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6-07-16)

전기기능장
(2006-07-1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동기 조상기에 유입되는 여자전류를 정격보다 적게 공급시켜 운전했을 때의 현상으로 옳은 것은?

  1. 콘덴서로 작용한다.
  2. 저항부하로 작용한다.
  3. 부하의 앞선 전류를 보상한다.
  4. 부하의 뒤진 전류를 보상한다.
(정답률: 62%)
  • 부하의 앞선 전류를 보상한다는 것은, 동기 조상기에 유입되는 여자전류가 정격보다 적게 공급되어 부하가 동작할 때, 부하에서 발생하는 전류가 동기 조상기로 되돌아가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부하의 앞선 전류를 보상하는 것은 부하에서 발생한 전류가 동기 조상기로 되돌아가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콘덴서나 저항부하가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부하와 동기 조상기 사이에 적절한 회로가 구성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직선 전류에 의해서 그 주위에 생기는 환상자계의 방향은?

  1. 전류의 방향
  2. 전류와 반대방향
  3. 오른나사의 진행방향
  4. 오른나사의 회전방향
(정답률: 70%)
  • 직선 전류에 의해서 그 주위에 생기는 환상자계의 방향은 오른나사의 회전방향입니다. 이는 오른손 법칙에 따라 결정됩니다. 즉, 오른손을 주어진 전류의 방향에 따라 감싸고 있는 전선 주위로 감고, 엄지손가락을 전류의 방향으로, 나머지 손가락들을 전류가 흐르는 방향과 수직으로 만들면, 나머지 손가락들이 가리키는 방향이 환상자계의 방향이 됩니다. 이때, 오른손을 사용하므로 오른나사의 회전방향이 환상자계의 방향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전원과 부하가 다 같이 △ 결선된 3상 평형회로가 있다. 전원 전압이 200[V], 부하 임피던스가 6+j8[Ω]인 경우 선전류는 몇 [A]인가?

  1. 10√3
  2. 30√3
  3. 15√3
  4. 20√3
(정답률: 83%)
  • 전압과 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전류를 구할 수 있습니다.

    전류 = 전압 / 임피던스

    전압은 200[V]이고, 임피던스는 6+j8[Ω]이므로,

    전류 = 200 / (6+j8) = 200 / (10∠53.13°) = 20∠-53.13° [A]

    여기서 ∠는 극좌표계에서의 각도를 나타내며, -53.13°는 4사분면에 위치한 각도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평형회로이므로, 선전류는 상전류의 √3배가 됩니다.

    따라서 선전류 = 20∠-53.13° × √3 = 20√3∠-53.13° [A]

    여기서 ∠-53.13°는 4사분면에 위치한 각도이며, -53.13°는 180°보다 작은 각도입니다. 따라서 답은 "20√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R[Ω]인 3개의 저항을 같은 전원에 △ 결선으로 접속시킬 때와 Y결선으로 접속시킬 때 선전류의 크기 비 는?

  1. 1/3
  2. √6
  3. √3
  4. 3
(정답률: 60%)
  • Y-결선으로 접속할 때와 △-결선으로 접속할 때의 전압은 같으므로, 저항이 작은 부분에 더 많은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Y-결선으로 접속할 때, 가운데 저항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나머지 두 저항에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따라서, 전체 전류는 두 저항의 병렬 연결과 같아지게 됩니다. 이 때, 두 저항의 병렬 연결은 1/2Ω 이므로, 전체 전류는 6V / 1/2Ω = 12A 가 됩니다.

    △-결선으로 접속할 때, 각 꼭지점에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따라서, 전체 전류는 한 저항의 전류와 같아지게 됩니다. 이 때, 한 저항의 전류는 6V / √3Ω = 2√3A 가 됩니다.

    따라서, Y-결선으로 접속할 때와 △-결선으로 접속할 때의 선전류의 크기 비는 12A / 2√3A = 3 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의 간략화 된 논리함수는?

  1. 0
  2. 1
  3. A
  4. B
(정답률: 71%)
  • 주어진 논리회로를 간략화하면, A와 B가 OR 연산되고, 그 결과가 NOT 연산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출력 Y는 A와 B의 OR 연산 결과의 NOT 연산이므로, 입력 A와 B가 모두 0일 때 출력 Y는 1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그림과 같은 접점회로를 논리 게이트로 표현하면?

(정답률: 73%)
  • 접점회로에서 A와 B가 모두 참일 때, C가 참이 되는 경우는 A와 B가 모두 연결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논리 게이트로 표현하면 AND 게이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은 OR 게이트, ""은 NOT 게이트, ""은 XOR 게이트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유도전동기의 주파수 제어를 위한 정지형 전력변환장치는?

  1. 정류기
  2. 여자기
  3. 인버터
  4. 초퍼
(정답률: 76%)
  • 유도전동기의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AC 전원을 DC로 변환한 후 다시 AC로 변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용되는 장치가 인버터입니다. 인버터는 DC 전원을 AC 전원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하며, 주파수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도전동기의 주파수 제어를 위한 정지형 전력변환장치는 인버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위상각 θ=60°의 유도부하에 대하여 점호각 α를 0 °에서 180 ° 까지 가감하는 경우에 전류가 연속되는 α의 각도는 몇도 까지 인가?

  1. 30 °
  2. 60 °
  3. 90 °
  4. 120 °
(정답률: 76%)
  • 위상각이 60°이므로 유도자의 자기장이 전압보다 60° 뒤에 따라온다. 따라서 점호각이 0°일 때 유도자의 자기장과 전압이 같은 방향으로 작용하여 전류가 연속되지만, 점호각이 60°일 때는 유도자의 자기장과 전압이 서로 상반되어 전류가 연속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류가 연속되는 각도는 60°까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그림의 회로에서 x와 Y를 선택 입력으로 하고 Z를 데이터 입력단자로 사용할 경우 이 회로의 기능은?

  1. 데이터 셀렉터
  2. 멀티플랙서
  3. 엔코더
  4. 디멀티 플랙서
(정답률: 66%)
  • 이 회로는 디멀티플렉서입니다. 선택 입력 x와 y는 데이터 입력 Z를 선택하여 출력으로 내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회로는 다수의 입력 중 하나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디멀티플렉서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플립플롭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두가지 안정상태를 갖는다.
  2.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이다.
  3. 반도체 메모리 소자로 이용된다.
  4. 트리거 펄스 1개마다 1개의 출력펄스를 얻는다.
(정답률: 87%)
  • 정답은 "트리거 펄스 1개마다 1개의 출력펄스를 얻는다."입니다. 이유는 플립플롭 회로는 트리거 펄스가 입력되면 출력이 변화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트리거 펄스가 1개 입력되면 1개의 출력펄스를 얻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전선을 접속할 때의 유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전선 접속점의 전기적 저항을 증가시키지 않는다.
  2. 전선 접속점의 기계적 강도가 80% 이상 감소 되어서는 안된다.
  3. 전선 접속점의 절연 내력이 약회되지 않도록 테이핑 한다.
  4. 전선 접속점에 장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유의한다.
(정답률: 92%)
  • 전선 접속점의 기계적 강도가 80% 이상 감소 되어서는 안된다는 것은 전선이 끊어지거나 떨어지는 등의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선 접속 시에는 기계적 강도를 충분히 고려하여 안전하게 접속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지지물에 완금, 완목, 애자 등을 장치하는 것을 무슨 공사라 하는가?

  1. 근가공사
  2. 지선공사
  3. 장주공사
  4. 가선공사
(정답률: 75%)
  • 장주공사는 지지물에 완금, 완목, 애자 등을 장치하는 공사를 말합니다. "장주"는 지지물을 뜻하고, "공사"는 공사작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지지물에 다양한 장식을 부착하는 작업을 장주공사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단상 교류 전동기의 입력을 표시하는 식은?

  1. 3EIcosθ
  2. √3EIcosθ
  3. EI
  4. EIcosθ
(정답률: 72%)
  • 단상 교류 전동기의 입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P = VIcosθ가 됩니다. 여기서 P는 전력, V는 전압, I는 전류, θ는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입니다.

    입력 중에서 전압을 나타내는 부분은 E이고, 전류를 나타내는 부분은 I입니다. 따라서 입력을 나타내는 식은 EI가 됩니다.

    하지만 위상차 θ가 존재하기 때문에, 전력을 나타내는 식에서 cosθ를 곱해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EIcosθ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단위 중 자장의 세기의 단위는?

  1. AT/m
  2. Wb/m2
  3. Wb/m
  4. AT/m2
(정답률: 78%)
  • 자장의 세기는 테슬라(Tesla)로 표시되며, 테슬라는 단위 면적당 자기장의 크기를 나타내는 자장 밀도(B)의 단위인 아테스라(AT)와 면적의 단위인 제곱미터(m2)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장의 세기의 단위는 AT/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전류의 방향과 기전력의 방향을 결정하는 법칙은?

  1. 렌츠의 법칙
  2.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
  3. 패러데이의 전자유도법칙
  4. 앙페에르의 오른나사의 법칙
(정답률: 67%)
  • 렌츠의 법칙은 전류의 방향과 기전력의 방향을 결정하는 법칙으로, 전류가 흐르는 도선을 오른손으로 감싸면 엄지손가락이 전류의 방향을, 나머지 손가락이 자기장의 방향을 나타내게 된다. 이는 전자기학에서 매우 기본적인 법칙으로, 전기기기 설계 및 전기회로 구성 등에 매우 중요하게 활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직류기의 전기자 권선법 중 파권 권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브러시 수가 극수와 같다.
  2. 균압환이 필요하다.
  3. 저전압 대전류용이다.
  4. 전기자 병렬회로수는 항상 2이다.
(정답률: 75%)
  • 전기자 권선법 중 파권 권선은 직류기의 전기자를 권선할 때, 전류가 흐르는 방향이 바뀌는 부분에서 전기자를 교차하여 권선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전기자의 자기장이 상쇄되어 전기자 간의 상호작용이 최소화되어 균형적인 회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전기자 병렬회로수는 항상 2이라는 것은 직류기의 전기자를 권선할 때, 전기자를 두 개씩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전기자의 회전 방향을 균형적으로 유지하면서 전류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출력 3kW, 회전수 1500rpm인 전동기의 토크는 약 몇 kg·m 인가?

  1. 2
  2. 3
  3. 5
  4. 15
(정답률: 72%)
  • 토크(Torque)는 출력과 회전수에 비례하는데, 이 문제에서는 출력과 회전수가 주어졌으므로 토크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동기의 출력은 3kW이므로, 이를 회전수로 나누어서 단위를 맞춰줍니다.

    3kW = 3000W
    3000W / 1500rpm = 2N·m

    따라서, 이 전동기의 토크는 약 2kg·m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단상 전파정류로 직류전압 100V를 얻는데 필요한 변압기 2차 권선의 전압은 약 몇 V인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80
  2. 91
  3. 111
  4. 444
(정답률: 40%)
  • 단상 전파정류기에서 직류전압을 얻기 위해서는 2차 권선의 전압이 1.414배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100V를 얻기 위해서는 2차 권선의 전압은 100/1.414, 약 70.7V가 되어야 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값 중에서는 이 값을 가장 근접하게 나타내는 값이 444이므로 정답은 44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동기전도기의 기동을 다른 전동기로 할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유도전동기를 사용할 경우 동기전동기의 극수보다 2극 정도 적은 것을 택한다.
  2. 유도 전동기의 극수를 동기 전동기의 극수와 같게 한다.
  3. 다른 동기전동기로 기동시킬 경우 2극 정도 많은 전동기를 택한다.
  4. 유도전동기로 기동시킬 경우 동기전동기보다 2극 정도 많은 것을 택한다.
(정답률: 82%)
  • 유도전동기는 동기전동기와 달리 자기장을 이용하여 회전하는 원리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동기전동기보다 극수가 적은 경우에 더 효율적으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도전동기를 사용할 경우 동기전동기의 극수보다 2극 정도 적은 것을 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이리스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PNPN구조를 이용하여 2개의 안정된 ON/OFF 동작을 한다.
  2. SCR도 사이리스터의 일부분으로 이 소자는 확산공정에 의하여 제조된다.
  3. 단자의 수에 의하여 2단자, 3단자 또는 4단자가 있고,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구분하기도 한다.
  4. NPN 또는 PNP의 3층 구조로서 베이스 신호에 의하여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정답률: 60%)
  • 다이리스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없습니다. 모든 설명이 맞습니다. 다이리스터는 NPN 또는 PNP의 3층 구조로서 베이스 신호에 의하여 ON/OFF를 제어할 수 있으며, PNPN 구조를 이용하여 2개의 안정된 ON/OFF 동작을 합니다. 또한 SCR도 다이리스터의 일부분으로 이 소자는 확산공정에 의하여 제조됩니다. 단자의 수에 따라 2단자, 3단자 또는 4단자가 있고, 전류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구분하기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지상역률 80%인 1,000kVA의 부하를 100%의 역률로 개선하는데 필요한 전력용 콘덴서의 용량은 몇 kVA인가?

  1. 200
  2. 400
  3. 600
  4. 800
(정답률: 71%)
  • 지상역률이 80%이므로 유효전력은 800kW입니다. 부하를 100%의 역률로 개선하려면 콘덴서를 추가하여 무효전력을 보상해야 합니다. 이때 필요한 무효전력은 800kW의 3배인 2,400kvar입니다. 따라서 전력용 콘덴서의 용량은 2,400kvar이며, 이를 kVA로 환산하면 2,400kVA가 됩니다. 하지만 이는 부하의 용량인 1,000kVA보다 큰 값이므로, 부하의 용량과 같은 1,000kVA로 콘덴서의 용량을 제한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0kVA의 부하를 100%의 역률로 개선하는데 필요한 전력용 콘덴서의 용량은 600kvar 또는 kVA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효율 80%, 출력 10kW인 직류 발전기의 전 손실은 몇 kW인가?

  1. 1.25
  2. 2.5
  3. 2.0
  4. 3.0
(정답률: 49%)
  • 전 손실은 출력의 20%에 해당하는 값이므로, 10kW의 20%는 2kW입니다. 따라서 전 손실은 2kW가 되며, 이는 2.5가 아닌 2.0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2.5"가 아닌 "2.0"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주석 도금한 0.75mm2(30/0.18)의 연동선에 비닐을 피복한 것으로 형광등용 안정기의 2차 배선에 주로 사용되는 전선은?

  1. IAL 전선
  2. RB 전선
  3. FL 전선
  4. ACSR 전선
(정답률: 79%)
  • FL 전선은 형광등용 안정기의 2차 배선에 주로 사용되는 전선으로, 주석 도금한 연동선에 비닐을 피복한 것이기 때문에 내부 전기 저항이 낮아 전기적으로 안정하며, 또한 내구성이 뛰어나고 유연성이 있어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FL 전선이 형광등용 안정기의 2차 배선에 적합한 전선으로 선택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동기 발전기의 돌발 단락 전류를 주로 제한하는 것은?

  1. 동기 리액턴스
  2. 권선저항
  3. 누설리액턴스
  4. 영상리액턴스
(정답률: 74%)
  • 동기 발전기의 돌발 단락 전류를 주로 제한하는 것은 누설 리액턴스입니다. 이는 발전기의 회전자와 스테이터 사이에 위치한 코일로, 회전자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전류가 유도되어 발생합니다. 이 누설 리액턴스는 전류의 흐름을 제한하고, 돌발 단락 전류를 제한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포화하고 있지 않은 직류 발전기의 회전수가 1/2로 감소 되었을 때 기전력을 전과 같은 값으로 하자면 여자를 속도 변화 전에 비하여 몇 배로 하여야 하는가?

  1. 0.5배
  2. 1배
  3. 2배
  4. 4배
(정답률: 73%)
  • 직류 발전기의 기전력은 회전수와 자기장 세기에 비례하므로 회전수가 1/2로 감소하면 기전력도 1/2로 감소합니다. 따라서, 속도 변화 전에 비하여 기전력을 전과 같은 값으로 유지하려면 회전수를 2배로 증가시켜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진공 중의 두 대전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 1.2×10-8N이고, 대전체 사이에 유전체를 넣으니 작용하는 힘이 0.03×10-6N이 되었다면 여기에서 유전체의 비유전율은?

  1. 0.036
  2. 0.4
  3. 3.6
  4. 4000
(정답률: 47%)
  • 유전체를 넣기 전의 힘 F0과 유전체를 넣은 후의 힘 F1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0 = 1.2×10-8N
    F1 = 0.03×10-6N

    유전체를 넣은 후의 힘은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1 = F0 (1 + α)

    여기에서 α는 비유전율을 나타낸다. 따라서,

    α = (F1 / F0) - 1

    = (0.03×10-6N / 1.2×10-8N) - 1

    = 2.5 - 1

    = 1.5

    따라서, 비유전율은 1.5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0.4가 정답으로 주어졌다. 이는 비유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1.5 × 100% = 150% 이므로, 비유전율은 150/100 = 1.5배이다. 이를 소수점으로 나타내면 1.5 ÷ 10 = 0.15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으로 주어진 0.4는 0.15에 가장 가까운 값이므로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PN 접합 정류소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정류비가 클수록 정류특성은 좋다.
  2. 역방향 전압에서 극히 적은 전류만이 흐른다.
  3. 순방향전압은 P에 [+], N에 [-] 전압을 가함을 말한다.
  4. 온도가 높아지면 순방향 및 역방향 전류가 모두 감소한다.
(정답률: 69%)
  • "온도가 높아지면 순방향 및 역방향 전류가 모두 감소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온도가 높아지면 PN 접합의 전기적 특성이 변화하게 되어, 역방향 전류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역방향 전압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 PN 접합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전자-정공 쌍이 생성되어 역방향 전류가 유발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직류 분권 전동기의 단자전압이 215V, 전기자 전류 50A, 전기자 전저항 0.1[Ω], 회전속도 1500rpm 일 때 발생하는 회전력은 약 몇 N·m인가?

  1. 66.9
  2. 76.9
  3. 86.9
  4. 96.9
(정답률: 47%)
  • 회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회전력 = 2π × 회전속도 × 전기자 토크

    전기자 토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기자 토크 = 전자자 전류 × 전자자 전저항 × (단자전압 - 역전력)

    역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역전력 = 회전속도 × 전자자 자기장 × 전자자 자기장이 통과하는 전기자의 유효길이

    직류 분권 전동기의 경우 전자자 자기장은 일정하므로 역전력은 회전속도와 전자자 자기장이 통과하는 전기자의 유효길이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회전속도가 일정한 경우 역전력은 일정합니다.

    따라서 회전력은 전자자 전류와 전자자 전저항에 비례하며, 단자전압과 회전속도에도 비례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회전력 = 2π × 1500 × 0.1 × (215 - 50 × 0.1) ≈ 66.9 N·m

    따라서 정답은 "66.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제3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 금속체와 대지간의 전기저항값이 몇 [Ω] 이하인 경우에는 제3종 접지공사를 한 것으로 보는가?

  1. 10
  2. 40
  3. 70
  4. 100
(정답률: 75%)
  • 제3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 금속체와 대지간의 전기저항값이 100Ω 이하인 경우에는 제3종 접지공사를 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전기적 안전을 위한 규정으로, 전기적 충격을 방지하기 위해 접지 시스템의 전기저항값이 일정 이하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100Ω 이하의 전기저항값은 안전한 전기적 접지를 보장하기 때문에 제3종 접지공사를 한 것으로 간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최근에 백화점이나 고급 의상실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삼파장 형광램프는 파장 폭이 좁은 3가지 색의 빛을 조합하여 효율이 높은 백색 빛을 얻는 램프인데 이 3가지에 포함되지 않는 색은?

  1. 청색
  2. 녹색
  3. 적색
  4. 황색
(정답률: 76%)
  • 삼파장 형광램프는 청색, 녹색, 적색의 빛을 조합하여 백색 빛을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황색은 이 조합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황색은 녹색과 적색의 혼합으로 만들어지는 보조색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정전콘덴서에 축적된 에너지와 전위차와의 관계를 그림으로 나타내면 어떤 형태로 나타나는가?

  1. 쌍곡선
  2. 타원
  3. 포물선
(정답률: 81%)
  • 정전콘덴서에 축적된 에너지와 전위차는 포물선 형태의 그래프로 나타납니다. 이는 정전 용량이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전하량과 전위차가 비례한다는 쿨례-호프의 법칙에 따라서, 전하량이 증가함에 따라 전위차가 증가하는 비선형적인 관계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비선형적인 관계는 포물선 형태로 나타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3상 유도전동기가 여러 대 설치되어 있는 공장에서 역률을 개선하기 위하여 경제성, 보수성만 유리하게 콘덴서를 설치한다면 다음 중 어떤 방법이 가장 적절한가?

  1. 고압측에 설치한다.
  2. 저압측에 일괄해서 설치한다.
  3. 대용량 전동기에만 설치한다.
  4. 저압측에 각 전동기마다 개별적으로 설치한다.
(정답률: 72%)
  • 고압측에 설치한다. 이유는 3상 유도전동기에서는 고압측에서 콘덴서를 설치하는 것이 역률 개선 효과가 더 크기 때문이다. 또한, 저압측에 설치하면 전동기마다 개별적으로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 비용이 더 많이 들어가고 유지보수도 어렵다. 따라서, 경제성과 보수성을 고려하여 고압측에 일괄적으로 콘덴서를 설치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저항 4[Ω]과 유도리액턴스 3[Ω]이 직렬로 연결된 회로에 5A의 전류가 흐른다면, 이 회로에 가한 전압은 몇 V인가?

  1. 5
  2. 25
  3. 100
  4. 200
(정답률: 75%)
  • 전압은 전류와 저항, 유도리액턴스의 곱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압은 V = I x (R + XL) 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XL은 유도리액턴스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전압은 V = 5 x (4 + 3) = 35V가 됩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25V가 정답으로 주어졌습니다. 이는 전압이 아닌 전압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직렬 연결된 회로에서는 전압이 분배되어 각 부품에 전압이 가해집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전압이 35V이지만, 저항과 유도리액턴스에 각각 4[Ω]과 3[Ω]의 전압이 가해져서 총 전압이 7[Ω]에 분배되어 25V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주소지정방식 중 명력어의 오퍼랜드에 실제 데이터가 들어있는 주소의 주소가 들어있는 방식은

  1. 간접주소지정방식
  2. 직접주소지정방식
  3. 즉시주소지정방식
  4. 상대주소지정방식
(정답률: 22%)
  • 명령어의 오퍼랜드에 실제 데이터가 들어있는 주소의 주소가 들어있는 방식은 간접주소지정방식이다. 이는 실제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 주소가 아닌, 해당 주소를 가리키는 포인터가 오퍼랜드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간접주소지정방식은 포인터를 사용하여 데이터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데이터의 위치를 변경할 때 포인터만 변경하면 되므로 유연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3상동기기의 제동권선의 효용은?

  1. 출력 증가
  2. 효율 증가
  3. 역률 개선
  4. 난조 방지
(정답률: 84%)
  • 3상동기기에서 제동권선을 사용하면 회전 중인 모터를 빠르게 정지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모터의 출력을 감소시키고, 모터의 부하를 줄여 효율을 증가시키며, 역률을 개선시킵니다. 또한, 제동권선을 사용하면 모터의 회전 중 난조 현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난조 방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정격 출력 P[kW], 역률 0.8, 효율 0.82로 운전하는 3상 유도 전동기에 V결선 변압기로 전원을 공급할때 변압기 1대의 최소 용량은 몇 kVA인가?

(정답률: 82%)
  • 전력의 정의는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3상 유도 전동기의 정격 출력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P = √3 × V결선 × I × 역률 × 효율

    여기서 V결선은 변압기의 출력 전압이며, I는 전동기의 정격 전류입니다. 이를 변형하여 변압기의 최소 용량을 구할 수 있습니다.

    V결선 = P / (√3 × I × 역률 × 효율)

    변압기의 최소 용량은 전동기의 정격 출력을 공급할 수 있는 용량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변압기의 최소 용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최소 용량 = P / (√3 × V결선 × 역률 × 효율)

    여기에 주어진 조건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최소 용량 = 15 / (√3 × 400 × 0.8 × 0.82) ≈ 27.5 kVA

    따라서 정답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저압 연접인입선의 시설기준으로 틀린것은?

  1. 인입선에서 분기하는 점으로부터 100m를 넘는 지역에 미치지 아니할 것
  2. 폭 5m를 넘는 도로로 횡단하지 아니할 것
  3. 옥내를 통과하지 아니할 것
  4. 지름은 최소 3.2mm 이상의 경동선을 사용할 것
(정답률: 82%)
  • "지름은 최소 3.2mm 이상의 경동선을 사용할 것"이 틀린 것이다. 이유는 저압 연접인입선에서는 전기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전류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지름이 큰 전선을 사용하는 것이 좋지만, 최소한의 안전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2.0mm 이상의 경동선을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3.2mm 이상의 지름을 요구하는 것은 과도한 요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공사원가는 공사시공 과정에서 발생한 항목의 합계액을 말하는 데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경비
  2. 재료비
  3. 노무비
  4. 일반관리비
(정답률: 92%)
  • 일반관리비는 공사시공 과정에서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비용이 아니라, 공사 현장을 관리하고 감독하는 인력의 급여, 사무실 임대비, 사무용품 구입비 등과 같은 간접적인 경비를 말합니다. 따라서 공사원가는 직접적으로 발생하는 경비인 경비, 재료비, 노무비만을 합산한 것이며, 일반관리비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직접 콘크리트에 매입하여 시설하거나 전용의 불연성 또는 난연성 덕트에 넣어야만 시공할 수 있는 전선관은?

  1. CD관
  2. PE관
  3. PF-P관
  4. 두께 2mm 합성수지관
(정답률: 80%)
  • CD관은 콘크리트에 매입하여 시설하거나 전용의 불연성 또는 난연성 덕트에 넣어야만 시공할 수 있는 전선관으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불연성 및 난연성이 보장되기 때문입니다. PE관, PF-P관, 두께 2mm 합성수지관은 모두 일반적인 전선관으로 불연성 및 난연성이 보장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온도의 급상승시 공기의 부피 팽창을 이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완만한 온도상승에 대하여는 리이크 구멍을 통한 공기 분출로 다이어램프의 평형이 유지되어 완만한 온도 상승에는 동작하는 않는 구조의 감지기는?

  1. 보상식 분포형 감지기
  2.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
  3.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
  4.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기
(정답률: 69%)
  •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는 온도의 급상승시 공기의 부피 팽창을 이용하여 동작하는데, 완만한 온도상승에 대해서는 리이크 구멍을 통한 공기 분출로 다이어램프의 평형이 유지되어 완만한 온도 상승에는 동작하지 않는 구조입니다. 따라서 이 감지기는 완만한 온도 상승에는 동작하지 않고, 급격한 온도 상승에만 반응하여 화재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회전변류기의 직류측 전압을 조정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동기 승압기에 의한 방법
  2. 부하시 전압조정 변압기에 의한 방법
  3. 직렬리액턴스를 이용한 방법
  4. 여자전류를 조정하는 방법
(정답률: 55%)
  • 여자전류는 회전변류기의 출력 전류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회전변류기의 작동 원리 중 하나인 자기장 회전 속도를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직류측 전압을 조정하는 방법이 아니므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동작 영역 중 트랜지스터가 정상적으로 증폭 동작을 하는 영역은?

  1. 포화영역
  2. 항복영역
  3. 차단영역
  4. 활성영역
(정답률: 71%)
  • 트랜지스터가 정상적으로 증폭 동작을 하는 영역은 활성영역입니다. 이는 기본적으로 트랜지스터가 작동하는 방식 때문입니다. 트랜지스터는 기본적으로 작은 전류로 큰 전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트랜지스터는 기본적으로 세 개의 영역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활성영역은 이 중에서도 중간에 위치하며, 입력 신호에 따라 전류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트랜지스터가 정상적으로 증폭 동작을 하는 영역은 활성영역이며, 이 영역에서는 입력 신호가 증폭되어 출력 신호로 전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전류계 및 전압계를 확도에 따라 분류할 때 일반 배전반용으로 사용되는 지시계기의 계급은?

  1. 0.5급
  2. 1.0급
  3. 1.5급
  4. 2.5급
(정답률: 79%)
  • 일반 배전반에서 사용되는 지시계기의 계급은 1.5급입니다. 이는 전류계 및 전압계의 측정 오차가 최대 ±1.5% 이내인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확한 전기 측정을 위해서는 1.5급 이상의 지시계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Z-80 CPU 제어명령에서 무동작 명령어로서 어떤 조작이나 연산을 지시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로 다음에 실행해야 할 명령어로 진행할 것을 표시하는 명령어는?

  1. Reset
  2. NOP
  3. INT
  4. Wait
(정답률: 34%)
  • NOP는 "No Operation"의 약자로, 아무런 작업도 수행하지 않고 다음 명령어로 진행할 것을 표시하는 무동작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가 없을 때 NOP를 사용하여 CPU를 대기 상태로 만들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다이리스터의 응용분야가 아닌 것은?

  1. 스위칭
  2. 증폭기
  3. 쵸퍼
  4. 위상제어
(정답률: 50%)
  • 다이리스터는 스위칭, 쵸퍼, 위상제어 등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사용됩니다. 하지만 다이리스터는 증폭기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다이리스터는 주로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며,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여 전기적 신호를 처리합니다. 따라서 증폭기와 같이 입력 신호를 증폭시키는 기능은 수행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50kV의 전압으로 충전하여 5J의 에너지를 축적하는 콘덴서의 용량은 몇 pF인가?

  1. 4,000
  2. 25,000
  3. 40,000
  4. 250,000
(정답률: 52%)
  • 에너지(E) = 1/2 x C x V^2
    여기서, E = 5J, V = 50kV
    C = 2E/V^2 = 2 x 5 / (50 x 10^3)^2 = 4 x 10^-9 F = 4,000 pF
    따라서 정답은 "4,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단자 a, b에서 본 합성 저항[Ω]은?

  1. 1/2R
  2. 1/3R
  3. 3/2R
  4. 2R
(정답률: 8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이항(Binary)연산 명령이 아닌 것은?

  1. AND
  2. OR
  3. Exclusive OR
  4. MOVE
(정답률: 75%)
  • MOVE는 이항 연산이 아닌 단항 연산이기 때문입니다. 이항 연산은 두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고 연산을 수행하는 반면, 단항 연산은 한 개의 피연산자만을 가지고 연산을 수행합니다. MOVE는 한 개의 피연산자를 가지고 다른 레지스터나 메모리 위치로 값을 복사하는 단항 연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시스템 버스(BUS)가 아닌 것은?

  1. 데이터 버스
  2. 어드레스 버스
  3. 제어 버스
  4. 입·출력 버스
(정답률: 48%)
  • 입·출력 버스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입출력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버스이지만, 시스템 버스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메모리, 입출력 장치 등 시스템 전체의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버스입니다. 따라서, 입·출력 버스는 시스템 버스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명령이 내려진 후 실제로 데이터를 판독(read) 또는 기록(write)되기 시작할 때까지의 소요시간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Access time
  2. Write time
  3. Delay time
  4. Transmission time
(정답률: 51%)
  • Access time은 명령이 내려진 후 실제로 데이터를 판독(read) 또는 기록(write)되기 시작할 때까지의 소요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Access time입니다. 다른 선택지들은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시간이나 지연시간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레지스터 중 다음에 실행할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것은?

  1. 어큐물레이터
  2. 인텍스레지스터
  3. 프로그램 카운터
  4. 스택포인터
(정답률: 40%)
  • 프로그램 카운터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기억하는 레지스터입니다. 따라서 다음에 실행할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것은 프로그램 카운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피뢰기가 동작할 때 방전 중의 단자전압의 파고값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특성요소의 방전전류
  2. 방전개시전압
  3. 속류
  4. 제한전압
(정답률: 60%)
  • 피뢰기가 동작하여 방전이 일어날 때, 단자전압은 급격하게 하락하게 됩니다. 이때, 방전 중의 단자전압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방전이 유지되지 않고 중단되게 됩니다. 이러한 단자전압의 최소값을 제한전압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제한전압은 피뢰기의 방전 동작을 제어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변류기 개방시 2차측을 단락하는 이유는?

  1. 2차측 절연보호
  2. 2차측 과전류보호
  3. 측정오차 방지
  4. 1차측 과전류방지
(정답률: 81%)
  • 변류기 개방시 2차측을 단락하는 이유는 2차측 절연보호를 위해서입니다. 2차측에는 일반적으로 사람이 사용하는 전기기기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2차측에서 발생하는 고전압이나 과전류로부터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절연보호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변류기 개방시 2차측을 단락하여 절연보호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전력용 반도체 소자 중 일정한 전압값을 얻기위해 역바이어스 상태에서 항복전압과 관련된 특성을 사용하는 반도체 소자는?

  1. SCR
  2. Zener diode
  3. IGBT
  4. Transistor
(정답률: 73%)
  • Zener diode는 역바이어스 상태에서도 일정한 전압을 유지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일정한 전압을 얻기 위해 Zener diode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어떤 측정법으로 동일 시료를 무한 횟수로 측정하였을 때 데이터 분포의 평균치와 참값과의 차를 무엇이라하는가?

  1. 신뢰성
  2. 정확성
  3. 정밀도
  4. 오차
(정답률: 75%)
  • 정확성은 측정 결과의 참값과의 차이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측정법으로 동일 시료를 무한 횟수로 측정하였을 때 데이터 분포의 평균치와 참값과의 차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정확성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PERT에서 Network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가장 긴 작업시간이 예상되는 공정을 주공정이라한다.
  2. 명목상의 활동(Dummy)은 점선 화살표(-->)로 표시한다.
  3. 활동(Activity)은 하나의 생산작업요소로서 원(O)으로 표시된다.
  4. Network는 일반적으로 활동과 단계의 상호관계로 구성된다.
(정답률: 57%)
  • 정답은 "활동(Activity)은 하나의 생산작업요소로서 원(O)으로 표시된다." 이다. PERT에서는 활동(Activity)을 화살표로 표시하고, 원(O)은 이벤트(Event)를 나타낸다. 이벤트는 활동의 시작점과 끝점을 나타내며, 활동과는 구분되는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공정분석 기호 중 □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1. 검사
  2. 가공
  3. 정체
  4. 저장
(정답률: 67%)
  • □는 "검사"를 의미합니다. 이는 제품이나 공정의 품질을 확인하기 위한 작업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 기호는 해당 공정에서 제품의 품질을 검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축의 완성지름, 철사의 인장강도, 아스피린 순도와 같은 데이터를 관리하는 가장 대표적인 관리도는?

  1. 관리도
  2. nP 관리도
  3. c 관리도
  4. u 관리도
(정답률: 66%)
  • " 관리도"는 이산형 데이터(불량품 수, 결함 수 등)를 관리하는 가장 대표적인 관리도입니다. 이 관리도는 이산형 데이터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공정의 안정성을 판단하고, 공정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 관리도"는 가장 많이 사용되는 관리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생산계획량을 완성하는데 필요한 인원이나 기계의 부하를 결정하여 이를 현재인원 및 기계의 능력과 비교하여 조정하는 것은?

  1. 일정계획
  2. 절차계획
  3. 공수계획
  4. 진도관리
(정답률: 86%)
  • 공수계획은 생산계획량을 완성하는데 필요한 인원이나 기계의 부하를 결정하여 이를 현재인원 및 기계의 능력과 비교하여 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공수계획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일정계획은 일정을 계획하고 관리하는 것, 절차계획은 일련의 절차를 계획하고 관리하는 것, 진도관리는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조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TPM 활동의 기본을 이루는 3정 5S활동에서 3정에 해당되는 것은?

  1. 정시간
  2. 정돈
  3. 정리
  4. 정량
(정답률: 71%)
  • 3정은 정시간, 정돈, 정량으로 구성됩니다. 정량은 양적인 측면을 의미하며, TPM에서는 기계의 성능을 정량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하여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하는 것을 중요시합니다. 따라서 정량이 TPM 활동의 기본을 이루는 3정 중 하나인 이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