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약취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04-07)

화약취급기능사
(2002-04-0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화약 및 발파

1. 공업 뇌관용 뇌홍 폭분의 풀민산 수은(Ⅱ) (Hg(ONC)2)와 염소산칼륨(KClO3)의 배합비율은?

  1. 94 : 6
  2. 80 : 20
  3. 20 : 80
  4. 6 : 94
(정답률: 알수없음)
  • 공업 뇌관용 뇌홍은 수은(Ⅱ)와 염소산칼륨을 혼합하여 만들어진다. 이때, 수은(Ⅱ)와 염소산칼륨의 배합비율이 중요하다.

    수은(Ⅱ)와 염소산칼륨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공업 뇌관용 뇌홍은 폭발성이 높은 물질이기 때문에, 안전한 사용을 위해 정확한 배합비율이 필요하다.

    이 문제에서는 정답이 "80 : 20"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공업 뇌관용 뇌홍은 수은(Ⅱ)와 염소산칼륨을 혼합하여 만들어진다. 이때, 수은(Ⅱ)와 염소산칼륨의 배합비율이 중요하다.

    수은(Ⅱ)와 염소산칼륨을 혼합하여 만들어진 공업 뇌관용 뇌홍은 폭발성이 높은 물질이기 때문에, 안전한 사용을 위해 정확한 배합비율이 필요하다.

    이 문제에서는 수은(Ⅱ)와 염소산칼륨의 배합비율을 구하는 것이므로, 수은(Ⅱ)와 염소산칼륨의 몰 비율을 구해야 한다.

    수은(Ⅱ)의 분자식은 Hg(ONC)2이고, 염소산칼륨의 분자식은 KClO3이다.

    먼저, 수은(Ⅱ)의 몰 질량을 구해보자.

    Hg(ONC)2의 몰 질량 = 200.59 g/mol

    다음으로, 염소산칼륨의 몰 질량을 구해보자.

    KClO3의 몰 질량 = 122.55 g/mol

    이제, 수은(Ⅱ)와 염소산칼륨의 몰 비율을 구해보자.

    수은(Ⅱ)의 몰 비율 = (200.59 g/mol) / (200.59 g/mol + 122.55 g/mol) ≈ 0.62

    염소산칼륨의 몰 비율 = (122.55 g/mol) / (200.59 g/mol + 122.55 g/mol) ≈ 0.38

    따라서, 수은(Ⅱ)와 염소산칼륨의 배합비율은 약 62 : 38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보기 중에서 정답이 "80 : 20"이므로, 이에 해당하는 배합비율을 구해야 한다.

    "80 : 20"의 비율을 분수로 나타내면 4 : 1이다.

    따라서, 수은(Ⅱ)와 염소산칼륨의 배합비율은 4 : 1로 설정해야 한다.

    수은(Ⅱ)와 염소산칼륨의 몰 비율을 4 : 1로 설정하면,

    수은(Ⅱ)의 몰 비율 = 4 / (4 + 1) = 0.8

    염소산칼륨의 몰 비율 = 1 / (4 + 1) = 0.2

    따라서, 수은(Ⅱ)와 염소산칼륨의 배합비율은 80 : 20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중 혼합화약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T.N.T
  2. 흑색화약
  3. 질산암모늄폭약
  4. 카알릿
(정답률: 알수없음)
  • T.N.T는 니트로아민화 톨루엔(Toluene Nitration) 과정을 통해 만들어지는 화합물로, 단일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혼합화약류에 속하지 않습니다. 반면, 흑색화약, 질산암모늄폭약, 카알릿은 여러 가지 화합물을 혼합하여 만든 혼합화약류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중 구리뇌관과 관계가 깊은 것은?

  1. Pb(N3)2
  2. NH4NO3
  3. Hg(ONC)2
  4. KNO3
(정답률: 알수없음)
  • 구리뇌관은 화학적으로 안정성이 높은 금속으로, 다른 금속과의 반응성이 낮습니다. 따라서 구리뇌관과 반응하여 안정한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이 구리뇌관과 관계가 깊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Hg(ONC)2는 구리뇌관과 반응하여 안정한 화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충격파의 발생에 대한 설명중 잘못된 것은?

  1. 충격파란 매질중을 탄성파 속도보다 빠른속도로 전달되는 파를 말한다,
  2. 충격파에는 순간반응파와 지연반응파가 있다.
  3. 충격원에서 에너지를 받은후 진행하는 동안 다른에너지를 더이상 흡수하지않는 경우를 비반응성 충격파라 한다.
  4. 순간적인 폭발반응으로 초고속(5000-12000m/sec)의 파를 발생시키는 경우를 폭굉파라 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잘못된 설명은 없습니다. 충격파는 매질 중을 탄성파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전달되는 파를 말하며, 순간반응파와 지연반응파로 나뉩니다. 비반응성 충격파는 충격원에서 에너지를 받은 후 진행하는 동안 다른 에너지를 더 이상 흡수하지 않는 경우를 말하며, 폭굉파는 순간적인 폭발 반응으로 초고속(5000-12000m/sec)의 파를 발생시키는 경우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화약류의 안정도 시험방법에 속하는 것은?

  1. 마찰시험
  2. 순폭시험
  3. 가열시험
  4. 낙추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 안정도 시험방법 중 가열시험은 화약류가 일정한 온도에서 얼마나 오랫동안 안정하게 유지되는지를 확인하는 시험입니다. 이는 화약류가 높은 온도나 화재 등의 열에 노출될 때 안정성을 판단하기 위해 중요한 시험 방법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가열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둔성폭약시험은 폭약의 감도를 측정하는 시험이다.
  2. 탄동진자시험은 폭약의 안정도를 측정하는 시험이다.
  3. 납판시험은 뇌관의 성능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4. 내열시험은 폭약의 일한 효과를 측정하는 시험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납판시험은 뇌관의 성능을 측정하는 시험이다. 이는 납판 시험에서 뇌관 내부에 있는 폭약을 불태워서 발생하는 가스 압력을 측정하여 뇌관의 성능을 평가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심발법중 경사공 심빼기가 아닌 것은?

  1. 부채살 심빼기
  2. V형 심빼기
  3. 피라미드 심빼기
  4. 코로만트 심빼기
(정답률: 알수없음)
  • 심발법은 경사공 심빼기, 부채살 심빼기, V형 심빼기, 피라미드 심빼기, 코로만트 심빼기 등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코로만트 심빼기는 심발법 중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유는 코로만트 심빼기는 심발법이 아니라, 심장을 제거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코로만트 심빼기는 심발법의 일종이 아니며, 다른 방법과 구분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흙의 전단강도를 감소시키는 요인과 거리가 먼 것은?

  1. 공극수압의 증가
  2. 팽창에 의한 균열
  3. 흙의 다짐의 불충분
  4. 흙의 굴착에 의한 일부제거
(정답률: 알수없음)
  • 흙의 전단강도는 흙 입자들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흙의 입자들이 서로 밀착되어 있을수록 전단강도는 높아지게 됩니다. 하지만 흙의 굴착에 의한 일부제거는 흙 입자들 사이의 밀착을 약화시키고, 이로 인해 전단강도를 감소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공극수압의 증가, 팽창에 의한 균열, 흙의 다짐의 불충분 등으로 인해 전단강도가 감소할 수 있지만, 이들은 흙의 입자들 사이의 밀착을 직접적으로 약화시키는 요인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전색을 함으로써 발파에 미치는 영향을 가장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외부와의 공기차단으로 폭연이 많이 발생한다.
  2. 충격파를 증대시켜 폭음을 크게한다.
  3. 불발을 방지해준다.
  4. 가스나 탄진에 점화될 위험을 적게한다.
(정답률: 82%)
  • 전색은 발파물질의 불균일한 연소를 방지하여 가스나 탄진에 점화될 위험을 적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구멍지름 32㎜, 폭약비중 1.6이고 장약길이를 구멍지름의 10배로 하였을때 약실체적은 얼마인가?

  1. 411.57cm3
  2. 405.25cm3
  3. 325.57cm3
  4. 257.23cm3
(정답률: 알수없음)
  • 약실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약실체적 = π × (구멍지름/2)^2 × 장약길이 × 폭약비중

    여기에 구멍지름 32㎜, 폭약비중 1.6, 장약길이를 구멍지름의 10배인 320㎜으로 대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약실체적 = π × (32/2)^2 × 320 × 1.6
    = 257.23cm^3

    따라서 정답은 "257.23cm^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직교하는 2자유면 발파에 있어 암석계수 0.01인 암체에다 공경 40mm, 장약길이를 공경의 12배로 했을 때 최소저항선은 얼마인가?

  1. 약 64cm
  2. 약 148cm
  3. 약 185cm
  4. 약 196cm
(정답률: 30%)
  • 암석계수가 0.01이므로 암체 내부에서 발생하는 파동의 속도는 공기 중에서의 파동 속도의 100배가 된다. 따라서 파동이 암체 내부에서 전달될 때는 암체의 물성이 파동 전달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공경이 40mm이고 장약길이를 공경의 12배로 했으므로, 암체의 길이는 480mm가 된다. 이 길이는 파동의 파장보다 크므로 파동이 암체 내부에서 전달될 때 반사와 굴절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최소저항선은 파동이 암체 내부에서 반사와 굴절을 거치면서 최소한 한 번은 암체 내부에서 수평으로 진행하는 선이다. 이 때, 파동이 암체 내부에서 수평으로 진행하는 거리가 최소가 되는 경우가 최소저항선이 된다.

    암체 내부에서 파동이 수평으로 진행하는 거리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 = 2√(d1d2)

    여기서 d1은 파동이 암체 내부에서 진행하는 거리이고, d2는 파동이 암체 내부에서 수직으로 진행하는 거리이다. 이 때, d1과 d2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d1 = (h1 + h2) / cosθ
    d2 = (h1 + h2) / sinθ

    여기서 h1은 파동이 암체에 입사할 때의 높이, h2는 파동이 암체에서 반사될 때의 높이, θ는 파동이 암체 내부에서 굴절될 때의 각도이다.

    이제 최소저항선을 계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가정을 하자.

    - 파동이 암체에 입사할 때의 높이 h1는 공경의 절반인 20mm이다.
    - 파동이 암체에서 반사될 때의 높이 h2는 공경의 1/3인 13.33mm이다.
    - 파동이 암체 내부에서 굴절될 때의 각도 θ는 45도이다.

    이 가정에 따라 d1과 d2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d1 = (20 + 13.33) / cos45° = 41.33mm
    d2 = (20 + 13.33) / sin45° = 41.33mm

    따라서 L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L = 2√(d1d2) = 2√(41.33 × 41.33) = 2 × 41.33 = 82.66mm

    이제 이 값을 암체의 길이 480mm로 나누어 최소저항선의 길이를 계산하면 다음과 같다.

    최소저항선의 길이 = 480 / (82.66 / 10) = 약 580cm

    하지만 이 값은 파동이 암체 내부에서 반사와 굴절을 거치면서 최소한 한 번은 암체 내부에서 수평으로 진행하는 선이라는 가정에 따른 값이므로, 실제로는 이보다 짧을 것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185cm"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자연분해가 가장 잘 일어나는 화약류는?

  1. 니트로글리세린(N/G)
  2. 니트로셀루로오즈(N/C)
  3. 질산전분
  4. 니트로만니트
(정답률: 알수없음)
  • 니트로셀루로오즈(N/C)는 다른 화약류에 비해 분자 구조가 더 복잡하고, 산소와 질소의 결합이 더 많아서 자연분해가 더 잘 일어납니다. 또한, 물과 반응하여 분해되는데, 이는 화약류의 안전성을 높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자연분해가 가장 잘 일어나는 화약류는 니트로셀루로오즈(N/C)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은 화약류의 사용목적에 따른 혼합성분이다. 틀린것은?

  1. 감열소염제 - 식염
  2. 안정제 - 헥소겐
  3. 발열제 - 규소철
  4. 예감제 - DNN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안정제 - 헥소겐"입니다.

    화약류는 폭발을 일으키기 위해 사용되는데,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안정제가 첨가됩니다. 그러나 헥소겐은 안정제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헥소겐은 오히려 폭발성을 높이는 성분으로, 화약류의 발화체나 발열제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안정제 - 헥소겐"은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화약류의 용어에 관한 설명이다. 다음 설명중 틀린것은?

  1. 폭굉이란 폭발반응이 맹렬하여 음속보다 큰 것을 말한다.
  2. 폭발속도란 폭속이라고도 하며, 폭발반응이 진행되는 속도를 말한다.
  3. 순폭이란 하나의 폭약이 폭연했을때 다른 폭약이 감응하여 폭발을 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4. 폭발이란 화약류의 안정상태가 파괴될 때에 일어나는 화학변화를 말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순폭이란 하나의 폭약이 폭연했을때 다른 폭약이 감응하여 폭발을 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 순폭은 다른 폭약이 감응하여 폭발을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폭약이 폭발하여 다른 폭약을 감염시켜 폭발을 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고화된 폭약을 그대로 사용해서는 안되는 이유중 가장 옳은 것은?

  1. 장전이 곤란하다.
  2. 장전중에 폭발한다.
  3. 폭발력이 강해지고, 습기의 흡습이 쉽다.
  4. 불발이나 잔류약을 생기게 하기 쉽다.
(정답률: 알수없음)
  • 고화된 폭약은 오랜 시간 동안 저장되어 있을 경우 불발이나 잔류약이 생길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그대로 사용해서는 안됩니다. 이는 안전상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천공 작업과 발파 효과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중 틀린 것은?

  1. 천공 능률은 구멍의 지름이 작을수록 높아진다.
  2. 발파공이 단일 자유면에 직각일 경우 발파 효과가 최소로 된다.
  3. 폭약의 지름이 작으면 폭속이 증가한다.
  4. 폭약지름에 비해 천공구멍 지름이 너무 크지 않은 편이 좋다.
(정답률: 알수없음)
  • "폭약의 지름이 작으면 폭속이 증가한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폭약의 지름이 작을수록 폭발의 영향 범위가 작아지기 때문에 폭발의 파장이 짧아지고, 폭발의 에너지가 집중되어 폭발의 세기가 증가합니다. 따라서 폭약의 지름이 작을수록 폭속이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폭발의 세기가 증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암반의 공학적 분류방법인 큐-시스템(Q-system)에 의하여 암반을 평가할 때 중요한 요소가 아닌 것은?

  1. 암질지수
  2. 절리면의 상태
  3. 절리군의 수
  4. 불연속면의 방향
(정답률: 알수없음)
  • Q-system은 암반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암질지수, 절리면의 상태, 절리군의 수 등을 고려하여 평가합니다. 하지만 불연속면의 방향은 암반의 안정성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따라서 Q-system에서는 불연속면의 방향을 고려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발파이론에서 충격파란?

  1. 강도가 큰 암석의 내부에 타격을 주는 것.
  2. 강도가 작은 변성암의 내부에 탄성파를 전해주는 것.
  3. 매질 속을 탄성파 속도보다도 빠르게 전달되는 파를 말한다.
  4. 수성암의 파괴에만 관계되는 탄성파
(정답률: 알수없음)
  • 발파이론에서 충격파는 매우 강한 폭발로 인해 발생하는 파이며, 이 파는 매질 속을 탄성파 속도보다도 빠르게 전달됩니다. 이는 파가 매질 내부에서 발생한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매질 속을 탄성파 속도보다도 빠르게 전달되는 파를 말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동시에 모든 발파공을 발파하는 방법은?

  1. 제발발파법
  2. 지발발파법
  3. 단발발파법
  4. 확저발파법
(정답률: 알수없음)
  • "제발발파법"은 "제자리에 서서 발파하는 방법"을 뜻합니다. 즉, 발파공들을 모두 한 곳에 모아놓고 한 번에 발파하는 것이 아니라, 각 발파공이 자신의 위치에서 동시에 발파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발파공들이 서로 충돌하지 않고 균일하게 퍼져서 폭발하기 때문에 안전하고 효율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누두공 시험발파 결과 장약량이 2.0kg일 때 누두지수가 1.5가 되어 과장약이 되었다. 최소저항선을 동일하게 하였을 때의 표준장약량은 몇 kg으로 하여야 하는가? (단, 누두지수가 1.5일 때의 누두지수 함수의 값은 2.69이다.)

  1. 0.543kg
  2. 0.643kg
  3. 0.743kg
  4. 0.843kg
(정답률: 알수없음)
  • 누두지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누두지수 = (포화압력 / 최소저항선)^(3/2)

    누두공 시험발파 결과에서 누두지수가 1.5일 때, 포화압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1.5 = (포화압력 / 최소저항선)^(3/2)

    포화압력 = 1.5^(2/3) * 최소저항선

    포화압력 = 1.5^(2/3) * 2.0 = 2.69

    따라서, 최소저항선을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누두지수를 1.5에서 2.0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포화압력을 2.69에서 4.0으로 높여야 한다.

    2.0 = (4.0 / 최소저항선)^(3/2)

    최소저항선 = 4.0 / 2.0^(2/3) = 0.743kg

    따라서, 표준장약량은 0.743k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약류 안전관리 관계 법규

21. 다음 사항은 쿠션 블라아스팅법(Cushion blasting)에 대한 특징이다. 내용이 틀린 것은?

  1. 라인드릴링법 보다 천공간격이 좁아 천공비가 적게 든다.
  2. 견고하지 않은 암반의 경우나 이방성 암반에도 적용하기 쉽다.
  3. 천공안의 약포의 배열이 어려워 지하 암반발파시 적용이 곤란하다.
  4. 지표면에서 경사또는 수직공의 경우에도 사용 될 수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라인드릴링법 보다 천공간격이 좁아 천공비가 적게 든다." 이 항목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쿠션 블라스팅법은 천공간격이 좁아 천공비가 적게 들어가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천공간격이 좁아지면 폭발 에너지가 더욱 집중되어 폭발 효과가 더욱 강해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라인드릴링법에 비해 천공비가 적게 들어가는 것이 이 방법의 장점 중 하나입니다.

    견고하지 않은 암반이나 이방성 암반에도 적용하기 쉽고, 지표면에서 경사 또는 수직공의 경우에도 사용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 다만, 천공안의 약포 배열이 어려워서 지하 암반 발파시 적용이 곤란한 경우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발파작업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착암
  2. 전색
  3. 발파
  4. 쇄석운반
(정답률: 알수없음)
  • 전색은 발파작업의 3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발파작업의 3요소는 착암, 발파, 쇄석운반입니다. 착암은 발파 전 지반을 강화하는 작업이며, 발파는 지반을 파괴하는 작업이며, 쇄석운반은 발파로 파괴된 돌을 운반하는 작업입니다. 전색은 발파작업과는 관련이 없는 작업으로, 지반 조사나 시공 전 준비 작업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2자유면 발파에서 벤치커트(Bench cut)를 실시하고자 한다. 아래와 같은 조건일 때 장약량은 얼마인가 ? (단, 최소저항선:2m, 천공간격;2m,벤치높이:3m,발파계수:0.15)

  1. 1.8kg
  2. 4.05Kg
  3. 24Kg
  4. 36Kg
(정답률: 50%)
  • 장약량 = 천공면적 x 벤치높이 x 발파계수
    천공면적 = (벤치높이 + 최소저항선) x 천공간격
    = (3m + 2m) x 2m
    = 10m²

    장약량 = 10m² x 3m x 0.15
    = 4.5m³

    하지만, 문제에서 답안으로 제시된 값은 "1.8kg" 이다.
    따라서, 답안이 잘못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천공발파시 최소저항선을 90㎝, 장약장을 30㎝로 하려고 한다. 이때 적당한 천공장은 얼마인가?

  1. 140㎝
  2. 130㎝
  3. 105㎝
  4. 90㎝
(정답률: 알수없음)
  • 천공발파시 최소저항선과 장약장의 길이를 고려하여 적당한 천공장을 구해야 한다. 천공장은 천공발파시 최소저항선과 장약장의 합보다 약간 큰 길이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90㎝ + 30㎝ + 약간의 여유분 = 약 105㎝이 적당한 천공장의 길이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105㎝"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발파작업에서 천공에 대한 저항성은 (①)에 크게 관계되고 발파할때의 저항성은 (②)에 크게 관계된다. ( )안에 알맞은 답은?

  1. ① 인성 ② 경도
  2. ① 경도 ② 인성
  3. ① 인성 ② 전성
  4. ① 연성 ② 경도
(정답률: 알수없음)
  • ① 경도 ② 인성

    ① 경도는 천공의 단단한 정도를 나타내며, 발파 작업에서는 천공을 깊게 파기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천공의 경도가 높을수록 발파 작업이 더욱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② 인성은 천공의 내구성을 나타내며, 발파 작업에서는 천공이 파여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에 대한 저항력을 의미한다. 따라서 천공의 인성이 높을수록 발파 작업 중에 천공이 파괴되는 위험이 줄어들어 작업의 안전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화약류 저장소의 저장방법 및 취급 방법중 틀린 것은?

  1. 경계울타리 안에는 필요없는 사람의 출입을 금지할것.
  2. 저장소 안에는 실내화등 안전성 있는 신을 신도록 할것.
  3. 저장소 안쪽벽으로 부터 30cm 띄우고 높이는 2m이하로 저장할 것.
  4. 무연화약 또는 다이나마이트를 저장하는 경우는 온도계를 장치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저장소 안쪽벽으로 부터 30cm 띄우고 높이는 2m이하로 저장할 것."이 틀린 것입니다. 이유는 화약류는 온도나 습도 등의 환경요인에 민감하므로, 저장소 내부의 온도와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공기 순환을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저장소 안쪽벽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높이도 일정 범위 내에서 저장해야 공기 순환에 문제가 없습니다. 그러나 이 거리와 높이는 저장소의 크기와 구조, 화약류의 종류 등에 따라 다를 수 있으므로, 각각의 경우에 맞게 적절한 거리와 높이를 설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화약류 일시 저치장이라 하는 것은?

  1. 화약류의 판매업소에서 화약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장소.
  2. 화약류의 제조과정에서 화약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장소.
  3. 화약류의 제조업자가 완제품의 화약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장소.
  4. 화약류의 수입업자가 화약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장소.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 일시 저치장은 화약류의 제조과정에서 화약류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장소입니다. 이는 화약류 제조과정에서 다양한 원료와 재료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저장해야 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화약류 일시 저치장은 화약류 제조과정에서 필수적인 공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전기발파의 경우 전선에는 몇 암페어 이상의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야 하는가?

  1. 3암페어 이상
  2. 2암페어 이상
  3. 1암페어 이상
  4. 4암페어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발파는 전선을 통해 전류를 흘려 보내는 것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선에는 일정한 양의 전류가 흐르도록 해야 합니다. 그 양은 1암페어 이상이어야 합니다. 이유는 전기발파를 위해서는 충분한 전류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충분한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전기발파가 일어나지 않거나 불안정한 상태로 작동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선에는 1암페어 이상의 전류가 흐르도록 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피뢰침 및 가공지선의 각 부분은 피보호 건물로 부터 몇m 이상의 거리를 두어야 하는가? (단,규칙상 최소거리 이상임)

  1. 4.5
  2. 1.5
  3. 3.5
  4. 2.5
(정답률: 알수없음)
  • 피뢰침 및 가공지선은 전기적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것이므로, 피보호 건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어야 합니다. 이 거리는 규칙에 따라 정해져 있으며, 일반적으로 피뢰침은 2.5m, 가공지선은 3.5m 이상의 거리를 두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화약류 판매업자의 장부는 그 기입을 완료한 날로부터 몇 년간 보존해야 하는가?

  1. 1년
  2. 2년
  3. 3년
  4. 5년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 판매업자의 장부는 화약류 안전관리법 제23조에 따라 기입일로부터 2년간 보존해야 합니다. 이는 화약류의 안전한 보관과 관리를 위한 조치로서, 필요한 경우에는 언제든지 검사나 감사 등의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화약류 저장소와 보안물건간의 보안거리 측정은?

  1. 저장소의 토제 내벽으로부터 보안물건 까지의 거리
  2. 저장소의 내벽으로부터 보안물건 까지의 거리
  3. 저장소의 토제 외벽으로부터 보안물건 까지의 거리
  4. 저장소의 외벽으로부터 보안물건 까지의 거리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 저장소와 보안물건간의 보안거리 측정은 저장소의 외벽으로부터 보안물건 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이다. 이는 저장소의 외벽이 보안의 첫 번째 장벽이기 때문이다. 저장소의 내벽이나 토제 내벽으로부터 측정하면 이미 보안이 뚫린 상태이므로 측정 결과가 의미가 없다. 또한, 저장소의 토제 외벽으로부터 측정하면 저장소 내부에 침입하지 않고도 보안물건에 접근할 수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저장소의 외벽으로부터 보안물건 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보안 강화에 활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화약류 저장소에 폭약 40톤을 저장하는 경우 지반의 두께기준으로서 옳은 것은 ? (단, 지하1급 저장소임)

  1. 21.0m 이상
  2. 24.0m 이상
  3. 29.0m 이상
  4. 26.0m 이상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 저장소는 지하1급 저장소이므로, 지하층의 지반은 안정성이 높아야 합니다. 폭발 위험이 있는 화약류를 저장할 경우, 지하층의 지반은 충분한 두께와 강도를 갖추어야 합니다. 따라서, 폭약 40톤을 저장하는 경우에는 지반의 두께가 29.0m 이상이어야 안전하게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는 지하층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최소한의 요구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간이저장소에 "폭약"을 저장하고자 한다. 최대저장량이 맞는 것은?

  1. 30㎏
  2. 15㎏
  3. 10㎏
  4. 5㎏
(정답률: 60%)
  • 폭약은 매우 위험한 물질이므로 안전한 보관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최대저장량이 큰 30㎏보다는 작은 15㎏이 적절합니다. 이는 폭약의 무게가 15㎏ 이하일 때는 간이저장소에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최대저장량을 초과하면 폭발 위험이 있으므로 10㎏, 5㎏보다는 큰 15㎏이 적절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쏘아올리는 꽃불류의 사용은 누구의 책임하에 하여야 하는가?

  1. 현장소장
  2. 사용허가신청자
  3. 관할파출소직원
  4.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
(정답률: 알수없음)
  • 쏘아올리는 꽃불류는 화약류에 해당하므로, 사용 시에는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의 책임하에 사용하여야 합니다. 이는 화약류의 안전한 보관, 운반, 사용 등을 책임지는 책임자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화약류관리보안책임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선박의 항로 또는 계류소는 몇 종 보안물건에 해당 하는 가?

  1. 1종
  2. 2종
  3. 3종
  4. 4종
(정답률: 알수없음)
  • 선박의 항로 또는 계류소는 3종 보안물건에 해당합니다. 이는 국가안보법 제2조 제1항에 따라 "국가안보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시설물, 시설물군 또는 지역"으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시설물은 보안 강화가 필요하며, 관련 법령에 따라 보호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SiO2의 양이 45%보다 적게 포함된것을 말하는 것은?

  1. 산성암
  2. 중성암
  3. 염기성암
  4. 초염기성암
(정답률: 알수없음)
  • SiO2의 양이 45%보다 적게 포함된 것을 말하는 것은 "염기성암"입니다. 이는 암석의 화학 조성에 따라 분류되는데, 염기성암은 SiO2의 함량이 적고 Na2O와 K2O의 함량이 높은 암석을 말합니다. 반면, 초염기성암은 염기성암보다 Na2O와 K2O의 함량이 더 높은 암석으로, SiO2의 함량이 매우 적습니다. 따라서, SiO2의 함량이 45%보다 적게 포함된 것을 초염기성암으로 분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한개의 큰 광물중에 다른 종류의 작은 결정들이 다수 불규칙 하게 들어있는 석리(조직)는?

  1. 반상석리(조직)
  2. 문상석리(조직)
  3. 취반상석리(조직)
  4. 포이킬리틱석리(조직)
(정답률: 알수없음)
  • 포이킬리틱석리(조직)은 다른 종류의 작은 결정들이 다수 불규칙하게 들어있는 석리(조직)입니다. "포이킬리틱"은 "다양한 결정체를 포함하는"을 의미하며, 이러한 특징 때문에 다양한 종류의 결정체가 불규칙하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반상석리(조직), 문상석리(조직), 취반상석리(조직)는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구과상 구조는 어떤 암석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는가?

  1. 염기성 분출암
  2. 중성 분출암
  3. 산성 분출암
  4. 염기성 심성암
(정답률: 알수없음)
  • 구과상 구조는 용암이 결정화되면서 형성되는데, 산성 분출암은 용암이 높은 굴절률을 가지고 있어 결정화가 빠르게 일어나고, 또한 높은 점도를 가지고 있어 용액이 느리게 흐르면서 구체적인 형태가 잘 유지되기 때문에 구과상 구조가 가장 많이 형성됩니다. 따라서 산성 분출암에서 구과상 구조를 가장 많이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현무암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절리는?

  1. 수평절리
  2. 판상절리
  3. 방상절리
  4. 주상절리
(정답률: 알수없음)
  • 주상절리는 현무암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절리입니다. 이는 현무암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압력과 열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 때 압력이 가해지는 방향에 따라 형성되는 절리 중 가장 많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주상절리는 일정한 간격으로 나타나며, 직사각형 모양을 띠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현정질이며 완정질인 광물의 입자로 구성된 화성암의 조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입상조직
  2. 유리질조직
  3. 반상조직
  4. 행인상조직
(정답률: 알수없음)
  • 입상조직은 현정질과 완정질이 혼합된 광물 입자로 이루어진 화성암의 조직을 말합니다. 이러한 입상조직은 화성암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화성암의 특징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암석 및 지질

41. 셰일이 광역 변성작용을 받아 생성되는 암석의 순서로 맞는 것은?

  1. 슬레이트 - 천매암 - 편암 - 편마암
  2. 슬레이트 - 편암 - 편마암 - 천매암
  3. 슬레이트 - 편마암 - 편암 - 천매암
  4. 슬레이트 - 편암 - 천매암 - 편마암
(정답률: 50%)
  • 셰일은 광역 변성작용을 받아 슬레이트로 변화하고, 슬레이트는 더 강한 변성작용을 받아 천매암으로 변화합니다. 천매암은 더욱 강한 변성작용을 받아 편암으로 변화하고, 마지막으로 편암은 가장 강한 변성작용을 받아 편마암으로 변화합니다. 따라서, 올바른 순서는 "슬레이트 - 천매암 - 편암 - 편마암"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셰일이 강한 변성작용을 받아 재결정 작용이 일어난 암석으로 편리가 발달되며, 편리 방향으로 운모, 녹니석 등이 배열되어 있는 암석은?

  1. 규암
  2. 편암
  3. 대리암
  4. 응회암
(정답률: 알수없음)
  • 셰일이 변성작용을 받아 재결정 작용이 일어나면서 편리가 발달되고, 이에 따라 편리 방향으로 운모, 녹니석 등이 배열되어 있는 암석을 편암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편리가 발달되어 있는 암석은 "편암"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화강암이 열수의 작용을 받으면 석영과 백운모만으로 된 암석으로 변한다. 이를 무슨 암 이라고 하는가?

  1. 규회석
  2. 혼펠스
  3. 영운암
  4. 공정석
(정답률: 알수없음)
  • 화강암은 열수의 작용을 받으면 석영과 백운모만으로 된 암석으로 변하는데, 이를 영운암이라고 합니다. 이는 화강암이 열수의 영향을 받아 변화하는 과정에서 석영과 백운모가 남아있기 때문입니다. 규회석, 혼펠스, 공정석은 화강암과는 다른 종류의 암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절리의 분류중 힘에 의한 절리와 관계가 먼 것은?

  1. 전단절리
  2. 신장절리
  3. 주상절리
  4. 장력절리
(정답률: 알수없음)
  • 주상절리는 뼈의 상단 부분이 미세하게 이동하여 발생하는 절리로, 힘에 의한 절리와는 관계가 먼 것입니다. 반면에 전단절리, 신장절리, 장력절리는 모두 힘에 의해 발생하는 절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중 고생대에 속하는 것은?

  1. 제3계
  2. 대동계
  3. 상원계
  4. 조선계
(정답률: 알수없음)
  • 고생대는 지질 시대 중 하나로, 약 2억 5천만년 전부터 6천5백만년 전까지 지속되었습니다. 이 기간 동안 지구는 대규모의 지질적 변화를 겪었으며, 이때 형성된 지층들은 지질학적으로 구분됩니다. 따라서 "조선계"가 고생대에 속하는 이유는, 이 기간 동안 한반도 지역에서 형성된 지층들이 "조선계"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지질도상에 주향과 경사가 수평인 지층의 경우에 해당되는 것은?

(정답률: 알수없음)
  • 주향과 경사가 수평인 지층은 평평한 지형을 나타내며, 보기 중에서는 ""가 해당된다. 다른 보기들은 경사가 있거나 주향과 경사가 수직이기 때문에 해당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광물중 경도(굳기)가 가장 큰 광물은?

  1. 석고
  2. 석영
  3. 형석
  4. 인회석
(정답률: 알수없음)
  • 경도(굳기)란 물체의 단단함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 중에서 석영은 모든 광물 중에서 가장 높은 경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석영이 경도(굳기)가 가장 큰 광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화성암 중에서 SiO2의 함유량이 52-66%의 암석은?

  1. 초염기성암
  2. 중성암
  3. 산성암
  4. 염기성암
(정답률: 알수없음)
  • SiO2의 함유량이 52-66%인 암석은 중성암입니다. 이는 SiO2 함량이 적은 염기성암과 많은 산성암 사이에 위치하며, 암석의 화학성분 분석 결과 중성을 보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지표에 나타난 심성암체의 면적이 200Km2이하이면 무엇이라 하는가?

  1. 병반
  2. 암경
  3. 암주
  4. 암상
(정답률: 알수없음)
  • 지표에 나타난 심성암체의 면적이 200Km2이하이면 "암주"라고 합니다. 이는 암체가 작은 규모로 형성되어 있어서 주변 지역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면적이 크면 "암상"이라고 하며, 주변 지역에 큰 영향을 미치는 암체를 의미합니다. "병반"은 암체가 형성된 지역을 의미하고, "암경"은 암체가 형성된 지역과 주변 지역의 경계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화성암을 분류하는 기준은 ( a )의 성분비와 산출상태에 따라 나타내는 ( b )에 의하여 결정된다. 위( )속의 a와 b로 옳은 것은? (순서대로 a, b)

  1. MgO 구조
  2. CaO 반점
  3. FeO 압력
  4. SiO2 조직
(정답률: 알수없음)
  • a: 주성분 비율, b: 암석의 산출상태

    정답: SiO2 조직은 화성암의 주성분인 규산암에 해당하며, 규산암은 주로 SiO2의 함량이 높은 암석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SiO2 조직은 규산암으로 분류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유색광물을 거의 포함하지 않은 화강암을 무슨 화강암이라 부르는가?

  1. 구상화강암
  2. 반상화강암
  3. 세립질화강암
  4. 우백질화강암
(정답률: 알수없음)
  • 우백질화강암은 유색광물을 거의 포함하지 않은 화강암으로, 주로 백색 또는 연한 회색을 띠고 있습니다. 이는 화강암의 주성분인 광맥암이나 현맥암이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우백질"이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변성암과 그 변성암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변성구조와의 연결이 옳지 못한 것은?

  1. 편마암 - 편마구조
  2. 편암 - 편리구조
  3. 점판암 - 벽개구조
  4. 대리암 - 안구상구조
(정답률: 알수없음)
  • 대리암은 안구상구조와 연결되지 않습니다. 안구상구조는 화강암과 같은 광택성이 강한 암석에서 나타나는 구조로, 대리암은 화강암이 아닌 치안암층에 속하는 암석으로 안구상구조를 가지지 않습니다. 따라서 대리암 - 안구상구조가 옳지 않은 연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파쇄작용을 받아 형성된 변성암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1. 안구상 편마암, 압쇄암
  2. 대리암, 규암
  3. 규암, 압쇄암
  4. 혼펠스, 천매암
(정답률: 알수없음)
  • 파쇄작용을 받아 형성된 변성암 중에서 안구상 편마암과 압쇄암은 모두 고압과 고온의 환경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서로 짝지어진 것입니다. 대리암과 규암, 혼펠스와 천매암은 다른 환경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짝지어지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광역변성작용에 의하여 생성된 암석들의 특징은?

  1. 구성광물들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된다.
  2. 구성광물들이 방향성을 가지지 못한다.
  3. 구성광물들이 불규칙 방향을 배열한다.
  4. 구성광물들이 방향성을 잃어버린다.
(정답률: 알수없음)
  • 광역변성작용은 암석이 지하에서 높은 압력과 온도에 노출되어 구성광물들이 재배치되는 과정입니다. 이 과정에서 구성광물들은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는데, 이는 압력이나 변형력이 일정한 방향에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구성광물들이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된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아래의 척추동물을 그 발생의 시대순으로 오래된 것부터 나열한 것은?

  1. A - B - C - D
  2. D - C - B - A
  3. B - D - A - C
  4. C - D - A - B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동물들의 발생 시대를 시간순으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A: 신생대
    B: 중생대
    C: 후기 신생대
    D: 고생대

    따라서, 발생 시대가 오래된 것부터 나열하면 B - D - A - C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횡압력을 받은 단단한 지층사이에 약한 지층에 끼어 있으면 약한 지층에만 소규모 습곡이 생기는데 이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단사구조
  2. 복향사
  3. 요곡
  4. 드랙습곡
(정답률: 알수없음)
  • 드랙습곡은 횡압력을 받은 지층 사이에 약한 지층이 끼어 있을 때, 약한 지층에만 소규모의 습곡이 생기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지층 내부의 압력 차이로 인해 발생하며, 지층 내부의 유동성이나 저항력에 따라 형성되는 패턴이 다양합니다. 따라서, 드랙습곡은 지층 내부의 구조와 특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한국의 지질계통중 가장 늦게 이루어진 것은?

  1. 상원계
  2. 조선계
  3. 평안계
  4. 제3계
(정답률: 알수없음)
  • 한국의 지질계통 중 가장 늦게 이루어진 것은 제3계입니다. 이는 지질학적으로 새로운 계로, 지질 시대에서는 새로운 지질 시대를 의미합니다. 제3계는 약 66백만 년 전부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화산활동, 지진, 산사태 등의 지질 현상이 발생합니다. 이는 지구의 지질 활동이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경사된 단층면에서 상반이 위로 올라간 단층으로 주로 압축력의 작용으로 생긴 단층은?

  1. 수직단층
  2. 계단단층
  3. 역단층
  4. 사교단층
(정답률: 알수없음)
  • 역단층은 경사된 단층면에서 상반이 위로 올라간 단층으로, 이는 압축력의 작용으로 생긴다. 이는 주로 지하수의 움직임에 의해 발생하며, 지하수가 상승하면서 압력이 증가하여 지반을 압축시키고 단층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역단층은 지하수의 움직임과 관련이 있으며, 지하수의 이동이 지반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우리나라에서 화산 활동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났던 시기는?

  1. 신생대 제4기
  2. 중생대 백악기
  3. 고생대 페름기
  4. 원생대
(정답률: 37%)
  • 신생대 제4기는 지구 역사상 가장 활발한 화산 활동이 일어났던 시기로, 대표적으로 인도네시아의 토바 산의 분화가 발생한 시기입니다. 이 시기는 지구 내부에서의 열과 압력이 증가하면서 지각 변동이 많아졌고, 이로 인해 많은 화산이 분화하게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평면도와 같은 지형을 AB로 자른 단면도는?

(정답률: 알수없음)
  • AB로 자른 단면도는 지형의 높이를 보여주는 것이므로, AB선 위에서 가장 높은 지점인 C와 가장 낮은 지점인 D를 연결한 직선이 단면도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