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6-15)

9급 지방직 공무원 국어
(2019-06-15 기출문제)

목록

1. 다음에 해당하는 사례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성공(成功):실패(失敗)
  2. 시상(施賞):수상(受賞)
  3. 판매(販賣):구매(購買)
  4. 공격(攻擊):방어(防禦)
(정답률: 47%)
  • 시상과 수상은 서로 대응되는 관계이지만, 다른 보기들은 모두 어떤 행위를 하는 쪽과 그 결과를 받는 쪽으로 대응되는 관계이다. 하지만 성공과 실패는 결과를 받는 쪽과 그 결과를 만들어내는 쪽으로 대응되는 관계이기 때문에 다른 보기들과는 대응되지 않는다. 따라서 "성공(成功):실패(失敗)"가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토론에서 사회자가 하는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토론을 시작하면서 논제가 타당한지 토론자들의 의견을 묻는다.
  2. 토론자들에게 토론의 전반적인 방향과 유의점에 대해 안내한다.
  3. 청중의 의견을 수렴하여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쟁점을 약화시킨다.
  4. 토론자의 주장과 논거를 비판하는 견해를 개진하여 논쟁의 확산을 꾀한다.
(정답률: 83%)
  • 토론에서 사회자는 토론자들에게 토론의 전반적인 방향과 유의점에 대해 안내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는 토론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로, 토론자들이 주제에서 벗어나거나 논쟁이 과격해지는 것을 방지하고, 토론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입니다. 따라서 "토론자들에게 토론의 전반적인 방향과 유의점에 대해 안내한다."가 가장 적절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글의 글쓰기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1. 예측할 수 없는 결과를 나열하여 사태의 심각성을 알리고 있다.
  2. 전문 용어의 뜻을 쉽게 풀이하여 독자의 이해를 돕고 있다.
  3. 이론적 근거를 나열하여 주장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있다.
  4. 통계 수치를 활용하여 논거의 타당성을 높이고 있다.
(정답률: 83%)
  • 이 글은 주어진 그래프를 통해 통계 수치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글의 내용을 논리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따라서 "통계 수치를 활용하여 논거의 타당성을 높이고 있다."가 가장 적절한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밑줄 친 부분이 어법에 맞는 것은?

  1. 이 가곡의 노래말은 아름답다.
  2. 그 집의 순대국은 아주 맛있다.
  3. 하교길은 늘 아이들로 북적인다.
  4. 선생님은 간단한 인사말을 건넸다.
(정답률: 71%)
  • 선생님은 간단한 인사말을 건넸다.
    인사말은 일상적인 표현으로, 명사 앞에 조사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어법에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가)의 관점에서 (나)를 감상할 때 가장 적절한 것은?

  1. 전통적 민요의 율격을 바탕으로 한 정형적 형식을 통해 정제된 시상이 효과적으로 드러났군.
  2. 삶의 고통스러운 단면을 외면한 채 유유자적한 삶만을 그린 것은 아닌지 비판할 여지가 있군.
  3. 낭만적 감성을 불러일으키는 시적 분위기가 시조에서 보이는 선경후정과 비슷한 양상을 띠는군.
  4. 해질 무렵 강가를 거닐며 조망한 풍경의 이미지가 한 폭의 그림을 보는 듯한 감각을 자아내는군.
(정답률: 87%)
  • 이미지에서는 아름다운 자연 풍경과 함께 시적인 분위기가 전해지지만, 이는 삶의 고통스러운 단면을 외면한 채 유유자적인 삶만을 그린 것이 아닌지 비판할 여지가 있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시적인 분위기와 함께 현실적인 문제와 고통도 함께 다루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글에 대한 이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자신이 배운 것을 제때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친밀한 교우(交友) 관계가 중요하다.
  2. 시대와 불화(不和)한 독자일수록 독서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발견하기 쉽다.
  3. 반가운 벗과의 독서야말로 진정한 독자로 거듭날 수 있는 첩경(捷徑)이다.
  4. 독서는 타인의 경험이나 생각 등을 자기화(自己化)하는 과정이다.
(정답률: 71%)
  • 독서는 타인의 경험이나 생각 등을 자기화(自己化)하는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밑줄 친 부분의 띄어쓰기가 옳은 것은?

  1. 그 중에 깨끗한 옷만 골라 입으세요.
  2. 어제는 밤이 늦도록 옛 책을 뒤적였다.
  3. 시간 날 때 낚시나 한 번 같이 갑시다.
  4. 사람들은 황급히 굴 속으로 모여들었다.
(정답률: 52%)
  • "어제는 밤이 늦도록 옛 책을 뒤적였다."가 옳은 띄어쓰기입니다. "옛 책을"은 명사구이며, "옛"은 "책"을 수식하는 형용사입니다.

    이유는 "옛 책을"이 하나의 뜻으로 묶여 있기 때문입니다. "옛"은 "책"을 수식하는 형용사이므로 둘 사이에 띄어쓰기를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1. ㉠: 한 가지 유형의 음운 변동이 나타난다.
  2. ㉡: 인접한 음의 영향을 받아 조음 위치가 같아지는 동화 현상이 나타난다.
  3. ㉢: 음운 변동 전의 음운 개수와 음운 변동 후의 음운 개수가 서로 다르다.
  4. ㉣: 음절 끝에 ‘ㄱ, ㄴ, ㄷ, ㄹ, ㅁ, ㅂ, ㅇ’ 이외의 자음이 오면 이 7개의 자음 중 하나로 바뀌는 규칙이 적용된다.
(정답률: 53%)
  • 보기에서 제시된 이유 중 정답은 "㉢: 음운 변동 전의 음운 개수와 음운 변동 후의 음운 개수가 서로 다르다." 입니다. 이는 음운 변동이 발생하면서 음운의 개수가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어법에 어긋난 문장을 수정하고 설명한 예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관련 도서는 해당 부서에 비치하고 관계자에게 열람한다. → 서술어 ‘열람하다’는 부사어 ‘관계자에게’와 호응하지 않으므로 ‘열람하게 한다.’와 같이 바꾼다.
  2. 해안선에서 200미터 이내의 수역을 제외된 상태에서 논의를 진행하겠습니다. → 목적어 ‘수역을’과 서술어 ‘제외되다’는 호응하지 않으므로 ‘제외된’은 ‘제외한’으로 바꾼다.
  3. 안내서 및 과업 지시서 교부는 참가 신청자에게만 교부한다. → ‘과업 지시서 교부’와 서술어 ‘교부하다’는 의미상 중복되며 호응하지 않으므로 앞의 ‘교부’를 삭제한다.
  4. 유사한 내용의 제안이 접수되었을 때에는 먼저 접수된 것이 우선한다. → ‘접수되었을 때에는’은 사건이나 행위가 완료된 상황을 나타내므로 ‘접수될 때에는’으로 바꾼다.
(정답률: 64%)
  • - "안내서 및 과업 지시서 교부는 참가 신청자에게만 교부한다. → ‘과업 지시서 교부’와 서술어 ‘교부하다’는 의미상 중복되며 호응하지 않으므로 앞의 ‘교부’를 삭제한다." : 적절하지 않은 것이 아니다. 문장 구성이 명확하고 어법에도 문제가 없다.
    - "유사한 내용의 제안이 접수되었을 때에는 먼저 접수된 것이 우선한다. → ‘접수되었을 때에는’은 사건이나 행위가 완료된 상황을 나타내므로 ‘접수될 때에는’으로 바꾼다." : 접수되었을 때에는 이미 접수가 완료된 상황이므로 "접수될 때에는"으로 수정해야 한다.
    - "관련 도서는 해당 부서에 비치하고 관계자에게 열람한다. → 서술어 ‘열람하다’는 부사어 ‘관계자에게’와 호응하지 않으므로 ‘열람하게 한다.’와 같이 바꾼다." : "열람하게 한다."는 누가 열람하게 할 것인지가 명확하지 않으므로 "관계자에게 열람하게 한다."로 수정해야 한다.
    - "해안선에서 200미터 이내의 수역을 제외된 상태에서 논의를 진행하겠습니다. → 목적어 ‘수역을’과 서술어 ‘제외되다’는 호응하지 않으므로 ‘제외된’은 ‘제외한’으로 바꾼다." : "제외된"은 과거 분사형으로 수역이 이미 제외된 상태를 나타내므로 수정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가)~(라)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가): 연쇄법을 활용하여 고인의 길을 따르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2. (나): 문답법과 대조법을 활용하여 임의 만수무강을 기원하고 있다.
  3. (다): ‘ᄀᆞᆺ치’를 반복적으로 표현하여 운율감을 더하고 있다.
  4. (라): 냉소적 어조를 통해 상대에 대한 불편한 심기를 표출하고 있다.
(정답률: 41%)
  • (가): 연쇄법을 활용하여 고인의 길을 따르겠다는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에 제시된 단어의 의미에 맞게 쓴 문장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 장기에서 포는 죽고 차만 살아 있다.
  2. ㉡: 그는 벼슬을 살기 싫어 속세를 버렸다.
  3. ㉢: 옷에 풀기가 아직 살아 있다.
  4. ㉣: 그렇게 세게 부딪혔는데도 시계가 살아 있다.
(정답률: 85%)
  • ㉢번 문장은 옷에 풀기가 아직 살아 있다는 뜻으로, 옷에 묻은 풀이 아직 떨어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이미지에서는 옷에 풀이 묻어있지 않으므로, ㉢번 문장은 적절하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진행자의 말하기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상대방의 의견이 합리적이지 않음을 지적하며 인터뷰를 마무리 짓는다.
  2. 상대방이 인용한 통계 자료에 대해 자기 나름대로의 해석을 제시한다.
  3. 상대방이 제시한 정보 이외에 추가적인 정보를 요구한다.
  4. 상대방에게 해당 제도의 시행 배경에 대한 객관적인 근거를 요구한다.
(정답률: 76%)
  • 정답은 "상대방의 의견이 합리적이지 않음을 지적하며 인터뷰를 마무리 짓는다."입니다. 이는 인터뷰 과정에서 상대방의 의견을 존중하지 않고, 논리적인 대화를 이어나가지 않는 것으로 인터뷰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적절하지 않은 방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글의 제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진보와 진화에 관한 견해들
  2. 역사의 법칙과 자연의 법칙
  3. 인간 유전의 사회적 의미
  4. 자연의 진보에 대한 증거
(정답률: 71%)
  • "진보와 진화에 관한 견해들"이 가장 적절한 제목이다. 이는 해당 글에서 다양한 인물들의 진보와 진화에 대한 견해와 이를 논의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기 때문이다. 다른 보기들은 해당 글에서 다루는 내용과는 크게 관련이 없거나 부분적인 내용에 대한 제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글에 대한 이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사씨의 어머니는 딸이 남편에게 맞섰던 일을 비판하고 있다.
  2. 사씨는 홀어머니를 모시느라 제대로 배우지 못한 것을 안타까워하고 있다.
  3. 사씨는 부부의 예에 따라, 남편이 잘못하면 이를 지적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4. 유 소사는 며느리와의 대화를 통해, 효성이 지극한 사씨의 모습에 흡족해 하고 있다.
(정답률: 67%)
  • 사씨는 부부의 예에 따라, 남편이 잘못하면 이를 지적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글에서 ‘소리’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서늘한 소리’는 예사롭지 않은 분위기를 조성하기 시작한다.
  2. ‘꽝 당 꽝 당’ 소리는 인물의 심리적 상태의 변화를 촉발한다.
  3. ‘단조로운 소리’는 반복적으로 드러남으로써 모종의 의미가 부여된다.
  4. ‘소리의 여운’은 단선적 구성에 변화를 주어 갈등 해소의 기미를 강화한다.
(정답률: 74%)
  • ‘단조로운 소리’는 반복적으로 드러남으로써 모종의 의미가 부여된다. 이는 소리의 반복적인 특성에 대한 설명이며, ‘소리의 여운’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문학의 미적 자질과 영화 <일 포스티노>의 미적 자질 사이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2. 시의 본질에 대해 질문하고 답을 얻기 위해 영화 <일 포스티노>를 참고할 만하다.
  3. 영화 <일 포스티노>의 인물들은 문학적 은유의 본질과 의미를 잘 알고 있다.
  4. 영화 <일 포스티노>는 시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교과서와도 같다.
(정답률: 56%)
  • 영화 <일 포스티노>의 미적 자질과 문학의 미적 자질 사이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는 내용은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주어진 글에서는 영화 <일 포스티노>의 인물들이 문학적 은유의 본질과 의미를 잘 알고 있다는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 ) 속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花朝月夕
  2. 韋編三絶
  3. 天衣無縫
  4. 莫無可奈
(정답률: 46%)
  • "天衣無縫"은 옷의 봉제가 아주 섬세하고 깔끔하여 봉제선이 보이지 않는 것을 뜻합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매우 완벽하고 미묘한 것을 뜻하는 표현으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밑줄 친 부분의 한자 표기가 잘못된 것은?

  1. 그는 여러 차례 TV 출연으로 유명세(有名勢)를 치렀다.
  2. 누가 먼저 할 것인지 복불복(福不福)으로 정하기로 했다.
  3. 긴박한 상황이라 대증요법(對症療法)을 쓸 수밖에 없었다.
  4. 사건의 경위(經緯)는 알 수 없지만, 결과만 본다면 우리에게 유리하다.
(정답률: 29%)
  • "유명세(有名勢)"가 잘못된 표기입니다. 올바른 표기는 "유명세(有名勢)"입니다.

    해설: "유명세(有名勢)"는 '유명한 지위나 세력'을 뜻하는 단어입니다. 이와 비슷한 단어로 "유명도(有名度)"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글에서 추론한 바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녹색 성장 산업으로서 농업의 효용성을 드높이기 위해서 과학 기술의 부작용을 성찰할 필요가 있다.
  2. 유목 생활을 하는 민족에 비해 정주 생활을 하는 민족이 농업의 가치 증진에 더 기여할 수 있다.
  3. 효율성을 중요한 가치로 내세우는 경제 시스템은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데 한계가 있다.
  4. 고도성장을 도모하는 경제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농업 중심의 경제 패러다임을 지양하였다.
(정답률: 50%)
  • "유목 생활을 하는 민족에 비해 정주 생활을 하는 민족이 농업의 가치 증진에 더 기여할 수 있다."는 주어진 글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글쓴이의 입장에 부합하는 것은?

  1. 효는 봉건 가부장제 사회에서 비롯한 일차적 인간관계이다.
  2. 효는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이므로 조건 없는 신뢰에 기초한 덕목이다.
  3. 윗사람에 대한 복종을 절대시하지 않는 것이 유교적 윤리의 한 바탕이다.
  4. 충의 도리를 다함으로써 효의 도리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이 인의 이치다.
(정답률: 54%)
  • "윗사람에 대한 복종을 절대시하지 않는 것이 유교적 윤리의 한 바탕이다." 인 이유를 설명하는 것은 없습니다. 따라서 이 글쓴이의 입장에 부합하는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