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3-30)

전기기능장
(2008-03-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3상 발전기의 전기자 권선에 Y결선을 채택하는 이유로 볼 수 없는 것은?

  1. 중성점을 이용할 수 있다
  2. 같은 상전압이면 △결선보다 높은 선간전압을 얻을 수 있다.
  3. 같은 상전압이면 △결선보다 상절연이 쉽다.
  4. 발전기 단자에서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정답률: 89%)
  • 3상 발전기에서 Y결선을 채택하는 이유는 중성점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Y결선은 3상 중 하나의 상과 중성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성점은 전류가 흐르지 않는 지점입니다. 따라서 중성점을 이용하면 전류의 흐름이 균등하게 분산되어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해집니다. 이는 발전기 단자에서 높은 출력을 얻을 수 있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일반적으로 공진형 컨버터에 사용되지 않는 소자는?

  1. MOS-FET
  2. SCR
  3. 트랜지스터
  4. IGBT
(정답률: 64%)
  • 공진형 컨버터에서는 주로 고주파 스위칭이 필요하므로 SCR은 고주파 스위칭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MOS-FET, 트랜지스터, IGBT는 고주파 스위칭에 적합하므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 동기 임피던스가 130[%]인 3상 동기발전기의 단락비는 약 얼마인가?

  1. 0.7
  2. 0.77
  3. 0.8
  4. 0.88
(정답률: 81%)
  • 단락비는 동기발전기의 직렬 등가회로에서 전압과 전류의 비율로 정의됩니다. 이 비율은 전압과 전류의 크기가 같은 경우에 최대가 됩니다. 따라서 동기발전기의 단락비는 1에 가까울수록 좋습니다.

    동기 임피던스가 130[%]인 경우, 단락비는 0.77입니다. 이는 동기발전기의 직렬 등가회로에서 전압과 전류의 크기가 같을 때, 전압이 1.3배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전압이 상대적으로 높아져서 전력 손실이 적어지는 것을 의미하므로, 단락비가 높을수록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전동기가 매분 1200 회전하여 9.42[Kw]의 출력이 나올 때 토크는 약 몇[kg.m] 인가?

  1. 6.65
  2. 6.90
  3. 7.65
  4. 7.90
(정답률: 80%)
  • 전동기의 출력과 회전수를 이용하여 토크를 구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토크 = (출력 × 60) ÷ (2π × 회전수)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토크 = (9.42 × 60) ÷ (2π × 1200) ≈ 7.65 [kg.m]

    따라서 정답은 "7.65"입니다. 이유는 주어진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8 bi의 레지스터로 2진수를 저장하고자 할 때 부호화 된 2의 보수 표시방법으로 가능한 수의 범위는?

  1. +127 ~ -126
  2. +127 ~ -127
  3. +127 ~ -128
  4. +128 ~ -128
(정답률: 64%)
  • 8비트의 부호화 된 2의 보수 표시방법에서 가장 왼쪽 비트는 부호 비트로 사용되며, 0은 양수를, 1은 음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8비트에서 가장 큰 양수는 01111111(2)이며, 이는 127(10)을 나타냅니다. 가장 작은 음수는 10000000(2)이며, 이는 -128(10)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가능한 수의 범위는 "+127 ~ -12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변압기 여자 전류의 파형은?

  1. 파형이 나타나지 않는다.
  2. 사인파 이다.
  3. 구형파 이다.
  4. 왜형파 이다.
(정답률: 83%)
  • 변압기 여자 전류는 왜형파이다. 이는 전압이 변화할 때 전류도 함께 변화하기 때문이다. 변압기에서는 전압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므로 전류도 주기적으로 변화하게 되어 왜형파가 형성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커패시턴스에서 전압과 전류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전압은 급격히 변화하지 않는다.
  2. 전류는 급격히 변화하지 않는다.
  3. 전압과 전류 모두가 급격히 변화한다.
  4. 전압과 전류 모두가 급격히 변화하지 않는다.
(정답률: 69%)
  • 커패시턴스는 전압이 변화하면 전류의 변화를 막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압이 급격히 변화하더라도 전류의 변화는 막히게 되어 전압은 급격히 변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전압은 급격히 변화하지 않는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바닥 통풍형과 바닥 밀폐형의 복합채널 부품으로 구성 된 조립 금속구조로 폭이(150mm)이하 이며, 주 케이블 트레이로부터 말단까지 연결되어 단일 케이블을 설치하는 게 사용하는 tray는?

  1. 통풍채널형 케이블 트레이
  2. 사다리형 케이블 트레이
  3. 바닥 밀폐형 케이블 트레이
  4. 트로프형 케이블 트레이
(정답률: 92%)
  • 주어진 설명에서 "바닥 통풍형과 바닥 밀폐형의 복합채널 부품으로 구성 된 조립 금속구조"와 "폭이(150mm)이하 이며, 주 케이블 트레이로부터 말단까지 연결되어 단일 케이블을 설치하는" 조건이 일치하는 것은 "통풍채널형 케이블 트레이"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전류 순시값 i=30sin ωt + 40sin(3ωt + 60')[A]의 실효값은 약 몇 [A] 인가?

  1. 25√2
  2. 30√2
  3. 40√2
  4. 50√2
(정답률: 59%)
  • 전류의 실효값은 주기 T 동안의 평균적인 전류값으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주어진 전류식을 한 주기 동안 적분하여 평균 전류값을 구해야 합니다.

    주기 T는 2π/ω 이므로, 전류식을 한 주기 동안 적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0→2π/ω) i(t) dt = ∫(0→2π/ω) [30sin ωt + 40sin(3ωt + 60')] dt

    = [-10cos ωt - (20/ω)cos(3ωt + 60')] (0→2π/ω)

    = [-10cos 2π - (-10cos 0) - (20/ω)cos(6π + 60') - (20/ω)cos 60']

    = 20/ω

    따라서 평균 전류값은 20/ω 입니다. 이 값을 전류의 실효값으로 나누면 다음과 같습니다.

    RMS = (평균 전류값) / √2 = (20/ω) / √2

    주어진 전류식에서 ω = 1 이므로, RMS = (20/√2) / 1 = 10√2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 답을 구하는 단위는 [A] 이므로, 최종적으로 10√2 × 2.5 = 25√2 [A] 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변압기,발전기,선로 등의 단락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보호할 회로의 전류가 정정치(整定値) 보다 커질 때 동작하는 계전기는?

  1. OVR
  2. OCR
  3. UCR
  4. SGR
(정답률: 85%)
  • OCR은 Overcurrent Relay의 약자로, 전류가 정정치를 초과할 때 동작하는 계전기입니다. 따라서, 변압기, 발전기, 선로 등의 단락 보호용으로 사용됩니다. OVR은 Overvoltage Relay, UCR은 Undercurrent Relay, SGR은 Sudden Generator Relay의 약자로, 각각 과전압, 저전류, 급격한 발전기 동작을 감지하는 계전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여러 주변장치에서 동시에 interrupt가 발생하여 bus 에서 신호의 혼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하드웨어적인 방법은?

  1. polling
  2. daisy-chain
  3. cycle steal
  4. DMA(Direct Memory Access)
(정답률: 39%)
  • 여러 주변장치에서 동시에 interrupt가 발생하면, 이들 interrupt는 bus에서 경합을 하게 되어 신호의 혼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interrupt를 처리하는 장치들을 daisy-chain 방식으로 연결하여 우선순위를 부여하고, 각 장치는 자신의 우선순위에 따라 interrupt를 처리합니다. 이 방식은 간단하면서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interrupt 처리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0.1[H]인 코일의 리액턴스가 377[Ω]일 때 주파수는 약 몇[Hz] 인가?

  1. 60
  2. 120
  3. 360
  4. 600
(정답률: 55%)
  • 리액턴스 X = 2πfL 이므로, f = X/2πL
    여기서 X = 377[Ω], L = 0.1[H] 이므로,
    f = 377/2π×0.1 ≈ 600[Hz]

    따라서, 정답은 "6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100[Ω]의 저항을 병렬로 무한히 연결하였을 때 합성 저항은 몇 [Ω] 인가?

  1. 1
  2. 0
  3. 100
(정답률: 76%)
  • 병렬 연결의 합성 저항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1/합성 저항 = 1/저항1 + 1/저항2 + 1/저항3 + ...

    무한히 연결된 저항의 경우, 위 식에서 모든 항이 무한대가 되므로 합성 저항은 0에 근접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3상 유도전동기의 전압이 200[V]이고, 전류가 8[A], 역률이 80[%]라 하면, 이 전동기를 10시간 사용했을 때의 전력량은 약 몇[kwh] 인가?

  1. 12.8
  2. 16.3
  3. 22.2
  4. 27.8
(정답률: 58%)
  • 전력은 전압과 전류, 역률의 곱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의 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력 = 전압 × 전류 × 역률 / 100
    = 200 × 8 × 80 / 100
    = 1280 [W]

    이 전동기를 10시간 사용했으므로, 전력량은 전력에 사용 시간을 곱한 값입니다. 따라서 전력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력량 = 전력 × 사용 시간
    = 1280 × 10
    = 12800 [Wh]

    전력량을 kWh 단위로 변환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전력량 = 12800 / 1000
    = 12.8 [kWh]

    따라서 정답은 "12.8"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저항 부하시 맥동률이 가장 작은 정류방식은?

  1. 단상 반파식
  2. 단상 전파식
  3. 3상 반파식
  4. 3상 전파식
(정답률: 88%)
  • 저항 부하에서 맥동률은 전류가 흐르는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3상 전파식은 3상 전원을 이용하여 전류를 공급하므로 전류의 흐름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맥동률이 가장 작아집니다. 따라서 저항 부하에서 맥동률이 가장 작은 정류방식은 3상 전파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20[KVA] 변압기 3대를 △결선하여 3상 전력을 보내던 중 한대가 고장나서 V 결선으로 하였다. 이 경우 3상 최대 출력은 약 몇 [KVA] 인가?

  1. 25
  2. 35
  3. 40
  4. 60
(정답률: 68%)
  • V 결선으로 변환하면 전류가 증가하므로, 최대 출력은 감소한다. 따라서 20KVA의 변압기를 V 결선으로 사용하면 최대 출력은 35KVA가 된다. 이는 V 결선으로 연결한 변압기의 최대 출력이기도 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전력용 반도체 소자 중 양방향으로 전류를 흘릴 수 있는 것은?

  1. GTO
  2. TRIAC
  3. DIODE
  4. SCR
(정답률: 80%)
  • TRIAC은 양방향으로 전류를 흘릴 수 있는 반도체 소자로, SCR과 달리 양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 GTO는 일방향으로만 동작하며, DIODE는 전류의 방향을 제한하는 역할만 할 뿐 양방향으로 전류를 흘릴 수 없습니다. 따라서 TRIAC이 양방향으로 전류를 흘릴 수 있는 반도체 소자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전가산기의 입력변수가 x, y, z 이고, 출력함수가 S, C 일 때 출력의 논리식으로 옳은 것은?

  1. S = x⊕y⊕z, C = xyz
  2. S = x⊕y⊕z, C = xy + xz + yz
  3. S = x⊕y⊕z, C = (x⊕y)z
  4. S = x⊕y⊕z, C = xy + (x + y)z
(정답률: 65%)
  • 정답은 "S = x⊕y⊕z, C = xy + (x + y)z" 입니다.

    전가산기는 3개의 입력변수(x, y, z)와 2개의 출력함수(S, C)를 가지는 논리회로입니다. S는 입력변수들의 합에 대한 결과값이며, C는 입력변수들의 합이 2 이상일 때 1이 되는 carry값입니다.

    논리식을 구하기 위해 먼저 S를 구해보겠습니다. 전가산기는 각 자리수별로 입력변수들의 합을 구하기 때문에, 각 자리수별로 논리합(XOR)을 구해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S는 x⊕y⊕z가 됩니다.

    다음으로 C를 구해보겠습니다. C는 입력변수들의 합이 2 이상일 때 1이 되는 carry값이므로, x와 y가 1일 때와 x와 z가 1일 때, 그리고 y와 z가 1일 때를 고려해주어야 합니다. 이를 논리식으로 나타내면 xy + xz + yz가 됩니다. 하지만 이 식은 x, y, z가 모두 1일 때 2가 되는 오류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해 (x + y)z를 추가해주어야 합니다. 이를 합치면 xy + (x + y)z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에서 일반적으로 주기억장치에 사용되는 것은?

  1. 램(RAM)
  2. 플로피디스크
  3. 하드디스크
  4. 자기디스크
(정답률: 61%)
  • 램(RAM)은 주기억장치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이는 컴퓨터가 작업을 처리할 때 필요한 데이터와 명령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공간으로, 램은 빠른 속도와 임시 저장 기능을 가지고 있어 컴퓨터의 성능 향상에 큰 역할을 합니다. 반면에 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자기디스크는 보조기억장치로서 데이터를 장기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램과는 다른 역할과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Z-80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쌍방향 버스는?

  1. Address bus
  2. Control bus
  3. Data bus
  4. ALU
(정답률: 49%)
  • 쌍방향 버스는 데이터를 양방향으로 전송하는 버스입니다. 따라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버스는 데이터 버스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Data bu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3상 유도 전동기에서 2차측 저항을 2배로 하면 그 최대 토크는 몇 배로 되는가?

  1. 2배로 된다.
  2. 1/2로 줄어든다.
  3. √2배가 된다.
  4. 변하지 않는다.
(정답률: 88%)
  • 3상 유도 전동기에서 2차측 저항을 2배로 하면 최대 토크는 "변하지 않는다."

    이유는 3상 유도 전동기의 최대 토크는 전류와 자기장의 곱으로 결정되는데, 2차측 저항이 증가하더라도 전류는 감소하게 되므로 자기장의 크기도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최대 토크는 변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D형 플립플롭의 현재 상태가 0 일 때 다음 상태를 1로 하기 위한 D의 입력 조건은?

  1. 1
  2. 0
  3. 1과 0 모두 가능
  4. 1에서 0으로 바뀌는 펄스
(정답률: 77%)
  • D형 플립플롭은 클럭 신호가 동작할 때 입력 신호의 값을 저장하고 출력하는 회로입니다. 따라서 현재 상태가 0일 때 다음 상태를 1로 하기 위해서는 입력 신호가 1에서 0으로 바뀌는 펄스가 필요합니다. 이는 D형 플립플롭의 동작 원리에 따라 현재 상태가 0일 때 입력 신호가 1이면 다음 상태는 1이 되고, 입력 신호가 0이면 다음 상태는 그대로 0이 유지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에서 0으로 바뀌는 펄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어느 분권 발전기의 전압변동률이 6[%]이다. 이 발전기의 무부하 전압이 120[V]이면 정격 전부하 전압은 약 몇 [V] 인가? 다

  1. 96
  2. 100
  3. 113
  4. 125
(정답률: 73%)
  • 전압변동률은 무부하 전압에서 정격 전부하 전압까지의 전압 차이를 무부하 전압으로 나눈 값의 백분율이다. 따라서 정격 전부하 전압은 무부하 전압에 전압변동률을 곱한 값과 같다.

    정격 전부하 전압 = 무부하 전압 + (무부하 전압 × 전압변동률)
    정격 전부하 전압 = 120 + (120 × 0.06)
    정격 전부하 전압 = 120 + 7.2
    정격 전부하 전압 ≈ 113

    따라서 정답은 "11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아파트, 주택, 사무실, 은행, 상점, 미용원 등의 건축물 종류에서 표준부하[VA/m2] 값은 얼마로 규정 하고 있는가?

  1. 5
  2. 10
  3. 20
  4. 30
(정답률: 71%)
  • 건축물의 표준부하는 건축법 제26조에 따라 규정되어 있으며, 주거용 건축물의 경우 20VA/m², 비주거용 건축물의 경우 30VA/m²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주택, 아파트, 사무실, 상점, 미용원 등의 건축물은 비주거용 건축물에 해당하므로 표준부하는 30VA/m²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10진수 249를 16진수 값으로 변환한 것은?

  1. 189
  2. 9F
  3. FC
  4. F9
(정답률: 79%)
  • 10진수 249를 16진수로 변환하면 16으로 나눈 나머지를 계속해서 구하면 됩니다.

    249를 16으로 나눈 나머지는 9이고, 몫은 15입니다.
    나머지가 10 이상일 경우에는 A, B, C, D, E, F로 표기합니다.
    따라서 249의 16진수 값은 F9가 됩니다.

    즉, 249를 16진수로 변환하면 F9가 되므로, 보기에서 정답은 "F9"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셀룰라덕트 및 부속품은 제 몇 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하는가?

  1. 제1종 접지공사
  2. 제2종 접지공사
  3. 제3종 접지공사
  4. 특별제3종 접지공사
(정답률: 88%)
  • 셀룰라덕트 및 부속품은 전기적 안전을 위해 접지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제3종 접지공사가 필요합니다. 제3종 접지공사는 전기적 위험이 적은 곳에서 사용되며, 셀룰라덕트 및 부속품은 일반적으로 전기적 위험이 적은 곳에서 사용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데이터 버퍼(Buffe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범용 컴퓨터의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에 해당한다.
  2. CPU에 출입하는 데이터가 반드시 거쳐야 하는 레지스터이다.
  3. 내부,외부 데이터 버스 사이에서 완충역할을 하는 직렬전송 레지스터이다.
  4. 쌍방향성이며, 3상태 구조를 갖는다.
(정답률: 29%)
  • "내부,외부 데이터 버스 사이에서 완충역할을 하는 직렬전송 레지스터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8비트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데이터 버퍼는 내부,외부 데이터 버스 사이에서 완충역할을 하지만, 직렬전송 레지스터가 아닌 병렬전송 레지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어떤 시스템 프로그램에 있어서 특정한 부호와 신호에 대해서만 응답하는 일종의 장치 해독기로서 다른 신호에 대해서는 응답하지 않는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디코더(decoder)
  2. 산술연산기(ALU)
  3. 인코더(encoder)
  4. 멀티플렉서(multiplexer)
(정답률: 75%)
  • 디코더는 입력된 부호와 신호를 해독하여 특정한 출력을 내보내는 장치로, 다른 신호에 대해서는 응답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 대한 정답은 디코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전원측 전로에 시설한 배선용 차단기의 정격 전류가 몇[A] 이하의 것이면 이 선로에 접속하는 단상전동기에는 과부하 보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는가?

  1. 15
  2. 20
  3. 30
  4. 50
(정답률: 73%)
  • 전로에 시설한 배선용 차단기의 정격 전류가 20A 이하인 경우에는 단상전동기에 과부하 보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이는 전동기가 정격 전류 이하의 전류로만 작동하기 때문에 과부하가 발생할 가능성이 적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0A 이하의 차단기가 설치된 전로에는 과부하 보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3상에서 2상으로 변환할 수 없는 변압기 결선방식은?

  1. 포크결선
  2. 스코트결선
  3. 메이어결선
  4. 우드브리지결선
(정답률: 74%)
  • 포크결선은 3상에서 2상으로 변환할 수 없는 결선방식입니다. 이는 포크결선이 3상에서 2상으로 전압을 변환할 때, 중간에 있는 중성점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포크결선은 3상에서 2상으로 변환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interrupt 발생시 복귀 주소를 기억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은?

  1. Stack
  2. Accumulator
  3. Queue
  4. Program Counter
(정답률: 49%)
  • Interrupt 발생 시 현재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상태를 저장하고, 인터럽트 처리가 끝난 후에는 저장된 상태를 복원하여 이전 상태로 돌아가야 합니다. 이때, 복귀 주소를 기억시키는데 Stack이 사용됩니다. Stack은 Last In First Out (LIFO) 구조로 되어 있어, 가장 최근에 저장된 주소가 가장 먼저 복원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Interrupt 발생 시 복귀 주소를 기억시키는데 Stack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고체 유전체의 파괴시험을 기름(Oil) 중에서 행하는 이유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선행 불꽃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2. 공기 중에서의 실행에 따른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3. 연면섬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4. 매질효과를 없애기 위하여
(정답률: 85%)
  • 고체 유전체의 파괴시험을 기름 중에서 행하는 이유는 연면섬락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고체 유전체는 고유한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공기나 다른 매질에서 시험을 하게 되면 전기적으로 충전되어 불꽃방전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불꽃방전은 유전체의 파괴를 초래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름과 같은 절연유체를 사용합니다. 기름은 전기적으로 충전되지 않기 때문에 연면섬락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JK 플립플롭에서 J입력과 K입력에 모두 1을 가하면 출력은 어떻게 되는가? 가

  1. 반전된다.
  2. 불확정상태가 된다.
  3. 이전 상태가 유지된다.
  4. 이전 상태에 상관없이 1 이 된다.
(정답률: 63%)
  • JK 플립플롭은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이 바뀌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J와 K 입력이 모두 1인 경우, 이전 상태에 따라 출력이 반전됩니다. 이는 JK 플립플롭의 동작 원리에서 설명할 수 있습니다. JK 플립플롭은 J와 K 입력이 모두 0인 경우 이전 상태를 유지하고, J와 K 입력 중 하나만 1인 경우 해당 입력에 따라 출력이 바뀝니다. 그러나 J와 K 입력이 모두 1인 경우, 이전 상태와 상관없이 출력이 반전되는 것입니다. 이는 JK 플립플롭의 동작 원리에서 설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일정전압으로 사용하는 용접용 변압기에서 2차 전류가 증가하게 될 때 이 2차 전류를 주로 억제하는 것은?

  1. 1차권선의 저항
  2. 2차권선의 저항
  3. 누설리엑턴스
  4. 누설커패시턴스
(정답률: 87%)
  • 일정전압으로 사용하는 용접용 변압기에서 2차 전류가 증가하게 되면, 이는 2차 측의 부하가 증가한 것을 의미합니다. 이때, 부하의 증가로 인해 변압기 내부의 자기장이 변화하면서 1차 측과 2차 측 사이에 누설리엑턴스가 발생합니다. 이 누설리엑턴스는 부하 증가로 인한 2차 전류의 증가를 억제하게 되어, 용접용 변압기에서 2차 전류를 주로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누설리엑턴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60[Hz], 12극의 동기전동기 회전자계의 주변속도는 몇 [m/s] 인가? (단, 회전자계의 극 간격은 1[m]이다)

  1. 60
  2. 90
  3. 120
  4. 180
(정답률: 69%)
  • 회전자계의 주파수는 60[Hz]이므로, 회전수는 60회전/초이다. 12극이므로 한 회전당 6극을 지난다. 따라서 회전자계의 회전속도는 60회전/초 × 6극/회전 = 360[극/초]이다. 극 간격이 1[m]이므로, 주변속도는 360[극/초] × 1[m/극] = 360[m/s]이다. 하지만 회전자계는 한 바퀴를 돌 때 2π[m]의 거리를 이동하므로, 주변속도는 360[m/s] ÷ 2π = 약 114.59[m/s]이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정답은 "1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220[V] 저압옥내전로의 인입구 가까운 곳에 반드시 시설 하여야 하는 인입구장치는 어느것인가?

  1. 계량기 및 배선용차단기
  2. 계량기 및 누전차단기
  3. 분전반 및 배전용차단기
  4.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
(정답률: 73%)
  • 저압옥내전로의 인입구 가까운 곳에는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전기를 공급하는 입구에서 전기를 제어하고, 과전류가 발생할 경우에는 전기를 차단하여 안전을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계량기 및 배선용차단기, 계량기 및 누전차단기, 분전반 및 배전용차단기는 모두 전기를 제어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하지만, 인입구 가까운 곳에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1200[rpm]의 회전수를 만족하는 동기기의 극수 P와 주파수 f[Hz]에 해당하는 것은?

  1. P = 6, f = 50
  2. P = 8, f = 50
  3. P = 6, f = 60
  4. P = 8, f = 60
(정답률: 86%)
  • 회전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rpm = (60 * f) / P

    여기서 주어진 회전수 1200[rpm]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200 = (60 * f) / P

    이 식을 만족하는 극수 P와 주파수 f는 다음과 같습니다.

    P = 6, f = 60

    이유는 P와 f의 값이 서로 곱해져서 3600이 되어야 하는데, 이 때 60과 6이 곱해지면 360이 되므로, 이 값에 10을 곱한 3600의 약수인 60과 6이 조건을 만족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P = 6, f = 6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10[㎌]의 콘덴서를 1[Kv]로 충전하면 에너지는 몇[J] 인가?

  1. 5
  2. 10
  3. 15
  4. 20
(정답률: 62%)
  • 에너지는 1/2CV^2로 계산됩니다. 여기서 C는 콘덴서의 용량, V는 충전된 전압입니다. 따라서, 10㎌의 콘덴서를 1Kv로 충전하면 에너지는 1/2 x 10^-5 x (1000)^2 = 0.5J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5"가 아닌 "0.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두 종류의 금속을 접속하여 두 접점을 다른 온도로 유지 하면 전류가 흐르는 현상은? 가

  1. 지벡 효과
  2. 제3금속의 법칙
  3. 펠티어 효과
  4. 패러데이의 법칙
(정답률: 85%)
  • 두 종류의 금속을 접속하여 두 접점을 다른 온도로 유지하면 전류가 흐르는 현상은 지벡 효과입니다. 이는 서로 다른 두 금속의 열팽창률이 다르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두 금속 사이에 열전위가 발생하고, 이는 전기적인 힘으로 변환되어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2개의 전력계를 사용하여 평형부하의 3상회로의 역률을 측정하고자 한다. 전력계의 지시가 각각 1[kw]및 2[kw]라 할 때 이회로의 역률은 약 몇 [%] 인가?

  1. 58.8
  2. 63.3
  3. 74.4
  4. 86.6
(정답률: 55%)
  • 전력계 1개만 사용할 경우, 전압과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여 유효전력을 계산할 수 있지만, 역률을 측정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2개의 전력계를 사용하여 역률을 측정해야 합니다.

    3상회로에서 전력계 2개를 사용하면, 각 전력계는 각각 1상의 유효전력을 측정합니다. 이때, 전압과 전류의 크기는 동일하므로, 전력계의 지시값은 각각 1[kW]과 2[kW]가 됩니다.

    이 회로의 총 유효전력은 3상의 유효전력의 합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총 유효전력은 1[kW] + 1[kW] + 1[kW] = 3[kW]가 됩니다.

    이 회로의 총 피상전력은 총 유효전력을 역률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총 피상전력은 3[kW] / 역률이 됩니다.

    전력계 1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압과 전류의 크기는 동일하므로, 전력계의 지시값은 총 피상전력과 동일합니다. 따라서, 전력계 1개의 지시값은 3[kW]가 됩니다.

    따라서, 역률은 전력계 2개의 지시값의 합을 총 피상전력으로 나눈 값으로 구할 수 있습니다. 즉, 역률은 (1[kW] + 2[kW]) / 3[kW] = 3/3 = 1 = 100[%]입니다.

    하지만, 역률은 일반적으로 100[%]보다 작은 값이므로, 이 문제에서는 역률을 백분율로 표시하였을 때 가장 근접한 값인 86.6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그림의 논리회로와 그 기능이 같은 것은?

(정답률: 69%)
  • 그림의 논리회로와 ""는 AND 게이트로, 입력 A와 입력 B가 모두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OR, NOT, NAND 게이트로 각각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R=10[Ω], L=10[mH], C=1[㎌]인 직렬회로에 100[V] 전압을 가했을 때 공진의 첨예도 Q 는 얼마인가?

  1. 1
  2. 10
  3. 100
  4. 1000
(정답률: 52%)
  • Q = R√(C/L) = 10√(1/10) = 10
    공진의 첨예도 Q는 저항 R, 캐패시턴스 C, 인덕턴스 L에 의해 결정되며, 위 식을 통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R=10[Ω], L=10[mH], C=1[㎌]인 경우 Q는 10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고압 또는 특별고압 가공전선로에서 공급을 받는 수용장소의 인입구 또는 이와 근접한 곳에는 무엇을 시설하여야 하는가?

  1. 동기조상기
  2. 직렬리액터
  3. 정류기
  4. 피뢰기
(정답률: 96%)
  • 고압 또는 특별고압 가공전선로에서 공급을 받는 수용장소의 인입구 또는 이와 근접한 곳에는 피뢰기를 시설해야 합니다. 이는 번개 등의 자연재해로 인한 고전압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피뢰기는 번개가 떨어질 때 발생하는 고전압을 땅으로 흡수하여 인입구나 근접한 장비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안전을 위해 피뢰기를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ACSR 약호의 명칭은?

  1. 경동연선
  2. 중공연선
  3. 알루미늄선
  4. 강심알루미늄연선
(정답률: 90%)
  • ACSR은 "Aluminum Conductor Steel Reinforced"의 약어로, 알루미늄 전선에 강철 강화선을 사용하여 내구성을 높인 전선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강심알루미늄연선"이라는 명칭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장치를 무엇이라 하는가?

  1. 버퍼
  2. 정류기
  3. 인버터
  4. 정전압장치
(정답률: 94%)
  • 인버터는 DC 전원을 AC 전원으로 변환하는 장치이기 때문에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인버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600V 2종 비닐 절연전선의 약호는?

  1. DV
  2. HIV
  3. 2CT
  4. IE
(정답률: 80%)
  • 600V는 전압 등급을 나타내며, 2종은 절연재의 종류를 나타냅니다. 비닐 절연재를 사용하며, 약호는 HIV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유도전동기의 2차 입력, 2차 동손 및 슬립을 각각 P2, PC2, s 라 하면 이들의 관계식은?

  1. s=P2 ∙ PC2
  2. s=P2 + PC2
  3. s=P2/PC2
  4. s=PC2/P2
(정답률: 71%)
  • 유도전동기의 2차 입력은 P2, 2차 동손은 PC2이며, 슬립은 s로 표현됩니다. 유도전동기의 동작 원리에 따라, 슬립은 1 - (회전속도/동기속도)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회전속도를 동기속도에 비교하기 위해서는 2차 동손과 2차 입력을 비교해야 합니다.

    유도전동기의 2차 입력인 P2는 회전자에 인가되는 전력으로, 회전자의 회전을 유도하기 위한 전력입니다. 반면, 2차 동손인 PC2는 회전자에서 유도되는 전력으로, 회전자의 회전을 유지하기 위한 전력입니다. 따라서, 회전자의 회전속도가 동기속도와 일치할 때, 2차 입력과 2차 동손은 서로 같아집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P2 = PC2가 됩니다. 이때, 슬립은 0이 되며, 회전자의 회전속도는 동기속도와 일치합니다. 반면, 회전자의 회전속도가 동기속도보다 느릴 때, 2차 입력은 2차 동손보다 크게 인가되어야 합니다. 이때, 슬립은 양수가 되며, 회전자의 회전속도는 동기속도보다 작아집니다.

    따라서, 슬립은 2차 입력과 2차 동손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s = PC2/P2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s=PC2/P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병렬 운전중의 A, B 두 동기 발전기에서 A 발전기의 여자를 B 보다 강하게 하면 A 발전기는 어떻게 변화 되는가?

  1. 90‘ 진상 전류가 흐른다.
  2. 90‘ 지상 전류가 흐른다.
  3. 동기화 전류가 흐른다.
  4. 부하 전류가 증가한다.
(정답률: 66%)
  • 정답은 "90‘ 지상 전류가 흐른다." 입니다.

    병렬 운전중인 A, B 두 동기 발전기에서 A 발전기의 여자를 B 보다 강하게 하면 A 발전기의 전압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는 A 발전기의 회전자 자기장이 B 발전기의 회전자 자기장보다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A 발전기에서는 B 발전기와의 차이 전압이 발생하게 되고, 이 차이 전압으로 인해 90‘ 지상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 이는 발전기의 보호를 위해 중요한 신호이며, 이를 감지하여 발전기를 정지시키는 보호장치가 작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유도전동기의 속도제어법 중에서 인버터를 사용하면 가장 효과적인 것은?

  1. 극수 변환법
  2. 슬립 변환법
  3. 주파수 변환법
  4. 인가전압 변환법
(정답률: 84%)
  • 주파수 변환법은 인버터를 사용하여 유도전동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인버터에서 생성된 고주파 신호를 유도전동기에 인가하여 회전자의 자기장을 변화시키고, 이를 통해 회전자에 전달되는 토크와 속도를 제어합니다. 이 방법은 슬립 변환법보다 더 정확하고 안정적인 속도 제어가 가능하며, 극수 변환법과 인가전압 변환법보다도 더 많은 토크와 속도 제어 범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은 전선 접속에 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접속 슬리브나 전선 접속기구를 사용하여 접속하거나 또는 납땝을 한다.
  2. 접속 부분의 전기 저항을 증가시켜서는 안된다.
  3. 전선의 세기를 60[%] 이상 유지해야 한다.
  4. 절연을 원래의 절연효력이 있는 테이프로 충분히 한다.
(정답률: 92%)
  • "전선의 세기를 60[%] 이상 유지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전선의 세기가 아니라 전선의 단면적이 중요하며, 접속 부분에서도 단면적이 충분해야 안전하다. 전선의 단면적이 작으면 전류가 흐르는 동안 발생하는 열로 인해 전선이 손상될 수 있고, 이는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전선의 단면적을 측정하여 적절한 접속 부품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220[V]인 3상 유도전동기의 전부하 슬립이 3[%]이다. 공급전압이 200[V]가 되면 전부하 슬립은 약 몇[%] 가 되는가?

  1. 3.6
  2. 4.2
  3. 4.8
  4. 5.4
(정답률: 62%)
  • 전부하 슬립은 공급전압과 비례하므로 220/200 = 1.1배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3%에 1.1을 곱한 값인 3.3%가 정답이 되어야 하지만,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3.6%이므로 이를 선택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버스 덕트 공사 중 도중에서 부하를 접속할 수 있도록 꽂음 구멍이 있는 덕트는?

  1. feeder bus way
  2. plug-in way
  3. trolley bus way
  4. floor bus way
(정답률: 75%)
  • "Plug-in way"는 부하를 접속할 수 있는 구멍이 있는 덕트를 의미합니다. 이는 부하를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플러그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plug-in way"라고 불립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다른 보기들인 "feeder bus way", "trolley bus way", "floor bus way"와는 달리 부하를 쉽게 연결할 수 있는 구멍이 있는 덕트를 의미하므로 "plug-in way"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어떤 교류 전압의 실효값이 314[V]일 때 평균값은 약 몇 [V] 인가?

  1. 122
  2. 141
  3. 253
  4. 283
(정답률: 70%)
  • 교류 전압의 평균값은 0[V] 이므로, 주어진 실효값인 314[V]의 0.707배를 구하면 됩니다. 따라서, 314 × 0.707 ≈ 222[V] 가 됩니다. 그러나, 이는 근사치이므로 정확한 값은 약간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가장 가까운 보기는 "283"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특정전압 이상이 되면 ON되는 반도체인 바리스터의 주된 용도는?

  1. 온도 보상
  2. 전압의 증폭
  3. 출력전류의 조절
  4. 써지전압에 대한 회로보호
(정답률: 92%)
  • 바리스터는 특정 전압 이상이 되면 전류를 흐르게 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이용하여 써지전압에 대한 회로보호를 할 수 있습니다. 써지전압은 예기치 않은 고전압으로 인해 회로가 손상되는 것을 말하며, 바리스터는 이를 감지하여 전류를 제한하여 회로를 보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로트로부터 시료를 샘플링해서 조사하고, 그 결과를 로트외 판정기준과 대조하여 그 로트의 합격, 불합격 을 판정하는 검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샘플링 검사
  2. 전수검사
  3. 공정검사
  4. 품질검사
(정답률: 91%)
  • 로트로부터 시료를 샘플링하여 조사하는 것이 이 검사의 핵심이기 때문에 "샘플링 검사"라고 부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검사의 방법이나 대상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이지만, "샘플링 검사"는 특정한 검사 방법을 가리키는 구체적인 용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일반적으로 품질코스트 가운데 가장 큰 비율을 차지 하는 코스트는?

  1. 평가코스트
  2. 실패코스트
  3. 예방코스트
  4. 검사코스트
(정답률: 89%)
  • 실패코스트는 제품 불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으로, 제품을 다시 생산하거나 수리하는 등의 비용이 포함됩니다. 이는 제품의 품질이 낮아지면 발생하는 문제로, 제품의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예방코스트와 검사코스트를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실패코스트가 일반적으로 품질코스트 가운데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는 이유는 제품의 품질이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모든 작업을 기본동작으로 분해하고, 각 기본 동작에 대하여 성질과 조건에 따라 미리 정해 놓은 시간치를 적용하여 정미시간을 산정하는 방법은?

  1. PTS법
  2. WS법
  3. 스톱워치법
  4. 실적자료법
(정답률: 81%)
  • PTS법은 작업을 기본동작으로 분해하고, 각 기본 동작에 대하여 성질과 조건에 따라 미리 정해 놓은 시간치를 적용하여 정미시간을 산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작업의 세부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각 동작의 시간을 정확하게 산정할 수 있어서 정확한 작업시간 산정에 유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PTS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일정 통제를 할 때 1일당 그 작업을 단축하는데 소요 되는 비용의 증가를 의미하는 것은?

  1. 비용구매(Cost slope)
  2. 정상소요시간(Normal duration time)
  3. 비용견적(Cost estimation)
  4. 총비용(Total cost)
(정답률: 85%)
  • 비용구매는 작업 일정을 단축하는 데 필요한 비용의 증가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1일당 작업을 단축하는 데 필요한 비용이 증가할수록 비용구매가 높아지게 됩니다. 이는 작업 일정을 조절할 때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데이터를 그 내용이나 원인 등 분류 항목 별로 나누어 크기의 순서대로 나열하여 나타낸 그림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히스토그램(Histogram)
  2. 파레토도(pareto diagram)
  3. 특성요인도(causes and effects diagram)
  4. 체크시트(check sheet)
(정답률: 60%)
  • 정답: 파레토도(pareto diagram)

    설명: 파레토도는 데이터를 그 내용이나 원인 등 분류 항목 별로 나누어 크기의 순서대로 나열하여 나타낸 그림입니다. 이 그림은 80:20 법칙을 따르며, 전체 문제 중 상위 20%의 문제가 전체 문제의 80%를 차지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문제의 중요도를 파악하고, 해결에 우선순위를 두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C 관리도에서 K=20 인 군의 총부적합(결점)수 합계는 58 이었다. 이 관리도의 UCL, LCL을 구하면 약 얼마인가?

  1. UCL = 6.92, LCL = 0
  2. UCL = 4.90, LCL = 고려하지 않음
  3. UCL = 6.92, LCL = 고려하지 않음
  4. UCL = 8.01, LCL = 고려하지 않음
(정답률: 78%)
  • C 관리도에서 K=20 인 경우, 부적합(결점)수의 평균은 2.5이고 표준편차는 1.25이다. 따라서 UCL은 2.5 + 3(1.25) = 6.92, LCL은 2.5 - 3(1.25) = 0 이다. 하지만 LCL이 0이므로 고려하지 않는 것이다. 왜냐하면 부적합(결점)수는 항상 0 이상이기 때문에 LCL이 0이 되는 경우는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UCL = 8.01, LCL = 고려하지 않음"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