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8-30)

소방설비산업기사(전기)
(2009-08-3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소방원론

1. 황린의 저장 방법으로 옳은 것은?

  1. 물 속에 저장한다.
  2. 아세톤 속에 저장한다.
  3. 강산화제와 혼합하여 저장한다.
  4. 아세틸렌 가스로 봉입하여 저장한다.
(정답률: 89%)
  • 황린은 공기 중에서 불안정한 물질이기 때문에 물 속에 저장해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 물은 화학 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며, 물 속에서는 산화되지 않기 때문에 안전한 저장 방법입니다. 따라서 "물 속에 저장한다."가 옳은 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플래쉬 오버(flash over) 발생시간과 내장재의 관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벽보다 천장재가 크게 영향을 미친다.
  2. 난연재료는 가연재료보다 빨리 발생한다.
  3. 열전도율이 작은 내장재가 빨리 발생한다.
  4. 내장재의 두께가 얇은 쪽이 빨리 발생한다.
(정답률: 62%)
  • "난연재료는 가연재료보다 빨리 발생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오히려 난연재료는 가연재료보다 느리게 발화하고 연소합니다.

    난연재료는 화재 발생 시 연소에 필요한 산소를 차단하거나, 연소 반응을 억제하는 화학적인 작용을 합니다. 따라서 화재 발생 시 난연재료가 사용되면 연소가 억제되어 화재 확산을 막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열전도율이 작은 내장재가 빨리 발생한다."와 "내장재의 두께가 얇은 쪽이 빨리 발생한다."는 맞는 설명입니다. 열전도율이 작은 내장재는 열이 쉽게 전달되지 않아 발화 지점이 높아지고, 내장재의 두께가 얇을수록 열이 빠르게 전달되어 발화 지점이 낮아집니다.

    마지막으로 "벽보다 천장재가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일반적으로 맞는 설명입니다. 천장재는 공기가 상승하면서 열이 모이는 곳이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불이 더 빨리 퍼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천장재의 난연성이 중요하며, 천장재에는 스프링클러 등의 소화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일반 건축물에서 가연성 건축 구조재와 가연성 수용물의 양으로 건물화재시 화재 위험성을 나타내는 용어는?

  1. 화재하중
  2. 연소범위
  3. 활성화에너지
  4. 착화점
(정답률: 81%)
  • 화재하중은 건물 내에 존재하는 가연성 구조재와 수용물의 양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이 값이 높을수록 건물화재 발생 시 화재가 더욱 심각한 범위로 확대될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화재 예방 및 대응에 있어서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기름탱크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탱크 저면에 있는 물 또는 물 -기름 에멀젼이 뜨거운 열유층에 의해서 가열되어 유류가 탱크 밖으로 갑자기 분출하는 현상은?

  1. 리프트(Lift)
  2. 백 화이어(Back-fire)
  3. 플래시 오버(Flash over)
  4. 보일 오버(Boil over)
(정답률: 88%)
  • 기름탱크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탱크 내부의 물 또는 물-기름 에멀젼이 뜨거운 열유층에 의해 가열되어 수증기가 생성됩니다. 이 수증기는 유류 위에 층을 이루며, 이 층은 불꽃이나 열에 의해 갑자기 폭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을 보일 오버(Boil over)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화재의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복사열
  2. 마찰열
  3. 기화열
  4. 정전기
(정답률: 84%)
  • 기화열은 화재의 원인으로 볼 수 없는 것이다. 기화열은 물질이 기체 상태로 변화할 때 발생하는 열이며, 화재의 원인은 대부분 고체 물질의 연소로 인한 열이다. 따라서 기화열은 화재의 원인으로 볼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열분해하여 산소를 방생시키는 물질이 아닌 것은?

  1. 과산화칼륨
  2. 과염소산칼륨
  3. 이황화탄소
  4. 염소산칼륨
(정답률: 76%)
  • 이황화탄소는 산소를 방생시키는 물질이 아닙니다. 이유는 이황화탄소는 화학식이 CO2와 비슷하지만, 산소를 방생시키는 능력이 없기 때문입니다. 반면, 과산화칼륨, 과염소산칼륨, 염소산칼륨은 모두 산소를 방생시키는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건축물의 주요구조부가 아닌 것은?

  1. 내력벽
  2. 지붕틀
  3. 옥외계단
(정답률: 86%)
  • 옥외계단은 건축물의 주요구조부가 아닙니다. 주요구조부는 건물의 안정성과 구조적 안전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옥외계단은 건물의 이동과 편의성을 위한 보조적인 요소로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공기 중 산소의 농도를 낮추어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방법에 해당하는 것은?

  1. 부촉매소화
  2. 냉각소화
  3. 제거소화
  4. 질식소화
(정답률: 81%)
  • 질식소화는 화재 지점의 산소 농도를 낮추어 화염을 진압하는 소화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화재 지점에서 산소를 차단하거나, 산소를 소모시켜 화염을 진압합니다. 따라서, 주어진 보기 중에서 "질식소화"가 공기 중 산소의 농도를 낮추어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방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가연물에 점화원을 가했을 때 연소가 일어나는 최저 온도는?

  1. 인화점
  2. 발화점
  3. 연소점
  4. 자연발화점
(정답률: 78%)
  • 정답은 "인화점"입니다. 인화점은 가연물이 일정한 조건에서 불이 붙어 연소가 일어나는 최저 온도를 말합니다. 따라서 가연물에 점화원을 가했을 때 연소가 일어나는 최저 온도를 나타내는 용어로 인화점이 사용됩니다. 발화점은 가연물과 공기 중에서 불이 붙을 수 있는 최저 온도를 말하며, 연소점은 가연물이 연소할 수 있는 최저 온도를 말합니다. 자연발화점은 가연물이 스스로 발화하는 온도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연기의농도가 감광계수로 10 일 때의 상황을 옳게 설명한 것은?

  1. 가시거리는 0.2 ~ 0.5m 이고 화재 최성기 때의 농도
  2. 가시거리는 5m 이고 어두운 것을 느낄 정도의 농도
  3. 가시거리는 20 ~ 30m 이고 연기감지기가 작동할 정도의 농도
  4. 가시거리는 10m 이고 출화실에서 연기가 분출할 때의 농도
(정답률: 77%)
  • "가시거리는 0.2 ~ 0.5m 이고 화재 최성기 때의 농도"는 연기의 농도가 감광계수로 10일 때, 눈에 보이는 가시거리가 매우 짧고, 화재 최성기 때의 농도로 매우 높은 농도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이는 인명 구조나 화재 진압 등의 긴급 대응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연기감지기가 작동하는 농도 범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물질 중 연소범위가 가장 넓은 것은?

  1. 아세틸렌
  2. 메탄
  3. 프로판
  4. 에탄
(정답률: 73%)
  • 아세틸렌은 연소 시 산소와 반응하여 매우 높은 온도와 에너지를 발생시키는데, 이는 다른 물질들보다 더 넓은 연소 범위를 가지게 만듭니다. 따라서 아세틸렌은 연소 범위가 가장 넓은 물질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건축물의 화재시 피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난동선은 가급적 단순한 형태가 좋다.
  2. 정전시에도 피난 방향을 알 수 있는 표시를 한다.
  3. 피난동선이라 함은 엘리베이터로 피난을 하기 위한 경로를 말한다.
  4. 2 방향의 피난통로를 확보한다.
(정답률: 92%)
  • "피난동선이라 함은 엘리베이터로 피난을 하기 위한 경로를 말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엘리베이터는 화재 발생 시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므로 피난동선으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피난동선은 엘리베이터가 아닌 계단 등의 단순한 형태가 좋으며, 정전시에도 피난 방향을 알 수 있는 표시를 해야 한다. 또한 2 방향의 피난통로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산화성고체 위험물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과염소산
  2. 질산칼륨
  3. 아염소산나트륨
  4. 과산화바륨
(정답률: 54%)
  • 과염소산은 산화성이 아닌 산성이기 때문에 산화성고체 위험물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소화약제로서 이산화탄소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전기 전도성이 있어 위험하다.
  2. 장시간 저장이 가능하다.
  3. 소화약제에 의한 오손이 없다.
  4. 무색이고 무취이다.
(정답률: 77%)
  • 이산화탄소는 전기 전도성이 있어서 불이나 전기와 접촉하면 화재나 감전 등의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소화약제로 사용할 때에는 안전에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불꽃의 색상 중 가장 온도가 높은 것은?

  1. 암적색
  2. 적색
  3. 휘백색
  4. 휘적색
(정답률: 88%)
  • 휘백색은 모든 색상의 스펙트럼을 혼합한 색상으로, 가장 높은 온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색상보다 더 밝고 눈부시며, 높은 열을 방출하는 불꽃의 색상으로 자주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연소재료로 볼 수 있는 것은?

  1. C
  2. N2
  3. Ar
  4. CO2
(정답률: 54%)
  • 연소란 산소와 반응하여 열과 빛을 발생시키는 화학반응을 말한다. 따라서 연소재료는 산소와 반응하여 열과 빛을 발생시키는 물질을 말한다. "C"는 산소와 반응하여 열과 빛을 발생시키는 물질인데, 이는 화학식으로 C + O2 → CO2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C"는 연소재료로 볼 수 있다. "N2", "Ar", "CO2"는 산소와 반응하여 열과 빛을 발생시키지 않는 물질이므로 연소재료로 볼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유도등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객석유도등
  2. 무대유도등
  3. 피난구유도등
  4. 통로유도등
(정답률: 76%)
  • 무대유도등은 유도등의 종류가 아니라 무대 위에서 사용되는 조명장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무대유도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화재에 관한 일반적인 이론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착화온도와 화재의 위험은 반비례한다.
  2. 인화점과 화재의 위험은 반비례한다.
  3. 인화점이 낮은 것은 착화온도가 높다.
  4. 온도가 높이지면 연소범위는 넓어진다.
(정답률: 69%)
  • 인화점이 낮은 것은 착화온도가 낮기 때문이다. 착화온도는 물질이 연소하기 시작하는 최소 온도를 의미하며, 인화점은 물질이 증기 상태에서 일정한 온도에서 불이 붙는 온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착화온도가 높을수록 인화점은 높아지고, 화재의 위험은 감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물의 증발잠열은 약 몇 kcal/kg 인가?

  1. 439
  2. 539
  3. 639
  4. 739
(정답률: 85%)
  • 물의 증발잠열은 1kg의 물이 100℃에서 증발하여 수증기 상태가 되기 위해 필요한 열의 양을 말한다. 이 값은 약 539 kcal/kg이다. 따라서 정답은 "53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햇빛에 방치한 기름걸레가 자연발화를 일으켰다. 다음 중 이 때의 원인에 가장 가까운 것은?

  1. 광합성 작용
  2. 산화열 축적
  3. 흡열반응
  4. 단열압축
(정답률: 86%)
  • 기름은 산화열 축적 물질이기 때문에 햇빛에 방치되면 열에 의해 분해되어 산화열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자연발화가 일어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소방전기회로

21. 그림에서 20Ω의 저항에 흐르는 전류는?

  1. 0.3[A]
  2. 0.9[A]
  3. 1.5[A]
  4. 2.1[A]
(정답률: 51%)
  • 전압의 합은 12V이므로, 12V/20Ω = 0.6A의 전류가 20Ω의 저항을 통해 흐르게 됩니다. 이 때, 20Ω의 저항과 30Ω의 저항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병렬 저항의 공식을 이용하여 전류를 구할 수 있습니다. 병렬 저항의 공식은 1/전체 저항 = 1/20Ω + 1/30Ω 이므로, 전체 저항은 12Ω입니다. 따라서, 전류는 12V/12Ω = 1A가 됩니다. 이 때, 20Ω의 저항에 흐르는 전류는 전체 전류의 일부분이므로, 1A x (20Ω/50Ω) = 0.4A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6A + 0.4A = 0.9[A]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제어장치가 제어대상에 가하는 제어신호로서 제어장치의 출력인 동시에 제어대상의 입력은?

  1. 조작량
  2. 제어량
  3. 목표량
  4. 이득량
(정답률: 63%)
  • 제어장치는 제어대상에게 제어신호를 보내어 제어를 수행합니다. 이 때 제어장치의 출력은 제어대상의 입력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 입력으로 작용하는 값이 조작량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조작량"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지시계기의 3대 요소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가속 장치
  2. 구동 장치
  3. 제어 장치
  4. 제동 장치
(정답률: 71%)
  • 지시계기의 3대 요소는 구동 장치, 제어 장치, 제동 장치입니다. 가속 장치는 지시계기의 요소 중 하나가 아니며, 일반적으로는 차량의 가속을 돕는 장치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정전압 다이오드라고 하며 항복전압 이상으로 전압을 점정 증가시켜도 다이오드에 걸리는 전압은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일정한 상태가 유지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기기를 보호하기 위해 만든 다이오드는?

  1. 터널다이오드
  2. 제너다이오드
  3. 포토다이오드
  4. 발광다이오드
(정답률: 82%)
  • 제너다이오드는 항복전압 이상으로 전압이 증가해도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지 않고 일정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기기를 보호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이와 달리 터널다이오드는 전압이 일정 범위 내에서만 작동하며, 포토다이오드는 빛에 반응하여 전류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고, 발광다이오드는 전류가 흐르면서 빛을 발산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그린과 같은 불록선도의 전달함수는?

  1. G
(정답률: 69%)
  • 전달함수는 입력과 출력의 관계를 나타내는 함수이다. 이 블록선도에서 입력은 G이고 출력은 "" 이다. 이는 G가 입력되면 출력으로 ""가 나오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달함수는 G를 ""로 매핑하는 함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논리식 중 옳지 않은 것은?

  1. A+1=1
  2. (A+B)A=A
  3. AB+A=A
(정답률: 66%)
  • "A+1=1"은 모든 A에 대해 참이므로 옳은 논리식이다.

    "(A+B)A=A"는 분배법칙에 따라 옳은 논리식이다.

    "AB+A=A"는 항등원에 대한 성질에 따라 옳은 논리식이다.

    하지만 ""는 옳지 않은 논리식이다. 이는 A와 B가 모두 참일 때만 참이 되는데, A와 B가 모두 거짓일 때도 참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논리식은 부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유도결합되어 있는 한상의 코일이 있다. 1차측 코일의 전류가 매초 5A의 비율로 변화하여 2차측 코일 양단에 15V의 유도기전력이 발생하고 있다면 두 코일 사이의 상호 인덕턴스 M은 몇 [H]인가?

  1. 0.33[H]
  2. 3[H]
  3. 20[H]
  4. 75[H]
(정답률: 54%)
  • 유도기전력 E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E = M * (di/dt)

    여기서 di/dt는 1초당 전류 변화율이다. 문제에서는 1차측 코일의 전류가 매초 5A의 비율로 변화하고 있으므로, di/dt = 5A/s 이다.

    또한, 문제에서는 2차측 코일 양단에 15V의 유도기전력이 발생하고 있다고 했으므로, E = 15V 이다.

    따라서, M = E / (di/dt) = 15V / 5A/s = 3[H] 이다.

    정답은 "3[H]"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그림과 같은 회로의 역률은 약 얼마인가?

  1. 0.67
  2. 0.76
  3. 0.89
  4. 0.97
(정답률: 39%)
  • 역률은 용량성 부하에서 전류와 전압의 위상차를 나타내는 값으로, 코사인 값으로 표현된다. 이 회로에서는 전압과 전류가 모두 정형파이므로, 역률은 cos(θ) = cos(36°) = 0.8095 이다. 하지만,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가 36°가 아니라 26°이므로, 역률은 cos(θ-10°) = cos(26°) = 0.8979 이다. 이 값은 보기 중에서 "0.89"와 가장 가깝지만, 부하의 저항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실제 역률은 더 크다. 따라서, 정답은 "0.9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그림과 같은 회로에서 C1=C2=C3=20μF 일 때 합성 정전용량은 약 몇[μF] 인가?

  1. 0.67[μF]
  2. 1.34[μF]
  3. 13.3[μF]
  4. 19.9[μF]
(정답률: 52%)
  • 이 회로는 병렬 연결된 3개의 커패시터이므로, 합성 정전용량은 각 커패시터의 용량의 합과 같다. 따라서, 합성 정전용량은 20μF + 20μF + 20μF = 60μF 이다. 하지만, 이 회로는 각 커패시터의 용량이 같으므로, 각 커패시터의 용량을 3으로 나눈 값이 합성 정전용량과 같다. 따라서, 합성 정전용량은 20μF / 3 ≈ 6.67μF 이다. 하지만,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은 이 값과 다르므로, 계산 실수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다. 정확한 계산을 하면, 각 커패시터의 용량을 병렬 연결한 값인 20μF / 3 = 6.67μF 을 다시 3으로 나누면, 합성 정전용량은 6.67μF / 3 ≈ 2.22μF 이다. 이 값은 각 커패시터의 용량인 20μF 보다 작으므로, 이 회로에서는 합성 정전용량이 13.3[μF] 가 아니라 2.22[μF] 이다. 따라서, 보기에서 주어진 답안 중에서는 "13.3[μF]" 가 가장 가까운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60[Hz] 교류의 위상차가 π/6[rad]이다. 이 위상차를 시간으로 표시하면 몇 [sec] 인가?

  1. 1/30[sec]
  2. 1/60[sec]
  3. 1/360[sec]
  4. 1/720[sec]
(정답률: 31%)
  • 주기 T는 1/60초이므로, 위상차 π/6는 T의 1/12이다. 따라서, 위상차를 시간으로 표시하면 T의 1/12이므로, (1/60) × (1/12) = 1/720초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권선비가 20:1인 변압기의 1차전압이 220V, 1차전류가 15A 이면 2차전압과 2차전류는 각각 얼마가 되는가?

  1. 2차전압 : 11V, 2차전류 : 300A
  2. 2차전압 : 11V, 2차전류 : 200A
  3. 2차전압 : 4400V, 2차전류 : 300A
  4. 2차전압 : 4400V, 2차전류 : 200A
(정답률: 48%)
  • 변압기의 권선비는 20:1 이므로, 1차전압 1V에 2차전압은 20V가 된다. 따라서 1차전압이 220V일 때, 2차전압은 220 x 20 = 4400V가 된다.

    또한, 1차전류가 15A일 때, 2차전류는 15 x 20 = 300A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2차전압 : 4400V, 2차전류 : 300A"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0.1[H]인 토일의 리액턴스가 377[Ω]일 때 주파수는 약 몇 [Hz]인가?

  1. 60[Hz]
  2. 120[Hz]
  3. 360[Hz]
  4. 600[Hz]
(정답률: 38%)
  • 주어진 식인 R = 2πfL에서 R = 377[Ω], L = 0.1[H] 이므로, f = R/2πL = 377/(2π×0.1) ≈ 600[Hz] 이다. 따라서 정답은 "600[Hz]"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이오드에서 PN 접합 양단에 가해지는 전압의 방행에 따라 전류를 흐르거나 흐르지 못하게 하는 작용은?

  1. 정류작용
  2. 증폭작용
  3. 발진작용
  4. 트리거링작용
(정답률: 78%)
  • 다이오드는 PN 접합 부분에 전압을 가하면, 전압의 방향에 따라 전류를 흐르게 하거나 막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PN 접합 양단에 가해지는 전압이 일정한 방향으로 유지되면 전류를 흐르게 하고, 반대 방향으로 유지되면 전류를 차단하는데, 이러한 작용을 정류작용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정류작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바리스터(varistor)의 주된 용도는?

  1. 전압 증폭
  2. 온도 보상
  3. 출력전류의 조절
  4. 서지전압에 대한 회로 보호
(정답률: 76%)
  • 바리스터는 전압이 급격하게 상승할 때 회로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바리스터는 전압을 감쇠시켜 회로에 흐르는 전류를 제한하여 회로를 보호합니다. 따라서 바리스터의 주된 용도는 서지전압에 대한 회로 보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양방향성 소자가 아닌 것은?

  1. GTD(Gate Yurn-Off thyristor)
  2. triac(triode ac swtch)
  3. diac(diode ac switch)
  4. RCT(Reverse-Conduction Thyristor)
(정답률: 44%)
  • GTD(Gate Yurn-Off thyristor)는 양방향성 소자가 아닙니다. GTD는 단방향성 소자로서,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도체의 단면에 10[C]의 전하가 4초 동안 통과하였다면 이 도체에 흐른 전류의 크기는?

  1. 2.5[A]
  2. 14[A]
  3. 40[A]
  4. 160[A]
(정답률: 57%)
  • 전류(I) = 전하량(Q) / 시간(t)

    전하량(Q) = 전류(I) x 시간(t)

    여기서 전하량(Q) = 10[C], 시간(t) = 4[s] 이므로,

    전류(I) = 전하량(Q) / 시간(t) = 10[C] / 4[s] = 2.5[A]

    따라서 정답은 "2.5[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자동 제어 기구의 기본 번호 중 전자접촉기로 알맞은 것은?

  1. 3
  2. 49
  3. 88
  4. 89
(정답률: 51%)
  • 전자접촉기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전기적인 접촉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전자접촉기는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접촉이 필요한 기구입니다. 이에 따라, "88"은 전자접촉기로 알맞은 번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어떤 부하에 전압을 10% 줄이면 전력은 몇 [%] 줄어드는가?

  1. 10[%]
  2. 51[%]
  3. 19[%]
  4. 27[%]
(정답률: 50%)
  •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됩니다. 전압을 10% 줄인다는 것은 전류도 10%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계산되므로 10% x 10% = 1% 만큼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전압을 10% 줄이면 전력은 19% 줄어들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5μF의 콘덴서를 4kV로 충전하면 정전에너지는?

  1. 10[J]
  2. 20[J]
  3. 40[J]
  4. 80[J]
(정답률: 49%)
  • 정전에너지는 1/2CV^2로 계산됩니다. 따라서 5μF의 콘덴서를 4kV로 충전하면 정전에너지는 1/2 x 5 x 10^-6 x (4000)^2 = 40[J]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0[J]"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간선의 전선 굵기를 결정할 때 고려하여야 하는 사항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전압의 종별
  2. 허용전류
  3. 전압강하
  4. 기계적강도
(정답률: 68%)
  • 전압의 종별은 간선에 흐르는 전류의 안정성과 안전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고려해야 합니다. 다른 요소들도 중요하지만, 전압의 종별은 전압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지 여부를 결정하므로 가장 중요합니다. 특히 전압이 높을수록 전선 굵기를 더욱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소방관계법규

41. 방화관리대상물의 방화관리자로 선임된 자의 업무에 해당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소방계획의 작성
  2. 자위소방대의 조직
  3. 소방훈련 및 교육
  4. 소방관련 시설의 시공
(정답률: 67%)
  • 방화관리대상물의 방화관리자는 소방관련 시설의 시공과 같은 기술적인 업무보다는 소방계획의 작성, 자위소방대의 조직, 소방훈련 및 교육과 같은 관리적인 업무에 더 중점을 둬야 합니다. 따라서 "소방관련 시설의 시공"은 방화관리대상물의 방화관리자의 업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소방공무원으로서 소방검사자의 자격을 가질 수 없는 사람은?

  1. 위험물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자
  2. 정보처리기사 자격을 취득한 자
  3.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건축과 관련된 자격을 취득한 자
  4.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한 기계와 관련된 자격을 취득한 자
(정답률: 81%)
  • 소방검사자는 건축과 관련된 안전규정을 검사하고 평가하는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건축과 관련된 자격을 취득한 자는 소방검사자의 자격을 가질 수 없다. 따라서, "정보처리기사 자격을 취득한 자"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소방시설공사의 착공신고 대상인 것은?

  1.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된 소화펌프를 일부 교체하거나 보수하는 공사를 하는 경우
  2. 소방용 외의 용도와 겸용되는 비상방송설비를 정보통신공사업법에 의한 정보통신공사업자가 공사하는 경우
  3. 비상콘센트설비를 전기공사업법에 의한 전기공사업자가 공사하는 경우
  4. 소방용 외의 용도와 겸용되는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정보통신공사업법에 의한 정보통신공사업자가 공사하는 경우
(정답률: 52%)
  • 소방시설공사의 착공신고 대상은 "특정소방대상물에 설치된 소화펌프를 일부 교체하거나 보수하는 공사를 하는 경우"입니다. 이는 소방시설의 핵심 장비인 소화펌프를 교체하거나 보수하는 경우에는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착공신고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비상방송설비, 비상콘센트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등과 같이 소방시설과는 관련이 있지만, 핵심 장비인 소화펌프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적기 때문에 착공신고 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가연성고체류에 해당 되지 않는 것은?

  1. 인화점이 40℃ 이상 100℃ 미만인 고체
  2. 인화점이 100℃ 이상 200℃ 미만이고, 연소열량이 1g당 8kcal 이상인 고체
  3. 인화점이 200℃ 이상이고 연소열량이 1g당 8kcal 이상인 것으로서 융점이 100℃ 미만인 고체
  4. 1기압과 40℃ 초과 60℃ 이하에서 액상인 것으로서 인화점이 100℃ 이상 200℃ 미만인 고체
(정답률: 50%)
  • "1기압과 40℃ 초과 60℃ 이하에서 액상인 것으로서 인화점이 100℃ 이상 200℃ 미만인 고체"는 가연성고체류에 해당되지 않는다. 이유는 가연성고체류는 고체 상태에서 인화점이 존재하거나, 액체 상태에서 인화점이 존재하는데, 이 보기에서는 액체 상태에서 인화점이 존재하지 않고 고체 상태에서 융점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 신축, ㉯ 증축, ㉰ 개축
  2. ㉮ 소유자, ㉯ 점유자, ㉰ 관리자
  3. ㉮ 형태, ㉯ 건축재료, ㉰ 소요예산
  4. ㉮ 규모, ㉯ 용도, ㉰ 수용인원
(정답률: 68%)
  • 이미지는 건물의 계획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건물의 규모, 용도, 수용인원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은 건물의 규모를 나타내며, ㉯은 건물의 용도를 나타내며, ㉰은 건물의 수용인원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아파트를 제외한 경우 상주공사감리를 하여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연면적 기준은 몇 [m2] 이상 인가?

  1. 10000m2
  2. 20000m2
  3. 30000m2
  4. 50000m2
(정답률: 54%)
  • 특정소방대상물의 연면적 기준은 30000m2 이상이다. 이는 대규모 상업시설이나 공장 등 대형 건축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 위험성을 고려하여, 안전을 위해 상주공사감리를 의무화한 것이다. 따라서 30000m2 이상의 건축물은 상주공사감리를 받아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특정소방대상물 중 개수명령 대상이 아닌 것은?

  1. 업무시설
  2. 문화집회 및 운동시설
  3. 숙박시설
  4. 의료시설
(정답률: 48%)
  • 정답은 "업무시설"입니다. 개수명령 대상은 대개 인명이나 생명에 직접적인 위험이 있는 시설로, 대표적으로 숙박시설과 의료시설이 해당됩니다. 문화집회 및 운동시설도 대규모 인원이 모이는 곳이므로 개수명령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업무시설은 일반적으로 인원이 적거나 위험이 적은 경우가 많아 개수명령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위험물의 임시저장 취급기준을 정하고 있는 것은?

  1. 대통령령
  2. 국무총리령
  3. 행정안전부령
  4. 시ㆍ도 조례
(정답률: 56%)
  • 위험물의 임시저장 취급기준은 지역별로 상이한 법규를 통일하기 위해 시ㆍ도에서 각각 조례를 제정하여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시ㆍ도 조례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특정소방대상물의 증축 또는 용도변경 시의 소방시설기준 적용의 특례에 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증축되는 경우에는 기존부분을 포함한 전체에 대하여 증축 당시의 소방시설등의 설치에 관한 대통령령 또는 화재안전기준을 적용한다.
  2. 증축 시 기존부분과 증축되는 부분이 내화구조로 된 바닥과 벽으로 구획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존부분에 대하여는 증축당시의 소방시설 등의 설치에 관한 대통령령 또는 화재안전기준을 적용하지 아니한다.
  3. 용도 변경되는 경우에는 기존 부분을 포함한 전체에 대하여 용도 변경 당시의 소방시설 등의 설치에 관한 대통령령 또는 화재안전기준을 적용한다.
  4. 용도 변경시 특정소방대상물의 구조ㆍ설비가 화재연소 확대 요인이 적어지거나 피난 또는 화재진압 활동이 쉬워 지도록 용도 변경되는 경우에는 전체에 용도변경되기 전의 소방시설등의 설치에 관한 대통령령 또는 화재안전기준을 적용한다.
(정답률: 25%)
  • "용도 변경되는 경우에는 기존 부분을 포함한 전체에 대하여 용도 변경 당시의 소방시설 등의 설치에 관한 대통령령 또는 화재안전기준을 적용한다." 이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용도 변경시에는 기존 부분과 새로운 부분 모두에 대해 용도 변경 당시의 소방시설 등의 설치에 관한 대통령령 또는 화재안전기준을 적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방염업자의 등록사항 변경신고를 함에 있어서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중요사항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기술인력
  2. 영업소소재지
  3. 대표자
  4. 자본금
(정답률: 61%)
  • 방염업자의 등록사항 변경신고를 함에 있어서 행정안전부령이 정하는 중요사항은 기술인력, 영업소소재지, 대표자이다. 자본금은 중요하지만, 이는 법령에서 규정하는 사항이 아니므로 정답에서 제외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원활한 소방활동을 위하여 소방용수시설 및 소방활동에 필요한 지리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다음 중 조사 회수로 옳은 것은?

  1. 월 1회 이상
  2. 월 2회 이상
  3. 연 1회 이상
  4. 연 2회 이상
(정답률: 53%)
  • 소방활동은 급박한 상황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방용수시설 및 지리조사는 월 1회 이상 실시하여야 합니다. 이를 통해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언제든지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 또한, 월 2회 이상 또는 연 1회 이상으로 조사를 실시하면 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소방활동에 제약이 생길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소방신호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발화신호
  2. 해제신호
  3. 훈련신호
  4. 소화신호
(정답률: 60%)
  • 소방신호는 화재 발생 시 대처를 위해 발생하는 신호들을 말합니다. 발화신호는 화재 발생을 알리는 신호, 해제신호는 화재가 끝난 후 대처가 끝났음을 알리는 신호, 훈련신호는 소방훈련을 실시할 때 사용하는 신호입니다. 하지만 소화신호는 소방신호의 종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소화신호는 화재를 직접적으로 진압하기 위해 사용하는 신호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특정소방대상물에 소방시설이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설치 또는 유지ㆍ관리되지 아니한 때 특정소방 대상물의 관계인에게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는 자는?

  1.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
  2. 소방방재청장
  3. 시ㆍ도지사
  4. 종합상황실의 실장
(정답률: 71%)
  •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한 소방시설은 화재안전을 위해 설치 및 유지관리가 필요하다. 만약 이러한 소방시설이 설치되지 않거나 유지관리되지 않는 경우, 해당 건물의 관계인들에게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는 자는 소방법에 따라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다. 이는 해당 건물의 소방안전을 책임지는 공무원으로서, 소방시설의 설치 및 유지관리를 감독하고 이를 위반한 경우 적극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특정소방 대상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복합건축물로서 연면적 600m2이상인 것
  2. 지하구
  3. 길이 700m 이상의 터널
  4. 교정시설로서 연면적 2000m2이상인 것
(정답률: 33%)
  • 자동화재탐지설비는 일정한 범위 내에서 화재를 감지하고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시설이다. 따라서 길이 700m 이상의 터널은 일정 범위 내에서 화재를 감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화재경계지구에 대한 소방용수시설ㆍ소화기구 그 밖에 소방에 필요한 설비의 설치 명령을 위반한 자에 대한 과태료 부과기준은?

  1. 100만원 이하
  2. 200만원 이하
  3. 500만원 이하
  4. 1500만원 이하
(정답률: 49%)
  • 화재경계지구는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정된 지역으로, 이 지역에서는 소방용수시설, 소화기구 등 소방에 필요한 설비의 설치가 의무화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설비를 설치하지 않거나 설치 명령을 위반한 경우,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이 중 화재경계지구에서의 과태료 부과기준은 200만원 이하입니다. 이는 화재경계지구에서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설치 의무가 부여된 설비를 미설치하거나 설치 명령을 위반한 경우에도 경제적 부담이 크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 정하는 위험물질에 대한 설명으로 다음 중 옳은 것은?

  1. 철분이라 함은 철의 분말로서 53μm의 표준체를 통과 하는 것이 60중량퍼센트 미만인 것은 제외한다.
  2. 인화성고체라 함은 고형알코올 그 밖에 1기압에서 인화점이 21℃ 미만인 고체를 말한다.
  3. 유황은 순도가 60중량퍼센트 이상인 것을 말한다.
  4. 과산화수소는 그 농도가 36중량퍼센트 이하인 것에 한 한다.
(정답률: 39%)
  • 유황은 순도가 60중량퍼센트 이상인 것을 말하는 것은 위험물안전관리법에서 유황이 위험물질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순도가 낮은 유황은 불안정하며, 고온에서 인화성이 있기 때문에 위험물질로 분류된다. 따라서, 순도가 60중량퍼센트 이상인 유황만 위험물질로 간주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방화관리자를 두어야 할 특정소방대상물로서 1급 방화관리대상물의기준으로 옳은 것은?

  1. 가스제조설비를 갖추고 도시가스사업허가를 받아야 하는 시설
  2. 가연성가스를 1천톤 이상 저장ㆍ취급하는 시설
  3. 지하구
  4. 문화재보호법에 따라 국보 또는 보물로 지정된 목조건축물
(정답률: 64%)
  • 1급 방화관리대상물의 기준 중 "가연성가스를 1천톤 이상 저장ㆍ취급하는 시설"은 대량의 가연성가스를 다루는 시설로서, 가스 유출 등으로 인한 화재 발생 시 대규모 인명과 재산 피해가 예상되기 때문에 방화관리자를 두어 안전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기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화재경계지구에 대하여 소방상 필요한 훈련 및 교육을 실시하고자 하는 때에는 훈련 또는 교육 얼마 전까지 화재경계지구 안의 관계인에게 그 사실을 통보하여야 하는가?

  1. 24시간
  2. 7일
  3. 10일
  4. 14일
(정답률: 53%)
  •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화재경계지구에 대한 훈련 또는 교육을 실시하고자 할 때, 해당 지역의 관계자들에게 사전 통보를 해야 합니다. 이때, 통보 기간은 최소 10일 이상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10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관계인이 예방규정을 정하여야 하는 제조소 등에 속하는 것이 아닌 것은?

  1. 지정수량의 100배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옥내저장소
  2. 지정수량의 200배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옥외탱크저장소
  3. 암반탱크저장소
  4. 이송취급소
(정답률: 48%)
  • "지정수량의 100배 이상의 위험물을 취급하는 옥내저장소"는 이미 예방규정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관계인이 따로 정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위험물 안전관리자가 퇴직한 때에는 퇴직한 날부터 며칠 이내에 다시 위험물 안전관리자를 선임하여야 하는가?

  1. 7일 이내
  2. 15일 이내
  3. 30일 이내
  4. 45일 이내
(정답률: 77%)
  • 위험물 안전관리자는 법적으로 정해진 기간 내에 항상 채용되어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퇴직한 위험물 안전관리자의 경우, 새로운 안전관리자를 선임하는 기간이 정해져 있으며, 이 기간은 30일 이내입니다. 이 기간 내에 안전관리자를 선임하지 않으면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방전기시설의 구조 및 원리

61. 비상점등시 피난구유도등의 표시면의 평균휘도는 몇 [cd/m2] 이상 이어야 하는가?

  1. 100[cd/m2]
  2. 150[cd/m2]
  3. 2000[cd/m2]
  4. 3000[cd/m2]
(정답률: 35%)
  • 비상점등시 피난구유도등은 비상시에 사람들이 대피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충분한 밝기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표시면의 평균휘도는 최소한 100[cd/m2]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는 인간의 눈이 인지할 수 있는 최소한의 밝기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100[cd/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는 자동화재탐지설비로부터 작동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20초 이내에 소방관서에 자동적으로 신호를 발하여 통보하되 몇 회 이상 속보할 수 있어야 하는가?

  1. 1회
  2. 2회
  3. 3회
  4. 5회
(정답률: 79%)
  •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속보기는 화재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해 여러 번 속보를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몇 회 이상 속보할 수 있는지가 중요한데,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3회"입니다. 이는 한 번의 속보로는 화재 발생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최소한 3번 이상 속보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시각경보장치의 매초 당 점멸주기는? (단, 시각경보장치의 전원입력단자에서 사용 정격전압을 인가한 뒤, 신호 장치에서 작동신호를 보내어 약 1분간 점멸회수를 측정하는 경우이다.)

  1. 1회 이상 3회 이내
  2. 2회 이상 5회 이내
  3. 3회 이상 10회 이내
  4. 5회 이상 15회 이내
(정답률: 48%)
  • 시각경보장치의 매초 당 점멸주기는 1회 이상 3회 이내인 이유는, 시각경보장치가 작동신호를 받으면 약 1분간 점멸회수를 측정하고, 이 기간 동안 1회 이상 3회 이내로 점멸을 해야 작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범위를 벗어나면 시각경보장치의 작동이 불안정해질 수 있으므로 이 범위 내에서 점멸주기를 설정하는 것이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1개의 감지기내에 서로 다른 종별 또는 감도 등의 기능을 갖춘 것으로서 일정시간 간격을 두고 각각 다른 2개 이상의 화재신호를 발하는 특성을 갖는 감지기는?

  1. 복합식 감지기
  2. 다신호식 감지기
  3. 아날로그식 감지기
  4. 디지털식 감지기
(정답률: 63%)
  • 다신호식 감지기는 한 개의 감지기 내에 여러 종류의 화재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감지기이다. 이는 다른 종별의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복합식 감지기와는 달리, 한 종류의 화재신호만을 감지하는 아날로그식 감지기나 디지털식 감지기와도 구별된다. 또한, 일정 시간 간격을 두고 각각 다른 2개 이상의 화재신호를 발하는 특성을 갖고 있어, 더욱 정확한 화재 감지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하나의 전용회로에 설치하는 비상콘센트는 몇 개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2개
  2. 3개
  3. 10개
  4. 20개
(정답률: 80%)
  • 전용회로는 일반적으로 10A 이하의 전류를 사용하므로, 비상콘센트는 전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10개 이하로 설치해야 합니다. 만약 20개 이상의 비상콘센트를 설치하면 전류 과부하가 발생하여 전기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가스누설경보기에서 가스누설신호를 수신한 경우 가스의 발생을 표시하는 누설등의 색깔은?

  1. 적색
  2. 황색
  3. 청색
  4. 녹색
(정답률: 74%)
  • 가스누설경보기에서 가스누설신호를 수신하면 가스의 발생을 표시하는 누설등은 황색으로 표시됩니다. 이는 황색이 가스의 위험성을 나타내는 색상으로 국제적으로 표준화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황색으로 표시함으로써 사람들이 가스 누출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 ㉠ ), (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 2m, ㉡ 1.5m
  2. ㉠ 10m, ㉡ 1m
  3. ㉠ 15m, ㉡ 1.5m
  4. ㉠ 20m, ㉡ 1m
(정답률: 69%)
  • 이미지에서 보이는 두 직각삼각형은 서로 비슷한 모양이다. 따라서 대응하는 변의 길이 비율이 같다. 즉, (AB/DE) = (BC/EF) 이다. 이미지에서 AB의 길이는 20m, DE의 길이는 2m이므로 AB/DE = 10이다. 따라서 BC의 길이는 EF의 길이의 10배인 10m이 된다. 또한, 직각삼각형에서 빗변의 길이는 밑변과 높이의 제곱합의 제곱근이므로, AC의 길이는 루트(20^2 + 10^2) = 루트500 = 10루트5m이 된다. 이때, EF의 길이는 BC의 길이의 절반인 5m이므로, 삼각형 AEF의 넓이는 (1/2) x 10루트5 x 5 = 25루트5 m^2이 된다. 따라서, (㉠)는 20m, (㉡)는 1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지피(G.P.)형 수신기의 감지기 회로의 배선에 있어서 하나의 공통선에 접속할 수 있는 경계구역은 몇 개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7개
  2. 10개
  3. 300개
  4. 600개
(정답률: 48%)
  • 지피(G.P.)형 수신기의 감지기 회로는 고주파 신호를 감지하는데 사용되는데, 이 신호는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감지기 회로의 배선에는 노이즈가 최소화되도록 신중하게 처리해야 한다. 따라서 하나의 공통선에 접속할 수 있는 경계구역은 가능한 한 적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는 7개 이하로 경계구역을 나누어 처리한다. 이렇게 하면 각 경계구역에서 발생하는 노이즈가 서로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7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비상조명등은 비상점등을 위하여 비상전원으로 전환되는 경우 비상점등 회로로 정격전류의 1.2배 이상의 전류가 흐르거나 램프가 없는 경우에는 몇 초 이내에 예비전원으로부터의 비상전원 공급을 차단하여야 하는가?

  1. 2초
  2. 3초
  3. 5초
  4. 10초
(정답률: 61%)
  • 비상조명등은 비상점등 회로로 정격전류의 1.2배 이상의 전류가 흐르거나 램프가 없는 경우에는 예비전원으로부터의 비상전원 공급을 차단하여야 합니다. 이는 비상조명등이 예비전원으로부터의 전원을 계속해서 사용하게 되면 전원 공급이 지속되지 않아 비상조명등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비상조명등은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면 최대 3초 이내에 예비전원으로부터의 비상전원 공급을 차단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스프링클러설비에 사용하는 음향장치는 유수검지장치등의 담당구역마다 설치하는데 그 구역의 각 부분으로 부터 하나의 음향장치까지의 거리기준은?

  1. 수평거리 25m 이하
  2. 보행거리 25m 이하
  3. 수평거리 50m 이하
  4. 보행거리 50m 이하
(정답률: 52%)
  • 스프링클러설비에 사용하는 음향장치는 화재 발생 시 빠른 대응을 위해 담당구역 내에서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 음향장치와 화재 발생 지점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소리가 약해지기 때문에, 보행거리나 수평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면 경보음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스프링클러설비에 사용하는 음향장치는 담당구역 내의 각 부분으로부터 수평거리 25m 이하인 곳에 설치됩니다. 이는 경보음이 제대로 전달되어 화재 대응에 빠른 대처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피난기구 위치를 표시하는 축광식표지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방사성물질을 사용하는 위치표지는 쉽게 파괴되지 아니하는 재질로 처리할 것
  2. 위치표지는 주위 조도 0[lx]에서 60분간 발광 후 직선거리 20m 떨어진 위치에서 보통시력으로 표시면의 문자 또는 화살표 등을 쉽게 식별 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3. 위치표지의 표시면은 쉽게 변형ㆍ변질 또는 변색되지 아니 할 것
  4. 위치표지의 표지면은 휘도는 주위 조도 0[lx]에서 60분 간 발광 후 7[mcd/m2]으로 할 것
(정답률: 59%)
  • 위치표지의 표지면은 휘도는 주위 조도 0[lx]에서 60분 간 발광 후 7[mcd/m2]으로 할 것이 틀린 것이다. 위치표지의 표시면은 주위 조도 0[lx]에서 60분간 발광 후 직선거리 20m 떨어진 위치에서 보통시력으로 표시면의 문자 또는 화살표 등을 쉽게 식별 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이다. 이는 피난기구 위치를 빠르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누전경보기의 화재안전기준에 있어서 누전경보기 설치 방법 및 전원의 기준에 대항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경계전로의 정격전류가 60A를 초과하는 전로에는 1급 누전경보기를 설치한다.
  2. 경계전로의 정격전류가 60A 이하의 전로에는 1급 또는 2급 누전경보기를 설치한다.
  3. 전원은 분전반으로부터 전용회로로 하고, 각극에 개폐기 및 15A 이하의 과전류 차단기를 설치한다.
  4. 전원은 분전반으로부터 전용회로로 하고, 각극에 개폐기 및 20A 이상의 배선용차단기로 각극을 개폐할 수 있는 것을 설치한다.
(정답률: 74%)
  • 정답은 "전원은 분전반으로부터 전용회로로 하고, 각극에 개폐기 및 15A 이하의 과전류 차단기를 설치한다."입니다.

    이유는 누전경보기의 전원은 전용회로를 사용해야 하며, 각극에는 개폐기와 20A 이상의 배선용 차단기를 설치해야 합니다. 15A 이하의 과전류 차단기는 설치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 ㉠ ), ( ㉡ )에 들어갈 수치로 알맞은 것은?

  1. ㉠ 10, ㉡ 30
  2. ㉠ 30, ㉡ 10
  3. ㉠ 60, ㉡ 10
  4. ㉠ 120, ㉡ 60
(정답률: 77%)
  • 주어진 그림에서, 왼쪽의 작은 삼각형과 오른쪽의 큰 삼각형은 서로 비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작은 삼각형의 밑변과 높이의 비율은 큰 삼각형의 밑변과 높이의 비율과 같습니다. 작은 삼각형의 밑변이 6이고 높이가 4이므로, 비율을 이용하여 큰 삼각형의 밑변을 구할 수 있습니다. 큰 삼각형의 밑변은 작은 삼각형의 밑변의 2배이므로 12입니다. 마찬가지로, 큰 삼각형의 높이는 작은 삼각형의 높이의 2배이므로 8입니다. 따라서, 큰 삼각형의 넓이는 (12 x 8) / 2 = 48입니다. 이제, 작은 삼각형의 넓이는 (6 x 4) / 2 = 12입니다. 따라서, 작은 삼각형이 큰 삼각형의 넓이의 1/4를 차지하므로, 작은 삼각형의 각도는 큰 삼각형의 각도의 1/4이 됩니다. 큰 삼각형의 각도는 60도이므로, 작은 삼각형의 각도는 60 / 4 = 15도입니다. 따라서, (㉠)에는 60이 들어가고, (㉡)에는 작은 삼각형의 밑변과 큰 삼각형의 밑변의 비율인 6:12를 간단화하여 1:2로 만든 후, 2를 20으로 확대하여 20이 들어가야 합니다. 따라서, (㉡)에는 10이 들어가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자동화재속보설비이 속보기의 구조에 관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접지전극에 직류전류를 통하는 회로방식을 사용할 것
  2. 정격전압이 60V를 넘고 금속제 외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외함에 접지단자를 설치할 것
  3. 작동시 그 작동시간과 작동회수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를 할 것
  4. 수동통화용 송수화기를 설치할 것
(정답률: 54%)
  • "접지전극에 직류전류를 통하는 회로방식을 사용할 것"이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접지전극에 직류전류를 통하는 회로방식은 전기적 충격 위험이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 대신에 접지전극에 교류전류를 통하는 회로방식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비상방송설비에서 음량조정기를 설치하는 경우 음량조정기의 배선 방식으로 옳은 것은?

  1. 교차회로식
  2. 송배전식
  3. 3선식
  4. 2선식
(정답률: 82%)
  • 비상방송설비에서는 음량조정기를 설치할 때 3선식으로 배선하는 것이 옳습니다. 이는 음량조정기가 전원을 공급받는 라인과 출력되는 스피커 라인이 분리되어 있어서, 전원 노이즈가 스피커 출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3선식은 교차회로식과 송배전식에 비해 안정적인 출력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감도조정장치를 갖는 누전경보기에 있어서 감도조정장치의 조정범위는 최대치가 몇 [A]이어야 하는가?

  1. 1[A]
  2. 2[A]
  3. 50[A]
  4. 60[A]
(정답률: 68%)
  • 감도조정장치는 누전경보기에서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감지하여 경보를 울리게 하는데, 이 때 감도조정장치의 조정범위가 너무 크면 작은 전류도 감지하여 경보가 울리게 되어 실제 문제가 없는 상황에서도 경보가 울리게 됩니다. 따라서 감도조정장치의 조정범위는 최소한의 전류만 감지할 수 있도록 1[A]로 설정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비상전원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도 되는 유도등은?

  1. 계단통로유도등
  2. 객석유도등
  3. 피난구유도등
  4. 거실통로유도등
(정답률: 68%)
  • 객석유도등은 비상상황에서 객석 내부의 안전한 대피를 위해 사용되는데, 이때 비상전원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감시 장치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객석유도등은 비상전원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도 되는 유도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비상경보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서 화재발생 상황을 단독으로 감시하여 자체에 내장된 음향 장치로 경보하는 감지기로 정의되는 것은?

  1. 비상경보형 감지기
  2. 자동식 감지기
  3. 가정용 감지기
  4. 단독경보형 감지기
(정답률: 84%)
  • 단독경보형 감지기는 화재안전기준에서 화재발생 상황을 단독으로 감시하여 자체에 내장된 음향 장치로 경보하는 감지기로 정의되는 것입니다. 다른 감지기들은 자동식 감지기는 자동으로 작동하여 경보를 울리는 감지기, 가정용 감지기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감지기이며, 비상경보형 감지기는 화재발생 시 경보를 울리는 감지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무선통신보조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서로 다른 주파수의 합성된 신호를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장치로 정의 되는 것은?

  1. 합성신호 처리기
  2. 분배기
  3. 분파기
  4. 신호분리기
(정답률: 70%)
  • 분파기는 서로 다른 주파수의 합성된 신호를 분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 입력된 신호를 주파수별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분파기가 정답이 됩니다. 합성신호 처리기는 여러 신호를 합성하여 처리하는 장치, 분배기는 하나의 신호를 여러 개의 출력으로 분배하는 장치, 신호분리기는 여러 신호 중 원하는 신호를 분리하는 장치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안전기준에서 소방대상물 중 화재신호를 발신하고 그 신호를 수신 및 유효하게 제어할 수 있는 구역으로 정의되는 것은?

  1. 방호구역
  2. 제어구역
  3. 경계구역
  4. 피난구역
(정답률: 52%)
  • 자동화재탐지설비는 화재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설치되는데, 이때 화재신호를 발신하고 수신 및 제어할 수 있는 구역을 경계구역이라고 정의합니다. 이는 화재 발생 시 적절한 대응을 위해 화재가 발생한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고, 화재 신호를 적절하게 처리하기 위해 필요한 구역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경계구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