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건축구조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6-06-18)

9급 지방직 공무원 건축구조
(2016-06-18 기출문제)

목록

1. 풍하중 산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풍하중은 주골조설계용 수평풍하중, 지붕풍하중 및 외장재 설계용 풍하중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설계풍압에 유효면적을 곱하여 산정한다.
  2. 주골조설계용 설계풍압은 설계속도압, 가스트영향계수, 풍력계수 또는 외압계수를 곱하여 산정한다. 다만, 부분개방형 건축물 및 지붕풍하중을 산정할 때에는 내압의 영향도 고려한다.
  3. 설계속도압은 공기밀도에 설계풍속의 제곱근을 곱하여 산정한다.
  4. 외장재설계용 설계풍압은 가스트영향계수와 내압, 외압계수를 함께 고려한 피크외압계수, 피크내압계수에 설계속도압을 곱하여 산정한다.
(정답률: 68%)
  • 설계속도압은 공기밀도에 설계풍속의 제곱근을 곱하여 산정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설계속도압은 공기밀도, 설계풍속, 기압, 온도 등의 요소를 고려하여 복잡한 계산을 거쳐 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조적식 구조에서 모르타르와 그라우트의 재료기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그라우트는 시멘트성분의 재료로서 석회 또는 포틀랜드시멘트 중에서 1가지 또는 2가지로 만들 수 있다.
  2. 모르타르는 시멘트성분의 재료로서 석회, 포틀랜드시멘트 중에서 1가지 또는 그 이상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3. 시멘트 성분을 지닌 재료 또는 첨가제들은 에폭시수지와 그 부가물이나 페놀, 석면섬유 또는 내화점토를 포함할 수 있다.
  4. 모르타르나 그라우트에 사용되는 물은 깨끗해야 하고, 산ㆍ알칼리의 양, 유기물 또는 기타 유해물질의 영향이 없어야 한다.
(정답률: 80%)
  • 시멘트 성분을 지닌 재료 또는 첨가제들은 에폭시수지와 그 부가물이나 페놀, 석면섬유 또는 내화점토를 포함할 수 있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는 모르타르와 그라우트의 재료기준과는 관련이 없는 내용입니다. 모르타르와 그라우트의 재료기준은 시멘트성분의 종류와 물의 품질에 대한 내용이며, 에폭시수지나 석면섬유와 같은 물질은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압축하중을 받는 장주의 좌굴하중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부재 단면의 단면2차모멘트를 증가시킨다.
  2. 부재 단면의 회전반지름(단면2차반경)을 증가시킨다.
  3. 부재의 탄성계수를 증가시킨다.
  4. 부재의 비지지길이를 증가시킨다.
(정답률: 71%)
  • 부재의 비지지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은 좌굴하중을 증가시키는 방안으로 옳지 않습니다. 이는 부재의 좌굴 안정성과 관련된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비지지길이가 길어질수록 부재의 좌굴 안정성이 감소하게 되므로, 오히려 좌굴하중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옳은 방안은 부재 단면의 단면2차모멘트를 증가시키거나, 회전반지름(단면2차반경)을 증가시키거나, 부재의 탄성계수를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철근콘크리트 압축부재의 횡철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방향 철근의 위치를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2. 전단력에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
  3. 나선철근의 순간격은 25mm 이상, 75mm 이하이어야 한다.
  4. 축방향 철근이 원형으로 배치된 경우에는 원형띠철근을 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74%)
  • 축방향 철근이 원형으로 배치된 경우에는 원형띠철근을 사용할 수 없는 이유는, 원형띠철근은 횡방향 철근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축방향 철근이 원형으로 배치된 경우에는 다른 방법으로 횡방향 철근의 위치를 고정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목구조에서 방화구획 및 방화벽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방화구획에 설치되는 방화문은 항상 닫힌 상태로 유지하거나 수동으로 닫히는 구조이어야 한다.
  2. 주요구조부가 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건축물은 연면적 1,000m2(자동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 설치시 2,000m2) 이내마다 방화구획을 설치하여야 한다.
  3. 연면적 1,000m2 이상인 목조의 건축물은 외벽 및 처마 밑의 연소할 우려가 있는 부분을 방화구조로 하되, 그 지붕은 불연재료로 하여야 한다.
  4. 환기, 난방 또는 냉방시설의 풍도가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경우에는 방화댐퍼를 설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73%)
  • "방화구획에 설치되는 방화문은 항상 닫힌 상태로 유지하거나 수동으로 닫히는 구조이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방화문은 화재 발생 시 자동으로 닫히는 자동화재감지장치와 연동되어야 하며, 수동으로도 닫힐 수 있어야 한다. 이는 화재 발생 시 인명과 재산의 안전을 위해 방화문이 자동으로 닫혀 화재 확산을 막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강구조 설계 시 합성기둥의 구조제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E는 강재의 탄성계수, Fy는 강재의 항복강도를 나타낸다)

  1. 매입형 합성기둥에서 강재코어의 단면적은 합성기둥 총단면적의 1% 이상으로 한다.
  2. 매입형 합성기둥에서 강재코어를 매입한 콘크리트는 연속된 길이방향철근과 띠철근 또는 나선철근으로 보강되어야 한다.
  3. 충전형 합성기둥에 사용되는 각형강관의 판폭두께비는 이하이어야 한다.
  4. 충전형 합성기둥에 사용되는 원형강관의 지름두께비는 1.15E/Fy이하이어야 한다.
(정답률: 60%)
  • "충전형 합성기둥에 사용되는 원형강관의 지름두께비는 1.15E/Fy이하이어야 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강구조 설계 시 합성기둥의 구조제한은 합성기둥의 사용 목적, 환경, 부하 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되기 때문에, 단순히 지름두께비만으로 구조제한을 결정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보기는 부적절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그림과 같은 트러스에서 L부재의 부재력은?

  1. 4kN (인장력)
  2. 5kN (인장력)
  3. 6kN (인장력)
  4. 7kN (인장력)
(정답률: 67%)
  • 트러스 구조에서 부재력은 해당 부재에 작용하는 하중과 부재의 형상, 재료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이 문제에서는 L 부재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10kN의 하중이 작용하고 있습니다.

    L 부재는 오른쪽으로 가는 방향으로 인장력이 작용하게 됩니다. 이는 L 부재가 하중에 의해 늘어나는 방향과 반대 방향입니다.

    따라서, L 부재에 작용하는 인장력은 10kN의 하중과 반대 방향으로 4kN, 5kN, 6kN, 7kN 중 어느 것일까요?

    L 부재가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이 없으므로, L 부재에 작용하는 인장력은 10kN의 하중과 같은 크기여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6kN (인장력)"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철근콘크리트 플랫슬래브의 지판 설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플랫슬래브에서 기둥 상부의 부모멘트에 대한 철근을 줄이기 위해 지판을 사용할 수 있다.
  2. 지판은 받침부 중심선에서 각 방향 받침부 중심간 경간의 1/8 이상을 각 방향으로 연장시켜야 한다.
  3. 지판의 슬래브 아래로 돌출한 두께는 돌출부를 제외한 슬래브 두께의 1/4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4. 지판 부위의 슬래브 철근량 계산 시 슬래브 아래로 돌출한 지판의 두께는 지판의 외단부에서 기둥이나 기둥머리면까지 거리의 1/4 이하로 취하여야 한다.
(정답률: 52%)
  • "지판은 받침부 중심선에서 각 방향 받침부 중심간 경간의 1/8 이상을 각 방향으로 연장시켜야 한다."이 옳지 않은 것이다. 지판은 받침부 중심선에서 각 방향 받침부 중심간 경간의 1/4 이상을 각 방향으로 연장시켜야 한다. 이는 지판이 받침부에서의 하중을 전달하기 위해 충분한 지지면적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과 같은 조건의 편심하중을 받는 독립기초판의 설계용접지압은? (단, 접지압은 직선적으로 분포된다고 가정한다)

  1. 250kN/m2
  2. 300kN/m2
  3. 500kN/m2
  4. 600kN/m2
(정답률: 69%)
  • 독립기초판의 설계용접지압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설계용접지압 = (최대허용하중 / 안전계수) / 기초판의 면적

    여기서 최대허용하중은 지반의 허용압력으로 정해지며, 안전계수는 일반적으로 2.0으로 가정합니다.

    이 문제에서는 최대허용하중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토양의 허용압력 중 하나인 600kN/m2를 사용하겠습니다.

    기초판의 면적은 독립기초판의 경우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기초판의 면적 = (총하중 / 허용압력) x (1 + 6e/D)

    여기서 총하중은 편심하중과 기둥의 무게를 합한 값입니다. 이 문제에서는 기둥의 무게가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무시하겠습니다.

    편심하중은 200kN/m이 주어졌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총하중을 구할 수 있습니다.

    총하중 = 편심하중 x 기초판의 폭 = 200kN/m x 3m = 600kN/m

    허용압력은 위에서 가정한 600kN/m2를 사용하겠습니다.

    기초판의 폭은 3m이 주어졌으므로, e/D 비율을 구해보겠습니다.

    e/D = 0.5m / 1.5m = 1/3

    따라서,

    기초판의 면적 = (총하중 / 허용압력) x (1 + 6e/D) = (600kN/m / 600kN/m2) x (1 + 6 x 1/3) = 4m2

    마지막으로, 설계용접지압을 구해보겠습니다.

    설계용접지압 = (최대허용하중 / 안전계수) / 기초판의 면적 = (600kN/m2 / 2.0) / 4m2 = 150kN/m2

    따라서, 보기 중에서 정답은 "300kN/m2"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직접설계법을 적용한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설계에서 내부경간 슬래브에 작용하는 전체 정적계수휨모멘트(M0)는 200kNㆍm이다. 이 내부경간 슬래브에서 단부와 중앙부의 계수휨모멘트로 옳은 것은? (단, ‘-’는 부계수휨모멘트, ‘+’는 정계수휨모멘트를 나타낸다) (순서대로 단부, 중앙부)

  1. -130kNㆍm, +70kNㆍm
  2. -100kNㆍm, +100kNㆍm
  3. -70kNㆍm, +130kNㆍm
  4. -40kNㆍm, +160kNㆍm
(정답률: 62%)
  • 내부경간 슬래브에서 전체 정적계수휨모멘트(M0)가 200kNㆍm이므로, 내부경간 슬래브의 중앙부에 위치한 중앙하중의 계수휨모멘트는 M0/2 = 100kNㆍm이다. 이 중앙하중이 내부경간 슬래브의 중앙부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단부에서는 중앙하중의 반만큼의 부계수휨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단부의 부계수휨모멘트는 -100/2 = -50kNㆍm이다. 중앙부에서는 중앙하중의 전체 정계수휨모멘트가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중앙부의 정계수휨모멘트는 +100kNㆍm이다. 이에 따라 옳은 답은 "-130kNㆍm, +70kNㆍm"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지반조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예비조사는 기초의 형식을 구상하고 본조사의 계획을 세우기 위해 시행한다.
  2. 예비조사에서는 대지 내의 개략의 지반구성, 층의 토질의 단단함과 연함 및 지하수의 위치 등을 파악한다.
  3. 본조사의 조사항목은 지반의 상황에 따라서 적절한 원위치시험과 토질시험을 하고, 지지력 및 침하량의 계산과 기초공사의 시공에 필요한 지반의 성질을 구하는 것으로 한다.
  4. 평판재하시험의 최대 재하하중은 지반의 극한지지력의 2배 또는 예상되는 장기 설계하중의 2.5배로 한다.
(정답률: 67%)
  • 예상되는 장기 설계하중의 2.5배로 한다는 것이 옳지 않습니다. 평판재하시험의 최대 재하하중은 지반의 극한지지력의 2배로 한다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안전성을 고려하여 지반의 최대 지지력보다는 그보다 작은 하중으로 설계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강구조 이음부 설계세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응력을 전달하는 단속모살용접 이음부의 길이는 모살사이즈의 5배 이상 또한 25mm 이상을 원칙으로 한다.
  2. 응력을 전달하는 겹침이음은 2열 이상의 모살용접을 원칙으로 하고, 겹침길이는 얇은쪽 판 두께의 5배 이상 또한 25mm 이상 겹치게 해야 한다.
  3. 고력볼트의 구멍중심 간의 거리는 공칭직경의 2.5배 이상으로 한다.
  4. 고력볼트의 구멍중심에서 볼트머리 또는 너트가 접하는 재의 연단까지의 최대거리는 판 두께의 12배 이하 또한 150mm 이하로 한다.
(정답률: 52%)
  • 정답은 "고력볼트의 구멍중심 간의 거리는 공칭직경의 2.5배 이상으로 한다."입니다. 이는 강구조 이음부 설계세칙 중에서 나머지 항목들과 달리 "2.5배 이상"으로 명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응력을 전달하는 단속모살용접 이음부의 길이는 모살사이즈의 5배 이상 또는 25mm 이상을 원칙으로 하는 이유는, 충분한 길이가 확보되어야 응력이 골고루 분산되고, 이음부의 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응력을 전달하는 겹침이음은 2열 이상의 모살용접을 원칙으로 하고, 겹침길이는 얇은쪽 판 두께의 5배 이상 또는 25mm 이상 겹치게 해야 하는 이유도 마찬가지입니다. 충분한 겹침길이가 확보되어야 응력이 골고루 분산되고, 이음부의 강도가 향상되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고력볼트의 구멍중심에서 볼트머리 또는 너트가 접하는 재의 연단까지의 최대거리는 판 두께의 12배 이하 또는 150mm 이하로 한 이유는, 이 거리가 너무 멀어지면 볼트의 접합력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이음부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콘크리트의 크리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콘크리트 강도가 낮을수록 크리프는 증가한다.
  2. 재하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크리프는 증가한다.
  3. 외기의 상대습도가 높을수록 크리프는 증가한다.
  4. 작용하중이 클수록 크리프는 증가한다.
(정답률: 75%)
  • 외기의 상대습도가 높을수록 크리프는 증가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오히려 외기의 상대습도가 낮을수록 크리프는 증가합니다. 이는 콘크리트가 건조할수록 수분이 증발하면서 수분에 의한 응력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외기의 상대습도가 높을수록 콘크리트의 수분이 증발하지 않고 유지되어 응력이 감소하지 않아 크리프가 감소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공간쌓기벽의 벽체연결철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벽체연결철물의 단부는 90°로 구부려 길이가 최소 50mm 이상이어야 한다.
  2. 공간쌓기벽의 공간너비가 80mm 미만인 경우에는 벽체면적 4.0m2당 적어도 직경 9.0mm의 연결철물 1개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3. 연결철물은 교대로 배치해야 하며, 연결철물 간의 수직과 수평간격은 각각 600mm와 900mm를 초과할 수 없다.
  4. 개구부 주위에는 개구부의 가장자리에서 300mm 이내에 최대간격 900mm인 연결철물을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
(정답률: 59%)
  • 옳지 않은 설명은 "공간쌓기벽의 공간너비가 80mm 미만인 경우에는 벽체면적 4.0m2당 적어도 직경 9.0mm의 연결철물 1개 이상 설치하여야 한다." 입니다. 공간쌓기벽의 공간너비가 80mm 미만인 경우에는 벽체면적 2.0m2당 적어도 직경 9.0mm의 연결철물 1개 이상 설치하여야 합니다. 이는 벽체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규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구조용 목재의 설계허용휨응력 산정 시 적용하는 보정계수가 아닌 것은?

  1. 하중기간계수
  2. 온도계수
  3. 습윤계수
  4. 부패계수
(정답률: 69%)
  • 구조용 목재의 설계허용휨응력 산정 시에는 하중기간계수, 온도계수, 습윤계수 등의 보정계수가 적용됩니다. 이 중에서 부패계수는 보정계수가 아닙니다. 부패계수는 목재의 내구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목재가 부식되거나 부패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적용됩니다. 따라서 구조용 목재의 설계허용휨응력 산정 시에는 부패계수가 아닌 다른 보정계수들이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리브가 없는 철근콘크리트 일방향 캔틸레버 슬래브의 캔틸레버된 길이가 2m일 때, 처짐을 계산하지 않는 경우의 해당 슬래브 최소두께는? (단, 해당 슬래브는 큰 처짐에 의해 손상되기 쉬운 칸막이벽이나 기타 구조물을 지지 또는 부착하지 않으며, 보통콘크리트(단위질량 wc=2,300kg/m3)와 설계기준항복강도 400MPa 철근을 사용한다)

  1. 80mm
  2. 100mm
  3. 150mm
  4. 200mm
(정답률: 55%)
  • 캔틸레버 슬래브의 최소두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최소두께 = (캔틸레버된 길이 × 제곱근(보강비)) ÷ (12 × (1-보강비) × (wc/2 + ws))

    여기서 보강비는 철근의 단면적과 콘크리트 단면적의 비율이다. 일반적으로 보강비는 1%에서 2% 사이이며, 이 문제에서는 보강비를 1.5%로 가정한다.

    최소두께 = (2m × 제곱근(0.015)) ÷ (12 × (1-0.015) × (2,300kg/m3/2 + 400MPa × 1.5%))

    최소두께를 계산하면 약 200mm가 나오므로, 정답은 "200mm"이다. 이는 캔틸레버 슬래브가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는 최소두께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지진력저항시스템에 대한 설계계수에서 내력벽 시스템의 반응수정계수(R)로 옳지 않은 것은?

  1. 철근콘크리트 특수전단벽:5
  2. 철근콘크리트 보통전단벽:4
  3. 철근보강 조적 전단벽:3
  4. 무보강 조적 전단벽:1.5
(정답률: 64%)
  • 철근보강 조적 전단벽의 반응수정계수가 3인 것은 내력벽 시스템 중에서 가장 낮은 값이기 때문입니다. 이는 지진 등의 외부하중에 대한 내력벽의 반응이 다른 시스템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지진력저항시스템의 설계에서는 철근보강 조적 전단벽을 사용할 경우, 다른 내력벽 시스템에 비해 더 많은 수의 내력벽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강구조 조립압축재의 구조 제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단, Ey는 강재의 탄성계수, 는 강재의 항복강도를 나타낸다)

  1. 2개 이상의 압연형강으로 구성된 조립압축재는 접합재 사이의 개재세장비가 조립압축재의 전체세장비의 3/4배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2. 덧판을 사용한 조립압축재의 파스너 및 단속용접의 최대간격은 가장 얇은 덧판 두께의 배 또는 500mm 이하로 한다.
  3. 도장 내후성 강재로 만든 조립압축재의 긴결간격은 가장 얇은 판 두께의 14배 또는 170mm 이하로 한다.
  4. 조립재 단부에서 개재 상호간을 고력볼트로 접합할 때, 조립재 최대폭의 1.5배 이상의 구간에 대해서 길이방향으로 볼트직경의 4배 이하 간격으로 접합한다.
(정답률: 45%)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강구조 설계 시 충격이 발생하는 활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물에 대해서, 별도 규정이 없는 경우 공칭활하중 최소 증가율로 옳지 않은 것은?

  1. 승강기의 지지부:100%
  2. 피스톤운동기기 또는 동력구동장치의 지지부:50%
  3. 바닥과 발코니를 지지하는 행거:33%
  4. 운전실 조작 주행크레인 지지보와 그 연결부:10%
(정답률: 75%)
  • 운전실 조작 주행크레인 지지보와 그 연결부의 공칭활하중 최소 증가율이 10%인 것은, 해당 구조물이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주행크레인은 무거운 물체를 들어올리고 이동시키는 기계로, 작업 중에 갑작스러운 충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해당 구조물은 충격에 대한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해 공칭활하중 최소 증가율이 높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철근콘크리트 휨부재설계 시 제한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보의 횡지지 간격은 압축플랜지 또는 압축면의 최소폭의 50배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2. 하중의 횡방향 편심의 영향은 횡지지 간격을 결정할 때 고려되어야 한다.
  3. 두께가 균일한 구조용 슬래브와 기초판에 대하여 경간방향으로 보강되는 인장철근의 최대간격은 슬래브 또는 기초판 두께의 3배와 450mm 중 큰 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4. 보의 깊이 h가 900mm를 초과하면 종방향 표피철근을 인장연단으로부터 h/2 받침부까지 부재 양쪽 측면을 따라 균일하게 배치하여야 한다.
(정답률: 61%)
  • "보의 깊이 h가 900mm를 초과하면 종방향 표피철근을 인장연단으로부터 h/2 받침부까지 부재 양쪽 측면을 따라 균일하게 배치하여야 한다."가 제한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이는 보의 깊이가 900mm를 초과할 때 적용되는 규정이며, 다른 제한사항과는 별개로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