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화장치운전기능사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4-06)

양화장치운전기능사
(2014-04-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임의구분

1. 윈치용으로 사용되는 교류전동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회전방양의 변경은 +, - 회로의 접속을 바꾸어 행한다.
  2. 속도제어는 저항을 가감하거나 극수를 바꾸어 행한다.
  3. 회전방향 변경은 3선중 2선을 바꾼다.
  4. 교류전동기에는 유도전동기와 동기전동기 등이 있다.
(정답률: 66%)
  • "회전방양의 변경은 +, - 회로의 접속을 바꾸어 행한다." 이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며, 올바른 설명입니다. 이유는 교류전동기는 2개의 극성이 있으며, 전류의 방향에 따라 회전 방향이 결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 - 회로의 접속을 바꾸어 전류의 방향을 바꾸면 회전 방향도 바뀝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양화장치의 윈치에 대한 점검 사항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동력전달 부분
  2. 제동장치-사이드 브레이크
  3. 와이어로프 손상 유무 및 감김 상태
  4. 붐의 상태 점검
(정답률: 53%)
  • 양화장치의 윈치에 대한 점검 사항은 동력전달 부분, 제동장치-사이드 브레이크, 와이어로프 손상 유무 및 감김 상태입니다. 붐의 상태 점검은 양화장치의 윈치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기 때문에 해당 사항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항해 중 파도에 의해 선박이 좌우로 기울었다가 다시 가운데로 돌아오는 힘을 무엇이라 하는가?

  1. 복원력
  2. 추진력
  3. 부력
  4. 마력
(정답률: 94%)
  • 파도에 의해 선박이 좌우로 기울었다가 다시 가운데로 돌아오는 힘은 복원력이라고 합니다. 이는 선박이 처음 상태로 돌아가려는 힘이기 때문입니다. 파도에 의해 선박이 기울어졌을 때, 선박 내부의 물체들은 기울어진 방향으로 움직이게 됩니다. 하지만 이들 물체들은 선박의 원래 위치로 돌아가려는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선박은 다시 원래 위치로 돌아오게 됩니다. 이러한 힘을 복원력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지브 크레인의 신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카고 와이어의 감아 올리기 신호는 오른손으로 한다.
  2. 카고 와이어의 감아 내리기 신호는 왼손으로 한다.
  3. 지브의 올림 신호는 왼손을 원칙으로 한다.
  4. 지브의 선회 신호는 왼손을 원칙으로 한다.
(정답률: 74%)
  • "카고 와이어의 감아 내리기 신호는 왼손으로 한다."이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카고 와이어의 감아 내리기 신호는 오른손으로 한다. 이는 지브 크레인 조작 시 오른손이 카고 와이어를 조작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버킷 붙이 주행 크레인의 트롤리 형식에 따른 분류가 아닌 것은?

  1. 로프 트롤리식
  2. 크래브 트롤리식
  3. 맨 트롤리식
  4. 스프레더 트롤리식
(정답률: 61%)
  • 스프레더 트롤리식은 버킷이 아닌 스프레더를 사용하여 화물을 집어들이는 방식이기 때문에 버킷 붙이 주행 크레인의 트롤리 형식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스프레더 트롤리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크레인의 운동 중 주행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크레인 전체가 이동하는 것을 주행이라 한다.
  2. 주행 크레인에서는 트롤리가 이동하는 것을 주행이라 한다.
  3. 지브 크레인에서는 레일 위를 이동하는 것을 주행이라 한다.
  4. 천정 크레인에서는 길이 방향(레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주행이라 한다.
(정답률: 70%)
  • "주행"은 크레인 전체가 이동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주행 크레인에서는 트롤리가 이동하는 것을 주행이라 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주행 크레인에서도 트롤리가 이동하지만, 이는 "트롤리 이동"이라고 부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교형 주행 크레인의 작업 전 주의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선박측에 각부의 주유가 완료되었는가를 확인한다.
  2. 주행레일 위에 장애물이 없는가를 확인한다.
  3. 구즈넥 핀의 마모를 검사한다.
  4. 계류장치가 해제되었는가를 확인한다.
(정답률: 83%)
  • 구즈넥 핀은 교형 주행 크레인의 중요한 부품 중 하나로, 크레인의 전체 무게를 지탱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구즈넥 핀의 마모가 심하다면 크레인이 작동 중에 떨어질 위험이 있으므로, 작업 전에 구즈넥 핀의 마모를 검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양화장치에서 제한하중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구조 또는 재료에 안전하게 응할 수 있는 최대의 하중을 말한다.
  2. 안전한계 총 하중을 다른 말로 풀이한 것이다.
  3. 안전하중과 최대하중의 중간으로 작업을 안전하게 하기 위한 하중을 말한다.
  4. 화물의 종류 및 작업조건에 따라 그 무게를 제한하는 하중을 말한다.
(정답률: 74%)
  • 양화장치에서 제한하중은 구조 또는 재료가 안전하게 응할 수 있는 최대의 하중을 말합니다. 이는 구조나 재료가 파괴되지 않고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최대 무게를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제한하중을 넘어서는 무게를 실어서는 안 되며, 이를 준수하여 작업을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크레인형 양화장치에서 그림에서 빗금친 부분과 같은 작업 범위에 있는 운동을 조합시킨 것은?

  1. 선회
  2. 선회 + 기복
  3. 주행 + 횡행
  4. 주행
(정답률: 82%)
  • 크레인형 양화장치에서 그림에서 빗금친 부분은 주행과 횡행을 조합한 작업 범위입니다. 주행은 전후로 이동하는 운동이며, 횡행은 좌우로 이동하는 운동입니다. 따라서 이 두 운동을 조합하여 그림에서 보이는 작업 범위를 커버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주행이나 선회만으로는 그림에서 보이는 작업 범위를 커버할 수 없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싱글데릭에서 직접적으로 화물을 매달아 올리고 내리는 (권상, 권하) 역할을 하는 와이어로프는?

  1. 토핑 리프트(Topping Lift)
  2. 가이(Guy)
  3. 카고 폴(Cargo Fall)
  4. 오닝 로프(Awning Rope)
(정답률: 76%)
  • 와이어로프 중에서도 직접적으로 화물을 매달아 올리고 내리는 역할을 하는 것은 카고 폴(Cargo Fall)입니다. 이는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화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로, 화물을 안전하게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중량물 하역에 주로 사용되는 데릭(Derrik)의 의장방식은?

  1. 매리드 포올(Married Fall) 방식
  2. 슬루잉 붐(Slewing Boom) 방식
  3. 싱글 붐(Single Boom) 방식
  4. 지브 크레인(Jib Crane) 방식
(정답률: 50%)
  • 중량물 하역에 주로 사용되는 데릭은 크레인의 일종으로, 큰 중량물을 들어올리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때 데릭의 의장방식은 크게 싱글 붐, 매리드 포올, 슬루잉 붐, 지브 크레인 방식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중량물 하역에 주로 사용되는 데릭은 싱글 붐 방식입니다. 이는 하나의 긴 브레이스로 이루어진 단일 브레이스를 사용하여 중량물을 들어올리는 방식으로, 간단하면서도 안정적인 구조로 중량물을 안전하게 들어올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싱글 붐 데릭방식이 아닌 것은?

  1. 유니언 퍼쳐스식 데릭
  2. K.S식 데릭
  3. K-7식 데릭
  4. 가와사키식 데릭
(정답률: 85%)
  • 싱글 붐 데릭 방식은 하나의 크레인 붐에 하나의 와이어로 물체를 들어올리는 방식입니다. 반면에 유니언 퍼쳐스식 데릭은 두 개 이상의 와이어를 사용하여 물체를 들어올리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유니언 퍼쳐스식 데릭은 싱글 붐 데릭 방식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내연기관 윈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화물이 부하된 상태에서 시동할 수 없다.
  2. 육상 크레인 또는 선박에서 주로 사용한다.
  3. 기관 자체의 역회전이 불가능 하다.
  4. 기관 회전은 그대로 두고 마찰클러치 또는 기어 변속으로 윈치를 제어한다.
(정답률: 50%)
  • "육상 크레인 또는 선박에서 주로 사용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이유는 내연기관 윈치는 대부분 크기가 크고, 높은 토크를 발생시키는 특성 때문에 주로 큰 규모의 작업장비나 선박에서 사용됩니다. 따라서 육상 크레인이나 선박에서 주로 사용된다는 설명은 맞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데릭에서 통상적으로 통풍관(Ventilator)을 겸하고 있는 것은?

  1. 데릭 붐(Derrick Boom)
  2. 데릭 포스트(Derrick Post)
  3. 레이더 마스트(Radar Mast)
  4. 윈치(Winch)
(정답률: 91%)
  • 데릭 포스트(Derrick Post)는 통풍관(Ventilator)을 겸하고 있는 것으로, 선박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습도와 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데릭 포스트는 선박의 구조물 중 하나로서 크레인 작업 등을 위한 안전한 작업 공간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양화장치의 시운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운전 시 양화장치의 모든 동작을 빠짐없이 실시한다.
  2. 시운전 시에는 훅(Hook) 바로 밑에서 신호를 해 주어야 한다.
  3. 시운전 시 각 부분의 안전장치 작동상태를 확인한다.
  4. 시운전은 무부하 상태에서 수 회 실시하고 난 후, 부하를 걸어 다시 실시한다.
(정답률: 96%)
  • 시운전 시에는 훅(Hook) 바로 밑에서 신호를 해 주어야 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이는 옛날 양화장치에서만 해당되는 내용으로, 현재는 모든 위치에서 시운전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시운전 시에는 훅(Hook) 바로 밑에서 신호를 해 주어야 한다."가 아닌 "해당 없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붐이 내측으로 선회하는 것을 막아주는 가이는?

  1. 센터가이(Center Guy)
  2. 스팬가이(Span Guy)
  3. 스쿠너 가이(Schooner Guy)
  4. 프리벤트 가이(Prevent Guy)
(정답률: 78%)
  • 프리벤트 가이는 붐이 내측으로 선회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붐이 돛사이에서 너무 많이 움직여서 돛이 효과적으로 작동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따라서 프리벤트 가이는 돛의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크레인 형식의 양화장치에 사용되는 리미트 스위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리미트 스위치는 수동으로 전류를 넣는다.
  2. 리미트 스위치는 자동적으로 전류를 넣는다.
  3. 리미트 스위치는 로프에 의해 전류를 넣는다.
  4. 리미트 스위치는 초음파에 의해 전류를 차단한다.
(정답률: 91%)
  • 리미트 스위치는 양화장치의 크레인이 움직이는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되며, 크레인의 움직임이 스위치의 동작을 유발하여 전기 신호를 보내어 모터를 멈추게 합니다. 이 때, 리미트 스위치는 자동적으로 전류를 넣어 동작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하역작업 중 주의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신호수는 작업을 가장 잘 지켜볼 수 있고 윈치 조작자에게 가장 잘 보여 지는 곳에 위치하여야 한다. 또한 그의 시계는 방해 없이 모든 작업을 지켜볼 수 있어야 한다.
  2. 짐이 들여 올려질 때 적절하게 매달려 있지 아니한 경우 신호수는 즉시 위험신호를 하고 짐을 강하하여야 하며 필요에 따라 짐을 정리하여야 한다.
  3. 훅, 스링 및 기타 하역장비를 안전사용하중보다 무거운 짐을 매다는데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4. 스링의 각도는 통상적으로 120도를 넘어서는 안된다. 이것이 합리적으로 실행 불가능할 경우에는 대각도에서 작업하도록 설계된 스링을 사용하여 180도까지 확장할 수 있다.
(정답률: 91%)
  • 정답은 "스링의 각도는 통상적으로 120도를 넘어서는 안된다. 이것이 합리적으로 실행 불가능할 경우에는 대각도에서 작업하도록 설계된 스링을 사용하여 180도까지 확장할 수 있다."입니다. 이유는 스링의 각도가 120도를 넘어가면 하중이 불균형하게 분산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각선 스링은 하중을 더욱 균등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설계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각종 데릭(Derrick)의 의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스윙 붐(Swing Boom)은 하역 속도가 빠르다.
  2. 헤비데릭(Heavy Derrick)에서는 토핑 리프트(Topping Lift)의 배력을 크게 한다.
  3. 유니언 퍼쳐스식(Union Purchase)은 양현 하역을 하기에 가장 적합하다.
  4. 싱글 붐(Single Boom)은 화물을 높게 올릴 수 있다.
(정답률: 64%)
  • 헤비데릭은 큰 하중을 들어올리기 위한 데릭으로, 토핑 리프트의 배력을 크게 하는 이유는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서입니다. 토핑 리프트는 데릭의 상단에 위치한 로프로, 무게를 지탱하고 데릭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헤비데릭에서는 무게가 더욱 크기 때문에 토핑 리프트의 배력을 크게 해야 안정적으로 하중을 들어올릴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컨테이너 크레인에서 호이스트 작업 중 로프 텐셔너에 작용하는 유압을 떨어트리는 이유는?

  1. 틸팅
  2. 안티-스내깅
  3. 인터록
  4. 리스킹
(정답률: 64%)
  • 로프 텐셔너에 작용하는 유압을 떨어트리는 이유는 안티-스내깅을 위해서입니다. 안티-스내깅은 로프가 급격하게 늘어나거나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여 로프의 수명을 연장하고 안전성을 높이는 기술입니다. 로프가 급격하게 늘어나거나 당겨지면 로프에 큰 충격이 가해져 로프의 내구성이 감소하고, 불안정한 상태가 되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로프 텐셔너에 작용하는 유압을 떨어트려 안티-스내깅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임의구분

21. 주로 정기선이나 소형선박에 적용되는 하역작업 조건 중 가장 보편적인 것은?

  1. 관습적 조기 하역(CUSTOMARY QUICK DISPATCH)
  2. 청천하역일(WEATHER WORKING DAY)
  3. 하역 준비 완료 통지(NOTICE OF READINESS TENDER)
  4. SUNDAY, HOLYDAY INCLUDING 조건
(정답률: 79%)
  • 정기선이나 소형선박의 하역작업 조건 중 가장 보편적인 것은 "관습적 조기 하역(CUSTOMARY QUICK DISPATCH)"입니다. 이는 선박이 도착한 후 적재 및 언로딩 작업을 가능한 빠르게 시작하도록 하는 관습적인 조건으로, 선박 운영자와 화주 간의 계약서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 조건은 선박이 항구에 도착한 후 24시간 이내에 적재 및 언로딩 작업을 시작하도록 요구합니다. 이는 선박이 항구에서 머무르는 시간을 최소화하고, 빠른 출항을 가능하게 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유압윈치에서 권상능력이 떨어지는 원인은?

  1. 작동유의 압력이 규정압력보다 높을 때
  2. 작동유의 점도가 너무 낮을 때
  3. 작동유를 신품으로 교환했을 때
  4. 작동유를 너무 많이 보충했을 때
(정답률: 89%)
  • 유압윈치는 작동유의 압력과 점도에 따라 권상능력이 결정됩니다. 작동유의 점도가 너무 낮으면 유압윈치 내부의 부품들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유압윈치의 권상능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작동유의 점도를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유니언 퍼쳐스식 데릭 붐이 일어서는 것(Top-up)의 주요 원인은?

  1. 붐의 앙각이나 가이를 잡는 위치
  2. 센터 가이의 위치
  3. 데릭 포스트 형태
  4. 카고 와이어 각도
(정답률: 75%)
  • 유니언 퍼쳐스식 데릭 붐이 일어서는 것의 주요 원인은 붐의 앙각이나 가이를 잡는 위치입니다. 붐의 앙각이나 가이를 잡는 위치가 높아지면 데릭 붐의 기울기가 커지고, 그에 따라 무게 중심이 붐의 중심에서 멀어져서 데릭 붐이 일어나게 됩니다. 따라서 붐의 앙각이나 가이를 잡는 위치를 조절하여 데릭 붐의 기울기를 조절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유니언 퍼쳐스식 데릭 신호에서 기본자세의 팔꿈치 각도는?

  1. 10°
  2. 30°
  3. 45°
  4. 90°
(정답률: 98%)
  • 유니언 퍼쳐스식 데릭 신호에서 기본자세의 팔꿈치 각도는 45°입니다. 이는 인체 공학적인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각도이기 때문입니다. 45° 각도는 팔꿈치와 어깨 사이의 각도가 90°인 경우보다 더 많은 힘을 발휘할 수 있으며, 동작의 안정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45° 각도는 팔꿈치와 손목 사이의 각도도 최적화하여 손목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유니언 퍼쳐스식 데릭 신호에서 기본자세의 팔꿈치 각도는 45°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벨트 컨베이어 역전방지장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래치식 역전방지 장치
  2. 롤러식 역전방지장치
  3. 밴드브레이크 역전방지장치
  4. 슬라이딩식 역전방지장치
(정답률: 60%)
  • 슬라이딩식 역전방지장치는 벨트가 역전될 때 벨트를 멈추지 않고 슬라이딩하여 방지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역전방지 기능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슬라이딩식 역전방지장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6×29(Fi) + UG + IWRC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스트랜드의 수는 6개이다.
  2. 필러형 로프이다.
  3. 강한 섬유심을 사용한 로프이다.
  4. 비도금종 로프이다.
(정답률: 54%)
  • "비도금종 로프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6×29(Fi)는 6개의 스트랜드가 있고, 각 스트랜드는 29개의 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필러형 로프입니다. 또한, 강한 섬유심을 사용한 로프이기 때문에 내구성이 뛰어나고, 높은 인장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비도금종 로프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블록(Block)의 종류와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리이딩 블록 - 당겨지는 방향을 바꿀 수 있다.
  2. 보통 블록 –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강재 블록이다.
  3. 테일블록 – 스트롭에 로프가 달려 있다.
  4. 하역용 블록 – 대형블록으로 마찰저항을 적게 한다.
(정답률: 53%)
  • 보통 블록은 강재 블록이 아니라 강철 또는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진 일반적인 블록이다. 따라서 "보통 블록 –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강재 블록이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화물 규격화 작업의 일환으로 양화 시 스링의 거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도록 제지목이나 펄프 등의 화물을 한스링으로 묶은 채 적화하는 방법은?

  1. 라쉬(lash)
  2. 프레-스링(pre-sling)
  3. 팔레트(pallet)
  4. 컨테이너(container)
(정답률: 91%)
  • 프레-스링은 제지목이나 펄프 등의 화물을 미리 한스링으로 묶어놓은 상태로 적재하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양화 시 스링의 거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작업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태클의 올바른 사용법과 거리가 먼 것은?

  1. 로프의 직경에 비해 시브의 직경이 작은 것이 수명에 유리하므로 많이 사용된다.
  2. 태클은 항상 적당한 주유가 되어 있어야 한다.
  3. 당김줄에 가까운 시브가 마손이 심하므로 잦은 점검을 요한다.
  4. 될 수 있는 한 강한 블록을 고정활차로 사용한다.
(정답률: 74%)
  • 로프의 직경에 비해 시브의 직경이 작은 것이 수명에 유리하므로 많이 사용된다. - 시브이 작을수록 마찰이 적어지고, 작동 시 부하가 분산되어 로프의 수명이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섬유 로프 결삭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노트(knot)
  2. 바이트(bight)
  3. 엔드(end)
  4. 주부(standing part)
(정답률: 82%)
  • 주부(standing part)는 섬유 로프 결삭의 요소 중 하나가 아닙니다. 주부는 로프의 중심 부분으로, 로프의 길이 중 일정한 부분을 말합니다. 따라서 주부는 로프의 끝이나 중간 부분이 아니므로 결삭의 요소가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에서 벨트 스링의 교체 기준이 아닌 것은?

  1. 기름이 과도히 묻었을 경우
  2. 산이나 부식제에 의해 손상된 경우
  3. 100도 이상의 고온에 노출된 경우
  4. 찢어지거나 절단, 구멍으로 인해 코어섬유가 노출된 경우
(정답률: 87%)
  • 정답인 "기름이 과도히 묻었을 경우"는 벨트 스링의 교체 기준이 아닙니다. 이유는 기름이 과도히 묻었을 경우에는 벨트 스링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기름이 과도히 묻으면 벨트 스링이 미끄러워져서 작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기름이 묻은 부분은 청소해야 합니다. 따라서 벨트 스링의 교체 기준으로는 해당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천연섬유와 비교할 때 합성섬유 재질의 로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부드럽지 않고 취급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2. 내수성이므로 물이 젖더라도 뻣뻣해지지 않는다.
  3. 탄성이 크고 하중이 걸렸을 때 대체적으로 신율이 크다.
  4. 고온에서는 연화되고 강도가 저하된다.
(정답률: 63%)
  • 합성섬유 재질의 로프는 천연섬유에 비해 부드럽지 않고 취급하기가 용이하지 않습니다. 이는 합성섬유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하는데, 합성섬유는 천연섬유보다 더 강하고 내구성이 뛰어나지만, 그만큼 탄성이 크고 뻣뻣한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합성섬유 재질의 로프는 취급이 어렵고 부드럽지 않은 특징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와이어로프의 클립(Clip) 매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클립의 효율을 100%이다.
  2. 클립을 조일 때 새들(Saddle)은 로프 힘이 걸리는 쪽으로 균등하게 체결해야 한다.
  3. 클립의 개수는 최소 4개 이상이 되어야 한다.
  4. 클립의 간격은 로프 직경의 5~6배 거리를 두어야 한다.
(정답률: 73%)
  • "클립의 효율을 100%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클립을 사용할 때에도 일정한 힘이 소모되며, 클립이 미끄러지거나 풀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클립을 사용할 때에도 안전을 위해 적절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리프팅 마크네트(Lifting Magnet)의 스링(Sling)으로 작업할 수 없는 화물은?

  1. 석제(Stone)
  2. 스크랩(Scrap)
  3. 선철(Pig Iron)
  4. 빌리트(Billet)
(정답률: 77%)
  • 석제(Stone)는 자성을 가지지 않기 때문에 리프팅 마그넷으로는 들어올릴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양쪽으로 스링을 걸 수 있으면서 주로 중량물 하역에 사용되는 훅은?

  1. 클립 훅
  2. 코먼 훅
  3. 리버스 훅
  4. 랭션 훅
(정답률: 69%)
  • 랭션 훅은 양쪽으로 스링을 걸 수 있어서 중량물을 안정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로 중량물 하역에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선박안전법 시행규칙에 따르면, 제한하중 10톤의 단일시브를 가진 활차의 시험하중은?

  1. 10톤
  2. 20톤
  3. 25톤
  4. 40톤
(정답률: 41%)
  • 선박안전법 시행규칙에 따르면, 제한하중 10톤의 단일시브를 가진 활차의 시험하중은 제한하중의 4배인 40톤이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40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섀클(Shackle)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훅이 없는 블록에 연결을 할 수가 있다.
  2. 체인 혹은 와이어로프의 끝부분과 딤블(Thimble) 등 말단 쇠붙이를 연결할 때 사용한다.
  3. 섀클의 크기는 몸체 또는 핀의 직경으로 표시한다.
  4. 섀클은 동일한 직경의 훅에 비해 10배 정도의 강도를 가지므로 중량물 취급에 부적합하다.
(정답률: 86%)
  • 섀클은 동일한 직경의 훅에 비해 10배 정도의 강도를 가지므로 중량물 취급에 부적합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오히려 섀클은 중량물 취급에 적합하며, 체인 혹은 와이어로프의 끝부분과 딤블 등 말단 쇠붙이를 연결할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전류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직류란 일정한 시간동안 +, - 방향이 변화하는 전류이다.
  2. 직류는 “DC”로 표시하며 축전지(Battery)는 직류이다.
  3. 교류란 “AC”로 표시하며 가정용 전등의 전류를 말한다.
  4. 전류의 세기는 암페어(A)라는 단위로 표시한다.
(정답률: 80%)
  • "직류란 일정한 시간동안 +, - 방향이 변화하는 전류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직류는 전류의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전류를 말한다. 즉, + 방향에서 - 방향으로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를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중 1m3당 중량이 큰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된 것은?

  1. 강 > 납 > 알루미늄 > 자갈
  2. 자갈 > 강 > 납 > 알루미늄
  3. 강 > 자갈 > 납 > 알루미늄
  4. 납 > 강 > 알루미늄 > 자갈
(정답률: 83%)
  • 정답은 "납 > 강 > 알루미늄 > 자갈" 입니다.

    이유는 각 물질의 밀도가 다음과 같기 때문입니다.

    납: 11,340 kg/m³
    강: 7,850 kg/m³
    알루미늄: 2,700 kg/m³
    자갈: 1,500 kg/m³

    밀도는 단위 부피당 질량을 나타내는 값으로, 같은 부피일 때 밀도가 높을수록 물질의 질량이 더 많이 들어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m³의 부피에 대해 납이 가장 많은 질량을 가지고 있고, 자갈이 가장 적은 질량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납 > 강 > 알루미늄 > 자갈" 순서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엔진 오일의 압력이 높아지는 이유가 아닌 것은?

  1. 유압 조정밸브의 스프링 압력이 강할 때
  2. 오일 팬의 오일양이 부족할 때
  3. 오일 파이프의 일부가 막혔을 때
  4. 엔진의 온도가 낮아 윤활유의 점도가 높을 때
(정답률: 65%)
  • 오일 팬의 오일양이 부족할 때는 엔진 오일의 압력이 높아지지 않습니다. 오히려 오일양이 부족하면 엔진 내부의 부품들이 마찰로 인해 손상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오히려 엔진 오일의 압력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임의구분

41. 유도 기전력이 코일 속의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생기는 법칙은?

  1. 렌쯔의 법칙
  2. 앙페르의 법칙
  3. 플레밍의 왼손 법칙
  4. 플레밍의 오른손의 법칙
(정답률: 52%)
  • 렌쯔의 법칙은 유도 기전력이 코일 속의 자속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생기는 법칙입니다. 이는 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유도 전류가 발생하면, 그 유도 전류는 자기장의 변화를 방해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자기장의 변화를 억제하려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내연기관에서 배기 밸브가 닫히기 전에 흡입밸브가 열려, 두 밸브가 동시에 열려 있는 경우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오버 라이드(Over ride)
  2. 옵 셋(Off set)
  3. 오버 랩(Over lap)
  4. 블로 다운(Blow down)
(정답률: 73%)
  • 오버랩(Over lap)은 내연기관에서 배기 밸브가 닫히기 전에 흡입밸브가 열려, 두 밸브가 동시에 열려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는 엔진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로, 흡기와 배기 과정이 동시에 일어나므로 연소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오버랩은 엔진의 출력과 연비를 개선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전류의 자기작용이 적용되는 것은?

  1. 축전지
  2. 전구
  3. 전열기
  4. 전동기
(정답률: 59%)
  • 전류가 흐르면 그 주위에 자기장이 생기는데, 이 자기장이 전류에 영향을 주는 것을 전류의 자기작용이라고 합니다. 이 중에서 전동기는 전류를 이용하여 회전력을 만들어내는데, 이때 전류의 자기작용이 이용됩니다. 전동기 안에는 자석과 전선이 있고, 전류가 흐르면 전선 주위에 자기장이 생기게 됩니다. 이 자기장과 전동기 안에 있는 자석의 자기장이 상호작용하여 회전력을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따라서 전동기는 전류의 자기작용이 적용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관이나 기기에 접속하기 위한 배관용 이음의 종류로 틀린 것은?

  1. 플렌지 이음
  2. 삽입용접 이음
  3. 나사식 이음
  4. 클러치 이음
(정답률: 62%)
  • 클러치 이음은 배관이나 기기를 분리 가능한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이음으로, 일반적으로 커플링이나 플랜지와 같은 부속물을 사용하여 연결됩니다. 따라서, 다른 이음들과는 달리 분리 가능한 연결을 위한 이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구조물을 안전하게 설계하기 위한 값들 중에서 일반적으로 가장 큰 값은?

  1. 극한강도
  2. 탄성강도
  3. 허용응력
  4. 사용응력
(정답률: 89%)
  • 극한강도는 재료가 얼마나 많은 힘을 견딜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값으로, 구조물이 어떤 상황에서도 파괴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설계하기 위해서는 극한강도를 고려해야 합니다. 다른 값들은 구조물의 변형이나 파괴를 예방하기 위한 값이지만, 극한강도는 구조물이 파괴되지 않도록 하는 가장 기본적인 값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유압장치의 릴리프 밸브(Relief Valve)에서 밸브가 밸브시트(Valve Seat)를 때르는 현상은?

  1. 채터링(Chattering)
  2. 캐비테이션(Cavitation)
  3. 페이드(Fade)
  4. 베이퍼 록(Vapor Lock)
(정답률: 73%)
  • 릴리프 밸브에서 밸브가 밸브시트를 때리는 현상은 채터링(Chattering)이라고 합니다. 이는 유체의 유속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밸브가 열리고 닫히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밸브와 밸브시트 사이에 공기가 형성되어 유체의 흐름이 방해되고, 이로 인해 밸브가 빠르게 열리고 닫히면서 반복적인 충격이 발생합니다. 이러한 충격은 유압장치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저항이 200Ω인 회로에 100V의 전압을 가할 때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1. 0.1A
  2. 0.2A
  3. 0.5A
  4. 2A
(정답률: 58%)
  • 오옴의 법칙에 따라 전압(V)은 전류(I)와 저항(R)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I = V/R 으로 전류를 구할 수 있습니다. 이 문제에서는 전압이 100V이고 저항이 200Ω이므로, I = 100/200 = 0.5A가 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0.5A"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유압 펌프의 종류 중 날개로 펌프 작용을 시키는 것은?

  1. 다이어프램 펌프
  2. 기어 펌프
  3. 플런저 펌프
  4. 베인 펌프
(정답률: 73%)
  • 베인 펌프는 회전하는 날개로 유체를 흡입하고 배출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따라서 날개로 펌프 작용을 시키는 유형의 펌프는 베인 펌프입니다. 다이어프램 펌프는 다이어프램의 움직임으로 유체를 이동시키고, 기어 펌프는 회전하는 기어의 운동으로 유체를 이동시킵니다. 플런저 펌프는 플런저의 움직임으로 유체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중 작동유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첨가제가 아닌 것은?

  1. 산화 방지제
  2. 방청제
  3. 점도지수 억지제
  4. 유성 향상제
(정답률: 60%)
  • 점도지수 억지제는 작동유의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첨가제가 아닙니다. 이는 점도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작동유의 성능 향상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트럭이 2시간 동안에 120㎞의 거리를 주행할 때 속도는 몇 ㎞/h인가?

  1. 30㎞/h
  2. 60㎞/h
  3. 120㎞/h
  4. 180㎞/h
(정답률: 94%)
  • 속도 = 거리 ÷ 시간
    주행한 거리는 120㎞이고, 주행한 시간은 2시간이므로
    속도 = 120 ÷ 2 = 60㎞/h
    따라서 정답은 "60㎞/h"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연소의 3요소가 아닌 것은?

  1. 산소
  2. 이산화탄소
  3. 가연성 물질
(정답률: 75%)
  • 이산화탄소는 연소의 3요소가 아닙니다. 연소의 3요소는 열, 산소, 가연성 물질입니다. 이산화탄소는 연소가 일어난 후에 생성되는 물질로, 연소의 3요소는 연소가 일어나기 전에 이미 존재하는 것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에서 사고를 일으키는 불안전한 행동에 속하는 것은?

  1. 하역기계의 불량
  2. 권한 없이 행한 조작, 경고의 미준수
  3. 복장, 보호구 결함.
  4. 안전 표지의 미부착, 경계표시의 부재
(정답률: 91%)
  • 권한 없이 행한 조작, 경고의 미준수는 해당 작업을 수행할 권한이 없거나,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제공된 안전 경고 및 지시사항을 따르지 않는 행동을 의미합니다. 이는 작업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무시하고 작업을 수행하게 되어 사고를 유발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전기에 감전된 사람을 구조하였을 경우 응급처치방법으로 틀린 것은?

  1. 호흡이 없을 때는 인공호흡을 한다.
  2. 맥박이 없을 때는 심장마사지를 한다.
  3. 상처부위는 화상처치와 동일하게 한다.
  4. 온몸을 차가운 물로 식혀준다.
(정답률: 89%)
  • 온몸을 차가운 물로 식혀주는 것은 감전으로 인한 열이 발생하여 체온이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체온을 낮추기 위한 응급처치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화상처치와는 다르게 상처 부위에는 적용하지 않습니다. 상처 부위는 화상처치와 동일하게 처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선내하역에 관한 기술 내용 중 가장 적합한 것은?

  1. 화물을 적ㆍ양화함에 있어서 선체 및 화물에 안전하게 작업을 해야 한다.
  2. 다종다양한 화물을 한정된 선복에 가능하면 공간이 남지 않도록 적재하여 적화량을 증대해야 한다.
  3. 하역시간을 될 수 있는 한 단축하여 선박의 가동률을 높이고 선박의 정박시간은 길게 해야 한다.
  4. 하역 후의 선체 및 화물의 안전성을 고려하여 하역계획을 수립하고 하역하기 전에 하역상황의 변화에 대응 할 수 있는 안전성을 확보해야 한다.
(정답률: 66%)
  • 화물을 적ㆍ양화함에 안전하게 작업해야 하는 이유는 선내하역 작업 중 화물이나 선체에 손상이 생길 경우 선박의 안전성을 저해하고 인명사고나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선내하역 작업 시에는 화물과 선체를 보호하면서 안전하게 작업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화물 적재작업 시 화물의 안전한 취급방법이 아닌 것은?

  1. 원기둥형의 화물을 뒤로 끌어서 이동시켜야 한다.
  2. 통로나 출입구 근처에는 충분한 공간을 남겨야 한다.
  3. 밑 부분을 안전하게 한 상태에서 물건을 쌓아야 한다.
  4. 갈고리는 종이상자 또는 위험 유해물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94%)
  • "원기둥형의 화물을 뒤로 끌어서 이동시켜야 한다."는 안전하지 않은 방법입니다. 원기둥형의 화물은 뒤로 끌어서 이동시키면 중심을 잃어버리고 넘어질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대신에 원기둥형의 화물은 굴려서 이동시키는 것이 안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화물 포장이 불량할 때」 M/R, B/N의 비고란에 기재하는 문구는?

  1. Unsecurely packed
  2. Delayed arrived
  3. Bottom off
  4. Cracked
(정답률: 74%)
  • 화물이 Unsecurely packed 되었다는 것은, 적절한 포장이 이루어지지 않아 화물이 안전하게 보호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운송 중에 화물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M/R, B/N의 비고란에 Unsecurely packed라는 문구를 기재하여 이를 알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화물 취급주의 표시 중에서 “갈고리 사용금지!”에 해당하는 것은?

  1. No hooks!
  2. Open here hooks!
  3. Hand off
  4. Use only hooks!
(정답률: 86%)
  • "No hooks!"는 갈고리 사용을 금지하는 표시입니다. 이는 화물을 옮길 때 갈고리를 사용하지 말아야 함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표시는 다른 보기와 달리 갈고리 사용을 제한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Do you think that the loading will be finished on schedule?”의 답변으로 적합하지 않는 것은?

  1. No, we are going to work without rest.
  2. I hope so.
  3. I think that loading may be delayed a little.
  4. Yes, the cargo work will be finished on schedule.
(정답률: 66%)
  • "No, we are going to work without rest."은 질문과 관련이 없는 답변이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질문은 로딩이 예정대로 끝날 것인지에 대한 것이지, 로딩을 위해 휴식 없이 일할 것인지에 대한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크레인 취급 시 주의하시오”를 영문으로 표현할 때 ( ) 안에 적합한 것은?

  1. careful
  2. ready
  3. taking
  4. step by step
(정답률: 88%)
  • "Careful"은 주의 깊게, 조심스럽게라는 뜻으로, 크레인 취급 시에는 안전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이에 적합한 단어입니다. "Ready"는 준비된, "taking"은 취하는, "step by step"은 단계적으로라는 뜻으로, 크레인 취급 시에는 주의와 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필요하기 때문에 "careful"이 가장 적합한 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화물을 보내는 입장인 '위탁자'를 나나내는 단어는?

  1. Stevedore
  2. Tallyman
  3. Consignor
  4. Chief officer
(정답률: 71%)
  • Consignor는 화물을 보내는 입장인 사람이나 회사를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따라서 위의 보기 중에서 Consignor가 가장 적절한 단어입니다. Stevedore는 선박에서 화물을 적재하고 언로딩하는 일을 하는 사람을 나타내는 단어이고, Tallyman은 화물의 양과 상태를 기록하는 사람을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Chief officer는 선박의 2인자로서 선장의 대리인 역할을 하는 사람을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