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9-05)

건설안전기사
(2010-09-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안전관리론

1.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위원회에서 심의ㆍ의결된 내용 등 회의 결과를 근로자에게 알리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사업장 게시판에 게시
  2. 사보에 게재
  3. 자체 정례조회를 통한 전달
  4. 일간 신문에 게재
(정답률: 88%)
  • 일간 신문에 게재는 근로자들이 접근하기 어렵고, 대중적인 방법이 아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 일간 신문은 일반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매체이기 때문에, 산업안전보건위원회에서 심의ㆍ의결된 내용 등 회의 결과를 근로자에게 알리기에는 부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사고예방대책의 기본원리 5단계 중 제2단계에서의 조치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자료수집
  2. 위험확인
  3. 재해조사분석
  4. 점검ㆍ검사 및 조사실시
(정답률: 49%)
  • 재해조사분석은 이미 발생한 사고나 재해를 분석하여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예방대책을 마련하는 단계입니다. 따라서 사고예방대책의 기본원리 5단계 중 제2단계에서는 아직 발생하지 않은 위험을 사전에 파악하고 예방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따라서 "재해조사분석"은 적절하지 않은 조치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검사를 받아야 하는 자는 안전검사 신청서를 검사 주기 만료일 며칠 전에 안전검사업무를 위탁받은 기관에 제출하여야 하는가?

  1. 15일
  2. 30일
  3. 45일
  4. 60일
(정답률: 78%)
  • 안전검사 주기 만료일 며칠 전에 안전검사 신청서를 제출해야 하는 이유는 안전검사를 받기 위해서는 검사를 위탁받은 기관에서 일정한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 절차에는 검사 일정 조율, 검사 준비 및 실시 등이 포함되며, 이를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안전검사 주기 만료일 며칠 전에 안전검사 신청서를 제출하여 충분한 시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이 때,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안전검사 주기 만료일 기준으로 30일 이내에 신청서를 제출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A 사업장에서는 산업재해로 인한 인적ㆍ물적 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안전행동 실천운동(5C 운동)을 실시하고자 한다. 다음 중 5C 운동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control
  2. correctness
  3. cleaning
  4. checking
(정답률: 75%)
  • "control"은 5C 운동 중에 해당하지 않는다. 5C 운동은 다음과 같다.

    1. 정리 (Cleaning)
    2. 정돈 (Orderliness)
    3. 청소 (Cleanliness)
    4. 점검 (Checking)
    5. 교육 (Customization)

    "control"은 5S 운동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5C 운동에는 해당하지 않는다. 5S 운동은 5C 운동에 "안정화(Control)"를 추가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안전관리의 근본이념에 있어 그 목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사용자의 수용도 향상
  2. 기업의 경제적 손실 예방
  3. 생산성 향상 및 품질 향상
  4. 사회복지의 증진
(정답률: 48%)
  • 본 해설은 신고처리되어 블라인드 되었습니다.
    해설을 보시기 원하시면 클릭해 주세요
    신고사유
    안전관리 근본이념-사회복지의 증진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보건총괄책임자의 직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4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작업의 중지 및 재개
  2. 도급사업 시의 안전ㆍ보건 조치
  3. 수급인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의 집행 감독
  4. 해당 사업장 안전교육계획의 수렴 및 실시
(정답률: 69%)
  • 해당 사업장 안전교육계획의 수렴 및 실시는 안전보건총괄책임자의 직무 중 하나이지만, 다른 항목들은 모두 안전보건총괄책임자의 직무에 해당합니다.

    해당 사업장 안전교육계획의 수렴 및 실시는 안전보건관리자의 역할 중 하나로, 안전보건총괄책임자는 이를 감독하고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사업장 내에서 안전보건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재해조사방법 및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재해발생 후 현장보존에 유의하면서 물적 증거를 수집한다.
  2. 과거의 사고 경향, 사례 조사기록 등은 선입견제거를 위하여 배제한다.
  3. 조사는 신속히 행하고 긴급 조치 후 2차 재해의 방지를 도모한다.
  4. 재해 발생 장소에 들어갈 때에는 재해 예방과 유해성을 고려하여 적정한 보호구를 반드시 착용한다.
(정답률: 79%)
  • 과거의 사고 경향, 사례 조사기록 등을 배제하는 이유는 선입견을 제거하기 위해서입니다. 이는 조사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적인 요인을 최소화하고, 객관적인 판단을 내리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조사 과정에서는 이전 사고와 관련된 자료를 참고하지 않고, 현재 발생한 재해에 대한 증거만을 수집하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보건개선계획의 수립ㆍ시행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대상 사업장으로는 작업환경이 현저히 불량한 사업장이 해당된다.
  2.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규모별 평균 산업재해율보다 높은 사업장이 해당된다.
  3. 수립ㆍ시행명령을 받은 사업주는 안전보건개선계획서를 작성하여 그 명령을 받은 날부터 30일 이내에 관할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4. 사업주가 안전ㆍ보건조치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하여 발생한 중대재해가 연간 2건 이상 발생한 사업장이 해당된다.
(정답률: 62%)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의무안전인증 대상 방음용 귀마개의 종류 중 성능에 있어 저음부터 고음까지 차음하는 것의 기호로 옳은 것은?

  1. EP-1
  2. EP-2
  3. EP-3
  4. EM
(정답률: 64%)
  • 정답은 "EP-1"입니다.

    EP-1은 저음부터 고음까지 모든 주파수 대역에서 차음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EP-2와 EP-3은 일부 주파수 대역에서만 차음하며, EM은 방음용 귀마개가 아닌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제품입니다. 따라서, EP-1이 가장 성능이 우수한 방음용 귀마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재해사례연구의 진행단계로 옳은 것은?

  1. 전제조건 → 사실의 확인 → 문제점 발견 → 근본적 문제점 해결 → 대책수립
  2. 사실의 확인 → 전제조건 → 근본적 문제점 결정 → 문제점 발견 → 대책수립
  3. 문제점 발견 → 사실의 확인 → 전제조건 → 근본적 문제점 결정 → 대책수립
  4. 전제조건 → 문제점 발견 → 근본적 문제점 결정 → 대책수립 → 사실의 확인
(정답률: 67%)
  • 정답은 "전제조건 → 사실의 확인 → 문제점 발견 → 근본적 문제점 해결 → 대책수립"입니다.

    재해사례연구는 재해가 발생한 원인과 과정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해 예방 및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입니다. 따라서, 연구의 진행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전제조건: 연구의 목적과 범위, 연구 대상 등을 명확히 설정합니다.
    2. 사실의 확인: 재해 발생 당시의 상황과 관련자들의 증언 등을 수집하여 사실을 확인합니다.
    3. 문제점 발견: 재해 발생 원인과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파악합니다.
    4. 근본적 문제점 해결: 문제점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 해결책을 마련합니다.
    5. 대책수립: 재해 예방 및 대응 방안을 마련합니다.

    따라서, "전제조건 → 사실의 확인 → 문제점 발견 → 근본적 문제점 해결 → 대책수립"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ㆍ보건표지의 종류 중 경고표지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낙하물체 경고
  2. 레이저광선 경고
  3. 몸균형 상실 경고
  4. 금연
(정답률: 75%)
  • 정답: 금연

    설명: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ㆍ보건표지의 종류에는 경고표지, 지시표지, 안전표지, 긴급대피표지가 있습니다. "낙하물체 경고", "레이저광선 경고", "몸균형 상실 경고"는 모두 경고표지에 해당됩니다. 하지만 "금연"은 안전ㆍ보건표지 중 하나로, 금연구역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재해손실비에 있어 직접비용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휴업급여
  2. 간병급여
  3. 영업손실비용
  4. 장의비
(정답률: 73%)
  • 영업손실비용은 재해로 인해 일시적으로 영업활동을 중단하거나 영업이 어려워져서 발생하는 손실을 말합니다. 따라서 직접비용과는 달리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이 아니며, 영업활동의 중단으로 인해 발생하는 손실을 보상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영업손실비용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작업표준의 주목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위험요인의 제거
  2. 손실요인의 제거
  3. 경영의 보편화
  4. 작업의 효율화
(정답률: 77%)
  • 작업표준의 주목적은 "작업의 효율화"입니다. "위험요인의 제거"와 "손실요인의 제거"는 작업표준을 통해 사고나 손실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이며, "경영의 보편화"는 조직 전반에 걸쳐 일관된 경영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공사규모가 70억원인 건축건설공사현장에서 1일 200명의 근로자가 매일 10시간씩 근무를 하고 있다. 이 현장의 무재해 운동의 1배 목표를 30만 시간이라 할 때 무재해 1배 목표는 며칠 후에 달성하는가? (단, 일요일이나 공휴일은 없는 것으로 간주하여, 이 현장의 평균 결근율은 5%로 가정한다.)

  1. 1580일
  2. 1500일
  3. 158일
  4. 150일
(정답률: 63%)
  • 하루에 근로자들이 총 근무하는 시간은 200명 x 10시간 = 2000시간이다. 하루에 이 현장에서 무재해로 근무하는 시간은 결근율을 고려하여 0.95 x 2000시간 = 1900시간이다. 이를 30만 시간으로 나누면 무재해 1배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일수를 구할 수 있다.

    30만 시간 ÷ 1900시간/일 ≈ 157.89일

    따라서, 무재해 1배 목표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일수는 약 158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안전관리 조직의 형태에 있어 라인(Line)형 조직의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100인 미만의 소규모 사업장에 적절하다.
  2. 안전에 관한 명령 지시나 개선조치가 철저하고 빠르다.
  3. 안전에 관한 전반사항을 별도의 전문팀으로 구성하여 운영한다.
  4. 명령과 보고가 상하 관계뿐이므로 간단하고 명료하다.
(정답률: 80%)
  • 정답: "명령과 보고가 상하 관계뿐이므로 간단하고 명료하다."

    설명: 라인(Line)형 조직은 상하 관계가 명확하고 간단한 구조를 가지며, 명령과 보고가 상하 관계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에 관한 전반사항을 별도의 전문팀으로 구성하여 운영한다."는 라인형 조직의 특징과는 맞지 않습니다. 이는 스태프(Staff)형 조직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위험예지훈련에서 활용하는 브레인스토밍의 4원칙으로 틀린 것은?

  1. 타인의 의견에 대하여 비판하지 않도록 한다.
  2. 타인의 의견을 수정하여 본인의 의견으로 제시하지 않도록 한다.
  3. 최대한 많은 양의 의견을 제시한다.
  4. 누구나 자유롭게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정답률: 81%)
  • "타인의 의견을 수정하여 본인의 의견으로 제시하지 않도록 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브레인스토밍에서 금기시되는 행동 중 하나인 "의견 수정"을 막기 위한 원칙이 아니라, 오히려 "의견 수정"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는 원칙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고용노동부장관이 안전진단을 명할 수 있는 사업장이 아닌 것은?

  1. 2년간 사업장의 연간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규모별 평균 산업재해율보다 낮은 사업장
  2. 안전ㆍ보건조치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하여 발생한 중대재해 발생 사업장
  3. 안전보건개선계획 수립ㆍ시행명령을 받은 사업장
  4. 추락ㆍ폭발ㆍ붕괴 등 재해발생 위험이 현저히 높은 사업장으로서 지방고용노동관서의 장이 필요 하다고 인정하는 사업장
(정답률: 78%)
  • 2년간 사업장의 연간 산업재해율이 같은 업종의 규모별 평균 산업재해율보다 낮은 사업장은 이미 안전성이 검증된 사업장으로, 안전진단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업장은 안전성을 유지하면서 더 나은 안전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건설업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1. 개구부 덮개
  2. 가설계단
  3. 공사장 경계표시를 위한 가설울타리
  4. 외부인 출입금지를 위한 가설울타리
(정답률: 59%)
  • 개구부 덮개는 건설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 중 하나인 낙하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장비입니다. 따라서 건설업의 산업안전보건관리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설계단, 공사장 경계표시를 위한 가설울타리, 외부인 출입금지를 위한 가설울타리는 모두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장비이지만, 개구부 덮개만큼 작업자의 생명과 직결된 위험요소를 막아주는 역할을 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연간평균근로자수가 400명인 사업장에서 연간 2건의 재해로 인하여 4명의 재해자가 발생하였다. 근로자가 1일 9시간씩 연간 300일을 근무하였을 때 이 사업장의 연천인율은 약 얼마인가?

  1. 1.85
  2. 4.44
  3. 5.0
  4. 10.0
(정답률: 46%)
  • 연간평균근로자수가 400명이므로, 이 사업장에서 일하는 총 근로자는 400명입니다. 재해로 인해 4명의 재해자가 발생했으므로, 연간 재해율은 4/400 = 0.01입니다.

    근로자가 1일 9시간씩 연간 300일을 근무하므로, 총 근로시간은 400 x 9 x 300 = 1,080,000시간입니다.

    따라서, 연간 천명당 재해율은 (0.01 x 1000) / 1,080,000 = 0.00000926입니다. 이 값을 10으로 반올림하면 10.0이 됩니다.

    즉, 이 사업장의 연천인율은 약 1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재해 발생 원인에 있어 기술적 원인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구조 재료의 부적합
  2. 안전 수칙의 오해
  3. 생산 공정의 부적당
  4. 점검, 정비, 보존불량
(정답률: 76%)
  • 안전 수칙의 오해는 기술적 원인이 아닌 인적 요인에 해당됩니다. 안전 수칙을 잘못 이해하거나 잘못 적용하는 등 인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 교육과 규정 준수 등 인적 요인 관리가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산업심리 및 교육

21. 다음 중 교육의 3요소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교사 - 학생 - 교육재료
  2. 교사 - 학생 - 부모
  3. 학생 - 환경 - 교육재료
  4. 학생 - 부모 - 사회 지식인
(정답률: 81%)
  • 교사는 학생들에게 교육을 제공하고, 학생들은 교사로부터 교육을 받으며 교육재료는 교사와 학생들이 함께 활용하여 학습을 진행하는데 필요한 도구이기 때문에 "교사 - 학생 - 교육재료"가 올바른 나열이다. 부모나 사회 지식인은 교육과 관련된 역할을 하지만, 교육의 핵심적인 요소는 아니기 때문에 다른 선택지들은 올바르지 않다. 학생 - 환경 - 교육재료는 학습 환경을 고려한 나열이지만, 교사의 역할이 빠져있어 교육의 전반적인 요소를 포괄하지 못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스트레스의 개인적 원인 중 한 직무의 역할 수행이 다른 역할과 모순되는 현실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역할연기
  2. 역할갈등
  3. 역할기대
  4. 역할조성
(정답률: 77%)
  • 역할갈등은 한 사람이 가지고 있는 여러 역할 중에서 하나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다른 역할과 모순되는 상황을 말한다. 예를 들어, 직장에서는 업무를 수행하면서 가족과의 시간을 충분히 가져야 한다는 역할과 모순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갈등은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개인의 생활 만족도와 직무 성과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직무기술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과 관계가 가장 먼 것은?

  1. 직무의 직종
  2. 수행되는 과업
  3. 직무수행 방법
  4. 작업자의 요구되는 능력
(정답률: 72%)
  • 작업자의 요구되는 능력은 직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능력과 관련이 있지만, 직무기술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은 직무의 직종, 수행되는 과업, 직무수행 방법 등과 같은 직무와 관련된 정보들이다. 따라서 작업자의 요구되는 능력이 직무기술서에 포함되어야 하는 사항과 관계가 가장 먼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능률과 안전을 위한 기계의 통제수단이 될 수 없는 것은?

  1. 반응에 의한 통제
  2. 개폐에 의한 통제
  3. 양(量)의 조절에 의한 통제
  4. 생산 원가에 의한 통제
(정답률: 70%)
  • 생산 원가에 의한 통제는 능률과 안전을 위한 기계의 통제수단이 될 수 없습니다. 이는 생산 원가를 줄이기 위해 기계의 유지보수나 안전에 필요한 비용을 절약하거나 무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기계의 안전성을 저하시키고, 결국 사고나 고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생산 원가에 의한 통제는 기계의 안전과 능률을 위한 통제수단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의사소통 과정의 4가지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메시지
  2. 수신자
  3. 채널
  4. 효과
(정답률: 74%)
  • 정답: "메시지"

    해설: 의사소통 과정의 4가지 구성요소는 메시지, 수신자, 채널, 효과입니다. 메시지는 전달하고자 하는 정보나 내용을 말하며, 수신자는 메시지를 받는 사람이고, 채널은 메시지를 전달하는 수단이며, 효과는 의사소통이 목적을 달성하는 정도를 말합니다. 따라서, "메시지"는 의사소통 과정의 구성요소 중 하나이지만, 나머지 요소들과는 달리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므로 정답입니다.

    효과는 의사소통이 목적을 달성하는 정도를 나타내며, 의사소통의 효과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보 전달이 목적인 의사소통에서는 정보가 정확하게 전달되었는지, 이해되었는지 등이 효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의견 교환이 목적인 의사소통에서는 서로의 의견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것이 효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주의에 관한 설명으로 틑린 것은?

  1. 주의 집중은 리듬을 가지고 변한다.
  2. 주의력을 강화하면 그 기능은 저하된다.
  3. 많은 것에 대하여 동시에 주의를 기울이기 어렵다
  4. 한 지점에 주의를 집중하면 다른 곳의 주의는 약해진다.
(정답률: 77%)
  • "주의력을 강화하면 그 기능은 저하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주의력을 강화하는 것은 일시적으로 다른 것들에 대한 주의력을 희생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더욱 효과적인 주의 집중력을 갖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인간이 환경을 지각(perception)할 때 가장 먼저 일어나는 요인은?

  1. 선택
  2. 조직화
  3. 해석
  4. 기대
(정답률: 65%)
  • 정답은 "선택"이다. 인간이 환경을 지각할 때, 우선적으로 주목하는 대상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먼저 일어난다. 선택은 인간이 받는 자극 중에서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것을 우선적으로 처리하고, 그 외의 자극은 무시하거나 뒤로 미루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선택은 인간의 지각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요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호손(Hawthorne) 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물리적 작업환경 이외에 심리적 요인이 생산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아냈다.
  2. 시간-동작연구를 통해서 작업도구와 기계를 설계했다.
  3. 소비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광고 전략을 개발했다.
  4. 채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차별요인을 밝히고 이를 시정하는 법적 조치의 기초를 마련했다.
(정답률: 77%)
  • 물리적 작업환경 이외에 심리적 요인이 생산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아냈다. 호손 연구는 일하는 사람들의 심리적 요인이 생산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조직 내부의 인간관계, 대인관계, 조직문화 등이 생산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아내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안전교육단계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기능교육에서는 작업과정에서의 잘못된 행동을 학습자의 직접 반복된 시행착오를 통해서 그 시점 요령을 점차 체득하여 안전에 대한 숙련성을 높인다.
  2. 안전교육은 태도교육, 지식교육, 기능교육의 순서로 진행한다.
  3. 지식교육단계에서는 인간감각에 의해서 감지할 수 없는 위험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교육한다.
  4. 태도교육단계에서는 안전을 위한 학습된 기능을 스스로 발휘하도록 태도를 형성하게 된다.
(정답률: 64%)
  • "안전교육은 태도교육, 지식교육, 기능교육의 순서로 진행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안전교육은 지식교육, 태도교육, 기능교육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이는 먼저 안전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고, 그 지식을 바탕으로 안전한 태도를 형성하고, 마지막으로 안전한 기능을 습득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맥그리거(Mc Gregor)의 X, Y 이론에 있어 X이론의 관리 처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경제적 보상체제의 강화
  2. 권위주의적 리더십의 확립
  3. 면밀한 감독과 엄격한 통제
  4. 자체평가제도의 활성화
(정답률: 66%)
  • 정답: 권위주의적 리더십의 확립

    이유: 맥그리거의 X 이론은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게으르고 자기 자신을 관리하지 못하며, 외부적인 감독과 통제가 필요하다는 가정에 기반한다. 따라서, 자체평가제도의 활성화는 개인의 책임감과 자기주도적인 역량을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며, 이는 X 이론의 관리 처방과 일치한다. 그러나 권위주의적 리더십은 조직 내부의 권력과 지위를 중시하며, 개인의 창의성과 자율성을 억압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이는 X 이론의 관리 처방과 상반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피로 측정방법 중 생화학적 방법의 측정대상항목에 해당 하는 것은?

  1. 혈액검사
  2. 근전도검사
  3. 뇌파검사
  4. 심전도검사
(정답률: 68%)
  • 생화학적 방법은 혈액 내 생화학적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혈액검사가 측정대상항목에 해당한다. 근전도검사, 뇌파검사, 심전도검사는 전기적 신호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생화학적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과는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교육방법의 4단계 중 강의식으로 적용시간이 가장 긴 것은?

  1. 도입
  2. 제시
  3. 적용
  4. 확인
(정답률: 69%)
  • 정답은 "제시"이다. 강의식 교육방법에서는 선생님이 지식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이를 수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시하는 시간이 가장 길다. 도입 단계에서는 학생들의 관심을 끌고 배울 내용에 대한 전반적인 개요를 설명하며, 적용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배운 내용을 실제로 적용해보는 시간이 주어진다. 마지막으로 확인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배운 내용을 복습하고 평가하는 시간이 주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Off J.T(Off Job Training)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개개인에게 적절한 지도훈련이 가능하다.
  2. 직장의 실정에 맞게 실제적 훈련이 가능하다.
  3. 훈련에 필요한 업무의 계속성이 끊어지지 않는다.
  4. 전문가를 강사로 초빙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답률: 74%)
  • Off J.T는 직장에서 벗어나서 이루어지는 훈련으로,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적어 개개인에게 적절한 지도훈련이 가능하며, 직장의 실정에 맞게 실제적 훈련이 가능하다. 또한, 훈련에 필요한 업무의 계속성이 끊어지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어 전문가를 강사로 초빙하는 것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안전에 대한 교육훈련계획 수립시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1. 교육범위
  2. 교육대상
  3. 교육기간
  4. 평가범위
(정답률: 76%)
  • 안전에 대한 교육훈련계획 수립시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교육대상"입니다. 이는 교육을 받아야 할 대상인 직원들의 역할, 책임, 작업환경 등을 파악하여 그에 맞는 교육 내용과 방법을 결정하기 위함입니다. 교육대상을 정확히 파악하지 않으면 교육의 효과가 떨어지거나 교육을 받지 않아도 되는 대상에게 교육을 시행하는 등의 비효율적인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리더십의 유형은 리더의 행동에 근거하여 자유방임형, 권위형, 민주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다음 중 민주형 리더십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은?

  1. 집단 구성원들이 리더를 존경한다.
  2. 의사교환이 제한된다.
  3. 자발적 행동이 많이 나타난다.
  4. 구성원간의 상호관계가 원만하다.
(정답률: 78%)
  • 민주형 리더십의 특징은 구성원들의 의견을 존중하고 수용하며, 의사결정에 참여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의사교환이 제한된다"는 것은 민주형 리더십의 특징과 거리가 먼 것이다. 이는 권위형 리더십에서 더 많이 나타나는 특징으로, 리더의 의견이 절대적으로 받아들여지고 구성원들의 의견이 무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ATP 라고도 하며, 당초 일부 회사의 톱 매니지먼트에 대하여만 행하였으나 그 후 널리 보급되었으며, 교육내용으로는 정책의 수립, 조직, 통제 및 운영 등의 안전교육방법은?

  1. TWI(Training Within Industry)
  2. MTP(Management Training Program)
  3. CCS(Civil Communication Section)
  4. ATT(American Telephone & Telegram Co.)
(정답률: 66%)
  • CCS는 안전교육 방법 중 하나로, 조직 내에서의 원활한 소통과 의사결정을 위해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이다. 이를 통해 조직 구성원들은 상황판단과 의사결정 능력을 향상시키며, 안전과 생산성을 동시에 보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인간의 착각현상 가운데 암실 내에서 하나의 광점을 보고 있으면 그 광점이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자동운동 이라 하는데 다음 중 자동운동이 생기기 쉬운 조건이 아닌 것은?

  1. 광도 강도가 클 것
  2. 대상이 단순할 것
  3. 광점이 작을 것
  4. 시야의 다른 부분이 어두울 것
(정답률: 64%)
  • 정답: "광도 강도가 클 것"

    설명: 자동운동은 시야에서 하나의 광점을 지속적으로 바라보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 때 광도 강도가 클수록 눈의 망막에 더 강한 자극을 주기 때문에 자동운동이 생기기 쉽습니다. 따라서 광도 강도가 낮은 상황에서는 자동운동이 생기기 어렵습니다. 대상이 단순하고 광점이 작을수록 자동운동이 생기기 쉽고, 시야의 다른 부분이 어두울수록 광점이 더 두드러져서 자동운동이 생기기 쉽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른 사람으로부터의 판단이나 행동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모방(Imitation)
  2. 암시(Suggestion)
  3. 투사(Projection)
  4. 동일화(Identification)
(정답률: 54%)
  • 암시는 다른 사람의 판단이나 행동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을 말한다. 이는 다른 사람의 말이나 행동에서 미묘한 신호를 받아들여 자신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의 정답은 "암시(Suggestio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강의법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강의 시간에 대한 조정이 용이하다.
  2. 학습자의 개성과 능력을 최대화 할 수 있다.
  3. 다수의 인원에서 동시에 많은 지식과 정보의 전달이 가능하다.
  4. 난해한 문제에 대하여 평이하게 설명이 가능하다.
(정답률: 79%)
  • 정답: "난해한 문제에 대하여 평이하게 설명이 가능하다."

    강의법의 장점으로는 강의 시간 조정의 용이성, 다수의 인원에게 지식과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는 점, 그리고 학습자의 개성과 능력을 최대화할 수 있다는 점이 있다. 하지만 난해한 문제에 대해 평이하게 설명하는 것은 강의법의 장점으로 볼 수 없다. 이는 강의자의 능력과 경험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적응기제(Adjustment Mechanism)에 있어 방어적 기제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조소
  2. 승화
  3. 합리화
  4. 치환
(정답률: 59%)
  • 조소는 적응기제 중 방어적 기제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조소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를 작게 만들거나 무시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향을 말합니다. 이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유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문제를 더욱 악화시킬 수도 있습니다. 승화, 합리화, 치환은 모두 방어적 기제에 해당됩니다. 승화는 문제를 과장하여 해결하려는 경향, 합리화는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해 논리적인 접근을 하는 경향, 치환은 문제를 다른 것으로 대체하여 해결하려는 경향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41. FTA에 사용되는 논리게이트 중 조건부 사건이 발생하는 상황 하에서 입력현상이 발생할 때 출력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1. AND 게이트
  2. 우선적 AND 게이트
  3. 억제 게이트
  4. 배타적 OR 게이트
(정답률: 30%)
  • 조건부 사건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입력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면 출력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게이트를 억제 게이트라고 한다. 이는 입력 신호가 없을 때 출력 신호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조건부 사건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입력 현상이 발생할 때 출력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억제 게이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그림과 같은 FT도에서 정상사상 T 의 발생 확률은 약 얼마인가? (단 , X1, X2, X3의 발생확률은 각각 0.1, 0.15, 0.1 이다.)

  1. 0.3115
  2. 0.35
  3. 0.496
  4. 0.9985
(정답률: 54%)
  • FT도에서 정상사상 T는 X1, X2, X3이 모두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 발생한다. 따라서 정상사상 T의 발생 확률은 다음과 같다.

    P(T) = (1 - P(X1)) * (1 - P(X2)) * (1 - P(X3))
    = (1 - 0.1) * (1 - 0.15) * (1 - 0.1)
    = 0.79 * 0.85 * 0.9
    = 0.56745

    따라서, 정답은 "0.496"이 아니라 "0.56745"이다. 주어진 보기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0.35"이지만, 이 역시 정답과 차이가 있으므로 "0.3115"는 올바른 답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동작의 합리화를 위한 물리적 조건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마찰력을 감소시킨다.
  2. 접촉 면적을 크게 한다.
  3. 고유 진동을 이용한다.
  4. 인체표면에 가해지는 힘을 작게 한다.
(정답률: 62%)
  • 고유 진동을 이용하는 것은 동작의 합리화를 위한 물리적 조건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고유 진동은 동작을 더 어렵게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반면, 접촉 면적을 크게 하는 것은 마찰력을 증가시켜 동작을 더 쉽게 만들어줍니다. 더 넓은 면적이 접촉하면 더 많은 마찰력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FTA의 기대효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사고 원인 규명의 간편화
  2. 사고 원인 분석의 정성화
  3. 노력 시간의 절감
  4. 시스템의 결함진단
(정답률: 39%)
  • 정답: "사고 원인 분석의 정성화"

    설명: FTA는 사고 원인을 분석하여 예방하는 기술로, 사고 원인 규명의 간편화와 노력 시간의 절감, 시스템의 결함진단 등의 기대효과가 있다. 하지만 사고 원인 분석의 정성화는 FTA의 기대효과로 볼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기계의 정보처리 기능과 가장 관련이 있는 것은?

  1. 귀납적 처리기능
  2. 연역적 처리기능
  3. 응용능력적 기능
  4. 임기응변적 기능
(정답률: 55%)
  • 연역적 처리기능은 주어진 사실과 규칙을 이용하여 새로운 정보를 유도하는 기능으로, 기계가 추론과 결론을 도출하는 데 가장 관련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한 음성인식 시스템에서는 연역적 처리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분석하고, 그에 따라 적절한 명령을 실행합니다. 따라서, 연역적 처리기능은 기계의 정보처리 능력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의 DT(Decision Tree)에서 ①,②,③에 해당하는 값으로 옳은 것은?

  1. ① : 0.9405 ② : 0.0495 ③ : 0.01
  2. ① : 0.9999 ② : 0.0495 ③ : 0.05
  3. ① : 0.9995 ② : 0.9905 ③ : 0.05
  4. ① : 1.94 ② : 1.04 ③ : 0.01
(정답률: 48%)
  • DT에서 ①은 "Outlook"이 "Sunny"일 때 "PlayTennis"가 "Yes"인 확률을 나타내고, ②는 "Outlook"이 "Sunny"이 아닐 때 "PlayTennis"가 "Yes"인 확률을 나타내며, ③은 "Outlook"이 "Sunny"일 때 "PlayTennis"가 "No"인 확률을 나타낸다. 따라서, "Sunny"일 때 "PlayTennis"가 "Yes"인 경우가 0.9405로 가장 높으므로 ①은 0.9405이 되어야 한다. 또한, "Sunny"이 아닐 때 "PlayTennis"가 "Yes"인 경우는 "Humidity"가 "High"일 때와 "Normal"일 때 두 가지 경우가 있으며, 이 두 경우의 확률을 합한 값이 0.0495가 되어야 하므로 ②는 0.0495가 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Sunny"일 때 "PlayTennis"가 "No"인 경우는 0.01이 되므로 ③은 0.01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① : 0.9405 ② : 0.0495 ③ : 0.0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시각적 표시장치보다 청각적 표시장치를 이용하는 경우가 더 유리한 경우는?

  1. 메시지가 길고 복잡한 경우
  2. 주위 환경이 너무 밝은 경우
  3. 메시지를 추후 참고할 필요가 있는 경우
  4. 직무상 수신자가 한 곳에 머무르는 경우
(정답률: 59%)
  • 주위 환경이 너무 밝은 경우에는 시각적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하기 어렵기 때문에 청각적 표시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 예를 들어, 야외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나 해변에서 휴가를 보내는 경우 등 밝은 환경에서는 시각적 표시장치를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달하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산업 현장의 생산설비의 경우 안전장치가 부착되어 있으나 생산성을 위해 제거하고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설계시 안전장치를 제거하면 작동이 되지 않는 구조를 채택하는데 이러한 예방 설계 개념을 무엇이라 하는가?

  1. Fail safe
  2. Fool proof
  3. Temper proof
  4. Lock out
(정답률: 38%)
  • 정답은 "Temper proof"이다.

    Temper proof는 외부의 간섭이나 조작으로 인해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도록 설계된 것을 말한다. 따라서 생산설비에서 안전장치를 제거하더라도 작동하지 않도록 설계된 구조를 채택하는 것이 Temper proof 설계 개념에 해당한다. Fail safe는 시스템이 고장이 발생해도 안전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을 말하고, Fool proof는 사용자가 실수를 하더라도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도록 설계된 것을 말한다. Lock out은 특정 장치나 시스템에 접근을 차단하는 것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은행 창구나 슈퍼마켓의 계산대를 설계하는데 가장 적합한 인체측정 자료의 응용원칙은?

  1. 평균치를 이용한 설계원칙
  2. 가변적(조절식) 설계원칙
  3. 최소 집단치를 이용한 설계원칙
  4. 최대 집단치를 이용한 설계원칙
(정답률: 71%)
  • 은행 창구나 슈퍼마켓의 계산대를 설계할 때는 대다수의 고객이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는 디자인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가장 적합한 인체측정 자료의 응용원칙은 평균치를 이용한 설계원칙입니다. 평균치를 이용하면 대다수의 고객이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설계를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원칙들은 특정 집단의 체형에 맞춘 설계를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고객들에게는 부적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영상표시단말기(VDT)를 사용하는 작업에 있어 일반적으로 화면과 그 인접 주변과의 광도비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1 : 1
  2. 1 : 3
  3. 1 : 7
  4. 1 : 10
(정답률: 51%)
  • VDT 작업에서는 화면과 주변의 광도비가 적절해야 눈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화면과 주변의 밝기 차이가 크지 않아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화면과 주변의 광도비는 1:3 정도가 적절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화면의 밝기가 주변의 밝기보다 3배 정도 높은 경우를 의미합니다. 이렇게 하면 화면이 너무 밝거나 어두워지지 않고, 눈의 피로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보기]의 안전성 평가 단계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①→②→③→④→⑤
  2. ②→①→④→③→⑤
  3. ④→①→②→③→⑤
  4. ④→②→①→③→⑤
(정답률: 65%)
  • 안전성 평가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다.
    ① 안전성 평가 계획 수립
    ② 위험 식별
    ③ 위험 분석
    ④ 위험 평가
    ⑤ 안전성 평가 보고서 작성

    따라서, 위험 평가는 위험 식별과 위험 분석을 거쳐 이루어지므로 ④→①→②→③→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한 대의 기계를 100시간 동안 연속 사용한 경우 6회의 고장이 발생하였고, 이때의 총고장수리시간이 15시간이었다. 이 기계의 MTBF(Mean time between failure)는 약 얼마인가?

  1. 2.5
  2. 14.17
  3. 15
  4. 16.67
(정답률: 53%)
  • MTBF는 평균 고장 간격을 의미하며,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MTBF = 총 사용 시간 / 고장 횟수

    여기서 총 사용 시간은 100시간이고, 고장 횟수는 6회이다. 따라서,

    MTBF = 100시간 / 6회 = 16.67시간/회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고장 시간도 함께 주어졌다. 따라서, MTBF를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MTBF = (총 사용 시간 - 총 고장 수리 시간) / 고장 횟수

    여기서 총 사용 시간은 100시간이고, 총 고장 수리 시간은 15시간이다. 따라서,

    MTBF = (100시간 - 15시간) / 6회 = 14.17시간/회

    따라서, 정답은 "14.1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FMEA에서 고장 평점을 결정하는 5가지 평가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고장발생의 빈도
  2. 고장방지의 가능성
  3. 생산능력의 범위
  4.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의 범위
(정답률: 52%)
  • 생산능력의 범위는 FMEA에서 고장 평점을 결정하는 5가지 평가요소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제조 공정과 관련된 요소로, 제품의 기능적인 측면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FMEA에서는 고장발생의 빈도, 고장방지의 가능성,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의 범위 등과 같은 기능적인 측면을 중심으로 평가를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작업시의 불필요한 작업동작으로 인한 손실과 위험요인을 찾아내기 위하여 동작분석(Motion Study)을 행할 때 다음 중 동작분석의 주목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작업의 세분화
  2. 동작계열의 개선
  3. 표준 동작의 설계
  4. 모션 마인드의 체질화
(정답률: 42%)
  • 작업의 세분화는 동작분석의 주요 목적 중 하나가 아닙니다. 동작분석의 주요 목적은 작업시의 불필요한 작업동작으로 인한 손실과 위험요인을 찾아내어 개선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작업의 세분화"입니다. 작업의 세분화는 작업을 더 작은 단위로 나누어서 분석하는 것으로, 작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적절한 온도의 작업 환경에서 추운 환경으로 변할 때, 우리의 신체가 수행하는 조절작용이 아닌 것은?

  1. 피부의 온도가 내려간다.
  2. 혈액의 많은 양이 몸의 중심부를 순환한다.
  3. 직장온도가 약간 올라간다.
  4. 발한이 시작된다.
(정답률: 59%)
  • 정답: 발한이 시작된다.

    설명: 우리의 신체는 추운 환경에서도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혈액순환, 근육수축, 발한 등의 조절작용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피부의 온도가 내려간다.", "혈액의 많은 양이 몸의 중심부를 순환한다.", "직장온도가 약간 올라간다."는 모두 우리의 신체가 수행하는 조절작용입니다. 하지만 "발한이 시작된다."는 우리의 신체가 아닌, 환경적인 요인으로 인해 발한이 시작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인간의 작업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의자의 설계원칙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체중분포가 두 좌골결절에서 둔부 주위로 갈수록 압력이 감소하는 형태가 되도록 한다.
  2. 좌판의 높이는 대퇴가 압박되지 않도록 오금 높이보다 약간 높아야 한다.
  3. 좌판의 높이는 큰 사람에게 적합하도록 한다.
  4. 좌판의 깊이는 장딴지 여유를 주고 대퇴를 압박하지 않게 작은 사람에게 적합하도록 한다.
(정답률: 32%)
  • 정답은 "좌판의 높이는 큰 사람에게 적합하도록 한다."입니다. 이유는 인간의 대퇴뼈 길이는 개인마다 다르기 때문에, 좌판의 높이가 큰 사람에게 적합하도록 설계하면 작은 사람은 대퇴가 압박되어 불편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좌판의 높이는 대퇴가 압박되지 않도록 오금 높이보다 약간 높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시스템 안전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스템 안전에 필요한 사항에 대한 동일성을 식별하여야 한다.
  2. 타 시스템의 프로그램 영역을 중복시켜야 한다.
  3. 안전활동의 계획, 안전조직과 관리를 철저히 하여야한다.
  4. 시스템 안전목표를 적시에 유효하게 실현하기 위해 프로그램의 해석, 검토 및 평가를 실시하여야한다.
(정답률: 71%)
  • "타 시스템의 프로그램 영역을 중복시켜야 한다."는 시스템 안전관리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틀린 설명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이 없다.

    하지만, 시스템 안전에 필요한 사항에 대한 동일성을 식별하는 것은 시스템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를 통해 시스템 안전성을 유지하고 개선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시각적 부호의 유형과 내용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임의적 부호 - 주의를 나타내는 삼각형
  2. 묘사적 부호 - 보도 표지판의 걷는 사람
  3. 명시적 부호 - 위험표지판의 해골과 뼈
  4. 추상적 부호 - 별자리를 나타내는 12궁도
(정답률: 56%)
  • 정답은 "명시적 부호 - 위험표지판의 해골과 뼈"이다. 위험표지판의 해골과 뼈는 심볼적인 부호로 분류되며, 명시적 부호는 특정한 동작이나 행동을 요구하는 부호를 말한다. 따라서, 시각적 부호의 유형과 내용이 잘못 연결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인간-기계 체제(Man-machine system)의 연구 목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정보 저장의 극대화
  2. 운전시 피로의 극소화
  3. 시스템의 신뢰성 극대화
  4. 안전성 제고와 능률의 극대화
(정답률: 68%)
  • 인간-기계 체제의 연구 목적은 안전성 제고와 능률의 극대화입니다. 이는 인간과 기계가 함께 작업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하고, 작업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안전성과 효율성을 동시에 고려하여 시스템을 설계하고 개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정신적 작업부하 척도 가운데 직무수행 중에 계속해서 자료를 수집할 수 있고, 부수적인 활동이 필요 없는 장점을 가진 척도는?

  1. 제1직무 척도
  2. 제2직무 척도
  3. 생리적 척도
  4. 주관적 척도
(정답률: 41%)
  • 생리적 척도는 직무 수행 중에 신체적 반응을 측정하여 작업 부하를 평가하는 척도이다. 이는 자료 수집을 위해 부수적인 활동이 필요하지 않으며, 계속해서 측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정신적 작업 부하를 평가하는 다른 척도들과는 달리, 더욱 객관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설시공학

61. 흙막이공법 종류 중 H-말뚝, 토류판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응력부담재인 강제의 연직 H-형강을 중심간격 1.5~1.8m의 일정한 간격으로 미리 지중에 타입시킨다.
  2. 띠장의 간격 감소 및 버팀대 좌우 좌굴방지를 위해서 가새나 귀잡이가 필요한 공법이다.
  3. 지하수가 많은 지반에는 차수공법을, 인접가옥이 접근 하여 있을 때는 언더피닝공법을 채용한다.
  4. 보일링, 파이핑에 대하여 매우 견고하여, 연약한 점성토 지반에 활용시 효과가 크다.
(정답률: 54%)
  • 보일링, 파이핑에 대하여 매우 견고하여, 연약한 점성토 지반에 활용시 효과가 크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이는 H-말뚝, 토류판공법이 아닌 다른 공법인 보일링, 파이핑 공법의 특징입니다. H-말뚝, 토류판공법은 강제의 연직 H-형강을 지중에 타입시키는 공법으로, 지반의 강도를 높이고 지지력을 확보하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지하수가 많은 지반을 탈수하여 건조한 지반으로 만들기 위한 공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웰포인트 공법
  2. 샌드드레인 공법
  3. 베노토 공법
  4. 깊은우물 공법
(정답률: 54%)
  • 베노토 공법은 지하수를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지하수를 통제하여 지반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이기 때문에, 지하수를 많이 가지고 있는 지반을 건조하게 만드는 공법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A.E제 계량장치는?

  1. 리바운드 기록지(Rebound check sheet)
  2. 디스펜서(Dispenser)
  3. 워싱턴 미터(Washington meter)
  4. 이넌데이터(Inundator)
(정답률: 47%)
  • A.E제는 약물 제조 회사이며, 디스펜서는 약물을 정확하게 계량하여 제조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A.E제 계량장치는 디스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기초굴착 방법 중 굴착 공에 철근망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말뚝을 형성하는 공법으로 안정액으로 벤토나이트 용액을 사용하고 표층부에서만 케이싱을 사용하는 것은?

  1. 리버스 서큘레이션 공법
  2. 베노토공법
  3. 심초공법
  4. 어스드릴공법
(정답률: 60%)
  • 어스드릴공법은 철근망을 삽입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말뚝을 형성하는 기초굴착 방법 중 하나이며, 안정액으로 벤토나이트 용액을 사용하고 표층부에서만 케이싱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는 어스드릴공법이 유일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PC(Precast concrete) 공사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동절기 공사가 일반 콘크리트 공사보다 유리하다.
  2. RC공사에 비해 일체성 확보에 유리하다.
  3. 자유로운 형상제작이 어려우므로 설계상의 제약이 따른다.
  4. 대규모 공사에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정답률: 45%)
  • PC공사는 일체성 확보에 유리하다는 것이 옳지 않다. PC공사는 사전에 제작된 콘크리트 부재를 현장에서 조립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일체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RC공사는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주울 때 일체성을 확보하기 쉽기 때문에 이 점에서는 유리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원심력 고강도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말뚝(PHC말뚝)의 이용방법 중 건설현장에서 가장 강성이 우수하고 안전하여 많이 사용하는 이음방법은?

  1. 충전식이음
  2. 볼트식이음
  3. 용접식이음
  4. 강관말뚝의 이음
(정답률: 65%)
  • 용접식이음은 PHC말뚝의 끝단에 있는 강철관을 용접하여 이음을 만드는 방법으로, 강성이 뛰어나고 안전성이 높아서 건설현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충전식이음은 콘크리트를 채워서 이음을 만드는 방법이고, 볼트식이음은 볼트를 이용하여 이음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강관말뚝의 이음은 강철관을 이어서 만드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기존에 구축된 건축물 가까이에서 건축공사를 실시할 경우 기존 건축물의 지반과 기초를 보강하는 공법은?

  1. 이코스(Icos)공법
  2. 언더피닝공법
  3. CIP공법
  4. 탑다운(Top-Down)공법
(정답률: 69%)
  • 언더피닝공법은 기존 건축물의 지반과 기초를 파괴하지 않고, 기존 건축물 아래에서 지반을 보강하는 공법이다. 따라서 기존 건축물을 보호하면서 건축공사를 실시할 수 있어 안전성이 높다. 이에 반해 이코스(Icos)공법은 기존 건축물을 파괴하고 새로운 기초를 설치하는 방식이며, CIP공법은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지반을 보강하는 방식이다. 탑다운(Top-Down)공법은 지하층부터 차례로 건축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기존 건축물의 보강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철근콘크리트 말뚝머리와 기초와의 접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말뚝머리는 커팅위치를 정한 다음 해머로 때려 두부를 정리한다.
  2. 말뚝머리 길이가 짧은 경우는 기초저면까지 보강하여 시공한다.
  3. 말뚝머리 철근은 기초에 30cm이상의 길이로 정착한다.
  4. 말뚝머리와 기초와의 확실한 정착을 위해 파일앵커링을 시공한다.
(정답률: 54%)
  • "말뚝머리는 커팅위치를 정한 다음 해머로 때려 두부를 정리한다."는 옳은 설명이 아니다. 말뚝머리는 일반적으로 철근을 굽히거나 접어서 제작되며, 이후에는 기초와의 접합 부위에 맞게 가공된다. 때문에 말뚝머리를 해머로 때리는 것은 올바른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네트워크공정표에서 후속작업의 가장 빠른 개시시간(EST)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한 작업이 가질 수 있는 여유시간을 의미하는 것은?

  1. 전체여유(TF)
  2. 자유여유(FF)
  3. 간섭여유(IF)
  4. 종속여유(DF)
(정답률: 73%)
  • 자유여유(FF)는 후속작업의 가장 빠른 개시시간(EST)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한 작업이 가질 수 있는 여유시간을 의미합니다. 즉, 해당 작업이 완료되는 최대 시간과 후속작업의 시작 시간 사이에 있는 시간을 말합니다. 이는 해당 작업이 완료되는 시간이 조금 늦어져도 후속작업의 시작 시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를 나타내며, 작업 일정을 조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가설건축물 중 시멘트창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바닥구조는 일반적으로 마루널깔기로 한다.
  2. 창고의 크기는 시멘트 100포당 2~3m2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공기의 유통이 잘 되도록 개구부를 가능한 한 크게 한다.
  4. 벽은 널판붙임으로 하고 장기간 사용하는 것은 함석붙이기로 한다.
(정답률: 68%)
  • 가설건축물 중 시멘트창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벽은 널판붙임으로 하고 장기간 사용하는 것은 함석붙이기로 한다." 이다. 이유는 널판붙임은 시멘트 창고와 같은 건축물에 적합하지 않으며, 함석붙이기가 더 적합하다.

    공기의 유통이 잘 되도록 개구부를 크게 하는 이유는 시멘트와 같은 건축자재는 습기에 노출되면 품질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기의 유통이 잘 되도록 개구부를 크게하여 건축물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고 건조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거푸집공사(form work)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거푸집은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를 부어넣어 콘크리트 구조체를 형성하는 거푸집널과, 이것을 정확한 위치로 유지하는 동바리, 즉 지지들의 총칭이다.
  2. 콘크리트 표면에 모르타르, 플라스터 또는 타일붙임 등의 마감을 할 경우에는 평활하고 광택있는 면이 얻어 질 수 있도록 철제 거푸집(metal form)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3. 거푸집공사비는 건축공사비에서의 비중이 높으므로, 설계단계부터 거푸집 공사의 개선과 합리화 방안을 연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폼타이(form tie)는 콘크리트를 부어넣을 때 거푸집이 벌어지거나 우그러들지 않게 연결, 고정하는 긴결재이다.
(정답률: 59%)
  • 콘크리트 표면에 모르타르, 플라스터 또는 타일붙임 등의 마감을 할 경우에는 평활하고 광택있는 면이 얻어 질 수 있도록 철제 거푸집(metal form)을 사용하는 것이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토공사 시 사용하는 현장 계측장비로서 주변 건물이나 옹벽, 철탑 등 터파기 주위의 주요 구조물에 설치하여 구조물의 경사, 변형상태를 측정하는 장비는?

  1. piezo meter
  2. tilt meter
  3. load cell
  4. strain gauge
(정답률: 61%)
  • 토공사 시에는 터파기 작업 중 주변 구조물의 안전을 위해 구조물의 경사와 변형상태를 측정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하는 장비가 tilt meter입니다. Tilt meter는 주변 건물이나 옹벽, 철탑 등에 설치하여 구조물의 경사와 변형상태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토공사 작업 중 구조물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필수적인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레디믹스콘크리트(ready mixed concrete)의 슬럼프가 80mm 이상 일 때의 슬럼프 허용오차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10mm
  2. ±15mm
  3. ±20mm
  4. ±25mm
(정답률: 51%)
  • 정답은 "±25mm"입니다.

    슬럼프는 콘크리트의 플라스틱성과 유동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콘크리트를 형태로 만들기 전에 측정합니다. 슬럼프가 높을수록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높아지므로, 건축물의 구조적 안정성을 위해 슬럼프 허용오차를 정해놓고 이를 벗어나면 콘크리트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레디믹스콘크리트의 슬럼프가 80mm 이상일 때의 슬럼프 허용오차 기준은 보통 "±25mm"입니다. 이는 슬럼프가 높을수록 콘크리트의 유동성이 높아져서 오차 범위가 넓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슬럼프가 높을수록 허용오차 범위가 넓어지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바닥전용 거푸집으로서 거푸집판, 장선, 멍에, 서포트 등을 일체로 제작하여 수평,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시스템 거푸집은?

  1. 슬라이딩 폼
  2. 클라이밍 폼
  3. 플라잉 폼
  4. 트래블링 폼
(정답률: 39%)
  • 문제에서 설명한 시스템 거푸집은 수평,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의 무게가 가벼워야 합니다. 따라서 거푸집을 제작할 때 가벼운 소재인 폼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 중에서도 이동성이 뛰어난 것이 "플라잉 폼"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플라잉 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콘크리트 이어 붓기 위치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보 바닥판의 이음은 그 간사이의 중앙부에 수직으로 한다.
  2. 바닥판은 그 간사이의 중앙부에 작은 보가 있을 때는 작은보 너비의 2배정도 떨어진 곳에서 이어 붓는다.
  3. 기둥은 기초판, 연결보 또는 바닥판 위에 수직으로 한다.
  4. 아치는 아치 축에 직각으로 한다.
(정답률: 34%)
  • 아치는 아치 축에 직각으로 한다는 것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아치의 형태와 구조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는 아치의 중심축에 따라 이어 붓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석공사에서 대리석붙이기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리석은 주로 실내보다는 외장용으로 많이 사용한다.
  2. 대리석 붙이기 연결철물은 10#~20#의 황동쇠선을 사용한다.
  3. 대리석 붙이기 최하단은 충격에 쉽게 파손되므로 충진재를 넣는다.
  4. 대리석은 시멘트 모르타르로 붙이면 알칼리성분에 의하여 변색ㆍ오염될 수 있다.
(정답률: 67%)
  • "대리석은 주로 실내보다는 외장용으로 많이 사용한다."가 옳은 내용이다. 대리석은 내구성이 높고 미관적인 면에서 우수하기 때문에 건축물의 외장재로 많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의 각 도급공사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분할도급은 전문공종별, 공정별 분할도급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 경우 재료는 건축주가 직접 조달하여 지급하고 노무만을 도급하는 것이다.
  2. 공동도급이란 대규모 공사에 대하여 여러 개의 건설회사가 공동출자 기업체를 조직하여 도급하는 방식이다.
  3. 공구별 분할도급은 대규모 공사에서 지역별로 분리하여 발주하는 방식이다.
  4. 일식도급은 한 공사 전부를 도급자에게 맡겨 재료, 노무, 현장시공업무 일체를 일괄하여 시행시키는 방법이다.
(정답률: 70%)
  • "분할도급은 전문공종별, 공정별 분할도급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 경우 재료는 건축주가 직접 조달하여 지급하고 노무만을 도급하는 것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분할도급은 건설공사를 전문공종별, 공정별로 나누어 각각의 전문업체가 도급하는 방식으로, 건축주가 필요한 재료를 직접 조달하여 지급하고, 노무만을 도급하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공동도급, 공구별 분할도급, 일식도급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설계가 시작되기 전에 프로젝트의 실행 가능성을 알아보거나 설계의 초기단계 또는 진행단계에서 여러 설계 대안의 경제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것은?

  1. 개산견적
  2. 명세견적
  3. 상세견적
  4. 입찰견적
(정답률: 60%)
  • 개산견적은 프로젝트의 실행 가능성을 파악하거나 설계 대안의 경제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는 것입니다. 이는 프로젝트의 예산과 일정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개산견적은 프로젝트의 초기단계나 진행단계에서 수행되며, 명세견적, 상세견적, 입찰견적 등의 다른 종류의 견적과는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해당 공사의 특수한 조건에 따라 표준시방서에 대하여 추가, 변경, 삭제를 규정한 시방서는?

  1. 안내시방서
  2. 특기시방서
  3. 자료시방서
  4. 공사시방서
(정답률: 77%)
  • 해당 공사의 특수한 조건에 따라 표준시방서에 대하여 추가, 변경, 삭제를 규정한 시방서는 "특기시방서"입니다. 이는 일반적인 표준시방서로는 충분하지 않은 특수한 상황에서 필요한 추가적인 규정을 담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해당 공사의 특수한 조건에 맞게 작성된 특기시방서를 참고하여 공사를 진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철골보와 콘크리트 슬래브를 연결하는 쉬어 커넥터(shear connector)의 역할을 하는 부재의 명칭은?

  1. 라인포싱 바(reinforcing bar)
  2. 가이데릭(guy derrick)
  3. 메탈 서포트(metal support)
  4. 스터드(stud)
(정답률: 69%)
  • 스터드는 철골보와 콘크리트 슬래브를 연결하는 쉬어 커넥터로 사용되는 부재의 명칭입니다. 스터드는 보통 철강으로 만들어져 있으며, 철골보와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에 끼워져서 연결력을 제공합니다. 스터드는 보통 철골보에 미리 부착되어 있으며, 콘크리트를 부어넣을 때 함께 부어넣어서 연결력을 강화합니다. 따라서 스터드는 철골보와 콘크리트 슬래브를 강력하게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설재료학

81. 다음 중 시멘트의 수경률을 구하는 식에서 분자에 속하는 것은?

  1. CaO
  2. SiO2
  3. Al2O3
  4. Fe2O3
(정답률: 49%)
  • 시멘트의 수경률을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수경률 = (CaO - (0.7 × SO₃)) / (2.8 × SiO₂ + 1.2 × Al₂O₃ + 0.65 × Fe₂O₃)

    분자에 속하는 것은 CaO입니다. 이는 수경률을 구하는 식에서 분자에 위치하고 있으며, 수경률의 분자를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CaO는 시멘트 제조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CaO는 고온에서 SiO₂, Al₂O₃, Fe₂O₃ 등과 반응하여 클링커(Clinker)를 생성합니다. 클링커는 시멘트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이며, 시멘트의 강도와 경도성을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CaO는 시멘트 제조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목재의 수분ㆍ습기의 변화에 따른 팽창수축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용하기 전에 충분히 건조시켜 균일한 함수율이된 것을 사용할 것
  2. 가능한 곧은결 목재를 사용할 것
  3. 가능한 저온 처리된 목재를 사용할 것
  4. 파라핀ㆍ크레오소트 등을 침투시켜 사용할 것
(정답률: 59%)
  • "파라핀ㆍ크레오소트 등을 침투시켜 사용할 것"은 옳지 않은 방법이다. 이는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목재 내부의 구조를 파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가능한 저온 처리된 목재를 사용하는 이유는, 저온 처리를 통해 목재 내부의 수분을 제거하고, 수축률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목재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유동화 콘크리트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초기강도는 감소되고 장기강도가 증대된다.
  2. 높은 강도, 내구성, 수밀성을 갖는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다.
  3. 유동화제라고 불리는 분산성능이 높은 혼화제를 혼입한 것이다.
  4. 건조수축이 통상의 묽은 비빔콘크리트보다 적게 된다.
(정답률: 40%)
  • "초기강도는 감소되고 장기강도가 증대된다."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아니다.

    유동화 콘크리트는 분산성능이 높은 유동화제를 혼합하여 제조된 콘크리트로, 높은 강도, 내구성, 수밀성을 갖는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건조수축이 통상의 묽은 비빔콘크리트보다 적게 된다. 따라서 모든 설명이 옳은 것이다.

    초기강도는 감소되는 이유는 유동화제를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제조할 때, 물분자와 시멘트 입자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하고, 시멘트 입자가 더욱 밀집하여 하드닝이 더디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시멘트 입자들이 더욱 밀집하여 강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초기강도는 감소하지만 장기강도는 증대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콘크리트용 골재의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강도는 콘크리트 중의 경화시멘트 페이스트의 강도 이상일 것
  2. 표면이 깨끗하고 매끄러운 것
  3. 입형은 가능한 한 편평, 세장하지 않을 것
  4. 입도는 조립에서 세립까지 연속적으로 균등히 혼입 되어 있을 것
(정답률: 65%)
  • 콘크리트용 골재는 강도가 높아야 하며, 입형이 편평하고 세장하지 않아야 하며, 입도가 균등히 혼합되어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표면이 깨끗하고 매끄러운 것은 골재의 조건으로 옳지 않습니다. 이는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골재의 표면이 깨지고 거칠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표면이 깨끗하고 매끄러운 골재는 콘크리트 제작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강재의 인장강도는 온도에 따라 다른데 인장강도가 최대로 되는 경우의 온도는?

  1. 20 ~ 30℃
  2. 100 ~ 150℃
  3. 250 ~ 300℃
  4. 500 ~ 550℃
(정답률: 66%)
  • 강재의 인장강도는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데, 일반적으로 강재의 인장강도는 온도가 낮을수록 높아지다가 어느 정도 이상 올라가면 다시 낮아진다. 이는 강재 내부의 결정 구조와 결합력 등이 온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강재의 인장강도가 최대로 되는 온도는 이러한 변화 곡선에서 꼭지점에 해당하는 온도이다. 보기에서는 "250 ~ 300℃"이 이러한 꼭지점에 해당하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천연석유가 지층의 갈라진 틈과 암석의 깨진 틈에 침입한 후 지열이나 공기 등의 작용으로 장기간 그 내부에서 중합반응 또는 축합반응을 일으켜 탄성력이 풍부한 화합물로된 것은?

  1. 아스팔트타이트(asphaltite)
  2. 스트레이트아스팔트(straight asphalt)
  3. 아스팔트컴파운드(asphalt compound)
  4. 아스팔트프라이머(asphalt primer)
(정답률: 40%)
  • 천연석유가 지층의 갈라진 틈과 암석의 깨진 틈에 침입한 후 지열이나 공기 등의 작용으로 장기간 그 내부에서 중합반응 또는 축합반응을 일으켜 탄성력이 풍부한 화합물로 된 것이 아스팔트타이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아스팔트와 관련된 용어이지만, 아스팔트타이트와 같은 과정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석재의 단기보전법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페인트, 건성유 등으로 도포한다.
  2. 칼라비누의 8% 수용액을 바르고 그 후에 명반수 5%를 칠한다.
  3. 아마인유에 혼합하여 도포한다.
  4. 물유리를 2~3배의 수용액으로 해서 충분히 도포한다.
(정답률: 34%)
  • 석재는 물에 대해 민감하므로 아마인유와 같은 유전성 도료를 사용하여 도포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이유는 아마인유는 물에 대한 내성이 높기 때문에 석재의 표면을 보호하면서도 물의 침투를 막아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마인유에 혼합하여 도포한다."가 가장 적합하지 않은 단기보전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시멘트 클링커 화합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C3S양이 많을수록 조강성을 나타낸다.
  2. C2S의 양이 많을수록 강도의 발현이 서서히 된다.
  3. 재령 1년에서 C4AF의 강도는 매우 낮다.
  4. 시멘트의 수축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C3A를 증가시켜야 한다.
(정답률: 53%)
  • "C3A를 증가시켜야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C3A는 시멘트 클링커의 구성 성분 중 하나로, 수축률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C3A가 물과 반응하여 칼슘수화물을 생성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칼슘수화물이 시멘트의 수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멘트의 수축률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C3A를 증가시켜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폴리머시멘트란 시멘트에 폴리머를 혼합하여 콘크리트의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만들어진 것인데, 다음 중 개선되는 성능이 아닌 것은?

  1. 방수성
  2. 내약품성
  3. 변형성
  4. 내열성
(정답률: 52%)
  • 폴리머시멘트는 방수성, 내약품성, 변형성을 개선시키지만, 내열성은 개선되지 않는다. 이는 폴리머가 시멘트와 혼합되어 콘크리트를 형성할 때, 폴리머가 내열성이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내열성을 개선하고자 한다면 다른 방법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목재의 압축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건비중이 클수록 압축강도는 증가한다.
  2. 가력방향이 섬유방향과 평행일 때 압축강도는 최대가 된다.
  3. 섬유포화점 이상에서 목재의 함수율이 커질수록 압축 강도는 계속 낮아진다.
  4. 옹이가 있으면 압축강도는 저하하고 옹이 지름이 클수록 더욱 감소한다.
(정답률: 62%)
  • "섬유포화점 이상에서 목재의 함수율이 커질수록 압축 강도는 계속 낮아진다." 이유를 설명하는 것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섬유포화점 이상에서 목재의 함수율이 커질수록 압축 강도는 낮아지는 이유는, 목재 내부의 섬유들이 서로 밀착하고 있기 때문에 압축력이 전달되는 면적이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함수율이 높아질수록 압축 강도는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부순굵은골재에 대한 품질규정치가 KS에 정해져 있지 않은 항목은?

  1. 압축강도
  2. 절대건조밀도
  3. 흡수율
  4. 안정성
(정답률: 52%)
  • 압축강도는 부순 굵은 골재의 강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특성 중 하나이지만, KS에는 정해져 있지 않은 항목입니다. 이는 부순 굵은 골재의 사용 용도나 환경에 따라 압축강도의 요구 수준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압축강도는 해당 공사의 목적과 요구사항에 따라 적절한 수준으로 정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석재사용시의 주의점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외벽 특히 콘크리트 표면 첨부용 석재는 연석을 사용하여야 한다.
  2. 동일건축물에는 동일석재로 시공하도록 한다.
  3. 석재를 구조재로 사용할 경우 직압력재로 사용하여야 한다.
  4. 중량이 큰 것은 높은 곳에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63%)
  • "외벽 특히 콘크리트 표면 첨부용 석재는 연석을 사용하여야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은, 외벽 특히 콘크리트 표면 첨부용 석재는 연석이 아닌 분리석재를 사용하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유는 연석은 확장 및 수축률이 크기 때문에 분리석재를 사용하여 석재와 콘크리트 사이에 충분한 간격을 두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얇은 강판에 마름모꼴의 구멍을 연속적으로 뚫어 그물처럼 만든 것으로 천장, 벽 등의 미장 바탕에 사용되는 것은?

  1. 메탈라스
  2. 스터드볼트
  3. 논슬립
  4. 인서트
(정답률: 73%)
  • 메탈라스는 천장이나 벽 등에 부착하여 미장을 하는 재료로, 얇은 강판에 구멍을 뚫어 만든 그물 모양의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형태로 인해 강도가 높아지며, 또한 공기 순환을 유지하면서도 미세한 먼지나 오염물질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건축물 내부의 청결 유지와 함께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도료의 건조제(dryer)중 상온에서 기름에 용해되는 건조제가 아닌 것은?

  1. 붕산망간
  2. 이산화망간(MnO2)
  3. 초산염
  4. 연(Pb)
(정답률: 45%)
  • 연(Pb)은 기름에 용해되지 않는 건조제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기름에 용해되는 건조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시멘트 풍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멘트가 저장 중 공기와 접촉하여 공기 중의 수분 및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면서 나타나는 수화반응이다.
  2. 풍화한 시멘트는 감열감량이 감소한다.
  3. 시멘트가 풍화하면 밀도가 떨어진다.
  4. 풍화는 고온다습한 경우 급속도로 진행된다.
(정답률: 50%)
  • "풍화한 시멘트는 감열감량이 감소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시멘트가 풍화되면 감열감량이 증가한다. 이는 시멘트 내부의 화학 반응이 일어나면서 열이 방출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유리의 성질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굴절률은 1.5~1.9 정도이고 납을 함유하면 낮아진다.
  2. 열전도율 및 열팽창률이 작다.
  3. 광선에 대한 성질은 유리의 성분, 두께, 표면의 평활도 등에 따라 다르다.
  4. 약한 산에는 침식되지 않지만 염산ㆍ황산ㆍ질산 등에는 서서히 침식된다.
(정답률: 32%)
  • "약한 산에는 침식되지 않지만 염산ㆍ황산ㆍ질산 등에는 서서히 침식된다."는 유리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다.

    유리의 굴절률은 빛이 유리와 다른 매질 사이를 통과할 때 굴절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유리의 성분에 따라 다르다. 납을 함유하면 굴절률이 낮아지는 이유는 납이 유리의 밀도를 낮추기 때문이다.

    열전도율 및 열팽창률이 작다는 것은 유리가 열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광선에 대한 성질은 유리의 성분, 두께, 표면의 평활도 등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약한 산에는 침식되지 않지만 염산ㆍ황산ㆍ질산 등에는 서서히 침식된다."가 유리의 일반적인 성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내화벽돌의 내화도의 범위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500 ~ 1000℃
  2. 1500 ~ 2000℃
  3. 2500 ~ 3000℃
  4. 3500 ~ 4000℃
(정답률: 62%)
  • 내화벽돌은 고온에서 내화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만들어진 벽돌로, 내화도는 이 벽돌이 견딜 수 있는 최고 온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내화도가 높을수록 고온에서 더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보기 중에서 가장 적절한 범위는 1500 ~ 2000℃입니다. 이유는 이 범위는 대부분의 산업용 가열로에서 사용되는 온도 범위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범위는 내화벽돌이 견딜 수 있는 온도 범위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낮은 편에 속하며, 높은 내화도를 가진 벽돌은 제조가 어렵고 비용이 많이 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외벽용 타일 붙임재료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시멘트 모르타르
  2. 아크릴 에멀젼
  3. 합성고무 라텍스
  4. 에폭시 합성고무 라텍스
(정답률: 70%)
  • 외벽용 타일 붙임재료는 내구성과 방수성이 뛰어나야 하며, 시간이 지나도 변형이 없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시멘트 모르타르가 가장 적합합니다. 시멘트 모르타르는 시멘트와 모래, 물로 이루어져 있어 내구성이 높고 방수성이 우수합니다. 또한 시간이 지나도 변형이 없어 안정적인 성능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암석을 이루고 있는 조암광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섬석ㆍ휘석은 검정색을 띤다.
  2. 방해석은 산에 쉽게 용해된다.
  3. 흑운모는 백운모에 비해 안정도가 떨어진다.
  4. 석영은 산ㆍ알칼리에 약하다.
(정답률: 43%)
  • 석영은 산ㆍ알칼리에 약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석영은 산과 알칼리에 대해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어서, 대부분의 산과 알칼리 용액에 대해 용해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수치가 높을수록 시멘트의 응결 속도가 빨라지는 인자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온도
  2. 습도
  3. 분말도
  4. 알루미네이트 비율
(정답률: 50%)
  • 습도는 시멘트의 응결 속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온도가 높을수록 시멘트의 응결 속도가 빨라지는 것은 화학 반응 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분말도가 높을수록 시멘트 입자들이 서로 더 잘 붙어서 응결 속도가 빨라지며, 알루미네이트 비율이 높을수록 시멘트의 강도가 높아져 응결 속도가 빨라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건설안전기술

101. 양중기에 사용되는 와이어로프 중 근로자가 탑승하는 운반구를 지지하는 경우의 안전계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3 이상
  2. 5 이상
  3. 8 이상
  4. 10 이상
(정답률: 50%)
  • 양중기는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는 기계로서, 근로자의 안전을 위해서는 안전계수가 높은 와이어로프를 사용해야 합니다. 안전계수는 와이어로프의 최대 허용하중과 실제 사용 중인 하중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높을수록 와이어로프의 안전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양중기에서 근로자가 탑승하는 운반구를 지지하는 경우에는 안전계수가 10 이상이 되어야 안전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는 근로자의 몸무게와 운반구의 무게를 고려하여 계산된 최소 안전계수이며, 이보다 낮은 안전계수를 가진 와이어로프를 사용하면 근로자의 생명과 안전이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흙막이 붕괴원인 중 보일링(boiling)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지반을 굴착시, 굴착부와 지하수위 차가 있을 때 주로 발생한다.
  2. 연약 사질토 지반의 경우 주로 발생한다.
  3. 굴착저면에서 액상화 현상에 기인하여 발생한다.
  4. 연약 점토질 지반에서 배면토의 중량이 굴착부 바닥의 지지력 이상이 되었을 때 주로 발생한다.
(정답률: 51%)
  • "지반을 굴착시, 굴착부와 지하수위 차가 있을 때 주로 발생한다."는 옳은 기술이 아니며, 보일링 현상은 연약 점토질 지반에서 배면토의 중량이 굴착부 바닥의 지지력 이상이 되었을 때 주로 발생합니다. 이는 지반 내부의 압력 차이로 인해 지하수와 함께 흙이 끓어오르는 현상으로, 굴착 작업 중 안정성 문제를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다음은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규정한 양중기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크레인
  2. 승강기
  3. 리프트
  4. 하이랜드
(정답률: 60%)
  • "하이랜드"는 양중기의 종류가 아니라, 산악 지형에서 사용되는 용어이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방망의 관리기준에 따라 ( )에 숫자가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1. ① 1 ② 1
  2. ① 1 ② 6
  3. ① 3 ② 3
  4. ① 3 ② 6
(정답률: 60%)
  • 방망이의 관리기준에 따르면, 첫 번째 숫자는 방망이의 길이를 나타내고 두 번째 숫자는 방망이의 무게를 나타낸다. 따라서, 보기에서 첫 번째 방망이는 길이가 1이고 무게가 1인 방망이이며, 두 번째 방망이는 길이가 3이고 무게가 6인 방망이이다. 따라서 정답은 "① 1 ② 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다음 중 철골구조물의 앵커볼트매립과 관련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앵커볼트는 매립 후에 수정하지 않도록 설치할 것
  2. 기둥중심은 기준선 및 인접기둥의 중심에서 3mm 이상 벗어나지 않을 것
  3.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단은 기준 높이 및 인접기둥의 높이에서 3mm 이상 벗어나지 않을 것
  4. 앵커볼트는 기둥중심에서 2mm 이상 벗어나지 않을 것
(정답률: 39%)
  • "앵커볼트는 매립 후에 수정하지 않도록 설치할 것"은 옳은 사항이므로 정답은 "앵커볼트는 기둥중심에서 2mm 이상 벗어나지 않을 것"입니다.

    기둥중심은 기준선 및 인접기둥의 중심에서 3mm 이상 벗어나지 않을 것인 이유는, 철골구조물에서 기둥은 하중을 받아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기둥이 바르게 위치하고 있어야 전체 구조물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앵커볼트는 기둥을 고정시키는 중요한 부품 중 하나이므로, 기둥중심과의 거리가 일정 범위 이내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기준선과 인접기둥의 중심에서 3mm 이상 벗어나지 않도록 설치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철골공사시 사전안전성 확보를 위해 공작도에 반영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주변 고압전주
  2. 외부비계받이
  3. 기둥승강용 트랩
  4. 방망 설치용 부재
(정답률: 56%)
  • 철골공사시 사전안전성 확보를 위해 공작도에 반영하여야 할 사항은 모두 중요하다. 그러나 "주변 고압전주"는 공사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전사고의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이것은 공작도에 꼭 반영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다음 중 사용을 금지해야 하는 부적격한 와이어로프가 아닌 것은?

  1. 이음매가 없는 것
  2. 와이어로프의 한꼬임에서 끊어진 소선의 수가 10% 이상 인 것
  3. 지름의 감소가 공칭지름의 7%를 초과하는 것
  4. 꼬인 것
(정답률: 63%)
  • 이음매가 없는 것은 부적격한 와이어로프이다. 와이어로프는 여러 개의 소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음매는 소선을 서로 묶어주는 부분을 말한다. 이음매가 없으면 소선이 떨어져 나가거나 끊어질 가능성이 높아져서 안전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콘크리트 타설작업 시 안전에 대한 유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를 한 곳에만 치우쳐서 타설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2. 높은 곳으로부터 콘크리트를 타설 할 때는 호퍼로 받아 거푸집내에 꽂아 넣는 슈트를 통해서 부어 넣어야 한다.
  3. 진동기를 가능한 한 많이 사용할수록 거푸집에 작용하는 측압상 안전하다.
  4. 콘크리트를 치는 도중에는 지보공ㆍ거푸집 등의 이상유무를 확인한다.
(정답률: 66%)
  • 진동기를 가능한 한 많이 사용할수록 거푸집에 작용하는 측압상 안전하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진동기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콘크리트 내부의 공기가 제거되어 거푸집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게 되어 거푸집이 파손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진동기 사용량을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가설통로와 관련된 아래의 빈칸에 들어갈 숫자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1. ① 5, ② 7
  2. ① 5, ② 10
  3. ① 10, ② 7
  4. ① 10, ② 10
(정답률: 61%)
  • 가설 통로에서는 1초에 2마리의 쥐가 지나갈 수 있으므로, 1분(60초)에는 120마리의 쥐가 지나갈 수 있습니다. 따라서 1분에 지나가는 쥐의 수는 120마리이며, 이는 ①의 답인 10과 ②의 답인 7을 합한 17마리보다 크므로 "① 10, ② 7"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차량계 하역운반기계에 화물을 적재하는 때의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편하중이 생기지 아니하도록 적재할 것
  2. 구내운반차 또는 화물자동차에 있어서 화물의 붕괴 또는 낙하로 인한 근로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화물에 로프를 거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할 것
  3.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지 아니하도록 화물을 적재할 것
  4. 차륜의 이상 유무를 점검할 것
(정답률: 65%)
  • "편하중이 생기지 아니하도록 적재할 것"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하역운반기계에 적재되는 화물은 편하중이 아니라 직접적인 하중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적재 시에는 화물의 무게와 분포를 고려하여 안전하게 적재해야 합니다. 차륜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것은 운전 중 차량이나 하역운반기계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필수적인 점검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방망사의 신품에 대한 인장강도 중 5cm 그물코로서 매듭방망일 경우 인장강도는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50kg
  2. 100kg
  3. 110kg
  4. 150kg
(정답률: 51%)
  • 매듭방망은 그물코가 매듭으로 묶여 있기 때문에 인장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신품 방망사의 경우에도 매듭방망일 경우 인장강도는 최소 110kg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다른 보기들인 50kg, 100kg, 150kg보다 높은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강관을 사용한 비계 구성시 준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계기둥의 간격은 장선방향에서는 1.5m 이하로 할 것
  2. 첫 번째 띠장은 지상으로부터 2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3. 비계기둥의 최고부로부터 31m 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3본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
  4. 비계기둥간의 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
(정답률: 55%)
  • "비계기둥의 최고부로부터 31m 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3본의 강관으로 묶어 세울 것"이 옳지 않은 것은, 비계기둥의 높이가 31m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3본의 강관으로 묶어서 세우는 것이 안전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계 구성시에는 비계기둥의 높이와 적재하중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강관의 굵기와 묶는 방법을 결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강관틀비계 조립시 준수사항에 대한 기준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높이가 20m를 초과하거나 중량물의 적재를 수반하는 작업을 할 경우에는 주틀간의 간격을 2.3m 이하로 할 것
  2. 주틀간에 교차가새를 설치하고 최상층 및 5층 이내마다 수평재를 설치할 것
  3. 수직방향으로 6m, 수평방향으로 8m 이내마다 벽이음을 할 것
  4. 길이가 띠장방향으로 4m 이하이고 높이가 1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10m 이내마다 띠장방향으로 버팀 기둥을 설치할 것
(정답률: 40%)
  • "높이가 20m를 초과하거나 중량물의 적재를 수반하는 작업을 할 경우에는 주틀간의 간격을 2.3m 이하로 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높이가 높아질수록 강관틀비계의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간격을 좁게 유지해야 하지만, 2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간격을 2.3m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높이가 20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른 안전조치를 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달비계를 작업발판으로 사용할 때 최대적재하중을 정함에 있어 안전계수의 기준으로 잘못 표기된 것은?

  1. 달기와이어로프 및 달기강선의 안전계수는 10 이상
  2. 달기체인 및 달기훅의 안전계수는 6 이상
  3. 달기강대와 달비계의 하부 및 상부지점의 안전계수는 강재인 경우 2.5 이상
  4. 달기강대와 달비계의 하부 및 상부지점의 안전계수는 목재인 경우 5 이상
(정답률: 59%)
  • "달기체인 및 달기훅의 안전계수는 6 이상"이 잘못 표기된 것이다. 달기체인 및 달기훅의 안전계수는 일반적으로 4 이상이어야 하며, 사용하는 규격과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달기체인 및 달기훅의 안전계수가 6 이상이 되어야 하는 이유는,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부하의 예측치와 안전성을 고려하여 산출된 값이기 때문이다. 안전계수가 높을수록 작업 중 발생할 수 있는 예기치 못한 상황에 대한 대처가 가능해지며,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달기체인 및 달기훅의 안전계수는 적절한 규격과 상황에 맞게 설정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규정하는 철골작업의 작업중지 기후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풍속이 초당 10m 이상인 경우
  2. 강우량이 시간당 1mm 이상인 경우
  3. 강설량이 시간당 1cm 이상인 경우
  4. 기온이 영하 10℃ 이하인 경우
(정답률: 67%)
  • 철골작업을 수행하는 동안에는 안전을 위해 기후조건을 고려해야 합니다. 이 중에서도 기온이 영하 10℃ 이하인 경우는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작업중지 기후조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강한 바람, 강한 비 또는 눈이 작업자의 안전에 위협을 가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중지 기후조건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다음 중 방망에 표시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제조자명
  2. 제조연월
  3. 재봉 치수
  4. 방망의 신축성
(정답률: 56%)
  • 방망의 신축성은 방망의 특성 중 하나로, 제조자명, 제조연월, 재봉 치수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방망의 신축성은 방망이 충격을 받았을 때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정도를 나타내며, 이는 방망의 재질과 제조 방법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다음 중 불도저를 이용한 작업 중 안전조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작업종료와 동시에 삽날을 지면에서 띄우고 주차 제동장치를 건다.
  2. 모든 조종간은 엔진시동 전에 중립 위치에 놓는다.
  3. 장비의 승차 및 하차시에는 뛰어내리거나 오르지 말고 안전하게 잡고 오르내린다.
  4. 야간 작업시는 자주 장비에서 내려와 장비 주위를 살피며 점검하여야 한다.
(정답률: 55%)
  • "작업종료와 동시에 삽날을 지면에서 띄우고 주차 제동장치를 건다."는 옳은 안전조치사항이다.

    - "모든 조종간은 엔진시동 전에 중립 위치에 놓는다."는 옳은 안전조치사항이다.
    - "장비의 승차 및 하차시에는 뛰어내리거나 오르지 말고 안전하게 잡고 오르내린다."는 옳은 안전조치사항이다.
    - "야간 작업시는 자주 장비에서 내려와 장비 주위를 살피며 점검하여야 한다."는 옳은 안전조치사항이다.

    따라서, 이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다음 중 거푸집동바리의 안전조치에 관한 사항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동바리의 이음은 맞댄이음 또는 장부이음으로하고 같은 품질의 재료를 사용할 것
  2.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서포트를 2본 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말 것
  3. 거푸집이 곡면인 때에는 버팀대의 부착 등 거푸집의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할 것
  4. 동바리로 사용하는 강관은 높이 2m 이내마다 수평연결재를 2개 방향으로 만들 것
(정답률: 54%)
  • "동바리로 사용하는 파이프서포트를 2본 이상 이어서 사용하지 말 것"은 옳은 안전조치이다. 이유는 파이프서포트를 2본 이상 이어서 사용하면 강도가 약해져서 파이프가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파이프서포트는 2본 이하로 사용해야 안전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작업중이던 미장공이 상부에서 떨어지는 공구에 의해 상해를 입었다면 어느 부분에 대한 결함이 있었겠는가?

  1. 작업대 설치
  2. 작업방법
  3. 낙하물 방지시설 설치
  4. 비계설치
(정답률: 68%)
  • 낙하물 방지시설이 설치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떨어지는 공구를 막을 수 있는 보호장치가 없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낙하물 방지시설을 설치하여 작업 중 떨어지는 공구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작업대 설치, 작업방법, 비계설치는 사고 예방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지만, 낙하물 방지시설 설치는 이들 중에서도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다음 중 굴착작업의 안전조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굴착구간으로 표면수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수구를 설치하여 굴착작업부근의 표면수가 원활히 배수되도록 한다.
  2. 암석을 제외한 토질의 굴착시 구조물의 안전성과 작업전의 안전조치가 선행되지 않은 경우는 굴착작업을 중지시켜야 한다.
  3. 굴착구간 위로 작업원이나 자재를 운반할 필요가 있을 경우 필히 난간이 부착된 안전통로를 설치한 후 작업한다.
  4. 지층이 상이한 토질의 굴착시 지지층의 사면 안식각 이 그 위 지층의 사면안식각보다 작아야 한다.
(정답률: 60%)
  • 지층이 상이한 토질의 굴착시 지지층의 사면 안식각 이 그 위 지층의 사면안식각보다 작아야 한다는 것은 옳은 안전조치사항이다. 이유는 지층이 상이한 경우에는 지지력이 약해져서 굴착구간이 무너질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지층의 안식각을 작게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안전조치사항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