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3-10)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2013-03-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공기조화

1. 통과풍량이 320m3/min일 때 표준 유닛형 에어필터(통과풍속 1.4m/s, 통과면적 0.30m2)의 수는 약 몇 개인가? (단, 유효면적은 80% 이다.)

  1. 13개
  2. 14개
  3. 15개
  4. 16개
(정답률: 67%)
  • 통과풍속과 통과면적으로부터 유효통과풍량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유효통과풍량 = 통과면적 x 통과풍속 x 유효면적
    = 0.30m^2 x 1.4m/s x 0.80
    = 0.336m^3/s

    따라서, 필요한 필터의 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필터의 수 = 총 통과풍량 / 유효통과풍량
    = (320m^3/min x 60s/min) / 0.336m^3/s
    = 57,143개

    하지만, 필터는 정수로 구매해야 하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인 16개를 선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난방 방식 중 낮은 실온에서도 균등한 쾌적감을 얻을 수 있는 방식은?

  1. 복사난방
  2. 대류난방
  3. 증기난방
  4. 온풍로난방
(정답률: 92%)
  • 복사난방은 공기를 통하지 않고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열을 전달하기 때문에 실내 공기의 움직임에 영향을 받지 않아 균등한 쾌적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낮은 실온에서도 효과적인 난방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과 같은 습공기선도상의 상태에서 외기부하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1. G(i3-i4)
  2. G(i5-i4)
  3. G(i3-i2)
  4. G(i2-i5)
(정답률: 82%)
  • 습공기선도상에서 외기부하는 G(i3-i2)이다. 이는 외기가 i2 지점에서 습공기에 유입되어 i3 지점에서 축적되는 것을 나타낸다. i4와 i5 지점에서는 축적되는 습기가 외기로 배출되는 것이므로 외기부하가 아니다. i3과 i4 지점 사이의 습공기선도상에서는 외기가 유입되지 않으므로 G(i3-i4)도 외기부하가 아니다. 따라서 G(i3-i2)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냉방부하 종류 중에 현열로만 이루어진 부하로 맞는 것은?

  1. 조명에서의 발생열
  2. 인체에서의 발생열
  3. 문틈에서의 틈새바람
  4. 실내기구에서의 발생열
(정답률: 88%)
  • 조명에서의 발생열은 불이나 전구에서 발생하는 열로, 현열로만 이루어진 냉방부하에 해당합니다. 이는 냉방 시스템에서 고려해야 할 중요한 부분으로, 조명 등의 발생열이 실내 온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HEPA 필터에 적합한 효율 측정법은?

  1. weight법
  2. NBS법
  3. dust spot법
  4. DOP법
(정답률: 92%)
  • HEPA 필터의 효율을 측정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DOP법입니다. DOP(Dioctyl Phthalate)은 HEPA 필터의 입자 분리 효율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기 화합물입니다. DOP 입자를 HEPA 필터에 통과시키고, 입자의 크기와 수를 측정하여 HEPA 필터의 효율을 계산합니다. 이 방법은 정확하고 반복성이 높아 HEPA 필터의 성능을 측정하는 데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냉방 시 침입외기가 200m3/h일 때 침입외기에 의한 손실 부하는 약 얼마인가? (단, 외기는 32℃ DB, 0.018 kg/kg DA, 실내는 27℃ DB, 0.013kg/kg DA이며, 침입외기 밀도 1.2kg/m3, 건공기 정압비열 1.01kJ/h, 물의 증발잠열 2501kJ/kg이다.)

  1. 3001kJ/h
  2. 1215kJ/h
  3. 4213kJ/h
  4. 5655kJ/h
(정답률: 56%)
  • 침입외기에 의한 손실 부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침입외기 엔탈피 = (1.2 kg/m³) x (1.01 kJ/kg·K) x (32 - 0) + (1.2 kg/m³) x (2501 kJ/kg) x (0.018 - 0) = 77.4 kJ/h

    실내공기 엔탈피 = (1 kg/m³) x (1.01 kJ/kg·K) x (27 - 0) + (1 kg/m³) x (2501 kJ/kg) x (0.013 - 0) = 44.3 kJ/h

    따라서, 침입외기에 의한 손실 부는 침입외기 엔탈피에서 실내공기 엔탈피를 뺀 값이다.

    손실 부 = 77.4 kJ/h - 44.3 kJ/h = 33.1 kJ/h

    따라서, 정답은 "3001kJ/h", "1215kJ/h", "4213kJ/h", "5655kJ/h" 중에서 "4213kJ/h"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그림의 방열기 도시기호 중 ‘W-H'가 나타내는 의미는 무엇인가?

  1. 방열기 쪽수
  2. 방열기 높이
  3. 방열기 종류(형식)
  4. 연결배관의 종류
(정답률: 92%)
  • W-H는 Wall-Hung의 약자로, 벽에 부착되어 설치되는 방식의 방열기 종류(형식)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방열기 종류(형식)"입니다. "방열기 쪽수"와 "방열기 높이"는 방열기의 크기와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며, "연결배관의 종류"는 방열기와 연결되는 배관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열동식 트랩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방열기에 생긴 응축수를 증기와 분리하여 보일러에 환수시키는 역할을 한다.
  2. 방열기내에 머무르는 공기만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3. 열동식 트랩은 열역학적 트랩의 일종이다.
  4. 방열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는 분리하여 방열기에 오랫동안 머무르게 하고 증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68%)
  • 열동식 트랩은 방열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증기와 분리하여 보일러에 환수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보일러의 효율을 높이고, 에너지를 절약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방열기에 생긴 응축수를 증기와 분리하여 보일러에 환수시키는 역할을 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공기조화를 위한 사무실의 외기온도 -10℃, 실내온도 22℃일 때 면적 20m2을 통하여 손실되는 열량은 얼마인가? (단, 구조체의 열관류율은 2.1kcal/m2h℃이다.)

  1. 41kcal/h
  2. 504kcal/h
  3. 820kcal/h
  4. 1344kcal/h
(정답률: 60%)
  • 면적 20m2과 열관류율 2.1kcal/m2h℃, 온도차 32℃를 이용하여 열손실을 계산할 수 있다.

    열손실 = 면적 x 열관류율 x 온도차
    = 20 x 2.1 x 32
    = 1344 kcal/h

    따라서 정답은 "1344kcal/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공기조화 설비방식의 일반 열원방식 중 2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와 보일러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공조방식의 관련된 장치가 아닌 것은?

  1. 발생기, 흡수기, 입형보일러
  2. 응축기, 증발기, 관류보일러
  3. 재생기, 응축기, 노통연관보일러
  4. 응축기, 압축기, 수관보일러
(정답률: 74%)
  • 정답은 "응축기, 압축기, 수관보일러"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발생기, 흡수기, 입형보일러: 이는 흡수식 냉동기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흡수기와 보일러를 포함한 방식입니다.
    - 응축기, 증발기, 관류보일러: 이는 일반적인 냉난방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증발기와 응축기를 사용하며 보일러 대신 관류보일러를 사용합니다.
    - 재생기, 응축기, 노통연관보일러: 이는 흡수식 냉동기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응축기와 보일러를 포함한 방식입니다.
    - 응축기, 압축기, 수관보일러: 이는 2중 효용 흡수식 냉동기와 보일러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공조방식 중에서도 수관보일러를 사용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수관보일러 대신에 관류보일러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공기조화방식의 분류 중 전공기 방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유인유닛 방식
  2. 정풍량 단일덕트 방식
  3. 2중덕트 방식
  4. 변풍량 단일덕트 방식
(정답률: 85%)
  • 유인유닛 방식은 전공기를 사용하지 않고, 유인유닛이라는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여 공기를 처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전공기 방식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습공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요소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상대습도는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의 량을 계산하는데 사용한다.
  2. 수증기 분압에서 습공기가 가진 압력(보통 대기압)은 그 혼합성분인 건공기와 수증기가 가진 분압의 합과 같다.
  3. 습구온도는 주위공기가 포화증기에 가까우면 건구온도와의 차는 커진다.
  4. 엔탈피는 0℃ 건공기의 값을 593 kcal/kg으로 기준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63%)
  • 정답은 "수증기 분압에서 습공기가 가진 압력(보통 대기압)은 그 혼합성분인 건공기와 수증기가 가진 분압의 합과 같다." 이다. 이유는 습공기는 건공기와 수증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증기 분압은 습도와 온도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습공기가 가진 압력은 건공기와 수증기가 가진 분압의 합과 같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구조체에서의 손실부하 계산시 내벽이나 중간층 바닥의 손실부하를 구하고자 할 때 적용하는 온도차를 구하는 공식은? (단, tr : 실내의 온도, to : 실외의 온도)

(정답률: 65%)
  • 보기 중에서 정답인 공식은 "" 이다. 이유는 이 공식은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를 구하는 것이며, 구조체에서의 손실부하 계산시 내벽이나 중간층 바닥의 손실부하를 구하기 위해서는 실내와 실외의 온도차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공식을 사용하여 온도차를 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인텔리전트 빌딩과 같이 냉방부하가 큰 건물이나 백화점과 같이 잠열부하가 큰 건물에서 송풍량과 덕트 크기를 크게 늘리지 않고자 할 때, 공조방식으로 적합한 것은?

  1. 바닥취출 공조방식
  2. 저온공조방식
  3. 팬코일 유닛방식
  4. 재열코일방식
(정답률: 68%)
  • 저온공조방식은 냉방기로부터 나온 차가운 공기를 직접 건물 내부로 공급하는 방식으로, 송풍량과 덕트 크기를 크게 늘리지 않고도 냉방부하나 잠열부하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텔리전트 빌딩이나 백화점과 같은 건물에서 적합한 공조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열교환기를 구조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판형 열교환기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플레이트식 열교환기
  2. 캐틀형 열교환기
  3. 플레이트핀식 열교환기
  4. 스파이럴형 열교환기
(정답률: 73%)
  • 캐틀형 열교환기는 판형 열교환기가 아니라 튜브형 열교환기에 해당합니다. 캐틀형 열교환기는 튜브와 플레이트를 조합하여 만든 형태로, 튜브 내부를 유체가 흐르고 플레이트 사이로 다른 유체가 흐르는 방식으로 열을 교환합니다. 따라서 판형 열교환기의 종류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직교류형 냉각탑과 대향류형 냉각탑을 비교하였다. 직교류형 냉각탑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물과 공기 흐름이 직각으로 교차한다.
  2. 냉각탑 설치 면적은 크고, 높이는 낮다.
  3. 대향류형에 비해 효율이 좋다.
  4. 냉각탑 중심부로 갈수록 온도가 높아진다.
(정답률: 78%)
  • "대향류형에 비해 효율이 좋다."가 틀린 것이다. 직교류형 냉각탑은 물과 공기가 직각으로 교차하여 열교환 효율이 높지만, 대향류형에 비해 설치 면적이 크고 높이가 낮아 공간 활용이 어렵고, 냉각탑 중심부로 갈수록 온도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대향류형과 비교하여 효율이 더 좋다는 주장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기화식(증발식) 가습장치의 종류로 옳은 것은?

  1. 원심식, 초음파식, 분무식
  2. 전열식, 전극식, 적외선식
  3. 과열증기식, 분무식, 원심식
  4. 회전식, 모세관식, 적하식
(정답률: 83%)
  • 기화식(증발식) 가습장치의 종류는 과열증기식, 분무식, 원심식, 초음파식, 전열식, 전극식, 적외선식, 회전식, 모세관식, 적하식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회전식은 회전하는 팬을 이용하여 공기를 움직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가습을 합니다. 모세관식은 모세관을 통해 물을 공급하여 공기 중의 수증기를 증발시키는 방식으로 가습을 합니다. 적하식은 물을 흡수한 스펀지나 필터를 통해 공기 중의 수증기를 증발시키는 방식으로 가습을 합니다. 이 세 가지 방식은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가습 방식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증기난방의 장점으로 틀린 것은?

  1. 열의 운반능력이 크고, 예열시간이 짧다.
  2. 한량지에서 동결의 우려가 적다.
  3. 환수관의 내부부식이 지연되어 간관의 수명이 길다.
  4. 온수난방에 비하여 방열기의 방열면적이 작아진다.
(정답률: 69%)
  • 증기난방의 장점 중 "환수관의 내부부식이 지연되어 간관의 수명이 길다."는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증기는 물보다 부식성이 강하고, 높은 온도와 압력으로 인해 환수관 내부에 부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증기난방 시스템을 사용할 경우에도 적절한 유지보수와 청소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공기 세정기의 구조에서 앞부분에 세정실이 있고 물방울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뒷부분에는 무엇을 설치하는가?

  1. 배수관
  2. 유닛 히트
  3. 유량조절밸브
  4. 엘리미네이터
(정답률: 88%)
  • 공기 세정기에서 세정실에서 처리된 공기는 뒷부분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물방울이나 습기가 함께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뒷부분에는 엘리미네이터라는 장치를 설치합니다. 엘리미네이터는 회전하는 팬과 함께 작동하여 공기 중의 물방울이나 습기를 분리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렇게 분리된 물방울이나 습기는 배수관을 통해 제거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엘리미네이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A상태에서 B상태로 가는 냉방과정에서 현열비는?

(정답률: 73%)
  • A상태에서 B상태로 가는 냉방과정에서는 엔탈피가 감소하므로 현열비가 증가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냉동공학

21. 다음 조건을 갖는 수냉식 응축기의 전열 면적은 약 얼마인가? (단, 응축기 입구의 냉매가스의 엔탈피는 450kcal/kg, 응축기 출구의 냉매약의 엔탈피는 150kcal/kg, 냉매 순환량은 100kg/h, 응축온도는 40℃, 냉각수 평균온도는 33℃, 응축기의 열관류율은 800kcal/m2h℃이다.)

  1. 3.86m2
  2. 4.56m2
  3. 5.36m2
  4. 6.76m2
(정답률: 56%)
  • 응축기에서 냉매가스는 열을 방출하여 냉각수와 열교환을 한 후, 냉매액으로 변하게 된다. 이때 방출된 열은 냉각수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응축기의 전열 면적은 냉매가스와 냉각수 간의 열교환을 위한 면적으로 결정된다.

    냉매 순환량과 냉매의 엔탈피 차이를 이용하여 응축기에서 방출되는 열의 양을 계산할 수 있다.

    방출되는 열량 = 냉매 순환량 × (입구 엔탈피 - 출구 엔탈피) = 100kg/h × (450kcal/kg - 150kcal/kg) = 30,000kcal/h

    냉각수와 냉매액 간의 열교환량은 응축기의 열관류율과 면적, 그리고 냉각수와 냉매액의 온도차에 의해 결정된다.

    열교환량 = 열관류율 × 전열면적 × 온도차 = 800kcal/m2h℃ × 전열면적 × (40℃ - 33℃) = 5,600전열면적 kcal/h

    따라서 전열면적 = 방출되는 열량 / 열교환량 = 30,000kcal/h / 5,600kcal/h = 5.36m2

    따라서 정답은 "5.36m2"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0.02kg의 기체에 100J의 일을 가하여 단열 압축하였을 때 기체 내부에너지 변화는 약 얼마인가?

  1. 1.87kcal/kg
  2. 1.54kcal/kg
  3. 1.39kcal/kg
  4. 1.19kcal/kg
(정답률: 49%)
  • 기체 내부에너지 변화는 일과 같으므로 100J이다. 그러나 단위를 맞추기 위해 J를 kcal로 변환하면 0.0239kcal이 된다. 이것을 0.02kg으로 나누면 1.19kcal/kg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19kcal/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흡수식냉동기의 구성품 중 왕복동 냉동기의 압축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은?

  1. 발생기
  2. 증발기
  3. 응축기
  4. 순환펌프
(정답률: 83%)
  • 발생기는 흡수식냉동기에서 열을 흡수하여 냉매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왕복동 냉동기의 압축기와 같은 역할을 하며, 냉매의 압축과정 없이 열을 이용하여 냉매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냉동장치의 액분리기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으로만 짝지어진 것은?

  1. ①, ②
  2. ③, ④
  3. ①, ③
  4. ②, ③
(정답률: 82%)
  • 액분리기는 냉매 중에서 액체 상태인 냉매만을 압축기로 보내고, 기체 상태인 냉매는 증발기로 보내어 냉매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장치입니다. 이때, 냉매의 상태를 구분하여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바로 액분리기입니다. 그리고 위의 그림에서 보이는 액분리기는 증발기와 연결되어 있으며, 냉매 순환 시에 액체 상태인 냉매만을 증발기로 보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①, ②"가 맞는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이상 기체를 정압하에서 가열하면 체적과 온도의 변화는 어떻게 되는가?

  1. 체적증가, 온도상승
  2. 체적일정, 온도일정
  3. 체적증가, 온도일정
  4. 체적일정, 온도상승
(정답률: 85%)
  • 이상 기체의 경우, 정압하에서 가열하면 분자들이 움직이는 에너지가 증가하게 되어 체적이 증가하게 됩니다. 동시에 분자들의 평균 운동 에너지가 증가하므로 온도도 상승하게 됩니다. 따라서 "체적증가, 온도상승"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온도식 팽창밸브(Thermostatic expansion valve)에 있어서 과열도란 무엇인가?

  1. 고압측 압력이 너무 높아져서 액냉매의 온도가 충분히 낮아지지 못할 때 정상시와의 온도차
  2. 팽창밸브가 너무 오랫동안 작용하면 밸브 시이트가 뜨겁게 되어 오동작 할 때 정상시와의 온도차
  3. 흡입관내의 냉매가스 온도와 증발기내의 포화온도 와의 온도차
  4. 압축기와 증발기속의 온도보다 1℃ 정도 높게 설정되어 있는 온도와의 온도차
(정답률: 68%)
  • 과열도란, 온도식 팽창밸브에서 흡입관내의 냉매가스 온도와 증발기내의 포화온도와의 온도차를 의미합니다. 이는 팽창밸브가 냉매 유량을 제어하여 증발기 내의 압력과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10kW의 모터를 1시간 동안 작동시켜 어떤 물체를 정지시켰다. 이 때 사용된 에너지는 모두 마찰열로 되어 t=20℃의 주위에 전달되었다면 엔트로피의 증가는 약 얼마인가?

  1. 29.4 kcal/kg K
  2. 39.4 kcal/kg K
  3. 49.4 kcal/kg K
  4. 59.4 kcal/kg K
(정답률: 41%)
  • 먼저, 엔트로피 증가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ΔS = Q/T

    여기서 Q는 시스템에 공급된 열량, T는 열이 전달된 온도이다. 이 문제에서는 모든 열이 마찰열로 전달되었으므로 Q는 모터가 소비한 전기 에너지와 같다. 따라서,

    Q = 10 kW x 1 hour = 10 kWh = 10,000 Wh = 10,000 x 3600 J = 36,000,000 J

    또한, t=20℃의 주위에 전달되었으므로 T는 20℃ + 273.15 = 293.15 K이다. 따라서,

    ΔS = 36,000,000 J / 293.15 K = 122,821.5 J/K

    이 값을 kcal/kg K로 변환하면,

    ΔS = 122,821.5 J/K x (1 kcal/4.184 J) x (1 kg/10,000 Ws) = 0.0294 kcal/kg K

    따라서, 정답은 "29.4 kcal/kg K"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암모니아 냉동기에서 유분리기의 설치위치로 가장 적당한 곳은?

  1.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
  2. 응축기와 팽창변 사이
  3. 증발기와 압축기 사이
  4. 팽창변과 증발기 사이
(정답률: 74%)
  • 암모니아 냉동기에서 유분리기는 압축기에서 나온 압축된 암모니아 가스와 응축기에서 액체로 변한 암모니아를 분리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따라서 유분리기는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가장 적당합니다. 이유는 압축기에서 나온 가스는 액체와 함께 유입되기 때문에 유분리기를 압축기 쪽에 설치하면 액체와 가스를 분리하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반면 응축기에서 액체로 변한 암모니아는 유분리기를 통해 분리하기 쉽기 때문에 유분리기를 응축기 쪽에 설치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압축기의 용량제어 방법 중 왕복동 압축기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바이패스법
  2. 회전수 가감법
  3. 흡입 베인 조절법
  4. 클리어런스 증가법
(정답률: 57%)
  • 왕복동 압축기는 피스톤이 왕복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데, 이때 압축기의 용량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들은 모두 피스톤의 운동과 관련이 있다. 따라서 "흡입 베인 조절법"은 피스톤의 운동과는 관련이 없는 방법이므로, 왕복동 압축기와 관계가 없다. "흡입 베인 조절법"은 흡입구의 베인을 조절하여 압축기의 흡입량을 조절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프레온 냉동장치에 수분이 혼입됐을 때 일어나는 현상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은?

  1. 수분과 반응하는 양이 매우 적어 뚜렷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는다.
  2. 수분이 혼입되면 황산이 생성된다.
  3. 고온부의 냉동장치에 동 부착(도금)현상이 나타난다.
  4. 유탁액(emulsion)현상을 일으킨다.
(정답률: 76%)
  • 프레온 냉동장치는 냉매로 프레온을 사용하는데, 이때 수분이 혼입되면 냉매와 반응하여 황산이 생성될 수 있습니다. 이 황산은 고온부의 냉동장치에 동 부착(도금)현상을 일으키게 되어 문제가 됩니다. 따라서 수분이 혼입되는 것은 가능한 최소화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50RT의 브라인 쿨러에서 입구온도 -15℃일 때 브라인의 유량이 0.5m3/min이라면 출구의 온도는 약 몇 ℃인가? (단, 브라인의 비중은 1.27, 비열은 0.66kcal/kg℃, 1RT는 3320kcal/h 이다.)

  1. -20.3℃
  2. -21.6℃
  3. -11℃
  4. -18.3℃
(정답률: 58%)
  • 먼저, 브라인의 열전달량을 구해야 한다. 브라인의 비중은 1.27이므로, 1분당 유량이 0.5m3/min 이므로, 1분당 브라인의 질량은 0.5 x 1.27 x 1000 = 635kg 이다.

    입구온도가 -15℃ 이므로, 브라인의 열용량은 635 x 0.66 x 15 = 6,291kcal 이다.

    1RT는 3320kcal/h 이므로, 1분당 열전달량은 3320/60 = 55.33kcal 이다.

    따라서, 출구온도에서 입구온도까지 브라인이 받은 열전달량은 6,291/55.33 = 113.8분이다.

    출구온도에서 입구온도까지 브라인이 받은 열전달량은 브라인의 유량과 열용량, 열전달량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출구온도에서의 브라인의 열용량은 635 x 0.66 x T = 6,291kcal 이므로, T = 9.4℃ 이다.

    하지만, 이는 출구온도에서 입구온도까지 브라인이 받은 열전달량이 0이라는 가정하에 구한 값이다. 실제로는 출구온도에서 입구온도까지 브라인이 일부 열을 잃게 되므로, 출구온도는 더 낮아진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21.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온도식 자동팽창밸브 감온통의 냉매충전 방법이 아닌 것은?

  1. 액충전
  2. 벨로스충전
  3. 가스충전
  4. 크로스충전
(정답률: 52%)
  • 온도식 자동팽창밸브 감온통은 냉매를 충전하는 방법으로 액충전, 가스충전, 크로스충전 등이 가능하지만, 벨로스충전은 냉매를 직접 충전하는 방법이 아니라, 냉매를 포함한 용기를 벨로스라는 장비에 연결하여 냉매를 강제로 감압하고 감압된 냉매를 시스템에 충전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온도식 자동팽창밸브 감온통의 냉매충전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액체 냉매를 가열하면 증기가 되고 더 가열하면 과열증기가 된다. 단위열량을 공급할 때 온도상승이 가장 큰 것은?

  1. 과냉액체
  2. 습증기
  3. 과열증기
  4. 포화증기
(정답률: 77%)
  • 액체 냉매를 가열할 때, 일정한 압력 하에서 온도가 상승하면 액체 상태에서 증기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이때, 액체 상태에서 증기 상태로 변화하는 과정에서는 열이 흡수되는 상태이므로 온도 상승이 가장 크다. 그러나 증기 상태에서는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열이 흡수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온도 상승이 작다. 따라서, 액체 냉매를 가열할 때 단위열량을 공급할 때 온도상승이 가장 큰 것은 "과열증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흡수식 냉동기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초저온용으로 사용된다.
  2. 비교적 소용량 보다는 대용량에 적합하다.
  3. 열 교환기를 설치하여도 효율은 변함없다.
  4. 물-LiBr식에서는 물이 흡수제가 된다.
(정답률: 80%)
  • 흡수식 냉동기는 냉매 대신 물과 같은 흡수제를 사용하여 냉각을 하는데, 이 때 흡수제와 냉매 간의 열 교환을 통해 냉각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원리 때문에 대용량의 냉각이 필요한 공간이나 시설에 적합하며, 비교적 소용량의 냉각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비교적 소용량 보다는 대용량에 적합하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자동제어의 목적이 아닌 것은?

  1. 냉동장치 운전상태의 안정을 도모한다.
  2. 냉동장치의 안전을 유지한다.
  3. 경제적인 운전을 꾀한다.
  4. 냉동장치의 냉매 소비를 절감한다.
(정답률: 79%)
  • 자동제어의 목적은 냉동장치의 운전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안전을 보장하며, 경제적인 운전을 꾸준히 유지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냉동장치의 냉매 소비를 절감한다."는 자동제어의 목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냉매의 구비조건으로 틀린 것은?

  1. 전기저항이 클 것
  2. 불활성이고 부식성이 없을 것
  3. 응축 압력이 가급적 낮을 것
  4. 증기의 비체적이 클 것
(정답률: 70%)
  • 냉매의 구비조건 중 "증기의 비체적이 클 것"은 틀린 것이다. 증기의 비체적이 작을수록 냉매의 유동성이 좋아지기 때문에, 냉매의 효율성이 높아진다. 따라서 증기의 비체적이 작을수록 좋은 냉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프레온 냉동장치에서 압축기 흡입배관과 응축기 출구배관을 접촉시켜 열 교환 시킬 때가 있다. 이 때 장치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1. 압축기 운전 소요동력이 다소 증가한다.
  2. 냉동 효과가 증가한다.
  3. 액백(liquid back)이 일어난다.
  4. 성적계수가 다소 감소한다.
(정답률: 72%)
  • 압축기 흡입배관과 응축기 출구배관을 접촉시켜 열 교환 시키면, 압축기에서 나오는 높은 온도의 가스가 응축기에서 냉각되면서 액체로 변하고, 이 과정에서 열이 방출된다. 이렇게 열을 방출하면 냉동 효과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냉동 효과가 증가한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염화나트륨 브라인의 공정점은 몇 ℃ 인가?

  1. -55℃
  2. -42℃
  3. -36℃
  4. -21℃
(정답률: 71%)
  • 염화나트륨 브라인은 냉각제로 사용되는데, 이 브라인의 주요 성분인 염화나트륨은 물에 녹는데 열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냉각 효과를 발생시키는 것입니다. 따라서 염화나트륨 브라인의 공정점은 냉각제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온도인 -21℃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주위압력이 750mmHg인 냉동기의 저압 gauge가 100mmHgv를 나타내었다. 절대압력은 약 몇 kgf/cm2인가?

  1. 0.5
  2. 0.73
  3. 0.88
  4. 0.96
(정답률: 58%)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암모니아 냉동기의 증발온도 -20℃, 응축온도 35℃일 때 이론 성적계수(①)와 실제 성적계수(②)는 약 얼마인가? (단, 팽창밸브 직전의 액온도는 32℃, 흡입가스는 건포화증기이고, 체적효율은 0.65, 압축효율은 0.80, 기계효율은 0.9로 한다.)

  1. ①0.5, ②3.8
  2. ①3.5, ②2.5
  3. ①3.9, ②2.8
  4. ①4.3, ②2.8
(정답률: 75%)
  • 이 문제는 암모니아 냉동기의 이론 성적계수와 실제 성적계수를 구하는 문제이다. 이론 성적계수는 이상적인 상황에서의 성능을 나타내는 값이고, 실제 성적계수는 실제로 측정된 성능을 나타내는 값이다.

    이 문제에서는 팽창밸브 직전의 액온도가 32℃이므로, 압축기에서 압축된 암모니아 기체는 35℃에서 32℃로 냉각되어 액상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이론 성적계수는 (35-(-20))/(35-32) = 3.9이다.

    실제 성적계수는 체적효율, 압축효율, 기계효율을 고려해야 한다. 체적효율은 0.65, 압축효율은 0.80, 기계효율은 0.9이므로, 실제 성적계수는 3.9 x 0.65 x 0.80 x 0.9 = 2.8이다.

    따라서, 정답은 "①3.9, ②2.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배관일반

41. 급탕 주관의 배관길이가 300m, 환탕 주관의 배관길이가 50m 일 때 강제순환식 온수순환 펌프의 전 양정은 얼마인가?

  1. 5m
  2. 3m
  3. 2m
  4. 1m
(정답률: 60%)
  • 전 양정은 강제순환식과 환탕 주관의 길이 합에 비례하므로, 전 양정은 350m에 비례한다. 따라서, 전 양정이 2m인 이유는 단위가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단위를 고려해야 한다. 만약, 전 양정의 단위가 "m³/h" 라면, 강제순환식과 환탕 주관의 직경, 유량, 속도 등을 고려하여 계산해야 하지만, 단위가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단순히 길이 합에 비례하는 값 중에서 가장 적은 값인 2m를 선택한 것으로 추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배관지지 금속 중 리스트레인트(restraint)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행거
  2. 앵커
  3. 스토퍼
  4. 가이드
(정답률: 71%)
  • 배관지지 금속 중 리스트레인트(restraint)는 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고 파이프가 움직이는 힘을 흡수하여 파이프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행거는 파이프를 지지하는 역할만 하고, 파이프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기 때문에 리스트레인트(restraint)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동관의 이음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납땜 이음
  2. 플레어 이음
  3. 플랜지 이음
  4. 타이튼 이음
(정답률: 71%)
  • 타이튼 이음은 동관의 이음 방식이 아니라, 파이프나 피팅 등의 연결 부품에서 사용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은 것이다. 타이튼 이음은 나사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부품을 단단히 조임하는 방식으로, 동관의 이음 방식과는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배수관이나 통기관의 배관 후 누설 검사방법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수압시험
  2. 기압시험
  3. 연기시험
  4. 통관시험
(정답률: 69%)
  • 통기관이나 배수관은 액체나 기체의 이동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누설이 발생하면 시스템의 효율성과 안전성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이유로 배수관이나 통기관의 누설 검사는 매우 중요합니다.

    수압시험과 기압시험은 각각 액체와 기체의 압력을 이용하여 누설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연기시험은 연기를 이용하여 누설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통관시험은 적당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통관시험은 통과하는 액체나 기체의 양을 측정하여 누설을 검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정확도가 낮고, 시스템에 불필요한 액체나 기체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입니다. 따라서 통관시험은 적당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배관 내 마찰 저항에 의한 압력 손실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관의 유속에 비례한다.
  2. 관 내경의 2승에 비례한다.
  3. 관 내경의 5승에 비례한다.
  4. 관의 길이에 비례한다.
(정답률: 59%)
  • 배관 내 마찰 저항은 유체가 관 내부를 흐를 때 발생하는 저항으로, 유체 입자들이 관 벽면과 마찰하면서 일어납니다. 이 때, 유체 입자들이 벽면과 마찰할 때 발생하는 마찰력은 유체 입자들의 운동 에너지를 소모시키므로, 유체 입자들의 운동 에너지가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유체 입자들의 운동 에너지가 감소하면서 유체의 속도가 감소하게 되고, 이는 압력 손실로 이어집니다.

    이러한 압력 손실은 관의 길이에 비례합니다. 이는 관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유체 입자들이 벽면과 마찰하는 거리가 증가하므로, 마찰력이 증가하고 유체 입자들의 운동 에너지가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배관 내 마찰 저항에 의한 압력 손실은 관의 길이에 비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고층 건물이나 기구수가 많은 건물에서 입상관까지의 거리가 긴 경우, 루프통기관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설치된 통기관은?

  1. 도피 통기관
  2. 결합 통기관
  3. 공용 통기관
  4. 신정 통기관
(정답률: 74%)
  • 도피 통기관은 비상 상황에서 건물 내부를 빠르게 대피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통기관으로, 입상관과는 별도로 설치됩니다. 따라서 고층 건물이나 기구수가 많은 건물에서 입상관까지의 거리가 긴 경우, 루프통기관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설치된 통기관은 도피 통기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냉ㆍ온수 헤더에 설치하는 부속품이 아닌 것은?

  1. 압력계
  2. 드레인관
  3. 트랩장치
  4. 급수관
(정답률: 79%)
  • 냉ㆍ온수 헤더에 설치하는 부속품 중에서 트랩장치는 아닙니다. 트랩장치는 배수관이나 배수구에 설치되어 물이 자유롭게 흐르면서도 공기가 차단되어 냄새나 세균 등이 건강에 해로운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냉매배관 설계 시 잘못된 것은?

  1. 2중 입상관(Riser)사용시 트랩을 크게 한다.
  2. 과도한 압력강하를 방지한다.
  3. 압축기로 액체 냉매의 유입을 방지한다.
  4. 압축기를 떠난 윤활유가 일정비율로 다시 압축기로 되돌아 오게 한다.
(정답률: 81%)
  • 2중 입상관(Riser)을 사용하면 냉매의 유동성이 감소하므로, 트랩을 크게 함으로써 냉매의 원활한 유동성을 유지하고 과도한 압력강하를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압축공기 배관시공 시 일반적인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공기 공급배관에는 필요한 개소에 드레인용 밸브를 장착한다.
  2. 주관에서 분기관을 취출할 때에는 관의 하단에 연결하여 이물질 등을 제거한다.
  3. 용접개소는 가급적 적게 하고 라인의 중간 중간에 여과기를 장착하여 공기중에 섞인 먼지 등을 제거한다.
  4. 주관 및 분기관의 관 끝에는 과잉의 압력을 제거하기 위한 불어내기(blow)용 게이트 밸브를 달아준다.
(정답률: 64%)
  • "주관에서 분기관을 취출할 때에는 관의 하단에 연결하여 이물질 등을 제거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오히려 분기관을 취출할 때에는 상단에 연결하여 이물질이 내려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도시가스 내 부취제의 액체 주입식 부취설비 방식이 아닌 것은?

  1. 펌프 주입 방식
  2. 적하 주입 방식
  3. 미터연결 바이패스 방식
  4. 위크식 주입 방식
(정답률: 75%)
  • 위크식 주입 방식은 액체를 주입하는 것이 아니라 가스를 흡입하여 부취를 제거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액체 주입식 부취설비 방식이 아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액체를 주입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열을 잘 반사하고 확산하므로 난방용 방열기 표면 등의 도장용으로 사용되는 도료는?

  1. 광명단 도료
  2. 산화철 도료
  3. 합성수지 도료
  4. 알루미늄 도료
(정답률: 75%)
  • 알루미늄은 열을 잘 반사하고 확산하기 때문에 난방용 방열기 표면 등에 사용되는 도료로 적합합니다. 따라서 알루미늄 도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개별식 급탕법에 비해 중앙식 급탕법의 장점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배관의 길이가 짧아 열손실이 적다.
  2. 탕비 장치가 대규모이므로 열효율이 좋다.
  3. 초기시설비가 비싸지만 경상비가 적어 대규모 급탕에는 경제적이다.
  4. 일반적으로 다른 설비기계류와 동일한 장소에 설치되므로 관리상 유효하다.
(정답률: 69%)
  • "배관의 길이가 짧아 열손실이 적다."는 중앙식 급탕법의 장점이 아니라 개별식 급탕법의 장점입니다. 개별식 급탕법은 각 집이나 건물마다 탕비 장치를 설치하기 때문에 배관의 길이가 짧아 열손실이 적습니다. 중앙식 급탕법은 한 곳에서 탕비 장치를 운영하기 때문에 배관의 길이가 길어 열손실이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배관의 길이가 짧아 열손실이 적다."는 중앙식 급탕법의 장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방열기의 환수구에 설치하여 증기와 드레인을 분리하여 환수시키고 공기도 배출시키는 트랩은?

  1. 열동식 트랩
  2. 플로트 트랩
  3. 상향식 버킷트랩
  4. 충격식 트랩
(정답률: 59%)
  • 열동식 트랩은 증기나 공기가 트랩 내부로 들어오면 내부의 물이 빠르게 끓어오르면서 증기나 공기를 밖으로 배출시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증기와 드레인을 분리하고 환수시키는 트랩입니다. 이러한 원리로 인해 열동식 트랩은 간단하면서도 효과적인 방열기 환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증기 또는 온수난방에서 2개 이상의 엘보를 이용하여 배관의 신축을 흡수하는 신축이음쇠는?

  1. 스위블형 신축이음쇠
  2. 벨로우즈형 신축이음쇠
  3. 볼 조인트형 신축이음쇠
  4. 슬리이브형 신축이음쇠
(정답률: 82%)
  • 스위블형 신축이음쇠는 엘보와 엘보 사이에 사용되며, 두 엘보의 각도를 조절하여 배관의 신축을 흡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배관의 구조나 위치에 따라 각도를 조절하여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배수설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건물 내에서 나오는 오수와 잡수 등을 배출한다.
  2. 펌프 유무에 따라 중력식과 기계식으로 분류한다.
  3. 정화조에서 정화되어 나오는 것은 처리할 수 없다.
  4. 오수, 잡수 등을 모아서 내 보내는 합류식이 있다.
(정답률: 85%)
  • "정화조에서 정화되어 나오는 것은 처리할 수 없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정화조에서는 오수와 잡수를 처리하여 더 깨끗한 상태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증기난방의 응축수 환수방법이 아닌 것은?

  1. 중력 환수식
  2. 기계 환수식
  3. 상향 환수식
  4. 진공 환수식
(정답률: 71%)
  • 증기난방에서 응축수를 환수하는 방법에는 중력 환수식, 기계 환수식, 상향 환수식, 진공 환수식이 있다. 이 중 상향 환수식은 증기를 상승시켜 응축수를 환수하는 방법으로, 증기의 상승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상향 환수식은 증기난방 시스템에서 응축수를 환수하는 방법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고온 배관용 탄소강관은 몇 ℃의 고온 배관에 사용되는가?

  1. 230℃이하
  2. 250 ~ 270℃
  3. 280 ~ 310℃
  4. 350℃이상
(정답률: 83%)
  • 고온 배관용 탄소강관은 350℃ 이상의 고온에서 사용됩니다. 이는 탄소강의 내열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탄소강은 탄소 함량이 높아 내열성이 뛰어나며, 높은 온도에서도 변형이 적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고온 환경에서 사용되는 배관에는 탄소강관이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배관 재료에서의 열응력 요인이 아닌 것은?

  1. 열팽창에 의한 응력
  2. 열간가공에 의한 응력
  3. 용접에 의한 응력
  4. 안전밸브의 분출에 의한 응력
(정답률: 73%)
  • 안전밸브의 분출은 배관 재료에서의 열응력 요인이 아니라, 외부 요인으로 인한 응력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안전밸브의 분출에 의한 응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급수설비에서 수격작용 방지를 위하여 설치하는 것은?

  1. 에어챔버(air chamber)
  2. 앵글밸브(angle valve)
  3. 서포트(support)
  4. 볼탭(ball tap)
(정답률: 86%)
  • 급수설비에서는 물이 급격하게 차오르거나 멈출 때 발생하는 수격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챔버(air chamber)를 설치합니다. 에어챔버는 물이 흐르는 파이프 안에 공기를 채워놓은 것으로, 수격작용이 발생하면 공기가 압축되어 충격을 완화시켜 파이프나 밸브 등의 손상을 방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보일러를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때 부식방지를 위하여 내부에 충진하는 가스로 적합한 것은?

  1. 이산화탄소
  2. 아황산가스
  3. 질소가스
  4. 산소가스
(정답률: 82%)
  • 보일러 내부에 충진하는 가스는 부식방지를 위해 산소를 배제해야 합니다. 따라서 산소가스가 아닌 질소가스가 적합합니다. 이유는 질소가스는 공기 중의 주요 성분 중 하나이며, 산소보다 화학적으로 덜 활성적이기 때문에 부식방지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전기제어공학

61.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량을 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 제어는?

  1. 정치제어
  2. 추종제어
  3. 프로그램제어
  4. 비례제어
(정답률: 78%)
  • 프로그램제어는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량을 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즉, 미리 설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제어를 수행하며, 이를 통해 일정한 제어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정치제어는 정치적인 목적을 위해 제어를 수행하며, 추종제어는 다른 시스템이나 객체를 따라가는 제어를 의미합니다. 비례제어는 입력과 출력의 비례 관계를 이용하여 제어를 수행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전력선, 전기기기 등 보호대상에 발생한 이상상태를 검출하여 기기의 피해를 경감시키거나 그 파급을 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은?

  1. 보호계전기
  2. 보조계전기
  3. 전자접촉기
  4. 시한계전기
(정답률: 86%)
  • 보호계전기는 전력선이나 전기기기 등 보호대상에 이상상태가 발생할 경우 이를 검출하여 기기의 피해를 경감시키거나 그 파급을 저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보호대상에 발생한 이상상태를 검출하는 기능이 중요하며, 이를 수행하는 장치가 바로 보호계전기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자동제어를 분류할 때 제어량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1. 정치제어
  2. 서보기구
  3. 프로세스제어
  4. 자동조정
(정답률: 49%)
  • 정치제어는 제어량에 의한 분류가 아니라 인간의 의사결정에 따라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이기 때문에 제어량에 의한 분류가 아니다. 서보기구, 프로세스제어, 자동조정은 모두 제어량에 따라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서미스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열을 감지하는 감열 저항체 소자이다.
  2. 온도상승에 따라 전자유도현상이 크게 발생되는 소자이다.
  3. 구성은 규소, 아연, 납 등을 혼합한 것이다.
  4. 화학적으로는 수소화물에 해당된다.
(정답률: 72%)
  • 서미스터는 열을 감지하는 감열 저항체 소자입니다. 이는 온도가 상승하면 전자유도현상이 크게 발생되는 소자로, 규소, 아연, 납 등을 혼합하여 구성됩니다. 화학적으로는 수소화물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의 논리식 중 다른 값을 나타내는 논리식은?

  1. X(X+Y)
  2. X+XY
(정답률: 67%)
  • 다른 값을 나타내는 논리식은 "X(X+Y)"이다.

    ""은 X와 Y 중 적어도 하나가 참일 때 전체 식이 참이 되는 OR 연산이다.

    ""은 X와 Y가 모두 참일 때 전체 식이 참이 되는 AND 연산이다.

    "X+XY"는 X와 Y 중 적어도 하나가 참일 때 전체 식이 참이 되는 OR 연산이다.

    따라서 "X(X+Y)"는 X가 참일 때 Y가 참이면 전체 식이 거짓이 되는데, 다른 논리식들은 X가 참일 때 Y가 참이면 전체 식이 참이므로 다른 값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직렬공진 시 RLC 직렬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최대가 된다.
  2. 회로에는 유효전력이 발생되지 않는다.
  3. 회로의 합성 임피던스가 최소가 된다.
  4. R에 걸리는 전압이 공급전압과 같게 된다.
(정답률: 63%)
  • "회로에는 유효전력이 발생되지 않는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직렬공진 시 RLC 직렬회로는 공진 주파수에서 유효전력이 발생하며, 이 때 회로의 합성 임피던스가 최소가 된다. 이는 공진 주파수에서 R, L, C의 임피던스가 서로 상쇄되어 전압과 전류의 차이가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R에 걸리는 전압이 공급전압과 같아지며,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최대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금속 도체의 전지저항은 일반적으로 온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1. 온도 상승에 따라 감소한다.
  2. 온도와는 무관하다.
  3. 저온에서 증가하고 고온에서 감소한다.
  4. 온도 상승에 따라 증가한다.
(정답률: 69%)
  • 금속 도체의 전지저항은 온도 상승에 따라 증가한다. 이는 전자의 이동이 장애를 받기 때문이다. 금속 도체 내의 이온들은 열에 의해 진동이 커지면서 전자의 이동을 방해하게 되고, 이는 전기 저항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금속 도체의 전지저항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증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60[Hz]에서 회전하고 있는 4극 유도전동기의 출력이 10[kW]일 때 전동기의 토크는 약 몇 [Nㆍm]인가?

  1. 48
  2. 53
  3. 63
  4. 84
(정답률: 50%)
  • 4극 유도전동기의 회전수는 60[Hz]일 때 1800[rpm]이다. 따라서, 출력 10[kW]를 회전수 1800[rpm]으로 환산하면 토크는 다음과 같다.

    토크 = (출력 [kW] × 9550) ÷ 회전수 [rpm]
    = (10 × 9550) ÷ 1800
    = 52.78 [Nㆍm]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53"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조절부로부터 받은 신호를 조작량으로 바꾸어 제어대상에 보내주는 피드백 제어의 구성요소는?

  1. 궤한신호
  2. 조작부
  3. 제어량
  4. 신호부
(정답률: 67%)
  • 조절부는 제어 시스템에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장치이며, 이 신호는 제어량으로 변환되어 제어 대상에 전달됩니다. 따라서, 조절부는 피드백 제어의 구성요소 중 하나이며, 정답은 "조작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논리함수 X=B(A+B)를 간단히 하면?

  1. X=A
  2. X=B
  3. X=AㆍB
  4. X=A+B
(정답률: 72%)
  • 논리함수 X=B(A+B)를 전개하면 X=AB+BB=B+AB=B 이므로 정답은 "X=B"이다. A와 B 중 하나가 참이면 (A+B)는 참이므로 B(A+B)는 B가 되고, A와 B가 모두 참이면 AB도 참이므로 B(A+B)는 B+AB가 된다. 하지만 AB=B이므로 B+AB=B이다. 따라서 X=B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sin⍵t를 라플라스 변환하면?

(정답률: 77%)
  • sin⍵t의 라플라스 변환은 s/(s^2 + ω^2)이다. 이를 분수 분해하면 (s/ω^2)/(s^2/ω^2 + 1)이 되고, 이는 일차 시스템의 전달 함수와 같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정성적 제어에서 전열기의 제어 명령이 되는 신호는 전열기에 흐르는 전류를 흐르게 한다단가 아니면 차단하면 된다. 이와 같은 신호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목표값 신호
  2. 제어 신호
  3. 2진 신호
  4. 3진 신호
(정답률: 69%)
  • 정답: "제어 신호"

    제어 신호는 제어 대상에 대한 명령을 전달하는 신호로, 전류를 흐르게 하거나 차단하는 신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2진 신호는 단순히 "켜기" 또는 "끄기"의 두 가지 상태만을 가지는 신호를 말한다. 따라서 전열기를 켜거나 끄는 제어 신호는 2진 신호로 구성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3상 부하가 Y결선되어 각 상의 임피던스가 Za=3[Ω], Zb=3[Ω], Zc=j3[Ω]이다. 이 부하의 영상임피던스는 몇 [Ω]인가?

  1. 2+j1
  2. 3+j3
  3. 3+j6
  4. 6+j3
(정답률: 49%)
  • 3상 부하의 영상임피던스는 각 상의 임피던스에 복소수 j를 곱한 값이다. 따라서, Y결선에서의 영상임피던스는 Za*j=3j[Ω], Zb*j=3j[Ω], Zc*j=j^2*3j=-3[Ω]이다. 이를 복소수 형태로 나타내면 3j, 3j, -3이 된다. 이를 복소수 평면 상에서 벡터로 나타내면, 3j와 -3은 x축에 대칭인 위치에 있고, 3j는 x축에서 y축 방향으로 3만큼 떨어져 있으므로, 이 두 벡터를 합치면 2+j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2+j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전동기의 회전방향과 전자력에 관계가 있는 법칙은?

  1. 플레밍의 왼손법칙
  2. 플레밍의 오른손법칙
  3. 패러데이의 법칙
  4. 암페어의 법칙
(정답률: 71%)
  • 플레밍의 왼손법칙은 전동기에서 전자기력과 회전방향의 관계를 나타내는 법칙입니다. 왼손의 엄지, 검지, 중지를 수직으로 대고 엄지를 전류의 방향, 검지를 자기장의 방향, 중지를 운동 방향으로 놓으면, 중지 방향이 전동기의 회전 방향과 일치하고, 엄지와 검지의 방향이 전자기력의 방향과 일치합니다. 따라서, 전동기에서 전자기력과 회전 방향의 관계를 파악할 때 플레밍의 왼손법칙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서보기구의 제어량에 속하는 것은?

  1. 유량
  2. 압력
  3. 밀도
  4. 위치
(정답률: 80%)
  • 서보기구의 제어량은 위치이다. 이는 서보기구가 움직이는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작동하는데, 유량, 압력, 밀도와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안정될 필요조건을 갖춘 특성방정식은?

  1. s4+2s2+5s+5=0
  2. s3+s2-3s+10=0
  3. s3+3s2+3s-3=0
  4. s3+6s2+10s+9=0
(정답률: 78%)
  • 안정될 필요조건은 특성방정식의 모든 근이 실수이고, 모든 근의 실수부가 음수인 것입니다.

    보기 중에서 "s3+6s2+10s+9=0" 의 경우, 이차 방정식 s2+6s+9=0 의 근이 -3,-3으로 중근이므로, 이를 (s+3)2=0 으로 변형할 수 있습니다. 이를 전개하면 s2+6s+9=0 이므로, 이차 방정식의 근은 모두 -3입니다. 따라서 이 특성방정식의 모든 근은 -3이므로, 모든 근의 실수부가 음수입니다. 따라서 "s3+6s2+10s+9=0" 은 안정될 필요조건을 갖춘 특성방정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200[V]의 전압에서 2[A]의 전류가 흐르는 전열기를 2시간 동안 사용했을 때의 소비전력량은 몇 [kWh]인가?

  1. 0.4
  2. 0.6
  3. 0.8
  4. 1.0
(정답률: 62%)
  •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소비전력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소비전력량 = 전압 × 전류 × 사용시간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소비전력량 = 200[V] × 2[A] × 2[시간] = 800[Wh]

    단위를 [kWh]로 변환하면 0.8[kWh]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2 전력계법으로 전력을 측정하였더니 P1=4[W], P2=3[W]이었다면 부하의 소비전력은 몇 [W] 인가?

  1. 1
  2. 5
  3. 7
  4. 12
(정답률: 69%)
  • 전력의 합은 부하의 소비전력과 같으므로 P1+P2=7[W]이다. 따라서 정답은 "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그림과 같은 RLC 직렬회로에서 직렬공진회로가 되어 전류와 전압의 위상이 동위상이 되는 조건은?

  1. XL>XC
  2. XLC
  3. XL-XC=0
  4. XL-XC=R
(정답률: 72%)
  • 직렬공진회로에서는 공진주파수에서 XL과 XC가 서로 상쇄되어 전체 임피던스가 최소가 되므로, 전류와 전압의 위상이 동위상이 된다. 따라서 XL-XC=0이 되어야 한다. XL은 인덕터의 임피던스, XC는 콘덴서의 임피던스를 나타내며, XL>XC일 경우에는 전류와 전압의 위상이 서로 다르게 되므로 공진회로가 아니게 된다. XLC일 경우에는 콘덴서의 임피던스가 더 크므로 전류와 전압의 위상이 역위상이 되어 공진회로가 아니게 된다. XL-XC=R일 경우에는 공진주파수에서도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가 발생하므로 공진회로가 아니게 된다. 따라서 XL-XC=0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맥동 주파수가 가장 많고 맥동률이 가장 적은 정류방식은?

  1. 단상 반파정류
  2. 단상 전파정류
  3. 3상 반파정류
  4. 3상 전파정류
(정답률: 72%)
  • 맥동 주파수가 가장 많은 경우에는 전류의 방향이 자주 바뀌기 때문에, 정류기에서 발생하는 맥동률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맥동률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정류기에서 전류의 방향이 자주 바뀌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3상 전파정류 방식이 가장 적합합니다. 3상 전파정류 방식은 3상 전원을 이용하여 전류의 방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맥동률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