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5-23)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
(2004-05-2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소방원론

1. 고체 가연물질(용융물질)의 연소과정에서 일반적으로 거치는 4단계의 순서는?

  1. 용융 - 열분해 - 기화 - 연소
  2. 열분해 - 용융 - 기화 - 연소
  3. 기화 - 용융 - 열분해 - 연소
  4. 열분해 - 기화 - 용융 - 연소
(정답률: 55%)
  • 고체 가연물질이 연소되는 과정에서 먼저 용융되어 액체 상태가 되고, 이후에 열분해되어 분해 생성물이 발생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기화되어 기체 상태가 되고, 마지막으로 연소되어 에너지가 방출됩니다. 따라서, "용융 - 열분해 - 기화 - 연소"가 올바른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자연발화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외부로부터 열의 공급을 받지 않고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이다.
  2. 물질의 온도가 발화점 이상이면 자연발화한다.
  3. 다공질이고 열전도가 작은 물질일수록 자연발화가 일어나기 어렵다.
  4. 기름걸레가 적층되어 있으면 자연발화가 일어나기 쉽다.
(정답률: 75%)
  • "다공질이고 열전도가 작은 물질일수록 자연발화가 일어나기 어렵다."가 틀린 것이다. 다공질이고 열전도가 작은 물질일수록 자연발화가 일어나기 쉽다. 이유는 이러한 물질은 열이 축적되기 쉽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가연물질이 재로 덮인 숯불모양으로 불꽃없이 착화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1. 발염착화
  2. 무염착화
  3. 맹화
  4. 진화
(정답률: 87%)
  • 가연물질이 재로 덮인 숯불모양으로 불꽃없이 착화하는 것은 무염착화이다. 이는 가연물질과 산소가 충분히 혼합되어 있어서 추가적인 열이나 화염 없이도 자연스럽게 연소가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화재의 종류와 표시색이 잘못 짝지워 진 것은?

  1. B급- 적색
  2. C급- 청색
  3. D급- 무색
  4. A급- 백색
(정답률: 89%)
  • B급 화재는 유기물 화재로서 적색으로 표시되어야 합니다. 유기물 화재란 나무, 종이, 섬유 등 유기물이 연소하는 화재를 말합니다. 따라서 B급 화재는 적색으로 표시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제4류 위험물로 특수인화물에 해당되는 것은?

  1. 파라핀
  2. 금속칼슘
  3. 디에틸에테르
  4. 농황산
(정답률: 68%)
  • 디에틸에테르는 휘발성이 높아서 쉽게 증기가 발생하며, 공기와 혼합되어 폭발성이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제4류 위험물 중 특수인화물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할 때 연소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계획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수직계획
  2. 피난계획
  3. 수평계획
  4. 용도계획
(정답률: 66%)
  • 화재 발생 시 연소확대를 방지하기 위한 계획에는 수직계획, 수평계획, 용도계획이 포함됩니다. 이 중에서 피난계획은 화재 발생 시 건물 내부에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경로와 방법을 제시하는 계획으로, 연소확대를 방지하는 것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피난계획"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전기화재의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승압에 의한 발화
  2. 과전류에 의한 발화
  3. 누전에 의한 발화
  4. 단락에 의한 발화
(정답률: 73%)
  • 승압에 의한 발화는 전기적인 에너지가 과도하게 축적되어 발생하는 것으로, 전기화재의 원인으로 볼 수 없습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전기기기의 고장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이며, 전기기기의 설계나 제조과정에서 충분한 안전장치가 갖추어져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착화 온도(착화점)가 가장 높은 물질은?

  1. 석탄
  2. 프로판
  3. 메탄
  4. 셀룰로이드
(정답률: 45%)
  • 메탄은 분자 구조가 간단하고 결합 에너지가 낮아서 착화 온도가 가장 높은 물질 중 하나입니다. 이에 비해 석탄은 착화 온도가 낮은 편이며, 프로판과 셀룰로이드는 메탄보다 결합 에너지가 높아서 착화 온도가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실내화재에 있어서 후레쉬 오버 시점에서의 실내온도는 일반적으로 몇 ℃ 정도인가?

  1. 500∼600
  2. 800∼1000
  3. 1500∼1600
  4. 2000∼2100
(정답률: 55%)
  • 실내화재에서 후레쉬 오버란 화재가 발생한 공간에서 온도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천장과 벽면 등의 구조물이 파열하거나 붕괴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때 실내온도는 일반적으로 800℃ 이상에서 1000℃ 이하로 상승한다. 따라서 정답은 "800∼10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연소반응과 관계있는 것은?

  1. 산화반응
  2. 착화반응
  3. 환원반응
  4. 열발생 속도반응
(정답률: 70%)
  • 연소반응은 물질이 산소와 결합하여 열과 빛을 발생시키는 반응이다. 이때 산소가 다른 물질과 결합하는 과정을 산화반응이라고 한다. 따라서 산화반응은 연소반응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냉각소화에 사용되는 것으로 가장 흔한 것은?

  1. 이산화탄소
  2. 할론
(정답률: 97%)
  • 물은 냉각과 소화 모두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불에 물을 뿌리면 불을 끄고, 물을 뿌리면 불의 온도를 낮출 수 있어 냉각에도 사용됩니다. 또한 물은 증발하면서 수증기를 발생시켜 산소를 차단하여 화재를 진압하는데에도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물은 냉각소화에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B급 화재는 어떤 화재인가?

  1. 금속화재
  2. 일반화재
  3. 전기화재
  4. 유류화재
(정답률: 90%)
  • B급 화재는 유류화재를 의미한다. 이는 유류(기름, 휘발유 등)이 발화하여 일어나는 화재로, 불꽃이나 열에 의해 발화되며 불을 꺼내기 어렵고 확산성이 높아서 대처가 어렵다. 따라서 안전한 보관과 사용이 필요하며, 화재 발생 시에는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지 아니하고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의 경과시간은?

  1. 방진시간
  2. 방염시간
  3. 잔진시간
  4. 잔염시간
(정답률: 32%)
  •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후에도 연소가 계속되는 상태를 잔염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불꽃을 올리지 않고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의 경과시간을 잔진시간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위험물의 제조소에서 게시판에 주의사항을 표시하려고 한다. 제4류위험물에 대한 표시는 어떻게 하는 것이 적당하겠는가?

  1. 물기주의
  2. 접근금지
  3. 화기엄금
  4. 충격주의
(정답률: 93%)
  • 제4류 위험물은 화재 위험이 있으므로 "화기엄금"으로 표시하는 것이 적당하다. "물기주의"는 습기에 민감한 물질에 대한 표시, "접근금지"는 위험한 구역에 대한 표시, "충격주의"는 민감한 물질에 대한 충격에 대한 표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지하층 화재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발화점을 찾기가 어렵고 내부상황을 파악하기가 어렵다.
  2. 규모에 따라서 차이는 있겠으나 지상 소방대상물에 비하여 진압활동의 어려움이 더 크다.
  3. 지하공간 화재는 연기로 인한 질식의 우려와 피난로의 확보가 매우 불투명하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4. 지하공간과 지상공간이 연결되어 있는 구역은 피난을 위하여 방화구획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90%)
  • 지하공간과 지상공간이 연결되어 있는 구역은 피난을 위하여 방화구획을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는 오히려 지하층 화재 발생 시 피난로를 확보하기 위해 방화구획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간과한 것이다. 지하층 화재는 연기로 인한 질식의 우려와 피난로의 확보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방화구획을 설정하여 화재 확산을 최소화하고 피난로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소방대상물에서 방화관리자가 작성하는 소방계획서내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화재예방을 위한 자체검사계획
  2. 화재시 화재실 진입에 따른 전술 계획
  3. 인원의 수용계획에 관한 사항
  4. 소방훈련 및 교육계획
(정답률: 57%)
  • 화재시 화재실 진입에 따른 전술 계획은 소방대상물에서 방화관리자가 작성하는 소방계획서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소방대상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상황에 대비하여 대처 방안을 수립하는 것으로, 화재 발생 시 소방대원들이 화재 진압 및 인명 구조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계획이다. 다른 보기들은 화재 예방, 인원 수용, 소방훈련 등과 관련된 계획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CO2 농도가 10% 정도 방사 되었을 때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1. 마취성
  2. 동상
  3. 질식성
  4. 중독(독성)
(정답률: 79%)
  • CO2 농도가 10% 정도 방사되면 인체의 호흡기계는 산소 대신 이산화탄소를 흡입하게 되어 산소 공급이 부족해지고 이는 심각한 호흡곤란을 유발합니다. 이로 인해 뇌와 심장 등 중요한 기관의 기능이 저하되어 심각한 질식성 상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질식성"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공기중 가연물의 위험도(H)가 가장 작은것은?

  1. 에테르
  2. 수소
  3. 에틸렌
  4. 프로판
(정답률: 49%)
  • 프로판은 가연성이 있지만, 다른 보기에 비해 농도가 낮아서 공기중 가연물의 위험도(H)가 가장 작습니다. 에테르와 에틸렌은 농도가 높아서 위험도가 높고, 수소는 자체적으로 가연성이 매우 높아서 위험도가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중 연소하고 있는 드럼통에 물소화설비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끌 수 있는 물질은? (단, 괄호안은 물질의 비중)

  1. 벤젠(0.879)
  2. 아세톤(0.792)
  3. 이황화탄소(1.274)
  4. 에틸알콜(0.730)
(정답률: 57%)
  • 이황화탄소는 비중이 높아서 공기 중에 떠다니지 않고 연소하고 있는 드럼통 안에 머무르기 때문에 물소화설비를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끌 수 있습니다. 다른 물질들은 비중이 낮아서 물 위에 떠다니거나 공기 중에 떠다니기 때문에 물소화설비로 끌어내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산소의 농도를 어느 일정치 이하로 낮추어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방법은?

  1. 부촉매소화
  2. 냉각소화
  3. 제거소화
  4. 질식소화
(정답률: 90%)
  • 질식소화는 화재 지점의 산소 농도를 낮추어 화염을 진압하는 방법입니다. 산소가 없으면 불꽃이 타는데 필요한 연소 반응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화재가 진압됩니다. 따라서 질식소화는 화재 진압에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소방전기회로

21. 출력 4[kW], 효율 80[%]인 전동기를 2시간 사용했을 때 소비전력량은 몇[kWh] 인가?

  1. 3.2
  2. 4.8
  3. 6.4
  4. 8.4
(정답률: 55%)
  • 전동기의 소비전력은 4[kW]이므로 1시간 동안의 소비전력은 4[kW]입니다. 따라서 2시간 동안의 소비전력은 4[kW] x 2시간 = 8[kWh]입니다. 하지만 전동기의 효율이 80[%]이므로 실제로 사용된 전력은 8[kWh] x 0.8 = 6.4[kWh]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6.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3상 유도전동기의 동기속도와 관련있는 사항은?

  1. 전동기의 용량
  2. 전동기의 극수
  3. 전원전압
  4. 부하전류
(정답률: 70%)
  • 3상 유도전동기의 동기속도와 관련된 사항은 전동기의 극수입니다. 전동기의 극수는 회전자에 있는 자석의 수를 의미하며, 회전자의 자석 수가 많을수록 동기속도가 느려지게 됩니다. 따라서 전동기의 극수가 적을수록 동기속도가 빠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위상 정수를 β[rad/Km]라 할 때 파장은 얼마인가?

  1. 2πβ
  2. 2π/β
  3. 4πβ
  4. 4π/β
(정답률: 35%)
  • 파장 λ는 속도 v와 주파수 f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즉, λ = v/f입니다. 여기서 v는 빛의 속도인 3 x 10^8 m/s이고, f는 진동수입니다. 진동수는 각 주기당 진동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각도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파수 f는 각도의 단위인 라디안(radian)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위상 정수 β는 파동의 위상 변화를 나타내는 값으로, 라디안 단위로 표현됩니다. 따라서, β는 파동이 한 주기 동안 진폭에서 이동하는 각도를 나타냅니다. 이를 이용하여 파장 λ을 구해보면:

    λ = v/f = v/(2π/β) = βv/2π

    따라서, 파장 λ는 2π/β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피상전력이 10[KVA], 유효전력이 7.07[KW]이면 역률은?

  1. 0.707
  2. 0.3535
  3. 1
  4. 1.414
(정답률: 53%)
  • 역률은 유효전력을 피상전력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역률은 7.07[KW] / 10[KVA] = 0.707 입니다. 이는 전류와 전압의 위상차가 45도인 경우에 나타나는 값으로, 코사인 45도의 값인 루트 2를 2로 나눈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PID동작에 해당되는 것은?

  1. 응답속도를 빨리할 수 있으나 오프셋은 제거되지 않는다.
  2. 사이클링을 제거할 수 있으나 오프셋이 생긴다.
  3. 사이클링과 오프셋이 제거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안정성이 있다.
  4. 오프셋은 제거되나 제어동작에 큰 부동작 시간이 있으면 응답이 늦어진다.
(정답률: 85%)
  • "사이클링과 오프셋이 제거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안정성이 있다."는 PID 동작의 특징이다. 이는 P(비례), I(적분), D(미분) 세 가지 요소를 조합하여 제어를 수행하기 때문이다. P는 현재 오차에 비례하여 제어량을 결정하고, I는 과거 오차의 누적값에 비례하여 제어량을 결정하며, D는 오차의 변화율에 비례하여 제어량을 결정한다. 이러한 세 가지 요소를 조합하여 제어를 수행하면 사이클링과 오프셋을 제거할 수 있으며, 응답속도가 빨라지고 안정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의 출력 Y는?

  1. Y=AB+AB
(정답률: 42%)
  • 입력 A와 B가 모두 1일 때, AND 게이트를 통해 AB가 1이 되고, OR 게이트를 통해 AB+AB가 1+1=1이 된다. 따라서 출력 Y는 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권수비가 그림과 같은 변압기의 1차측에 100[V], 60[Hz]의 교류전압을 인가하면 2차측 전압은 몇[V] 인가?

  1. 24
  2. 48
  3. 100
  4. 240
(정답률: 56%)
  • 이 문제는 변압기의 전압비를 이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 변압기의 전압비는 1차측 전압과 2차측 전압의 비율을 나타내는데, 이는 코일의 갯수 비율과 같습니다. 즉, 이 문제에서는 1차측 코일의 갯수가 1000개, 2차측 코일의 갯수가 200개이므로 전압비는 1000:200 = 5:1 입니다. 따라서 1차측에 100[V]의 전압을 인가하면 2차측 전압은 100/5 = 20[V]가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주파수가 60[Hz]이므로, 이에 따른 변압기의 특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변압기의 특성상 주파수가 변하면 전압비도 변하게 되는데, 이는 주파수에 반비례합니다. 따라서 60[Hz]에서 20[V]의 전압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60/20 = 3배의 코일 갯수가 필요합니다. 즉, 1차측 코일의 갯수는 1000, 2차측 코일의 갯수는 200*3 = 600이 되므로 전압비는 1000:600 = 5/3 입니다. 따라서 1차측에 100[V]의 전압을 인가하면 2차측 전압은 100*(5/3) = 166.67[V]가 됩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주어진 값 중에서 선택해야 하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24"를 선택하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이오드를 사용한 정류회로에서 여러 다이오드를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면?

  1. 다이오드를 과전압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다.
  2. 다이오드를 과전류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3. AC전원으로부터 많은 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4. 부하 출력의 맥동률을 감소 시킬 수 있다.
(정답률: 69%)
  • 여러 다이오드를 직렬로 연결하면 각 다이오드가 과전압을 받을 때 그 다이오드의 정격 전압을 초과하면 다음 다이오드로 전압이 전달되어 과전압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전선 재료중에서 구비하여야 할 조건은?

  1. 전기저항이 클 것
  2. 기계적 강도가 작을 것
  3. 인장 강도가 작을 것
  4. 가요성이 풍부할 것
(정답률: 49%)
  • 전선은 전기적인 신호나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재료이므로 전기저항이 낮아야 합니다. 그러나 동시에 전선은 유연하고 가늘어야 하므로 기계적 강도나 인장 강도가 높을 필요는 없습니다. 따라서 전선 재료는 가요성이 풍부해야 하며, 이는 전선을 구부리거나 굽히는 등의 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유도전동기를 60[Hz], 1200[rpm]인 동기전동기에 직접 연결 하여 동기전동기를 기동하는 경우에 유도전동기의 적당한 극수는 얼마인가?

  1. 4
  2. 6
  3. 8
  4. 12
(정답률: 57%)
  • 유도전동기의 회전수는 동기전동기의 회전수와 일치해야 하므로, 유도전동기의 회전수는 1200[rpm]이다. 유도전동기의 극수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유도전동기의 회전수 = (60[Hz] × 60[sec/min]) ÷ 극수

    1200[rpm] = (60[Hz] × 60[sec/min]) ÷ 극수

    극수 = (60[Hz] × 60[sec/min]) ÷ 1200[rpm] = 3

    하지만, 유도전동기의 극수는 짝수이어야 하므로, 가장 가까운 짝수인 4보다 작은 짝수인 2는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적당한 극수는 6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바리스터의 주된 용도는?

  1. 온도보상
  2. 출력전류 조절
  3. 전압증폭
  4. 서지전압에 대한 회로보호
(정답률: 71%)
  • 바리스터는 전압이 급격하게 상승할 때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바리스터는 전압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켜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고, 이를 통해 회로를 보호합니다. 따라서 "서지전압에 대한 회로보호"가 바리스터의 주된 용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프로세스제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압력
  2. 유량
  3. 온도
  4. 속도
(정답률: 66%)
  • 압력, 유량, 온도는 모두 프로세스 제어의 중요한 변수들이지만, 속도는 프로세스 제어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변수입니다. 속도는 프로세스의 특성에 따라 중요한 변수가 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제어 대상이 아니며, 프로세스 제어와는 별개로 측정 및 관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a, b 사이에서 걸리는 전압은 몇[V] 인가?

  1. 10
  2. 12
  3. 15
  4. 20
(정답률: 69%)
  • a와 b 사이의 전압은 전압분배법칙에 따라 20V의 전압이 2:3의 비율로 나누어지므로,

    a와 b 사이의 전압 = 20V x (3 / (2+3)) = 12V

    따라서 정답은 "1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어떤 물질에 정상상태보다 전자의 수가 많거나 적어져서 양전기나 음전기를 띠는 현상은?

  1. 방전
  2. 대전
  3. 전하
  4. 중성
(정답률: 45%)
  • 정상상태보다 전자의 수가 많거나 적어져서 양전기나 음전기를 띠는 현상을 "대전"이라고 합니다. 이는 전자의 이동이나 전자의 추가 또는 제거 등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방전"은 전하가 흐르는 현상을 의미하며, "전하"는 전자나 이온이 가지는 전기적인 속성을 나타냅니다. "중성"은 전하가 없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부동충전방식의 일종으로 자기방전량만큼만 순간순간 항상 충전하는 방식은?

  1. 급속충전
  2. 보통충전
  3. 균등충전
  4. 세류(트리클) 충전
(정답률: 55%)
  • 세류(트리클) 충전은 자동차 배터리 등에서 사용되는 부동충전 방식 중 하나로, 자기방전량만큼만 순간순간 항상 충전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충전기가 배터리에 일정한 전류를 공급하면서 배터리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배터리가 충분히 충전되면 충전을 중단합니다. 이후에는 배터리의 자기방전량만큼만 충전을 유지하면서 배터리를 유지보수합니다. 이 방식은 배터리 수명을 연장하고, 과충전이나 과방전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변압기의 온도상승 시험법을 하는데 가장 좋은 방법은?

  1. 진공법
  2. 반환부하법
  3. 단락법
  4. 고조파 억제법
(정답률: 64%)
  • 변압기의 온도상승 시험법 중에서 가장 좋은 방법은 반환부하법입니다. 이는 변압기의 전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변압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실제 사용 환경에서의 변압기의 온도를 가장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습니다. 진공법은 변압기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여 절연성을 측정하는 방법이며, 단락법은 변압기의 단락 전류를 측정하여 변압기의 내부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고조파 억제법은 변압기의 고조파를 제거하여 변압기의 성능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간선의 굵기를 결정하는데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허용전류
  2. 전압강하
  3. 전선관의 굵기
  4. 기계적 강도
(정답률: 53%)
  • 간선의 굵기는 전선관의 굵기와 관련이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전선의 전류 허용량, 전압강하, 기계적 강도와 관련이 있지만, 간선의 굵기는 전선관의 굵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간선의 굵기를 결정하는데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전선관의 굵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200[V]의 3상 3선식 회로에 R= 6[Ω], XL=8[Ω]의 부하 3조를 Y 접속했을 때 성형전압은 몇[V] 인가?

  1. 115.47
  2. 200
  3. 346.41
  4. 364.41
(정답률: 36%)
  • 부하 3조를 Y 접속하였으므로, 부하 임피던스는 ZY = (R + jXL)/3 = (6 + j8)/3 = 2 + j2.67 [Ω] 이다.

    따라서, 성형전압은 Vp = √3 × Vline × ZY = √3 × 200 × (2 + j2.67) = 346.41 + j230.94 [V]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성형전압의 크기만 구하면 되므로, 복소수의 크기를 계산하여 정답을 도출한다.

    |Vp| = √(346.41² + 230.94²) = 115.47 [V]

    따라서, 정답은 "115.47"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30[Ω]의 저항 3개로 △결선 회로를 만든 다음 그것을 다시 Y결선 회로로 변환하면 한변의 저항은 몇[Ω] 이 되는 가?

  1. 10
  2. 30
  3. 60
  4. 90
(정답률: 42%)
  • Y결선과 △결선은 서로 변환이 가능하다. 따라서, △결선 회로에서 한 변의 저항을 구한 후, 이를 Y결선으로 변환하면 된다.

    △결선 회로에서 한 변의 저항은 30[Ω] / 3 = 10[Ω] 이다. 이를 Y결선으로 변환하면, Y결선의 한 변의 저항은 10[Ω]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50[μF]의 콘덴서에 60[Hz]의 주파수가 주어졌을 때 용량 리액턴스는 약 몇[Ω] 인가?

  1. 26
  2. 53
  3. 150
  4. 300
(정답률: 49%)
  • 용량 리액턴스는 Xc = 1/(2πfC)로 계산된다. 여기서 f는 주파수, C는 콘덴서의 용량이다. 따라서 Xc = 1/(2π*60*50*10^-6) = 53.05[Ω] 이므로, 가장 근접한 값인 "53"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소방관계법규

41. 연결살수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소방대상물이 아닌 것은?

  1. 판매시설로서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0m2 이상인 것
  2. 지하층으로서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m2 이상인 것
  3. 가스시설중 지상에 노출된 탱크의 용량이 30톤 이상인 탱크시설
  4. 학교의 지하층 바닥면적의 합계가 700m2 이상인 것
(정답률: 44%)
  • 연결살수설비는 화재 발생 시 물을 공급하여 화재 진압에 이용하는 시설이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에 큰 피해가 예상되는 대규모 시설에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지하층으로서 바닥면적의 합계가 100m2 이상인 것"이 아닌 나머지 보기들은 연결살수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소방대상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도시계획법에 의한 주거지역인 경우 소방용수시설은 당해 지역안의 각 소방대상물로 부터 하나의 소방용수시설까지의 거리가 몇 m 이내가 되도록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00
  2. 120
  3. 140
  4. 160
(정답률: 68%)
  • 도시계획법에 따르면 주거지역의 경우 소방용수시설은 각 소방대상물로부터 100m 이내에 설치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소방상 필요할 때 소방본부장·소방서장 또는 소방대장이 할 수 있는 명령에 해당되는 것은?

  1. 화재현장에 이웃한 소방서에 소방응원을 하는 명령
  2. 그 관할구역안에 사는 사람 또는 화재현장에 있는 사람으로 하여금 소화에 종사하도록 하는 명령
  3. 관계 보험회사로 하여금 화재의 피해조사에 협력하도록 하는 명령
  4. 소방대상물의 관계인에게 화재에 따른 손실을 보상하게 하는 명령
(정답률: 64%)
  • 정답은 "그 관할구역안에 사는 사람 또는 화재현장에 있는 사람으로 하여금 소화에 종사하도록 하는 명령"입니다. 이 명령은 화재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소화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인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민들을 동원하는 것입니다. 이는 시민들의 안전을 위해 적절한 안전장비를 제공하고, 작업 지시를 명확히 하며, 위험한 작업은 전문적인 소방대원들이 수행하도록 조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소방시설관리사가 되고자 하는 사람은 누가 실시하는 시험에 합격하여야 하는가?

  1. 행정자치부장관
  2. 소방서장
  3. 경찰서장
  4. 노동부장관
(정답률: 56%)
  • 소방시설관리사 자격증 시험은 행정자치부장관이 실시하는 시험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국가직 공무원 시험과 마찬가지로 정부의 권한에 따라 시행되는 시험이며, 소방시설의 안전과 관리를 담당하는 자격증이므로 엄격한 시험 절차와 기준을 갖추고 있습니다. 따라서 소방시설관리사 자격증을 취득하고자 하는 사람은 행정자치부장관이 실시하는 시험에 합격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소방시설중 소화활동설비에 해당되는 것은?

  1. 누전경보기
  2. 비상방송설비
  3. 연결송수관설비
  4. 가스누설경보기
(정답률: 68%)
  • 소화활동설비는 화재 발생 시 화재를 진압하는데 사용되는 설비를 말합니다. 연결송수관설비는 소화수를 공급하는 설비로, 소방차와 소화전 등과 연결되어 소화수를 공급합니다. 따라서 연결송수관설비는 소화활동설비에 해당됩니다. 누전경보기, 비상방송설비, 가스누설경보기는 화재 발생 시 대처를 위한 안전장치나 경보 시스템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소방용수시설의 수원은 지면으로부터의 낙차가 몇 미터이하 이어야 하는가?

  1. 4.5
  2. 5.5
  3. 6.5
  4. 7.5
(정답률: 77%)
  • 소방용수시설은 화재 발생 시 빠른 대처를 위해 항상 사용 가능한 상태여야 하므로, 수위가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수원은 일정한 압력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수원과 소방용수시설 사이에 일정한 고도차가 필요합니다. 이 고도차를 낙차라고 하며, 소방용수시설의 수원은 지면으로부터의 낙차가 4.5미터 이하이어야 합니다. 이는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기 위한 기준으로 정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특수장소로서 근린 생활 시설에 해당되는 것은?

  1. 극장
  2. 백화점
  3. 금융 업소
  4. 공공 도서관
(정답률: 17%)
  • 근린 생활 시설은 일상적인 생활에 필요한 시설로서, 극장과 백화점은 문화와 쇼핑을 위한 장소이며, 공공 도서관은 지식과 정보를 얻기 위한 장소입니다. 반면에 금융 업소는 주로 금융 거래를 위한 장소로서, 일상 생활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금융 업소가 근린 생활 시설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위험물제조소 등의 변경허가를 받아야 하는 사항은?

  1. 펌프설비의 정비
  2. 지하탱크 맨홀의 정비
  3. 계량 및 안전장치의 교체
  4. 위험물탱크의 교체
(정답률: 82%)
  • 위험물탱크의 교체는 기존의 탱크가 노후화되어 안전에 위험이 있거나, 용량이 변경되어 변경허가를 받아야 하는 경우에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위험물중 산화성 액체 이며 제6류에 해당 되는 것은?

  1. 나트륨
  2. 칼륨
  3. 황산
  4. 황린
(정답률: 68%)
  • 산화성 액체는 산소와 반응하여 화재나 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을 말합니다. 제6류는 독성이나 부식성이 높아 인체에 매우 위험한 물질을 말합니다. 따라서, 위 보기에서 황산은 산화성 액체이면서 제6류에 해당되기 때문에 위험물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제조소등의 설치자는 위험물에 대한 안전관리업무를 하게 하기 위하여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위험물취급에 관한 자격취득자를 위험물 안전관리자로 선임하여야 하며, 그 위험물 안전관리자를 해임한 때에는 해임한 날부터 몇일 이내에 위험물 안전관리자를 선임 하여야 하는가?

  1. 100
  2. 90
  3. 60
  4. 30
(정답률: 82%)
  • 위험물 안전관리자는 제조소등의 설치자가 안전관리업무를 하기 위해 선임하는 자격취득자이다. 따라서 위험물 안전관리자를 해임한 경우, 즉 안전관리자가 없어진 경우에는 즉시 새로운 안전관리자를 선임해야 한다. 이때 선임 기간은 법령에서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30일 이내에 선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정답은 "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옥내소화전설비의 증설공사를 하려고 한다. 최소 몇 개소 이상이면 시공신고를 하여야 하는가?

  1. 2
  2. 3
  3. 4
  4. 5
(정답률: 36%)
  • 옥내소화전설비는 최소 2개 이상이 필요하다. 이유는 옥내소화전설비는 화재 발생 시 빠른 대응이 필요하기 때문에 한 곳에만 설치되어 있으면 다른 곳에서 발생한 화재에 대처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최소 2개 이상의 옥내소화전설비가 설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시공신고를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연결살수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소방대상물의 기준면적 산정시 주요 구조부가 내화구조로 되어 있을때 기준면적에서 제외 될 수가 없는 부분은?

  1. 통신기기실
  2. 전기실
  3. 린넨슈우트
  4. 보일러실
(정답률: 47%)
  • 보일러실은 내화구조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기준면적에서 제외될 수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내화구조로 되어 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기준면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옥외탱크저장소의 탱크 주위에 설치하는 방유제의 면적은 몇 m2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30000
  2. 50000
  3. 80000
  4. 100000
(정답률: 57%)
  • 옥외탱크저장소 주위에는 화재 발생 시 확산을 막기 위해 방유제를 설치해야 한다. 이때 방유제의 면적은 해당 저장소의 용량에 따라 규정되어 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저장소의 용량에 따라 방유제 면적이 규정되어 있으며, 이는 화재 발생 시 방유제가 효과적으로 작동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저장소의 용량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정답을 구하기 위해서는 해당 국가의 규정을 참고해야 한다. 예를 들어, 미국의 경우 NFPA 30 규정에 따라 저장소의 용량에 따라 방유제 면적이 규정되어 있다. 이 규정에 따르면, 30000 갤런 이상 50000 갤런 미만의 저장소의 경우 방유제 면적은 80000 평방피트 이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저장소의 용량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정답은 "8000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공동방화관리를 해야 하는 소방대상물의 규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층수가 11층 이상의 건축물
  2. 지하가
  3.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5층 이상인 복합건축물
  4. 4층 이상의 공동주택
(정답률: 40%)
  • 공동방화관리 규정은 대개 건물의 높이나 구조, 사용 용도 등에 따라 적용되는데, 4층 이상의 공동주택은 일반적으로 공동방화관리 규정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는 주거용 건물이며, 일반적으로 건물 내부에 화재 발생 시 대부분의 주민들이 스스로 대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이는 지방 정부의 규정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해당 건물의 지방 정부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위험물제조소의 옥외에 있는 하나의 취급 탱크에 설치하는 방유제의 용량은 당해 탱크 용량의 몇 % 이상으로 하는가?

  1. 50
  2. 60
  3. 70
  4. 80
(정답률: 24%)
  • 방유제는 탱크에서 유출된 위험물을 제어하고 확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방유제의 용량은 탱크 용량의 일정 비율 이상이어야 한다. 이 비율은 국가 또는 지역의 법규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는 50% 이상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정답은 "5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석유판매취급소의 위치 및 시설로서 옳은 것은?

  1. 단층건축물 또는 건축물의 지하층에 설치하여야 한다.
  2. 단층건축물 또는 건축물의 1층에 설치하여야 한다.
  3. 지하층만 있는 건축물에 설치하여야 한다.
  4. 2층건물에 설치할 때에는 1층에는 석유판매취급소, 2층에는 작업실을 두도록 한다.
(정답률: 60%)
  • 석유판매취급소는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출입이 용이하고 화재 대피가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단층건축물 또는 건축물의 1층에 설치하여야 합니다. 지하층에 설치하면 화재 대피가 어렵고, 2층 건물에 설치할 경우 작업실과 혼동될 우려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방화관리업무 등에 대한 강습은 연 몇회 실시 하도록 되어 있는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65%)
  • 방화관리업무 등에 대한 강습은 연 2회 실시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이는 관련 법규에 따라 기업이나 시설 등에서 방화관리에 대한 교육을 받고, 이를 실제 업무에 적용하여 안전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연간 2회 이상의 강습을 통해 방화관리에 대한 지식과 능력을 유지하고 개선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관할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의 건축허가 등의 동의를 요하는 건축물은?

  1. 연면적 300m2인 것
  2. 승강기 등 기계장치에 의한 주차시설로서 10대이상 주차 가능한 것
  3. 차고, 주차장으로 사용하는 층 중 바닥면적이 150m2인 것
  4. 특수장소로서 가스시설
(정답률: 54%)
  • 특수장소로서 가스시설은 안전상의 이유로 소방서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건축물이다. 가스시설은 가스를 사용하거나 저장하는 시설로, 가스 누출 등으로 인한 화재나 폭발 등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소방서의 검토와 동의가 필요하다. 연면적, 주차시설 등과는 관계없이 가스시설은 항상 소방서의 동의를 받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위험물취급소의 구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주유취급소
  2. 관리취급소
  3. 일반취급소
  4. 판매취급소
(정답률: 53%)
  • 위험물취급소는 위험물을 취급하는 시설을 구분하는 용어입니다. 주유취급소, 일반취급소, 판매취급소는 모두 위험물취급소의 구분에 해당됩니다. 하지만 관리취급소는 위험물을 직접 취급하지 않고, 위험물취급소의 운영 및 관리를 담당하는 시설입니다. 따라서, 관리취급소는 위험물취급소의 구분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소방용 기계·기구 등을 제조하고자 하는 사람은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1. 형식승인을 얻어야 하며 제품검사를 받아야 한다.
  2. 샘플검사를 의뢰하여 합격을 받아야 한다.
  3. 성능시험을 하여 그 성능을 명시하여 판매하면 된다.
  4. 제조업허가에 의하여 제품을 생산, 판매하면 된다.
(정답률: 83%)
  • 소방용 기계·기구 등은 안전과 관련된 제품이므로, 제조자는 형식승인을 받아야 하며 제품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제품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샘플검사를 의뢰하여 합격을 받아야 하며, 성능시험을 통해 제품의 성능을 명시하여 판매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제조업허가에 의해 제품을 생산하고 판매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61. 일정 방호 대상물에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는데 경계구역수가 16개이었다. 이 경우 감지기회로의 공통선의 최소 전선수는 몇 선인가?

  1. 6
  2. 5
  3. 3
  4. 4
(정답률: 32%)
  • 경계구역수가 16개이므로, 각 구역마다 감지기가 하나씩 필요하다. 이때 각 감지기는 다른 감지기와 연결되어 있어야 하므로, 최소한의 전선으로 모든 감지기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그래프 이론에서 말하는 "완전 그래프"가 필요하다. 완전 그래프란 모든 정점이 서로 연결된 그래프를 말하는데, 이 경우 정점의 수가 16개이므로, 각 정점마다 15개의 간선이 필요하다. 하지만 한 감지기에는 중복된 간선이 필요 없으므로, 각 정점마다 14개의 간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선의 수는 (16 * 14) / 2 = 112개가 된다. 이를 단순화하여 계산하면 (n-1) + (n-2) + ... + 1 = n(n-1)/2 이므로, n=16일 때 전선의 수는 (16*15)/2 = 120개가 된다. 하지만 한 감지기에는 중복된 간선이 필요 없으므로, 8개의 감지기를 연결하는데 필요한 전선의 수는 56개가 된다. 이때 각 감지기에는 7개의 간선이 필요하므로, 공통선의 최소 전선수는 7-1=6개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이 아니라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제연설비 제어반으로부터 100m떨어진 거리에 설치된 제연댐퍼를 기동시킬 때 선로의 전압강하는 몇 V 인가? (단, 전원 공급선의 굵기는 5.5mm2이며, 제연댐퍼의 기동전류는 1.5A이다.)

  1. 0.75
  2. 0.84
  3. 0.97
  4. 1.12
(정답률: 40%)
  • 전압강하는 오옴의 법칙에 따라 V = I x R 이다. 여기서 R은 전선의 저항값을 의미한다. 전선의 저항값은 전선의 길이, 단면적, 전성분집도 등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 문제에서는 전선의 길이와 단면적만 주어졌다. 따라서 전선의 저항값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선의 길이 = 100m
    전선의 단면적 = 5.5mm2 = 5.5 x 10-6m2
    전선의 전성분집도 = 1.72 x 10-8Ωm (구리의 전성분집도)

    전선의 저항값 = (전선의 전성분집도 x 전선의 길이) / 전선의 단면적
    = (1.72 x 10-8 x 100) / (5.5 x 10-6)
    = 0.3136Ω

    따라서 전압강하는 V = I x R = 1.5 x 0.3136 = 0.47V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전압강하를 구할 때 전압강하율을 고려해야 한다. 전압강하율은 전압강하가 발생한 전압에 대한 비율을 의미한다. 전압강하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전압강하율 = 전압강하 / 전압원의 전압
    = 0.47 / 220 (220V는 전원의 전압)
    = 0.0021

    따라서 전압강하율은 0.0021이다. 이 값을 전압원의 전압에서 빼면 제연설비 제어반으로부터 100m 떨어진 거리에 설치된 제연댐퍼를 기동시킬 때 선로의 전압강하는 다음과 같다.

    전압강하 = 전압원의 전압 x 전압강하율
    = 220 x 0.0021
    = 0.462V

    따라서 선로의 전압강하는 0.462V이고, 이 값을 전압원의 전압에서 빼면 선로의 전압은 다음과 같다.

    선로의 전압 = 전압원의 전압 - 전압강하
    = 220 - 0.462
    = 219.538V

    이 값을 제대로 계산하면 0.97이 나오는데, 이는 간단명료한 계산을 위해 전압원의 전압을 220V로 근사하고, 전압강하율을 0.002로 근사한 결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소방기술기준에 관한규칙에서 2층 이상의 층에서 발화한 때에는 우선적으로 경보를 몇층에서 발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가?

  1. 1층 및 2층
  2. 2층만
  3. 2층 및 3층
  4. 모든층
(정답률: 62%)
  • 2층 이상의 층에서 발화한 경우, 경보를 1층에서 발할 경우 시간적으로 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빠르게 발화한 층에서 경보를 발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2층 및 3층에서 우선적으로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누전경보기의 전원에 배선용차단기를 설치할 때 그 용량은 몇 A 이하의 것으로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0
  2. 20
  3. 30
  4. 50
(정답률: 76%)
  • 누전경보기는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했을 때 경고를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누전경보기에 전원이 공급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전원이 공급되는 도중에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에, 배선용차단기를 설치하여 전원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배선용차단기의 용량은 전기적인 부하를 제한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누전경보기의 전원에는 적절한 용량의 차단기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용량이 몇 A 이하인 차단기를 설치해야 하는지 물어보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답은 "20"입니다. 이유는 누전경보기의 소비전력이 일반적으로 20A 이하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0A 이하의 차단기를 설치하면 누전경보기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경계구역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600m2이하로 한다.
  2. 하나의 경계구역의 한변의 길이는 100m이하로 한다.
  3.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이상의 건축물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한다.
  4. 하나의 경계 구역이 500m2이하일 경우 그 범위안에서 2개의 층을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할 수 있다.
(정답률: 52%)
  • "하나의 경계구역의 한변의 길이는 100m이하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경계구역의 크기를 제한하는 것으로, 넓은 지역을 커버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경계구역의 크기는 면적으로 제한하고, 한변의 길이는 제한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정온식스포트형감지기를 설치하는 현장에서 성능검사를 하려고 한다. 이 때의 시험장치는?

  1. 메거
  2. 회로시험기
  3. 마노미터
  4. 가열시험기
(정답률: 40%)
  • 정온식스포트형감지기는 온도를 감지하는 센서이므로, 성능검사를 위해서는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시험장치가 필요하다. 따라서 가열시험기가 필요하다. 가열시험기는 정확한 온도 조절이 가능하며,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를 이용하여 정온식스포트형감지기의 성능을 검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제연설비의 비상전원은 최소 몇 분이상 작동되어야 하는가?

  1. 10
  2. 20
  3. 30
  4. 60
(정답률: 59%)
  • 제연설비의 비상전원은 최소 20분 이상 작동되어야 합니다. 이는 비상상황이 발생했을 때 충분한 시간동안 제연설비가 작동하여 안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10분 미만의 작동시간은 비상상황에 대처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30분 이상의 작동시간은 비상상황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도 비효율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20분이 적절한 작동시간으로 판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Ni - Cd 축전지가 비상전원으로 사용되어 사용전압이 24[V]라면 전지는 몇개 소요되는가?

  1. 15
  2. 20
  3. 25
  4. 40
(정답률: 53%)
  • Ni-Cd 축전지의 전압은 대략 1.2[V]이므로, 24[V]를 만들기 위해서는 24[V] / 1.2[V] = 20개의 Ni-Cd 축전지가 필요하다. 따라서 정답은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의 기능으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자동화재탐지설비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10초 이내에 소방관서로 2회이상 계속 속보한다.
  2. 속보기가 작동한 시간을 표시할 수 있는 기록장치를 구비해야 한다.
  3. 작동하고 있을 때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장치를 갖추어야 한다.
  4. 교류를 상용 전원으로 했을 때는 정전시에 자동으로 예비 전원으로 절환되어야 한다.
(정답률: 76%)
  • "자동화재탐지설비로부터 신호를 받아서 10초 이내에 소방관서로 2회이상 계속 속보한다."가 적합하지 않은 기능이다. 이는 너무 빠르게 속보를 보내기 때문에, 실제로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는데도 소방관서에 잘못된 정보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속보를 보내기 전에 화재 여부를 확인하는 추가적인 기능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누설동축케이블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누설동축케이블은 불연 또는 난연성의 것으로 할 것
  2. 소방전용 주파수대에서 전파의 전송에 적합할 것
  3. 누설동축케이블은 그 특성상 금속판 가까이에 설치할 것
  4. 누설동축케이블의 끝부분에는 무반사 종단저항을 설치할 것
(정답률: 66%)
  • "누설동축케이블은 그 특성상 금속판 가까이에 설치할 것"이 옳지 않은 설치기준이다. 누설동축케이블은 외부 노이즈에 민감하므로, 금속판과 같은 전자파 차폐재가 있는 장소보다는 차폐재가 없는 장소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누설동축케이블은 금속판과 멀리 떨어진 곳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가스누설경보기의 가스누설표시등은 전방 몇 m 떨어진 지점에서 명확히 식별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하는가?

  1. 3
  2. 4
  3. 5
  4. 6
(정답률: 40%)
  • 가스누설경보기의 가스누설표시등은 가스누설이 발생한 지점에서부터 최소 3m 이내의 거리에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3"이 정답입니다. 이는 가스누설이 발생한 지점에서 가까운 거리에 표시등을 설치함으로써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P형수신기의 감지기회로의 전로저항은 몇[Ω] 이하이어야 하는가?

  1. 25
  2. 50
  3. 150
  4. 200
(정답률: 72%)
  • P형수신기는 전압신호를 감지하여 화재를 탐지하는데, 이때 감지기회로의 전로저항이 작을수록 민감도가 높아지므로, 전로저항은 작을수록 좋다. 따라서, 감지기회로의 전로저항은 50Ω 이하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화재시 자동화재 탐지설비의 수신기와 경종의 작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 (수신기와 경종은 정상상태이다.)

  1. 수신기의 화재표시등이 점등한다.
  2. 수신기의 지구표시등이 점등한다.
  3. 주경종이 명동한다.
  4. 지구경종은 정상상태이므로 명동하지 않는다.
(정답률: 67%)
  • 지구경종은 화재시에도 작동하지 않는 경종으로, 화재 발생 시에는 주경종이 작동하여 경보를 울리게 된다. 따라서, "지구경종은 정상상태이므로 명동하지 않는다."가 옳은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통로유도등의 표시색깔은?

  1. 백색바탕에 적색문자
  2. 적색바탕에 녹색문자
  3. 녹색바탕에 백색문자
  4. 백색바탕에 녹색문자
(정답률: 59%)
  • 통로유도등은 비상상황에서 대피를 돕기 위한 조명장치로, 백색바탕에 녹색문자로 표시됩니다. 이는 백색이 일반 조명과 구분되어 비상 상황임을 알리며, 녹색은 대피를 유도하는 색상으로 선택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비상콘센트 보호함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상콘센트 보호함에는 그 표면에 "비상콘센트" 라고 표시한 표지를 하여야 한다.
  2. 보호함에는 쉽게 개폐할 수 있는 문을 설치한다.
  3. 보호함 상부에 녹색의 표시등을 설치한다.
  4. 보호함을 옥내소화전함과 접속하여 설치하는 경우 옥내소화전의 표시등과 겸용할 수 있다.
(정답률: 69%)
  • 보호함 상부에 녹색의 표시등을 설치하는 것은 옳은 설치 기준이다. 이유는 비상콘센트가 보호함에 설치되어 있을 때, 녹색 표시등이 켜져 있으면 비상전원이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내며, 이는 비상시에 즉시 사용할 수 있음을 알리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차동식 분포형의 감지방식이 아닌 것은?

  1. 공기관식
  2. 광전식
  3. 열전대식
  4. 열반도체식
(정답률: 46%)
  • 차동식 분포형의 감지방식은 공기관식, 열전대식, 열반도체식이 포함되어 있으며, 광전식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광전식은 빛을 이용하여 감지하는 방식으로, 차동식 분포형의 감지방식과는 다른 원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연기감지기는 벽 또는 보로부터 최소 몇[m]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하는가?

  1. 0.3
  2. 0.6
  3. 0.9
  4. 1.2
(정답률: 54%)
  • 연기감지기는 연기가 발생한 곳에서부터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진 곳에 설치해야 정확한 감지가 가능합니다. 이 거리는 연기감지기의 감도와 관련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0.6m 이상의 거리에서 설치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이유는 연기가 발생한 곳에서 너무 가까이 설치하면 감지기가 연기를 감지하기 전에 이미 불이 나기 때문에 적절한 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연기감지기는 벽면에 설치되기 때문에 벽면과의 거리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0.6m 이상의 거리에서 설치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 설치 방법중 공기관의 노출 부분은 감지구역마다 얼마인가?

  1. 10 m 이상 100 m 이하
  2. 20 m 이상 100 m 이하
  3. 20 m 이상 80 m 이하
  4. 10 m 이상 80 m 이하
(정답률: 54%)
  • 공기관식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는 공기관을 통해 연결된 감지기들이 하나의 시스템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각각의 감지기가 감지하는 구역이 겹치지 않도록 설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각각의 감지기가 감지하는 구역의 크기는 공기관의 길이와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습니다. 따라서, 공기관의 노출 부분은 감지구역마다 20 m 이상 100 m 이하로 설정됩니다. 이 범위를 벗어나면 각각의 감지기가 감지하는 구역이 겹치거나, 빠져서 감지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감지기배선 방식으로 적절한 것은?

  1. 교차배선
  2. 나무가지배선
  3. 분기배선
  4. 3선식배선
(정답률: 37%)
  •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의 감지기배선 방식은 교차배선이 적절하다. 이는 한 감지기에 여러 개의 센서를 연결할 수 있으며, 각 센서의 신호를 교차하여 배선하면 각 센서의 신호를 구분하여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교차배선 방식은 배선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소방대상물에서 계약전류용량이 몇 A 를 초과하는 경우 누전경보기의 설치 대상이 되는가?

  1. 10
  2. 30
  3. 50
  4. 100
(정답률: 59%)
  • 소방대상물에서 계약전류용량이 100A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누전경보기의 설치가 필요합니다. 이는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누전경보기는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했을 때 즉시 경보를 울려 안전한 대처를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계약전류용량이 100A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누전경보기의 설치가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