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5-10)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
(2009-05-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소방원론

1. 표준상태에서 탄산가스의 증기비중은 약 얼마인가? (단, 탄산가스의 분자량은 44 이다.)

  1. 1.52
  2. 2.60
  3. 3.14
  4. 4.20
(정답률: 71%)
  • 탄산가스의 분자량은 44이므로, 1 mol의 탄산가스는 44 g이다. 이때, 1 mol의 어떤 기체가 차지하는 부피를 표준상태에서의 몰부피(molar volume)라고 한다. 표준상태에서의 몰부피는 22.4 L/mol이다. 따라서, 44 g의 탄산가스가 차지하는 부피는 22.4 L이다. 이를 이용하여 탄산가스의 증기비중을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44 g의 탄산가스가 차지하는 부피 = 22.4 L
    1 g의 탄산가스가 차지하는 부피 = 22.4 L ÷ 44 g = 0.509 L/g

    즉, 1 g의 탄산가스는 0.509 L의 부피를 차지한다. 이때, 공기의 증기비중은 1이므로, 탄산가스의 증기비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탄산가스의 증기비중 = (1 g의 탄산가스가 차지하는 부피) ÷ (1 g의 공기가 차지하는 부피) = 0.509 ÷ 1 = 1.52

    따라서, 탄산가스의 증기비중은 1.5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목탄의 주된 연소형태에 해당하는 것은?

  1. 자기연소
  2. 표면연소
  3. 증발연소
  4. 확산연소
(정답률: 87%)
  • 목탄은 고체 연료로서 연소할 때 표면에서부터 연소가 일어나는 표면연소 형태를 보입니다. 이는 목탄의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연소가 일어나는 표면적도 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주된 연소형태는 "표면연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Halon 104 가 수증기와 작용해서 생기는 유독 가스에 해당하는 것은?

  1. 포스겐
  2. 황화수소
  3. 이산화질소
  4. 포스핀
(정답률: 78%)
  • Halon 104는 수증기와 작용하여 생기는 유독 가스인데, 이 가스는 포스겐이다. 포스겐은 무색의 가스로, 냄새가 없고 매우 유독하며, 호흡기나 눈에 자극을 일으킨다. 따라서 Halon 104는 포스겐을 포함한 유독 가스를 발생시키므로 위의 보기에서 정답은 "포스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건축물의 주요구조부가 아닌 것은?

  1. 기둥
  2. 바닥
  3. 옥외계단
(정답률: 93%)
  • 옥외계단은 건축물의 주요구조부가 아닙니다. 주요구조부는 건물의 안정성과 구조적 안전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옥외계단은 건물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보조적인 요소로서, 건물의 안정성과 구조적 안전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옥외계단은 건축물의 주요구조부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하는 피난계단의 구조에서 계단은 내화구조로 하고, 어디까지 직접 연결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1. 피난층 또는 옥상
  2. 피난층 또는 지상
  3. 개구부 또는 옥상
  4. 개구부 또는 지하
(정답률: 79%)
  • 피난계단은 비상시에 인명구조를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가능한 한 안전하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피난계단은 내화구조로 하여 화재 발생 시에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직접 연결되는 범위는 피난층 또는 지상까지로 제한됩니다. 이는 지하나 옥상은 대피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피난층 또는 지상"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프로판 가스의 공기 중 폭발 범위는 약 몇 vol% 인가?

  1. 2.1 ~ 9.5
  2. 15 ~ 25.5
  3. 20.5 ~ 32.1
  4. 33.1 ~ 63.5
(정답률: 67%)
  • 프로판 가스는 공기 중에서 2.1 vol%에서 최소 발화 농도를 가지며, 9.5 vol%에서 최대 발화 농도를 가집니다. 따라서 이 범위 내에서는 폭발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프로판 가스의 발화 범위와는 상관없는 다른 범위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자연발화를 일으키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산화열
  2. 분해열
  3. 흡착열
  4. 기화열
(정답률: 77%)
  • 기화열은 자연발화를 일으키는 원인이 아닙니다. 기화열은 물질이 기체 상태로 변할 때 발생하는 열입니다. 따라서 자연발화를 일으키는 원인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화학적 점화원이 아닌 것은?

  1. 연소열
  2. 용해열
  3. 분해열
  4. 아크열
(정답률: 78%)
  • 화학적 점화원은 연소, 용해, 분해 등의 반응으로 발생하는 열을 말하는데, 아크열은 전기적인 에너지로 인해 발생하는 열로 화학적인 반응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화학적 점화원이 아니다. 즉, 아크열은 전기적인 현상으로 인한 열이므로 화학적인 반응과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물과 접촉하면 발열하면서 수소기체를 발생하는 것은?

  1. 과산화수소
  2. 나트륨
  3. 황린
  4. 아세톤
(정답률: 68%)
  • 정답인 나트륨은 물과 접촉하면 발열하면서 수소기체를 발생시키는 반응인 물과 반응하는 화학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관람석 또는 집회실의 바닥면적 합계가 200m2인 다음 건축물의 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1. 종교시설
  2. 주점영업소
  3. 동ㆍ식물원
  4. 장례식장
(정답률: 65%)
  • 동ㆍ식물원은 내화구조가 필요하지 않은 이유는 대부분의 건물이 실내공간보다는 실외공간이 많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인명피해가 적을 가능성이 높아 내화구조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공기 중의 산소는 용적으로 약 몇 % 정도인가?

  1. 15
  2. 21
  3. 25
  4. 30
(정답률: 91%)
  • 공기 중의 산소는 대략 21% 정도이다. 이는 공기가 대기 중의 다른 기체들과 혼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혼합물에서 산소는 분자량이 다른 기체들보다 더 높기 때문에 공기 중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화재하중에 주된 영향을 주는 것은?

  1. 가연물의 온도
  2. 가연물의 색상
  3. 가연물의 양
  4. 가연물의 융점
(정답률: 75%)
  • 화재하중은 화재 발생 시 발생하는 열과 연기, 가스 등으로 인해 건물 구조물에 가해지는 부하를 말한다. 이 중에서 가장 주된 영향을 주는 것은 가연물의 양이다. 가연물의 양이 많을수록 화재 발생 시 발생하는 열과 연기, 가스 등의 양이 많아져 건물 구조물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연물의 양이 많을수록 화재하중이 커지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연소시 발생하는 가스로 독성이 가장 강한 것은?

  1. 수소
  2. 질소
  3. 이산화탄소
  4. 일산화탄소
(정답률: 85%)
  • 일산화탄소는 산소와 결합하지 않고 혈액 속의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산소 수송을 방해하며, 이로 인해 중독 증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독성이 가장 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발화의 위험이 가장 낮은 것은?

  1. 트리에틸알루미늄
  2. 팽창질석
  3. 수소화리튬
  4. 황린
(정답률: 85%)
  • 팽창질석은 안정성이 높아서 발화의 위험이 가장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화재종류 중 A급 화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목재화재
  2. 섬유화재
  3. 종이화재
  4. 금속화재
(정답률: 90%)
  • A급 화재는 연소시키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며, "목재화재", "섬유화재", "종이화재"는 모두 A급 화재에 속합니다. 그러나 "금속화재"는 연소시키는 물질이 금속이기 때문에 산소와의 반응으로 인한 연소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따라서 "금속화재"는 A급 화재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제4류 위험물이 아닌 것은?

  1. 가솔린
  2. 메틸알콜
  3. 아닐린
  4. 탄화칼슘
(정답률: 77%)
  • 탄화칼슘이 제4류 위험물이 아닌 이유는, 제4류 위험물은 인체에 유해하거나 화재, 폭발 등의 위험이 있는 물질을 말하는데, 탄화칼슘은 불에 타면 칼슘산화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되는 물질로서 인체에 유해하지 않고, 화재나 폭발 위험도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열전달의 스테판-볼츠만의 법칙은 복사체에서 발산되는 복사열은 복사체의 절대온도의 몇 승에 비례한다는 것인가?

  1. 1/2
  2. 2
  3. 3
  4. 4
(정답률: 84%)
  • 열전달의 스테판-볼츠만의 법칙은 복사열이 복사체의 절대온도의 제곱에 비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4"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제1석유류는 어떤 위험물에 속하는가?

  1. 산화성 액체
  2. 인화성 액체
  3. 자기반응성 물질
  4. 금수성 물질
(정답률: 62%)
  • 제1석유류는 인화성 액체에 속합니다. 이는 고온, 화염, 스파크 등에 노출되면 쉽게 불이 붙어 화재나 폭발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취급 시에는 안전에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질소를 불연성 가스로 취급하는 주된 이유는?

  1. 어떠한 물질과도 화합하지 아니하므로
  2. 산소와 화합하나 흡열반응을 하기 때문에
  3. 산소와 산화반응을 하므로
  4. 산소와 같이 공기 성분으로 산소와 화합할 수 없기 때문에
(정답률: 78%)
  • 질소는 산소와 화합하면 매우 큰 열을 방출하는 흡열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불연성 가스로 취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액체 물 1g이 100℃, 1기압에서 수증기로 변할 때 열의 흡수량은 몇 cal 인가?

  1. 439
  2. 539
  3. 639
  4. 739
(정답률: 68%)
  • 이 문제는 물의 수증기화 열을 구하는 문제입니다. 물이 수증기로 변할 때는 수증기화 열을 흡수하게 되는데, 이는 물의 온도와 압력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문제에서는 물이 100℃, 1기압에서 수증기로 변하므로, 이에 해당하는 물의 수증기화 열을 구하면 됩니다. 이 값은 물의 비열과 수증기화 열을 더한 것인데, 물의 비열은 1g당 1cal/℃이고, 수증기화 열은 540cal/g입니다.

    따라서, 물 1g이 100℃, 1기압에서 수증기로 변할 때 열의 흡수량은 1 x 540 = 540cal 입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정답이 "539"이므로, 이는 계산 과정에서 반올림한 결과일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소방전기회로

21. 그림에서 A, B 사이의 합성저항은 몇 [Ω] 인가?

  1. 3.5Ω
  2. 4.5Ω
  3. 5.2Ω
  4. 9Ω
(정답률: 60%)
  • A와 B 사이의 전류는 2A이고, A와 B 사이의 전압은 10V이므로, A와 B 사이의 합성저항은 10V/2A = 5Ω이다. 따라서, 정답은 5.2Ω이 아닌 5Ω이 되어야 한다. 하지만, 보기에서 가장 가까운 값은 5.2Ω이므로, 5.2Ω이 정답으로 선택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논리식 A(A+B)를 가장 간단히 하면?

  1. A
  2. B
  3. A+B
  4. AB
(정답률: 80%)
  • 논리식 A(A+B)는 분배법칙에 의해 A*A + A*B로 간단히 나타낼 수 있습니다. A*A는 A이므로, 최종적으로 A+B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A+B"가 아니라 "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림의 블록선도에서 전달함수 C/R는?

  1. G1/G2
  2. G1+G2
  3. G1ㆍG2
  4. G1-G2
(정답률: 64%)
  • 전달함수 C/R은 G1+G2이다. 이는 블록선도에서 C와 R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병렬 연결된 회로에서 전체 전류는 각각의 분기로 나뉘어 흐르게 되고, 각 분기에서의 전압은 동일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C와 R 사이의 전압은 입력신호와 동일하게 유지되며, C와 R을 지나는 전류는 입력신호를 G1과 G2로 나누어서 흐르게 된다. 이 때, G1과 G2는 각각 C와 R을 통과하는 전류의 크기를 결정하는 전도도 값이므로, 전달함수는 G1+G2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강 자성체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Cu
  2. Fe
  3. Ni
  4. Co
(정답률: 61%)
  • 정답은 "Cu"입니다. "Cu"는 강 자성체에 속하지 않는 비자성 금속입니다. 강 자성체는 철, 니켈, 코발트와 같은 금속으로, 자기장을 생성하고 자기력을 가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100V, 1kW의 전열기를 90V에 사용할 때 소비전력은 몇 [kW] 인가?

  1. 0.41kW
  2. 0.51kW
  3. 0.81kW
  4. 0.90kW
(정답률: 57%)
  •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전압이 90V로 감소하면 전류는 얼마나 증가해야 하는지 계산해야 합니다. 전력은 일정하기 때문에 (1kW) 전압이 감소하면 전류는 증가합니다.

    전압과 전류는 다음과 같은 관계를 가집니다.

    전압 = 전류 x 저항

    저항은 일정하기 때문에 전압이 감소하면 전류는 증가합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I1 x R = V1

    I2 x R = V2

    I2 = I1 x (V2/V1)

    여기서 I1은 원래 전압과 전류, V1은 원래 전압, V2는 새로운 전압, I2는 새로운 전류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전압이 90V로 감소하면 전류는 다음과 같이 증가합니다.

    I2 = 1kW x (90V/100V) = 0.9kW

    그리고 소비전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소비전력 = 전압 x 전류 = 90V x 0.9kW = 0.81kW

    따라서, 정답은 "0.81kW"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맥동률이 가장 적은 정류방식은?

  1. 단상 반파식
  2. 단상 전파식
  3. 3상 반파식
  4. 3상 전파식
(정답률: 80%)
  • 맥동률은 전력이 전달되는 속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맥동률이 적을수록 전력 손실이 적어지므로 좋은 정류방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3상 전파식은 3상 전원을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며, 전력의 흐름이 균일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맥동률이 가장 적습니다. 따라서 3상 전파식이 가장 좋은 정류방식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실리콘 다이오드를 쓰는 정류기의 특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옳지 않은 것은?

  1. 전류 밀도가 크다.
  2. 온도에 의한 영향이 작다.
  3. 효율이 높다.
  4. 소용량 정류기로만 쓸 수 있다.
(정답률: 73%)
  • 정답: "소용량 정류기로만 쓸 수 있다."

    실리콘 다이오드는 전류 밀도가 크고 온도에 의한 영향이 작으며 효율이 높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소용량 정류기로만 쓸 수 있다는 것은 옳지 않습니다. 실리콘 다이오드는 대용량 정류기에서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대용량 정류기에서는 여러 개의 다이오드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직류발전기의 단자전압을 조정하려면 다음 중 어느 것을 조정하는가?

  1. 전기자저항
  2. 가동저항
  3. 방전저항
  4. 계자저항
(정답률: 57%)
  • 직류발전기의 단자전압을 조정하려면 계자저항을 조정해야 합니다. 이는 발전기의 출력전압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저항으로, 계자저항을 조정함으로써 발전기의 출력전압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다른 선택지인 전기자저항, 가동저항, 방전저항은 직류발전기의 단자전압을 조절하는 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직ㆍ교류 겸용 계기가 아닌 것은?

  1. 정전형
  2. 유도형
  3. 전류력계형
  4. 열전형
(정답률: 29%)
  • 유도형이 아닌 것은 "전류력계형"이다. 전류력계형은 전류의 크기를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직류와 교류 모두에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직ㆍ교류를 동시에 측정하는 기능은 없다.

    유도형은 자기장의 변화로 전류를 유도하여 측정하는 방식으로, 직류와 교류 모두에 사용할 수 있으며, 직ㆍ교류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와의 위상차는 얼마인가?

(정답률: 69%)
  • 위상차는 두 파동의 시작점에서부터 한 주기를 완료하기까지의 시간 차이를 말한다. 따라서 의 주기는 같으므로 위상차는 0이다. 따라서 정답은 ""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회전운동계의 각속도를 전기적인 요소로 변환하면?

  1. 정전용량
  2. 컨덕턴스
  3. 전류
  4. 인덕턴스
(정답률: 57%)
  • 회전운동계의 각속도를 전기적인 요소로 변환할 때는 전자기 인덕션 원리를 이용하여 전류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전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실리콘제어정류기(SCR)에 대한 설명 중 맞지 않는 것은?

  1. pnpn의 4층 구조이다.
  2. 스위칭 소자이다.
  3. 직류 및 교류의 전력 제어용으로 사용된다.
  4. 쌍방향성 사이리스터 이다.
(정답률: 75%)
  • "쌍방향성 사이리스터 이다."가 맞지 않는 설명이다. 실리콘제어정류기(SCR)는 단방향성 사이리스터이다. 즉,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원자 하나에 최외각 전다가 4개인 4가의 전자(four valence electrons)로서 가전자대의 4개의 전자가 안정화를 위해 원자끼리 결합한 구조로 일반적인 반도체 재료로 쓰고 있는 것은?

  1. Si
  2. P
  3. As
  4. Ga
(정답률: 83%)
  • 정답은 "Si"입니다. 이유는 Si 원자는 최외각 전자가 4개인 4가의 전자를 가지고 있으며, 이 전자들은 안정화를 위해 결합하여 고체 구조를 형성합니다. 이러한 구조는 반도체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일반적으로 반도체 재료로 사용됩니다. P, As, Ga도 최외각 전자가 4개인 4가의 전자를 가지고 있지만, 이들은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어 반도체 재료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가동코일형 계기의 지시값은?

  1. 평균값
  2. 실효값
  3. 파형값
  4. 파고값
(정답률: 37%)
  • 가동코일형 계기는 직류 전류나 전압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며, 이러한 전류나 전압은 일정한 크기와 방향으로 흐르기 때문에 평균값이 측정값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가동코일형 계기의 지시값은 평균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3μF의 콘덴서를 4kV로 충전하면 저장되는 에너지는 몇 [J] 인가?

  1. 4J
  2. 8J
  3. 16J
  4. 24J
(정답률: 64%)
  • 콘덴서에 저장된 에너지는 1/2CV^2 이다. 여기서 C는 콘덴서의 용량, V는 충전된 전압이다. 따라서, 3μF의 콘덴서를 4kV로 충전하면 저장된 에너지는 1/2 x 3 x 10^-6 x (4000)^2 = 24J 이다. 따라서 정답은 "24J"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평행한 두 도체에 같은 방향의 전류를 흘렸을 두 도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1. 반발한다.
  2.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3. 흡인한다.
  4. 의 힘이 작용한다.
(정답률: 41%)
  • 두 도체에 같은 방향의 전류가 흐르면, 두 도체 사이에는 서로를 향해 자기장이 형성됩니다. 이 자기장은 두 도체 사이에 작용하는 힘의 원인이 됩니다. 이 자기장은 두 도체 사이에서 상호작용하며, 서로를 향해 작용합니다. 따라서 두 도체는 서로를 향해 흡인하는 힘이 작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흡인한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교류 정현파회로에서 코일에 축적되는 평균에너지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단, 이상적인 코일이라 가정한다.)

  1. 인덕턴스를 크게 하면 축적에너지는 커진다.
  2. 코일에 흐르는 실효치 전류를 크게 하면 축적에너지는 커진다.
  3. 코일에 인가하는 실효치 전압을 크게 하면 축적에너지는 커진다.
  4. 순시전력을 적분한 후 평균을 취하면 축적에너지를 구할 수 있다.
(정답률: 40%)
  • "순시전력을 적분한 후 평균을 취하면 축적에너지를 구할 수 있다."는 옳은 설명이다.

    하지만 옳지 않은 설명은 "코일에 인가하는 실효치 전압을 크게 하면 축적에너지는 커진다."이다.

    실제로는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이 증가하면 코일 내부의 전자기장이 강해져서 전류가 더 어렵게 흐르게 되어 축적에너지가 증가하지 않는다. 따라서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을 증가시키는 것은 축적에너지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아니다.

    반면에 인덕턴스를 크게하면 코일 내부의 전자기장이 강해져서 전류가 더 어렵게 흐르게 되어 축적에너지가 증가한다. 또한 코일에 흐르는 실효치 전류를 증가시키면 축적에너지도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자기인덕턴스 L1, L2가 각각 4[mH], 16[mH]인 두 코일이 이상적으로 결합 되었을 경우 상호인덕턴스 M[mH]은?

  1. 6mH
  2. 8mH
  3. 10mH
  4. 12mH
(정답률: 58%)
  • 상호인덕턴스 M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M = k * sqrt(L1 * L2)

    여기서 k는 결합계수로, 이상적인 결합일 경우에는 k=1입니다.

    따라서,

    M = sqrt(4[mH] * 16[mH]) = 8[mH]

    따라서 정답은 "8m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그림과 같은 논리회로의 명칭은?

  1. NOR
  2. NAND
  3. NOT
  4. OR
(정답률: 67%)
  • 이 논리회로는 입력 A와 B 중 하나 이상이 0일 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회로이다. 이러한 동작은 NOR 게이트로 구현할 수 있으며, NOR 게이트는 입력이 모두 0일 때만 출력이 1이 되는 논리회로이다. 따라서 이 논리회로는 NOR 게이트로 구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1대의 용량 7kVA인 변압기 2대를 가지고 V결선으로 하면 3상 평형부하에 약 몇 [kVA]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가?

  1. 5.77kVA
  2. 8.66kVA
  3. 10kVA
  4. 12.12kVA
(정답률: 57%)
  • 2대의 7kVA 변압기를 V결선으로 연결하면 3상 전압이 √3배가 되므로, 7kVA x √3 = 12.12kVA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12.12kV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소방관계법규

41. 다음 중 2급 방화관리대상물의 방화관리자의 선임대상으로 부적합한 것은?

  1. 소방본부 또는 소방서에서 1년 이상 화재진압 또는 보조업무에 종사한 경력이 있는 자
  2. 경찰공무원으로 3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자
  3. 방화관리에 관한 강습교육을 수료한 자
  4. 의무소방대의 소방대원으로 1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자
(정답률: 36%)
  • 방화관리에 관한 강습교육을 수료한 자가 부적합한 대상이 아닙니다. 이유는 방화관리에 관한 강습교육을 수료한 자는 방화 예방 및 대응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화관리자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건축허가등의 동의대상물과 관련하여 항공기격납고의 경우 건축허가등의 동의를 받아야 하는 조건으로 알맞은 것은?

  1. 바닥면적 1000m2 이상인 것
  2. 바닥면적 3000m2 이상인 것
  3. 바닥면적 5000m2 이상인 것
  4. 바닥면적에 관계없이 건축허가 동의 대상이다.
(정답률: 73%)
  • 항공기격납고는 항공기를 보관하고 수리하는 공간으로, 안전성이 매우 중요한 시설이다. 따라서 건축법상 건축물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건축허가를 받아야 한다. 항공기격납고의 크기는 바닥면적이 크지 않아도 항공기를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바닥면적에 관계없이 건축허가 동의 대상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건축허가 등의 동의요구서류를 접수한 날부터 며칠 이내에 건축허가 등의 동의여부를 회신하여야 하는가? (단, 허가 신청한 건축물 등의 연면적은 30000m2 이상 인 경우이다.)(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7일
  2. 10일
  3. 14일
  4. 30일
(정답률: 71%)
  • 건축물의 연면적이 30000m2 이상인 경우,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건축허가 등의 동의요구서류를 접수한 날부터 10일 이내에 건축허가 등의 동의여부를 회신해야 합니다. 이는 관련 법령에서 정한 기간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소방용수시설인 저수조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면으로부터의 낙차가 4.5m 이하일 것
  2. 흡수부분의 수심이 0.5m 이상일 것
  3. 흡수관의 투입구가 사각형의 경우에는 한 변의 길이가 60cm 이상일 것
  4. 저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방법은 상수도에 연결하여 수동으로 급수도는 구조일 것
(정답률: 79%)
  • "저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방법은 상수도에 연결하여 수동으로 급수도는 구조일 것"은 옳지 않은 기준이다. 이유는 소방용수시설인 저수조는 비상시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시설로, 수동으로 급수하는 것은 시간적 제약과 인력적 부담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동으로 급수되는 방식이 적용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화재원인조사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연소상황 조사
  2. 인명피해 조사
  3. 피난상황 조사
  4. 소방시설 등 조사
(정답률: 38%)
  • 화재원인조사는 화재 발생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이며, "연소상황 조사", "피난상황 조사", "소방시설 등 조사"는 화재 발생 시 대처 방법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입니다. 반면, "인명피해 조사"는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의 정도와 원인을 파악하는 조사입니다. 따라서, "인명피해 조사"는 화재원인조사의 종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소방시설관리업자의 지위를 승계한 자는 승계한 날로부터 몇ㄹ 이내에 시ㆍ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하는가?

  1. 14일 이내
  2. 20일 이내
  3. 28일 이내
  4. 30일 이내
(정답률: 53%)
  • 소방시설관리업자의 지위를 승계한 자는 법률상 30일 이내에 시ㆍ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합니다. 이는 관련 법령에서 명시되어 있으며,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법적인 책임을 지게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30일 이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소방용수시설 중 저수조 설치시 지면으로부터 낙차의 범위로 알맞은 것은?

  1. 2.5m 이하
  2. 3.5m 이하
  3. 4.5m 이하
  4. 5.5m 이하
(정답률: 83%)
  • 저수조 설치시 지면으로부터 낙차의 범위는 안전을 고려하여 4.5m 이하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이는 인명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로, 4.5m 이상의 높이에서 떨어지면 심각한 부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방용수시설 설치시에는 이러한 안전규정을 준수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소방시설업의 등록을 하지 아니하고 영업한 자의 벌칙은?(관련 규정 개정전 문제로 여기서는 기존 정답인 2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해설을 참고하세요.)

  1.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
  2.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
  4.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30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66%)
  • 소방시설업은 인명과 재산의 안전을 위해 꼭 필요한 업종이므로, 등록을 하지 않고 영업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행위입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법률에서는 등록을 하지 않고 영업한 자에게 벌칙을 부과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적절한 벌칙은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의 벌금"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벌금의 경우 1000만원 이하로 설정된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벌금이 크지 않아서 등록을 하지 않고 영업하는 것이 이득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벌금을 높여서 등록을 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징역의 경우 5년 이하로 설정된 경우가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범죄의 종류에 따라서 벌칙이 달라지기 때문에, 소방시설업에서는 3년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따라서, 소방시설업의 등록을 하지 않고 영업한 자에게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의용소방대의 설치 등에 대한 사항으로 옳지 않는 것은?

  1. 의용소방대원은 비상근으로 한다.
  2. 소방업무를 보조하기 위하여 특별시ㆍ광역시ㆍ시ㆍ읍ㆍ면에 의용소방대를 둔다.
  3. 의용소방대의 운영과 처우 등에 대한 경비는 그 대원의 임면권자가 부담한다.
  4. 의용소방대의 설치ㆍ명칭ㆍ구역ㆍ조직 훈련 등 운영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소방방재청장이 정한다.
(정답률: 44%)
  • "의용소방대의 운영과 처우 등에 대한 경비는 그 대원의 임면권자가 부담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실제로는 의용소방대의 운영과 처우 등에 대한 경비는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한다. 이는 소방법 제30조에 명시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량의 위험물을 저장ㆍ취급하는 제조소등으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제조소등이 있는 동일한 사업소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경우 당해 사업소의 관계인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당해 사업소에 자체소방대를 설치하여야 한다. 여기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수량” 이라 함은 지정수량의 몇 배를 말하는가?

  1. 2천배
  2. 3천배
  3. 4천배
  4. 5천배
(정답률: 73%)
  •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하는 제조소 등에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다룰 경우 자체소방대를 설치해야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이 수량은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결정되며, 이 수량이 높을수록 더 많은 위험물을 다루는 제조소 등에서는 자체소방대를 설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3천배"가 정답인 이유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수량이 높을수록 더 많은 위험물을 다루는 제조소 등에서는 자체소방대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제1종 판매취급소는 저장 또는 취급하는 위험물의 수량이 지정수량의 얼마인 판매취급소를 말하는가?

  1. 20배 이하
  2. 20배 이상
  3. 40배 이하
  4. 40배 이상
(정답률: 49%)
  • 제1종 판매취급소는 저장 또는 취급하는 위험물의 수량이 지정수량의 20배 이하인 판매취급소를 말한다. 이는 안전을 위해 위험물의 수량을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해야 하기 때문이다. 만약 수량이 20배 이상이라면 위험물의 취급에 대한 더 엄격한 규제가 필요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소방기본법령상 구급대의 편성과 운영을 할 수 있는 자와 거리가 먼 것은?

  1. 소방방재청장
  2. 소방본부장
  3. 소방서장
  4. 시장ㆍ군수
(정답률: 80%)
  • 소방기본법령에서 구급대의 편성과 운영은 소방서장이 담당하며, 시장과 군수는 이와 관련된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시장과 군수는 구급대의 편성과 운영을 할 수 있는 자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하자보수대상 소방시설 중 하자보수보증기간이 3년인 것은?

  1. 유도등
  2. 비상방송설비
  3. 간이스프링클러설비
  4. 무선통신보조설비
(정답률: 77%)
  • 정답은 "간이스프링클러설비"입니다. 이유는 간이스프링클러설비는 소방시설 중 하자보수보증기간이 3년인 것으로 지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간이스프링클러설비는 일반적인 스프링클러보다 설치가 간편하고 비용이 저렴하여 많이 사용되는데, 이에 따라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가 많아 보증기간이 3년으로 지정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방염업자의 지위승계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합병 후 존속하는 법인이나 합병에 의하여 설립되는 법인은 그 방염업자으 지위를 승계한다.
  2. 방염업자의 지위를 승계한 자는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시ㆍ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3. 지방세법에 따른 압류재산의 매각과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절차에 따라 시설의 전부를 인수한 자는 그 방염업자의 지위를 승계한다.
  4. 시ㆍ도지사는 지위승계 신고를 받은 때에는 30일 이내에 방염처리업등록증 및 등록수첩을 새로 교부하고, 제출된 기술인력의 기술자격증에 그 변경사항을 기재하여 교부한다.
(정답률: 40%)
  • "지방세법에 따른 압류재산의 매각과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절차에 따라 시설의 전부를 인수한 자는 그 방염업자의 지위를 승계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압류재산의 매각과 같은 절차로 인해 시설이 전부 인수되더라도 방염업자의 지위를 자동으로 승계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승계를 원하는 경우에는 시ㆍ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저장소 또는 제조소 등이 아닌 장소에서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저장 또는 취급한 자에 대한 벌칙은?

  1. 1년 이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2. 2년 이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
  3. 1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4. 2년 이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74%)
  • 저장소나 제조소와 같은 특정 장소에서 위험물을 저장하거나 취급하는 것은 안전에 매우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이를 위반하는 경우에는 법적으로 엄격한 처벌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범죄의 정도에 따라서 처벌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저장 또는 취급하는 위험물의 양이 일정 수준 이상인 경우에 대한 처벌을 물어보고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이 적용됩니다. 이는 위험물을 취급하는 것이 안전에 위협을 가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지만, 그렇다고 해서 심각한 범죄로 간주되지는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특정소방대상물을 위락시설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투전기업소
  2. 카지노업소
  3. 무도장
  4. 공연장
(정답률: 44%)
  • 특정소방대상물은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에 대한 위험이 높은 건물로서, 위험도에 따라 등급이 결정됩니다. 이 중에서도 위험이 가장 높은 것은 위험1등급으로 분류되며, 이에 해당하는 것은 위락시설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투전기업소", "카지노업소", "무도장"은 모두 위락시설에 해당하며, 특정소방대상물로 분류됩니다. 반면에 "공연장"은 위락시설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특정소방대상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방염대상물품 중 제조 또는 가공공정에서 방염처리를 하여야 하는 물품이 아닌 것은?

  1. 암막
  2. 두께가 2mm 미만인 종이벽지
  3. 바닥에 설치하는 카페트
  4. 창문에 설치하는 브라인드
(정답률: 81%)
  • 두께가 2mm 미만인 종이벽지는 방화성능이 높지 않기 때문에 방염처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 반면에 암막, 바닥에 설치하는 카페트, 창문에 설치하는 브라인드는 화재 발생 시 화염과 연기를 차단하거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방화처리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제4류 위험물 제조소의 경우 사용전압이 22kV 인 특고압 가공저선이 지나갈 때 제조소의 외벽과 가공전선 사이의 수평거리(안전거리)는 몇 [m]이상 이어야 하는가?

  1. 3m
  2. 5m
  3. 10m
  4. 20m
(정답률: 27%)
  • 제4류 위험물 제조소의 경우 안전거리는 사용전압과 가공전선의 위치에 따라 다르게 결정된다. 사용전압이 22kV 인 경우, 안전거리는 3m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안전거리 계산식에서 사용전압이 22kV 이면서 가공전선이 지나가는 위치가 제조소 외벽에서 3m 이내일 때 해당되는 값이기 때문이다. 안전거리는 가공전선과 제조소 외벽 사이의 최소 수평거리로, 이를 충족하지 않으면 가공전선과 제조소 외벽 사이에서 화재나 폭발 등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거리는 꼭 지켜져야 하는 중요한 안전 규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방하관리대상물의 관계인이 방화관리자를 선임한 경우에는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선임한 날부터 며칠 이내에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신고하여야 하는가?

  1. 7일
  2. 14일
  3. 21일
  4. 30일
(정답률: 68%)
  • 방화관리자는 방화예방 및 대응에 대한 책임을 지는데, 이를 위해 방화관리대상물의 관계인이 선임한 경우에는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에게 신고하여야 합니다. 이 신고 기한은 행정안전부령에 따라 정해지는데, 방화관리대상물의 관계인이 선임한 날부터 14일 이내에 신고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4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소방용기계ㆍ기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방염제
  2. 구조대
  3. 화학반응식거품소화기
  4. 공기호흡기
(정답률: 34%)
  • 화학반응식거품소화기는 소방용기계ㆍ기구 중에서 화재를 직접적으로 진압하는 것이 아니라, 화학반응을 통해 발생하는 거품으로 화재를 진압하는 기구이기 때문에 소방용기계ㆍ기구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61. 소방시설용비상전원수전설비에서 저압으로 전기사업자로 부터 수정하는 비상전원설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전용배전반(1ㆍ2종)
  2. 공용배전반(1ㆍ2종)
  3. 전용분전반(1ㆍ2종)
  4. 공용분전반(1ㆍ2종)
(정답률: 34%)
  • 소방시설용 비상전원설비는 비상시에도 계속 작동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시설이다. 이 중에서 공용배전반(1ㆍ2종)은 다른 시설들과 전기를 공유하는 시설로, 소방시설용 비상전원설비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유는 소방시설용 비상전원설비는 소방시설만을 위해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방시설용 비상전원설비에는 전용배전반(1ㆍ2종)과 전용분전반(1ㆍ2종)이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감지기를 설치하여야 하는 장소는?

  1. 실내의 용적이 30m3 이상인 장소
  2. 부식성 가스가 체류하고 있는 장소
  3. 파이프덕트 등 그 박의 이와 비슷한 것으로서 2개층 마다 방화구획된 것
  4. 욕조나 샤워시설이 있는 화장실
(정답률: 52%)
  • 감지기는 화재나 가스 누출 등 위험 상황을 감지하여 조치를 취하기 위한 장치이다. 따라서 용적이 큰 실내 공간에서는 화재가 발생할 경우 빠르게 감지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감지기를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실내의 용적이 30m3 이상인 장소"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공기관식 차동식분포형감지기의 설치 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기관은 도중에서 분기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
  2. 공기관의 노출부분은 감지구역마다 20m 이상이 되도록 할 것
  3. 하나의 검출부분에 접속하는 공기관의 길이는 100m 이상으로 할 것
  4. 공기관과 감지구역의 각 변과의 수평거리는 1.5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정답률: 41%)
  • "하나의 검출부분에 접속하는 공기관의 길이는 100m 이상으로 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 기준은 공기관식 차동식분포형감지기의 설치 기준 중 하나이지만, 이유는 설명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유는 정확히 알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이온화식 감지기의 내부이온실 및 외부이온실에 사용되고 있는 방사성 동위원소는?

  1. 마그네슘
  2. 아메리슘
  3. 나트륨
  4. 니크롬
(정답률: 57%)
  • 이온화식 감지기의 내부이온실 및 외부이온실에 사용되고 있는 방사성 동위원소는 아메리슘이다. 이는 아메리슘의 방사능이 이온화식 감지기에서 이온화를 일으켜 전류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이 전류는 이온화식 감지기에서 입자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전하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자동식사이렌설비는 그 설비에 대한 감시상태를 몇 분간 지속한 후 유효하게 10분 이상 경보할 수 있는 축전지 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20분
  2. 30분
  3. 60분
  4. 120분
(정답률: 83%)
  • 자동식사이렌설비는 긴급상황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이 필요하기 때문에, 감시상태를 몇 분간 지속한 후에도 계속해서 경보를 울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유효하게 10분 이상 경보할 수 있는 축전지 설비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 때, 60분이 가장 적절한 시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분이나 30분은 경보가 너무 빨리 종료될 우려가 있고, 120분은 경보가 너무 오래 지속될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누전경보기의 전원은 분전반으로부터 전용회로로 하고 각 극에 개폐기 및 몇 [A] 이하의 과전류차단기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5A
  2. 20A
  3. 25A
  4. 30A
(정답률: 78%)
  • 누전경보기는 과전류를 감지하여 안전을 유지하는 장치이므로, 과전류차단기를 설치해야 합니다. 이때, 누전경보기의 전류는 일반적으로 15A 이하이므로, 15A 이하의 과전류차단기를 설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5A"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비상방송설비에서 실외에 설치하는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몇 [W] 이상이어야 하는가?

  1. 0.3W
  2. 1.0W
  3. 3.0W
  4. 30W
(정답률: 78%)
  • 비상방송설비에서 실외에 설치하는 확성기는 넓은 공간을 커버해야 하므로, 소리가 크고 선명해야 합니다. 따라서 음성입력은 최소한 3.0W 이상이어야 합니다. 0.3W나 1.0W는 소리가 너무 작아서 듣기 어렵고, 30W는 과도한 소리로 인해 귀에 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바닥면적이 340m2인 장소에 차동식스포트형 감지기(2종)를 설치하고자 한다. 최소 설치 개수는? (단, 감지기 설치 높이는 3.8m 이며 주요구조부가 내화 구조로 된 소방대상물 이다.)

  1. 4
  2. 5
  3. 6
  4. 7
(정답률: 45%)
  • 장소의 바닥면적이 340m2이므로, 한 대의 감지기로는 모든 구역을 감지할 수 없다. 따라서 최소 2대 이상의 감지기가 필요하다.

    감지기 설치 높이가 3.8m이므로, 감지기의 감지 범위는 지름이 약 7.6m인 원형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한 대의 감지기가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은 다음과 같다.

    면적 = πr2 = 3.14 x (7.6/2)2 = 28.67m2

    따라서, 2대의 감지기가 커버할 수 있는 면적은 2 x 28.67m2 = 57.34m2이다.

    340m2의 면적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최소 340/57.34 ≈ 5.93 대의 감지기가 필요하다. 따라서, 최소 설치 개수는 6대이다.

    단, 이 문제에서는 "소방대상물"이라는 조건이 주어졌으므로, 소방법 등 관련 법규에서 정한 기준에 따라 더 많은 감지기를 설치해야 할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무선기가 접속단자 설치기준으로 적합하지 아니한 것은?

  1. 접속단자는 지상에서 유효하게 소방활동을 할 수 있는 장소 또는 수위실 등에 설치할 것
  2. 접속단자의 설치높이는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3. 지상의 접속단자는 보행거리 300m 이내마다 설치할 것
  4. 접속단자의 보호함 표면에는 “소방용 접속단자”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정답률: 57%)
  • "접속단자의 보호함 표면에는 “소방용 접속단자”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은 무선통신보조설비의 무선기가 아닌 접속단자의 설치기준이다. 따라서 이 중에서는 적합하지 않은 것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보상식스포트형감지기는 정온점이 감지기 주위의 평상시 최고온도보다 몇[℃] 높은 것으로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80%)
  • 보상식스포트형감지기는 화재 발생 시 온도 상승을 감지하여 경보를 울리는 장치입니다. 이 때, 정확한 감지를 위해서는 감지기 주위의 평상시 최고온도를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이 최고온도보다 몇℃ 높은 온도를 정온점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이유는 정온점을 설정할 때, 감지기 주위의 온도 변화에 따라 경보가 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정온점이 너무 낮게 설정되면, 감지기 주위의 온도 변화에 따라 경보가 울리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온점은 감지기 주위의 평상시 최고온도보다 20℃ 높은 것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방폭ㆍ방식ㆍ방습ㆍ방온ㆍ방진 및 정전기 차폐등의 방호조치를 하지 않은 누전경보기의 수신기를 설치할 수 있는 장소는?

  1. 습도가 높은 장소
  2. 온도의 변화가 완만한 장소
  3. 화약류를 제조하거나 저장 또는 취급하는 장소
  4. 가연성의 증기ㆍ먼지ㆍ가스 등이나 부식성의 증기ㆍ가스 등이 다량으로 체류하는 장소
(정답률: 78%)
  • 누전경보기는 전기적인 문제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이므로, 화약류나 가연성 물질이 있는 장소에는 설치할 수 없습니다. 또한 부식성 물질이 많이 있는 장소에도 설치할 수 없습니다. 습도가 높은 장소에서는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누전경보기를 설치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온도의 변화가 완만한 장소에서만 누전경보기의 수신기를 설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비상콘센트설비에 있어 하나의 전용회로에 설치하는 비산콘센트는 몇 개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5개
  2. 10개
  3. 50개
  4. 100개
(정답률: 78%)
  • 비상콘센트는 비상시에 전기적인 장애로 인해 일반 콘센트가 작동하지 않을 때 사용되는 장비입니다. 따라서, 비상시에도 계속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전용회로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이때, 전용회로에는 다른 전기적인 부하가 없어야 하므로, 하나의 전용회로에는 10개 이하의 비상콘센트만 설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광전식분리형감지기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 중 맞는 것은?

  1. 광축은 나란한 벽으로부터 0.5m 이상 이격하여 설치
  2. 감지기의 송광부와 수광부는 설치된 뒷벽으로부터 1.5m 이내 위치에 설치
  3. 광축의 높이는 천장 등 높이의 90% 이상일 것
  4. 감지기의 공축의 길이는 공칭감시거리 범위이내 일 것
(정답률: 47%)
  • 감지기의 공축의 길이는 공칭감시거리 범위 이내여야 하는 이유는, 감지기가 설치된 위치에서 감지할 수 있는 범위가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공축의 길이가 공칭감시거리 범위를 벗어나면, 감지기가 감지해야 할 범위를 벗어나게 되어 감지기의 정확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감지기의 공축의 길이는 공칭감시거리 범위 이내로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증촉기 설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축정지 도는 교류 전압 옥내간선으로 하여야 한다.
  2. 전원까지의 배선은 전용으로 하여야 한다.
  3. 증폭기의 비상전원 용량은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유효하게 2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하여야 한다.
  4. 증폭기의 전면에는 주 회로의 전원이 정상이지의 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등 및 전압계를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75%)
  • "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축정지 도는 교류 전압 옥내간선으로 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전원은 축전지나 발전기 등의 비상전원을 포함하여 여러 가지 방법으로 공급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중 휴대용비상조명등의 기준 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하상가 및 지하역사에는 보행거리 25m 이내 마다 3개 이상 설치할 것
  2. 설치높이는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3. 건전지 및 충전식 배터리의 용량은 60분 이상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4. 사용시 자동으로 점등되고 외함은 난연성능이 있을 것
(정답률: 67%)
  • "건전지 및 충전식 배터리의 용량은 60분 이상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은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비상상황에서는 긴 시간동안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충분한 용량을 가진 배터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60분 이상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이 필요하다는 기준이 적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비상벨설비 또는 자동식 사이렌설비의 음향장치는 정격전압의 몇 [%] 전압에서 음향을 발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는가?

  1. 20%
  2. 40%
  3. 60%
  4. 80%
(정답률: 80%)
  • 비상벨설비 또는 자동식 사이렌설비의 음향장치는 정격전압의 80% 전압에서 음향을 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는 안전한 경보를 위해 설계된 것으로, 전압이 너무 낮으면 소리가 너무 작아서 경보를 듣지 못할 수 있고, 전압이 너무 높으면 소리가 너무 크고 귀에 해를 입힐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80% 전압에서 음향을 발하도록 설계하여 적절한 경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 ㉮ ), ( ㉯ ), (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 5, ㉯ 1000, ㉰ 2000
  2. ㉮ 5, ㉯ 2000, ㉰ 3000
  3. ㉮ 7, ㉯ 1000, ㉰ 2000
  4. ㉮ 7, ㉯ 2000, ㉰ 3000
(정답률: 67%)
  • 이 보기는 한국 동서발전에서 발행한 지폐의 액면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은 5천원권, ㉯는 1만원권, ㉰은 5만원권을 나타낸다. 따라서, ㉮ 7은 5천원권 7장, ㉯ 2000은 1만원권 2000장, ㉰ 3000은 5만원권 3000장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전선의 약호와 설명을 나타낸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HIV : 600V 2종 비닐절연전선
  2. IV : 600V 비닐절연전선
  3. OW : 옥외용 비닐절연전선
  4. DV : 배기닥트용 비닐절연전선
(정답률: 41%)
  • 정답: "HIV : 600V 2종 비닐절연전선"

    해설: HIV는 600V 2종 비닐절연전선이 아니라 600V 2종 고무절연전선을 뜻합니다. DV는 배기닥트용 비닐절연전선으로, 배기닥트와 같이 고온, 고습환경에서 사용되는 전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피난기구의 축광식표지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방사성물질을 사용하는 위치표지는 사용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2. 위치표지는 주위 조도 0lx에서 60분간 발광 후 직선 거리 10m 떨어진 위치에서 보통시력으로 표시면의 문자 등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3. 피난기구를 설치한 장소에는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피난기구의 위치를 표시하는 발광식 또는 축광식 표지와 그 사용방법을 표시한 표지를 부착할 것
  4. 위치표지의 표지면의 휘도는 주위 조도 0lx에서 60분 간 발광후 7mcd/m2으로 할 것
(정답률: 50%)
  • "방사성물질을 사용하는 위치표지는 사용하지 아니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오히려 방사성물질을 사용하는 장소에서는 방사성물질을 사용하는 위치표지를 사용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기 때문이다. 이는 해당 장소에서 방사성물질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리고, 안전한 대처 방법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비상방송설비의 설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엘리베이터 내부에는 별도의 음향장치를 설치하였다.
  2. 음량조정기를 설치하므로 음량조정기의 배선은 2선식으로 하였다.
  3. 비상방송용 확성기를 각 층마다 설치하였다.
  4. 실내에 설치된 비상방송 확성기의 음성입력을 확인해보니 2W 이었다.
(정답률: 66%)
  • "음량조정기를 설치하므로 음량조정기의 배선은 2선식으로 하였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음량조정기의 배선은 3선식으로 해야 한다. 3선식으로 하면 음량조정기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