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기계일반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4-06-21)

9급 지방직 공무원 기계일반
(2014-06-21 기출문제)

목록

1. 두 축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커플링은?

  1. 올덤 커플링(Oldham coupling)
  2. 머프 커플링(muff coupling)
  3. 마찰원통 커플링(friction clip coupling)
  4. 셀러 커플링(Seller coupling)
(정답률: 95%)
  • 올덤 커플링은 두 축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는 커플링으로, 두 축 사이에 있는 중심 원판이 회전하면서 두 축을 연결합니다. 이 중심 원판은 두 축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회전할 수 있도록 구멍이 뚫려 있어서, 두 축이 서로 다른 위치에 있어도 회전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따라서 올덤 커플링은 두 축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연삭가공 방법의 하나인 폴리싱(polishing)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원통면, 평면 또는 구면에 미세하고 연한 입자로 된 숫돌을 낮은 압력으로 접촉시키면서 진동을 주어 가공하는 것이다.
  2. 알루미나 등의 연마 입자가 부착된 연마 벨트에 의한 가공으로 일반적으로 버핑 전 단계의 가공이다.
  3. 공작물과 숫돌 입자, 콤파운드 등을 회전하는 통 속이나 진동하는 통 속에 넣고 서로 마찰 충돌시켜 표면의 녹, 흠집 등을 제거하는 공정이다.
  4. 랩과 공작물을 누르며 상대 운동을 시켜 정밀 가공을 하는 것이다.
(정답률: 77%)
  • 알루미나 등의 연마 입자가 부착된 연마 벨트에 의한 가공으로 일반적으로 버핑 전 단계의 가공이다. 이유는 연마 벨트에 부착된 연마 입자가 공작물의 표면을 마찰시켜 부드러운 표면을 만들어주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피복금속 용접봉의 피복제 역할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소의 침입을 방지하여 수소기인균열의 발생을 예방한다.
  2. 용융금속 중의 산화물을 탈산하고 불순물을 제거하는 작용을 한다.
  3. 아크의 발생과 유지를 안정되게 한다.
  4. 용착금속의 급랭을 방지한다.
(정답률: 70%)
  • 피복제의 역할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수소기인균열의 발생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이는 용접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소가 용접부에 침입하여 수소기인균열을 유발할 수 있는데, 피복제는 이러한 수소의 침입을 방지하여 수소기인균열의 발생을 예방합니다. 따라서 "수소의 침입을 방지하여 수소기인균열의 발생을 예방한다."가 옳지 않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비철금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철금속으로는 구리, 알루미늄, 티타늄, 텅스텐, 탄탈륨 등이 있다.
  2. 지르코늄은 고온강도와 연성이 우수하며, 중성자 흡수율이 낮기 때문에 원자력용 부품에 사용한다.
  3. 마그네슘은 공업용 금속 중에 가장 가볍고 진동감쇠 특성이 우수하다.
  4. 니켈은 자성을 띠지 않으며 강도, 인성, 내부식성이 우수하다.
(정답률: 77%)
  • 니켈은 자성을 띠지 않는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니켈은 자성을 띠기도 하며, 자석 제조, 전자기기, 자동차 부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금속의 가공경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가공에 따른 소성변형으로 강도 및 경도는 높아지지만 연성은 낮아진다.
  2. 가공경화된 금속이 일정 온도 이상 가열되면 강도, 경도 및 연성이 가공 전의 성질로 되돌아간다.
  3. 가공경화된 금속을 가열하면 새로운 결정립이 생성되고 성장하는 단계를 거친 후 회복 현상이 나타난다.
  4. 냉간가공된 금속은 인장강도가 높으며, 정밀도 및 표면 상태를 향상시킬 수 있다.
(정답률: 65%)
  • 가공경화된 금속을 가열하면 강도, 경도 및 연성이 가공 전의 성질로 되돌아가는 것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가공경화된 금속을 가열하면 새로운 결정립이 생성되고 성장하는 단계를 거친 후 회복 현상이 나타납니다. 이는 금속 내부의 구조가 재배열되면서 금속의 성질이 변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전기저항 용접 방법 중 맞대기 이음 용접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플래시 용접(flash welding)
  2. 충격 용접(percussion welding)
  3. 업셋 용접(upset welding)
  4. 프로젝션 용접(projection welding)
(정답률: 77%)
  • 프로젝션 용접은 두 개 이상의 금속 부품을 접합할 때, 부품의 특정 부위에 저항점을 만들어 전류를 흐르게 하여 용접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맞대기 이음 용접과 같이 두 부품을 단순히 접합하는 방법이 아니라 특정 부위에 저항점을 만들어 용접하는 방법이므로 프로젝션 용접은 맞대기 이음 용접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아래의 TTT곡선(Time-Temperature-Transformation diagram)에 나와 있는 화살표를 따라 강을 담금질할 때 얻게 되는 조직은? (단, 그림에서 A1은 공석온도, Ms는 마르텐사이트 변태 개시점, Mf는 마르텐사이트 변태 완료점을 나타낸다)

  1. 베이나이트(bainite)
  2. 마르텐사이트(martensite)
  3. 페라이트(ferrite)
  4. 오스테나이트(austenite)
(정답률: 79%)
  • 화살표를 따라 강을 담금질하면 Ms 이하에서 빠르게 냉각되어 마르텐사이트가 생성되지 않고, Mf 이상에서는 충분히 빠르게 냉각되지 않아 페라이트가 생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Ms와 Mf 사이에서 냉각되어 생성되는 조직은 베이나이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절삭가공에서 발생하는 크레이터 마모(crater wear)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구와 칩 경계에서 원자들의 상호 이동이 주요 원인이다.
  2. 공구와 칩 경계의 온도가 어떤 범위 이상이면 마모는 급격하게 증가한다.
  3. 공구의 여유면과 절삭면과의 마찰로 발생한다.
  4. 경사각이 크면 마모의 발생과 성장이 지연된다.
(정답률: 62%)
  • 공구의 여유면과 절삭면과의 마찰로 발생한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크레이터 마모는 공구와 칩 경계에서 원자들의 상호 이동이 주요 원인이며, 공구와 칩 경계의 온도가 어떤 범위 이상이면 마모는 급격하게 증가합니다. 경사각이 크면 마모의 발생과 성장이 지연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단면이 직사각형이고 길이가 ℓ인 외팔보형 단판 스프링에서 최대처짐이 δo이고, 스프링의 두께를 2배로 하였을 때 최대 처짐이 δ일 경우 δ/δo는? (단, 다른 조건은 동일하다)

  1. 1/16
  2. 1/8
  3. 1/4
  4. 1/2
(정답률: 69%)
  • 외팔보형 단판 스프링의 최대처짐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δo = (3Fo3) / (4bh3)

    여기서 Fo는 스프링에 작용하는 최대 하중, b는 스프링의 폭, h는 스프링의 두께이다.

    스프링의 두께를 2배로 하면, 즉 h → 2h가 되면 최대처짐은 다음과 같이 변한다.

    δ = (3Fℓ3) / (16bh3)

    여기서 F는 스프링에 작용하는 최대 하중이다. 이제 δ/δo를 구해보자.

    δ/δo = [(3Fℓ3) / (16bh3)] / [(3Fo3) / (4bh3)]

    = (4/16) x (F/Fo) x (h/h)3 x (ℓ/ℓ)3

    = (1/4) x (F/Fo) x (1/8) x 1

    = F/Fo x (1/32)

    따라서 스프링의 두께를 2배로 했을 때 최대처짐이 원래의 1/32배가 되므로, δ/δo = 1/32의 역수인 1/8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8"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지름 피치가 4이고, 압력각은 20°이며 구동기어에 대한 종동기어의 속도비는 1/3, 중심거리는 10인치인 한 쌍의 스퍼 기어가 물려있는 경우 구동기어의 잇수는?

  1. 10개
  2. 20개
  3. 30개
  4. 60개
(정답률: 55%)
  • 지름 피치가 4이므로 한 바퀴 회전할 때 기어의 이동거리는 4π이다.
    종동기어의 속도비가 1/3이므로 구동기어가 한 바퀴 회전할 때 종동기어는 3바퀴 회전한다.
    중심거리가 10인치이므로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중심 사이의 거리는 20인치이다.
    압력각이 20°이므로 한 칸에 해당하는 각도는 20°이다.
    따라서,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칸 수는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20인치 × π) ÷ (4π × 3) × (180° ÷ 20°) = 20

    즉, 구동기어의 잇수는 20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열가소성 플라스틱 제품의 대량 생산공정에 가장 적합한 방법은?

  1. 압축성형(compression molding)
  2. 다이캐스팅(die casting)
  3. 전이성형(transfer molding)
  4. 사출성형(injection molding)
(정답률: 82%)
  • 열가소성 플라스틱은 고온에서도 변형이 적은 소재로, 사출성형이 가장 적합합니다. 사출성형은 고압으로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주입하여 형상을 만들어내는 방법으로, 대량 생산에 적합하며 정확한 크기와 형상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또한 생산성이 높고 재료 낭비가 적어 경제적입니다. 따라서 사출성형이 가장 적합한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미끄럼 베어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오일 휩(oil whip)에 의한 진동이 발생하기도 한다.
  2. 재료로는 오일 흡착력이 높고 축 재료보다 단단한 것이 좋다.
  3. 회전축과 유막 사이의 두께는 윤활유 점도가 높을수록, 회전속도가 빠를수록 크다.
  4. 구름 베어링에 비해 진동과 소음이 적고 고속 회전에 적합하다.
(정답률: 59%)
  • 정답은 "재료로는 오일 흡착력이 높고 축 재료보다 단단한 것이 좋다."입니다. 이유는 미끄럼 베어링은 윤활유를 이용하여 회전축과 유막 사이의 마찰을 줄이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오일 흡착력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축 재료보다 단단한 것이 좋다는 설명은 옳지 않습니다. 축 재료는 미끄럼 베어링의 회전축으로 사용되는 재료이며, 축 재료가 더 단단할수록 마찰이 증가하여 윤활유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축 재료는 미끄럼 베어링의 용도와 조건에 맞게 선택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재료의 마찰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금형과 공작물 사이의 접촉면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여 마찰을 줄일 수 있다.
  2. 접촉면에 작용하는 수직 하중에 대한 마찰력의 비를 마찰계수라 한다.
  3. 마찰계수는 일반적으로 링압축시험법으로 구할 수 있다.
  4. 플라스틱 재료는 금속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강도는 작지만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다.
(정답률: 70%)
  • 플라스틱 재료는 금속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강도는 작지만 높은 마찰계수를 갖는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플라스틱 재료는 일반적으로 금속에 비해 마찰계수가 낮은 편입니다. 이는 플라스틱 재료의 표면이 부드럽고 미끄러워서 마찰이 적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서냉한 공석강의 미세조직인 펄라이트(pearlite)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α-페라이트로만 구성된다.
  2. δ-페라이트로만 구성된다.
  3. α-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의 혼합상이다.
  4. δ-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의 혼합상이다.
(정답률: 84%)
  • 펄라이트는 α-페라이트와 시멘타이트의 혼합상입니다. 이는 각각의 성분이 교대로 나타나며, 미세한 조직 구조를 형성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밀링 절삭 중 상향 절삭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작물의 이송 방향과 날의 진행 방향이 반대인 절삭 작업이다.
  2. 이송나사의 백래시(backlash)가 절삭에 미치는 영향이 거의 없다.
  3. 마찰을 거의 받지 않으므로 날의 마멸이 적고 수명이 길다.
  4. 칩이 가공할 면 위에 쌓이므로 시야가 좋지 않다.
(정답률: 70%)
  • "칩이 가공할 면 위에 쌓이므로 시야가 좋지 않다."는 상향 절삭과 관련이 없는 내용이므로 옳지 않은 것입니다.

    마찰을 거의 받지 않으므로 날의 마멸이 적고 수명이 길다는 이유는, 상향 절삭에서는 칩이 위로 튀어나가기 때문에 절삭면과 칩 사이에 마찰이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날의 마멸이 적고 수명이 길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선삭 가공에 사용되는 절삭 공구의 여유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공구와 공작물 접촉 부위에서 간섭과 미끄럼 현상에 영향을 준다.
  2. 여유각을 크게 하면 인선강도가 증가한다.
  3. 여유각이 작으면 떨림의 원인이 된다.
  4. 여유각이 크면 플랭크 마모(flank wear)가 감소된다.
(정답률: 58%)
  • "여유각을 크게 하면 인선강도가 증가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여유각이 크면 공구와 공작물 접촉 부위에서 간섭과 미끄럼 현상이 줄어들어 절삭 힘이 감소하고, 이로 인해 플랭크 마모가 감소합니다. 따라서 여유각이 크면 절삭 효율이 향상되지만, 인선강도는 증가하지 않습니다. 인선강도는 공구의 내구성과 관련된 개념으로, 공구의 재질과 열처리 등에 따라 결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나사를 1회전을 시켰을 때 축 방향 이동거리가 가장 큰 것은?

  1. M48 × 5
  2. 2줄 M30 × 2
  3. 2줄 M20 × 3
  4. 3줄 M8 × 1
(정답률: 86%)
  • 나사의 이동거리는 나사의 표면에 있는 나사홈의 간격과 나사의 횟수에 따라 결정됩니다. 따라서 나사홈 간격이 작고 나사 횟수가 많은 나사일수록 이동거리가 크게 됩니다.

    따라서 보기 중에서 나사홈 간격이 작고 나사 횟수가 많은 것은 "2줄 M20 × 3" 입니다. 이 나사는 2줄의 나사홈이 있고, 한 번 회전할 때마다 3mm씩 이동하므로 축 방향 이동거리가 가장 큽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유체 토크 컨버터(fluid torque converter)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유체 커플링과 달리 안내깃(stator)이 존재하지 않는 구조이다.
  2. 입력축의 토크보다 출력축의 토크가 증대될 수 있다.
  3.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에 사용된다.
  4. 출력축이 정지한 상태에서 입력축이 회전할 수 있다.
(정답률: 57%)
  • 유체 토크 컨버터는 안내깃(stator)이 존재하는 구조입니다. 안내깃은 유체 토크 컨버터 내부에서 유동을 제어하여 출력축의 토크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유체 커플링과 달리 안내깃이 존재하지 않는 구조이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고압 증기터빈에서 저압 증기터빈으로 유입되는 증기의 건도를 높여 상대적으로 높은 보일러 압력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터빈 일을 증가시키며, 터빈 출구의 건도를 높이는 사이클은?

  1. 재열 사이클(reheat cycle)
  2. 재생 사이클(regenerative cycle)
  3. 과열 사이클(superheat cycle)
  4. 스털링 사이클(Stirling cycle)
(정답률: 63%)
  • 재열 사이클은 고압 증기터빈에서 나온 저압 증기를 다시 가열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보일러 압력을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이를 통해 터빈 일을 증가시키며, 터빈 출구의 건도를 높이는 사이클입니다. 따라서 이 사이클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소성가공법 중 압연과 인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압연 제품의 두께를 균일하게 하기 위하여 지름이 작은 작업롤러(roller)의 위아래에 지름이 큰 받침롤러(roller)를 설치한다.
  2. 압하량이 일정할 때, 직경이 작은 작업롤러(roller)를 사용하면 압연 하중이 증가한다.
  3. 연질 재료를 사용하여 인발할 경우에는 경질 재료를 사용할 때보다 다이(die) 각도를 크게 한다.
  4. 직경이 5 mm 이하의 가는 선 제작 방법으로는 압연보다 인발이 적합하다.
(정답률: 76%)
  • "압하량이 일정할 때, 직경이 작은 작업롤러(roller)를 사용하면 압연 하중이 증가한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입니다.

    작업롤러의 직경이 작을수록 접촉면적이 작아져서 단위 면적당 압력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압하량이 일정할 때 작업롤러의 직경이 작을수록 압연 하중이 증가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