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급 지방직 공무원 자료조직개론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8-05-19)

9급 지방직 공무원 자료조직개론
(2018-05-19 기출문제)

목록

1. KDC 제6판 종교(200)의 하위 주제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경학(經學)
  2. 신앙생활
  3. 교회론
  4. 도교(道敎)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경학(經學)"입니다. 이유는 KDC 제6판 종교(200)에서 "경학(經學)"은 종교와 관련된 주제가 아니라 중국의 고전인 성전(聖經)을 연구하는 분야를 가리키는 학문 분야입니다. 따라서 종교와 관련된 주제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리재철 「한글순도서기호법」(제5표)를 적용할 때, 「구조동역학」(김춘호 저)의 저자기호로 옳은 것은?

  1. 기85
  2. 기86
  3. 김85
  4. 김86
(정답률: 91%)
  • 한글순도서기호법 제5표에서는 저자의 성씨의 초성으로 저자기호를 부여한다. 따라서 "구조동역학"의 저자인 김춘호의 성씨인 '김'의 초성인 'ㄱ'을 따서 저자기호는 "김85"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KDC 제6판의 본표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이를 적용한 「윤리학 교육과정 비교분석」의 분류기호는?

  1. 190.374
  2. 374.19
  3. 374.1903
  4. 375.1
(정답률: 알수없음)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DDC 제23판의 본표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밑줄 친 ㉠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KDC 제6판의 분류기호는?

  1. 410
  2. 420
  3. 510
  4. 520
(정답률: 알수없음)
  • ㉠의 의미는 "Mathematics"이다. 이에 해당하는 KDC 제6판의 분류기호는 "510"이다. KDC는 도서관 도서 분류 체계로, 숫자로 이루어진 분류기호를 사용하여 도서를 분류한다. 따라서 ㉠의 의미에 해당하는 분류기호는 510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분류법(초판)을 발간한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1. ㄴ → ㄷ → ㄱ → ㄹ
  2. ㄴ → ㄷ → ㄹ → ㄱ
  3. ㄴ → ㄹ → ㄷ → ㄱ
  4. ㄹ → ㄴ → ㄷ → ㄱ
(정답률: 알수없음)
  • 정답은 "ㄴ → ㄷ → ㄹ → ㄱ"입니다. 이유는 다음 분류법의 순서를 보면, 먼저 "ㄴ"에서 시작하여 "ㄷ"로 넘어가고, "ㄷ"에서 "ㄹ"로 넘어가며, 마지막으로 "ㄹ"에서 "ㄱ"으로 넘어가는 순서로 분류를 진행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 순서대로 발간한 것이 옳은 순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KDC 제6판의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이를 적용하여 분류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한민국지도 M981.1
  2. 일본지도 989.13
  3. 현대정치지리학 340.98
  4. 캐나다기행 980.241
(정답률: 70%)
  • 일반적으로 도서의 분류는 도서의 내용과 주제에 따라 분류된다. KDC 제6판에서는 지리학과 관련된 도서는 9로 시작하는 분류번호를 부여하고 있다. 따라서 "대한민국지도 M981.1", "일본지도 989.13", "캐나다기행 980.241"은 지리학과 관련된 도서이므로 옳은 분류이다. 하지만 "현대정치지리학 340.98"은 분류번호가 3으로 시작하므로, 일반적인 정치학과 관련된 도서로 분류되어야 하지만, KDC 제6판에서는 정치학과 관련된 도서도 9로 시작하는 분류번호를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옳은 분류이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DDC 제23판의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이를 적용한 Public libraries in Japan」의 분류기호는?

  1. 027.40952
  2. 027.452
  3. 027.4952
  4. 027.52
(정답률: 알수없음)
  • DDC 제23판에서 027은 "General libraries; General library operations and management"을 의미하며, 소수점 이하의 숫자는 세부 분류를 나타낸다. 분류기호의 마지막 두 자리는 지역 또는 언어에 대한 특정 정보를 나타내는데, "52"는 일본을 나타낸다. 따라서 "027.452"는 "General libraries; General library operations and management; Libraries in specific countries or regions; Asia; Japan"을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일본의 공공도서관을 분류하기에는 적절하지 않은 분류기호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KDC 제6판의 본표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이를 적용하여 분류할 경우, 별법이 적용된 것만을 모두 고르면?

  1. ㄱ, ㄴ
  2. ㄱ, ㄴ, ㄷ
  3. ㄴ,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별법이란, KDC에서 일반적인 분류법과는 다른 특별한 분류법을 말한다. 본표에서 "별법"이 적용된 것은 "별표"라는 단어가 붙어있는 것들이다. 따라서 정답은 "ㄱ, ㄴ"이다. "ㄱ"은 별표 1에 해당하는 것들, "ㄴ"은 별표 2에 해당하는 것들을 의미한다. "ㄱ, ㄴ, ㄷ"와 "ㄴ, ㄷ, ㄹ"은 별표가 포함되어 있지 않으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ㄱ, ㄴ, ㄷ, ㄹ"은 모든 분류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별법이 적용된 것만을 고르는 문제에서는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KDC 제6판의 본표와 표준구분표를 적용하여 분류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종교역사 209
  2. 기술과학학회 506
  3. 생명과학 연구법 470.7
  4. 생활과학잡지 590.4
(정답률: 알수없음)
  • 생활과학잡지 590.4가 옳지 않은 것이다.

    KDC 제6판의 본표와 표준구분표를 적용하여 분류한 것으로, 각 숫자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를 나타낸다.

    - 종교역사 209: 2(사회과학) - 0(종교학) - 9(역사)
    - 기술과학학회 506: 5(자연과학) - 0(일반) - 6(공학)
    - 생명과학 연구법 470.7: 4(의약학, 보건학) - 7(실험, 연구) - 0(일반) - 7(생명과학)
    - 생활과학잡지 590.4: 5(자연과학) - 9(생활과학) - 0(일반) - 4(잡지)

    생활과학잡지는 생활과학 분야의 잡지이므로, 대분류는 5(자연과학)이고 중분류는 9(생활과학)이다. 하지만 소분류는 4(잡지)가 아니라 0(일반)이어야 한다. 따라서 생활과학잡지는 590.0으로 분류되어야 옳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KDC 제6판의 본표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이를 적용한 「소설가 박경리 전기」의 분류기호는?

  1. 998.81
  2. 991.81
  3. 991.8
  4. 813.6
(정답률: 알수없음)
  • 이 문제에서는 KDC 제6판의 본표 일부를 활용하여 분류기호를 결정해야 한다. 그림에서 보면 "998.81"은 "한국 소설-개인 소설-박경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소설가 박경리 전기"의 분류기호는 "998.81"이 된다.

    다른 보기들은 "991.81"은 "한국 소설-개인 소설-윤동주", "991.8"은 "한국 소설-개인 소설-일반"을 의미하며, "813.6"은 "미국 소설-20세기 소설-1945년 이후 소설"을 의미한다. 이 문제에서는 "소설가 박경리 전기"를 분류하는 것이기 때문에, "998.81"이 가장 적합한 분류기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보기 1>을 대상으로 KCR 제4판과 KORMARC 형식(통합서지용, 2014 개정판)을 적용하여 <보기 2>의 레코드를 작성하였다. <보기 2>의 필드 기술이 옳지 않은 것만을 모두 고르면? (단, 지시기호와 띄어쓰기는 적용하지 않음)

  1. ㄱ, ㄴ
  2. ㄴ, ㄷ, ㄹ
  3. ㄴ, ㄹ, ㅁ
  4. ㄴ, ㄷ, ㄹ, ㅁ
(정답률: 알수없음)
  • 보기 2의 필드 기술 중 "ㄴ"은 100필드의 서명/저자 필드에서 "저자"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저명"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이므로 옳지 않다. "ㄷ"는 200필드의 서명사항 필드에서 "저자"와 "역자"를 함께 기술한 것이므로 옳지 않다. "ㄹ"은 200필드의 서명사항 필드에서 "역자"를 기술할 때 "옮긴이"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이므로 옳지 않다. 따라서 정답은 "ㄴ, ㄷ, 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KCR 제4판과 KORMARC 형식(통합서지용, 2014 개정판)을 적용하여 연속간행물을 기술한 레코드의 일부이다. ㉠, ㉡에 들어갈 표시기호로 옳은 것은? (단, 지시기호와 띄어쓰기는 적용하지 않음) (순서대로 ㉠, ㉡)

  1. 321, 780
  2. 321, 785
  3. 362, 780
  4. 362, 785
(정답률: 알수없음)
  • ㉠: $v$ ㉡: $a$
    362은 청구기호이고 780은 권호이다. 따라서 이 연속간행물은 청구기호 362에 해당하는 학술지의 780권이다.
    정답이 "362, 780"인 이유는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목록의 표목과 접근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특정 문헌이나 합집에 수록된 개별 저작을 대상으로 한 분출저록의 표목을 분출표목이라 한다.
  2. 접근점을 저자(단체), 표제, 주제명, 분류기호로 제한하고, 이 가운데 주제명과 분류기호를 기본표목으로 사용한다.
  3. AACR2R에서는 저자를 알 수 없거나 4인 이상인 경우, 표제를 기본표목으로 선정한다.
  4. 국제목록원칙규범에서는 서지데이터와 전거데이터를 검색하기 위한 접근점을 크게 제어형 접근점과 비제어형 접근점으로 구분하고 있다.
(정답률: 알수없음)
  • "접근점을 저자(단체), 표제, 주제명, 분류기호로 제한하고, 이 가운데 주제명과 분류기호를 기본표목으로 사용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는 국제목록원칙규범에서의 접근점 제한과 기본표목 선택 방법을 설명한 것이며, AACR2R에서는 표제를 기본표목으로 선정하는 것이 아니라, 주제명을 기본표목으로 선정한다. 따라서 이 설명은 부분적으로 옳지만, 완전하지는 않다.

    접근점을 제한하고 기본표목을 선택하는 이유는, 동일한 문헌이라도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검색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The Great Gatsby"라는 소설은 "F. Scott Fitzgerald"라는 저자로도, "1920s American literature"라는 주제명으로도, "PS3511.I9 G7 1994"라는 분류기호로도 검색될 수 있다. 따라서, 접근점을 제한하고 기본표목을 선택함으로써, 검색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국제목록원칙규범에서 제시한 ‘목록의 목적과 기능’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서지자원이나 에이전트를 식별하는 일
  2. 소장자료 중 서지자원을 탐색하는 일
  3. 목록의 안팎을 항해하는 일
  4. 저작과 표현형에 대한 접근점을 선정하는 일
(정답률: 30%)
  • 정답은 "저작과 표현형에 대한 접근점을 선정하는 일"입니다. 이는 국제목록원칙규범에서 제시한 목록의 목적과 기능 중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국제목록원칙규범에서는 목록의 목적과 기능으로서 서지자원이나 에이전트를 식별하는 일, 소장자료 중 서지자원을 탐색하는 일, 목록의 안팎을 항해하는 일 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KCR 제4판에서 단행본에 적용하지 않는 것만을 모두 고르면?

  1. ㄴ, ㄷ
  2. ㄷ, ㄹ
  3. ㄴ, ㄷ, ㄹ
(정답률: 알수없음)
  • KCR 제4판에서 단행본에 적용하지 않는 것은 "ㄴ, ㄷ, ㄹ"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ㄱ"은 KCR 제4판에서도 적용되는 것으로, 단행본에도 적용됩니다.
    - "ㄴ, ㄷ"는 KCR 제4판에서는 적용되지 않지만, 단행본에서는 적용됩니다. 이는 KCR 제4판에서는 이들을 구분하지 않고 "ㄴㄷ"로 표기하기 때문입니다.
    - "ㄷ, ㄹ"은 KCR 제4판에서는 적용되지 않지만, 단행본에서는 적용됩니다. 이는 KCR 제4판에서는 이들을 구분하지 않고 "ㄷㄹ"로 표기하기 때문입니다.
    - 따라서, KCR 제4판에서 단행본에 적용하지 않는 것은 "ㄴ, ㄷ, ㄹ"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IFLA의 ISBD(통합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수량, 크기, 딸림자료표시는 자료기술영역에 기술한다.
  2. 축적표시와 연속간행물의 권호는 자료 또는 자원유형특성영역에 기술한다.
  3. 본표제, 표제관련정보, 부차적 판표시의 책임표시는 표제와 책임표시영역에 기술한다.
  4. 내용형식과 매체유형영역은 첫 번째로 기술되는 영역이며, 통합판에 새로이 신설되었다.
(정답률: 50%)
  • "내용형식과 매체유형영역은 첫 번째로 기술되는 영역이며, 통합판에 새로이 신설되었다."는 옳은 설명이다.

    따라서, 정답은 "본표제, 표제관련정보, 부차적 판표시의 책임표시는 표제와 책임표시영역에 기술한다."이다. 이는 옳은 설명이 아니며, ISBD(통합판)에서는 이러한 정보들이 "제목 및 책임사항" 영역에 기술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KCR 제4판의 비도서자료 기술규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도서를 마이크로자료로 복제한 복제본의 발행사항을 기술할 때 원본의 발행사항을 기술하고, 복제본의 발행사항은 주기한다.
  2. 화상자료와 영상자료의 책임표시에는 화가, 디자이너, 감독, 연출자, 연기자, 배우 등이 포함된다.
  3. 원격접근 전자자료의 형태사항에는 ‘온라인자원’으로 기술한다.
  4. 녹음자료의 경우 녹음된 내용이 동일하나 원판이 다를 때는 별도의 판으로 취급한다.
(정답률: 알수없음)
  • 녹음자료는 원판이 다르면 발매사항이나 발매일 등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원판을 별도의 판으로 취급하여 기술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KORMARC 형식(통합서지용, 2014 개정판)의 서지레코드 디렉토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리더 뒤에 나오는 것으로 어떤 필드가 어느 위치에 있으며 길이가 얼마인가를 지시해 주는 데이터가 기재된다.
  2. 각 표시기호에 대해서 한 개씩의 디렉토리 항목이 만들어지며 이 항목은 표시기호, 필드길이, 필드시작위치 등 3부분으로 편성된다.
  3. 디렉토리 항목은 24자리를 한 단위로 하며, 한 레코드에서 디렉토리 항목의 수는 입력된 표시기호 수와 동일하다.
  4. 디렉토리는 시스템이 자동 생성하는데, 자신의 표시기호, 지시기호, 식별기호를 갖지 않으며 끝에는 필드종단기호를 갖는다.
(정답률: 알수없음)
  • "디렉토리는 시스템이 자동 생성하는데, 자신의 표시기호, 지시기호, 식별기호를 갖지 않으며 끝에는 필드종단기호를 갖는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디렉토리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것이며, 각 항목은 표시기호, 필드길이, 필드시작위치 등 3부분으로 편성된다. 또한 디렉토리 항목은 24자리를 한 단위로 하며, 한 레코드에서 디렉토리 항목의 수는 입력된 표시기호 수와 동일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한국문헌번호 ISBN 978-89-364-6133-1 73810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978은 국제ISBN관리기구에서 배정한 국별번호이다.
  2. 364는 한국도서관협회의 한국문헌번호센터가 배정한 발행자번호이다.
  3. 6133은 발행자가 발행하는 서명이나 판의 일련번호순으로 부여한다.
  4. 73810은 부가기호로 앞부분의 738은 KDC 분류기호를 나타낸다.
(정답률: 50%)
  • 한국문헌번호 ISBN 978-89-364-6133-1 73810은 국제ISBN관리기구에서 배정한 국별번호인 978과 한국도서관협회의 한국문헌번호센터가 배정한 발행자번호인 364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발행자가 발행하는 서명이나 판의 일련번호순으로 부여하는 번호인 6133이 뒤에 붙는다. 마지막으로 부가기호로 앞부분의 738은 KDC 분류기호를 나타낸다. 따라서 정답은 "6133은 발행자가 발행하는 서명이나 판의 일련번호순으로 부여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은 메타데이터 표준의 하나인 MODS를 이용하여 기술한 레코드의 일부분이다. ㉠, ㉡에 들어갈 요소로 옳은 것은? (순서대로 ㉠, ㉡)

  1. mediaType, source
  2. typeOfResource, originInfo
  3. format, originInfo
  4. format, source
(정답률: 알수없음)
  • ㉠: typeOfResource - 이 요소는 자원의 유형을 나타내며, 여기서는 "text"로 지정되어 있으므로 이 자원이 텍스트 자료임을 나타냅니다.

    ㉡: originInfo - 이 요소는 자원의 출처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합니다. 여기서는 발행일과 발행처, 발행국가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