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4-09-05)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
(2004-09-0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소방원론

1. 콘크리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콘크리트와 강재의 열팽창률은 거의 같다.
  2. 콘크리트의 열전도율은 목재보다 적다.
  3. 콘크리트는 장시간 화재에 노출되면 강도는 저하한다.
  4. 콘크리트는 인장력에 대하여 아주 약하다.
(정답률: 42%)
  • "콘크리트의 열전도율은 목재보다 적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이유는 콘크리트는 주로 시멘트, 모래, 그리고 굵은 새우껍질 등의 물질로 이루어져 있어 열전도율이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콘크리트는 목재보다 더 좋은 열 절연재 역할을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연소시 전형적인 분해연소의 특성을 보여주는 것은?

  1. 목재
  2. 나프탈렌
  3. 휘발유
  4. 흑연
(정답률: 73%)
  • 목재는 유기물이며, 연소시 산소와 반응하여 분해되는 분해연소 반응을 보여줍니다. 이 과정에서 열과 가스가 발생하며, 이는 전형적인 분해연소의 특성입니다. 나프탈렌, 휘발유, 흑연은 모두 유기화합물이지만, 연소시 보다 다양한 반응을 보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초기화재의 소화용으로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스프링클러설비
  2. 소화기
  3. 옥내소화전설비
  4. 연결송수관설비
(정답률: 94%)
  • 연결송수관설비는 초기화재의 직접적인 소화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주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설비로, 소방차와 소방용수탱크 등과 연결되어 화재 현장으로 물을 공급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초기화재의 직접적인 소화에 사용되지 않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가연성 증기를 발생하는 액체 또는 고체와 공기의 계에 있어서 기체상 부분에 다른 불꽃이 닿았을 때 연소가 일어나는데 필요한 액체 또는 고체의 최저온도가 존재한다. 이 온도를 어떤 점이라 하는가?

  1. 발화점(ignition point)
  2. 인화점(flash point)
  3. 연소점(fire point)
  4. 산화점(oxidation point)
(정답률: 70%)
  • 인화점은 가연성 증기를 발생하는 액체 또는 고체와 공기의 계에 있어서 기체상 부분에 다른 불꽃이 닿았을 때 연소가 일어나는데 필요한 액체 또는 고체의 최저온도를 말한다. 따라서, 인화점은 연소가 일어나기 위한 최소한의 온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다른 보기들은 인화점과는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정답은 "인화점(flash poin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중질유의 석유탱크에서 장시간 조용히 연소하다 탱크내의 잔존기름이 갑자기 분출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프로스오버(Froth over)
  2. 슬롭오버(Slop over)
  3. 플래시오버(Flash over)
  4. 보일오버(Boil over)
(정답률: 68%)
  • 중질유의 석유탱크에서 장시간 조용히 연소하다 보면, 탱크내의 잔존기름이 가열되어 수증기를 발생시키고, 이 수증기가 탱크내의 기름과 섞여 거품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거품이 계속해서 증가하다 보면, 거품이 탱크의 가장자리를 넘어가게 되고, 이때 거품이 갑자기 붕괴되면서 거품 내부의 기름이 분출되는 현상을 보일오버(Boil over)라고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건축물의 주요구조부에 해당하는 것은?

  1. 작은 보
  2. 옥외계단
  3. 지붕틀
  4. 최하층 바닥
(정답률: 77%)
  • 주요구조부는 건축물의 안정성과 구조적인 안전을 유지하는 부분으로, 건축물의 중요한 부분이다. 이 중에서도 지붕틀은 건축물의 지붕을 지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지붕틀은 지붕을 구성하는 나무나 철재 등의 구조물로, 지붕의 형태와 안정성을 결정한다. 따라서 지붕틀은 건축물의 안정성과 구조적인 안전을 유지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원소 중에서 난연 성능이 없는 것은?

  1. 인(P)
  2. 안티몬(Sb)
  3. 아연(Zn)
  4. 비소(As)
(정답률: 43%)
  • 아연은 난연성이 없는 금속으로, 다른 원소들과 달리 불에 노출되면 연소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난연성이 없는 원소는 아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불티가 바람에 날리거나 또는 화재 현장에서 상승하는 열기류 중심에 휩쓸려 원거리 가연물에 착화하는 현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비화
  2. 전도
  3. 대류
  4. 복사
(정답률: 66%)
  • 비화는 불티나 열기류가 바람에 날리거나 상승하여 원거리 가연물에 착화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전도, 대류, 복사와는 다른 현상으로, 불이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불티나 열기류가 원거리 가연물에 닿아 착화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은 LNG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1. 투명하면서 무색의 기체로 누설시 쉽게 인지하기 위하여 부취제를 첨가한다.
  2. 증기비중이 낮기 때문에 누설시 창문틈 등을 통하여 밖으로 배출된다.
  3.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기체 탄화수소이다.
  4. 프로판과 부탄이 주성분이다.
(정답률: 60%)
  • "프로판과 부탄이 주성분이다."가 잘못된 것이다. LNG은 액화천연가스(Liquefied Natural Gas)의 약자로, 메탄이 주성분이다. 프로판과 부탄은 LPG(Liquefied Petroleum Gas)의 주성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위험물 중에서 물을 사용하여 소화하면 더 보 두께 5cm 이상의 콘크리트로 덮은 것 위험해지는 것은?

  1. 피크린산
  2. 질산암모늄
  3. 알루미늄분
  4. 질화면
(정답률: 45%)
  • 알루미늄분은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화학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물을 사용하여 소화하면 더 위험해집니다. 이러한 반응은 산화반응으로,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방출하고 열을 발생시키며, 이는 불을 일으키거나 폭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알루미늄분은 물을 사용하여 소화하는 것이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프로판가스는 소방안전관리상 위험하다. 그 이유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프로판가스는 상온에서 기체상태로 존재하며 폭발범위가 수소보다 넓다.
  2. 프로판가스는 연소하한계 값이 높아 화재위험성이 낮다.
  3. 프로판가스의 비중은 공기보다 무거워 바닥에 가라 앉는다.
  4. 프로판가스는 도시가스보다 비중이 가볍다.
(정답률: 46%)
  • 프로판가스의 비중이 공기보다 무거워 바닥에 가라 앉는다는 것은, 만약 프로판가스가 누출되어 공기 중에 떠다니게 된다면, 바닥에 가까운 곳에서 농축되어 폭발 위험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프로판가스를 다룰 때에는 특히 환기를 철저히 하고, 누출된 가스가 바닥에 가라앉아 농축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내화구조에 해당되는 것은?

  1. 철망 모르타르 바르기로 그 두께가 2cm인 것
  2. 시멘트 모르타르 위에 타일을 붙여 그 두께가 2.5cm인 것
  3. 철골에 두께 5cm의 콘크리트를 덮은 것
  4. 무근 콘크리트조로서 그 두께가 5cm인 것
(정답률: 63%)
  • 내화구조는 불이나 열에 강한 구조물을 말하는데, 이 중에서도 철골에 두께 5cm의 콘크리트를 덮은 것은 내화구조에 해당된다. 이유는 콘크리트는 불에 강하고 내화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철골과 함께 사용하여 내화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건축물에 있어서 화재시 연소의 확대를 방지하기 위하여 방화구획을 설정하고 있다. 이때 방화 구획의 구획기준이 아닌 것은?

  1. 피난구획
  2. 수평구획
  3. 수직구획
  4. 용도구획
(정답률: 55%)
  • 방화구획은 화재 발생 시 연소의 확대를 방지하기 위해 건물을 구획으로 나누어 불꽃, 연기, 열 등이 다른 구획으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때 방화구획의 구획기준으로 설정되지 않은 것은 "피난구획"입니다. 피난구획은 화재 발생 시 건물 내부에서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는 통로나 구역을 말합니다. 따라서 방화구획과는 목적과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방화구획의 구획기준으로 설정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지하 주차장에 사용할 수 있는 법정 분말 소화약제는?

  1. 인산염계
  2. 탄화수소나트륨계
  3. 탄화수소칼륨계
  4. 탄화수소칼륨과 요소계
(정답률: 57%)
  • 지하 주차장은 화재 발생 시 화재 진압이 어렵기 때문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소화약제가 필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인산염계는 물에 녹아들어 빠르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고, 화재 후 재발 방지에도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지하 주차장에서는 인산염계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분말소화약제 중 A, B, C급의 어떤 화재에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1. 제3종 분말소화약제
  2. 제1종 분말소화약제
  3. 제2종 분말소화약제
  4. 제4종 분말소화약제
(정답률: 84%)
  • 제3종 분말소화약제는 ABCD급 화재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다목적 소화제이기 때문에 어떤 화재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에 반해, 제1종 분말소화약제는 A, B, C급 화재에 사용할 수 있지만 D급 화재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2종 분말소화약제는 B, C급 화재에 사용할 수 있지만 A, D급 화재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제4종 분말소화약제는 D급 화재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건물의 굴뚝효과(stack effect)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평상시 건물내의 기류분포를 지배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화재시 연기의 이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2. 실내 온도가 실외 온도보다 높은 경우, 저층부에서는 외부에서 실내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이 생긴다.
  3. 고층건물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고 주로 저층 건물에서 나타나는 효과이다.
  4. 온도에 따른 공기의 밀도차 때문에 발생되는 공기의 흐름 현상이다.
(정답률: 80%)
  • "고층건물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고 주로 저층 건물에서 나타나는 효과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실제로 고층건물에서도 굴뚝효과는 발생하며, 건물의 높이와 형태, 실내외 온도차 등에 따라 영향력이 달라질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화재시 연기가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가장 나쁜 것은?

  1. 연기 중의 부유물질
  2. 일산화탄소의 증가와 산소의 감소
  3. 연기 중의 고정탄소의 양
  4. 연기 속에 포함된 수분의 양
(정답률: 85%)
  • 일산화탄소는 인체에 치명적인 가스 중 하나이며, 연기 속에서 증가하면 호흡기계에 침투하여 산소 공급을 방해하고 중독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산화탄소의 증가와 함께 산소의 감소는 화재시 연기가 인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가장 나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가스화재 진압시 최우선적으로 취해야 하는 조치는?

  1. 가스 누출원을 차단한다.
  2. 누출된 가스를 안전하게 확산시킨다.
  3. 용기, 탱크 등을 식힌다.
  4. 경계구역을 설정한다.
(정답률: 82%)
  • 가스화재의 원인은 대부분 가스 누출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가스 누출원을 차단하는 것이 최우선적인 조치이다. 가스 누출을 막으면 불이 번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화재 진압에도 효과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발열량은 고발열량과 저발열량으로 나눈다.
  2. 발열량이란 단위량의 연료가 25℃, 1atm하에서 완전연소될 때 발생하는 열량을 말한다.
  3.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발열량은 저발열량이다.
  4. 저발열량은 연소시 생성된 수증기의 증발잠열을 제외한 값이다.
(정답률: 41%)
  • 잘못된 설명은 없다. 발열량은 고발열량과 저발열량으로 나누어지며, 단위량의 연료가 25℃, 1atm하에서 완전연소될 때 발생하는 열량을 말한다. 하지만 실질적으로 사용되는 발열량은 저발열량이며, 이는 연소시 생성된 수증기의 증발잠열을 제외한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특수가연물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면화류
  2. 사류
  3. 볏짚류
  4. 메틸알코올
(정답률: 70%)
  • 특수가연물은 물에 녹지 않고 가연성이 높은 물질을 말합니다. 면화류, 사류, 볏짚류는 모두 특수가연물에 해당됩니다. 하지만 메틸알코올은 물에 녹기 때문에 특수가연물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소방전기회로

21. 불대수의 정리가 틀린 것은?

  1. X+1=1
  2. X+XY=X
  3. X+Y=XY
(정답률: 48%)
  • 정답은 "X+1=1"이다. 이는 모든 X에 대해 참이 아니기 때문이다.

    "X+Y=XY"는 불대수의 곱셈 법칙을 이용하여 유도할 수 있다.

    X+Y=XY

    X(1+Y)=XY

    X=XY/(1+Y)

    1+Y는 0이 아니므로 X=XY/(1+Y)는 항상 참이다. 따라서 "X+Y=XY"는 올바른 불대수의 정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계전기 접점의 불꽃을 소거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는?

  1. 바리스터
  2. 더미스터
  3. 바랙터 다이오드
  4. 터널 다이오드
(정답률: 69%)
  • 바리스터는 전압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면 내부 저항이 급격히 감소하여 전류를 제한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계전기 접점에서 발생하는 불꽃을 소거하는 데에 적합한 반도체 소자입니다. 따라서 바리스터가 정답입니다. 더미스터, 바랙터 다이오드, 터널 다이오드는 계전기 접점의 불꽃을 소거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은 소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림과 같은 회로의 명칭은?

  1. 정지우선 자기유지회로
  2. 한시접점회로
  3. 인터록회로
  4. 플립플롭회로
(정답률: 64%)
  • 이 회로는 인터록회로라고 불립니다. 이는 두 개 이상의 회로가 서로 상호작용하여 동작하는 회로를 의미합니다. 이 회로에서는 스위치를 누르면 LED가 켜지고, 스위치를 떼면 LED가 꺼지는 동작을 반복합니다. 이러한 동작은 스위치와 LED가 서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합니다. 따라서 이 회로는 인터록회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전압 200V, 주파수 60Hz, 4극 10HP인 3상 유도전동기의 동기속도는 몇 rpm인가? (단, 이때 전동기의 역률은 0.85라고 한다.)

  1. 1200
  2. 1800
  3. 2400
  4. 3600
(정답률: 39%)
  • 3상 유도전동기의 동기속도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동기속도 = (120 x 전원주파수) / 극수

    여기서 전원주파수는 60Hz이고, 극수는 4이다. 따라서,

    동기속도 = (120 x 60) / 4 = 1800 rpm

    역률은 전력인자로, 전력인자가 1에 가까울수록 전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 문제에서는 역률이 0.85로 주어졌으므로, 전기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일부는 열로 소멸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동기속도를 구하는 것이므로, 역률과는 무관하다. 따라서 정답은 "180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내부저항이 무한대인 전압계로 그림 A-B간의 전압을 측정하면 몇 V가 되는가?

  1. 0
  2. 1.5
  3. 2
  4. 3
(정답률: 65%)
  • 내부저항이 무한대인 전압계는 외부회로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A-B간의 전압은 3V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0.5H인 코일의 리액턴스가 753.6Ω일 때 주파수는 몇 Hz인가?

  1. 60
  2. 120
  3. 240
  4. 360
(정답률: 47%)
  • 리액턴스 X_L = 2πfL 이므로, f = X_L / (2πL) 이다. 여기서 L은 코일의 인덕턴스를 나타낸다.

    주어진 문제에서 리액턴스 X_L = 753.6Ω, L = 0.5H 이므로, f = 753.6 / (2π × 0.5) ≈ 240 Hz 이다.

    따라서 정답은 "24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자체인덕턴스가 각각 250mH, 360mH인 두코일이 있다. 두 코일 사이의 상호인덕턴스가 210mH라면 결합계수는 얼마인가?

  1. 0.3
  2. 0.5
  3. 0.7
  4. 0.8
(정답률: 46%)
  • 결합계수는 상호인덕턴스를 자체인덕턴스의 제곱근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결합계수 = 상호인덕턴스 / (자체인덕턴스1 * 자체인덕턴스2)의 제곱근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결합계수 = 210mH / ((250mH * 360mH)의 제곱근) = 0.7

    따라서, 정답은 "0.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100kVA 변압기 2대로 공급할 수 있는 3상전력은 최대 몇 kVA인가?

  1. 150
  2. 173
  3. 200
  4. 300
(정답률: 75%)
  • 100kVA 변압기 2대를 사용하면 최대 200kVA의 3상전력을 공급할 수 있습니다. 이는 두 변압기의 용량을 합한 값입니다. 따라서, "200"이 정답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3상전력은 각 상의 전력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두 변압기의 용량을 합한 값이 아닌, 더 작은 값이 최대 전력이 됩니다. 이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100kVA 변압기 1대로 공급 가능한 최대 3상전력은 100kVA입니다.
    - 100kVA 변압기 2대로 공급 가능한 최대 3상전력은 두 변압기의 용량 중 작은 값인 100kVA입니다.
    - 따라서, 100kVA 변압기 2대로 공급할 수 있는 최대 3상전력은 100kVA입니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에 "100"이 없으므로, 더 큰 값 중에서 선택해야 합니다. 이때, 173kVA는 두 변압기의 용량을 합한 값인 200kVA보다 작지만, 100kVA 변압기 2대로 공급 가능한 최대 3상전력인 100kVA보다 큰 값입니다. 따라서, "173"이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단면적이 5cm2인 도체가 있다. 이 단면을 3초 동안 30C의 전하가 이동하면 전류는 몇 A인가?

  1. 2
  2. 10
  3. 20
  4. 90
(정답률: 69%)
  • 전하량 Q = I x t (전류 I와 시간 t의 곱)이다. 여기서 Q는 전하량, I는 전류, t는 시간을 나타낸다. 전하량 Q는 전하의 양을 나타내며, 단위는 쿨롱(C)이다.

    전하량 Q = (전류 I) x (시간 t) = 30C
    단면적 A = 5cm^2

    전류 I = Q / t = 30C / 3s = 10A

    따라서 정답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자동제어 분류에서 제어량에 의한 분류가 아닌 것은?

  1. 프로세스제어
  2. 자동조정
  3. 서보기구
  4. 정치제어
(정답률: 40%)
  • 정치제어는 제어량에 의한 분류가 아니라 인간의 의사에 따라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동제어 분류에서 제외된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제어량에 따라 분류되는 것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목표값이 미리 정해진 시간적 변화를 하는 경우 제어량을 그것에 추종시키기 위한 제어는?

  1. 추종제어
  2. 정치제어
  3. 비율제어
  4. 프로그래밍제어
(정답률: 23%)
  • 목표값이 미리 정해진 시간적 변화를 하는 경우, 제어량을 그것에 추종시키기 위한 제어는 "추종제어"이다. 이는 목표값과 현재 상태를 비교하여 오차를 계산하고, 이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제어량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정치제어"는 정치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어, "비율제어"는 제어량과 오차의 비율에 따라 제어량을 조절하는 방식이며, "프로그래밍제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따라서, 목표값이 미리 정해진 시간적 변화를 하는 경우에는 "추종제어"가 적합하며, "프로그래밍제어"는 이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소비전력이 가장 큰 것은?

  1. 100V의 전압에 8A의 전류가 흐를 때
  2. 110V의 전압에 10A의 전류가 흐를 때
  3. 220V의 전압에 3A의 전류가 흐를 때
  4. 380V의 전압에 2A의 전류가 흐를 때
(정답률: 64%)
  • 소비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전압이 가장 높은 110V이고 전류가 가장 높은 10A일 때 소비전력이 가장 큽니다. 110V x 10A = 1100W 이므로, "110V의 전압에 10A의 전류가 흐를 때"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조절부와 조작부로 이루어진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제어요소
  2. 제어대상
  3. 피드백요소
  4. 기준입력요소
(정답률: 67%)
  • 조절부와 조작부는 제어요소라고 부릅니다. 이는 시스템이나 기계를 제어하기 위해 조절하거나 조작하는 요소들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제어요소는 제어대상을 조작하고, 피드백요소를 통해 기준입력요소와 비교하여 제어를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전기계기에서 측정하려는 전기적인 양에 비례하는 구동토크를 일으키는 장치로서 가동 부분을 동작시키는 장치는?

  1. 구동장치
  2. 제어장치
  3. 제동장치
  4. 반발장치
(정답률: 72%)
  • 구동장치는 전기적인 양에 비례하여 가동 부분을 동작시키는 장치입니다. 따라서 전기계기에서 측정하려는 전기적인 양에 따라 구동토크를 일으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측정값을 얻을 수 있습니다. 제어장치는 구동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제동장치는 구동장치의 동작을 멈추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발장치는 구동장치의 동작 방향을 반대로 바꾸는 역할을 하지만, 전기계기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구동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선간전압이 220V인 3상 전원에 임피던스가 Z=8+j6[Ω]인 3상 Y부하를 연결할 경우 상전류는 몇 A인가?

  1. 5
  2. 12.7
  3. 18.4
  4. 22
(정답률: 54%)
  • 선간전압이 220V인 3상 전원에 임피던스가 Z=8+j6[Ω]인 3상 Y부하를 연결할 경우, 부하전압은 선간전압과 같은 220V이다. 이때, 부하전압과 부하임피던스를 이용하여 상전류를 구할 수 있다.

    부하전압 = 선간전압 = 220V

    부하전압 = √3 × 상전류 × 부하임피던스의 복소수(conjugate)

    따라서, 상전류 = 부하전압 ÷ (√3 × 부하임피던스의 복소수(conjugate)) = 220 ÷ (√3 × (8-j6)) = 12.7A

    따라서, 정답은 "12.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개루프 시스템의 주된 장점이 아닌 것은?

  1. 원하는 출력을 얻기 위해서 보정을 해 줄 필요가 없다.
  2. 시스템을 구성하기가 쉽다.
  3. 시스템의 구성단가가 낮다.
  4. 보수 및 유지관리가 간단하다.
(정답률: 56%)
  • 개루프 시스템은 입력과 출력의 관계가 선형적이기 때문에, 입력값에 대한 출력값이 항상 일정하게 나온다. 따라서 보정이 필요하지 않다는 것이 주된 장점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각종 소방설비의 표시등에 많이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L.E.D]에 대한 설명이다. 잘못된 것은 어느 것인가?

  1. 전구에 비해 수명이 길고 진동에 강하다.
  2. PN 접합에 순방향 전류를 흘림으로써 발광시킨다.
  3. 표시등 중에서 응답속도가 가장 느리다.
  4. 발광다이오드의 재료로 GaAs, GaP 등이 사용된다.
(정답률: 75%)
  • "표시등 중에서 응답속도가 가장 느리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실제로 발광다이오드는 응답속도가 매우 빠르며, 전구나 형광등보다 훨씬 빠르게 켜지고 꺼진다. 이는 발광다이오드가 빠른 반응속도를 가지는 반도체 소자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이상적인 연산증폭기(OP-Amp)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고입력 임피던스
  2. 넓은 주파수 특성
  3. 저출력 임피던스
  4. 낮은 개루프 이득
(정답률: 58%)
  •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특징은 고입력 임피던스, 넓은 주파수 특성, 저출력 임피던스이다. 낮은 개루프 이득은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특징이 아니며, 이는 입력 신호와 출력 신호의 차이를 증폭시키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이 값이 낮을수록 증폭기의 성능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30F의 콘덴서 3개를 직렬로 연결하면 합성 정전 용량은 몇 F인가?

  1. 10
  2. 30
  3. 60
  4. 90
(정답률: 45%)
  • 콘덴서를 직렬로 연결하면 용량이 합산되므로, 30F 콘덴서 3개를 직렬로 연결하면 30F + 30F + 30F = 90F의 용량이 나옵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90"이지만, 질문에서 요구하는 것은 합성 정전 용량이므로, 답은 90F가 아닌 10F가 됩니다. 이는 직렬 연결된 콘덴서의 용량을 구할 때, 역수의 합을 구하고 다시 역수로 변환하여 구하는 공식을 사용하면 됩니다. 30F 콘덴서 3개를 직렬로 연결할 경우, 각 콘덴서의 역수를 합산하면 1/30 + 1/30 + 1/30 = 1/10이 되고, 이를 다시 역수로 변환하면 10F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기전력이 각각 E1 및 E2인 전지를 그림과 같이 접속했을 때 A, B간의 전류가 0이 되기 위한 조건은?

  1. R1E1=E2E2
  2. R1E2=R2E1
  3. R1E2=R1E2
  4. R1E2=R2
(정답률: 46%)
  • A와 B 사이의 전류가 0이 되기 위해서는 A와 B 사이의 전위차가 0이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E1과 E2의 전위차가 R1과 R2를 통해 상쇄되어야 합니다. 이때, R1과 R2의 비율은 E1과 E2의 비율과 같아야 합니다. 따라서, R1E2=R2E1이 성립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소방관계법규

41. 화재예방, 소방활동, 소방훈련을 위하여 사용되는 소방신호의 종류와 방법은 무엇으로 정하는가?

  1. 지방자치령
  2. 대통령령
  3. 행정안전부령
  4. 치안본부령
(정답률: 57%)
  • 소방신호의 종류와 방법은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해진다. 이는 소방활동과 관련된 법규를 제정하고 관리하는 행정기관인 행정안전부에서 소방신호에 대한 규정을 담당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방신호에 대한 종류와 방법은 행정안전부령에 따라 결정되며, 이를 준수하여 소방활동을 수행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화재경계지구의 지정대상지역이 아닌 것은?

  1. 공장이 밀집한 지역
  2. 고층건물이 많은 지역
  3. 위험물의 저장 및 처리시설이 밀집한 지역
  4. 소방시설 또는 소방출동로가 없는 지역
(정답률: 60%)
  • 고층건물이 많은 지역은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 피해가 크기 때문에 화재경계지구의 지정대상지역으로 지정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화재예방이나 소화 활동을 위하여 명령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닌 것은 어느 것인가?

  1. 불장난, 흡연의 금지 또는 제한
  2. 화기가 있을 우려가 있는 재의 처리
  3. 방치되어 있는 위험물의 이동
  4. 연소의 우려가 있는 소유자 불명의 물질에 대한 폐기
(정답률: 46%)
  • 연소의 우려가 있는 소유자 불명의 물질에 대한 폐기는 소방서의 역할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는 환경부나 관련 기관이 담당하는 분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화재의 현장에 소방활동구역을 설정하여 그 구역의 출입을 제한시킬 수 있는 사람은?

  1. 소방안전관리자
  2. 소방대상물의 관계인
  3. 구역내에 있는 소방대상물의 근무자
  4. 소방대장
(정답률: 70%)
  • 소방활동구역은 화재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활동하는 구역으로, 안전을 위해 출입이 제한되어야 합니다. 이를 관리하는 사람은 소방대장입니다. 소방안전관리자는 소방안전에 대한 총괄적인 책임을 지고 있으며, 소방대상물의 관계인과 구역내에 있는 소방대상물의 근무자는 해당 건물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들이므로, 소방활동구역의 출입을 제한하는 권한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소방신호의 종류 중에서 타종신호방법이 난타인 신호는?

  1. 경계신호
  2. 발화신호
  3. 해제신호
  4. 훈련신호
(정답률: 56%)
  • 난타는 소방대원이 손에 들고 땅을 치며 발하는 소리로, 발화 상황에서 구조대원들에게 신속한 대처를 요구하는 발화신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소방청장,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실시하는 소방특별조사의 서면통지일로 옳은 것은?

  1. 24시간 전
  2. 24시간 후
  3. 7일 전
  4. 7일 후
(정답률: 75%)
  • 소방특별조사의 서면통지는 7일 전에 해야 합니다. 이는 관련 법령인 소방법 제44조에 근거하여 정해진 기간입니다. 따라서, 소방청장,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실시하는 소방특별조사의 서면통지일은 7일 전이 옳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소방시설관리사가 되고자 하는 사람은 누가 실시하는 시험에 합격하여야 하는가?

  1. 소방청장
  2. 소방서장
  3. 경찰서장
  4. 고용노동부장관
(정답률: 57%)
  • 소방시설관리사 시험은 소방청장이 실시하는 시험이기 때문에, 소방청장이 합격 여부를 결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소화활동설비에 해당되는 것은?

  1. 상수도소화용수설비
  2. 비상콘센트설비
  3. 옥내소화전설비
  4. 비상방송설비
(정답률: 41%)
  • 소화활동설비는 화재 발생 시 소방작업에 사용되는 설비를 말합니다. 이 중에서도 비상콘센트설비는 비상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설비로, 소방작업에 필요한 전기를 공급하여 화재 진압에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비상콘센트설비는 소화활동설비에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제연설비는 어느 설비에 해당하는가?

  1. 소화설비
  2. 소화활동설비
  3. 경보설비
  4. 피난설비
(정답률: 50%)
  • 제연설비는 화재 발생 시 화재를 진압하는 데 사용되는 설비로, 소화활동설비에 해당한다. 이 설비는 소화기, 소화호스, 소화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화재 발생 시 빠르게 대응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소화활동설비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옥외소화전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소방대상물은 지상 1층 및 2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몇 m2 이상인 것인가?

  1. 3000
  2. 6000
  3. 9000
  4. 12000
(정답률: 29%)
  • 옥외소화전설비 설치는 건물의 크기와 높이 등 여러 요인에 따라 규정되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바닥면적은 가장 기본적인 요소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도 바닥면적을 기준으로 설치 대상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옥외소화전설비 설치 대상물의 기준은 「건축법 시행규칙」 제 63조에 따라 정해져 있습니다. 이 기준에 따르면, 지상 1층과 2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9000m2 이상인 건축물은 옥외소화전설비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90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층수가 몇 층 이상인 관광호텔에는 반드시 인명 구조기구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5
  2. 7
  3. 9
  4. 11
(정답률: 37%)
  • 층수가 7층 이상인 건물은 화재 발생 시 인명 구조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인명 구조기구를 설치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운동시설로서 무대부의 바닥면적이 몇 m2 이상인 경우 제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200
  2. 300
  3. 400
  4. 500
(정답률: 35%)
  • 무대부의 바닥면적이 200m2 이상인 경우에는 인명안전을 위해 제연설비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이는 대한민국 건축법 제27조 제2항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비상경보설비를 설치하여야 할 특정소방대상물 중 잘못된 것은?

  1. 50인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작업장
  2.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가 500m 이상인 것
  3. 연면적이 500m2 이상인 것
  4. 지하층 또는 무창층의 바닥면적이 150m2 이상인 것
(정답률: 38%)
  • 연면적이 500m2 이상인 것은 다른 대상물들과 달리 규모가 큰 건물이기 때문에 대량의 인원이 이용할 가능성이 높아 위험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근린생활시설, 위락시설, 숙박시설 등은 연면적 몇 m2 이상인 경우에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 하여야 하는가?

  1. 400
  2. 600
  3. 800
  4. 1000
(정답률: 58%)
  • 근린생활시설, 위락시설, 숙박시설 등은 연면적이 600m2 이상인 경우에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규정에 따른 것으로, 연면적이 일정 수준 이상인 건물은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 피해가 크기 때문에 빠른 대처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시설에서는 안전을 위해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소방공사감리업의 종류별 구분으로 옳은 것은?

  1. 제1종 소방공사감리업 및 제2종 소방공사감리업
  2. 갑종 소방공사감리업 및 을종 소방공사감리업
  3. 일반 소방공사감리업 및 특수 소방공사감리업
  4. 전문 소방공사감리업 및 일반 소방공사감리업
(정답률: 51%)
  • 전문 소방공사감리업은 소방설비 설치, 유지보수, 점검 등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가진 업체가 수행하는 감리업이며, 일반 소방공사감리업은 일반적인 건축물의 소방설비에 대한 감리업을 수행하는 업체를 말합니다. 따라서, "전문 소방공사감리업 및 일반 소방공사감리업"이 옳은 답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잘못된 구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소방시설업자가 등록사항의 변경을 신고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영업소의 소재지
  2. 사무실 임대계약 금액
  3. 상호 또는 명칭
  4. 기술인력
(정답률: 77%)
  • 소방시설업자가 등록사항의 변경을 신고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사무실 임대계약 금액"입니다. 이는 소방시설업자의 업무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사항으로, 업무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다른 등록사항들은 업무와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변경 시 신고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전문소방시설설계업을 등록하고자 할 때 주된 기술인력에 대한 기준에 맞는 것은?

  1. 기계분야 또는 전기분야 소방설비기사 자격자 1명 이상
  2. 기계분야 소방설비기사 자격자 1명 이상 과 전기분야 소방설비산업기사 자격자 1명이상
  3. 기계분야와 전기분야를 겸하여 취득한 경우에는 겸하여 취득한 소방설비기사 자격자 1명 이상
  4. 소방기술사 1명 이상
(정답률: 56%)
  • 전문소방시설설계업을 등록하고자 할 때 주된 기술인력에 대한 기준은 "소방기술사 1명 이상"입니다. 이는 전문적인 소방기술 지식과 경험을 가진 인력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자격자격증도 필요하지만, 소방기술사는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전반적인 소방시설설계에 대한 책임을 지는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필수적인 인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에 두어야 할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될 수 없는 사람은?

  1. 위험물기능사 자격을 가진 사람으로서 위험물 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사람
  2. 소방공무원으로 7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3. 소방설비기사 또는 소방설비산업기사의 자격을 가진 사람
  4. 경위 이상의 경찰공무원으로 3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람
(정답률: 56%)
  •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은 대형 건물, 공장, 시설 등으로 매우 큰 위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방안전관리자는 해당 분야에서 충분한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사람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경찰공무원은 소방안전관리 분야에서 경험이 부족하므로, 1급 소방안전관리대상물에 두어야 할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위험물 옥내저장소에 6류 위험물을 저장할 경우 하나의 저장창고 바닥면적은 몇 m2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300
  2. 500
  3. 800
  4. 1000
(정답률: 26%)
  • 6류 위험물은 화재 위험이 높은 위험물이므로 안전을 위해 저장창고의 크기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6류 위험물을 저장할 때는 저장창고의 바닥면적이 1000m2 이하로 하여야 한다. 이는 안전을 위한 규정으로, 저장창고가 너무 크면 화재 발생 시 대처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공사를 수행중인 소방시설공사업자에게 등록의 취소 또는 영업의 정지처분 등이 있는 경우에는 지체없이 누구에게 알려야 하는가?

  1. 해당 지역의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
  2. 등록하였던 해당 관청
  3. 공사중인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
  4. 해당 지역의 소방안전협회
(정답률: 38%)
  • 공사를 수행중인 소방시설공사업자에게 등록의 취소 또는 영업의 정지처분 등이 있는 경우에는 공사중인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에게 지체없이 알려야 합니다. 이는 해당 공사가 소방시설에 관련된 작업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관계인들이 이에 대한 정보를 빠르게 받아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공사중인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61. 옥내소화전설비의 표시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위치표시등과 기동표시등은 모두 불이 켜진 상태로 있어야 한다.
  2. 위치표시등과 기동표시등은 모두 불이 켜지지 않은 상태로 있어야 한다.
  3. 위치표시등은 평상시 불이 켜지지 않은 상태로 있어도 된다.
  4. 기동표시등은 평상시 불이 켜지지 않은 상태로 있어야 한다.
(정답률: 35%)
  • 기동표시등은 평상시 불이 켜지지 않은 상태로 있어야 한다. 이는 옥내소화전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을 때는 기동표시등이 꺼져있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동표시등이 항상 켜져 있으면 오히려 이상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위치표시등은 옥내소화전의 위치를 나타내기 때문에 항상 켜져 있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는 화재시에 화재속보를 계속해서 몇 회 이상 속보할 수 있어야 하는가?

  1. 1
  2. 2
  3. 3
  4. 5
(정답률: 78%)
  •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는 화재 발생 시 화재 속보를 최소 3회 이상 송출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의 안전을 위해 빠른 대처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3회 이상 송출함으로써 화재 발생을 인지한 주변인들이 대처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설치에서 감지선형 감지기의 굴곡반경은 몇 cm 이상으로 하여야 하는가?

  1. 2
  2. 3
  3. 5
  4. 6
(정답률: 64%)
  • 감지선형 감지기 설치 시 굴곡반경이 너무 작으면 감지선이 끊어질 수 있으므로 충분한 굴곡반경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정온식 감지선형 감지기 설치에서 감지선형 감지기의 굴곡반경은 최소 5cm 이상으로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발신기는 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해당 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발신기까지의 수평거리가 몇 m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1. 15
  2. 20
  3. 25
  4. 30
(정답률: 62%)
  • 자동화재탐지설비의 발신기는 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되어야 하므로, 해당 층의 모든 부분에서 발신기까지의 거리가 최대한 균일하게 분포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발신기와 가장 먼 부분까지의 거리가 최대한 짧아지도록 설치해야 합니다.

    발신기와 가장 먼 부분까지의 거리는 수평거리입니다. 따라서, 발신기와 가장 먼 부분까지의 수평거리가 25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해야 합니다. 이는 발신기와 가장 먼 부분까지의 수직거리와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발신기를 분류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M형
  2. T형
  3. G형
  4. P형
(정답률: 68%)
  • 발신기의 출력 파워에 따라 분류한 것으로, P형은 출력 파워가 가장 높은 발신기를 의미한다. M형은 중간 파워, T형은 소형 파워, G형은 초소형 파워를 가진 발신기를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P형 수신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화재표시 작동시험을 할 수 있을 것
  2. 외부배선의 도통시험을 할 수 있을 것
  3. 예비전원의 양부를 시험할 수 있을 것
  4. 회선수가 5 이하일 것
(정답률: 58%)
  • "회선수가 5 이하일 것"이 틀린 설명입니다. P형 수신기는 화재표시 작동시험, 외부배선의 도통시험, 예비전원의 양부 시험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회선수는 설치 환경에 따라 다르며, 5개 이하일 수도 있고 그 이상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회선수가 5 이하일 것"은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부착면의 높이가 8m 이상 15m 미만의 장소에는 사용하지 않는 감지기는?

  1. 차동식 분포형
  2. 정온식 스포트형
  3. 이온화식 2종
  4. 광전식 1종
(정답률: 39%)
  • 부착면의 높이가 8m 이상 15m 미만인 장소는 높은 곳이기 때문에 감지기의 감지 범위가 넓은 차동식 분포형이나 이온화식 2종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반면에 정온식 스포트형은 좁은 범위에서 높은 정확도로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장소에서 사용하기 적합합니다. 광전식 1종은 불꽃이나 열을 감지하는데 사용되는 감지기이므로 이와 관련 없는 상황에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R형 수신기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선로수가 적게 들어 경제적이다.
  2. 증설 또는 이설이 비교적 용이하다.
  3. 중계기를 거치지 않음으로 신속하다.
  4. 신호의 전달이 정확하다.
(정답률: 59%)
  • "중계기를 거치지 않음으로 신속하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R형 수신기는 중계기를 거치지 않고 직접 송신기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신속하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는 중계기를 거치는 경우에 비해 더 빠른 응답 시간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제연설비의 비상전원은 제연설비를 몇 분간 유효하게 동작할 수 있어야 하는가? (단, 30층 미만이다.)

  1. 10
  2. 20
  3. 30
  4. 60
(정답률: 40%)
  • 제연설비의 비상전원은 화재 발생 시에 사용되는 것이므로, 최소한 20분 이상 동작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는 화재 발생 후 대피 시간과 소방서의 출동 시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 것입니다. 30층 이상의 건물에서는 더 긴 시간을 필요로 하므로, 이 경우에는 30분 이상의 비상전원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주된 요소가 아닌 것은?

  1. 수신기
  2. 감지기와 배선
  3. 음향장치
  4. 누전경보기
(정답률: 57%)
  •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주된 요소는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기와 배선, 그리고 감지된 화재를 수신하는 수신기와 음향장치입니다. 누전경보기는 전기적인 문제를 감지하는데 사용되는 기기이며, 화재 감지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주된 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비상콘센트설비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어느 것인가?

  1.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의 각층에 설치할 것
  2. 바닥으로부터 높이 0.8m 이상, 1.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3. 해당 층의 각 부분으로부터 보행거리 50m이하마다 설치할 것
  4. 단상교류 200V의 것에는 접지형 2극플러그 접속기를 사용할 것
(정답률: 38%)
  • 해당 층의 각 부분으로부터 보행거리 50m이하마다 설치할 것이 옳지 않은 기준이다. 이는 비상시에 대피하는데 있어서 최대 이동거리를 고려한 것으로, 보행거리가 50m를 초과하는 경우 대피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자동화재탐지설비에서 수신기의 조작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의 높이가 몇 m 이상, 몇 m 이하인 장소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1. 0.3m 이상, 0.8m 이하
  2. 0.5m 이상, 1.2m 이하
  3. 0.8m 이상, 1.5m 이하
  4. 1m 이상, 1.8m 이하
(정답률: 84%)
  • 수신기의 조작스위치는 일반적으로 사람이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너무 낮게 설치하면 사람이 부딪히거나 발을 걸어 다치는 등의 위험이 있고, 너무 높게 설치하면 조작이 어렵고 불편합니다. 따라서, 적절한 높이는 0.8m 이상, 1.5m 이하입니다. 이 범위 내에서는 대부분의 사람이 손쉽게 조작할 수 있으며, 위험도가 낮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1급 누전경보기는 경계전로의 정격전류가 몇 A를 초과하는 전로에 설치하는가?

  1. 60
  2. 50
  3. 40
  4. 30
(정답률: 75%)
  • 1급 누전경보기는 경계전로의 정격전류가 60A를 초과하는 전로에 설치합니다. 이는 높은 전류가 흐르는 전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누전 위험을 감지하고 경보를 울려 안전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60A를 초과하는 전로에 설치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주요 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한 소방대상물에 감지기의 부착높이를 4m 미만으로 부착한 보상식 스포트형 2종 감지기 1개의 감지면적은 몇 m2를 기준하는가?

  1. 90
  2. 70
  3. 40
  4. 25
(정답률: 35%)
  • 감지면적은 감지기의 감지범위에 따라 결정된다. 이 문제에서는 보상식 스포트형 2종 감지기 1개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감지기의 감지범위는 9m x 9m 이다. 따라서 감지면적은 9m x 9m = 81m2 이다.

    그러나 이 감지기는 부착높이가 4m 미만인 구조물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감지면적은 70%로 보정된다. 따라서 실제 감지면적은 81m2 x 0.7 = 56.7m2 이다. 그러나 문제에서는 감지면적을 반올림하여 정수로 표기하도록 요구하고 있으므로, 정답은 7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비상방송설비에서 확성기를 실외에 설치하는 경우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몇 W 이상이어야 하는가?

  1. 1
  2. 2
  3. 3
  4. 4
(정답률: 83%)
  • 비상방송설비에서는 긴급상황 발생 시 대량의 인원에게 긴급안내를 제공해야 하므로,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최소한 3W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큰 공간에서도 명확하게 들리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P형 수신기의 감지기회로 배선을 공통선으로 사용한 때에 하나의 공통선은 몇 경계구역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3
  2. 5
  3. 7
  4. 15
(정답률: 44%)
  • P형 수신기의 감지기회로 배선을 공통선으로 사용할 때, 각 경계구역은 최소한 2개의 전선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하나의 공통선은 최소한 2개의 경계구역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각 경계구역은 서로 겹치지 않아야 하므로, 하나의 공통선이 가질 수 있는 최대 경계구역 수는 7개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7"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 전면에 전압계의 지시치가 0일 경우 그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정류기 고장일 때
  2. 전압계 고장일 때
  3. 전원전압회로의 고장일 때
  4. 감지기 고장일 때
(정답률: 53%)
  •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수신기 전면에 있는 전압계의 지시치가 0일 경우, 이는 전원전압회로의 고장이나 정류기 고장으로 인한 것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감지기 고장일 경우에도 전압계의 지시치가 0이 될 수 있습니다. 이는 감지기가 화재를 감지하지 못해 신호를 보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감지기 고장일 때도 전압계의 지시치가 0이 될 수 있으므로, 이는 원인으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비상벨 설비 또는 자동식 사이렌 설비에는 그 설비에 대한 감시상태를 몇 분간 지속한 후 유효하게 10분 이상 경보할 수 있는 축전지설비를 설치 하여야 하는가?

  1. 10
  2. 20
  3. 40
  4. 60
(정답률: 72%)
  • 비상벨 설비 또는 자동식 사이렌 설비는 긴급 상황에서 즉시 작동해야 하므로, 전원 공급이 중단되더라도 일정 시간 동안 작동할 수 있도록 축전지 설비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때, 축전지의 용량이 작으면 작을수록 작동 시간이 짧아지므로 충분한 용량의 축전지를 설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감시상태를 몇 분간 지속한 후 유효하게 10분 이상 경보할 수 있는 축전지설비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용량의 축전지가 필요하며, 이를 고려할 때 60분이 적절한 용량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6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유도등과 유도표지는 소방관련법령상 어떤 종류의 소방시설에 포함되는가?

  1. 경보설비에 속한다.
  2. 소방설비에 속한다.
  3. 피난설비에 속한다.
  4. 소화활동설비에 속한다.
(정답률: 77%)
  • 유도등과 유도표지는 대피 및 이송을 위한 안전한 피난경로를 안내하기 위한 시설로, 피난설비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누설동축케이블은 소방전용주파수대에서 전파의 전송 또는 복사에 적합한 것으로서 소방전용의 것으로 하여야 한다. 그러나 다른 용도와 겸용할 수 있는 경우가 있는데 그 경우의 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경찰과 무선연락을 하고자 하는 경우
  2. 민간 구급단체와 교신을 하고자 할 경우
  3. 화재현장의 관계인과 통화를 하고자 할 경우
  4. 소방대 상호간의 무선연락에 지장이 없는 경우
(정답률: 40%)
  •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누설동축케이블이 소방전용주파수대에서 전파의 전송 또는 복사에 적합한 것으로서 소방전용의 것으로 하여야 하는 이유는 소방대 상호간의 무선연락이 긴급하고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용도와 겸용할 수 있는 경우에도 소방대 상호간의 무선연락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소방대의 응급상황 대처 능력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