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공무원(공개,경력) 국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5-04-18)

소방공무원(공개,경력) 국어
(2015-04-18 기출문제)

목록

1. 다음 중 ㉠ ~ ㉢에 들어갈 말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순서대로 ㉠, ㉡, ㉢)

  1. 결재(決裁), 추돌(追突), 은둔(隱遁)
  2. 결재(決裁), 충돌(衝突), 은닉(隱匿)
  3. 결제(決濟), 추돌(追突), 은둔(隱遁)
  4. 결제(結濟), 충돌(衝突), 은닉(隱匿)
(정답률: 81%)
  • ㉠ "결재(決裁)"는 어떤 일을 승인하거나 결정하는 것을 뜻하며, ㉢ "은닉(隱匿)"은 숨기거나 감추는 것을 뜻합니다. 따라서 이 둘은 대조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 "충돌(衝突)"는 서로 부딪치거나 충돌하는 것을 뜻하며, "은둔(隱遁)"은 사람이나 동물이 숨어서 사는 것을 뜻합니다. 이 둘은 서로 관련성이 없는 단어들이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결재(決裁), 충돌(衝突), 은닉(隱匿)"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발음 과정에 나타난 음운 변동 규칙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1. 유음화, 구개음화
  2. 구개음화, 유음화
  3. ᄂ첨가, 구개음화
  4. ᄂ첨가, ᄅ탈락
(정답률: 92%)
  • 정답: "유음화, 구개음화"

    - 유음화: 뒤따르는 자음이 무성음(p, t, k, s, ch)일 때, 앞의 모음이 유음(i, y, e)일 경우 뒤따르는 자음이 유성음(p', t', k', s', ch')으로 발음되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받침"이라는 단어에서 "ㅂ"은 무성음이고, "ㅏ"는 유음이므로 "ㅂ"이 "ㅂ'"으로 발음된다.
    - 구개음화: 뒤따르는 자음이 무성음(p, t, k)일 때, 앞의 모음이 "ㅏ", "ㅗ", "ㅜ"일 경우 뒤따르는 자음이 구개음화된다. 구개음화란 혀 뒤쪽을 높이고 입천장과 연결하여 발음하는 것으로, "ㅂ"는 "ㅃ", "ㄷ"는 "ㄸ", "ㄱ"은 "ㄲ"으로 발음된다. 예를 들어, "받침"이라는 단어에서 "ㅂ"은 무성음이고, "ㅏ"는 "ㅏ"이므로 "ㅂ"이 "ㅃ"으로 발음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지문과 입장이 다른 하나를 고르시오.

  1. 기록함으로써 경각심을 키워야 한다.
  2. 한 번의 실수로 지나친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3. 상과 벌에 대한 기록이 될 수 있다.
  4.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할 수 있다.
(정답률: 56%)
  • 입장이 다른 것은 "기록함으로써 경각심을 키워야 한다." 이다. 이는 올바른 입장이지만, 지문에서는 이와 같은 내용이 언급되지 않았다. 지문에서는 기록이 중요한 이유로 "상과 벌에 대한 기록이 될 수 있다."와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할 수 있다."를 언급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가전체 문학과 의인화된 사물을 짝지은 것 중 바르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 국순전 - 술
  2. 공방전 - 엽전
  3. 저생전 - 돼지
  4. 정시자전 - 지팡이
(정답률: 53%)
  • 정답은 "저생전 - 돼지"입니다.

    가전체 문학은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가구, 도구 등의 사물을 인물로서 의인화하여 인간적인 감정과 행동을 묘사하는 문학입니다.

    하지만 "저생전 - 돼지"는 돼지라는 동물을 인물로서 의인화하는 것이 아니라, 돼지를 먹는 것에 대한 이야기를 다루는 문학입니다. 따라서 가전체 문학과는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으로 맞지 않는 것을 고르시오.

  1. 울산 - Ulsan
  2. 설악 - Seorak
  3. 종로 - Jongno
  4. 호법 - Hobeob
(정답률: 59%)
  • 정답은 "호법 - Hobeob"입니다.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서는 'ㅎ'이 없는 소리로 발음되는 경우에는 'h'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호법'은 'Hobeob'이 아닌 'Hobeop'으로 표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음운의 개수가 가장 많은 단어를 고르시오.

  1. 소화기
  2. 인화성
  3. 안전모
  4. 방열복
(정답률: 89%)
  • "방열복"은 음운의 개수가 가장 많은 단어입니다. 이유는 "방"과 "열"이 각각 하나의 음절을 이루고, "복"은 두 개의 음절을 이루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방열복"은 총 4개의 음운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화기"는 3개의 음운, "인화성"은 3개의 음운, "안전모"는 2개의 음운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보기 중 어법에 관한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소녀가 할머니에게 선물을 드렸다 - '드렸다'는 주체 높임법이다.
  2. 선생님은 딸이 계시다 - '계시다'에서 '있으시다'로 바꾼다.
  3. 기한이 되시면 맞춰주세요. - '되시면'을 '되면'으로 바꾼다.
  4. 저희 나라는 아름다운 강산입니다 - '저희 나라'를 '우리나라'로 바꾼다.
(정답률: 78%)
  • "소녀가 할머니에게 선물을 드렸다 - '드렸다'는 주체 높임법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드렸다'는 주체를 낮추는 높임법이 아닌, 상대방에게 예의를 표시하는 높임법 중 하나인 반말 높임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보기를 읽고 설명이 가리키는 것을 고르시오.(문제 오류로 지문 복원이 되지 않았습니다. 정답은 2번 입니다.)

  1. 비석치기
  2. 연날리기
  3. 고무줄놀이
  4. 딱지치기
(정답률: 84%)
  • 이 그림은 연날리기를 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연날리기는 바람에 맞춰서 연을 날리는 놀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문장의 밑줄 친 것을 수정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새로운 한해가 시작되는 아침이다. → '한 해'는 띄어 쓴다.
  2. 그의 바람대로 소방 공무원이 되었다. → '바램'으로 고친다.
  3. 년초에는 인사로 바쁜 일이 많다. → 두음법칙에 따라 '연초'로 쓴다.
  4. 그가 무엇을 할 지 알 수 없다. → '할지'는 붙여 쓴다.
(정답률: 64%)
  • "그의 바람대로 소방 공무원이 되었다. → '바램'으로 고친다."이 옳지 않은 것은 아니다. 이유는 "바람대로"가 아니라 "바람대로"가 맞는 표현이기 때문이다. "바람대로"는 잘못된 표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보기 안에 밑줄 친 의미와 다른 한자성어를 고르시오.

  1. 실마치구(失馬治廐)
  2. 연목구어(緣木求魚)
  3. 망양보뢰(亡羊補牢)
  4. 사후약방문(死後藥方文)
(정답률: 36%)
  • 연목구어(緣木求魚)는 나무 가지에 매달려 물고기를 잡으려는 것을 뜻하는데, 다른 세 개의 한자성어는 모두 이미 일어난 일을 바로잡거나 미리 대비하는 것을 뜻합니다. 따라서 연목구어(緣木求魚)가 다른 세 개의 한자성어와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보기의 빈 칸에 알맞은 것은?

  1. 거북이
  2. 자라
  3. 문어
(정답률: 41%)
  • 해당 그림은 "게"를 그리고 있기 때문에 정답은 "게"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그림과 일치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수사 의문문이 아닌 것은?

  1. 이 고장 특산물이 무엇인가요?
  2. 내가 널 못 당할쏘냐?
  3. 이 사무실 공기가 좀 탁하지 않니?
  4. 이 땅에 태어나서 내가 할 일이 없을쏘냐?
(정답률: 68%)
  • "이 고장 특산물이 무엇인가요?"는 질문 형태로 주어진 것이며, 나머지는 모두 의문문이 아닌 평서문 또는 명령문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이 질문은 어떤 고장의 특산물이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시를 읽고 알맞은 내용을 고르시오.

  1. 화자의 고통스러운 삶을 그리고 있다.
  2. 부조리한 상황을 말하고 있다.
  3. 대상의 어리석음에 대한 비판을 하고 있다.
  4. 배경 묘사를 통해 화자의 만족감을 나타내고 있다.
(정답률: 34%)
  • 이 시는 "눈"이 녹아내리는 봄날에도 불구하고 "눈"이 쌓이는 부조리한 상황을 말하고 있다. 즉, 봄에는 눈이 녹아내려야 하지만 여전히 눈이 쌓이는 것은 부조리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보기의 설명으로 맞지 않는 것은?

  1. '미리 '은 하늘이 미리 정했다는 내용이다.
  2. 현재 사용하지 않는 자음과 모음이 사용되었다.
  3.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였다.
  4. 산행은 '등산'이라는 의미이다.
(정답률: 60%)
  • "'미리 정해진 것은 하늘이 미리 정했다는 내용이다."는 보기와 관련이 없는 설명이다. 다른 보기들은 한글의 표기법과 등산이라는 단어의 의미에 대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동일한 색채어를 반복하여 화자의 정서를 고조시키고 있다.
  2. 비유적이고 상징적인 표현을 통해 인간과 자연의 유사성을 말하고 있다.
  3. 어조 변화를 통해 과거를 반성하고 있다.
  4. 밝음과 어둠을 통해 화자가 지향하는 바를 내포하고 있다.
(정답률: 64%)
  • 이미지에서는 어두운 색조에서 밝은 색조로 변화하면서, 끝부분에서는 다시 어두운 색조로 돌아가는데, 이러한 어조 변화는 과거의 아름다움과 현재의 적막함을 비교하며, 과거를 반성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어조 변화를 통해 과거를 반성하고 있다."가 적절하지 않은 설명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을 읽고 밑줄 친 것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紅塵(홍진)'과 '數間茅屋(수간모옥)'은 대조되는 뜻이다.
  2. '至樂(지락)'에 대한 자부심을 설명하고 있다.
  3. '이 내 生涯(생애)'는 화자의 지향 대상이다.
  4. 녯 사람의 생애를 감각적인 시어로 구체화 하였다.
(정답률: 25%)
  • "'紅塵(홍진)'과 '數間茅屋(수간모옥)'은 대조되는 뜻이다."는 시의 내용과 관련이 없는 설명이다. 다른 보기들은 시의 내용과 관련이 있지만, 이 보기는 그렇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속담과 뜻이 바르게 연결되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1. 굽은 나무 선산 지킨다. - 쓸모없는 것이 오히려 할 일을 한다.
  2. 못 먹는 버섯이 3월에 난다. - 좋지 않은 것이 오히려 일찍 나돌아 다닌다.
  3. 봄볕은 며느리가 맞게 하고 가을볕은 딸에게 맞게 한다. - 시어머니가 며느리를 딸보다 더 예뻐한다.
  4. 거문고 인 놈이 춤을 추면 칼 쓴 놈도 춤을 춘다. - 처지도 못 되는 이가 남이 하니까 덩달아 따라하며 웃음거리가 되었다.
(정답률: 61%)
  • "봄볕은 며느리가 맞게 하고 가을볕은 딸에게 맞게 한다. - 시어머니가 며느리를 딸보다 더 예뻐한다."가 올바르지 않은 속담-뜻 연결이다. 이 속담은 봄과 가을의 태양을 비유적으로 사용하여 시어머니가 며느리를 딸보다 더 좋아한다는 것을 나타내는데, 이와 관련된 뜻이 없다. 따라서 이 속담은 올바르지 않은 속담-뜻 연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자료를 읽고 조선시대 상속에 대해 알 수 없는 내용은?

  1. 조선에는 재산 내용에 관한 기본 법전이 있었다.
  2. 고려시대에는 재산이 많은 여성이 있었다.
  3. 첩의 자식에게도 공평하게 재산 분배를 하였다.
  4. 재산 분배에 있어 유일한 차별은 장례를 지내는 자녀에 관한 것이다.
(정답률: 49%)
  • 고려시대에는 여성도 재산을 가질 수 있었지만, 조선시대에는 여성의 재산권이 제한되었기 때문에 첩의 자식에게도 공평하게 재산 분배를 한 것은 알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고려시대에는 재산이 많은 여성이 있었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응오가 처한 상황으로 알맞은 속담을 고르시오.(19번 공통지문 문제)

  1. 자는 범 코침 놓다.
  2. 나간 놈 집구석이다.
  3. 가는 손님 뒤꼭지 예쁘다.
  4.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왕서방이 번다.
(정답률: 52%)
  • 응오가 처한 상황은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왕서방이 번다." 이다. 이 속담은 능력과 돈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속담으로, 응오는 능력이 있지만 돈이 없어서 어려운 상황에 처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