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식용작물 필기 기출문제복원 (2020-06-13)

9급 지방직 공무원 식용작물
(2020-06-13 기출문제)

목록

1.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작물로만 묶은 것은?

  1. 콩, 메밀
  2. 콩, 옥수수
  3. 메밀, 보리
  4. 보리, 옥수수
(정답률: 74%)
  • 이미지 속에 있는 작물들은 모두 여름에 수확되는 작물이며, 콩과 메밀은 둘 다 여름철에 재배되는 곡식 작물이기 때문에 정답이 "콩, 메밀"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벼 종자가 수분을 흡수하여 가수분해효소를 주로 합성하는 곳은?

  1. 표피
  2. 중과피
  3. 호분층
  4. 전분저장세포
(정답률: 95%)
  • 호분층은 벼 종자에서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며, 수분을 흡수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호분층에서는 가수분해효소를 주로 합성하여 수분을 분해하고, 이를 이용하여 식물이 생장하는 데 필요한 영양분을 만들어냅니다. 따라서 벼 종자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곳 중 하나가 바로 호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종ㆍ속간 교잡종자를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 활용하는 조직배양기술은?

  1. 소형 씨감자의 대량생산
  2. 무병주 식물체 생산
  3. 꽃가루배양
  4. 배주배양
(정답률: 65%)
  • 배주배양은 종ㆍ속간 교잡종자를 확보하기 어려운 경우에 활용하는 조직배양기술입니다. 이 기술은 원하는 종의 조직을 배양하여 적절한 배지에 이식한 후, 이를 배양하여 새로운 식물체를 얻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소형 씨감자의 대량생산, 무병주 식물체 생산, 꽃가루배양과 같은 다른 보기들과는 다른 원리로 작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과 같은 특징을 나타내는 작물은?

  1. 완두
  2. 감자
  3. 옥수수
(정답률: 90%)
  • 위 그림에서 보이는 작물은 옥수수입니다. 이는 옥수수가 긴 잎사귀를 가지고 있고, 그 잎사귀 사이에 수염이 있는 것으로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옥수수는 벼와 달리 귀가 있고, 완두와 감자와는 다른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벼의 기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공의 수는 생육조건에 따라 다른데 하위엽일수록 많다.
  2. 기공의 수는 품종에 따라 다른데 차광처리에 의해 감소된다.
  3. 기공의 수는 온대자포니카벼보다 왜성의 인디카벼에 더 많다.
  4. 기공은 잎몸의 표피뿐만 아니라 녹색을 띠는 잎집ㆍ이삭축ㆍ지경 등의 표피에도 발달한다.
(정답률: 74%)
  • "기공의 수는 차광처리에 의해 감소된다."가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기공의 수는 생육조건에 따라 다르며, 하위엽일수록 많아지는 이유는 하위엽에서는 광합성이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품종에 따라 기공의 수가 다르며, 온대자포니카벼보다 왜성의 인디카벼에 더 많은 것이 사실입니다. 또한, 기공은 잎몸의 표피뿐만 아니라 녹색을 띠는 잎집ㆍ이삭축ㆍ지경 등의 표피에도 발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벼 직파재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담수직파에서 건답직파보다 도복이 더 발생하기 쉽다.
  2. 담수직파는 논바닥을 균평하게 정지하기 곤란하다.
  3. 담수직파는 대규모일 때 항공파종이 가능하다.
  4. 담수직파에서 건답직파보다 분얼절위가 낮아 과잉분얼에 의한 무효분얼이 많다.
(정답률: 64%)
  • 담수직파는 논바닥을 균평하게 정지하기 곤란하다는 설명이 옳지 않습니다. 이유는 담수직파는 물을 직접 뿌려주기 때문에 논바닥을 균평하게 정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맥주보리의 품질조건으로 옳은 것은?

  1. 곡피의 양은 16% 정도가 적당하다.
  2. 전분함량은 58% 이상부터 65% 정도까지 높을수록 좋다.
  3. 단백질함량은 15% 이상으로 많을수록 좋다.
  4. 지방함량은 6% 이상으로 많을수록 좋다.
(정답률: 66%)
  • 전분은 맥주의 맛과 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일반적으로 58% 이상부터 65% 정도까지 높을수록 좋은 품질의 맥주가 된다. 이는 전분이 많을수록 맥주의 맛과 향이 진하고 부드러워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작물별 기계화재배 시 고려사항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맥류-기계수확을 위해서 초장이 70cm 정도의 중간 크기가 알맞다.
  2. 벼-기계이앙하려면 상자육묘를 해야 한다.
  3. 콩-콤바인 수확을 위해서는 최하위 착협고가 10cm 이하인 품종이 알맞다.
  4. 참깨-콤바인 수확을 위해서 내탈립성 품종이 알맞다.
(정답률: 89%)
  • 콩의 경우 최하위 착협고가 10cm 이하인 품종이 알맞다는 것은 옳은 설명이 아니다. 올바른 설명은 "콩-콤바인 수확을 위해서는 착실한 열매를 가진 품종이 알맞다." 이다. 즉, 콩은 열매가 착실하고 붙어있어야 수확이 용이하므로 이러한 특성을 가진 품종이 적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장명종자로 구분된다.
  2. 종실이 균일하게 성숙하지 않는 특성이 있다.
  3. 토양산도는 pH 6.0~6.5가 알맞지만, 강산성 토양에도 잘 적응한다.
  4. 종자 속에는 전분이 34~35% 정도, 단백질도 20% 정도 들어있다.
(정답률: 71%)
  • 팥은 토양산도가 pH 6.0~6.5가 알맞은 것이 맞으며, 강산성 토양에는 잘 적응하지 않는다. 따라서 "토양산도는 pH 6.0~6.5가 알맞지만, 강산성 토양에도 잘 적응한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고구마 병은?

  1. 무름병
  2. 건부병
  3. 검은무늬병
  4. 더뎅이병
(정답률: 81%)
  • 이 고구마 병은 "무름병"이다. 그 이유는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처럼 고구마의 잎이 검게 변하고, 병든 부분이 무르게 되는 것이 특징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과 같은 개화 특징을 갖는 작물은?

  1. 아주까리
  2. 상추
  3. 시금치
(정답률: 87%)
  • 이 작물은 삼출을 통해 꽃과 열매를 동시에 맺는 개화형 작물이며, 콩은 삼출을 통해 꽃과 열매를 동시에 맺는 특징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기장의 형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줄기는 지상절의 수가 1~10마디이고, 둥글며 속이 차 있다.
  2. 종근은 1개이고 지표에 가까운 지상절에서는 부정근이 발생하지 않는다.
  3. 종실은 영과로 소립이고 방추형이다.
  4. 이삭의 지경이 대체로 짧아 조ㆍ피와 비슷하고 벼나 수수와는 다르다.
(정답률: 51%)
  • 기장의 종실은 영과로 소립이고 방추형이다. 이는 종실이 작고 둥글며 속이 차 있어서 방추형을 띄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보리의 발육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아생기-배유의 양분이 거의 소실되고 뿌리로부터 흡수되는 양분에 의존하는 시기
  2. 이유기-주간의 엽수가 2~2.5장인 시기로 발아 후 약 3주일에 해당하는 시기
  3. 신장기-유수형성기 이후 이삭과 영화가 커지며 생식세포가 형성되는 시기
  4. 수잉기-절간신장이 개시되어 출수와 개화에 이르기까지 줄기 신장이 지속되는 시기
(정답률: 68%)
  • 보리의 발육과정은 아생기, 이유기, 신장기, 수잉기로 나뉩니다. 이 중 이유기는 주간의 엽수가 2~2.5장인 시기로 발아 후 약 3주일에 해당하는 시기입니다. 이때 보리는 뿌리로부터 흡수되는 양분에 의존하며, 뿌리와 줄기가 발달하고 잎이 자라는 시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작물의 수분생리작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물은 작물생육에 필수원소인 수소원소의 공급원이 된다.
  2. 물은 작물이 필요물질을 흡수하는 데 용매 역할을 한다.
  3. 작물체 내 함수량이 적어지면 용질의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세포액의 삼투포텐셜이 높아진다.
  4. 세포조직 내 물의 이동은 수분포텐셜이 평형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정답률: 82%)
  • 작물체 내 함수량이 적어지면 용질의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세포액의 삼투포텐셜이 높아진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올바른 설명은 "작물체 내 함수량이 적어지면 수분포텐셜이 낮아져서 물의 이동이 감소하고, 작물체가 수분을 보존하기 위해 기계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벼의 잎면적지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단위토지면적 위에 생육하고 있는 개체군의 전체잎면적의 배수로 표시된다.
  2. 잎면적지수 7은 개체군의 잎면적이 단위토지면적의 7배라는 뜻이다.
  3. 최적잎면적지수는 품종에 따라 다르다.
  4. 잎면적지수는 출수기에 최댓값을 보인다.
(정답률: 68%)
  • 잎면적지수는 출수기에 최댓값을 보인다는 설명이 옳지 않다. 잎면적지수는 생육기간 중 잎의 성장과 수확기 이전에는 증가하다가 수확기 이후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수확기 이전에는 잎의 성장이 빠르게 일어나기 때문에 잎면적지수가 증가하다가, 수확기 이후에는 잎이 노화되어 감소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벼 병해 중 바이러스에 의한 병만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2. ㄱ, ㄷ
  3. ㄴ, ㄷ
  4. ㄷ, ㄹ
(정답률: 69%)
  • 이미지에서 보이는 벼 병해 중 바이러스에 의한 병은 "노랑잎마름병"과 "벼황병"입니다. "ㄱ, ㄷ"은 노랑잎마름병과 벼황병 모두 바이러스에 의한 병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ㄱ, ㄴ"은 노랑잎마름병은 바이러스, 벼좀노린재는 진균, "ㄴ, ㄷ"은 노랑잎마름병과 벼황병 모두 바이러스에 의한 병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ㄷ, ㄹ"은 벼좀노린재와 벼노균병 모두 진균에 의한 병이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벼 이앙 시 재식밀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비옥지에서는 척박지에 비해 소식하는 것이 좋다.
  2. 조생품종의 경우 만생품종보다 밀식하는 것이 좋다.
  3. 수중형 품종의 경우 수수형 품종에 비해 소식하는 것이 좋다.
  4. 만식재배의 경우 밀식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51%)
  • "수중형 품종의 경우 수수형 품종에 비해 소식하는 것이 좋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실제로는 수수형 품종이 수중형 품종보다 더 많은 양의 탄소를 공급받아 더 높은 생산성을 보이기 때문에, 수수형 품종이 소식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수중형 품종의 경우 수면 아래에서 생장하며, 이로 인해 더 많은 양의 빛을 받아 광합성이 더 활발하게 일어나기 때문에, 높은 광합성 생산성을 보입니다. 하지만 수면 아래에서 생장하는 것은 물의 저항으로 인해 생장속도가 느리고, 뿌리가 짧아 토양으로부터 영양분을 흡수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수수형 품종보다는 생산성이 낮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보통메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부분 자웅예동장화(雌雄蕊同長花)이다.
  2. 흡비력이 강하다.
  3. 루틴 함량은 개화 시 꽃에서 가장 높다.
  4. 우리나라 평야지대에서는 겨울작물이나 봄작물의 후작으로 유리하다.
(정답률: 69%)
  • "대부분 자웅예동장화(雌雄蕊同長花)이다."는 옳은 설명이다. 다른 보기들은 옳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콩의 질소고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콩의 뿌리는 플라보노이드를 분비하고, 이에 반응하여 뿌리혹세균의 nod 유전자가 발현된다.
  2. 뿌리혹의 중심부에는 여러 개의 박테로이드를 포함하고 있으며, 그 안에서 질소를 고정한다.
  3. 뿌리혹박테리아는 호기성이고 식물체 내의 당분을 섭취하며 생장한다.
  4. 콩은 어릴 때 질소고정량이 많으며, 개화기경부터는 질소고정량이 적어진다.
(정답률: 89%)
  • 콩의 질소고정량은 개화기경부터 적어지는 것이 아니라, 콩의 생애주기 중 후기 단계에서 감소하는 것이 옳은 설명입니다. 즉, "콩은 어릴 때 질소고정량이 많으며, 노화에 따라 질소고정량이 감소한다."가 맞는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콩 품종의 용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나물콩-대표품종으로 은하콩이 있고, 종실이 커야 콩나물 수량이 많아진다.
  2. 장콩-대표품종으로 대원콩이 있고, 두부용은 수용성 단백질이 높을수록 품질이 좋아진다.
  3. 기름콩-대표품종으로 황금콩이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지방함량이 높은 품종을 많이 개발하여 재배되고 있다.
  4. 밥밑콩-대표품종으로 검정콩이 있고, 껍질이 두꺼워 무르지 않고 당 함량이 높아야 한다.
(정답률: 70%)
  • 장콩은 대표적인 두부용 콩 품종으로, 수용성 단백질이 높을수록 두부의 품질이 좋아지기 때문에 수용성 단백질이 높은 대원콩이 대표품종으로 선택된 것입니다. 따라서 "장콩-대표품종으로 대원콩이 있고, 두부용은 수용성 단백질이 높을수록 품질이 좋아진다."가 옳은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