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통신기사(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9-23)

정보통신기사(구)
(2017-09-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디지털 전자회로

1. 다음은 트랜지스터 직렬전압안정회로를 나타내었다. 부하전압을 5[V]로 유지하기 위한 제너다이오드의 항복전압은 얼마인가? (단,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이미터 전압 VBE=0.7[V]이고, 입력전압 Vin=10[V]~20[V]까지 변한다고 가정한다.)

  1. 5[V]
  2. 5.7[V]
  3. 10[V]
  4. 10.5[V]
(정답률: 79%)
  • 부하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위해서는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이미터 전압이 일정해야 한다. 따라서 입력전압이 변해도 출력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기 위해서는 제너다이오드의 항복전압과 트랜지스터의 VBE 전압의 합이 일정해야 한다.
    즉, VBE + VD = 일정
    입력전압이 최소인 10[V]일 때, 출력전압은 VD + VBE = 5[V] + 0.7[V] = 5.7[V] 이다.
    따라서 정답은 "5.7[V]"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정류회로 중 평활회로에서 커패시터 입력형에 비해 인덕터 입력형의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최대 역전압(Peak Inverse Voltage)이 높다.
  2. 소전류에 적합하다.
  3. 전압변동률이 양호하다.
  4. 출력직류전압이 크다.
(정답률: 54%)
  • 인덕터 입력형의 특성 중 전압변동률이 양호하다는 것은, 입력 전압의 변동에도 출력 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특성을 의미합니다. 이는 인덕터가 입력 전압의 변화를 완만하게 만들어주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압 안정성이 요구되는 회로에서는 인덕터 입력형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공통 베이스(Common Base) 증폭기 회로에서 컬렉터 전류가 4.9[mA]이고, 이미터 전류가 5[mA]이었을 때 직류전류 증폭률은?

  1. 0.98
  2. 1.02
  3. 1.27
  4. 1.31
(정답률: 71%)
  • 공통 베이스 증폭기 회로에서 직류전류 증폭률은 약 1에 가깝습니다. 이는 컬렉터 전류와 이미터 전류가 거의 같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직류전류 증폭률은 4.9[mA] / 5[mA] = 0.9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B급 푸시풀 증폭기의 최대 직류공급전력은? (단, Im은 최대 콜렉터 전류, Vcc는 공급 전압이다.)

  1. ImVcc
  2. 2ImVcc
  3. ImVcc
  4. 2ImVcc
(정답률: 64%)
  • B급 푸시풀 증폭기는 콜렉터 전류가 최대인 경우에도 콜렉터와 에미터 사이에 직류 전압이 없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콜렉터와 에미터 사이의 저항은 0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이때 최대 직류공급전력은 공급 전압에 최대 콜렉터 전류를 곱한 값이다.

    그러나 B급 푸시풀 증폭기는 콜렉터 전류가 최대인 경우에도 출력 신호의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콜렉터 전류의 절반을 공급하는 NPN 트랜지스터와 PNP 트랜지스터를 사용한다. 따라서 최대 콜렉터 전류를 2로 나눈 값을 최대 콜렉터 전류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콜렉터 전류가 최대인 경우 출력 신호는 사인파 형태이므로, 출력 신호의 최대 전력은 평균 전력의 2배가 된다. 평균 전력은 출력 신호의 전압의 제곱을 저항의 2배로 나눈 값이므로, 최대 직류공급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최대 직류공급전력 = 최대 출력 전력 / 효율
    최대 출력 전력 = (Vcc / 2)² / R
    효율 = 78.5% (B급 증폭기의 효율)

    따라서 최대 직류공급전력은 다음과 같다.

    최대 직류공급전력 = (Vcc / 2)² / R / 효율
    = (Vcc / 2)² / (2ImVcc/π) / 0.785
    = 2ImVcc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B급 SEPP(Single-Ended Push-Pull) 증폭기에서 트랜지스터 1개당 최대 전력 손실은 약 몇 [W]인가?

  1. 1.5[W]
  2. 2.5[W]
  3. 3.5[W]
  4. 4.5[W]
(정답률: 57%)
  • B급 SEPP 증폭기에서 각 트랜지스터는 전압이 0V일 때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전압이 0V인 경우에는 전력 손실이 없다. 하지만 최대 출력 전압에서는 각 트랜지스터는 최대 전류를 흐르게 되며, 이 때 전압이 최소한 Vce(sat) 이상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각 트랜지스터의 손실 전력은 Vce(sat) x Ic(max) 이다. 이 증폭기에서 Vce(sat)은 약 0.2V이고, Ic(max)는 약 1.75A이다. 따라서 각 트랜지스터당 최대 전력 손실은 0.2V x 1.75A = 0.35W 이므로, 1개당 최대 전력 손실은 0.35W x 2 = 0.7W이다. 하지만 이 증폭기에서는 두 개의 트랜지스터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체 증폭기의 최대 전력 손실은 0.7W x 2 = 1.4W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인 "3.5[W]"가 정답이 아니라, "1.5[W]"이나 "2.5[W]"가 더 적절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드레인 접지형 FET 증폭기에 대한 특성으로 틀린 것은? (단, FET의 파라미터 Am은 상호 전도도이다.)

  1. 입력 임피던스는 매우 크다.
  2. 전압 이득은 약 1이다.
  3. 출력은 입력과 역위상이다.
  4. 출력 임피던스는 약 1/Am이다.
(정답률: 72%)
  • "출력은 입력과 역위상이다."가 틀린 것이다. 드레인 접지형 FET 증폭기의 출력은 입력과 같은 위상이다. 이는 FET의 특성상 드레인 전류가 게이트 전압에 비례하기 때문이다.

    입력 임피던스는 매우 크고 전압 이득은 약 1이며, 출력 임피던스는 약 1/Am이다. 이는 FET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정궤환(Positive Feedback)을 사용하는 발진회로에서 발진을 위한 궤환루프(Feedback Loop)의 조건은?

  1. 궤환루프의 이득은 없고, 위상천이가 180°이다.
  2. 궤환루프의 이득은 1보다 작고, 위상천이가 90°이다.
  3. 궤환루프의 이득은 1이고, 위상천이는 0°이다.
  4. 궤환루프의 이득은 1보다 크고, 위상천이는 180°이다.
(정답률: 79%)
  • 정궤환(Positive Feedback)을 사용하는 발진회로에서 발진을 위한 궤환루프(Feedback Loop)의 조건은 "궤환루프의 이득은 1이고, 위상천이는 0°이다." 이어야 한다. 이유는 이러한 조건이 발진회로에서 양의 피드백을 유지하면서 발진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조건이기 때문이다. 이득이 1이면 출력 신호가 입력 신호와 같은 크기로 유지되며, 위상천이가 0°이면 출력 신호가 입력 신호와 같은 위상을 유지한다. 이러한 조건이 유지되면 발진회로는 안정적으로 발진을 유지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그림과 같은 발진회로에서 높은 주파수의 동작에 적절한 발진회로 구현을 위한 리액턴스 조건은 무엇인가?

  1. Z1 = 용량성, Z2 = 용량성, Z3 = 용량성
  2. Z1 = 유도성, Z2 = 유도성, Z3 = 유도성
  3. Z1 = 유도성, Z2 = 용량성, Z3 = 용량성
  4. Z1 = 용량성, Z2 = 용량성, Z3 = 유도성
(정답률: 85%)
  • 높은 주파수에서는 용량성 리액턴스가 작아지고 유도성 리액턴스가 커지기 때문에, 발진회로에서는 Z1과 Z2는 용량성, Z3은 유도성이어야 합니다. 이는 고주파에서 발생하는 전류의 흐름 방향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변조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반송파에 정보신호(음성,화상,데이터 등)를 싣는 것을 변조라 한다.
  2. 변조된 높은 주파수의 파를 반송파라 한다.
  3. 변조는 소신호로 대전류를 제어하는 것이다.
  4. 저주파는 음성 신호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므로 피변조파라 한다.
(정답률: 81%)
  • 반송파는 원래 정보를 운반하지 않는 고정 주파수의 파이며, 이 파에 정보를 싣는 것을 변조라고 한다. 따라서 "반송파에 정보신호(음성,화상,데이터 등)를 싣는 것을 변조라 한다."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불연속 펄스 변조방식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2. PNM(Pulse Number Modulation)
  3. ⊿M(Delta Modulation)
  4. PCM(Pulse Code Modulation)
(정답률: 56%)
  • 정답은 "PNM(Pulse Number Modulation)"입니다. PNM은 펄스의 개수를 이용한 변조 방식으로, 불연속 펄스 변조 방식 중 하나입니다. PAM은 펄스의 진폭을 이용한 변조 방식이며, ⊿M과 PCM도 펄스의 진폭을 이용한 변조 방식입니다. ⊿M은 변화량을 이용하여 펄스를 생성하는 방식이고, PCM은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반송파를 제거하는 변조방식은?

  1. 진폭 변조
  2. 펄스 변조
  3. 위상 변조
  4. 평형 변조
(정답률: 60%)
  • 반송파는 원래 신호의 진폭과 같은 주파수를 가지므로, 평형 변조는 원래 신호와 반대 위상의 진폭 변조 신호를 추가하여 반송파를 상쇄시키는 방식이다. 따라서 평형 변조가 반송파를 제거하는 변조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 변조방식의 에러확률은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조방식의 에러 확률의 몇배인가?

  1. 1/2배
  2. 1/4배
  3. 2배
  4. 4배
(정답률: 69%)
  • BPSK 변조방식의 에러확률은 QPSK 변조방식의 에러확률의 1/2배이다. 이는 BPSK가 1비트당 2개의 상태를 가지고, QPSK가 1비트당 4개의 상태를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QPSK는 더 많은 정보를 전송할 수 있지만, 에러 확률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그림과 같은 회로의 명칭은?

  1. 슈미트 트리거(Schmitt Trigger) 회로
  2. 차동증폭회로
  3. 푸시풀(Push-Pull) 증폭회로
  4. 부트스트랩(Bootstrap) 회로
(정답률: 76%)
  • 이 회로는 입력 신호의 노이즈나 왜곡에 강한 슈미트 트리거(Schmitt Trigger) 회로이다. 슈미트 트리거 회로는 입력 신호가 일정 임계값을 넘어설 때만 출력이 전환되는 회로로, 이를 통해 입력 신호의 노이즈나 왜곡에 강하게 대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회로는 디지털 회로에서 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그림과 같은 주기적인 펄스파형의 듀티비(DutyRatio)는 얼마인가? (단, t0 30[㎲], T = 150[㎲])

  1. 10[%]
  2. 12[%]
  3. 20[%]
  4. 22[%]
(정답률: 83%)
  • 주기 T 중에서 High 상태인 시간 t1의 비율을 듀티비(DutyRatio)라고 한다. 따라서, 주어진 그림에서 High 상태인 시간 t1은 30[㎲]이고, 주기 T는 150[㎲]이므로 듀티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DutyRatio = (t1 / T) × 100 = (30 / 150) × 100 = 20[%]

    따라서, 정답은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8진수 (67)8 을 16진수로 바르게 표기한 것은?

  1. (43)16
  2. (37)16
  3. (31)16
  4. (25)16
(정답률: 82%)
  • 8진수 (67)8을 2진수로 변환하면 (110 111)2가 된다. 이를 4비트씩 끊어서 16진수로 변환하면 (6D)16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6D)16"이다.

    보기에서 "(43)16"은 8진수 (67)8을 16진수로 잘못 변환한 것이다. "(31)16"과 "(25)16"은 8진수 (67)8과는 전혀 다른 값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37)1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2-out of-5 Code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10010
  2. 11000
  3. 10001
  4. 11001
(정답률: 83%)
  • 2-out of-5 Code는 5개의 비트 중에서 2개의 비트만 1로 설정하여 총 10가지의 조합을 만들어내는 코드이다. "11001"은 2개의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2-out of-5 Code에 해당한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2-out of-5 Code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불 대수식 를 간단히 하면?

  1. A
  2. B
  3. AB
  4. A+B
(정답률: 78%)
  • 정답은 "AB"입니다.

    먼저, 불 대수식을 간단히 하기 위해 De Morgan의 법칙을 적용합니다.

    (A+B)(A'+C)(B'+C)

    = (A+B)((A'+C)(B'+C)) // 괄호 안을 곱셈법칙으로 전개

    = (A+B)((A'B')+(A'C)+(CB')) // 분배법칙 적용

    = A'B'+A'C+CB'+AB'+AC // 분배법칙 적용 후 같은 항끼리 묶음

    = A'B'+AB'+A'C+AC+CB' // 항의 순서 변경

    = (A+A')B'+(A+C)B+(C+A')B'+AC // 분배법칙 적용

    = B'+AB+CB'+AC // 항의 순서 변경

    = B'+A(B+C)+C(B+A) // 분배법칙 적용

    따라서, 간단화된 불 대수식은 B'+A(B+C)+C(B+A)입니다. 이를 보기에서 찾아보면 "AB"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카운터(Counter)를 이용하여 컨베이어 벨트를 통과하는 생산품의 개수를 파악하려고 한다. 최대 500개의 생산품 개수를 계산하기 위한 카운터를 플립플롭을 이용하여 제작할 경우 최소한 몇 개의 플립플롭이 필요한가?

  1. 5
  2. 7
  3. 9
  4. 11
(정답률: 85%)
  • 카운터는 이진수로 표현된 값을 저장하는 회로이다. 따라서 500을 이진수로 변환하면 111110100이 된다. 이진수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9개의 비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최소한 9개의 플립플롭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그림과 같은 회로의 명칭은?

  1. 동시회로
  2. 반동시회로
  3. Full Adder
  4. Half Adder
(정답률: 77%)
  • 이 회로는 두 개의 입력(A, B)을 받아서 합(S)과 자리올림(Carry)을 출력하는 회로로, 자리올림을 고려하지 않는 덧셈을 수행하는 Half Adder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소자 중에서 n개의 입력을 받아서 제어 신호에 의해 그 중 1개만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은?

  1. Multiplexer
  2. Demultiplexer
  3. Encoder
  4. Decoder
(정답률: 78%)
  • Multiplexer는 다수의 입력 중에서 하나의 출력을 선택하는데 사용되는 소자이기 때문에, n개의 입력을 받아서 제어 신호에 의해 그 중 1개만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Demultiplexer는 하나의 입력을 다수의 출력으로 분배하는데 사용되고, Encoder는 다수의 입력을 작은 수의 비트로 인코딩하는데 사용되며, Decoder는 인코딩된 비트를 다시 원래의 입력으로 디코딩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Multiplexer가 유일한 올바른 선택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정보통신 시스템

21. 다음 중 국내 ITS용으로 할당된 주파수 대역이 아닌 것은?

  1. 5.795 ~ 5.815[GHz]
  2. 5.850 ~ 5.925[GHz]
  3. 5.835 ~ 5.895[GHz]
  4. 5.125 ~ 5.145[GHz]
(정답률: 73%)
  • 정답은 "5.125 ~ 5.145[GHz]"입니다. 이 주파수 대역은 국내에서는 무선 LAN용으로 할당되어 있으며, ITS용으로는 할당되어 있지 않습니다. 나머지 주파수 대역은 모두 국내 ITS용으로 할당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가상회선 교환 방식의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데이터 전송은 연결 설정, 데이터 전송, 연결 해제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2. 전송할 데이터는 패킷으로 분할되어 전송된다.
  3. 연결이 설정되고 나면 모든 패킷은 동일한 경로를 따라 전송된다.
  4. 각 패킷마다 상이한 경로가 설정된다.
(정답률: 76%)
  • "각 패킷마다 상이한 경로가 설정된다."는 가상회선 교환 방식의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이다. 가상회선 교환 방식에서는 연결 설정 단계에서 경로가 설정되며, 이후 데이터 전송 단계에서는 설정된 경로를 따라 모든 패킷이 전송된다. 따라서 각 패킷마다 상이한 경로가 설정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교환국 수가 n일 때 메쉬형(그물형) 통신망의 중계 회선수는?

  1. n
  2. n(n-1)/2
  3. n/2
  4. n-1
(정답률: 91%)
  • 메쉬형(그물형) 통신망에서는 각 노드(교환국)이 다른 모든 노드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한 노드당 연결 가능한 노드 수는 n-1이다. 그리고 각 연결은 양방향이므로 중복을 제외하면 n-1개의 연결이 존재한다. 이를 모든 노드에 대해 적용하면, 전체 중계 회선 수는 n(n-1)/2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n(n-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제4세대 이동통신서비스에 가장 가까운 기술규격은?

  1. Wibro
  2. WiFi
  3. LTE
  4. Bluetooth
(정답률: 90%)
  • LTE는 Long-Term Evolution의 약자로, 고속 이동 중인 차량이나 기차 등에서도 안정적인 인터넷 연결을 제공하는 4G 이동통신 기술입니다. 따라서, 제4세대 이동통신서비스에 가장 가까운 기술규격은 LTE입니다. Wibro는 WiMAX의 한 형태로, WiFi는 무선 인터넷 기술, Bluetooth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LAN에 사용되는 프로토콜 계층 구조로 올바른 것은? (LLC : Logical Link Control, MAC : Medium Access Control)

(정답률: 80%)
  • LAN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전송 계층, 응용 계층으로 구성된 프로토콜 계층 구조를 사용합니다. 이 중에서도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은 LAN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물리 계층은 전기적, 기계적, 기하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적인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를 관리하며, 오류 검출 및 복구를 수행합니다.

    이 중에서도 ""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계층 구조입니다. 이 구조에서는 LLC(Logical Link Control)와 MAC(Medium Access Control) 두 가지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LLC 계층은 데이터 링크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오류 검출 및 복구를 수행합니다. MAC 계층은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물리적인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충돌을 방지하며, 데이터의 우선순위를 결정합니다.

    따라서, LAN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 계층 구조로 올바른 것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전송계층의 주요 기능은?

  1. 동기화
  2. 프로세스 대 프로세스 전달
  3. 노드 대 노드 전달
  4. 라우팅 테이블의 생성과 유지
(정답률: 79%)
  • 전송계층의 주요 기능은 "프로세스 대 프로세스 전달"입니다. 이는 송신 측에서 메시지를 분할하고, 수신 측에서 재조립하여 프로세스 간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를 위해 전송 계층은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오류 제어, 흐름 제어, 혼잡 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프로토콜의 구성요소 중 '통신 할 신호들의 실제 의미'란 뜻으로 상호협상과 오류처리에 대한 제어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1. 의미(Semantics)
  2. 구문(Syntax)
  3. 동기(Timing)
  4. 포맷(Format)
(정답률: 85%)
  • 프로토콜의 구성요소 중 '의미(Semantics)'는 통신할 신호들의 실제 의미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이는 상호협상과 오류처리에 대한 제어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어, 프로토콜을 통해 통신하는 두 시스템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중요한 구성요소입니다. 다른 보기인 '구문(Syntax)', '동기(Timing)', '포맷(Format)'은 각각 프로토콜의 문법, 시간 동기화, 데이터 형식 등을 나타내는 구성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ITU-T에 관한 내용과 거리가 먼 것은?

  1. CCITT의 후신이다.
  2. 전기통신일반에 관한 표준을 제정한다.
  3. 무선 통신시스템에 관한 표준을 제정한다.
  4. 전화 및 데이터 통신시스템에 관한 표준을 제정한다.
(정답률: 66%)
  • "CCITT의 후신이다."가 ITU-T와 거리가 먼 내용이다. ITU-T는 국제전기통신연합의 표준화 부서로, 전기통신일반, 무선 통신시스템, 전화 및 데이터 통신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표준을 제정한다. CCITT는 이전에 ITU-T의 일부였으며, 현재는 ITU-T의 통신부문 중 하나인 ITU-T 전기통신표준화부문으로 통합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통신 프로토콜의 특성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두 개체 사이의 통신 방법은 직접 통신과 간접 통신방법이 있다.
  2. 프로토콜은 단일 구조 또는 계층적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3. 프로토콜을 대칭적이거나 비대칭적일 수 있다.
  4. 프로토콜은 반드시 표준이어야 한다.
(정답률: 79%)
  • "프로토콜은 반드시 표준이어야 한다."가 알맞지 않은 것이다. 프로토콜은 표준이어야 하지만, 표준이 아닌 프로토콜도 존재할 수 있다. 표준이 아닌 프로토콜은 호환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표준을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교환기의 과금처리 방식 중 하나인 중앙집중처리방식(CAMA)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수의 교환국망일 때 유리하다.
  2. 신뢰성이 좋은 전용선이 필요하다.
  3. 유지보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4. 과금센터 구축에 큰 경비가 들어간다.
(정답률: 71%)
  • 중앙집중처리방식(CAMA)은 다수의 교환국망일 때 유리하며, 과금센터 구축에 큰 경비가 들어가고, 신뢰성이 좋은 전용선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유지보수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CAMA 방식은 중앙에서 모든 과금처리를 처리하기 때문에 유지보수가 간편하고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LAN에서 베이스밴드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가격이 저렴하다.
  2. 아날로그신호 전송이 가능하다.
  3. 단순하여 설치와 유지가 쉽다.
  4. 전파지연이 짧다.
(정답률: 62%)
  • LAN에서 베이스밴드의 장점은 "아날로그신호 전송이 가능하다."가 아닙니다. 이유는 LAN은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기 때문에 아날로그 신호를 전송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아날로그신호 전송이 가능하다."는 베이스밴드의 장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전화통신망(PSTN)의 교환기와 교환기 사이에 제어신호 전달에 사용되는 전송규격은?

  1. SIP
  2. MGCP
  3. H.323
  4. No.7 신호방식
(정답률: 65%)
  • No.7 신호방식은 PSTN에서 교환기와 교환기 사이에 제어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송규격입니다. 이는 전화 통화의 연결, 해제, 전환 등을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SIP, MGCP, H.323은 모두 인터넷 프로토콜 기반의 음성 통신 규격이며, PSTN과는 별도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No.7 신호방식이 PSTN에서 사용되는 전송규격인 이유는 이와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AM 통신방식과 비교하여 FM 통신방식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신기에서 진폭 제한기의 사용으로 잡음이 제거되며 S/N 비가 좋아진다.
  2. 수신측에 진폭제한기와 자동이득조절장치를 적용하여 페이딩 영향이 크다.
  3. 송·수신기가 복잡해 진다.
  4. 스켈치 회로가 있어 입력신호가 없거나 적을 시 내부 잡음을 억제한다.
(정답률: 68%)
  • "수신측에 진폭제한기와 자동이득조절장치를 적용하여 페이딩 영향이 크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FM 통신에서는 주파수 변조를 사용하기 때문에 진폭 제한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자동이득조절장치를 사용하여 페이딩 영향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발신지에서 목적지까지 인터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정보를 전송중계하는 장치는?

  1. 라우터
  2. 리피터
  3. 허브
  4. 브리지
(정답률: 78%)
  • 라우터는 발신지와 목적지 사이에 위치하여 인터넷이나 네트워크 상에서 정보를 전송중계하는 장치입니다. 라우터는 패킷을 분석하여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고,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정보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터네트워크를 경유하여 정보를 전송중계하는 장치는 라우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변조의 필요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송 중에 발생하는 간섭과 잡음을 줄이기 위함이다.
  2. 송·수신용 안테나 길이를 늘리기 위함이다.
  3. 다중 통신을 하기 위함이다.
  4. 전송 효율의 향상을 위함이다.
(정답률: 86%)
  • "송·수신용 안테나 길이를 늘리기 위함이다."는 변조의 필요성과는 관련이 없는 설명이다. 변조는 전송 중에 발생하는 간섭과 잡음을 줄이기 위해 필요하며, 다중 통신을 하기 위해 필요하며,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이동통신망 구성 장비 중 대형장애가 동시에 발생 시 처리의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시스템은 무엇인가?

  1. MSC
  2. HLR
  3. BSC
  4. BTS
(정답률: 78%)
  • BTS는 기지국으로, 다른 시스템들과 달리 대규모 장애가 발생해도 통신망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처리 우선순위가 가장 낮은 시스템이다. MSC는 모바일 교환국, HLR은 이동성 관리자 DB, BSC는 기지국 제어국으로, 이들 시스템은 통신망 전체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므로 처리 우선순위가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대칭키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4명이 통신을 한다고 할 때, 4명이 서로 간 비밀통신을 하기 위해 필요한 비밀키의 수는?

  1. 4
  2. 6
  3. 8
  4. 10
(정답률: 85%)
  • 4명이 서로 간 비밀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사람이 다른 3명과 통신해야 합니다. 따라서, 4명이 모두 서로 간 비밀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4 x 3 = 12개의 비밀키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A와 B가 통신할 때 사용하는 비밀키는 B와 A가 통신할 때 사용하는 비밀키와 동일하므로 중복을 제거해야 합니다. 따라서, 12개의 비밀키 중에서 중복을 제거하면 6개의 비밀키가 필요하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방화벽의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방화벽은 해킹 등 외부의 불법적인 침입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2. 방화벽은 네트워크나 시스템에서 일어나는 행위를 관찰하고 정상적이지 않은 행위에 대해 탐지하는 역할을 한다.
  3. 방화벽은 침입차단 시스템, IPS, VPN 등 다양한 종류의 보안 솔루션을 하나로 모은 통합보안관리 시스템이다.
  4. 방화벽은 공중망을 사설망처럼 이용할 수 있도록 사이트 양단간 암호화 통신을 지원하는 장치이다.
(정답률: 84%)
  • "방화벽은 해킹 등 외부의 불법적인 침입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것이 가장 알맞은 설명이다. 방화벽은 외부에서 내부로의 불법적인 침입을 막아주는 보안장치이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나 시스템에서 일어나는 행위를 관찰하고 정상적이지 않은 행위에 대해 탐지하며, 침입차단 시스템, IPS, VPN 등 다양한 종류의 보안 솔루션을 하나로 모아 통합보안관리 시스템으로 작동한다. 또한, 공중망을 사설망처럼 이용할 수 있도록 사이트 양단간 암호화 통신을 지원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능들은 모두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방화벽의 기본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정보통신시스템 유지보수 활동의 유형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준공 시 정보통신시스템 성능의 유지관리
  2. 잘못된 것을 수정하는 유지보수
  3. 시스템 구축을 위한 유지보수
  4. 장애발생 예방을 위한 유지보수
(정답률: 68%)
  • 정답: "시스템 구축을 위한 유지보수"

    설명: 유지보수는 기존에 구축된 시스템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활동이므로, 시스템 구축을 위한 유지보수는 유지보수의 범주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시스템 구축을 위한 활동은 개발이나 구축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입니다. 따라서, "시스템 구축을 위한 유지보수"가 유지보수의 유형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정보통신 시스템의 하드웨어 설계 시 고려사항이 아닌것은?

  1. 운용, 유지 보수 및 관리
  2. 설치면적 확보
  3. 신뢰성
  4. 전기적 및 물리적 성능
(정답률: 76%)
  • 정보통신 시스템의 하드웨어 설계 시 설치면적 확보는 고려사항이 아닙니다. 이는 설치 환경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설계 단계에서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설치면적 확보는 시스템 구축 후에 실제 설치할 때 고려하는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정보통신 기기

41. 다음 중 2개의 전극(Anode와 Cathode) 사이에 삽입된 유기물 층에 전기장을 가해 발광하게 되는 것은?

  1. CRT
  2. OLED
  3. PDP
  4. TET-LCD
(정답률: 87%)
  • OLED는 유기물 층에 전기장을 가해 발광하는 기술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CRT는 전자 총을 이용해 화면을 발광시키는 기술, PDP는 플라즈마 방출을 이용해 화면을 발광시키는 기술, TET-LCD는 액정을 이용해 화면을 표시하는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Zigbee 네트워크 내에서 반드시 하나만 존재하며, 네트워크 정보의 초기화를 담당하는 것은 무엇인가?

  1. 코디네이터(Coordinator)
  2. 라우터(Router)
  3. 게이트웨이(Gateway)
  4. 단말장치(Data Terminal)
(정답률: 82%)
  • Zigbee 네트워크에서 코디네이터는 네트워크의 초기화를 담당하며, 네트워크 내에서 반드시 하나만 존재합니다. 따라서 코디네이터는 네트워크의 중심 역할을 하며, 다른 라우터, 게이트웨이, 단말장치 등이 코디네이터와 통신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DOCSIS(Data Over Cable Service Interface Specifications)라는 표준 인터페이스 규격을 활용하는 단말은?

  1. 케이블 모뎀
  2. 휴대폰
  3. 스마트 패드
  4. 유선 일반전화기
(정답률: 87%)
  • DOCSIS는 케이블 인터넷 서비스에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규격이므로, DOCSIS를 활용하는 단말은 케이블 모뎀입니다. 케이블 모뎀은 케이블 회선을 통해 인터넷을 제공받을 수 있는 장치로, DOCSIS 규격을 준수하여 케이블 인터넷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지방과 지방, 국가와 국가, 국가와 대륙, 전세계에 걸쳐 형성되는 통신망으로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넓은 지역을 연결하는 통신망은 무엇인가?

  1. PAN
  2. LAN
  3. MAN
  4. WAN
(정답률: 87%)
  • 정답은 "WAN"이다. WAN은 Wide Area Network의 약자로, 지리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는 넓은 지역을 연결하는 통신망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방과 지방, 국가와 국가, 국가와 대륙, 전세계에 걸쳐 형성되는 통신망은 모두 WAN에 해당한다. PAN은 Personal Area Network, LAN은 Local Area Network, MAN은 Metropolitan Area Network의 약자로, 각각 개인용, 지역 내, 도시 전체 수준의 통신망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단말기에서 모뎀으로 데이터를 보내기 위한 신호는 무엇인가?

  1. RTS(Request To Send)
  2. CTS(Clear To Send)
  3. DCE(Data Circuit Equipment)
  4. DSR(Data Set Request)
(정답률: 75%)
  • 단말기에서 모뎀으로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서는 RTS(Request To Send) 신호를 사용합니다. RTS는 단말기에서 모뎀으로 데이터를 보내기 전에 모뎀에게 데이터를 보낼 준비가 되었음을 알리는 신호입니다. 모뎀은 RTS 신호를 받으면 CTS(Clear To Send) 신호를 보내어 데이터를 받을 준비가 되었음을 알립니다. 이후에 단말기는 데이터를 모뎀으로 보내게 됩니다. DCE(Data Circuit Equipment)와 DSR(Data Set Request)는 모뎀과 관련된 용어이지만, 데이터를 보내기 위한 신호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HUB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구내 정보통신망(LAN)과 단말장치를 접속하는 장치이다.
  2. 구내 정보통신망(LAN)과 외부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다중경로를 제어하는 장치이다.
  3. 개방형접속표준(OSI 7)에서 제5계층의 기능을 담당하는 장치이다.
  4. 아날로그 선로상의 신호를 분배, 접속하는 중계장치이다.
(정답률: 76%)
  • "구내 정보통신망(LAN)과 단말장치를 접속하는 장치이다."가 옳은 설명이다. HUB는 LAN과 단말장치들을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를 받은 HUB는 해당 데이터를 연결된 모든 단말장치에 전송한다. 따라서 HUB는 데이터 전송을 위한 중계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집중화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m개의 입력 회선을 n개의 출력 회선으로 집중화하는 장비이다.
  2. 집중화기에 구성 요소로는 단일 회선 제어기, 다수 선로제어기 등이 있다.
  3. 집중화기는 정적인 방법(Static Method)의 공동 이용을 행한다.
  4. 부 채널의 전송속도의 합은 Link 채널의 전송속도보다 크거나 같다.
(정답률: 74%)
  • "집중화기는 정적인 방법(Static Method)의 공동 이용을 행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다. 집중화기는 동적인 방법(Dynamic Method)의 공동 이용을 행한다. 즉, 입력 회선 중에서 비어있는 회선을 찾아서 해당 회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이는 정적인 방법보다 유연하고 효율적인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LAN 장비에서 네트워크계층의 연결장비인 것은?

  1. Router
  2. Bridge
  3. Repeater
  4. Hub
(정답률: 82%)
  • Router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로, 다른 네트워크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LAN 장비 중에서 네트워크 계층의 연결장비인 것은 Router입니다. Bridge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같은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Repeater는 물리 계층에서 동작하며, 신호를 증폭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는 역할을 합니다. Hub는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여러 대의 컴퓨터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ATSC 영상방식에서 채용한 오류정정 부호화 과정이 아닌 것은?

  1. 데이터 랜덤화
  2. 리드 솔로몬 부호화
  3. 격자 부호화
  4. 터보 부호화
(정답률: 65%)
  • ATSC 영상방식에서 채용한 오류정정 부호화 과정 중에서 터보 부호화는 채용하지 않았습니다. 터보 부호화는 CDMA, LTE, WiMAX 등에서 사용되는 고속 데이터 전송 시스템에서 적용되는 고급 오류정정 부호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여러 개의 부호화/복호화 단계를 거쳐서 더욱 강력한 오류정정 기능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IPTV 서비스의 데이터 전송방식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방식은?

  1. 유니캐스트(Unicast)
  2. 멀티캐스트(Multicast)
  3. 브로드캐스트(Broadcast)
  4. 애니캐스트(Anycast)
(정답률: 77%)
  • IPTV 서비스는 동시에 많은 사용자들이 동일한 콘텐츠를 시청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이 가장 효율적입니다. 멀티캐스트는 하나의 데이터 패킷을 여러 대상에게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에 비해 유니캐스트는 각각의 사용자에게 개별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대역폭이 낭비될 수 있습니다. 브로드캐스트는 모든 대상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대역폭이 많이 소모되며, 애니캐스트는 가장 가까운 대상에게만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IPTV 서비스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IPTV 서비스의 구성요소 중 보기의 설명에 대한 것으로 적절한 것은?

  1. 셋탑박스
  2. 인코더
  3. 헤드엔드
  4. 방송소스
(정답률: 90%)
  • IPTV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셋탑박스가 필요합니다. 셋탑박스는 인터넷으로 전송되는 디지털 신호를 TV에서 볼 수 있는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IPTV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셋탑박스가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인코더는 디지털 신호를 압축하는 역할을 하고, 헤드엔드는 인코딩된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방송소스는 IPTV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CATV의 헤드엔드(Head End)의 주요 기능이 아닌것은?

  1. 채널 변환
  2. 신호 분리 및 혼합
  3. 옥내 분배
  4. 신호 송출
(정답률: 74%)
  • CATV의 헤드엔드(Head End)의 주요 기능은 채널 변환, 신호 분리 및 혼합, 신호 송출입니다. 이 중에서 "옥내 분배"는 헤드엔드의 주요 기능이 아닙니다. 옥내 분배는 주로 건물 내부나 집 안에서 케이블 TV 신호를 분배하는 작업을 말하며, 이는 헤드엔드가 아닌 다른 장비나 시설에서 처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트래픽 단위에서 180[HCS]는 몇 얼랑(Erlang)인가?

  1. 3[Erl]
  2. 4[Erl]
  3. 5[Erl]
  4. 6[Erl]
(정답률: 71%)
  • 180[HCS]는 5[Erl]이다.

    이유는 HCS(Hundred Call Seconds)는 100개의 전화가 1초 동안 발생하는 트래픽을 의미하며, Erlang은 1시간 동안 발생하는 트래픽을 의미한다. 따라서 180[HCS]는 1시간 동안 18000[Erl]의 트래픽을 의미하며, 이를 100으로 나누어주면 180[HCS]는 5[Erl]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정지궤도 위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정지궤도란 적도상공 약 36,000[km]를 말한다.
  2. 궤도가 높을수록 위성이 지국를 한 바퀴 도는 시간이 길어진다.
  3. 극지방 관측이 불가능하다.
  4. 정지궤도에 있는 통신위성에서는 지구면적의 약 20[%]가 내려다 보인다.
(정답률: 79%)
  • "극지방 관측이 불가능하다."는 정지궤도 위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정지궤도는 지구의 자전과 동기화된 궤도로, 적도상공 약 36,000km에 위치합니다. 이 궤도에 있는 통신위성은 지구의 자전과 동기화되어 항상 같은 지점을 바라보며 고정됩니다. 따라서 지구면적의 약 20%가 내려다 보이는 것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통신, 방송, 기상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이동전화망의 위치등록 장치인 HLR(Home Location Register)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등록인식
  2. 위치확인
  3. 채널할당
  4. 단말기 정보확인
(정답률: 74%)
  • HLR의 기능 중 채널 할당은 아닙니다. HLR은 이동전화망에서 각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관리하고, 등록 인식, 위치 확인, 단말기 정보 확인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채널 할당은 이동전화망에서 통화나 데이터 전송을 위해 단말기에 채널을 할당하는 기능으로, HLR과는 별개의 기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AM수신기의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틀린것은?

  1. 주파수 변환회로의 변환 컨덕턴스(Conductance)가 큰 것을 사용한다.
  2. 초단 증폭기의 잡음이 작은 것을 사용한다.
  3. 중간 주파수 증폭기의 대역폭을 넓게 한다.
  4. 안테나 결합회로 및 각 증폭단의 이득을 크게 한다.
(정답률: 74%)
  • "주파수 변환회로의 변환 컨덕턴스(Conductance)가 큰 것을 사용한다."는 AM수신기의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이 아니다.

    중간 주파수 증폭기의 대역폭을 넓게 한다는 것은 중간 주파수에서 신호를 증폭시키는 과정에서 신호의 대역폭을 넓게 유지하여 신호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AM수신기의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비디오텍스의 구성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입력장치
  2. 정보축적장치
  3. 통신처리장치
  4. 트랜스폰더
(정답률: 74%)
  • 비디오텍스의 구성장치 중에서 "트랜스폰더"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트랜스폰더"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멀티미디어 응용분야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원격회의
  2. 원격교육
  3. 원격진료
  4. 원격검색
(정답률: 89%)
  • 원격검색은 멀티미디어를 사용하지 않는 분야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원격회의, 원격교육, 원격진료는 모두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전달하거나 상호작용하는 분야이지만, 원격검색은 단순히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검색하는 것으로 멀티미디어 기술의 활용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문자나 그림으로 구성된 화상 정보가 축적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TV수상기와 전화회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1. 쌍방향 CATV
  2. VRS(Video Response System)
  3. 팩시밀리
  4. 비디오텍스
(정답률: 70%)
  • 정답은 "비디오텍스"입니다. 비디오텍스는 문자나 그림으로 구성된 화상 정보가 축적되어 있는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TV수상기와 전화회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쌍방향 CATV는 케이블 TV에서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시스템, VRS는 비디오 응답 시스템으로서 전화를 통해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팩시밀리는 팩스를 이용한 문서 전송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어느 멀티미디어 기기의 전송대역폭이 6[MHz]이고 전송속도가 19.39[Mbps]일 때, 이 기기의 대역폭 효율값은 약 얼마인가?

  1. 2.23
  2. 3.23
  3. 5.25
  4. 6.42
(정답률: 88%)
  • 대역폭 효율값은 전송속도를 전송대역폭으로 나눈 값으로, 이 기기의 대역폭 효율값은 19.39[Mbps] / 6[MHz] = 3.23 이다. 이유는 전송속도가 전송대역폭보다 크기 때문에 대역폭 효율값이 1보다 큰 값이 나오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정보전송 공학

61. 시분할 다중화 방식에서 채널간의 상호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시간 간격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가드 밴드(Guard Band)
  2. 버퍼(Buffer)
  3. 가드 타임(Guard Time)
  4. 부호화 타임(Coding Time)
(정답률: 77%)
  • 시분할 다중화 방식에서 채널간의 상호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간 간격을 가드 타임(Guard Time)이라고 한다. 이는 한 채널의 전송이 끝나고 다음 채널의 전송이 시작되기 전에 일정한 시간 동안 채널을 비워두는 것으로, 이를 통해 채널 간의 신호가 서로 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드 타임은 채널 간의 상호간섭을 최소화하고 전송 신호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이동통신이나 위성통신에서 사용되는 무선 다원접속(Radio Multiple Access)방식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FDMA
  2. TDMA
  3. CDMA
  4. WDMA
(정답률: 73%)
  • 정답은 "WDMA"입니다.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은 모두 무선 다원접속(Radio Multiple Access) 방식 중 하나로,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같은 무선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WDMA(Wavelength Division Multiple Access)은 광통신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 광섬유 케이블을 통해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다른 파장의 빛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동통신이나 위성통신에서 사용되는 무선 다원접속(Radio Multiple Access) 방식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중 표본화 주파수가 높은 경우를 적절하게 표현한 것은?

  1. 초당 샘플수가 낮다.
  2. 전송하려는 정보의 양이 적다.
  3. 요구되는 채널 용량이 커진다.
  4. 초당 프레임수가 낮다.
(정답률: 83%)
  • "초당 샘플수가 높다"는 경우에 표본화 주파수가 높아지므로, 디지털 신호의 해상도가 높아지고 더 많은 정보가 전송되기 때문에 요구되는 채널 용량이 커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정보신호에 따라 펄스 반송파의 폭을 변화시키는 펄스변조방식은?

  1. PDM
  2. PAM
  3. PPM
  4. PCM
(정답률: 61%)
  • 정보신호에 따라 펄스 반송파의 폭을 변화시키는 펄스변조방식은 PDM(Pulse Duration Modulation)이다. PDM은 펄스의 폭을 변화시켜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음성 신호를 PDM으로 변조하면 음성 신호의 크기에 따라 펄스 폭이 변화하여 아날로그 신호를 만들어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스넬의 법칙(Snell's law)이란 광선 또는 전파가 서로 다른 매질의 경계면에 입사하여 통과할 때 입사각과 굴적각과의 관계를 표현한 법칙이다. 다음 그림과 같이 굴절률이 n1과 n2로 서로 다른 두 매질이 맞닿아 있을 때 매질을 통과하는 빛의 경로는 매질마다 광속이 다르므로 휘게되는데, 그 휜 정도를 빛의 입사 평면상에서 각도로 표시하면 θ1과 θ2가 된다. 이때 스넬의 법칙으로 n1, n2, θ1, θ2의 상관관계를 올바르게 정의한 것은?

  1. n1+cosθ1=n2+sinθ2
  2. n1+cosθ2=n2+sinθ2
  3. n1(sinθ1)=n2(sinθ2)
  4. n1(sinθ2)=n2(sinθ1)
(정답률: 79%)
  • 스넬의 법칙은 빛의 진행 방향이 매질을 통과할 때마다 굴절되는 각도를 나타내는 법칙이다. 이때, 빛의 진행 방향이 바뀌는 이유는 빛의 속도가 매질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빛의 진행 방향이 바뀌는 정도는 매질의 굴절률에 따라 결정된다.

    스넬의 법칙에서는 빛의 진행 방향이 바뀌는 정도를 나타내는 굴절각과 빛이 입사하는 각도인 입사각이 서로 다른 매질에서의 굴절률에 의해 결정된다. 이때, 두 매질의 굴절률을 각각 n1과 n2라고 하면, 스넬의 법칙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n1sinθ1 = n2sinθ2

    여기서, θ1은 빛이 n1 매질에서 입사하는 각도이고, θ2는 빛이 n2 매질에서 굴절되어 나가는 각도이다. 이 식은 빛의 진행 방향이 바뀌는 정도가 두 매질의 굴절률과 빛의 입사각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식을 이용하여 빛의 진행 방향이 바뀌는 정도를 계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중계케이블의 통화전압이 55[V]이고 잡음전압이 0.055[V]이면 잡음 레벨[dB]은?

  1. 44[dB]
  2. 50[dB]
  3. 55[dB]
  4. 60[dB]
(정답률: 75%)
  • 잡음 레벨은 20log(잡음전압/통화전압)으로 계산할 수 있다. 따라서, 잡음 레벨은 20log(0.055/55) = -44.8[dB]이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음수값으로 표현되는 잡음 레벨을 양수값으로 변환하기 위해 절댓값을 취하고 10을 곱해주어 dB로 표현한다. 따라서, 10^(-44.8/10) x 10 = 0.0003981이 된다. 이 값을 20log로 다시 변환하면 약 60[dB]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0[d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동선과 비교할 때 동축케이블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용량이 커서 많은 신호를 한번에 전송한다.
  2. 케이블 간의 신호 간섭을 억제한다.
  3. 주파수 신호세력의 감쇠나 전송지연의 변화가 적다.
  4. 선로구축 비용이 저렴하다.
(정답률: 76%)
  • 선로구축 비용이 저렴한 것은 동축케이블이 아니라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의 장점입니다. 동축케이블의 장점은 용량이 크고 신호 간섭을 억제하며 주파수 신호세력의 감쇠나 전송지연의 변화가 적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전송로의 정적인 불완전성은 시스템의 특성에 의해 발생되는 왜곡인데 이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진폭 감쇠 왜곡
  2. 지연 왜곡
  3. 특성 왜곡
  4. 대칭 왜곡
(정답률: 67%)
  • 대칭 왜곡은 전송로의 정적인 불완전성과는 관계가 없는 왜곡으로, 신호의 진폭이 양쪽 방향으로 대칭적으로 왜곡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전송로의 불균형이나 비대칭적인 특성과는 무관하게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문장의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a) 크며 (b) 멀고 (c) 받으며 (d) 크므로
  2. (a) 크며 (b) 짧고 (c) 안받으며 (d) 작으므로
  3. (a) 작으며 (b) 멀고 (c) 받으며 (d) 크므로
  4. (a) 작으며 (b) 짧고 (c) 안받으며 (d) 작으므로
(정답률: 83%)
  • 이 문장은 "저는 (a) 큰 거리를 (b) 멀리서 (c) 돈을 받으며 (d) 큰 소리로 노래합니다." 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a)는 "크며", (b)는 "멀고", (c)는 "받으며", (d)는 "크므로"가 올바른 답입니다. (b)는 "짧고"가 아닌 "멀고"인 이유는 "멀리서"라는 부사가 함께 사용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c)는 "안받으며"가 아닌 "받으며"인 이유는 "돈을 받으며"라는 구문이 함께 사용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d)는 "작으므로"가 아닌 "크므로"인 이유는 "큰 소리로 노래합니다"라는 동사 구문이 함께 사용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다량의 데이터를 고속 전송하는 컴퓨터와 주변장치 간에 사용되는 방식은?

  1. 단방향 전송
  2. 직교 전송
  3. 반이중 전송
  4. 병렬 전송
(정답률: 79%)
  • 다량의 데이터를 고속 전송하는 경우, 한 번에 여러 개의 데이터 비트를 전송하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이를 위해 데이터를 여러 개의 선로를 통해 동시에 전송하는 방식이 병렬 전송입니다. 따라서 병렬 전송이 다량의 데이터를 고속 전송하는 컴퓨터와 주변장치 간에 사용되는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동기식 전송방식의 특징으로 옳은 것은?

  1. 사용단말기가 버퍼기능이 있어야 하며 장비가 복잡하다.
  2. 전송문자마다 앞에 시작비트와 뒤에 정지비트를 지닌다.
  3. 전송속도는 보통 1,800[bps] 이하로 사용한다.
  4. 전송문자 사이에 일정하지 않은 휴지 간격(Idle Time)이 존재한다.
(정답률: 58%)
  • 동기식 전송방식은 전송하는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으로, 이 때 사용되는 장비가 복잡하고 사용단말기가 버퍼기능이 있어야 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나누어 전송하기 때문에, 데이터의 손실이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장비와 사용단말기가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고 처리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비동기 전송방식에서 문자를 해독해 처리하고 다음 문자를 수신할 수 있도록 준비시간을 할애하기 위한 목적의 비트는?

  1. 패리티 비트(Parity Bit)
  2. 데이터 비트(Data Bit)
  3. 시작 비트(Start Bit)
  4. 정지 비트(Stop Bit)
(정답률: 67%)
  • 비동기 전송방식에서는 문자를 전송할 때 시작 비트로 문자의 시작을 알리고, 데이터 비트로 실제 문자를 전송하며, 패리티 비트로 오류 검사를 수행한다. 이후에는 다음 문자를 수신하기 위해 일정 시간의 준비시간이 필요하다. 이때, 정지 비트는 이전 문자의 전송이 끝났음을 알리고, 다음 문자를 수신하기 위한 준비시간을 할애하기 위한 비트이다. 따라서 정답은 "정지 비트(Stop Bi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중 비동기 전송방식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저속도의 EIA-232D데이터 전송에 주로 사용
  2. 긴 데이터 비트 열을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방식
  3. 수신기가 각각 새로운 문자의 시작점에서 재동기를 수행
  4. 매 문자마다 Start, Stop 비트를 부가하여 전송
(정답률: 61%)
  • 정답: "긴 데이터 비트 열을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방식"

    해설: 비동기 전송방식은 데이터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매 문자마다 Start, Stop 비트를 부가하여 전송합니다. 수신기는 각각 새로운 문자의 시작점에서 재동기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긴 데이터 비트 열을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은 비동기 전송방식의 특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IP주소가 B Class이고, 전체를 하나의 네트워크망으로 사용 하고자 할 때 적절한 서브넷 마스크 값은?

  1. 255.0.0.0
  2. 255.255.0.0
  3. 255.255.255.0
  4. 255.255.255.255
(정답률: 81%)
  • B Class IP 주소는 첫 번째 2 옥텟이 네트워크 ID를 나타내고, 마지막 2 옥텟이 호스트 ID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전체를 하나의 네트워크망으로 사용하려면 서브넷 마스크는 네트워크 ID를 모두 포함해야 합니다. "255.255.0.0"은 첫 번째 2 옥텟을 모두 1로, 마지막 2 옥텟을 모두 0으로 설정한 값으로, B Class IP 주소의 모든 네트워크 ID를 포함하므로 적절한 서브넷 마스크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의 목적이 아닌것은?

  1. 네트워크 ID 축소
  2. 네트워크의 부하 감소
  3. 네트워크의 논리적인 분할
  4.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의 구분
(정답률: 69%)
  • 서브넷 마스크의 목적은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를 구분하여 IP 주소를 할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네트워크 ID 축소"는 서브넷 마스크의 목적이 아니다. 서브넷 마스크는 네트워크의 부하 감소, 네트워크의 논리적인 분할,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의 구분 등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고속 LAN으로 대학캠퍼스나 공장같이 한 곳에 모여 있는 LAN들을 연결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것은?

  1. FDDI
  2. ASK
  3. QAM
  4. FSK
(정답률: 84%)
  • FDDI는 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의 약자로 광케이블을 사용하여 고속 LAN을 구성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대학캠퍼스나 공장과 같이 멀리 떨어진 LAN들을 연결하는데 주로 사용된다. ASK, QAM, FSK는 모두 디지털 변조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사용되는 기술이지만, FDDI는 광케이블을 사용하여 높은 대역폭과 신뢰성을 제공하므로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VLAN 트렁킹(Trunk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복수개의 VLAN Frame을 전송할 수 있는 링크를 트렁크(Trunk)라고 하고, 특정 포트를 Trunk Port로 동작시키는 것을 트렁킹(Trunking)이라 한다.
  2. Trunk Port를 통해 Frame을 전송할 때는 Frame이 속하는 VLAN번호를 표시해 주어야 한다.
  3. Trunking Protocol은 Access Mode로 연결된 디바이스 사이에서만 동작한다.
  4. Trunking Protocol은 IEEE 802.1Q와 시스코에서 개발한 ISL(Inter Switch Link)이 있다.
(정답률: 63%)
  • "Trunking Protocol은 Access Mode로 연결된 디바이스 사이에서만 동작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Trunking Protocol은 Trunk Port로 연결된 디바이스 사이에서 동작합니다. Access Mode로 연결된 디바이스 사이에서는 Trunking Protocol을 사용할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전송제어 절차에서 주국이 수행하는 임무로 맞는 것은?

  1. 제어국 이외의 국을 나타낸다.
  2. 데이터를 보내는 국을 나타낸다.
  3. 데이터를 받는 국을 나타낸다.
  4. 데이터의 상태 감시, 제어, 에러 복구를 수행하는 국을 나타낸다.
(정답률: 64%)
  • 전송제어 절차에서 주국은 데이터를 보내는 국을 나타냅니다. 이는 주국이 데이터의 전송을 제어하고, 데이터의 상태를 감시하며, 에러 복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국은 데이터를 보내는 국을 나타내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짝수 패리티 비트의 해밍코드로 0011011을 받았을 때(왼쪽에 있는 비트부터 수신됨), 오류가 정정된 정확한 코드는 무엇인가?

  1. 0111011
  2. 0011000
  3. 0101010
  4. 0011001
(정답률: 7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종속국(Slave)에서 주국(Master) 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동작과 주국이 종속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동작을 알맞게 짝지은 것은?

  1. Polling, Selecting
  2. Polling, Routing
  3. Contention, Routing
  4. Contention, Polling
(정답률: 82%)
  • 주국에서 종속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Polling"이 필요하며, 종속국에서 주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Selecting"이 필요합니다. Polling은 주기적으로 종속국에게 데이터를 요청하여 전송하는 방식이고, Selecting은 종속국이 주국에게 데이터를 전송하고자 할 때 주국이 그것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지 확인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Polling과 Selecting이 올바른 짝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과목: 전자계산기일반 및 정보통신설비기준

81. 다음 중 오류검출과 오류교정까지도 가능한 코드는?

  1. Hamming Code
  2. Biquinary Code
  3. 2-out of-5 Code
  4. EBCDIC Code
(정답률: 87%)
  • 정답은 "Hamming Code"이다. Hamming Code는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검출하고 교정할 수 있는 코드이다. 이 코드는 데이터 비트에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오류를 검출하고, 추가된 패리티 비트를 사용하여 오류를 교정할 수 있다. 따라서, Hamming Code는 오류검출과 오류교정까지 가능한 코드이다. Biquinary Code, 2-out of-5 Code, EBCDIC Code는 오류검출만 가능하고, 오류교정은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지문이 설명하고 있는 것은?

  1. 기억장치 버퍼 레지스터
  2. 누산기
  3. 프로그램 카운터
  4. 명령 레지스터
(정답률: 73%)
  • 프로그램 카운터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기 때문에, CPU가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를 찾기 위해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지문의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를 올바르게 나열할 것은?

  1. ㉠ 응용소프트웨어, ㉡ 시스템소프트웨어, ㉢ 유틸리티, ㉣ 패키지
  2. ㉠ 시스템소프트웨어, ㉡ 응용소프트웨어, ㉢ 유틸리티, ㉣ 패키지
  3. ㉠ 시스템소프트웨어, ㉡ 유틸리티, ㉢ 응용소프트웨어, ㉣ 패키지
  4. ㉠ 응용소프트웨어, ㉡ 시스템소프트웨어, ㉢ 패키지, ㉣ 유틸리티
(정답률: 75%)
  • 이미지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종류를 나타내고 있으며, 각각의 소프트웨어 종류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 시스템소프트웨어: 컴퓨터 하드웨어와 응용소프트웨어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운영체제, 디바이스 드라이버 등이 해당된다.
    - 응용소프트웨어: 사용자가 직접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로, 워드프로세서, 그래픽 편집기 등이 해당된다.
    - 유틸리티: 컴퓨터의 기능을 보완하거나 유지보수하는 소프트웨어로, 백신 프로그램, 압축 프로그램 등이 해당된다.
    - 패키지: 여러 응용소프트웨어를 묶어서 판매하는 소프트웨어로, MS Office, Adobe Creative Suite 등이 해당된다.

    따라서, 이미지에서 보여지는 소프트웨어 종류의 순서는 "시스템소프트웨어, 응용소프트웨어, 유틸리티, 패키지" 이므로 정답은 "㉠ 시스템소프트웨어, ㉡ 응용소프트웨어, ㉢ 유틸리티, ㉣ 패키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CPU가 명령문을 수행하는 순서는?

  1. ㉢-㉠-㉡-㉣-㉤
  2. ㉢-㉡-㉣-㉤-㉠
  3. ㉡-㉢-㉣-㉤-㉠
  4. ㉣-㉢-㉡-㉤-㉠
(정답률: 62%)
  • CPU가 명령문을 수행하는 순서는 Fetch(가져오기) - Decode(해독하기) - Execute(실행하기) - Store(저장하기) 이다. 따라서, "㉢-㉡-㉣-㉤-㉠" 순서로 진행된다.

    ㉢: CPU는 메모리에서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를 가져온다(Fetch).
    ㉡: 가져온 명령어를 해독(Decode)하여 CPU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다.
    ㉣: 변환된 명령어를 실행(Execute)한다.
    ㉤: 실행한 결과를 메모리나 레지스터에 저장(Store)한다.
    ㉠: 다음 명령어를 가져오기 위해 다시 Fetch 단계로 돌아간다.

    따라서, "㉢-㉡-㉣-㉤-㉠" 순서로 진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문장에서 설명하는 운영체제의 유형은?

  1. 시분할 시스템(Time-sharing System)
  2. 다중 처리(Multi-processing)
  3. 다중 프로그래밍(Multi-programming)
  4. 결함허용 시스템(Fault-tolerant System)
(정답률: 66%)
  • 이 유형의 운영체제는 시스템 내부의 결함이나 오류에 대해 자동으로 대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이 중단되거나 데이터가 손실되는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사용자가 단말기에서 여러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기법은?

  1. 스풀링(Spooling)
  2. 다중 프로그래밍(Multi-programming)
  3. 다중 처리기(Multi-processor)
  4. 다중 테스킹(Multi-tasking)
(정답률: 61%)
  • 단말기에서 여러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시키는 기법은 다중 테스킹(Multi-tasking)입니다. 이는 운영체제가 여러 프로그램을 동시에 실행하면서 각각의 프로그램이 자신만의 가상 CPU를 할당받아 독립적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여러 작업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으며,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8비트에 저장된 값 10010111을 16비트로 확장한 결과값은? (단, 가장 왼쪽의 비트는 부호(Sign)를 나타낸다.)

  1. 0000000010010111
  2. 1000000010010111
  3. 1001011100000000
  4. 1111111110010111
(정답률: 60%)
  • 가장 왼쪽의 비트가 1이므로 이는 음수를 나타내는 부호비트이다. 따라서 8비트에서는 2의 보수법을 사용하여 음수를 나타내는데, 이를 16비트로 확장할 때에도 동일한 방법을 사용한다.

    먼저, 8비트에서 부호비트를 제외한 나머지 비트들을 그대로 복사하여 16비트에서도 동일하게 배치한다. 즉, "10010111"을 "0000000010010111"로 확장한다.

    그리고 부호비트가 1이므로 이는 음수를 나타내는데, 2의 보수법에 따라 모든 비트를 반전시킨 후 1을 더해준다. 따라서 "10010111"의 2의 보수는 "01101001"이 되고, 여기에 1을 더해주면 최종 결과값인 "111111111001011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중 마이크로프로그램에 의한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동작으로 틀린 것은?

  1. 주기억 장치에서 명령어 인출하는 동작
  2. 오퍼랜드의 유효 주소를 계산하는 동작
  3. 지정된 연산을 수행하는 동작
  4. 다음 단계의 주소를 결정하는 동작
(정답률: 61%)
  • 마이크로프로그램에 의한 마이크로 오퍼레이션동작 중 "다음 단계의 주소를 결정하는 동작"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마이크로프로그램은 명령어의 실행 순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장치의 일종으로, 다음 단계의 주소를 결정하는 것은 제어 장치의 역할입니다. 따라서 이 동작은 마이크로프로그램이 아닌 제어 장치에서 수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지문에서 설명하고 있는 소프트웨어의 종류는?

  1. 펌웨어
  2. 시스템 소프트웨어
  3. 응용 소프트웨어
  4. 디바이스 드라이버
(정답률: 73%)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장치의 제어와 관련된 소프트웨어이며, 이는 펌웨어에 해당한다. 펌웨어는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로, 주로 임베디드 시스템이나 기타 장치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펌웨어"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주소영역(Address Space)이 1[GB]인 컴퓨터가 있다. 이 컴퓨터의 MAR(Memory Address Register)의 크기는 얼마인가?

  1. 30[bit]
  2. 30[Byte]
  3. 32[bit]
  4. 32[Byte]
(정답률: 55%)
  • 1[GB]는 2의 30승 바이트이다. MAR은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로,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이다. 따라서, 2의 30승 바이트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30비트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30[bi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의 운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사업을 양도할 수 있다.
  2. 공사업자인 법인 간에 합병할 수 있다.
  3. 공사업자인 법인을 분할하여 설립할 수 있다.
  4. 합병에 의하여 설립된 법인은 소명되는 법인의 지위를 승계하지 못한다.
(정답률: 80%)
  • "합병에 의하여 설립된 법인은 소명되는 법인의 지위를 승계하지 못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합병에 의해 새로운 법인이 설립되는 경우, 기존의 법인의 지위를 승계하지 못하고 새로운 법인으로부터 새로운 지위를 부여받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법인의 독립성과 책임성을 보장하기 위한 법적 규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이 전기통신번호 관리계획을 수립·시행하는 목적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전기통신역무의 효율적인 제공을 위하여
  2. 통신기술인력의 양성사업을 지원하기 위하여
  3. 이용자의 편익을 위하여
  4. 전기통신사업자간의 공정한 경쟁환경의 조성을 위하여
(정답률: 74%)
  • "통신기술인력의 양성사업을 지원하기 위하여"는 전기통신번호 관리계획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으므로 해당 목적으로 볼 수 없습니다. 이는 통신 분야에서 인력양성이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지원하기 위한 별도의 정책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법에서 규정하는 '하도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도급받은 공사의 전부에 대하여 수급인이 제3자와 체결하는 계약을 말한다.
  2. 도급받은 공사의 일부에 대하여 하도급인이 제3자와 체결하는 계약을 말한다.
  3. 도급받은 공사의 일부에 대하여 수급인이 제3자와 체결하는 계약을 말한다.
  4. 도급받은 공사의 전부에 대하여 하도급인이 제3자와 체결하는 계약을 말한다.
(정답률: 73%)
  • 정답은 "도급받은 공사의 일부에 대하여 하도급인이 제3자와 체결하는 계약을 말한다." 이다. 하도급은 도급받은 공사의 일부를 다른 업체에게 맡기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하도급은 도급받은 공사의 전부가 아닌 일부에 대해서만 이루어지며, 이 일부에 대한 계약을 수급인이 제3자와 체결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구내통신선로설비의 설치 및 철거 방법으로 잘못된 것은?

  1. 구내에 5회선 이상의 국선을 인입하는 경우 옥외회선은 지하로 인입한다.
  2. 사업자는 이용약관에 따라 체결된 서비스 이용계약이 해지된 경우에는 설치된 옥외회선을 철거하여야 한다.
  3. 배관시설은 설치된 후 배선의 교체 및 증설시공이 쉽게 이루어 질 수 있는 구조로 설치하여야 한다.
  4. 인입맨홀·핸드홀 또는 인입주까지 지하인입배관을 설치한 경우에는 지하로 인입하지 않아도 된다.
(정답률: 81%)
  • "인입맨홀·핸드홀 또는 인입주까지 지하인입배관을 설치한 경우에는 지하로 인입하지 않아도 된다."가 잘못된 것이다. 이유는 구내통신선로설비의 인입방법은 건물의 위치와 구조, 지형 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되기 때문에, 인입방법은 사업자와 협의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인입맨홀·핸드홀 또는 인입주까지 지하인입배관을 설치한 경우에도 지하로 인입해야 할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자의 시공능력평가에 포함되지 않는 사항은?

  1. 경영진평가
  2. 자본금평가
  3. 기술력평가
  4. 경력평가
(정답률: 65%)
  • 정보통신공사업자의 시공능력평가는 기술력평가, 경력평가, 자본금평가를 포함하지만, 경영진평가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시공능력평가가 주로 기술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입니다. 경영진평가는 회사의 경영 전략, 조직 문화, 인력 관리 등을 평가하는 것으로, 시공능력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방송통신설비의 제거명령을 위반한 자에 대한 벌금규정은?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2.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4.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정답률: 83%)
  • 방송통신설비의 제거명령은 법적으로 정해진 절차를 거쳐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반하여 설비를 제거하는 행위는 불법이며, 이에 대한 처벌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방송통신설비의 제거명령을 위반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이는 법적으로 정해진 벌칙 중에서 가장 경도한 것으로, 법을 지키지 않는 행위에 대한 경고와 경계를 내포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의 설계 및 시공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공사를 설계하는 자는 기술기준에 적합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
  2. 설계도서를 작성하는 자는 그 설계도서에 서명 또는 기명날인 하여야 한다.
  3. 감리원은 설계도서 및 관련 규정에 적합하도록 공사를 감리하여야 한다.
  4. 공사를 감리한 용역업자는 그가 감리한 공사의 준공설계도서를 준공 후 5년간 보관하여야 한다.
(정답률: 84%)
  • 정답은 "공사를 설계하는 자는 기술기준에 적합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가 아닌 "공사를 설계하는 자는 법령 및 기술기준에 적합하도록 설계하여야 한다."입니다.

    감리원은 공사를 감리하여 설계도서 및 관련 규정에 적합하도록 감리하고, 공사를 감리한 용역업자는 감리한 공사의 준공설계도서를 보관해야 합니다. 이는 공사의 품질보증 및 사후관리를 위한 조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방송통신설비에 사용되는 전원설비는 동작전압과 전류의 변동률을 정격전압 및 정격전류의 얼마 이내로 유지할 수 있어야 하는가?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71%)
  • 전원설비는 안정적인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정격전압과 정격전류를 기준으로 설계되어야 합니다. 그리고 이 기준값에서 벗어나는 전압과 전류의 변동은 장비의 동작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따라서 전원설비는 정격전압과 정격전류에서 ±10% 이내로 변동률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장비의 동작이 불안정해지거나 손상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중 정보통신공사업을 경영하려는 자는 누구에게 등록을 하여야 하는가?

  1. 한국정보통신공사협회장
  2. 국립전파연구원장
  3.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4. 시·도지사
(정답률: 59%)
  • 정보통신공사업은 지역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시·도지사가 해당 업무를 관리하고 감독하기 위해 등록을 받아야 한다. 따라서 시·도지사가 등록을 담당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광대역통합정보통신기반'의 용어 정의로 알맞은 것은?

  1. 통신·방송·인터넷이 융합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나 고속·대용량으로 이요할 수 있는 정보통신망을 말한다.
  2. 실시간으로 동영상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고속·대용량의 종합정보통신망과 이와 관련된 기술 및 서비스 내용 들을 말한다.
  3. 광대역통합정보통신망과 이에 접속되어 이용되는 정보통신기기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베이스 등을 말한다.
  4. 모든 정보통신망을 이용하여 정보를 생산, 유통, 활용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한 모든 종류의 자료와 지식, 활동 등을 말한다.
(정답률: 53%)
  • 광대역통합정보통신기반은 광대역통합정보통신망과 이에 접속되어 이용되는 정보통신기기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베이스 등을 말한다. 즉, 고속·대용량의 정보통신망과 그에 필요한 기기와 소프트웨어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