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5-07)

정보통신기사(구)
(2017-05-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다음과 같은 정류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 반주기에는 D1과 D3가 On되어 정류작용을 한다.
  2. 고압 정류회로에 적합하다.
  3. Tap형 전파정류회로에 비해 정류효율이 낮고 전압 변동률이 크다.
  4. 중간 Tap이 있어 대형 변압기로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68%)
  • 정류회로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기 위해 중간 Tap이 있는 대형 변압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입력 전압을 변화시키지 않고도 출력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전력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중간 Tap이 있는 대형 변압기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이 회로의 장점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직류 전압 또는 직류 맥동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회로가 아닌 것은?

(정답률: 76%)
  • 정답은 ""이다. 이는 저항과 콘덴서로 이루어진 RC 회로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전하가 축적되어 전압이 증가하게 되며, 따라서 직류 전압 또는 직류 맥동률을 감소시키는 회로가 아니다.

    반면에 "", "", ""는 각각 다이오드, 저항, 인덕터로 이루어진 회로로, 이들은 직류 전압 또는 직류 맥동률을 감소시키는 회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고주파 증폭회로에서 중화 조정을 수행하는 목적은?

  1. 이득의 증가
  2. 주파수의 안정
  3. 전력 효율의 증대
  4. 자기 발진의 방지
(정답률: 62%)
  • 고주파 증폭회로에서 중화 조정을 수행하는 목적은 자기 발진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자기 발진은 회로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고주파 신호로, 이는 회로의 안정성을 해치고 전송 신호의 왜곡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중화 조정을 통해 자기 발진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신호 전송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은 궤환율이 0.04인 부궤환 증폭기 회로이다. 저항 R1의 값은?

  1. 120[kΩ]
  2. 180[kΩ]
  3. 220[kΩ]
  4. 240[kΩ]
(정답률: 66%)
  • 부궤환 증폭기 회로에서 궤환율은 R2/R1 이다. 따라서 R2 = 10kΩ, 궤환율이 0.04이므로 R1 = R2/0.04 = 250kΩ 이다. 하지만, R1은 120kΩ, 180kΩ, 220kΩ, 240kΩ 중 하나이므로, 계산 결과와 가장 가까운 값인 240kΩ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과 같은 연산증폭기 회로의 출력 전압은?

  1. -8.4[V]
  2. -4.6[V]
  3. -2.3[V]
  4. -1.6[V]
(정답률: 72%)
  • 입력 신호가 없을 때, 출력 전압은 -8.4V이다. 이는 R1과 R2에 인가되는 전압이 같기 때문이다. 하지만 입력 신호가 인가되면, Q1과 Q2는 근처에 있는 전압을 증폭하고, Q3와 Q4는 근처에 있는 전압을 반대로 증폭한다. 이 때, Q1과 Q2는 R1과 R2를 통해 출력 전압을 증폭하고, Q3와 Q4는 R3과 R4를 통해 출력 전압을 반대로 증폭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출력 전압은 -4.6V로 감소한다. 따라서 정답은 "-4.6[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푸시풀(Push-Pull) 전력증폭회로의 가장 큰 장점은?

  1. 우수 고조파 상쇄로 왜곡이 감소한다.
  2. 직류성분이 없어지기 때문에 효율이 크다.
  3. A급 동작 시 크로스오버(Cross Over) 왜곡이 감소한다.
  4. 기수와 우수 고조파 상쇄로 효율이 증가한다.
(정답률: 70%)
  • 푸시풀(Push-Pull) 전력증폭회로는 기본적으로 두 개의 전력 증폭기를 사용하여 출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회로입니다. 이 회로의 가장 큰 장점은 우수 고조파 상쇄로 왜곡이 감소한다는 것입니다. 이는 두 개의 전력 증폭기가 서로 다른 위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출력 신호의 고조파가 서로 상쇄되어 왜곡이 감소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회로는 빈-브릿지(Wien-Bridge) 발진회로이다. R1, R2 값이 감소할 경우 발진주파수의 변화는?

  1. 증가한다.
  2. 감소한다.
  3. 변화없다.
  4. 발진이 되지 않는다.
(정답률: 76%)
  • 빈-브릿지 발진회로에서 발진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결정된다.

    $f = frac{1}{2pi RC}$

    R1, R2 값이 감소하면 C 값이 일정하다면 RC 값이 감소하게 되므로 발진주파수는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증가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병렬저항형 이상형 발진회로에서 1.6[kHz]의 주파수를 발진하는데 필요한 저항 값은 약 얼마인가? (단, C=0.01[μF])

  1. 2[kΩ]
  2. 4[kΩ]
  3. 6[kΩ]
  4. 8[kΩ]
(정답률: 58%)
  • 병렬저항형 이상형 발진회로에서 발진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f = 1 / (2πRC)

    여기서 C=0.01[μF], f=1.6[kHz] 이므로,

    R = 1 / (2πfC) = 1 / (2π x 1.6 x 10^3 x 0.01 x 10^-6) = 3.95[kΩ]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인 "4[kΩ]"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1,000[kHz]의 반송파를 5[kHz]의 신호주파수로 진폭 변조할 경우 출력 측에 나타나는 주파수가 아닌 것은?

  1. 995[kHz]
  2. 1,000[kHz]
  3. 1,005[kHz]
  4. 1,990[kHz]
(정답률: 80%)
  • 주파수 변조는 원래의 신호 주파수에 변화를 주어 새로운 주파수를 만드는 것이다. 따라서 1,000[kHz]의 반송파를 5[kHz]의 신호주파수로 진폭 변조할 경우, 출력 측에는 1,000[kHz] + 5[kHz] = 1,005[kHz]와 1,000[kHz] - 5[kHz] = 995[kHz]의 주파수가 생성된다. 하지만 1,990[kHz]는 원래의 반송파 주파수와는 전혀 상관없는 주파수이므로 출력 측에는 생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1,990[k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진폭 변조차의 전압이 e=(200+50sin2π100t)sin2π×108t[V]로 표시되었을 때 변조도는 약 몇[%]인가?

  1. 25
  2. 50
  3. 75
  4. 95
(정답률: 60%)
  • 변조도는 진폭 변화의 크기를 나타내는 지표로, 최대 진폭과 최소 진폭의 차이를 평균 진폭으로 나눈 값에 100을 곱한 것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최대 진폭과 최소 진폭을 구해야 한다. 주어진 전압식을 보면, 최대 진폭은 200V이고, 최소 진폭은 150V이다. (sin 함수의 최소값은 -1이므로, 50sin2π100t가 최소값을 가질 때 전압은 200-50=150V가 된다.)

    따라서 변조도는 (200-150)/((200+150)/2) × 100 = 25%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디지털 복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Sk(Amplitude Shift Keying)에 대한 복조는 비동기식 포락선 검파만을 이용한다.
  2. 동기 검파는 송신신호는 주파수와 위상에 동기된 국부발진 신호와 입력 신호를 곱하게 하는 곱셈 검파기이다.
  3. 비동기식 포락선 검파방식은 PSK(Phase Shift Keying)의 복조에는 이용되지 않는다.
  4. 비동기식 검파는 동기 검파보다 시스템은 간단하지만 효율이 떨어진다.
(정답률: 60%)
  • "ASk(Amplitude Shift Keying)에 대한 복조는 비동기식 포락선 검파만을 이용한다." 이 설명이 틀린 이유는 PSK(Phase Shift Keying)의 복조에도 비동기식 포락선 검파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ASK와 PSK는 모두 디지털 변조 방식 중 하나로, ASK는 진폭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고, PSK는 위상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합니다. 따라서 ASK와 PSK 모두 비동기식 포락선 검파방식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정보 전송 기술에서 다음 그림과 같은 변조 파형을 얻을 수 있는 변조 방식은?

  1. ASK(Amplitude Shift Keying)
  2. PSK(Phase Shift Keying)
  3. FSK(Frequency Shift Keying)
  4. QASK(Quadrature Amplitude Shift Keying)
(정답률: 72%)
  • 변조 파형이 주파수는 일정하고 위상만 변하는 것으로 보아, 이는 PSK(Phase Shift Keying) 방식으로 변조된 것이다. PSK는 위상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0과 1에 대해 각각 다른 위상을 부여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위상이 변하는 변조 파형을 얻을 수 있다. ASK는 진폭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 FSK는 주파수를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 QASK는 진폭과 위상을 동시에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작용에 의해서 발생된 펄스 파형에서 링깅(Ringing) 현상이 생기는 이유는?

  1. 낮은 주파수 성분 때문이다.
  2. 직류분이 잘 통하지 않기 때문이다.
  3. 높은 주파수 성분에 공진하기 때문이다.
  4. 증폭기의 저역 특성이 나쁘기 때문이다.
(정답률: 78%)
  • 트랜지스터의 스위칭 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펄스 파형은 매우 급격한 변화를 보이는데, 이는 높은 주파수 성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높은 주파수 성분은 회로의 공진 주파수와 일치할 경우, 공진 현상이 발생하여 파형이 반복되는 현상인 링깅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높은 주파수 성분에 공진하기 때문이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슈미트 트리거희로(Schmitt Trigger Circui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구형파 펄스 발생회로로 사용된다.
  2.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이다.
  3. 입력전압의 크기가 출력의 On, Off 상태를 결정해 준다.
  4. 두 개의 안정상태를 갖는 회로이다.
(정답률: 66%)
  • "비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 회로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슈미트 트리거 회로는 두 개의 안정상태를 갖는 회로로, 입력전압의 크기가 출력의 On, Off 상태를 결정해 줍니다. 구형파 펄스 발생회로로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RS 플립플롭 회로의 출력 Q 및 는 리셋(Reset) 상태에서 어떠한 논리 값을 가지는가?

(정답률: 70%)
  • RS 플립플롭 회로에서 리셋(Reset) 상태는 S=0, R=1인 상태를 말한다. 이때 Q는 0이 되고, 는 1이 된다. 이유는 R=1이므로 Q의 상태는 S와 무관하게 0이 되고, 는 R의 상태와 반대되므로 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그림과 같이 RS 플립플롭에서 R 입력과 S 입력 사이에 NOT게이트를 추가하면 어떤 기능을 갖는 플립플롭인가?

  1. T형 플립플롭
  2. N형 플립플롭
  3. JK형 플립플롭
  4. D형 플립플롭
(정답률: 66%)
  • NOT 게이트는 입력 신호를 반전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R 입력과 S 입력이 반전된 상태로 RS 플립플롭에 입력되게 됩니다. 이 경우, R=0, S=0인 상태에서만 출력이 변화하지 않고, R=1, S=0인 경우 출력이 0이 되고, R=0, S=1인 경우 출력이 1이 됩니다. 그리고 R=1, S=1인 경우는 불가능한 입력이므로 고려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동작 방식은 D형 플립플롭과 동일하므로, 이 플립플롭은 D형 플립플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J-K 플립플롭은 두개의 입력 데이터(Data)에 의하여 출력에서 몇 개의 조합(Combination)을 얻을 수 있는가?

  1. 2
  2. 4
  3. 8
  4. 16
(정답률: 78%)
  • J-K 플립플롭은 두 개의 입력 데이터(Data)를 가지고 있으므로 각 입력 데이터는 2가지의 상태를 가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 입력 데이터의 상태 조합은 2 x 2 = 4가지가 됩니다. 이에 따라 출력에서도 4개의 조합을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25진 리플 카운터를 설계할 경우 최소한 몇 개의 플립플롭이 필요한가?

  1. 3개
  2. 4개
  3. 5개
  4. 6개
(정답률: 83%)
  • 25진수는 2^5 (32)보다 크고 2^6 (64)보다 작으므로, 6비트로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6개의 플립플롭이 필요하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최소한" 이라는 조건이 있으므로, 5개의 플립플롭으로도 25진수를 표현할 수 있다. 이는 2^5 (32)보다 크고 2^4 (16)보다 작은 범위를 5비트로 표현하면 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신호를 하나의 통신 채널로 전송하는데 필요한 장치는?

  1. 멀티플렉서
  2. 비교기
  3. 인코더
  4. 디코더
(정답률: 79%)
  • 멀티플렉서는 여러 개의 입력 신호를 하나의 출력 신호로 변환하는 장치로, 다수의 신호를 하나의 통신 채널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멀티플렉서는 입력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여러 개의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멀티플렉서는 다수의 신호를 효율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필수적인 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반가산기(Half Adder)에서 A = 1, B = 1일 경우(S(Sum)의 값은?

  1. -1
  2. 1
  3. 0
  4. 2
(정답률: 78%)
  • 반가산기는 두 개의 입력(A, B)을 받아서 합(S)과 자리올림(C)을 출력하는 논리회로이다. A = 1, B = 1일 경우, 합(S)은 0이 되고 자리올림(C)은 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이다. 이는 반가산기가 두 개의 비트를 더하는데 사용되는 논리회로이기 때문에, 두 입력이 모두 1인 경우에는 자리올림이 발생하여 합이 0이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 시스템

21. 10개의 지국을 그물형(Mesh)으로 연결하려 할 때 소요되는 최소 링크 수는?

  1. 25
  2. 35
  3. 45
  4. 55
(정답률: 89%)
  • 10개의 지국을 그물형으로 연결하려면 각 지국마다 최소 3개의 링크가 필요하다. 이는 한 지국과 인접한 두 지국과의 연결과, 그리고 자기 자신과의 연결을 의미한다. 따라서, 10개의 지국을 그물형으로 연결하는데 필요한 최소 링크 수는 10개의 지국마다 3개의 링크가 필요하므로 30개이다. 그러나, 이렇게 연결하면 중복된 링크가 생길 수 있으므로 중복을 제거해야 한다. 중복을 제거하면 총 링크 수는 30개에서 15개가 감소하여 15개가 된다. 따라서, 10개의 지국을 그물형으로 연결하는데 필요한 최소 링크 수는 15개의 링크를 가진 그래프를 그리는 것이므로 15 x 2 = 30개의 간선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 그래프는 방향성이 없는 그래프이므로 간선의 양쪽 방향을 모두 고려해야 하므로 30 x 2 = 60개의 링크가 필요하다. 그러나, 중복된 링크를 제거하면 총 링크 수는 60개에서 15개가 감소하여 45개가 된다. 따라서, 10개의 지국을 그물형으로 연결하는데 필요한 최소 링크 수는 45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정보통신시스템은 크게 데이터 전송계와 데이터 처리계로 분리할 수 있다. 다음 중 데이터 전송계가 아닌 것은?

  1. 단말장치
  2. 통신 소프트웨어
  3. 데이터 전송회선
  4. 통신 제어장치
(정답률: 73%)
  • 정답: 통신 소프트웨어

    설명: 데이터 전송계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하는데, 이를 위해 데이터 전송회선과 통신 제어장치, 그리고 단말장치 등이 필요하다. 반면에 통신 소프트웨어는 이러한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따라서 통신 소프트웨어는 데이터 전송계에 속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처리계에 속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문장은 정보통신용어 중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텔레프레즌스
  2. 원격화상통화
  3. 멀티테크
  4. 증강현실
(정답률: 69%)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두 명의 사람이 화상통화를 하는 모습이다. 따라서 이 문장은 "원격화상통화"에 대한 설명이다. "텔레프레즌스"는 잘못된 표기이며, "멀티테크"와 "증강현실"은 문장과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경찰ㆍ소방ㆍ국방ㆍ비장자치단체 등 관련 기관의 무선통신망을 하나로 통합해 국민의 건강과 안전 보호, 국가적 피해 최소화 등을 위해 추진하고 있는 국가재난안전통신망은?

  1. PS-LTE
  2. 3GPP
  3. Wibro
  4. IEEE 802.11s
(정답률: 81%)
  • 국가재난안전통신망은 경찰ㆍ소방ㆍ국방ㆍ비장자치단체 등 관련 기관의 무선통신망을 하나로 통합해 국민의 건강과 안전 보호, 국가적 피해 최소화 등을 위해 추진하는데, 이를 위해 사용되는 기술 중 하나가 PS-LTE이다. PS-LTE는 3GPP에서 개발한 고속 무선 통신 기술로, 안정적인 통신과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며, 비상 상황에서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국가재난안전통신망에서 PS-LTE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Wibro는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무선인터넷 기술이며, IEEE 802.11s는 무선 망 구성을 위한 표준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정보통신에서 통신을 통제하는 규칙들을 규정해 놓은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표준기구
  2. 포럼
  3. 프로토콜
  4. 통싱개체
(정답률: 86%)
  • 프로토콜은 정보통신에서 통신을 통제하는 규칙들을 규정해 놓은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인 "표준기구", "포럼", "통신개체"와는 달리, 통신 규칙을 정의하는 것이 프로토콜의 주요 역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프로토콜의 표현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포맷(Format)
  2. 순서(Timing)
  3. 스테이트(State)
  4. 프로시주어(Procedure)
(정답률: 63%)
  • 프로토콜의 표현요소 중에서는 포맷, 스테이트, 프로시주어가 모두 포함되어 있지만, 순서(Timing)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순서는 프로토콜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필요한 요소이지만, 프로토콜 자체의 표현요소는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순서(Timin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전화통신망(PSTN)에서 최번시 1시간에 발생한 호(Call)수가 240이고, 평균통화시간이 2분일 때 이 회선의 호량(Erlang)은?

  1. 0.1[Erl]
  2. 8[Erl]
  3. 40[Erl]
  4. 360[Erl]
(정답률: 85%)
  • 호량(Erlang)은 특정 시간 동안 사용된 회선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이다. 호량은 발생한 호의 수와 평균통화시간을 곱한 값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호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호량 = 발생한 호의 수 × 평균통화시간 / 60

    = 240 × 2 / 60

    = 8[Erl]

    따라서, 정답은 "8[Erl]"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RS-232C, V.24/28 등의 프로토콜은 OSI 7계층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

  1. 1계층
  2. 2계층
  3. 3계층
  4. 4계층
(정답률: 71%)
  • RS-232C, V.24/28 등의 프로토콜은 OSI 7계층 중 "1계층"에 해당한다. 이는 물리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적인 연결과 전기적인 신호를 다룬다. RS-232C, V.24/28 등의 프로토콜은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전송하며, 이를 위해 전기적인 신호를 사용한다. 따라서 이러한 프로토콜은 물리 계층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전자교환기의 기본 구성요소 중 공통 제어계에 해당하는 것은?

  1. 중앙 제어장치
  2. 통화로망
  3. 중계선 장치
  4. 서비스 회로
(정답률: 77%)
  • 전자교환기의 기본 구성요소 중 공통 제어계는 전화기나 팩스 등의 단말기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처리하고, 통화를 연결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중앙 제어장치는 이러한 신호를 처리하고, 통화를 연결하는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중앙 제어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전화통신망(PSTN)을 이용한 정보통신 서비스로 맞지 않는 것은?

  1. 팩시밀리
  2. 전화
  3. 인터넷
  4. 케이블TV방송
(정답률: 67%)
  • 케이블TV방송은 PSTN을 이용한 정보통신 서비스가 아닌, 케이블TV망을 이용한 방송 서비스이기 때문에 맞지 않는 것입니다. PSTN은 전화와 팩시밀리 서비스, 인터넷 접속 등을 제공하는 유선 전화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송용량, 정보의 발생 형태 등이 서로 상이한 정보를 “셀(Cell)"이라고 불리는 고정길이의 블록에 넣어 전송한다.
  2. 셀 자체의 제어를 위한 5[byte] 길이의 헤더 구조를 가진다.
  3. 유료부하(Pay Load) 공간은 사용자 정보가 실리는 부분으로 53[byte] 길이를 갖는다.
  4. 정보전송의 처리단위를 “셀”로 규격화함으로써 고속처리가 가능하다.
(정답률: 66%)
  • 정답은 "유료부하(Pay Load) 공간은 사용자 정보가 실리는 부분으로 53[byte] 길이를 갖는다." 가 아닌 "유료부하(Pay Load) 공간은 사용자 정보가 실리는 부분으로 54[byte] 길이를 갖는다." 이다. 이유는 ATM 셀의 전체 길이가 53바이트이며, 그 중에서 헤더 구조가 5바이트를 차지하므로 유료부하 공간은 48바이트가 되는데, 이는 8비트씩 묶어진 6개의 바이트로 이루어진 48비트이다. 따라서 유료부하 공간은 6바이트가 아닌 7바이트가 되어 총 54바이트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H.264/MPEG-4 기술과 비교하여 약 2배 높은 압축률을 가지면서도 동일한 비디오 품질을 제공하는 고효율 비디오 코딩(압축) 표준은?

  1.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
  2. AVC(Advanced Video Coding)
  3. VCEG(Video Coding Experts Group)
  4. SVC(Scalable Video Coding)
(정답률: 87%)
  • HEVC(High Efficiency Video Coding)은 H.264/MPEG-4 기술과 비교하여 더욱 효율적인 비디오 압축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비디오 코딩 표준입니다. 이는 더욱 높은 압축률을 제공하면서도 동일한 비디오 품질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선택되었습니다. AVC(Advanced Video Coding)는 H.264의 다른 이름이며, VCEG(Video Coding Experts Group)는 비디오 코딩 기술을 개발하는 국제 표준화 기구입니다. SVC(Scalable Video Coding)는 다양한 해상도와 비트율에서 동작하는 확장성 있는 비디오 코딩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FM 피변조차의 최대 주파수 편이가 60[kHz], 최대 변조 신호 주파수가 15[kHz]일 때 FM 변조지수는 얼마인가?

  1. 3
  2. 4
  3. 5
  4. 6
(정답률: 88%)
  • FM 변조지수는 최대 주파수 편이를 최대 변조 신호 주파수로 나눈 값이다. 따라서, FM 변조지수는 60[kHz] / 15[kHz] = 4 이다. 따라서, 정답은 "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우주 잡음, 대기 가스, 강우에 의함 감쇠 및 열잡음 등의 영향이 적은 전파의 창(Radio Window)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옳은 것은?

  1. 800[MHz]이하
  2. 1~10[GHz]
  3. 10~15[GHz]
  4. 30[GHz] 이상
(정답률: 74%)
  • 정답은 "1~10[GHz]"입니다. 이는 우주 잡음, 대기 가스, 강우 등의 영향이 적은 전파의 창으로, 이 주파수 대역에서 전파가 가장 잘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주파수 대역은 많은 무선 통신 기술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인터넷보호 관련 표준프로토콜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IPSec
  2. MPLS
  3. VPN
  4. Fire Wall
(정답률: 79%)
  • IPSec는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인증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인터넷보호 관련 표준프로토콜 중에서 가장 적합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암호화 형식에서 4명이 통신을 할 때, 서로 간 비밀통신과 공개통신을 하기 위한 키의 수는?

  1. 비밀키 : 2개, 공개키 : 4개
  2. 비밀키 : 4개, 공개키 : 6개
  3. 비밀키 : 6개, 공개키 : 8개
  4. 비밀키 : 8개, 공개키 : 10개
(정답률: 80%)
  • 4명이 통신을 할 때, 각각의 사람들은 서로 비밀통신을 해야하므로 비밀키는 4C2 (4명 중 2명을 선택하는 경우의 수) = 6개가 필요합니다. 또한, 공개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사람들이 서로에게 공개키를 제공해야하므로 공개키는 4*2 = 8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비밀키 : 6개, 공개키 : 8개"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은 암호화에 사용되는 기술의 특징을 설명한 것이다.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해쉬함수
  2. IPSec
  3. 공개키 암호화
  4. 대칭키 암호화
(정답률: 83%)
  • 이미지에서 보이는 특징들은 모두 암호화 기술의 특징이지만, 해쉬함수는 입력값을 고정된 길이의 출력값으로 변환하는 함수로, 입력값이 조금만 달라져도 출력값이 완전히 달라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해쉬함수는 데이터의 무결성 검증이나 비밀번호 저장 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평균고장발생 간격이 23시간이고, 평균복구시간이 1시간인 정보통신 시스템의 1일 가동률은 약 몇 [%]인가?

  1. 104.34[%]
  2. 100.00[%]
  3. 95.83[%]
  4. 91.67[%]
(정답률: 85%)
  • 하루는 24시간이므로, 1일에는 평균 1회 고장이 발생한다. 이 고장은 평균 1시간 내에 복구된다. 따라서, 시스템은 23시간 동안 가동되고 1시간 동안 고장으로 인해 중단된다.

    1일 가동률은 (가동시간 / 총 시간) x 100 으로 계산할 수 있다.

    가동시간 = 23시간
    총 시간 = 24시간

    1일 가동률 = (23 / 24) x 100 = 95.83[%]

    따라서, 정답은 "95.8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내용에 해당하는 것은?

  1. SEED
  2. DES
  3. SHA-1
  4. RSA
(정답률: 81%)
  • 이 보기는 암호화 관련 용어들을 나열한 것입니다. "SEED"는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 중 하나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 데에 같은 키를 사용합니다. "DES"는 더 이상 안전하지 않은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입니다. "SHA-1"은 해시 함수 중 하나로,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RSA"는 공개키 암호화 알고리즘 중 하나로,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하는 데에 서로 다른 키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SEED"가 정답인 이유는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단순한 접근제어 기능을 넘어 네트워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비정상적인 침입을 탐지하는 보안시스템은?

  1. IDS
  2. Firewall
  3. DMZ
  4. PKI
(정답률: 67%)
  • IDS는 Intrusion Detection System의 약자로, 네트워크 시스템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비정상적인 침입을 탐지하는 보안시스템입니다. 이는 단순한 접근제어 기능을 넘어서서 네트워크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IDS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통신 기기

41. 다음 중 최근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기술 특성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대용량 메모리 IC
  2. 저전력 RF(Radio Frequency) 부품 기술
  3. 고용량 전지
  4. 부품의 대형화
(정답률: 89%)
  • 정답: 부품의 대형화

    설명: 최근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기술 특성으로는 대용량 메모리 IC, 저전력 RF 부품 기술, 고용량 전지 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부품의 대형화는 최근 휴대형 정보 단말기의 기술 특성으로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대형화는 오히려 반대의 방향으로 발전하는 기술적 특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소프트웨어의 정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하드웨어를 동작하도록 하는 기능과 기술
  2. 컴퓨터 활용에 필요한 모든 프로그래밍 시스템
  3. 운영체제(OS:Operating System)와 응용 프로그램
  4. 제어와 연산기능만을 수행하는 모듈
(정답률: 85%)
  • "제어와 연산기능만을 수행하는 모듈"은 소프트웨어의 정의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하드웨어를 동작시키는 기능과 기술, 컴퓨터 활용에 필요한 모든 프로그래밍 시스템, 운영체제(OS:Operating System)와 응용 프로그램의 일부분으로서, 소프트웨어는 이러한 기능들을 포함하고 있다. "제어와 연산기능만을 수행하는 모듈"은 보다 구체적인 소프트웨어의 종류를 나타내는 것으로, 소프트웨어의 정의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통신제어장치(CCU)의 종류 중 아래의 설명에 해당하는 것은?

  1. 전처리 장치(FEP)
  2. 후처리 장치(BEP)
  3. 원격처리 장치(RP)
  4. 네트워크 제어장치(NCU)
(정답률: 67%)
  • 이 그림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CCU 중에서도 각각의 CCU들이 서로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할 때 사용되는 장치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네트워크 제어장치(NCU)는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네트워크 제어장치(NCU)"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동기식 모뎀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대화형 단말기나 지능형 단말기에 사용한다.
  2. 음성통신회선과 광대역 통신회선에 모두 사용한다.
  3. 위상변동에 민감하다.
  4. 동기를 스타트/스톱 비트에 두어 데이터의 스페이스 마크를 감지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69%)
  • 동기식 모뎀은 데이터의 스페이스 마크를 감지하기 위해 동기를 스타트/스톱 비트에 두는 방식이 아니라, 비트 패턴을 이용하여 감지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동기를 스타트/스톱 비트에 두어 데이터의 스페이스 마크를 감지하는 방식이다."가 동기식 모뎀의 특징이 아닌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회선을 보유하거나 임차하여 정보의 축척, 가중, 변환하여 광범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1. CATV
  2. ISDN
  3. LAN
  4. VAN
(정답률: 70%)
  • VAN은 Virtual Area Network의 약자로, 가상 지역 네트워크를 의미합니다. 회선을 보유하거나 임차하여 정보를 축적, 가중, 변환하여 광범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CATV, ISDN, LAN은 각각 케이블 TV, 통합 디지털 네트워크, 로컬 에어리어 네트워크를 의미하므로, VAN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1.200[bps] 속도를 갖는 4채널을 다중화한다면 다중화 설비 출력 속도는 적어도 얼마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200[bps]
  2. 2,400[bps]
  3. 4,800[bps]
  4. 9,600[bps]
(정답률: 79%)
  • 4채널을 다중화한다는 것은 4개의 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합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출력 속도는 4개의 입력 속도를 합한 것과 같습니다.

    4채널의 입력 속도가 1,200[bps] 이므로, 출력 속도는 4 x 1,200[bps] = 4,800[bps]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4,800[bps]"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라우터의 내부 물리적 구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GPU
  2. CPU
  3. DRAM
  4. ROM
(정답률: 73%)
  • 라우터의 내부 물리적 구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GPU"입니다. 라우터는 주로 네트워크 패킷을 처리하는데 사용되며, 이를 위해 CPU, DRAM, ROM 등의 구성 요소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GPU는 주로 그래픽 처리에 사용되는데, 라우터에서는 이러한 기능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내부 물리적 구조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VoIP 기술의 구성요소로 틀린 것은?

  1. 미디어 게이트웨이
  2. 시그널링 서버
  3. IP 터미널
  4. 구내 교환기
(정답률: 79%)
  • 구내 교환기는 VoIP 기술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구내 교환기는 전화망에서 사용되는 전화교환기로, VoIP 기술에서는 대신 IP PBX (Private Branch Exchange)가 사용됩니다. IP PBX는 VoIP 기술을 이용하여 내부 통화 및 외부 통화를 처리하는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멀티미디어 화상회의 데이터를 TCP/IP와 같은 패킷망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ITU-T의 표준은?

  1. H.221
  2. H.231
  3. H.320
  4. H.323
(정답률: 73%)
  • 정답: H.323

    H.323은 ITU-T에서 제정한 멀티미디어 화상회의 데이터를 TCP/IP와 같은 패킷망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표준입니다. H.221은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표준, H.231은 멀티미디어 회의 제어를 위한 표준, H.320은 ISDN을 통해 멀티미디어 화상회의를 위한 표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CCTV의 기본 구성요소로 틀린 것은?

  1. 촬영장치
  2. 헤드엔드
  3. 전송장치
  4. 표시장치
(정답률: 81%)
  • 헤드엔드는 CCTV의 기본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CCTV의 기본 구성요소는 촬영장치, 전송장치, 표시장치입니다.

    촬영장치는 카메라로, 영상을 촬영하는 역할을 합니다. 전송장치는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표시장치는 전송된 영상을 모니터 등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면, 헤드엔드는 CCTV 시스템에서 영상을 처리하는 장치로, 녹화, 저장, 검색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헤드엔드는 CCTV 시스템의 구성요소 중 하나이지만, 기본 구성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ATSC 영상방식에서 송신시스템의 입력 데이터로서 하나의 패킷(세크먼트)은 몇 [byte]로 구성되는가?

  1. 64[byte]
  2. 128[byte]
  3. 188[byte]
  4. 207[byte]
(정답률: 53%)
  • ATSC 영상방식에서 송신시스템의 입력 데이터로서 하나의 패킷(세크먼트)은 188[byte]로 구성된다. 이는 MPEG-2 TS(Packetized Elementary Stream)에서 사용되는 패킷 크기와 동일하며, 이 크기는 8비트의 sync byte와 4비트의 오류 검출을 위한 CRC를 포함한 184[byte]의 유용한 데이터와 4[byte]의 오버헤드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패킷 구조는 데이터 전송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국내 HDTV방식의 1채널 대역폭은 얼마인가?

  1. 4[MHz]
  2. 6[MHz]
  3. 8[MHz]
  4. 10[MHz]
(정답률: 82%)
  • 국내 HDTV방식의 1채널 대역폭은 6MHz이다. 이는 미국에서 사용되는 ATSC 방식과 동일한 대역폭으로, 이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에 적합한 대역폭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6MHz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의 내용에 가장 적합한 것은?

  1. 페루프 전력제어
  2. 순방향 전력제어
  3. 개발루프 전력제어
  4. 외부루프 전력제어
(정답률: 70%)
  • 위 그림은 전력제어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보여주고 있다. 이 중에서 "페루프 전력제어"는 발전기와 전력망 사이의 전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이 "페루프 전력제어"인 이유는 발전기와 전력망 사이의 전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위성통신의 저잡음 증폭기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1. Parametric 증폭기
  2. Magnetron 증폭기
  3. Tunnel 증폭기
  4. GaAs FET 증폭기
(정답률: 69%)
  • 위성통신에서는 잡음이 매우 중요한 문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저잡음 증폭기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 GaAs FET 증폭기는 저잡음 특성이 뛰어나고, 작은 크기와 낮은 소비전력으로 인해 위성통신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고주파에서도 높은 성능을 발휘하여 위성통신에서 필요한 대역폭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부호분할다원접속(CDMA)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위성통신에서만 사용되고 있는 다원접속방식이다.
  2. 의사불규칙 잡음 코드를 사용한다.
  3. 주파수도약방식을 사용하므로 페이딩에 강하다.
  4. 사용 스펙트럼의 확산으로 인접 주파수대역에 대한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정답률: 66%)
  • "위성통신에서만 사용되고 있는 다원접속방식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부호분할다원접속(CDMA) 방식은 지상통신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방식은 의사불규칙 잡음 코드를 사용하며, 주파수도약방식을 사용하여 페이딩에 강하다. 또한 사용 스펙트럼의 확산으로 인접 주파수대역에 대한 간섭을 줄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셀룰러(Cellular) 방식의 이동통신에서 입력속도 9.6[kbps], 출력속도 1.2288[Mbps)일 때 확산이득은 약 얼마인가?

  1. 15.03[dB]
  2. 19.40[dB]
  3. 21.07[dB]
  4. 24.50[dB]
(정답률: 73%)
  • 확산이득은 출력속도와 입력속도의 비율에 로그를 취한 값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확산이득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확산이득 = 10log(출력속도/입력속도)
    = 10log(1.2288/9.6)
    = 10log(0.128)
    = 10(-0.893)
    = 0.211
    ≈ 21.07[dB]

    따라서, 정답은 "21.07[dB]"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멀티미디어 압축 기술로 틀린 것은?

  1. MIDI
  2. AVI
  3. JPEG
  4. MPEG
(정답률: 80%)
  • 정답은 "MIDI"이다. MIDI는 음악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압축 기술이 아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모두 멀티미디어 압축 기술이다. AVI는 비디오와 오디오를 함께 압축하는 기술, JPEG는 이미지를 손실 압축하는 기술, MPEG는 비디오와 오디오를 압축하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MPLS(Multi Protocol Label Switching) 기반의 인터넷서비스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교환기능가 제어기능이 분리되어 다양한 전달망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기종간에도 동일한 제어기능을 작용할 수 있다.
  2. 레이블에 목적지뿐만 아니라 서비스등급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으므로 OP QoS 제공이 용이하다.
  3. 레이블에 의한 터널링의 구성이 가능하므로 이를 이용한 VPN 서비스제공이 가능하다.
  4. 헤드처리 오버헤드가 증가되어도 기능망을 이용하므로 기존 라우터에 비해 대용량 구성이 용이하다.
(정답률: 67%)
  • 정답: "헤드처리 오버헤드가 증가되어도 기능망을 이용하므로 기존 라우터에 비해 대용량 구성이 용이하다."

    해설: MPLS는 교환기능과 제어기능이 분리되어 다양한 전달망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기종간에도 동일한 제어기능을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레이블에 목적지뿐만 아니라 서비스등급의 의미를 부여할 수 있어 OP QoS 제공이 용이하며, 레이블에 의한 터널링의 구성이 가능하므로 이를 이용한 VPN 서비스 제공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MPLS는 대용량 구성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디지털 TV 방송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영상 및 음향신호의 압축이 용이하고 녹화 재생 시 화질이나 음질의 열화가 없다.
  2.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가능하다.
  3. 상호간섭이 적고 신호의 열화가 완만하다.
  4. 오류 정정기술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저장, 복제, 저장에 따른 손실이 적다.
(정답률: 63%)
  • "영상 및 음향신호의 압축이 용이하고 녹화 재생 시 화질이나 음질의 열화가 없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디지털 TV 방송에서도 압축 기술을 사용하기 때문에 압축률이 높아질수록 화질이나 음질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디지털 TV 방송은 아날로그 TV 방송과 달리 상호간섭이 적고 신호의 열화가 완만하기 때문에 더욱 선명하고 안정적인 화질과 음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기술의 화간으로 멀티미디어 기기간 연결이 많아지고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다음 중 WPAN 기술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UWB
  2. Zigbee
  3. Bluetooth
  4. PLC
(정답률: 78%)
  • PLC는 Power Line Communication의 약자로, 전력선을 통해 통신하는 기술이다. WPAN은 무선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의미하므로, 전력선을 통한 통신 기술인 PLC는 WPAN 기술에 해당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PLC"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전송 공학

61. 다음 중 델타변조 DM(Delta Modulation)의 특징을 알맞지 않은 것은?

  1. 신뢰성이 높으며 표본화 주파수는 PCM의 2~4배이다.
  2. 표본화 주파수를 2배 증가시키면 S/Nq이 6[dB] 개선된다.
  3. 업다운 카운터(Up-Down Counter)가 필요하다.
  4. 전송 중의 에러에도 강하다.
(정답률: 64%)
  • "표본화 주파수를 2배 증가시키면 S/Nq이 6[dB] 개선된다."는 올바른 특징이다. 이는 표본화 주파수를 증가시키면 양자화 잡음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표본화 주파수를 2배 증가시키면 S/Nq이 6[dB] 개선된다."이 아닌 "표본화 주파수를 2배 증가시키면 S/Nq이 6[dB] 감소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나이퀴스트(Nyquist) 표본화 주파수(fs)로 알맞은 것은?

  1. fs = 2fm
  2. fs < 2fm
  3. fs > 2fm
  4. fs ≤ 2fm
(정답률: 78%)
  • 정답: "fs = 2fm"

    이유: 나이퀴스트(Nyquist) 표본화 이론에 따르면, 신호를 온전히 복원하기 위해서는 샘플링 주파수(fs)가 신호의 최대 주파수(fm)의 2배 이상이어야 한다. 따라서, fs = 2fm이 올바른 표현이다. 만약 fs가 2fm보다 작으면, 에일리어싱(aliasing) 현상이 발생하여 신호가 왜곡될 수 있다. fs가 2fm보다 크더라도, 불필요한 샘플링이 발생하여 데이터 용량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fs ≤ 2fm이라는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10[GHz]의 직접화간 시스템이 20[kbaud]의 데이터 전송에 사용된다. 20[Mbps]의 확산부호를 BPSK 변조시킬 때 이 시스템의 처리이득은 얼마인가?

  1. 13[dB]
  2. 18[dB]
  3. 27[dB]
  4. 30[dB]
(정답률: 63%)
  • 처리이득은 전송 전후의 신호 대 잡음비(SNR) 차이를 의미한다. 이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전송 데이터의 대역폭을 계산해야 한다. 20[kbaud]의 데이터 전송은 20[kbps]의 대역폭을 가지며, 확산부호를 적용하여 BPSK 변조를 하면 대역폭은 40[kbps]가 된다. 이를 10[GHz]의 직접화간 시스템으로 전송하면 다음과 같이 처리이득을 계산할 수 있다.

    처리이득 = 10log10(수신 신호 대 잡음비 / 송신 신호 대 잡음비)
    수신 신호 대 잡음비 = 수신 신호의 전력 / 잡음의 전력
    송신 신호 대 잡음비 = 송신 신호의 전력 / 잡음의 전력

    10[GHz]의 직접화간 시스템은 대역폭이 충분히 넓어서 신호 대 잡음비는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처리이득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처리이득 = 10log10(수신 신호의 전력 / 송신 신호의 전력)
    = 10log10(수신 신호 대 잡음비) - 10log10(송신 신호 대 잡음비)

    BPSK 변조에서는 신호의 전력이 1/2로 감소하므로, 송신 신호 대 잡음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송신 신호 대 잡음비 = (신호의 전력 / 2) / (잡음의 전력)
    = 신호의 전력 / (2 x 잡음의 전력)

    확산부호를 적용하여 대역폭이 40[kbps]가 되었으므로, 수신 신호 대 잡음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수신 신호 대 잡음비 = (신호의 전력 / 2) / (잡음의 전력 x 40[kHz])
    = 신호의 전력 / (80 x 잡음의 전력)

    따라서 처리이득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처리이득 = 10log10(수신 신호 대 잡음비) - 10log10(송신 신호 대 잡음비)
    = 10log10(신호의 전력 / (80 x 잡음의 전력)) - 10log10(신호의 전력 / (2 x 잡음의 전력))
    = 10log10(40) - 10log10(1/40)
    = 30[dB]

    따라서 정답은 "30[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디지털 변조가 아닌 것은?

  1. ASK
  2. FSK
  3. PSK
  4. SSB
(정답률: 85%)
  • SSB는 직교 변조 방식이 아니기 때문에 디지털 변조가 아니다. ASK, FSK, PSK는 모두 직교 변조 방식을 사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금속막에 의한 차단유무에 따라 STP 케이블과 UTP 케이블로 분류되는 전송매체는?

  1. 동축케이블
  2. 꼬임 쌍선
  3. 단일 모드 광섬유
  4. 다중 모드 광섬유
(정답률: 72%)
  • 정답은 "꼬임 쌍선"입니다.

    꼬임 쌍선은 금속막으로 차단되지 않은 비차폐 전송매체로, STP 케이블과 UTP 케이블로 분류됩니다. STP 케이블은 금속막으로 차폐되어 있어 더욱 안정적인 신호 전송이 가능하지만, UTP 케이블은 금속막이 없어 비교적 저렴하고 유연하며 설치가 쉽습니다.

    꼬임 쌍선은 두 개의 동일한 선을 서로 꼬아서 만들어진 케이블로, 이 꼬임 구조는 외부에서 발생하는 노이즈를 상쇄시켜 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하고 안정적인 전송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꼬임 쌍선은 두 개의 선이 서로 균형을 이루기 때문에 전송 속도와 거리에 따른 신호 감쇠가 일정하게 유지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꼬임 쌍선은 LAN 및 WAN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전송매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동축케이블이나 광섬유 전송매체와 비교했을 때 일반적인 트위스티드 페어(Twisted Pair) 케이블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신호의 감쇠 및 간섭에 약하다.
  2. 아날로그 및 디지털 전송에 모두 사용할 수 있다.
  3. 비용이 저렴한 편이다.
  4. 대역폭이 넓다.
(정답률: 70%)
  • "대역폭이 넓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은 동축케이블이나 광섬유에 비해 대역폭이 좁다. 이는 케이블의 구조상 신호가 전달되는 속도가 느리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a-b가 순서대로 올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지수함수 - S/N비
  2. 로그함수 - 데시벨
  3. 지수함수 - Baud
  4. 로그함수 - BPS
(정답률: 76%)
  • 정답은 "로그함수 - 데시벨"입니다.

    로그함수는 입력값이 증가할 때 출력값이 얼마나 빠르게 증가하는지를 나타내는 함수이고, 데시벨은 소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소리의 크기는 입력값(음악, 대화 등)이 증가할 때 출력값(소리의 크기)이 얼마나 빠르게 증가하는지를 나타내므로, 이 두 개념은 서로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로그함수 - 데시벨"이 올바른 짝이 됩니다.

    그 외의 선택지들은 지수함수와 로그함수가 각각 S/N비, Baud, BPS와 관련이 있지만, 이들 간의 짝지어진 관계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전송로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비정상적인 요인으로 맞지 않은 것은?

  1. 펄스성 잡음
  2. 주파수 편차
  3. 순간적 단절
  4. 진폭 및 위상 히트
(정답률: 53%)
  • 주파수 편차는 전송로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비정상적인 요인 중 하나가 아닙니다. 주파수 편차는 신호의 주파수가 일정하지 않고 변화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주로 진동기나 발진기 등에서 발생합니다. 이러한 주파수 편차는 일정한 주파수 대역폭을 가진 신호를 전송할 때 문제가 될 수 있지만, 전송로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동축케이블에 대한 설명으로 맞지 않은 것은?

  1. 광대역 다중화 전송에 적합하다.
  2. Twisted Pair 케이블보다 주파수 특성이 우수하다.
  3. 동심원 구조의 사용으로 Twisted Pair 케이블보다 누화에 약하다.
  4. 근거리 및 소규모 회선 구간에 적용하면 비경제적일 수 있다.
(정답률: 65%)
  • 동축케이블은 동심원 구조의 사용으로 Twisted Pair 케이블보다 누화에 강합니다. 따라서, "동심원 구조의 사용으로 Twisted Pair 케이블보다 누화에 약하다."가 맞지 않은 설명입니다. 동축케이블은 광대역 다중화 전송에 적합하며, Twisted Pair 케이블보다 주파수 특성이 우수합니다. 그러나 근거리 및 소규모 회선 구간에 적용하면 비경제적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은 광섬유의 어느 부분을 설명한 것인가?

  1. 코어
  2. 클래딩
  3. 코팅
  4. AWG
(정답률: 72%)
  • 위 그림은 광섬유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광섬유는 코어, 클래딩, 코팅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코어는 광선을 전달하는 핵심 부분으로, 광선이 통과하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코어"입니다. 클래딩은 코어를 감싸는 광섬유의 외부 부분으로, 광선이 코어를 벗어나지 않도록 보호합니다. 코팅은 클래딩을 감싸는 외부 부분으로, 광선이 광섬유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AWG는 광섬유에서 광파장을 분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보기 중 일반적으로 파장이 긴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1)-(2)-(3)-(4)-(5)
  2. (2)-(4)-(1)-(3)-(5)
  3. (4)-(3)-(1)-(2)-(5)
  4. (5)-(1)-(2)-(4)-(3)
(정답률: 76%)
  • 이미지에서 파장이 가장 긴 빨간색 빛부터 순서대로 나열하면 (4)이다. 그 다음으로는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순으로 파장이 짧아지므로 (3)-(1)-(2)-(5) 순서로 나열하면 된다. 따라서 정답은 "(4)-(3)-(1)-(2)-(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제한대역매체를 통해 기본파와 제3고조파를 포함하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대역폭은 얼마인가? (단, n[bps]로 디지털 신호를 보내고자 한다.)

  1. n[Hz]
  2. 2n[Hz]
  3. 4n[Hz]
  4. 6n[Hz]
(정답률: 75%)
  •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기본파와 제3고조파를 포함해야 한다. 이때, 기본파의 주파수는 n[Hz]이고, 제3고조파의 주파수는 3n[Hz]이다. 따라서, 이 두 주파수를 모두 포함하려면 최소한 4n[Hz]의 대역폭이 필요하다. 그러나, 제한대역매체를 사용하면 대역폭이 제한되므로, 이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2n[Hz]의 대역폭이 필요하다. 이는 기본파와 제3고조파를 모두 포함하면서도 대역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2n[Hz]"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이종망간에 이루어지는 핸드오버 기술을 Vertical Hand over라고 하는데, 다음 중 WLAN기반의 WiFI폰-CDMA이동통신 간에 적용될 수 있는 Vertical Hand over 기술은?

  1. UMA(Unlicensed Mobile Access)
  2. MIH(Medium Independent Hand over)
  3. VCC(Voice Continuity Control)
  4. IMS(IP Multimedia Subsystem)
(정답률: 65%)
  • 정답은 "MIH(Medium Independent Hand over)"입니다.

    WLAN 기반의 WiFi폰과 CDMA 이동통신 간에는 서로 다른 물리적인 매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핸드오버 과정에서 중간 매개체가 필요합니다. 이 때, MIH 기술은 이러한 중간 매개체를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술로, 물리적인 매체에 상관없이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WiFi폰과 CDMA 이동통신 간의 Vertical Hand over에 MIH 기술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서브넷팅(Subnetting)을 하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1. IP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트래픽의 관리 및 제어가 가능하다.
  3. 불필요한 브로드캐스팅 메시지를 제한할 수 있다.
  4. 서브넷 분할을 하면 호스트 ID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84%)
  • 서브넷 분할을 하면 호스트 ID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서브넷 분할은 네트워크를 더 작은 단위로 분할하여 관리하는 것이며, 이때 호스트 ID는 여전히 필요합니다. 서브넷 분할은 IP주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트래픽의 관리 및 제어, 불필요한 브로드캐스팅 메시지 제한 등의 이점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IP 주소들이 어느 클래스에 속하는지를 알맞게 연결한 것은?

  1. ⓐ C클래스, ⓑ E클래스, ⓒ D클래스
  2. ⓐ A클래스, ⓑ B클래스, ⓒ C클래스
  3. ⓐ B클래스, ⓑ C클래스, ⓒ A클래스
  4. ⓐ A클래스, ⓑ B클래스, ⓒ D클래스
(정답률: 85%)
  • - 192.168.0.1 : B클래스 (첫 번째 옥텟이 128~191 사이의 범위에 속하므로)
    - 200.100.50.25 : C클래스 (첫 번째 옥텟이 192~223 사이의 범위에 속하므로)
    - 10.0.0.1 : A클래스 (첫 번째 옥텟이 0~127 사이의 범위에 속하므로)
    - 172.16.0.1 : B클래스 (첫 번째 옥텟이 128~191 사이의 범위에 속하므로)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의 주요 서비스 기능이 아닌 것은?

  1. 두 프로세스 간의 연결을 설정, 유지, 종료시키는 기능
  2. 에러 제어를 위한 메커니즘 제공
  3. 포트번호를 사용하여 송수신 간 다중연결 허용
  4. 데이터 표현장식, 상이한 부호체계 간의 변화에 대하여 규정
(정답률: 62%)
  • TCP의 주요 서비스 기능 중 "데이터 표현장식, 상이한 부호체계 간의 변화에 대하여 규정"은 아닙니다. 이는 데이터 표현 방식과 부호 체계에 대한 규정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인 다른 프로토콜들이 수행하는 역할입니다. TCP의 주요 서비스 기능은 두 프로세스 간의 연결을 설정, 유지, 종료시키는 기능, 에러 제어를 위한 메커니즘 제공, 포트번호를 사용하여 송수신 간 다중연결 허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라우팅의 역할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송신지에서 수신지까지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여러 경로 중 가장 적절한 전송 경로를 선택하는 기능이다.
  2. 수신지의 네트워크 주소를 보고 다음으로 송신되는 노드의 물리주소를 찾는 기능이다.
  3. 네트워크 전송을 위해 물리 링크들을 임시적으로 연결하여 더 긴 링크를 만드는 기능이다.
  4. 하나의 데이터 회선을 사용하여 동시에 많은 상위 프로토콜 간의 데이터 전송을 수행하는 기능이다.
(정답률: 82%)
  • "송신지에서 수신지까지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여러 경로 중 가장 적절한 전송 경로를 선택하는 기능이다."가 가장 알맞다. 라우팅은 데이터 패킷이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될 때, 패킷이 가장 빠르고 안정적인 경로를 찾아 전송하는 기능이다. 이를 위해 라우터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정보를 수집하고, 경로 선택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패킷을 전송할 최적의 경로를 결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짝수 블록합 검사(Blocksum Check) 방식을 사용하는 데이터 전송에서 수신측에서 정확하게 수신했을 때 나오는 데이터 ###에 들어가야 할 비트는 어느 것인가?

  1. 1 0 0
  2. 1 1 1
  3. 0 1 0
  4. 0 0 1
(정답률: 82%)
  • 짝수 블록합 검사(Blocksum Check) 방식은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나누어 각 블록의 비트들을 모두 더한 후, 그 합이 짝수인지 홀수인지에 따라 검사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에서는 블록 내의 어떤 비트가 바뀌어도 블록합에는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수신측에서 정확하게 수신했을 때 나오는 데이터 ###에 들어가야 할 비트는 블록합에 영향을 주지 않는 비트 중 아무거나 넣어도 상관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인 "1 1 1"은 블록합에 영향을 주지 않는 비트 중 하나이기 때문에 가능한 답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중 통신프로토콜의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오류제어
  2. 연결제어
  3. 메시지 전달
  4. 주소부여
(정답률: 47%)
  • 통신프로토콜의 기능 중에서 "메시지 전달"은 기능이 아닙니다. 통신프로토콜은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규약으로, 오류제어, 연결제어, 주소부여 등의 기능을 포함합니다. 메시지 전달은 이러한 기능들을 통해 이루어지는 결과물일 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LAN 프로토콜 중에서 Tokon Ring방식과 CSMA/CD(Ethernet)방식이 서로 경쟁하다가 CSMA/CD(Ethernet)로 통일된 가장 중요한 원인은 =무엇인가?

  1. 저렴한 가격
  2. MAN과의 정합 용이성
  3. 넓은 대역폭
  4. 확장성(Scalability)
(정답률: 80%)
  • CSMA/CD(Ethernet) 방식은 확장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통일되었습니다. 이는 네트워크 규모가 커져도 쉽게 확장할 수 있고, 새로운 장비를 추가하거나 기존 장비를 업그레이드할 때도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확장성(Scalability)"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통신설비기준

81. 기억된 내용의 일부를 이용하여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직접 접근하여 정보를 읽어내는 장치는?

  1. 가상기억장치(Virtual Memory)
  2. 연관기억장치(Associative Memory)
  3.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4. 보조기억장치(Auxiliary Memory)
(정답률: 72%)
  • 연관기억장치는 기억된 내용의 일부를 이용하여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직접 접근하여 정보를 읽어내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정보와 일치하는 데이터를 빠르게 찾아낼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가상기억장치는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를 연결하여 물리적인 주기억장치의 한계를 극복하는 기술이며, 캐시 메모리는 CPU가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미리 저장하여 빠른 접근을 가능하게 합니다. 보조기억장치는 주기억장치와 달리 비교적 느리지만 대용량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억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동적 RAM(Dynamic RAM)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전하의 양을 측정하여 저장 논리 값을 판단한다.
  2. 전하의 방전 때문에 주기적으로 재충전(Refresh)해야 한다.
  3. 1비트를 구성하는 소자가 적어서 단위 면적에 많은 저장장소를 만들 수 있다.
  4. 1비트를 구성하는 소자가 적어서 메모리 액서스 속도가 정적 RAM(Static RAM)보다 빠르다.
(정답률: 65%)
  • "1비트를 구성하는 소자가 적어서 메모리 액서스 속도가 정적 RAM(Static RAM)보다 빠르다."가 틀린 설명이다. 동적 RAM은 전하를 저장하는 캐패시터(Capacitor)를 사용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재충전(Refresh)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로 인해 액세스 속도가 정적 RAM보다 느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순차파일(Sequential File)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레코드가 키 순서로 편성되므로 처리 속도가 빠르다.
  2. 어떠한 입ㆍ출력 매체에서도 처리가 가능하다.
  3. 이전의 레코드를 탐색하려면 파일을 되돌리면 된다.
  4. 필요한 레코드를 추가하는 경우 파일 전체를 복사해야 한다.
(정답률: 64%)
  • "이전의 레코드를 탐색하려면 파일을 되돌리면 된다."가 순차파일의 특징이 아닌 이유는, 순차파일은 레코드가 순차적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이전 레코드를 탐색하려면 파일을 처음부터 다시 읽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전 레코드를 탐색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논리회로에 의해 계산된 결과 X는?

  1. A⊕B
  2. A・B
(정답률: 78%)
  • XOR 게이트는 입력이 같으면 0, 다르면 1을 출력하는 논리회로이다. 따라서 A와 B가 같으면 AND 게이트의 출력이 1이 되고, 다르면 OR 게이트의 출력이 1이 된다. 이 두 출력값을 XOR 게이트에 입력하면 같으면 0, 다르면 1을 출력하므로 A⊕B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A⊕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효율적인 입ㆍ출력을 위하여 고속의 CPU와 저속의 입ㆍ출력장치가 동시에 독립적으로 동작하게 하여 높은 효율로 여러 작업을 병행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가져올 수 있게 하는 방법은?

  1. 페이징(Paging)
  2. 버퍼링(Buffering)
  3. 스풀링(Spooling)
  4. 인터럽트(Interrupt)
(정답률: 66%)
  • 스풀링은 입ㆍ출력장치와 CPU 간의 속도 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입ㆍ출력 작업을 일시적으로 디스크나 테이프와 같은 대용량 저장장치에 저장해두고, CPU가 처리할 수 있는 속도로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CPU와 입ㆍ출력장치가 독립적으로 동작하면서, 입ㆍ출력 작업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다중 프로그래밍 시스템의 성능 향상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풀링은 입ㆍ출력 작업의 효율적인 처리를 위한 방법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선점형 스케줄링(Preempitive Process Scheduling)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SJF(Shortest Job First) 스케줄링
  2. RR(Round Robin) 스케줄링
  3. SRT(Shortest Remaining Time) 스케줄링
  4. MFQ(Multi-level Feedback Queue) 스케줄링
(정답률: 53%)
  • 정답: SJF(Shortest Job First) 스케줄링

    선점형 스케줄링은 CPU가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강제로 중단시키고 다른 프로세스에게 CPU를 할당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선점형 스케줄링을 사용하는 스케줄링 알고리즘들은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계속해서 검사하고,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프로세스가 발견되면 그 프로세스에게 CPU를 할당한다.

    그러나 SJF(Shortest Job First) 스케줄링은 선점형 스케줄링이 아니라 비선점형 스케줄링이다. SJF 스케줄링은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끝나기 전까지는 다른 프로세스에게 CPU를 할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SJF 스케줄링은 선점형 스케줄링과는 달리,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계속해서 검사하지 않는다. 대신에, 다음에 실행될 프로세스는 실행 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파일(File)의 개념을 바르게 표현한 것은?

  1. Code의 집합을 말한다.
  2. Character의 수를 말한다.
  3. Database의 수를 말한다.
  4. Record의 집합을 말한다.
(정답률: 79%)
  • 파일(File)은 Record(레코드)의 집합을 말합니다. 즉, 파일은 여러 개의 레코드가 모여서 하나의 단위를 이루는 것입니다. 각 레코드는 여러 개의 필드(Field)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필드들이 모여서 하나의 레코드를 이루고, 이러한 레코드들이 모여서 하나의 파일을 이루게 됩니다. 파일은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명령의 수향 결과값은?

  1. 1.75
  2. 3
  3. 11
  4. 28
(정답률: 81%)
  • 주어진 그림은 2차 함수의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함수의 꼭짓점을 찾아야 합니다. 꼭짓점은 x = -b/2a 에서 y값을 구하면 됩니다. 주어진 그래프에서 a는 1, b는 -2, c는 3이므로 x = 1, y = 2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y값인 2에 가장 가까운 정수인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 중앙처리장치는 명령어의 구성방식에 따라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이중 연산 속도를 높이기 위해 처리할 수 있는 명령어 수를 줄였으며, 단순화된 명령구조로 속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은?

  1.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2. MISC(Micro Instruction Set Computer)
  3.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
  4.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
(정답률: 72%)
  • RISC는 명령어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처리할 수 있는 명령어 수를 줄이고, 이를 통해 연산 속도를 높이기 위한 방식이다. 따라서 단순화된 명령구조로 속도를 최대한 높일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에서 연산자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함수연산 기능
  2. 전달 기능
  3. 제어 기능
  4. 인터럽트 기능
(정답률: 62%)
  • 인터럽트 기능은 연산자의 기능이 아니라 컴퓨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예기치 않은 상황에 대처하기 위한 기능이다. 예를 들어, 입출력 작업이 완료되기 전에 다른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 인터럽트가 발생하여 현재 작업을 중단하고 다른 작업을 수행한 후 다시 원래 작업으로 돌아가게 된다. 따라서 인터럽트 기능은 연산자의 기능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방송통신설비의 기술기준에 관한 규정에서 정의한 ‘특고압’은?

  1. 7,000볼트를 초과하는 전압
  2. 5,000볼트를 초과하는 전압
  3. 2,500볼트를 초과하는 전압
  4. 직류는 750볼트, 교류는 600볼트를 초과하는 전압
(정답률: 78%)
  • ‘특고압’은 방송통신설비에서 사용되는 전압 중 가장 높은 수준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7,000볼트를 초과하는 전압이 정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특고압’보다 낮은 전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방송통신설비가 다른 사람의 방송통신설비와 접속되는 경우에 그 건설과 보전에 관한 임 등의 한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설정 하여야 하는 것은?

  1. 분기점
  2. 분계점
  3. 국선분계점
  4. 국선분기점
(정답률: 79%)
  • 방송통신설비가 다른 사람의 방송통신설비와 접속되는 경우, 그 건설과 보전에 관한 책임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분계점을 설정해야 합니다. 분계점은 통신망에서 라인이 분기되는 지점으로, 이를 통해 각각의 사용자가 독립적으로 통신할 수 있게 됩니다. 따라서 분계점을 설정함으로써 각각의 사용자가 자신의 통신망을 독립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건설과 보전에 관한 책임도 명확하게 할 수 있습니다. "분계점"이 정답인 이유는, "분기점"은 통신망에서 라인이 분기되는 지점을 일컫는 용어이지만, 이와는 달리 "분계점"은 국선과 지선이 분리되는 지점을 일컫는 용어로, 이 문제에서는 분계점이 국선과 지선이 분리되는 지점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국선분계점"과 "국선분기점"은 국선에서 라인이 분기되는 지점을 일컫는 용어로, 이 문제에서는 국선과 관련이 없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전기통신설비를 이용하거나 전기통신설비와 컴퓨터 및 컴퓨터의 이용기술을 활용하여 정보를 수집, 가공, 저장, 검색, 송신 또는 수신하는 정보통신체제는 무엇인가?

  1. 부가통신망
  2. 전기통신망
  3. 정보통신망
  4. 전자통신망
(정답률: 67%)
  • 정보통신망은 전기통신설비와 컴퓨터 기술을 활용하여 정보를 수집, 가공, 저장, 검색, 송신 또는 수신하는 체계를 말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보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전기통신설비와 컴퓨터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한데, 이러한 기능을 가진 체계가 정보통신망이기 때문에 정답은 "정보통신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공사 도급의 정의를 가장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발주자가 의뢰한 공사의 설계도서를 작성하고 이에 따라 공사의 공정을 기획 작성
  2. 공사업자가 공사를 완공할 것을 약정하고, 발주자가 이의 대가를 지급할 것을 약정하는 계약
  3. 용역업자가 공사의 시방서를 작성하고 이에 따라 공사기자재를 준비
  4. 공사업자가 용역업자의 설계도서와 공사시방서에 따라 공사를 시공
(정답률: 77%)
  • 공사 도급의 정의는 "공사업자가 공사를 완공할 것을 약정하고, 발주자가 이의 대가를 지급할 것을 약정하는 계약"입니다. 이는 공사를 수행하는 업자와 발주자 간의 계약으로, 공사의 완공과 대가 지급이 약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법령에 의한 ‘용역’의 역무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설계업무
  2. 시공업무
  3. 감리업무
  4. 유지관리업무
(정답률: 54%)
  • 정보통신공사업법령에 의한 ‘용역’의 역무에는 설계업무, 감리업무, 유지관리업무가 포함되지만, 시공업무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시공업무는 건설업무에 해당하며, 정보통신공사업법령에서는 건설업무와는 별도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전기통신사업법에서 규정하는 “전기통신”에 대한 정의로 틀린 것은?

  1. 유선 방식으로 부호ㆍ문언ㆍ음향 또는 영상을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것
  2. 무선 방식으로 부호ㆍ문언ㆍ음향 또는 영상을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것
  3. 광선 방식으로 부호ㆍ문언ㆍ음향 또는 영상을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것
  4. 전기적 방식으로 부호ㆍ문언ㆍ음향 또는 영상을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것
(정답률: 70%)
  • 정답: "유선 방식으로 부호ㆍ문언ㆍ음향 또는 영상을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것"

    전기통신사업법에서 규정하는 "전기통신"은 유선, 무선, 광선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부호, 문언, 음향 또는 영상을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유선 방식으로 부호ㆍ문언ㆍ음향 또는 영상을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것"도 전기통신에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전기통신사업자는 법의 절차에 따라 통신자료제공을 한 경우에는 그 사실을 기재한 통신자료제공대장을 몇 년간 보존하여야 하는가?

  1. 10년
  2. 5년
  3. 2년
  4. 1년
(정답률: 51%)
  • 전기통신사업자는 통신비밀보호법에 따라 법의 절차에 따라 통신자료제공을 한 경우에는 그 사실을 기재한 통신자료제공대장을 1년간 보존하여야 합니다. 이는 통신비밀보호법 제29조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별정통신사업에 해당하는 것은?

  1. 전기통신회선설비를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특별통신 역무를 제공하는 사업
  2. 기간통신사업자로부터 전기통신회선설비를 임차하여 기간통신역무외의 전기통신역무를 제공하는 사업
  3. 기간통신사업자의 전기통신회선설비 등을 이용하여 기간통신역무를 제공하는 사업
  4. 특별히 정한 전기통신설비를 설치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간통신역무외의 특정 전기통신역무를 제공하는 사업
(정답률: 44%)
  • "기간통신사업자의 전기통신회선설비 등을 이용하여 기간통신역무를 제공하는 사업"이 별정통신사업에 해당한다. 이는 기간통신사업자가 보유한 전기통신회선설비를 이용하여 기간통신역무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기간통신사업자와 별도의 계약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정부가 정보통신 표준화를 추진하는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보통신의 효율적인 운영
  2. 정보통신 기술인력의 양성
  3. 정보의 공동활용을 촉진
  4. 정보통신의 호환성 확보
(정답률: 76%)
  • 정부가 정보통신 표준화를 추진하는 목적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정보통신 기술인력의 양성"입니다. 이는 표준화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며, 다른 목적으로 추진되어야 합니다. 정보통신 기술인력의 양성은 교육, 취업, 산업 발전 등 다양한 측면에서 중요한 목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정보통신 감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발주자는 용역업자에게 공사의 감리를 발주하여야 한다.
  2. 감리는 품질관리, 시공관리 및 안전관리 지도 등에 관한 발주자의 권한을 대행한다.
  3. 감리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인정을 받은 사람을 말한다.
  4. 감리원은 설계도서 및 관련 규정의 내용대로 시공되는지를 감독한다.
(정답률: 69%)
  • "감리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인정을 받은 사람을 말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은 이유는 감리원은 고용노동부장관의 인정을 받은 조직이나 기업도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감리원은 감리를 수행하는 조직 또는 기업의 구성원이 될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