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5-09)

건설안전기사
(2010-05-0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안전관리론

1.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정의한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업주”란 근로자를 사용하여 사업을 행하는 자를 말한다.
  2. “근로자대표”란 근로자의 과반수로 조직된 노동조합이 있는 경우에는 그 노동조합을 말한다.
  3. “중대재해”란 산업재해 중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5인 이상 발생한 재해를 말한다.
  4. “산업재해”란 근로자가 업무에 관계되는 건선물·설비·원재료·가스·증기·분진 등에 의하거나 작업 또는 그 밖의 업무로 인하여 사망 또는 부상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84%)
  • “중대재해”란 산업재해 중 부상자 또는 직업성 질병자가 동시에 5인 이상 발생한 재해를 말한다. (설명이 틀린 것은 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무재해운동 추진의 3요소(기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새로운 리더십의 도입
  2. 최고경영자의 경영자세
  3. 직장 소집단의 자주활동의 활발화
  4. 관리감독자에 의한 안전보건의 추진
(정답률: 78%)
  • 정답: "새로운 리더십의 도입"

    설명: 무재해운동 추진의 3요소(기둥)은 최고경영자의 경영자세, 직장 소집단의 자주활동의 활발화, 관리감독자에 의한 안전보건의 추진입니다. 이들은 모두 조직 내에서 안전과 건강을 촉진하기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반면에 "새로운 리더십의 도입"은 무재해운동 추진의 보조적인 요소로, 조직 내에서 새로운 리더십을 도입하여 안전과 건강을 더욱 강조하고 촉진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는 무재해운동 추진의 3요소(기둥)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위험예지훈련 4라운드의 진행방법을 4단계로 구분할 때 “본질추구”는 제 몇 라운드에 해당하는가?

  1. 제1라운드
  2. 제2라운드
  3. 제3라운드
  4. 제4라운드
(정답률: 85%)
  • "본질추구"는 제2라운드에 해당한다. 이는 위험예지훈련 4라운드의 진행방법 중에서, 제2라운드에서는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요소를 추출하고, 그것이 어떤 본질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질추구"는 제2라운드에서 이루어지는 핵심적인 작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규정한 안전관리자 직무와 거리가 먼 것은?

  1. 안전 · 보건에 관한 노사협의체에서 심의 · 의결한 직무
  2.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작업관리
  3. 해당 사업장 안전교육계획의 수립 및 실시
  4. 산업재해 발생의 원인 조사 및 재발 방지를 위한 기술적 지도 · 조언
(정답률: 65%)
  •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작업관리"가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안전관리자의 주요 업무 중 하나로 규정되어 있으며, 작업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건강 위험을 사전에 예방하고 대처하기 위한 작업관리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작업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질병이나 부상 등의 건강장해를 예방하기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사고예방대책의 기본원리 5단계 중 3단계의 분석 평가내용에 해당하는 것은?

  1. 위험 확인
  2. 현장 조사
  3. 사고 및 활동 기록 검토
  4. 기술의 개선 및 인사조정
(정답률: 54%)
  • 3단계인 분석 평가는 사고가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하는 단계입니다. 이를 위해 현장 조사가 필요합니다. 현장 조사는 사고가 발생한 장소나 시설 등을 직접 방문하여 상황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분석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사고의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현장 조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할로겐가스용 방독마스크의 정화통 외부 측면의 표시 색으로 옳은 것은?

  1. 갈색
  2. 회색
  3. 녹색
  4. 노랑색
(정답률: 75%)
  • 정답은 "회색"입니다. 이는 할로겐가스용 방독마스크의 정화통 외부 측면에 있는 흡착제가 포화되었음을 나타내는 색입니다. 회색은 흡착제가 포화되어 정화통을 교체해야 함을 나타내는 색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산업안전보건법상의 안전 · 보건표지 중 지시표지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귀마개 착용
  2. 안전복 착용
  3. 안전대 착용
  4. 안전장갑 착용
(정답률: 67%)
  • 안전대 착용은 안전 · 보건표지 중 지시표지의 종류가 아닙니다. 안전대는 작업 중 추락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장비이며, 안전대 착용은 안전 규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안전 · 보건표지 중 지시표지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참모식 안전조직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100명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에 적합하다.
  2. 생산부분은 안전에 대한 책임과 권한이 없다.
  3. 명령과 보고가 상하관계 뿐이므로 간단명료하다.
  4. 조직원 전원을 자율적으로 안전 활동에 참여시킬 수 있다.
(정답률: 73%)
  • 정답은 "생산부분은 안전에 대한 책임과 권한이 없다." 이다. 참모식 안전조직은 안전에 대한 책임과 권한을 전적으로 안전담당자나 안전관리자에게 부여하고, 생산부분은 생산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안전에 대한 책임과 권한을 부여하지 않는다. 이는 안전과 생산의 분리를 통해 안전성을 높이고, 생산성을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할 사업은 몇 명 이상의 상시근로자를 사용하는 사업으로 하며, 작성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몇 일 이내에 작성하여야 하는가?

  1. 50명, 15일
  2. 50명, 30일
  3. 100명, 15일
  4. 100명, 30일
(정답률: 67%)
  •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할 사업은 상시근로자가 100명 이상인 사업이며, 작성 사유가 발생한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작성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명, 30일" 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상시근로자 수나 작성 기간이 다르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안전점검시 유의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안전 점검의 형식, 내용에 변화를 부여하여 몇 가지 점검 방법을 병용한다.
  2. 점검자의 능력을 감안하여 능력에 따른 점검을 실시한다.
  3. 중대재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사소한 사항은 간단히 조사한다.
  4. 불량 요소가 발견되었을 경우 다른 동종의 설비에 대해서도 점검한다.
(정답률: 76%)
  • "중대재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사소한 사항은 간단히 조사한다."는 적절하지 않은 유의사항입니다. 모든 사소한 사항도 중대재해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사항을 철저하게 조사해야 합니다.

    간단명료한 설명: 모든 사소한 사항도 중대재해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사항을 철저하게 조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재해손실비의 산정방식 중 버드(Frank Bird) 방식의 구성비율로 옳은 것은?(단, 구성은 보험비 : 비보험 재산비용 : 기타재산비용이다.)

  1. 1 : 1 ~ 3 : 7 ~ 15
  2. 1 : 1 ~ 10 : 1 ~ 5
  3. 1 : 2 ~ 10 : 5 ~ 50
  4. 1 : 5 ~ 50 : 1 ~ 3
(정답률: 59%)
  • 버드(Frank Bird) 방식은 보험금 청구 시 보험비, 비보험 재산비용, 기타재산비용을 고려하여 산정하는 방식이다. 이 중 구성비율은 보험비 : 비보험 재산비용 : 기타재산비용으로 나누어진다. 따라서 정답인 "1 : 5 ~ 50 : 1 ~ 3"은 보험비는 1, 비보험 재산비용은 5~50, 기타재산비용은 1~3의 비율로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보험금 청구 시 보험비와 비보험 재산비용이 큰 비중을 차지하며, 기타재산비용은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400명이 근무하는 A사업장에서는 1년 동안 30건의 재해가 발생하였다. 1일 9시간, 연간 250일을 근무하는 이 사업장의 도수율은 약 얼마인가?

  1. 31.25
  2. 33.33
  3. 75.05
  4. 79.99
(정답률: 75%)
  • 도수율은 일정 기간 동안 발생한 재해 건수를 근무자 수와 근무일수로 나눈 후 100을 곱한 값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도수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도수율 = (30 ÷ 400 ÷ 250) × 100 = 0.003 × 100 = 0.3%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반올림하면 0.33%가 되고, 이는 보기에서 "33.33"과 일치한다. 따라서 정답은 "33.3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사업장에서 58명이 경상을 잆었다면, 하인리히의 재해 구성비율에 따를 경우 무상해사고 재해자는 몇 명 정도가 발생하였겠는가?

  1. 500명
  2. 600명
  3. 700명
  4. 800명
(정답률: 86%)
  • 문제에서 하인리히의 재해 구성비율에 따라 무상해사고와 재해자가 발생한다고 했으므로, 전체 인원 중 하인리히의 재해 구성비율을 구해야 한다.

    재해 구성비율은 무상해사고와 재해자의 비율을 의미하며, 문제에서 무상해사고는 1:3, 재해자는 1:7의 비율로 발생한다고 했다.

    따라서, 무상해사고와 재해자의 비율을 합하면 1+3+7=11이 되고, 이 중 하인리히의 비율은 1+3=4이다.

    따라서, 전체 인원 58명 중 하인리히의 비율은 58/11*4=20명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 무상해사고는 제외하고 재해자만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무상해사고 20명 중 하인리히의 비율인 1/4을 곱해 빼줘야 한다.

    따라서, 무상해사고 5명을 제외한 하인리히의 재해자는 20-5/4=15명이 된다.

    따라서, 무상해사고를 제외한 하인리히의 재해자는 15명이므로, 정답은 "600명"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재해사례연구의 진행단계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재해 상황 파악 → 사실 확인 → 문제점 발견 → 문제점 결정 → 대책수립
  2. 사실 확인 → 재해 상황 파악 → 문제점 발견 → 문제점 결정 → 대책수립
  3. 문제점 발견 → 사실 확인 → 재해 상황 파악 → 문제점 결정 → 대책수립
  4. 문제점 발견 → 재해 상황 파악 → 사실 확인 → 문제점 결정 → 대책수립
(정답률: 81%)
  • 정답은 "재해 상황 파악 → 사실 확인 → 문제점 발견 → 문제점 결정 → 대책수립"입니다.

    재해사례연구는 재해가 발생한 상황을 파악하고, 그 원인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대책을 수립하는 과정입니다. 따라서, 먼저 재해 상황을 파악하고, 그 다음에 사실을 확인하며, 문제점을 발견합니다. 그리고 문제점을 결정하고, 대책을 수립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야만 재해를 예방하고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찾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구성 중 사용자 위원이 아닌 것은?

  1. 안전관리자
  2. 명예산업안전간독관
  3. 해당 사업의 대표자가 지명한 9인 이내 해당 사업장 부서의 장
  4. 보건관리자의 업무를 위탁한 경우 대행기관의 해당 사업장 담당자
(정답률: 84%)
  • 명예산업안전간독관은 사용자 위원이 아닌 것입니다. 이는 명예직이며, 산업안전보건법 제6조에 따라 대통령이 임명합니다. 따라서, 사용자 위원은 안전관리자, 해당 사업의 대표자가 지명한 9인 이내 해당 사업장 부서의 장, 보건관리자의 업무를 위탁한 경우 대행기관의 해당 사업장 담당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재해의 직접원인 중 물적 원인이 아닌 것은?

  1. 방호장치의 결함
  2. 주변 환경의 미정리
  3. 보호구 미착용
  4. 조명 및 환기불량
(정답률: 82%)
  • 보호구 미착용은 인적 요인에 해당하며, 사람들이 안전을 고려하지 않거나 무시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안전모나 안전벨트를 착용하지 않고 차량을 운전하거나 공사 현장에서 안전화를 착용하지 않고 일을 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호구 미착용은 물리적인 원인이 아니라 인적 요인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공기압축기를 가동하는 때의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의 점검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윤활유의 상태
  2. 압력방출장치의 기능
  3. 회전부의 덮개 또는 울
  4.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유무
(정답률: 60%)
  • 공기압축기를 가동하기 전에 점검해야 할 사항은 윤활유의 상태, 압력방출장치의 기능, 회전부의 덮개 또는 울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유무는 점검해야 할 사항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유는 비상정지장치는 공기압축기의 안전을 위해 설치되었지만, 작업시작 전에 점검해야 할 사항은 공기압축기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상정지장치 기능의 이상유무는 작업 중에도 점검해야 하며, 작업시작 전에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작업환경측정대상 화학적 인자(발암성물질)를 취급하는 작업장에서 작업환경 측정결과 측정치가 노출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유해인자에 대하여 그 측정일로부터 몇 개월에 1회 이상 작업환경측정을 실시하여야 하는가?

  1. 1개월
  2. 2개월
  3. 3개월
  4. 6개월
(정답률: 52%)
  • 작업환경측정대상 화학적 인자(발암성물질)를 취급하는 작업장에서 작업환경 측정결과 측정치가 노출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해당 유해인자에 대하여 3개월에 1회 이상 작업환경측정을 실시하여야 합니다. 이는 해당 유해인자에 노출된 근로자들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로서, 노출량이 지속적으로 변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개월에 1회 이상 작업환경측정을 실시하여 노출량을 파악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 근로자들의 건강을 보호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재해 사례 연구의 주된 목적으로 틀린 것은?

  1. 재해요인을 체계적으로 규명하여 이에 대한 대책을 세우기 위해서
  2. 재해요인을 조사하여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3. 재해 방지의 원칙을 습득해서 이것을 일상 안전 보건 활동에 실천하기 위해서
  4. 참가자의 안전보건활동에 관한 견해나 생각을 깊게 하고, 태도를 바꾸게 하기 위해서
(정답률: 85%)
  • 재해 사례 연구의 주된 목적은 "재해요인을 체계적으로 규명하여 이에 대한 대책을 세우기 위해서"이다. 이를 통해 비슷한 재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고,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대책을 마련할 수 있다.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는 것은 부수적인 목적일 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안전관리에 있어 PDCA 싸이클의 관련된 내용이 틀린 것은?

  1. P : Plan
  2. D : Do
  3. C : Control
  4. A : Act
(정답률: 87%)
  • PDCA 사이클은 계획(Plan), 실행(Do), 검토(Check), 개선(Action)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C : Control"은 PDCA 사이클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검토(Check) 단계에서는 결과를 평가하고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Action) 계획을 수립합니다. 이후 개선 계획을 실행(Do)하고, 다시 결과를 검토(Check)하여 지속적인 개선을 이루어 나가는 것이 PDCA 사이클의 핵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산업심리 및 교육

21. 다음 중 스트레스에 대하여 반응하는데 있어서 개인 차이의 이유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자기 존중감의 차이
  2. 성(性)의 차이
  3. 작업시간의 차이
  4. 강인성의 차이
(정답률: 76%)
  • 작업시간의 차이는 스트레스에 대한 개인 차이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은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개인의 성격, 가치관, 성별 등과 관련하여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한 보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 내 안전 · 보건교육에 있어 채용시 및 작업내용 변경시의 교육 내용으로 옳은 것은?

  1. 사고 발생시 긴급조치에 관한 사항
  2. 건강증진 및 질병 예방에 관한 사항
  3. 유해 · 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대한 사항
  4. 작업공정의 유해 · 위험과 재해 예방대책에 관한 사항
(정답률: 43%)
  • 사고 발생시 긴급조치에 관한 사항은 사고가 발생했을 때 즉각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과 절차를 교육하는 것입니다. 이는 사고 발생 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내용입니다. 예를 들어, 화재 발생 시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상처를 입었을 때의 응급처치 방법 등이 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직무명세서에 포함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장비 및 도구
  2. 기술 수준
  3. 교육 수준
  4. 작업 경험
(정답률: 57%)
  • "장비 및 도구"는 직무 수행에 필요한 장비와 도구를 명시하는 것으로, 다른 보기들은 직무 수행에 필요한 개인 역량과 관련된 사항이므로 직무명세서에 포함되는 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매슬로우(Maslow)에 의해 재시된 인간의 욕구 5단계 이론 중 가장 저차원적인 욕구에 해당되는 것은?

  1. 자아실현의 욕구
  2. 안전욕구
  3. 생리적 욕구
  4. 사회적 욕구
(정답률: 78%)
  • 생리적 욕구는 인간의 생존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욕구로서, 식사, 수면, 체온 조절 등과 같은 기본적인 생리적 필요를 충족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욕구들이 충족되기 위해서는 먼저 생리적 욕구가 충족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O.J.T(On the Job Training)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직장의 실정에 맞게 실제적 훈련이 가능하다.
  2. 교육을 통한 훈련효과에 의해 상호 신뢰이해도가 높아진다.
  3. 대상자의 개인별 능력에 따라 훈련의 진도를 조정하기가 쉽다.
  4. 교육훈련 대상자가 교육훈련에만 몰두할 수 있어 학습효과가 높다.
(정답률: 72%)
  • "교육훈련 대상자가 교육훈련에만 몰두할 수 있어 학습효과가 높다."가 아닌 것은 없다.

    O.J.T는 직장의 실정에 맞게 실제적 훈련이 가능하고, 교육을 통한 훈련효과에 의해 상호 신뢰이해도가 높아지며, 대상자의 개인별 능력에 따라 훈련의 진도를 조정하기가 쉽다. 또한 O.J.T는 교육훈련 대상자가 실제 업무를 수행하면서 학습하므로 학습효과가 높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부주의의 발생원인 중 외적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작업순서 부적당
  2. 작업 및 환경조건 불량
  3. 기상 조건
  4. 경험 부족 및 미숙련
(정답률: 77%)
  • 외적 조건은 작업 및 환경조건 불량과 기상 조건이며, 경험 부족 및 미숙련은 내적인 요인으로 작업자의 능력과 경험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경험 부족 및 미숙련은 외적 조건이 아닌 내적 요인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산업안전심리의 5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동기
  2. 감정
  3. 습관
  4. 시간
(정답률: 80%)
  • 시간은 산업안전심리의 5요소 중에 속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시간은 개인의 심리적인 상태나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즉, 시간은 개인의 동기, 감정, 습관 등과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재해 빈발자 중 기능의 부족이나 환경에 익숙하지 못하기 때문에 재해가 자주 발생되는 사람을 의미하는 것은?

  1. 미숙성 누발자
  2. 상황성 누발자
  3. 습관성 누발자
  4. 소질성 누발자
(정답률: 64%)
  • 미숙성 누발자는 기능의 부족이나 환경에 익숙하지 못하기 때문에 재해가 자주 발생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즉, 경험이 부족하거나 지식이 부족하여 적극적인 대처가 어려운 사람들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레빈(K. Lewin)이 제시한 인간의 행동에 관한 관계식을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인간의 행동(B)은 개인(P)와 환경(E)의 상호 함수관계에 있다.
  2. 인간의 행동(B)은 개인(P)와 교육(E)의 상호 함수관계에 있다.
  3. 개인(P)에 관한 변수는 인간관계를 의미한다.
  4. 교육(E)에 관한 변수는 개인의 지능, 학력 등이 관계된다.
(정답률: 75%)
  • 인간의 행동은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개인의 성격, 태도, 가치관 등과 같은 내적인 요인과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는 외적인 요인이 상호작용하여 인간의 행동이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인간의 행동(B)은 개인(P)와 환경(E)의 상호 함수관계에 있다."가 옳은 설명이다. 다른 보기들은 레빈의 관계식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인간관계 관리기법으로 커뮤니케이션의 개선 방안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집단역학
  2. 제안제도
  3. 고충처리제도
  4. 인사상담제도
(정답률: 66%)
  • 집단역학은 인간관계를 개선하는 기법이 아니라, 집단 내부의 상호작용과 그에 따른 행동 패턴을 이해하고 조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커뮤니케이션의 개선 방안으로 볼 수 없습니다. 제안제도, 고충처리제도, 인사상담제도는 모두 조직 내부의 인간관계를 개선하고,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교육목적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교육목적은 교육이념에 근거한다.
  2. 교육목적은 개념상 이념이나 목표보다 광범위하고 포괄적이다.
  3. 교육목적의 기능으로는 방향의 지시, 교육 활동의 통제 등이 있다.
  4. 교육목적은 교육목표의 하위개념으로 학습경험을 통한 피교육자들의 행동변화를 지칭하는 것이다.
(정답률: 56%)
  • "교육목적은 개념상 이념이나 목표보다 광범위하고 포괄적이다."는 적절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교육목적은 교육이념이나 목표에 근거하여 구체적이고 명확한 방향성을 가지며, 광범위하고 포괄적인 개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교육 프로그램의 타당도를 평가할 수 있는 4가지 차원이 아닌 것은?

  1. 효과 타당도
  2. 전이 타당도
  3. 조직내 타당도
  4. 조직간 타당도
(정답률: 54%)
  • 정답: 조직내 타당도

    효과 타당도는 교육 프로그램이 목표한 학습 성과를 달성하는지 평가하는 차원이다. 즉, 교육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지식, 기술, 태도 등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지를 측정한다.

    전이 타당도는 교육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실제 업무에 적용되는지 평가하는 차원이다. 즉, 교육 프로그램이 학습자의 업무 성과를 개선시키는 전이 효과가 있는지를 측정한다.

    조직내 타당도는 교육 프로그램이 조직 내에서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지 평가하는 차원이다. 즉, 교육 프로그램이 조직 문화, 제도, 인력 등과 조화를 이루며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지를 측정한다.

    조직간 타당도는 교육 프로그램이 다른 조직에서도 적용될 수 있는지 평가하는 차원이다. 즉, 교육 프로그램이 다른 조직에서도 유사한 학습 성과를 달성할 수 있는지를 측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엔드라고지 모델에 기초한 학습자로서의 성인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성인들은 주제중심적으로 학습하고자 한다.
  2. 성인들은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고자 한다.
  3. 성인들은 많은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학습에 참여한다.
  4. 성인들은 왜 배워야 하는지에 대해 알고자 하는 욕구를 가지고 있다.
(정답률: 74%)
  • "성인들은 많은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학습에 참여한다."가 아닌 것이다.

    성인들은 주제중심적으로 학습하고자 하는 이유는 그들이 이미 일상생활에서 많은 경험을 쌓았기 때문이다. 그들은 이전에 배운 것들과 연결하여 새로운 지식을 습득하고자 하며, 자기주도적으로 학습하고자 하는 욕구와 왜 배워야 하는지에 대한 욕구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모든 보기가 성인의 특징이지만, "많은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학습에 참여한다."는 엔드라고지 모델에 기초한 학습자로서의 성인의 특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Project method 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동기부여가 충분하다.
  2. 현실적인 학습방법이다.
  3. 창조력이 생긴다.
  4. 시간과 에너지가 적게 소비된다.
(정답률: 70%)
  • 시간과 에너지가 적게 소비된다는 것은 Project method의 장점이 아니라 단점이다. Project method는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학습하고 창조적인 문제해결 능력을 키우는 등의 장점이 있지만, 이를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과 에너지가 필요하다. 따라서 시간과 에너지를 적게 소비하는 것은 Project method의 장점이 아니라 오히려 한계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관찰법
  2. 실험법
  3. 반복법
  4. 투사법
(정답률: 43%)
  • 반복법은 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실험적 연구에서는 변수를 조작하여 인과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데, 반복법은 변수를 조작하지 않고 단순히 같은 실험을 반복하는 것으로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교육심리학에서는 관찰법, 실험법, 투사법 등을 주로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부주의가 발생하는 경우에 있어 자동차를 운전할 때 신호가 바뀌기 전에 신호가 바뀔 것을 예상하고 자동차를 출발시키는 행동과 관련된 것은?

  1. 억측판단
  2. 근도반응
  3. 의식의 우회
  4. 착시현상
(정답률: 82%)
  • 정답은 "억측판단"이다. 이는 신호가 바뀔 것을 예상하고 출발하는 행동이므로, 신호가 바뀌기 전에 출발하는 것은 신호를 확인하지 않고 억측하여 판단하는 것이다. 이는 부주의한 운전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교통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새로운 자료나 교재를 제시하고 문제점을 피교육자로 하여금 제기하게 하거나 그것에 관한 피교육자의 의견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발표하게 하고 청중과 토론자간에 활발한 의견 개진과 충돌로 바람직한 합의를 도출해내는 교육 실시방법은?

  1. 포럼(Forum)
  2. 심포지엄(Symposium)
  3. 자유토의법(Free Discussion Method)
  4. 패널 디스커션(Panel Discussion)
(정답률: 69%)
  • 포럼은 새로운 자료나 교재를 제시하고 문제점을 피교육자로 하여금 제기하게 하거나 그것에 관한 피교육자의 의견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발표하게 하고 청중과 토론자간에 활발한 의견 개진과 충돌로 바람직한 합의를 도출해내는 교육 실시방법이다. 따라서, 포럼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피로의 측정방법 중 근력 및 근활동에 대한 검사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EEG
  2. ECG
  3. EMG
  4. EOG
(정답률: 75%)
  • EMG는 근육의 활동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근육의 수축과 이완에 따라 발생하는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여 근육의 활동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근력 및 근활동에 대한 검사 방법으로 가장 적절합니다. EEG는 뇌파를 측정하는 방법, ECG는 심전도를 측정하는 방법, EOG는 안구운동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카운슬링(counseling)의 순서로 옳은 것은?

  1. 장면 구성 → 내담자와의 대화 → 감정 표출 → 감정의 명확화 → 의견 재분석
  2. 장면 구성 → 내담자와의 대화 → 의견 재분석 → 감정 표출 → 감정의 명확화
  3. 내담자와의 대화 → 장면 구성 → 감정 표출 → 감정의 명확화 → 의견 재분석
  4. 내담자와의 대화 → 장면 구성 → 의견 재분석 → 감정 표출 → 감정의 명확화
(정답률: 41%)
  • 정답은 "장면 구성 → 내담자와의 대화 → 감정 표출 → 감정의 명확화 → 의견 재분석"입니다.

    카운슬링에서는 먼저 내담자의 문제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장면 구성을 하고, 그 후 내담자와의 대화를 통해 문제 상황에 대한 이해를 높입니다. 그 다음으로 감정 표출을 유도하여 내담자의 감정을 드러내게 하고, 그 감정을 명확히 이해합니다. 마지막으로 의견 재분석을 통해 내담자가 가진 문제 상황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해결책을 찾아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리더십의 행동이론 중 관리 그리드(managerial grid)에서 인간에 대한 관심보다 업무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은 유형은?

  1. (1,1)
  2. (1,9)
  3. (5.5)
  4. (9.1)
(정답률: 58%)
  • 정답은 "(9.1)"이다. 이는 관리 그리드에서 업무에 대한 관심과 인간에 대한 관심을 각각 축으로 나타내어 9점과 1점으로 표현한 것이다. 따라서 "(9.1)"은 업무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고, 인간에 대한 관심은 낮은 유형을 나타낸다. 이러한 유형의 리더는 업무의 성과를 중시하며, 인간적인 측면보다는 업무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우선시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41. 다음 중 인간-기계 통합 체계의 인간 또는 기계에 의해서 수행되는 기본기능의 유형에 해하지 않는 것은?

  1. 감지
  2. 정보 보관
  3. 궤환
  4. 행동
(정답률: 67%)
  • 인간-기계 통합 체계에서 궤환은 유형이 아니라 용어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궤환을 제외하고 나머지 세 가지 기본기능인 감지, 정보 보관, 행동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작업만족도(job satisfaction)는 작업설계(job design)를 함에 있어 철학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다음 중 작업만족도를 얻기 위한 수단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작업확대(job enlargement)
  2. 작업윤택화(job enrichment)
  3. 작업감소(job reduce)
  4. 작업순환(job rotation)
(정답률: 59%)
  • 작업감소는 작업의 양이나 질을 감소시켜서 직원들의 업무 부담을 줄이는 것으로, 작업만족도를 높이는 수단으로 볼 수 없다. 오히려 직원들의 업무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작업감소(job reduce)"이다.

    - 작업확대(job enlargement): 직원들이 담당하는 업무의 범위를 넓혀서 업무 다양성을 높이는 것
    - 작업윤택화(job enrichment): 직원들이 담당하는 업무의 자율성과 책임감을 높여서 업무 만족도를 높이는 것
    - 작업순환(job rotation): 직원들이 일정 기간마다 업무를 회전하면서 다양한 업무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하는 것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디시전 트리(Decision Tree)를 재해사고의 분석에 이용한 경우의 분석법이며, 설비의 설계 단게에서부터 사용 단계 까지의 각 단계에서 위험을 분석하는 귀납적, 정량적 분석 방법은?

  1. ETA
  2. FMEA
  3. THERP
  4. CA
(정답률: 35%)
  • ETA는 Event Tree Analysis의 약자로, 사고 발생 시나리오를 나무 구조로 표현하여 사고 발생 원인과 결과를 추적하고 분석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귀납적이며 정량적인 분석 방법으로, 설비의 설계 단계에서부터 사용 단계까지 각 단계에서 위험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ETA는 디시전 트리와 유사하지만, 디시전 트리는 하나의 결정을 내리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ETA는 사고 발생 시나리오를 추적하고 분석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따라서 ETA가 재해사고의 분석에 이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FMEA의 표준적 실시절차를 “대상 시스템의 분석 → 고장의 유형과 그 영향의 해석 → 치명도 해석과 개선책의 검토”와 같이 3가지로 구분하였을 때 “대상 시스템의 분석”에 해당되는 것은?

  1. 치명도 해석
  2. 고장등급의 평가
  3. 고장형의 예측과 설정
  4. 기능 블록과 신뢰성 블록의 작성
(정답률: 36%)
  • "대상 시스템의 분석"은 기능과 구조를 파악하고 시스템의 요구사항을 이해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위해 기능 블록과 신뢰성 블록을 작성하여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상호작용을 파악하고, 시스템의 기능과 성능을 분석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기능 블록과 신뢰성 블록의 작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동작경제의 원치고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두 팔의 동작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 것
  2. 두 손의 동작은 같이 시작하고 같이 끝나도록 할 것
  3. 급작스런 방향의 전환은 피하도록 할 것
  4. 가능한 한 관성을 이용하여 작업하도록 할 것
(정답률: 55%)
  • "두 팔의 동작은 동시에 같은 방향으로 움직일 것"이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다른 보기들은 모두 작업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지만, 이 보기는 그와는 별개로 단순히 미적인 측면에서의 규칙일 뿐이기 때문입니다. 두 팔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움직인다고 해서 작업의 안정성이나 효율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시스템에 대하여 톱사상(Top Event)에 도달할 수 있는 최소 컷셋(Minimal Cut Sets)을 구할 때 다음 중 올바른 집합은? (단, ①,②,③,④는 각 부품의 고장확률을 의미하며 집합 {1,2}는 ①번 부품과 ②번 부품이 동시에 고장나는 경우를 의미한다.)

  1. {1, 2}. {3, 4}
  2. {1, 3}. {2, 4}
  3. {1, 3, 4}. {2, 3, 4}
  4. {1. 2. 4}. {3. 4}
(정답률: 60%)
  • 톱사상은 시스템 전체가 고장나는 상황을 의미한다. 따라서 각 부품이 동시에 고장나지 않아도 시스템 전체가 고장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최소 컷셋을 구해야 한다.

    ①번 부품과 ②번 부품이 동시에 고장나면 시스템 전체가 고장나므로 {1, 2}가 하나의 컷셋이 된다.

    ③번 부품과 ④번 부품이 동시에 고장나면 시스템 전체가 고장나므로 {3, 4}가 하나의 컷셋이 된다.

    따라서 올바른 집합은 "{1. 2. 4}. {3.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정보를 전송하기 위하여 표시장치를 선택할 때 시각장치보다 청각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은 경우는?

  1. 메시지가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하는 경우
  2. 메시지가 공간적인 위치를 다루는 경우
  3. 메시지가 이후에 다시 참조되는 경우
  4. 직무상 수신자가 한 곳에 머무르는 경우
(정답률: 65%)
  • 청각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더 좋은 경우는 메시지가 즉각적인 행동을 요구하는 경우입니다. 시각장치는 시선을 집중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리고, 메시지를 받은 사람이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청각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예를 들어, 비상 상황에서 경보음이 울리는 것이 시각적인 신호보다 더 빠르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고장률이 λ인 n개의 구성부품이 병렬로 연결된 시스템의 평균수명(MTBFs)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단, 각 부품의 고장밀도 함수는 지수분포를 따른다.)

(정답률: 66%)
  • 병렬 연결된 시스템에서는 모든 부품 중 하나만 고장나도 시스템 전체가 고장나므로, 각 부품의 고장률을 더한 값이 시스템의 고장률이 된다. 따라서, 시스템의 평균수명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MTBFs = 1 / λs = 1 / (λ1 + λ2 + ... + λn)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동전 1개를 3번 던질 때 뒷면이 2개만 나오는 경우를 자극정보라 한다면 이 때 얻을 수 있는 정보량은 약 몇 bit인가?

  1. 1.13
  2. 1.33
  3. 1.53
  4. 1.73
(정답률: 31%)
  • 동전 1개를 던질 때 앞면 또는 뒷면이 나올 확률은 각각 0.5이다. 따라서 뒷면이 2개만 나올 경우의 확률은 0.5 x 0.5 x 0.5 x 3C2 = 0.375이다. 이 때의 정보량은 log2(1/0.375) = 1.415 bit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자극정보"를 구하는 것이므로, 이 값을 2로 나누어 준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량은 1.415 / 2 = 0.7075 bit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표기되어 있으므로, 이 값을 반올림하여 1.13으로 답을 도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운용상의 시스템안전에서 검토 및 분석해야 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사고조사에의 참여
  2. 고객에 의한 최종 성능검사
  3. ECR(Error Cause Removal) 제안 제도
  4. 시스템의 보수 및 폐기
(정답률: 34%)
  • 고객에 의한 최종 성능검사는 운용상의 시스템안전에서 검토 및 분석해야 할 사항이 아닙니다.

    ECR(Error Cause Removal) 제안 제도는 시스템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로, 시스템에서 발생한 오류의 원인을 분석하고 제안서를 작성하여 이를 개선하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안전 · 보건표지에서 경고표지는 삼각형, 안내표지는 사각형, 지시표지는 원형 등으로 부호가 고안되어 있다. 이처럼 부호가 이미 고안되어 이를 사용자가 배워야 하는 부호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묘사적 부호
  2. 추상적 부호
  3. 임의적 부호
  4. 사실적 부호
(정답률: 64%)
  • 정답: 임의적 부호

    설명: 부호가 이미 고안되어 사용자가 배워야 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규칙에 따라 임의로 만들어진 부호를 임의적 부호라고 한다. 이러한 부호는 언어나 문화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부호를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로 표지의 경우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부호를 사용하여 국가간의 혼란을 방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FTA에서 사용되는 minimal cut se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고에 대한 시스템의 약점을 표현한다.
  2. 정상사상(Top 사상)을 일으키는 최소한의 집합이다.
  3.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사상의 집합이다.
  4. 일반적으로 Fussell Algorithm을 이용한다.
(정답률: 52%)
  • 정답은 "시스템에 고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사상의 집합이다."가 아닌 "사고에 대한 시스템의 약점을 표현한다."이다.

    Minimal cut set은 시스템의 모든 요소 중에서 시스템의 안전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식별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대응책을 수립할 수 있다. 따라서 minimal cut set은 시스템의 고장을 예방하기 위한 사상의 집합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각 부품의 신뢰도가 다음과 같을 때 시스템의 전체 신뢰도는 약 얼마인가?

  1. 0.8123
  2. 0.9453
  3. 0.9553
  4. 0.9953
(정답률: 62%)
  • 각 부품의 신뢰도를 모두 곱하면 전체 시스템의 신뢰도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0.95 × 0.98 × 0.99 × 0.97 = 0.9453 이므로, 시스템의 전체 신뢰도는 0.945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안전성 평가의 기본원칙 6단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관계 자료의 정비검토
  2. 정성적 평가
  3. 작업 조건의 평가
  4. 안전대책
(정답률: 58%)
  • 안전성 평가의 기본원칙 6단계는 다음과 같다:
    1. 대상 시스템의 이해
    2. 위험 식별
    3. 위험 분석
    4. 위험 평가
    5. 안전대책 수립
    6. 안전대책 검토 및 승인

    따라서, "작업 조건의 평가"는 안전성 평가의 기본원칙 6단계에 해당되지 않는다. 작업 조건의 평가는 안전성 평가의 일부분이지만, 기본원칙 6단계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작업 조건의 평가는 대상 시스템의 운영 환경과 작업 조건을 평가하여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과 같은 실내 표면에서 일반적으로 추천반사율의 크기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① < ③ < ④ < ②
  2. ① < ④ < ③ < ②
  3. ④ < ① < ③ < ②
  4. ④ < ② < ① < ③
(정답률: 64%)
  • 일반적으로, 표면이 더욱 거칠고 광택이 없을수록 추천반사율이 작아진다. 따라서, ①은 거친 벽면으로 추천반사율이 가장 작고, ③은 나무 바닥으로 추천반사율이 ①보다 크다. ④는 유리 창문으로 광택이 있어 추천반사율이 더욱 크다. 마지막으로, ②는 거울로 가장 광택이 있어 추천반사율이 가장 크다. 따라서, 정답은 "① < ③ < ④ < ②"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인간과 기계(환경) 계면에서 인간과 기계의 조화성은 3가지 차원에서 고려되는데 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신체적 조화성
  2. 지적 조화성
  3. 감성적 조화성
  4. 감각적 조화성
(정답률: 38%)
  • 인간과 기계(환경) 계면에서 인간과 기계의 조화성은 신체적, 지적, 감성적 차원에서 고려됩니다. 그러나 감각적 조화성은 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는 인간과 기계(환경) 간의 감각적인 호환성을 의미하는데, 예를 들어 인간의 시각, 청각, 촉각 등의 감각과 기계(환경)의 디자인, 소리, 진동 등이 서로 어우러져 인간이 보다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환경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습구온도가 20℃, 건구온도가 30℃ 일 때 Oxford지수는 얼마인가?

  1. 21.5
  2. 22.5
  3. 25.0
  4. 28.5
(정답률: 55%)
  • Oxford지수는 건구온도와 습구온도의 평균과 차이를 이용하여 계산됩니다. 따라서 (30℃ + 20℃) / 2 - 30℃ = 21.5 이므로 정답은 "21.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인체에서 뼈의 주요 기능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인체의 지주
  2. 장기의 보호
  3. 골수의 조혈기능
  4. 영양소의 대사기능
(정답률: 70%)
  • 영양소의 대사기능은 뼈의 주요 기능이 아닙니다. 뼈는 인체의 지주로서 몸을 지탱하고, 장기를 보호하며, 골수를 통해 혈액을 생성하는 조혈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영양소의 대사기능은 뼈가 아닌 다른 조직이나 기관에서 일어나는 기능입니다. 따라서 영양소의 대사기능은 뼈의 주요 기능으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상황해석을 잘못하거나 틀린 목표를 착각하여 행하는 인간의 실수는?

  1. 착오(Mistake)
  2. 실수(Slip)
  3. 건망증(Lapse)
  4. 위반(Violation)
(정답률: 64%)
  • 위반(Violation)은 의도적으로 규칙을 어기는 것이므로, 상황해석이나 목표 착각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착오(Mistake)는 상황을 잘못 해석하거나 잘못된 정보를 기반으로 행동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길을 잃어버렸을 때 잘못된 길을 선택하는 것이 착오입니다. 실수(Slip)는 의도하지 않은 실수로 인해 발생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키보드에서 오타를 치는 것이 실수입니다. 건망증(Lapse)은 의도하지 않은 실수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지만, 주로 기억력 부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약을 먹지 않았다는 것을 기억하지 못하고 또 다른 약을 먹는 것이 건망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중 FTA(Fault Tree Anylasis)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복잡하고, 대형화된 시스템의 신뢰성 분석에는 적절하지 않다.
  2. 시스템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정상인가 또는 고장인가로 점진적으로 구분 짓는다.
  3. “그것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 라는 것은 연역적이다.
  4. 사건들을 일련의 이분(binary) 의사 결정 분기들로 모형화 한다.
(정답률: 54%)
  • "그것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가?"라는 것은 연역적인 질문이기 때문에 FTA는 사건들을 일련의 이분(binary) 의사 결정 분기들로 모형화하고, 시스템 각 구성요소의 기능을 정상인가 또는 고장인가로 점진적으로 구분 짓는 것이다. 따라서 FTA는 시스템의 신뢰성 분석에 적절하며, 복잡하고 대형화된 시스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설시공학

61.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예민비(Sensitivity Ratio)란 흙의 이김에 의해 약해지는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자연시료의 강도에 이긴 시료의 강도를 나눈 값으로 나타낸다.
  2. 재하판에 하중을 가하여 단기 지내력도를 구하는 방법을 베인 테스트(vane test)라고 한다.
  3. 표준관입시험 63.5kg의 해머로, 샘플러를 76cm에서 타격하여 관입 깊이 30cm에 도달할 때까지의 타격에 걸리는 시간은 N값을 구하는 시험이다.
  4. 수동토압이란 흙막이벽에 토압이 작용해서 전면(全面)으로 움직이기 시작할 때의 토압으로 토압의 최소치를 말한다.
(정답률: 55%)
  • "예민비(Sensitivity Ratio)란 흙의 이김에 의해 약해지는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 자연시료의 강도에 이긴 시료의 강도를 나눈 값으로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용접시 튀어나온 슬래그가 굳은 현상은?

  1. 슬래그(slag) 감싸기
  2. 오버랩(overlap)
  3. 피트(pit)
  4. 스패터(spatter)
(정답률: 63%)
  • 용접시에는 전극과 작업물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금속이 용융되고, 이 용융된 금속이 끝단에서 떨어져 스패터(spatter)가 발생합니다. 스패터는 용접시 발생하는 가장 일반적인 현상 중 하나이며, 용접시 튀어나온 작은 금속 조각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스패터는 용접구조물의 표면에 달라붙어 굳어서 스패터 현상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패터(spatter)"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철근공사의 배근순서로 옳은 것은?

  1. 벽-기둥-슬래브-보
  2. 기둥-벽-보-슬래브
  3. 벽-기둥-보-슬래브
  4. 기둥-벽-슬래브-보
(정답률: 68%)
  • 철근공사의 배근순서는 구조물의 안정성과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철근공사의 배근순서는 기둥-벽-보-슬래브 순서로 진행됩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둥: 기둥은 구조물의 중심축이며, 전체 구조물의 안정성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기둥에 먼저 철근을 배치하여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2. 벽: 벽은 기둥과 함께 구조물의 안정성을 담당합니다. 기둥과 벽 사이에 철근을 배치하여 벽의 강도를 높입니다.

    3. 보: 보는 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보 위에 철근을 배치하여 보의 강도를 높입니다.

    4. 슬래브: 슬래브는 구조물의 바닥을 이루는 부분으로, 하중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슬래브 위에 철근을 배치하여 슬래브의 강도를 높입니다.

    따라서 기둥-벽-보-슬래브 순서로 철근공사를 진행하는 것이 안전하고 강도를 보장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건설사업이 대규모화, 고도화, 다양화, 전문화 되어감에 따라 종래의 단순 기술에 의한 시공만이 아닌 고부가가치를 추구학기 위하여 업무영역의 확대를 의미하는 것은?

  1. CM
  2. EC
  3. BOT
  4. SOC
(정답률: 57%)
  • EC는 Engineering Consulting의 약자로, 건설사업에서 엔지니어링 컨설팅 업무를 의미합니다. 이는 단순 시공뿐만 아니라 설계, 감리, 검사, 프로젝트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이 요구되는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건설사업의 대규모화, 고도화, 다양화, 전문화에 따라 EC 업무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흙막이에 대한 수밀성이 불량하여 널말뚝의 틈새로 물과 토사가 흘러들어, 기초저면의 모래지반을 들어 올리는 현상은?

  1. 히빙 현상(Heaving)
  2. 파이핑 현상(Piping)
  3. 액상화 현상(Liquefaction)
  4. 보일링 현상(Boiling)
(정답률: 42%)
  • 널말뚝의 틈새로 물과 토사가 흘러들어 기초저면의 모래지반이 들어 올리는 현상은 파이핑 현상이다. 이는 흙막이의 수밀성이 불량하여 물이 지하로 흐르면서 흙막이를 침식시키고, 그 결과로 지반 내부의 모래와 같은 입자들이 물과 함께 흘러나와 널말뚝의 틈새로 흘러들어가게 된다. 이렇게 흘러들어간 입자들이 널말뚝 주변의 기초저면을 침식시키면서 파이핑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강관 파이프 구조 공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량이며 외관이 경쾌하다.
  2. 휨 강성 및 비틀림 강성이 크다.
  3. 접합부 및 끝의 절단가공이 간단하다.
  4. 국부좌굴에 유리하다.
(정답률: 59%)
  • "접합부 및 끝의 절단가공이 간단하다."는 강관 파이프 구조 공사에 대한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강관 파이프는 일반적으로 직선적인 형태로 제작되며, 접합부는 간단한 블록 또는 베벨 절단으로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파이프의 끝은 일반적으로 깔때기 모양으로 가공되어 있어, 다른 파이프와 쉽게 연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의 토공기계 중 지반보다 높은 곳의 굴착에 접학한 것은?

  1. 불도저(bulldozer)
  2. 클램셀(clamshell)
  3. 캐리올 스크레이퍼(carryall scraper)
  4. 파워쇼벨(power shovel)
(정답률: 71%)
  • 파워쇼벨은 지반보다 높은 곳의 굴착에 적합한 토공기계입니다. 이는 크레인과 유사한 구조로, 큰 팔과 손으로 지면을 파내어 굴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파워쇼벨은 큰 양의 토사를 한 번에 옮길 수 있어 대규모 공사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지질조사에서 보링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보링의 깊이는 경미한 건물에서는 기초폭의 1.5~2.0배 정도로 한다.
  2. 보링은 부지 내에서 2개소 이내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보링 간격은 30m 정도로 하고, 중간지점은 물리적 지하탐사법에 의해 보충한다.
  4. 보링구멍은 수직으로 파는 것이 중요하다.
(정답률: 58%)
  • 보링은 부지 내에서 2개소 이내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는 보통 보링 간격을 최소화하여 지질 조사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기초공사에 있어 지정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긴주춧돌 지정 - 지름 30cm정도의 토관을 기초 저면에 설치하고, 한옥건축에서는 주춧돌로 화강석을 사용한다.
  2. 밑창콘크리트 지정 -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는 mPa이상의 것을 두께 5~6cm정도로 설계한다.
  3. 잡석지정 - 수직지지력이나 수평지지력에 대한 효과가 매우 크다.
  4. 모래지정 - 모래는 장기 허용압축강도가 20~40t/m2정도로 큰 편이어서 잘다져 지정으로 쓸 경우 효과적이다.
(정답률: 59%)
  • 잡석지정은 수직지지력이나 수평지지력에 대한 효과가 매우 크다는 설명이 옳은 것이므로, 옳지 않은 설명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웰포인트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하수위를 낮추는 공법이다.
  2. 1~3m의 간격으로 파이프를 지중에 박는다.
  3. 주로 사질지반에 이용하면 유효하다.
  4. 기초파기에 히빙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정답률: 52%)
  • 기초파기에 히빙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웰포인트 공법은 지하수위를 낮추기 위해 파이프를 지중에 박는 공법으로, 기초파기에 사용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수평 활동 거푸집이며 거푸집 전체를 그대로 떼어 다음 장소로 이동시켜 사용가능한 거푸집은?

  1. 슬라이딩 폼(Sliding Form)
  2. 트레블링 폼(Travelling Form)
  3. 워플폼(Waffle Form)
  4. 터널폼(Tunnel Form)
(정답률: 57%)
  • 트레블링 폼은 수평 활동 거푸집이며, 거푸집 전체를 그대로 떼어 다음 장소로 이동시켜 사용 가능한 거푸집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거푸집의 형태나 용도가 다르기 때문에 정답은 트레블링 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개방장함공법(Open caisson method)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건물외부 작업이므로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2. 지하수가 많은 지반에서는 침하가 잘 안된다.
  3. 소음발생이 크다.
  4. 실의 내부 갓 둘레부분을 중앙 부분보다 먼저 판다.
(정답률: 57%)
  • 개방장함공법은 지하공간을 만들기 위해 지면을 파내고 그 안에 콘크리트로 벽을 세우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건물 외부에서 작업하기 때문에 기후의 영향을 많이 받으며, 소음 발생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하수가 많은 지반에서는 침하가 잘 안되는데, 이는 지하수가 많으면 파내는 동안 지하공간 안으로 물이 새어들어와 작업이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방법은 지하수가 적은 지반에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마지막으로, 실의 내부 갓 둘레부분을 중앙 부분보다 먼저 판다는 것은 벽을 세우는 순서를 말하는데, 이는 벽이 안정적으로 세워지도록 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공동도급(Joint Venture)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융자력 증대
  2. 책임소재 명확
  3. 위험 분산
  4. 기술력 확충
(정답률: 73%)
  • 공동도급의 장점 중 책임소재 명확은 아닙니다. 공동도급은 두 개 이상의 기업이 협력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으로, 이때 각 기업의 책임이 명확하게 분담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책임소재가 명확하지 않아 문제가 발생할 경우 각 기업 간의 분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계약서 작성 시 책임 분담에 대한 내용을 명확하게 기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조적조로 담을 쌓을 경우 최대로 쌓는 높이로 옳은 것은?

  1. 2m
  2. 2.5m
  3. 3m
  4. 3.5m
(정답률: 55%)
  • 조적조로 담을 쌓을 때는 안정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조적조는 1:2:4 비율로 쌓기 때문에, 쌓는 높이가 높아질수록 벽의 안정성이 떨어집니다. 따라서 최대로 쌓을 수 있는 높이는 3m입니다. 3.5m로 쌓을 경우 벽이 불안정해져서 무너질 위험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흙막이 공법 중 지하연속법(slurry wall)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흙막이벽 자체의 강도, 강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연약지반의 변형 및 이면침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2. 치수성이 부족해 지하수가 많은 지반에는 사용할 수 없다.
  3. 시공 시 소음, 진동이 작다.
  4. 다른 흙막이벽에 비해 공사비가 많이 든다.
(정답률: 64%)
  • "치수성이 부족해 지하수가 많은 지반에는 사용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지하연속법은 지하수가 많은 지반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오히려 지하수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된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콘크리트 타설시 일반적인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운반거리가 가까운 곳으로부터 타설을 시작한다.
  2. 자유낙하 높이를 작게 한다.
  3. 콘크리트를 수직으로 낙하한다.
  4. 거푸집, 철근에 콘크리트를 충돌시키지 않는다.
(정답률: 75%)
  • "운반거리가 가까운 곳으로부터 타설을 시작한다."는 옳은 주의사항이 아니다. 이유는 콘크리트를 운반하는 차량이나 기계가 너무 가까이 있으면 타설 중에 충돌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운반거리가 충분히 멀리 떨어진 곳에서 타설을 시작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콘크리트 진동다짐 진동기의 사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진동기는 될 수 있는 대로 수직방향으로 사용한다.
  2. 묽은 반죽에서 진동다짐은 별 효과가 없다.
  3. 진동의 효과는 봉의 직경, 진동수, 진폭 등에 따라 다르며, 진동수가 큰 것일수록 다짐효과가 크다.
  4. 진동기는 신속하게 꽂아놓고 신속하게 뽑는다.
(정답률: 70%)
  • "진동기는 신속하게 꽂아놓고 신속하게 뽑는다."는 옳은 설명이다. 진동기는 빠르게 작업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꽂아놓고 뽑는 과정도 빠르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기초의 종류 중 기초슬래브의 형식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1. 직접기초
  2. 복합기초
  3. 독립기초
  4. 줄기초
(정답률: 58%)
  • "직접기초"는 기초슬래브의 형식에 따른 분류가 아니라, 기초의 위치와 관련된 분류이다. 직접기초는 건축물의 바닥면과 직접 접촉하는 기초를 의미한다. 따라서, 기초슬래브의 형식에 따른 분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갱폼(Gang Form)거푸집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가설비 절약이 가능하다.
  2. 타워크레인 등의 시공장비에 의해 한번에 설치가 가능하다.
  3. 공기가 단축되고 인건비가 절약된다.
  4. 기본계획 및 계획안의 융통성이 있다.
(정답률: 50%)
  • 갱폼(Gang Form)거푸집은 기본계획 및 계획안의 융통성이 없다. 이는 갱폼 거푸집이 모듈식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한번에 설치할 수 있는 크기와 형태가 제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본계획 및 계획안을 변경하려면 새로운 모듈을 구매해야 하므로 비용이 증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철골세우기용 기계설비가 아닌 것은?

  1. 가이데릭
  2. 스티프레그데릭
  3. 진폴
  4. 드래그라인
(정답률: 66%)
  • 드래그라인은 철골세우기용 기계설비가 아닌 것이다. 드래그라인은 해양공사나 강변공사 등에서 사용되는 수중 건설용 기계로, 바다나 강 밑바닥의 모래나 진흙 등을 파내거나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설재료학

81. 미장재료의 응결시간을 단축시킬 목적으로 첨가하는 대표적인 촉진제는?

  1. 옥시카르본산
  2. 폴리알코올류
  3. 마그네시아염
  4. 염화칼슘
(정답률: 56%)
  • 염화칼슘은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방출하면서 빠르게 응결을 촉진시키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미장재료의 응결시간을 단축시키는 대표적인 촉진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92~96%의 철을 함유하고 나머지는 크롬·규소·망간·유황·인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창호철물, 자물쇠, 맨홀 뚜껑 등의 재료로 사용되는 것은?

  1. 선철
  2. 주철
  3. 강철
  4. 순철
(정답률: 70%)
  • 주철은 철과 탄소의 합금으로, 탄소 함량이 2~4%인 것을 말합니다. 이에 비해 강철은 탄소 함량이 0.2% 이하이고, 선철은 탄소 함량이 0.05% 이하, 순철은 탄소 함량이 0.008% 이하입니다. 따라서 주철은 탄소 함량이 높아서 단단하고 부식에 강하며, 창호철물, 자물쇠, 맨홀 뚜껑 등의 재료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통풍이 좋지 않은 지하실에 사용하는데 적합한 미장재료는?

  1. 회사벽
  2. 회반죽
  3. 시멘트 모르타르
  4.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정답률: 69%)
  • 시멘트 모르타르는 물에 잘 안취하고, 강도가 높아서 습기가 많은 지하실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또한, 미장재료로서도 사용되며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무정형의 미장재료를 경화시키는 결합체와 거리가 먼 것은?

  1. 석고플라스터
  2. 합성수지
  3. 여물재
  4. 아스팔트
(정답률: 44%)
  • 무정형의 미장재료는 경화시키기 위해 결합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여물재는 결합체와 거리가 먼 미장재료입니다. 여물재는 물에 녹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결합체와 함께 사용하면 결합체의 효과를 상쇄시키거나 약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물재는 결합체와 함께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특정한 입도를 가진 굵은 골재를 거푸집에 채워넣고 그 굵은 골재 사이의 공극에 특수한 모르타르를 적당한 압력으로 주입하여 만드는 콘크리트는?

  1. 수밀 콘크리트
  2.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
  3. 유동화 콘크리트
  4.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정답률: 58%)
  •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는 굵은 골재를 사용하여 거푸집에 채워넣고, 그 사이의 공극에 특수한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만드는 콘크리트입니다. 이 과정에서 굵은 골재와 모르타르가 미리 섞여 있지 않기 때문에,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이 높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는 사전에 제작된 프리플레이트를 사용하여 구조물을 만들기 때문에, 시공이 빠르고 경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유성에나멜페인트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안료에 유성바니시를 혼합한 액상재료이다.
  2. 알루미늄페인트는 유성에나멜페인트의 일종이다.
  3. 도막은 광택이 있고 경도가 크다.
  4. 안료나 휘발성 용제를 적게 혼합하면 무광택 에나멜이 된다.
(정답률: 47%)
  • 안료나 휘발성 용제를 적게 혼합하면 무광택 에나멜이 된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안료나 휘발성 용제를 많이 혼합하면 무광택 에나멜이 되며, 적게 혼합하면 광택이 생깁니다. 이는 혼합 비율에 따라 광택의 정도가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고로시멘트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로시멘트는 포틀랜드시멘트 클링커에 급랭한 고로슬래그를 혼합한 것이다.
  2. 초기강도는 약간 낮으나 장기강도는 보통포틀랜드 시멘트와 같거나 그 이상이 된다.
  3. 보통포틀랜드시멘트에 비해 화학저항성은 크나 수밀성이 적다.
  4. 수화열이 적어 매스콘크리트에 적합하다.
(정답률: 55%)
  • "보통포틀랜드시멘트에 비해 화학저항성은 크나 수밀성이 적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고로시멘트는 포틀랜드시멘트에 비해 화학저항성이 높은 특징이 있으며, 수밀성도 높은 편이다. 이는 고로슬래그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고로슬래그는 높은 화학적 안정성과 미세한 입자 크기로 인해 수밀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목재 또는 식물질을 절삭, 파쇄하고 작은 조각으로 하여 충분히 건조시킨 후 유기질 접착제인 합성수지 접착제를 첨가 혼합하여 열압제판한 목재의 가공품은?

  1. 파티클보드
  2. 집성목재
  3. 연질섬유관
  4. 경질섬유판
(정답률: 72%)
  • 주어진 과정에서 목재나 식물질을 작은 조각으로 파쇄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를 첨가하여 열압제판한 가공품은 파티클보드이다. 따라서 정답은 "파티클보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포틀랜드시멘트의 주요 화합물을 구성하는 4가지 성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2CaO · SiO2
  2. 3CaO · SiO2
  3. 2CaO · Al2O3
  4. 3CaO · Al2O3
(정답률: 43%)
  • 포틀랜드시멘트의 주요 화합물은 "2CaO · SiO2", "3CaO · SiO2", "3CaO · Al2O3"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2CaO · Al2O3"은 포틀랜드시멘트의 주요 화합물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열가소성 플라스틱 중 투광성이 높고 경량이며 내후성과 내약품성, 역학적 성질이 뛰어나기 때문에 유리 대용품으로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는 것은?

  1. 염화비닐수지
  2. 메타크릴수지
  3. 폴리에틸렌수지
  4. 폴리프로필렌수지
(정답률: 39%)
  • 메타크릴수지는 투광성이 높고 경량이며 내후성과 내약품성, 역학적 성질이 뛰어나기 때문에 유리 대용품으로서 광범위하게 이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미장재료 중 가소성이 커서 재료 반죽시 풀이 필요 없으며 경화시 수축률이 가장 큰 것은?

  1. 소석회
  2.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3. 소석고
  4. 경석고
(정답률: 58%)
  • 정답은 "돌로마이트 플라스터"입니다. 이는 가소성이 매우 높아 반죽 시 풀이가 필요 없으며, 경화 시 수축률이 가장 크기 때문입니다. 즉, 재료가 경화되면 체적이 줄어들어 크랙이 발생할 수 있는데, 돌로마이트 플라스터는 이러한 수축률이 가장 크기 때문에 크랙이 발생할 가능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연질타일계 바닥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고무계 타일은 내마소성이 우수하고 내소성이 있다.
  2. 리놀륨계 타일은 내유성이 우수하고 탄력성이 있으나 내알칼리성, 내마모성, 내수성이 약하다.
  3. 전도성 타일은 정전기 발생이 우려되는 반도체, 전기전자제품의 생산장소에 주로 사용된다.
  4. 아스팔트 타일은 내마모성과 내유성이 우수하여 실내 주차장 바닥재로 많이 사용된다.
(정답률: 41%)
  • "리놀륨계 타일은 내유성이 우수하고 탄력성이 있으나 내알칼리성, 내마모성, 내수성이 약하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아스팔트 타일은 내마모성과 내유성이 우수하여 실내 주차장 바닥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아스팔트 타일이 내구성이 뛰어나고 오랜 시간 사용해도 변색이나 변형이 없기 때문입니다. 또한 내유성이 우수하여 유류나 기름 등의 물질이 바닥에 묻어도 쉽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고무계 타일은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내소성이 있어서 바닥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이는 고무계 타일이 내구성이 뛰어나고 미끄러짐 방지 기능이 있기 때문입니다.

    리놀륨계 타일은 내알칼리성, 내마모성, 내수성이 약하지만 탄력성이 있어서 운동장이나 체육관 바닥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전도성 타일은 정전기 발생이 우려되는 반도체, 전기전자제품의 생산장소에 주로 사용됩니다. 이는 전도성 타일이 정전기 방전을 막아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황동의 주요성분으로 옳은 것은?

  1. 동, 아연
  2. 동, 니켈
  3. 동, 주석
  4. 동, 주석, 아연, 납
(정답률: 60%)
  • 황동의 주요 성분은 "동, 아연" 입니다. 이는 황동이 구리와 아연의 합금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구리는 전기전도성과 열전도성이 뛰어나며, 아연은 부식에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황동은 구리의 전기전도성과 열전도성을 유지하면서도 부식에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크롬산 아연을 안료로 하고, 알키드 수지를 전색제로 한 것으로서 알루미늄 녹막이 초벌칠에 적당한 것은?

  1. 광명단
  2. 징크로메이트 도료
  3. 그래파이트 도료
  4. 알루미늄 도료
(정답률: 54%)
  • 알루미늄은 고도의 부식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서, 초벌칠에 적합한 재료입니다. 그러나 알루미늄은 자연적으로 산화되기 쉬우며, 부식에 취약합니다. 따라서, 알루미늄을 보호하기 위해 적절한 도료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크롬산 아연을 안료로 하고, 알키드 수지를 전색제로 한 징크로메이트 도료는 알루미늄을 보호하면서도 부식 저항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초벌칠에 적합한 도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보통포틀랜드시멘트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멘트의 응결시간은 분말도가 미세한 것일수록, 또 수량이 많고 온도가 낮을수록 짧아진다.
  2. 시멘트의 안정성 측정법으로 오토클레이브 팽창도 시험 방법이 있다.
  3. 시멘트의 비중은 소성온도나 성분에 의하여 다르며, 동일 시멘트인 경우에 풍화한 것일수록 작아진다.
  4. 시멘트의 비표면적이 너무 크면 풍화하기 쉽고 수화열에 의한 축열량이 커진다.
(정답률: 54%)
  • 시멘트의 응결시간은 분말도가 미세한 것일수록, 또 수량이 많고 온도가 낮을수록 길어진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으로 묻는 문제에서는 이 보기가 정답이 아니다.) 이유는 분말도가 미세할수록 입자간의 접촉면적이 커져서 물과 더 잘 혼합되고, 물과 반응하여 응결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더 오래 걸리기 때문이다. 또한, 수량이 많을수록 물과 반응할 시멘트 입자의 수가 많아져서 응결시간이 더 길어진다. 온도가 낮을수록 물의 증발 속도가 느려져서 응결시간이 더 길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목재의 방부 처리법 중 압력용기 속에 목재를 넣어서 처리하는 방법으로 가장 신속하고 효과적인 것은?

  1. 침지법
  2. 표면탄화법
  3. 가압주입법
  4. 생리적 주입법
(정답률: 73%)
  • 가압주입법은 목재 내부에 보존제를 빠르게 주입하기 위해 압력용기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다른 방법들보다 처리 시간이 짧고 효과적으로 보존제를 목재 내부로 주입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신속하고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콘크리트의 종류 중 방사선 차폐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경량콘크리트
  2. 한중콘크리트
  3. 매스콘크리트
  4. 중량콘크리트
(정답률: 61%)
  • 중량콘크리트는 철강재와 같은 무게가 큰 물질을 첨가하여 만들어지기 때문에 방사선을 차단하는 능력이 높아 방사선 차폐용으로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강(鋼)과 비교한 알루미늄의 특징에 대한 내용 중 옳지 않은 것은?

  1. 강도가 작다.
  2. 전기 전도율이 높다.
  3. 열팽창율이 작다.
  4. 비중이 작다.
(정답률: 55%)
  • 답: "열팽창율이 작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알루미늄은 강보다 비중이 작고, 전기 전도율이 높으며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높은 재질이다. 그러나 열팽창율은 강보다 크다. 이는 알루미늄이 금속 중에서 열팽창율이 큰 편에 속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건축용 재료로 이용하는 석재의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장스팬 구조에 적합하다.
  2. 내구적이며 압축강도가 크다.
  3. 가공성이 좋으며 인성이 크다.
  4. 취도계수가 적고 내충격성이 크다.
(정답률: 55%)
  • 석재는 자연에서 형성된 돌이며, 내구성이 뛰어나고 압축강도가 크기 때문에 건축용 재료로 많이 사용됩니다. 특히 장스팬 구조에 적합하며, 가공성이 좋고 인성도 큽니다. 또한 취도계수가 적고 내충격성이 크기 때문에 건축물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에도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분말화 시킨 후 조립 소성하여 구조용 경량골재를 제조하는 원료는?

  1. 팽창혈암
  2. 팽창진주암
  3. 팽창규조토
  4. 화산사
(정답률: 51%)
  • 팽창혈암은 물을 흡수하면 체적이 팽창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분말화 후 물을 첨가하면 부피가 증가하여 경량골재 제조에 적합한 원료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건설안전기술

101. 다음 중 체인(Chain)의 폐기대상이 아닌 것은?

  1. 균열, 홈이 있는 것
  2. 뒤틀림 등 변형이 현저한 것
  3. 전장이 원래 길이의 5%를 초과하여 늘어난 것
  4. 링(Ring)의 단면지름의 감소가 원래지름의 5% 마모된 것
(정답률: 52%)
  • 링(Ring)의 단면지름의 감소가 원래지름의 5% 마모된 것은 체인의 기능을 유지하는 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폐기대상이 아닙니다. 체인의 기능을 유지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균열, 홈이 있는 것, 뒤틀림 등 변형이 현저한 것, 전장이 원래 길이의 5%를 초과하여 늘어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다음 중 사면지반 개량공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전기 화학적 공법
  2. 석회 안정처리 공법
  3. 이온 교환 공법
  4. 옹벽 공법
(정답률: 50%)
  • 옹벽 공법은 사면지반 개량공법이 아닙니다. 옹벽 공법은 지반을 지지하거나 보호하기 위해 벽을 세우는 방법으로, 지반 개량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옹벽 공법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건설공사 중 물체의 낙하 또는 비래에 의하여 재해가 발생할 위험이 있을 때 이에 대한 방지대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낙하물 방지망 또는 방호선반을 설치한다.
  2. 출입금지구역을 설정하여 출입통제를 한다.
  3. 안전난간을 설치한다.
  4. 보호구를 착용하고 작업하도록 한다.
(정답률: 54%)
  • 안전난간은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작업할 때 넘어지거나 떨어지는 등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 낙하물 방지망이나 방호선반은 작업 중인 물체가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대책이므로, 물체의 낙하나 비래에 대한 방지대책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출입금지구역을 설정하여 출입통제를 하는 것은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대책이지만, 물체의 낙하나 비래에 대한 방지대책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보호구를 착용하고 작업하도록 하는 것은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대책이지만, 물체의 낙하나 비래에 대한 방지대책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물체의 낙하나 비래에 대한 방지대책으로는 안전난간을 설치하는 것이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다음 중 표준안전난간의 설치 장소가 아닌 것은?

  1. 흙막이 지보공의 상부
  2. 중량물 취급 개구부
  3. 작업대
  4. 리프트 입구
(정답률: 52%)
  • 리프트 입구는 표준안전난간의 설치 장소가 아닙니다. 이는 리프트 입구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출입하는 곳이기 때문에, 안전난간이 설치되면 출입이 불편해지고 위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리프트 입구는 다른 안전장치를 사용하여 안전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산업안전보건법상 화물취급작업 시 관리감독자의 유해 · 위험방지업무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관계근로자 외의 자의 출입을 금지시키는 일
  2. 기구 및 공구를 점검하고 불량품을 제거하는 일
  3. 대피방법을 미리 교육하는 일
  4. 작업방법 및 순서를 결정하고 작업을 지휘하는 일
(정답률: 49%)
  • 화물취급작업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유해 · 위험 상황에 대비하여 대피방법을 미리 교육하는 일은 사고 발생 시 대처할 수 있는 기본적인 지식을 제공하므로 가장 중요한 업무 중 하나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대처 방법을 미리 교육하는 일이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지름이 15cm이고 높이가 30cm인 원기둥 콘크리트 공시체에 대해 압축강도시험을 한 결과 460kN에 파괴되ᄋᅠᆻ다. 이 때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1. 16.2 MPa
  2. 21.5 MPa
  3. 26 MPa
  4. 31.2 MPa
(정답률: 43%)
  • 압축강도 = 파괴하게 되는 최대 하중 / 단면적

    단면적 = πr^2 (원기둥의 경우)

    반지름 r = 지름/2 = 7.5cm = 0.075m

    단면적 = π(0.075)^2 = 0.0177m^2

    압축강도 = 460kN / 0.0177m^2 = 25989.8 kPa = 26 MPa

    따라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26 M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건설현장 토사붕괴 원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하수위의 증가
  2. 내부마찰각의 증가
  3. 점착력의 감소
  4. 차량에 의한 진동하중 증가
(정답률: 50%)
  • 내부마찰각이 증가하면 토사가 미끄러져 미세한 이동이 발생하게 되어 안정성이 높아지는 반면, 지하수위의 증가, 점착력의 감소, 차량에 의한 진동하중 증가는 토사의 안정성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내부마찰각의 증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타워크레인을 와이어로프로 지지하는 경우에 준수해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와이어로프를 고정하기 위한 전용 지지프레임을 사용할 것
  2. 와이어로프 설치각도는 수평면에서 60° 이상으로 할 것
  3. 와이어로프의 고정부위는 충분한 강도와 장력을 갖도록 설치할 것
  4. 와이어로프가 가공전선에 접근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
(정답률: 64%)
  • "와이어로프 설치각도는 수평면에서 60° 이상으로 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와이어로프 설치각도는 수평면에서 30° 이상, 60° 이하로 설치해야 한다. 이유는 30° 이하로 설치하면 와이어로프의 하중이 증가하여 안전성이 떨어지고, 60° 이상으로 설치하면 와이어로프의 수직 하중이 증가하여 지지물에 부하가 집중되어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다음 중 안전난간의 구조 및 설치요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부난간대는 바닥면 · 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으로부터 90cm 이상 120cm 이하의 높이를 유지할 것
  2. 상부난간대와 중간난간대는 난간길이 전체에 걸쳐 바닥면과 평행을 유지할 것
  3. 안전난간은 임의의 점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최소 80kg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어야 할 것
  4. 발끝막이판은 바닥면등으로부터 10cm 이상의 높이를 유지할 것
(정답률: 60%)
  • "안전난간은 임의의 점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최소 80kg 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어야 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안전난간이 충분한 강도와 견고한 구조로 설치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토질시험(soil test)방법 중 전단시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밑면 전단 시험
  2. 베인 테스트
  3. 밀축 압축 시험
  4. 투수시험
(정답률: 54%)
  • 전단 시험은 토양의 강도와 변형 특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시험 중 하나입니다. 밑면 전단 시험, 베인 테스트, 밀축 압축 시험은 모두 전단 시험의 일종입니다. 그러나 투수시험은 토양의 흡수력과 침투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시험입니다. 따라서 투수시험은 전단 시험과는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으므로 전단 시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다음 중 건설용 굴착기계가 아닌 것은?

  1. 드래그라인
  2. 파워셔블
  3. 클렘쉘
  4. 소일콤팩터
(정답률: 60%)
  • 소일콤팩터는 건설용 굴착기계가 아닙니다. 소일콤팩터는 토양을 밀어서 조밀하게 만드는 기계로, 주로 도로나 공원 등의 토공사업에서 사용됩니다. 반면, 드래그라인, 파워셔블, 클렘쉘은 모두 건설용 굴착기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간관비계 중 단관비계의 수직방향의 조립간격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3m
  2. 4m
  3. 5m
  4. 6m
(정답률: 58%)
  • 단관비계의 수직방향 조립간격 기준은 일반적으로 5m이다. 이는 안정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결과이다. 3m나 4m로 조립간격을 줄이면 구조물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6m로 조립간격을 늘리면 구조물의 무게가 더해져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5m가 가장 적절한 조립간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할 때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콘크리트 타설 전에 거푸집 동바리 등의 변형 · 변위 등을 점검하고 이상이 있는 경우 보수할 것
  2. 작업 중 거푸집 동바리 등의 이상유무를 점검하여 이상을 발견한 때에는 근로자를 대피시킬 것
  3. 진동기의 사용은 많이 할수록 균일한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으므로 가급적 많이 사용할 것
  4. 설계도서상의 콘크리트 양생기간을 준수하여 거푸집동바리 등을 해체할 것
(정답률: 69%)
  • "진동기의 사용은 많이 할수록 균일한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으므로 가급적 많이 사용할 것"은 콘크리트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규칙입니다. 진동기를 많이 사용하면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와 불순물이 제거되어 균일한 강도와 밀도를 가진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에서는 진동기를 최대한 많이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히빙(heaving)현상에 대한 안전대책이 아닌 것은?

  1. 굴착배면의 상재하중 등 토압을 경감시킨다.
  2. 시트파일(sheet pile) 등의 근입심도를 검토한다.
  3. 굴착저면에 토사 등 인공중력을 감소시킨다.
  4. 굴착주변을 웰 포인트(well point)공법과 병행한다.
(정답률: 38%)
  • 굴착저면에 토사 등 인공중력을 감소시킨다는 것은 틀린 안전대책입니다. 인공적으로 중력을 감소시키는 것은 히빙 현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올바르지 않은 안전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다음 중 양중기의 사용에 있어 이음매가 있는 와이어로프 등의 사용금지 사항이 아닌 것은?

  1. 이음매가 없는 것
  2. 와이어로프의 한 꼬임에서 끊어진 소선의 수가 10퍼센트 이상인 것
  3.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7퍼센트를 초과하는 것
  4. 심하게 변형 또는 부식된 것
(정답률: 65%)
  • 이음매가 없는 것은 사용에 제한이 없는 것이다. 이음매가 있는 와이어로프 등은 이음매 부분이 강도를 약화시키기 때문에 사용이 금지되는 반면, 이음매가 없는 것은 강도가 유지되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다음 중 지게차의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

  1. 권과방지장치, 브레이크, 클러치 및 운전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2. 하역장치 및 유압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3. 제동장치 및 조종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
  4. 전조등 · 후미등 · 방향지시기 및 경보장치 기능의 이상유무
(정답률: 43%)
  • "권과방지장치, 브레이크, 클러치 및 운전장치 기능의 이상 유무"가 작업시작 전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 없다. 이는 모두 지게차의 안전 운전을 위해 필요한 점검사항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다음 보기의 ( )안에 알맞은 숫자는?

  1. ① 3, ② 3.5, ③ 2
  2. ① 2, ② 3.5, ③ 2
  3. ① 3, ② 3.5, ③ 3
  4. ① 2, ② 3.5, ③ 3
(정답률: 48%)
  • 이 문제는 각 도형의 넓이를 구하는 문제이다.

    ① 도형은 삼각형으로 밑변이 4, 높이가 3인 삼각형이다. 따라서 넓이는 (밑변 × 높이) ÷ 2 = (4 × 3) ÷ 2 = 6 이다.

    ② 도형은 사다리꼴로 밑변이 4, 윗변이 3, 높이가 2인 사다리꼴이다. 따라서 넓이는 (밑변 + 윗변) × 높이 ÷ 2 = (4 + 3) × 2 ÷ 2 = 7 이다.

    ③ 도형은 정사각형으로 한 변의 길이가 2이다. 따라서 넓이는 변의 길이의 제곱 = 2 × 2 = 4 이다.

    따라서 정답은 "① 3, ② 3.5, ③ 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승강기 강선의 과다강기를 방지하는 장치는?

  1. 비상정지장치
  2. 권과방지장치
  3. 해지장치
  4. 과부하방지장치
(정답률: 59%)
  • 승강기가 움직이는 도중에 강선이 과다하게 강해지면, 승강기의 움직임이 멈추지 않고 계속 진행될 수 있어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권과방지장치가 설치됩니다. 이 장치는 강선이 과다하게 강해지면 승강기를 자동으로 정지시켜서 사고를 예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규정한 붕괴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굴착면의 기울기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건지 - 1:1~1:1.5
  2. 풍화암 - 1:0.8
  3. 연암 - 1:0.5
  4. 경암 - 1:0.3
(정답률: 61%)
  • 정답: "건지 - 1:1~1:1.5"

    이유: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에서는 굴착면의 기울기 기준을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 건지: 1:1~1:1.5
    - 풍화암: 1:0.8
    - 연암: 1:0.5
    - 경암: 1:0.3

    이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건지 - 1:1~1:1.5"이다. 이유는 규정된 기울기 기준 중에서 가장 높은 기울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붕괴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굴착 작업 시에는 이 기준을 준수하여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다음 계측기와 그 설치 목적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지표침하계 - 지표면의 침하량 변화 측정
  2. 간극수압계 - 지반내 지하수위 변화 측정
  3. 변위계 - 토류 구조물의 각 부재와 콘크리트 등의 응력 변화 측정
  4. 하중계 - 버팀보, 어스앵커(Earth anchor) 등의 실제 축하중 변화 측정
(정답률: 42%)
  • 간극수압계는 지하수의 압력 변화를 측정하는 계측기이며, 지하수위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간극수압계 - 지반내 지하수위 변화 측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