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4-01)

전기기능장
(2007-04-0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변압기 절연유의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응고점이 낮을 것
  2. 절연 내력이 높을 것
  3. 점도가 클 것
  4. 인화점이 높을 것
(정답률: 82%)
  • 변압기 절연유는 전기적으로 절연성이 뛰어나고, 열에 강하며, 산화에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응고점이 낮을 것, 절연 내력이 높을 것, 인화점이 높을 것은 구비조건에 해당합니다. 그러나 점도가 클 것은 구비조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점도가 클수록 유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유체의 흐름이 느려지고, 유체의 흐름이 필요한 곳에서는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변압기 절연유는 점도가 낮을수록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하나의 용기에 넣어 외부의 빛을 차단한 구조로 출력 측의 전기적인 조건이 입력측에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는 소자는?

  1. 포토 다이오드
  2. 포토 트랜지스터
  3. 서미스터
  4. 포토 커플러
(정답률: 89%)
  • 포토 커플러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하나의 용기에 넣어 외부의 빛을 차단한 구조로, 출력 측의 전기적인 조건이 입력측에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는 소자입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를 전기적으로 격리할 수 있어서 회로 설계 시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포토 다이오드와 포토 트랜지스터는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 신호가 변화하므로 격리 기능이 없습니다. 서미스터는 스위칭 소자로서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 신호를 제어하지만 격리 기능은 없습니다. 따라서 포토 커플러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가요전선관공사에 사용되는 부품 중 전선관 상호간에 접속되는 연결구로 사용되는 부품의 명칭은?

  1. 스플릿 커플링
  2. 컴비네이션 커플링
  3. 컴비네이션 유니온 커플링
  4. 앵글 박스 커넥터
(정답률: 68%)
  • 전선관 상호간에 접속되는 연결구는 스플릿 커플링이라고 합니다. 이는 전선관을 분할하여 연결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컴비네이션 커플링"은 다른 부품과 결합하여 사용되는 부품이며, "컴비네이션 유니온 커플링"은 두 개의 전선관을 연결하는 부품입니다. "앵글 박스 커넥터"는 전선관을 고정하는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a, b 간에 100V의 직류 전압을 가했을 때 10[Ω]의 저항에 4A의 전류가 흘렀다. 이때 저항 r1에 흐르는 전류와 저항 r2에 흐르는 전류의 비가 1:4 라고 하면 r1 및 r2의 저항값은 각각 얼마인가?

  1. r1=12, r2=3
  2. r1=36, r2=9
  3. r1=60, r2=15
  4. r1=40, r2=10
(정답률: 77%)
  • 전압이 100V이고 전류가 4A인 경우, 저항 R은 V/I로 계산하여 25Ω가 된다. 이때, 저항 r1과 r2의 비가 1:4 이므로, r1과 r2의 합은 R과 같아야 한다. 따라서, r1+r2=25 이다. 또한, r1에 흐르는 전류를 I1, r2에 흐르는 전류를 I2라고 하면, I1:I2=1:4 이므로, I1=4/5A, I2=16/5A가 된다. 이를 이용하여, r1과 r2를 구할 수 있다.

    r1=V/I1=100/4/5=25×5=125Ω

    r2=V/I2=100/16/5=25×5/4=31.25Ω

    하지만, r1과 r2는 각각 10Ω의 저항과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체 회로의 저항은 R'=10Ω이 된다. 따라서, r1과 r2의 병렬 저항을 구하면,

    1/R병렬=1/r1+1/r2

    1/R병렬=1/125+1/31.25

    R병렬=25

    위에서 구한 R'과 같으므로, r1과 r2의 병렬 저항은 10Ω가 된다. 따라서,

    1/10=1/r1+1/r2

    r1+r2=10

    위의 식과 r1+r2=25를 풀면,

    r1=60, r2=15

    따라서, 정답은 "r1=60, r2=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반도체 기억소자로서 저장된 데이터는 비소멸성으로 제조 당시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을 인출할 수 있으나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는 기억소자는?

  1. mask ROM
  2. S-RAM
  3. D-RAM
  4. RWM
(정답률: 44%)
  • mask ROM은 제조 과정에서 이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이후에는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는 기억소자입니다. 따라서 비소멸성 기억소자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어떤 가정에서 220V, 100W의 전구 2개를 매일 8시간, 220V 1kW의 전열기 1대를 매일 2시간씩 사용한다고 한다. 이 집의 한 달 동안의 소비전력량은 몇 kWh인가? (단, 한달은 30일로 한다.)

  1. 432
  2. 324
  3. 216
  4. 108
(정답률: 70%)
  • 전구 2개의 소비전력량 = 2 x 100W x 8시간 x 30일 = 48,000Wh = 48kWh
    전열기 1대의 소비전력량 = 1kW x 2시간 x 30일 = 60kWh
    따라서, 총 소비전력량 = 48kWh + 60kWh = 108kWh 이므로 정답은 "10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주상변압기 철심용 규소강판의 두께는 보통 몇 mm정도를 사용하는가?

  1. 0.01
  2. 0.05
  3. 0.35
  4. 0.85
(정답률: 91%)
  • 주상변압기 철심용 규소강판은 전기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얇은 두께로 제작됩니다. 일반적으로 0.35mm 정도의 두께를 사용하며, 이는 전기적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최적의 두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3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직류기의 전기자 철심을 규소 강판으로 성층하는 가장 큰 이유는?

  1. 기계손을 줄이기 위해서
  2. 철손을 줄이기 위해서
  3. 제작이 간편하기 때문에
  4. 가격이 싸기 때문에
(정답률: 83%)
  • 직류기의 전기자 철심을 규소 강판으로 성층하는 가장 큰 이유는 "철손을 줄이기 위해서"입니다. 규소 강판은 철보다 자성이 약하기 때문에 자기 손실이 적어지고, 또한 규소 강판은 더 얇고 가벼워서 제작과 설치가 간편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규소 강판이 철보다 선호되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그림의 스위칭 회로에서 논리식은?

  1. (A+B)C
  2. AB+C
  3. AC+B
  4. A+BC
(정답률: 83%)
  • 입력 A와 B가 OR 게이트로 연결되어 출력 X가 나오고, 입력 C와 X가 AND 게이트로 연결되어 출력 Y가 나옵니다. 따라서 논리식은 (A+B)C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그림은 어떤 논리 회로인가?

  1. NAND
  2. NOR
  3. E-OR
  4. E-NOR
(정답률: 70%)
  • 입력 A와 입력 B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출력이 0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NOR 게이트의 출력 특성과 일치합니다. 따라서 이 논리 회로는 NOR 게이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단선의 브리타니아 접속은 몇 mm 이상의 전선을 접속할 때 사용되는 방법인가?

  1. 1.2
  2. 1.6
  3. 2.0
  4. 3.2
(정답률: 58%)
  • 단선의 브리타니아 접속은 3.2mm 이상의 전선을 접속할 때 사용됩니다. 이는 단선의 브리타니아 접속이 전선의 굵기에 따라 적용되는 규격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2mm 이상의 전선을 접속할 때는 단선의 브리타니아 접속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AB 간 전압의 실효값을 200V라고 할 때, RL 양단에서 전압의 평균값은 약 몇V인가? (단, 다이오드는 이상적인 다이오드이다.)

  1. 64
  2. 90
  3. 180
  4. 282
(정답률: 74%)
  • 다이오드는 정류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전압의 평균값은 절반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RL 양단에서의 전압의 평균값은 200V/2 = 100V가 된다. 하지만, RL 양단에서는 저항이 두 개 연결되어 있으므로, 전압은 반으로 나눠져서 각각 50V씩 나눠진다. 따라서 RL 양단에서의 전압의 평균값은 50V x 2 = 90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9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정격출력 5kW, 회전수 1800rpm인 3상 유도전동기의 토크는 몇 Nㆍm 인가?

  1. 2.7
  2. 26.5
  3. 79.5
  4. 259.7
(정답률: 61%)
  • 유도전동기의 토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토크 = (정격출력 × 9550) ÷ (2π × 회전수)

    여기서, 정격출력은 5kW, 회전수는 1800rpm 이므로,

    토크 = (5 × 9550) ÷ (2π × 1800) ≈ 26.5 Nㆍm

    따라서, 정답은 "26.5"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리드용 2종 케이블의 약호로 옳은 것은?

  1. WRNCT
  2. WNCT
  3. WCT
  4. WRCT
(정답률: 73%)
  • 리드용 2종 케이블의 약호는 "WNCT"입니다.

    W는 리드용 케이블을 나타내는 약어이며, N은 내부 절연재로 PVC를 사용한 것을 나타냅니다. C는 외부 절연재로 PVC를 사용한 것을 나타내며, T는 전도체로 구리를 사용한 것을 나타냅니다. R은 리드용 케이블의 경우, 외부 절연재로 고무를 사용한 것을 나타내지만 2종 케이블은 PVC를 사용하므로 R이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WRNCT"와 "WRCT"는 옳지 않은 약호입니다. "WCT"는 내부 절연재와 외부 절연재가 모두 PVC인 일반적인 케이블을 나타내는 약호이므로 리드용 2종 케이블과는 다릅니다. 따라서 정답은 "WNCT"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회전 전기자형 동기 발전기에서 3상 교류 기전력은 어느 부분을 통하여 출력해 내는가?

  1. 모선
  2. 전기자권선
  3. 회전자권선
  4. 슬립링
(정답률: 85%)
  • 3상 교류 기전력은 회전자권선을 통해 출력해낸다. 회전자권선은 회전자에 부착된 전기자권선과 모터의 회전 속도와는 다른 속도로 회전하는 슬립링 사이에 위치하며, 회전자권선을 통해 전기적인 에너지가 전달되어 회전자가 회전하면서 3상 교류 기전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정답은 "슬립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TRIAC을 사용하여 소용량 저항부하의 AC 전력제어를 하려고 한다. 게이트용 소자로 가장 간단히 사용할 수 있는 것은?

  1. UJT
  2. PUT
  3. DIAC
  4. SUS
(정답률: 85%)
  • TRIAC은 양방향 전류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TRIAC의 게이트에는 양방향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단방향 게이트용 소자인 UJT나 PUT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반면 DIAC은 양방향 전류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소자로, TRIAC의 게이트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DIAC은 양방향 전류가 일정 전압을 넘으면 자가 절단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TRIAC의 게이트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DIAC이 TRIAC의 게이트용 소자로 가장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직류 직권전동기에서 토크 T와 회전수 N과의 관계는 어떻게 되는가?

  1. T∝N
  2. T∝N2
(정답률: 77%)
  • 직류 직권전동기에서 토크 T와 회전수 N은 직접 비례 관계에 있다. 이는 전류와 자기장이 직교하는 모터의 원리에 따라, 회전수가 증가하면 자기장의 변화율이 증가하여 전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토크도 증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T∝N"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파워 트랜지스터의 파워 스위칭 전원의 용도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용접기 전원
  2. 고주파 전원
  3. UPS 전원
  4. 직류 안정화 전원
(정답률: 62%)
  • 파워 트랜지스터는 대용량 전력을 스위칭하는 데 사용되며, 용접기 전원, 고주파 전원, UPS 전원과 같은 고출력 전원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직류 안정화 전원은 파워 트랜지스터보다는 다른 전자 부품들이 더 적합하기 때문에 파워 트랜지스터의 파워 스위칭 전원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스택(stack)과 관련 있는 어셈블리 명령어는?

  1. MOV
  2. ADD
  3. AND
  4. PUSH
(정답률: 44%)
  • 스택은 데이터를 쌓아 올리는 자료구조이며, PUSH 명령어는 스택에 데이터를 쌓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PUSH 명령어는 스택과 관련된 명령어입니다. MOV, ADD, AND 명령어는 데이터를 이동하거나 연산하는 명령어이지만, 스택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저항강하가 1.3%, %리액턴스 강하가 2%인 변압기가 있다. 전부하 역률 80%(뒤짐)에서의 전압변동률은 몇 %인가?

  1. 1.35
  2. 1.86
  3. 2.18
  4. 2.24
(정답률: 55%)
  • 전압변동률은 저항강하와 리액턴스 강하의 합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전압변동률은 1.3% + 2% = 3.3%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전부하 역률이 80%인 상황에서의 전압변동률을 구하라고 하였습니다. 전부하 역률이 80%라는 것은 유효전력이 피상전력의 80%만큼만 전달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저항강하는 1.3% * 0.8 = 1.04%, 리액턴스 강하는 2% * 0.8 = 1.6%가 됩니다.

    전압변동률은 이 두 값의 합으로 계산되므로 1.04% + 1.6% = 2.64%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24가 아니라 "2.18"입니다.

    (단, 문제에서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하여 계산하였을 경우 2.24가 나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8086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세그먼트 레지스터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AS
  2. CS
  3. DS
  4. ES
(정답률: 46%)
  • "AS"는 8086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세그먼트 레지스터 중 하나가 아닙니다. 8086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세그먼트 레지스터는 코드 세그먼트 레지스터(CS), 데이터 세그먼트 레지스터(DS), 스택 세그먼트 레지스터(SS), 추가 데이터 세그먼트 레지스터(ES)로 구성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평균 자로의 길이가 80cm인 환상 철심에 500회의 코일을 감고 여기에 4A의 전류를 흘렸을 때 자기장의 세기는 몇 AT/m인가?

  1. 2500
  2. 3500
  3. 4000
  4. 4500
(정답률: 64%)
  • 자기장의 세기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B = μ₀ * n * I

    여기서 B는 자기장의 세기, μ₀는 자유공간의 유전율 (4π × 10^-7), n은 감긴 코일의 개수 밀도 (n = N / l, 여기서 N은 코일의 개수, l은 코일의 길이), I는 전류입니다.

    따라서, 감긴 코일의 길이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l = π * d * N

    여기서 d는 철심의 지름입니다.

    문제에서는 평균 자로의 길이가 80cm이므로, 철심의 지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d = 80cm / (2π) = 12.73cm

    따라서, 감긴 코일의 길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l = π * 12.73cm * 500 = 20,000cm

    감긴 코일의 개수 밀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n = 500 / 20,000cm = 0.025 / cm

    따라서, 자기장의 세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B = (4π × 10^-7) * 0.025 / cm * 4A = 2500 AT/m

    따라서, 정답은 "25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SCR의 전압공급방법(Turn-On)중 가장 타당한 것은?

  1. 애노드에 (-)전압, 캐소드에 (+)전압, 게이트에 (+)전압을 공급한다.
  2. 애노드에 (-)전압, 캐소드에 (+)전압, 게이트에 (-)전압을 공급한다.
  3. 애노드에 (+)전압, 캐소드에 (-)전압, 게이트에 (+)전압을 공급한다.
  4. 애노드에 (+)전압, 캐소드에 (-)전압, 게이트에 (-)전압을 공급한다.
(정답률: 85%)
  • SCR은 양방향 전류를 제어하는 반도체 소자로, 게이트에 양방향 전류를 인가하여 작동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애노드에 (+)전압, 캐소드에 (-)전압을 공급하여 SCR을 전류가 흐르지 않는 차단 상태에서 게이트에 (+)전압을 인가하면 SCR이 동작하여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이는 SCR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이며, 따라서 애노드와 캐소드의 전압 공급 방법은 이와 같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반가산기 회로에서 입력을 A, B라 하고 합을 S로 표시할 때 S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1. A ∙ B
  2. A +B
(정답률: 71%)
  • 반가산기 회로에서 입력 A와 B는 각각 덧셈의 자리수를 나타내는 비트(bit)이다. 반가산기는 두 비트를 더한 합(S)과 자리올림(C)을 출력한다. 따라서 S는 A와 B를 더한 값이 되며, 이를 XOR 연산으로 구할 수 있다. XOR 연산은 두 입력 값이 다를 때 1을 출력하므로, A와 B 중 하나만 1일 때 1을 출력하게 된다. 따라서 S는 ""로 표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동기 전동기에서 제동 권선의 사용 목적으로 가장 옳은 것은 어느 것인가?

  1. 난조 방지
  2. 정지시간의 단축
  3. 운전토크의 증가
  4. 과부하 내량의 증가
(정답률: 93%)
  • 제동 권선은 동기 전동기의 회전을 빠르게 멈추게 하여 난조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난조란 회전체의 회전속도가 갑자기 느려지거나 멈추면서 발생하는 충격적인 현상으로, 기계의 부품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동 권선은 동기 전동기의 안전한 운전을 위해 필수적인 부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변압기의 전압변동률을 작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가?

  1. 권선의 리액턴스를 작게 한다.
  2. 권선의 임피던스를 크게 한다.
  3. 권수비를 작게 한다.
  4. 권수비를 크게 한다.
(정답률: 69%)
  • 변압기의 전압변동률은 권선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결정됩니다. 권선의 리액턴스가 작을수록 자기장의 변화가 더 적게 일어나므로 전압변동률이 작아집니다. 따라서 권선의 리액턴스를 작게 하면 전압변동률을 작게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실리콘정류기의 동작시 최고 허용온도를 제한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1. 브레이크 오버(Break over) 전압의 저하 방지
  2. 브레이크 오버(Break over) 전압의 상승 방지
  3. 역방향 누설전류의 감소방지
  4. 정격 순 전류의 저하 방지
(정답률: 81%)
  • 실리콘정류기의 동작시 최고 허용온도를 제한하는 가장 주된 이유는 "브레이크 오버(Break over) 전압의 저하 방지"입니다. 이는 실리콘정류기가 일정 온도 이상에서는 브레이크 오버 전압이 상승하여 동작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고 허용온도를 제한하여 이를 방지하고 안정적인 동작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부하 전류에 따라 속도변동이 가장 심한 전동기는?

  1. 타여자 전동기
  2. 분권 전동기
  3. 직권전동기
  4. 차동복권전동기
(정답률: 82%)
  • 직권전동기는 부하 전류에 따라 속도 변동이 가장 심한 전동기입니다. 이는 직권전동기의 구조상 자기장의 방향이 회전축과 수직이기 때문에 부하 전류가 증가하면 자기장이 변화하여 회전력이 감소하게 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직권전동기는 부하 변동이 큰 경우에는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LIFO(Last-In-First-Out)와 관련된 것은?

  1. 프로그램 카운터
  2. 스택
  3. 인스트럭션 포인터
  4. 베이스 포인터
(정답률: 58%)
  • LIFO는 마지막에 들어온 데이터가 가장 먼저 나가는 자료구조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자료구조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스택입니다. 스택은 데이터를 쌓아 올리듯이 쌓아놓은 후, 가장 최근에 쌓인 데이터를 가장 먼저 꺼내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LIFO와 관련된 것은 스택입니다. 프로그램 카운터, 인스트럭션 포인터, 베이스 포인터는 스택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과 같은 회로에서 저항 R이 0[Ω]인 것을 사용하면 무슨 문제가 발생하는가?

  1. 낮은 전압이 인가되어 문제가 없다.
  2. 저항 양단의 전압이 커진다.
  3. 저항 양단의 전압이 작아진다.
  4. 스위치를 ON 했을 때 회로가 단락된다.
(정답률: 94%)
  • 저항 R이 0[Ω]이라면, 스위치를 ON 했을 때 전류가 무한대로 흐르게 되어 회로가 단락되게 됩니다. 이는 회로에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저항 R은 0[Ω]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강자성체의 히스테리시스 루프의 면적은?

  1. 강자성체의 단위 체적당 필요한 에너지이다.
  2. 강자성체의 단위 면적당 필요한 에너지이다.
  3. 강자성체의 단위 길이당 필요한 에너지이다.
  4. 강자성체의 전체 체적의 필요한 에너지이다.
(정답률: 82%)
  • 강자성체의 히스테리시스 루프의 면적은 강자성체가 자기장에 노출되어 자기화되고, 다시 자기장에서 벗어나면서 역자기장을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소모되는 에너지의 양을 나타낸다. 따라서 강자성체의 단위 체적당 필요한 에너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GTO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게이트에 역방향 전류를 흘려서 주전류를 차단한다.
  2. 게이트에 순방향 전류를 흘려서 주전류를 차단한다.
  3. 게이트에 역방향 전류를 흘려서 주전류를 흐르게 한다.
  4. 게이트에 의한 제어전력이 적게 든다.
(정답률: 80%)
  • GTO는 게이트에 역방향 전류를 흘려서 주전류를 차단하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이는 게이트와 양극 사이에 역방향 전류를 인가하여 양극과 결합된 p-n 접합을 역방향으로 극성화시켜 전류를 차단하는 원리입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GTO는 대용량 전력 제어에 적합한 소자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정현파 교류의 실효값을 계산하는 식은? (단, T는 주기이다.)

(정답률: 92%)
  • 정현파 교류의 실효값을 계산하는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 A는 정현파의 진폭(amplitude)이고, T는 주기(period)입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이 식이 정현파 교류의 실효값을 계산하는 식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맥동전압 주파수가 전원 주파수의 6배가 되는 정류 방식은?

  1. 단상 전파 정류
  2. 단상 브리지 정류
  3. 3상 반파 정류
  4. 3상 전파 정류
(정답률: 80%)
  • 맥동전압 주파수가 전원 주파수의 6배가 되는 경우, 3상 전파 정류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는 3상 전원에서 3개의 다른 위상을 가진 전류를 이용하여 전류의 누적 효과를 이용하여 맥동전압을 생성하기 때문입니다. 이 방식은 전력 손실이 적고 안정적인 전압을 공급할 수 있어 대용량 전력을 공급하는데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물체가 그 온도에 상응하여 방출하는 복사를 온도 복사라 한다. 이는 어떤 스펙트럼을 이루는가?

  1. 구형 스펙트럼
  2. 선 스펙트럼
  3. 대상 스펙트럼
  4. 연속 스펙트럼
(정답률: 78%)
  • 온도 복사는 물체의 온도에 따라 모든 파장에서 일정한 양의 복사를 방출하므로 연속 스펙트럼을 이룹니다. 따라서 정답은 "연속 스펙트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8비트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레지스터에서 레지스터 쌍으로 결합하여 16비트로는 사용할 수 없는 레지스터는?

  1. 8C
  2. HL
  3. DE
  4. AF
(정답률: 49%)
  • AF 레지스터는 8비트 중 상위 4비트는 A 레지스터, 하위 4비트는 Flag 레지스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Flag 레지스터는 프로그램 실행 중 발생하는 여러 상황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이 정보는 프로그램의 실행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A 레지스터와 함께 사용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AF 레지스터는 레지스터 쌍으로 결합하여 16비트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자기 인덕턴스 L[H]의 코일에 I[A]의 전류가 흐를때 코일에 저장되는 에너지는 몇 J인가?

  1. W=2LI2
(정답률: 93%)
  • 정답은 "W=1/2LI^2"입니다.

    코일에 저장되는 에너지는 전류가 흐를 때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 에너지입니다. 이 자기 에너지는 1/2LI^2로 계산됩니다. 이는 코일의 인덕턴스와 전류의 제곱에 비례하며, 코일의 인덕턴스가 클수록 저장되는 에너지가 많아집니다. 따라서 자기 인덕턴스 L과 전류 I가 주어졌을 때, 저장되는 에너지는 1/2LI^2로 계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자속밀도 1Wb/m2인 평등 자계의 방향과 수직으로 놓인 50cm의 도선을 자계와 30 ° 방향으로 40m/s의 속도로 움직일 때 도선에 유기되는 기전력은 몇 V인가?

  1. 5
  2. 10
  3. 20
  4. 40
(정답률: 70%)
  • 도선이 자속밀도와 수직으로 놓여 있으므로, 도선을 가로지르는 자기력선은 도선과 수직이다. 따라서, 도선에 유기되는 기전력은 도선의 길이와 속도, 자속밀도, 그리고 sin(θ)에 비례한다. 여기서 θ는 자계와 도선의 이루는 각도이다.

    기전력 E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E = Blvsin(θ)

    여기서 B는 자속밀도, l은 도선의 길이, v는 도선의 속도, θ는 30도이다.

    E = (1 Wb/m^2) x (0.5 m) x (40 m/s) x sin(30°) = 10 V

    따라서, 정답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자극수 6, 전기자 총 도체수 400, 단중파권을 한직류 발전기가 있다. 각 자극의 자속이 0.01Wb이고, 회전 속도가 600rpm 이면 무 부하로 운전하고 있을 때의 기전력은 몇 V인가?

  1. 110
  2. 115
  3. 120
  4. 150
(정답률: 73%)
  • 기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기전력 = 자극수 × 전기자 총 도체수 × 자극의 자속 × 회전수 ÷ 60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기전력 = 6 × 400 × 0.01 × 600 ÷ 60 = 120 (V)

    따라서 정답은 "1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교류 브리지용 전원의 주파수, 파형에 대한 구비조건이 아닌 것은?

  1. 주파수가 되도록 높을 것
  2. 파형이 정현파에 가까울 것
  3. 주파수가 되도록 일정할 것
  4. 취급이 간단할 것
(정답률: 79%)
  • 정답: "취급이 간단할 것"

    교류 브리지용 전원의 주파수가 높을수록 전력 손실이 적어지고, 전력 변환 효율이 높아집니다. 또한, 파형이 정현파에 가까울수록 전력 변환 효율이 높아지므로,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전원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파수가 일정하다면 전력 변환 효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이는 전원의 안정성과 신뢰성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교류 브리지용 전원의 주파수와 파형에 대한 구비조건은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기숙사, 여관, 병원의 표준 부하는 몇 VA/m2로 상정 하는가?

  1. 10
  2. 20
  3. 30
  4. 40
(정답률: 70%)
  • 정답은 "20"입니다. 이유는 기숙사, 여관, 병원 등은 대부분의 시간을 내부에서 보내는 공간이기 때문에 전기적으로 많은 부하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1m2당 20VA의 전기 부하를 상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단상 변압기를 병렬 운전하는 경우 부하전류의 분담은 어떻게 되는가?

  1. 임피던스에 비례
  2. 리액턴스에 비례
  3. 임피던스에 반비례
  4. 리액턴스에 반비례
(정답률: 71%)
  • 단상 변압기를 병렬 운전하는 경우 부하전류의 분담은 임피던스에 반비례합니다. 이는 병렬 운전 시 각 변압기의 임피던스가 서로 병렬로 연결되기 때문입니다. 임피던스가 큰 변압기는 전류가 작아지고, 임피던스가 작은 변압기는 전류가 커지게 됩니다. 이는 전류의 분배가 임피던스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3상 불평형 전압에서 역상전압 40V, 정상전압 200V, 영상전압이 20V 라고 할 때 전압의 불평형률은 얼마인가?

  1. 0.1
  2. 0.2
  3. 5
  4. 6
(정답률: 63%)
  • 전압의 불평형률은 (정상전압-영상전압)/정상전압 입니다. 따라서 (200-20)/200 = 0.8 이고, 이 값에 역상전압 40V를 더한 후 3으로 나누면 0.2가 됩니다. 이는 3상 전압에서 역상전압이 존재하므로 전압의 불평형률이 더 커지는 것을 반영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전기재료의 할증에서 옥외전선은 몇 %의 할증률을 적용하는가?

  1. 1.5
  2. 2.5
  3. 5
  4. 10
(정답률: 80%)
  • 옥외전선은 야외에서 사용되는 전선으로, 내구성과 내후성이 강화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할증률은 다른 전선에 비해 높게 적용됩니다. 전기재료의 할증률은 일반적으로 1.5배에서 10배까지 다양하게 적용되지만, 옥외전선의 경우 5%의 할증률이 적용됩니다. 이는 옥외전선이 다른 전선에 비해 내구성과 내후성이 높지만, 그만큼 가격이 높아지는 것을 고려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사이클로 컨버터(cycloconverter)란?

  1. 실리콘 양방향성 소자이다.
  2. 제어 정류기를 사용한 주파수 변환기이다.
  3. 직류 제어소자이다.
  4. 전류 제어 소자이다.
(정답률: 80%)
  • 사이클로 컨버터는 제어 정류기를 사용하여 입력 전압의 주파수를 변환하는 장치입니다. 이를 통해 AC 전원을 다양한 주파수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어 정류기를 사용한 주파수 변환기이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몰드의 길이가 8.5m 인 금속 몰드 공사시 금속 몰드는 제 몇 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

  1. 제 1종 접지공사
  2. 제 2종 접지공사
  3. 제 3종 접지공사
  4. 특별 제 3종 접지공사
(정답률: 83%)
  • 금속 몰드는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어야 하며, 길이가 8.5m 이상인 경우에는 제 3종 접지공사를 해야 합니다. 이는 전기적 안전을 위한 규정으로, 길이가 일정 이상인 금속 구조물은 제 3종 접지공사를 해야 안전한 전기적 환경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전력용 케이블의 손실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철손
  2. 저항손
  3. 유전체손
  4. 차폐손
(정답률: 66%)
  • 전력용 케이블에서 손실은 전기가 흐를 때 발생하는 열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손실은 전기의 저항과 거리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손실이 커집니다. 그 중에서도 철손은 전기가 흐르는 동안 철 소재의 자기장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로 인해 거리가 멀어질수록 손실이 더욱 커지기 때문에 가장 먼 거리에서의 손실이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폭연성 분진이 있는 곳의 금속관 공사이다. 박스 기타의 부속품 및 풀박스 등이 쉽게 마모, 부식, 기타 손상을 일으킬 우려가 없도록 하기 위해 쓰이는 재료는?

  1. 새들
  2. 커플링
  3. 노멀 밴드
  4. 패킹
(정답률: 88%)
  • 폭연성 분진이 있는 곳에서는 부품들이 쉽게 마모, 부식, 기타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는 내구성이 뛰어나고,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것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재료 중 하나가 패킹입니다. 패킹은 내구성이 뛰어나고,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며, 부식에 강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폭연성 분진이 있는 곳에서 부품 보호에 적합한 재료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패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평형 보호층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 배선은 전로의 대지 전압 몇 V이하에서 시설해야 하는가?

  1. 150
  2. 220
  3. 300
  4. 400
(정답률: 52%)
  • 평형 보호층은 전기적으로 중립화된 층으로, 대지와 연결되어 전기적인 안전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저압 옥내 배선은 평형 보호층과 연결되어 대지 전압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전로의 대지 전압은 150V 이하로 시설해야 합니다. 이유는 대부분의 인체에게 위험을 일으키는 전기 충격의 경계값이 50mA 이하의 전류에서 150V 이하의 전압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150V 이하로 시설함으로써 전기적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지중전선로에 사용하는 지중함을 시설할 때 고려할 사항으로 잘못된 것은?

  1.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에 견디는 튼튼한 구조로 할 것
  2. 물기가 스며들지 않으며, 또 고인 물은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일 것
  3. 지중함 뚜껑은 보통사람이 열수 없도록 하여 시설자만 점검 하도록 할 것
  4. 폭발성 가스가 침입할 우려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최소 0.5m3 이상의 지중함에는 통풍 장치를 할 것
(정답률: 90%)
  •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에 견디는 튼튼한 구조로 할 것"은 잘못된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폭발성 가스가 침입할 우려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최소 0.5m3 이상의 지중함에는 통풍 장치를 할 것"입니다. 이는 폭발성 가스가 축적되어 폭발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적절한 환기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바리스터(Varister)의 주된 용도는?

  1. 전압증폭용
  2. 서지전압에 대한 회로 보호용
  3. 출력전류 조정용
  4. 과전류방지 보호용
(정답률: 93%)
  • 바리스터는 서지전압에 대한 회로 보호용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바리스터가 일정한 전압에서는 전기저항이 매우 높아져서 전류가 흐르지 않다가, 일정한 전압을 넘어서면 전기저항이 급격히 낮아져서 전류가 흐르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바리스터는 서지전압이 급격히 상승하여 회로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상황에서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의 논리 함수는?

(정답률: 58%)
  •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AND 게이트의 출력이 1이므로 OR 게이트의 입력으로 1이 들어가면 출력은 1이 됩니다. 따라서 논리 함수는 A AND B OR C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단면적이 50cm2인 환상철심에 500AT/m의 자장을 가할 때 전 자속은 몇 Wb인가? (단, 진공 중의 투자율은 4π×10-7[H/m]이고, 철심의 비투자율은 800이다.)

  1. 16π×10-2
  2. 8π×10-4
  3. 4π×10-4
  4. 2π×10-2
(정답률: 70%)
  • 환상철심의 자기회로는 다음과 같다.

    $$N=frac{H}{l}$$

    $$Phi=Btimes A$$

    $$Phi=mu N I$$

    $$H=frac{NI}{l}$$

    $$B=mu H$$

    $$Phi=mu frac{NI}{l} A$$

    $$Phi=frac{mu N A}{l} I$$

    $$Phi=frac{mu A}{l} N I$$

    $$Phi=frac{mu A}{l} H l$$

    $$Phi=mu A H$$

    따라서 전자속은 다음과 같다.

    $$Phi=mu_r mu_0 A H$$

    $$Phi=800 times 4pi times 10^{-7} times 50 times 500$$

    $$Phi=8pi times 10^{-4}$$

    따라서 정답은 "8π×10-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모선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단일 모선
  2. 2중 모선
  3. 3층 모선
  4. 환상 모선
(정답률: 74%)
  • 정답은 "3층 모선"입니다. 이유는 모선은 일반적으로 단일 모선, 2중 모선, 4중 모선 등과 같이 층수를 나타내는 용어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3층 모선"은 모선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작업자가 장소를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에 그 과정을 가공, 검사, 운반, 저장 등의 기호를 사용하여 분석하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작업자 연합작업분석
  2. 작업자 동작분석
  3. 작업자 미세분석
  4. 작업자 공정분석
(정답률: 87%)
  • 작업자가 장소를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작업자의 동작과 함께 작업의 과정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작업 방법을 도출하는 것을 작업자 공정분석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작업자 공정분석"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그림과 같은 계획공정도(Network)에서 주공정으로 옳은 것은?(단, 화살표 밑의 숫자는 활동시간[단위:주]을 나타낸다.)

  1. ①-②-⑤-⑥
  2. ①-②-④-⑤-⑥
  3. ①-③-④-⑤-⑥
  4. ①-③-⑥
(정답률: 90%)
  • 주공정은 전체 공정 중에서 가장 오래 걸리는 공정으로, 이번 계획공정도에서는 "①"이 주공정이다. "①"을 시작으로 "③"을 거쳐 "⑥"으로 이어지는 경로가 가장 빠른 시간 내에 모든 공정을 완료할 수 있는 최적의 경로이기 때문에 정답은 "①-③-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u 관리도의 관리상한선과 관리하한선을 구하는 식으로 옳은 것은?

(정답률: 88%)
  • u 관리도의 관리상한선은 UCL = u + 3√u, 관리하한선은 LCL = u - 3√u로 구할 수 있습니다. 이때, ""이 정답인 이유는 해당 그림이 u 관리도의 관리상한선과 관리하한선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모집단을 몇 개의 층으로 나누고 각 층으로부터 각 각 랜덤하게 시료를 뽑는 샘플링 방법은?

  1. 층별 샘플링
  2. 2단계 샘플링
  3. 계통 샘플링
  4. 단순 샘플링
(정답률: 90%)
  • 층별 샘플링은 모집단을 여러 개의 층으로 나누고 각 층에서 랜덤하게 시료를 추출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모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층을 나누기 때문에 층 내부의 특성이 유사한 경우에는 샘플링 오차를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모집단의 크기가 큰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샘플링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층별 샘플링은 모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샘플링을 수행할 때 유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관리의 사이클을 가장 올바르게 표시한 것은? (단, A:조처, C:검토, D:실행, P:계획)

  1. P→C→A→D
  2. P→A→C→D
  3. A→S→C→P
  4. P→D→C→A
(정답률: 87%)
  • 정답은 "P→D→C→A" 입니다.

    관리의 사이클은 계획(Plan), 실행(Do), 검토(Check), 조정(Action)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먼저 계획을 수립하고(plan), 그 계획을 실행(do)합니다. 그리고 실행한 결과를 검토(check)하고, 필요한 경우 조정(action)을 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관리의 사이클은 "P→D→C→A"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절차계획에서 다루어지는 주요한 내용으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1. 각 작업의 소요시간
  2. 각 작업의 실시 순서
  3. 각 직업에 필요한 기계와 공구
  4. 각 작업의 부하와 능력의 조정
(정답률: 74%)
  • 절차계획에서 다루어지는 주요한 내용은 각 작업의 소요시간, 각 작업의 실시 순서, 각 직업에 필요한 기계와 공구입니다. 이 중에서 가장 관계가 먼 것은 "각 작업의 부하와 능력의 조정"입니다. 이는 일정 관리나 인력 관리와 관련이 있으며, 절차계획보다는 프로젝트 관리에서 다루어지는 내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