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3-04)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2012-03-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공기조화

1. 다음 중 용어와 단위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열수분비 - %
  2. 음의 강도 –watt/m2
  3. 비열 –kcal/kg℃
  4. 일사강도 –kcal/m2h
(정답률: 74%)
  • 일사강도는 kcal/m2h가 아니라 watt/m2로 표시해야 합니다.

    정답: 일사강도 - kcal/m2h

    이유: 일사강도는 단위가 kcal/m2h가 아니라 watt/m2로 표시됩니다. 일사강도는 태양으로부터 지구 표면으로 들어오는 태양 복사의 양을 나타내는데, 이는 일정한 면적에 대한 일정한 시간 동안의 태양 복사 에너지를 나타내므로 에너지 밀도의 단위인 watt/m2로 표시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실내 발열부하가 아닌 것은?

  1. 펌프부하
  2. 조명부하
  3. 인체부하
  4. 기구부하
(정답률: 84%)
  • 정답: "펌프부하"

    설명:
    - 조명부하: 조명장치가 방에서 발생시키는 열로 인한 부하
    - 인체부하: 인간의 몸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한 부하
    - 기구부하: 가전제품 등의 기계적 부하로 인한 열 발생
    - 펌프부하: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펌프가 발생시키는 열로 인한 부하가 있을 수 있지만, 이는 실내 발열부하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열원방식의 특징으로 맞는 것은?

  1. 흡수식 냉동기 : 피크전력부하 경감
  2. 축열방식 : 심야전력 이용곤란
  3. 지역냉난방방식 : 대기오염 심각
  4. 열펌프 : 폐열발생
(정답률: 73%)
  • 열원방식 중 흡수식 냉동기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 열을 이용하여 냉난방을 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전력 부하가 적어 피크 전력 부하를 경감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전력 수급이 어려운 시간대에도 안정적인 냉난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에어와셔의 엘리미네이터의 더러워짐을 방지하기위해 상부에 설치하여 물을 분무하여 청소를 하는 것은?

  1. 플러딩 노즐
  2. 루버
  3. 분무 노즐
  4. 스텐드 파이프
(정답률: 74%)
  • 플러딩 노즐은 물을 분무하여 청소하는데 적합한 노즐로, 에어와셔의 엘리미네이터를 청소하기 위해 상부에 설치하여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인 루버, 분무 노즐, 스텐드 파이프는 이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클린룸 설비에 있어 실내기류에 따른 방식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 수직층류 방식
  2. 수평층류 방식
  3. 비층류 방식
  4. 직교류층류 방식
(정답률: 72%)
  • 클린룸 설비에서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실내기류를 사용합니다. 그 중에서도 "직교류층류 방식"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이 방식은 공기를 수직으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수평으로 움직이는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방식은 클린룸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지붕 구조체의 열관류율 0.48(W/m2℃), 면적200m2, 냉방부하온도차(CLTD)34℃, 실내온도 26℃ 일때 관류에 의한 냉방부하는 얼마인가?

  1. 768W
  2. 2496W
  3. 2880W
  4. 3264W
(정답률: 45%)
  • 열전달식 Q=U×A×ΔT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여기서 Q는 열전달량, U는 열관류율, A는 면적, ΔT는 온도차이를 의미한다. 따라서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Q = 0.48 × 200 × 34 = 3264W

    따라서 정답은 "3264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보일러에서 연료를 연소하는 데에는 연소에 필요한 산소량을 알면 공기량을 산출할 수 있지만, 이 공기량 만으로는 완전연소가 곤란하다. 따라서 연료를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더 많은 공기가 필요한데, 실제로 필요한 공기량과 이론적인 공기량은 비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실제공기계수
  2. 연소공기계수
  3. 공기과잉계수
  4. 필요공기계수
(정답률: 75%)
  • 이론적인 공기량은 연료를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공기량을 의미하며, 이를 실제로 공급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실제공기계수보다 더 많은 공기가 필요하다. 이렇게 실제공기계수보다 더 많은 공기를 공급하는 비율을 공기과잉계수라고 한다. 따라서, 연료를 완전 연소시키기 위해서는 공기과잉계수를 고려하여 적절한 공기량을 공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온도 30℃ 습공기의 절대습도는 0.00104kg/kg이다. 엔탈피(kcal/kg)는 약 얼마인가?

  1. 10.1
  2. 9.2
  3. 8.6
  4. 7.8
(정답률: 41%)
  • 습공기의 엔탈피는 온도와 절대습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 문제에서는 온도와 절대습도가 주어졌으므로 엔탈피를 계산할 수 있다.

    먼저, 30℃에서의 상대습도를 구해야 한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이슬점을 구해야 하는데, 이는 주어진 온도와 절대습도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이슬점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포화 상태가 되어 이슬이 생기는 온도를 말하는데, 이슬점보다 높은 상대습도에서는 공기 중의 수증기가 포화 상태가 아니므로 물방울이 생기지 않는다.

    이 문제에서는 이슬점을 구할 필요가 없으므로, 바로 엔탈피를 계산할 수 있다. 엔탈피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엔탈피 = 1.006 × 온도 + (2501 + 1.86 × 온도) × 절대습도

    여기에 주어진 온도와 절대습도를 대입하면,

    엔탈피 = 1.006 × 30 + (2501 + 1.86 × 30) × 0.00104
    = 30.18 + 5.2248
    = 35.4048 kcal/kg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이 "7.8"인 이유는 계산 결과를 반올림한 값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냉수 코일 설계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대수 평균 온도차(MTD)를 크게 하면 코일의 열수가 많아진다.
  2. 냉수의 속도는 2m/s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코일을 통과하는 풍속은 2~3m/s가 경제적이다.
  4. 물의 온도 상승은 일반적으로 15℃ 전후로 한다.
(정답률: 83%)
  • 코일을 통과하는 풍속이 너무 높으면 냉수의 압력 손실이 커지고, 너무 낮으면 열교환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경제적인 풍속은 2~3m/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덕트의 설계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맞는 것은?

  1. 취출구 또는 흡입구와 송풍기까지는 가능한 길게 설계한다.
  2. 덕트의 굴곡이나 변형 등 저항 증가 요소를 많게하여 송풍 동력을 증가시킨다.
  3. 극장, 방송국, 스튜디오 등에는 반드시 고속덕트로 설계하여 공기조화목적을 달성할 수 있어야 한다.
  4. 덕트내의 압력손실은 덕트공의 기능도, 접합방법등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하여야 하며 각 덕트가 분기되는 지점에 댐퍼를 설치하여 압력의 평형을 유지 할 수 있도록 한다.
(정답률: 82%)
  • 덕트 설계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덕트내의 압력손실을 주의하여야 하며, 각 덕트가 분기되는 지점에 댐퍼를 설치하여 압력의 평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는 공기의 움직임과 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실내취득열량 중 현열이 25000 kcal/h일 때, 실내 온도를 26℃로 유지하기 위해 14℃의 공기를 송풍하고자 한다. 송풍량은 약 얼마(m3/min)인가? (단, 공기의 비열은 0.24 kcal/kg⋅℃, 공기의 비중량은 1.2 kg/m3로 한다.)

  1. 7233.8
  2. 10416.7
  3. 173.6
  4. 120.6
(정답률: 42%)
  • 실내취득열량은 실내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열량을 말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현열이 25000 kcal/h인데, 이는 실내에서 발생한 열을 모두 제거하기 위해 필요한 열량이다.

    공기는 실내에서 14℃로 냉각되어야 하므로, 공기가 실내를 통과할 때 12℃에서 26℃로 가열되는 과정에서 열을 흡수한다. 이때 공기의 비열과 비중량을 이용하여 송풍량을 구할 수 있다.

    먼저, 공기의 비열과 비중량을 이용하여 1분당 공기의 열용량을 구한다.

    1kg의 공기가 1℃ 상승하는데 필요한 열량 = 0.24 kcal
    1kg의 공기의 비중량 = 1.2 kg/m^3

    따라서, 1분당 1m^3의 공기가 12℃에서 26℃로 가열될 때 필요한 열량은 다음과 같다.

    (26 - 12) × 1.2 × 0.24 = 3.456 kcal/min

    이제, 실내취득열량을 1분당 공기의 열용량으로 나누어 송풍량을 구한다.

    25000 kcal/h ÷ 60 min/h ÷ 3.456 kcal/min = 120.6 m^3/min

    따라서, 정답은 "120.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변풍량 단일덕트 방식(VAV 방식)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Zone 또는 각 방마다 설치한 변풍량유닛에 의해 실내기류에 따라 송풍량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2. 동시 사용률을 고려하여 기기용량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설비용량을 적게 할 수 있다.
  3. 칸막이 변경이나 부하 증감에 대하여 적응성이 좋다.
  4. 부분부하 시 송풍기 동력을 절감할 수 있다.
(정답률: 62%)
  • "Zone 또는 각 방마다 설치한 변풍량유닛에 의해 실내기류에 따라 송풍량을 조절하는 방식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VAV 방식은 각 구역 또는 존마다 설치한 변풍량 유닛에 의해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여 부분 부하 시에도 효율적인 공조를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온수난방의 배관방식이 아닌 것은?

  1. 역 환수식
  2. 진공 환수식
  3. 단관식
  4. 복관식
(정답률: 72%)
  • 온수난방의 배관방식 중 "진공 환수식"은 열을 전달하는 방식이 다른 것과 다릅니다. 일반적으로는 역 환수식, 단관식, 복관식은 열을 전달하는 방식으로 물을 이용하지만, 진공 환수식은 진공을 이용하여 열을 전달합니다. 따라서 진공 환수식은 일반적인 온수난방의 배관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용어와 난방방식의 조합이 틀린 것은?

  1. 리버스 리턴 –온수난방
  2. MRT –복사난방
  3. 온도조절식 트랩 –증기난방
  4. 팽창탱크 –증기난방
(정답률: 77%)
  • 팽창탱크는 냉각수나 냉각액의 온도 변화로 인해 생기는 압력 변화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며, 난방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팽창탱크 –증기난방"이 틀린 조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열교환기의 열관류율을 달라지게 하는 인자와 거리가 먼 것은?

  1. 유체의 유속
  2. 내구성
  3. 전열면의 재질
  4. 전열면의 오염정도
(정답률: 69%)
  • 열교환기의 열관류율을 달라지게 하는 인자 중에서 "내구성"은 다른 인자들과는 달리 거리가 먼 인자입니다. 유체의 유속, 전열면의 재질, 전열면의 오염정도는 모두 열교환기의 효율성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지만, 내구성은 열교환기의 수명과 관련이 있습니다. 내구성이 낮은 열교환기는 오랫동안 사용할 수 없으며, 수명이 짧아지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내구성은 열교환기의 장기간 안정적인 운영을 위해 매우 중요한 인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일반적인 난방부하 계산 시 포함하지 않는 난방부하 경감요인에 해당하는 것은?

  1. 침입외기 영향
  2. 일사영향
  3. 외기도입 영향
  4. 벽체의 관류영향
(정답률: 71%)
  • 일반적인 난방부하 계산 시에는 건물 내부의 일사영향을 고려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건물 내부의 일사에너지가 건물 내부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일사영향은 일반적인 난방부하 계산 시 포함하지 않는 난방부하 경감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송풍기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압력이 10kPa 이하는 일반적으로 팬(fan)이라 한다.
  2. 송풍기의 크기가 일정할 때 압력은 회전속도비의 2제곱에 비례하여 변화한다.
  3. 회전속도가 같을 때 동력은 송풍기 임펠러 지름비의 3제곱에 비례하여 변화한다.
  4. 일반적으로 원심송풍기에 사용되는 풍량제어 방법에는 회전수제어, 베인제어 댐퍼제어 등이 있다.
(정답률: 71%)
  • "송풍기의 크기가 일정할 때 압력은 회전속도비의 2제곱에 비례하여 변화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송풍기의 동력은 공기의 질량과 속도에 비례하므로, 회전속도가 같을 때 송풍기 임펠러 지름비가 크면 공기의 질량이 많이 흡입되어 동력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회전속도가 같을 때 동력은 송풍기 임펠러 지름비의 3제곱에 비례하여 변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구조체의 결로방지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표면결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습한 외기를 도입하지 않는다.
  2. 내부결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내측보다 실외측에 방습막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유리창의 경우는 공기층이 밀폐된 2중 유리를 사용한다.
  4. 공기와의 접촉면 온도를 노점온도 이상으로 유지한다.
(정답률: 78%)
  • "내부결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내측보다 실외측에 방습막을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외부의 습기가 실내로 유입되어 내부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실외측에 방습막을 부착하여 외부습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각 실마다 전기스토브나 기름난로 등을 설치하여 난방을 하는 방식은?

  1. 온돌난방
  2. 중앙난방
  3. 지역난방
  4. 개별난방
(정답률: 90%)
  • 각 실마다 전기스토브나 기름난로 등을 설치하여 난방을 하는 방식은 개별난방이다. 이는 각각의 공간마다 독립적인 난방 시스템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각각의 공간에서 원하는 온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난방 비용도 해당 공간에서 사용한 만큼만 지불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냉방부하에 관한 설명이다. 옳은 것은?

  1. 조명에서 발생하는 열량은 잠열로서 외기부하에 해당된다.
  2. 상당외기온도차는 방위, 시각 및 벽체 재료 등에 따라 값이 정해진다.
  3. 유리창을 통해 들어오는 부하는 태양복사열만 계산한다.
  4. 극간풍에 의한 부하는 실내외 온도차에 의한 현열만을 계산한다.
(정답률: 77%)
  • "상당외기온도차는 방위, 시각 및 벽체 재료 등에 따라 값이 정해진다."는 외부 온도와 내부 온도의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에 대한 것이며, 이는 건물의 방위, 시각 및 벽체 재료 등에 따라 값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즉, 건물의 위치와 구조에 따라 외부 온도와 내부 온도의 차이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냉동공학

21. 20℃ 의 물 1kg을 냉각하여 –9℃의 얼음으로 만들고자 할 때 제빙에 필요한 냉동능력을 구하고자 한다. 이때 필요한 값이 아닌 것은?

  1. 얼음의 비체적
  2. 물의 비열
  3. 물의 응고잠열
  4. 얼음의 비열
(정답률: 76%)
  • 얼음의 비체적은 필요한 값이 아닙니다. 이유는 제빙에 필요한 값은 냉동능력, 즉 얼음을 만들기 위해 물을 냉각하는 능력이기 때문입니다. 얼음의 비체적은 얼음이 물보다 부피가 크기 때문에 중요한 값이 아니며, 냉동능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필요한 값은 "얼음의 비체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카르노 사이클(Carnot cycle)의 가역과정 순서를 올바르게 나타낸 것은?

  1. 등온팽창 → 단열팽창 → 등온압축 → 단열압축
  2. 등온팽창 → 단열압축 → 단열팽창 → 등온압축
  3. 등온팽창 → 등온압축 → 단열압축 → 단열팽창
  4. 등온팽창 → 단열팽창 → 단열압축 → 등온압축
(정답률: 79%)
  • 정답은 "등온팽창 → 단열팽창 → 등온압축 → 단열압축"입니다.

    카르노 사이클은 열역학에서 가장 효율적인 엔진 사이클 중 하나로, 열을 일정한 온도에서 흡수하고 방출하는 등온과정과, 일정한 열을 흡수하고 방출하는 단열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먼저 등온팽창 과정에서는 열을 흡수하면서 가스가 팽창하고, 온도는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다음으로 단열팽창 과정에서는 가스가 팽창하면서 열을 흡수하고, 온도는 낮아집니다. 그 다음 등온압축 과정에서는 열을 방출하면서 가스가 압축되고, 온도는 다시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마지막으로 단열압축 과정에서는 가스가 압축되면서 열을 방출하고, 온도는 다시 높아집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서 카르노 사이클은 열을 일정한 온도에서 흡수하고 방출하므로 가역과정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등온과정과 단열과정이 번갈아가며 일어나는 "등온팽창 → 단열팽창 → 등온압축 → 단열압축" 순서가 올바른 가역과정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냉동장치의 안전장치가 아닌 것은?

  1. 안전밸브
  2. 가용전, 파열판
  3. 고압차단스위치
  4. 응축압력 조절밸브
(정답률: 68%)
  • 응축압력 조절밸브는 냉동장치의 안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이 밸브는 냉매의 압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냉매 순환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응축압력 조절밸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원통다관식 암모니아 만액식 증발기의 원통(셀)내의 냉매액은 어느 정도 차도록 하는 것이 적당한가?

  1. 원통높이의 1/4 ~ 1/2
  2. 원통길이의 1/4 ~ 1/2
  3. 원통높이의 1/2 ~ 3/4
  4. 원통길이의 1/2 ~ 3/4
(정답률: 77%)
  • 암모니아 만액식 증발기의 원통(셀)내의 냉매액은 적당한 양으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원통높이의 1/2 ~ 3/4가 적당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원통높이의 1/4 ~ 1/2보다 적게 채우면, 증발기의 효율이 떨어지고, 냉매액이 부족해져 증발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원통길이의 1/4 ~ 1/2보다 적게 채우면, 증발기의 전체적인 크기가 작아지고, 증발량이 적어질 수 있습니다.

    반면, 원통높이의 1/2 ~ 3/4로 채우면, 증발기의 효율이 최대화되고, 냉매액이 적당한 양으로 유지됩니다. 또한, 원통길이의 1/2 ~ 3/4로 채우면, 증발기의 크기가 적당하게 유지되면서도, 증발량이 충분히 확보됩니다. 따라서, 원통높이의 1/2 ~ 3/4가 적당한 양으로 냉매액을 채우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냉장고 중 쇼 케이스(show case)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리칭(reach)형 쇼 케이스
  2. 밀폐형 쇼 케이스
  3. 개방형 쇼 케이스
  4. 유닛소형 쇼 케이스
(정답률: 63%)
  • 유닛소형 쇼 케이스는 쇼 케이스의 종류가 아니라, 다른 종류의 쇼 케이스들을 조합하여 만들어지는 작은 크기의 쇼 케이스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유닛소형 쇼 케이스는 쇼 케이스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일의 열당량(A)을 옳게 표시한 것은?

  1. A = 472kg • m/kcal
  2. A = 1/427kcal/kg • m
  3. A = 102kg • m
  4. A = 860kg • m/kcal
(정답률: 81%)
  • 정답은 "A = 1/427kcal/kg • m" 이다.

    열량은 일의 양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므로, 일의 열당량은 일을 1kg의 물질을 1m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열량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일의 열당량은 kcal/kg • m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A = 1/427kcal/kg • m"이 옳은 표기법이다. 다른 보기들은 일의 열당량을 잘못 표기하거나, 일의 양과 열량의 단위를 잘못 조합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프레온 냉동장치에 공기가 유입되면 어떠한 현상이 일어나는가?

  1. 고압이 공기의 분압만큼 낮아진다.
  2. 고압이 높아지므로 냉매 순환량이 많아지고 냉동능력도 증가한다.
  3. 토출가스의 온도가 상승하므로 응축기의 열통과율이 높아지고 방출열량도 증가한다.
  4. 냉동톤당 소요동력이 증가한다.
(정답률: 65%)
  • 프레온 냉동장치에 공기가 유입되면 고압이 공기의 분압만큼 낮아지게 되어 냉매 순환량이 감소하고 냉동능력도 감소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냉동톤당 소요동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무기질 브라인 중에 동결점이 제일 낮은 것은?

  1. MgCl2
  2. CaCl2
  3. H2O
  4. NaCl
(정답률: 77%)
  • 동결점은 용액이 얼어서 고체가 되는 온도를 말한다. 동일한 양의 물질이 녹아있는 용액일수록 동결점은 낮아진다. 이유는 용질 분자가 물 분자와 상호작용하여 물 분자의 운동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중에서 이온 결합력이 가장 강한 CaCl2가 동결점이 가장 낮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할라이드 토치로 누설을 탐지할 누설이 있는 곳에서는 토치의 불꽃색깔이 어떻게 되는가?

  1. 흑색
  2. 파란색
  3. 노란색
  4. 녹색
(정답률: 85%)
  • 할라이드 토치는 누설 가스를 탐지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누설 가스와 반응하여 불꽃이 녹색으로 변화합니다. 따라서 누설이 있는 곳에서 할라이드 토치를 사용하면 녹색 불꽃이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은 증발식 응축기에 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1. 구조가 간단하고 압력강하가 작다.
  2. 일반 수냉식에 비하여 전열 작용이 나쁘다.
  3. 대기의 습구온도 영향을 많이 받는다.
  4. 물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냉각하므로 냉각수가 적게 든다.
(정답률: 51%)
  • 답: "일반 수냉식에 비하여 전열 작용이 나쁘다."

    증발식 응축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압력강하가 작아서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냉각수가 적게 들어가므로 경제적이다. 하지만 일반 수냉식에 비해 전열 작용이 나쁘다는 설명은 잘못되었다. 증발식 응축기는 물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냉각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전열 작용이 좋다고 할 수 있다. 대기의 습구온도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것은 맞지만, 이는 증발식 응축기의 한계이며 잘못된 설명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진공압력 200mmHg를 절대압력으로 환산하면 약 얼마인가? (단, 대기압은 1.033kgf/cm2이다.)

  1. 0.52kgf/cm2
  2. 0.76kgf/cm2
  3. 1.72kgf/cm2
  4. 3.52kgf/cm2
(정답률: 64%)
  • 진공압력은 대기압보다 작은 압력을 의미하므로, 절대압력은 대기압을 더해줘야 한다. 따라서, 절대압력 = 진공압력 + 대기압 이 된다.

    대기압을 kgf/cm2에서 mmHg로 변환해보면,

    1.033kgf/cm2 = 1.033 x 104 gf/m2 = 1.033 x 104 x 10-3 kg/m2 = 1033 x 10-3 kg/m2

    = 1033 x 10-3 x 9.81 m/s2 x 103 mm/m

    = 101325 mmHg

    따라서, 대기압은 약 101325 mmHg이다.

    진공압력 200mmHg을 절대압력으로 환산하면,

    절대압력 = 진공압력 + 대기압 = 200 + 101325 = 101525 mmHg

    이 된다.

    마지막으로, 이 값을 kgf/cm2로 변환해보면,

    101525 mmHg = 101525/760 kgf/cm2 ≈ 0.76 kgf/cm2

    따라서, 정답은 "0.76kgf/cm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흡수식 냉동시스템에서 냉매의 순환방향으로 올바른 것은?

  1. 압축기 → 응축기 → 증발기 → 열교환기 → 압축기
  2. 증발기 → 흡수기 → 발생기(재생기) → 응축기 → 증발기
  3. 압축기 → 응축기 → 팽창장치 → 증발기 → 압축기
  4. 증발기 → 열교환기 → 발생기(재생기) → 흡수기 → 증발기
(정답률: 74%)
  • 흡수식 냉동시스템에서는 냉매가 증발기에서 증발하여 흡수기로 이동하고, 흡수기에서는 냉매가 흡수되어 발생기(재생기)로 이동합니다. 발생기에서는 냉매가 압축되어 응축기로 이동하고, 응축기에서는 냉매가 응축되어 열교환기를 통해 외부로 열을 방출하고 다시 증발기로 이동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환방향은 "증발기 → 흡수기 → 발생기(재생기) → 응축기 → 증발기"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팽창밸브 직전 냉매의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증발기의 능력은 어떻게 되는가?

  1. 냉매의 온도가 낮아지면 냉매 조절장치가 동작할것이므로 증발기의 능력에 변화가 없다.
  2. 냉매의 온도가 낮아지면 증발기의 능력도 감소한다.
  3. 냉매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증발기의 능력은 증가한다.
  4. 증발기의 능력은 크기와 과열도 등에 관계되므로 증발기의 능력에는 변화가 없다.
(정답률: 66%)
  • 냉매의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증발기의 능력은 증가한다. 이는 냉매의 온도가 낮아지면 냉매의 압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증발기 내부의 압력도 낮아지게 되어 냉매가 더욱 쉽게 증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증발기의 냉매 유량이 증가하고, 냉매의 증발 열도 증가하게 되어 증발기의 냉방 능력이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보기의 내용 중 맞는 것으로 짝지어진 것은?

  1. ①, ②
  2. ②, ③
  3. ①, ④
  4. ①, ③
(정답률: 72%)
  • 이 그림은 물체가 거울에 반사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거울에 수직으로 떨어지는 빛은 거울에서 반사되어 수직으로 올라간다. 따라서 ①번과 ④번은 거울에 수직으로 떨어지는 빛이 거울에서 반사되어 나가는 것이 아니므로 틀린 것이다. 반면에 ②번과 ③번은 거울에 수직으로 떨어지는 빛이 거울에서 반사되어 나가는 것이므로 맞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1RT 냉동기의 수냉식 응축기에 있어서 냉각수 입구 및 출구 온도를 10℃, 20℃로 하기 위하여 약 얼마의 냉각수가 필요한가? (단, 공기조화용 이며 응축기방열량은 20% 추가 할것)

  1. 5.5L/min
  2. 6.6L/min
  3. 332L/min
  4. 400L/min
(정답률: 56%)
  • 냉각수의 유량은 응축기 방열량과 냉각수의 입출력 온도 차이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응축기 방열량이 20% 추가되었으므로, 응축기 방열량은 1.2배가 된다. 따라서, 응축기 방열량은 1RT × 1.2 = 1.2RT가 된다.

    냉각수의 입출력 온도 차이는 20℃ - 10℃ = 10℃이다. 따라서, 냉각수의 유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냉각수 유량 = 응축기 방열량 ÷ (냉각수 입출력 온도 차이 × 냉각수의 비열)

    냉각수의 비열은 약 1 kcal/(kg·℃)이므로, 냉각수 유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냉각수 유량 = 1.2RT ÷ (10℃ × 1 kcal/(kg·℃) × 60 kg/min)

    따라서, 냉각수 유량은 약 6.6L/min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흡수식 냉온수기에서 기내로 유입된 공기와 기내에서 발생한 불응축가스를 기외로 방출하는 장치는?

  1. 흡수장치
  2. 재생장치
  3. 압축장치
  4. 추기장치
(정답률: 79%)
  • 흡수식 냉온수기에서는 냉매로서 사용되는 물질이 기내로 유입된 공기나 기내에서 발생한 불응축가스와 반응하여 냉각 작용을 하게 됩니다. 이때, 냉각 작용을 한 후에는 이러한 공기나 가스를 기외로 방출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가 바로 추기장치입니다. 추기장치는 냉각 작용을 한 후에 발생한 공기나 가스를 기외로 방출하여, 기내의 공기를 교환하고 냉온수기의 성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왕복동식 냉동기의 기동부하를 경감시키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바이패스 법
  2. 클리어런스 증대법
  3. 언로우더 시스템법
  4. 흡입 댐퍼 조절법
(정답률: 59%)
  • 왕복동식 냉동기의 기동부하를 경감시키는 방법 중 "흡입 댐퍼 조절법"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0℃와 100℃사이의 물을 열원으로 역카르노 사이클로 작동되는 냉동기(C)와 히트펌프(H)의 성적계수는 각각 얼마인가?

  1. C = 1.00, H = 2.00
  2. C = 3.54, H = 4.54
  3. C = 2.12, H = 3.12
  4. C = 2.73, H = 3.73
(정답률: 73%)
  • 냉동기와 히트펌프는 역카르노 사이클로 작동하므로, Carnot efficiency 식을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다. Carnot efficiency 식은 다음과 같다.

    Carnot efficiency = 1 - (Tc/Th)

    여기서 Tc는 열원의 저온면 온도, Th는 열원의 고온면 온도이다.

    따라서, 냉동기의 Carnot efficiency는 1 - (273/373) = 0.7321, 히트펌프의 Carnot efficiency는 1 - (373/273) = -0.3636 이다.

    그러나 히트펌프의 Carnot efficiency는 음수이므로, 절대적인 온도 척도에서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열원의 온도가 273K보다 높아지면, 히트펌프의 Carnot efficiency는 양수가 된다.

    따라서, 가능한 답은 "C = 2.73, H = 3.73"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냉장고의 방열재의 두께가 200mm인데 냉각효과를 좋게 하기 위해 300mm로 했다. 외기와 외벽면과의 열전달율이 20kcal/m2h℃, 고내 공기와 내벽면과의 열전달율이 10kcal/m2h℃, 방열재의 열전도율이 0.035kcal/m2h℃이다. 이 경우 열손실은 약 몇 % 감소하는가? (단, 방열재 이외의 열전도저항은 무시하는 것으로 한다.)

  1. 18
  2. 33
  3. 45
  4. 62
(정답률: 55%)
  • 열전도율과 두께가 주어졌으므로 방열재의 열전도저항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R = 두께 / 열전도율 = 300mm / 0.035kcal/m2h℃ = 8571.4 m2h℃/kcal

    냉장고의 열손실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Q = (외기온도 - 내부온도) / (외기-내부 열전달율의 합) x 냉장고의 벽면적

    두께가 200mm일 때와 300mm일 때의 열손실을 각각 계산하여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Q1 = (외기온도 - 내부온도) / (20 + 10) x 벽면적 = (20 / 30) x 벽면적
    Q2 = (외기온도 - 내부온도) / (20 + 8571.4 + 10) x 벽면적 = (20 / 8581.4) x 벽면적

    두 경우의 열손실 비율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Q2 / Q1 = [(20 / 8581.4) x 벽면적] / [(20 / 30) x 벽면적] = 0.699

    즉, 두께를 300mm로 늘리면 열손실이 약 30% 감소한다. 따라서 정답은 "3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냉동장치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온도제어기(thermostat)의 방식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바이메탈식
  2. 건습구식
  3. 증기 압력식
  4. 전기 저항식
(정답률: 60%)
  • 건습구식은 습도에 따라 온도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냉동장치에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냉동장치에서는 온도만을 제어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바이메탈식, 증기 압력식, 전기 저항식이 적합한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배관일반

41. 펌프의 베이퍼록 발생 요인이 아닌 것은?

  1. 액 자체 또는 흡입배관 외부의 온도가 상승할 경우
  2. 펌프 냉각기가 작동하지 않거나 설치되지 않은 경우
  3. 흡입관 지름이 크거나 펌프 설치위치가 적당하지 않을 때
  4. 흡입 관로의 막힘, 스케일 부착 등에 의한 저항의 증대
(정답률: 62%)
  • 펌프의 베이퍼록 발생은 액 자체나 흡입배관 외부의 온도 상승, 펌프 냉각기의 작동 불량 또는 미설치, 흡입 관로의 막힘, 스케일 부착 등에 의한 저항의 증대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흡입관 지름이 크거나 펌프 설치위치가 적당하지 않을 때는 베이퍼록 발생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므로 정답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플랜지 관이음쇠의 시트모양에 따른 용도에서 위험성이 있는 유체의 배관 및 기밀을 요하는 배관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홈꼴형 시트
  2. 소평면 시트
  3. 대평면 시트
  4. 삽입형 시트
(정답률: 74%)
  • 홈꼴형 시트는 유체의 압력이 증가할수록 밀착력이 강해지는 특징이 있어, 위험성이 있는 유체의 배관이나 기밀을 요하는 배관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합니다. 또한, 홈꼴형 시트는 삽입형 시트와 달리 시트가 밖으로 빠져나오지 않아 안전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주철관의 용도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수도용
  2. 가스용
  3. 배수용
  4. 냉매용
(정답률: 67%)
  • 주철관은 냉매용으로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냉매가 주철관과 반응하여 부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냉매용으로는 다른 재질의 파이프가 사용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도시가스 입상 관에 설치하는 밸브는 바닥으로부터 몇 m 이상에 설치해야 하는가?

  1. 0.5m이상 1m이하
  2. 1m이상 1.5m이하
  3. 1.6m이상 2m이하
  4. 2m이상 2.5m이하
(정답률: 77%)
  • 도시가스 입상 관에는 액체가스와 기체가스가 혼합되어 있기 때문에, 밸브를 바닥으로부터 높이를 높일수록 액체가스의 비중이 높아져서 밸브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밸브는 1.6m 이상 2m 이하로 설치하여 기체가스와 액체가스의 비율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암모니아 냉동설비의 배관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것은?

  1. 배관용 탄소강 강관
  2. 이음매 없는 동관
  3. 저온 배관용 강관
  4.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정답률: 83%)
  • 암모니아 냉동설비는 매우 높은 압력과 온도를 다루기 때문에 안전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음매 없는 동관은 이음부가 없기 때문에 누출의 위험이 적어 안전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암모니아 냉동설비의 배관으로 이음매 없는 동관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급수설비에서 급수펌프 설치 시 캐비테이션(cavitation) 방지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펌프의 회전수를 빠르게 한다.
  2. 흡입배관은 굽힘부를 적게 한다.
  3. 단흡입 펌프를 양흡입 펌프로 바꾼다.
  4. 흡입관경은 크게 하고 흡입 양정을 짧게 한다.
(정답률: 76%)
  • "펌프의 회전수를 빠르게 한다."가 틀린 이유는, 캐비테이션은 펌프 회전수가 높을수록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캐비테이션 방지를 위해서는 회전수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올바른 방법은 "흡입배관은 굽힘부를 적게 한다.", "단흡입 펌프를 양흡입 펌프로 바꾼다.", "흡입관경은 크게 하고 흡입 양정을 짧게 한다." 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급수장치에서 세정밸브를 사용하는 경우 최저 필요 수압은 얼마인가?

  1. 1kgf/cm2
  2. 0.7kgf/cm2
  3. 0.5kgf/cm2
  4. 0.3kgf/cm2
(정답률: 66%)
  • 세정밸브는 물을 세척하는 용도로 사용되는데, 이때 물이 충분한 압력으로 나와야 효과적으로 세척이 가능하다. 따라서 최저 필요 수압은 0.7kgf/cm2 이상이어야 한다. 이보다 낮은 압력으로는 세척 효과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온수난방에서 역귀환 방식(Reverse ReturnSystem)을 채택하는 주된 이유는?

  1. 순환펌프를 설치하기 위해
  2. 배관의 길이를 축소하기 위해
  3. 열손실과 발생소음을 줄이기 위해
  4. 건물내 각실의 온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정답률: 84%)
  • 온수난방에서 역귀환 방식을 채택하는 주된 이유는 건물내 각실의 온도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이 방식은 각각의 각실에서 돌아오는 물의 온도를 측정하여 적절한 온도로 조절하여 각실마다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관내에 분리된 증기나 공기를 배출하고 물의 팽창에 따른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것은?

  1. 순환탱크
  2. 팽창탱크
  3. 옥상탱크
  4. 압력탱크
(정답률: 84%)
  • 팽창탱크는 물이 팽창할 때 발생하는 압력을 조절하여 관내에 분리된 증기나 공기를 배출하고 물의 팽창에 따른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됩니다. 따라서 이는 물의 팽창에 대한 안전장치로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동기관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각개 통기관
  2. 루프 통기관
  3. 신정 통기관
  4. 분해 통기관
(정답률: 75%)
  • 분해 통기관은 실제로는 동기관의 종류가 아니라, 동력장치나 기계의 분해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되는 특수한 형태의 통기관이다. 따라서, 분해 통기관은 동기관의 종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스케줄 번호에 의해 두께를 나타내는 관이 아닌 것은?

  1. 수도용 아연도금 강관
  2.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3. 고압 배관용 탄소강관
  4. 배관용 합금강관
(정답률: 70%)
  • 스케줄 번호에 의해 두께를 나타내는 것은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고압 배관용 탄소강관", "배관용 합금강관"이지만, "수도용 아연도금 강관"은 아연도금 처리된 강관으로 두께가 아닌 표면처리 방법을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정압기 종류에서 구조와 기능이 우수하고 중압을 저압으로 감압하며, 일반 소비기기용이나 지구정압기에 널리 쓰이는 것은?

  1. 레이놀드식 정압기
  2. 피셔식 정압기
  3. 엠코 정압기
  4. 부종식 정압기
(정답률: 80%)
  • 레이놀드식 정압기는 구조가 간단하고 신뢰성이 높아서 일반 소비기기용이나 지구정압기에 널리 사용됩니다. 이 정압기는 중압을 저압으로 감압하는데, 유체가 흐르는 구간의 단면적을 바꾸어 압력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러한 구조와 기능으로 인해 레이놀드식 정압기는 다른 종류의 정압기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개방형 팽창탱크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설치가 어렵고 설치비가 고가이다.
  2. 산소가 용해되어 배관 부식의 원인 된다.
  3. 설치 위치에 제약이 따른다.
  4. 공기배출을 위하여 탱크를 대기에 개방시킨다.
(정답률: 69%)
  • 공기배출을 위하여 탱크를 대기에 개방시킨다는 것은 개방형 팽창탱크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이는 탱크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탱크 내부에 공기를 채워놓고 대기와 연결하여 공기를 배출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설치가 어렵고 설치비가 고가이다."는 개방형 팽창탱크의 특징 중 하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증기난방의 분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중력 환수식
  2. 진공 환수식
  3. 정압 환수식
  4. 기계 환수식
(정답률: 69%)
  • 증기난방의 분류는 중력 환수식, 진공 환수식, 기계 환수식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정압 환수식은 증기난방의 분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정압 환수식은 증기를 일정한 압력으로 유지하면서 환기하는 방식으로, 증기의 온도와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증기난방의 분류에서는 정압 환수식은 제외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중앙식 급탕방법에 장점으로 맞는 것은?

  1. 배관길이가 짧아 열손실이 적다.
  2. 탕비장치가 대규모이므로 열효율이 좋다.
  3. 건물완성 후에도 급탕개소의 증설이 비교적 쉽다.
  4. 설비규모가 적기 때문에 초기 설비비가 적게 든다.
(정답률: 72%)
  • 중앙식 급탕방법에서 탕비장치가 대규모이므로 열효율이 좋다는 이유는, 대규모의 탕비장치는 물을 빠르게 가열시키고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물을 빠르게 공급하면서도 물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열효율이 좋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배수 및 통기설비에서 배수 배관의 청소구 설치를 필요로 하는 곳이다. 틀린 것은?

  1. 배수 수직관의 제일 밑부분 또는 그 근처
  2. 배수 수평 주관과 배수 수평 분기관의 분기점
  3. 길이가 긴 배수관의 중간지점으로 하되 100A이상의 배수관은 10m마다 설치
  4. 배수관이 45° 이상의 각도로 방향을 전환하는 곳
(정답률: 74%)
  • 정답은 "길이가 긴 배수관의 중간지점으로 하되 100A이상의 배수관은 10m마다 설치" 이다. 이유는 배수관이 길어질수록 배수량이 많아지기 때문에 청소구를 중간에 설치하여 청소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100A 이상의 배수관은 지하수를 많이 배출하기 때문에 청소구를 10m마다 설치하여 효율적인 배수를 위해 설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옥내 급수관에서 20A 급수전 4개에 급수하는 주관의 관경을 정하는 방법 중에서 아래의 급수관 균등표를 사용하여 관경을 구한 것으로 맞는 것은?

  1. 25A
  2. 32A
  3. 40A
  4. 50A
(정답률: 70%)
  • 주어진 균등표에서 최대 유량은 4개의 20A 급수전 모두에 동시에 급수할 때의 유량인 0.72㎥/h 이다. 따라서 이 값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Q = 0.72㎥/h
    A = πr²
    ∴ r = √(A/π) = √(Q/πv)
    v = 1.5m/s (주어진 조건)
    ∴ r = √(0.72/(π×1.5)) ≈ 0.2m
    ∴ d = 2r ≈ 0.4m ≈ 400mm

    따라서, 주관의 관경은 400mm 이므로 정답은 "32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덕트 제작에 이용되는 심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스탠딩 심
  2. 포켓펀치 심
  3. 피츠버그 심
  4. 로크 그루브 심
(정답률: 75%)
  • 포켓펀치 심은 덕트 제작에 이용되는 심의 종류가 아닙니다. 포켓펀치 심은 종이나 가죽 등을 구멍을 내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온수난방 배관의 분류와 합류를 나타낸 것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정답률: 77%)
  • 정답은 ""이다. 이 그림은 온수난방 배관의 합류를 나타내는데, 두 개의 배관이 하나의 배관으로 합쳐지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합류는 온수난방 시스템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이유는 두 개의 배관이 합쳐지면서 물의 유속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온수난방 시스템의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온수난방 시스템에서는 가능한 한 개별적인 배관을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각 배관을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플레어 관이음쇠에 의한 접합은 어느 관에서 사용 하는가?

  1. 강관
  2. 동관
  3. 염화비닐관
  4. 시멘트관
(정답률: 72%)
  • 플레어 관이음쇠는 두 개의 관을 서로 접합할 때 사용하는데, 이때 강력한 압력이 발생하는 강관이나 시멘트관 등에서는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유연하면서도 강도가 충분한 동관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기제어공학

61. 다음의 블록선도와 등가인 블록선도는?

(정답률: 51%)
  • 주어진 블록선도에서는 A와 B가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A와 B는 등가인 블록선도에서도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 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공기콘덴서의 극판사이에 비유전률 Es의 유전체를 채운 경우 동일 전위차에 대한 극판간의 전하량은?

  1. 1/E로 감소
  2. E 배로 증가
  3. 변하지 않음
  4. πE 배로 증가
(정답률: 62%)
  • 공기콘덴서의 경우 극판 사이에는 공기가 채워져 있어 유전율이 1에 가깝습니다. 하지만 비유전률 Es의 유전체를 채운 경우에는 유전율이 크게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동일한 전위차에 대해서는 극판 사이의 전하량이 E 배로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유전체가 전기장을 더 잘 전달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저항 20 인 전열기에 5A의 전류를 흘렸다면 소비전력은 몇 W인가?

  1. 200
  2. 300
  3. 400
  4. 500
(정답률: 60%)
  • 전류(I) = 5A, 저항(R) = 20Ω 이므로, 전력(P) = I^2 * R = 5^2 * 20 = 500W 이다. 따라서 정답은 "5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제어요소가 제어대상에 주는 양은?

  1. 기준입력
  2. 동작신호
  3. 제어량
  4. 조작량
(정답률: 63%)
  • 제어요소는 제어대상에게 주는 양을 조절하기 위해 제어량을 조작하며, 이 조작된 양을 조작량이라고 부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조작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R의 값은?

(정답률: 54%)
  • 전체 회로의 전압은 12V이고, R1과 R2는 병렬 연결이므로 등가저항은 (R1 x R2) / (R1 + R2) = (4 x 6) / (4 + 6) = 2.4Ω이다. 따라서, R과 2.4Ω은 직렬 연결이므로 전압 분배 법칙에 따라 R의 전압은 12V x (R / (R + 2.4))이다. 이때, R의 전압이 6V가 되어야 하므로 다음과 같은 방정식이 성립한다.

    12V x (R / (R + 2.4)) = 6V

    이를 풀면 R = 1.2Ω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그림과 같은 게이트회로에서 출력 Y는?

(정답률: 60%)
  •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1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므로,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만 출력 Y가 1이 됩니다. 따라서, ""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절연저항 측정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절연체에 직류고전압을 가하면 누설전류가 흐르는 것을 이용한 것이다.
  2. 선로의 사용전압에 관계없이 절연저항 측정시 선로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한다.
  3. 절연저항의 측정단위는 ΩM 이다.
  4. 옥내선로의 절연저항 측정시에는 모든 부하쪽의 선로를 개방해야 한다.
(정답률: 53%)
  • "선로의 사용전압에 관계없이 절연저항 측정시 선로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는 절연저항 측정 시에 일정한 조건을 만들어 정확한 측정을 하기 위함입니다. 만약 사용전압에 따라 인가하는 전압이 변하면 측정 결과도 달라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절연저항 측정 시에는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여 측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유기 기전력은 어느 것에 관계되는가?

  1. 시간에 비례한다.
  2. 쇄교 자속수의 변화에 비례한다.
  3. 쇄교 자속수에 반비례한다.
  4. 쇄교 자속수의 변화에 반비례한다.
(정답률: 67%)
  • 유기 기전력은 쇄교 자속수의 변화에 비례한다. 이는 쇄교 자속수가 변화하면 그에 따라 유기 기전력도 변화하기 때문이다. 즉, 쇄교 자속수가 높을수록 유기 기전력도 높아지고, 쇄교 자속수가 낮을수록 유기 기전력도 낮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교류 전기에서 실효치는?

(정답률: 76%)
  • 실효치는 전압이나 전류의 효과적인 크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교류 전기에서는 주기적으로 변하는 값이므로 평균값이 아닌 효과적인 값으로 나타내야 한다. 따라서, 실효치는 RMS(root mean square) 값으로 계산되며, ""는 RMS 값으로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그림과 같은 회로도의 논리식은 어떻게 되는가?

(정답률: 72%)
  • 이 회로는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AND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1일 때 출력이 1이 되고, 그 외에는 모두 0이 됩니다. OR 게이트는 입력 중에 하나 이상이 1일 때 출력이 1이 되고, 그 외에는 모두 0이 됩니다.

    따라서, A와 B가 모두 1일 때, AND 게이트의 출력이 1이 되고, 이 값이 OR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면 출력이 1이 됩니다. 그 외에는 A와 B 중 하나 이상이 0이므로 AND 게이트의 출력이 0이 되고, 이 값이 OR 게이트의 입력으로 들어가면 출력도 0이 됩니다.

    따라서, 전체 회로의 출력은 A와 B가 모두 1일 때 1이 되고, 그 외에는 0이 됩니다. 이를 논리식으로 나타내면 ""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170V, 50Hz, 3상 유도전동기의 전부하 슬립이 4%이다. 공급전압이 5% 저하된 경우의 전부하 슬립은 약 몇 %인가?

  1. 4.4
  2. 5.1
  3. 5.6
  4. 7.4
(정답률: 32%)
  • 전부하 슬립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전부하 슬립 = (공급전압 - 회전자 전압) / 공급전압

    따라서 공급전압이 5% 저하되면 새로운 공급전압은 0.95 * 170V = 161.5V가 된다. 이를 이용하여 새로운 전부하 슬립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새로운 전부하 슬립 = (161.5V - 0.96 * 170V) / 161.5V = 0.044 또는 4.4%

    따라서 정답은 "4.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50kVA 단상변압기 4대를 사용하여 부하에 공급할 수 있는 3상 전력은 최대 몇 kVA 인가?

  1. 100
  2. 150
  3. 173
  4. 200
(정답률: 59%)
  • 50kVA의 단상변압기 4대를 사용하면 총 200kVA의 단상 전력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3상 전력은 단상 전력의 √3 배이므로, 최대 173kVA의 3상 전력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17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그림과 같은 평형 3상 회로에서 전력계의 지시가 100W 일 때 3상 전력은 몇 W 인가? (단, 부하의 역률은 100%로 한다.)

  1. 100√2
  2. 100√3
  3. 200
  4. 300
(정답률: 61%)
  • 평형 3상 회로에서 전력계의 지시가 100W 이므로, 각 상의 유효전력은 100/3 = 33.33W 이다. 부하의 역률이 100% 이므로, 각 상의 피상전력과 유효전력이 같다. 따라서, 각 상의 피상전력은 33.33VA 이다. 3상 전력은 각 상의 피상전력을 합한 값이므로, 3 × 33.33 = 100W 이다. 따라서, 정답은 "2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그림(a)의 직렬로 연결된 저항회로에서 입력전압 Vi와 출력전압 Vo의 관계를 그림(b)의 블록선도로 나타낼 때 A에 들어갈 전달함수는?

(정답률: 60%)
  • 전달함수는 출력전압 Vo와 입력전압 Vi의 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블록선도에서 출력블록의 값(전압)을 입력블록의 값(전압)으로 나누어주면 된다. 따라서 A에 들어갈 전달함수는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기계적 추치제어계로 그 제어량이 위치, 각도 등인 것은?

  1. 자동조정
  2. 정치제어
  3. 프로그래밍제어
  4. 서보기구
(정답률: 74%)
  • 서보기구는 위치나 각도 등의 제어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계적 추치제어계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제어 방법이나 목적이 다르지만, 서보기구는 위치나 각도 등의 정밀한 제어에 특화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그림은 VVVF를 이용한 속도 제어회로의 일부이다. 회로의 설명 중 옳은 것은?

  1.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회로이다.
  2. 교류의 PWM 제어회로이다.
  3. 교류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회로이다.
  4. 교류의 전압으로 변환하는 인버터회로이다.
(정답률: 63%)
  • 이 그림은 VVVF(Variable Voltage Variable Frequency)를 이용한 속도 제어회로의 일부이다. VVVF는 교류 전원을 이용하여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주파수와 전압을 변화시켜 속도를 조절한다. 이 그림에서는 교류 전원을 정류회로를 이용하여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이를 인버터 회로를 이용하여 주파수와 전압을 변화시켜 모터의 속도를 제어하고 있다. 따라서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는 정류회로이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계단응답이 입력신호와 파형이 같고 크기만 증가 하였다. 이계의 요소는?

  1. 미분요소
  2. 비례요소
  3. 1차 뒤진요소
  4. 2차 뒤진요소
(정답률: 57%)
  • 이 문제에서 계단응답이 입력신호와 파형이 같고 크기만 증가하였다는 것은 입력신호와 계단응답 사이에 비례관계가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요소는 "비례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3상 농형유도전동기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슬립링이나 브러시 등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간단하 구조로 고장이 적으며, 유지보수가 간단하다.
  2. 회전자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쉽다.
  3. 사용전원을 직접 입력하여 운전시, 발생토크와 고정자 정류사이에는 선형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
  4. 기동시에는 회전자장을 만들 수 없어 기동장치를 필요로 한다.
(정답률: 51%)
  • "기동시에는 회전자장을 만들 수 없어 기동장치를 필요로 한다."가 틀린 것이다. 3상 농형유도전동기는 기동시에도 회전자장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기동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블록선도로 제어계를 구성하여, 계단함수 1/s를 입력하였다. 이때 시간이 충분히 지나 제어계가 정상상태가 되었을 때의 출력은?

  1. 0
  2. 1
  3. 4
  4. 8
(정답률: 47%)
  • 입력 신호가 계단함수 1/s이므로, 초기에는 출력이 0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적분기의 출력이 점차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비례 증폭기의 출력도 증가한다. 이 과정에서 출력이 1이 되는 시점에서는 적분기의 출력이 1이 되고, 이에 따라 비례 증폭기의 출력도 1이 된다. 따라서 정상상태에서의 출력은 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제어명령을 증폭시켜 직접 제어대상을 제어시키는 부분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조작부
  2. 전송부
  3. 검출부
  4. 조절부
(정답률: 64%)
  • 조작부는 제어명령을 증폭시켜 직접 제어대상을 제어시키는 부분을 말한다. 다른 보기인 전송부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부분, 검출부는 오류를 검출하는 부분, 조절부는 제어대상의 상태를 감지하고 제어하는 부분을 말한다. 따라서, 조작부가 제어대상을 직접 제어시키는 부분이므로 정답은 "조작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