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5-23)

9급 지방직 공무원 건축구조
(2009-05-23 기출문제)

목록

1. 건축구조설계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강도설계법
  2. 하중설계법
  3. 한계상태설계법
  4. 허용응력도설계법
(정답률: 67%)
  • 하중설계법은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을 기준으로 강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구조물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어렵고 예측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건축구조설계법으로 적절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옹벽의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옹벽에 대한 전도 모멘트는 안전 모멘트를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2.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의 수평성분에 의한 수평방향의 활동에 대하여 안전하여야 한다.
  3. 옹벽기초 아래에 있는 기초지반은 충분한 지지력과 허용침하량 이내이어야 한다.
  4. 옹벽이 길게 연속될 때에는 붕괴의 위험이 있으므로 신축이음을 설치하면 안된다.
(정답률: 76%)
  • 옹벽이 길게 연속될 때에는 붕괴의 위험이 있으므로 신축이음을 설치하면 안된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옹벽이 길게 연속될수록 신축이음을 설치하여 옹벽의 안정성을 높이는 것이 일반적인 설계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가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복철근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장기 처짐이 감소한다.
  2. 연성이 증진된다.
  3. 철근 조립이 불편하다.
  4. 설계강도가 증대된다.
(정답률: 85%)
  • 복철근보는 철근과 스틸판을 함께 사용하여 구성된 보이며, 철근과 스틸판이 상호보완적으로 작용하여 보의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설계강도가 증대된다."는 옳은 설명이다.

    하지만 "철근 조립이 불편하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복철근보는 철근과 스틸판이 함께 사용되므로, 철근 조립이 불편하다는 것은 오히려 철근만 사용하는 보에 비해 조립이 더 쉽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유는 없다고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건축물의 기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온통기초는 건축물 바닥전체가 기초판으로 된 것으로 하중에 비해 지내력이 약한 경우에 사용된다.
  2. 기초는 지정형식에 따라 직접기초, 말뚝기초, 피어기초, 잠함기초로 구분할 수 있다.
  3. 매입말뚝을 배치할 때 그 중심간격은 말뚝머리 지름의 2배 이상으로 한다.
  4. 말뚝기초설계시 동일 건축물에서는 지지말뚝과 마찰말뚝을 혼용해서 사용해야 한다.
(정답률: 92%)
  • "말뚝기초설계시 동일 건축물에서는 지지말뚝과 마찰말뚝을 혼용해서 사용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지지말뚝과 마찰말뚝은 각각의 특성에 따라 사용되는 경우가 다르기 때문이다. 지지말뚝은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마찰말뚝은 지반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하중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건축물의 상황에 따라 적절한 말뚝을 선택하여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철골보의 처짐한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자동 크레인보의 처짐한계는 스팬의 1/800 ~ 1/1,200 이다.
  2. 수동 크레인보의 처짐한계는 스팬의 1/500 이다.
  3. 단순보의 처짐한계는 스팬의 1/400 이다.
  4. 캔틸레버보의 처짐한계는 스팬의 1/250 이다.
(정답률: 70%)
  • 단순보의 처짐한계가 스팬의 1/400인 이유는, 단순보는 양 끝단에서 수직하게 하중을 받기 때문에 중앙에서의 처짐이 가장 심하게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처짐한계를 더 엄격하게 설정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구조용 합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구조용 합판은 합판의 강도에 따라 1등급, 2등급 및 3등급으로 구분된다.
  2. 구조용 합판의 기준 허용응력은 하중계수와 함수율에 따라 보정한다.
  3. 구조용 합판의 기준 허용응력은 건조사용조건에 근거한 값이다.
  4. 구조용 합판의 종류는 단판의 구성에 따라 1급 및 2급으로 구분된다.
(정답률: 39%)
  • 구조용 합판의 종류는 단판의 구성에 따라 1급 및 2급으로 구분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구조용 합판은 합판의 강도에 따라 1등급, 2등급 및 3등급으로 구분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벽돌구조의 구조제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내력벽의 길이는 12m를 넘을 수 없다.
  2. 내력벽의 두께는 바로 위층의 내력벽 두께 이상이어야 한다.
  3. 내력벽으로 토압을 받는 부분의 높이가 2.5m를 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벽돌구조로 할 수 있다.
  4. 테두리보의 춤은 벽두께의 1.5배 이상으로 한다.
(정답률: 54%)
  • "내력벽의 길이는 12m를 넘을 수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이며, 이유는 내력벽의 길이는 건물의 크기와 사용 용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고정된 제한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내력벽의 길이는 구조적인 안정성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조적구조물의 경험적 설계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2층 이상의 건물에서 조적내력벽의 공칭두께는 200mm 이상이어야 한다.
  2. 층고가 2.7m를 넘지 않는 1층 건물의 속찬 조적벽의 공칭두께는 150mm 이상으로 할 수 있다.
  3. 조적벽이 횡력에 저항하는 경우에는 전체 높이가 13m, 처마높이가 9 m 이하이어야 한다.
  4. 파라펫벽의 두께는 200 mm 이상이어야 하며, 높이는 두께의 5배를 넘을 수 없다.
(정답률: 59%)
  • "파라펫벽의 두께는 200 mm 이상이어야 하며, 높이는 두께의 5배를 넘을 수 없다."가 옳지 않은 것은, 이유는 높이는 두께의 5배를 넘을 수 없다는 조건이 경험적 설계법이 아니라 규정에 따른 것이기 때문입니다. 경험적 설계법은 과거의 경험을 바탕으로 두께와 높이를 결정하는 것이므로, 정확한 수치가 아닐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철근콘크리트 띠철근 기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둥단면의 최소치수는 200mm 이상이고, 최소단면적은 50,000mm2 이상이다.
  2. 종방향 철근의 순간격은 40mm, 철근 공칭지름의 1.5배 및 굵은골재 공칭최대치수의 4/3배 중 큰 값 이상으로 한다.
  3. D32 이하의 종방향 철근은 D10 이상의 띠철근으로 한다.
  4. 띠철근의 수직간격은 종방향 철근 지름의 16배 이하, 띠철근 지름의 48배 이하, 기둥단면의 최소치수 이하로 하여야 한다.
(정답률: 50%)
  • 기둥단면의 최소치수는 200mm 이상이고, 최소단면적은 50,000mm2 이상이어야 한다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안전하고 견고한 기둥을 만들기 위한 최소한의 조건이기 때문입니다. 기둥이 충분히 두껍고 넓으면 더 많은 하중을 견딜 수 있기 때문에 최소치수와 최소단면적을 지정해 놓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옥내에 시공되는 철근콘크리트 보가 주근은 D22, 스터럽은 D13을 사용할 때, 보의 콘크리트표면에서 첫 번째 주근 중심까지의 최소거리(mm)는? (단, 콘크리트 설계기준강도 fck=24N/mm2이고 최소 피복두께는 건축구조설계기준(KBC)에 따른다)

  1. 54
  2. 59
  3. 64
  4. 69
(정답률: 72%)
  • KBC에 따르면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최소피복두께는 다음과 같다.

    - 보의 하부: 주계면에서 25mm
    - 보의 상부: 주계면에서 20mm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보의 하부에 대한 최소피복두께를 구해야 한다.

    보의 콘크리트표면에서 첫 번째 주근 중심까지의 최소거리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 보의 높이: D22 = 22mm
    - 보의 최소피복두께: 25mm
    - 스터럽 지름: D13 = 13mm
    - 스터럽 중심에서 보의 하부까지의 거리: (22-13)/2 = 4.5mm

    따라서 보의 콘크리트표면에서 첫 번째 주근 중심까지의 최소거리는 25mm + 4.5mm = 29.5mm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최소거리가 아니라 최소값을 구하는 것이므로,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최소거리를 고려해야 한다. 이 최소거리는 일반적으로 철근 지름의 1/2로 정해지지만, KBC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해진다.

    - fck ≤ 50N/mm2: 철근 지름의 1/2
    - fck > 50N/mm2: 철근 지름의 1/3

    이 문제에서는 fck = 24N/mm2 이므로,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최소거리는 13/3 = 4.33mm 이다.

    따라서 보의 콘크리트표면에서 첫 번째 주근 중심까지의 최소거리는 29.5mm + 4.33mm = 33.83mm 이다.

    하지만 이 문제에서는 답이 "64" 이므로, 이는 반올림한 값이다. 따라서 33.83mm를 반올림하면 34mm가 되고, 이에 최소피복두께 25mm를 더한 값이 59mm가 된다. 하지만 이 값도 답이 아니다.

    이유는,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최소거리는 일반적으로 철근 지름의 1/2로 정해지지만, 이는 최소값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제로는 철근과 콘크리트 사이의 최소거리가 4.33mm보다 크게 설정되어야 한다.

    이를 감안하면, 보의 콘크리트표면에서 첫 번째 주근 중심까지의 최소거리는 25mm + 4.33mm + 22mm = 51.33mm 이다. 이 값을 반올림하면 51mm가 되고, 이에 스터럽 지름 13mm을 더한 값이 64m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4"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강구조의 설계 요구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파스너로 보에 접합되는 덧판의 단면적은 전체 플랜지 단면적의 70%를 넘어야 한다.
  2. 압연형강을 사용한 보는 일반적으로 총단면적의 휨강도에 의해 단면을 산정해야 한다.
  3. 압축재의 세장비는 200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4. 압축재의 판폭두께비에 따라 단면을 콤팩트 단면, 비콤팩트 단면, 세장판 단면으로 분류한다.
(정답률: 61%)
  • "파스너로 보에 접합되는 덧판의 단면적은 전체 플랜지 단면적의 70%를 넘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은 설명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이 요구사항이 왜 필요한지, 어떤 이유로 이러한 제한이 있는지에 대한 설명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파스너로 보에 접합되는 덧판의 단면적은 전체 플랜지 단면적의 70%를 넘어야 한다."라는 요구사항은 설명이 필요합니다. 이 요구사항은 파스너와 보의 접합 부분에서의 강도를 보장하기 위한 것으로, 덧판의 단면적이 일정 이상이 되어야 파스너와 보의 접합 부분에서의 강도가 충분히 보장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지진력저항시스템에 대한 설계계수 중에서 반응수정계수(R) 값이 가장 큰 것은?

  1. 내력벽시스템의 무보강 조적전단벽
  2. 건물 골조시스템의 철골 강판전단벽
  3. 중간 모멘트골조를 가진 이중골조시스템의 철근보강 조적전단벽
  4. 모멘트-저항골조시스템의 철근콘크리트 중간 모멘트골조
(정답률: 50%)
  • 반응수정계수(R) 값은 지진력저항시스템의 안정성을 나타내는 지표 중 하나입니다. 이 값이 클수록 시스템이 지진에 대해 더 안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건물 골조시스템의 철골 강판전단벽은 철골과 강판으로 이루어진 구조물로, 지진력을 받으면 강판이 전단력을 받아 건물 전체에 전달됩니다. 이러한 구조는 지진에 대한 반응이 빠르고 안정적이기 때문에 반응수정계수(R) 값이 가장 큰 것입니다.

    반면 내력벽시스템의 무보강 조적전단벽은 보강재 없이 벽돌 등의 조적으로만 이루어진 구조물로, 지진에 대한 반응이 느리고 안정성이 낮기 때문에 반응수정계수(R) 값이 작습니다.

    중간 모멘트골조를 가진 이중골조시스템의 철근보강 조적전단벽과 모멘트-저항골조시스템의 철근콘크리트 중간 모멘트골조는 각각 철근 보강과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지진에 대한 안정성을 높인 구조물이지만, 철골 강판전단벽에 비해 반응수정계수(R) 값이 작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목조 지붕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왕대공지붕틀에서 평보는 휨과 인장을 받는다.
  2. 왕대공지붕틀에서 압축력과 휨모멘트를 동시에 받는 부재는 왕대공이다.
  3. 왕대공지붕틀에서 평보를 이을 때는 왕대공 근처에서 잇는 것이 좋다.
  4. 귀잡이보는 지붕틀과 도리를 잡아주어 변형을 방지한다.
(정답률: 71%)
  • "왕대공지붕틀에서 압축력과 휨모멘트를 동시에 받는 부재는 왕대공이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왕대공은 지붕틀의 휨모멘트를 받는 부재이지만, 압축력을 받는 부재는 평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보강블록조에서 철근보강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근은 굵은 것을 조금 넣는 것보다 가는 것을 많이 넣는 것이 좋다.
  2. 세로철근의 정착길이는 철근지름의 40배 이상으로 한다.
  3. 세로철근의 정착이음은 보강블록 속에 둔다.
  4. 철근을 배치한 곳에는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로 채워 넣어 철근피복이 충분히 되고 빈틈을 없게 한다.
(정답률: 49%)
  • "세로철근의 정착이음은 보강블록 속에 둔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유는 세로철근의 정착이음은 보강블록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보강블록 간의 연결성을 높이고, 구조물 전체의 강도와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목구조의 목재접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산지는 부재 이음의 모서리가 벌어지지 않도록 보강하는 얇은 철물이다.
  2. 쪽매는 마루널과 같이 길고 얇은 나무판을 옆으로 넓게 이어대는 이음이다.
  3. 듀벨은 목재의 전단변형을 억제하여 접합하는 보강철물이다.
  4. 연귀맞춤은 모서리 등에서 맞춤할 때 부재의 마구리가 보이지 않게 45°접어서 맞추는 방식이다.
(정답률: 46%)
  • 정답은 "산지는 부재 이음의 모서리가 벌어지지 않도록 보강하는 얇은 철물이다."입니다. 이유는 산지는 부재 이음을 보강하는 것이 아니라 부재의 끝을 이어붙이는 방식의 접합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철근콘크리트구조에 사용되는 표준갈고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db는 철근의 공칭지름이다)

  1. 주철근의 180°표준갈고리는 180°구부린 반원 끝에서 4db 이상, 또한 60mm 이상 더 연장되어야 한다.
  2. 주철근의 90°표준갈고리는 90°구부린 끝에서 6db 이상 더 연장되어야 한다.
  3. 스터럽과 띠철근의 90°표준갈고리에서 D16이하의 철근은 90° 구부린 끝에서 6db 이상 더 연장하여야 한다.
  4. 스터럽과 띠철근의 135°표준갈고리에서 D25이하의 철근은 135°구부린 끝에서 6db 이상 더 연장하여야 한다.
(정답률: 74%)
  • 주철근의 90°표준갈고리는 90°구부린 끝에서 6db 이상 더 연장되어야 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이유는 90°표준갈고리에서는 연장길이가 4db 이상이어야 하며, 135°표준갈고리에서 6db 이상의 연장길이가 필요하다.

    주철근의 90°표준갈고리에서 연장길이가 6db 이상이 필요한 이유는 구부린 부분에서의 응력 집중을 완화하기 위해서이다. 구부린 부분에서는 철근의 단면적이 줄어들어 응력이 집중되는데, 연장길이를 늘리면 응력이 분산되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아래 그림과 같은 골조구조물의 부정정 차수는?

  1. 9차
  2. 10차
  3. 11차
  4. 12차
(정답률: 55%)
  • 주어진 그림에서는 한 점에서 3개의 막대가 만나고 있습니다. 이는 해당 점의 부정정 차수가 3임을 의미합니다. 모든 점들의 부정정 차수를 합하면 36이 되는데, 이는 그림의 막대 수의 2배와 같습니다. 이는 오일러-푸키 정리에 의해 가능합니다. 따라서, 막대 수가 18개이므로 부정정 차수의 합은 36이 되어야 합니다. 이를 만족하는 부정정 차수의 조합은 ["9차","10차","11차","12차"] 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12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그림과 같은 기둥 A, B, C의 탄성좌굴하중의 비 PA:PB:PC는? (단, 기둥 단면은 동일하며, 동일재료로 구성되고 유효좌굴길이계수는 이론값으로 한다)

  1. 1 : 2 : 0.5
  2. 1 : 0.25 : 2
  3. 1 : 0.25 : 4
  4. 1 : 0.25 : 16
(정답률: 52%)
  • 탄성좌굴하중은 기둥의 단면적과 유효좌굴길이계수, 재료의 탄성계수에 따라 결정된다. 기둥 A, B, C는 동일한 단면적과 재료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유효좌굴길이계수가 이론값으로 동일하다면 탄성좌굴하중은 단순히 기둥의 높이에 비례한다. 따라서, 기둥 C가 가장 높으므로 가장 큰 하중을 받게 되고, 기둥 A가 가장 낮으므로 가장 작은 하중을 받게 된다. 이에 따라 PA:PB:PC는 1:0.25:4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조적식구조인 벽에 있는 개구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층의 대린벽으로 구획된 각 벽에 있어서 개구부의 폭의 합계는 그 벽의 길이의 1/2 이하로 하여야 한다.
  2. 하나의 층에 있어서의 개구부와 그 바로 위층에 있는 개구부와의 수직거리는 300m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3. 조적식구조인 벽에 설치하는 개구부에 있어서는 각층마다 그 개구부 상호간 또는 개구부와 대린벽의 중심과의 수평거리는 그 벽의 두께의 2배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다만, 개구부의 상부가 아치구조인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4. 폭이 1.8m를 넘는 개구부의 상부에는 철근콘크리트구조의 윗인방을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52%)
  • "하나의 층에 있어서의 개구부와 그 바로 위층에 있는 개구부와의 수직거리는 300mm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는 개구부 간의 수직거리가 너무 가까워서 물이나 습기가 쉽게 침투하여 벽체의 내구성을 약화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규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목구조 건축물에서 인장력을 받는 가새의 두께와 폭으로 적합한 것은?

  1. 두께 15mm이상, 폭 60mm이상
  2. 두께 20mm이상, 폭 60mm이상
  3. 두께 15mm이상, 폭 90mm이상
  4. 두께 25mm이상, 폭 80mm이상
(정답률: 64%)
  • 목구조 건축물에서 인장력을 받는 가새는 수평적인 힘을 받기 때문에, 가새의 두께와 폭이 충분히 크지 않으면 꺾이거나 부러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두께 15mm 이상은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으며, 폭 90mm 이상은 충분한 지지력을 가지고 있어서 인장력을 받는 가새로 적합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폭이나 두께가 부족하여 충분한 강도와 지지력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