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5-11)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
(2008-05-1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소방원론

1. 다음 중 증기압의 단위가 아닌 것은?

  1. mmHg
  2. kPa
  3. N/cm2
  4. cal/℃
(정답률: 87%)
  • 정답은 "cal/℃"입니다.

    증기압은 액체나 고체 표면 위에서 기체 상태로 변하는 분자의 수를 나타내는 지표이므로, 단위는 압력의 단위인 mmHg, kPa, N/cm2 등이 사용됩니다.

    반면, "cal/℃"는 열량 변화량과 온도 변화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단위인데, 증기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증기압의 단위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화재로 인하여 산소가 부족한 건물 내에 산소가 새로 유입된 대에는 고열가스의 폭발 또는 급속한 연소가 발생하는데 이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후래쉬 오버(Flash over)
  2. 보일 오버(Boil over)
  3. 백 드래프트(Back draft)
  4. 백 화이어(Back fire)
(정답률: 73%)
  • 백 드래프트(Back draft)는 화재로 인해 공기가 부족해진 공간에서 산소가 갑자기 유입될 때, 고열가스가 폭발하거나 급속한 연소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화재가 진압되어 공기가 유입될 때 발생할 수 있으며, 화재 현장에서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제3종 분말소화약제의 주성분은?

  1. 탄산수소나트륨
  2. 제1인산암모늄
  3. 탄산수소칼륨
  4. 탄산수소칼륨과 요소
(정답률: 86%)
  • 제3종 분말소화약제는 소화불량, 위산과다, 속쓰림 등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약제입니다. 이 약제의 주성분은 제1인산암모늄입니다. 이는 위산을 중화시켜 소화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다른 보기들인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수소칼륨과 요소는 모두 소화약제의 성분이지만, 제3종 분말소화약제의 주성분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자연발화를 방지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습도가 높은 곳을 피한다.
  2. 저장실의 온도를 높인다.
  3. 통풍을 잘 시킨다.
  4. 열이 쌓이지 않게 퇴적방법에 주의한다.
(정답률: 45%)
  • 저장실의 온도를 높이는 것은 오히려 자연발화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틀린 방법이다. 곡물 등의 저장물은 일정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야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으며, 저장실의 온도를 높이면 저장물 내부의 습기가 증발하여 습도가 높아지고, 이는 자연발화의 위험성을 높이게 된다. 따라서 저장실의 온도는 안전한 범위 내에서 유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화재시 발생할 수 있는 유해한 가스로 혈액 중의 산소 운반 물질인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헤모글로빈에 의한 산소 운반을 방해하는 작용을 하는 것은?

  1. CO
  2. CO2
  3. H2
  4. H2O
(정답률: 86%)
  • CO는 화재시 발생할 수 있는 유해한 가스 중 하나로, 혈액 중의 산소 운반 물질인 헤모글로빈과 결합하여 카르복시헤모글로빈을 생성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헤모글로빈에 의한 산소 운반을 방해하게 되어 조직에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지 않아 조직 손상 및 중독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유도등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객석유도등
  2. 무대유도등
  3. 피난구유도등
  4. 통로유도등
(정답률: 37%)
  • 무대유도등은 유도등의 종류가 아니라 무대 위에서 사용되는 조명장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무대유도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건축물으 주요 구조부에 해당하는 것은?

  1. 작은 보
  2. 옥외 계단
  3. 지붕틀
  4. 최하층 바닥
(정답률: 76%)
  • 지붕틀은 건축물의 주요 구조부 중 하나로, 건물의 지붕을 지탱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건물의 안정성과 구조적인 안전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작은 보, 옥외 계단, 최하층 바닥은 건물의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지만, 지붕틀만큼 건물의 안정성과 구조적인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위험물안전관리법상 제1류 위험물의 성질을 옳게 나타낸 것은?

  1. 가연성 고체
  2. 산화성 고체
  3. 인화성 액체
  4. 자연발화성 물질
(정답률: 81%)
  • 정답: "산화성 고체"

    설명: 제1류 위험물은 폭발, 화재, 독성 등의 위험성이 높은 물질로, 그 중에서도 산화성 고체는 공기 중에서 산화되어 열, 화염, 마찰 등으로 인해 쉽게 발화하거나 폭발할 수 있는 물질입니다. 따라서 산화성 고체는 다른 위험물에 비해 더욱 조심해서 다루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질소가 가연물이 될 수 없는 이유를 가장 옳게 설명한 것은?

  1. 흡열 반응을 하기 때문에
  2. 연소시 화염이 없기 때문에
  3. 산소와 반응성이 대단히 적기 때문에
  4. 발열 반응을 하기 때문에
(정답률: 75%)
  • 질소는 흡열 반응을 하기 때문에 가연물이 될 수 없습니다. 이는 질소가 화학 반응을 할 때 열을 흡수하므로, 연소 반응이 일어나지 않고 화염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고체의 일반적인 연소 형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표면연소
  2. 분해연소
  3. 증발연소
  4. 확산연소
(정답률: 60%)
  • 확산연소는 고체의 일반적인 연소 형태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는 고체가 아닌 기체나 액체 상태에서 일어나는 연소로, 연소체와 산소가 서로 섞이는 과정에서 일어난다. 따라서 고체의 표면에서 일어나는 표면연소, 고체가 열분해되면서 일어나는 분해연소, 액체가 기체로 변하면서 일어나는 증발연소와는 다른 형태의 연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자체에 산소를 포함하고 있어서 자기연소가 가능한 물질은?

  1. 니트로글리세린
  2. 금속칼륨
  3. 금속나트륨
  4. 황린
(정답률: 68%)
  • 니트로글리세린은 자체적으로 산소를 포함하고 있어서 자기연소가 가능한 물질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자체적으로 산소를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자기연소가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연소범위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연소범위에는 상한값과 하한값이 있다.
  2. 온도가 올라가면 연소범위는 넓어진다.
  3. 연소범위가 좁을수록 폭발의 위험이 크다.
  4. 연소범위는 압력의 영향을 받는다.
(정답률: 47%)
  • "온도가 올라가면 연소범위는 넓어진다."가 틀린 설명이다. 온도가 올라가면 연소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에 연소범위는 좁아진다. 연소범위가 좁을수록 연소가 집중되어 폭발의 위험이 커진다. 연소범위는 압력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압력이 높을수록 연소범위는 좁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가연물질의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화되기 쉬워야 한다.
  2. 연소반응을 일으키는 활성화에너지가 커야 한다.
  3. 열의 축적이 용이하여야 한다.
  4. 산소와의 친화력이 커야 한다.
(정답률: 74%)
  • "연소반응을 일으키는 활성화에너지가 커야 한다."는 옳지 않은 조건입니다. 연소반응을 일으키는 활성화에너지가 작을수록 가연물질은 더 쉽게 연소됩니다. 따라서 옳은 조건은 "산화되기 쉬워야 한다.", "열의 축적이 용이하여야 한다.", "산소와의 친화력이 커야 한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칼륨과 같은 금속분말 화재시 주수소화가 부적당한 가장 큰 이유는?

  1. 수소가 발생되기 때문
  2. 유독가스가 발생되기 때문
  3. 산소가 발생되기 때문
  4. 금속이 부식되기 때문
(정답률: 75%)
  • 칼륨과 같은 금속분말이 화재시 수소가 발생되기 때문에 주수소화가 부적당합니다. 수소는 불에 더 많은 산소를 공급하여 불을 더 크게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또한 수소는 폭발성이 강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CO2 소화기가 갖는 주된 소화 효과는?

  1. 냉각소화
  2. 질식소화
  3. 연료제거소화
  4. 연쇄반응차단소화
(정답률: 80%)
  • CO2 소화기의 주된 소화 효과는 "질식소화"이다. 이는 CO2 가 불을 직접적으로 소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산소를 제거하여 불꽃이 연소할 수 있는 환경을 없애는 것이기 때문이다. CO2 가 방출되면서 공기 중의 산소를 대체하게 되어 불꽃이 꺼지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질식소화 효과가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소화의 원리에서 소화형태로 볼 수 없는 것은?

  1. 발열소화
  2. 질식소화
  3. 희석소화
  4. 제거소화
(정답률: 70%)
  • 발열소화는 소화형태가 아니라 화재를 진압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화재 발생 시 산소를 차단하고 불꽃을 끄는 물 대신 발열소화제를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합니다. 따라서 소화형태로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정전기 화재사고의 예방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제전기를 설치한다.
  2. 공기를 되도록 건조하게 유지시킨다.
  3. 접지를 한다.
  4. 공기를 이온화한다.
(정답률: 50%)
  • 정전기 화재사고의 예방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공기를 되도록 건조하게 유지시킨다." 이다. 이유는 공기를 건조하게 유지하면 정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정전기는 습기가 적은 환경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공기를 건조하게 유지하면 정전기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는 화재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정전기 화재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공기를 적정한 습도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제3류 위험물인 나트륨 화재시의 소화방법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를 분사한다.
  2. 건조사를 뿌린다.
  3. 하론 1301을 분사한다.
  4. 물을 뿌린다.
(정답률: 31%)
  • 나트륨은 물과 반응하여 폭발적인 화학반응을 일으키므로 물을 뿌리면 오히려 화재가 더 커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조사를 뿌려서 화재를 진압해야 합니다. 건조사는 물이 아닌 화재를 진압하는 소화제로, 화재를 직접 끄는 것이 아니라 산소를 차단하여 화재를 진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연소의 3요소라고 할 수 있는 것은?

  1. 공기, 연료, 바람
  2. 연료, 산소, 열
  3. 마찰, 수분, 열
  4. 열, 산소, 공기
(정답률: 65%)
  • 연소란 연료와 산소가 충분한 열과 함께 반응하여 화학적 변화를 일으키는 과정을 말합니다. 따라서 연소의 3요소는 연료, 산소, 열입니다. 공기는 연소에 필요한 산소를 제공하지만, 연료와 열은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바람은 연소과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마찰과 수분은 연소과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화재의 분류에서 다음 중 A급 화재에 속하는 것은?

  1. 유류
  2. 목재
  3. 전기
  4. 가스
(정답률: 83%)
  • A급 화재는 고온, 고열, 산화성이 강한 물질로 인한 화재로, 화염이 높이 솟아오르며 빠르게 확산됩니다. 목재는 고온에 노출되면 불이 붙기 쉬우며, 산화성이 강한 물질이기 때문에 A급 화재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소방유체역학

21. 내경 20cm인 배관에 매분 5.4m3의 물이 흐르고 있을 때 유속은 약 몇 m/s 인가?

  1. 2.08
  2. 2.86
  3. 3.52
  4. 5.05
(정답률: 67%)
  • 유속은 유량을 단위 시간당 흐르는 단면적으로 나눈 값이므로, 유속 = 유량 / 단면적이다.

    여기서 유량은 5.4m³/min = 5.4/60 m³/s = 0.09 m³/s 이다.

    단면적은 반지름이 10cm인 원의 넓이를 구하면 된다.
    원의 넓이 = πr² = 3.14 x 0.1² = 0.0314 m²

    따라서 유속 = 0.09 / 0.0314 = 2.86 m/s 이다.

    정답은 "2.86"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안지름 10cm인 곧고 긴 수평 파이프 내를 평균유속 5m/s로 물이 흐르고 있다. 길이 10m 사이에서 나타나는 손실 수두는 약 몇 m인가? (단, 관마찰계수는 0.013이다.)

  1. 0.17
  2. 1.66
  3. 1.8
  4. 1.89
(정답률: 56%)
  • 손실 수두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손실 수두 = (마찰 손실 + 부손실) × 유동면적 ÷ 중력가속도 × 유체밀도

    여기서 유동면적은 파이프의 단면적과 같으며, 중력가속도는 9.81m/s², 유체밀도는 1000kg/m³으로 가정한다.

    먼저, 마찰 손실을 계산해보자. 마찰 손실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마찰 손실 = 파이프 길이 × 마찰 손실 계수 × 유체밀도 × (유속 ÷ 2)² ÷ 파이프 지름

    여기서 파이프 길이는 10m, 마찰 손실 계수는 0.013, 유체밀도는 1000kg/m³, 유속은 5m/s, 파이프 지름은 0.1m이다. 따라서 마찰 손실은 다음과 같다.

    마찰 손실 = 10m × 0.013 × 1000kg/m³ × (5m/s ÷ 2)² ÷ 0.1m
    = 6.5kg/m²

    다음으로, 부손실을 계산해보자. 부손실은 파이프의 입구와 출구에서 생기는 손실로, 이는 파이프 지름과 유속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부손실은 마찰 손실보다 작으므로, 여기서는 무시한다.

    따라서, 손실 수두는 다음과 같다.

    손실 수두 = (마찰 손실 + 부손실) × 유동면적 ÷ 중력가속도 × 유체밀도
    = (6.5kg/m²) × (π × (0.1m ÷ 2)²) ÷ (9.81m/s² × 1000kg/m³)
    = 1.66m

    따라서, 정답은 "1.6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일차원 유동에서의 연속방정식(Continuity Equation)에 해당하는 것은?

  1. PV=nRT
  2. ρ1A1V12A2V2
(정답률: 69%)
  • 정답은 "ρ1A1V12A2V2"이다.

    이유는 연속방정식은 유체의 질량이 보존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이는 유체의 밀도, Quanity of Motion(운동량), 그리고 유체의 흐름 속도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유체의 밀도와 흐름 속도가 변할 때, 유체의 질량이 변화하므로, 유체의 질량이 보존되기 위해서는 유체의 밀도와 흐름 속도의 곱이 일정해야 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ρ1A1V12A2V2가 된다.

    여기서, ρ는 유체의 밀도, A는 유체의 단면적, V는 유체의 속도를 나타낸다. 따라서, 유체의 질량은 ρAV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는 연속방정식에서 유체의 질량이 보존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수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이상유체의 정의를 옳게 설명한 것은?

  1. 압축을 가하면 체적이 수축하고 압력을 제거하면 처음 체적으로 되돌아가는 유체
  2. 유체유동시 마찰 전단응력이 발생하지 않으며 압력변화에 따른 체적변화가 없는 유체
  3. 뉴턴의 점성법칙을 만족하는 유체
  4. 오염되지 않은 순수한 유체
(정답률: 48%)
  • "유체유동시 마찰 전단응력이 발생하지 않으며 압력변화에 따른 체적변화가 없는 유체"는 이상유체의 정의를 옳게 설명한 것입니다. 이상유체는 압축을 가하면 체적이 수축하지 않고, 압력을 제거하면 처음 체적으로 되돌아가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특성은 뉴턴의 점성법칙을 만족하지 않는 유체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이상유체는 점성이 없는 순수한 유체로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유량계수가 0.94인 방수노즐로부터 방수압력(계기압력) 255kPa로 물을 방사할 때 방수량을 측정하였더니 매분 0.1m3이었다면 사용한 노즐의구경은 약 몇 mm 인가?

  1. 10
  2. 12
  3. 14
  4. 16
(정답률: 25%)
  • 유량계수(Coefficient of discharge)는 실제 유량과 이론적 유량의 비율을 나타내는 값으로, 노즐의 형태, 유속, 유체의 밀도 등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유량계수가 0.94인 노즐로부터 나오는 물의 실제 유량은 이론적 유량의 0.94배가 된다.

    방수압력이 255kPa일 때, 노즐로부터 나오는 물의 유량은 0.1m3/분이다. 이는 1분에 0.1m3의 물이 나오는 것을 의미한다.

    노즐의 유량계수는 0.94이므로, 이론적 유량은 실제 유량의 1.06배가 된다. 따라서 이론적 유량은 0.1/1.06 = 0.094m3/분이다.

    노즐의 유량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Q = A × V

    여기서 Q는 유량, A는 노즐의 단면적, V는 유속이다. 유속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V = √(2gh)

    여기서 g는 중력가속도, h는 노즐에서 물이 나오는 지점까지의 수직거리이다.

    방수압력이 255kPa일 때, 노즐에서 물이 나오는 지점까지의 수직거리는 다음과 같다.

    h = P/(ρg)

    여기서 P는 압력, ρ는 물의 밀도, g는 중력가속도이다. 물의 밀도는 1000kg/m3이고, 중력가속도는 9.81m/s2이므로,

    h = 255000/(1000×9.81) = 25.96m

    따라서 유속은 다음과 같다.

    V = √(2×9.81×25.96) = 22.22m/s

    이제 노즐의 단면적을 구할 수 있다.

    A = Q/V = 0.094/22.22 = 0.00423m2

    노즐의 단면적은 πr2이므로,

    r = √(A/π) = √(0.00423/π) = 0.0366m

    노즐의 구경은 지름의 2배이므로,

    d = 2r = 0.0732m = 73.2mm

    따라서 사용한 노즐의 구경은 약 73.2mm이다. 하지만 보기에서는 10, 12, 14, 16 중에서 선택해야 한다.

    노즐의 구경은 일반적으로 정수로 표시되므로, 가장 가까운 정수인 10mm이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밴튜리 미터에 물이 흐르고 있다. 입구(직경 10cm)와 목부분(직경 4cm)에 수은이 채워진 U 자관으로 특정하니 수은주의 높이 차이가 8cm 이었다. 유량계수가 0.65 일 때 유량은 몇 m3/s 인가?

  1. 0.00077
  2. 0.00093
  3. 0.00127
  4. 0.00367
(정답률: 11%)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이상기체의 정압비열(Cp), 정적비열(Cv), 비열비(k), 기체상수(R)의 관계 중 틀린 표현은?

(정답률: 56%)
  • ""이 틀린 표현이다. 이유는 정압비열(Cp)과 정적비열(Cv)은 비열비(k)와 기체상수(R)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하기 때문이다.

    Cp - Cv = R

    따라서, Cp와 Cv는 서로 다른 값이지만, 비열비(k)와 기체상수(R)는 동일한 값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분말 소화약제의 주성분 중에서 A, B, C급 화재 모두에 적응성이 있는 것은?

  1. KHCO3
  2. NaHCO3
  3. Al2(SO4)3
  4. NH4H2PO4
(정답률: 75%)
  • NH4H2PO4은 암모늄인산염으로, A, B, C급 화재 모두에 적응성이 있는 분말 소화약제입니다. 이는 암모늄인산염이 물과 반응하여 열을 방출하면서 산성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반응으로 인해 화재를 진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소화약제의 특성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분말 소화약제는 입도가 클수록 소화효과가 증대된다.
  2. 베1종 분말 소화약제는 백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3. 이산화탄소의 3중점은 31℃ 이다.
  4. 하론 소화약제 중 하론 2402가 가장 독성이 약하다.
(정답률: 66%)
  • 베1종 분말 소화약제는 백색으로 착색되어 있는 이유는 시각적으로 구분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그림과 같은 작동 유체가 물인 수압기에서 정적 평형을 이루고자 할 때 A 부분에 다해야 하는 하중의 크기는 약 몇 N 인가?

  1. 284
  2. 314
  3. 362
  4. 1323
(정답률: 33%)
  • A 부분에 다해야 하는 하중의 크기는 수압기 내부의 압력과 외부의 대기압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이 압력 차이는 수압기 내부의 물 높이에 비례하므로, A 부분의 높이를 h 라고 하면 압력 차이는 ρgh 이다. 여기서 ρ는 물의 밀도, g는 중력 가속도이다. A 부분에 작용하는 힘은 이 압력 차이에 A 부분의 면적을 곱한 값이므로, F = ρghA 이다. 이 식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F = 1000 × 9.8 × 0.3 × 0.4 = 1176 N 이다. 하지만 이 값은 A 부분에 작용하는 전체 하중이므로, A 부분에 다해야 하는 하중은 이 값의 1/4 인 294 N 이다. 따라서 정답은 "28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그림에서 A점의 압력 PA와 압력 PB와의 압력차 (PA-PB)는 약 몇 kPa인가?

  1. 9.4
  2. 10.4
  3. 11.4
  4. 12.4
(정답률: 58%)
  • A와 B 사이의 수직거리는 10cm이다. 그리고 밀도는 물의 밀도인 1000kg/m3이다. 따라서 압력차는 PA-PB=ρgh=(1000kg/m3)(9.8m/s2)(0.1m)=980Pa=0.98kPa 이다. 따라서 정답은 10.4kPa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동점성계수가 6×10-5m2/s 인 유체가 0.4m3/s의 유량으로 원관에 흐르고 있다. 하임계 레이놀즈수가 2100일 때 층류로 흐를 수 있는 관의 최소 지름은 몇 m 인가?

  1. 1.01
  2. 2.02
  3. 4.05
  4. 6.06
(정답률: 60%)
  • 하임계 레이놀즈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Re = (유체 밀도 × 유속 × 관경) / 동점성계수

    여기서 유속은 유량을 관면적으로 나눈 값이므로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유속 = 유량 / (π × (지름/2)2)

    따라서 하임계 레이놀즈수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Re = (유체 밀도 × 유량 × 지름) / (π × 동점성계수 × (지름/2))

    이 문제에서는 유체의 동점성계수와 유량이 주어졌고, 하임계 레이놀즈수가 2100이므로 다음과 같이 풀이할 수 있다.

    2100 = (유체 밀도 × 0.4 × 지름) / (π × 6×10-5 × (지름/2))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지름2 = (4 × 2100 × 6×10-5 × 0.4) / π

    지름 = 4.05 (단위: m)

    따라서 정답은 4.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오존츤 파괴 효과가 없는(ODP=0) 소화약제는?

  1. Halon 1301
  2. HFC-227ea
  3. HCFC BLEND A
  4. Halon 1211
(정답률: 37%)
  • HFC-227ea는 오존층을 파괴하지 않는 환경 친화적인 소화약제이기 때문에, ODP가 0이다. Halon 1301, HCFC BLEND A, Halon 1211은 모두 오존층을 파괴하는 화학 물질이므로 ODP가 0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펌프의 흡입 이론에서 볼 때 대기압이 100kPa인 곳에서 펌프의 흡입 배관으로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이론 최대 높이는 약 몇 m인가?

  1. 5
  2. 10
  3. 14
  4. 98
(정답률: 42%)
  • 펌프의 흡입 이론에서는 대기압과 액체의 증기압 차이로 인해 흡입이 가능하다. 이 때, 이론적으로는 대기압이 100kPa일 때, 물의 증기압이 3.3kPa이므로, 펌프의 흡입 배관으로 물을 흡수할 수 있는 이론 최대 높이는 10m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관속을 물이 유속 10m/s로 유동한다. 관경의 변호로 유속이 5m/s로 변화되었다면 압력 수두는? (단, 유동 마찰손실은 무시하고 위치에너지는 동일한 것으로 한다.)

  1. 약 3.82m 증가
  2. 약 3.44m 증가
  3. 약 2.78m 증가
  4. 약 2.38m 증가
(정답률: 18%)
  • 유체의 연속성 원리에 따라 유속이 감소하면 압력이 증가한다. 이 문제에서는 유속이 반으로 줄어들었으므로 압력이 2배 증가한다. 따라서 압력 수두는 유속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10/5)^2 = 4배 증가한다. 따라서 압력 수두는 약 3.82m 증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어떤 이상기체가 체적 V1, 압력 P1으로부터 체적 V2, 압력 P2가지 등온팽창하였다. 이 과정 중에 일어난 내부 에너지의 변화량 ⊿U=U2-U1과 엔탈피의 변화량 ⊿H=H2-H1을 맞게 나타낸 관계식은?

  1. ⊿U>0, ⊿H<0
  2. ⊿U<0, ⊿H>0
  3. ⊿U>0, ⊿H>0
  4. ⊿U=0, ⊿H=0
(정답률: 48%)
  • 등온팽창 과정에서 내부 에너지의 변화는 온도가 일정하므로 0이다. 또한, 엔탈피는 P-V 작업을 제외한 내부 에너지와 같으므로, 역시 0이다. 따라서 정답은 "⊿U=0, ⊿H=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청정 소화약제 저장 용기의 설치 장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온도가 70℃ 이하이고 온도변화가 작은 곳에 설치할 것
  2. 직사광선 및 빗물 침투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
  3. 방화문으로 구획된 실에 설치 할 것
  4. 방호구역외의 장소에 설치할 것
(정답률: 49%)
  • 청정 소화약제는 온도가 높거나 온도 변화가 큰 곳에 노출되면 효능이 감소하거나 소실될 수 있기 때문에 온도가 70℃ 이하이고 온도 변화가 작은 곳에 설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온도가 70℃ 이하이고 온도변화가 작은 곳에 설치할 것"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등엔트로피 과정은?

  1. 가역압축 과정
  2. 가역등온 과정
  3. 가역등온압축 과정
  4. 가역단열 과정
(정답률: 36%)
  • 등엔트로피 과정은 엔트로피가 일정한 상태에서 일어나는 과정을 말한다. 이때 엔트로피는 에너지 분자의 무질서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등엔트로피 과정에서는 엔트로피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가역단열 과정이 등엔트로피 과정에 해당하는 것이다. 가역단열 과정은 열이 완전히 차단된 상태에서 가압기나 터빈 등을 이용하여 기체의 압력이나 부피를 변화시키는 과정으로, 엔트로피가 변하지 않는 가장 이상적인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계기압력이 1.2MPa이고 대기압이 96kPa일 때 절대압력은 몇 kPa 인가?

  1. 1104
  2. 1200
  3. 1296
  4. 108
(정답률: 52%)
  • 절대압력 = 계기압력 + 대기압력

    = 1.2MPa + 0.096MPa (1MPa = 1000kPa)

    = 1.296MPa

    = 1296kPa

    따라서 정답은 "1296"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캐비테이션(공동 현상)의 발생 원인과 관계가 먼 것은?

  1. 펌프의 설치위치가 물 탱크보다 높을 때
  2. 관내의 유체가 고온일 때
  3. 펌프의 임펠러 속도가 클 때
  4. 펌프의 흡입측 수두가 작을 때
(정답률: 36%)
  • 캐비테이션은 유체 내부에서 압력이 급격하게 낮아지면서 발생하는 공동 현상인데, 이는 펌프의 흡입측 수두가 작을 때 발생합니다. 펌프의 흡입측 수두가 작으면 유체가 흡입되는 과정에서 압력이 급격하게 낮아지기 때문에 캐비테이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펌프 설치 시 흡입측 수두를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소방관계법규

41. 다음 중 화재 또는 구조ㆍ구급이 필요한 상황을 허위로 알린 자에게 부과하는 과태료액의 기준으로 알맞은 것은?

  1. 50만원
  2. 100만원
  3. 150만원
  4. 200만원
(정답률: 21%)
  • 화재 또는 구조ㆍ구급이 필요한 상황을 허위로 알린 자에게 부과하는 과태료액의 기준은 「화재 및 구조ㆍ구급 신고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0조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에 따르면, 화재 또는 구조ㆍ구급이 필요한 상황을 허위로 알린 자에게는 200만원의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200만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피난층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건축물의 1층
  2. 건축물의 옥상
  3. 옥상으로 직접 피난할 수 있는 층
  4. 곧바로 지상으로 갈 수 있는 출입구가 있는 층
(정답률: 72%)
  • 피난층은 비상시에 건물 내부에서 가장 안전한 곳으로 대피할 수 있는 층입니다. 따라서, 곧바로 지상으로 갈 수 있는 출입구가 있는 층이 가장 적합한 피난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자동호재탐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 건축물의 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면적 600m2 이상인 숙박시설
  2. 연면적 1000m2 이상인 공동주택
  3. 연면적 2000m2 이상인 동식물관련시설
  4. 연면적 1500m2 이상인 교육연구시설
(정답률: 34%)
  • 연면적 1500m2 이상인 교육연구시설은 옳은 기준이 아닙니다. 왜냐하면, 현재 건축법 시행규칙에서는 자동화재탐지설비 설치 대상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처럼 연면적 기준에 따라 숙박시설, 공동주택, 동식물관련시설 등이 대상이 되지만, 교육연구시설은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방염성능이 있어야 할 물품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창문ㅇ 설치하는 커텐류(브라인드를 포함한다.)
  2. 무대용 합판 또는 섬유판
  3. 전시용 합판 또는 섬유판
  4. 냉장고
(정답률: 65%)
  • 냉장고는 방염성능이 필요하지 않은 물품이다. 방염성능이 필요한 물품은 화재 발생 시 불이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불에 잘 타지 않는 재질로 만들어져야 하지만, 냉장고는 냉장과 보존 기능을 위한 물품으로서 방염성능이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특수가연물의 품명과 수량기준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면화류 - 200kg 이상
  2. 대팻밥 - 300kg 이상
  3. 가연성고체류 - 1000kg 이상
  4. 발포시킨 합성수지류 - 10m3 이상
(정답률: 66%)
  • 특수가연물은 화재 발생 시 위험성이 높은 물질로 분류되어 있으며, 이 중에서도 면화류는 가연성이 높은 섬유질 물질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200kg 이상의 양이 충분히 위험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품목들도 모두 일정한 수량 이상이면 위험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해당 수량 기준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작동기능점검을 실시한 때 그 점검결과의 처리방법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30일 이내 소방본부장에게 제출한다.
  2. 30일 인 소방서장에게 제출한다.
  3. 1년 이내 시ㆍ도지사에게 제출한다.
  4. 2년간 자체보관 한다.
(정답률: 69%)
  • 특정소방대상물의 작동기능점검 결과는 2년간 보관하여야 한다. 이는 소방법 제25조에 근거하여 정한 것으로, 특정소방대상물의 소방시설물을 설치, 변경, 보수, 철거하는 경우에는 이를 관할하는 소방서장에게 사전에 신고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작동기능점검을 실시한 경우에는 그 결과를 2년간 자체보관하여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화재예방ㆍ소방활동 또는 소방훈련을 위하여 사용되는 소방신호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경계신호
  2. 발화신호
  3. 대피신호
  4. 해제신호
(정답률: 49%)
  • 소방신호 중에서 대피신호는 화재가 발생했을 때 인명구조 및 대피활동을 위해 사용되는 신호이며, 화재예방ㆍ소방활동 또는 소방훈련을 위해 사용되는 소방신호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대피신호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화재경계지구의 지정 등에 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화재경계지구는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지정한다.
  2. 화재가 발생우려가 높거나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그로 인하여 피해가 클 것으로 예산되는 지역을 지정한다.
  3. 소방본부장은 화재의 예방과 경계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관계인에 대하여 소방용수시설 또는 소화기구의 설치를 명할 수 있다.
  4. 소방서장은 화재경계지구안의 관계인에 대하여 소방상 필요한 훈련 및 교육을 실시할 수 있다.
(정답률: 69%)
  • "화재경계지구는 소방서장이 지정한다."는 적절하지 않은 설명이다. 올바른 설명은 "화재경계지구는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이 지정할 수 있다."이다. 이유는 소방서장도 화재경계지구를 지정할 수 있지만, 그 권한은 소방본부장에게 위임될 수 있다는 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일반음식점에서 조리를 위해 불을 사용하는 설비를 설치할 때 지켜야 할 사항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주방시설에는 동물 또는 식물의 기름을 제거할 수 있는 필터 등을 설치할 것
  2. 열을 발생하는 조리기구는 반자 또는 선반에서 50cm 이상 떨어지게 할 것
  3. 주방설비에 부속된 배기닥트는 0.5mm 이상의 아연도금 강판ㆍ이와 동등 이상의 내식성 불연재료로 설치할 것
  4. 열을 발생하는 조리기구로부터 15cm 이내의 거리에 있는 가연성 주요구조부는 석면판 또는 단열성이 있는 불연재료로 덮어 씌울 것
(정답률: 31%)
  • "열을 발생하는 조리기구는 반자 또는 선반에서 50cm 이상 떨어지게 할 것"은 적절한 사항이다. 이는 조리기구에서 발생하는 열로 인해 반자나 선반 등의 가연성 물질이 화재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안전거리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형식승인을 얻지 아니한 소방용기계ㆍ기구를 소방시설공사에 사용한 때의 벌칙으로 알맞은 것은?(오류 신고가 접수된 문제입니다. 반드시 정답과 해설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0만원 이하의 벌금
  2.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0만원 이하의 벌금
  3.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의 벌금
  4.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1000만원 이하의 벌금
(정답률: 74%)
  • 형식승인을 받지 않은 소방용기계ㆍ기구를 사용하면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벌칙이 부과됩니다. 그리고 벌칙의 정도는 위험성의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경우, 벌칙의 정도는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원 이하의 벌금으로 정해졌습니다. 이는 위험성이 높지만, 다른 벌칙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벼운 벌칙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소방시설업에 포함되지 않는 영업은?

  1. 소방시설공사업
  2. 소방시설설계업
  3. 소방시설관리업
  4. 소방시설감리업
(정답률: 24%)
  • 소방시설관리업은 이미 설치된 소방시설의 유지보수, 점검, 검사 등을 담당하는 업종으로, 새로운 시설을 설치하는 업종인 소방시설공사업, 설계하는 업종인 소방시설설계업, 시설의 안전성을 감리하는 업종인 소방시설감리업과는 구분됩니다. 따라서 소방시설관리업은 소방시설업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대통령령 또는 화재안전기준의 변경으로 그 기준이 강화된 경우 기존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하여 강화된 기준을 적용할 수 있는 소방시성의 종류로 알맞은 것은?

  1. 옥내소화전설비
  2. 스프링클러설비
  3. 물분무등소화설비
  4. 자동화재속보설비
(정답률: 24%)
  • 정답은 "자동화재속보설비"입니다. 대통령령이나 화재안전기준의 변경으로 인해 기존 특정소방대상물에 대한 강화된 기준을 적용할 때, 자동화재속보설비는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화재를 감지하고 소방서에 신고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강화된 기준을 적용할 수 있는 소방시설의 종류로 선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소방기본법상 소방체험관을 설립하여 운영할 수 있는 자로 알맞은 것은?

  1. 문화체육관광부장관
  2. 소방방재청장
  3. 시ㆍ도지사
  4. 소방본부장
(정답률: 60%)
  • 소방기본법 제32조에 따르면 소방체험관을 설립하여 운영할 수 있는 자는 시ㆍ도지사입니다. 이는 시ㆍ도지사가 소방안전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전문소방시설공사업의 등록을 하고자 할 때 법인의 자본금의 기준은?

  1. 5천만원 이상
  2. 1억원 이상
  3. 2억원 이상
  4. 3억원 이상
(정답률: 83%)
  • 전문소방시설공사업은 고도의 기술과 안전성이 요구되는 분야이므로, 법인의 자본금이 일정 수준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법령에서는 전문소방시설공사업의 등록을 하기 위한 최소 자본금 기준을 정하고 있는데, 그 기준은 "1억원 이상"입니다. 따라서 전문소방시설공사업을 등록하려면 법인의 자본금이 1억원 이상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소방용수시설인 저수조의 설치기준으로서 알맞은 것은?

  1. 지면으로부터의 낙차가 4.5m 이하일 것
  2. 흡수부분의 수심이 0.5m 이하일 것
  3. 흡수관의 투입구가 사각형의 경우에는 한 변의 길이가 60cm 이하일 것
  4. 저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방법은 살수도에 연결하여 수동으로 급수되는 구조일 것
(정답률: 61%)
  • 저수조는 화재 발생 시 빠른 대처를 위해 소방차 등에서 물을 공급받아 사용하는 시설입니다. 따라서 지면으로부터의 낙차가 4.5m 이하인 것은 소방차 등에서 물을 공급할 때 물의 압력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흡수부분의 수심이 0.5m 이하인 것은 물을 빠르게 흡입하기 위함이며, 흡수관의 투입구가 사각형의 경우에는 한 변의 길이가 60cm 이하인 것은 흡입구의 크기를 제한하여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마지막으로 저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방법은 살수도에 연결하여 수동으로 급수되는 구조일 것은 소방차 등에서 물을 공급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도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소방기본법상 소방용수시설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소화전
  2. 급수탑
  3. 저수조
  4. 전용수조
(정답률: 57%)
  • 소방용수시설은 화재 발생 시 소방작업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기 위한 시설로, 소화전, 급수탑, 저수조 등이 포함됩니다. 하지만 전용수조는 건물 내부에서 사용되는 물을 저장하는 시설로, 소방작업에 직접적으로 필요한 물을 공급하지 않기 때문에 소방용수시설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위험물제조소의 변경허가를 받아야 하는 경우가 아닌 것은?

  1. 제조소의 위치를 이전하는 경우
  2. 안전장치를 신설하는 경우
  3. 지정수량의 배수를 변경하는 경우
  4. 위험물취급탱크의 탱크전용실을 증설하는 경우
(정답률: 12%)
  • 지정수량의 배수를 변경하는 경우는 위험물을 다루는 양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것이므로 위험성이 변화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변경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하지만 제조소의 위치를 이전하는 경우, 안전장치를 신설하는 경우, 위험물취급탱크의 탱크전용실을 증설하는 경우는 위험성이 크게 변하지 않으므로 변경허가를 받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단독경보형감지기의 설치대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면적 1000m2 미만인 아파트
  2. 연면적 500m2 미만의 숙박시설
  3. 연면적 2000m2 미만의 교육연구시설 내에 있는 기숙사
  4. 연면적 1000m2 미만의 기숙사
(정답률: 63%)
  • 단독경보형감지기는 연면적 500m2 이상의 건물에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연면적 500m2 미만의 숙박시설은 설치대상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소방시설 중 소화설비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연결살수설비
  2. 자동확산소화용구
  3. 옥외소화전설비
  4. 옥내소화전설비
(정답률: 12%)
  • 연결살수설비는 소화설비가 아니라, 화재 발생 시 인명 구조를 위한 구조물이기 때문입니다. 자동확산소화용구, 옥외소화전설비, 옥내소화전설비는 모두 소화설비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소방시설 중 하자보수보증기간이 2년이 아닌 것은?

  1. 유도등
  2. 피난기구
  3. 무선통신보조설비
  4. 자동식소화기
(정답률: 55%)
  • 자동식소화기는 보수보증기간이 2년이 아닌 것입니다. 이는 자동식소화기가 다른 소방시설과 달리 일정한 주기로 점검 및 유지보수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자동식소화기는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작동하여 불을 진압하므로, 안전성이 높고 유지보수 비용이 적게 듭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61.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에서 유입공기의 배출방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직 풍도에 따른 배출
  2. 배출구에 따른 배출
  3. 제연설비에 따른 배출
  4. 수평 풍도에 따른 배출
(정답률: 57%)
  •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에서 유입공기의 배출방식으로 옳지 않은 것은 "수평 풍도에 따른 배출"입니다. 이는 유입공기가 계단실 내부에서 수평적으로 이동하며 배출되는 방식으로, 환기효과가 떨어지고 연기가 계단실 내부에 머무르게 되어 대피에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수직 풍도에 따른 배출이나 배출구에 따른 배출, 제연설비에 따른 배출 등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은 연결상수설비가 설치된 하나의 송수구역에 설치한 헤드수가 12개인 경우 송수구의 설치상태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송수구는 쌍구형으로 설치하였다.
  2. 송수구는 지면으로부터 1.2m 높이에 설치하였다.
  3. 송수구로부터 주배관에 이르는 배관에는 개폐밸브를 설치하지 아니하였다.
  4. 소방자동차의 접근이 가능하고 노출된 장소에 설치하였다.
(정답률: 36%)
  • "송수구는 지면으로부터 1.2m 높이에 설치하였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송수구는 일반적으로 지면으로부터 0.5m ~ 1m 높이에 설치되며, 이는 송수관의 경사각과 연관이 있다. 경사각이 크면 송수구를 높게 설치해야 하고, 작으면 낮게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1.2m는 일반적인 송수구의 설치 높이 범위를 벗어나는 값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를 건식의 경우에 설치하는 순서로 적당한 것은?

  1. 송수구 → 자동배수밸브 → 체크밸브
  2. 송수구 → 자동배수밸브 → 체크밸브 → 자동배수밸브
  3. 송수구 → 체크밸브 → 자동배수밸브
  4. 송수구 → 자동배수밸브 → 자동배수밸브 → 체크밸브
(정답률: 47%)
  • 정답은 "송수구 → 자동배수밸브 → 체크밸브 → 자동배수밸브" 입니다.

    건식 연결송수관설비에서는 송수구를 먼저 설치하고, 이어서 자동배수밸브를 설치합니다. 그리고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역류를 방지합니다. 마지막으로 다시 한번 자동배수밸브를 설치하여 수압 조절을 합니다. 따라서 "송수구 → 자동배수밸브 → 체크밸브 → 자동배수밸브"가 올바른 설치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옥내 소화전설비의 함에 표시되지 않는 것은?

  1. 옥내 소화전설비의 위치 표시등
  2. 가압송수장치의 시동 표시등
  3. 옥내 소화전설비의 사용요령을 기재한 표지판
  4. 상용전원 또는 비상전원의 확인 표시등
(정답률: 45%)
  • 상용전원 또는 비상전원의 확인 표시등은 옥내 소화전설비의 함에 표시되지 않는다. 이는 소화전설비가 상용전원 또는 비상전원으로 작동 중인지 확인할 수 있는 표시등이지만, 이는 소화전설비의 함이 아닌 별도의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대형수동식소화기의 능력단위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A급 5단위 이상, B 급 10단위 이상
  2. A급 10단위 이상, B 급 15단위 이상
  3. A급 10단위 이상, B 급 20단위 이상
  4. A급 20단위 이상, B 급 30단위 이상
(정답률: 80%)
  • 대형수동식소화기의 능력단위는 화재진압 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A급은 작은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능력을, B급은 보다 큰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A급은 10단위 이상, B급은 20단위 이상이어야 대형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대형수동식소화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옥상에 설치되어 있는 소화설비 전용 물탱크에 수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양정 25m, 송출량 30L/s인 소형 급수펌프를 설치하였을 경우 본 급수펌프의 수동력은 약 몇 kW인가? (단, 유체의 밀도는 ρ=998 kg/m3이다.)

  1. 7.34
  2. 8.34
  3. 9.34
  4. 10.34
(정답률: 36%)
  • 소화설비 전용 물탱크에 공급하기 위한 소형 급수펌프의 수동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수동력 = 유체의 밀도 × 중력가속도 × 양정 × 송출량

    여기서 유체의 밀도는 주어졌으므로 998 kg/m^3을 대입하고, 중력가속도는 보통 9.81 m/s^2로 가정한다. 따라서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수동력 = 998 kg/m^3 × 9.81 m/s^2 × 25 m × 30 L/s
    수동력 = 7.34 kW

    따라서 본 급수펌프의 수동력은 약 7.34 k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제연설비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배출기의 배출측 풍도안의 충속은 15m/sec 이하로 한다.
  2. 유입풍도안의 풍속은 15m/sec이하로 한다.
  3. 배출기의 흡입측 풍도안의 풍속은 20m/sec이하로 한다.
  4. 예상제연구역에 공기가 유입되는 순간의 풍속은 5m/sec 이하가 되도록 한다.
(정답률: 34%)
  • 예상제연구역은 화학물질이 유출될 가능성이 있는 지역으로, 이곳에 공기가 유입되는 순간에는 화학물질이 확산될 수 있기 때문에 풍속을 5m/sec 이하로 유지하여 화학물질의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정답은 "예상제연구역에 공기가 유입되는 순간의 풍속은 5m/sec 이하가 되도록 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스프링클러 설비에 설치한 물올림 탱크(Priming Tank)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적합한 것은?

  1. 가압펌프 및 흡입관로 상에 누수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보충하여 주기 위한 설비이다.
  2. 오보(誤報)를 방지하기 위한 설비이다.
  3. 배관내의 급격한 압력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비의 최상부에 설치하는 설비이다.
  4. 경보 체크밸브(Alarm check Valve)의 누수를 보충하기 위하여 각 경보 체크밸브에 설치하는 설비이다.
(정답률: 67%)
  • 가압펌프 및 흡입관로 상에 누수가 발생하였을 때 이를 보충하여 주기 위한 설비이다. Priming Tank는 가압펌프나 흡입관로 상에 누수가 발생하면 물이 빠져나가게 되어 공기가 들어가게 됩니다. 이 때, 가압펌프는 공기를 흡입하여 물을 펌핑할 수 없게 됩니다. Priming Tank는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며, 누수로 인해 물이 빠져나가면 Priming Tank에 저장된 물을 자동으로 보충하여 가압펌프가 공기를 흡입하지 않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특수가연물을 저장하는 장소에 포워터 스프링클러 헤드를 사용하여 포 소화설비를 설치하고자 할 때 바닥면적 얼마 이내의 부분에서, 표준방사량으로 몇 분간 동시에 방사할 수 있는 저수량 이상이어야 하는가?

  1. 200m2, 10분
  2. 200m2, 20분
  3. 100m2, 20분
  4. 100m2, 10분
(정답률: 42%)
  • 포 소화설비는 화재 발생 시 특수가연물을 빠르게 소화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를 위해 포워터 스프링클러 헤드를 사용하여 설치하고자 하는데, 이 헤드는 일정한 양의 물을 일정한 시간 동안 분사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따라서 포 소화설비를 설치할 때는 이 헤드가 커버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충분한 양의 물을 분사할 수 있도록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포 소화설비를 설치할 장소의 바닥면적과 동시에 방사할 수 있는 저수량의 기준을 알아내야 한다. 이를 위해 NFPA 15(Standard for Water Spray Fixed Systems for Fire Protection)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 포워터 스프링클러 헤드는 최소 200m2의 바닥면적을 커버할 수 있어야 한다.
    - 포워터 스프링클러 헤드는 최소 10분간 일정한 양의 물을 분사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200m2, 10분"이 정답이다. "200m2, 20분"은 분사 시간은 충분하지만 바닥면적이 작아서 커버할 수 없으며, "100m2, 20분"은 바닥면적은 작지만 분사 시간은 충분하므로 가능하지만, "100m2, 10분"은 바닥면적도 작고 분사 시간도 짧아서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옥내소화전설비의 유효수량이 15000ℓ라고 하면 몇 ℓ 이상을 옥상(옥내소화전설비가 설치된 건축물의 주된 옥상을 말한다.)에 설치하여야 하는가?

  1. 5000이상
  2. 7500이상
  3. 10000이상
  4. 12500이상
(정답률: 56%)
  • 옥내소화전설비는 건축물 내부에서 화재 발생 시 직접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소화장치이다. 하지만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옥외에서도 소화작업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옥내소화전설비의 유효수량이 15000ℓ일 경우, 옥상에는 최소한 5000ℓ 이상의 소화제가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이는 옥외에서의 소화작업을 위한 최소한의 수량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답은 "5000이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급기가압방식 제연설비에 사용되는 플랩댐퍼의 기능은 무엇인가?

  1. 제연공간의 과도한 압력을 외부로 방출하는 장치이다.
  2. 제연덕트내에 설치되어 화재시 자동으로 폐쇄 또는 개방되는 장치이다.
  3. 급기가압 공간의 제연량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장치이다.
  4. 제연구역과 화재구역 사이의 연결을 자동으로 차단 할 수 있는 댐퍼이다.
(정답률: 26%)
  • 플랩댐퍼는 제연공간 내의 과도한 압력을 외부로 방출하는 장치입니다. 이는 제연설비 내부의 압력이 너무 높아지면 설비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기능입니다. 따라서 플랩댐퍼는 제연설비의 안전한 운영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국소방출 방식에서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는 몇 초 이내에 방사할 수 있어야 하는가?

  1. 15초
  2. 20초
  3. 25초
  4. 30초
(정답률: 50%)
  • 국소방출 방식에서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는 빠르게 작용하여 화재를 진압해야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이산화탄소 소화약제는 몇 초 이내에 방사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 중에서 가장 적절한 시간은 30초입니다. 이는 화재 발생 후 빠른 대처가 필요하기 때문에, 빠르게 작용하는 이산화탄소 소화약제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옥외 소화전 설비의 설치, 유지에 관한 기술상의 기준 중 잘못된 것은?

  1. 소화전 함에는 그 표면에 호스격납함 이라고 표시한다.
  2. 소화전 함은 옥외소화전마다 그로부터 5m 이내의 장소에 설치한다.
  3. 가압송수장치의 시동을 표시하는 표시등은 적색으로 하고, 소화전함 상부 또는 그 직근에 설치한다.
  4. 가압송수장치는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 등에 의해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한다.
(정답률: 40%)
  • "소화전 함에는 그 표면에 호스격납함 이라고 표시한다."는 잘못된 기준이다. 소화전 함에는 호스격납함이 설치되어 있지만, 그 표면에 표시하는 것은 권장사항이며 필수적인 기준은 아니다.

    소화전 함에 호스격납함이 설치되어 있어야 하는 이유는 화재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소화용 호스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호스격납함은 소화용 호스를 보관할 수 있는 공간으로, 소화전 함 내부에 설치되어 있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스프링클러 설비에서 가압 송수장치의 펌프가 작동하고 있으나 헤드에서 물이 방출되지 않는 경우의 원인으로서 관계가 적은 것은?

  1. 헤드가 막혀있다.
  2. 배관이 막혀있다.
  3. 제어밸브 및 자동밸브가 열리지 않는다.
  4. 전기계통의 접속불량이 있다.
(정답률: 44%)
  • 가압 송수장치의 펌프가 작동하고 있으나 헤드에서 물이 방출되지 않는 경우, 펌프가 물을 흡입하여 헤드로 보내는데, 이때 전기계통의 접속불량이 있다면 펌프가 작동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가장 관계가 적은 것은 전기계통의 접속불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청정 소화약제 중 기본성분이 다른 하나는?

  1. HCFC BLEND A
  2. HFC-125
  3. HFC-227ea
  4. IG-541
(정답률: 78%)
  • IG-541는 기본성분이 다른 청정 소화약제와는 달리 인공 기체 혼합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것들과 구성이 다릅니다. IG-541는 질소, 아르곤, 이산화탄소의 혼합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호스릴분말소화설비는 방호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호스 접결구까지의 수평거리가 몇 m 이하가 되도록 하여야 하는가?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46%)
  • 호스릴분말소화설비는 화재 발생 시 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므로, 수평거리가 짧을수록 더욱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따라서 방호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호스 접결구까지의 수평거리는 최대 15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정답은 "1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은 옥내소화전 방수구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다. 옳은 것은?

  1. 소방재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옥내소화전방수구까지의 수평거리가 40m 이하 일 것
  2. 바닥으로부터의 높이가 1.8m 이하 일 것
  3. 호스는 구경 40mm 이하 일 것
  4. 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 할 것
(정답률: 39%)
  • 소방재상물의 층마다 옥내소화전 방수구를 설치하는 이유는, 화재 발생 시 불이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한 층에만 방수구가 설치되어 있다면, 그 위나 아래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불길이 방수구를 통해 상승하거나 하강하여 더 큰 피해를 입힐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각 층마다 방수구를 설치하여 화재 발생 시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완강기의 속도 조절기에 관한 기술 중 옳지 않은 것은?

  1. 경고하고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2. 강하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 기능에 이상이 생기지 아니하여야 한다.
  3. 모래 등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견고한 커버로 덮어져야 한다.
  4. 평상시에는 분해, 청소 등을 하기 쉽게 만들어져 있어야 한다.
(정답률: 56%)
  • 완강기는 사용 중에도 불규칙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경고하고 내구성이 있어야 합니다. 강하게 작동할 때 발생하는 열에 의해 기능에 이상이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모래 등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견고한 커버로 덮어져야 하며, 이는 완강기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평상시에는 분해, 청소 등을 하기 쉽게 만들어져 있어야 한다." 입니다. 완강기는 안전한 사용을 위해 전문가에게 맡기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청정소화약제의 저장용기에 표시하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사용연한
  2. 저장용기의 자체중량과 총중량
  3. 충전일시
  4. 약제명
(정답률: 40%)
  • 사용연한은 약제의 유효기간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저장용기에 표시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사용연한"이 아닌 것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물분무소화설비의 헤드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모두 열에 의해 동작ㅎ고 경보를 발하는 것이다.
  2. 모두 파열되고 동작하는 것이다.
  3. 일정한 조건 밑에서 일정한 방사량 및 방사각도를 나타내는 기능이 있다.
  4. 방사압력이 자동조정되어 방출량이 항상 일정하다.
(정답률: 49%)
  • 물분무소화설비의 헤드는 일정한 조건에서 일정한 방사량과 방사각도를 나타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물을 일정한 양과 방향으로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