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기능장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3-29)

전기기능장
(2009-03-2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인덕턴스 L=20[mH]인 코일에 실효값 V=50[V], 주파수 f=60[Hz]인 정현파 전압을 인가했을 때 코일에 축적되는 평균 자기 에너지 WL[J]는 약 얼마인가?

  1. 6.3
  2. 4.4
  3. 0/63
  4. 0.44
(정답률: 64%)
  • 평균 자기 에너지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WL = 1/2 * L * Ieff2

    여기서 Ieff는 주파수가 f일 때의 효과적인 전류입니다. 정현파 전압을 인가했으므로 전류도 정현파일 것입니다. 따라서 Ieff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Ieff = V / (sqrt(2) * L * 2 * pi * f)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Ieff = 50 / (sqrt(2) * 0.02 * 2 * pi * 60) ≈ 1.77[A]

    WL = 1/2 * 0.02 * 1.772 ≈ 0.44[J]

    따라서 정답은 "0.4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변압기의 효율(η)을 나타낸 것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정답률: 85%)
  • ""이 정답입니다. 변압기의 효율은 출력 전력(secondary power)을 입력 전력(primary power)으로 나눈 값으로 나타납니다. 즉, 출력이 입력보다 작을 경우 변압기 내부에서 일부 전력이 소모되기 때문에 효율이 감소하게 됩니다. 따라서, 출력이 입력과 같을 때 효율이 가장 높아지게 됩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η = (secondary power / primary power) x 100%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합성수지관 상호 및 관과 박스는 접속시에 삽입하는 깊이를 관 바깥지름의 몇 배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는다.)

  1. 0.8
  2. 1.0
  3. 1.2
  4. 1.4
(정답률: 93%)
  • 합성수지관과 상호 및 관과 박스를 접속할 때는 적절한 삽입 깊이를 유지해야 합니다. 이는 관 바깥지름의 몇 배 이상으로 하는 것이 적절한데,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관과 상호 및 관과 박스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삽입하여 고정시킵니다. 이때 삽입 깊이가 너무 얕으면 관과 박스가 떨어질 수 있고, 너무 깊으면 합성수지관이 변형되거나 파손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삽입 깊이를 유지하기 위해 관 바깥지름의 몇 배 이상으로 삽입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적절한 배수는 1.2 정도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삽입 깊이를 충분히 유지하면서도 합성수지관과 상호 및 관과 박스를 안전하게 고정할 수 있는 적절한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사이리스터의 유지전류(holding current)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사이리스터가 턴온(turn on) 하기 시작하는 순전류
  2. 게이트를 개방한 상태에서 사이리스터가 도통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의 순전류
  3. 사이리스터의 게이트를 개방한 상태에서 전압을 상승 하면 급히 증가하게 되는 순전류
  4. 게이트 전압을 인가한 후에 급히 제거한 상태에서 도통상태가 유지되는 최소의 순전류
(정답률: 81%)
  • 사이리스터의 유지전류(holding current)는 게이트를 개방한 상태에서 사이리스터가 도통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의 순전류입니다. 이는 사이리스터가 한번 턴온되면 게이트 전압을 인가한 후에 급히 제거해도 도통상태가 유지되는 최소한의 전류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사이리스터를 안정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유지전류를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인스트럭션(Instruction)의 길이를 줄이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PC(prongram counter)를 사용한다.
  2. 다음 인스트럭션의 주소를 인스트럭션에 포함시킨다.
  3. 오퍼랜드(Operand)중의 하나의 결과를 저장한다.
  4. 레지스터내에 있는 자료만을 오퍼레이션(Operation)에 사용한다.
(정답률: 33%)
  • 다음 인스트럭션의 주소를 인스트럭션에 포함시키는 것은 인스트럭션의 길이를 더욱 늘리는 것이므로 인스트럭션의 길이를 줄이는 방법이 아닙니다. 이 방법은 오히려 인스트럭션의 길이를 더욱 늘려서 메모리 공간을 더 많이 차지하게 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오히려 인스트럭션의 길이를 줄이는 것과는 반대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하나의 용기에 넣어 외부의 빛을 차단한 구조로 출력 측의 전기적인 조건이 입력 측에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는 소자는?

  1. 포토 다이오드
  2. 포토 트랜지스터
  3. 서미스터
  4. 포토 커플러
(정답률: 87%)
  • 포토 커플러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를 하나의 용기에 넣어 외부의 빛을 차단한 구조로, 출력 측의 전기적인 조건이 입력 측에 전혀 영향을 끼치지 않는 소자입니다. 따라서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를 전기적으로 분리할 수 있어서, 전기적인 잡음이나 노이즈가 발생하는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신호 전달이 가능합니다. 이와 달리 포토 다이오드나 포토 트랜지스터는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 신호가 변화하기 때문에, 입력 측의 전기적인 조건이 출력 측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서미스터는 광섬유 통신에서 사용되는 소자로, 포토 커플러와는 다른 구조와 용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각 상의 임피던스가 Z=6+j8[Ω]인 평형 Y결선 부하에 선간전압 220[V]의 대칭 3상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흐르는 선전류는 약 몇[A]인가?

  1. 8.7
  2. 10.5
  3. 12.7
  4. 17.5
(정답률: 71%)
  • 임피던스 Z=6+j8[Ω]를 가진 부하에 대칭 3상전압을 인가하였으므로, 선간전압은 220[V]이고, 전압의 효과적 값은 220/√3≈127[V]이다. 이때, 부하에 흐르는 전류는 I=V/Z=127/(6+j8)≈12.7[A]이다. 따라서 정답은 "12.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산술 및 논리연산의 결과를 일시 보존하는 레지스터는?

  1. Accumulator
  2. Instruction register
  3. Arithmetic register
  4. Storage register
(정답률: 53%)
  • Accumulator는 산술 및 논리연산의 결과를 일시 보존하는 레지스터입니다. 이는 다른 레지스터와 달리 연산 결과를 저장하고 다음 연산에 사용할 수 있도록 값을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Accumulator가 산술 및 논리연산의 결과를 일시 보존하는 레지스터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바리스터(Varister)의 주된 용도는?

  1. 전압 증폭용
  2. 서지전압에 대한 회로 보호용
  3. 출력전류 조정용
  4. 과전류방지 보호용
(정답률: 90%)
  • 바리스터는 서지전압에 대한 회로 보호용으로 사용됩니다. 이는 바리스터가 일정한 전압에서는 전기 저항이 매우 높아져서 전류가 흐르지 않다가, 일정한 전압을 넘어서면 전기 저항이 급격히 낮아져서 전류가 흐르게 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바리스터는 서지전압이나 과전압 등의 이상 전압이 발생할 경우 이를 흡수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지중 송전선로의 구성 방식이 아닌 것은?

  1. 방사상 환상 방식
  2. 루프 방식
  3. 가지식 방식
  4. 단일 유닛 방식
(정답률: 85%)
  • 지중 송전선로는 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지하에 설치된 전선으로 구성됩니다. 이 중 "가지식 방식"은 지중 송전선로의 구성 방식이 아닙니다. "가지식 방식"은 주로 나무 등의 가지 모양을 따라 설치되는 전선 구성 방식으로, 지중 송전선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동기 전동기의 여자 전류가 증가하면 어떤 현상이 생기나?

  1. 토크가 증가한다.
  2. 전기자 전류의 위상이 앞선다.
  3. 난조가 생긴다.
  4. 앞선 무효 전류가 흐르고 유도 기전력은 높아진다.
(정답률: 59%)
  • 동기 전동기의 여자 전류가 증가하면 전자기장의 변화로 인해 전기자 전류의 위상이 앞선다. 이는 전기자의 회전과 관련이 있으며, 전류의 위상이 앞서면 토크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전기자 전류의 위상이 앞선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회로에서 단자 AB간의 합성저항은 몇 [Ω]인가?

  1. 10
  2. 12
  3. 15
  4. 30
(정답률: 71%)
  • 단자 AB 사이의 합성저항은 병렬저항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병렬저항의 경우 전체 저항값은 각 저항값의 역수의 합의 역수로 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10 + 1/20 = 3/20 이고, 이를 역수로 취한 후 분모와 분자를 각각 곱하면 12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C[F]의 콘덴서에 V[V]의 전압을 가한 결과 Q[C]의 전기량이 충전되었다. 이 콘덴서에 저장된 에너지 [J]는 어떻게 표현되는가?

  1. 2CV
  2. 2CV2
  3. 1/2CV
  4. 1/2CV2
(정답률: 80%)
  • 콘덴서에 전하가 충전될 때, 전하는 전위차를 만들어내며 전위차에 의해 전하가 저장된다. 이때 전하가 저장된 콘덴서는 전위차에 의해 일정한 양의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이를 콘덴서의 용량(C)이라고 한다. 또한, 전하가 저장된 콘덴서의 전위차(V)는 전하의 양(Q)에 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콘덴서에 저장된 전기 에너지는 전하의 양(Q)과 전위차(V)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에너지(J) = 1/2 x C x V^2

    여기서 1/2는 콘덴서에 저장된 전하가 양쪽 전극 사이를 왕복할 때, 전하가 이동하는 거리가 반으로 줄어들기 때문에 생기는 효과이다. 따라서, 정답은 "1/2CV^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전선의 접속 원칙이 아닌 것은?

  1. 전선의 허용전류에 의하여 접속 부분의 온도 상승값이 접속부 이외의 온도 상승값을 넘지 않도록 한다.
  2. 접속 부분은 접속관, 기타의 기구를 사용한다.
  3. 전선의 강도를 30% 이상 감소시키지 않는다.
  4. 구리와 알루미늄 등 다른 종류의 금속 상호간을 접속할 때에는 접속부에 전기적 부식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정답률: 91%)
  • "전선의 강도를 30% 이상 감소시키지 않는다."는 전선의 접속 원칙이 아닙니다. 이유는 전선의 강도와 접속 부분의 온도 상승값은 서로 관련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전선의 강도를 유지하는 것은 접속 부분의 온도 상승값을 제어하는 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3상 동기 발전기를 병렬 운전시키는 경우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조건은?

  1. 기전력의 위상이 같을 것
  2. 회전수가 같을 것
  3. 기전력의 크기가 같을 것
  4. 상회전 방향이 같을 것
(정답률: 78%)
  • 3상 동기 발전기를 병렬 운전시키는 경우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조건은 "회전수가 같을 것"입니다. 이는 회전수가 같으면 각 발전기의 출력 주파수가 같아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발전기 간의 상호작용이 최소화되어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해집니다. 반면에 회전수가 다르면 출력 주파수가 다르기 때문에 발전기 간의 상호작용이 발생하게 되어 안정적인 운전이 어렵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정류회로에서 직류전압의 맥동률이 가장 작은 정류 회로는?

  1. 단상 반파 정류회로
  2. 단상 반파 정류회로
  3. 3상 전파 정류회로
  4. 3상 반파 정류회로
(정답률: 80%)
  • 사이리스터를 이용한 정류회로에서 직류전압의 맥동률을 최소화하려면, 정류회로에서 전류가 연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정류회로에서 전류가 0이 되는 시간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3상 전파 정류회로는 3상 전원을 이용하여 정류회로에서 전류가 연속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직류전압의 맥동률이 가장 작은 정류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단상 직권 정류자 전동기의 회전 속도를 높이는 이유는?

  1. 전기자에 유도되는 역기전력을 적게 한다.
  2. 역률을 개선한다.
  3. 토크를 증가시킨다.
  4. 리액턴스 강하를 크게 한다.
(정답률: 77%)
  • 단상 직권 정류자 전동기의 회전 속도를 높이면 역기전력이 감소하게 되어 전기자에 유도되는 역기전력을 적게 하고, 이는 역률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져옵니다. 따라서 회전 속도를 높이는 것은 역률을 개선하기 위한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동기기의 전기자 도체에 유기되는 기전력의 크기는 그 주파수를 2배로 했을 경우 어떻게 되는가?

  1. 2배로 증가
  2. 2배로 감소
  3. 4배로 증가
  4. 4배로 감소
(정답률: 67%)
  • 전기자 도체에 유기되는 기전력은 주파수와 비례하기 때문에 주파수를 2배로 했을 경우 기전력도 2배로 증가합니다. 이는 전기자 도체의 내부 전하의 진동 주기가 단축되어 전하의 이동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배로 증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3상 동기 발전기의 각 상의 유기 기전력 중에서 제5고조파를 제거하려면 코일 간격/극 간격을 어떻게 하면 되는가?

  1. 0.5
  2. 0.6
  3. 0.7
  4. 0.8
(정답률: 68%)
  • 3상 동기 발전기에서 제5고조파는 코일 간격과 극 간격이 0.8일 때 가장 적게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코일 간격과 극 간격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야 하며, 이 때 제5고조파의 주파수가 다른 고조파들과 상호작용하여 최소화됩니다. 따라서 0.8이 가장 적합한 값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주소버스(ADDRESS BUS)선의 수가 “20”인 경우, 접근할 수 있는 최대 메모리의 크기는 몇 byte인가?

  1. 256
  2. 512
  3. 1K
  4. 1M
(정답률: 59%)
  • 주소버스의 선의 수가 20이면 2^20 개의 주소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각 주소는 1 byte의 메모리를 가리키므로, 총 주소 가능한 메모리 크기는 2^20 byte가 됩니다. 이는 1M (메가바이트)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다음 중 플립플롭 회로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1. 두 가지 안정 상태를 갖는다.
  2.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이다.
  3. 반도체 메모리 소자로 이용된다.
  4. 트리거 펄스 1개마다 1개의 출력펄스를 얻는다.
(정답률: 87%)
  • 정답은 "트리거 펄스 1개마다 1개의 출력펄스를 얻는다." 이다.

    플립플롭 회로는 트리거 펄스가 입력되면 출력이 변경되는 회로로, 트리거 펄스 1개마다 1개의 출력펄스를 얻는다. 따라서 이 설명은 올바르다.

    두 가지 안정 상태를 갖는다는 것은 플립플롭 회로가 0 또는 1의 두 가지 상태 중 하나에 머무르는 것을 의미한다.

    쌍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이다는 것은 플립플롭 회로가 입력 신호에 따라 주기적으로 출력이 변화하는 회로로, 주기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반도체 메모리 소자로 이용된다는 것은 플립플롭 회로가 컴퓨터 등의 디지털 시스템에서 메모리 저장소로 사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빌딩의 부하 설비 용량이 2000[kW], 부하역률 90[%], 수용률이 75[%]일 때 수전 설비의 용량은 약 몇[KVA]인가?

  1. 1554
  2. 1666
  3. 1800
  4. 2400
(정답률: 73%)
  • 수전 설비의 용량은 부하 설비의 용량을 부하역률과 수용률로 나눈 값과 같습니다.

    수전 설비 용량 = 부하 설비 용량 / (부하역률 × 수용률)

    여기에 값을 대입하면,

    수전 설비 용량 = 2000[kW] / (0.9 × 0.75)

    수전 설비 용량 = 2666.67[kVA]

    하지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전 설비의 용량은 3의 배수로 제공되기 때문에, 가장 근접한 값인 1666[kVA]를 선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보호선과 전압선의 기능을 겸한 전선은?

  1. PEM선
  2. PEL선
  3. PEN선
  4. DV선
(정답률: 84%)
  • PEL선은 Protective Earth and Line의 약자로, 보호선과 전압선의 기능을 겸한 전선입니다. 이는 전기적 안전을 위해 사용되며, 전기기기의 외부 금속 부분과 지면을 연결하여 전기적 충격을 방지하고, 동시에 전기기기의 전압을 안전하게 전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PEL선은 전기기기의 안전한 사용을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TRIAC을 사용하여 소용량 저항부하의 AC 전력제어를 하려고 한다. 게이트용 소자로 가장 간단히 사용 할 수 있는 것은?

  1. UJT
  2. PUT
  3. DIAC
  4. SUS
(정답률: 86%)
  • TRIAC은 양방향 전류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입니다. TRIAC의 게이트에는 양방향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DIAC과 함께 사용됩니다. DIAC은 양방향 전류를 트리거링하는데 사용되는 소자로, TRIAC의 게이트에 적용되는 전압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DIAC은 TRIAC과 함께 사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게이트용 소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셀룰로이드, 성냥, 석유류 등 기타 가연성 위험물질을 제조 또는 저장하는 장소의 배선에서 사용할 수 없는 공사 방법은?

  1. 케이블 공사
  2. 금속관 공사
  3. 애자 사용 공사
  4. 합성수지관 공사
(정답률: 84%)
  • 애자 사용 공사는 불꽃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가연성 위험물질을 다루는 장소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공사 방법입니다. 애자는 불꽃을 일으키는 장치이기 때문에, 가연성 물질과 함께 사용하면 화재 발생 위험이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셀룰로이드, 성냥, 석유류 등 가연성 위험물질을 다루는 장소에서는 애자 사용 공사를 하지 않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고속의 입·출력장치와 메모리간에 CPU를 통하지 않고 직접 데이터를 주고 받는 입·출력 제어방법을 무엇이라 하는가?

  1. Interrupt
  2. DMA(Diredt memory Access)
  3. time sharing
  4. interruption
(정답률: 52%)
  • DMA(Direct Memory Access)는 CPU를 거치지 않고 입·출력장치와 메모리 간에 직접 데이터를 주고 받는 입·출력 제어방법입니다. 따라서 입·출력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CPU는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시스템의 전반적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반면 Interrupt는 CPU가 입·출력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 중단되는 방식으로, DMA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Time sharing은 여러 사용자가 하나의 컴퓨터를 공유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Interruption은 예기치 않은 상황이 발생하여 CPU가 현재 수행 중인 작업을 중단하고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DMA(Direct Memory Access)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저압 연접인입선의 시설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인입선에서 분기되는 점에서 100m를 초과하지 말것
  2. 폭 5m를 초과하는 도로를 횡단하지 말 것
  3. 옥내를 관통하지 말 것
  4. 지름은 최소 4.0mm 이상의 경동선을 사용할 것
(정답률: 84%)
  • "지름은 최소 4.0mm 이상의 경동선을 사용할 것"이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저압 연접인입선은 전기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기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전선의 지름이 크면 전기의 저항이 작아져 전기의 흐름이 원활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름이 작은 전선을 사용하면 전기의 안정적인 공급이 어렵고 과부하가 걸리면 전선이 녹아버리거나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의 논리식은?

(정답률: 67%)
  • AND 게이트와 OR 게이트를 조합하여 논리식을 구성할 수 있습니다.

    - AND 게이트: 입력이 모두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게이트입니다.
    - OR 게이트: 입력 중 하나 이상이 1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게이트입니다.

    논리회로를 살펴보면,
    - A와 B가 AND 게이트로 연결되어 있고,
    - C와 D가 AND 게이트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 두 AND 게이트의 출력이 OR 게이트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논리식은 (A AND B) OR (C AND D)가 됩니다.

    보기에서 정답은 ""입니다. 이유는, 논리식 (A AND B) OR (C AND D)와 보기의 ""가 같은 논리식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변압기에서 부하전류 및 전압은 일정하고, 주파수만 낮아지면 변압기는 어떠헥 되는가?

  1. 철손이 증가한다.
  2. 철손이 감소한다.
  3. 동손이 증가한다.
  4. 동손이 감소한다.
(정답률: 62%)
  • 변압기의 철손은 주파수가 낮아질수록 증가합니다. 이는 주파수가 낮아질수록 철 속에서 자기장이 변화하는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철 속에서 자기장이 변화할 때 발생하는 유도전류가 증가하게 되고, 이는 철손을 증가시키게 됩니다. 따라서 주파수가 낮아지면 변압기의 철손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프로그램 작성 후 기계어 번역 때나 수행할 때 문법적, 논리적 오류를 찾아서 바로 고치는 작업을 무엇이라 하는가?

  1. loading
  2. editing
  3. debugging
  4. trouble shooting
(정답률: 60%)
  • 프로그램 작성 후 기계어 번역 때나 수행할 때 문법적, 논리적 오류를 찾아서 바로 고치는 작업을 디버깅(debugging)이라고 합니다. 이는 프로그램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찾아내고 수정하는 과정을 말하며, 프로그램이 원하는 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따라서 디버깅은 프로그램 개발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단계이며, 오류를 찾아내고 수정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수행할 명령의 주소를 기억하고 있는 레지스터는?

  1. Accumulator
  2. Program Counter
  3. Instruction Register
  4. Magnetic Bubble Memory
(정답률: 37%)
  • 프로그램 카운터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행할 명령의 주소를 기억하고 있는 레지스터"라는 설명과 가장 일치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른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큐뮬레이터는 연산 결과를 저장하는 데 사용되고, 명령 레지스터는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마그네틱 버블 메모리는 보조 기억 장치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일정 전압으로 운전하는 직류 발전기의 손실이 x+y I2으로 된다고 한다. 어떤 전류에서 효율이 최대로 되는가? (단, x, y는 정수이다.)

(정답률: 69%)
  • 효율은 출력/입력으로 정의된다. 직류 발전기의 출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이므로, 입력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효율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다.

    전압이 일정하므로, 효율을 최대로 만드는 것은 입력 전력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입력 전력은 전류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전류를 최소화해야 한다. 따라서 효율이 최대가 되는 전류는 0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논리식 “A+AB"를 간단히 계산한 결과는?

  1. A
  2. A+B
(정답률: 85%)
  • 논리식 "A+AB"를 간단히 계산하면 "A"가 됩니다. 이는 논리식에서 "A"와 "AB" 중 하나라도 참이면 전체 식이 참이 되는 OR 연산의 특성 때문입니다. "A"가 참이면 "AB"는 참이든 거짓이든 상관없이 전체 식이 참이 되기 때문에 "A"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전류에 의해 만들어지는 자기장의 자기력선 방향을 간단하게 알아내는 법칙은?

  1. 앙페르의 오른나사 법칙
  2. 렌츠의 법칙
  3. 플레밍의 왼손법칙
  4. 가우스의 법칙
(정답률: 85%)
  • 앙페르의 오른나사 법칙은 전류가 흐르는 전선을 오른손으로 감싸면 엄지손가락이 전류의 방향을 가리키고, 나머지 손가락들이 자기장의 자기력선의 방향을 가리킨다는 법칙입니다. 이는 전류와 자기장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현상을 이해하는 데 매우 유용한 법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부흐홀츠 계전기로 보호되는 기기는?

  1. 변압기
  2. 발전기
  3. 동기전동기
  4. 회전변류기
(정답률: 81%)
  • 부흐홀츠 계전기는 전기적으로 과부하나 단락 등의 이상이 발생할 경우 회로를 자동으로 차단하여 기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보호 기능을 가진 기기 중에서 변압기는 전압을 변환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전압 변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부하나 단락 등의 이상을 감지하여 부흐홀츠 계전기를 작동시켜 기기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변압기가 부흐홀츠 계전기로 보호되는 기기 중 하나인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어떤 정현파 전압의 평균값이 191[V]이면 최대값은 약 몇[V]인가?

  1. 240
  2. 270
  3. 300
  4. 330
(정답률: 67%)
  • 정현파의 평균값은 0이므로 최대값은 정현파의 피크파크투피크값(peak-to-peak value)의 절반과 같습니다. 따라서 최대값은 191[V]에서 피크파크투피크값을 구한 후 2로 나눈 값과 가장 가까운 보기를 선택하면 됩니다.

    정현파의 피크파크투피크값은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로 구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정현파의 최대값은 최소값과 같으므로 피크파크투피크값은 최대값의 두 배가 됩니다. 따라서 최대값은 (191[V] x 2) / 2 = 382 / 2 = 191[V] 입니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91[V]과 가장 가까운 값이 요구되므로, 300[V]이 가장 적절한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3상 유도전동기의 회전자 입력 P 슬립 s 이면 2차 동손은 어떻게 표현되는가?

  1. sP2
  2. (2s-1)P2
  3. (s+1)P2
  4. (1-s)P2
(정답률: 91%)
  • 3상 유도전동기의 회전자 입력 P는 회전자 속도와 회전자 자기장의 상대적인 속도에 비례하므로, 회전자 입력 P에 슬립 s를 곱한 값이 2차 동속에 해당한다. 따라서 2차 동속은 sP2로 표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지상역률 80[%]인 1000[KVA]의 부하를 100[%]의 역률로 개선하는데 필요한 전력용 콘덴서의 용량은 몇[KVA]인가?

  1. 200
  2. 400
  3. 600
  4. 800
(정답률: 76%)
  • 지상역률이 80%인 부하는 유효전력과 무효전력이 모두 존재합니다. 이를 100%의 역률로 개선하려면 무효전력을 상쇄시켜야 합니다. 이를 위해 필요한 무효전력은 유효전력과 같은 크기여야 합니다. 따라서 1000KVA의 부하에서 필요한 무효전력은 1000KVAR이며, 이를 상쇄시키기 위해 용량이 1000KVAR인 콘덴서가 필요합니다. 이를 KVA로 환산하면 1000KVA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00"이 아니라 "1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전계의 세기를 구하는 법칙은?

  1. 비오-사바르의 법칙
  2. 가우스의 법칙
  3. 플레밍의 왼손법칙
  4. 암페어의 법칙
(정답률: 72%)
  • 정답: 가우스의 법칙

    가우스의 법칙은 전기장의 성질을 나타내는 법칙 중 하나로, 전기장의 크기와 방향을 구하는 데 사용된다. 이 법칙은 전기장의 발생원인인 전하와 전기장의 관계를 나타내며, 전하가 존재하는 곳에서 전기장이 발생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전계의 세기를 구하는 데에도 이 법칙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그림과 같은 회로의 명칭은?

  1. 일치회로
  2. 반일치회로
  3. 감산기회로
  4. 반가산기회로
(정답률: 83%)
  • 이 회로는 두 개의 입력(A, B)과 두 개의 출력(S, C)을 가지며, 덧셈 연산을 수행하는 회로입니다. 하지만 이 회로는 입력이 1+1일 때 올바른 결과를 출력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이 회로는 반가산기회로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DC를 AC로 변환시키는 변환장치는?

  1. 초퍼
  2. 인버터
  3. 정류기
  4. 사이클로 컨버터
(정답률: 91%)
  • DC 전원을 AC 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장치를 인버터라고 합니다. 인버터는 DC 전원을 고주파 AC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데, 이를 통해 AC 전원을 사용해야 하는 기기나 장치에 DC 전원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태양광 발전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DC 전원을 AC 전원으로 변환하여 가정이나 회사 등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변압기의 등가회로 작성에 필요 없는 시험은?

  1. 단락시험
  2. 반환부하법
  3. 무부하시험
  4. 저항측정시험
(정답률: 75%)
  • 반환부하법은 변압기의 등가회로 작성에 필요하지 않습니다. 반환부하법은 전력공급원의 출력전압과 출력전류를 측정하여 변압기의 효율을 계산하는 시험입니다. 이는 변압기의 효율을 평가하기 위한 것으로, 등가회로 작성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반환부하법은 이 문제에서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누전경보기의 시설방법에서 경보기의 조작 전원은 전용 회로를 두고 또한 이에 설치하는 개폐기로 배선용 차단기를 사용할 때 몇[A] 이하의 것을 사용하는가?

  1. 20[A]
  2. 30[A]
  3. 40[A]
  4. 50[A]
(정답률: 68%)
  • 누전경보기는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할 경우를 감지하여 경보를 울리는 장치입니다. 이 장치를 설치할 때는 전용 회로를 두고, 이 회로에는 개폐기와 차단기를 설치합니다. 차단기는 배선용으로 사용되며, 이 장치는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할 경우 전기를 차단하여 안전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누전경보기의 시설방법에서는 차단기를 사용하여 전기를 차단하므로, 차단기의 용량은 누전경보기의 소비 전류를 고려하여 선택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누전경보기의 소비 전류는 20A 이하이므로, 이에 맞는 20A 이하의 차단기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단상 3선식 선로에 그림과 같이 부하가 접속 되어있을 경우에 설비 불평형률은 약 몇 [%] 인가?

  1. 13.33
  2. 14.33
  3. 15.33
  4. 16.33
(정답률: 80%)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전기자 권선에 의해 생기는 전기자 기자력을 없애기 위하여 주 자극의 중간에 작은 자극으로 전기자 반작용을 상쇄하고 또한 정류에 의한 리액턴스 전압을 상쇄하여 불꽃을 없애는 역할을 하는 것은?

  1. 보상권선
  2. 공극
  3. 전기자권선
  4. 보극
(정답률: 85%)
  • 보극은 전기자 권선에 의해 생기는 전기자 기자력을 상쇄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 주 자극의 중간에 작은 자극으로 전기자 반작용을 상쇄하고, 정류에 의한 리액턴스 전압을 상쇄하여 불꽃을 없애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보극은 전기자 권선의 영향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전기적 작동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우선순위 인터럽트 처리 방법 중 소프트웨어에 의한 방법은?

  1. 폴링 방법(polling method)
  2. 스트로브 방법(strobe method)
  3. 데이지-체인 방법(daisy-chain method)
  4. 우선순위 인코더 방법(priority encoder method)
(정답률: 48%)
  • 소프트웨어에 의한 방법은 폴링 방법(polling method)입니다. 이는 CPU가 인터럽트 요청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처리하는 방법으로, 인터럽트 발생 시 CPU가 해당 인터럽트를 처리하기 전까지 다른 작업을 수행하지 못하므로 처리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폴링 방법은 인터럽트 처리 속도가 느리고 CPU 부하가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권선형 유도전동기에서 2차측 저항을 2배로 하면 그 최대 토크는 몇 배로 되는가?

  1. 1/2
  2. √2
  3. 2
  4. 불변
(정답률: 88%)
  • 권선형 유도전동기에서 최대 토크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T_{max} = frac{3}{2} frac{V_1^2}{omega_s R_2}$

    여기서 $R_2$는 2차측 저항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R_2$를 2배로 하면 최대 토크는 다음과 같이 변합니다.

    $T_{max}' = frac{3}{2} frac{V_1^2}{omega_s 2R_2} = frac{1}{2} T_{max}$

    즉, 최대 토크는 2차측 저항의 역수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2차측 저항을 2배로 하면 최대 토크는 1/2로 줄어듭니다. 따라서 정답은 "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접지 저감재의 구비조건과 거리가 먼 것은?

  1. 전기적으로 양도체일 것
  2. 지속성이 있을 것
  3. 전극을 부식시키지 않을 것
  4. 토양에 비해 도전도가 낮을 것
(정답률: 80%)
  • 접지 저감재는 전기적으로 양도체여야 하며, 지속성이 있어야 합니다. 또한 전극을 부식시키지 않아야 하지만, 토양에 비해 도전도가 낮아야 합니다. 이는 접지 저감재가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는 지하수나 습지 등의 환경에서도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2방향성 3단자 사이리스터는 어느 것인가?

  1. SCS
  2. TRIAC
  3. SSS
  4. SCR
(정답률: 80%)
  • TRIAC은 양방향으로 전류를 제어할 수 있는 3단자 사이리스터로, SCR과는 달리 양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TRIAC이 2방향성 3단자 사이리스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동기 발전기의 단락비를 계산하는 데 필요한 시험의 종류는?

  1. 무부하 포회 시험과 3상 단락시험
  2. 정상, 영상 리액턴스 측정시험
  3. 돌발 단락시험과 부하시험
  4. 단상 단락시험과 3상 단락시험
(정답률: 87%)
  • 동기 발전기의 단락비는 발전기의 회전자와 스태터 간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무부하 포회 시험과 3상 단락시험이 필요합니다.

    무부하 포회 시험은 발전기의 회전자를 회전시키면서 출력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여, 회전자와 스태터 간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시험입니다.

    3상 단락시험은 발전기의 스태터 간에 단락을 걸어서 출력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여, 단락 상태에서의 전기적인 특성을 확인하는 시험입니다. 이 두 가지 시험을 통해 동기 발전기의 단락비를 정확하게 계산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최대사용전압 3300[V]의 고압 전동기가 있다. 이 전동기의 절연내력 시험전압은 몇[V]인가?

  1. 3925
  2. 4250
  3. 4950
  4. 10500
(정답률: 80%)
  • 고압 전동기의 절연내력 시험전압은 최대사용전압의 1.5배인 4950[V]이다. 이는 전기적 안전을 위해 절연재료의 내전압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정답은 49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그림과 같은 R-L-C 병렬 공진회로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R이 작을수록 Q가 높다.
  2. 공진시 L 또는 C를 흐르는 전류는 입력 전류 크기의 Q배가 된다.
  3. 공진 주파수 이하에서의 입력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뒤진다.
  4. 공진시 입력 어드미턴스는 매우 작아진다.
(정답률: 80%)
  • 정답: "공진시 입력 어드미턴스는 매우 작아진다."

    R-L-C 병렬 공진회로에서 Q는 공진 주파수에서 회로의 에너지 저장 능력과 손실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입니다. R은 회로의 손실을 나타내는 값으로, R이 작을수록 손실이 적어지므로 Q가 높아집니다. 따라서 "R이 작을수록 Q가 높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공진시 L 또는 C를 흐르는 전류는 입력 전류 크기의 Q배가 되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또한 공진 주파수 이하에서의 입력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뒤진다는 것도 옳은 설명입니다.

    하지만 공진시 입력 어드미턴스는 매우 작아지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공진시 입력 어드미턴스는 무한대가 되며, 이는 공진회로가 완전히 열린 회로가 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심벌의 명칭은?

  1. 전류제한기
  2. 전등제한기
  3. 전압제한기
  4. 역률제한기
(정답률: 86%)
  • 해당 심벌은 전류제한기를 나타냅니다. 전류제한기는 전기회로에서 일정한 전류 이상이 흐를 때 전류를 제한하여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회로가 과부하되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길이 50[cm]인 직선상의 도체봉을 자속밀도 0.1[Wb/m2]의 평등 자계 중에 자계와 수직으로 놓고 이것을 50[m/s]의 속도로 자계와 60°의 각으로 움직였을 때 유도기전력은 약 몇[V]가 되는가?

  1. 1.08
  2. 1.25
  3. 2.17
  4. 2.51
(정답률: 63%)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표]는 A 자동차 영업소의 월별 판매 실적을 나타낸 것이다. 5개월 단순이동평균법으로 6월의 수요를 예측하면 몇 대인가?

  1. 120
  2. 130
  3. 140
  4. 150
(정답률: 84%)
  • 5개월 단순이동평균법은 최근 5개월간의 판매 실적을 더한 후 5로 나누어 평균을 구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6월의 수요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2월부터 6월까지의 판매 실적을 더한 후 5로 나누어야 한다.
    2월부터 6월까지의 판매 실적은 각각 100, 110, 120, 130, 140 대이므로, 이를 더한 값은 600 대이다. 따라서 5개월 단순이동평균법에 따라 6월의 수요는 600 대 / 5 = 120 대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2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부적합품률이 1%인 모집단에서 5개의 시료를 랜덤하게 샘플링할 때, 부적합품수가 1개일 확률은 약 얼마인가? (단, 이항분포를 이용하여 계산한다.)

  1. 0.048
  2. 0.058
  3. 0.48
  4. 0.58
(정답률: 70%)
  • 이 문제는 이항분포를 이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항분포는 성공확률이 p인 베르누이 시행을 n번 반복하여 성공하는 횟수를 나타내는 분포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부적합품률이 1%이므로 성공확률 p는 0.01입니다. 또한 시료를 5개 샘플링하므로 n은 5입니다. 따라서 부적합품수가 1개일 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P(X=1) = (5 choose 1) * 0.01^1 * 0.99^4
    = 5 * 0.01 * 0.96059601
    = 0.048

    여기서 (5 choose 1)은 5개 중에서 1개를 선택하는 경우의 수를 나타내는 이항계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0.048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품질관리 기능의 사이클을 표현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품질개선 - 품질설계 - 품질보증 - 공정관리
  2. 품질설계 - 공정관리 - 품질보증 - 품질개선
  3. 품질개선 - 품질보증 - 품질설계 - 공전관리
  4. 품질설계 - 품질개선 - 공정관리 - 품질보증
(정답률: 70%)
  • 정답은 "품질설계 - 공정관리 - 품질보증 - 품질개선" 입니다.

    품질관리 기능의 사이클은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을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은 품질설계, 공정관리, 품질보증, 품질개선으로 구성됩니다.

    - 품질설계: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을 결정하는 요소들을 사전에 계획하고 설계하는 단계입니다. 제품이나 서비스의 목표 품질 수준을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요소들을 고려합니다.

    - 공정관리: 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하고,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단계입니다.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합니다.

    - 품질보증: 제품이나 서비스가 목표 품질 수준을 충족하는지를 검증하는 단계입니다. 제품이나 서비스를 출하하기 전에 검사를 통해 품질을 보증하고, 이를 통해 고객의 신뢰를 유지합니다.

    - 품질개선: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단계입니다. 제품이나 서비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며, 고객 만족도를 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반즈(Ralph M. Barnes)가 제시한 동작경제의 원칙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표준작업의 원칙
  2. 신체의 사용에 관한 원칙
  3. 작업장의 배치에 관한 원칙
  4. 공구 및 설비의 디자인에 관한 원칙
(정답률: 64%)
  • 정답은 "표준작업의 원칙"입니다.

    표준작업의 원칙은 반즈가 제시한 동작경제의 원칙 중 하나가 아닙니다. 이 원칙은 작업자들이 일정한 방식으로 작업을 수행하도록 지시하고, 이를 표준화하여 생산성을 높이는 것을 말합니다.

    반면, "신체의 사용에 관한 원칙", "작업장의 배치에 관한 원칙", "공구 및 설비의 디자인에 관한 원칙"은 모두 반즈가 제시한 동작경제의 원칙 중 하나입니다.

    - "신체의 사용에 관한 원칙"은 작업자들이 자연스러운 자세와 움직임으로 작업을 수행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말합니다.
    - "작업장의 배치에 관한 원칙"은 작업자들이 최소한의 이동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장을 배치하는 것을 말합니다.
    - "공구 및 설비의 디자인에 관한 원칙"은 작업자들이 효율적으로 공구와 설비를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는 것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계수치 관리도가 아닌 것은?

  1. c관리도
  2. p관리도
  3. u관리도
  4. x관리도
(정답률: 74%)
  • x관리도는 계수치 관리도가 아닌 것입니다. 계수치 관리도는 제품의 수량, 불량률 등을 측정하는 관리도이지만, x관리도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연속적인 데이터를 관리하는 관리도입니다. 즉, x관리도는 계수치가 아닌 연속적인 데이터를 다루기 때문에 계수치 관리도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검사의 종류 중 검사공정에 의한 분류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수입검사
  2. 출하검사
  3. 출장검사
  4. 공정검사
(정답률: 89%)
  • 출장검사는 검사공정에 의한 분류가 아니라 검사의 장소에 따른 분류이기 때문입니다. 출장검사는 제품이나 재료가 생산 현장이나 고객사 등에서 검사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검사공정에 의한 분류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