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5-22)

9급 지방직 공무원 건축구조
(2010-05-22 기출문제)

목록

1. 등가정적해석법에 의한 내진설계에서 밑면전단력의 결정에 필요한 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1. 반응수정계수
  2. 건물 밑면 너비
  3. 건물 고유주기
  4. 건물 중량
(정답률: 63%)
  • 등가정적해석법에서 밑면전단력은 건물의 중량, 고유주기, 반응수정계수 등의 요소에 의해 결정됩니다. 하지만 건물 밑면 너비는 밑면전단력의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따라서 "건물 밑면 너비"가 옳지 않은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중심축하중을 받는 강재기둥의 탄성좌굴하중 산정을 위해 필요한 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유효좌굴길이
  2. 단면계수
  3. 탄성계수
  4. 단면2차모멘트
(정답률: 71%)
  • 단면계수는 중심축하중을 받는 강재기둥의 탄성좌굴하중 산정을 위해 필요한 사항 중 하나이지만, 옳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확한 답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정보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단면계수는 강재기둥의 단면 형상과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값으로, 탄성좌굴하중을 산정하는 과정에서 사용됩니다. 단면계수가 클수록 강재기둥의 탄성좌굴하중은 작아지며, 반대로 작을수록 탄성좌굴하중은 커집니다. 따라서 단면계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조적조 건물에서의 벽량은?

  1. 바닥면적에 대한 내력벽 총길이의 비
  2. 바닥면적에 대한 내력벽 총두께의 비
  3. 바닥면적에 대한 내력벽 총단면적의 비
  4. 바닥면적에 대한 내력벽 총높이의 비
(정답률: 83%)
  • 조적조 건물에서의 벽량은 바닥면적에 대한 내력벽 총길이의 비이다. 이는 건물의 안정성과 내구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내력벽은 건물의 구조적인 요소로서, 지반의 부하를 받아들이고 외부의 자연재해나 인간의 활동으로부터 건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내력벽의 총길이가 많을수록 건물의 안정성과 내구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조적조 건물에서는 바닥면적에 대한 내력벽 총길이의 비를 기준으로 벽량을 산정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해안지역 건물 설계 시 염분에 대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피복두께를 증가시킨다.
  2. 콘크리트의 강도를 증가시킨다.
  3. 별도의 표면처리공사를 시행한다.
  4. 물-시멘트비가 큰 콘크리트를 사용한다.
(정답률: 88%)
  • 물-시멘트비가 큰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것은 옳은 대책입니다. 물-시멘트비가 큰 콘크리트는 물이 적게 사용되어 강도가 높아지고, 피복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아도 염분으로부터 건물을 보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는 옳은 대책이며,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판보(plate girder)의 웨브(web) 국부좌굴을 방지하기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웨브의 판폭두께비를 크게 한다.
  2. 커버플레이트(cover plate)를 사용한다.
  3. 웨브에 사용하는 강재의 강도를 높인다.
  4. 스티프너(stiffener)를 사용한다.
(정답률: 76%)
  • 판보의 웨브 국부좌굴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웨브의 횡단전단력을 받는 부분에 스티프너를 사용해야 합니다. 스티프너는 웨브의 국부좌굴을 방지하고, 보의 전체적인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스티프너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조적조 건물에서 발생하는 백화현상의 방지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벽돌과 벽돌 사이를 모르타르로 빈틈없이 채운다.
  2. 해사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3. 흡수율이 높은 벽돌을 사용하여 탄산칼슘의 발생을 억제한다.
  4. 파라핀 에멀션 등의 방수제를 사용한다.
(정답률: 83%)
  • 흡수율이 높은 벽돌을 사용하여 탄산칼슘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옳지 않은 방법입니다. 이는 오히려 벽돌이 물을 흡수하지 못하고 습기가 쌓이게 되어 건물 내부의 습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건물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환기와 건축재료의 선택이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콘크리트의 크리프(creep)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재하 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한다.
  2. 초기 재령 시 재하하면 증가한다.
  3. 휨 부재의 경우 압축철근이 많을수록 감소한다.
  4. 건조상태일 때보다 습윤상태일 때 증가한다.
(정답률: 89%)
  • 건조상태일 때보다 습윤상태일 때 증가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크리프는 시간에 따라 변형이 일어나는 현상으로, 재하 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며 초기 재령 시 재하하면 증가합니다. 또한, 휨 부재의 경우 압축철근이 많을수록 크리프가 감소합니다. 그러나 습윤상태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지하연속벽 또는 슬러리월(slurry wall) 공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흙막이벽의 기능뿐만 아니라 영구적인 구조벽체 기능을 겸한다.
  2. 대지 경계선에 근접시켜 설치할 수 있으므로 대지 면적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3. 안정액은 조립된 철근의 형태를 유지하고, 연속벽의 구조체를 형성한다.
  4. 차수효과가 우수하여 지하수가 많은 지반의 흙막이공법으로 적합하다.
(정답률: 74%)
  • 안정액은 조립된 철근의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지하공간을 둘러싸고 있는 흙을 일시적으로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안정액은 조립된 철근의 형태를 유지하고, 연속벽의 구조체를 형성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모살용접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모살용접의 유효면적은 유효길이에 유효목두께를 곱한 값으로 한다.
  2. 구멍모살용접의 유효길이는 목두께의 중심을 잇는 용접중심선의 길이로 한다.
  3. 모살용접의 유효목두께는 모살사이즈의 0.7배로 한다.
  4. 모살용접의 유효길이는 모살용접의 총길이에서 유효목두께의 2배를 공제한 값으로 한다.
(정답률: 52%)
  • "모살용접의 유효길이는 모살용접의 총길이에서 유효목두께의 2배를 공제한 값으로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 맞습니다.

    모살용접의 유효길이는 모살사이즈와 유효목두께에 따라 결정됩니다. 유효길이는 용접이 실제로 일어나는 부분으로, 유효목두께만큼의 길이가 실제로 용접이 이루어지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유효길이는 모살용접의 총길이에서 유효목두께를 빼서 계산됩니다. 유효목두께는 모살사이즈의 0.7배로 계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철근콘크리트부재 설계 시 철근의 항복강도가 400MPa일 때 가장 작은 값은?

  1. 슬래브의 건조수축 및 온도철근비
  2. D19 이형철근 사용 시 내력벽의 최소 수직철근비
  3. D16 이형철근 사용 시 내력벽의 최소 수평철근비
  4. 기둥의 최소 압축철근비
(정답률: 58%)
  • 철근의 항복강도가 400MPa일 때 가장 작은 값은 D19 이형철근입니다. 이는 이형철근의 단면적이 더 크기 때문에 더 많은 하중을 버틸 수 있기 때문입니다.

    D19 이형철근 사용 시 내력벽의 최소 수직철근비가 정답인 이유는 내력벽은 수직적인 하중에 노출되기 때문에 수직철근비가 중요합니다. 이형철근은 원형철근보다 단면적이 크기 때문에 더 많은 하중을 버틸 수 있으므로 내력벽의 최소 수직철근비를 충족시키기에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큰 휨강성이 요구되는 장경간 보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커버플레이트보
  2. 허니컴보
  3. 트러스보
  4. 하이브리드보
(정답률: 59%)
  • 하이브리드보는 휨강성이 다른 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장경간 보에 적합하지 않습니다. 하이브리드보는 주로 중간 지지점이 필요한 구조물에 사용되며, 트러스보나 허니컴보와 같은 보에 비해 더 많은 지지점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장경간 보에는 하이브리드보보다는 트러스보나 허니컴보가 더 적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목조건물의 마루틀 구성에 사용되지 않는 것은?

  1. 깔도리
  2. 멍에
  3. 장선
  4. 동바리
(정답률: 66%)
  • 깔도리는 목조건물의 마루틀 구성에 사용되지 않습니다. 이는 깔도리가 마루틀의 바닥면에 깔려서 사용되는 바닥재이기 때문입니다. 반면, 멍에는 기둥과 보를 연결하는 부재, 장선은 기둥과 보를 연결하는 부재, 동바리는 보와 보를 연결하는 부재로 모두 마루틀 구성에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연약지반에 건물을 시공할 경우, 건물의 부동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건물의 길이 증대
  2. 건물의 강성 증대
  3. 건물의 경량화
  4. 온통기초 사용
(정답률: 72%)
  • 정답인 "건물의 길이 증대"는 연약지반에서 건물의 부동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건물의 길이가 증대하면 건물의 무게 중심이 더욱 분산되어 지반에 가해지는 하중이 더욱 커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연약지반에서는 건물의 강성을 증대시키거나 경량화시켜 하중을 줄이는 등의 대책이 필요합니다. 또한, 온통기초를 사용하여 지반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시키는 것도 효과적인 대책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피복두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최외단 철근 중심까지의 거리로 정의된다.
  2.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성 및 철근과 콘크리트의 부착력 확보 관점에서 규정된 것이다.
  3. 기초판과 같이 흙에 접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되고 영구히 흙에 묻혀 있는 부재의 피복두께는 80mm 이상이어야 한다.
  4. 옥외 공기나 흙에 노출되지 않는 보와 기둥의 최소피복두께는 40mm이지만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40MPa 이상인 경우 10mm를 저감할 수 있다.
(정답률: 82%)
  •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최외단 철근 중심까지의 거리로 정의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피복두께는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 철근 표면까지의 거리로 정의된다. 이는 철근이 완전히 콘크리트 내부에 묻혀 있지 않고 일부가 노출되어 있을 때도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단부 갈고리를 사용하지 않은 인장철근의 정착길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상부철근은 하부철근보다 부착성능이 떨어지므로 정착길이를 증가시켜야 한다.
  2. 평균 쪼갬인장강도가 주어지지 않은 경량콘크리트를 사용할 경우 정착길이를 증가시켜야 한다.
  3. 에폭시 도막철근을 사용할 경우 정착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4. 인장철근의 정착길이는 300mm 이상이어야 한다.
(정답률: 80%)
  • "에폭시 도막철근을 사용할 경우 정착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에폭시 도막철근은 철근 표면에 에폭시 도막을 형성하여 부착성능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정착길이를 감소시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커튼월(curtain wal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부분 공장에서 생산되므로 현장인력이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2. 자중과 상부 커튼월의 하중을 지지하여야 한다.
  3. 패스너(fastener)는 고정방식, 회전방식, 슬라이드방식 등이 있다.
  4. 고층건물을 경량화하는 이점이 있다.
(정답률: 77%)
  • 커튼월은 건물의 외부 벽체로서, 건물의 내부 구조물과는 별도로 지지되며, 외부 환경으로부터 건물을 보호하고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자중과 상부 커튼월의 하중을 지지하여야 한다."는 옳은 설명이다. 커튼월은 건물의 무게를 지탱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때문에, 자중과 상부 커튼월의 하중을 지지하지 않으면 건물의 안전성이 보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커튼월 설계 시에는 이러한 하중을 고려하여 적절한 지지 구조를 고려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목구조 접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목재를 길이방향으로 접합하는 방법을 이음이라 하고, 두 부재를 직각 또는 경사지게 접합하는 방법을 맞춤이라 한다.
  2. 이음에는 맞댄이음, 겹친이음, 따낸이음 등이 있다.
  3. 듀벨은 볼트와 함께 사용됨으로써 인장과 휨에 대한 강성을 제공한다.
  4. 평보를 대공에 달아맬 때 사용하는 ㄷ자형 접합철물을 감잡이쇠라 한다.
(정답률: 88%)
  • "듀벨은 볼트와 함께 사용됨으로써 인장과 휨에 대한 강성을 제공한다."이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듀벨은 목재를 이음하는 방법 중 하나로, 두 목재의 연결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듀벨 자체로는 인장과 휨에 대한 강성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볼트와 함께 사용하면 더욱 강력한 연결이 가능해지지만, 듀벨 자체로도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건물 구조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연성모멘트골조방식은 횡력에 대한 저항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부재와 접합부의 연성을 증가시킨 구조이다.
  2.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표준바닥구조시스템에서 슬래브의 최소 두께는 벽식구조가 라멘구조보다 두껍다.
  3. 튜브를 여러 개 겹친 묶음튜브(bundled tube) 구조를 사용하면 전단지연(shear lag) 현상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4. 아웃리거는 건물의 내부 코아와 외부 기둥을 연결하는 트러스시스템이다.
(정답률: 48%)
  • 연성모멘트골조방식은 횡력에 대한 저항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부재와 접합부의 연성을 증가시킨 구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구조물의 고유진동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탄성계수를 감소시킨다.
  2. 구조물의 무게를 감소시킨다.
  3. 단면2차모멘트를 감소시킨다.
  4. 단면적을 감소시킨다.
(정답률: 52%)
  • 구조물의 무게를 감소시키는 것은 옳은 방법입니다. 무게가 감소하면 구조물의 질량이 감소하고, 따라서 구조물의 고유진동수가 감소합니다. 이는 구조물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건축구조물의 구조설계 시 하중산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문제 오류로 가답안 발표시 1번으로 발표되었지만 확정 답안 발표시 1, 2, 3번이 정답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가답안인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슬래브에 대한 활하중 산정 시 영향면적에 대한 저감계수를 고려할 수 있다.
  2. 적설하중 산정에는 노출계수, 온도계수, 경사계수 등이 영향을 미친다.
  3. 풍하중 산정에는 가스트영향계수, 고도분포계수, 중요도계수 등이 영향을 미친다.
  4. 지진하중 산정 시 연성이 큰 구조시스템일수록 반응수정계수가 크다.
(정답률: 70%)
  • 슬래브에 대한 활하중 산정 시 영향면적에 대한 저감계수를 고려할 수 있다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슬래브의 경우 일반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하중이 가해지는 면적이 일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영향면적에 대한 저감계수를 고려하여 산정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도 모두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