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기계설계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6-15)

9급 지방직 공무원 기계설계
(2019-06-15 기출문제)

목록

1. 기계부품 가공 등의 작업에 쓰이는 보조 도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드릴링 작업에 쓰이는 안내 부시는 공작물을 고정하는 보조 도구이다.
  2. 클램프는 공작물을 고정하는 데 쓰이는 보조 도구이다.
  3. 지그는 작업종류에 따라 공작물에 맞춘 보조 도구이다.
  4. 바이스는 조(jaw)가 공작물을 고정할 수 있는 보조 도구이다.
(정답률: 80%)
  • 정답은 "드릴링 작업에 쓰이는 안내 부시는 공작물을 고정하는 보조 도구이다."가 옳지 않습니다. 안내 부시는 드릴링 작업 시 드릴의 위치를 정확히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공작물을 고정하는 역할은 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치공구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이득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ㄱ, ㄴ, ㄷ
(정답률: 72%)
  • - ㄱ: 치공구를 사용하면 작업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됩니다.
    - ㄴ: 치공구를 사용하면 정확도가 높아져 제품의 품질이 향상됩니다.
    - ㄷ: 치공구를 사용하면 작업자의 노동력이 절약되어 인건비가 절감됩니다.

    따라서, "ㄱ, ㄴ, ㄷ" 모두 치공구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이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한줄 겹치기 리벳 이음의 파손 유형에 대한 대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리벳 구멍 부분에서 판재가 압축 파손되는 경우, 판재를 더 두껍게 한다.
  2. 판재 끝이 리벳에 의해 갈라지는 경우, 리벳 구멍과 판재 끝 사이의 여유를 더 크게 한다.
  3. 리벳 구멍 사이에서 판재가 절단되는 경우, 리벳 피치를 줄인다.
  4. 리벳이 전단에 의해 파손되는 경우, 리벳 지름을 더 크게 한다.
(정답률: 73%)
  • "리벳 구멍 사이에서 판재가 절단되는 경우, 리벳 피치를 줄인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리벳 피치를 줄이면 리벳 구멍 사이의 거리가 좁아져서 오히려 더 많은 파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판재를 더 두껍게 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회전속도 N[rpm]으로 동력 H[W]를 전달할 수 있는 축의 최소 지름[m]은? (단, 축 재료의 허용 전단응력은 τ[N/m2]이며, 축은 비틀림 모멘트만 받는다)

(정답률: 74%)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동일한 재료로 제작된 중공축 A와 중공축 B에 토크가 각각 작용하고 있다. 축 A의 안지름은 2mm, 바깥지름은 4mm이고, 축 B의 안지름은 4mm, 바깥지름은 8mm이다. 허용응력 범위 내에서, 축 A가 전달할 수 있는 최대 토크(TA)에 대한 축 B가 전달할 수 있는 최대 토크(TB)의 비(TB/TA)는? (단, 두 축은 비틀림 모멘트만 받는다)

  1. 2
  2. 4
  3. 8
  4. 16
(정답률: 65%)
  • 비틀림 모멘트는 토크와 반비례하므로, 토크가 2배가 되면 비틀림 모멘트도 2배가 된다. 따라서, 축 A와 축 B의 비틀림 모멘트는 같다.

    비틀림 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M = (π/16) * G * (do4 - di4) * θ

    여기서,

    - M: 비틀림 모멘트
    - G: 탄성계수
    - do: 바깥지름
    - di: 안지름
    - θ: 비틀림 각도

    같은 재료를 사용하므로, G는 같다. θ는 같은 토크가 작용할 때, 축 A와 축 B에서의 비틀림 각도가 같으므로 같다.

    따라서, 비틀림 모멘트는 다음과 같이 비교할 수 있다.

    MB / MA = [(do,B4 - di,B4) / (do,A4 - di,A4)]

    여기서,

    - MA: 축 A에서의 비틀림 모멘트
    - MB: 축 B에서의 비틀림 모멘트

    따라서,

    MB / MA = [(84 - 44) / (44 - 24)] = 8

    따라서, TB / TA = MB / MA = 8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직육면체 구조물이 수평 천장에 필렛(fillet) 용접(음영 부분)되어 있을 때, 목두께를 기준으로 용접부가 견딜 수 있는 구조물의 최대 중량[kN]은? (단, 용접부 단면은 직각 이등변삼각형이고 목두께는 3mm, 용접 재료의 허용 인장응력은 30MPa이다)

  1. 36
  2. 25
  3. 20
  4. 18
(정답률: 66%)
  • 용접부의 최대 중량은 용접부의 인장응력과 단면적, 그리고 안전율에 따라 결정된다.

    먼저 용접부의 단면적을 구해보자. 용접부의 단면은 직각 이등변삼각형이므로, 밑변과 높이가 각각 3mm인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넓이 = (밑변 × 높이) ÷ 2 = (3 × 3) ÷ 2 = 4.5mm²

    따라서 용접부의 단면적은 4.5mm²이다.

    다음으로 용접부의 인장응력을 구해보자. 용접 재료의 허용 인장응력은 30MPa이므로, 용접부의 인장응력도 30MPa를 넘지 않아야 한다. 용접부의 중량이 최대인 경우에는 인장응력이 최대가 되므로, 이 경우의 인장응력을 구해보자.

    용접부의 중량이 최대인 경우, 중력과 반작용력이 용접부의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 위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용접부의 중심에서 용접부의 윗면까지의 거리를 h라고 하면, 중량 G와 반작용력 R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G = 1000kg × 9.81m/s² = 9810N
    R = G = 9810N

    이때 용접부의 인장응력은 다음과 같다.

    인장응력 = (중량 ÷ 단면적) + (반작용력 ÷ 단면적) = (G + R) ÷ 단면적

    여기에 G와 R의 값을 대입하면,

    인장응력 = (9810N + 9810N) ÷ 4.5mm² = 4356MPa

    따라서 용접부의 인장응력은 4356MPa이다. 이 값은 허용 인장응력인 30MPa를 크게 초과하므로, 용접부는 견딜 수 없는 중량이다.

    따라서 정답은 36이 아닌 "용접부는 견딜 수 없는 중량"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나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미터 가는나사는 지름에 대한 피치의 크기가 미터 보통나사보다 커서 기밀성이 우수하다.
  2. 둥근나사는 수나사와 암나사 사이에 강구를 배치하여 운동 시 마찰을 최소화한다.
  3. 유니파이나사는 나사산각이 55°인 인치계 삼각나사이고, 나사의 크기는 1인치당 나사산수로 한다.
  4. 톱니나사는 하중의 작용방향이 일정한 경우에 사용하고 하중을 받는 반대쪽은 삼각나사 형태로 만든다.
(정답률: 51%)
  • 톱니나사는 하중의 작용방향이 일정한 경우에 사용하고 하중을 받는 반대쪽은 삼각나사 형태로 만드는 이유는, 톱니나사는 회전 운동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하중의 작용방향이 일정한 경우에 적합하다. 하지만 하중을 받는 반대쪽은 회전 운동을 받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압력을 받는 역할을 하므로, 삼각나사 형태로 만들어서 더욱 견고하게 만드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두께가 얇은 원통형 압력용기 내부에 일정한 압력이 작용할 때, 압력용기 원통 벽면에 발생하는 응력 중 원주방향 응력(σ1)에 대한 길이방향 응력(σ2)의 비(σ21)는?

  1. 0.5
  2. 1
  3. 2
  4. 4
(정답률: 75%)
  • 원주방향 응력(σ1)과 길이방향 응력(σ2)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성립합니다.

    σ1 = 2σ2

    이는 압력용기의 벽면이 원통형이기 때문에, 원주방향 응력이 길이방향 응력보다 2배 더 크게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σ21 = 1/2 = 0.5 이므로, 정답은 "0.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일정한 단면을 갖는 길이 250mm인 원형 단면봉에 길이방향 하중을 작용하여 길이가 1mm 늘어났을 때, 반경방향 변형률(strain)의 절대값은? (단, 봉은 재질이 균질하고 등방성이며, 세로탄성계수(Young’s modulus)는 100GPa이고, 전단탄성계수(shear modulus of elasticity)는 40GPa이다)

  1. 0.25
  2. 0.015
  3. 0.004
  4. 0.001
(정답률: 45%)
  • 원형 단면봉의 길이가 1mm 늘어났으므로, 변형률(strain)은 변화한 길이(1mm)을 원래 길이(250mm)로 나눈 값이다. 즉, 변형률은 0.004이다.

    하지만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은 반경방향 변형률의 절대값이므로, 전단탄성계수를 이용하여 계산해야 한다. 반경방향 변형률은 전단탄성계수를 세로탄성계수로 나눈 값의 절반과 같다. 따라서, 반경방향 변형률의 절대값은 0.001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0.00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재료의 피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정하중이 작용할 때의 항복응력보다 낮은 응력에서도 반복횟수가 많으면 파괴되는 현상을 피로파괴라 한다.
  2. 가해지는 반복하중의 크기가 작을수록 파괴가 일어날 때까지의 반복횟수가 줄어든다.
  3. 피로강도는 재료의 성질, 표면조건, 부식 등에 영향을 받는다.
  4. 엔진, 터빈, 축, 프로펠러 등의 기계부품 설계에 반복하중의 영향을 고려한다.
(정답률: 79%)
  • 가해지는 반복하중의 크기가 작을수록 파괴가 일어날 때까지의 반복횟수가 줄어드는 것은 옳은 설명입니다. 이는 작은 하중이 가해질 때에도 재료 내부에서 마이크로크랙이 발생하고 이들이 누적되어 큰 크랙이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작은 하중이 가해져도 반복횟수가 많으면 피로파괴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롤러체인 전동장치에서 체인의 피치가 10mm, 스프로킷의 잇수가 20개, 스프로킷 휠의 회전속도가 700rpm일 때, 체인의 평균 속도에 가장 가까운 값[m/s]은?

  1. 0.5
  2. 1.2
  3. 2.3
  4. 3.7
(정답률: 69%)
  • 체인의 평균 속도는 스프로킷 휠의 회전속도와 체인의 피치, 스프로킷의 잇수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습니다.

    체인의 평균 속도 = (스프로킷 휠의 회전속도 × 체인의 피치 × 스프로킷의 잇수) / 60

    = (700 × 10 × 20) / 60

    = 466.67 [mm/s]

    따라서, 가장 가까운 값은 2.3[m/s]입니다. 이는 466.67[mm/s]를 1000으로 나누어서 계산한 결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두께 5mm, 폭 50mm인 평판 부재의 중앙에 한 변의 길이가 10mm인 정사각형 관통구멍이 있다. 탄성한계 내에서 평판 양단에 5kN의 인장하중(P)이 작용할 때, 구멍 부분에서 응력의 최댓값[N/mm2]은? (단, 구멍의 응력집중계수는 2.0이다)

  1. 20
  2. 25
  3. 40
  4. 50
(정답률: 52%)
  • 구멍 부분에서의 최대 응력은 응력집중계수와 함께 구멍의 형상에 따라 달라집니다. 이 문제에서는 정사각형 구멍이므로, 구멍의 모서리 부분에서 응력이 집중됩니다. 따라서 구멍 부분에서의 최대 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최대 응력 = (인장하중 P) / (단면적 - 구멍 면적) x 응력집중계수

    여기서 단면적은 평판 부재의 단면적이며, 구멍 면적은 정사각형 구멍의 면적입니다. 따라서 단면적과 구멍 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단면적 = 두께 x 폭 = 5mm x 50mm = 250mm2
    구멍 면적 = 한 변의 길이 x 한 변의 길이 = 10mm x 10mm = 100mm2

    따라서 최대 응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최대 응력 = (5kN) / (250mm2 - 100mm2) x 2.0 = 50N/mm2

    따라서 정답은 "5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용기 내에서 유체의 압력이 일정 압을 초과하였을 때, 자동적으로 열리면서 유체를 외부로 방출하여 압력 상승을 억제하는 밸브는?

  1. 스톱밸브
  2. 체크밸브
  3. 안전밸브
  4. 게이트밸브
(정답률: 66%)
  • 안전밸브는 유체의 압력이 일정 압을 초과할 때 자동으로 열리면서 유체를 외부로 방출하여 압력 상승을 억제하는 밸브입니다. 따라서 안전밸브는 시스템 내의 과압을 방지하고, 시스템의 안전을 보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스톱밸브는 유체의 유입을 막는 역할을 하고, 체크밸브는 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게이트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평벨트 전동에서 벨트의 긴장측과 이완측의 장력이 각각 2.4kN, 2.0kN이고 원동측 벨트풀리의 지름과 회전속도가 각각 200mm, 300rpm일 때, 벨트가 전달하는 동력[kW]은? (단, 벨트에 걸리는 응력은 허용범위 이내이고 벨트의 원심력과 두께는 무시하며 벨트와 벨트풀리 사이의 미끄럼은 없다)

  1. 0.4π
  2. 0.6π
  3. 0.8π
  4. 1.2π
(정답률: 63%)
  • 벨트 전달 동력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전달 동력 = (장력 차) × (벨트 속도)

    장력 차는 2.4kN - 2.0kN = 0.4kN 입니다.

    벨트 속도는 원동측 벨트풀리의 둘레 속도와 같으며, 이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습니다.

    원동측 벨트풀리 둘레 = 2 × π × 반지름 = 2 × π × 0.2m = 1.26m
    벨트 속도 = 원동측 벨트풀리 둘레 속도 × 회전수 = 1.26m × 300rpm = 377.0m/min

    따라서 전달 동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달 동력 = 0.4kN × 377.0m/min = 150.8kW

    이를 π로 나누면 150.8/π = 48.0 이므로, 가장 가까운 값인 "0.4π"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그림과 같이 드럼축에 토크 M이 작용하여 드럼이 시계방향으로 돌고 있다. 밴드와 드럼 사이의 마찰계수가 μ이고 접촉각이 θ일 때, 드럼을 정지시키기 위해 밴드와 연결된 브레이크 레버에 작용시켜야 할 최소 힘 F는? (단, b=2a이다)

(정답률: 39%)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칼라(collar)의 바깥지름이 300mm, 안지름이 200mm인 칼라 베어링(collar bearing)에 축 방향 하중 3.6×105N이 작용하고 있다. 칼라가 2개일 때, 베어링에 작용하는 평균 압력[N/mm2]은? (단, π=3이며, 베어링에 작용하는 압력은 허용압력 범위 이내이다)

  1. 9.6
  2. 6.2
  3. 4.8
  4. 3.2
(정답률: 63%)
  • 칼라 베어링의 면적은 외경과 내경을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면적 = π/4 × (바깥지름² - 안지름²)
    = 3/4 × π × (바깥지름² - 안지름²)
    = 3/4 × 3 × (300² - 200²)
    = 3/4 × 3 × 50000
    = 112500

    두 개의 칼라 베어링이 있으므로, 베어링에 작용하는 평균 압력은 다음과 같다.

    평균 압력 = 작용하는 하중 / 베어링 면적 / 2
    = 3.6×10⁵ / 112500 / 2
    = 1.6 N/mm²

    허용압력 범위는 문제에서 주어지지 않았으므로 정답은 계산 결과에 따라 다르게 나올 수 있다. 하지만, 보기에서 유일하게 1.6 N/mm²에 가장 가까운 값은 4.8 N/mm²이므로 정답은 "4.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맞물려 회전하는 기어에서 축의 자세에 따른 기어의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베벨기어는 두 축이 교차할 때 사용한다.
  2. 스퍼기어는 두 축이 평행할 때 사용한다.
  3. 하이포이드기어는 두 축이 만나지 않을 때 사용한다.
  4. 헬리컬기어는 두 축이 평행하지도 만나지도 않을 때 사용한다.
(정답률: 81%)
  • "헬리컬기어는 두 축이 평행하지도 만나지도 않을 때 사용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헬리컬기어는 두 축이 서로 평행하지 않더라도 맞물려 회전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높은 토크 전달과 정확한 위치 제어가 필요한 곳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베벨기어와 스퍼기어를 이용하여 모터의 동력을 축 A와 축 B에 전달하고 있다. 모터의 회전속도가 100rpm일 때, 축 A와 축 B의 회전속도 차이[rpm]는? (단, a, b는 베벨기어이고 c, d, e, f는 스퍼기어이며, Za~Zf는 각 기어의 잇수이다)

  1. 460
  2. 500
  3. 560
  4. 600
(정답률: 67%)
  • 베벨기어와 스퍼기어를 이용하여 모터의 동력을 축 A와 축 B에 전달하고 있다. 이때, 베벨기어는 회전축의 방향을 바꾸는 역할을 하며, 스퍼기어는 회전축의 속도를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먼저, 베벨기어 a와 b의 잇수가 같기 때문에, 회전축의 방향은 그대로 유지된다. 따라서, 축 A와 축 B의 회전방향은 같다.

    다음으로, 베벨기어 a와 b의 잇수를 이용하여 스퍼기어 c와 d의 회전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베벨기어 a와 b의 잇수 비율은 1:2 이므로, 스퍼기어 c와 d의 회전속도 비율도 1:2가 된다. 따라서, 축 A와 축 B의 회전속도 차이는 스퍼기어 e와 f의 회전속도 차이와 같다.

    마지막으로, 스퍼기어 e와 f의 잇수 비율은 1:3 이므로, 축 A와 축 B의 회전속도 차이는 100 x (1 - 1/3) = 66.67 rpm가 된다.

    따라서, 정답은 600이 아닌 100 - 66.67 = 33.33 ≈ 33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잇수 42개, 이끝원지름(바깥지름) 132mm인 표준 보통이 스퍼기어의 모듈은?

  1. 5
  2. 4
  3. 3
  4. 2
(정답률: 82%)
  • 스퍼기어의 모듈은 이끝원지름을 잇는 두 이빨 사이의 직선거리를 나눈 값으로 정의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모듈 = 이끝원지름 / (잇수 + 2) 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모듈 = 132 / (42 + 2) = 3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평벨트를 벨트풀리에 거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단, 원동축은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1. ㄱ, ㄴ
  2. ㄱ, ㄹ
  3. ㄴ, ㄷ
  4. ㄷ, ㄹ
(정답률: 68%)
  • 평벨트를 벨트풀리에 걸 때, 원동축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벨트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벨트를 걸 때는 벨트의 방향과 원동축의 회전 방향이 반대여야 한다. 이에 따라서, ㄱ번과 ㄹ번이 정답이다. ㄱ번은 벨트의 방향과 원동축의 회전 방향이 반대이므로 옳은 방법이고, ㄹ번은 벨트를 걸 때 벨트의 방향과 원동축의 회전 방향이 반대로 되도록 벨트를 거는 방법이므로 옳은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