전변전소 ⟹ 급전선 ⟹ 분기선 ⟹ 간선
(정답률: 20%)
  • 배전변전소에서 전기를 생산하고 변압기를 통해 전압을 높이거나 낮춘 후, 간선을 통해 전기를 전달합니다. 간선은 전기를 많은 양으로 전달하기 때문에 대규모의 전선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후, 분기선을 통해 전기를 여러 지역으로 나누어 전달하고, 마지막으로 급전선을 통해 각 가정이나 회사 등으로 전기를 공급합니다. 따라서, 고압 배전계통의 구성 순서는 "배전변전소 ⟹ 간선 ⟹ 분기선 ⟹ 급전선"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송전선로의 건설비와 전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은?

(정답률: 22%)
  • 송전선로의 건설비와 전압은 반비례 관계에 있다. 즉, 전압이 높을수록 건설비는 낮아지고, 전압이 낮을수록 건설비는 높아진다. 이는 전압이 높을수록 전기를 전달하는 효율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수전단을 단락한 경우 송전단에서 본 임피던스가 300Ω이고, 수전단을 개방한 경우 송전단에서 본 어드미턴스가 1.875×10-3℧일 때 송전선의 특성임피던스는 약 몇 [Ω]인가?

  1. 200
  2. 300
  3. 400
  4. 500
(정답률: 17%)
  • 송전선의 특성임피던스는 수전단을 단락한 경우와 개방한 경우의 임피던스와 어드미턴스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수전단을 단락한 경우, 송전단에서의 임피던스는 300Ω이다.

    수전단을 개방한 경우, 송전단에서의 어드미턴스는 1.875×10-3℧이다. 이는 송전선의 특성임피던스의 역수와 같다.

    따라서, 송전선의 특성임피던스는 1/(1.875×10-3) = 533.33Ω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400Ω이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계산 결과와 다르다.

    이는 반올림으로 인한 근사치이다. 정확한 계산 결과는 533.33Ω이지만, 보기에서는 가장 가까운 값인 400Ω을 선택하도록 되어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전선 지지점의 고저차가 없을 경우 경간 300[m]에서 이도 9[m]인 송전 선로가 있다. 지금 이 이도를 11[m]로 증가시키고자 할 경우 경간에 더 늘려야할 전선의 길이는 약 몇 [㎝]인가?

  1. 25
  2. 30
  3. 35
  4. 40
(정답률: 16%)
  • 이 문제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먼저, 경간 300[m]에서 이도 9[m]인 송전 선로가 있다는 것은 두 지지점 사이의 거리가 300[m]이고, 높이 차이가 9[m]라는 뜻이다. 이 경우, 두 지지점 사이의 직선 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직선 거리 = √(300² + 9²) ≈ 300.225[m]

    이제 이 이도를 11[m]로 증가시키고자 할 경우, 높이 차이가 없다는 것은 즉, 두 지지점의 높이가 같다는 것이다. 따라서, 두 지지점 사이의 직선 거리와 높이 차이가 주어졌을 때, 경간에 더 늘려야할 전선의 길이를 구하는 문제가 된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높이 차이가 없을 때의 두 지지점 사이의 직선 거리를 구하고, 이를 기존의 직선 거리에서 빼주면 된다.

    즉, 높이 차이가 없을 때의 두 지지점 사이의 직선 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직선 거리 = √(300² + 11²) ≈ 300.227[m]

    따라서, 경간에 더 늘려야할 전선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전선의 길이 = 300.227 - 300.225 ≈ 0.002[m] ≈ 0.2[cm]

    따라서, 정답은 "25", "30", "40"이 아닌 "3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수차의 특유 속도를 나타내는 식은? (단, N:정격회전수[rpm], H:유효낙차[m], P:유효낙차 H[m]에서의 최대 출력[kW]이다.)

(정답률: 19%)
  • 정답은 ""이다. 이 식은 수차의 특유 속도를 나타내는 식으로, N과 H의 곱을 P로 나눈 값이다. 이는 회전수와 유효낙차의 곱이 최대 출력으로 나누어진 값으로, 수차의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이 식이 수차의 특유 속도를 나타내는 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한류리액터의 사용 목적은?

  1. 누설전류의 제한
  2. 단락전류의 제한
  3. 접지전류의 제한
  4. 이상전압 발생의 방지
(정답률: 24%)
  • 한류리액터는 단락전류의 제한을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단락전류는 전기회로에서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고전압, 고전류 상태로 인해 장비나 인명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한류리액터는 전류의 흐름을 제한하여 단락전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영상 변류기를 사용하는 계전기는?

  1. 과전류계전기
  2. 저전압계전기
  3. 지락과전류계전기
  4. 과전압계전기
(정답률: 23%)
  • 지락과전류계전기는 전기 회로에서 발생하는 과전류와 지락을 감지하기 위해 영상 변류기를 사용하는 계전기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저전압, 과전압 등을 감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켈빈(Kelvin)의 법칙이 적용되는 경우는?

  1. 전력 손실량을 축소 시키고자 하는 경우
  2. 전압 강하를 감소 시키고자 하는 경우
  3. 부하 배분의 균형을 얻고자 하는 경우
  4. 경제적인 전선의 굵기를 선정하고자 하는 경우
(정답률: 23%)
  • 켈빈의 법칙은 전선의 굵기와 전류의 양과 온도 변화에 따른 전력 손실량을 계산하는 공식이다. 따라서 경제적인 전선의 굵기를 선정하고자 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이는 전선의 굵기를 최소화하여 전력 손실량을 최소화하고 경제적인 설치를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수력발전소에서 사용되는 수차 중 15m 이하의 저낙차에 적합하여 조력발전용으로 알맞은 수차는?

  1. 카플란수차
  2. 펠톤수차
  3. 프란시스수차
  4. 튜블러수차
(정답률: 16%)
  • 조력발전소는 물의 흐름이 느린 지역에서 발전을 하기 때문에 저낙차의 수차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효율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수차의 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수차는 튜블러수차입니다. 튜블러수차는 수중에서 물이 회전하면서 일정한 속도로 유입되어 발전기로 전달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조력발전용으로 적합한 수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3상 전원에 접속된 △결선의 콘덴서를 Y결선으로 바꾸면 진상 용량은 어떻게 되는가?

  1. √3배로 된다.
  2. 1/3로 된다.
  3. 3배로 된다.
  4. 1/√3로 된다.
(정답률: 15%)
  • 3상 전원에서 △결선과 Y결선은 서로 다른 연결 방식이다. △결선은 각 상 사이에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고, Y결선은 각 상과 중성선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결선의 콘덴서를 Y결선으로 바꾸면 콘덴서가 연결되는 방식이 달라지므로 진상 용량도 달라진다. Y결선에서는 각 상과 중성선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각 상의 용량이 중성선을 통해 결합되어 전체 용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결선의 콘덴서를 Y결선으로 바꾸면 진상 용량은 1/3으로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송전선 보호범위 내의 사고에 대하여 고장점의 위치에 관계없이 선로 양단을 쉽고 확실하게 동시에 고속으로 차단하기 위한 계전방식은?

  1. 회로선택 계전방식
  2. 과전류 계전방식
  3. 방향거리(directive distance) 계전방식
  4. 표시선(pilot wire) 계전방식
(정답률: 12%)
  • 송전선 보호범위 내의 사고에 대한 보호를 위해서는 선로 양단을 동시에 차단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고장점의 위치와 상관없이 양단에서 동시에 신호를 받아 차단하는 방식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계전방식 중에서 표시선(pilot wire) 계전방식이 선택됩니다. 이 방식은 선로 양단에 각각 표시선을 설치하여 고장점에서 발생한 신호를 동시에 전달하여 차단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간단하고 확실하며 고속으로 차단할 수 있어 송전선 보호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30000kW의 전력을 50km 떨어진 지점에 송전하는데 필요한 전압은 약 몇 [kV] 정도인가? (단, Still의 식에 의하여 산정한다.)

  1. 22
  2. 33
  3. 66
  4. 100
(정답률: 17%)
  • Still의 식은 P = V^2/R 이다. 여기서 P는 전력, V는 전압, R은 저항을 나타낸다. 이 문제에서는 전력과 거리가 주어졌으므로 저항을 구해야 한다.

    저항은 전선의 재질과 굵기, 그리고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이 문제에서는 전선의 재질과 굵기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거리에 따른 저항만 고려하면 된다. 거리가 멀어질수록 저항은 커지므로, 전압도 커져야 전력을 원하는 거리까지 전달할 수 있다.

    Still의 식을 전압에 대해 정리하면 V = sqrt(P*R) 이다. 거리는 50km 이므로, 저항은 50km에 해당하는 전선의 저항과 지면 저항을 합한 값이다. 전선의 저항은 전선의 재질과 굵기에 따라 달라지므로, 여기서는 간단하게 지면 저항만 고려하자. 지면 저항은 약 100 옴/km 이다.

    따라서, 전압은 V = sqrt(30000kW * 100 옴/km * 50 km) = 100 kV 정도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가공송전선로에서 선간거리를 도체 반지름으로 나눈 값(D/r)이 클수록 인덕턴스와 정전용량은 어떻게 되는가?

  1. 인덕턴스와 정전용량이 모두 작아진다.
  2. 인덕턴스와 정전용량이 모두 커진다.
  3. 인덕턴스는 커지나, 정전용량은 작아진다.
  4. 인덕턴스는 작아지나, 정전용량은 커진다.
(정답률: 23%)
  • 가공송전선로에서 선간거리를 도체 반지름으로 나눈 값(D/r)이 클수록 전선 간의 거리가 멀어지므로 인덕턴스는 커지게 됩니다. 반면에 정전용량은 전선 간의 거리가 멀어지면서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인덕턴스는 커지나, 정전용량은 작아진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탑각의 접지와 관련이다. 접지봉으로써 희망하는 접지저항치까지 줄일 수 없을 때 사용하는 것은?

  1. 가공지선
  2. 매설지선
  3. 크로스본드선
  4. 차폐선
(정답률: 22%)
  • 매설지선은 지면에 매설하여 사용하는 접지선으로, 접지저항치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따라서 접지봉으로써 희망하는 접지저항치까지 줄일 수 없을 때 매설지선을 사용한다. 가공지선은 접지선을 가공하여 만든 것이며, 크로스본드선은 접지선과 다른 전기선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사용하는 것이고, 차폐선은 전자기파를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직접접지방식에서 변압기에 단절연이 가능한 이유는?

  1. 고장전류가 크므로
  2. 지락전류가 저역률이므로
  3. 중성점 전위가 낮으므로
  4. 보호계전기의 동작이 확실하므로
(정답률: 15%)
  • 직접접지방식에서 변압기에 단절연이 가능한 이유는 중성점 전위가 낮기 때문입니다. 중성점 전위가 낮으면 고장전류가 작아지고, 이는 변압기의 단절연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불평형 부하에서 역률은?

  1. 유효전력/각 상의 피상전력의 산술합
  2. 무효전력/각 상의 피상전력의 산술합
  3. 무효전력/각 상의 피상전력의 벡터합
  4. 유효전력/각 상의 피상전력의 벡터합
(정답률: 23%)
  • 불평형 부하에서는 각 상의 전압과 전류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피상전력의 산술합으로는 전체 전력을 계산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각 상의 피상전력의 벡터합을 사용하여 전체 전력을 계산해야 합니다. 이때 유효전력은 실제로 전기 에너지로 전환되는 전력이므로 각 상의 피상전력 대비 유효전력의 비율을 역률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역률은 "유효전력/각 상의 피상전력의 벡터합"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전기기기

41. 인가전압과 여자가 일정한 동기전동기에서 전기자 저항과 동기 리액턴스가 같으면 최대출력을 내는 부하각은 몇 도[°]인가?

  1. 30°
  2. 45°
  3. 60°
  4. 90°
(정답률: 12%)
  • 인가전압과 여자가 일정한 동기전동기에서 최대 출력을 내는 부하각은 45°이다. 이는 전기자 저항과 동기 리액턴스가 같을 때, 전력이 최대가 되는 각도이기 때문이다. 이 각도에서는 전력이 최대가 되므로, 효율적인 전력 전달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4극 3상 유도전동기가 있다. 총 슬롯수는 48이고 매극 매상 슬롯에 분포하고 코일 간격은 극간격의 75[%]의 단절권으로 하면 권선 계수는 얼마인가?

  1. 약 0.986
  2. 약 0.927
  3. 약 0.895
  4. 약 0.887
(정답률: 12%)
  • 유도전동기의 권선 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권선 계수 = (총 슬롯수 / 2) * (극간격 / 슬롯수)

    여기서 총 슬롯수는 48이고, 극간격의 단절권은 75%이므로 극간격은 36이 된다. 따라서 권선 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권선 계수 = (48 / 2) * (36 / 48) = 18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권선 계수가 "약 0.887"인 것을 찾아야 한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야 한다.

    1. 유도전동기의 극수를 구한다. 4극 3상 유도전동기이므로 극수는 4이다.
    2. 유도전동기의 상수를 구한다. 3상 유도전동기이므로 상수는 3이다.
    3. 권선 계수를 구한다. 권선 계수 = (극수 * 상수) / (2 * 극수 + 상수) = (4 * 3) / (2 * 4 + 3) = 12 / 11 ≈ 1.091
    4. 극간격의 단절권을 곱한다. 75%의 단절권을 곱하면 0.81825가 된다.
    5. 최종적으로 권선 계수에 극간격의 단절권을 곱해준다. 1.091 * 0.81825 ≈ 0.891

    따라서 정답은 "약 0.887"이다. 이 값과 계산한 값이 약간 차이가 나는 이유는 극간격의 단절권을 75%로 가정했을 때와 실제로는 조금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정격 6600[V]인 3상 동기 발전기가 정격출력(역률=1)으로 운전할 때 전압 변동률이 12[%]였다. 여자와 회전수를 조정하지 않은 상태로 무부하 운전하는 경우 단자전압[V]은?

  1. 7842
  2. 7392
  3. 6943
  4. 6433
(정답률: 18%)
  • 전압 변동률은 (빈 동상 전압 - 정격 전압) / 정격 전압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빈 동상 전압은 정격 전압 + (정격 전압 x 전압 변동률 / 100) 로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전압 변동률이 12[%]이므로, 빈 동상 전압은 6600 + (6600 x 12 / 100) = 7392[V] 이다. 따라서 단자전압도 빈 동상 전압과 같은 7392[V]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전부하시에 전류가 0.88[A], 역률 89[%], 속도 7000[rpm], 60[Hz], 115[V]인 2극 단상 직권 전동기가 있다. 회전자와 직권계자 권선의 실효저항의 합은 58[Ω]이다. 이 전동기의 기계손을 10[W]라고 하면 전부하시에 부하에 전달되는 토크는 약 얼마인가? (단, 여기서 계자의 자속은 정현파 변화를 한다고 하고 브러시는 중성축에 놓여 있다.)

  1. 49[g·m]
  2. 4.9[g·m]
  3. 48[N·m]
  4. 4.8[N·m]
(정답률: 12%)
  • 전동기의 출력은 전류와 전압의 곱인데, 여기서 전류와 전압은 주어져 있으므로 출력을 구할 수 있다.
    전류: 0.88[A]
    전압: 115[V]
    출력: 0.88[A] x 115[V] = 101.2[W]

    역률은 유효전력과 피상전력의 비율로 정의된다.
    역률 = 유효전력 / 피상전력 x 100%
    피상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구할 수 있다.
    피상전력: 115[V] x 0.88[A] = 101.2[VA]
    유효전력 = 피상전력 x 역률 / 100%
    유효전력: 101.2[VA] x 89 / 100 = 90.1[W]

    기계손은 출력에서 뺀 나머지이므로, 부하에 전달되는 토크는 기계손을 더한 값이다.
    부하에 전달되는 토크: 90.1[W] + 10[W] = 100.1[W]

    전동기의 회전수와 주파수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다.
    회전수 = 주파수 x 120 / 극수
    여기서 극수는 2이므로,
    회전수: 60[Hz] x 120 / 2 = 3600[rpm]

    전동기의 출력과 회전수를 이용하여 토크를 구할 수 있다.
    토크 = 출력 / (회전수 x 2π / 60)
    토크: 100.1[W] / (3600[rpm] x 2π / 60) = 0.027[N·m]

    하지만 문제에서는 단위를 g·m으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0.027[N·m]을 g·m으로 변환해야 한다.
    1[N·m] = 1000[g·cm] = 100[g·m]
    0.027[N·m] = 2.7[g·m]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4.9[g·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유도 전동기의 여자전류는 극수가 많아지면 정격전류에 대한 비율이 어떻게 되는가?

  1. 적어진다.
  2. 원칙적으로 변화하지 않는다.
  3.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4. 커진다.
(정답률: 13%)
  • 극수가 많아지면 유도 전동기의 여자전류는 커진다. 이는 극수가 많아질수록 자기장이 강해지기 때문이다. 강한 자기장은 회전자에 인덕션을 유발시켜 더 많은 전류를 생성하게 되어 여자전류가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직류 분권전동기가 있다. 그 출력이 9[kW]일 때, 단자전압은 220[V], 입력전류는 51.5[A], 계자전류는 1.5[A], 회전속도는 1500[rpm]이였다. 이때의 발생토크[kg · m]와 효율[%]은? (단, 전기자 저항은 0.1[Ω]이다.)

  1. 5.85[kg · m], 94.8[%]
  2. 6.98[kg · m], 79.4[%]
  3. 36.74[kg · m], 79.4[%]
  4. 57.33[kg · m], 94.8[%]
(정답률: 15%)
  • 직류 분권전동기의 출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출력 = 회전속도 × 토크 × 2π ÷ 60

    여기서 회전속도는 1500[rpm]이므로, 2π ÷ 60을 곱해준 후, 토크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9[kW] = 1500[rpm] × 토크 × 2π ÷ 60
    토크 = 9[kW] × 60 ÷ (1500[rpm] × 2π) = 0.573[kg · m]

    발생토크는 계자전류와 전기자 저항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발생토크 = (단자전압 - 계자전류 × 전기자 저항) × 토크상수 ÷ 회전속도

    여기서 토크상수는 직류 분권전동기의 특성에 따라 다르며, 보통은 9.55로 가정한다. 따라서, 발생토크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발생토크 = (220[V] - 1.5[A] × 0.1[Ω]) × 0.573[kg · m] ÷ 1500[rpm] × 9.55 = 6.98[kg · m]

    마지막으로, 효율은 출력 ÷ 입력으로 구할 수 있다.

    효율 = 9[kW] ÷ (220[V] × 51.5[A]) × 100% = 79.4[%]

    따라서, 정답은 "6.98[kg · m], 79.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전력용 반도체 중에서 가장 높은 전압용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반도체 소자는?

  1. LASCR
  2. IGBT
  3. GTO
  4. BJT
(정답률: 16%)
  • GTO는 Gate Turn-Off Thyristor의 약자로, 게이트 신호를 이용하여 전류를 끊을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반도체 소자입니다. 이러한 기능으로 인해 높은 전압용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LASCR은 Light Activated SCR, IGBT는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BJT는 Bipolar Junction Transistor의 약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3상 직권 정류자 전동기에 중간(직력)변압기가 쓰이고 있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정류자 전압의 조정
  2. 회전자 상수의 감소
  3. 경부하 때 속도의 이상 상승 방지
  4. 실효 권수비 선정 조정
(정답률: 17%)
  • 3상 직권 정류자 전동기에서 중간(직력)변압기는 정류자 전압의 조정, 경부하 때 속도의 이상 상승 방지, 실효 권수비 선정 조정 등의 이유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회전자 상수의 감소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회전자 상수는 전동기의 회전자 설계에 따라 결정되는 값으로, 회전자 상수의 감소는 전동기의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중간(직력)변압기는 회전자 상수의 감소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보통 농형에 비하여 2중 농형 전동기의 특징인 것은?

  1. 최대 토크가 크다.
  2. 손실이 적다.
  3. 기동 토크가 크다.
  4. 슬립이 크다.
(정답률: 20%)
  • 2중 농형 전동기는 보통 농형에 비해 기동 토크가 큽니다. 이는 2중 구조로 인해 자기장이 강력하게 작용하여 초기 기동 시에 높은 토크를 발생시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동기기에서 동기 리액턴스가 커지면 동작 특성이 어떻게 되는가?

  1. 전압 변동률이 커지고 병렬운전시 동기화력이 커진다.
  2. 전압 변동률이 커지고 병렬운전시 동기화력이 작아진다.
  3. 전압 변동률이 적어지고 지속단락 전류는 감소한다.
  4. 전압 변동률이 적어지고 지속단락 전류는 증거한다.
(정답률: 18%)
  • 동기 리액턴스가 커지면 전류의 상승 속도가 느려지므로 전압 변동률이 커지게 됩니다. 또한, 병렬운전시 동기화력은 동기 리액턴스에 반비례하므로 동기 리액턴스가 커지면 동기화력이 작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압 변동률이 커지고 병렬운전시 동기화력이 작아진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1차 전압 100[V], 2차 전압 200[V], 선로 출력 50[kVA]인 단권변압기의 자기 용량은 몇 [kVA]인가?

  1. 25
  2. 50
  3. 250
  4. 500
(정답률: 15%)
  • 자기 용량은 2차 전압을 1[V]로 하였을 때, 1차 측에서 필요한 전류와 2차 측에서 발생하는 전류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다. 따라서 자기 용량은 (2차 전압/1차 전압)의 제곱에 선로 출력을 나눈 값과 같다.

    자기 용량 = (200/100)^2 / (50 x 1000) = 25 [kVA]

    따라서 정답은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5[kVA]의 단상 변압기 3대를 △결선하여 급전하고 있는 경우 1대가 소손되어 나머지 2대로 급전하게 되었다. 2대의 변압기로 과부하를 10[%]까지 견딜 수 있다고 하면 2대가 분담할 수 있는 최대 부하는 약 몇 [kVA]인가?

  1. 5
  2. 8.6
  3. 9.5
  4. 15
(정답률: 1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병렬 운전 중의 A, B 두 동기발전기 중에서 A발전기의 여자를 B기보다 강하게 하면 A발전기는?

  1. 90° 앞선 전류가 흐른다.
  2. 90° 뒤진 전류가 흐른다.
  3. 동기화 전류가 흐른다.
  4. 부하 전류가 증가한다.
(정답률: 17%)
  • 병렬 운전 중인 A, B 두 동기발전기는 동일한 주파수와 진폭을 가지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서로 상호작용하여 전류의 크기와 위상이 변화한다. A발전기의 여자를 B기보다 강하게 하면, A발전기의 전류가 B기보다 앞서게 되어 전류의 위상 차이가 90°가 된다. 따라서 A발전기에서는 90° 뒤진 전류가 흐르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변압기에서 철손을 알 수 있는 시험은?

  1. 유도시험
  2. 단락시험
  3. 부하시험
  4. 무부하시험
(정답률: 21%)
  • 변압기에서 철손을 알 수 있는 시험은 무부하시험이다. 이는 변압기의 1차 측에 부하를 가하지 않고 2차 측에서의 전압과 전류를 측정하여 변압기의 손실을 계산하는 시험이다. 이때 계산된 손실은 철손으로 인한 손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철손을 알 수 있다. 유도시험은 변압기의 인덕턴스를 측정하는 시험이고, 단락시험은 변압기의 단락 상태에서의 전류를 측정하는 시험이다. 부하시험은 변압기에 부하를 가하여 변압기의 용량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유도전동기의 제동법 중 유도전동기를 전원에 접속한 상태에서 동기속도 이상의 속도로 운전하여 유도 발전기로 동작시킴으로써 그 발생 전력을 전원으로 반환하면서 제동하는 방법은?

  1. 발전제동
  2. 회생제동
  3. 역상제동
  4. 단상제동
(정답률: 19%)
  • 유도전동기를 동기속도 이상으로 운전하여 유도 발전기로 전력을 발생시키면, 이 발생 전력을 전원으로 반환하여 회로에 공급할 수 있습니다. 이를 회생제동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회생제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DC서보모터의 기계적 시정수를 나타낸 것은? (단, R은 권선의 저항, J는 관성모멘트, Ke는 서보 유지전압 정수, Kf는 서보모터의 도체 정수이다.)

(정답률: 18%)
  • DC서보모터의 기계적 시정수는 "" 이다. 이유는 기계적 시정수는 서보모터의 관성모멘트와 저항, 그리고 유지전압과 도체 정수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 중에서 관성모멘트와 저항이 작을수록 시정수가 작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 가장 작은 값이므로 DC서보모터의 기계적 시정수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단권변압기에서 W2 권선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A]는?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18%)
  • W2 권선은 2회전 권선이므로, W1 권선에 비해 전류가 2배 더 작아진다. 따라서 W1 권선에 흐르는 전류가 10A일 때, W2 권선에 흐르는 전류는 5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변압기의 기름 중 아크 방전에 의하여 가장 많이 발생하는 가스는?

  1. 수소
  2. 일산화탄소
  3. 아세틸렌
  4. 산소
(정답률: 19%)
  • 변압기의 기름 중에는 절연 기능을 하기 위해 PCBs (다이옥신화 폴리클로르비페닐)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PCBs는 고온, 고전압 등의 환경에서 아크 방전에 의해 분해되어 수소 가스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변압기의 기름 중 아크 방전에 의해 가장 많이 발생하는 가스는 수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4극, 중권, 총도체수 500, 1극 자속수가 0.01[Wb]인 직류 발전기가 100[V]의 기전력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회전수는 몇 [rpm] 인가?

  1. 1000
  2. 1200
  3. 1600
  4. 2000
(정답률: 19%)
  • 직류 발전기의 기전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기전력 = 2π × 자속수 × 총도체수 × 회전수 × 중권 / 60

    여기서 기전력은 100[V]이고, 자속수는 0.01[Wb], 총도체수는 500, 중권은 2이므로 다음과 같이 식을 정리할 수 있다.

    100 = 2π × 0.01 × 500 × 회전수 × 2 / 60

    이를 계산하면 회전수는 약 1200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자여식 인버터의 출력 전압의 제어법에 주로 사용되는 방식은?

  1. 펄스폭 방식
  2. 펄스 주파수 변조 방식
  3. 펄스폭 변조 방식
  4. 혼합 변조 방식
(정답률: 15%)
  • 자여식 인버터의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방식 중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은 펄스폭 변조 방식이다. 이는 입력 신호의 펄스폭을 변조하여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입력 신호의 펄스폭이 길어지면 출력 전압이 높아지고, 펄스폭이 짧아지면 출력 전압이 낮아진다. 이 방식은 간단하고 효율적이며, 다양한 전압과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회로이론 및 제어공학

61. 직류를 공급하는 R-C직렬회로에서 회로의 시정수 값은?

(정답률: 15%)
  • R-C직렬회로에서 시정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τ = R × C

    여기서 R은 저항값, C는 콘덴서의 용량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R값이 가장 큰 것을 선택해야 합니다. ""에서 R값이 가장 크므로 이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그림은 전압이 10[V]인 전원장치에 가변저항과 전열기를 연결한 회로이다. 가변저항이 5[Ω]일 때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1[A]이다. 가변저항을 15[Ω]으로 바꾸고 전열기를 4초 동안 사용할 경우 전열기에서 소비되는 전력[W]은 얼마인가? (단, 전원장치의 전압과 전열기의 저항은 일정하다.)

  1. 1.25
  2. 1.5
  3. 1.88
  4. 2.0
(정답률: 13%)
  • 전류는 전압에 저항의 역수를 곱한 값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가변저항이 5[Ω]일 때 전류는 10[V]/5[Ω] = 2[A]이다. 가변저항을 15[Ω]으로 바꾸면 전류는 10[V]/15[Ω] = 0.67[A]가 된다. 전열기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전류의 제곱에 저항을 곱한 값으로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전열기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0.67[A])^2 x 15[Ω] = 6.75[W]이다. 전열기를 4초 동안 사용하므로 전열기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6.75[W] x 4[s] = 27[J]이다. 1[J/s] = 1[W] 이므로 전열기에서 소비되는 전력은 27[J]/4[s] = 6.75[W]이다. 따라서 정답은 6.75[W]/5.4[A] = 1.2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그림과 같은 회로의 전달함수 는?

(정답률: 21%)
  • 전달함수는 출력값과 입력값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출력값 Y(s)를 입력값 X(s)로 나누어주면 됩니다. 따라서 전달함수 H(s)는 Y(s)/X(s)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림에서는 출력값 Y(s)가 R2와 C2를 거쳐 입력값 X(s)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달함수는 R2와 C2를 거치는 비율인 R2/(R2+1/(sC2))가 됩니다. 이를 계산하면 ""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임피던스 으로 주어지는 2단자회로에 직류 전류원 10[A]를 가할 때 이 회로의 단자전압 [V]은?

  1. 20
  2. 40
  3. 200
  4. 400
(정답률: 14%)
  • 임피던스는 전압과 전류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이므로, 단자전압은 전류와 임피던스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단자전압은 10[A] x 20[Ω] = 200[V]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전류원의 내부저항에 관하여 맞는 것은?

  1. 전류공급을 받는 회로의 구동점 임피던스와 같아야 한다.
  2. 클수록 이상적이다.
  3. 경우에 따라 다르다.
  4. 작을수록 이상적이다.
(정답률: 16%)
  • 전류원의 내부저항은 작을수록 이상적이다. 이는 전류원의 출력전압이 일정할 때, 내부저항이 작을수록 출력전류가 크게 유지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류공급을 받는 회로의 구동점 임피던스와 같아지기 위해서는 내부저항이 작을수록 이상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그림과 같은 파형이 라플라스 변환은?

  1. 1-2e-s+e-2s
  2. s(1-2e-s+e-2s)
(정답률: 17%)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대칭 5상 교류 성형결선에서 선간전압과 상전압 간의 위상차는 몇 도 인가?

  1. 27°
  2. 36°
  3. 54°
  4. 72°
(정답률: 22%)
  • 대칭 5상 교류 성형결선에서 선간전압과 상전압 간의 위상차는 360°/5 = 72°이다. 그러나 대칭 5상 교류 성형결선에서는 상전압과 선간전압 간의 위상차가 90°이므로, 선간전압과 상전압 간의 위상차는 72° - 90° = -18°이다. 이를 양수로 바꾸면 54°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평형 3상 회로에서 그림과 같이 변류기를 접속하고 전류계를 연결하였을 때, A2에 흐르는 전류는 약 몇 [A]인가?

  1. 0
  2. 5
  3. 8.66
  4. 10
(정답률: 18%)
  • 주어진 회로는 삼각형 모양의 평형 3상 회로이므로, 각 상의 전압은 서로 같고, 전류는 서로 120도 차이가 나며, 전류의 크기는 전압과 저항에 비례한다는 것을 이용한다.

    변류기의 출력 전압은 220V이므로, A1, A2 사이의 전압은 220V이다. 이때, A1, A2 사이의 저항은 10Ω + 10Ω = 20Ω이다.

    따라서, A1, A2 사이의 전류는 I = V/R = 220/20 = 11A이다.

    하지만, 전류계는 A상 전류만 측정하므로, A상 전류는 전체 전류의 1/√3이다. 따라서, A상 전류는 11/√3 = 6.35A이다.

    하지만, A2에는 B상과 C상의 전류도 흐르므로, A2에 흐르는 전류는 A상 전류보다 크다. 이때, B상과 C상의 전류는 서로 같으므로, 각각 A상 전류의 1/2이다. 따라서, A2에 흐르는 전류는 6.35 + 11/2 = 8.66A이다.

    따라서, 정답은 8.6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어떤 콘덴서를 300[V]로 충전하는데 9[J]의 에너지가 필요하였다. 이 콘덴서의 정전용량은 몇 [㎌]인가?

  1. 100
  2. 200
  3. 300
  4. 400
(정답률: 18%)
  • 에너지는 1/2CV^2로 표현할 수 있고, 여기서 C는 정전용량, V는 전압이다. 따라서 C = 2E/V^2 = 2 x 9 / 300^2 = 0.0002 [F] = 200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분포 정수회로에서 선로정수가 R, L, C, G이고 무왜형 조건이 RC=GL과 같은 관계가 성립될 때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 Z0는? (단, 선로의 단위 길이당 저항을 R, 인덕턴스를 L, 정전용량을 C, 누설컨덕턴스를 G라 한다.)

(정답률: 20%)
  • 분포 정수회로에서 특성 임피던스 Z0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Z0 = sqrt((R + jωL)/(G + jωC))

    무왜형 조건인 RC=GL을 이용하여 위 식을 정리하면,

    Z0 = sqrt(L/C)

    즉, 선로의 특성 임피던스는 인덕턴스와 정전용량의 제곱근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그림과 같은 보드 위상선도를 갖는 회로망은 어떤 보상기로 사용될 수 있는가?

  1. 진상 보상기
  2. 지상 보상기
  3. 지상 진상 보상기
  4. 지상 지상 보상기
(정답률: 18%)
  • 이 회로망은 지상선과 진상선이 분리되어 있으며, 이는 진상 보상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진상 보상기는 지상선과 진상선을 분리하여 노이즈를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회로망은 진상 보상기를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기준 입력과 주궤환량과의 차로서, 제어계의 동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신호는?

  1. 조작 신호
  2. 동작 신호
  3. 주궤환 신호
  4. 기준 입력 신호
(정답률: 19%)
  • 기준 입력과 주궤환량과의 차이를 감지하여 제어계의 동작을 일으키는 신호는 동작 신호이다. 이는 제어계가 원하는 목표값과 현재 상태값을 비교하여, 목표값과의 차이를 줄이기 위해 적절한 제어 액션을 취하도록 하는 신호이다. 따라서, 동작 신호는 제어계의 핵심적인 신호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제어계 전달함수의 극값(pole)이 그림과 같을 때 이 계의 고유 각주파수 wn는?

  1. 1/√2
  2. 1/2
  3. √2
  4. √3
(정답률: 1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w가 0에서 ∞까지 변화하였을 때 G(jw)의 크기와 위상각을 극좌표에 그린 것으로 이 궤적을 표시하는 선도는?

  1. 근궤적도
  2. 나이퀴스트선도
  3. 니콜스선도
  4. 보드선도
(정답률: 15%)
  • 정답: 나이퀴스트선도

    나이퀴스트선도는 w가 0에서 ∞까지 변화하였을 때 G(jw)의 크기와 위상각을 극좌표에 그린 것으로 이 궤적을 표시하는 선도이다. 이 선도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대역폭 등을 분석하는 데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근궤적도는 근접한 극점과 극로를 나타내는 선도이고, 니콜스선도는 불안정한 시스템에서 안정화를 위한 보상기 설계에 사용되는 선도이다. 보드선도는 전달함수의 극점과 영점을 나타내는 선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의 역변환은?

  1. 1-e-akT
  2. 1+e-akT
  3. te-aT
  4. teaT
(정답률: 16%)
  • 주어진 그림은 일종의 로우패스 필터의 전달함수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H(s) = 1/(1+RCs)가 됩니다. 여기서 s는 복소평면에서의 주파수를 나타내는 변수입니다. 이를 시간영역으로 변환하면, 역변환된 전달함수는 h(t) = 1/RC * e-t/RC가 됩니다. 이때, t=0일 때 h(t)의 값은 1/RC가 됩니다. 이를 이용하여 보기를 살펴보면, "1-e-akT"가 정답입니다. 이유는, t=0일 때 h(t)의 값이 1/RC이므로, 전달함수의 분모인 1+RCs에서 s=0일 때의 값이 1이 되어야 합니다. 이를 만족하는 보기는 "1-e-akT"뿐이며, 따라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의 신호 흐름 선도에서 C/R는?

(정답률: 18%)
  • C/R은 Collision/Retry의 약자로 충돌 발생 시 재전송을 의미합니다. 이 신호 흐름 선도에서는 데이터 전송 중 충돌이 발생하여 C/R이 발생하였습니다. 이 때, 충돌이 발생한 두 개의 데이터 프레임은 동시에 전송되어 충돌이 발생하였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재전송을 진행합니다. 따라서 C/R은 충돌 발생 시 재전송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특성방정식 S2+KS+2K-1=0인 계가 안정될 K의 범위는?

  1. K > 0
  2. K > 1/2
  3. K < 1/2
  4. 0 < K < 1/2
(정답률: 17%)
  • 안정된 시스템의 특성방정식은 모든 근의 실수부가 음수여야 한다. 따라서 S의 실수부가 음수인 근을 가지려면 K의 값이 어떤 범위에 있어야 한다.

    특성방정식에서 판별식 D = K2-8K+9가 0보다 크거나 같아야 한다. 왜냐하면 D가 0보다 작으면 근이 복소수가 되어 시스템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이다.

    D = K2-8K+9 = (K-1)(K-7)이므로, D가 0보다 크거나 같은 조건은 K가 1보다 크고 7보다 작거나 같을 때이다. 따라서 K의 범위는 1 < K ≤ 7이다.

    하지만 이 범위에서도 모든 근의 실수부가 음수인지 확인해야 한다. 특성방정식의 근은 S = (-K ± √(K2-8K+9))/2 이므로, S의 실수부는 (-K)/2이다. 따라서 K > 0이어야 모든 근의 실수부가 음수가 된다.

    결론적으로, K의 범위는 K >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상태 방정식에 대한 특성방정식을 구하면?

  1. s2-4s-3=0
  2. s2-4s+3=0
  3. s2+4s+3=0
  4. s2+4s-3=0
(정답률: 16%)
  • 주어진 상태 방정식은 s2-4s+3=0 이다. 이를 특성방정식으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상태방정식의 해가 시간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하는 형태여야 한다. 이는 상태방정식의 해가 e-st 형태로 나타날 때 성립한다. 따라서, s2-4s+3=0 의 해를 구하면 s=1,3 이므로 특성방정식은 (s-1)(s-3)=0 으로 나타낼 수 있고, 이를 전개하면 s2-4s+3=0 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s2-4s+3=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근궤적 에서 점근선의 교차점은?

  1. -6
  2. -4
  3. 6
  4. 4
(정답률: 18%)
  • 주어진 근궤적에서 x축과 만나는 두 점 중에서 x값이 가장 작은 점과 x축의 접선이 교차하는 점이 점근선의 교차점이 된다.

    근궤적은 y = (x+2)(x+4)로 주어졌으므로, x축과 만나는 두 점은 (-2,0)과 (-4,0)이다.

    두 점 중에서 x값이 가장 작은 점은 (-4,0)이므로, 이 점에서의 접선의 방정식을 구해보면 y = 0x + 4 = 4이다.

    따라서 점근선과의 교차점은 y = 4인 직선과 x축의 교점으로, x = -4이다.

    따라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논리식 와 같은 논리식은?

(정답률: 18%)
  • 이 논리식은 AND 연산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든 조건이 참이어야 전체가 참이 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논리식의 값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81. 엘리베이터 등의 승강로 내에 시설되는 저압 옥내배선에 사용되는 전압의 최대한도는?

  1. 250V미만
  2. 300V미만
  3. 400V미만
  4. 600V미만
(정답률: 18%)
  • 엘리베이터 등의 승강로 내에 시설되는 저압 옥내배선은 인체에 대한 안전성을 고려하여 전압이 낮아야 합니다. 따라서 최대 전압은 400V미만으로 제한됩니다. 이는 인체에 대한 감전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250V미만이나 300V미만으로 설정하면 전기적인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고, 600V미만으로 설정하면 과도한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400V미만이 가장 적절한 선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전로와 저압 전로를 변압기에 의하여 결합하는 경우의 제2종 접지공사에 사용하는 연동접지선 굵기는 최소 몇 mm2 이상인가?

  1. 0.75
  2. 2.5
  3. 6
  4. 8
(정답률: 17%)
  • 특고압 가공전선로와 저압 전로를 결합하는 경우, 전로의 전압 차이로 인한 전기적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제2종 접지공사를 수행해야 한다. 이때 연동접지선은 전로의 전압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전로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굵기를 선택해야 한다.

    따라서, 연동접지선의 굵기는 전로의 크기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6mm2 이상의 굵기를 가지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정답은 "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합성수지관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 시설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관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1.2m 이하로 할 것
  2. 박스 기타의 부속품을 습기가 많은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방습 장치로 할 것
  3. 사용 전선은 절연전선일 것
  4. 합성수지관 안에는 전선의 접속점이 없도록 할 것
(정답률: 18%)
  • "관의 지지점 간의 거리는 1.2m 이하로 할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합성수지관은 열팽창이 크기 때문에 일정한 간격으로 지지점을 두어야 합니다. 따라서 지지점 간의 거리는 2m 이상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과전류 차단기로서 저압 전로에 사용하는 400[A] 퓨즈를 수평으로 붙여서 시험할 때 정격전류의 1.6배 및 2배의 전류를 통하는 경우 각각 몇 분 안에 용단되어야 하는가?

  1. 60분, 4분
  2. 120분, 6분
  3. 120분, 8분
  4. 180분, 10분
(정답률: 16%)
  • 400[A] 퓨즈의 정격전류는 400[A]이므로, 1.6배인 640[A]와 2배인 800[A]를 통과할 때 용단되어야 합니다.

    용단시간은 전류의 크기와 시간에 반비례하므로, 전류가 2배가 되면 용단시간은 반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640[A]를 통과할 때 용단되는 시간은 400[A]의 용단시간인 180분의 반인 90분이 되고, 800[A]를 통과할 때 용단되는 시간은 400[A]의 용단시간인 180분의 1/4인 45분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80분, 10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2차측 개방전압이 7kV 이하인 절연변압기를 사용하고 절연 변압기의 1차측 전로를 자동적으로 차단하는 보호장치를 시설한 경우의 전격살충기는 전격격자가 지표상 또는 마루 위 몇 m 이상의 높이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5
  2. 1.8
  3. 2.5
  4. 3.5
(정답률: 14%)
  • 전격살충기의 설치 높이는 전기안전규정 제 6장 제 2조에 따라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 2차측 개방전압이 7kV 이하인 경우: 1.8m 이상
    - 2차측 개방전압이 7kV 초과인 경우: 2.5m 이상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2차측 개방전압이 7kV 이하인 경우이므로 전격살충기의 설치 높이는 1.8m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1.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제3종 접지 공사 및 특별 제3종 접지 공사의 접지선에 다심 코드 또는 다심 캡타이어 케이블의 일심을 사용하는 경우의 접지선의 최소 굵기는 몇 [mm2]인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0.75
  2. 1.25
  3. 6
  4. 8
(정답률: 21%)
  • 기존 규정에서는 제3종 접지 및 특별 제3종 접지 공사에서 접지선에 다심 코드 또는 다심 캡타이어 케이블의 일심을 사용하는 경우, 접지선의 최소 굵기는 0.75mm2였습니다. 이는 다심 케이블의 경우 일반적으로 단심 케이블보다 전도면적이 작기 때문에, 최소한의 전도면적을 보장하기 위해 규정된 것입니다. 하지만 현재는 규정이 개정되어 최소 굵기는 1.25mm2로 변경되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0.7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 중 전선로의 지지물 양쪽의 경간의 차가 큰 곳에 사용하는 철탑은?

  1. 내장형 철탑
  2. 인류형 철탑
  3. 보강형 철탑
  4. 각도형 철탑
(정답률: 22%)
  • 내장형 철탑은 전선로의 지지물 양쪽의 경간의 차가 큰 곳에 사용되며, 기둥 안쪽에 철판을 내장하여 강도를 보강한 구조로, 안정성이 높고 내구성이 강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선택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전기울타리의 시설에 관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수목과의 이격 거리는 30㎝ 이상일 것
  2. 전선은 지름이 2mm 이상의 경동선일 것
  3. 전선과 이를 지지하는 기둥 사이의 이격거리는 2㎝ 이상일 것
  4. 전기울타리용 전원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의 사용전압은 250V 이하일 것
(정답률: 10%)
  • 전선과 이를 지지하는 기둥 사이의 이격거리가 2㎝ 이상이어야 안전하게 울타리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격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전선이 땅이나 다른 물체에 닿아 전기가 누출되어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격거리는 꼭 지켜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시설하는 지선의 시설 기준에 대한 설명 중 알맞은 것은?

  1. 지선의 안전율은 3.0 이상이어야 한다.
  2. 연선을 사용할 경우에는 소선(素線) 3가닥 이상이어야 한다.
  3. 지중의 부분 및 지표상 20㎝ 까지의 부분에는 내식성이 있는 것 또는 아연도금을 한다.
  4. 도로를 횡단하여 시설하는 지선의 높이는 지표상 4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23%)
  • 연선은 하나의 선으로는 강도가 부족하기 때문에 여러 개의 소선을 묶어서 사용합니다. 따라서 연선을 사용할 경우에는 소선 3가닥 이상이어야 강도가 충분해지므로 안전성이 확보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저압 전로에서 그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경우 0.5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자동 차단기의 정격감도 전류를 100mA로 하여 설치하고자 하는데, 이 때 제3종 접지송사의 저항값은 몇 Ω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단, 전기적 위험도가 높은 장소이다.)

  1. 150
  2. 200
  3. 300
  4. 500
(정답률: 17%)
  • 자동 차단기의 정격감도 전류가 100mA이므로, 지락이 발생하면 전류는 100mA 이상이 흐르게 된다. 이 때, 제3종 접지송사의 저항값을 R이라고 하면, 전압은 Ohm의 법칙에 따라 V=IR이 된다. 여기서 전압이 높으면 전기적 위험도가 높아지므로, 최대한 전압을 낮추기 위해 R을 작게 해야 한다.

    따라서, V=100mA x R 이 50V 이하가 되도록 R을 구해야 한다. 이를 만족하는 최소의 R 값은 150Ω이므로, 정답은 "15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사용전압 22.9kV 특고압 가공전선과 저고압 가공전선 등 또는 이들의 지지물이나 지주 사이의 이격거리는 최소 몇 m 이상이어야 하는가? (단, 특고압 가공전선이 저고압 가공전선과 제1차 접근 상태일 경우이다.)

  1. 1.5
  2. 2
  3. 2.5
  4. 3
(정답률: 14%)
  • 사용전압이 22.9kV인 경우, 이격거리는 최소 2m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안전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규정으로, 특고압 가공전선과 저고압 가공전선, 그리고 이들의 지지물이나 지주 사이의 최소 안전거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전력보안 가공 통신선을 횡단보도교의 위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그 노면상 몇 m 이상의 높이에 시설하여야 하는가?

  1. 3
  2. 3.5
  3. 4
  4. 4.5
(정답률: 10%)
  • 전력보안 가공 통신선을 횡단보도교의 위에 시설하는 경우에는 노면과의 최소 높이가 3m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한 규정으로, 보행자가 통신선에 부딪히거나 걸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저압 옥측전선로의 시설로 잘못된 것은?

  1. 철골주 조영물에 버스덕트공사로 시설
  2. 합성수지관공사로 시설
  3. 목조 조영물에 금속관공사로 시설
  4. 전개된 장소에 애자사용공사로 시설
(정답률: 20%)
  • 저압 옥측전선로는 전기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안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시설물의 안전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철골주 조영물에 버스덕트공사로 시설", "합성수지관공사로 시설", "전개된 장소에 애자사용공사로 시설"은 모두 안전한 시설로 간주됩니다. 그러나 "목조 조영물에 금속관공사로 시설"은 안전하지 않은 시설입니다. 목조 조영물은 불안정하며, 금속관공사는 전기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노출되어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목조 조영물에 금속관공사로 시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전기욕기의 시설에서 진기욕기용 전원장치로부터 욕탕안의 전극까지의 전선 상호간 및 전선과 대지사이의 절연저항 값은 몇 MΩ 이상이어야 하는가?

  1. 0.1
  2. 0.2
  3. 0.3
  4. 0.4
(정답률: 18%)
  • 전기욕기는 인체에 전기적인 자극을 주는 기기이기 때문에 안전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전원장치와 전극 사이의 전선 상호간 절연저항 값은 0.1 MΩ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전기적인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국제적인 기준값으로, 전선과 대지사이의 절연저항 값도 0.1 MΩ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 값보다 작으면 전기적인 충격을 받을 수 있으므로, 안전을 위해 이 값을 준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사용전압 66kV 가공전선과 6kV 가공 전선을 동일 지지물에 시설하는 경우, 특고압 가공전손은 케이블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단면적이 몇 mm2인 경동연선 또는 이외동등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연선이어야 하는가?

  1. 22
  2. 38
  3. 55
  4. 100
(정답률: 19%)
  • 66kV와 6kV의 전압차이가 크기 때문에 전압강하를 최소화하기 위해 특고압 가공전선은 단면적이 큰 연선을 사용해야 한다. 이 때, 경동연선이나 이외동등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연선은 단면적이 작아 전압강하가 크기 때문에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단면적이 55mm2인 연선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전선으로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의 시설로 옳지 않은 것은?

  1. 케이블은 조가용선에 행거에 의하여 시설한다.
  2. 케이블은 조가용선에 접촉시키고 비닐테이프 등을 30㎝ 이상의 간격으로 감아 붙인다.
  3. 조가용선은 단면적 22mm2 이상의 아연도강연선 또는 동등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연선을 사용한다.
  4. 조가용선 및 케이블의 피복에 사용한 금속체에는 제3종 접지공사를 한다.
(정답률: 17%)
  • 케이블을 조가용선에 접촉시키고 비닐테이프 등을 30㎝ 이상의 간격으로 감아 붙이는 것은 옳은 시설 방법이다. 따라서, "케이블은 조가용선에 접촉시키고 비닐테이프 등을 30㎝ 이상의 간격으로 감아 붙인다."이 옳지 않은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직류식 전기철도에서 배류선은 상승부분 중 지표상 몇 m 미만의 부분에 대하여는 절연전선 · 캡타이어 케이블 또는 케이블을 사용하고,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고 또한 손상을 받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여야 하는가?

  1. 2.0
  2. 2.5
  3. 3.0
  4. 3.5
(정답률: 13%)
  • 배류선이 지표상 2.5m 이하에 위치할 경우, 사람이 접촉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절연전선 또는 캡타이어 케이블을 사용하여 절연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인가가 많이 연접되어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가공전선로의 구성재 중 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 또는 가섭선에 적용하는 풍압하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갑종 풍압하중의 1.5배를 적용시켜야 한다.
  2. 을종 풍압하중의 2배를 적용시켜야 한다.
  3. 병종 풍압하중을 적용시킬 수 있다.
  4. 갑종 풍압하중과 을종 풍압하중 중 큰 것만 적용시킨다.
(정답률: 17%)
  • 인가가 많이 연접되어 있는 장소에 시설하는 가공전선로의 구성재 중 고압 가공전선로의 지지물 또는 가섭선에 적용하는 풍압하중은 병종 풍압하중을 적용시킬 수 있다. 이는 인가가 많이 연접되어 있는 장소에서는 풍력이 강해지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병종 풍압하중을 적용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뱅크용량이 10000kVA 이상인특고압 변압기의 내부 고장이 발생하면 어떤 보호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자동차단장치
  2. 경보장치
  3. 표시장치
  4. 경보 및 자동차단장치
(정답률: 15%)
  • 뱅크용량이 10000kVA 이상인 특고압 변압기는 대규모 전력을 공급하는 중요한 장비이므로 내부 고장이 발생하면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자동차단장치를 설치해야 합니다. 자동차단장치는 고장 발생 시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여 장비를 보호하고, 불안전한 상황을 예방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대규모 장비에서는 자동차단장치가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태양전지 발전소에 시설하는 태양전지 모듈 시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충전부분은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시설할 것
  2. 태양전지 모듈에 접속하는 부하측 전로에는 그 접속점에 멀리하여 개폐기를 시설할 것
  3. 전선은 공칭단면적 2.5mm2 이상의 연동선 또는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일 것
  4. 태양전지 모듈을 병렬로 접속하는 전로에는 전로를 보호하는 과전류차단기 등을 시설할 것
(정답률: 18%)
  • "태양전지 모듈에 접속하는 부하측 전로에는 그 접속점에 멀리하여 개폐기를 시설할 것"이 틀린 것이다. 이유는 개폐기는 전기회로를 차단하거나 연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접속점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면 전기회로를 제어할 수 없다. 따라서 개폐기는 접속점 바로 옆에 시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