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약취급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2-10-06)

화약취급기능사
(2002-10-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화약 및 발파

1. Hg(ONC)2는 무엇인가?

  1. 흑색화약
  2. 피크린산
  3. 질화납
  4. 뇌홍
(정답률: 알수없음)
  • Hg(ONC)2는 수은과 옥시메틸아닐린이 결합한 화합물로, 뇌홍이라고도 불립니다. 이는 붉은색의 결정으로, 산화제로 사용되며, 화약, 염료, 인쇄 잉크 등에도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화합 화약류중 질산 에스테르류에 속하는 화약류는 어느것인가?

  1. 흑색 화약
  2. ANFO 폭약
  3. 니트로 셀룰로오스
  4. 과염소산염 폭약
(정답률: 알수없음)
  • 질산 에스테르류에 속하는 화약류는 니트로셀룰로오스입니다. 이는 셀룰로오스에 질산 에스테르를 반응시켜 만든 화합물로, 폭발성이 높아 폭약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흑색 화약", "ANFO 폭약", "과염소산염 폭약"은 질산 에스테르류에 속하지 않으므로 정답은 "니트로 셀룰로오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중 제2종 도화선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1. 연소시간은 1m당 150초이다.
  2. 선의 지름은 5㎜ 이상이다.
  3. 내수성은 수심 1m에서 2시간이다.
  4. 용도는 벌채용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제2종 도화선은 내수성이 강하며, 수심 1m에서 2시간 이상 유지됩니다. 이는 선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입니다. 연소시간은 1m당 150초 이상이며, 선의 지름은 5mm 이상입니다. 이 선은 주로 벌채용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심빼기 발파에서 평행공 심발법에 해당하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노르웨이 심빼기
  2. 부채살 심빼기
  3. 코로만트 심빼기
  4. 피라미드 심빼기
(정답률: 알수없음)
  • 평행공 심발법은 공을 평행하게 날리는 기술로, 공이 떨어지기 전에 바닥에 닿는 각도를 최소화하여 공의 비행거리를 늘리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이 중에서 코로만트 심빼기는 공을 높게 올려서 높은 각도로 날리는 기술로, 공의 비행거리를 늘리는 데에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코로만트 심빼기가 평행공 심발법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중 시가지에서의 가장 효과적인 발파법은?

  1. 집중발파
  2. 라인드릴링법
  3. 대발파
  4. 제발발파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 라인드릴링법

    라인드릴링법은 시가지에서 가장 효과적인 발파법 중 하나입니다. 이는 지하에 있는 폭약을 이용하여 지면 아래에서 폭발시켜 지면을 파내는 방식으로, 폭발의 충격파가 지면 아래로 전달되어 건물 등의 구조물에 대한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폭발의 방향과 깊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건물 등의 구조물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가지에서는 라인드릴링법이 가장 효과적인 발파법 중 하나로 평가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채석용적은 최소저항선의 몇 승에 비례하는가?

  1. 4승
  2. 5승
  3. 2승
  4. 3승
(정답률: 알수없음)
  • 채석용적은 최소저항선의 3승에 비례합니다. 이는 유체의 저항력이 속도의 세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최소저항선의 속도가 빠를수록 채석용적은 더욱 감소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전색물(메지)의 조건으로 적당하지 않는 것은?

  1. 연소되지 않는 것
  2. 단단하게 다져질 수 있는 것
  3. 불발이나 잔류폭약을 회수하기에 안전한 것
  4. 발파공벽과 마찰이 적은 것
(정답률: 알수없음)
  • 전색물(메지)은 폭발성이 높은 물질로, 발파공벽과 마찰이 적은 장소에서 사용하면 폭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적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발파공벽과 마찰이 적은 것"이 적당하지 않은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터널의 너비가 18m, 높이가 7.5m인 터널을 Smooth Blasting(스므스 블라스팅)을 실시하려고 한다. Decoupling(디카플링)지수를 1.6으로 하고, 천공지름을 45㎜로 하였을 때 적당한 폭약의 지름은 몇 ㎜인가?

  1. 17
  2. 22
  3. 25
  4. 28
(정답률: 알수없음)
  • 스므스 블라스팅은 폭약의 폭발력을 줄여서 진동과 소음을 최소화하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 디카플링 지수와 천공지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폭약의 지름을 결정해야 한다.

    폭약의 지름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폭약의 지름 = (터널 너비 × 터널 높이 × 디카플링 지수) ÷ (천공지름 × 2)

    여기에 주어진 값들을 대입하면,

    폭약의 지름 = (18 × 7.5 × 1.6) ÷ (45 × 2) ≈ 28

    따라서 적당한 폭약의 지름은 28m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사면파괴가 일어나는 원인중 흙의 전단강도를 감소시키는 요인에 해당되는 것은?

  1. 건물, 물, 눈과 같은 외력의 작용
  2. 굴착에 의한 흙의 일부의 제거
  3. 지진, 폭파 등에 의한 진동
  4. 수분증가에 의한 점토의 팽창
(정답률: 알수없음)
  • 수분증가에 의한 점토의 팽창은 흙 내부의 미세한 공간에 물이 채워지면서 점토 입자들이 서로 밀착하게 되어 전단강도를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사면파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수분증가는 흙의 물리적 특성을 변화시켜 안정성을 감소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사항중 용도에 의해 화약류를 분류할 때 폭파약에 속하는 것은?

  1. 무연화약, 흑색화약
  2. 다이너마이트, ANFO
  3. 테트릴, 헥소겐
  4. 풀민산수은(Ⅱ),아지화납
(정답률: 알수없음)
  • 폭파약은 폭발력이 높아 건설, 광업 등에서 사용되는 화약으로, 다이너마이트와 ANFO가 이에 속합니다. 다이너마이트는 집적율이 높고 안정성이 높아 건설, 광업 등에서 폭발 작업에 사용되며, ANFO는 암석을 파괴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약으로, 암석 내부에 구멍을 뚫고 ANFO를 주입하여 폭발시켜 암석을 파괴합니다. 따라서 다이너마이트와 ANFO는 폭파약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폭발생성가스가 단열팽창을 할 때에 외부에 대해서 하는 일의 효과와 관련이 깊은 것은?

  1. 동적효과
  2. 정적효과
  3. 압축효과
  4. 팽창효과
(정답률: 알수없음)
  • 폭발생성가스가 단열팽창을 할 때에 외부에 대해서 하는 일의 효과는 정적효과입니다. 이는 폭발생성가스가 팽창하면서 주변 공기를 밀어내고, 이로 인해 압력이 상승하고 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정적효과는 폭발의 위험성을 높이는 요인 중 하나이며, 폭발사고 예방을 위해서는 이러한 정적효과를 최소화하는 방법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초유폭약(AN-FO)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장전비중이 크면 기폭하기 어렵다.
  2. 연료유가 과대해지면 CO가스가 증가한다.
  3. 일반적으로 분상초안이 입상초안에 비하여 높은 폭속을 가진다.
  4. 초안은 흡습성이 강하지만 8% 정도의 흡습상태에서는 별 영향이 없다.
(정답률: 알수없음)
  • 초안은 폭발물질 중 하나로, 폭발을 일으키기 위해서는 일정한 비율의 연료와 산화제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연료유가 과대해지면 연소가 불완전해져 CO가스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와 관련하여 "연료유가 과대해지면 CO가스가 증가한다."는 설명은 맞는 설명입니다.

    반면에 "초안은 흡습성이 강하지만 8% 정도의 흡습상태에서는 별 영향이 없다."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초안은 흡습성이 강하여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는 폭발 위험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초안은 가능한 건조한 상태로 보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군용폭약으로 사용되는 암모날(ammonal)의 배합 성분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NH4NO3
  2. 알루미늄가루
  3. T.N.T
  4. 나뭇가루
(정답률: 알수없음)
  • 암모날은 주로 집적폭약으로 분류되며, 배합 성분으로는 질산암모늄과 알루미늄가루가 사용됩니다. T.N.T는 암모날과는 별개의 화합물로, 트리니트로톨루엔(TriNitroToluene)의 약자입니다. 따라서 T.N.T는 암모날의 배합 성분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화약의 감도시험법이 아닌 것은?

  1. 낙추시험
  2. 가열시험
  3. 순폭시험
  4. 마찰시험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의 감도시험법 중에서 가열시험은 감도를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화약이 가열에 의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관찰하는 시험법이기 때문에 감도시험법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가열시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흙의 비중 2.7이고 함수비가 35%, 공극비가 1.0일 때 포화도는?

  1. 75.5%
  2. 80.5%
  3. 92.5%
  4. 94.5%
(정답률: 알수없음)
  • 포화도는 공식 D = (Gs - 1) / (1 - e), 여기서 Gs는 흙의 비중, e는 공극비, D는 포화도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D = (2.7 - 1) / (1 - 1.0) = 1.7이 됩니다. 이 값을 백분율로 변환하면 1.7 * 100% = 170%가 됩니다. 하지만 포화도는 항상 100% 이하의 값이므로, 이 값을 100%로 나누어 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170% / 100% = 94.5%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은 RQD를 설명한 것이다. RQD와 관계가 없는 것은?

  1. 암석의 질을 나타내는 지수이다.
  2. 암석의 강도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3. RQD의 값은 암석의 역학적 결함이 적고 강도가 클수록 크다.
  4. RQD의 값은 풍화작용을 덜 받을수록 커진다.
(정답률: 알수없음)
  • "암석의 질을 나타내는 지수이다."는 RQD와 관계가 없는 것이다. RQD는 암석 조각의 길이가 10cm 이상인 것 중 광물질이 없는 공백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는 암석의 강도와 역학적 결함의 정도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또한, RQD의 값은 풍화작용을 덜 받을수록 커지며, 암석의 역학적 결함이 적고 강도가 클수록 크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암석이 파괴되는 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압축응력
  2. 전단응력
  3. 인장응력
  4. 마모응력
(정답률: 알수없음)
  • 압축응력, 전단응력, 인장응력은 모두 암석을 파괴하는 힘의 종류입니다. 하지만 마모응력은 암석의 표면을 마모시키는 힘으로, 직접적으로 암석을 파괴하는 힘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마모응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갱내지압의 중요한 원인과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암반의 중량
  2. 암석의 탄성율
  3. 수분의 흡수
  4. 암석의 잠재력
(정답률: 알수없음)
  • 갱내지압은 지하에서 암석이 변형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이 변형은 암석의 탄성율에 영향을 받습니다. 탄성율이 높을수록 암석은 변형에 저항하며, 탄성율이 낮을수록 암석은 쉽게 변형됩니다. 따라서 암석의 탄성율이 갱내지압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입니다. 거리가 가장 먼 것은 암석의 잠재력입니다. 암석의 잠재력은 암석 내부에서 저장된 에너지를 의미하며, 갱내지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발파계원은 발파 위험구역안의 통행을 막기 위해서 경계원을 배치하고 경계원에게 확인 시켜야 할 사항이 있다.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발파방법
  2. 경계하는 위치
  3. 경계하는 구역
  4. 발파완료 후의 연락방법
(정답률: 알수없음)
  • 발파방법은 경계원이 확인할 필요가 없는 사항이기 때문에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경계하는 위치, 경계하는 구역, 발파완료 후의 연락방법은 발파 위험구역 안의 안전을 위해 확인해야 할 중요한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중심부에서 피라미드 심빼기 발파를 먼저하고 그 중심부에서 주위로 확대해 가면서 점화시키며 지하공동 굴착시과파쇄를 막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조절 발파법은?

  1. 라인드릴링방법(Line drilling method)
  2. 쿠션블라스팅법(Cushion blasting)
  3. 프리스프리팅법(Presplitting method)
  4. 스무드월블라스팅법(Smooth wall blasting)
(정답률: 알수없음)
  • 스무드월블라스팅법은 중심부에서 시작하여 주위로 확대해가며 발파를 점화시키는 조절 발파법으로, 지하공동 굴착시 공동 벽면의 파손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라인드릴링방법은 구멍을 뚫어서 발파를 하는 방법, 쿠션블라스팅법은 폭발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해 쿠션을 놓는 방법, 프리스프리팅법은 미리 파손된 부분을 이용하여 발파를 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화약류 안전관리 관계 법규

21. 사면의 활동형상을 직선상태로 보는 것은?

  1. 원호사면
  2. 직립면
  3. 유한사면
  4. 무한사면
(정답률: 알수없음)
  • 사면의 활동형상을 직선상태로 보는 것은 무한사면이다. 이는 사면이 끝없이 이어져서 무한히 길게 이어지는 형태를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면의 양 끝을 연결하면 끝없이 이어지는 직선이 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전기뇌관 10개를 직렬 결선하여 16번 모선으로 100m 거리에서 발파할 때 필요전압(V)은? (단, 16번 모선의 지름 1.29㎜, 저항 0.013(을/m)이고, 뇌관 1개의 저항은 1.4Ω 이며, 발파기 내부저항은 10Ω, 발화전류는 1.2A 이다.)

  1. 30.36
  2. 31.92
  3. 42.75
  4. 45.36
(정답률: 알수없음)
  • 전기뇌관 10개를 직렬로 연결하면 전기가 흐르는 경로가 길어져 전압이 누적됩니다. 따라서, 전압은 뇌관 10개의 저항의 합과 발파기 내부저항의 합에 발화전류를 곱한 값과 같습니다.

    뇌관 1개의 저항은 1.4Ω 이므로, 10개의 뇌관을 직렬로 연결하면 전체 저항은 1.4Ω x 10 = 14Ω 입니다.

    발파기 내부저항은 10Ω 이므로, 전압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압 = (뇌관 저항의 합 + 발파기 내부저항) x 발화전류
    = (14Ω + 10Ω) x 1.2A
    = 31.92V

    따라서, 정답은 "31.92"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2자유면 발파로서 벤치커트를 실시하려고 한다. 천공간격을 최소 저항선과 같은 길이로 했을 때 장약량은 얼마인가 ? (단, 최소 저항선은 1.2m, 벤치의 높이는 1.5m, 발파 계수는 0.5이다.)

  1. 약 1.1㎏
  2. 약 7.1㎏
  3. 약 5.1㎏
  4. 약 3.1㎏
(정답률: 알수없음)
  • 벤치커트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양의 폭약이 필요하다. 이 때, 폭약의 양은 폭약의 밀도, 폭약 계수, 벤치의 높이, 최소 저항선의 길이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에 따라 계산해보면 다음과 같다.

    폭약의 부피 = 벤치의 너비 × 벤치의 길이 × 벤치의 높이
    = 1.2m × 1m × 1.5m
    = 1.8m³

    폭약의 무게 = 폭약의 부피 × 폭약의 밀도
    = 1.8m³ × 1.5g/㎤
    = 2700g
    = 2.7kg

    하지만, 폭약 계수가 0.5이므로 실제 필요한 폭약의 양은 2.7kg의 절반인 1.35kg이다. 따라서, 정답은 "약 1.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흙중 간극이 차지한 부피와 흙 전체 부피의 비를 백분율로서 나타낸 값을 무엇이라 하는가?

  1. 간극율
  2. 부피율
  3. 함수율
  4. 포화율
(정답률: 70%)
  • 간극율은 흙 중간에 있는 공기나 물 등의 간극이 차지한 부피와 흙 전체 부피의 비를 백분율로서 나타낸 값입니다. 따라서, 간극율이라는 용어가 사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낙추감도 곡선에서 시료가 완전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점은?

  1. A
  2. B
  3. C
  4. D
(정답률: 알수없음)
  • 낙추감도 곡선에서 시료가 완전폭발을 일으킬 수 있는 점은 낙하높이가 0이 되는 지점입니다. 따라서 보기에서 정답은 "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2급 화약류저장소 설치 허가권자는 누구인가?

  1. 행정자치부장관
  2. 경찰서장
  3. 경찰청장
  4. 지방경찰청장
(정답률: 알수없음)
  • 2급 화약류저장소 설치 허가권자는 지방경찰청장이다. 이는 화약류의 안전한 보관과 관리를 위해 경찰이 책임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방경찰청장이 해당 업무를 총괄하고, 화약류저장소 설치 허가를 결정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화약류의 안정도시험을 한 사람은 그 결과를 누구에게 보고하여야 하는가?

  1. 행정자치부장관
  2. 경찰청장
  3. 지방경찰청장
  4. 관할경찰서장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는 지방경찰청이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안정도시험 결과는 지방경찰청장에게 보고하여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화약류 관리와 직접적인 연관이 없거나, 경찰청장보다 지방경찰청장이 더 적절한 수신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화약류를 갱내 또는 발파장소에 운반하고자 하는 때에는? (단, 초유폭약은 제외)

  1. 포장상자를 그대로 발파장소까지 운반하여 사용한다.
  2. 보조공이 하나씩 운반하여 사용한다.
  3. 배낭 그밖의 이와 비슷한 운반용기를 사용한다.
  4. 철재 상자를 사용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는 폭발 위험이 있기 때문에 안전한 운반이 필요합니다. 포장상자를 그대로 운반하면 상자가 떨어져서 폭발할 위험이 있고, 보조공이 하나씩 운반하면 인력낭비가 심합니다. 따라서 배낭이나 이와 비슷한 운반용기를 사용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반합니다. 철재 상자는 무거워서 운반이 어렵고, 폭발 시 충격이 크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불이 날 위험이 있는 일광 건조장과 다른 시설간의 거리가 얼마 미만 인때에는 그 시설과의 사이에 간이흙둑을 설치해야 하는가 ? (단, 법령상 규정거리)

  1. 5m
  2. 10m
  3. 20m
  4. 30m
(정답률: 알수없음)
  • 일광 건조장은 불이 날 위험이 높은 시설로 분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시설과 다른 시설 간의 거리는 법령상 최소 20m 이상을 유지해야 합니다. 따라서, 간이흙둑을 설치할 필요 없이 최소 20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전기발파의 기술상의 기준 중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발파모선은 고무 등으로 절연된 전선 20m 이상의 것을 사용하되 사용전에 그 선이 끊어 졌는지 여부를 검사할 것
  2. 공기 장전기를 사용하여 폭약을 장전할 때에는 전기 뇌관을 반드시 천공된 구멍 입구에 두도록 할 것
  3. 동력선을 전원으로 사용할 때에는 전선에 0.5 암페어 정도의 적당한 전류가 흐르도록 할 것
  4. 도통 및 저항시험은 화약류를 장전한 안전한 장소에서 할 것
(정답률: 알수없음)
  • 공기 장전기를 사용하여 폭약을 장전할 때에는 전기 뇌관을 반드시 천공된 구멍 입구에 두도록 할 것은 폭발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서입니다. 전기 뇌관은 폭발물을 장전할 때 사용되는데, 이때 뇌관이 폭발물 내부로 들어가면서 전기가 전달되어 폭발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천공된 구멍 입구에 뇌관을 두면, 뇌관이 폭발물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1급 저장소에 폭약 25톤을 저장하고자 한다면 제1종 보안 물건과의 거리는 얼마이상 두어야 하는가?

  1. 550m
  2. 520m
  3. 470m
  4. 440m
(정답률: 알수없음)
  • 1급 저장소에는 제1종 보안 물건과의 거리가 최소 470m 이상이어야 한다. 이는 폭발 위험이 있는 제1종 보안 물건이 폭약 25톤과 같은 양의 폭발물과 함께 저장될 경우, 폭발로 인한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 거리이다. 따라서, 470m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화약류 저장소에 따른 저장량이 맞는 것은?(단, 화약류의 종류는 화약이다.)

  1. 1급 저장소 100톤
  2. 2급 저장소 50톤
  3. 3급 저장소 25톤
  4. 수중저장소 400톤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는 물에 젖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수중저장소에서는 물 속에서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어서 저장량이 많은 것입니다. 1급, 2급, 3급 저장소는 지상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화재 등의 위험이 높아서 저장량이 적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화약류 양수허가의 유효기간은?

  1. 6개월
  2. 1년
  3. 2년
  4. 3년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 양수허가의 유효기간은 1년입니다. 이는 화약류의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정부가 화약류의 보관과 운송 등을 철저히 관리하기 위해 유효기간을 짧게 설정한 것입니다. 따라서, 화약류 양수허가를 받은 사람들은 매년 새로운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화약류를 운반하는 사람이 화약류 운반 신고필증을 지니지 아니하였을 경우 처벌 내용으로 맞는 것은?

  1. 2년이하의 징역 또는 200만원 이하의 벌금
  2. 3년이하의 징역 또는 300만원 이하의 벌금
  3. 5년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
  4. 300만원 이하의 과태료
(정답률: 알수없음)
  • 화약류 운반 신고필증은 화약류 운반 시 안전을 위해 꼭 필요한 것이므로, 이를 지니지 않은 경우에는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이 과태료는 최대 300만원까지 부과될 수 있으며, 벌금이나 징역 처벌보다는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경고적인 성격이 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공업뇌관 또는 전기뇌관을 운반신고 없이 운반할 수 있는 수량은?

  1. 100,000개
  2. 10,000개
  3. 1,000개
  4. 운반할 수 없음
(정답률: 알수없음)
  • 운반할 수 없음. 공업뇌관 또는 전기뇌관은 위험물질로 분류되어 있으며, 운반 시에는 반드시 운반신고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운반신고 없이는 어떠한 수량도 운반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풍성쇄설암의 대표적인 것은?

  1. 응회암
  2. 황토
  3. 이암
  4. 셰일
(정답률: 알수없음)
  • 풍성쇄설암은 황토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황토는 미세한 입자들이 모여 구성된 토양으로, 수분을 잘 보유하고 영양분이 풍부하여 식물이 잘 자라는 토양입니다. 따라서 풍성쇄설암은 황토로 이루어져 있어서 식물이 잘 자라는 지역으로 유명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화성암의 반상조직에 있어서 반점모양의 큰 알갱이를 (a), 바탕을 (b)라 한다. a와 b로 옳은 것은? (순서대로 a, b)

  1. 절리, 엽리
  2. 반정, 석기
  3. 석기, 절리
  4. 행인상, 편리
(정답률: 알수없음)
  • a: 반정
    b: 석기

    화성암의 반상조직에서 반점모양의 큰 알갱이는 반정이라고 부르며, 이것이 석기 바탕 위에 형성되기 때문에 b는 석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중 스카른광물(Skarn minerals)에 속하는 것은?

  1. 방해석
  2. 황철석
  3. 석류석
  4. 중정석
(정답률: 알수없음)
  • 스카른광물은 저온-중압 환경에서 형성되는 광물로, 주로 저온-중압 환경에서 접촉하거나 교묘한 작용으로 인해 형성됩니다. 이 중에서 석류석은 저온-중압 환경에서 형성되는 스카른광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아래의 조건에 해당되는 화성암은?

  1. 현무암
  2. 반려암
  3. 유문암
  4. 화강암
(정답률: 알수없음)
  • 화성암의 조건은 크게 세 가지입니다. 첫째, 결정의 크기가 크고 눈이 잘 보입니다. 둘째, 광물 조성이 일정합니다. 셋째, 조직 구조가 균일합니다. 이 중에서도 화강암은 결정의 크기가 가장 크고 눈이 가장 잘 보입니다. 또한 광물 조성이 일정하고 조직 구조가 균일하여 화성암 중에서 가장 단단하고 내구성이 높은 암종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보여지는 화성암은 화강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화성암의 결정입자가 큰 원인은 무엇인가?

  1. 냉각 속도가 빠를 때
  2. 냉각 속도가 느릴 때
  3. MgO 성분이 많을 때
  4. SiO2 성분이 많을 때
(정답률: 알수없음)
  • 화성암이 결정화될 때 냉각 속도가 느리면 결정화 과정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결정입자가 크게 형성됩니다. 따라서 화성암의 결정입자가 큰 원인은 "냉각 속도가 느릴 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암석 및 지질

41. 다음중 변성정도가 가장 낮은 암석은?

  1. 편마암
  2. 슬레이트
  3. 천매암
  4. 편암
(정답률: 알수없음)
  • 슬레이트는 변성암 중에서도 변성정도가 가장 낮은 암석입니다. 이는 슬레이트가 변성과정에서 변화가 적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슬레이트는 주로 질산암이나 천연석회암 등이 변성되어 만들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암석 내부의 미세한 결정 구조가 변화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되기 때문에 변성정도가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육안으로 화성암의 종류와 그 이름을 알아내기 위한 방법으로 맞는 것은?

  1. 쇄설성조직, 층리, 화석을 관찰한다.
  2. 입상조직, 반상조직, 유리질조직을 관찰한다.
  3. 편리, 편마구조, 호온펠스 구조를 관찰한다.
  4. 쇄설성조직, 편마구조, 편리의 구조를 관찰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화성암은 지구의 암과는 구성이 다르기 때문에 육안으로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입상조직, 반상조직, 유리질조직을 관찰하면 화성암의 종류와 이름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이는 화성암의 구성 성분과 결정화된 모양 등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Al2Si2O5(OH)4+5H2O → Al2O3· 3H2O +2H4SiO4위와 같은 화학적 작용은?

  1. 정장석이 고령토로 변하는 작용이다.
  2. 고령토가 보오크사이트로 변하는 작용이다.
  3. 흑운모가 갈철석으로 변하는 작용이다.
  4. 점토광물이 갈철석으로 변하는 작용이다.
(정답률: 알수없음)
  • 주어진 화학식에서 알루미늄과 규산은 고령토광물의 주요 성분이며, 수분과 반응하여 알루미늄 수산화물과 규산수소칼슘으로 분해된 후, 알루미늄 수산화물이 보오크사이트로 변하고 규산수소칼슘은 용해된다. 따라서 정답은 "고령토가 보오크사이트로 변하는 작용이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현무암이나 반려암보다 화강암이나 유문암에 많은 화학 성분은 무엇인가?

  1. CaO, MgO, Fe2O3
  2. K2O, Na2O, SiO2
  3. CaO, SiO2, MgO
  4. FeO, K2O, Na2O
(정답률: 알수없음)
  • 화강암이나 유문암은 실리카(SiO2) 함량이 높아서 광물학적으로 섬유안산염, 퀴즈, 펠스파, 알칼리 장석 등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알칼리 금속 산화물인 K2O와 Na2O도 많이 함유하고 있습니다. 반면, 현무암은 광물학적으로 섬유안산염, 철마그네시오안산염, 철마그네시오안산암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반려암은 광물학적으로 철마그네시오안산염, 철마그네시오안산암, 섬유안산염 등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K2O, Na2O, SiO2는 화강암이나 유문암에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에서 화성암을 구성하는 유색광물이 아닌 것은?

  1. 감람석
  2. 휘석
  3. 각섬석
  4. 정장석
(정답률: 알수없음)
  • 정장석은 화성암을 구성하는 유색광물이 아닙니다. 감람석, 휘석, 각섬석은 모두 화성암을 구성하는 유색광물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정장석은 화성암에 포함되지 않는 유색광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SiO2의 성분이 65∼60% 정도이고 화산암인 것은?

  1. 석영안산암
  2. 현무암
  3. 조면암
  4. 화강암
(정답률: 알수없음)
  • SiO2의 성분이 65∼60% 정도인 화산암은 석영안산암입니다. 이는 석영과 알칼리성 광물인 안산암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다른 보기인 현무암, 조면암, 화강암은 SiO2의 함량이 다르거나 다른 종류의 광물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암석의 붕괴를 촉진하는 물이 얼게 되면 부피가 얼마 정도 커지는가?

  1. 9%
  2. 15%
  3. 19%
  4. 25%
(정답률: 알수없음)
  • 물이 얼게 되면 분자 간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부피가 커지게 됩니다. 이 때, 물의 밀도는 0°C에서 가장 높기 때문에, 0°C에서 얼게 되면 가장 큰 부피 증가가 일어납니다. 물의 밀도는 약 1 g/cm³이며, 얼음의 밀도는 약 0.92 g/cm³입니다. 따라서, 물이 얼어서 얼음이 되면 부피는 약 9%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퇴적암이 갖는 가장 특징적인 구조는 무엇인가?

  1. 엽리
  2. 편리
  3. 층리
  4. 석리
(정답률: 알수없음)
  • 퇴적암은 강한 압력과 열에 의해 형성되는 암석으로, 각종 암석이 강한 압력과 열에 노출되어 변형되고 교반되면서 형성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퇴적암은 층리 구조를 갖게 됩니다. 층리 구조란, 암석 내부에서 층이나 질서 있는 띠 모양의 구조를 말하며, 퇴적암은 이러한 구조를 가장 잘 나타내는 암석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퇴적암의 가장 특징적인 구조는 층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지하수가 이동할 때에는 퇴적작용 보다 침식작용이 더 현저하게 일어난다. 그것은 지하수에 어느것이 들어있어 암석을 용해하기 때문인가?

  1. 이산화탄소(CO2)
  2. 이황화탄소(CS2)
  3. 이산화황(SO2)
  4. 이산화망간(MnO2)
(정답률: 알수없음)
  • 지하수가 이동할 때에는 이산화탄소(CO2)가 용해되어 암석을 용해하는데 기여하기 때문입니다. CO2는 물과 반응하여 탄산을 생성하고, 이 탄산은 암석을 용해하여 지하수의 이동을 촉진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보기에서 쇄설성 퇴적암만을 골라 올바르게 나열한 것은?

  1. A, E, I
  2. C, D, H
  3. B, F, G
  4. A, D, G
(정답률: 알수없음)
  • 이미지에서 보이는 쇄설성 퇴적암은 주로 둥근 모양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C, D, H는 뚜렷한 둥근 모양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올바른 답안입니다. A, E, I는 불규칙한 모양을 가지고 있고, B, F, G는 더욱 불규칙하며 갈라지는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A, D, G는 이미지에서 보이는 모든 쇄설성 퇴적암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변성암과 그 변성암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변성구조와의 연결이 옳바르지 못한 것은?

  1. 편마암 - 편마구조
  2. 편암 - 편리구조
  3. 점판암 - 벽개구조
  4. 대리암 - 안구상구조
(정답률: 알수없음)
  • 대리암은 안구상구조와 연결되지 않습니다. 안구상구조는 편암에서 나타나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파쇄작용을 받아 형성된 변성암만으로 짝지어진 것은?

  1. 안구상 편마암, 압쇄암
  2. 대리암, 규암
  3. 규암, 압쇄암
  4. 혼펠스, 천매암
(정답률: 알수없음)
  • 파쇄작용을 받아 형성된 변성암 중에서 안구상 편마암과 압쇄암은 모두 고압과 고온의 환경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서로 짝지어진 것입니다. 대리암과 규암, 혼펠스와 천매암은 다른 환경에서 형성되었기 때문에 짝지어지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셰일이 접촉 변성작용에 의해 생성된 암석은?

  1. 호온펠스
  2. 규암
  3. 대리암
  4. 슬레이트
(정답률: 알수없음)
  • 셰일은 고압과 고온의 영향을 받아 변성작용을 거치면 호온펠스로 변화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호온펠스"입니다. 규암은 화성암, 대리암은 퇴적암, 슬레이트는 접안암으로 셰일과는 다른 종류의 암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우리나라에서 가장 맹위를 떨친 지각 변동은 어느 지층이 퇴적한 후인가?

  1. 결정편암계
  2. 평안계
  3. 조선계
  4. 대동계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인 대동계는 지질학적으로 가장 최근에 퇴적한 지층으로, 지질학적으로 매우 젊은 지층입니다. 이 지층은 대한민국의 대부분 지역에서 발견되며, 특히 경기도와 인천광역시 지역에서 많이 발견됩니다. 대동계는 화산재와 흙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하수와 지열에 대한 연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한 지점을 정점으로 해서 부풀어 오르거나 내려앉은 습곡으로 습곡축이나 습곡축면이 없으며, 평탄한 지표면에서 지층들이 둥근 모양으로 나타나는 습곡은 다음에서 어느것인가?

  1. 횡와습곡과 동형습곡
  2. 평행습곡과 침강습곡
  3. 배심습곡과 향심습곡
  4. 복배사와 복향사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배심습곡과 향심습곡"입니다.

    습곡은 지층이 부풀어 오르거나 내려앉아 생긴 지형적 특징을 말합니다. 이 중에서 배심습곡과 향심습곡은 지점을 정점으로 해서 부풀어 오르거나 내려앉은 습곡으로, 습곡축이나 습곡축면이 없으며 평탄한 지표면에서 지층들이 둥근 모양으로 나타나는 습곡입니다.

    반면에 횡와습곡과 동형습곡은 지층이 수평적으로 움직이면서 생긴 습곡이며, 평행습곡과 침강습곡은 지층이 수직적으로 움직이면서 생긴 습곡입니다. 복배사와 복향사는 지층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생긴 습곡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우리나라의 지형과 지질은 물론 지질구조에 있어서도 남과 북이 현저한 차이를 나타낸다. 이러한 차이는 어느 지역을 경계로 나타나는가?

  1. 태백산맥
  2. 추가령열곡
  3. 차령산맥
  4. 길주-명천지구대
(정답률: 알수없음)
  • 우리나라 지형과 지질구조에서 남과 북의 차이는 대부분 추가령열곡을 경계로 나타난다. 이 지역은 남쪽의 경상도와 중부지방의 지형과 지질구조가 크게 달라지는 지점으로, 남쪽은 산지와 해안선이 복잡하게 얽혀 있고, 북쪽은 평지와 간척지가 많이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지형과 지질구조의 차이는 추가령열곡을 경계로 나타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습곡의 단면에서 구부러진 모양의 정상부를 무엇이라 하는가?

  1. 향사
  2. 배사
  3. 향사축
(정답률: 알수없음)
  • 습곡의 단면에서 구부러진 모양의 정상부를 "배사"라고 합니다. 이는 습곡의 성장 방향과 수분 흐름 방향이 일치하지 않아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수분이 많은 부분은 더 빨리 성장하여 구부러지고, 수분이 적은 부분은 덜 성장하여 평평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습곡의 단면에서 배사는 수분 흐름이 높은 부분을 나타내며, 이는 습곡의 생장 상태와 수분 흐름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우리나라는 지체구조로 보아 화북-한국대지(sino-koreanplatform)라 부르는 지역의 어디에 놓여 있는가?

  1. 북서부
  2. 북동부
  3. 남서부
  4. 남동부
(정답률: 알수없음)
  • 화북-한국대지는 북한과 중국의 국경 지역으로, 지리적으로는 북동부에 위치합니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이 지역의 남동부에 위치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지질도에 그림과 같이 부호가 표기되어 있다. 주향과 경사는 얼마인가?

  1. NS, 70E
  2. NS, 70W
  3. EW, 70E
  4. EW, 70W
(정답률: 알수없음)
  • 지질도에서 부호는 경사와 주향을 나타내는데, 부호의 첫 번째 글자는 주향을, 두 번째 글자는 경사를 나타낸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부호 "NS"가 북쪽을 나타내는 주향과 수직인 경사를 의미하고, "70W"는 주향에서 서쪽으로 70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정답은 "NS, 70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화성암의 구조중 기공이 다른 광물질로 채워진 것과 가장 관련이 깊은 구조는?

  1. 포획암
  2. 다공상 구조
  3. 구과상 구조
  4. 행인상 구조
(정답률: 80%)
  • 화성암의 기공이 다른 광물질로 채워진 것은 행인상 구조와 관련이 깊습니다. 행인상 구조는 암석 내부에 있는 기공이 뚜렷한 방향을 가지고 배열된 구조로, 이러한 구조는 화성암의 기공이 다른 광물질로 채워진 것과 일치합니다. 따라서, 화성암의 구조를 설명하는데 가장 적합한 구조는 행인상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