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9-06-15)

9급 지방직 공무원 식용작물
(2019-06-15 기출문제)

목록

1. 다음에서 설명하는 육종법을 위한 배양기술은?

  1. 배배양
  2. 화경배양
  3. 화분배양
  4. 생장점배양
(정답률: 71%)
  • 이 배양기술은 화분을 사용하여 작물을 배양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정답은 "화분배양"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야생벼와 비교할 때 재배벼에서 나타나는 특성으로 옳은 것은?

  1. 탈립성이 크다.
  2. 내비성이 강하다.
  3. 암술머리가 크다.
  4. 휴면성이 강하다.
(정답률: 86%)
  • 재배벼는 일정한 환경에서 재배되기 때문에 내비성이 강하다. 내비성이란 작물이 일정한 환경에서 재배되면 그 환경에 적응하여 생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성질을 말한다. 따라서 재배벼는 일정한 환경에서 재배되므로 내비성이 강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벼 재배 시 백수현상이 나타나는 조건이 아닌 것은?

  1. 이화명나방의 2화기 피해
  2. 벼물바구미의 가해
  3. 이삭도열병의 만연
  4. 출수개화기의 풍해
(정답률: 62%)
  • 정답: 출수개화기의 풍해

    이유: 백수현상은 벼의 생육기간 중 일부 기간 동안 물 부족으로 인해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물 공급이 필요합니다. 이와는 달리, 이화명나방의 2화기 피해, 벼물바구미의 가해, 이삭도열병의 만연은 벼의 생육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병해충이나 질병으로 인한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엽면시비에서 비료의 흡수촉진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잎의 이면보다 표면에 살포되도록 한다.
  2. 비료액의 pH를 약산성으로 조제하여 살포한다.
  3. 피해가 발생하지 않는 한 높은 농도로 살포한다.
  4. 가지나 줄기의 정부에 가까운 쪽으로 살포한다.
(정답률: 84%)
  • 흡수촉진 조건으로 옳지 않은 것은 "피해가 발생하지 않는 한 높은 농도로 살포한다."입니다. 이는 오히려 식물에 해를 끼칠 수 있으며, 적정 농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잎의 이면보다 표면에 살포되도록 하는 이유는 잎의 표면에는 수관이 있어 비료가 빠르게 흡수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잎의 이면에는 털이나 왁스층 등으로 인해 흡수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료를 효과적으로 흡수시키기 위해서는 잎의 표면에 살포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료액의 pH를 약산성으로 조제하여 살포하는 것은 비료의 흡수를 돕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약산성으로 조제하면 비료 분자가 이온화되어 더 쉽게 흡수될 수 있습니다. 가지나 줄기의 정부에 가까운 쪽으로 살포하는 것은 식물의 성장을 돕기 위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부분은 잎의 표면에 살포하는 것과 함께 사용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우리나라에서 신품종의 보호, 증식 및 보급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자식성 작물의 종자증식 체계는 원종 → 원원종 → 기본식물 → 보급종의 단계를 거친다.
  2. 자식성인 벼의 종자갱신은 3년 1기로 되어 있으며 증수효과는 16% 정도이다.
  3. 품종의 특성 유지를 위해 다른 옥수수밭과는 2~5m의 이격거리를 두는 것이 안전하다.
  4. 품종보호요건은 신품종의 구비조건뿐만 아니라 신규성과 고유한 품종명칭을 갖추어야 한다.
(정답률: 84%)
  • 품종보호요건은 신품종의 구비조건뿐만 아니라 신규성과 고유한 품종명칭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은, 새로운 품종이 보호받으려면 그것이 이전에 존재하지 않았고, 고유한 이름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해당 품종이 다른 품종과 구별되어야 하며, 보호받을 가치가 있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조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벼의 직파재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무논골뿌림재배는 입모는 균일하지만 통풍이 불량해 병해발생이 많다.
  2. 무논표면뿌림재배는 이삭수 확보에 유리하나 이끼나 괴불의 발생이 많다.
  3. 요철골직파재배는 다른 직파재배보다 생력효과가 크고 잡초발생이 적다.
  4. 마른논줄뿌림재배는 탈질현상이 발생하고 물을 댈 때 비료의 유실이 많다.
(정답률: 63%)
  • "무논골뿌림재배는 입모는 균일하지만 통풍이 불량해 병해발생이 많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무논골뿌림재배는 통풍이 불량해 병해발생이 많다는 것이 아니라, 통풍이 잘 되어 병해발생이 적다는 것이다. 무논골뿌림재배는 입모가 균일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통풍이 잘 되어 병해발생이 적다는 것이 특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고위도 지대에서 재배하기에 적합한 벼 품종의 기상생태형은?

  1. 감광성이 크고 감온성이 작은 품종
  2. 감온성이 크고 감광성이 작은 품종
  3. 감광성이 크고 기본영양생장성이 작은 품종
  4. 기본영양생장성이 크고 감온성이 작은 품종
(정답률: 79%)
  • 고위도 지대에서는 일조량이 적고 기온이 낮기 때문에 감광성이 큰 품종은 일조량이 부족한 환경에서 생육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반면 감온성이 큰 품종은 낮은 기온에서도 생육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위도 지대에서 재배하기에 적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감온성이 크고 감광성이 작은 품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논토양의 종류별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고논은 지온이 낮고 공기가 제대로 순환하지 않아 유기물의 분해가 늦다.
  2. 모래논은 양분보유력이 약하고 용탈이 심하므로 객토를 하여 개량한다.
  3. 미숙논은 토양조직이 치밀하고 영양분이 적으며 투수성이 약한 논이다.
  4. 우리나라의 60% 정도인 보통논에서 생산된 쌀의 밥맛이 가장 좋다.
(정답률: 72%)
  • "우리나라의 60% 정도인 보통논에서 생산된 쌀의 밥맛이 가장 좋다." 인 이유를 최대한 간단명료하게 설명해줘.

    이는 보통논에서 생산되는 쌀이 가장 많기 때문이다. 보통논은 지온과 공기순환 등이 적절하며, 적정한 양분보유력과 토양조직, 투수성을 가지고 있어 쌀의 품질이 우수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담수직파에서 볍씨를 깊은 물속에 파종했을 때 발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초엽이 거의 자라지 않아 생육이 나빠진다.
  2. 초엽은 더 길어지나 중배축은 변화가 없다.
  3. 중배축이 더 길어지고 가는 뿌리가 나온다.
  4. 중배축이 거의 자라지 않아 키가 작아진다.
(정답률: 80%)
  • 볍씨는 물속에서 발아할 때 중배축이 더 길어지고 가는 뿌리가 나오기 때문에 정답은 "중배축이 더 길어지고 가는 뿌리가 나온다."입니다. 이는 물속에서 생존하기 위해 뿌리가 더 깊숙히 파고들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초엽은 생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쌀알의 호분층에 함유되어 있는 기능성 성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과립상태로 존재하는 피트산은 황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항산화물질이다.
  2. 식이섬유가 2% 정도 포함되어 있어 변비와 대장암의 예방효과가 크다.
  3. 유색미에 들어 있는 카테킨과 카테콜-타닌은 베타카로틴과 이노시톨이다.
  4. 지용성 성분인 γ-오리자놀과 토코페롤은 콜레스테롤 저하작용이 있다.
(정답률: 65%)
  • 지용성 성분인 γ-오리자놀과 토코페롤은 콜레스테롤 저하작용이 있다. 이는 이 두 성분이 콜레스테롤의 산화를 방지하여 콜레스테롤의 적정 수준을 유지시켜주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고구마의 괴근 비대에 유리한 환경조건이 아닌 것은?

  1. 고온조건일 때
  2. 단일조건일 때
  3. 일조량이 풍부할 때
  4. 칼리성분이 많을 때
(정답률: 65%)
  • 고온조건일 때는 고구마의 괴근 비대를 유발하는 균이 번식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유리한 환경조건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강우가 많은 우리나라 기후에 적응된 작물이므로 강산성토양에서도 잘 자란다.
  2. 종자에는 메티오닌이나 시스틴과 같은 황을 함유한 단백질이 육류에 비해 적다.
  3. 생육일수는 온도와 일장에 따라 다른데 여름콩은 생육일수가 짧고 가을콩은 길다.
  4. 발아 시에 필요한 흡수량은 풍건중의 1.2배 정도이며, 최적 토양수분량은 최대용수량의 70% 내외이다.
(정답률: 75%)
  • "강우가 많은 우리나라 기후에 적응된 작물이므로 강산성토양에서도 잘 자란다."는 옳은 설명이다.

    이유는 강우가 많은 기후에서는 물이 부족하지 않아 콩이 잘 자라기 때문이며, 강산성토양은 비교적 토양 중에서 산성이 강한 편이지만 콩은 적응력이 강해 잘 자란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우리나라에서 두류의 재배와 생육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땅콩은 연작하면 기지현상이 심하기 때문에 1~2년 정도 윤작을 해야 한다.
  2. 팥은 단명종자이고 발아할 때 자엽이 지상에 나타나는 지상자엽형에 속한다.
  3. 강낭콩은 다른 두류에 비해 질소고정능력이 낮아 질소시용의 효과가 크다.
  4. 녹두는 조생종을 선택하면 고랭지나 고위도 지방에서도 재배할 수 있다.
(정답률: 86%)
  • 팥은 지하에서 발아하며 지하자엽형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옥수수의 생리생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곡실용 옥수수는 곁가지의 발생이 많은 품종이 종실수량이 많아서 재배에 유리하다.
  2. 일반적으로 숫이삭의 출수 및 개화가 암이삭의 개화보다 앞서는 웅성선숙 작물이다.
  3. 광합성의 초기산물이 탄소원자 4개를 갖는 C4 식물로 온도가 높을 때 생육이 왕성하다.
  4. 이산화탄소 이용효율이 높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낮아도 C3 식물에 비해 광합성이 높게 유지된다.
(정답률: 78%)
  • "곡실용 옥수수는 곁가지의 발생이 많은 품종이 종실수량이 많아서 재배에 유리하다." 이 설명은 옳은 설명이다.

    곡실용 옥수수는 곁가지의 발생이 많은 품종이 종실수량이 많아서 재배에 유리하다. 이는 곁가지가 많을수록 수확량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우리나라 맥류 포장에서 주로 발생하는 잡초로만 묶은 것은?

  1. ㄱ, ㄴ, ㄷ, ㅁ
  2. ㄱ, ㄴ, ㄹ, ㅂ
  3. ㄴ, ㄷ, ㄹ, ㅁ
  4. ㄷ, ㄹ, ㅁ, ㅂ
(정답률: 73%)
  • 주어진 맥류 포장에서 발생하는 잡초는 "노루발, 돌나물, 라디시, 미나리" 입니다. 이 중에서 "ㄴ, ㄷ, ㄹ, ㅁ"은 "노루발, 돌나물, 라디시, 미나리"의 초성이기 때문에 정답은 "ㄴ, ㄷ, ㄹ, 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요수량이 가장 적은 작물은?

  1. 강낭콩
  2. 완두
  3. 기장
  4. 감자
(정답률: 88%)
  • 기장은 다른 작물에 비해 요수량이 적은 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잡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메밀은 구황작물로 이용되어 왔던 쌍떡잎식물이다.
  2. 수수는 C4 식물이며 내건성이 매우 강하다.
  3. 조는 자가수정 작물이나 자연교잡률이 비교적 높다.
  4. 기장의 단백질 함량은 5% 이하로 지질 함량보다 낮다.
(정답률: 68%)
  • 기장의 단백질 함량은 5% 이하로 지질 함량보다 낮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기장은 단백질 함량이 10~15%로 지질 함량보다 높은 곡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맥류의 도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광합성과 호흡을 모두 감소시켜 생육이 억제된다.
  2. 일반적으로 출수 후 40일경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
  3. 뿌리의 뻗어가는 각도가 좁으면 도복에 약하다.
  4. 잎에서 이삭으로의 양분전류가 감소된다.
(정답률: 62%)
  • "광합성과 호흡을 모두 감소시켜 생육이 억제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도복은 광합성과 호흡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지 않는다. 도복은 뿌리와 줄기 사이에 위치하여 뿌리의 뻗어가는 각도를 넓게 유지하고, 이삭에서 뿌리로의 양분 이동을 돕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광합성과 호흡을 모두 감소시켜 생육이 억제된다."라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맥류의 생리생태적 특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보리는 밀보다 심근성이어서 건조하고 메마른 토양에서도 잘 견딘다.
  2. 맥류에서 춘파성이 클수록 더 낮은 온도를 거쳐야 출수할 수 있다.
  3. 겉보리의 종실은 영과로 외부의 충격에 의해 껍질과 쉽게 분리된다.
  4. 호밀은 맥류 중 내한성(耐寒性)이 커서 -25℃에서 월동이 가능하다.
(정답률: 70%)
  • 호밀은 맥류 중 내한성이 높아서 매우 낮은 온도에서도 생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25℃에서도 월동이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감자에 발생하는 병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역병은 곰팡이병으로 잎과 괴경에 피해를 주며 감염 부위가 검게 변하면서 조직이 고사한다.
  2. 흑지병은 검은무늬썩음병이라고도 하며 토양 내 수분 함량이 낮고 온도가 높을 때 발생한다.
  3. 더뎅이병은 세균성병으로 2기작 감자를 연작하는 제주도와 남부지방에서 피해가 더 심하다.
  4. 절편부패병은 씨감자의 싹틔우기 시 온도가 높고 건조하거나 직사광선에 노출될 때 발생한다.
(정답률: 68%)
  • "역병은 곰팡이병으로 잎과 괴경에 피해를 주며 감염 부위가 검게 변하면서 조직이 고사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흑지병은 검은무늬썩음병으로, 토양 내 수분 함량이 낮고 온도가 높을 때 발생합니다. 이 병은 감자의 줄기와 잎, 광합성 조직 등을 침범하여 검은색 무늬와 함께 썩음을 일으킵니다.

    반면, 역병은 감자의 잎과 괴경에 피해를 주며, 감염 부위가 검게 변하면서 조직이 고사합니다. 이 병은 곰팡이병으로 분류되며, 습기가 많은 환경에서 발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