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비지도사 1차(법학개론,민간경비론)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11-16)

경비지도사 1차(법학개론,민간경비론)
(2013-11-1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법학개론

1. 다음 ( )에 들어갈 법원(法源)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ㄱ: 명령, ㄴ: 조례, ㄷ: 규칙
  2. ㄱ: 명령, ㄴ: 규칙, ㄷ: 규칙
  3. ㄱ: 조례, ㄴ: 명령, ㄷ: 조례
  4. ㄱ: 규칙, ㄴ: 규칙, ㄷ: 명령
(정답률: 52%)
  • 이미지에서 보이는 법령들은 모두 행정권력이 만든 법령이므로, 법원(法源)은 행정권력이다. 따라서 "ㄱ: 명령, ㄴ: 규칙, ㄷ: 규칙"이 올바른 연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사권(私權)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권적 청구권은 지배권이다.
  2. 위자료청구권은 재산권이다.
  3. 저당권은 원칙적으로 양도할 수 있다.
  4. 무권대리행위에 대한 본인의 추인권은 형성권이다.
(정답률: 18%)
  • "물권적 청구권은 지배권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물권적 청구권은 재산권의 일종으로, 소유자가 자신의 재산에 대한 통제력을 갖는 권리입니다. 이에 반해 지배권은 다른 사람의 행위나 행동에 대한 통제력을 갖는 권리입니다.

    물권적 청구권은 소유자가 자신의 재산에 대한 통제력을 갖는 것으로, 예를 들어 부동산 소유자는 자신의 부동산을 매각하거나 임대할 수 있는 권리를 갖습니다.

    위자료청구권은 재산권의 일종으로, 채권자가 채무자에게 상환을 요구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저당권은 원칙적으로 양도할 수 있습니다. 즉, 저당권자는 자신의 저당권을 다른 사람에게 양도할 수 있습니다.

    무권대리행위에 대한 본인의 추인권은 형성권이 아닌 절대권입니다. 즉, 무권대리행위로 인해 발생한 손해를 본인이 추상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권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한국인 甲과 미국인 乙이 캘리포니아 주에 소재한 X건물을 매매하는 경우, 미국법에 따라 소유권이전이 이루어진다고 규정한 국내법은?

  1. 국제법
  2. 국제사법
  3. 국제민사사법공조법
  4. 국내에서 비준ㆍ공포된 국제물품매매계약에 관한 국제연합협약
(정답률: 52%)
  • 정답은 "국제사법"이다. 이유는 국내법에서 미국법에 따라 소유권이전이 이루어진다는 규정이 있기 때문에, 이는 국제적인 법적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제사법의 원칙과 절차를 따라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 국제사법이 적용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추정’과 ‘간주’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추정은 입증부담을 완화하기 위하여 불명확한 사실에 대하여 일정한 법적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다.
  2. 추정은 반증으로 그 효과를 번복할 수 없다.
  3. 2인 이상이 동일한 위난으로 사망한 경우에는 동시에 사망한 것으로 간주한다.
  4. 가정법원의 선고에 의해 사망한 것으로 간주되는 사법상의 효과는 반증에 의해 번복될 수 있다.
(정답률: 64%)
  • "추정은 입증부담을 완화하기 위하여 불명확한 사실에 대하여 일정한 법적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다."가 옳다. 추정은 입증이 어려운 사실에 대해 법적으로 일정한 가정을 하여 그 효과를 부여하는 것이다. 이는 입증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된 사실에 대한 반증은 그 효과를 번복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강행규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횡령죄에 관한 형법의 규정
  2. 위험부담에 관한 민법의 규정
  3. 국회의 권한에 관한 헌법의 규정
  4. 항소기간에 관한 형사소송법의 규정
(정답률: 60%)
  • 강행규정이란, 법령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규정을 말하는데, "위험부담에 관한 민법의 규정"은 강행규정이 아닙니다. 이 규정은 당사자 간의 계약에서 위험부담을 누가 지는지에 대한 규정을 담고 있으며, 계약 당사자들이 합의하여 변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규정은 법령에서 반드시 지켜야 할 규정이 아니므로 강행규정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권리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임차인의 임차권
  2. 자(子)의 부(父)에 대한 부양청구권
  3. 토지소유자의 토지에 대한 처분권
  4. 건물 매도인의 대금지급청구권
(정답률: 38%)
  • 토지소유자의 토지에 대한 처분권은 토지를 언제든지 매각하거나 임대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이는 소유자의 자유로운 재산권에 속하며, 다른 사람들의 권리나 의무와는 무관합니다. 따라서 권리에 속하지 않는 것은 토지소유자의 토지에 대한 처분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공법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형사소송법
  2. 친족상속법
  3. 행정심판법
  4. 민사소송법
(정답률: 48%)
  • 친족상속법은 상속법에 속하는 법률이지만, 공법에는 속하지 않습니다. 공법은 국가와 개인 또는 기업 간의 법적 분쟁을 다루는 법률을 의미하며, 형사소송법, 행정심판법, 민사소송법은 모두 공법에 속합니다. 반면에 친족상속법은 개인 간의 법적 분쟁을 다루는 상속법에 해당하므로 공법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사람을 살해한 자는 사형ㆍ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징역에 처한다.”는 형법의 규정이 지니는 규범적 성격이 아닌 것은?

  1. 조직규범
  2. 행위규범
  3. 강제규범
  4. 재판규범
(정답률: 50%)
  • "사람을 살해한 자는 사형ㆍ무기 또는 5년 이상의 징역에 처한다."는 행위규범이다. 이는 개인이 행동할 때 지켜야 할 규범을 말한다. 반면, 조직규범은 조직 내부에서 지켜야 할 규범을 말하며, 강제규범은 법적으로 강제적으로 지켜야 할 규범을 말한다. 재판규범은 법원에서 판결을 내릴 때 적용되는 규범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용익물권이 아닌 것은?

  1. 지역권
  2. 임차권
  3. 구분지상권
  4. 분묘기지권
(정답률: 36%)
  • 용익물권, 지역권, 구분지상권, 분묘기지권은 모두 부동산 권리의 일종이지만, 임차권은 부동산을 임대받은 사람이 가지는 권리이므로 다른 권리와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우리나라 헌법의 기본원리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주통일주의
  2. 복지국가주의
  3. 국민주권주의
  4. 기본권존중주의
(정답률: 43%)
  • 정답은 "자주통일주의"입니다. 이는 통일을 위해 국가의 주권을 우선시하는 원칙으로, 우리나라 헌법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헌법의 기본원리는 "국민주권주의", "기본권존중주의", "사회적 평등주의"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청구권적 기본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참정권
  2. 청원권
  3. 재판청구권
  4. 국가배상청구권
(정답률: 44%)
  • 참정권은 개인이나 집단이 어떤 문제에 대해 직접적으로 참여하거나 결정하는 권리를 말하는데, 이는 청구권적 기본권에 속하지 않습니다. 청구권적 기본권은 개인이나 집단이 국가나 타인으로부터 자신의 권리를 보호받을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따라서 "참정권"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그 내용을 제한할 수 없는 절대적 기본권은?

  1. 교수내용의 자유
  2. 양심형성의 자유
  3. 예술표현의 자유
  4. 종교적 양심에 따른 집총거부의 자유
(정답률: 49%)
  • 양심형성의 자유는 개인이 자신의 신념과 가치관에 따라 행동하고 생각하는 자유를 보장하는 것으로, 이는 개인의 인간적 존엄성과 자율성을 보호하는 권리이기 때문에 제한할 수 없는 절대적 기본권이다. 교수내용의 자유, 예술표현의 자유, 종교적 양심에 따른 집총거부의 자유는 모두 중요한 기본권이지만, 이들은 양심형성의 자유와 달리 상황에 따라 제한될 수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절대적 기본권으로 분류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국회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회의원이 회기 전에 현행범으로 체포되어 구금된 경우라도 국회의 요구가 있으면 회기 중에 석방하여야 한다.
  2. 재적의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하는 경우에 가부동수이면 부결된 것으로 본다.
  3. 출석의원 과반수의 찬성이 있으면 국회의 회의를 공개하지 않을 수 있다.
  4. 국회는 선전포고에 대한 동의권을 가진다.
(정답률: 52%)
  • "국회의원이 회기 전에 현행범으로 체포되어 구금된 경우라도 국회의 요구가 있으면 회기 중에 석방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이는 헌법 제39조에 따라 국회의원의 체포와 구금에 대한 규정이며, 국회의 요구가 있더라도 법원의 판단에 따라 석방 여부가 결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대통령의 권한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헌법개정제안권
  2. 긴급재정경제처분권
  3. 임시국회소집요구권
  4. 위헌법률심판제청권
(정답률: 37%)
  • 위헌법률심판제청권은 대통령의 권한이 아닌, 국회의 권한에 속하는 것입니다. 이 권한은 국회의원 1/3 이상의 발의나 국회의원 1/3 이상의 동의에 의해 헌법재판소에 제청하여, 법률이 헌법에 위배되었는지 여부를 심판해달라는 권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검사가 재량에 의해 불기소처분을 할 수 있다는 원칙은?

  1. 국가소추주의
  2. 기소독점주의
  3. 기소편의주의
  4. 기소변경주의
(정답률: 42%)
  • 검사가 재량에 의해 불기소처분을 할 수 있는 원칙은 "기소편의주의"이다. 이는 검찰이 모든 범죄사건을 기소하지 않고, 일부 사건에서는 공소를 제기하지 않거나 기소를 유보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이론으로, 검찰의 엄격한 기소 의무보다는 사회적 이익과 공정성을 우선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피고인이 공판정에서 자백한 사건에 대하여 증거능력의 제한을 완화하는 등의 방법으로 심리를 신속하게 진행하기 위하여 인정되는 형사소송법상의 절차는?

  1. 공판준비절차
  2. 간이공판절차
  3. 증거개시절차
  4. 국민참여재판절차
(정답률: 56%)
  • 간이공판절차는 피고인이 공판정에서 자백한 사건에 대하여 증거능력의 제한을 완화하는 등의 방법으로 심리를 신속하게 진행하기 위하여 인정되는 형사소송법상의 절차입니다. 이는 증거의 신속한 수집과 검토를 통해 빠른 심리진행을 가능하게 하며, 피고인의 권리를 보장하면서도 효율적인 재판을 위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특별형사소송절차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ㄷ, ㄹ
(정답률: 50%)
  • 특별형사소송절차는 범죄피해자나 공소권자가 범죄행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자에 대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절차입니다. 이 때, "ㄷ"와 "ㄹ"이 정답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ㄱ, ㄴ": 특별형사소송절차에서는 범죄행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자에 대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범죄행위를 저지른 가해자와 피해자(범죄피해자) 사이에는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므로, "ㄱ, ㄴ"은 옳지 않습니다.
    - "ㄱ, ㄹ": 범죄행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자에 대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대상은 가해자뿐만 아니라, 공소권자(검찰)도 포함됩니다. 따라서, "ㄱ, ㄹ"은 옳지 않습니다.
    - "ㄴ, ㄷ": 범죄행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자에 대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대상은 가해자와 공소권자(검찰) 뿐만 아니라, 범죄행위와 관련된 제삼자도 포함됩니다. 이 때, 제삼자는 범죄행위와 간접적인 관련이 있으므로, "ㄴ, ㄷ"가 옳습니다.
    - "ㄷ, ㄹ": 범죄행위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자에 대해 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대상은 가해자와 공소권자(검찰) 뿐만 아니라, 범죄행위와 관련된 제삼자도 포함됩니다. 이 때, 제삼자 중에서도 범죄행위를 방조하거나, 범죄행위에 대한 책임을 지는 경우에는 "ㄷ, ㄹ"이 옳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형사소송법상 증거의 일반원칙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사실의 인정은 증거에 의하여야 한다.
  2. 피고인의 자백이 그 피고인에게 불이익한 유일의 증거인 때에는 이를 유죄의 증거로 하지 못한다.
  3. 피고인의 자백이 임의로 진술한 것이 아니라고 의심할만한 이유가 있을 때에는 유죄의 증거로 할 수 없다.
  4. 피의자에 대하여 진술거부권을 고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집한 증거의 증거능력은 인정된다.
(정답률: 53%)
  • "피의자에 대하여 진술거부권을 고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집한 증거의 증거능력은 인정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형사소송법상 피의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피의자에게 진술거부권을 고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수집한 증거는 증거능력이 없습니다. 이는 피의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으로 인정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형사소송법상 상소(上訴)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항소장은 항소법원에 제출하여야 한다.
  2. 상소는 재판의 일부에 대하여 할 수 있다.
  3. 항소의 제기기간은 7일로 한다.
  4. 피고인의 법정대리인은 피고인을 위하여 상소할 수 있다.
(정답률: 43%)
  • "항소장은 항소법원에 제출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항소장은 제출 대상에 따라 상급법원 또는 대법원에 제출할 수 있다.

    이유는 항소는 원심판결 전체에 대해 제기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에 대해서만 제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부에 대한 항소는 상급법원에, 전체에 대한 항소는 대법원에 제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의사 甲이 그 사정을 전혀 알지 못하는 간호사를 이용하여 환자 乙에게 치료약 대신 독극물을 복용하게 하여 乙이 사망에 이른 경우에 甲의 범죄 형태는?

  1. 교사범
  2. 단독정범
  3. 공동정범
  4. 간접정범
(정답률: 50%)
  • 의사 甲은 직접적으로 독극물을 복용시키지는 않았지만, 간호사를 이용하여 그들이 모르게 독극물을 복용하게 한 것이므로 간접정범이다. 간접정범은 직접적인 범행 행위를 하지 않았지만, 다른 사람을 이용하여 범행을 저지른 경우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1. 공무집행을 방해할 의사로 공무집행 중인 공무원을 상해한 경우는 다음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1. 법조경합
  2. 포괄적 일죄
  3. 상상적 경합
  4. 실체적 경합
(정답률: 39%)
  • 정답은 "상상적 경합"이다. 이유는 공무집행을 방해할 의사로 공무집행 중인 공무원을 상해한 경우, 공무집행 방해죄와 공무집행방해상해죄가 상상적 경합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두 죄 중 하나만 성립해도 범죄로 인정되며, 둘 다 성립할 경우에는 더 높은 범죄로 처벌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동거하는 친족만을 사용하는 사업장은 근로기준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2. 단체협약에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에는 임금의 일부를 공제할 수 있다.
  3. 사용자와 근로자의 합의에 의하여 1주 간에 15시간을 한도로 법정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4. 사용자는 1년간 80퍼센트 이상 출근한 근로자에게 15일의 유급휴가를 주어야 한다.
(정답률: 54%)
  • "사용자와 근로자의 합의에 의하여 1주 간에 15시간을 한도로 법정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이 설명은 옳은 것이다. 이는 근로기준법 제36조에 규정되어 있으며, 사용자와 근로자가 합의하고 근로자의 건강과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경우에 한하여 1주 간에 15시간을 한도로 법정근로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사회보장법의 분야에 해당하는 법률은?

  1. 근로기준법
  2. 아동복지법
  3. 소비자기본법
  4.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정답률: 34%)
  • 사회보장법은 사회적 보호와 복지를 위한 법률이다. 이에 따라 사회보장법의 분야에 해당하는 법률은 사회적 보호와 복지를 위한 법률이다. 아동복지법은 아동의 권리와 복지를 보호하고 증진하기 위한 법률로, 아동의 건강, 교육, 문화 등을 보호하며, 아동학대 예방 및 대응, 아동보호시스템 구축 등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아동복지법은 사회보장법의 분야에 해당하는 법률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사회보장기본법상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책임 하에 생활유지능력이 없거나 생활이 어려운 국민의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자립을 지원하는 제도는?

  1. 사회보장
  2. 사회보험
  3. 공공부조
  4. 사회서비스
(정답률: 53%)
  • 공공부조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책임을 지고, 생활유지능력이 없거나 생활이 어려운 국민들에게 최저생활을 보장하고 자립을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이는 사회보장기본법에 근거하여 시행되며, 사회보장, 사회보험, 사회서비스와 함께 사회복지의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근로기준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근로계약이란 근로자가 사용자에게 근로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이에 대하여 임금을 지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체결된 계약을 말한다.
  2. 근로기준법에서 정하는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근로조건을 정한 근로계약은 그 근로계약 전체를 무효로 한다.
  3. 사용자는 근로계약을 체결할 때에 근로자에게 소정근로시간을 명시하여야 한다.
  4. 사용자가 경영상 이유에 의하여 근로자를 해고하려면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가 있어야 한다.
(정답률: 45%)
  • "사용자가 경영상 이유에 의하여 근로자를 해고하려면 긴박한 경영상의 필요가 있어야 한다."는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내용이 맞으므로 옳지 않은 것은 "근로기준법에서 정하는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근로조건을 정한 근로계약은 그 근로계약 전체를 무효로 한다."이다. 근로기준법에서는 근로조건이 불공정하거나 불법적인 경우 해당 근로조건만 무효화되고 전체 근로계약이 무효화되는 것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주식회사의 이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이사는 주주총회에서 선임한다.
  2. 이사가 제3자의 계산으로 회사와 거래를 하기 위하여는 미리 이사회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3. 이사가 임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법령을 위반한 행위를 한 때에는 경영판단의 원칙이 적용된다.
  4. 이사는 퇴임 후에도 직무상 알게 된 회사의 영업상 비밀을 누설하여서는 아니된다.
(정답률: 49%)
  • "이사가 퇴임 후에도 직무상 알게 된 회사의 영업상 비밀을 누설하여서는 아니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사가 임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법령을 위반한 행위를 한 경우에는 경영판단의 원칙이 적용되어 이사의 책임이 경영판단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는 이사의 책임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이사의 책임을 경영판단에 따라 결정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주식회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주식회사는 무액면주식을 발행할 수 있다.
  2. 감사는 이사회에 출석할 수 없다.
  3. 집행임원은 이사회가 선임한다.
  4. 주주의 책임은 그가 가진 주식의 인수가액을 한도로 한다.
(정답률: 46%)
  • 감사는 이사회에 출석할 수 없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감사는 이사회에 출석하여 보고서를 제출하고 의견을 표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인보험에서 피보험자란?

  1. 보험사고가 발생한 때에 보험금액의 지급을 받을 자를 말한다.
  2. 보험자의 상대방으로서 자기명의로 보험계약을 체결하는 자를 말한다.
  3. 자신의 생명이나 신체를 보험에 붙인 자연인을 말한다.
  4. 보험사고가 발생한 때에 보험금액을 지급할 의무를 부담하는 자를 말한다.
(정답률: 41%)
  • 피보험자는 보험에 가입하여 자신의 생명이나 신체를 보험에 붙인 자연인을 말합니다. 따라서 보험사고가 발생한 경우 보험금액의 지급을 받을 수 있는 대상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계약 전의 어느 시기(時期)를 보험기간의 시기(始期)로 한 보험계약은?

  1. 소급보험
  2. 일부보험
  3. 단체보험
  4. 중복보험
(정답률: 56%)
  • 계약 전의 어느 시기를 보험기간의 시기로 한 보험계약은 "소급보험"이다. 이는 보험계약이 체결된 이후에 발생한 사고에 대해서도 보상을 해주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험계약 체결 이전에 발생한 사고에 대해서도 보상을 받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법령에 의하여 부여된 작위의무, 수인의무, 급부의무를 특정한 경우에 해제하여 주는 행정행위는?

  1. 허가
  2. 특허
  3. 면제
  4. 인가
(정답률: 38%)
  • 법령에 의하여 부여된 작위의무, 수인의무, 급부의무는 의무적으로 이행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의무를 특정한 경우에 해제하여 주는 행정행위가 바로 "면제"이다. 따라서, "면제"가 정답이다. 반면, "허가"는 어떤 행위를 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고, "특허"는 발명 등의 독점적인 권리를 부여하는 것이며, "인가"는 특정한 사업 또는 활동을 인정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지방자치법상 주민의 권리가 아닌 것은?

  1. 주민투표권
  2. 공공시설이용권
  3. 균등한 행정혜택을 받을 권리
  4. 지방세의 감면에 관한 조례제정청구권
(정답률: 54%)
  • 지방자치법에서는 주민의 권리로 주민투표권, 공공시설이용권, 균등한 행정혜택을 받을 권리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지방세의 감면에 관한 조례제정청구권은 주민의 권리가 아닙니다. 이는 지방세 감면과 관련된 법적 절차를 제안하고 추진하는 권한이 지방의회에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행정행위로 볼 수 없는 것은?

  1. 광업허가
  2. 영업정지처분
  3. 운전면허의 취소
  4. 행정상 즉시강제
(정답률: 27%)
  • 행정상 즉시강제는 행정기관이 법령이나 규정을 위반한 행위를 즉시 중단시키거나 수정하도록 강제하는 행정조치를 말합니다. 따라서, 행정행위로 볼 수 없는 것은 "행정상 즉시강제"입니다. 광업허가, 영업정지처분, 운전면허의 취소는 모두 행정행위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공무원의 재산상 권리인 것은?

  1. 신분보유권
  2. 직위보유권
  3. 직무집행권
  4. 보수청구권
(정답률: 52%)
  • 공무원의 재산상 권리 중 보수청구권은 공무원이 근무한 기간 동안 받아야 할 보수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이는 공무원의 근로 대가로 받는 보수를 보장하며, 공무원의 생활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권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채권자가 그의 채권을 담보하기 위하여 채무의 변제기까지 채무자로부터 인도받은 동산을 점유ㆍ유치하기로 채무자와 약정하고, 채무의 변제가 없는 경우에 그 동산의 매각대금으로부터 우선변제 받을 수 있는 담보물권은?

  1. 질권
  2. 유치권
  3. 저당권
  4. 양도담보권
(정답률: 27%)
  • 질권은 채권자가 채무자로부터 인도받은 동산을 점유ㆍ유치하여 그의 채권을 담보로 두는 권리이며, 채무의 변제가 없는 경우에 그 동산의 매각대금으로부터 우선변제 받을 수 있는 담보물권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질권이 해당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甲이 과수가 식재된 乙 소유의 토지 위에 권원 없이 건물을 신축하고 있는 경우에 乙이 甲을 상대로 행사할 수 있는 권리가 아닌 것은?

  1. 토지매수청구권
  2. 공사중지청구권
  3. 손해배상청구권
  4. 소유권에 기한 방해제거청구권
(정답률: 33%)
  • "토지매수청구권"은 甲이 건물을 신축한 토지를 乙이 매수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따라서, 乙이 이미 소유하고 있는 토지 위에 건물을 신축한 경우에는 "토지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민법상 전형계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현상광고는 쌍무계약이다.
  2. 위임은 무상계약이 원칙이다.
  3. 임치는 무상ㆍ편무계약이 원칙이다.
  4. 이자부 소비대차계약은 쌍무계약이다.
(정답률: 31%)
  • 현상광고는 쌍무계약이 아니다. 현상광고는 일방적으로 광고를 한 쪽이 이를 보상하는 것이므로 단무계약에 해당한다.

    - 쌍무계약: 상호간에 의무와 권리가 상호적으로 발생하는 계약
    - 단무계약: 한 쪽이 다른 쪽에게 의무를 지우고 보상을 받는 계약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민사소송법상 심리의 원칙이 아닌 것은?

  1. 변론주의
  2. 당사자주의
  3. 처분권주의
  4. 동시제출주의
(정답률: 48%)
  • 동시제출주의는 민사소송에서 원고와 피고가 서로 상대방의 주장을 모두 제출하고 이에 대해 변론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민사소송에서 가장 기본적인 심리의 원칙 중 하나이며, 변론주의, 당사자주의, 처분권주의와 함께 민사소송법상 심리의 원칙으로 꼽힙니다. 따라서, 정답은 "동시제출주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경비계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비계약은 당사자의 합의만으로 성립한다.
  2. 경비업무 도급인은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경비업무를 완성한 후 지체 없이 경비업자에게 그 보수를 지급하여야 한다.
  3. 경비업무 도급인은 경비업자가 경비업무를 완성하기 전에는 손해를 배상하더라도 계약을 해제할 수 없다.
  4. 경비업무 도급인은 경비업자의 귀책사유로 그 업무의 이행이 불능하게 된 경우에 경비업자를 상대로 전보배상을 청구할 수 있다.
(정답률: 35%)
  • "경비업무 도급인은 경비업자가 경비업무를 완성하기 전에는 손해를 배상하더라도 계약을 해제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잘못된 설명이며, 경비업무 도급인은 경비업자가 계약을 이행하지 않거나 불성실하게 이행할 경우 계약을 해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손해배상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비업자는 경비원이 업무수행 중 과실로 경비대상에 손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한 때에는 그 손해를 배상하여야 한다.
  2. 경비원이 업무수행 중 과실로 인한 위법행위로 제3자에게 손해를 입힌 경우, 경비원은 그 손해에 대하여 배상책임을 진다.
  3. 여러 명의 경비원이 공동의 불법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 각 경비원은 피해자에게 분할하여 손해배상책임을 진다.
  4.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은 피해자나 그 법정대리인이 그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3년간 이를 행사하지 아니하면 시효로 인하여 소멸한다.
(정답률: 34%)
  • "여러 명의 경비원이 공동의 불법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 각 경비원은 피해자에게 분할하여 손해배상책임을 진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여러 명의 가해자가 공동의 불법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 각 가해자는 피해자에게 분할하여 손해배상책임을 진다."로 수정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경비원이 경비업무 수행 중에 경비시스템장비를 오작동하여 고객의 신체 및 재산에 중대한 손해를 발생하게 한 경우에 성립하는 경비업자의 책임유형은?

  1. 이행불능책임
  2. 이행지체책임
  3. 불완전이행책임
  4. 하자담보책임
(정답률: 45%)
  • 경비원이 경비시스템장비를 오작동하여 고객의 신체 및 재산에 중대한 손해를 발생시킨 경우, 경비업자는 불완전이행책임을 지게 됩니다. 이는 경비업자가 계약서에 명시된 의무를 이행하지 못하거나 부분적으로 이행한 경우에 해당하는 책임으로, 이 경우에는 경비업자가 고객에게 일부 손해배상을 해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민간경비론

41. 민간경비업무의 특수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조직성
  2. 돌발성
  3. 위험성
  4. 권력성
(정답률: 76%)
  • 민간경비업무는 권력을 행사하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권력성은 옳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민간경비와 공경비의 공통적인 임무로 옳지 않은 것은?

  1. 질서유지
  2. 재산보호
  3. 범죄수사
  4. 범죄예방
(정답률: 71%)
  • 민간경비와 공경비는 모두 질서유지, 재산보호, 범죄예방의 임무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범죄수사는 경찰과 검찰 등 법 집행 기관의 전문적인 역할이기 때문에 민간경비와 공경비의 임무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범죄수사"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민간경비의 성장이론 가운데 경찰과 같은 공경비의 힘이 미치지 못하는 치안환경의 사각지대를 민간경비가 메워 주면서 성장했다는 이론은?

  1. 공동화이론
  2. 경제환원론
  3. 수익자부담이론
  4. 이익집단이론
(정답률: 72%)
  • 공동화이론은 경찰과 같은 공경비의 한계로 인해 치안환경의 사각지대가 발생하면서 민간경비가 이를 메워주면서 성장한다는 이론입니다. 즉,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이 함께 협력하여 치안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이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화재발생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질소
  2. 산소
  3. 가연물
(정답률: 76%)
  • 화재발생의 3요소는 열, 산소, 가연물입니다. 질소는 화재발생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미국 민간경비의 역사적 발전과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861년 핑커튼(A. Pinkerton)은 국가탐정회사를 설립하였다.
  2. 서부개척시대의 귀금속 운송을 위한 철도의 개발은 미국 민간경비산업의 획기적인 발달을 가져왔다.
  3. 식민지시대 법집행과 관련된 기본적 제도는 영국의 영향을 받은 보안관(sheriff), 치안관(constable), 경비원(watchman) 등이 있다.
  4. 2001년 9ㆍ11 테러가 발생하면서 공항경비 등 민간경비산업이 급성장하게 되었다.
(정답률: 47%)
  • 1861년 핑커튼(A. Pinkerton)은 국가탐정회사를 설립한 것은 옳은 발전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각국의 민간경비 역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본은 1964년 동경올림픽과 1970년 오사카 만국박람회를 계기로 민간경비가 급성장하였다.
  2. 18세기 영국의 헨리 필딩(Henry Fielding)은 보우가의 주자(Bow Street Runners)를 만드는데 공헌하였다.
  3.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 때 군수물자 수송을 위해서 기마경찰대가 최초로 창설되었다.
  4. 우리나라는 2010년에 최초로 민영교도소가 설립되었다.
(정답률: 63%)
  • 우리나라는 2010년에 최초로 민영교도소가 설립되었다. -> 옳은 설명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 때 군수물자 수송을 위해서 기마경찰대가 최초로 창설되었다. -> 옳은 설명

    따라서 정답은 없다.

    미국이 기마경찰대를 창설한 이유는 군수물자 수송을 보호하기 위해서였다. 기마경찰대는 이후에도 경찰 업무와 보안 업무를 수행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민간경비의 법적 관계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특수경비원은 국가중요시설의 경비를 위하여 필요한 한도 내에서 무기사용권한이 있다.
  2. 경비업은 과거 신고제에서 현재 허가제로 전환된 것이 특징이다.
  3. 경비업은 자본금 1억원 이상이면 법인과 개인 모두 영위할 수 있다.
  4. 청원경찰은 근무지 밖 100미터 이내에서 경찰관직무집행법을 준용하여 근무한다.
(정답률: 43%)
  • 특수경비원은 국가중요시설의 경비를 위하여 필요한 한도 내에서 무기사용권한이 있다. 이는 국가의 안보와 관련된 중요한 시설을 보호하기 위해 무기 사용이 필요한 경우에는 특수경비원이 무기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우리나라 민간경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962년 청원경찰의 법적근거가 마련되었다.
  2. 1978년 내무부장관의 승인으로 사단법인 한국용역경비협회가 설립되었다.
  3. 1990년 시큐리타스(Securitas) 등 미국 민간경비 회사와의 기술제휴를 통해 성장하였다.
  4. 최근 들어 인력경비 위주에서 기계경비로 발전하고 있다.
(정답률: 57%)
  • 정답: "1990년 시큐리타스(Securitas) 등 미국 민간경비 회사와의 기술제휴를 통해 성장하였다."

    설명: 1990년대에는 이미 한국 내에서 민간경비 시장이 형성되어 있었으며, 미국 민간경비 회사와의 기술제휴는 성장에 도움을 준 요인 중 하나일 뿐입니다. 따라서, "1990년 시큐리타스(Securitas) 등 미국 민간경비 회사와의 기술제휴를 통해 성장하였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우리나라 치안환경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제화ㆍ개방화로 인해 외국인 범죄가 증가하고 있다.
  2. 고령화로 인한 노인범죄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3. 치안환경이 악화되면서 보이스피싱 등 신종범죄가 대두되고 있다.
  4. 청소년범죄가 증가하고 있으며 범죄연령이 높아지는 추세이다.
(정답률: 67%)
  • "청소년범죄가 증가하고 있으며 범죄연령이 높아지는 추세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최근 청소년 범죄율은 감소하고 있으며, 범죄 연령도 젊어지는 추세이다. 이는 청소년들의 교육 및 예방 프로그램 등의 노력과 함께 범죄율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와 관련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민간경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경비에 비해 한정된 권한을 가지고 있다.
  2. 민간경비의 중요한 역할은 범죄예방 및 손실예방이다.
  3. 정보보호, 사이버보안은 실질적 의미의 민간경비 분야에서 제외된다.
  4. 민영화이론은 국가독점에 의한 비효율성을 극복하고자 시장경쟁논리를 도입한 이론이다.
(정답률: 74%)
  • 정보보호, 사이버보안은 실질적 의미의 민간경비 분야에서 제외된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현대 사회에서는 정보보호, 사이버보안이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민간경비 시장도 크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각국의 경비지도사 관련제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일본은 국가공안위원회에서 경비원지도교육책임자 제도를 도입ㆍ시행하고 있다.
  2. 미국은 주정부 차원에서 CPP(Certified Protection Professional)제도를 도입ㆍ시행하고 있다.
  3. 우리나라 경비지도사는 금고 이상 형의 집행유예선고를 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는 될 수 없다.
  4. 우리나라 경비지도사는 경찰기관 및 소방기관과의 연락방법에 대한 지도 등의 직무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정답률: 43%)
  • "우리나라 경비지도사는 금고 이상 형의 집행유예선고를 받고 그 유예기간 중에 있는 자는 될 수 없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미국에서는 CPP(Certified Protection Professional)제도를 주정부 차원에서 도입ㆍ시행하고 있다. 이는 경비보안 분야에서 전문성을 인증하는 제도로, 경비지도사들의 직무 수행 능력을 인증하는 것이 목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우리나라 민간경비의 발전과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1976년에는 용역경비업법이 제정되었다.
  2. 초창기 용역경비는 미군의 군납형태로 제한적으로 실시되었다.
  3. 1980년부터 기계경비업이 경비업의 한 형태로 제도화되었다.
  4. 2001년부터 특수경비원 제도가 실시되었다.
(정답률: 56%)
  • 1980년부터 기계경비업이 경비업의 한 형태로 제도화되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1980년부터는 경비업법이 개정되어 경비업의 범위가 확대되었지만, 기계경비는 1990년대에 제도화되었습니다. 이는 경비업의 발전과정에서 기계경비가 미처 감시하지 못하는 공간이나 시간대를 보완하기 위해 도입되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계약경비서비스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비업법상 기계경비는 오늘날 가장 많이 행하여지고 있는 경비유형이다.
  2. 순찰서비스는 고객의 시설물들을 내ㆍ외곽에서 순찰하는 형태이다.
  3. 경보응답서비스는 보호하는 지역 내 설치된 경보감지장비 및 이와 연결된 중앙통제시스템과 연결되어 있다.
  4. 사설탐정은 개인ㆍ조직의 정보와 관련된 서비스의 제공을 주업무로 하는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제도적으로 시행되고 있지 않다.
(정답률: 64%)
  • "사설탐정은 개인ㆍ조직의 정보와 관련된 서비스의 제공을 주업무로 하는데,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제도적으로 시행되고 있지 않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경비업법상 기계경비는 오늘날 가장 많이 행하여지고 있는 경비유형이다. 이는 인력의 부족이나 비용절감 등의 이유로 인해 기계를 이용한 경비서비스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순찰서비스는 고객의 시설물들을 내ㆍ외곽에서 순찰하는 형태이며, 경보응답서비스는 보호하는 지역 내 설치된 경보감지장비 및 이와 연결된 중앙통제시스템과 연결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자체경비서비스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용면에서 계약경비가 자체경비보다 더 많은 비용이 든다.
  2. 자체경비원은 계약경비원보다 회사나 고용주에게 높은 충성심을 갖는다.
  3. 자체경비원은 고용주에 의해 조직의 구성원으로 채용됨으로써 안정적이다.
  4. 자체경비원은 경비부서에 오래 근무함으로써 회사의 운영ㆍ매출ㆍ인사 등에 관한 지식이 높다.
(정답률: 71%)
  • "비용면에서 계약경비가 자체경비보다 더 많은 비용이 든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계약경비 서비스는 일정 기간 동안만 계약을 맺기 때문에 비용이 예측 가능하고, 인력 관리나 교육 등의 부담이 적기 때문에 자체경비보다 비용이 적게 든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시설물의 물리적 통제시스템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출입문의 경첩(hinge)은 출입문 바깥쪽에 설치하여 보안성을 강화해야 한다.
  2. 외부침입시 경비시스템 중 1차 보호시스템은 내부출입통제 시스템이고, 2차 보호시스템은 외부출입통제 시스템이다.
  3. 체인링크(chain link)는 콘크리트나 석재 담장과 유사한 보호기능을 하면서도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4. 안전유리(security glass)는 동일한 두께의 콘크리트벽에 비해 충격에는 약하나 외관상 미적 효과가 있다.
(정답률: 59%)
  • 체인링크는 콘크리트나 석재 담장과 유사한 보호기능을 하면서도 저렴하다는 이유는 체인링크가 강철로 만들어져 있어서 비교적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비상사태 경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상사태 발생시 경비원은 비상요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2. 비상사태 발생시 조직상 가장 높은 계급의 사람에게 명령권이 주어져야 한다.
  3. 비상계획은 재난에서 생존할 수 있는 기회의 증가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4. 무차별적으로 문화재 및 타인의 물건이나 시설물 등을 파괴하는 반사회적인 행동을 반달리즘(vandalism)이라 한다.
(정답률: 62%)
  • "비상사태 발생시 조직상 가장 높은 계급의 사람에게 명령권이 주어져야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비상사태 발생시에는 상황에 따라 가장 적합한 사람에게 명령권이 주어져야 한다. 계급이 높다고 해서 항상 적합한 사람이 아닐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국가중요시설 경비의 분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급: 국가의 안전보장에 고도의 영향을 끼치는 행정 및 산업시설
  2. 나급: 국가보안상 국가경제 또는 사회생활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행정 및 산업시설
  3. 다급: 국가보안상 국가경제 또는 사회생활에 중요하다고 인정되는 행정 및 산업시설
  4. 기타급: 기초자치단체장이 필요하다고 지정한 행정 및 산업시설
(정답률: 66%)
  • 기타급은 기초자치단체장이 필요하다고 지정한 행정 및 산업시설로 분류되는데, 이는 국가보안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경우이므로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넓은 폭의 빛을 내는 조명으로서 경계구역에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길고 수평하게 빛을 확장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되는 조명은?

  1. 가로등
  2. 프레넬등
  3. 투광조명등
  4. 탐조등
(정답률: 74%)
  • 프레넬등은 렌즈와 반사경을 이용하여 빛을 집중시켜 넓은 폭의 빛을 내는 조명입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경계구역에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해 길고 수평하게 빛을 확장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정답은 "프레넬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컴퓨터범죄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범행의 연속성
  2. 범행의 고의성에 대한 입증 용이
  3. 범행의 광역성
  4. 범죄의식의 희박성
(정답률: 69%)
  • 컴퓨터범죄의 특성 중 "범행의 고의성에 대한 입증 용이"는 아닙니다. 이는 오히려 컴퓨터범죄의 특성 중 하나인데, 컴퓨터를 이용한 범행은 대부분 디지털적 증거가 남기 때문에 범행의 고의성을 입증하기 쉽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컴퓨터범죄의 특성 중 하나씩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컴퓨터의 고장을 수리하면서 그 안에 수록되어 있는 자료를 조작하거나 입수하는 방법 등에 의한 컴퓨터범죄 수법은?

  1. 살라미기법(salami techniques)
  2. 슈퍼재핑(superzapping)
  3. 스카벤징(scavenging)
  4. 트랩도어(trap door)
(정답률: 44%)
  • 슈퍼재핑(superzapping)은 컴퓨터의 고장을 수리하면서 그 안에 수록되어 있는 자료를 조작하거나 입수하는 방법으로, 컴퓨터 시스템의 보안을 뚫고 접근하여 데이터를 변경하거나 삭제하는 등의 범죄 수법이다. 이는 일종의 해킹 기술로, 컴퓨터 시스템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불법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이를 통해 중요한 정보를 탈취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1. 불법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입력될 자료를 조작하여 컴퓨터로 하여금 거짓처리 결과를 만들어내게 하는 컴퓨터범죄의 유형은?

  1. 콘솔조작
  2. 입력조작
  3. 프로그램조작
  4. 출력조작
(정답률: 68%)
  • 입력조작은 불법적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입력되는 데이터를 조작하여 컴퓨터가 잘못된 결과를 출력하도록 하는 범죄 유형입니다. 즉, 데이터를 조작하여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입력을 조작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컴퓨터범죄의 관리상 안전대책으로 옳은 것은?

  1. 사후 구제방법이 우선적으로 수립되어야 한다.
  2. 전체적인 시각에서 단기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3. 예기치 못한 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시스템 백업과 프로그램 백업이 필요하다.
  4. 네트워크 취약성으로 발생하는 문제는 물리적 통제절차의 개선으로 해결해야 한다.
(정답률: 72%)
  • 컴퓨터범죄의 관리상 안전대책으로 옳은 것은 "예기치 못한 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시스템 백업과 프로그램 백업이 필요하다." 이다. 이유는 컴퓨터범죄는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에,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스템 백업과 프로그램 백업을 통해 예기치 못한 사고에 대비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경보체계에서 주요 지점마다 경비원을 배치하여 경비하는 방식으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한 시스템은?

  1. 상주 경보시스템
  2. 제한적 경보시스템
  3. 다이얼 경보시스템
  4. 외래지원 경보시스템
(정답률: 70%)
  • 상주 경보시스템은 주요 지점마다 경비원을 상주시켜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한 시스템이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과는 달리 경비원이 상주하여 지속적인 감시와 대응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상 공연 및 행사장 안전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긴급구조기관은 소방방재청, 소방본부, 소방서를 말한다.
  2. 재난관리란 재난의 예방ㆍ대비ㆍ대응 및 복구를 위하여 하는 모든 활동을 말한다.
  3. 군중이 운집한 상황에서 돌발사태 등에 의해 정서의 충동성, 도덕적 모순성 등 정상군중심리가 발생된다.
  4. 화재, 붕괴, 폭발과 같은 사회재난은 국민의 생명ㆍ신체ㆍ재산과 국가에 피해를 주거나 줄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정답률: 57%)
  • "군중이 운집한 상황에서 돌발사태 등에 의해 정서의 충동성, 도덕적 모순성 등 정상군중심리가 발생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는 대규모 행사나 공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중 하나로, 군중심리가 발생하면 예기치 못한 사고나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개인의 판단과 행동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지만, 군중이 모여 있는 상황에서는 개인의 판단과 행동이 군중의 영향을 받게 되어 예기치 못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대규모 행사나 공연 등에서는 군중심리를 예방하기 위한 안전 대책이 필요하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옳은 설명이다. "긴급구조기관"은 소방방재청, 소방본부, 소방서를 포함한다. "재난관리"는 재난의 예방, 대비, 대응, 복구를 위한 모든 활동을 의미한다. "화재, 붕괴, 폭발과 같은 사회재난"은 국민의 생명, 신체, 재산, 국가에 피해를 줄 수 있는 재난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민간경비원의 법적 지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영미법계 국가의 민간경비원은 대륙법계 국가의 민간경비원보다 폭넓은 권한을 행사하고 있다.
  2. 민간경비원은 현행범체포, 정당방위, 긴급피난에 있어 일반시민과 동일한 권한을 행사하고 있다.
  3. 지방자치단체에 근무하는 청원경찰의 직무상 불법행위에 대한 배상책임은 국가배상법이 적용된다.
  4. 범죄예방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민간경비원은 일반적으로 공무수탁사인으로서 지위를 가지고 있다.
(정답률: 57%)
  • "영미법계 국가의 민간경비원은 대륙법계 국가의 민간경비원보다 폭넓은 권한을 행사하고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민간경비원의 법적 지위는 국가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공무원이 아니며, 일반 시민과는 다른 법적 지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범죄예방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민간경비원은 일반적으로 공무수탁사인으로서 지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민간경비원이 법적으로 정해진 규정에 따라 공공의 이익을 위해 일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뉴만(O. Newman)은 방어공간(defensible space)이라는 개념을 확립하였다.
  2. CPTED는 범죄원인을 개인적 요인보다는 환경적 요인에서 찾고 있다.
  3. 전통적 CPTED는 단순히 외부 공격으로부터 보호대상을 강화하는 THA(Target Hardening Approach)방법을 사용하였다.
  4. CPTED는 기계적 통제와 감시는 고려하지 않고, 자연적 접근방법을 통해 범죄예방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전략이다.
(정답률: 64%)
  • CPTED는 기계적 통제와 감시는 고려하지 않고, 자연적 접근방법을 통해 범죄예방효과를 극대화시키는 전략이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영국 근대경찰의 탄생에 있어서 1829년 수도경찰법을 의회에 제출하여 수도경찰을 창설하였으며, 경찰은 헌신적이어야 하며 훈련되고 윤리적이며 지방정부의 봉급을 받는 요원들이어야 한다고 주장한 사람은?

  1. 로버트 필(Robert Peel)
  2. 콜크혼(Colguhoun)
  3. 헨리 필딩(Henry Fielding)
  4. 에드워드(Edward) 1세
(정답률: 67%)
  • 로버트 필은 1829년 수도경찰법을 제안하여 영국 근대경찰의 탄생에 큰 역할을 했다. 그는 경찰의 헌신성, 훈련, 윤리성, 지방정부의 봉급을 받는 요원들로 구성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주장했다. 따라서 로버트 필은 영국 근대경찰의 아버지로 불리며, 그의 원칙은 현재까지도 경찰의 기본 원칙으로 적용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건국 초기 미국의 민간경비 발달과정에서 노예의 탈출과 소요사태 등을 통제하기 위해 도망노예송환법을 제정한 지역은?

  1. 남부지역
  2. 서부지역
  3. 동부지역
  4. 북부지역
(정답률: 52%)
  • 남부지역은 건국 초기에 노예가 많이 사용되었고, 이에 따라 노예의 탈출과 소요사태 등을 통제하기 위해 도망노예송환법을 제정하였습니다. 이 법은 노예를 도망쳤을 경우 다른 주로 도망한 경우에도 송환하여 처벌하는 것을 규정하였습니다. 따라서 남부지역에서는 노예제도가 발달하면서 민간경비 발달과정에서 도망노예송환법을 제정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현대사회 범죄현상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범죄의 조직화
  2. 범죄의 국지화
  3. 범죄의 과학화
  4. 범죄의 기동화
(정답률: 55%)
  • 정답: "범죄의 국지화"

    설명: 현대사회에서 범죄는 조직화되고 과학화되며 기동화되는 경향이 있지만, 범죄의 국지화는 그렇지 않다. 범죄의 국지화란 범죄가 특정 지역이나 사회적 계층에 집중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지역적, 경제적, 문화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범죄 예방 및 대응에 있어서 지역사회와의 협력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경비위해요소에 관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경비위해요소 분석의 첫번째 단계는 위해요소를 인지하는 것이다.
  2. 많은 손실이 예상되는 경비대상에는 종합경비시스템이 설치되도록 해야 한다.
  3. 각종 사고로부터 최적의 안전확보를 위해서는 경비위해요소의 인지, 평가 등이 중요하다.
  4. 경비위해요소의 평가 및 분석에 있어서 경비활동의 비용효과 분석은 제외한다.
(정답률: 76%)
  • "경비위해요소의 평가 및 분석에 있어서 경비활동의 비용효과 분석은 제외한다."는 옳지 않은 내용이다. 경비위해요소 분석에서 경비활동의 비용효과 분석은 매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경비활동의 비용효과 분석을 통해 경비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예산을 효과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열쇠의 양쪽에 홈이 불규칙적으로 파여져 있으며 일반산업분야 뿐만 아니라 일반주택에서도 널리 사용되는 자물쇠는?

  1. 핀날름 자물쇠
  2. 판날름 자물쇠
  3. 돌기형 자물쇠
  4. ‘ㄷ’자형 자물쇠
(정답률: 68%)
  • 핀날름 자물쇠는 열쇠의 양쪽에 불규칙한 홈이 파여져 있어서 열쇠를 삽입할 때 핀이 홈에 맞아야만 열릴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보안성이 높아서 일반산업분야 뿐만 아니라 일반주택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위험관리(risk management)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본적으로 위험요소의 확인→위험요소의 분석→우선순위의 설정→위험요소의 감소→보안성ㆍ안전성 평가 등의 순서로 이루어진다.
  2. 위험관리의 대상이 되는 인적ㆍ물적 보호대상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기보다는 포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위험관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관련절차에 관한 표준운영절차(SOP: Standard Operational Procedures)를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확인된 위험에 대한 대응은 위험의 제거, 회피, 감소, 분산, 대체, 감수 등의 방법이 적용된다.
(정답률: 72%)
  • 위험관리의 대상이 되는 인적ㆍ물적 보호대상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기보다는 포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위험관리에서는 대상의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중요도에 따라 대응 방안을 우선적으로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경비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능률성과 효과성을 모두 고려하여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수립된 경비계획은 환류과정을 거쳐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경비업체의 자체 판단 하에 구체적으로 경비내용을 실시할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다.
  4. 문제의 인지→목표의 설정→위해요소의 조사ㆍ분석→전체계획 검토→최적안 선택 등의 과정을 거쳐 수립된다.
(정답률: 52%)
  • 옳지 않은 설명은 "경비업체의 자체 판단 하에 구체적으로 경비내용을 실시할 방법을 강구하는 것이다." 이유는 경비계획은 기업이나 조직의 목표와 상황에 맞게 수립되어야 하며, 경비업체의 자체 판단만으로 결정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경비업체는 경비내용을 구체적으로 실시하는 방법을 제안할 수 있지만, 이는 기업이나 조직의 목표와 상황에 맞게 검토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정보보호 및 컴퓨터시스템 안전관리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보보호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는 비밀성, 무결성, 가용성이다.
  2. 암호는 특정시스템에 대한 접근권을 가진 이용자의 식별장치라 할 수 있다.
  3. 컴퓨터실의 화재감지는 초기단계에서 감지할 수 있는 감지기를 사용하도록 한다.
  4. 컴퓨터시스템의 보안성 유지를 위하여 프로그램 개발자와 컴퓨터 운영자를 통합하여 운용하도록 한다.
(정답률: 71%)
  • 컴퓨터시스템의 보안성 유지를 위하여 프로그램 개발자와 컴퓨터 운영자를 통합하여 운용하도록 한다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보안에 대한 전반적인 책임을 공유하고 협력하여 보안 위협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경비조직화시 한 사람의 상관이 효과적으로 감독할 수 있는 최대한의 부하직원 수를 의미하는 것은?

  1. 책임
  2. 감독
  3. 권한위임
  4. 통솔범위
(정답률: 64%)
  • "통솔범위"는 한 사람이 효과적으로 감독할 수 있는 최대한의 부하직원 수를 의미합니다. 이는 한 사람이 감독할 수 있는 부하직원의 수가 많을수록 통제와 감독이 어려워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통솔범위가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효율적인 경비조직화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시설물의 물리적 통제시스템 구축과 관련하여 보호가치가 높은 자산일수록 보다 많은 방어공간을 형성해야 한다는 동심원영역론(concentric zone theory)을 제시한 사람은?

  1. 번즈(W.J. Burns)
  2. 윌슨(O.W Wilson)
  3. 커닝햄(W.C. Cunningham)
  4. 딘글(J. Dingle)
(정답률: 42%)
  • 딘글은 동심원영역론(concentric zone theory)을 제시한 사람으로, 이론은 시설물의 물리적 통제시스템 구축과 관련하여 보호가치가 높은 자산일수록 보다 많은 방어공간을 형성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이론은 범죄 예방 및 보안 시스템 설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국가중요시설의 경비관련 법적 근거는 모두 몇 개인가?

  1. 2개
  2. 3개
  3. 4개
  4. 5개
(정답률: 45%)
  • 정답은 "5개"이다. 이유는 이미지에 나와있는 법률들이 모두 국가중요시설의 경비관련 법적 근거이기 때문이다. 해당 이미지에서 나와있는 법률들은 다음과 같다: 국가보안법, 국가기밀보호법, 국가정보원법, 국가정보보호법, 국가보안기초법.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시설경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의료시설에서 응급실은 불특정다수인이 많이 왕래하는 등의 특성으로 인해 잠재적 위험성이 가장 높기 때문에 1차적으로 경비대책이 요구된다.
  2. 국가중요시설은 시설의 중요도와 취약성을 고려하여 감시구역, 제한구역, 통제구역으로 보호구역을 설정하고 있다.
  3. 미국은 금융시설의 강도 등 외부침입을 예방ㆍ대응하기 위하여 은행보호법을 제정ㆍ시행하고 있다.
  4. 의료시설은 지속적으로 수용되는 환자 및 방문객 등의 출입으로 관리상의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사후통제보다는 사전예방에 초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률: 54%)
  • "의료시설에서 응급실은 불특정다수인이 많이 왕래하는 등의 특성으로 인해 잠재적 위험성이 가장 높기 때문에 1차적으로 경비대책이 요구된다."는 옳은 설명이므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하지만, 국가중요시설은 보호구역을 설정하는 것이 사전예방에 초점을 두는 것이다. 보호구역은 외부침입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며, 사후통제와는 관련이 없다. 따라서 "국가중요시설은 시설의 중요도와 취약성을 고려하여 감시구역, 제한구역, 통제구역으로 보호구역을 설정하고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국가중요시설 경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국가중요시설은 국가안전에 미치는 중요도에 따라 분류된다.
  2. 3지대 방호개념은 제1지대는 경계지대, 제2지대는 주방어지대, 제3지대는 핵심방어지대이다.
  3. 국가중요시설의 통합방위사태는 갑종사태, 을종사태, 병종사태, 정종사태로 구분된다.
  4. 국가중요시설은 공공기관 등 적에 의하여 점령 또는 파괴되거나 기능이 마비될 경우 국가안보와 국민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시설을 의미한다.
(정답률: 72%)
  • "국가중요시설의 통합방위사태는 갑종사태, 을종사태, 병종사태, 정종사태로 구분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국가중요시설의 통합방위사태는 갑작스러운 위협이 발생했을 때, 즉시 대응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하며, 이를 "긴급방위상태"라고 한다. 이 상태는 갑종사태, 을종사태, 병종사태, 정종사태와는 다른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기계경비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과학기술의 발달로 오경보 문제가 해결되었다.
  2. 화재예방과 같은 다른 예방시스템과 통합적 운용이 가능하다.
  3. 인력경비에 비해 사건발생시 현장에서의 신속한 대처가 어렵다.
  4. 인력경비에 비해 외부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감시가 가능하다.
(정답률: 69%)
  • "과학기술의 발달로 오경보 문제가 해결되었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오경보는 기계경비 시스템에서 가장 큰 문제 중 하나이며, 과학기술의 발달로 완전히 해결되지는 않았습니다. 오경보는 기계경비 시스템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며, 여전히 개선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