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화장치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3-07-21)

양화장치운전기능사
(2013-07-21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다음에서 크레인의 주행 장치와 가장 관계가 없는 것은?

  1. 레일 클램프
  2. 타이다운 장치
  3. 횡행로프 긴장장치
  4. 앵커 및 소켓 장치
(정답률: 60%)
  • 크레인의 주행 장치는 레일 클램프, 타이다운 장치, 앵커 및 소켓 장치와 관련이 있지만, 횡행로프 긴장장치는 크레인의 주행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부속품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화물선의 탱크(Tank) 공선 운항 시에 선박의 감항성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주로 사용하는 탱크는?

  1. 연료탱크(Fuel Oil Tank)
  2. 청수 탱크(Water Tank)
  3. 빌지 탱크(Bilge Tank)
  4. 밸러스트 탱크(Ballast Tank)
(정답률: 90%)
  • 밸러스트 탱크는 선박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탱크로, 빈 탱크에 물을 채워 선박의 중심을 낮추거나 높여 안정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화물선의 탱크 공선 운항 시에도 밸러스트 탱크를 사용하여 선박의 감항성을 유지시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유압구동 윈치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한랭한 곳 또는 더운 곳에서는 기름의 점도를 맞추어야 한다.
  2. 화기가 금지된 장소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3. 무리한 하중이나 충격이 흡수된다.
  4. 속도변경이 원활하고 진동이나 소음이 없다.
(정답률: 55%)
  • 유압구동 윈치의 장점으로 볼 수 없는 것은 "한랭한 곳 또는 더운 곳에서는 기름의 점도를 맞추어야 한다." 이유는 기계가 작동하는 온도에 따라 기름의 점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온도에 따라 기름의 점도를 맞추어야만 윈치가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윈치의 장점이 아니라 유지보수나 조작 시 고려해야 할 사항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지게차에서 표준 작업이 어려운 높은 위치의 작업에 적합하고 저장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으며 포크의 상승이 신속한 지게차는?

  1. 트레플 스테이지 마스트(Tripler Stage Mast)
  2. 하이 마스트(High Mast)
  3. 사이드 시프트 크램프(Side Shift Clamp)
  4. 롤 크램프 암(Roll Clamp With Long Arm)
(정답률: 85%)
  • 하이 마스트는 높은 위치의 작업에 적합하고 저장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으며 포크의 상승이 신속한 지게차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내연기관 윈치의 동작 설명 중 잘못된 것은?

  1. 부하시험 중에는 클러치를 갑자기 넣어도 상관없다.
  2. 기관이 정지 되었을 때 브레이크를 건다.
  3. 작업이 끝났을 때 조작 레버를 중립의 위치에 놓는다.
  4. 부하시험을 하면서 기관의 양ㆍ부를 확인한다.
(정답률: 90%)
  • "부하시험 중에는 클러치를 갑자기 넣어도 상관없다."는 잘못된 설명입니다. 부하시험 중에도 클러치를 갑자기 넣으면 기계에 부하가 가해져서 손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클러치를 넣을 때는 부드럽게 넣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데릭형 양화장치의 구조에서 토핑리프트(Topping Lift)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붐을 고정시키는 줄이다.
  2. 붐의 기울기(양각)를 조절한다.
  3. 스링을 걸기 위한 것이다.
  4. 붐을 지지하는 지주이다.
(정답률: 85%)
  • 토핑리프트(Topping Lift)는 붐을 지지하는 줄 중 하나이며, 붐의 기울기(양각)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붐의 양각을 조절함으로써 돛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선체와 바람의 각도에 따라서 필요한 조절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붐의 기울기(양각)를 조절한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유니언 퍼쳐스식에서 붐의 상하 이동방법이 아닌 것은?

  1. 프리벤트 가이에 의한 방법
  2. 리프트 체인에 의한 방법
  3. 토핑 유니트에 의한 방법
  4. 체인 스토퍼에 의한 방법
(정답률: 74%)
  • 유니언 퍼쳐스식에서 붐의 상하 이동은 리프트 체인, 토핑 유니트, 체인 스토퍼 등의 장치를 이용하여 이루어집니다. 하지만 프리벤트 가이는 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하 이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프리벤트 가이에 의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주행 크레인의 주행 장치와 연계되어 있는 안전장치는?

  1. 횡행로프 긴장장치
  2. 붐 래치장치
  3. 레일 클램프
  4. 붐 기복장치
(정답률: 84%)
  • 주행 크레인은 레일 위에서 이동하며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 때, 주행 장치와 연계되어 있는 안전장치는 레일 클램프입니다. 레일 클램프는 크레인의 주행 장치와 레일을 강하게 결합시켜서 크레인이 레일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보호합니다. 따라서 레일 클램프는 주행 중 크레인의 안전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교형 주행 크레인 형식의 양화장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현측에 2개의 레일을 깔고, 그 위에 육상의 교형 크레인과 같은 것을 올려 놓은 형식이다.
  2. 해치의 적당한 위치로 이동(주행)되므로 소수의 크레인으로 하역이 가능하다.
  3. 크레인의 거더(혹은 붐)는 양현으로 항상 돌출되어 있다.
  4. 권상과 횡행 리미트 스위치, 주행 스톱퍼, 레일 클램프 등의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정답률: 74%)
  • "크레인의 거더(혹은 붐)는 양현으로 항상 돌출되어 있다."가 틀린 것은 아닙니다.

    교형 주행 크레인 형식의 양화장치는 현측에 2개의 레일을 깔고, 그 위에 육상의 교형 크레인과 같은 것을 올려 놓은 형식입니다. 이 장치는 해치의 적당한 위치로 이동(주행)되므로 소수의 크레인으로 하역이 가능하며, 권상과 횡행 리미트 스위치, 주행 스톱퍼, 레일 클램프 등의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습니다.

    크레인의 거더(혹은 붐)는 양현으로 항상 돌출되어 있다는 것은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는 크레인이 해치로 이동할 때, 거더가 양현으로 돌출되어 해치 위로 물건을 옮길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전기 윈치를 조작할 때의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1. 모터용 공기 출입구는 제어용 전원스위치를 넣기 전에 연다.
  2. 무거운 화물을 매달 때에는 핸들을 급속히 놓은 단으로 넣는다.
  3. 제어용 전원스위치를 넣을 때 핸들을 반드시 1단으로 두어야 한다.
  4. 핸들을 중립으로 하여도 완전히 정지하지 않을 때에는 올림위치로 두어야 한다.
(정답률: 78%)
  • 전기 윈치를 조작할 때 모터용 공기 출입구는 제어용 전원스위치를 넣기 전에 연결해야 합니다. 이는 전원이 공급되기 전에 공기가 모터에 충분히 공급되어 모터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교행 주행크레인으로 작업 시 주의사항으로서 옳은 것은?

  1. 작업 시에는 주행 스토퍼를 해제하여야 한다.
  2. 이동 거더가 횡행할 때 선체가 기울어지는 경우를 주의하여야 한다.
  3. 감아올리기와 횡행에는 리미트 스위치가 없으므로 화물을 최대로 올려야 한다.
  4. 속도조절은 스톱밸브의 가감으로 조절한다.
(정답률: 77%)
  • 이동 거더가 횡행할 때 선체가 기울어지는 경우를 주의하여야 한다. 이는 크레인이 이동 중에 불균형하게 무게를 분산시키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업 시에는 크레인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이러한 상황을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의 양화장치 중 매단 화물을 전후로 움직이면서 하역을 할 수 없는 것은?

  1. 헤비 데릭
  2. 유니언 퍼쳐스식 데릭
  3. 싱글 데릭
  4. 지브 크레인
(정답률: 79%)
  • 유니언 퍼쳐스식 데릭은 매단 화물을 전후로 움직이면서 하역을 할 수 없습니다. 이는 유니언 퍼쳐스식 데릭이 매단 화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 화물과 함께 움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유니언 퍼쳐스식 데릭은 화물을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는 정지한 상태에서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지브 크레인의 붐에 “SWL 40T 24M 25°”라고 쓰여 있을 때 “40T”가 의미하는 것은?

  1. 지브하중
  2. 제한하중
  3. 차륜(Wheel)하중
  4. 훅(Hook)하중
(정답률: 94%)
  • "40T"는 지브 크레인의 제한하중을 나타냅니다. 제한하중은 크레인이 안전하게 들어올릴 수 있는 최대 중량을 의미하며, 이를 초과하면 크레인이 무너지거나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한하중은 크레인 작업 시 꼭 지켜야 하는 중요한 사항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지브 크레인 작업 중 오른쪽 방향으로 선회할 때의 신호법은?

  1. 오른 손목을 가볍게 흔든다.
  2. 오른팔을 올려서 수평으로 하고 인지로 방향(오른쪽)을 가리킨다.
  3. 왼팔을 올려서 수평으로 하고 인지로 방향(오른쪽)을 가리킨다.
  4. 왼손의 엄지를 펴고 흔든다.
(정답률: 84%)
  • 지브 크레인은 작업 중에 시야가 제한되기 때문에, 작업자들은 손짓이나 신호를 통해 통신합니다. 오른쪽 방향으로 선회할 때는 왼팔을 올려서 수평으로 하고 인지로 방향(오른쪽)을 가리키는 것이 신호법입니다. 이는 작업자들이 서로 이해하기 쉽고 명확한 신호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양화장치의 운전 중 주의사항으로 옳은 것은?

  1. 운전자는 안전모를 쓰지 않는다.
  2. 운전 중에 리미트 스위치를 바이패스(By-pass) 시켜 놓는다.
  3. 양화장치에 설치되어 있는 카고 풀 등은 임의 변경이 가능하다.
  4. 신호수 이외의 자가 양화장치의 급정지 신호를 했을 경우에도 이를 확인 즉시 정지시켜야 한다.
(정답률: 90%)
  • 양화장치는 화물을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한 장치이므로, 급정지 신호가 발생하면 즉시 정지해야 합니다. 이는 화물이나 운전자, 주변인들의 안전을 위해서이며, 신호수 이외의 자가 급정지 신호를 했을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운전자는 신호수 이외의 자가 급정지 신호를 했을 경우에도 이를 확인하고 즉시 정지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양화장치 운전자의 좌측 윈치는 감아올리고 우측 윈치는 풀어 내릴 때의 신호는?

  1. 신호수의 왼손을 아래로 향하여 손목을 흔들고, 오른손을 위호 향하게 하여 흔든다.
  2. 신호수의 오른손을 아래로 향하여 손목을 흔들고, 왼손을 위호 향하게 하여 흔든다.
  3. 신호수의 왼손을 아래로 향하여 주먹을 쥐고, 오른손을 위호 향하게 하여 손을 쭉 편다.
  4. 신호수의 왼손을 아래로 향하여 손목을 흔들고, 오른손도 아래로 향하게 하여 손목을 흔든다.
(정답률: 54%)
  • 양화장치의 좌측 윈치는 감아올리는 것이므로, 신호수는 왼손을 아래로 향하여 손목을 흔들어 윈치를 조작하는 동작을 보여줍니다. 반대로 우측 윈치는 풀어 내리는 것이므로, 신호수는 오른손을 위로 향하게 하여 흔들어 윈치를 조작하는 동작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정답은 "신호수의 왼손을 아래로 향하여 손목을 흔들고, 오른손을 위호 향하게 하여 흔든다."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선상의 교형 주행 크레인 메카니즘 중에서 크래브 트롤리 형식일 때 트롤리 프레임(Trolley Frame) 위에 설치되지 않는 장치는?

  1. 트롤리 와이어로프 클램프(Trolley Wire Rope Clamp)
  2. 호이스트 와이어로프 드럼(Hoist Wire Rope Drum)
  3. 트롤리 모터(Trolley Motor)
  4. 트롤리 감속기(Trolley Reducer)
(정답률: 59%)
  • 크래브 트롤리 형식의 선상 교형 주행 크레인에서 트롤리 와이어로프 클램프는 트롤리 와이어로프를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트롤리 프레임 위에 설치되지 않는 장치 중에서 트롤리 와이어로프 클램프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화물을 목적 장소로 운반할 때의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운반경로에는 작업원이나 다른 사람이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2. 일정한 신호를 정확히 한다.
  3. 신호수는 항상 운전자가 잘 보이는 위치에서 신호를 한다.
  4. 신호수가 없을 때는 양화기 운전자가 단독으로 운반한다.
(정답률: 95%)
  • 신호수가 없을 때는 양화기 운전자가 단독으로 운반하지 않는 것이 올바른 주의사항입니다. 이는 안전상의 이유로, 다른 사람이나 작업원이 운반 경로에 들어올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신호수가 없을 때에도 반드시 동승자를 함께 운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데릭 붐의 길이는 앙각을 45°로 했을 때 보통 해치의 어느 지점까지 도달해야 하는가?

  1. 해치길이의 1/3 지점까지
  2. 해치길이의 1/2 지점까지
  3. 해치길이의 2/3 지점까지
  4. 해치길이의 전체까지
(정답률: 79%)
  • 45° 각도는 직각삼각형에서 빗변과 밑변이 같은 경우이므로, 데릭 붐의 길이가 해치길이의 2/3 지점까지 도달하면 빗변과 밑변의 길이가 같아지게 됩니다. 따라서 데릭 붐의 길이가 해치길이의 2/3 지점까지 도달하면, 그 이상으로 더 이동해도 빗변의 길이는 변하지 않으므로 더 이상의 이동은 의미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붐의 앙각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방법은?

  1. 가이를 당겨 고정한다.
  2. 토핑리프트 와이어를 신축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3. 프리벤터 가이를 고정한다.
  4. 데릭 포스트 블록을 고정한다.
(정답률: 77%)
  • 토핑리프트 와이어는 붐의 앙각을 조절하는 중요한 부품 중 하나이다. 이 와이어가 신축되면 붐의 앙각이 변화하여 작업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토핑리프트 와이어를 신축되지 않도록 고정하여 붐의 앙각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트랜스퍼 크레인(Transfer Crane)에서 트롤리(Trolley)의 형태는?

  1. 크레브 트롤리(Crab Trolley)
  2. 와이어 로프 트롤리(Wire Rope Trolley)
  3. 레크 기어 트롤리(Rack Gear Trolley)
  4. 휠 잭 트롤리(Wheel Jack Trolley)
(정답률: 66%)
  • 트랜스퍼 크레인에서 사용되는 트롤리는 크레브 트롤리(Crab Trolley)입니다. 이는 트롤리가 두 개의 크레브(크레인의 수평 이동을 위한 바퀴)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이용하여 크레인의 수평 이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윈치 드럼(Winch Drum)에 와이어로프(Wire Rope)를 전부 감았을 때 양단 귀에 남아야 하는 여유는 로프 지름의 얼마 이상인가?

  1. 2배
  2. 1.5배
  3. 1배
  4. 5배
(정답률: 85%)
  • 정답은 "2배"입니다.

    윈치 드럼에 와이어로프를 감을 때는 와이어로프의 지름과 윈치 드럼의 지름을 고려해야 합니다. 와이어로프가 윈치 드럼에 완전히 감겨야 하기 때문에, 윈치 드럼의 지름보다 와이어로프의 지름이 크면 감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와이어로프의 지름이 윈치 드럼의 지름보다 작아야 하며, 이때 양단 귀에는 일정한 여유가 있어야 합니다. 이 여유는 보통 와이어로프 지름의 2배 정도가 적당합니다.

    이유는 와이어로프가 감길 때 감기는 측면과 반대측면에서 감기는 측면을 지나치게 늘리지 않기 위해서입니다. 이렇게 하면 와이어로프가 더 오래 사용될 수 있으며, 안전성도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부산, 인천, 울산 등 국내 주요 항구에서 선적 및 야적장 창고 등을 하역회사에게 전둉으로 임대해 주고 국내에 입출항하는 선박의 물량을 처리하도록 하는 제도는?

  1. Social Overhead Captial(SOC) 제도
  2. 노조 상용화 제도
  3. Terminal Operation Company(TOC)제도
  4. 한정하역 면허제도
(정답률: 93%)
  • Terminal Operation Company(TOC)제도는 국내 주요 항구에서 하역회사에게 창고와 야적장 등을 임대해주고, 국내 입출항하는 선박의 물량을 처리하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이를 통해 항만 시설의 효율적인 운영과 경제적인 이익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싱글데릭 중 가이리스 하역방식에 속하는 벨레이(Velle)식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구조가 간단하다.
  2. 선회 시 관성이 작다.
  3. 화물 적ㆍ양화시 2본의 카고 폴을 사용한다.
  4. 선체경사가 약 15°정도 되어도 하역이 가능하다.
(정답률: 48%)
  • 화물 적ㆍ양화시 2본의 카고 폴을 사용하는 것은 벨레이식의 특징이 아니라 가이리스 하역방식의 일부분입니다. 벨레이식의 특징은 구조가 간단하고 선회 시 관성이 작으며 선체경사가 약 15°정도 되어도 하역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데릭형 양화장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데릭 포스트는 일반적으로 화물창용 통풍통을 겸한다.
  2. 토핑리프트는 붐의 수평면과의 기울기를 변경할 때 사용한다.
  3. 프리벤터 가이는 싱글데릭에서 붐의 강도 보조용으로 사용한다.
  4. 센터가이에는 그다지 큰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56%)
  • "프리벤터 가이는 싱글데릭에서 붐의 강도 보조용으로 사용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프리벤터 가이는 데릭 포스트와 함께 사용되며, 붐의 강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싱글데릭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광석덩어리, 스크랩(scrap)작업에 적당한 버켓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단색식 버켓
  2. 복색식 버켓
  3. 폴립형 버켓
  4. 크람셀 버켓
(정답률: 76%)
  • 광석덩어리나 스크랩 작업은 크고 무거운 물체를 다루는 작업이므로, 폴립형 버켓이 적합합니다. 폴립형 버켓은 큰 물체를 잡아 당기는 데 효과적이며, 물체를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습니다. 또한, 폴립형 버켓은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물체를 다룰 수 있어 유연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선박설비기준에서 제한하중이 20톤 미만인 하역장치의 하중시험시의 시험하중은?

  1. 제한하중의 1.1배
  2. 제한하중의 1.25배
  3. 제한하중의 1.5배
  4. 제한하중에 5톤을 가한 하중
(정답률: 69%)
  • 선박설비기준에서 제한하중이 20톤 미만인 하역장치의 하중시험시의 시험하중은 "제한하중의 1.25배"입니다. 이는 안전성을 고려한 것입니다. 제한하중 이하의 하중만을 사용하면 시험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제한하중의 1.25배를 시험하중으로 적용하여 안전성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로프의 꼬임 방법에 따른 분류 중 좌측 꼬임의 스트랜드 4가닥을 마심(麻心)의 주위에 우측으로 꼬임한 것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호저 레이드 로프(hawser laid rope)
  2. 시라우드 레이드 로프(shroud laid rope)
  3. 케이블 레이드 로프(cable laid rope)
  4. 워터 레이드 로프(water laid rope)
(정답률: 56%)
  • 시라우드 레이드 로프는 좌측 꼬임의 스트랜드 4가닥을 마심의 주위에 우측으로 꼬임한 것을 말합니다. 이는 선박의 돛대를 지탱하는 시라우드(Shroud)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로프로,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며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인 호저 레이드 로프, 케이블 레이드 로프, 워터 레이드 로프는 각각 다른 꼬임 방법에 따라 분류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러프 태클(luff tackle)은 단활차 1개와 복활차 1개로 구성되며 고정줄은 단활차의 베킷에 잡아맨다. 이 경우 단활차를 이동활차로 하면 배력은 얼마인가?

  1. 2
  2. 3
  3. 4
  4. 5
(정답률: 34%)
  • 러프 태클은 고정줄의 길이를 반으로 줄여주는 구조이므로, 이동활차를 한 번 움직일 때 배력은 2배가 된다. 따라서 단활차를 이동활차로 하면 배력은 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섬유로프의 취급시 주의사항으로 틀린 것은?

  1. 로프를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외관의 이상유무를 확인한다.
  2. 로프의 수명은 사용시간, 횟수, 하중 등에 따라 달라진다.
  3. 로프를 풀 때 비틀면 킹크가 발생되어 강도가 강해지므로 주의하여야 한다.
  4. 사용하던 로르가 손상을 입었을 경우에는 더 높은 안전율을 적용해서 사용한다.
(정답률: 58%)
  • "로프를 풀 때 비틀면 킹크가 발생되어 강도가 강해지므로 주의하여야 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로프를 비틀면 오히려 강도가 약해지고, 풀 때에는 비틀어진 부분을 풀어주어야 합니다. 로프를 비틀면 내부 구조가 꼬여서 강도가 약해지고, 노력을 더 많이 들여야 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화물을 Cargo hook에 쉽게 걸어 안전하고 능률적인 하역을 위하여 이용하는 것은?

  1. Cargo fall
  2. Cargo sling
  3. Cargo Gin block
  4. Shackle
(정답률: 81%)
  • Cargo hook에 직접 화물을 걸면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며, 물체가 떨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따라서 Cargo sling을 사용하여 화물을 안전하게 걸어 하역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Cargo sling은 화물을 감싸는 끈으로, 화물의 무게를 분산시켜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훅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안전하중은 1톤이다.
  2. 최대 2톤까지 작업이 가능하다.
  3. 시험하중은 2톤이다.
  4. 77년 12월에 제작되었다.
(정답률: 70%)
  • 훅의 안전하중은 1톤이지만, 시험하중은 2톤이므로 최대 2톤까지 작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즉, 안전하중보다는 더 높은 시험하중을 견딜 수 있기 때문에 최대 2톤까지 작업이 가능하다. 77년 12월에 제작되었다는 정보는 이 문제와는 무관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하역용 스링의 취급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스링을 운반할 때는 바닥에 끌지 않도록 한다.
  2. 스링의 굵기는 화물의 인양능력과 깊은 관계가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3. 될 수 있는 한 스링의 길이는 잡화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비슷비슷한 종류이어야 한다.
  4. 특수 와이어 로프는 확실히 그 특성을 모르면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
(정답률: 86%)
  • "될 수 있는 한 스링의 길이는 잡화를 처리하는데 있어서 비슷비슷한 종류이어야 한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유는 스링의 길이는 화물의 크기와 무게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모든 스링이 비슷한 길이를 가져야 한다는 제한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주로 줄(rope)을 서로 당길 때에 사용하는 것은?

  1. 딤블(thimble)
  2. 리깅스크루(rigging screw)
  3. 클립(clip)
  4. 샤클(shackle)
(정답률: 80%)
  • 리깅스크루(rigging screw)는 줄을 당기거나 풀 때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장치입니다. 따라서 줄을 서로 당기는 작업에서 사용됩니다. 딤블(thimble)은 줄의 끝을 보호하거나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클립(clip)과 샤클(shackle)은 줄을 고정하거나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와이어 로프 끝을 스트랜드 3본씩 좌우로 나누어 로프의 꼬임 홈에 따라 끼워 넣고 남은 스트랜드를 부드러운 와이어나 동 파이프 등으로 조이는 방법으로 매듭 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요트 맨즈록 스플라이스(yachtman's roll splice)
  2. 쓰리 스트랜드 백 스플라이싱(three strand back splicing)
  3. 쓰리 스트랜드 쇼트 스플라이싱(three strand short splicing)
  4. 압축매듭
(정답률: 59%)
  • 요트 맨즈록 스플라이스는 와이어 로프를 꼬아 만든 꼬임 홈에 스트랜드를 끼워 넣고 부드러운 와이어나 동 파이프 등으로 조이는 방법으로 매듭을 만드는 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요트 맨즈록이라는 선박에서 사용되는 로프를 만들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강도와 내구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요트 및 다른 선박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블록(block)에서 굽힘현상의 반복으로 와이어로프의 피로현상을 줄이기 위한 시이브(sheave)의 직경(D)과 와이어로프의 직경(d)의 관계로 알맞은 것은?

  1. D=2d
  2. D=5d
  3. D=10d
  4. D=20d
(정답률: 64%)
  • 와이어로프가 시이브를 돌 때, 와이어로프는 시이브의 둘레를 따라 움직입니다. 따라서 와이어로프가 시이브를 돌 때 한 바퀴 돌기 위해서는 와이어로프의 길이와 시이브의 둘레가 같아야 합니다.

    와이어로프의 길이는 원주율 π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와이어로프의 길이 = π × 와이어로프의 직경 × 와이어로프의 개수

    시이브의 둘레는 원주율 π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시이브의 둘레 = π × 시이브의 직경

    따라서 와이어로프의 길이와 시이브의 둘레가 같으려면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해야 합니다.

    π × 와이어로프의 직경 × 와이어로프의 개수 = π × 시이브의 직경

    양변을 π로 나누고, 와이어로프의 개수를 제거하면 다음과 같은 식이 됩니다.

    와이어로프의 직경 / 시이브의 직경 = 1/ 와이어로프의 개수

    와이어로프의 개수는 보통 6개이므로, 위 식을 다시 쓰면 다음과 같습니다.

    와이어로프의 직경 / 시이브의 직경 = 1/6

    이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시이브의 직경 = 6 × 와이어로프의 직경

    즉, 시이브의 직경은 와이어로프의 직경의 6배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D=6d"가 아니라 "D=20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와이어 로프의 강도가 약해지는 원인이 아닌 것은?

  1. 킹크(Kink)가 생긴다.
  2. 소선이 절손 되었다.
  3. 마심에 기름을 많이 먹였다.
  4. 마모나 녹이 생겼다.
(정답률: 94%)
  • 와이어 로프의 강도는 재료의 품질, 제조 과정, 사용 환경 등에 따라 결정되며, 마심에 기름을 많이 먹이는 것은 강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마심에 기름을 많이 먹였다."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화물의 중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반원의 중심은 중심선상의 수직반경으로부터 2/5의 지점에 있다.
  2. 평행사변형의 중심은 대각선의 교점에 있다.
  3. 삼각형의 중심은 3개 중심선의 교점에 있다.
  4. 화물을 안전하게 놓이게 하려면 중심이 높아야 한다.
(정답률: 89%)
  • "화물을 안전하게 놓이게 하려면 중심이 높아야 한다."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입니다. 화물의 안정성은 중심의 위치뿐만 아니라 무게 분포와 연관이 있습니다. 따라서 중심이 높다고 해서 항상 안전한 것은 아닙니다.

    화물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심을 낮추는 것보다는 무게를 균등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화물을 운반하는 차량이나 선박 등의 구조적 안정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감전 사고가 나서 실신하여 호흡과 맥박이 없는 경우 실시하는 심폐 소생술의 요령으로 적당한 방법은?

  1. 2회의 인공호흡과 15회의 흉부압박을 교대로 실시한다.
  2. 2회의 인공호흡과 2회의 흉부압박을 교대로 실시한다.
  3. 15회의 인공호흡과 15회의 흉부압박을 교대로 실시한다.
  4. 순서에 관계없이 인공호흡과 흉부압박을 동시에 실시한다.
(정답률: 88%)
  • 심폐 소생술에서는 인공호흡과 흉부압박을 교대로 실시하여 심장을 자극하고 호흡을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중에서도 2회의 인공호흡과 15회의 흉부압박을 교대로 실시하는 이유는, 인공호흡을 통해 산소를 공급하고 흉부압박을 통해 심장을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유지시키기 때문입니다. 또한, 15회의 흉부압박을 실시하는 이유는, 심장을 자극하여 혈액순환을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충분한 압력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2회의 인공호흡과 15회의 흉부압박을 교대로 실시하여 심장과 호흡을 유지시키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서 엄지 손가락은 어느 방향을 가리키는가?

  1. 자기 방향
  2. 운동 방향
  3. 자력선 방향
  4. 유도 기전력 방향
(정답률: 60%)
  •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은 전류가 흐를 때 자기장의 방향을 결정하는 법칙입니다. 엄지 손가락은 전류의 방향을 가리키고, 검지 손가락은 자기장의 방향을 가리킵니다. 그리고 중지 손가락은 운동 방향을 가리킵니다. 따라서, 정답은 "운동 방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저항에 대하여 설명한 것으로 옳은 것은?

  1. 동일한 굵기의 구리선은 니크롬선보다 저항이 크다.
  2. 전선은 단면적이 클수록 저항이 크다.
  3. 동일한 굵기의 전선일 때 길이가 길수록 전기저항은 크다.
  4. 도체의 저항은 길이와 단면적과는 무관한다.
(정답률: 70%)
  • 전기저항은 전류가 흐를 때 전기 에너지를 소모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으로, 저항이 클수록 전류가 흐르는 속도가 느려지고 전기 에너지가 소모되는 양이 많아진다. 따라서 동일한 굵기의 전선일 때 길이가 길수록 전기저항은 크다. 이는 전류가 길이가 긴 전선을 통과할 때, 전선 내부에서 전기 에너지가 소모되는 양이 많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전동기의 주요 구성부품이 아닌 것은?

  1. 전기계자
  2. 솔레노이드 스위치
  3. 정류자
  4. 계자철심
(정답률: 67%)
  • 솔레노이드 스위치는 전동기의 주요 구성부품이 아닙니다. 솔레노이드 스위치는 전기회로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치로, 전동기의 구동 원리와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전기계자, 정류자, 계자철심은 전동기의 핵심 부품으로, 전동기의 구동 원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내연기관의 플라이휠이 하는 역할이 아닌 것은?

  1. 기관의 시동을 어렵게 한다.
  2. 밸브조정에 편리한다.
  3. 저속회전을 가능케 한다.
  4. 부하변동시 발생하는 회전변동을 조절한다.
(정답률: 88%)
  • 플라이휠은 회전운동의 관성을 이용하여 엔진의 회전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기관의 시동을 어렵게 한다."는 올바르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 중에서 반복하중에 대한 설명이 맞는 것은?

  1. 하중이 걸리는 방향은 같지만, 그 크기가 시간적으로 변하는 것
  2. 상이나 하대에 놓아둔 화물
  3. 아주 짧은 시간에 급격히 걸리는 하중
  4. 하중이 걸리는 방향과 크기가 번갈아 변화하는 것
(정답률: 90%)
  • "하중이 걸리는 방향은 같지만, 그 크기가 시간적으로 변하는 것"은 반복하중의 정의를 가장 간단명료하게 설명한 것입니다. 이는 하중이 일정한 방향으로 작용하지만, 그 크기가 일정하지 않고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걷는 동안 발에 가해지는 하중은 일정한 방향으로 작용하지만, 발을 내딛는 순간과 내딛지 않는 순간에는 하중의 크기가 다르게 작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유압 배관 이음 중 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체와 격리하고자 할 경우 알맞은 배관은?

  1. 강관
  2. 스테인레스관
  3. 알루미늄관
  4. 고무호스관
(정답률: 91%)
  • 고무호스관은 유연성이 뛰어나며, 내부에 공기나 물이 존재하여 진동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체와 격리하는데 적합합니다. 따라서 유압 배관 이음 중 진동을 흡수하여 진동체와 격리하고자 할 경우 고무호스관이 알맞은 배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동력(power)의 단위로 사용하지 않는 것은?

  1. 1 psi
  2. 1 J/s
  3. 1 Watt(W)
  4. 1 ㎏fㆍ㎧
(정답률: 75%)
  • 정답: 1 psi

    설명: psi는 압력의 단위이며, 동력의 단위가 아닙니다. J/s는 에너지 변환율, W는 동력, kgfㆍ㎧는 힘의 단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레일 위에 설치된 크레인이 10cm/s의 일정한 속도로 2분 동안 주행한 거리는 몇 m인가?

  1. 5
  2. 6
  3. 12
  4. 20
(정답률: 83%)
  • 2분 동안 주행한 거리는 속도 × 시간 = 10cm/s × 120초 = 1200cm입니다. 이를 미터로 변환하면 12m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1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외접기어 펌프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지 못한 것은?

  1. 1쌍의 기어 회전방향과 회전수는 동일하다.
  2. 흡입작용은 두 기어물림이 떨어질 때 일어난다.
  3. 구조가 간단하고 값이 싸므로 가장 널리 쓰이고 있다.
  4. 두 기어의 이가 접촉하는 부분은 선접촉을 하고 있다.
(정답률: 60%)
  • 1쌍의 기어 회전방향과 회전수는 동일하다는 것은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는 외접기어 펌프의 작동 원리 때문입니다. 외접기어 펌프는 두 개의 기어가 회전하면서 서로 맞물리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이때, 한 기어가 회전하면 다른 기어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회전수도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따라서, 1쌍의 기어 회전방향과 회전수는 항상 동일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4행정 사이클 기관에서 흡ㆍ배기 밸브가 2번 개폐 시 크랭크축은 몇 회전 하는가?

  1. 1회전
  2. 2회전
  3. 3회전
  4. 4회전
(정답률: 95%)
  • 4행정 사이클 기관에서는 흡기 밸브가 열리면서 공기가 실린더로 흡입되고, 배기 밸브가 열리면서 연소 가스가 실린더에서 배출됩니다. 이 과정에서 크랭크축은 2번의 흡ㆍ배기 밸브 개폐에 의해 4회전을 합니다. 즉, 한 번의 흡ㆍ배기 사이클이 완료될 때마다 크랭크축은 2회전씩 돌아가므로, 2번 개폐 시에는 4회전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유압윈치의 유압계통에서 유량제어 밸브의 기능은?

  1. 일의 크기를 결정한다.
  2. 일의 방향을 결정한다.
  3. 일의 속도를 결정한다.
  4. 일의 시간을 결정한다.
(정답률: 86%)
  • 유압윈치의 유압계통에서 유량제어 밸브는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여 일의 속도를 결정합니다. 유량제어 밸브가 열릴수록 유체의 유량이 증가하므로 일의 속도도 빨라집니다. 따라서 유압윈치에서 일의 속도를 조절하려면 유량제어 밸브를 조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하역 작업 착수에 앞서 확인하고 작업의 안전을 기해야 할 사항이 아닌 것은?

  1. 작업자의 적정배치
  2. 보호구 착용
  3. 작업수행에 필요한 사항 숙지
  4. 재해방지 사항
(정답률: 86%)
  • 작업자의 적정배치, 보호구 착용, 작업수행에 필요한 사항 숙지는 모두 하역 작업의 안전을 기하기 위한 사항이지만, "재해방지 사항"은 작업 전에 확인하고 기해야 할 사항이 아니라 이미 발생한 사고나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대책이기 때문에 이 보기에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손가락이 절단된 사고에 대한 응급처치방법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잘려진 부위에 거즈를 대고 압박하여 지혈시켰다.
  2. 손상된 부위를 환자가 보지 못하게 하였다.
  3. 잘린 손가락을 얼음물에 담가 병원으로 가져갔다.
  4. 환자에게 봉합수술이 가능하다고 안심시켰다.
(정답률: 90%)
  • 잘린 손가락을 얼음물에 담아 병원으로 가져가는 것은 손가락을 재활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기 때문입니다. 손가락은 시간이 지날수록 생존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가능한 빨리 의료진에게 전달해야 합니다. 또한 얼음물에 담아 냉각시키면 손가락의 세포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소방원 장구 중 구명줄이 갖추어야 할 요건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내화성
  2. 충분한 강도
  3. 충분한 길이
  4. 잘보이는 색깔
(정답률: 81%)
  • 구명줄은 비상 상황에서 빠르게 발견되어야 하므로 잘보이는 색깔이 가장 중요합니다. 다른 요건들도 중요하지만, 만약 구명줄이 어두운 곳에 있거나 주변과 색깔이 비슷하다면 발견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잘보이는 색깔은 구명줄의 가장 중요한 요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탱커의 안전상 작업복으로 가장 적합한 옷감은?

  1. 합성섬유
  2. 혼방
(정답률: 84%)
  • 탱커의 안전상 작업복으로 가장 적합한 옷감은 "면"입니다. 이는 면이 통기성이 좋아 땀을 흡수하고 증발시켜 건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면은 내구성이 높아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며, 화재 발생 시 불이 붙어도 녹아내리는 현상이 일어나 안전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중량물을 취급할 때 위험방지 조치가 아닌 것은?

  1. 가능한 하역운반기계를 상용한다.
  2. 굴러가는 방향 아래에 근로자 출입을 허용한다.
  3. 2명 이상이 운반할 때는 신호에 맞춘다.
  4. 적합한 보호구를 착용한다.
(정답률: 95%)
  • 중량물이 굴러가는 방향 아래에 근로자 출입을 허용하면 근로자가 중량물에 끌려 다치거나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는 위험방지 조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우현 데릭을 더 낮춰 주십시오.”를 바르게 영작한 것은?

  1. Please, raise more the portside derrick.
  2. Please, Lower the portside derrick.
  3. Lower the starboard sides derrick a little more, please.
  4. Raise, the starboard sides derrick a little more, please.
(정답률: 70%)
  • 정답은 "Lower the starboard sides derrick a little more, please."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우현"은 영어로 "starboard"입니다.
    - "더 낮춰 주십시오"는 영어로 "lower a little more, please"입니다.
    - "포측"은 영어로 "portside"입니다.
    - "올려 주십시오"는 영어로 "raise, please"입니다.

    따라서, "Please, raise more the portside derrick."와 "Please, Lower the portside derrick."는 모두 잘못된 영작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은 어떠한 상황을 나타내는가?

  1. 화물이 비에 젖어 손상되었다.
  2. 화물이 윈치의 고장으로 인해 손상되었다.
  3. 화물을 과도하게 취급하여 손상되었다.
  4. 화물이 무리한 윈치조작으로 손상되었다.
(정답률: 87%)
  • 화물이 무리한 윈치조작으로 손상되었다. - 그림에서 윈치가 너무 많은 힘을 받아 화물이 무리하게 들어올려져 손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하부에 적재하지 마시오」를 의미하는 화물표시는?

  1. KEEP FLAT
  2. DO NOT STOW BELOW
  3. NOT TO BE LAID FLAT
  4. DO NOT DROP
(정답률: 67%)
  • 화물표시 "DO NOT STOW BELOW"는 "하부에 적재하지 마시오"를 의미합니다. 이는 해당 화물이 아래쪽에 적재되면 안전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KEEP FLAT"은 화물을 평평하게 유지하라는 뜻이며, "NOT TO BE LAID FLAT"은 화물을 평평하게 놓지 말라는 뜻입니다. "DO NOT DROP"은 화물을 떨어뜨리지 말라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A와 B의 대화 중 ( )에 들어갈 답변은?

  1. It doesn't rain now.
  2. I will check again.
  3. We don't care such a light rain.
  4. We don't care such a heavy rain.
(정답률: 82%)
  • A: "Is it raining outside?"
    B: "( )"

    "We don't care such a light rain." 이유는 비가 너무 가벼워서 그 정도의 비는 신경쓰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선박의 선창에 비나 해수가 들어오지 못하도록 선창을 덮는 덮개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1. Hatch cover
  2. Hatch way
  3. Cofferdam
  4. Gang Way
(정답률: 87%)
  • 선박의 선창을 덮는 덮개를 "Hatch cover"라고 부릅니다. "Hatch way"는 선창에 들어가는 출입구를 의미하며, "Cofferdam"은 선체 내부에 있는 구획으로, 선체 내부의 물이나 유류가 다른 구획으로 흐르지 못하도록 막는 역할을 합니다. "Gang way"는 선박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