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과목: 공기조화
1. 어떤 실내공간의 냉방 설계 온습도 조건이 26℃ DB, 50% RH이고, 냉방부하 중 헌열부하 qs = 3000kcal/h, 잠열부하 qL = 1000kcal/h였다면 공급해야 할 송풍량은 약 얼마인가? (단, 냉풍의 취출온도는 16℃, 공기의 정압비열 Cp = 0.24(kcal/kg℃), 공기의 밀도 r = 1.2kg/m3 이다.)
2. 다음 공식 중 관내 마찰손실 수두를 구하는 식은? (단, d : 관의 안지름, ℓ : 관의 길이, g : 중력가속도 V : 유속, f : 마찰계수, r : 물의 비중량)
3. 공기조화 부하 중 실내 취득 열량이 아닌 것은?
4. 전공기 방식의 특징에 속하는 것은?
5. 다음 중 냉수코일의 설계법으로 틀린 것은?
6. 상대습도 50%, 냉방의 헌열부하가 7500 kcal/h, 잠열부하가 2500kcal/h일 때 헌열비(SHF)는 얼마인가?
7. 지하 주차장 환기설비에서 천장부에 설치되어 있는 고속 노즐로부터 취출되는 공기의 유인효과를 이용하여 오염공기응 국부적으로 희석시키는 방식으로 맞는 것은?
8. 다음은 냉각 코일에서 공기상태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코일의 BF(BYPASS FACTOR)는 어느 것인가?
9. 증기난방 설비를 설계할 때 필요 방열면적(s)의 산출식으로 옳은 것은?
10. 공기조화 방식의 특징 중 공기-물 방식(유닛병용식)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11. 기계환기 중 송풍기와 배풍기를 이용하며 대규모 보일러실, 변전실 등에 적용하는 환기법은?
12. 송풍기를 원심, 축류 및 기타로 크게 나눌 때 원심 송풍기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3. 증기난방에 비해 온수난방에 대한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14. 덕트의 치수 결정법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5. 효과적인 공기조화 설비를 계획하기 위해서는 조닝(Zoning)을 실시한다. 이 때 고려해야 할 요소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6. 다음의 공기선도 상에서 상태점 A의 노점온도는 몇 ℃인가?
17. 원통다관식 열교환기에 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8. 물 또는 온수를 직접 공기 중에 분사하는 방식의 수분무식 가습장치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은 것은?
19. 공조기를 설치한 바닥 면적은 좁고 층고가 높은 경우에 적합한 공조기(AHU)의 형식은?
20. 압축식 냉동기에 비해 흡수식 냉동기 냉각탑의 열처리용량과 냉각수량은 몇 배 정도로 하는가?
2과목: 냉동공학
21. 헬라이드 토치로 누설검사가 불가능한 냉매는?
22. 고속다기통 압축기의 특성 중 틀린 것은?
23. 소량의 냉장화물 수송이나 해상수송이 필요할 때에는 냉동 컨테이너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냉동 컨테이너의 냉각방식의 조합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24. 응축온도는 일정한데 증발온도가 저하되었을 때 감소되지 않는 것은?
25. P - V선도에서 1에서 2까지 단열 압축하였을 때의 압축열량은 다음 중 어느 것으로 표현되는가?
26. 왕복동 압축기의 흡입밸브와 토출밸브의 필요조건으로 틀린 것은?
27. 주위와 에너지는 교환할 수 있으나 물질은 교환할 수 없는 계를 열역학에서는 무엇이라 하는가?
28. 브라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29. 냉매 1kg당 냉동량이 300kcal인 어떤 냉동장치가 냉동능력 18RT를 내기 위해 냉매 순환량은 약 얼마이어야 하는가?
30. 냉매의 응축온도 50℃, 응축기 냉각수 입구온도 25℃, 출구온도 35℃일 때 대수평균 온도차는 약 얼마인가?
31. 두께 30cm인 콘크리트벽이 있는데 이 벽의 내면온도가 26℃, 외면온도가 36℃일 때 이 콘크리트 벽을 통하여 흐르는 단위 면적당 열량(kcal/h)은 약 얼마인가? (단, 콘크리트벽의 열전도율은 0.8kcal/mh℃이다.)
32. 흡수식 냉동기용 흡수제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33. 최근 여름철 주간 전력부하를 야간으로 이전하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자는 측면에서 빙축열시스템이 보급되고 있다. 다음 중 빙축열시스템의 분류에 대한 조합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34. 냉매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35. 액분리기(Accumulator)의 설명이 잘못된 것은?
36. 냉매기 암모니아일 경우는 주로 소형, 프레온일 경우에는 대용량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응축기로 전열이 양호하고, 설치면적이 적어도 되나 냉각관이 부식되기 쉬운 응축기는?
37. 제빙장치에서 깨끗한 얼음을 만들기 위해 빙관내로 공기를 송입하여 물을 교반시킨다. 이때 어떤 종류의 송풍기가 많이 사용되는가?
38. 응축기에서 수액기로 액이 떨어지지 않을 때가 있다. 그 대책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39. 스크류(screw) 압축기의 특징을 설명한 것으로 틀린 것은?
40. 냉동능력 9960 kcal/h 인 냉동기에서 냉매를 압축할 때 3.2 kW의 동력이 소모되었다. 응축기 방열량은 몇 kcal/h 인가?
3과목: 배관일반
41. 배수설비의 통기방식 종류가 아닌 것은?
42. 배관길이 200m, 관경 100mm의 배관 내 20℃의 물을 80℃로 상승시킬 경우 배관의 신축량은? (단, 강관의 선팽창계수는 12.5×10-6mm/m℃ 이다.)
43. 복사난방을 바닥패널로 시공할 경우 적당한 가열면의 온도범위는?
44. 다음 보기에서 설명하는 난방 방식은?
45. 수액기를 나은 냉매액은 팽창밸브를 통해 교축되어 저온저압의 증발기로 공급된다. 팽창밸브의 종류가 아닌 것은?
46. 급탕의 사용온도가 가장 높은 것은?
47. 연관의 장점이 아닌 것은?
48. 다음 배관 부속 중 사용 목적이 서로 다른 것과 연결된 것은?
49. 냉동배관 중 액관 시공상 주의할 점을 열거한 것이다. 잘못된 것은?
50. 암거내에 증기난방 배관 시공을 하고자 할 때 나관(Barepipe)상태라면 관 표면에 무엇을 바르는가?
51. 증기트랩 중 기계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52. 배수관에 트랩을 설치하는 이유는?
53. 급탕배관의 시공상 주의 사항이다. 틀린 것은?
54. 증기배관에서 워터해머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 중 틀린 것은?
55. 나사용 배관에 사용되는 패킹은?
56. 배수 설비를 옥내 배수와 옥외 배수로 구분할 때 그 기준은?
57. 송풍기의 토출측과 흡입측에 설치하여 송풍기의 진동이 덕튼 장치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속법은?
58. 냉동 설비에서 고온 고압의 냉매 기체가 흐르는 배관은?
59. 도시가스 제조 공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60. 도시가스 공급시설의 기일시험 및 내압시험압력은 최고사용압력의 몇 배인가?
4과목: 전기제어공학
61. 3상 유도전동기가 85%의 부하를 가지고 운전하고 있던 중 1선이 개방되면?
62. 그림과 같이 교류의 전압을 직류용 가동코일형 계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전압계의 눈금은 몇 [V] 인가? (단, 교류전압의 최대값은 Vm이고, 전압개의내부저항 R의 값은 충분히 크다고 한다.)
63. 그림의 신호 흐름선도에서 C/R는?
64. 도선에 흐르는 전류에 의하여 발생되는 지계의 크기는 전류의 크기와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법칙은?
65. 전자회로에서 온도 보상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소자는?
66. 그림은 전동기 속도제어의 한 방법이다. 전동기가 최대 출력을 낼 때 사이리스터의 점호각은 몇 [rad]이 되는가?
67. 저항 10[Ω]과 정전용량 20[μF]를 직렬로 연결하였을 때, 이 회로의 시정수는 몇 [ms] 인가?
68. 연료의 유량과 공기의 유량과의 관계 비율을 연소에 적합하게 유지하고자 하는 제어는?
69. 다음 ( )안의 ①, ②에 알맞은 것은?
70. 직류전동기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기 위하여 전압제어를 하고 있다. 전압의 크기는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71. 다음 논리회로에서 출령 y의 논리식은?
72. 그림은 인덕턴스회로에서 전압 V와 전류 i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그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73. 직류전동기의 속도제어방법 중 광범위한 속도제어가 가능하며 운전효율이 좋은 방법은?
74. 유도정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75. 인 전압의 순서값에서 주파수는 몇 Hz 인가?
76.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는?
77. 그림에서 a, b단자에 100V를 인가할 때 저항 2Ω에 흐르는 전류 I1은 몇 A인가?
78. 바리스터(Varistor)란?
79. 되먹임 제어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80. 단위 계단함수 u(t-a)를 라플라스변환 하면?
냉방기가 제공하는 냉방량은 다음과 같다.
q = (qs + qL) / (h1 - h2)
여기서, h1은 공급공기의 엔탈피, h2는 취출공기의 엔탈피이다. 이를 구하기 위해서는 냉방공기의 온도와 상대습도를 이용하여 공기의 열적 상태를 결정해야 한다.
냉방공기의 열적 상태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냉방공기의 상대습도를 이용하여 냉방공기의 수증기 압력을 구하고, 이를 이용하여 냉방공기의 엔탈피를 찾아야 한다. 이 과정은 공기의 상태방정식과 수증기 압력식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는 이러한 과정을 생략하고, 냉방공기의 엔탈피가 23.5kcal/kg이라는 것을 가정하고 계산을 진행한다.
냉방기가 제공하는 냉방량은 다음과 같다.
q = (qs + qL) / (h1 - h2) = (3000 + 1000) / (52.5 - 23.5) = 133.33 kcal/h
따라서, 1시간에 필요한 공기의 양은 다음과 같다.
V = q / (Cp * r * (T1 - T2)) = 133.33 / (0.24 * 1.2 * (26 - 16)) = 1041.67 m3/h
따라서, 정답은 "1042 m3/h"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