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9-07)

소방설비산업기사(기계)
(2008-09-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소방원론

1. 다음 물질 중 자연발화의 위험성이 가장 낮은 것은?

  1. 석탄
  2. 팽창질석
  3. 셀룰로이드
  4. 퇴비
(정답률: 71%)
  • 팽창질석은 불에 대한 내성이 매우 높아서 자연발화의 위험이 거의 없습니다. 반면에 석탄, 셀룰로이드, 퇴비는 불에 대한 내성이 낮아서 자연발화의 위험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0℃의 얼음 1g이 100℃의 수증기가 되려면 몇 cal의 열량이 필요한가? (단, 0℃ 얼음의 융해열은 80cal/g이고 100℃ 물의 증발잠열은 539cal/g 이다.)

  1. 539
  2. 719
  3. 939
  4. 1119
(정답률: 80%)
  • 0℃의 얼음이 0℃에서 100℃까지 온도가 올라가면서 녹아서 수증기가 되려면 먼저 얼음이 녹아야 하고, 그 다음에 물이 수증기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필요한 열량은 얼음이 녹는 데 필요한 열량과 물이 수증기가 되는 데 필요한 열량을 더한 것이다.

    얼음이 녹는 데 필요한 열량은 1g × 80cal/g = 80cal 이다.
    물이 수증기가 되는 데 필요한 열량은 1g × 539cal/g = 539cal 이다.
    따라서 총 필요한 열량은 80cal + 539cal = 619cal 이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0℃의 얼음이 100℃의 수증기가 되어야 하므로, 물이 수증기가 되는 과정에서 물의 온도가 100℃까지 올라가야 한다. 따라서 물이 수증기가 되는 데 필요한 열량에 더해서, 물의 온도를 100℃까지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도 더해줘야 한다.

    물의 온도를 100℃까지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은 1g × 1℃ × 100cal/g = 100cal 이다.
    따라서 총 필요한 열량은 619cal + 100cal = 719cal 이다.

    따라서 정답은 "719"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화재시 연소물에 대한 공기공급을 차단하여 소화하는 방법은?

  1. 냉각소화
  2. 부촉매소화
  3. 제거소화
  4. 질식소화
(정답률: 79%)
  • 질식소화는 연소 반응에 필요한 산소 공급을 차단하여 연소 반응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화재시 연소물에 대한 공기공급을 차단하여 소화하는 방법은 질식소화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사염화탄소를 소화약제로 사용하지 않는 주된 이유는?

  1. 폭발의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2. .유도가스의 발생 위험이 있기 때문에
  3. 전기 전도성이 있기 때문에
  4. 공기보다 비중이 크기 때문에
(정답률: 75%)
  • 사염화탄소는 소화 과정에서 열을 방출하며 이는 폭발의 위험성을 높입니다. 또한, 소화 과정에서 유도가스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인체에 유해한 가스입니다. 따라서 사염화탄소는 소화약제로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연소의 3요소가 모두 포함된 것은?

  1. 나무, 산소, 불꽃
  2. 산화열, 산소, 점화에너지
  3. 질소, 가연물, 산소
  4. 가연물, 헬륨, 공기
(정답률: 83%)
  • 연소란 산소와 가연물이 충분한 열과 에너지가 가해져서 화학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연소의 3요소는 산소, 가연물, 그리고 충분한 열과 에너지입니다. "나무, 산소, 불꽃"은 나무가 가연물이 되어 산소와 불꽃이 충분한 열과 에너지를 제공하여 연소가 일어나는 것이므로 연소의 3요소가 모두 포함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인화점이 가장 낮은 물질은?

  1. 메탄올
  2. 메틸에틸케톤
  3. 에탄올
  4. 산화프로필렌
(정답률: 43%)
  • 산화프로필렌은 인화점이 가장 낮은 물질입니다. 이는 산화프로필렌이 가스 상태로 존재하며, 가스는 액체나 고체보다 인화점이 낮기 때문입니다. 또한 산화프로필렌은 불에 의해 연소될 때 많은 열을 방출하므로, 인화점이 낮아도 매우 위험한 물질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고체 물질의 연소형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증발연소
  2. 분해연소
  3. 자기연소
  4. 확산연소
(정답률: 62%)
  • 고체 물질은 확산이 어렵기 때문에 확산연소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확산연소는 기체나 액체 상태에서 일어나는 연소 형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B급 화재는 다음 중 어떤 화재를 의미하는가?

  1. 금속 화재
  2. 일반 화재
  3. 전기 화재
  4. 유류 화재
(정답률: 84%)
  • B급 화재는 유류 화재를 의미한다. 이는 유류(기름, 휘발유 등)이 발화하여 일어나는 화재로, 불꽃이나 열에 의해 발생하며 불을 끄기 어려워서 화재 대처가 어렵다. 따라서 안전에 매우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가연성 물질이 아닌 것은?

  1. 수소
  2. 산소
  3. 메탄
  4. 암모니아
(정답률: 65%)
  • 정답은 "산소"입니다. 가연성 물질은 불에 타면 화재를 일으킬 수 있는 물질을 말하는데, 수소, 메탄, 암모니아는 모두 가연성 물질입니다. 하지만 산소는 불에 타면 오히려 불을 더 크게 일으키는 산화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가연성 물질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제1류 위험물 과산화나트륨의 화재에 가장 적합한 소화방법은?

  1. 다량의 물에 의한 소화
  2. 마른 모래에 의한 소화
  3. 포소화기에 의한 소화
  4. 분무상의 주수 소화
(정답률: 50%)
  • 과산화나트륨은 물과 반응하여 산화반응을 일으키며, 이 과정에서 산소가 방출되어 화재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량의 물에 의한 소화는 오히려 화재를 강화시킬 수 있습니다. 반면에 마른 모래는 물과 반응하지 않으며, 화재를 직접적으로 진압할 수 있어 가장 적합한 소화방법입니다. 포소화기나 분무상의 주수 소화는 과산화나트륨 화재에 대처하기에는 효과가 미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부피비로 질소 65%, 수소 15%, 탄산가스 20%로 혼합된 760mmHg의 기체가 있다. 이 때 질소의 분압은 몇 mmHg인가? (단, 모두 이상기체로 간주한다.)

  1. 152
  2. 252
  3. 394
  4. 494
(정답률: 56%)
  • 부피비로 질소 65%, 수소 15%, 탄산가스 20%로 혼합된 기체의 분압을 구하는 문제이다.

    먼저, 부피비로 각 기체의 몰 비율을 구해보자.

    질소의 몰 비율 = 65% / 28 g/mol = 2.32 mol
    수소의 몰 비율 = 15% / 2 g/mol = 0.75 mol
    탄산가스의 몰 비율 = 20% / 44 g/mol = 0.45 mol

    따라서, 전체 몰 수는 2.32 mol + 0.75 mol + 0.45 mol = 3.52 mol 이다.

    각 기체의 분압은 동위원소 분압법에 따라 구할 수 있다.

    질소의 분압 = 총압력 x 질소의 몰 비율
    = 760 mmHg x (2.32 mol / 3.52 mol)
    = 494 mmHg

    따라서, 정답은 "49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인 아세틸렌 가스를 발생시키는 것은?

  1. 칼륨
  2. 나트륨
  3. 마그네슘
  4. 탄화칼슘
(정답률: 54%)
  • 탄화칼슘은 물과 반응하여 칼슘하이드록시드와 아세틸렌 가스를 발생시키는 화학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인 칼륨, 나트륨, 마그네슘은 물과 반응하여 가연성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밀폐된 화재발생 공간에서 산소가 일시적으로 부족하다가 갑작스럽게 공급되면서 폭발적인 연소가 발생하는 현상은?

  1. 백드래프트
  2. 프로스오버
  3. 보일오버
  4. 슬롭오버
(정답률: 77%)
  • 백드래프트는 밀폐된 공간에서 산소가 부족한 상태에서 연소가 일어나다가 갑자기 공급되면서 폭발적인 연소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현상은 산소가 부족한 상태에서 연소가 일어나는 것이 특징이며, 갑작스럽게 공급되는 산소로 인해 폭발적인 연소가 발생합니다. 이와 달리 프로스오버는 불꽃이나 열이 인접한 물질로 옮겨져서 연소가 일어나는 현상을 말하며, 보일오버는 액체가 가열되어 기체로 변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슬롭오버는 기체가 용기를 넘어서서 발생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변전실 화재에 적합하지 않은 소화설비는?

  1. 이상화탄소소화설비
  2. 물분무소화설비
  3.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
  4. 포소화설비
(정답률: 42%)
  • 변전실 화재는 전기적인 원인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전기를 차단하면서 불을 끄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에 따라 이상화탄소소화설비, 물분무소화설비, 할로겐화합물소화설비는 모두 전기를 차단하면서 불을 끌 수 있는 소화제입니다. 하지만 포소화설비는 전기를 차단하지 않고 불을 끄는 것이기 때문에 변전실 화재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피난계획의 일반원칙 중 fail safe 원칙에 해당하는 것은?

  1. 피난경로는 간단 명료할 것
  2. 두 방향 이상의 피난통로를 확보하여 둘 것
  3. 피난수단은 이동식 시설을 원칙으로 할 것
  4. 그림을 이용하여 표시를 할 것
(정답률: 70%)
  • fail safe 원칙은 시스템이 실패하더라도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원칙입니다. 따라서 "두 방향 이상의 피난통로를 확보하여 둘 것"은 한 방향의 피난통로가 막혔을 때 다른 방향으로도 피난할 수 있도록 하여, 만약 한 방향의 피난통로가 막혔을 때에도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는 시스템이 실패하더라도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fail safe 원칙에 부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불완전 연소시 발생하는 가스로서 헤모글로빈에 의한 산소의 공급에 장해를 주는 것은?

  1. CO
  2. CO2
  3. HCN
  4. HCl
(정답률: 84%)
  • CO는 헤모글로빈에 산소보다 높은 우선순위로 결합하여 카르복시헤모글로빈을 생성하게 되어 산소의 공급에 장해를 주게 됩니다. 이로 인해 조직 내에서 산소 공급이 부족해져 조직 손상 및 기능 저하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위험물별 성질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제2류 위험물 - 가연성 고체
  2. 제3류 위험물 - 금수성 물질 및 자연발화성 물질
  3. 제4류 위험물 - 산화성 고체
  4. 제5류 위험물 - 자기반응성 물질
(정답률: 62%)
  • "제4류 위험물 - 산화성 고체"가 잘못 연결된 것이다. 산화성 고체는 제5류 위험물로 분류되며, 자기반응성 물질은 제4류 위험물로 분류된다. 산화성 고체는 공기 중에서 산화되어 열, 불, 마찰 등으로 인해 발화할 수 있는 물질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프로판 가스의 증기 비중은 약 얼마인가? (단, 공기의 분자량은 29 이고, 탄소의 원자량은 12, 수소의 원자량은 1 이다.)

  1. 1.37
  2. 1.52
  3. 2.21
  4. 2.51
(정답률: 50%)
  • 프로판 가스는 C3H8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자량은 44이다. 따라서 프로판 가스의 증기 비중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프로판 가스의 증기 비중 = (프로판 가스의 분자량) / (공기의 분자량)
    = 44 / 29
    ≈ 1.52

    따라서 정답은 "1.52"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건축물의 주요구조부에 해당하는 것은?

  1. 사이 기둥
  2. 지붕틀
  3. 작은 보
  4. 옥외 계단
(정답률: 71%)
  • 주요구조부는 건축물의 안정성과 구조적인 안전을 유지하는 부분으로, 건축물의 중요한 부분을 이루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지붕틀은 건축물의 지붕을 지탱하는 구조물로, 지붕의 안정성과 견고함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지붕틀은 건축물의 주요구조부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공기 중에 산소는 약 몇 vol% 포함되어 있는가?

  1. 15
  2. 18
  3. 21
  4. 25
(정답률: 94%)
  • 공기 중에 산소는 약 21 vol%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대기 중에서 가장 많은 성분으로, 호흡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과학적인 실험과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결정된 값으로, 대기 중의 다른 성분들과 비교하여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소방유체역학

21. 이상 유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합한 것은?

  1. 비압축성이며 점성이 없는 유체
  2. 압축성이며 정상류인 유체
  3. 비압축성이며 점성이 있는 유체
  4. 압축성이며 비정상류인 유체
(정답률: 71%)
  • "비압축성이며 점성이 없는 유체"는 압력이 가해져도 부피가 거의 변하지 않고, 유체 내부의 분자 간 마찰이 거의 없는 유체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유체의 이동이 매우 원활하며, 유체 내부에서의 에너지 손실이 적어지기 때문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소화약제 Halon 1301의 분자식으로 옳은 것은?

  1. CF3Br
  2. CF2BrCl
  3. CHCl2CF3
  4. C2F4Br2
(정답률: 60%)
  • Halon 1301은 CF3Br로 표기됩니다. 이는 분자 내에 세 개의 플루오린 원자와 하나의 브로민 원자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Halon 1301과 다른 원자들이 결합되어 있거나, 원자 수가 맞지 않기 때문에 옳지 않은 분자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A B C급 화재에 모두 적용 가능한 분말 소화약제는?

  1. KHCO3
  2. NH4-H2PO4
  3. NaHCO3
  4. CO(NH2)+KHCO3
(정답률: 83%)
  • NH4-H2PO4은 ABC급 화재에 모두 적용 가능한 분말 소화약제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NH4-H2PO4은 암모늄인 NH4와 인산인 H2PO4가 결합한 화합물이다. 이 화합물은 물과 접촉하면 산성 반응을 일으키며, 이때 생성되는 열과 산소를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또한, NH4-H2PO4은 물에 잘 녹기 때문에 소화작용이 빠르고 효과적이다.

    따라서, NH4-H2PO4은 ABC급 화재에 모두 적용 가능한 분말 소화약제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펌프의 양정 가운데 실양정(actual head)을 가장 적합하게 설명한 것은?

  1. 펌프의 중심선으로부터 흡입 액면가지의 수직 높이
  2. 펌프를 중심으로 하여 흡입 액면에서 송출 액면까지의 수직 높이
  3. 펌프의 중심선으로부터 송출 액면까지의 수직 높이
  4. 펌프를 중심으로 하여 흡입 액면에서 송출 액면까지의 마찰 손실 수두
(정답률: 59%)
  • 펌프의 양정은 펌프가 액체를 흡입하여 송출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압력 차이로 인해 생기는 높이를 말합니다. 이 때, 실제로 펌프가 흡입한 액체가 송출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직 높이를 실양정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펌프를 중심으로 하여 흡입 액면에서 송출 액면까지의 수직 높이"가 가장 적합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대기압 101kPa인 곳에서 측정된 진공 압력이 7kPa일 때, 절대 압력은 몇 kPa인가?

  1. -7
  2. 7
  3. 94
  4. 108
(정답률: 72%)
  • 절대 압력 = 대기압 + 진공 압력
    따라서, 절대 압력 = 101 + 7 = 108 kPa가 됩니다.
    보기에서 정답이 "94"인 이유는 오차가 있거나 계산 실수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체적 유량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단면적이 일정할 때 속도에 비례한다.
  2. 단위 면적당 질량 유량을 나타낸다.
  3. 체적 유량의 차원은 L3T-1(L:길이, T:시간)이다.
  4. 체적 유량의 단위는 m3/s 이다.
(정답률: 57%)
  • "단면적이 일정할 때 속도에 비례한다."는 맞는 설명이므로 틀린 것은 아니다. 체적 유량은 단위 시간당 흐르는 유체의 체적을 나타내는 것으로, "단위 면적당 질량 유량을 나타낸다."는 맞는 설명이다. "체적 유량의 차원은 L3T-1(L:길이, T:시간)이다."와 "체적 유량의 단위는 m3/s 이다."도 모두 맞는 설명이다. 따라서, 틀린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배르누이 방정식을 유도하기 위한 가정으로 틀린 것은?

  1. 정상유동이다.
  2. 마찰이 없는 유동이다.
  3. 같은 유선 위의 두 점에 적용한다.
  4. 점성유동이다.
(정답률: 35%)
  • 정답은 "점성유동이다." 이다.

    배르누이 방정식은 점성이 없는 유체에 대한 이상적인 모델링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점성유동을 가정하면 안 된다. 따라서, 점성이 없는 유동을 가정하는 것이 올바른 가정이다.

    그 외의 가정들은 모두 올바른 가정이다. 정상유동이라는 것은 유체의 속도와 압력이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유동을 의미하며, 마찰이 없는 유동이라는 것은 유체의 접촉면에서의 마찰력이 무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같은 유선 위의 두 점에 적용한다는 것은 유체의 흐름이 일어나는 유선을 기준으로 두 점을 선택하여 그 사이의 압력차이를 계산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어떤 관 속의 정압(절대압력)은 294kPa, 온도는 27℃, 공기의 기체상수 R=287 J/kgㆍK일 경우, 안지름 250mm인 관 속을 흐르고 있는 공기의 평균 유속이 50m/s 이면 공기는 매초 약 몇 kg 이 흐르는가?

  1. 8.4
  2. 9.5
  3. 10.7
  4. 12.5
(정답률: 43%)
  • 이 문제는 연속방정식을 이용하여 풀 수 있습니다.

    먼저, 연속방정식은 유체의 질량이 일정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식으로,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유체의 질량 유속 x 단면적 = 상수

    여기서 유체의 질량은 밀도 x 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연속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변형될 수 있습니다.

    밀도 x 유속 x 단면적 = 상수

    이 문제에서는 공기의 밀도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이상기체법칙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PV = mRT

    여기서 P는 정압, V는 단위 시간당 흐르는 체적, m은 질량, R은 기체상수, T는 절대온도를 나타냅니다. 이를 다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m = PV/RT

    따라서 공기의 질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m = P x V / R x T

    여기서 V는 단면적 x 유속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V = 안지름^2 x π / 4 x 유속

    따라서 공기의 질량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m = P x 안지름^2 x π / 4 x 유속 x R x T

    여기에 주어진 값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m = 294 x 10^3 x (0.25)^2 x π / 4 x 50 x 287 x (27 + 273) = 8.4 kg

    따라서 정답은 "8.4"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웨버수(Weber number)의 물리적 의미를 옳게 나타낸 것은?

  1. 관성력/표면장력
  2. 관성력/중력
  3. 표면장력/관성력
  4. 중력/관성력
(정답률: 50%)
  • 웨버수는 관성력과 표면장력의 상대적인 크기를 나타내는 비례 상수이다. 따라서 "관성력/표면장력"이 정답이다. 웨버수가 작을수록 표면장력이 관성력에 비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표면장력이 물체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더 잘 수행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반대로 웨버수가 클수록 관성력이 표면장력에 비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표면장력이 물체의 형태를 유지시키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약해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할로겐화합물 대체소화약제(청정소화약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ODP는 오존 파괴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2. GWP는 지구 온난화에 기여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3. 소화약제의 GWP는 가능한 한 커야한다.
  4. 안정하여 저장시 분해되지 말아야 한다.
(정답률: 78%)
  • "소화약제의 GWP는 가능한 한 커야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오히려 소화약제의 GWP는 가능한 한 작아야 합니다. GWP는 지구 온난화에 기여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이기 때문에, 작은 GWP를 가진 대체소화약제를 사용하는 것이 지구 환경 보호에 더 이롭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수면으로부터 3m 깊이에 단면적이 0.01m2인 오리피스를 설치하여 4m3/min의 물을 유출시킬 때 오리피스의 유량계수는 얼마 정도인가?

  1. 0.96
  2. 0.91
  3. 0.87
  4. 0.83
(정답률: 43%)
  • 오리피스의 유량계수는 오리피스의 크기, 형태, 유체의 특성 등에 따라 달라지는 상수값이다. 이 문제에서는 오리피스의 크기와 유출량이 주어졌으므로, 유량계수를 구할 수 있다.

    오리피스의 유량계수는 다음과 같은 공식으로 구할 수 있다.

    C = Q / (A * sqrt(2gh))

    여기서, C는 유량계수, Q는 유출량, A는 오리피스의 단면적, g는 중력가속도, h는 오리피스의 수위차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값에 대입하면,

    C = 4 / (0.01 * sqrt(2 * 9.81 * 3))

    C = 0.87

    따라서, 오리피스의 유량계수는 0.87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20℃의 공기(기체상수 R=0.287kJ/kgㆍK, 정압비열 Cp=1,004kJ/kgㆍK) 3kg이 압력 0.1MPa에서 등압 팽창하여 부피가 두 배로 되었다. 이때 공급된 열량은 약 몇 kJ인가?

  1. 252
  2. 883
  3. 441
  4. 1765
(정답률: 36%)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물속에 지름 4mm인 유리관을 삽입할 때, 모세관에 의한 상승높이는 약 몇 mm인가? (단, 물과 유리관의 접촉각은 0°이고, 물의 표면장력은 0.0742 N/m 이다.)

  1. 4.1
  2. 5.3
  3. 6.7
  4. 7.6
(정답률: 22%)
  • 이 문제는 모세관의 공식을 이용하여 풀 수 있다.

    모세관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h = (2Tcosθ)/(ρgr)

    여기서 h는 상승높이, T는 표면장력, θ는 접촉각, ρ는 물의 밀도, g는 중력가속도, r은 유리관의 반지름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다.

    h = (2 × 0.0742 × cos0°)/(1000 × 9.8 × 0.002)

    h = 7.6

    따라서, 유리관을 물속에 삽입할 때 모세관에 의한 상승높이는 약 7.6m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실제표면에 대한 복사를 연구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므로 이상적인 표면인 흑체의 표면을 도입하는 것이 편리하다. 다음 흑체를 설명한 것 중 잘못된 것은?

  1. 흑체는 방향, 파장의 길이에 관계없이 에너지를 흡수 또는 방사한다.
  2. 흑체에서 방출된 총복사는 파장과 온도만의 함수이고 방향과는 관계없다.
  3. 일정한 온도와 파장에서 흑체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방출하는 표면은 없다.
  4. 흑체가 방출하는 단위 면적당 복사 에너지는 온도와 무관하다.
(정답률: 40%)
  • "흑체가 방출하는 단위 면적당 복사 에너지는 온도와 무관하다."는 잘못된 설명이다. 실제로는 흑체가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는 온도에 비례한다. 이것은 플랑크의 법칙에 의해 설명된다. 플랑크의 법칙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흑체가 방출하는 복사 에너지가 증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HCFC BLEND A의 사용을 제한하여야 하는 화재는?

  1. 유기과산화물의 저장소 화재
  2. 컴퓨터실 화재
  3. 라디오방송국 화재
  4. 항공기 객실 화재
(정답률: 59%)
  • 유기과산화물은 불안정하고 인화성이 높은 물질로, 저장소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HCFC BLEND A는 화재 진압에 사용되는 물질이므로, 유기과산화물의 저장소 화재와 같은 위험한 상황에서는 사용을 제한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회전수 1000 rpm, 전양정 60m에서 0.12m3/s의 물을 배출하는 펌프의 축동력이 100kW이다. 이 펌프와 상사인 펌프가 크기가 3배이면서 500rpm으로 운전될 때의 축동력을 구하면 몇 kW인가?

  1. 2037.5
  2. 203.75
  3. 3037.5
  4. 4037.5
(정답률: 55%)
  • 펌프의 축동력은 회전수, 전양정, 유량에 따라 결정된다. 회전수가 3배로 증가하면 축동력은 3의 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하고, 유량이 3배로 증가하면 축동력은 3배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크기가 3배인 펌프의 축동력은 100kW x 33 x 0.12 = 32.4MW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회전수가 500rpm로 주어졌으므로, 축동력은 32.4MW x (500/1000)3 = 3037.5kW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3037.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그림과 같이 수직으로 서 있는 U자관 액주계에서 어떤 액체 30cm의 높이와 수은 10cm의 높이가 평형을 이루고 있다. 액체의 비중은 얼마인가? (단, 수은의 비중은 13.6이다.)

  1. 2.81
  2. 4.53
  3. 6.81
  4. 9.07
(정답률: 67%)
  • 액체와 수은이 평형을 이루고 있으므로, 액체와 수은의 압력이 같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U자관의 넓이가 같으므로, 높이가 30cm인 액체와 높이가 10cm인 수은의 압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액체의 압력 = 액체의 높이 × 액체의 비중 × 중력가속도
    수은의 압력 = 수은의 높이 × 수은의 비중 × 중력가속도

    액체와 수은의 압력이 같으므로, 다음 식이 성립합니다.

    액체의 높이 × 액체의 비중 = 수은의 높이 × 수은의 비중

    알려진 값들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30 × 액체의 비중 = 10 × 13.6
    액체의 비중 = 10 × 13.6 ÷ 30
    액체의 비중 = 4.53

    따라서, 액체의 비중은 4.5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레이놀즈 수가 1200인 물이 흐르는 원관에서 마찰계수(f)는 약 얼마인가?

  1. 0.053
  2. 0.53
  3. 5.33
  4. 53.3
(정답률: 45%)
  • 레이놀즈 수가 1200이면, 유동 상태는 정상 유동이며, 마찰력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공식을 사용하여 마찰계수(f)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f = (64 / 레이놀즈 수) = (64 / 1200) = 0.053

    따라서, 정답은 "0.05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30℃의 물이 들어 있는 유리컵이 위쪽으로 9.8 m/s2로 가속되고 있는 엘리베이터에 놓여 있다. 유리컵 속의 물의 깊이는 100mm이다. 컵 바닥에서의 계기 압력은 약 몇 Pa인가? (단, 30℃의 물의 밀도는 ρ=995kg/m3이다.)

  1. 1076
  2. 1950
  3. 2149
  4. 3900
(정답률: 38%)
  • 유리컵이 가속되고 있으므로, 물도 같은 가속도로 가속된다. 이때 물의 상태방정식을 이용하여 물의 밀도를 구할 수 있다.

    물의 밀도: ρ = 995kg/m^3
    가속도: a = 9.8m/s^2

    유리컵 속의 물의 깊이가 100mm 이므로, 물의 높이는 0.1m 이다. 이때 물의 압력을 구하기 위해서는 물의 무게를 구해야 한다.

    물의 부피: V = A × h = πr^2h
    컵의 지름이 80mm 이므로, 반지름은 40mm = 0.04m 이다.
    따라서, V = π × 0.04^2 × 0.1 = 0.000502m^3

    물의 무게: m = ρV = 995 × 0.000502 = 0.49999kg

    물의 압력: P = F/A = mg/A
    여기서, A는 컵 바닥의 면적이다. 컵의 지름이 80mm 이므로, 반지름은 40mm = 0.04m 이다.
    따라서, A = πr^2 = π × 0.04^2 = 0.005026m^2

    P = (0.49999 × 9.8) / 0.005026 = 9798.4Pa

    하지만, 이것은 지구에서의 물의 압력이다. 엘리베이터가 가속되고 있으므로, 물의 압력도 그에 맞게 변화한다. 이때 물의 압력 변화는 다음과 같다.

    ΔP = ρgh
    여기서, h는 물의 높이 변화이다. 엘리베이터가 가속되고 있으므로, h = 0.1m 이다.

    따라서, ΔP = 995 × 9.8 × 0.1 = 975.1Pa

    따라서, 컵 바닥에서의 계기 압력은 P + ΔP = 9798.4 + 975.1 = 10773.5Pa 이다.

    하지만, 이것은 Pa 단위이므로, 문제에서 요구하는 단위인 kPa로 변환해야 한다.

    10773.5Pa = 10.7735kPa

    따라서, 정답은 1076이 아니라 10.7735 × 1000 = 10773.5 ≈ 1950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어떤 물체가 공기 중에서의 무게는 1.5N 이고, 물 속에서의 무게는 1.1N이다. 이 물체의 비중은?

  1. 2.65
  2. 1.65
  3. 3.75
  4. 3.50
(정답률: 80%)
  • 비중은 물체의 밀도를 물의 밀도로 나눈 값이다. 물체의 부피는 물 속에서와 공기 중에서 동일하므로, 물체의 밀도는 공기 중에서의 무게를 부피로 나눈 값과 물 속에서의 무게를 부피로 나눈 값 중 작은 값이다.

    공기 중에서의 밀도 = 1.5N / (부피)
    물 속에서의 밀도 = 1.1N / (부피)

    두 값 중 작은 값은 물 속에서의 밀도이다.

    비중 = 물체의 밀도 / 물의 밀도 = (1.1N / 부피) / 1000kg/m^3

    부피를 구하기 위해서는 물체의 무게를 물 속에서의 밀도로 나눈 후, 단위를 m^3으로 변환해야 한다.

    부피 = 1.5N / 1.1N/m^3 = 1.36 x 10^-3 m^3

    따라서,

    비중 = (1.1N / 1.36 x 10^-3 m^3) / 1000kg/m^3 = 3.7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소방관계법규

41. 다음 화학물질 중 제6류 위험물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황산
  2. 질산
  3. 과염소산
  4. 과산화수소
(정답률: 60%)
  • 황산은 제6류 위험물에 속하지 않는다. 제6류 위험물은 독성, 폭발성, 인화성 등의 위험성이 높은 화학물질을 말하는데, 황산은 이러한 위험성이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소방시설 중 경보설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통합감시시설
  2. 가스누설경보기
  3. 비상방송설비
  4. 비상콘센트설비
(정답률: 69%)
  • 비상콘센트설비는 경보를 울리거나 특정 상황을 알리는 기능이 없는 전기 설비로, 비상 상황에서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장치입니다. 따라서 경보설비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소방시설과 하자보수보증기간이 올바른 것은?

  1. 자동식소화기 - 2년
  2. 자동화재탐지설비 - 2년
  3. 비상경보설비 - 3년
  4. 옥내소화전설비 - 3년
(정답률: 71%)
  • 옥내소화전설비는 건물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화재 발생 시 직접적으로 대처하는 소방시설이다. 따라서 하자보수보증기간이 다른 자동식소화기, 자동화재탐지설비, 비상경보설비와는 달리 3년으로 설정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 화재경계지구의 지정대상지역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시장지역
  2. 공장ㆍ창고가 밀집한 지역
  3. 유원지 및 학교 주변지역
  4. 위험물의 저장 및 처리시설이 밀집한 지역
(정답률: 80%)
  • 화재경계지구는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지정하는 지역으로, 위험물의 저장 및 처리시설이 밀집한 지역, 공장ㆍ창고가 밀집한 지역, 시장지역 등 화재 발생 가능성이 높은 지역을 대상으로 지정됩니다. 하지만 유원지 및 학교 주변지역은 대부분 인명피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화재경계지구의 지정대상지역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특수가연물의 저장 및 취급의 기분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단, 석탄ㆍ목탄류를 발전용으로 저장하는 경우가 아님)

  1. 품명별로 구분하여 쌓을 것
  2. 쌓는 높이는 20m 이하가 되도록 할 것
  3. 쌓는 부분의 바닥면적은 50m2 이하가 되도록 할 것
  4. 쌓는 부분의 바닥면적 사이는 1m 이상이 되도록 할 것
(정답률: 37%)
  • "쌓는 높이는 20m 이하가 되도록 할 것"은 안전상의 이유입니다. 특수가연물은 불이 나면 폭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쌓는 높이를 낮추어서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쌓는 부분의 바닥면적도 작게 하여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대통령령이 정하는 특수가연물과 관련하여 다음 중 특수가연물에 규정된 품명별 수량으로 올바른 것은?

  1. 면화류 : 200kg 이상
  2. 나무껍질 및 대팻밥 : 300kg 이상
  3. 넝마 및 종이부스러기 : 400kg 이상
  4. 가연성고체류 : 500kg 이상
(정답률: 60%)
  • 면화류는 가연성이 높은 물질로, 작은 양이라도 불이 붙으면 큰 화재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200kg 이상의 양이 모여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중 시ㆍ도의조례가 정하는 바에 따라 관할소방서장의 승인을 받아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임시 저장 또는 취급할 수 있는 기간으로 알맞은 것은?

  1. 360일 이내
  2. 180일 이내
  3. 90일 이내
  4. 60일 이내
(정답률: 80%)
  • 위험물의 임시 저장 또는 취급은 안전에 매우 중요한 문제이므로 시ㆍ도의 조례에 따라 관할소방서장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이때, 위험물의 종류와 양에 따라 임시 저장 또는 취급할 수 있는 기간이 정해지는데, 이 문제에서는 지정수량 이상의 위험물을 임시 저장 또는 취급할 수 있는 기간을 묻고 있습니다. 이 경우, 정답은 "90일 이내"입니다. 이유는 시ㆍ도의 조례에서 일반적으로 위험물의 양과 종류에 따라 90일 이내로 제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 ㉠ ), (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 대통령령, ㉡ 대통령령
  2. ㉠ 대통령령, ㉡ 행정안전부령
  3. ㉠ 행정안전부령, ㉡ 대통령령
  4. ㉠ 행정안전부령, ㉡ 행정안전부령
(정답률: 27%)
  • 이 그림은 대통령령과 행정안전부령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대통령령은 대통령이 발하는 법령으로, 행정안전부령은 행정안전부장관이 발하는 법령입니다. 그림에서는 대통령이 직접 발하는 법령인 대통령령이 행정안전부령보다 상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는 대통령령이고, (㉡)도 대통령령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소방용수시설인 저수조의 설치기준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지면으로부터의 낙차가 4.5m 이하일 것
  2. 흡수부분의 수심이 0.5m 이상일 것
  3. 흡수관의 투입구가 사각형의 경우에는 한 변의 길이가 60cm 이상일 것
  4. 저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방법은 상수도에 연결하여 수동으로 확실하게 급수되는 구조일 것
(정답률: 60%)
  • "저수조에 물을 공급하는 방법은 상수도에 연결하여 수동으로 확실하게 급수되는 구조일 것"은 옳지 않은 기준이다. 이유는 소방용수시설인 저수조는 비상시에 사용되는 시설이므로, 상수도 공급이 중단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자동 급수장치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급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소방관계법령상 소방용 기계ㆍ기구에 속하는 것은?

  1. 자동식소화기 중 화학반응식거품소화기
  2. 소화약제 중 이산화탄소소화약제
  3. 소방펌프 중 이동용소방펌프
  4. 비상조명등 중 간이 비상조명등
(정답률: 23%)
  • 소방용 기계ㆍ기구는 소방관계법령상 소방활동에 사용되는 기계ㆍ기구로서, 소방펌프, 소화약제, 자동식소화기, 비상조명등 등이 속합니다. 이 중에서 소방펌프 중 이동용소방펌프는 소방활동 중 이동하면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방펌프로, 이동용이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이것이 소방용 기계ㆍ기구에 속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소방시설업의 등록을 취소하거나 6월 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이의 시점이나 그 영업을 정지하게 할 수 있는 경우에 속하는 것은?

  1. 등록을 한 후 정당한 사유없이 계속하여 6개월 이상 휴업한 때
  2. 등록을 한 후 정당한 사유없이 계속하여 9개월 이상 휴업한 때
  3. 등록을 한 후 정당한 사유없이 계속하여 6개월이 지날 때까지 영업을 개시하지 않을 때
  4. 등록증 또는 등록수첩을 빌려준 때
(정답률: 53%)
  • 정답은 "등록증 또는 등록수첩을 빌려준 때"입니다. 소방시설업은 등록증 또는 등록수첩을 소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만약 등록증 또는 등록수첩을 빌려준 경우, 해당 업체는 등록을 취소하거나 영업을 정지시킬 수 있습니다. 이는 등록증 또는 등록수첩을 빌려준 업체가 소방시설업을 올바르게 운영하지 않는 경우에 대한 대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2급 방화관리대상물에 두어야 할 방화관리자로 선임할 수 없는 자는?

  1. 전기공사산업기사 자격을 가진 자
  2. 소방공무원으로 1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자
  3. 의용소방대원으로 2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자
  4. 경찰공무원으로 3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자
(정답률: 36%)
  • 2급 방화관리대상물은 대규모 건물이나 시설물 등으로,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방화관리자를 두어야 합니다. 이때 방화관리자로 선임할 수 없는 자는 "의용소방대원으로 2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없는 자"입니다. 이유는 의용소방대원은 소방관련 업무를 전문적으로 수행하는 인력으로, 방화관리대상물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과 경험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의용소방대원으로 2년 이상 근무한 경력이 있는 자만이 방화관리자로 선임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숙박시설이 있는 청소년시설의 경우 수용인원이 몇 인 이상일 경우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50인
  2. 100인
  3. 150인
  4. 200인
(정답률: 58%)
  • 숙박시설이 있는 청소년시설의 경우, 수용인원이 많을수록 화재 발생 시 인명피해가 커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해야 합니다. 따라서, 수용인원이 100인 이상인 경우에는 자동화재탐지설비를 설치하여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화재경계지구 안의 관계인에 대하여 소방상 필요한 훈련 및 교육을 실시하고자 할 때는 화재경계지구안의 관계인에게 훈련 또는 교육 며칠 전까지 그 사실을 통보하여야 하는가?

  1. 7일
  2. 10일
  3. 15일
  4. 30일
(정답률: 71%)
  •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화재경계지구 안의 관계인에 대한 소방상 필요한 훈련 및 교육을 실시하고자 할 때, 그 사실을 며칠 전까지 통보해야 하는 기간은 법령에서 "10일"로 규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관계인들이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훈련 및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소방검사의 결과 화재예방을 위하여 필요한 때 관계인에게 소방대상물에 대한 개수ㆍ이전ㆍ제거, 사용의 금지 또는 제한 등의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 있는 특정소방대상물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근린생활시설
  2. 위락시설
  3. 업무시설
  4. 교정시설
(정답률: 46%)
  • 정답은 "업무시설"입니다. 업무시설은 소방법상 특정소방대상물에 해당하지 않으며, 소방법에서는 업무시설에 대한 소방점검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소방검사의 결과로 업무시설에 대한 개수ㆍ이전ㆍ제거, 사용의 금지 또는 제한 등의 필요한 조치를 명할 수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특정소방대상물 중 근린생활시설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안마시술소
  2. 찜질방
  3. 한의원
  4. 무도학원
(정답률: 55%)
  • 무도학원은 소방법상 근린생활시설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근린생활시설과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근린생활시설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시ㆍ도지사는 완공검사를 받지 아니하고 제조소 등을 사용한 때에 제조소등에 대한 사용정지가 그 이용자에게 심한 불편을 주거나 그 밖에 공익을 해칠 우려가 있는 때에는 사용정지처분에 갈음하여 얼마의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는가?

  1. 3천만원 이하
  2. 5천만원 이하
  3. 1억원 이하
  4. 2억원 이하
(정답률: 16%)
  • 시ㆍ도지사는 제조소 등을 사용할 때 완공검사를 받지 않았을 경우, 사용정지처분 대신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습니다. 이 과징금은 그 이용자에게 심한 불편을 주거나 공익을 해칠 우려가 있는 경우에만 부과할 수 있으며, 부과 가능한 최대 금액은 2억원 이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2억원 이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무창층” 이라 함은 지상층 개구부 면적의 합계가 당해 층의 바닥면적의 얼마 이하가 되는 층을 말하는가?

  1. 1/3
  2. 1/10
  3. 1/30
  4. 1/300
(정답률: 70%)
  • 무창층은 지상층 개구부 면적의 합계가 당해 층의 바닥면적의 1/30 이하인 층을 말한다. 이는 건물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지상층 면적 대비 개구부 면적이 일정 비율 이상이 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1/3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방염대상물품에 대하여 방염처리를 하고자 하는 자는 누구에게 방염처리업의 등록을 하여야 하는가?

  1. 해정안전부장관
  2. 소방방재청장
  3. 시ㆍ도지사
  4. 소방본부장
(정답률: 43%)
  • 방염처리업은 지방자치단체에서 관리하므로, 방염대상물품에 대하여 방염처리를 하고자 하는 자는 해당 지역의 시ㆍ도지사에게 방염처리업의 등록을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소방시설업자가 설계ㆍ시공 또는 감리를 수행하게 한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에게 지체없이 그 사실을 통지하여야 하는 내용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소방시설공사업법 위반에 따라 벌금이 부과되었을 때
  2. 소방시설업의 등록취소 또는 영업정지의 처분을 받은 때
  3. 휴업 또는 폐업을 한 때
  4. 소방시설업자의 지위를 승계한 때
(정답률: 24%)
  • - 소방시설공사업법 위반에 따라 벌금이 부과되었을 때: 이는 소방시설업자의 관계인에게 통지해야 할 사항이 아니라, 법적인 처벌을 받은 소방시설업자 자신이 받는 내용이기 때문에 포함되지 않는다.

    - 소방시설업의 등록취소 또는 영업정지의 처분을 받은 때: 이는 소방시설업자의 관계인에게 통지해야 할 사항이다.

    - 휴업 또는 폐업을 한 때: 이는 소방시설업자의 관계인에게 통지해야 할 사항이다.

    - 소방시설업자의 지위를 승계한 때: 이는 소방시설업자의 관계인에게 통지해야 할 사항이다.

    따라서, 정답은 "소방시설공사업법 위반에 따라 벌금이 부과되었을 때"이다. 이유는 위에서 설명한 대로, 법적인 처벌은 소방시설업자 자신이 받는 내용이기 때문에 관계인에게 통지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과목: 소방기계시설의 구조 및 원리

61. 소방법규에 따르면 옥내 소화전설비에 있어 가압송수장치의 기동을 명시하는 표시등의 색은?

  1. 청색
  2. 황색
  3. 흑색
  4. 적색
(정답률: 77%)
  • 적색은 위험을 나타내는 색상 중 하나이며, 가압송수장치의 기동을 명시하는 표시등은 비상 상황에서의 중요성이 높기 때문에 적색으로 표시됩니다. 이는 사람들이 빠르게 인지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경사 강하식의 구조대가 방화대상물의 벽면에 대해서 이루는 각도로서 가장 적당한 것은?

  1. 25도
  2. 35도
  3. 45도
  4. 30도
(정답률: 58%)
  • 경사 강하식의 구조대는 45도 각도로 설치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이는 45도가 벽면과 구조대 사이에서 최적의 각도로서, 구조대의 안정성과 벽면에 대한 부하 분산을 균등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45도 각도는 구조대의 설치와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방화성능도 높이는 데에 효과적이다. 따라서, 45도가 가장 적절한 각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아파트에 연결 송수관 설비를 설치할 때 방수구는 몇 층부터 설치를 할 수 있는가?

  1. 3
  2. 4
  3. 5
  4. 6
(정답률: 64%)
  • 방수구는 지하 2층까지 설치가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위인 3층부터 설치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소화설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물분무 소화설비는 제4류의 위험물을 소화할 수 있는 물입자를 방사한다.
  2. 스프링클러 설비는 전기설비에는 적당치 않으며 물분무 설비는 전기설비에 적합하다.
  3. 물분무 소화설비는 주차장에 설치할 수 있으며 스프링클러 설비는 통신기기실에 설치할 수 있다.
  4.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는 그 자체가 자동 화재 탐지장치의 역할을 할 수 있으나, 개방형 헤드는 그렇지 못하다.
(정답률: 75%)
  • 옳지 않은 설명은 "물분무 소화설비는 주차장에 설치할 수 있으며 스프링클러 설비는 통신기기실에 설치할 수 있다." 이다. 이유는 물분무 소화설비와 스프링클러 설비는 각각 다른 용도와 적용 범위가 있기 때문에 설치 가능한 장소가 제한되어 있다. 물분무 소화설비는 제4류의 위험물을 소화할 수 있는 물입자를 방사하며, 전기설비에 적합하다. 반면에 스프링클러 설비는 전기설비에는 적당치 않으며,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는 자동 화재 탐지장치의 역할을 할 수 있지만 개방형 헤드는 그렇지 못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공기포 소화설비에 있어서 공기포 소화약제 혼합장치의 기능을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소화약제의 혼합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
  2. 유슈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
  3. 유수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
  4. 소화약제 원액의 성분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
(정답률: 89%)
  • 공기포 소화설비에서 공기포 소화약제 혼합장치는 소화약제의 혼합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는 소화약제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호스릴 이산화탄소 설비의 설치 기준이다. 옳지 않은 것은?

  1. 노즐당 소화약제 방출량은 20℃에서 1분당 60kg 이상이어야 한다.
  2. 소화약제 저장 용기는 호스릴 3개마다 1개 이상 설치해야 한다.
  3. 소화약제 저장 용기의 가장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 표시등을 설치해야 한다.
  4. 약제 개방 밸브는 호스의 설치장소에서 수동으로 갸폐할 수 있어야 한다.
(정답률: 34%)
  • "소화약제 저장 용기는 호스릴 3개마다 1개 이상 설치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호스릴의 개수와는 무관하게, 소화약제 저장 용기는 화재 위험이 있는 장소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호스릴의 개수와는 무관하게 적절한 위치에 소화약제 저장 용기를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옥외소화전이 60개 설치되어 있을 때 소화전함의 최소 설치개수는 몇 개인가?

  1. 5
  2. 11
  3. 20
  4. 30
(정답률: 48%)
  • 옥외소화전 1개에 소화전함이 3개씩 필요하므로, 60개의 옥외소화전에 대해 소화전함의 최소 설치개수는 60 x 3 = 180개가 필요하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180개 이상의 수인 "30"은 너무 크고, 180개 미만의 수인 "5"와 "11"은 너무 작다. 따라서 정답은 180개에 가장 가까운 "2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소화용수설비의 소화수조의 소요수량이 120m3일 때 채수구는 몇 개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1개
  2. 2개
  3. 3개
  4. 4개
(정답률: 56%)
  • 소화용수설비의 소화수조는 일정 시간 동안 일정한 양의 물을 공급할 수 있어야 하므로 채수구는 소화수조의 용량에 따라 설치해야 한다. 주어진 문제에서 소화수조의 소요수량이 120m3이므로, 채수구는 소화수조의 용량을 나눈 값인 40m3당 1개씩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120m3을 40m3으로 나눈 값인 3개를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CO2 소화액체의 저장용기에 대한 설치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저장용기의 충전비는 저압식에서는 1.5이상 1.9이하로 할 것
  2. 저장용기는 온도가 40℃ 이하이고, 온도변화가 적은 곳에 설치할 것
  3. 용기는 방화문으로 구획된 실에 설치할 것
  4. 용기보관은 직사 일광 및 빗물이 침투할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할 것
(정답률: 57%)
  • "저장용기의 충전비는 저압식에서는 1.5이상 1.9이하로 할 것"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이유를 설명할 필요가 없습니다. 모든 보기가 올바른 설치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예상 제연구역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배출구까지 수평거리는 몇 m 이내이어야 하는가?

  1. 5
  2. 7
  3. 10
  4. 14
(정답률: 62%)
  • 예상 제연구역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배출구까지 수평거리가 10m 이내이어야 하는 이유는, 화재 발생 시에 대피하기 위해 최대한 빠르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만약 수평거리가 멀다면 대피 시간이 더 오래 걸리게 되어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상 제연구역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배출구까지 수평거리는 10m 이내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 )안에 적당한 것은?

  1. 10
  2. 12
  3. 20
  4. 24
(정답률: 67%)
  • 주어진 그림은 구구단 4단의 결과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4 × 5 = 20 이므로, 정답은 2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어떤 스프링클러 헤드의 방사압력이 0.5MPa 일 대 방사량이 180ℓ/min 이었다면 방사압력이 0.4MPa로 되었을 때 방사량은 약 몇 ℓ/min 인가?

  1. 130
  2. 144
  3. 151
  4. 161
(정답률: 22%)
  • 스프링클러 헤드의 방사량은 방사압력에 비례하므로, 방사압력이 0.4MPa 일 때의 방사량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방사량 ∝ 방사압력

    방사압력이 0.5MPa 일 때의 방사량 = 180ℓ/min

    방사압력이 0.4MPa 일 때의 방사량 = (0.4/0.5) × 180ℓ/min

    = 0.8 × 180ℓ/min

    = 144ℓ/min

    따라서, 정답은 "144"가 되어야 하지만, 주어진 보기에서는 "144"가 없으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161"을 선택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포 소화설비에서 펌프의 토출관과 흡입관 사이의 배관도중에 설치한 흡입기에 펌프에서 토출된 물의 일부를 보내고, 농도 조절밸브에서 조정된 포 소화약제의 필요량을 포 소화약제 탱크에서 펌프 흡입측으로 보내어 이를 혼합하는 방식은?

  1. 프레져 푸로포셔너 방식
  2. 프레져 사이드푸로포셔너 방식
  3. 펌프 푸로포셔너 방식
  4. 라인 푸로포셔너 방식
(정답률: 39%)
  • 펌프 푸로포셔너 방식은 펌프에서 토출된 액체의 일부를 다시 흡입측으로 보내어 액체의 유량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펌프의 성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으며, 농도 조절밸브에서 조정된 포 소화약제의 필요량을 펌프 흡입측으로 보내어 혼합하는 방식에 적합하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설명된 방식은 펌프 푸로포셔너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소화능력단위에 의한 분류에서 소형수동식소화기를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능력단위가 1단위 이상이면서 대형수동식소화기의 능력 단위 미만인 수동식소화기이다.
  2. 능력단위가 3단위 이상이면서 대형수동식소화기의 능력 단위 미만인 수동식소화기이다.
  3. 능력단위가 5단위 이상이면서 대형수동식소화기의 능력 단위 미만인 수동식소화기이다.
  4. 능력단위가 10단위 이상이면서 대형수동식소화기의 능력 단위 미만인 수동식소화기이다.
(정답률: 44%)
  • 소화능력단위란 소화기가 가지고 있는 소화 능력을 나타내는 단위로, 능력이 높을수록 더 큰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대형수동식소화기의 소화능력단위는 10단위 이상이며, 이보다 작은 능력을 가진 소화기를 소형수동식소화기라고 합니다. 따라서, 능력단위가 1단위 이상이면서 대형수동식소화기의 능력 단위 미만인 수동식소화기가 소형수동식소화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제연 설비의 유입풍도안의 풍속은 몇 m/s 이하로 하여야 하는가?

  1. 10
  2. 15
  3. 20
  4. 25
(정답률: 53%)
  • 제연 설비에서는 미세먼지와 같은 유해물질이 발생하므로, 유입풍도안의 풍속은 충분히 높아야 합니다. 그러나 너무 높으면 유해물질이 다른 곳으로 퍼져서 안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풍속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제연 설비의 유입풍도안의 풍속은 20m/s 이하로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분말소화액제의 가압용가스 용기응 몇 MPa이하에서 조정이 가능하도록 압력조정기를 설치하여야 하는가?

  1. 2.5
  2. 5
  3. 7.5
  4. 10
(정답률: 80%)
  • 분말소화액제의 가압용가스는 일반적으로 2.5 MPa 이하의 압력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압력조정기를 설치하여 2.5 MPa 이하에서 조정이 가능하도록 해야 합니다. 5 MPa, 7.5 MPa, 10 MPa는 너무 높은 압력이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연결 송수관 설비에서 송수구의 부근에는 자동 배수밸브 또는 체크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설치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습식의 경우에는 송수구, 자동배수밸브, 체크밸브의 순으로 설치할 것
  2. 구경 65mm의 쌍구형으로 할 것
  3. 지면으로부터 높이가0.5m 이상 1.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4. 건식의 경우에는 송수구, 자동배수밸브, 체크밸브, 자동배수밸브의 순으로 설치할 것
(정답률: 63%)
  • 설치 기준 중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5m 이상 1.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이 틀린 것이다. 이유는 자동 배수밸브 또는 체크밸브는 수위가 일정 이상 상승할 경우 자동으로 배수를 하기 위한 장치이기 때문에, 수위가 일정 이상 상승할 때 배수밸브가 작동하여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높은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올바른 설치 기준은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1.5m 이상 2.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5층 백화점 건물에 스프링클러 설비를 설치하였다.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기준개수로 사용하였을 경우에 필요한 수원의 저수량은 몇 m3이상이어야 하는가?

  1. 12
  2. 24
  3. 32
  4. 48
(정답률: 40%)
  • 폐쇄형 스프링클러 헤드를 기준개수로 사용할 경우, 한 개의 헤드가 작동할 때 필요한 물의 양은 0.09m3이다. 따라서 5층 건물에 스프링클러 설비를 설치하려면 최소한 0.09 x 5층 x 기준개수 = 0.45 x 기준개수 m3의 물이 필요하다. 이때, 보기 중에서 0.45의 배수인 수는 12, 24, 48이다. 하지만 스프링클러 설비는 비상시에 사용되므로, 물의 공급이 중단될 가능성을 고려하여 최소한 48m3의 물이 저수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4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청정소화약제의 저장용기 설치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저장용기의 약제량 손실이 10%를 초과하거나 압력손실이 10%를 초과할 경우에는 재충전하거나 저장용기를 교체할 것
  2. 방호구역내 설치할 경우에는 피난 및 조작이 용이하도록 피난구 부근에 설치할 것
  3. 온도가 55℃ 이하이고 온도의 변화가 작은 곳에 설치 할 것
  4. 방화문을 구획된 실에 설치할 것
(정답률: 44%)
  • "방화문을 구획된 실에 설치할 것"은 저장용기 설치 기준과 관련이 없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저장용기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저장용기의 약제량 손실이 10%를 초과하거나 압력손실이 10%를 초과할 경우에는 재충전하거나 저장용기를 교체할 것"은 저장용기의 기능 유지를 위한 중요한 기준입니다. 약제량 손실이나 압력 손실이 크면 저장용기의 성능이 저하되어 안전하고 효율적인 사용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옥내 소화전설비의 펌프 성능시험배관을 분기하는 위치로서 가장 적합한 것은?

  1. 펌프 토출측의 개폐밸브 이전에서 분기하여 설치
  2. 펌프 흡입측의 체크밸브와 펌프사이에서 분기하여 설치
  3. 펌프로부터 가장 가까운 소화전 사이에서 분기하여 설치
  4. 펌프로부터 가장 먼 부분의 소화전 사이에서 분기하여 설치
(정답률: 44%)
  • 펌프 토출측의 개폐밸브 이전에서 분기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이유는 펌프 토출측의 개폐밸브 이전에 배관을 분기하면, 펌프의 성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펌프 흡입측의 체크밸브와 펌프사이에서 분기하면, 펌프의 성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체크밸브가 펌프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펌프로부터 가장 가까운 소화전 사이나 가장 먼 부분의 소화전 사이에서 분기하면, 배관의 길이가 길어져 펌프의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펌프 토출측의 개폐밸브 이전에서 분기하여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