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정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5-07)

자동차정비산업기사
(2017-05-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일반기계공학

1. 축 이음에서 두 축 중심이 약간 어긋나 있거나 축 중심선을 맞추기 곤란할 때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축이음은?

  1. 머프 커플링
  2. 셀러 커플링
  3. 플렉시블 커플링
  4. 마찰 원통 커플링
(정답률: 87%)
  • 플렉시블 커플링은 유연한 소재로 만들어져 축 중심이 약간 어긋나 있거나 축 중심선을 맞추기 어려운 경우에도 축의 회전을 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축의 정렬이 어려운 경우에 많이 사용됩니다. 머프 커플링은 고무 소재로 만들어져 진동을 흡수하는 기능이 있고, 셀러 커플링은 축의 정렬을 맞추는 기능이 있습니다. 마찰 원통 커플링은 축의 회전을 전달하는 원리가 다르며, 토크 전달량이 크기 때문에 대형 기계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측정기 내의 기포를 이용하여 측정면의 미소한 경사를 측정하는 것은?

  1. 수준기
  2. 사인바
  3. 컴비네이션 세트
  4. 오토 콜리메이터
(정답률: 71%)
  • 수준기는 측정면의 경사를 측정하기 위해 측정기 내의 기포를 이용하는데, 이는 수평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면의 미소한 경사를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수준기"이다. 사인바는 각도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컴비네이션 세트는 여러 종류의 측정기를 하나로 묶어서 사용하는 것이고, 오토 콜리메이터는 길이나 직경 등을 자동으로 측정하는 기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Ni-Cu계 합금 중 내식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므로 화학기계, 광산기계, 증기 터빈의 날개 등에 주로 이용되는 합금은?

  1. 켈밋
  2. 포금
  3. 모넬 메탈
  4. 델타 메탈
(정답률: 55%)
  • Ni-Cu계 합금은 내식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므로 화학기계, 광산기계, 증기 터빈의 날개 등에 주로 이용됩니다. 이 중에서도 모넬 메탈은 Ni-Cu계 합금 중에서 가장 내식성과 내열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다른 합금보다 더욱 많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모넬 메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2500 rpm으로 회전하면서 25kW를 전달하는 전동축의 비틀림 모멘트는 약 몇 Nㆍm인가?

  1. 7.5
  2. 9.6
  3. 70.2
  4. 95.5
(정답률: 37%)
  • 비틀림 모멘트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T = (P × 60) / (2π × n)

    여기서 T는 비틀림 모멘트(Nㆍm), P는 전력(W), n은 회전 속도(rpm)이다.

    따라서, 주어진 조건에서 비틀림 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T = (25,000 × 60) / (2π × 2,500) ≈ 95.5 Nㆍm

    따라서, 정답은 "95.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이캐스팅을 이용한 제품 생산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면이 얇은 주물의 주조가 가능하다.
  2. 균일한 제품의 연속 주조가 불가능하다.
  3. 마그네슘, 알루미늄 합금의 대량 생산용으로 적합하다.
  4. 정밀도가 좋아서 제품의 표면이 양호하고 후가공이 적다.
(정답률: 75%)
  • 다이캐스팅은 금속을 고압으로 주조하는 방법으로, 단면이 얇은 주물의 주조가 가능하고 마그네슘, 알루미늄 합금의 대량 생산용으로 적합하며 정밀도가 좋아서 제품의 표면이 양호하고 후가공이 적다. 하지만 균일한 제품의 연속 주조가 불가능한 이유는 다이캐스팅에서는 한 번에 한 개의 제품만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브레이크 드럼에 500Nㆍm의 토크가 작용하고 있을 때, 축을 정지시키는데 필요한 접선방향 제동력은 몇 N인가? (단, 브레이크 드럼의 지름은 500mm이다.)

  1. 3000
  2. 2500
  3. 2000
  4. 1500
(정답률: 37%)
  • 토크(Torque)는 힘(F)과 거리(r)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즉, T = F x r 입니다. 이를 변형하면 F = T / r 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접선방향 제동력을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브레이크 드럼의 반지름을 구해야 합니다. 지름이 500mm이므로 반지름은 250mm입니다.

    그리고 토크가 500Nㆍm이므로, 이를 반지름으로 나누어줘서 힘을 구합니다. F = T / r = 500Nㆍm / 0.25m = 2000N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스폿(spot)용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가압력이 필요 없다.
  2. 가스용접의 일종이다.
  3. 알루미늄 용접이 불가능하다.
  4. 로봇을 이용한 자동화가 용이하다.
(정답률: 75%)
  • 스폿(spot)용접은 두 개 이상의 금속을 접합할 때 사용되는 용접 방법으로, 전기를 통해 금속을 녹여서 접합시키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가압력이 필요하지 않으며, 가스용접과는 다른 방법입니다. 또한 알루미늄 용접도 가능합니다. 로봇을 이용한 자동화가 용이한 이유는 스폿용접은 일정한 위치에서 반복적으로 용접을 수행하기 때문에 로봇이 이를 대신 수행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외팔보의 자유단에 집중하중 W가 작용할 때, 작용하는 하중의 전단력선도는?

(정답률: 62%)
  • 외팔보의 자유단에 작용하는 하중은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이므로, 전단력선도는 중심축을 지나는 직선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배관 및 밸브에서 급격한 서지압력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은?

  1. 디퓨저
  2. 엑셀레이터
  3. 액추에이터
  4. 어큐뮬레이터
(정답률: 68%)
  • 어큐뮬레이터는 유체의 압력을 저장하여 급격한 서지압력을 완화시키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배관 및 밸브에서 급격한 서지압력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이 바로 어큐뮬레이터입니다. 디퓨저는 유체의 유속을 감소시켜 압력을 낮추는 장치이며, 엑셀레이터는 가속도를 높이는 장치입니다. 액추에이터는 제어 신호를 받아 기계적인 작동을 수행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펌프의 송출압력이 90N/cm2 , 송출량이 60L/min인 유압펌프의 펌프동력은 약 몇 W인가?

  1. 700
  2. 800
  3. 900
  4. 1000
(정답률: 55%)
  • 펌프 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펌프 동력 = 송출압력 × 송출량 ÷ 600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펌프 동력 = 90 × 60 ÷ 600 = 9 W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900"인 이유는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재료의 성질을 나타내는 세로탄성계수(E)의 단위는?

  1. N
  2. N/m2
  3. Nㆍm
  4. N/m
(정답률: 71%)
  • 세로탄성계수(E)는 단위 면적당 힘(N/m2)으로 나타내는 재료의 변형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량이기 때문에 단위는 N/m2이다. 다른 보기들은 힘, 힘과 면적의 곱, 힘과 길이의 곱 등 다른 물리량을 나타내는 단위이므로 세로탄성계수(E)의 단위로 적절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패킹재료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내열성이 높아야 한다.
  2. 부식성이 높아야 한다.
  3. 내구성이 높아야 한다.
  4. 유연성이 높아야 한다.
(정답률: 83%)
  • 부식성이 높아야 한다는 것은 패킹재료가 화학적으로 활발하게 반응하여 다른 물질과 결합하거나 분해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패킹재료가 화학적으로 안정되지 않아서 오히려 부식되거나 파괴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구비조건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부식성이 높아야 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표준 스퍼 기어에서 이의 크기를 결정하는 기준 항목이 아닌 것은?

  1. 모듈
  2. 지름피치
  3. 원주피치
  4. 피치원 지름
(정답률: 57%)
  • 표준 스퍼 기어에서 이의 크기를 결정하는 기준 항목은 "모듈", "지름피치", "원주피치"이다. 이들은 기어의 크기와 형태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반면에 "피치원 지름"은 이의 크기를 결정하는 기준 항목이 아니다. 피치원 지름은 기어의 피치원을 둘러싸는 원의 지름으로, 이는 기어의 크기와 형태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선반에서 베드(bed)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마모성이 클 것
  2. 직진도가 높을 것
  3. 가공정밀도가 높을 것
  4. 강성 및 방진성이 있을 것
(정답률: 83%)
  • 정답: "마모성이 클 것"

    설명: 베드의 구비조건으로는 직진도가 높을 것, 가공정밀도가 높을 것, 강성 및 방진성이 있을 것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마모성이 클 경우, 베드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사용 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구비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50kN의 물체를 4개의 아이볼트로 들어 올릴 때 볼트의 최소 골지름은 약 몇mm인가? (단, 볼트 재료의 허용인장응력은 62MPa이다.)

  1. 10.02
  2. 12.02
  3. 14.02
  4. 16.02
(정답률: 26%)
  • 먼저, 볼트가 받는 응력은 물체의 무게와 중력가속도, 그리고 볼트의 단면적에 비례한다. 따라서, 볼트의 최소 골지름을 구하기 위해서는 먼저 볼트가 받는 최대 응력을 구해야 한다.

    물체의 무게는 50kN이고, 중력가속도는 9.81m/s^2이므로, 물체가 작용하는 힘은 50kN x 9.81m/s^2 = 490.5kN이다. 이 힘은 4개의 볼트가 공동으로 지지하므로, 각 볼트가 받는 힘은 490.5kN / 4 = 122.625kN이다.

    볼트의 단면적은 골지름의 제곱에 파이를 곱한 값이므로, 볼트의 최소 골지름을 r이라고 하면, 볼트의 단면적은 A = 파이 x r^2이다. 따라서, 볼트가 받는 응력은 힘에 단면적을 나눈 값인 σ = F / A = 122.625kN / (파이 x r^2)이다.

    볼트 재료의 허용인장응력은 62MPa이므로, 볼트가 받을 수 있는 최대 응력은 62MPa이다. 따라서, 122.625kN / (파이 x r^2) ≤ 62MPa이다. 이를 r에 대해 정리하면, r ≥ √(122.625kN / (62MPa x 파이))이다.

    이를 계산하면, r ≥ 16.02mm이므로, 볼트의 최소 골지름은 약 16.02mm이다. 따라서, 정답은 "16.0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금형가공법 중 재료를 펀칭하고 남은 것이 제품이 되는 가공은?

  1. 전단
  2. 셰이빙
  3. 트리밍
  4. 블랭킹
(정답률: 68%)
  • 블랭킹은 재료를 펀칭하여 남은 것이 제품이 되는 가공 방법이다. 다른 보기들은 재료를 자르거나 깎아내는 등의 가공 방법이지만, 블랭킹은 펀칭으로 인해 생긴 남은 부분을 제품으로 활용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일반적으로 나사면에 증기, 기름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너트는?

  1. 캡 너트
  2. 육각 너트
  3. 와셔붙이 너트
  4. 스프링판 너트
(정답률: 81%)
  • 캡 너트는 나사의 끝에 덮개가 달린 형태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육각 너트, 와셔붙이 너트, 스프링판 너트는 이물질 방지 기능이 없으므로 정답은 캡 너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유압펌프의 용적효율이 70%, 압력효율이 80%, 기계효율이 90% 일 때 전체 효율은 약 몇 %인가?

  1. 50
  2. 60
  3. 70
  4. 80
(정답률: 58%)
  • 전체 효율은 용적효율 x 압력효율 x 기계효율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체 효율은 70% x 80% x 90% = 50.4% 입니다. 그러나 보기에서는 정답이 "50"으로 주어졌으므로, 소수점 이하를 버리고 정답을 50으로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강을 담금질 과정에서 급냉시켰을 때 나타나는 침상조직으로 담금질 조직 중 가장 경도가 큰 조직은?

  1. 펄라이트
  2. 소르바이트
  3. 트루스타이트
  4. 마텐자이트
(정답률: 74%)
  • 강을 담금질 과정에서 급냉시켰을 때 나타나는 침상조직은 강의 성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그 중에서도 마텐자이트는 탄소 함량이 높은 강에서 나타나는 침상조직으로, 가장 경도가 큰 조직 중 하나입니다. 이는 탄소가 고체 용해도가 낮아 급냉시에도 고체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마텐자이트는 경도가 높아서 침전물질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40°C에서 연강봉 양쪽 끝을 고정한 후, 연강봉의 온도가 0℃가 되었을 때 연강봉에 발생하는 열응력은 약 몇 N/cm2 인가? (단, 연강봉의 선팽창계수는 a=11.3× 10-6/°C, 탄성계수는 E=2.1×106N/cm2 이다.)

  1. 215
  2. 252
  3. 804
  4. 949
(정답률: 38%)
  • 열응력은 ΔL/L = aΔT 로 구할 수 있다. 이때 ΔT는 초기 온도와 최종 온도의 차이이다. 따라서 ΔT = 40℃이다. ΔL/L은 초기 길이에서 최종 길이의 변화율이므로 1이다. 따라서 열응력은 aΔT × E = 11.3×10-6/°C × 40℃ × 2.1×106N/cm2 = 949 N/cm2 이다. 따라서 정답은 "94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자동차엔진

21. 전자제어 가솔린엔진의 지르코니아 산소센서에서 약 0.1V 정도로 출력 값이 고정되어 발생되는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인젝터의 막힘
  2. 연료 압력의 과대
  3. 연료 공급량 부족
  4. 흡입공기의 과다유입
(정답률: 59%)
  • 지르코니아 산소센서는 연료 압력의 과대로 인해 출력 값이 고정되는 것과는 무관합니다. 연료 압력이 과대인 경우에는 인젝터의 작동이 불안정해지거나, 연료 공급량이 증가하여 엔진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연료 압력의 과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자동차 배기가스 중에서 질소산화물을 산소, 질소로 환원시켜 주는 배기장치는?

  1. 블로바이가스 제어장치
  2. 배기가스 재순환장치
  3. 증발가스 제어장치
  4. 삼원촉매장치
(정답률: 72%)
  • 삼원촉매장치는 자동차 배기가스 중에서 질소산화물을 산소와 질소로 분해시켜서 대기오염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산소와 질소가 반응하여 질소와 물로 변환되는 화학반응을 이용하는데, 이 반응을 촉진시키는 촉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삼원촉매장치라고 불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운행차 배출가스 검사에 사용되는 매연측정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측정기는 형식승인된 기기로서 최근 1년 이내에 정도검사를 필한 것이어야 한다.
  2. 안정된 전원에 연결 후 충분히 예열하여 안정화 시킨 후 조작한다.
  3. 채취부 및 연결호스 내에 축적되어 있는 매연은 제거하여야 한다.
  4. 자동차 엔진이 가동된 상태에서 영점조정을 하여야 한다.
(정답률: 77%)
  • "자동차 엔진이 가동된 상태에서 영점조정을 하여야 한다."이 설명이 틀린 것이다. 영점조정은 엔진이 꺼진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는 매연측정기가 정확한 측정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영점조정은 측정기의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해 매번 운행 전에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가솔린 연료 200cc를 완전 연소시키기 위한 공기량은 약 몇 kg인가? (단, 공기와 연료의 혼합비는 15:1, 가솔린의 비중은 0.73이다.)

  1. 2.19
  2. 5.19
  3. 8.19
  4. 11.19
(정답률: 49%)
  • 공기와 연료의 혼합비가 15:1 이므로, 연료 1 부분에 공기 15 부분이 필요하다. 따라서 200cc의 연료에 대해 공기는 15 × 200 = 3000cc가 필요하다.

    공기의 밀도는 대기압에서 약 1.2 kg/m³ 이므로, 3000cc의 공기는 0.003m³이다.

    따라서, 공기의 질량은 0.003m³ × 1.2kg/m³ = 0.0036kg 이다.

    가솔린의 비중이 0.73 이므로, 200cc의 가솔린의 질량은 200cc × 0.73kg/L = 0.146kg 이다.

    따라서, 공기와 가솔린의 총 질량은 0.0036kg + 0.146kg = 0.1496kg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답을 구하라고 했으므로, 0.1496kg을 반올림하여 2.19kg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엔진의 흡ㆍ배기 밸브의 간극이 작을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1. 블로바이로 인해 엔진 출력이 증가한다.
  2. 흡입 밸브 간극이 작으면 역화가 일어난다.
  3. 배기 밸브 간극이 작으면 후화가 일어난다.
  4. 일찍 열리고 늦게 닫혀 밸브 열림 기간이 길어진다.
(정답률: 79%)
  • 정답은 "블로바이로 인해 엔진 출력이 증가한다." 이다.

    흡입 밸브 간극이 작으면 역화가 일어나고, 배기 밸브 간극이 작으면 후화가 일어난다. 이는 엔진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현상이다. 하지만 이러한 역화와 후화를 방지하기 위해 블로바이(Blow-by)라는 장치가 사용된다. 블로바이는 엔진 내부의 고압 가스를 방출시켜 역화와 후화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블로바이가 작동하면 엔진 출력이 증가할 수 있다.

    밸브 간극이 작아지면 일찍 열리고 늦게 닫히기 때문에 밸브 열림 기간이 길어진다. 이는 연소 효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연료소비율이 200g/PSㆍh인 가솔린엔진의 제동 열효율은 약 몇 %인가? (단, 가솔린의 저위발열량은 10200Kcal/kg이다.)

  1. 11
  2. 21
  3. 31
  4. 41
(정답률: 41%)
  • 제동 열효율은 연료의 화학적 에너지 중 얼마나 많은 것이 실제로 제동력으로 변환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제동 열효율은 실제로 발생하는 제동력과 연료의 화학적 에너지 간의 비율로 계산할 수 있다.

    제동력은 연료소비율과 가솔린의 저위발열량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연료소비율이 200g/PSㆍh이므로, 1시간 동안 1마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소비되는 가솔린의 양은 200g이다. 가솔린의 저위발열량이 10200Kcal/kg이므로, 1시간 동안 1마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소비되는 가솔린의 열량은 10200 × 0.2 = 2040Kcal이다.

    따라서, 1시간 동안 1마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소비되는 가솔린의 화학적 에너지는 2040Kcal이고, 이를 제동력으로 변환하는데 성공한 경우 제동 열효율은 100%가 된다. 하지만 실제로는 일부 에너지가 열로 손실되기 때문에 제동 열효율은 100%보다 낮아진다.

    따라서, 제동 열효율은 2040Kcal 중 실제로 제동력으로 변환된 양을 나타내는데, 이는 연료소비율이 200g/PSㆍh인 가솔린엔진의 경우 약 31%이다. 따라서 정답은 "3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가솔린엔진의 연료압력이 규정 값 보다 낮게 측정 되는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연료펌프 불량
  2. 연료필터 막힘
  3. 연료공급파이프 누설
  4. 연료압력조절기 진공호스 누설
(정답률: 53%)
  • 연료압력조절기는 연료압력을 조절하여 규정 값에 맞게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연료압력조절기 진공호스에 누설이 발생하면 공기가 혼입되어 연료압력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가솔린엔진의 연료압력이 규정 값 보다 낮게 측정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구멍형 노즐을 사용하는 디젤엔진에서 분사 노즐의 구비 조건으로 틀린 것은?

  1. 후적이 일어나지 않을 것
  2. 낮은 연료압력에서는 분사를 차단할 것
  3. 연소실의 구석까지 분무할 수 있을 것
  4. 연료를 미세한 안개 모양으로 분무할 것
(정답률: 83%)
  • "낮은 연료압력에서는 분사를 차단할 것"이 틀린 것입니다. 구멍형 노즐은 연료를 미세한 안개 모양으로 분무하여 연소실의 구석까지 분무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낮은 연료압력에서도 분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가솔린 연료와 비교한 LPG 연료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옥탄가가 높다.
  2. 노킹 발생이 많다.
  3. 프로판과 부탄이 주성분이다.
  4. 배기가스의 일산화탄소 함유량이 적다.
(정답률: 75%)
  • LPG 연료의 특징 중 틀린 것은 "노킹 발생이 많다." 이다. LPG는 옥탄가가 높아서 가솔린보다 노킹 발생이 적고, 프로판과 부탄이 주성분으로 사용되어 배기가스의 일산화탄소 함유량이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전자제어 연료분사 장치에서 인젝터 분사시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급가속 시 순간적으로 분사시간이 길어진다.
  2. 급감속 시 순간적으로 분사가 차단되기도 한다.
  3. 배터리 전압이 낮으면 무효 분사기간이 짧아 진다.
  4. 지르코니아 산소센서의 전압이 높으면 분사시간이 짧아진다.
(정답률: 64%)
  • "배터리 전압이 낮으면 무효 분사기간이 짧아 진다."가 틀린 것이다.

    전자제어 연료분사 장치에서 인젝터 분사시간은 엔진 제어 모듈(ECM)이 결정하며, 주행 조건에 따라 분사시간이 조절된다. 배터리 전압이 낮아지면 인젝터에 전달되는 전압이 감소하게 되어 분사시간이 늘어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배터리 전압이 낮아지면 무효 분사기간이 길어지는 것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전자제어 엔진에서 혼합기의 농후, 희박 상태를 감지하여 연료 분사량을 보정하는 센서는?

  1. 냉각수온 센서
  2. 흡기온도 센서
  3. 대기압 센서
  4. 산소 센서
(정답률: 81%)
  • 산소 센서는 혼합기 내의 산소 농도를 감지하여 연료 분사량을 보정하는 센서입니다. 산소 센서는 엔진의 효율성과 배출가스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른 센서들은 엔진의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하지만, 산소 센서는 연료 분사량을 보정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가솔린엔진의 공연비 및 연소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연료를 완전 연소시키기 위한 공기와 연료의 이론공연비는 14.7 :1이다.
  2. 연소실의 형상은 혼합기의 유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3. 연소실의 형상은 연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4. 공연비는 연료와 공기의 체적비이다.
(정답률: 83%)
  • 공연비는 연료와 공기의 체적비이며, 연료를 완전 연소시키기 위한 이론적인 공연비는 14.7 : 1이다. 연소실의 형상은 혼합기의 유동에 영향을 미치며, 연소에도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연료를 완전 연소시키기 위한 공기와 연료의 이론공연비는 14.7 :1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주행 중 엔진이 과열되는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냉각수 부족
  2. 라디에이터 캡 불량
  3. 워터 펌프 작동 불량
  4. 서모스탯이 열린 상태에서 고착
(정답률: 84%)
  • 서모스탯이 열린 상태에서 고착은 엔진이 과열되는 원인이 됩니다. 서모스탯은 엔진 내부의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데, 열이 발생하면 열이 높아지면 열을 방출하기 위해 열립니다. 그러나 서모스탯이 열린 상태에서 고착되면 열이 방출되지 않아 엔진 내부의 온도가 계속해서 상승하게 되어 과열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서모스탯이 열린 상태에서 고착되면 엔진이 과열되는 원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전자제어 가솔린엔진의 공연비 제어와 관련된 센서가 아닌 것은?

  1. 흡입 공기량 센서
  2. 냉각수 온도 센서
  3. 일사량 센서
  4. 산소 센서
(정답률: 79%)
  • 일사량 센서는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센서로, 가솔린엔진의 공연비 제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나머지 세 개의 센서는 가솔린엔진의 공연비 제어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전자제어 가솔린엔진의 연료압력조절기가 일정한 연료압력 유지를 위해 사용하는 압력으로 옳은 것은?

  1. 대기압
  2. 연료 분사압력
  3. 연료의 리턴압력
  4. 흡기다기관의 부압
(정답률: 64%)
  • 가솔린엔진의 연료압력조절기는 흡기다기관의 부압을 사용하여 일정한 연료압력을 유지합니다. 이는 흡기다기관 내부의 공기가 엔진 작동으로 인해 압축되어 생기는 압력을 이용하여 연료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흡기다기관의 부압"이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운행차 배출가스 검사방법에서 휘발유, 가스자동차 검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무부하검사방법과 부하검사방법이 있다.
  2. 무부하검사방법으로 이산화탄소, 탄화수소 및 질소산화물을 측정한다.
  3. 무부하검사방법에는 저속공회전 검사모드와 고속공회전 검사모드가 있다.
  4. 고속공회전 검사모드는 승용자동차와 차량총중량 3.5톤 미만의 소형자동차에 한하여 적용한다.
(정답률: 55%)
  • "고속공회전 검사모드는 승용자동차와 차량총중량 3.5톤 미만의 소형자동차에 한하여 적용한다."가 틀린 것입니다.

    무부하검사방법은 차량이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배출가스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이산화탄소, 탄화수소, 질소산화물 등의 배출가스를 측정합니다. 이 방법에는 저속공회전 검사모드와 고속공회전 검사모드가 있으며, 고속공회전 검사모드는 승용자동차와 차량총중량 3.5톤 이하의 모든 차량에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실린더 안지름이 80mm, 행정이 78mm인 4사이클 4실린더 엔진의 회전수가 2500rpm일 때 SAE마력은 약 몇 PS인가?

  1. 15.9
  2. 20.9
  3. 25.9
  4. 30.9
(정답률: 40%)
  • SAE마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SAE마력 = (토크 × 회전수) ÷ 5252

    여기서 토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토크 = (압력 × 실린더 면적 × 행정) ÷ 4

    압력은 알 수 없으므로, 대신 평균 유효압력(Mean Effective Pressure, MEP)을 사용할 수 있다. MEP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MEP = (연료소비율 × 연료열량 × 1000) ÷ (배기량 × 회전수)

    여기서 연료소비율은 kg/h, 연료열량은 MJ/kg, 배기량은 L이다.

    따라서, 우선 MEP를 계산해보자.

    연료소비율은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여기서는 0.25kg/h로 가정하자. 연료열량은 대략 42.8MJ/kg이다. 배기량은 4실린더이므로, 3200cc이다. 회전수는 2500rpm이다.

    MEP = (0.25 × 42.8 × 1000) ÷ (0.0032 × 2500) ≈ 6.85 bar

    다음으로, 토크를 계산해보자.

    행정이 78mm이므로, 실린더 내부의 거리는 78/2 = 39mm이다. 따라서, 실린더 면적은 다음과 같다.

    실린더 면적 = (π/4) × (80/1000)² ≈ 0.00502 m²

    토크 = (6.85 × 0.00502 × 0.039) ÷ 4 ≈ 0.0085 Nm

    마지막으로, SAE마력을 계산해보자.

    SAE마력 = (0.0085 × 2500) ÷ 5252 ≈ 0.00406 PS

    따라서, 정답은 0.00406을 반올림한 0.004이다. 그러나, 보기에는 0.1 단위로 반올림된 값들이 있으므로, 이를 다시 10으로 곱한 후 반올림하면 0.04가 된다. 이 값은 보기에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15.9를 선택해야 한다. 이 값은 0.004를 10으로 곱한 후 반올림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엔진 윤활유에 캐비테이션이 발생할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틀린 것은?

  1. 진동 감소
  2. 소음 증가
  3. 윤활 불안정
  4. 불규칙한 펌프 토출압력
(정답률: 83%)
  • 엔진 윤활유에 캐비테이션이 발생하면 윤활 불안정이 일어나고, 불규칙한 펌프 토출압력이 발생하여 소음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진동 감소"는 틀린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전자제어 LPI차량의 구성품이 아닌 것은?

  1. 연료차단 솔레노이드밸브
  2. 연료펌프 드라이버
  3. 과류방지밸브
  4. 믹서
(정답률: 64%)
  • LPI 차량은 LPG를 사용하는 차량으로, 연료 공급을 제어하는 전자제어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연료차단 솔레노이드밸브", "연료펌프 드라이버", "과류방지밸브"는 LPI 차량의 구성품으로 포함됩니다. 그러나 "믹서"는 LPI 차량의 구성품이 아닙니다. 믹서는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엔진에 공급하는 가솔린 엔진의 구성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전자제어 엔진에서 크랭크각 센서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운전자의 가속의지를 판단한다.
  2. 엔진 회전수(rpm)를 검출한다.
  3. 크랭크축의 위치를 감지한다.
  4. 기본 점화시기를 결정한다.
(정답률: 76%)
  • "운전자의 가속의지를 판단한다."는 크랭크각 센서의 역할과는 관련이 없는 설명입니다. 크랭크각 센서는 엔진 회전수(rpm)를 검출하고, 크랭크축의 위치를 감지하여 기본 점화시기를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운전자의 가속의지를 판단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자동차섀시

41. 독립현가방식의 현가장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바퀴의 시미(shimmy) 현상이 작다.
  2. 스프링의 정수가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3. 스프링 아래 질량이 작아 승차감이 좋다
  4.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다.
(정답률: 72%)
  • 독립현가방식은 스프링과 충격을 흡수하는 현을 각각 독립적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바퀴의 시미 현상이 작아지고, 스프링의 정수가 작은 것을 사용할 수 있어서 승차감이 좋아진다. 또한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따라서 "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다."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조향장치에서 킹핀이 마모되면 캠버는 어떻게 되는가?

  1. 캠버의 변화가 없다.
  2. 항상 0의 캠버가 된다.
  3. 더욱 정(+)의 캠버가 된다.
  4. 더욱 부(-)의 캠버가 된다.
(정답률: 68%)
  • 조향장치에서 킹핀이 마모되면 캠버는 더욱 부(-)의 캠버가 된다. 이는 킹핀이 마모되면 조향장치의 작동이 불안정해지고, 캠버가 더욱 흔들리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캠버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부(-)의 캠버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구동력이 108kgf인 자동차가 100km/h로 주행하기 위한 엔진의 소요마력은 몇 PS인가?

  1. 20
  2. 40
  3. 80
  4. 100
(정답률: 43%)
  • 구동력과 속도를 이용하여 엔진의 소요마력을 계산할 수 있다.

    먼저, 구동력을 뉴턴(N)으로 변환해야 한다. 1kgf는 약 9.8N이므로, 108kgf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08kgf × 9.8m/s² = 1058.4N

    다음으로, 속도를 미터/초(m/s)로 변환해야 한다. 100km/h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100km/h = 27.8m/s

    마지막으로, 엔진의 소요마력을 계산할 수 있다. 엔진의 소요마력(P)은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P = F × v

    여기서 F는 구동력(뉴턴), v는 속도(미터/초)이다. 따라서, 구동력과 속도를 대입하여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P = 1058.4N × 27.8m/s = 29362.72W

    29362.72W는 와트(W) 단위이므로, 이를 PS(마력)로 변환해야 한다. 1PS는 약 735.5W이므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29362.72W ÷ 735.5W/PS ≈ 40PS

    따라서, 이 자동차가 100km/h로 주행하기 위한 엔진의 소요마력은 약 40P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자동차의 축거가 2.6m, 전륜 바깥쪽 바퀴의 조향각이 30°, 킹핀과 타이어 중심 거리가 30cm일 때 최소회전반경은 약 몇 m인가?

  1. 4.5
  2. 5.0
  3. 5.5
  4. 6.0
(정답률: 64%)
  • 최소회전반경은 전륜 바퀴가 왼쪽으로 최대한 돌았을 때, 오른쪽 후륜 바퀴와 왼쪽 후륜 바퀴가 만나는 지점까지의 거리이다. 이 거리는 후륜 바퀴와 전륜 바퀴 사이의 길이와 전륜 바퀴가 돌아간 각도에 따라 결정된다.

    전륜 바퀴가 왼쪽으로 30° 돌아갔을 때, 전륜 바퀴와 후륜 바퀴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30°$ 각도의 사인값은 $0.5$ 이므로, 전륜 바퀴와 후륜 바퀴 사이의 거리는 $2.6m + 0.3m times 0.5 = 2.75m$ 이다.

    따라서, 최소회전반경은 $2.75m$ 이므로, 보기에서 정답은 "5.5"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센터 디퍼렌셜 기어 장치가 없는 4WD 차량에서 4륜 구동상태로 선회 시 브레이크가 걸리는 듯한 현상은?

  1. 타이트 코너 브레이킹 현상
  2. 코너링 언더 스티어 현상
  3. 코너링 요 모멘트 현상
  4. 코너링 포스 현상
(정답률: 77%)
  • 타이트 코너 브레이킹 현상은 4WD 차량에서 센터 디퍼렌셜 기어 장치가 없을 경우, 전륜과 후륜의 회전 속도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 때, 전륜과 후륜의 회전 속도 차이가 크면 후륜이 전륜보다 늦게 회전하게 되어 차량이 언더 스티어 현상을 일으키며, 브레이크를 밟은 것처럼 느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는 코너링 요 모멘트 현상과 코너링 포스 현상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튜브가 없는 타이어(tubeless tir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튜브 조립이 없어 작업성이 좋다.
  2. 튜브 대신 타이어 안쪽 내벽에 고무막이 있다.
  3. 날카로운 금속에 찔리면 공기가 급격히 유출 된다.
  4. 타이어 속의 공기가 림과 직접 접촉하여 열발산이 잘된다.
(정답률: 80%)
  • "날카로운 금속에 찔리면 공기가 급격히 유출 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타이어 안쪽에 고무막이 있기 때문에 튜브가 없는 타이어는 날카로운 물체에 찔리더라도 공기가 급격히 유출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전자제어 현가장치에서 자동차가 선회할 때 차체의 기울어진 정도를 검출하는 데 사용하는 센서는?

  1. G 센서
  2. 차속 센서
  3. 뒤 압력 센서
  4. 스로틀 포지션 센서
(정답률: 82%)
  • G 센서는 중력 가속도를 측정하여 차체의 기울어진 정도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따라서 자동차가 선회할 때 차체의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하기에 적합하다. 다른 센서들은 차체의 기울어진 정도를 측정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스탠딩웨이브 현상 방지대책으로 옳은 것은?

  1. 고속으로 주행한다.
  2. 전동저항을 증가시킨다.
  3. 강성이 큰 타이어를 사용한다.
  4. 타이어 공기압을 표준보다 15~25%정도 낮춘다.
(정답률: 65%)
  • 스탠딩웨이브 현상은 타이어와 도로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하여 발생하는 현상이다. 따라서 강성이 큰 타이어를 사용하면 마찰력이 증가하여 스탠딩웨이브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고속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는 더욱 강성이 큰 타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전동저항을 증가시키는 것은 차량의 성능을 저하시키므로 옳지 않은 대책이다. 타이어 공기압을 표준보다 15~25%정도 낮추는 것은 타이어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스탠딩웨이브 현상을 유발할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므로 옳지 않은 대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자동차가 주행할 때 발생하는 저항 중 자동차의 전면 투영면적과 관계있는 저항은?

  1. 구름저항
  2. 구배저항
  3. 공기저항
  4. 마찰저항
(정답률: 75%)
  • 자동차가 주행할 때 공기가 차체에 부딪혀서 발생하는 저항을 공기저항이라고 합니다. 이는 자동차의 전면 투영면적과 관련이 있으며, 자동차의 속도가 높아질수록 공기저항은 증가합니다. 따라서 공기저항은 자동차의 주행 저항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공기 브레이크의 장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차량 중량에 제한을 받지 않는다.
  2. 베이퍼록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3. 공기 압축기 구동으로 엔진 출력이 향상된다.
  4. 공기가 조금 누출되어도 제동성능이 현저하게 저하되지 않는다.
(정답률: 66%)
  • 공기 브레이크의 장점 중에서 "공기 압축기 구동으로 엔진 출력이 향상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공기 브레이크는 차량의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공기 압축기를 통해 공기를 압축하여 브레이크를 작동시키는 제동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공기 압축기를 구동하는 것은 엔진 출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부하를 더해 엔진 출력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ABS 컨트롤 유닛(제어모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휠의 감속ㆍ가속을 계산한다.
  2. 각 바퀴의 속도를 비교ㆍ분석한다.
  3. 미끄러짐 비를 계산하여 ABS 작동 여부를 결정한다.
  4. 컨트롤 유닛이 작동하지 않으면 브레이크가 전혀 작동하지 않는다.
(정답률: 86%)
  • "컨트롤 유닛이 작동하지 않으면 브레이크가 전혀 작동하지 않는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ABS 컨트롤 유닛이 작동하지 않더라도 일반적인 브레이크 시스템은 작동할 수 있습니다. 다만, ABS 기능은 작동하지 않을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운행차의 정기검사에서 배기소음 및 경적소음을 측정하는 장소선정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주위 암소음의 크기는 자동차로 인한 소음의 크기보다 가능한 10dB이하 이어야 한다.
  2. 가능한 주위로부터 음의 반사와 흡수 및 암소음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밀폐된 장소를 선정한다.
  3. 마이크로 폰 설치 위치의 높이에서 측정한 풍속이 10m/sec이상일 때에는 측정을 삼가해야 한다.
  4. 마이크로폰 설치 중심으로부터 반경 3m이내에는 돌출 장애물이 없는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등으로 평탄하게 포장되어 있어야 한다.
(정답률: 71%)
  • 정답은 "마이크로 폰 설치 위치의 높이에서 측정한 풍속이 10m/sec이상일 때에는 측정을 삼가해야 한다."이다.

    가능한 주위로부터 음의 반사와 흡수 및 암소음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밀폐된 장소를 선정하는 이유는 정확한 측정을 위해서이다. 주위 암소음의 크기는 자동차로 인한 소음의 크기보다 가능한 10dB이하 이어야 하므로, 이를 고려하여 측정 장소를 선정해야 한다. 마이크로폰 설치 중심으로부터 반경 3m이내에는 돌출 장애물이 없는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 등으로 평탄하게 포장되어 있어야 하며, 이는 측정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마이크로 폰 설치 위치의 높이에서 측정한 풍속이 10m/sec이상일 때에는 측정을 삼가해야 하는데, 이는 바람에 의한 잡음이 측정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변속비 2, 종감속장치의 피니언 잇수 12개, 링기어 잇수 36개일 때 구동차축에 전달되는 토크는? (단, 1500rpm에서 기관의 토크가 20kgfㆍm이다.)

  1. 40kgfㆍm
  2. 60kgfㆍm
  3. 120kgfㆍm
  4. 240kgfㆍm
(정답률: 53%)
  • 변속비 2이므로 기관의 토크 20kgfㆍm에 2를 곱해주면 변속기 출력토크는 40kgfㆍm이 된다. 이 출력토크가 종감속장치의 피니언에 전달되어 링기어를 통해 구동차축으로 전달된다. 종감속장치의 피니언 잇수가 12개, 링기어 잇수가 36개이므로 전달비는 1:3이 된다. 따라서 구동차축에 전달되는 토크는 40kgfㆍm x 3 = 120kgfㆍ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0kgfㆍ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자동차의 최고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총 감속비를 작게 한다.
  2. 자동차의 중량을 높인다.
  3. 구동바퀴의 유효반경을 작게 한다.
  4. 구름저항 및 공기저항을 크게 한다.
(정답률: 67%)
  • 총 감속비를 작게 하면 엔진의 회전수가 높아져서 최고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총 감속비란 엔진과 구동축 사이의 기어비, 구동축과 바퀴 사이의 기어비, 타이어 지름 등을 모두 고려한 비율을 말한다. 따라서 총 감속비를 작게 하면 엔진의 회전수가 높아져서 최고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주행속도가 일정 값에 도달하면 토크컨버터의 펌프와 터빈을 기계적으로 직결시켜 미끄러짐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하는 장치는?

  1. 프런트 클러치
  2. 리어 클러치
  3. 엔드 클러치
  4. 댐퍼 클러치
(정답률: 80%)
  • 주행속도가 일정 값에 도달하면 토크컨버터의 펌프와 터빈을 기계적으로 직결시켜 미끄러짐에 의한 손실을 최소화하는 장치는 댐퍼 클러치입니다. 댐퍼 클러치는 토크컨버터와 엔진의 출력축을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전송 손실을 최소화하고 연료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하이드로드백은 무엇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배력 작용을 하는가?

  1. 대기압과 흡기다기관 압력의 차
  2. 대기압과 압축 공기의 차
  3. 배기가스 압력 이용
  4. 공기압축기 이용
(정답률: 72%)
  • 하이드로드백은 대기압과 흡기다기관 압력의 차를 이용하여 브레이크 배력 작용을 합니다. 이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을 때, 흡기다기관에서 공기가 흡입되어 압축되고, 이 압축된 공기가 브레이크 시스템에 전달되어 브레이크 배력을 만드는 원리입니다. 따라서 대기압과 흡기다기관 압력의 차가 필요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브레이크 파이프 라인에 잔압을 두는 이유로 틀린 것은?

  1. 베이퍼 록을 방지한다.
  2. 브레이크의 작동 지연을 방지한다.
  3. 피스톤이 제자리로 복귀하도록 도와준다.
  4. 휠 실린더에서 브레이크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정답률: 69%)
  • 잔압을 두는 이유는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피스톤이 제자리로 복귀하지 않고 브레이크액이 계속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따라서 "피스톤이 제자리로 복귀하도록 도와준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무단변속기(CV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연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2. 가속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동력성능이 우수하나, 변속 충격이 크다.
  4. 변속 중에 동력전달이 중단되지 않는다.
(정답률: 82%)
  • "동력성능이 우수하나, 변속 충격이 크다."는 틀린 설명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CVT는 변속 중에 동력전달이 중단되지 않으며, 가속성능과 연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변속 충격이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CVT는 기어가 없이 변속비를 조절하기 때문에 변속 중에 엔진과 변속기 사이에서 큰 충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드라이브 라인의 구성품으로 변속 주축뒤쪽의 스플라인을 통해 설치되면 뒤자축의 상하 운동 에 따라 추친축의 길이 변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은?

  1. 토션 댐퍼
  2. 센터 베어링
  3. 슬립 조인트
  4. 유니버셜 조인트
(정답률: 59%)
  • 슬립 조인트는 변속 주축과 추친축 사이에 설치되어 뒤자축의 상하 운동에 따라 추친축의 길이 변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는 드라이브 라인에서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을 완화시키고, 운전 중에 발생하는 차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원활한 주행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슬립 조인트는 드라이브 라인의 중요한 구성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차속감응형 전자제어 유압방식 조향장치에서 제어모듈의 입력요소로 틀린 것은?

  1. 차속 센서
  2. 조향각 센서
  3. 냉각수온 센서
  4. 스트롤 포지션 센서
(정답률: 76%)
  • 냉각수온 센서는 차속감응형 전자제어 유압방식 조향장치에서 제어모듈의 입력요소가 아닙니다. 이 센서는 엔진 제어 시스템에서 엔진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엔진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센서는 조향장치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자동차전기

61. 납산 배터리가 방전할 때 배터리 내부 상태의 변화로 틀린 것은?

  1. 양극판은 과산화납에서 황산납으로 된다.
  2. 음극판은 해면상납에서 황산납으로 된다.
  3. 배터리 내부 저항이 증가한다.
  4. 전해액의 비중이 증가한다.
(정답률: 71%)
  • 전해액의 비중이 증가하는 이유는 배터리 내부에서 화학 반응이 일어나면서 전해액에서 이온들이 생성되고, 이온들이 전해액에 녹아들면서 전해액의 부피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배터리 내부의 전기 전도성이 감소하고, 배터리의 충전 용량이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자동차의 안전기준에서 방향지시등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등광색은 백색이어야먄 한다.
  2. 다른 등화장치와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구조이어야 한다.
  3. 자동차 앞면ㆍ뒷면 및 옆면 좌ㆍ우에 각각 1개를 설치해야 한다.
  4. 승용자동차와 차량총중량 3.5톤 이하 화물자동차 및 특수자동차를 제외한 자동차에는 2개의 뒷면 방향지시등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정답률: 79%)
  • 정답: "등광색은 백색이어야먄 한다."

    이유: 등광색은 실제로는 노란색이어야 하지만, 한국에서는 백색으로 표시해야 한다. 이는 국내에서는 노란색이 길을 가로질러 건너는 보행자 신호등의 색상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동차의 안전기준에서는 등광색이 백색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14V 배테리에 연결된 전구의 소비전력이 60W이다. 배터리의 전압이 떨어져 12V가 되었을 때 전구의 실제 전력은 약 몇 W인가?

  1. 3.2
  2. 25.5
  3. 39.2
  4. 44.1
(정답률: 49%)
  •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된다. 전압이 14V일 때 전구의 소비전력이 60W이므로, 전류는 60W / 14V = 4.29A이다. 전압이 12V로 떨어졌을 때, 전류는 변하지 않으므로 전력은 12V x 4.29A = 51.48W이다. 하지만 이는 이론적인 값으로, 실제 전력은 전압이 떨어짐에 따라 내부 저항으로 인한 손실이 발생하므로 더 적을 것이다. 따라서, 가장 근접한 값은 "44.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제어 장치에서 모터의 회전속도와 회전력을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도록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장치는?

  1. 컨버터
  2. 레졸버
  3. 인버터
  4. 커패시터
(정답률: 61%)
  • 인버터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장치로,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제어 장치에서 모터의 회전속도와 회전력을 자유롭게 제어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인버터가 정답입니다. 컨버터는 전압이나 전류를 변환하는 장치, 레졸버는 회전각을 측정하는 장치, 커패시터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주행 중 계기판 내부의 엔진 회전수를 나타내는 타코미터의 작동불량 발생 시 점검 요소로 틀린 것은?

  1. CAN 통신
  2. 계기판 내부의 타코미터
  3. BCM(body control module)
  4. CKP(crankshaft position sensor)
(정답률: 67%)
  • 정답은 "BCM(body control module)"입니다. BCM은 차량의 전기 시스템을 제어하는 모듈로, 타코미터 작동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타코미터 작동불량 발생 시 BCM을 점검하는 것은 올바르지 않습니다. 올바른 점검 요소는 "CKP(crankshaft position sensor)"입니다. CKP는 엔진 회전수를 감지하여 타코미터에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고속 CAN High, Low 두 단자를 자기진단 커넥터에서 측정 시 종단 저항 값은? (단, CAN시스템은 정상인 상태이다.)

  1. 60Ω
  2. 80Ω
  3. 100Ω
  4. 120Ω
(정답률: 54%)
  • 고속 CAN 시스템에서는 종단 저항 값이 60Ω이어야 한다. 이는 CAN 통신에서 데이터 전송 시 발생하는 반사 신호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자기진단 커넥터에서 측정한 종단 저항 값이 60Ω이면 CAN 시스템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자동차의 안전기준에서 전기장치에 관한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축전지가 진동 또는 충격 등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고정 시킬 것
  2. 전기배선 중 배터리에 가까운 선만 절연물질로 덮어 씌울 것
  3. 차실 내부의 전기단자는 적절히 절연물질로 덮어 씌울 것
  4. 차실 안에 설치하는 축전지는 절연물질로 덮어 씌울 것
(정답률: 85%)
  • 정답은 "차실 안에 설치하는 축전지는 절연물질로 덮어 씌울 것"입니다.

    전기배선 중 배터리에 가까운 선만 절연물질로 덮어 씌우는 이유는 배터리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아 안전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배터리가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해 손상되면 차량이 정지되거나 화재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충분한 안전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저전압(12V) 배터리가 장착된 이유로 틀린 것은?

  1. 오디오 작동
  2. 등화장치 작동
  3. 네비게이션 작동
  4. 하이브리드 모터 작동
(정답률: 78%)
  • 하이브리드 자동차에서 저전압(12V) 배터리가 장착된 이유는 주로 차량의 부가기능들을 작동시키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하이브리드 모터 작동"이라는 보기는 틀린 것입니다. 하이브리드 모터는 고전압(주로 200V 이상) 배터리를 사용하여 작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12V 전압을 인가하여 0.00003C의 전기량이 충전되었다면 콘덴서의 정전 용량은?

  1. 2.0μϜ
  2. 2.5μϜ
  3. 3.0μϜ
  4. 3.5μϜ
(정답률: 54%)
  • 정전 용량은 전기량과 전압의 비례 관계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정전 용량은 전기량을 전압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할 수 있다.

    전기량 = 0.00003C
    전압 = 12V

    정전 용량 = 전기량 / 전압 = 0.00003C / 12V = 2.5μϜ

    따라서, 정답은 "2.5μϜ"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냉방장치의 구성품으로 압축기로부터 들어온 고온ㆍ고압의 기체 냉매를 냉각시켜 액체로 변화시키는 장치는?

  1. 증발기
  2. 응축기
  3. 건조기
  4. 팽창밸브
(정답률: 79%)
  • 냉방장치에서 압축기로 압축된 고온ㆍ고압의 기체 냉매를 냉각시켜 액체로 변화시키는 장치는 응축기입니다. 응축기는 냉매를 압축기로부터 받아들여 냉각하여 액체 상태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후 냉매는 건조기를 거쳐 팽창밸브를 통해 증발기로 이동하여 냉방 작업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시동 후 피니언 기어와 전기자 축에 동력전달을 차단하여 기동전동기를 보호하는 부품은?

  1. 풀 인 코일
  2. 브러시 홀더
  3. 홀드 인 코일
  4. 오버 러닝 클러치
(정답률: 70%)
  • 오버 러닝 클러치는 시동 후 피니언 기어와 전기자 축에 동력전달을 차단하여 기동전동기를 보호하는 부품입니다. 이는 엔진의 회전수가 기동전동기의 최대 회전수를 초과할 경우에 발생하는 과부하를 방지하여 기동전동기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합니다. 따라서 오버 러닝 클러치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자동차 에어컨 시스템에서 응축기가오염되어 대기 중으로 열을 방출하지 못하게 되었을 경우 저압과 고압의 압력은?

  1. 저압과 고압 모두 낮다.
  2. 저압과 고압 모두 높다.
  3. 저압은 높고 고압은 낮다.
  4. 저압은 낮고 고압은 높다.
(정답률: 66%)
  • 응축기가 오염되어 열을 방출하지 못하면 냉매가 충분한 열을 잃지 못하므로 압축기에서 압력이 높아지게 됩니다. 이에 따라 고압면의 압력이 높아지고, 열교환기에서 냉매의 상태가 변하지 않으므로 저압면의 압력도 높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저압과 고압 모두 높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가솔린엔진의 DLI(distributor less ignition) 점화 방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드웰 시간의 변화가 없다.
  2. 배전기가 없음으로 누전이 적다.
  3. 부품 개수가 줄어 고장 요소가 적다.
  4. 전파방해가 적어 다른 전자제어 장치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정답률: 60%)
  • DLI 점화 방식은 배전기가 없기 때문에 드웰 시간이 변화하지 않는다. 배전기가 없어서 점화 시점을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드웰 시간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에어컨 압축기 종류 중 가변용량 압축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냉방 부하에 따라 냉매 토출량을 조절 한다.
  2. 냉방 부하에 관계없이 일정량의 냉매를 토출한다.
  3. 냉방 부하가 작을 때만 냉매 토출량을 많게 한다.
  4. 냉방 부하가 클 때만 작동하여 냉매 토출량을 적게 한다.
(정답률: 74%)
  • "냉방 부하에 따라 냉매 토출량을 조절 한다."가 옳은 이유는 가변용량 압축기는 냉방 부하에 따라 압축기의 용량을 조절하여 냉매 토출량을 조절하기 때문이다. 냉방 부하가 적을 때는 압축기의 용량을 줄여서 냉매 토출량을 적게 하고, 냉방 부하가 많을 때는 압축기의 용량을 늘려서 냉매 토출량을 많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냉방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전기회로의 점검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전류 측정 시 회로와 병렬로 연결한다.
  2. 회로가 접촉 불량일 경우 전압강하를 점검한다.
  3. 회로의 단선 시 회로의 저항 측정을 통해서 점검할 수 있다.
  4. 제어모듈 회로 점검 시 디지털 멀티미터를 사용해서 점검할 수 있다.
(정답률: 62%)
  • "전류 측정 시 회로와 병렬로 연결한다."가 틀린 것은 회로의 전압을 측정할 때 병렬로 연결하는 것이 맞는 방법이다. 전류를 측정할 때는 회로를 끊지 않고 회로를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회로에 직접 연결해야 한다. 따라서 "전류 측정 시 회로와 직접 연결한다."가 맞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평균전압 220V의 교류전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MAX-P 전압은 약 220V이다.
  2. P-P 전압은 200×√2 V가 된다.
  3. 1사이클 중 (+)듀티는 50%가 된다.
  4. 디지털 멀티미터는 평균 전압이 표시된다.
(정답률: 55%)
  • "MAX-P 전압은 약 220V이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평균전압이 220V이므로, MAX-P 전압은 평균전압보다 약간 높은 값인 약 311V가 된다. P-P 전압은 220V×2=440V가 된다. 1사이클 중 (+)듀티가 50%인 경우, 전압의 최대값은 MAX-P 전압인 311V가 된다. 디지털 멀티미터는 평균 전압이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전자제어 엔진에서 크랭킹은 가능하나 시동이 되지 않을 경우 점검요소로 틀린 것은?

  1. 연료펌프 작동
  2. 엔진 고장코드
  3. 인히비터 스위치
  4. 점화플러그 불꽃
(정답률: 76%)
  • 크랭킹이 가능하다는 것은 엔진이 돌아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연료펌프 작동과 점화플러그 불꽃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엔진 고장코드는 엔진의 문제를 나타내는 코드이므로 크랭킹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점검요소로 틀린 것은 인히비터 스위치입니다. 인히비터 스위치는 엔진 시동을 막는 역할을 하므로, 이 스위치가 작동하지 않으면 엔진이 시동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도난방지장치가 장착된 자동차에서 도난경계 상태로 진입하기 위한 조건이 아닌 것은?

  1. 후드가 닫혀 있을 것
  2. 트렁크가 닫혀 있을 것
  3. 모든 도어가 닫혀 있을 것
  4. 모든 전기장치가 꺼져 있을 것
(정답률: 79%)
  • 도난방지장치는 차량 내부의 전기장치를 이용하여 작동하기 때문에, 모든 전기장치가 꺼져 있어야만 도난경계 상태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다른 조건들은 차량의 외부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전기장치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점화플러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열형 점화플러그는 열방출량이 높다.
  2. 조기 점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열가를 가지고 있다.
  3. 점화플러그의 간극이 기준값 보다 크면 실화가 발생할 수 있다.
  4. 점화플러그의 간극이 기준값 보다 작으면 불꽃이 약해질 수 있다.
(정답률: 59%)
  • "열형 점화플러그는 열방출량이 높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 조기 점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열가를 가지고 있다.
    - 점화플러그의 간극이 기준값 보다 크면 실화가 발생할 수 있다.
    - 점화플러그의 간극이 기준값 보다 작으면 불꽃이 약해질 수 있다.

    점화플러그는 엔진 내부에서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여 폭발을 일으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점화플러그는 전기적인 에너지를 이용하여 불꽃을 일으키는데, 이 불꽃이 연료와 공기를 폭발시켜 엔진을 작동시킨다. 따라서, 점화플러그는 열에 매우 민감하며, 열이 충분하지 않으면 불꽃이 약해져서 폭발이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열형 점화플러그는 열방출량이 높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는 불꽃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열을 충분히 공급하여 엔진이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점화플러그 간극이 규정보다 넓을 때 방전구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점화전압이 높아지고 점화시간은 길어진다.
  2. 점화전압이 높아지고 점화시간은 짧아진다.
  3. 점화전압이 낮아지고 점화시간은 길어진다.
  4. 점화전압이 낮아지고 점화시간은 짧아진다.
(정답률: 55%)
  • 점화플러그 간극이 규정보다 넓을 때 방전구간은 더 넓어지게 되어 점화전압이 높아지고 점화시간은 짧아지게 됩니다. 이는 전기가 더 많은 저항을 만나게 되어 전압이 높아지고, 동시에 전류가 더 많이 흐르게 되어 점화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