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국어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2-06-18)

9급 지방직 공무원 국어
(2022-06-18 기출문제)

목록

1. 언어 예절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지금부터 회장님의 말씀이 계시겠습니다.
  2. (시누이에게) 고모, 오늘 참 예쁘게 차려 입으셨네요?
  3. (처음 자신을 소개하면서) 처음 뵙겠습니다. 박혜정입니다.
  4. (다른 사람에게 자기 아내를 가리키며) 이쪽은 제 부인입니다.
(정답률: 76%)
  • "(처음 자신을 소개하면서) 처음 뵙겠습니다. 박혜정입니다."가 가장 적절한 언어 예절이다. 이유는 처음 만난 상대방에게 자신을 소개할 때는 예의를 지켜서 상대방에게 인상을 좋게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처음 뵙겠습니다"는 상대방을 존중하며 인사하는 표현이고, "박혜정입니다"는 자신의 이름을 소개하는 것으로 상대방과의 친밀감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글의 주된 서술 방식은?

  1. 묘사
  2. 설명
  3. 유추
  4. 분석
(정답률: 82%)
  • 주어진 그림을 통해 상황이나 대상을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으므로 주된 서술 방식은 "묘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무대연출의 창작적인 표현의 도용 여부를 밝히기는 쉽지 않다.
  2. 저작권 침해를 당했다고 주장하려면 유효한 저작권을 소유하고 있어야 한다.
  3. 독보적인 무대연출 작업에 저작권을 부여한다고 해서 후발 창작에 방해가 되지는 않는다.
  4. 저작권법의 목표는 창작자의 창작을 장려하고 일반 공중의 저작물 이용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다.
(정답률: 75%)
  • 독보적인 무대연출 작업에 저작권을 부여한다고 해서 후발 창작에 방해가 되지는 않는다. - 이유를 설명해주는 부분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의 고쳐 쓰기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을 '없을'로 고친다.
  2. ㉡을 '소수'로 고친다.
  3. ㉢을 '익명성'으로 고친다.
  4. ㉣을 '누구나가'로 고친다.
(정답률: 73%)
  • 정답은 "㉡을 '소수'로 고친다." 이다.

    이유는 문제에서 "1부터 100까지의 자연수 중에서 2와 3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수를 모두 골라서 나열한 것"을 찾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이는 바로 소수(prime number)를 찾는 문제이다. 따라서 "㉡을 '소수'로 고친다."가 가장 적절한 고쳐 쓰기이다.

    다른 보기들은 문제의 의도와 맞지 않거나, 문장의 의미가 완전히 바뀌어버리는 경우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에 대한 이해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은 시적 화자와 상반되는 처지에 놓여 있다.
  2. ㉡은 시적 화자에게 놓인 방랑길을 비유한다.
  3. ㉢은 시적 화자의 이국 지향 의식을 강조한다.
  4. ㉣은 시적 화자가 지닌 분노의 정서를 대변한다.
(정답률: 56%)
  • 이 시에서 ㉠은 "나"를 나타내고, ㉡은 "방랑길"을 나타내며, 시적 화자에게 놓인 방랑길을 비유한다. 이는 시적 화자가 삶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그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떠나는 여정을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은 시적 화자에게 놓인 방랑길을 비유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글에 대한 감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정 씨는 영달이 백화와 함께 떠날 것을 권유했군.
  2. 백화는 영달의 선택이 어떤 것일지 몰라 불안했군.
  3. 영달은 백화를 신뢰할 수 없었기 때문에 같이 떠나지 않았군.
  4. 백화가 자신의 본명을 말한 것은 정 씨와 영달에 대한 고마움의 표현이었군.
(정답률: 70%)
  • 이 글은 감상이 아니라 지문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요구하는 문제이다. 따라서 "감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글의 전개 순서로 가장 자연스러운 것은?

  1. (가)-(나)-(다)-(라)
  2. (가)-(라)-(나)-(다)
  3. (나)-(가)-(라)-(다)
  4. (나)-(라)-(다)-(가)
(정답률: 74%)
  • (나)부터 시작하는 것이 가장 자연스러운 순서이다. 첫 문장에서는 "나는"으로 시작하여 주어가 명확하게 제시되고, 이어지는 문장에서는 "나"와 관련된 내용이 이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지막 문장에서는 "나"가 어떤 결론을 내리는 것으로 끝나기 때문에, 이전에 나온 내용들이 이를 지지하고 뒷받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나)-(라)-(다)-(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대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A는 B에게 내용 요약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2. A와 B는 대화 중에 공감의 표지를 드러내며 상대방의 말을 듣고 있다.
  3. B는 회의 내용 요약 방식에 대한 A의 문제 제기에 대해 자신이 다른 입장임을 드러내고 있다.
  4. A는 개조식 요약 방식이 회의 내용을 과도하게 생략하여 이해에 어려움을 줄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정답률: 48%)
  • 이미지에서 A와 B는 서로 눈을 마주치고 있으며, B는 A가 말하는 동안 머리를 숙이고 있습니다. 이는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공감의 표지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A와 B는 대화 중에 공감의 표지를 드러내며 상대방의 말을 듣고 있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A시에 있는 학교의 만 19세 미만 재학생은 청소년 의회 교실에 참여할 수 있는 대상이다.
  2. A시의 시의회 의장은 청소년 의회 교실의 민주 시민 소양과 관련된 교육 내용을 결정할 수 있다.
  3. A시에서 시행된 청소년 의회 교실에서 시의회 의장은 본회의장 시설을 사용하도록 지원해 주었다.
  4. A시의 올해 청소년 의회 교실은 의원 선서, 조례안 상정, 자유 발언, 찬반 토론, 전자 투표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정답률: 58%)
  • A시의 청소년 의회 교실에 참여할 수 있는 대상은 만 19세 미만 재학생이다는 것이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글에서는 이와 관련된 내용이 언급되지 않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단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가난: 한자어 '간난'에서 'ㄴ'이 탈락하면서 된 말이다.
  2. 어리다: '어리석다'는 뜻에서 '나이가 적다'는 뜻으로 바뀐 말이다.
  3. 수탉: 'ㅎ'을 종성으로 갖고 있던 '숳'에 'ᄃᆞᆰ'이 합쳐져 이루어진 말이다.
  4. 점잖다: '의젓함'을 나타내는 '점잖이'에 '하다'가 붙어 형성된 말이다.
(정답률: 34%)
  • "가난: 한자어 '간난'에서 'ㄴ'이 탈락하면서 된 말이다."는 설명이 부적절하다. '간난'에서 'ㄴ'이 탈락한 것이 아니라 '간'과 '난'이 합쳐져서 '가난'이 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혐오 현상에는 인과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
  2. 혐오 현상은 선량한 마음으로 바라보아야 한다.
  3. 혐오 현상을 만들어 내는 근본 원인을 찾아야 한다.
  4. 혐오라는 감정에 집중할수록 사회문제는 잘 보인다.
(정답률: 57%)
  • 혐오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해야 한다. 따라서 "혐오 현상을 만들어 내는 근본 원인을 찾아야 한다."가 가장 적절한 주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 시간적 흐름에 따른 시상 전개를 매개하고 있다.
  2. ㉡: 시적 화자의 초연한 태도를 드러내고 있다.
  3. ㉢: 자연에 대비되는 쇠락한 인간사를 암시하고 있다.
  4. ㉣: 꽃잎을 흔드는 부정적 이미지로 기능하고 있다.
(정답률: 49%)
  • 시간적 흐름에 따른 시상 전개를 매개하고 있다는 것은, 시의 내용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개되며, 이를 중심으로 시상이 전개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시의 구성과 전개를 이끌어가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은 적절한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밑줄 친 단어 중 사람의 몸을 지시하는 말이 포함되지 않은 것은?

  1. 선생님께서는 슬하에 세 명의 자녀를 두셨다고 한다.
  2. 그는 수완이 좋아서 사람들에게 인정을 받는다.
  3. 여러 팀이 우승을 위해 긴 시간 동안 각축을 벌였다.
  4. 사업단의 발족으로 미뤄 뒀던 일들이 진행되기 시작했다.
(정답률: 56%)
  • "각축"은 사람의 몸을 지시하는 말이 포함되지 않은 것입니다.

    "각축"은 경기장에서 경기를 벌이는 것을 의미하는 말이며, 사람의 몸을 지시하는 말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과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과 ㉡은 모두 상대에 비해 우월한 지위를 가지고 있다.
  2. ㉠이 상대의 행동을 비판하는 반면, ㉡은 옹호하고 있다.
  3. ㉠이 갈등 상황을 타개하는 데 적극적인 반면, ㉡은 소극적이다.
  4. ㉠이 주변으로부터 호의적인 반응을 얻은 반면, ㉡은 적대적인 반응을 얻는다.
(정답률: 51%)
  • 문제에서 제시된 그림을 보면, ㉠은 갈등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중재자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은 그저 지켜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갈등 상황을 타개하는 데 적극적인 반면, ㉡은 소극적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밑줄 친 말의 쓰임이 올바른 것은?

  1. 습관처럼 중요한 말을 되뇌이는 버릇이 있다.
  2. 나는 친구 집을 찾아 골목을 헤매이고 다녔다.
  3. 너무 급하게 밥을 먹으면 목이 메이기 마련이다.
  4. 그는 어린 시절 기계에 손가락이 끼이는 사고를 당했다.
(정답률: 38%)
  • "그는 어린 시절 기계에 손가락이 끼이는 사고를 당했다."가 올바른 쓰임이다. 이유는 "끼이는"이라는 형용사가 과거형 동사 "당했다"와 함께 사용되어 과거에 일어난 일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밑줄 친 부분의 한자 표기가 옳지 않은 것은?

  1. 우리 시대 영웅으로 소방관(消防官)이 있다.
  2. 과학자(科學者)는 청소년들이 선망하는 직업이다.
  3. 그는 인공지능 연구소의 연구원(硏究員)이 되었다.
  4. 그는 법원의 명령에 따라 변호사(辯護事)로 선임되었다.
(정답률: 38%)
  • 변호사(辯護事)는 올바른 한자 표기이다. 변호사는 법정에서 피고나 피고인을 대리하여 변론하고 변론을 위한 증거를 제출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글에 대한 이해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전염병의 창궐은 르네상스의 발생을 설명하는 다양한 요인 가운데 하나이다.
  2. 페스트로 인한 선인과 악인의 무차별적인 죽음은 교회가 유지하던 막강한 권위를 약화시켰다.
  3. 예술가들이 인체의 아름다움을 재발견함으로써 고대의 학문과 언어에 대한 재평가도 이루어졌다.
  4. 르네상스 시기에 해부학은 의사들보다도 미술가들의 관심을 끌었다.
(정답률: 60%)
  • 르네상스 시기에 예술가들이 인체의 아름다움을 재발견함으로써 고대의 학문과 언어에 대한 재평가도 이루어졌다는 것은 이해하기 적절한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밑줄 친 부분에 어울리는 한자 성어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巧言令色
  2. 寸鐵殺人
  3. 言行一致
  4. 街談巷說
(정답률: 42%)
  • 이 문제에서는 "칼"과 "살인"이라는 단어가 함께 나오는 것으로 보아, "寸鐵殺人"이 가장 적절한 한자 성어라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寸"은 길이 단위인 "자" 중에서도 가장 작은 단위이며, "鐵"은 철로 만든 무기를 뜻합니다. 따라서 "寸鐵"은 매우 작은 칼을 의미하며, "殺人"은 살인을 뜻합니다. 따라서 "寸鐵殺人"은 매우 작은 칼로 살인을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글에서 추론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논리실증주의자들에 따르면 무의미한 문장을 사용하는 것은 과학이 아니다.
  2. 논리실증주의자들에 따르면 과학의 문장들만이 유의미하다.
  3. 검증 원리에 따르면 아직까지 경험되지 않은 것을 언급한 문장은 무의미하다.
  4. 검증 원리에 따르면 거짓인 문장은 무의미하다.
(정답률: 29%)
  • 논리실증주의자들에 따르면 무의미한 문장을 사용하는 것은 과학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글에서 추론할 수 있는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ㄷ
(정답률: 39%)
  • 글에서 "A는 B보다 더 많은 돈을 가지고 있다"라는 문장에서 A가 B보다 돈이 많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으므로, "ㄱ. A는 B보다 돈이 많다"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또한, "B는 C보다 더 많은 돈을 가지고 있다"라는 문장에서 B가 C보다 돈이 많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으므로, "ㄴ. B는 C보다 돈이 많다"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A는 C보다 더 많은 돈을 가지고 있다"라는 문장에서 A가 C보다 돈이 많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으므로, "ㄷ. A는 C보다 돈이 많다"라는 추론이 가능하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