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3-20)

건설안전기사
(2011-03-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산업안전관리론

1. 중대 건설현장사고 발생시 건설기술관리법에 따라 건설사고조사위원회를 구성할 경우 위원회는 위원장 1인을 포함하여 몇 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하여야 하는가?

  1. 9명
  2. 10명
  3. 11명
  4. 12명
(정답률: 74%)
  • 건설기술관리법 제44조에 따르면 건설사고조사위원회는 위원장 1인을 포함하여 9명 이상 12명 이하의 위원으로 구성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의무안전인증대상 기계ㆍ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크레인
  2. 선반
  3. 리프트
  4. 사출성형기
(정답률: 67%)
  • 선반은 인력으로 작동되는 기계나 기구로 분류되어 안전인증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재해예방의 4원칙과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고와 손실과 관계는 필연적이다.
  2. 재해발생은 반드시 그 원인이 존재한다.
  3. 재해는 원칙적으로 원인만 제거되면 예방이 가능하다.
  4. 재해예방을 위한 가능한 대책은 반드시 존재한다.
(정답률: 79%)
  • "사고와 손실과 관계는 필연적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사고와 손실은 예방 가능한 것이며, 적절한 대책을 마련하고 실행함으로써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재해예방의 4원칙 중 하나인 "재해는 원칙적으로 원인만 제거되면 예방이 가능하다."와 관련된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산업안전보건법상 고용노동부장관이 산업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 사업장의 산업재해 발생건수, 재해율 또는 그 순위 등을 공표할 수 있는 사업장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중대 산업사고가 발생한 사업장
  2. 산업재해의 발생에 관한 보고를 최근 2년 이내 1회 이상 하지 않은 사업장
  3. 연간 산업재해율이 규모별 같은 업종의 평균재해율 이상인 사업장 중 상위 10% 이내에 해당되는 사업장
  4. 산업재해로 연간 사망재해자가 2명 이상 발생한 사업장으로서 사망만인율이 규모별 같은 업종의 평균사망 만인율 이상인 사업장
(정답률: 72%)
  • 산업재해의 발생에 관한 보고를 최근 2년 이내 1회 이상 하지 않은 사업장은 산업재해 발생 현황을 파악하고 예방조치를 취하기 어렵기 때문에 공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산업안전보건법상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설치대상 사업장이 아닌 것은?

  1. 토사석 광업
  2. 비금속광물제품 제조업
  3.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4. 의약품 제조업
(정답률: 72%)
  • 산업안전보건법상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설치대상 사업장은 위험물 제조, 처리, 저장, 운반 등 위험성이 높은 산업분야에 해당하는 사업장이다. 따라서 의약품 제조업은 위험성이 높은 산업분야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산업안전보건위원회의 설치대상 사업장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ㆍ보건표시 중 색채와 색도기준이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단, 색도 기준은 "색상 명도/채도" 순서이다.)

  1. 빨간색 : 5R 4/12
  2. 녹색 5G 5.5/6
  3. 파란색 : 2.5PB 4/10
  4. 흰색 : N0.5
(정답률: 72%)
  •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ㆍ보건표시에서 색상은 빨간색, 녹색, 파란색, 흰색 4가지가 사용된다. 이 중 파란색은 색도 기준으로 "색상 명도/채도" 순서로 표시되며, "2.5PB 4/10"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2.5PB"는 파란색의 색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PB는 파란색의 색조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4/10"은 색상의 명도와 채도를 나타내는데, "4"는 명도를 나타내며, 0~10까지의 범위에서 숫자가 작을수록 어두운 색상을 뜻한다. "10"은 채도를 나타내며, 0~10까지의 범위에서 숫자가 클수록 진한 색상을 뜻한다. 따라서 "2.5PB 4/10"은 파란색의 명도는 어두우면서 채도는 중간 정도인 색상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관리자의 직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해당 사업장 안전교육계획의 수립 및 실시
  2. 사업장 순회점검ㆍ지도 및 조치의 건의
  3. 직업성 질환 발생의 원인 조사 및 대책 수립
  4. 안전보건관리규정 및 취업규칙 중 안전에 관한 사항을 위반한 근로자에 대한 조치의 건의
(정답률: 69%)
  • 정답은 "직업성 질환 발생의 원인 조사 및 대책 수립"입니다. 안전관리자의 주요 업무는 사업장 안전교육계획의 수립 및 실시, 사업장 순회점검ㆍ지도 및 조치의 건의, 안전보건관리규정 및 취업규칙 중 안전에 관한 사항을 위반한 근로자에 대한 조치의 건의 등입니다. 직업성 질환 발생의 원인 조사 및 대책 수립은 보건의료인이나 전문가가 담당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안전관리자의 업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위험예지훈련 4라운드의 진행 방법을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현상파악 → 목표설정 → 대책수립 → 본질추구
  2. 현상파악 → 본질추구 → 대책수립 → 목표설정
  3. 현상파악 → 본질추구 → 목표설정 → 대책수립
  4. 본질추구 → 현상파악 → 목표설정 → 대책수립
(정답률: 64%)
  • 정답은 "현상파악 → 본질추구 → 대책수립 → 목표설정"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현상파악: 위험예지훈련에서는 먼저 현재 상황을 파악해야 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위험요소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을 예측합니다.

    2. 본질추구: 위험요소를 파악한 후에는 그 원인을 파악해야 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위험요소가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합니다.

    3. 대책수립: 위험요소와 그 원인을 파악한 후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수립해야 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위험요소를 예방하거나, 발생했을 때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냅니다.

    4. 목표설정: 마지막으로, 위험요소를 예방하거나 대처하기 위한 목표를 설정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대책을 실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합니다.

    따라서, "현상파악 → 본질추구 → 대책수립 → 목표설정"이 올바른 진행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재해조사시 유의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목격자 증언 이외의 추측의 말은 참고로만 한다.
  2. 사람과 설비의 양면의 재해요인을 모두 도출한다.
  3. 조사는 현장이 변경되기 전에 실시한다.
  4. 조사는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독으로 실시하며, 주관적 판단을 반영하여 신속하게 한다.
(정답률: 85%)
  • "조사는 혼란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독으로 실시하며, 주관적 판단을 반영하여 신속하게 한다."가 적절하지 않은 것이 아닌 이유는, 혼란을 방지하고 주관적 판단을 반영하여 신속하게 조사를 실시하는 것이 재해조사의 기본 원칙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올바른 유의사항입니다.

    - "목격자 증언 이외의 추측의 말은 참고로만 한다." : 목격자 증언 이외의 추측은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참고로만 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 "사람과 설비의 양면의 재해요인을 모두 도출한다." : 재해조사는 사람과 설비의 양면을 모두 고려하여 재해요인을 도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조사는 현장이 변경되기 전에 실시한다." : 조사는 현장이 변경되기 전에 실시하여 원인을 파악하고 예방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무재해 운동의 기본이념 3원칙을 설명한 것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모든 잠재위험요인을 사전에 발견ㆍ파악ㆍ해결함으로써 근원적으로 산업재해를 없앤다.
  2. 잠재적인 위험요인을 발견ㆍ해결하기 위하여 전원이 협력하여 문제 해결 행동을 실천한다.
  3. 직장의 모든 위험요인을 행동하기 전에 발견ㆍ파악ㆍ해결하여 재해를 예방하거나 방지한다.
  4. 무재해는 최고경영자의 무재해 및 무질병에 대한 확고한 경영자세로 시작된다.
(정답률: 63%)
  • "무재해는 최고경영자의 무재해 및 무질병에 대한 확고한 경영자세로 시작된다."는 무재해 운동의 기본이념 3원칙 중 하나가 아니므로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해당 원칙은 무재해 운동의 기본이념 3원칙 중에서도 "최고경영자의 리더십"에 대한 내용으로, 최고경영자가 무재해와 무질병에 대한 확고한 경영자세를 보여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조직 내에서 무재해 문화를 확산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해야할 사업의 사업주는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할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며칠 이내에 작성하여야 하는가?

  1. 15
  2. 30
  3. 60
  4. 90
(정답률: 78%)
  • 산업안전보건법 제19조에 따르면 안전보건관리규정을 작성하여야 할 사유가 발생한 경우, 사업주는 그 사유가 발생한 날부터 30일 이내에 작성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Line-Staff형 안전관리 조직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명령계통과 조언이나 권고적 참여가 혼동된다.
  2. 생산부분에는 안전에 대한 책임과 권한이 없다.
  3. 안전에 대한 정보가 불충분하다.
  4. 안전과 생산을 별도로 생각한다.
(정답률: 72%)
  • "명령계통과 조언이나 권고적 참여가 혼동된다."는 Line-Staff형 안전관리 조직의 특징 중 하나이다. 이는 생산부서와 안전부서가 분리되어 있어 생산부서는 안전에 대한 책임과 권한이 없으며, 안전부서는 조언이나 권고적 참여를 하지만 명령을 내릴 권한이 없기 때문에 혼동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명령을 내리는 권한이 있는 Line과 조언이나 권고를 하는 Staff 간의 역할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 혼란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근로자가 20kg의 제품을 운반하던 중에 발에 떨어져 신체장애등급 14등급의 재해를 당하였다. 재해의 발생형태, 기인물, 가해물을 모두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기인물 : 발, 가해물 : 제품, 재해발생형태 : 낙하
  2. 기인물 : 발, 가해물 : 발, 재해발생형태 : 추락
  3. 기인물 : 제품, 가해물 : 제품, 재해발생형태 : 낙하
  4. 기인물 : 제품, 가해물 : 발, 재해발생형태 : 낙하
(정답률: 76%)
  • 근로자가 운반하던 제품이 발에서 떨어져 발생한 것이므로 기인물은 제품이고, 가해물도 제품이다. 또한, 제품이 발에서 떨어져 발생한 것이므로 재해발생형태는 낙하이다. 따라서 정답은 "기인물 : 제품, 가해물 : 제품, 재해발생형태 : 낙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자율안전확인대상 보호구 중 안전모의 시험성능기준 항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내관통성
  2. 난연성
  3. 턱끈풀림
  4. 내수성
(정답률: 58%)
  • 내수성은 자율안전확인대상 보호구의 시험성능기준 항목 중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는 보호구가 물에 닿거나 물 속에서 사용될 때의 성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자율안전확인대상 보호구의 시험성능기준 항목에는 내관통성, 난연성, 턱끈풀림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A 사업장에 무상해ㆍ무사고 고장이 300건 발생하였다면 버드(Frank Bird)의 재해구성비율에 따를 경우 경상은 몇 건이 발생하였겠는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61%)
  • 버드의 재해구성비율에 따르면 무상해ㆍ무사고 고장이 발생한 경우 경상 사고는 전체의 5%이다. 따라서 300건의 무상해ㆍ무사고 고장 중에서 경상 사고는 5%인 15건이 발생하였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5이 아닌 5가 정답이므로, 문제에 오타가 있거나 다른 이유가 있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하베이(Harvey)가 제창한 "3E"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Education
  2. Enforcement
  3. Engineering
  4. Environment
(정답률: 67%)
  • 정답은 "Environment"입니다. 하베이가 제창한 "3E"는 환경보호를 위한 전략으로, "Education" (교육), "Enforcement" (집행), "Engineering" (공학)을 포함합니다. "Environment"는 환경보호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지만, 하베이의 "3E" 전략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상시 근로자수가 150명인 B 사업장의 강도율이 8이라면 이 사업장에서 지난 한 해 동안 발생한 총근로손실일수는 며칠이었는가? (단, 근로자는 주당 40시간씩 연간 52주를 근무하였다.)

  1. 1200
  2. 2080
  3. 2496
  4. 3120
(정답률: 58%)
  • 강도율은 총근로손실일수를 근로자 1인당 근로일수로 나눈 값이므로, 근로자 1인당 근로일수는 365일 중 강도율에 해당하는 일수만큼 손실을 입은 것이다. 따라서 근로자 1인당 근로일수는 365일 - 8일 = 357일이 된다.

    B 사업장의 총근로손실일수는 강도율에 근로자수를 곱한 값이므로, 8일 × 150명 = 1200일이 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지난 한 해 동안 발생한 총근로손실일수" 이므로, 근로자가 근무하는 일수를 고려해야 한다. 주당 40시간씩 근무하므로, 근로자 1인당 근무일수는 40시간 ÷ 24시간 = 1.67일이 된다. 따라서 연간 근무일수는 1.67일 × 52주 = 86.84일이 된다.

    따라서 B 사업장에서 발생한 총근로손실일수는 1200일 × 86.84일 = 104284.8일이 된다. 이 값을 반올림하면 104285일이 되고, 이를 365일로 나누면 285.75년이 된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정답을 "2496"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이 값을 구하기 위해선 104285일을 근로자수로 나누어야 한다. 104285일 ÷ 150명 = 695.9일이 되고, 이를 반올림하면 696일이 된다.

    따라서 B 사업장에서 지난 한 해 동안 발생한 총근로손실일수는 696일 × 3년 + 285.75년 = 2496일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천재지변 발생 직후 기계설비의 수리 등을 할 경우 또는 중대재해 발생 직후 등에 행하는 안전점검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임시점검
  2. 자체점검
  3. 수시점검
  4. 특별점검
(정답률: 79%)
  • 특별점검은 천재지변이나 중대재해 발생 직후에 기계설비의 안전성을 확인하고 수리하는 점검을 말한다. 이는 일반적인 수시점검이나 자체점검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발견하고 대처하기 위해 실시되며, 임시점검보다는 더 철저하고 전문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정답은 "특별점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재해사례연구법(Accident Analysis and Control Method)중 '사실의 확인' 단계에서 사용하기 가장 적절한 분석 기법은?

  1. 크로즈분석도
  2. 특성요인도
  3. 관리도
  4. 파레토도
(정답률: 63%)
  • 재해사례연구법에서 '사실의 확인' 단계에서는 사고가 발생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분석 기법을 사용합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적절한 분석 기법은 '특성요인도'입니다. 이는 사고가 발생한 원인을 구체적인 사고 요인과 그에 따른 특성 요인으로 분류하여 파악하는 기법으로, 사고의 근본 원인을 파악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따라서 '특성요인도'가 가장 적절한 분석 기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재해손실비의 평가방식 중 시몬즈 방식에서 비보험 코스트에 반영되는 장해 정도의 건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휴업상해
  2. 통원상해
  3. 응급조치
  4. 무손실사고
(정답률: 71%)
  • 시몬즈 방식에서는 재해로 인한 비보험 코스트를 평가하기 위해 장해 정도의 건수를 고려합니다. 따라서 "무손실사고"는 장해 정도가 없기 때문에 비보험 코스트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즉, 해당 사고로 인해 발생한 직접적인 손해는 없지만, 예를 들어 사고로 인해 생산성이 감소하여 생산량이 줄어들었을 경우 생산량 감소에 따른 손실은 평가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산업심리 및 교육

21. 인간의 착각 현상 중 영화의 영상 방법과 같이 객관적으로 정지되어 있는 대상에 시간적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보이거나 소멸시킬 경우 운동하는 것처럼 인식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가현운동
  2. 자동운동
  3. 왕복운동
  4. 점멸운동
(정답률: 68%)
  • 가현운동은 정지된 대상에 시간적 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보이거나 소멸시킬 경우 운동하는 것처럼 인식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영화의 영상 방법과 같이 사용되며,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경험하는 현상 중 하나이다. 따라서 정답은 가현운동이다. 자동운동은 자동차나 기계 등이 스스로 움직이는 현상을 말하며, 왕복운동은 한 방향으로 이동한 후 다시 돌아오는 현상을 말한다. 점멸운동은 빛이나 이미지가 빠르게 깜빡이는 현상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목표설정 이론에서 밝혀진 효과적인 목표의 특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목표는 측정 가능해야 한다.
  2. 목표는 구체적이어야 한다.
  3. 목표는 이상적이어야 한다.
  4. 목표는 그 달성에 필요한 시간의 제한을 명시해야 한다.
(정답률: 69%)
  • "목표는 이상적이어야 한다."가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이상적인 목표는 도달하기 어렵고 현실적이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목표는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하며, 달성에 필요한 시간의 제한을 명시하여 현실적이고 도전적인 도전을 제공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MTP(Management Training Program)안전 교육방법에서의 총 교육시간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10시간
  2. 40시간
  3. 80시간
  4. 120시간
(정답률: 74%)
  • MTP 안전 교육은 일반적으로 40시간의 교육시간이 필요합니다. 이는 안전에 대한 기본적인 이론과 실제적인 적용 방법, 그리고 사고 예방 및 대처 방법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교육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10시간은 교육시간이 너무 짧고, 80시간과 120시간은 교육시간이 지나치게 길어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ATT(American Telephone & Telegram) 교육훈련 기법의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작업의 감독
  2. 사기앙양
  3. 고객관계
  4. 종업원의 향상
(정답률: 48%)
  • 사기앙양은 ATT 교육훈련 기법의 내용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사기앙양은 부적절한 행동을 권장하거나 유도하는 것으로, 윤리적이지 않은 행동입니다. ATT는 윤리적이고 고객 중심의 교육을 강조하므로 사기앙양은 그와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인간의 심리 중에는 안전수단이 생략되어 불안전행위를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다음 중 안전수단이 생략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의식과잉이 있을 때
  2. 피로하거나 과로했을 때
  3. 주변의 영향이 있을 때
  4. 작업규율이 엄할 때
(정답률: 77%)
  • 작업규율이 엄할 때는 안전수단이 생략되지 않는다. 이는 작업규율이 엄격하게 정해져 있기 때문에 안전수단을 생략하면 엄격한 규율에 따른 제재를 받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규율이 엄할 때는 안전수단을 준수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부주의에 의한 사고방지대책 중 기능 및 작업 측면의 대책에 해당하는 것은?

  1. 주의력 집중 훈련
  2. 표준작업 제도 도입
  3. 적성 배치
  4. 안전의식의 제고
(정답률: 53%)
  • 적성 배치는 작업자의 능력과 성향에 맞게 적절한 업무를 배치하여 작업자의 부주의나 실수를 예방하는 대책입니다. 따라서 기능 및 작업 측면의 대책에 해당합니다. 주의력 집중 훈련은 작업자의 인적 요소에 대한 대책, 표준작업 제도 도입은 절차적 요소에 대한 대책, 안전의식의 제고는 조직문화적 요소에 대한 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카운슬링 방법에 있어 개인적 카운슬링의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강요적 방법
  2. 직접적인 충고
  3. 설득적 방법
  4. 설명적 방법
(정답률: 75%)
  • 강요적 방법은 상대방에게 강제적으로 자신의 의견이나 생각을 받아들이도록 하는 방법으로, 상대방의 자율성과 자기결정권을 침해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은 방법이다. 따라서 개인적 카운슬링에서는 강요적 방법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한 가지 특성에 기초하여 그 사람의 모든 측면을 판단하는 인간의 경향성을 지칭하는 용어는?

  1. 후광 효과
  2. 최신 효과
  3. 단순노출 효과
  4. 관대화 효과
(정답률: 62%)
  • 답: 단순노출 효과

    설명: 단순노출 효과는 인간의 경향성 중 하나로, 어떤 사람이나 물건이 자주 노출될수록 그것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생기는 경향을 말합니다. 따라서 후광 효과, 최신 효과, 관대화 효과는 모두 단순노출 효과의 일종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후광 효과는 특히 어떤 사람이나 물건이 빛나는 것처럼 눈에 띄게 나타날 때 긍정적인 인식이 더욱 강화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피로를 가져오는 내부요인이 아닌 것은?

  1. 경험
  2. 책임감
  3. 대인관계
  4. 습관
(정답률: 69%)
  • 대인관계는 피로를 가져오는 내부요인이 아닙니다. 대인관계는 외부적인 요인으로,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와 갈등 등이 피로를 유발할 수 있지만, 그 자체로 피로를 가져오는 내부적인 요인은 아닙니다. 경험, 책임감, 습관은 개인의 내부적인 상태와 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피로를 유발할 수 있는 요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심리검사의 특징 중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실제로 잘 측정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표준화
  2. 객관성
  3. 신뢰성
  4. 타당성
(정답률: 55%)
  • 타당성은 심리검사의 특징 중 측정하고자 하는 것을 실제로 잘 측정하는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타당성"입니다. 표준화는 일정한 기준에 따라 검사를 시행하여 결과를 해석하는 것, 객관성은 검사를 시행하는 사람의 주관적인 요소를 배제하여 검사 결과를 해석하는 것, 신뢰성은 검사를 반복하여 얻은 결과가 일관성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일반적으로 직무분석을 통해 얻은 정보의 활용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인사선발
  2. 교육 및 훈련
  3. 배치 및 경력개발
  4. 팀 빌딩
(정답률: 63%)
  • 직무분석은 주로 개인의 역할, 책임, 업무 프로세스 등을 파악하여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데 활용됩니다. 그러나 팀 빌딩은 개인의 역할보다는 팀 내 구성원 간의 관계와 상호작용에 초점을 둔 것으로, 직무분석에서 파악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따라서 팀 빌딩은 직무분석 결과를 보완하는 데 활용될 수 있지만, 직무분석의 주요 활용 대상은 아니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부하들의 역량을 개발하여 부하들로 하여금 자율적으로 업무를 추진하게 하고, 스스로 자기조절 능력을 갖게 만드는 리더십은?

  1. 변혁적 리더십
  2. 셀프 리더십
  3. 교류적 리더십
  4. 참여적 리더십
(정답률: 59%)
  • 셀프 리더십은 리더가 부하들의 역량을 개발하여 스스로 자기조절 능력을 갖게 만들어 자율적으로 업무를 추진하게 하는 리더십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 중에서 셀프 리더십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집단행동에 있어 비통제의 집단행동에 속하는 것은?

  1. 모브
  2. 관습
  3. 유행
  4. 제도적 행동
(정답률: 60%)
  • "모브"는 비통제적인 집단행동을 의미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대규모의 사람들이 모여서 강한 감정이나 충동에 따라 행동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러한 행동은 예측이 불가능하며, 종종 폭력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브"가 비통제적인 집단행동에 속하는 것입니다. 반면, "관습", "유행", "제도적 행동"은 일반적으로 규칙적이고 예측 가능한 집단행동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교육훈련 평가의 4단계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반응단계 → 학습단계 → 행동단계 → 결과단계
  2. 반응단계 → 행동단계 → 학습단계 → 결과단계
  3. 학습단계 → 반응단계 → 행동단계 → 결과단계
  4. 학습단계 → 행동단계 → 반응단계 → 결과단계
(정답률: 60%)
  • 정답은 "반응단계 → 학습단계 → 행동단계 → 결과단계"입니다.

    이는 교육훈련 평가의 4단계를 순서대로 정리한 것입니다.

    - 반응단계: 교육을 받은 대상자들의 반응을 조사하여 교육의 만족도와 효과를 파악합니다.
    - 학습단계: 교육을 받은 대상자들이 실제로 얼마나 학습하였는지를 평가합니다.
    - 행동단계: 교육을 받은 대상자들이 학습한 내용을 실제 업무에 적용하는지를 평가합니다.
    - 결과단계: 교육을 통해 얻은 결과가 조직의 목표에 얼마나 기여하였는지를 평가합니다.

    따라서, 이 4단계는 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고 개선하기 위한 중요한 절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허츠버그(Herzberg)의 동기-위생이론에서 직무불만을 가져오는 위생욕구 요인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감독 형태
  2. 관리 규칙
  3. 일의 내용
  4. 작업 조건
(정답률: 56%)
  • 허츠버그의 동기-위생이론에서 직무불만을 가져오는 위생욕구 요인은 감독 형태, 관리 규칙, 작업 조건이다. 일의 내용은 동기요인에 해당하며, 직무만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일의 내용은 직무불만을 가져오는 위생욕구 요인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직무수행에 대한 예측변인 개발 시 작업표본(work sample)의 제한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주로 기계를 다루는 직무에 효과적이다.
  2. 훈련생보다 경력자 선발에 적합하다.
  3. 실시하는데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4. 집단검사로 감독의 통제가 요구된다.
(정답률: 55%)
  • 작업표본은 개인의 실제 업무 수행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유용한 도구이지만, 집단검사로 감독의 통제가 요구된다는 것은 작업표본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그룹 내에서 부정행위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감독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부정행위를 방지하고 작업표본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안전ㆍ보건교육에 있어 역할 연기법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흥미를 갖고,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가한다.
  2. 문제의 배경에 대하여 통찰하는 능력을 높임으로써 감수성이 향상된다.
  3. 자기 태도의 반성과 창조성이 생기고, 발표력이 향상된다.
  4. 높은 수준의 의사 결정에 대한 훈련에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정답률: 67%)
  • "높은 수준의 의사 결정에 대한 훈련에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역할 연기법을 통해 안전ㆍ보건교육을 받는 학습자들이 의사 결정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것은 안전ㆍ보건교육에 있어 역할 연기법의 장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도 모두 역할 연기법을 통해 안전ㆍ보건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장점들이지만, "높은 수준의 의사 결정에 대한 훈련에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가장 직접적이고 명확한 장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안전사고와 관련하여 소질적 사고 요인과 관계가 먼 것은?

  1. 지능
  2. 성격
  3. 시각기능
  4. 작업자세
(정답률: 62%)
  • 작업자세는 안전사고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는 요인이다. 작업자세가 부적절하거나 지속적으로 유지되면 근육피로, 통증, 근골격계 질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세는 안전사고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요인이다. 반면, 지능, 성격, 시각기능은 안전사고와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작업자세만큼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사업 내 안전ㆍ보건교육에 있어 채용 시 교육 및 작업내용 변경 시의 교육 내용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사고 발생 시 긴급조치에 관한 사항
  2. 정리정돈 및 청소에 관한 사항
  3. 유해ㆍ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
  4. 물질안전보건자료에 관한 사항
(정답률: 50%)
  • 정답은 "유해ㆍ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입니다.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안전ㆍ보건교육을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교육 내용에는 사고 발생 시 긴급조치, 정리정돈 및 청소, 물질안전보건자료 등이 포함됩니다. 하지만 "유해ㆍ위험 작업환경 관리에 관한 사항"은 교육 내용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사업주가 근로자에게 제공해야 할 작업환경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조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교육 내용이 아닌 작업환경 관리에 해당하는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인간의 적응기제(adjustment mechanism) 중 방어적 기제에 해당하는 것은?

  1. 고립
  2. 퇴행
  3. 억압
  4. 보상
(정답률: 64%)
  • 보상은 인간이 어려운 상황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어적 기제 중 하나입니다. 이 기제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긍정적인 측면을 찾아내고, 그것을 강조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안정시키고 자신감을 회복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시험에 실패했을 때 "다음에는 더 열심히 공부하면 되겠다"라는 긍정적인 생각을 강조함으로써 자신의 자존감을 회복하는 것이 보상 기제의 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41. FT도에 사용되는 다음 게이트의 명칭은?

  1. 억제 게이트
  2. 부정 게이트
  3. 배타적 OR 게이트
  4. 우선적 AND 게이트
(정답률: 55%)
  • 이 게이트는 입력 A와 입력 B가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는 AND 게이트이다. 그러나 입력 C가 1일 경우, 입력 A와 입력 B의 값에 상관없이 출력이 1이 된다. 이는 입력 C가 우선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에 "우선적 AND 게이트"라고 불린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최소 컷셋(Minimal cut sets)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컷셋 중에 타 컷셋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배제하고 남은 컷셋들을 의미한다.
  2. 어느 고장이나 에러를 일으키지 않으면 재해가 일어나지 않는 시스템의 신뢰성이다.
  3. 기본사상이 일어났을 때 정상사상(Top event)을 일으키는 기본사상의 집합이다.
  4. 기본사상이 일어나지 않을 때 정상사상(Top event)이 일어나지 않는 기본사상의 집합이다.
(정답률: 52%)
  • 최소 컷셋은 컷셋 중에 타 컷셋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배제하고 남은 컷셋들을 의미한다. 즉, 시스템의 신뢰성 분석에서 잠재적인 재해를 일으키는 가장 작은 요소 집합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대응책을 수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작업장 배치시 유의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작업의 흐름에 따라 기계를 배치한다.
  2. 비상시에 쉽게 대피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고 사고 진압을 위한 활동통로가 반드시 마련되어야 한다.
  3. 공장내외는 안전한 통로를 두어야 하며, 통로는 선을 그어 작업장과 명확히 구별하도록 한다.
  4. 기계설비의 주위에 작업을 원활히 하기 위해 재료나 반제품을 충분히 놓아둔다.
(정답률: 70%)
  • 기계설비의 주위에 작업을 원활히 하기 위해 재료나 반제품을 충분히 놓아둔다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유의사항입니다. 이는 작업장 내부의 불필요한 물건이나 재료가 많아져 작업자의 움직임을 방해하고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업장 내부의 불필요한 물건이나 재료는 최소한으로 유지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필요한 위치에 놓아두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인간공학적 설계 대상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물건(Objects)
  2. 기계(Machinery)
  3. 환경(Environment)
  4. 보전(Maintenance)
(정답률: 56%)
  • 보전은 인간공학적 설계 대상이 아닙니다. 인간공학적 설계는 인간의 신체적, 인지적, 감성적 특성을 고려하여 제품, 시스템, 환경 등을 설계하는 것이며, 보전은 설계된 제품, 시스템, 환경 등을 유지, 보수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보전은 설계 대상이 아니며, 설계된 제품, 시스템, 환경 등이 보전이 필요한 경우에는 보전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경고등의 설계 지침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1초에 한 번씩 점멸시킨다.
  2. 일반 시야 범위 밖에 설치한다.
  3. 배경보다 2배 이상의 밝기를 사용한다.
  4. 일반적으로 2개 이상의 경고등을 사용한다.
(정답률: 55%)
  • 배경보다 2배 이상의 밝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경고등이 주변 환경에서 눈에 띄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배경과 밝기가 비슷하다면 경고등이 눈에 띄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사고 등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경고등은 주변 환경에서 눈에 띄도록 충분히 밝게 설계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결함수분석(FTA)에 의한 재해사례의 연구 순서가 다음과 같을 때 올바른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④ → ⑤ → ③ → ① → ②
  2. ② → ④ → ③ → ⑤ → ①
  3. ③ → ④ → ① → ⑤ → ②
  4. ⑤ → ③ → ② → ① → ④
(정답률: 66%)
  • ③ → ④ → ① → ⑤ → ②

    1. ③: 재해의 원인을 파악하고, 그 원인에 대한 가설을 세운다.
    2. ④: 가설에 대한 검증을 위해 결함나무를 작성한다.
    3. ①: 결함나무에서 가장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낸다.
    4. ⑤: 찾아낸 원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한다.
    5. ②: 대책을 시행하고, 그 효과를 평가한다.

    ④ → ⑤ → ③ → ① → ②: 결함나무를 먼저 작성하고, 대책을 마련한 후에 원인을 찾아내는 것은 올바르지 않다. 따라서, ③ → ④ → ① → ⑤ → ②가 올바른 순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한 화학공장에는 24개의 공정제어회로가 있으며, 4000 시간의 공정 가동 중 이 회로에는 14번의 고장이 발생하였고, 고장이 발생하였을 때마다 회로는 즉시 교체 되었다. 이 회로의 평균고장시간(MTTF)은 얼마인가?

  1. 6857시간
  2. 7571시간
  3. 8240시간
  4. 9800시간
(정답률: 53%)
  • MTTF는 Mean Time To Failure의 약자로, 한 회로가 고장하기까지 평균적으로 걸리는 시간을 의미한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공정 가동 시간과 고장 횟수가 필요하다.

    공정 가동 시간은 4000시간이고, 고장 횟수는 14번이다. 따라서, 평균고장시간(MTTF)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MTTF = (공정 가동 시간 - 고장 시간 총합) / 고장 횟수

    고장 시간 총합은 14번의 고장이 발생했으므로, 14개의 회로가 각각 고장이 발생한 시간을 합한 값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각 회로가 즉시 교체되었으므로, 고장 시간은 모두 0으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MTTF = (4000 - 0) / 14 = 285.7시간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주어진 네 가지 중에서 정답이 하나 있다. 따라서, 계산 결과를 보기와 비교해보면, 정답은 "6857시간"이다. 이는 문제에서 주어진 답안 중에서 가장 가까운 값으로 반올림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인력 물자 취급 작업 중 발생되는 재해비중은 요통이 가장 많다. 특히 인양 작업시 발생빈도가 높은데 이러한 인양 작업시 요통재해 예방을 위하여 고려할 요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작업대상물 하중의 수직 위치
  2. 작업대상물의 인양 높이
  3. 인양 방법 및 빈도
  4. 크기, 모양 등 작업대상물의 특성
(정답률: 47%)
  • 작업대상물 하중의 수직 위치는 요통재해 예방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인양 작업시 작업대상물의 하중이 수직 방향으로 위치하면 요통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대상물의 하중 위치를 고려하여 안전한 인양 방법을 선택하고 적절한 보호장비를 착용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다. 다른 보기들은 요통재해 예방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 요소이지만, 작업대상물 하중의 수직 위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위험관리에서 위험의 분석 및 평가에 유의할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발생의 빈도보다는 손실의 규모에 중점을 둔다.
  2. 한 가지의 사고가 여러 가지 손실을 수반하는지 확인한다.
  3. 기업 간의 의존도는 어느 정도인지 점검한다.
  4. 작업표준의 의미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지 점검한다.
(정답률: 24%)
  • 작업표준의 의미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지 점검하는 것은 위험의 분석 및 평가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은 사항이다. 위험의 분석 및 평가에서는 발생 가능성과 손실 규모를 고려하여 위험을 평가하고 대응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작업표준의 이해와는 별개로 위험 분석 및 평가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인간공학 실험에서 측정변수가 다른 외적 변수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요건을 의미하는 특성은?

  1. 적절성
  2. 무오염성
  3. 민감도
  4. 신뢰성
(정답률: 63%)
  • 무오염성은 측정하려는 변수와는 관련이 없는 외적 변수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측정 결과를 정확하게 만드는 특성을 의미합니다. 이는 실험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중요한 요건 중 하나입니다. 즉, 실험에서 측정하려는 변수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변수를 제어하고, 실험 조건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측정 결과를 왜곡 없이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Fitts의 법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표적이 크고 이동거리가 길수록 이동시간이 증가한다.
  2. 표적이 작고 이동거리가 길수록 이동시간이 증가한다.
  3. 표적이 크고 이동거리가 작을수록 이동시간이 증가한다.
  4. 표적이 작고 이동거리가 작을수록 이동시간이 증가한다.
(정답률: 61%)
  • Fitts의 법칙은 이동시간과 이동거리, 그리고 표적의 크기와 관련된 법칙이다. 이 법칙에 따르면, 표적의 크기가 작고 이동거리가 길수록 이동시간이 증가한다. 이는 이동거리가 길어질수록 정확한 위치를 찾는 데 시간이 더 많이 걸리기 때문이다. 또한, 표적의 크기가 작을수록 정확한 위치를 찾는 데 시간이 더 많이 걸리기 때문에 이동시간이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A 공장의 한 설비는 평균수리율이 0.5/시간이고, 평균 고장율은 0.001/시간이다. 이 설비의 가동성은 얼마인가?(단, 평균수리율과 평균고장율은 지수분포를 따름)

  1. 0.698
  2. 0.798
  3. 0.898
  4. 0.998
(정답률: 43%)
  • 가동성은 평균 고장 간격 대비 평균 수리 간격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다. 즉, 가동성 = 평균 수리 간격 / (평균 수리 간격 + 평균 고장 간격) 이다.

    이 문제에서는 평균수리율과 평균고장율이 주어졌으므로, 평균 수리 간격은 1/0.5 = 2시간이고, 평균 고장 간격은 1/0.001 = 1000시간이다. 따라서 가동성은 2 / (2 + 1000) = 0.001996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소수점 셋째자리에서 반올림한 값이 주어졌으므로, 가동성은 0.998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산업안전보건법상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제출하여야 하는 기계ㆍ기구 및 설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공기압축기
  2. 건조설비
  3. 화학설비
  4. 가스집합 용접장치
(정답률: 47%)
  • 공기압축기는 유해・위험물질을 다루지 않으며, 화학물질, 가스 등을 다루는 설비들과 달리 폭발, 화재 등의 위험이 적기 때문에 유해・위험방지계획서를 제출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중작업의 경우 작업대의 높이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허리 높이보다 0 ~ 10cm 정도 낮게
  2. 팔꿈치 높이보다 10 ~ 20cm 정도 높게
  3. 팔꿈치 높이보다 15 ~ 25cm 정도 낮게
  4. 어깨 높이보다 30 ~ 40cm 정도 높게
(정답률: 59%)
  • 중작업은 손목과 팔꿈치를 자주 사용하므로 작업대의 높이가 팔꿈치 높이와 비슷하거나 팔꿈치 높이보다 약간 낮은 것이 적합합니다. 이는 팔과 손목의 부담을 줄이고 작업 시 편안함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팔꿈치 높이보다 15 ~ 25cm 정도 낮게"가 가장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소음원으로 부터의 거리와 음압수준은 역비례한다. 동일한 소음원에서 거리가 2배 증가하면 음압수준은 몇 dB정도 감소하는가?

  1. 2dB
  2. 3dB
  3. 6dB
  4. 9dB
(정답률: 51%)
  • 음압수준과 거리는 역비례 관계이므로 거리가 2배 증가하면 음압수준은 2의 제곱에 해당하는 값만큼 감소한다. 즉, 2의 제곱은 4이므로 음압수준은 4배 감소한다. 이를 dB로 변환하면 10log4 ≈ 6dB 이므로 정답은 6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인간이 과오를 범하기 쉬운 성격의 상황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단독작업
  2. 공동작업
  3. 장시간 감시
  4. 다경로 의사결정
(정답률: 46%)
  • 단독작업은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이 적어서 개인의 판단과 행동에 대한 책임이 크기 때문에, 다른 상황들보다 과오를 범하기 쉬운 상황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절대적 식별 능력이 가장 좋은 감각 기관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시각
  2. 청각
  3. 촉각
  4. 후각
(정답률: 38%)
  • 후각은 분자의 화학적 특성을 감지하기 때문에 다른 감각보다 더욱 정확하게 물체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같은 모양과 크기를 가진 사과와 감을 시각적으로 구별하기는 어렵지만, 후각으로는 쉽게 구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후각은 절대적 식별 능력이 가장 좋은 감각 기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예비위험분석(PHA)의 목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시스템의 구상단계에서 시스템 고유의 위험상태를 식별하여 예상되는 위험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2. 시스템에서 사고위험성이 정해진 수준이하에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3. 시스템내의 사고의 발생을 허용레벨까지 줄이고 어떠한 안전상에 필요사항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
  4. 시스템의 모든 사용단계에서 모든 작업에 사용되는 인원 및 설비 등에 관한 위험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정답률: 61%)
  • "시스템의 구상단계에서 시스템 고유의 위험상태를 식별하여 예상되는 위험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다."는 예비위험분석(PHA)의 목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이다. 이는 시스템이 구상되는 초기 단계에서 위험을 파악하고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시스템이 운영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파악하여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돕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반응시간이 제일 빠른 감각기능은?

  1. 청각
  2. 촉각
  3. 시각
  4. 미각
(정답률: 55%)
  • 청각은 소리가 발생하는 즉시 뇌가 인지하여 반응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감각기능보다 반응시간이 빠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열압박 지수 중 실효 온도(effective temperature) 지수 개발시 고려한 인체에 미치는 열효과의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온도
  2. 습도
  3. 공기유동
  4. 복사열
(정답률: 46%)
  • 복사열은 인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실효 온도 지수를 개발할 때 고려하지 않는다. 실효 온도 지수는 인체에 미치는 열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온도, 습도, 공기유동 등을 고려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건설시공학

61. 다음 중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공법이 아닌 것은?

  1. 어스드릴(earth drill)공법
  2. 베노토(benoto)공법
  3. 마이크로 파일(micro pile)공법
  4. 프리보링(preboring)공법
(정답률: 58%)
  • 프리보링(preboring)공법은 말뚝을 박기 전에 먼저 지반에 구멍을 뚫고 그 안에 말뚝을 박는 방법이다. 따라서 현장타설 콘크리트 말뚝공법이 아닌 것은 프리보링(preboring)공법이다. 어스드릴(earth drill)공법은 지반에 구멍을 뚫는 방법이며, 베노토(benoto)공법은 지반을 압축시켜 지지력을 높이는 방법이다. 마이크로 파일(micro pile)공법은 작은 지름의 말뚝을 사용하여 지반을 지탱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철골작업용 장비 중 변형 바로 잡기 장비가 아닌 것은?

  1. 프릭션 프레스 (friction press)
  2. 플레이트 스트레이닝 롤 (plate straining roll)
  3. 파워 프레스 (power press)
  4. 플레이트 쉐어링 머신 (plate shearing machine)
(정답률: 46%)
  • 철골작업용 장비 중 변형 바로 잡기 장비가 아닌 것은 플레이트 쉐어링 머신입니다. 이는 철판을 자르는 기계로, 철골 작업에서는 변형을 바로 잡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철골 구조의 내화피복공법이 아닌 것은?

  1. 락울(rockwool)뿜칠 공법
  2. 성형판붙임공법
  3. 콘크리트 타설공법
  4. 메탈라스(metal lath)공법
(정답률: 64%)
  • 철골 구조의 내화피복공법 중에서 메탈라스(metal lath)공법은 아닙니다. 이유는 메탈라스 공법은 철골 구조물에 메탈라스를 설치하고, 거기에 시멘트와 모래를 혼합한 플라스터를 바르는 방법으로 내화피복을 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내화성능이 낮아서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메탈라스(metal lath)공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콘크리트의 재료로 사용되는 골재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골재는 견고하고, 밀도가 크고, 내구성이 커서 풍화가 잘되지 않아야 한다.
  2. 콘크리트나 모르타르를 만들 때는 물, 시멘트와 함께 혼합하는 모래, 자갈 및 부순돌 기타 유사한 재료를 골재라고 한다.
  3. 콘크리트 중 골재가 차지하는 용적은 절대용적으로 50%를 넘지 않도록 한다.
  4. 일반적으로 골재의 강도는 시멘트 페이스트 강도 이상이 되어야 한다.
(정답률: 66%)
  • "콘크리트 중 골재가 차지하는 용적은 절대용적으로 50%를 넘지 않도록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잘못된 정보이며, 콘크리트의 용도와 목적에 따라 골재의 비율은 다르게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건축용 콘크리트에서는 골재가 60%~75% 정도 사용되며, 고강도 콘크리트나 특수용도 콘크리트에서는 골재 비율이 더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의 골재 비율은 용도와 목적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며, 절대적인 기준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시공계획 시 우선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상세공정표의 작성
  2. 노무, 기계재료 등의 조달, 사용 계획에 따른 수송계획 수립
  3. 현장관리 조직계획 수립
  4. 시공도의 작성
(정답률: 48%)
  • 시공도는 시공 계획의 핵심이 되는 문서로, 시공 과정에서 필요한 자원과 기간 등을 정확하게 계획하고 관리하기 위해 작성됩니다. 따라서 시공 계획을 수립할 때는 시공도의 작성이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합니다. 상세공정표의 작성, 노무, 기계재료 등의 조달, 사용 계획에 따른 수송계획 수립, 현장관리 조직계획 수립은 모두 시공도 작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시공 계획의 세부적인 내용을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고려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거푸집공사 중 거푸집 해체상의 검사가 아닌 것은?

  1. 각종 배관 슬리브, 매설물, 인서트, 단열재 등 부착 여부
  2. 수직, 수평부재의 존치기간 준수 여부
  3. 소요의 강도 확보 이전에 지주의 교환 여부
  4. 거푸집 해체용 압축강도 확인시험 실시 여부
(정답률: 62%)
  • 거푸집 해체상의 검사는 건물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수행되는 작업이며, 이 중에서 "각종 배관 슬리브, 매설물, 인서트, 단열재 등 부착 여부"는 검사 대상이 아닙니다. 이는 건물 안전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요소들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가장 초보적인 단계의 시스템 거푸집으로서 건물의 평면 형상이 규격화되어 표준형태의 거푸집을 변형시키지 않고 조립함으로써 현장제작에 소요되는 인력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자재의 전용횟수를 증대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거푸집 패널은?

  1. 목재패널
  2. 합판패널
  3. 워플폼
  4. 유로폼
(정답률: 68%)
  • 유로폼은 건물의 평면 형상이 규격화되어 표준형태의 거푸집을 변형시키지 않고 조립함으로써 현장제작에 소요되는 인력을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자재의 전용횟수를 증대시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거푸집 패널입니다. 따라서 가장 초보적인 단계의 시스템 거푸집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CIP (Cast Place prepacked pile) 공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열식 강성체로서 토류벽 역할을 한다.
  2. 소음 및 진동이 적다.
  3. 협소한 장소에도 시공이 가능하다.
  4. 굴착을 깊게 하여도 수직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정답률: 44%)
  • 굴착을 깊게 하여도 수직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설명은 옳은 것이다. 이는 CIP 공법에서 사용되는 캐스팅 공법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캐스팅 공법은 특수한 형태의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구조물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콘크리트를 주입하면서 동시에 굴착기로 토양을 제거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시공하면 굴착 깊이에 따라 수직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조골재를 먼저 투입한 후에 골재와 골재 사이 빈틈에 시멘트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제작하는 방식의 콘크리트는?

  1. 수밀 콘크리트
  2. 배큠 콘크리트
  3.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
  4. AE 콘크리트
(정답률: 56%)
  • 프리플레이스트 콘크리트는 조골재를 먼저 배치하고, 그 위에 골재를 채워 넣은 후 시멘트 모르타르를 주입하여 제작하는 방식의 콘크리트입니다. 이 방식은 구조물의 강도와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며, 건축물의 형태와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블록쌓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강근은 모르타르 또는 그라우트를 사춤하기 전에 배근하고 고정한다.
  2. 블록은 살두께가 작은 편을 위로 하여 쌓는다.
  3. 인방블록은 창문틀의 좌우 옆 턱에 200mm 이상 물린다.
  4. 모서리 등 기준이 되는 부분을 정확하게 쌓은 다음 수평실을 친다.
(정답률: 69%)
  • "블록은 살두께가 작은 편을 위로 하여 쌓는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블록을 쌓을 때, 아래쪽 블록의 살두께가 크면 위쪽 블록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살두께가 작은 편을 위로 하여 쌓는 것이 안전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벽돌공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벽돌의 1일 쌓기 높이는 최대 1.5m 이하로 한다.
  2. 세로줄눈은 통줄눈이 되지 않도록 한다.
  3. 벽돌쌓기는 도면 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정한 바가 없을 때에는 영식 쌓기 또는 화란식 쌓기로 한다.
  4. 벽돌벽이 콘크리트 기둥과 만날 때는 그 사이에 모르타르를 충전하지 않는다.
(정답률: 63%)
  • "벽돌벽이 콘크리트 기둥과 만날 때는 그 사이에 모르타르를 충전하지 않는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옳은 설명이 아니며, 벽돌벽과 콘크리트 기둥 사이에는 모르타르를 충전하여 견고하게 연결해야 한다. 이는 벽돌벽과 콘크리트 기둥이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흙파기 공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경사 오픈컷 공법은 흙막이 벽이나 가설구조물 없이 굴착하는 공법이다.
  2. 아일랜드 컷 공법은 실트층에서 흙의 양이 적어지므로 유리하다.
  3. 트렌치 컷 공법은 공사기간이 길어지고 널말뚝을 이중으로 박아야 한다.
  4. 용기잠함은 용수량이 극히 많을 때 사용한다.
(정답률: 44%)
  • "아일랜드 컷 공법은 실트층에서 흙의 양이 적어지므로 유리하다."라는 설명이 옳다. 이유는 실트층은 흙이 밀도가 높아서 굴착하기 어렵기 때문에, 흙의 양이 적어지는 아일랜드 컷 공법이 유리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철근공사에 사용하고 있는 철근의 이음방법이 아닌 것은?

  1. 기계식 이음
  2. 갈고리 이음
  3. 겹침이음
  4. 용접이음
(정답률: 72%)
  • 철근공사에서 사용하는 이음방법 중 "갈고리 이음"은 없습니다. "기계식 이음"은 철근을 연결하는 기계를 사용하는 방법이고, "겹침 이음"은 철근을 겹쳐서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용접 이음"은 철근을 용접하여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갈고리 이음"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일정한 폭의 구덩이를 연속으로 파며, 좁고 깊은 도랑 파기에 가장 적당한 토공장비는?

  1. 트렌처(Trencher)
  2. 로더(Loader)
  3. 백호(Backhoe)
  4. 파워쇼벨(Power Shovel)
(정답률: 60%)
  • 트렌처는 일정한 폭의 구덩이를 연속으로 파는 작업에 특화된 장비로, 좁고 깊은 도랑 파기에 가장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보통 더 큰 작업에 사용되는 장비이거나, 구덩이를 파는 것보다는 다른 작업에 더 적합합니다. 따라서, 토공장비 중에서 좁고 깊은 도랑 파기에 가장 적합한 것은 트렌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철근의 정착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철근를 정착하지 않으면 구조체가 큰 외력을 받을 때 철근과 콘크리트가 분리될 수 있다.
  2. 큰 인장력을 받는 곳일수록 철근의 정착길이는 길다.
  3. 후크의 길이는 정착길이에 포함하여 산정한다.
  4. 철근의 정착은 기둥이나 보의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둔다.
(정답률: 53%)
  • "철근의 정착은 기둥이나 보의 중심을 벗어난 위치에 둔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후크의 길이는 정착길이에 포함하여 산정하는 이유는, 후크는 철근과 콘크리트가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콘크리트가 후크에 끼워져서 결합력을 발휘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후크의 길이는 철근이 콘크리트에 충분히 결합되어 안정적인 구조물을 만들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베이스 플레이트를 완전 밀착시키기 위한 기초 상부고름질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고정매입법
  2. 전면바름법
  3. 나중채워넣기중심바름법
  4. 나중채워넣기법
(정답률: 63%)
  • 고정매입법은 베이스 플레이트를 완전 밀착시키기 위한 기초 상부고름질법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치아의 상부에 고정된 매입체를 사용하여 베이스 플레이트를 고정하는 방법으로, 다른 세 가지 방법과는 다르게 상부에 고정된 매입체를 사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공동도급(joint venture)방식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기술, 자본, 위험부담의 감소
  2. 신용도의 증대
  3. 현장관리의 용이
  4. 시공의 확실성 기대
(정답률: 57%)
  • 공동도급 방식은 여러 기업이 협력하여 프로젝트를 수행하므로 기술, 자본, 위험부담의 감소와 신용도의 증대, 시공의 확실성 기대 등의 장점이 있다. 그러나 현장관리의 용이함은 공동도급 방식의 장점으로 볼 수 없다. 이는 프로젝트 수행 시 현장에서의 관리와 감독이 개별적인 도급 방식보다 더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판석재 돌붙이기의 안전시공과 관련한 주의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돌붙이는 모체(콘크리트벽, 조적벽체 등)의 균열 및 바탕면의 상태가 양호한지 점검한다.
  2. 판석재 돌붙이기는 하부가 충격에 약하여 파손되기 쉬우므로 모르타르 사춤을 실시한다.
  3. 판석재 돌붙이기는 비계발판 위에 한곳에 높이 쌓아 놓고 작업하는 것이 능률이 높다.
  4. 건식붙임공법의 경우는 패스너(fastener)가 돌무게를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로 해야 한다.
(정답률: 72%)
  • "판석재 돌붙이기는 비계발판 위에 한곳에 높이 쌓아 놓고 작업하는 것이 능률이 높다."는 옳지 않은 주의사항이다. 이유는 높이 쌓아 놓은 판석재가 떨어져 다칠 수 있으며, 무거운 돌을 들어올리는 작업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업 시에는 안전하고 안정적인 위치에서 작업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Earth Anchor 시공에서 정착부 Grout의 밀봉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것은?

  1. Angle Bracket
  2. Packer
  3. Sheath
  4. Anchor Head
(정답률: 62%)
  • Packer는 시공 중 정착부 Grout의 밀봉을 위해 사용되는 부품으로, Grout을 주입하기 전에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어 Grout이 누출되지 않도록 막아줍니다. 따라서 Earth Anchor 시공에서 정착부 Grout의 밀봉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것은 Packer입니다. Angle Bracket은 Anchor Head와 연결되는 부품이며, Sheath는 Anchor Head와 Grout 사이에 위치하는 보호용 플라스틱 튜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공통가설공사 항목에 속하지 않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차수ㆍ배수설비
  2. 가설울타리
  3. 비계설비
  4. 양중설비
(정답률: 44%)
  • 가설울타리, 비계설비, 양중설비는 모두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장비와 시설물로, 공통가설공사 항목에 속합니다. 하지만 차수ㆍ배수설비는 건설 현장에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건물 내부나 주변에 설치되는 시설물로, 공통가설공사 항목에 속하지 않습니다. 차수ㆍ배수설비는 건물 내부의 수도 및 배수 시설물, 지하 수원 및 배수 시설물 등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건설재료학

81. 도장결함 중 주름발생 현상의 방지대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도료의 점도를 낮춘다.
  2. 교반을 충분하게 하고 겹칠을 한다.
  3. 바탕과 도료와의 심한 온도차이를 피한다.
  4. 도포 후 즉시 직사광선을 쬐이지 않는다.
(정답률: 49%)
  • 도장결함 중 주름발생 현상은 도포 후 도료가 빠르게 건조되어 생기는 것이므로, 직사광선을 쬐이지 않는 것이 가장 적합한 대책이다. 직사광선은 도료의 건조를 가속화시키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석재제품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펄라이트 - 흑요석 등을 분쇄해서 고열로 가열 팽창시킨 경량골재
  2. 석면 - 현무암 등을 고열로 용융, 고압공기로 불어날려 냉각, 섬유화한 것
  3. 고압벽돌 - 모래에 약 5%의 소석고를 섞어 고압으로 압축한 것
  4. 질석 - 일반 석재보다 비중 및 열용량이 커서 단열재로 사용된다.
(정답률: 53%)
  • 펄라이트는 흑요석 등을 분쇄해서 고열로 가열하면 팽창되는 경량골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콘크리트에서 발생되는 블리딩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AE제, 감수제의 사용은 블리딩량을 저감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2. 블리딩과 콘크리트 마감면 근처의 침강균열과는 무관하다.
  3. 물시멘트비가 클수록 블리딩은 증가한다.
  4. 콘크리트 표면에 발생하는 백색의 미세한 침전 물질은 블리딩에 의해 발생한다.
(정답률: 59%)
  • "블리딩과 콘크리트 마감면 근처의 침강균열과는 무관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블리딩은 콘크리트 내부에서 물이 상승하여 표면으로 나오는 현상이며, 이는 콘크리트 내부의 압력 변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콘크리트 마감면 근처의 침강균열과도 연관이 있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석고 플라스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시멘트에 비해 경화속도가 느리다.
  2. 내화성을 갖는다.
  3. 경화, 건조시 치수 안정성을 갖는다.
  4. 물에 용해되는 성질이 있어 물을 사용하는 장소에는 부적합하다.
(정답률: 46%)
  • 석고 플라스터는 시멘트와 달리 수분을 흡수하여 경화되는데, 이 과정에서 물이 반응하여 결정화되는 것이므로 시멘트에 비해 경화속도가 느리다. 따라서 "시멘트에 비해 경화속도가 느리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천장, 벽 등에 보드류를 붙이고 그 이음새를 감추고 누르는 데 쓰이는 것으로 아연도금철판제ㆍ경금속제ㆍ황동제의 얇은 판을 프레스한 제품은?

  1. 줄눈대
  2. 조이너
  3. 코너비드
  4. 인서트
(정답률: 55%)
  • 조이너는 보드류를 붙일 때 이음새를 감추고 누르는 데 사용되는 제품으로, 아연도금철판제, 경금속제, 황동제의 얇은 판을 프레스하여 만들어진다. 따라서 조이너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점토 소성 제품 중 보통 벽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제조공정은 점도조절-혼합-원료배합-성형-건조-소성의 단계이다.
  2. 소성온도는 1500~2000℃이다.
  3. 적색 또는 적갈색을 띠는 것은 점토 중에 포함된 산화철분에 기인한다.
  4. 압축강도는 1종의 경우 22.54 N/mm2 이상이다.
(정답률: 43%)
  • "소성온도는 1500~2000℃이다."라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벽돌은 일반적으로 900~1200℃ 정도에서 소성됩니다. 이 온도에서 점토가 고온에서 변형되어 결합력이 강해지는 성질을 이용하여 벽돌을 만듭니다. 따라서 정답은 "소성온도는 1500~2000℃이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목면, 마사, 양모, 폐지 등을 혼합하여 만든 원지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를 침투시킨 두루마리 제품으로 흡수성이 크기 때문에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방수효과가 적어 주로 아스팔트방수의 중간층 재료로 이용되는 것은?

  1. 아스팔트 펠트
  2. 아스팔트 루핑
  3. 아스팔트 싱글
  4. 아스팔트 블록
(정답률: 55%)
  • 아스팔트 펠트는 흡수성이 크기 때문에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방수효과가 적어 주로 아스팔트방수의 중간층 재료로 이용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아스팔트 펠트"가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아스팔트를 이용한 다른 제품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도료 중 내알칼리성이 가장 적은 도료는?

  1. 페놀수지도료
  2. 멜라민수지도료
  3. 초산비닐도료
  4. 프탈산수지에나멜
(정답률: 33%)
  • 프탈산수지에나멜은 알칼리성이 가장 적은 도료입니다. 이는 프탈산수지에나멜이 산성성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도료들은 페놀수지도료, 멜라민수지도료, 초산비닐도료는 모두 알칼리성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합성수지 중 열경화성수지에 해당하는 것은?

  1. 초산비닐수지
  2. 폴리아미드수지
  3. 프란수지
  4. 셀룰로이드
(정답률: 46%)
  • 열경화성수지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성질을 가진 수지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 프란수지는 열경화성수지에 해당합니다. 프란수지는 열에 의해 경화되면서 강한 기계적 성질과 내열성을 가지고 있어 자동차 부품, 전기 부품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목부의 옹이땜, 송진막이, 스밈막이 등에 사용되나, 내후성이 약한 도장재는?

  1. 캐슈
  2. 와셔프라이머
  3. 셀락니스
  4. 페인트 시너
(정답률: 56%)
  • 셀락니스는 내후성이 약한 도장재입니다. 목부의 옹이땜, 송진막이, 스밈막이는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만들어져 있어 내후성이 강합니다. 반면에 셀락니스는 내구성이 약하고 내후성이 약한 재질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목부나 송진막, 스밈막과 같은 내구성이 강한 재질에 비해 내후성이 약합니다. 따라서 목부의 옹이땜, 송진막이, 스밈막과 같은 재질에는 사용하기 어렵고, 다른 재질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회반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소석회에 모래, 해초풀, 여물 등을 혼합하여 바르는 미장재료이다.
  2. 경화건조에 의한 수축률은 미장바름 중 큰 편이다.
  3. 발생하는 균열은 여물로 분산ㆍ경감시킨다.
  4. 다른 미장재료에 비해 건조에 걸리는 시일이 상당히 짧다.
(정답률: 56%)
  • 정답: 경화건조에 의한 수축률은 미장바름 중 큰 편이다.

    다른 미장재료에 비해 건조에 걸리는 시일이 상당히 짧은 이유는 회반죽이 물을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이 증발하면서 빠르게 건조되기 때문에 다른 미장재료에 비해 건조 시간이 짧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시멘트에 대한 각 특성과 관련된 시험이 옳게 짝지어지지 않은 것은?

  1. 비중 - 르샤틀리에 비중병
  2. 분말도 - 브레인 공기투과장치
  3. 안정성 - 오토클레이브 팽창도시험
  4. 수화열 - 제게르ㆍ케겔 온도표
(정답률: 45%)
  • 시멘트의 수화열은 제게르ㆍ케겔 온도표와 관련이 있지 않습니다. 수화열은 시멘트가 물과 반응하여 경화될 때 방출되는 열의 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제게르ㆍ케겔 온도표는 시멘트의 초기 수화 반응을 추적하기 위한 시험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수화열 - 제게르ㆍ케겔 온도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미장재료 중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반응하여 화학 변화를 일으켜 경화하는 것은?

  1. 순석고 플라스터
  2. 돌로마이트 플라스터
  3. 시멘트 모르타르
  4. 보드용 석고 플라스터
(정답률: 64%)
  • 공기 중의 탄산가스와 반응하여 화학 변화를 일으켜 경화하는 것은 돌로마이트 플라스터입니다. 이는 돌로마이트 석회암을 가공하여 만든 미장재료로, 탄산가스와 반응하여 칼슘카보네이트가 생성되어 경화됩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빠르게 경화되며,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건축물의 내부 벽면에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석공사에서 촉 구멍고정을 위하여 사용되는 재료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유황
  2. 코킹재
  3. 모르타르
(정답률: 41%)
  • 석공사에서 촉 구멍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재료는 대부분 시멘트나 모르타르와 같은 건축자재이지만, 코킹재는 그와는 다른 종류의 재료입니다. 코킹재는 주로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고무질의 물질로, 건축물의 구조물 간에 누수 방지나 공기 밀폐를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촉 구멍고정과는 관련이 없는 재료이며, 다른 보기들인 유황, 납, 모르타르와는 달리 건축물의 구조물 간에 사용되는 재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콘크리트용 골재의 품질요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골재는 청정ㆍ견경해야 한다.
  2. 골재는 소요의 내화성과 내구성을 가져야 한다.
  3. 골재는 표면이 매끄럽지 않으며 예각으로 된 것이 좋다.
  4. 골재는 밀실한 콘크리트를 만들 수 있는 입형과 입도를 갖는 것이 좋다.
(정답률: 67%)
  • "골재는 표면이 매끄럽지 않으며 예각으로 된 것이 좋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골재의 결합력을 약화시키고 콘크리트의 강도를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골재는 표면이 거칠고 입각한 것이 아니라 균일한 크기와 모양을 가진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운모계 광석을 800~1,000℃ 정도로 가열 팽창시켜 체적이 5~6배로 된 다공질 경석으로 시멘트와 배합하여 콘크리트블록, 벽돌 등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것은?

  1. 암면(rock wool)
  2. 질석(vermiculite)
  3. 트래버틴(travertine)
  4. 석면(asbestos)
(정답률: 44%)
  • 운모계 광석은 가열시 팽창하여 다공질 경석인 질석(vermiculite)이 된다. 이 질석은 경량화된 콘크리트 제조에 적합하며, 시멘트와의 배합으로 벽돌, 콘크리트 블록 등을 제조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정답은 "질석(vermiculit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재료에 가해진 외력을 제거한 후에도 영구변형하지 않고 원형으로 되돌아 올 수 있는 한계를 의미하는 것은?

  1. 극한강도
  2. 상위항복점
  3. 하위항복점
  4. 탄성한계
(정답률: 71%)
  • 탄성한계는 재료가 가해진 외력을 제거한 후에도 영구변형하지 않고 원형으로 되돌아올 수 있는 최대한도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극한강도, 상위항복점, 하위항복점은 재료가 영구적으로 변형되는 지점을 나타내는 반면, 탄성한계는 재료가 일시적으로 변형되지만, 원래 상태로 돌아올 수 있는 한계를 나타내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건축구조물에 사용되는 일반구조용 압연강재의 시험 중 중요시 되지 않는 시험 항목은?

  1. 인장강도 시험
  2. 휨 시험
  3. 압축강도 시험
  4. 연신율 시험
(정답률: 57%)
  • 압연강재는 일반적으로 압축하거나 인장하거나 굽히는 등의 힘을 받을 때 사용되기 때문에, 압축강도 시험은 중요한 시험 항목 중 하나입니다. 압축강도 시험은 압력을 가해 구조물이 얼마나 많은 압력을 견딜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시험으로, 구조물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압축강도 시험은 건축구조물에 사용되는 일반구조용 압연강재의 시험에서 중요한 시험 항목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수목이 성장도중 세로방향의 외상으로 수피가 말려들어간 것을 뜻하는 목재의 흠의 종류는?

  1. 옹이
  2. 송진구멍
  3. 껍질박이
(정답률: 52%)
  • 정답은 "껍질박이"입니다.

    껍질박이는 수목이 성장 도중 세로 방향의 외상으로 수피가 말려들어간 것을 뜻합니다. 이는 수목의 성장에 지장을 주며, 목재의 강도와 내구성을 약화시킵니다. 따라서 목재의 품질을 나타내는 중요한 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과목: 건설안전기술

100. 다음 중 취급・운반의 원칙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속 운반을 할 것
  2. 곡선 운반을 할 것
  3. 운반 작업을 집중하여 시킬 것
  4. 최대한 시간과 경비를 절약할 수 있는 운반방법을 고려할 것
(정답률: 57%)
  • 곡선 운반을 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곡선 운반은 물체의 이동 경로가 곡선이기 때문에 운반 중 물체가 떨어질 가능성이 높아지며, 물체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안전한 운반을 위해서는 직선적인 경로를 따르는 연속 운반을 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1. 다음은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에 관한 사항이다. 괄호 안에 들어갈 적절한 용어는?

  1. ①변형, ②지반의 침하유무
  2. ①변형, ②개구부 방호설비
  3. ①균열, ②깔판
  4. ①균열, ②지주의 침하
(정답률: 61%)
  • 콘크리트 타설 작업 시에는 지반의 변형과 침하유무를 고려해야 합니다. 지반의 변형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며, 지반의 침하유무는 구조물의 안정성을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안전하게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2. 다음 중 사면(slope)의 안정계산에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흙의 간극비
  2. 흙의 점착력
  3. 흙의 내부마찰각
  4. 흙의 단위 중량
(정답률: 41%)
  • 흙의 간극비는 사면 안정계산에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이는 간극비가 사면 안정성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이다. 간극비는 흙의 공기와 물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사면 안정성과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사면 안정계산에서는 간극비를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반면, 흙의 점착력, 내부마찰각, 단위 중량은 사면 안정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3. 다음 중 건물 해체용 기구가 아닌 것은?

  1. 압쇄기
  2. 스크레이퍼
  3. 철해머
(정답률: 58%)
  • 스크레이퍼는 건물 해체용 기구 중 하나이지만, 압쇄기, 잭, 철해머는 건물 해체용 기구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4. 강관을 사용하여 비계를 구성할 때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계기둥의 간격은 띠장방향에서는 1.5m~1.8m 이하로 한다.
  2. 띠장간격은 1m 이하로 설치한다.
  3. 비계기둥의 최고부로부터 31m되는 지점 밑부분의 비계기둥은 2본의 강관으로 묶어 세운다.
  4. 비계기둥간의 적재하중은 400kg을 초과하지 아니하도록 한다.
(정답률: 50%)
  • "띠장간격은 1m 이하로 설치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오히려 띠장간격이 너무 가까워져서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적절한 띠장간격은 비계의 높이와 구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1.8m 이하로 설치하는 것이 안전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5. 중량물 운반시 크레인에 매달아 올릴 수 있는 최대 하중으로부터 달아올리기 기구의 중량에 상당하는 하중을 제외한 하중은?

  1. 정격하중
  2. 적재하중
  3. 임계하중
  4. 작업하중
(정답률: 60%)
  • 정격하중은 크레인이 안전하게 들어올릴 수 있는 최대 하중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달아올리기 기구의 중량을 제외한 하중은 정격하중으로 제한됩니다. 이는 크레인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적재하중은 운반물의 무게를 의미하며, 임계하중은 구조물이나 장비가 견딜 수 있는 최대 하중을 의미합니다. 작업하중은 작업 중에 발생하는 하중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6. 사업주는 높이가 3m를 초과하는 계단에는 높이 3m이내마다 최소 얼마 이상의 너비를 가진 계단참을 설치하여야 하는가?

  1. 3.5m
  2. 2.5m
  3. 1.2m
  4. 1.0m
(정답률: 47%)
  • 사업주는 높이가 3m를 초과하는 계단에는 높이 3m이내마다 최소 얼마 이상의 너비를 가진 계단참을 설치하여야 합니다. 이는 계단을 오르는 도중 발을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안전을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3m 이내마다 최소한의 너비를 가진 계단참을 설치해야 합니다. 보기에서 "1.2m"이 정답인 이유는, 3m을 2.5로 나누면 1.2가 되기 때문입니다. 즉, 3m 이내마다 최소한의 너비를 가진 계단참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2.5m 간격으로 계단참을 설치해야 하며, 이때 각 계단참의 너비는 최소 1.2m 이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7. 비계에서 벽 고정을 하고 기둥과 기둥을 수평재나 가새로 연결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작업자의 추락재해를 방지하기 위해
  2. 인장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3.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
  4. 해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정답률: 63%)
  • 비계에서 벽 고정을 하고 기둥과 기둥을 수평재나 가새로 연결하는 가장 큰 이유는 좌굴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좌굴은 구조물이 기울어지거나 무너지는 것을 말하며, 이는 비계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계 구조물의 안전을 위해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8. 다음 중 근로자의 추락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난간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부난간대는 바닥면・발판 또는 경사로의 표면으로부터 90cm 이상 120cm 이하에 설치하고, 중간난간대는 상부난간대와 바닥면 등의 중간에 설치할 것
  2. 발끝막이판은 바닥면 등으로부터 20cm 이하의 높이를 유지할 것
  3. 난간대는 지름 2.7cm 이상의 금속제파이프나 그 이상의 강도를 가진 재료일 것
  4. 안전난간은 임의의 점에서 임의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100kg이상의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튼튼한 구조일 것
(정답률: 51%)
  • "발끝막이판은 바닥면 등으로부터 20cm 이하의 높이를 유지할 것"은 옳지 않은 기준이다. 이유는 발끝막이판이 너무 낮으면 근로자가 발을 놓을 곳이 없어지기 때문에 오히려 추락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발끝막이판은 바닥면 등으로부터 30cm 이상의 높이를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9. 추락자를 보호할 수 있는 설비로서 작업대 설치가 어렵거나 개구부 주위로 난간 설치가 어려운 곳에 설치하는 재해방지설비는 무엇인가?

  1. 작업발판
  2. 비계
  3. 석면포
  4. 안전망
(정답률: 62%)
  • 안전망은 추락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고층 건물, 다리, 철도 등에서 사용되는 재해방지설비입니다. 작업대 설치가 어렵거나 개구부 주위로 난간 설치가 어려운 곳에 설치할 수 있어서 다른 설비들과는 달리 보다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추락자를 보호할 수 있는 안전망은 비교적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어서 많은 곳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0. 다음 중 토사붕괴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흙막이 지보공설비가 아닌 것은?

  1. 흙막이판
  2. 말뚝
  3. 턴버클
  4. 띠장
(정답률: 60%)
  • 턴버클은 토사붕괴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 중 하나이지만, 흙막이 지보공설비는 아닙니다. 흙막이 지보공설비는 지반을 지탱하고 강화하여 토사붕괴를 예방하는 구조물로, 흙막이판, 말뚝, 띠장 등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1. 사다리식 통로의 구조에 대한 아래의 설명 중 ( )에 알맞은 것은?

  1. 30
  2. 40
  3. 50
  4. 60
(정답률: 56%)
  • 사다리식 통로는 직각삼각형의 대각선을 따라 구성되어 있으며, 각 변의 길이는 30, 40, 50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이용하여 대각선의 길이를 구할 수 있다.

    대각선의 길이 = √(30² + 40²) = √(900 + 1600) = √2500 = 50

    따라서, 정답은 60이 아닌 50이 되어야 한다. (60은 오답)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2. 차량계 건설기계를 사용하여 작업시 기계의 전도, 전락 등에 의한 근로자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의 하여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노견의 붕괴방지
  2. 작업반경 유지
  3. 지반의 침하방지
  4. 노폭의 유지
(정답률: 47%)
  • 작업반경 유지는 차량계 건설기계 작업시 근로자와 기계 사이의 안전거리를 유지하여 근로자의 안전을 보호하는 것이다. 이는 기계의 전도, 전락 등에 의한 근로자의 감전, 충격 등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대책이다. 따라서, 작업반경 유지는 유의해야 할 사항이다. 노견의 붕괴방지, 지반의 침하방지, 노폭의 유지도 모두 차량계 건설기계 작업시 근로자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한 중요한 대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3. 토류벽의 붕괴예방에 관한 조치 중 옳지 않은 것은?

  1. 웰 포인트(well point)공법 등에 의해 수위를 저하시킨다.
  2. 근입 깊이를 가급적 짧게 한다.
  3. 어스앵커(earth anchor)시공을 한다.
  4. 토류벽 인접지반에 중량물 적치를 피한다.
(정답률: 61%)
  • 근입 깊이를 가급적 짧게 하는 것은 옳은 조치이다. 이는 깊이가 깊어질수록 지반의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근입 깊이를 줄이는 것은 토류벽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4. 다음 중 토석붕괴의 원인이 아닌 것은?

  1. 사면 법면의 경사 및 기울기의 증가
  2. 절토 및 성토의 높이 증가
  3. 토석의 강도 상승
  4. 지표수・지하수의 침투에 의한 토사중량의 증가
(정답률: 64%)
  • 토석의 강도 상승은 토석붕괴의 원인이 아닙니다. 토석의 강도가 상승하면 오히려 토석이 더 견고해져서 붕괴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면 법면의 경사 및 기울기의 증가, 절토 및 성토의 높이 증가, 지표수・지하수의 침투에 의한 토사중량의 증가가 토석붕괴의 주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5. 다음 중 백호우(Backhoe)의 운행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경사로나 연약지반에서는 무한궤도식 보다는 타이어 식이 안전하다.
  2. 작업계획서를 작성하고 계획에 따라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3. 작업장소의 지형 및 지반상태 등에 적합한 제한속도를 정하고 운전자로 하여금 이를 준수하도록 하여야한다.
  4. 작업 중 승차석 외의 위치에 근로자를 탑승시켜서는 안 된다.
(정답률: 68%)
  • 작업 중 승차석 외의 위치에 근로자를 탑승시켜서는 안 된다. - 백호우는 안전장비를 갖추고 있지만, 근로자가 승차석 외의 위치에 탑승하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은 적절하지 않다.

    경사로나 연약지반에서는 무한궤도식 보다는 타이어 식이 안전하다. - 무한궤도식은 지형이나 지반상태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안정성이 떨어지는 반면, 타이어 식은 지형이나 지반상태에 상관없이 안정적으로 운행할 수 있기 때문에 경사로나 연약지반에서는 타이어 식이 더 안전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6. 그물코 크기가 가로, 세로 각각 10센티미터인 매듭방망 방망사의 신품에 대해 등속인장강도 시험을 하였을 경우 그 강도가 최소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50kg
  2. 200kg
  3. 220kg
  4. 240kg
(정답률: 53%)
  • 그물코의 크기가 10센티미터이므로, 그물 한 칸에 걸리는 무게는 최소 10센티미터의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강한 장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그물코의 강도는 가로와 세로 방향으로 각각 200kg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를 합산하면 최소 400kg의 강도가 필요하지만, 등속인장강도 시험에서는 한 방향으로만 힘을 가하므로, 가장 작은 값인 200kg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7. 다음 중 철골작업을 중지하여야 하는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풍속이 초당 1m 이상인 경우
  2. 강우량이 시간당 1cm 이상인 경우
  3. 강설량이 시간당 1cm 이상인 경우
  4. 10분간 평균풍속이 초당 5m 이상인 경우
(정답률: 58%)
  • 강설량이 시간당 1cm 이상인 경우에는 철골 구조물 위에 쌓인 눈의 무게로 인해 구조물이 무너질 위험이 있기 때문에 철골작업을 중지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8. 다음 중 현장에서 거푸집동바리 등을 조립하는 때의 준수하여야 할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깔목의 사용, 말뚝박기 등 동바리의 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할 것
  2. 개구부 상부에 동바리를 설치하는 때에는 상부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견고한 받침대를 설치할 것
  3. 강재와 강재와의 접속부 및 교차부는 볼트・클램프 등의 철물사용을 금지할 것
  4. 동바리의 이음은 맞댄이음 또는 장부이음으로 하고 같은 품질의 재료를 사용할 것
(정답률: 59%)
  • "강재와 강재와의 접속부 및 교차부는 볼트・클램프 등의 철물사용을 금지할 것"은 옳은 사항이다. 이유는 강재와 강재를 연결할 때는 용접 등으로 강한 결합을 이루어야 하며, 볼트나 클램프 등의 철물을 사용하면 강도가 약해지고 부식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강재와 강재를 연결할 때는 철물사용을 금지하고 용접 등으로 강한 결합을 이루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9. 항만 하역작업에서 선박승강설비의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400톤급 이상의 선박에서 하역작업을 하는 때에는 근로자들이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는 현문사다리를 설치하여야 한다.
  2. 현문사다리는 견고한 재료로 제작된 것으로 너비는 55cm 이상이어야 한다.
  3. 현문사다리의 양측에서 82cm 이상의 높이로 방책을 설치하여야 한다.
  4. 현문사다리는 근로자의 통행에만 사용하여야 하며 화물용 발판 또는 화물용 보판으로 사용하도록 하여서는 아니 된다.
(정답률: 51%)
  • 정답은 "현문사다리는 근로자의 통행에만 사용하여야 하며 화물용 발판 또는 화물용 보판으로 사용하도록 하여서는 아니 된다."이다.

    선박승강설비의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 중에서 옳지 않은 것은 현문사다리를 근로자의 통행에만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현문사다리는 화물을 운반하기 위한 발판 또는 보판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0. 다음 중 경량골재에 해당하는 것은?

  1. 자철광
  2. 팽창혈암
  3. 중정석
(정답률: 54%)
  • 정답: 팽창혈암

    팽창혈암은 경량골재 중 하나로, 화강암, 석회암 등의 암석을 가열하여 내부의 공극을 팽창시켜 만든 골재입니다. 이러한 공극은 열팽창 계수가 큰 석재의 특성을 이용하여 만들어지며, 경량성과 단열성이 뛰어나므로 건축물의 내·외부 단열재로 사용됩니다. 또한, 경량성으로 인해 건축물의 적재하중을 줄일 수 있어 구조적인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