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공무원(순경) 국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7-09-02)

경찰공무원(순경) 국어
(2017-09-02 기출문제)

목록

1. 다음 보기 중 밑줄 친 단어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명사를 대신하여 대상을 가리키는 말이다.
  2. 사용 범위에 따라 고유 명사와 보통 명사로 나뉜다.
  3. 사물의 수량을 가리키는 양수사와 순서를 가리키는 서수사로 나뉜다.
  4. 실질적 의미가 희박한 형식성 의존 명사와 수량 등의 단위를 나타내는 단위성 의존 명사로 나뉜다.
(정답률: 68%)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처럼, 명사는 사용 범위에 따라 고유 명사와 보통 명사로 나뉘며, 사물의 수량을 가리키는 양수사와 순서를 가리키는 서수사로 나뉩니다. 그리고 실질적 의미가 희박한 형식성 의존 명사와 수량 등의 단위를 나타내는 단위성 의존 명사로 나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국어의 품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관형사와 부사는 뒤에 오는 다른 말을 꾸며 주기 때문에 수식언이라 한다.
  2. 접속사는 문장과 문장을 이어 주는 것으로 '그러나, 그런데' 등과 같은 것이 있다.
  3. 감탄사는 화자의 부름, 느낌, 놀람이나 대답을 나타내며 형태가 변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
  4. 조사는 체언 뒤에 결합해서 다른 말과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거나 특별한 뜻을 더해 주는 말로서, 격 조사, 접속 조사, 보조사가 있다.
(정답률: 79%)
  • "관형사와 부사는 뒤에 오는 다른 말을 꾸며 주기 때문에 수식언이라 한다."가 가장 적절하지 않은 설명이다.

    접속사는 문장과 문장을 이어 주는 역할을 하며, 관형사와 부사는 단어나 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관형사와 부사는 뒤에 오는 다른 말을 꾸며 주기 때문에 수식언이라 한다."라는 설명은 맞지만, 다른 보기들과 비교했을 때 가장 적절하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한자어와 한글 독음 표기가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尿素 - 요소
  2. 匿名 - 익명
  3. 理髮 - 이발
  4. 雙龍 - 쌍용
(정답률: 50%)
  • "理髮 - 이발"이 적절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발"은 "리베이"로 발음되기 때문입니다.

    "雙龍 - 쌍용"은 한자어에서 "雙"은 "쌍", "龍"은 "용"으로 읽히기 때문에 "쌍용"이라는 한글 독음 표기가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보기에 대한 문법적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은 '눈이 감기며 의식 없는 상태가 되어 활동하는 기능이 쉬는 상태로 되다.'를 뜻하는 '자다' 동사의 피동사이다.
  2. ㉡은 '잠이나 술에서 깨다'를 뜻하는 '깨다' 동사의 사동사이다.
  3. ㉢과 ㉤은 의지 부정을 나타내는 부정 표현이다.
  4. ㉣은 ㉠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는 동사이다.
(정답률: 81%)
  • ㉡은 '잠이나 술에서 깨다'를 뜻하는 '깨다' 동사의 사동사이다. 이유는 보기에서 "깨어나다"라는 뜻이 주어졌기 때문이다. "깨어나다"는 "깨다" 동사의 사동사 형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우리말의 역사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근대 국어 시기에 방점 표기 및 'ㆁ'과 'ㅿ'이 문자 체계에서 사라진다.
  2. 고대 국어의 향가에서는 주체 높임법과 객체 높임법은 분명히 확인되며 청자를 높이는 상대 높임법은 잘 확인되지 않는다.
  3. 중세 국어 시기에 '뫼, ᄀᆞᄅᆞᆷ'은 각각 한자어 '산(山), 강(江)'으로 바뀌는 것과 같이, 고유어가 눈에 띄게 없어지고 한자어로 대체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4. 중세 국어에서는 존칭의 호격 조사 '하', 인칭법 및 대상법 선어말 어미 '-오/우-', 높임법 선어말 어미 '-시-'(주체 높임법), '-ᄉᆞᆸ-, -ᄌᆞᆸ-, -ᅀᆞᆸ-'(객체 높임법), '-ᅌᅵ-'(상대 높임법) 등이 나타나는 특징을 찾아볼 수 있다.
(정답률: 27%)
  • "고대 국어의 향가에서는 주체 높임법과 객체 높임법은 분명히 확인되며 청자를 높이는 상대 높임법은 잘 확인되지 않는다."는 고대 국어의 특징에 대한 설명이므로, 다른 시기인 중세 국어 시기와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에서 '아이가 아니다'는 서술절이다.
  2. ㉡에서 '엄마와'는 부사어이지만 생략하면 안 되는 필수적 부사어이다.
  3. ㉢에서 '사랑하다'는 주어, 목적어, 서술어를 요구하는 세 자리 서술어이다.
  4. ㉣에서 부사어 '영선이에게'와 목적어 '편지를'의 위치를 바꾸면 ㉣은 비문(非文)이 된다.
(정답률: 76%)
  • 보기 중 ㉡에서 '엄마와'는 부사어이지만 생략하면 안 되는 필수적 부사어이다. 이는 전체 문장의 의미를 완성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보기에서 사이시옷에 대한 표기 중 옳고 그름의 표시(○, ×)가 바르게 된 것만을 고른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68%)
  • 정답은 "㉠㉡"입니다.

    사이시옷은 'ㅅ'과 'ㅇ' 사이에서 발음이 바뀌는 현상을 나타내는데, 이때 'ㅅ'은 받침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은 "바닷가"와 같이 'ㅅ'이 받침으로 쓰이는 경우이므로 사이시옷이 생기지 않습니다.

    ㉡은 "바다이야기"와 같이 'ㅅ'이 받침이 아닌 경우이므로 사이시옷이 생깁니다.

    ㉢은 "바닷길"과 같이 'ㅅ'이 받침으로 쓰이는 경우이지만, 'ㄹ'과 결합하여 'ㄹㄱ'으로 발음되므로 사이시옷이 생기지 않습니다.

    ㉣은 "바다물"과 같이 'ㅅ'이 받침이 아닌 경우이지만, 'ㄹ'과 결합하여 'ㄹㄹ'로 발음되므로 사이시옷이 생깁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어법에 가장 적절한 것은?

  1. 때는 바야흐로 만물이 소생하는 봄이다.
  2. 인간은 자연에 복종하기도 하고, 지배하기도 한다.
  3. 글을 잘 쓰려면 신문과 뉴스를 열심히 시청해야 한다.
  4. 철이는 영선이에게 가방을 주었는데, 그 보답으로 철이에게 책을 선물하였다.
(정답률: 57%)
  • "때는 바야흐로 만물이 소생하는 봄이다." 이것이 어법에 가장 적절한 것은 문장 구조와 문법적으로 완벽하며, 주어와 동사가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문장은 주어 "때"와 동사 "소생하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문장 구조도 완벽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밑줄 친 어휘의 사용이 가장 적절한 것은?

  1. 재계 3위의 갑부(甲富)는 과연 누구일까?
  2. 그분은 청년들의 애환(哀歡)을 감싸 주고 위로해 주었다.
  3. 공무원은 불편부당(不偏不黨)하도록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4. 김 부장의 사위는 훤칠한 키에 폭넓은 교양을 갖춘 재원(才媛)이다.
(정답률: 54%)
  • "공무원은 불편부당(不偏不黨)하도록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 이유: 불편부당은 정치적 성향이나 편파적인 입장 없이 공정하게 일을 처리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공무원의 역할과 맞는 표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띄어쓰기가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철이는 키가 장대만큼 크다.
  2. 내가 좋아하는 사람은 너뿐이다.
  3. 영희는 합리적이기 보다는 감정적이다.
  4. 볼펜, 연필, 지우개 따위를 문구류라 한다.
(정답률: 66%)
  • "철이는 키가 장대만큼 크다." - "장대만큼"과 "크다" 사이에 띄어쓰기가 필요함.

    영희는 합리적이기 보다는 감정적이다. - 띄어쓰기가 적절함.

    "내가 좋아하는 사람은 너뿐이다." - "너뿐이다." 뒤에 마침표가 필요함.

    "볼펜, 연필, 지우개 따위를 문구류라 한다." - 띄어쓰기가 적절함.

    영희는 합리적이기 보다는 감정적이다. - 이유는 "보다는"이라는 표현이 두 가지 사물이나 개념을 비교할 때 사용되는데, 이 경우에는 "합리적"과 "감정적"을 비교하고 있기 때문에 띄어쓰기가 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어찌할 바를 몰라 이리저리 머뭇거리고
  2. ㉡일정한 특성에 따라 나누어지는 부류
  3. ㉢정확하게 맞아 조금도 틀리지 아니하게
  4. ㉣곤충의 한 종류. 남의 것을 뜯어먹고 사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정답률: 84%)
  • ㉣은 보기와 관련이 없는 설명이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어떤 상황이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지만, ㉢은 "정확하게 맞아 조금도 틀리지 않는다"는 것으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어떤 상황이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정확성이 높다는 것을 강조하는 표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1930년대 한국 문학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한 것은?

  1. 이 시기에 발표된 이광수의 장편소설 「무정」은 신소설을 발전적으로 계승하였다.
  2. 이 시기에는 일제의 탄압이 극에 달했으며, 민족어 말살 정책으로 많은 문인들이 친일적인 작품을 쓰거나 붓을 꺾었다.
  3. 김기림, 정지용 등의 시인들은 감성보다 지성, 리듬보다 이미지에 호소하는 주지주의 경향을 바탕으로 한 시를 창작하였다.
  4. 이 시기의 시는 3.1 운동의 좌절로 인한 허무와 패배 의식의 영향으로 감상적ㆍ퇴폐적 낭만주의 경향을 보였으며, 황석우, 홍사용, 박영희 등이 대표적이었다.
(정답률: 24%)
  • 1930년대 한국 문학은 일제의 탄압과 민족어 말살 정책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으며, 이 시기에는 주로 지성과 이미지에 호소하는 주지주의 경향을 바탕으로 한 시인들이 활약했다. 이에 대표적인 시인으로 김기림, 정지용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감성보다는 지성, 리듬보다는 이미지에 더 많은 관심을 두고 시를 창작했다. 이 시기에 발표된 이광수의 장편소설 「무정」은 신소설을 발전적으로 계승하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단군신화」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홍익인간이라는 건국이념을 찾을 수 있다.
  2. 이 신화를 통해 우리 신화의 원형과 당시 사회의 성격을 살펴볼 수 있다.
  3. 이 신화는 우리 민족이 세운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의 천지 창조 신화이다.
  4. 환웅과 웅녀가 결합하여 시조인 단군이 탄생하였다는 점에서 우리나라가 천손에 의해 건국되었음을 밝히고 있다.
(정답률: 41%)
  • "이 신화는 우리 민족이 세운 최초의 국가인 고조선의 천지 창조 신화이다."가 가장 적절하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는 "단군신화"는 고조선 건국 신화이지만, 천지 창조 신화는 아닙니다. "단군신화"는 환웅과 웅녀가 결합하여 시조인 단군이 탄생하였다는 점에서 우리나라가 천손에 의해 건국되었음을 밝히고, 또한 홍익인간이라는 건국이념을 찾을 수 있으며, 이 신화를 통해 우리 신화의 원형과 당시 사회의 성격을 살펴볼 수 있다는 것이 가장 적절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와 ㈏의 시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의 시는 ㈏의 시를 패러디 한 작품이다.
  2. ㈎의 시 2연에 나오는 '전파'는 ㈏의 시 2연에 나오는 '꽃'과 대응한다.
  3. ㈎의 시는 현대 사회의 이기적이고 편의적인 사랑에 대한 비판적 시선을 드러내고 있다.
  4. ㈏의 시는 ㈎의 시에 비해 발랄하고 감각적이다.
(정답률: 52%)
  • "㈏의 시는 ㈎의 시에 비해 발랄하고 감각적이다."라는 설명은 시의 내용과 관련이 없으므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보기의 시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이 시는 「매천집(梅泉集)」에 실려 있다.
  2. '새'와 '짐승', '강산'은 시인의 감정이 이입된 대상이다.
  3. 역사의 시련을 맞이한 지식인의 진정 어린 고뇌가 나타난다.
  4. 고려 멸망의 소식을 접하고 순절(殉節)한 황현이 자결을 앞두고 쓴 시이다.
(정답률: 57%)
  • "'새'와 '짐승', '강산'은 시인의 감정이 이입된 대상이다."는 이 시에 대한 설명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이 시는 고려 멸망의 소식을 접하고 순절(殉節)한 황현이 자결을 앞두고 쓴 시이며, 역사의 시련을 맞이한 지식인의 진정 어린 고뇌가 나타난다. 이 시는 「매천집(梅泉集)」에 실려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윗글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16번 공통지문 문제)

  1. 지은이는 건축 설계를 할 때 문학에서 영감을 받고 있다.
  2. 문학적 소양을 갖추면 보다 질 높은 건축 설계를 할 수 있다.
  3. 삶의 형식과 내용을 재구성하기 위해서는 문학적 상상력이 수반되어야 한다.
  4. 문학과 건축은 삶의 의미와 가치를 드러내는 표현 방식뿐만 아니라 삶의 진실을 추구한다는 점에서도 공통적이다.
(정답률: 19%)
  • "지은이는 건축 설계를 할 때 문학에서 영감을 받고 있다."는 문학과 건축의 공통점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므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보기 시의 괄호 안에 들어갈 시어가 적절하게 짝 지어진 것은?

  1. 땅 - 국화 - 영웅(英雄)
  2. 하늘 - 매화 - 영웅(英雄)
  3. 땅 - 국화 - 초인(超人)
  4. 하늘 - 매화 - 초인(超人)
(정답률: 65%)
  • "하늘 - 매화 - 초인(超人)"은 모두 일본의 만화나 애니메이션에서 자주 등장하는 요소들이다. "땅 - 국화 - 영웅(英雄)"와 "하늘 - 매화 - 영웅(英雄)"는 국화와 영웅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초인(超人)"은 일본에서 유래한 요소이기 때문에 다른 보기와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빈 괄호 속에 들어갈 한자 성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一刀兩斷
  2. 一魚濁水
  3. 一望無際
  4. 一擧兩得
(정답률: 67%)
  • 이 문제는 "一擧兩得"라는 성어의 뜻을 파악하는 것이다. "一擧兩得"는 한 번의 노력으로 두 가지 이득을 얻는다는 뜻으로, 그림에서 한 번의 점프로 두 개의 골목길을 건너는 모습을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一擧兩得"가 가장 적절한 성어이다.

    그 외의 보기들은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진다.
    - "一刀兩斷" : 한 번의 결정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한다.
    - "一魚濁水" : 한 마리 물고기가 물을 흐리게 만든다. 즉, 한 사람이 모든 일을 망치는 것을 비유한다.
    - "一望無際" : 한 눈에 끝이 보이지 않는다. 즉, 넓은 범위나 무한한 것을 비유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한자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記密 – 類出 – 認知 - 嗦出
  2. 記密 – 類出 – 認智 - 索出
  3. 機密 – 流出 – 認知 - 索出
  4. 機密 – 流出 – 認智 - 嗦出
(정답률: 50%)
  • 주어진 그림은 정보보호와 관련된 용어들을 나열한 것이다. "機密"는 기밀을 의미하고, "流出"는 유출을 의미한다. "認知"는 인지를 의미하고, "索出"은 추출을 의미한다. 따라서, 정답은 "機密 – 流出 – 認知 - 索出"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