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5-27)

리눅스마스터 1급
(2007-05-27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리눅스 실무의 이해

1. 다음 중 최신 운영체제의 특성이 아닌 것은?

  1. 대부분의 작업이 GUI 그래픽 환경을 제공한다.
  2. 시분할 방식을 이용한 다중작업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3. 주기억장치 용량의 증대 효과를 위해 가상 메모리를 활용한다.
  4. 파일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단층형 파일관리시스템을 운영한다.
(정답률: 59%)
  • 정답: "파일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단층형 파일관리시스템을 운영한다."

    이유: 최신 운영체제는 다중작업, 가상 메모리, GUI 그래픽 환경 등의 기능을 제공하지만, 단층형 파일관리시스템은 오래된 파일 관리 방식으로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대신 다중 계층 파일 시스템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중 한/중/일 공동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된 리눅스 배포판은?

  1. Debian
  2. Fedora
  3. Asianux
  4. Mandrake
(정답률: 77%)
  • Asianux는 한국, 중국, 일본의 기업들이 공동으로 개발한 리눅스 배포판입니다. 따라서 한/중/일 공동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된 리눅스 배포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Debian, Fedora, Mandrake는 각각 다른 개발자나 개발팀에 의해 개발된 리눅스 배포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실시간 운영체제(RTOS)가 아닌 것은?

  1. VRTX
  2. pSOS
  3. VFAT
  4. VxWorks
(정답률: 56%)
  • VFAT은 파일 시스템이며, 실시간 운영체제(RTOS)가 아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실시간 운영체제(RTOS)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GPL(GNU General Public License)을 사용권 허가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는 소프트웨어가 아닌 것은?

  1. GDB
  2. Bicon
  3. Emacs
  4. Sybase
(정답률: 53%)
  • Sybase는 GPL을 사용권 허가방법으로 사용하고 있지 않습니다. GPL은 자유 소프트웨어 재단에서 만든 소프트웨어 라이선스이며, GDB, Bicon, Emacs와 같은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들은 GPL을 사용하여 배포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Sybase는 상용 소프트웨어 회사이며, GPL을 사용하지 않고 자체적인 라이선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2000년 8월 인텔, IBM, 후지쯔 등의 출자를 통해 설립된, 기업 환경에 맞는 리눅스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비영리 리눅스 법인은?

  1. FSF
  2. OSDL
  3. GNOME
  4. INFORMIX
(정답률: 47%)
  • OSDL은 인텔, IBM, 후지쯔 등의 출자를 받아 설립된 비영리 리눅스 법인으로, 기업 환경에 맞는 리눅스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OSDL은 기업들이 리눅스를 사용하면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리눅스의 발전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데이터를 여러개의 하드디스크에 분산 또는 중복시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기술은?

  1. RAID
  2. SCSI
  3. PROM
  4. LILO
(정답률: 91%)
  • RAID는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의 약자로,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인 디스크로 인식하여 데이터를 분산 또는 중복시켜 저장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하나의 디스크에 문제가 생겨도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고,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데이터를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에 분산 또는 중복시켜 저장하는 기술은 RAI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리눅스 부트로더 설정파일에서 기본 파일 시스템으로 마운트되는 파티션의 위치를 지정하는 옵션명은?

  1. root
  2. image
  3. install
  4. default
(정답률: 50%)
  • 정답: root

    설명: 리눅스 부트로더 설정파일에서 "root" 옵션은 기본 파일 시스템으로 마운트되는 파티션의 위치를 지정하는 옵션으로, 이 옵션을 통해 시스템이 부팅될 때 루트 파일 시스템이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root"가 정답이다. "image"는 커널 이미지 파일을 지정하는 옵션, "install"은 설치 옵션, "default"는 기본 설정 옵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시스템의 부팅과 시스템 실행 레벨 변경시에 실행되는 스크립트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는?

  1. /etc/rc.d
  2. /etc/issue
  3. /etc/inittab
  4. /etc/profile
(정답률: 54%)
  • 정답: /etc/rc.d

    이유: /etc/rc.d 디렉토리는 리눅스 시스템의 부팅과 시스템 실행 레벨 변경시에 실행되는 스크립트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입니다. 이 디렉토리에는 시스템 부팅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서비스들의 스크립트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 스크립트 파일들은 시스템의 부팅 및 종료, 네트워크 설정, 파일 시스템 마운트 등과 같은 시스템 관리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시스템의 부팅과 실행 레벨 변경시에는 /etc/rc.d 디렉토리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리눅스 부팅 및 셧다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요즘 배포판은 CD-ROM 부팅을 위한 iso 파일을 제공한다.
  2. 터미널 모드에서 명령어를 사용하여 임의의 시간에 시스템을 종료할 수 없다.
  3. 컴퓨터 시동시, 부트 매니저라는 프로그램에 의해 임의의 OS를 선택하여 부팅할 수 있다.
  4. 시스템 파손을 대비한 부팅 디스켓은, 윈도우즈(windows) 환경에서도 만들 수 있다.
(정답률: 77%)
  • "터미널 모드에서 명령어를 사용하여 임의의 시간에 시스템을 종료할 수 없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터미널 모드에서는 shutdown 명령어를 사용하여 언제든지 시스템을 종료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ext3, Reiser 등의 파일 시스템에 적용된 빠르고 안정적인 복구 기능을 제공하는 기술은?

  1. 저널링
  2. 슈퍼블록
  3. 아이노드
(정답률: 81%)
  • 정답: 저널링

    저널링은 파일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일관성과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술 중 하나입니다. 파일 시스템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디스크의 여러 영역에 분산되어 저장됩니다. 이 때, 파일 시스템이 갑작스런 시스템 장애나 전원 공급 장애 등으로 인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면, 파일 시스템에 저장된 데이터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저널링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일 시스템에 변경된 내용을 기록하는 작은 로그 파일을 유지합니다. 이 로그 파일에는 파일 시스템에 대한 모든 변경 사항이 기록되며, 파일 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더라도 이 로그 파일을 이용하여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저널링은 파일 시스템의 복구 기능을 빠르고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윈도우 매니저 중 DR16, Foundation, DR17등 3가지 컴포넌트로 구성되어 개발되고 있는 것은?

  1. FVWM
  2. BlackBox
  3. AfterStep
  4. Enlightenment
(정답률: 23%)
  • Enlightenment은 DR16, Foundation, DR17 등 3가지 컴포넌트로 구성되어 개발되고 있는 윈도우 매니저이다. 다른 보기인 FVWM, BlackBox, AfterStep은 Enlightenment과는 별개의 윈도우 매니저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쉘은 명령어 해석기로 커널과 직접 통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2. bash는 GNU 프로젝트로 개발된 대표적인 쉘이다.
  3. X윈도우상에서 여러 개의 터미널을 이용해 작업할 경우, 터미널 간의 텍스트 복사는 불가능하다.
  4. 작업창에서 화살표(위/아래) 버튼을 이용하여 기존에 사용한 명령어를 재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79%)
  • "X윈도우상에서 여러 개의 터미널을 이용해 작업할 경우, 터미널 간의 텍스트 복사는 불가능하다."가 틀린 설명이다. X윈도우상에서는 터미널 간에 텍스트 복사가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마우스를 이용하여 복사 및 붙여넣기를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쉘 프로그램의 결과는?

  1. linuxer
    linuxer
    $myname
    Enter some text
    brux
    $myname is brux
  2. linuxer
    myname
    linuxer
    Enter some text
    brux
    linuxer is brux
  3. linuxer
    linuxer
    myname
    Enter some text
    brux
    myname is brux
  4. myname
    linuxer
    $myname
    Enter some text
    brux
    $myname is brux
(정답률: 56%)
  • 이 쉘 프로그램은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myname 변수에 저장하고, 그 값을 출력하는 간단한 프로그램이다.

    1. 처음에는 "linuxer"를 출력하고, 다시 "linuxer"를 출력한다.
    2. 그 다음에는 "$myname"을 출력한다.
    3. "Enter some text"를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다. 입력받은 값을 "brux"라고 가정하자.
    4. "brux"를 출력한다.
    5. "$myname is brux"를 출력한다. 이때 $myname 변수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값인 "brux"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linuxer is brux"가 출력된다.

    따라서 정답은 "linuxer
    linuxer
    $myname
    Enter some text
    brux
    $myname is brux"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프로세스(process) 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프로세서(Processor)는 특정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어의 조합이다.
  2. 프로시저(Procedure)는 프로그램의 일부로 공통으로 사용되는 특정 루틴이다.
  3. 커널에 등록된 각 프로세스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영역을 PCB라 한다.
  4. 스레드 (Thread)는 프로세스 의 일부 특정 데이터를 갖고 있는 가벼운 프로세스로 정의할 수 있다.
(정답률: 28%)
  • 정답은 "프로시저(Procedure)는 프로그램의 일부로 공통으로 사용되는 특정 루틴이다." 이다.

    프로세서(Processor)는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를 의미하며,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어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프로시저(Procedure)는 프로그램의 일부로 공통으로 사용되는 특정 루틴이다.

    커널에 등록된 각 프로세스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영역을 PCB(Process Control Block)라고 한다.

    스레드(Thread)는 프로세스의 일부 특정 데이터를 갖고 있는 가벼운 프로세스로 정의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SJF(Shortest Job First) 스케쥴링 기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일반적으로 비선점 정책에 근거하고 있다.
  2. 평균 응답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법이다.
  3. 실행 시간이 긴 프로세스의 처리에 효율적이다.
  4. 시스템 내에 대기하는 프로세스 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정답률: 71%)
  • "실행 시간이 긴 프로세스의 처리에 효율적이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SJF는 실행 시간이 짧은 프로세스를 먼저 처리하는 기법으로, 실행 시간이 긴 프로세스는 대기 시간이 길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행 시간이 긴 프로세스의 처리에는 효율적이지 않습니다.

    이유는 실행 시간이 긴 프로세스가 먼저 처리되면, 짧은 프로세스들은 대기 시간이 길어져 평균 응답 시간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JF는 평균 응답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법이지만, 실행 시간이 긴 프로세스의 처리에는 효율적이지 않습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비선점 정책에 근거하고 시스템 내에 대기하는 프로세스 수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OSI 7 Layer 중 종단간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담당하며, UDP(User Datagram Protocol)가 속하는 계층은?

  1. 데이터링크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전송 계층
  4. 표현 계층
(정답률: 72%)
  • 전송 계층은 종단간의 신뢰성 있는 전송을 담당합니다. 이 계층에서는 데이터의 분할, 전송 제어, 오류 검출 및 복구 등을 수행합니다. UDP는 전송 계층의 프로토콜 중 하나로, 신뢰성보다는 속도와 간단한 구조를 중시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UDP는 전송 계층에 속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통신 선로상에서 전송신호를 증폭하여 전달하는 전자통신 장비는?

  1. 리피터(repeater)
  2. 스위치(switch)
  3. 라우터(router)
  4. 게이트웨이(gateway)
(정답률: 94%)
  • 리피터는 통신 선로상에서 전송신호를 증폭하여 전달하는 전자통신 장비입니다. 이는 신호가 약해지거나 손실되는 경우에 사용되어 신호의 강도를 유지하고 전송 거리를 늘릴 수 있습니다. 스위치, 라우터, 게이트웨이는 모두 다른 기능을 가진 전자통신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IP(Internet Protocol) 버전 4의 데이터그램 헤더 내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지 않는 정보 필드는?

  1. 패킷 길이
  2. 경유지 주소
  3. 서비스 유형
  4. 활성화 시간
(정답률: 34%)
  • IP 버전 4의 데이터그램 헤더 내에는 송신지 IP 주소, 수신지 IP 주소, 프로토콜, TTL(Time To Live) 등의 정보 필드가 포함되어 있지만, 경유지 주소는 기본적으로 포함되지 않습니다. 경유지 주소는 IP 패킷이 전송되는 동안 거쳐가는 중간 라우터의 IP 주소를 나타내는 필드이며, 이는 패킷이 전송되는 동안 라우팅 프로토콜에 의해 동적으로 결정됩니다. 따라서 경유지 주소는 IP 버전 4의 데이터그램 헤더 내에 기본적으로 포함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고정 IP를 사용하는 리눅스 환경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위해 사용자가 입력해야 하는 정보가 아닌 것은?

  1. IP 주소
  2. MAC 주소
  3. 기본 게이트웨이
  4. 서브넷 마스크
(정답률: 74%)
  • MAC 주소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의 고유한 식별자이며, 고정 IP를 설정하는 데 필요한 정보가 아닙니다. IP 주소는 컴퓨터를 식별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며, 기본 게이트웨이는 다른 네트워크로 나가기 위해 필요한 정보입니다. 서브넷 마스크는 IP 주소를 서브넷으로 분할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리눅스에 포함된 기술 중 내부 네트워크로부터의 사설 IP 패킷을 외부로 포워딩 해주는 IP 공유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기술은?

  1. IP Alias
  2. Port Sharing
  3. IP Masquerading
  4. Port Redirection
(정답률: 34%)
  • 정답: IP Masquerading

    IP Masquerading은 내부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사설 IP 주소를 인터넷 상에서 사용 가능한 공인 IP 주소로 변환하여 외부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가진 컴퓨터나 라우터가 여러 대의 컴퓨터가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따라서 IP Masquerading은 IP 공유기와 같은 역할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리눅스 시스템 관리

21. root 사용자 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root 사용자에서 일반 사용자로 사용할 때는 “su”명령을 사용한다.
  2. root는 시스템에 존재하는 모든 파일과 프로그램에는 접근이 어렵다.
  3. root 계정은 제한되어 운영되기 때문에 잘못된 사용으로 시스템의 심각한 오류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4. 로그인 계정을 확인하는 명령어는 “login”이다.
(정답률: 45%)
  • root 사용자는 시스템의 모든 파일과 프로그램에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 사용자로 작업할 때는 보안상의 이유로 root 권한을 내려놓아야 합니다. 이때 사용하는 명령어가 "su"입니다. "su"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사용자의 권한을 root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root 사용자에서 일반 사용자로 사용할 때는 "su"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과 같은 결과가 프롬프트상에 나타내게 하는 신상 명세 확인 명령어는 무엇인가?

  1. who
  2. path
  3. whoami
  4. id
(정답률: 54%)
  • 정답은 "id"이다. 이유는 "id" 명령어는 현재 사용자의 UID와 GID, 그리고 그룹 정보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위의 결과에서는 "UID=1000"과 "GID=1000"이 나타나며, 이는 현재 사용자의 UID와 GID를 나타낸다. 또한 "groups"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사용자가 속한 그룹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그룹 계정 관리 개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그룹은 사용자 계정의 집합체이다.
  2. 그룹의 변경은 “groupchge” 명령어를 사용하여 변경가능하다. 변경가능하다.
  3. 그룹 추가 명령어로 “groupadd”를 사용한다.
  4. 그룹 삭제 명령어로 “groupdel”을 사용한다.
(정답률: 80%)
  • 정답은 "그룹의 변경은 “groupchge” 명령어를 사용하여 변경가능하다. 변경가능하다."가 아니다. 실제로는 "그룹의 변경은 “groupmod” 명령어를 사용하여 변경가능하다."이다.

    그룹은 사용자 계정의 집합체이며, 그룹 추가 명령어로 “groupadd”를 사용하고, 그룹 삭제 명령어로 “groupdel”을 사용한다. 그룹의 변경은 “groupmod” 명령어를 사용하여 변경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사용자에 대한 패스워드의 만료 기간 및 시간 정보를 변경해주는 명령어는?

  1. chgrp
  2. su
  3. adduser
  4. chage
(정답률: 74%)
  • "chage" 명령어는 사용자의 패스워드 만료 기간 및 시간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패스워드 만료 기간을 조정할 수 있다. "chgrp"는 그룹 소유자를 변경하는 명령어이고, "su"는 사용자를 변경하는 명령어이며, "adduser"는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passwd 명령어의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l : 계정 풀림
  2. -u : 계정 잠금
  3. -S : 패스워드의 간단한 상태 정보를 보여줌
  4. -d : 계정에 대한 암호를 사용
(정답률: 43%)
  • passwd 명령어의 -S 옵션은 패스워드의 간단한 상태 정보를 보여줍니다. 즉, 해당 계정의 패스워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PS"라는 상태 정보가 나타나면 패스워드가 설정되어 있고, "NP"라는 상태 정보가 나타나면 패스워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파일의 종류와 의미가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일반 파일 : 특별한 형식으로 디스크에 저장되며, 명시적 시스템 호출을 통해서만 참조
  2. 디렉토리 : 일반적으로 텍스트 파일이나 이진 파일을 나타냄
  3. 특수파일 : 주변장치, 프로세서간 상호 통신
  4. 이진 파일 : 실행파일, 쉘스크립트 등
(정답률: 50%)
  • 특수파일은 주변장치나 프로세서간 상호 통신을 위한 파일로, 이러한 파일은 일반적인 파일 시스템에서는 일반 파일이나 디렉토리와는 다른 방식으로 다루어진다. 주변장치와 같은 하드웨어는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로 표현되며, 이 파일을 통해 하드웨어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프로세서간 상호 통신을 위한 특수파일은 일반적으로 IPC(Inter-Process Communication)라고 불리며, 프로세스간 데이터 전송이나 동기화를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디렉토리 관리에서 절대 경로와 상대 경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절대 경로는 루트 디렉토리인 “/”로 시작된다.
  2. 상대 경로는 현재 작업 디렉토리에 대한 전체적인 경로를 표시한다.
  3. 절대 경로와 상대 경로 중 사용자는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4. 절대 경로와 상대 경로는 유용한 방향으로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정답률: 62%)
  • 정답은 "상대 경로는 현재 작업 디렉토리에 대한 전체적인 경로를 표시한다."가 틀린 것이다. 상대 경로는 현재 작업 디렉토리를 기준으로 경로를 표시한다. 즉, 현재 작업 디렉토리와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경로이다. 예를 들어, 현재 작업 디렉토리가 /home/user이고, 상대 경로로 ../documents를 입력하면 /home/user/documents 경로를 나타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파일시스템 복구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리눅 스 파일시스템 은 데이터블록 , 블록의 리스트, 디렉토리 정보를 포함한다.
  2. fsck명령은 파일 시스템을 조사하지만 손상된 파일의 복구는 할 수 없다.
  3. fsck명령을 수행한 후 재부팅 하지 않아도 된다.
  4. fsck를 수행한 후 종료값 “0”을 반환하면 연산 에러를 의미한다.
(정답률: 56%)
  • 리눅스 파일시스템은 데이터블록, 블록의 리스트, 디렉토리 정보를 포함하는데, 이는 파일시스템 복구에 필요한 정보들이다. 따라서 첫 번째 보기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리눅스에서 CD-ROM이나 플로피 드라이브를 사용하고자 할 때 하드웨어 장치를 특정 디렉토리로 연결시키게 하는 명령어는?

  1. unmount
  2. mkfs
  3. mount
  4. fsck
(정답률: 71%)
  • "mount"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하드웨어 장치를 특정 디렉토리로 연결시키는 명령어입니다. 이를 통해 CD-ROM이나 플로피 드라이브 등의 외부 저장 장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unmount"는 연결을 해제하는 명령어이고, "mkfs"는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어, "fsck"는 파일 시스템을 검사하고 복구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리눅스 파일 시스템 생성 명령어이다.” 다음 설명에 해당되는 명령어는?

  1. mkfs
  2. mkks
  3. mffs
  4. mckfs
(정답률: 70%)
  • 리눅스에서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어는 "mkfs"이다. "mkfs"는 "make file system"의 약어로, 디스크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파일 시스템의 유형을 선택하고, 파티션에 대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포그라운드와 백그라운드의 개념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백그라운드는 터미널에 직접 연결된 것으로 터미널과 입출력을 주고받는 프로세서이다.
  2. 백그라운드는 프로세스가 실행되는 동안에도 터미널에서 키보드 입력 등의 작동을 받아들인다.
  3. 쉘 프롬프트에서 명령을 입력하고 Enter를 치면 대부분 포그라운드로 프로세서를 띄우는 것이다.
  4. 어떤 명령을 포그라운드로 실행시키고 싶을 때에는 메타문자 ‘&’를 명령 뒤에 적는다.
(정답률: 65%)
  • 정답은 "쉘 프롬프트에서 명령을 입력하고 Enter를 치면 대부분 포그라운드로 프로세서를 띄우는 것이다." 이다. 이유는 쉘 프롬프트에서 명령을 입력하면 일반적으로 해당 명령이 실행되는 동안에는 다른 명령을 실행할 수 없으며, 명령이 완료될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이러한 명령을 포그라운드에서 실행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에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시키는 경우에는 해당 명령이 실행되는 동안에도 다른 명령을 실행할 수 있으며, 명령이 완료되지 않아도 다른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CPU의 사용현황을 보여주는 명령어는?

  1. killall
  2. kill
  3. jobs
  4. top
(정답률: 69%)
  • 정답은 "top"입니다. "top" 명령어는 시스템의 CPU 사용 현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프로세스의 CPU 사용량, 메모리 사용량, 실행 시간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스템의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용합니다. "killall"은 특정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명령어이고, "kill"은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하는 명령어입니다. "jobs"는 현재 쉘에서 실행 중인 작업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로그인 쉘과 다르게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실행하는 쉘을 무엇이라 하는가?

  1. Sub Shell
  2. Bourne Shell
  3. Bash
  4. C Shell
(정답률: 65%)
  •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실행하는 쉘을 "Sub Shell" 이라고 한다. 이는 현재 쉘에서 새로운 쉘을 실행하여 일시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Sub Shell은 현재 쉘과는 별개의 독립적인 환경을 제공하며, 실행된 후에는 현재 쉘로 돌아온다. 따라서 Sub Shell은 현재 쉘의 환경을 변경하지 않고 일시적으로 다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준다. Bourne Shell, Bash, C Shell은 모두 로그인 쉘이나 Sub Shell로 사용될 수 있는 쉘의 종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때 사용될 수 있는 명령어는?

  1. ps
  2. kill
  3. stop
  4. nice
(정답률: 86%)
  • "kill" 명령어는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시키는 명령어이다. "ps" 명령어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이고, "stop" 명령어는 프로세스를 일시적으로 중지시키는 명령어이다. "nice" 명령어는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조절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때는 "kill" 명령어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리눅스 시스템을 사용하는 모든 사용자들의 기본 쉘, ID, 이름 등의 정보를 기록하고 있는 파일은?

  1. /etc/passwd
  2. /etc/named.conf
  3. /etc/group
  4. /etc/login.defs
(정답률: 64%)
  • "/etc/passwd" 파일은 리눅스 시스템에 등록된 모든 사용자들의 기본 정보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파일은 사용자의 로그인 이름, 암호화된 비밀번호, 사용자 ID, 그룹 ID, 홈 디렉토리 경로 등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파일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자 인증 및 권한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설명은 RPM의 용도 중 어느 항목에 속하는가?

  1. 업그레이드 기능
  2. 패키지 검증
  3. 패키지 정보검색
  4. 패키지 자동설치 및 제거
(정답률: 64%)
  • 이미 설치된 패키지의 정보를 검색하고, 새로운 패키지를 설치하기 전에 해당 패키지의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이므로 "패키지 정보검색"에 해당한다. RPM은 리눅스에서 소프트웨어를 설치, 업그레이드,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패키지 관리 시스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dpk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특별한 패키지의 정보를 알려준다.
  2. 특별한 패키지의 내용을 알려준다.
  3. 시스템에 설치된 패키지의 목록을 알려준다.
  4. 의존성 체크 기능은 우수하지 못하다.
(정답률: 65%)
  • "의존성 체크 기능은 우수하지 못하다."가 틀린 것이다. dpkg는 패키지의 정보와 내용을 알려주며, 시스템에 설치된 패키지의 목록을 알려준다. 또한 의존성 체크 기능도 우수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Makefile의 내부구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Makefile의 기본규칙 3가지는 목표, 의존관계, 명령이다.
  2. Makefile의 명령부분에 정의된 명령어들은 bash에 기반한 쉘 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는다.
  3. Makefile의 목표부분은 명령이 수행되어 나온 결과 파일을 지정한다.
  4. Makefile의 명령부분에 정의된 명령어들은 일반적으로 쉘에서 쓸 수 있는 모든 명령어들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59%)
  • "Makefile의 명령부분에 정의된 명령어들은 bash에 기반한 쉘 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는다."가 틀린 것이다. Makefile의 명령부분에 정의된 명령어들은 일반적으로 쉘에서 쓸 수 있는 모든 명령어들을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리눅스 gcc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리눅스 환경에서 돌아가는 언어로는 BASIC, 비주얼 C++등이 있다.
  2. GNU C 컴파일러는 리차드 스톨만(Richard M. Stallman) 등에 의해 만들어 졌다.
  3. 이식성이 좋은 C, C++ 컴파일러이다.
  4. 비주얼 환경을 제공하지 않는다.
(정답률: 22%)
  • 리눅스 환경에서 돌아가는 언어로는 BASIC, 비주얼 C++ 등이 없다. 리눅스에서는 C, C++, Python, Java 등의 언어가 주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리눅스에서 gzip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압축을 하거나 압축을 풀 때 사용한다.
  2. gzip 옵션 중에서 -9는 압축을 푸는 의미이다.
  3. gzip 옵션 중에서 -d는 현재 디렉토리부터 하위 디렉토리까지 전부 압축한다.
  4. gzip 옵션 중에서 -r은 “최대한 압축한다”라는 의미이다.
(정답률: 77%)
  • gzip은 파일을 압축하거나 압축을 푸는데 사용되는 유틸리티입니다. 따라서 "압축을 하거나 압축을 풀 때 사용한다."가 정답입니다. -9는 압축 레벨을 나타내며, -d는 압축을 푸는 옵션입니다. -r은 디렉토리를 재귀적으로 압축하는 옵션이며, "최대한 압축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컴퓨터에서 데이터 교환 인터페이스로 사용되는 버스(bus) 기술이 아닌 것은?

  1. ISA
  2. PCI
  3. MCA
  4. SMP
(정답률: 47%)
  • SMP는 대칭형 다중 처리(Symmetric Multi-Processing)을 의미하는 기술로, 데이터 교환 인터페이스로 사용되는 버스(bus) 기술이 아닙니다. SMP는 여러 개의 프로세서가 하나의 메모리를 공유하여 작업을 분산 처리하는 기술로, 컴퓨터 시스템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정답은 "SM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버스 마스터링(Bus Master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모든 장치는 채널 번호를 사용한다.
  2. DMA와 유사하며 PCI버스에서 사용된다.
  3.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는 일시적으로 버스 마스터로 동작한다.
  4. 메인 버스가 DMA 전송에 사용되고 있을 때 CPU 동작이 제한될 수 있다.
(정답률: 39%)
  • 정답은 "모든 장치는 채널 번호를 사용한다." 이다.

    버스 마스터링은 DMA와 유사하지만, PCI 버스에서 사용된다.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는 일시적으로 버스 마스터로 동작하며, 메인 버스가 DMA 전송에 사용되고 있을 때 CPU 동작이 제한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장치가 채널 번호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장치는 채널 번호 대신 다른 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커널 컴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커널 컴파일을 통해 사용 목적에 최적화된 환경을 만들 수 있다.
  2. 커널은 운영체제의 가장 핵심으로 시스템의 모든 부분에 기본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3. 컴파일은 컴파일러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소스로부터 수행 가능한 바이너리 코드를 만드는 과정이다.
  4. 커널 컴파일은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모두 수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커널의 사이즈가 커진다.
(정답률: 58%)
  • "커널 컴파일은 사용자의 요구 사항을 모두 수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커널의 사이즈가 커진다." 이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커널 컴파일을 통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들을 추가하거나 제거하여 최적화된 환경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커널의 사이즈가 커지는 것은 일반적인 현상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리눅스 커널 매커니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insmod 명령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모듈을 커널에 추가할 수 있다.
  2. 운영체제를 구성하는 컴포넌트는 필요할 때마다 동적으로 언로드(unload) 할 수 있다.
  3. 모듈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을 경우, umount 에 의해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제거된다.
  4. 커널은 모듈을 로드할 때, 엄격한 버전 검사를 통해 선택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정답률: 39%)
  • "모듈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을 경우, umount 에 의해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제거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umount는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해제하는 명령어이며, 모듈을 제거하는 명령어는 rmmod입니다. 따라서 모듈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을 경우, rmmod 명령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제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커널을 설치하기 전에 목적 파일, 의존성 검사, 컴파일 환경 설정값 등 새로 시작하는 컴파일에 영향을 주는 불필요한 정보를 삭제하여 초기 상태로 돌리는 명령은?

  1. make dep
  2. make config
  3. make mrproper
  4. make menuconfig
(정답률: 60%)
  • "make mrproper" 명령은 커널 소스 디렉토리에서 이전 빌드에서 생성된 모든 파일을 삭제하고 초기 상태로 돌리는 명령입니다. 이는 새로운 빌드를 시작하기 전에 불필요한 파일이나 설정값 등을 제거하여 컴파일 환경을 깨끗하게 유지하고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명령은 커널을 설치하기 전에 필수적으로 실행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새로운 하드디스크를 추가시키려고 할 때, 사용되는 명령을 순서대로 적은 것은?

  1. 가-다-나-라
  2. 나-다-가-라
  3. 다-나-가-라
  4. 나-가-다-라
(정답률: 62%)
  • 나-다-가-라이다.

    1. fdisk /dev/sdb : 새로운 하드디스크를 파티션으로 나누기 위해 fdisk 명령어를 사용한다.
    2. mkfs.ext4 /dev/sdb1 : 새로운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기 위해 mkfs 명령어를 사용한다.
    3. mkdir /mnt/newdisk : 새로운 하드디스크를 마운트할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4. mount /dev/sdb1 /mnt/newdisk : 새로운 하드디스크를 생성한 디렉토리에 마운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비정상적 종료로 파일시스템이 손상 되었을 때, 파일 시스템 복구를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는?

  1. fsck
  2. umount
  3. mkswap
  4. quataon
(정답률: 73%)
  • 정답: fsck

    설명: fsck는 파일 시스템 검사 및 복구 유틸리티로, 비정상적 종료나 시스템 오류로 인해 파일 시스템이 손상되었을 때 사용됩니다. 이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을 검사하고 손상된 부분을 복구하여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합니다. umount는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을 해제하는 명령어이며, mkswap는 스왑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quataon은 디스크 용량 제한을 설정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프린트 설정과 관련된 명령어 또는 유틸리티가 아닌 것은?

  1. printconf
  2. printtool
  3. printerset
  4. printenv
(정답률: 43%)
  • 정답은 "printerset"입니다. "printconf", "printtool", "printenv"은 모두 프린트 설정과 관련된 명령어 또는 유틸리티이지만, "printerset"은 존재하지 않는 단어이기 때문에 프린트 설정과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프린트 설정파일의 옵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if : 입력 필터
  2. lp : 헤더 인쇄 방지
  3. mx : 인쇄 가능한 최대 파일 크기
  4. sd :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할 디렉토리
(정답률: 30%)
  • "lp : 헤더 인쇄 방지"가 틀린 설명이 아닌 올바른 설명입니다. "lp"는 프린트 명령을 실행할 때 헤더를 인쇄하지 않도록 설정하는 옵션입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출력물의 상단에 프린터 모델, 출력 시간 등의 정보가 인쇄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주변장치 설정 및 활용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쉘 프롬프트 상태에서 프린터로 파일을 인쇄 할 수 있다.
  2. 새로운 장치 가 PnP 기능을 지원할 경우, 자동적으로 인식시킬 수 있다.
  3. 사운드 카드 설정을 도와주는 대표적인 유틸리티로 sndmodules 가 있다.
  4. 리눅스에서 스캐너를 사용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SANE 패키지가 필요하다.
(정답률: 36%)
  • "사운드 카드 설정을 도와주는 대표적인 유틸리티로 sndmodules 가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대표적인 사운드 카드 설정 유틸리티는 ALSA-utils입니다. sndmodules는 커널 모듈을 로드하거나 언로드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리눅스 시스템 로그의 정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스템에서 어떤 일들이 발생 하는지를 알려준다.
  2. 로그는 디스크 공간을 채우는 불필요한 파일이 되기도 한다.
  3. 시스템관리자가 해킹을 당했다고 느낄 경우 로그 파일에 의존한다.
  4. 리눅스의 로그 관리 툴은 logconfig이다.
(정답률: 46%)
  • 정답은 "리눅스의 로그 관리 툴은 logconfig이다." 이다. 이유는 리눅스의 로그 관리 툴은 logrotate이며, logconfig는 존재하지 않는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액세스 로그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Host(DNS또는IP Address)
  2. identification
  3. Mac Address
  4. Time Stamp
(정답률: 42%)
  • Mac Address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주소로, 액세스 로그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액세스 로그는 일반적으로 호스트(DNS 또는 IP 주소), 식별자, 타임 스탬프 등을 포함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리눅스의 기본적인 로그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스템로그는 운영체제에서 보내주는 실시간 로그를 관리한다.
  2. 액세스로그는 웹사이트로의 방문자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3. 보안로그는 시스템의 접속에 관한 로그파일이다.
  4. 부팅로그는 리눅스가 부팅이 될 때 생성되는 모든 메시지를 기록한다.
(정답률: 60%)
  • 액세스로그는 웹사이트로의 방문자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웹서버에 접근한 클라이언트의 IP 주소, 접근 시간, 요청한 파일 등의 정보를 기록한다. 따라서 "액세스로그는 웹사이트로의 방문자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리눅스에서 시스템 보안관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BIOS는 X86 기반의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가장 하위레벨의 소프트웨어다.
  2. 리눅스 부트 로더 프로그램에서도 패스워드 보안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3. xlock 프로그램은 X 윈도 화면을 잠근다.
  4. vlock은 리눅스 가상 터미널의 일부나 전부를 잠김 해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정답률: 47%)
  • 정답은 "vlock은 리눅스 가상 터미널의 일부나 전부를 잠김 해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다. vlock은 리눅스 가상 터미널을 잠그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일부나 전부를 잠금 해제하는 기능"은 올바르지 않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리눅스 시스템관리에서 PAM(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현대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자 인증의 핵심이다.
  2. 모듈 디자인으로 인해 사용자 인증 방법에 대해 확실한 통제를 할 수 있도록 한다.
  3. pam 구성 파일은 /etc/pam.d 디렉토리에 저장되어 있다.
  4. 사용자 정보의 저장 방법과 관계하여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인증하게 한다.
(정답률: 50%)
  • "사용자 정보의 저장 방법과 관계하여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인증하게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PAM은 사용자 인증 방법에 대한 통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모듈 디자인을 제공하며, 현대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자 인증의 핵심입니다. PAM 구성 파일은 /etc/pam.d 디렉토리에 저장됩니다. 사용자 정보의 저장 방법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리눅스 시스템 보안 관련 명령어 중 SSH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SH는 네트워크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 할 수 있으며 원격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이다.
  2. SSH는 두 호스트간의 통신 암호화와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공개키 암호 기법을 사용한다.
  3. SSH는 일반 로그인 프로그램과 달리 패킷 전송시 암호화하기 때문에 원격관리의 보안이 안정적이다.
  4. SSH는 TSA 공개키/개인키 방식을 이용하여 암호화 한다.
(정답률: 35%)
  • 정답은 "SSH는 TSA 공개키/개인키 방식을 이용하여 암호화 한다."가 아닌 "SSH는 네트워크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 할 수 있으며 원격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하고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프로그램이다."이다.

    SSH는 공개키/개인키 방식을 사용하여 암호화한다. 이 방식은 두 개의 키를 사용하는데, 공개키는 모두에게 공개되어 있고 개인키는 사용자만 가지고 있는 비밀키이다. SSH는 이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 암호화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따라서 SSH를 사용하면 패킷 전송시 암호화되어 보안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리눅스 시스템 보안 관련 COPS(Computer Oracle and Password System)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루트(root) 만 사용가능하다.
  2. 리눅스 시스템에 대한 보안 감시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3. 시스템 보안 수준을 능동적으로 조절한다.
  4. 시스템 보안의 취약점이 발견되면 능동적으로 대처능력을 가진다.
(정답률: 53%)
  • COPS(Computer Oracle and Password System)는 리눅스 시스템에 대한 보안 감시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리눅스 시스템 백업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1. 다중 백업
  2. 풀 백업
  3. 단순 백업
  4. 다단계 백업
(정답률: 37%)
  • 다중 백업은 리눅스 시스템 백업의 종류에 해당되지 않는다. 다중 백업은 여러 개의 백업 방식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풀 백업과 증분 백업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다중 백업은 백업 방식의 조합이므로, 단일한 백업 종류로 분류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리눅스에서 백업(backup) 요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백업 테이프는 가급적 컴퓨터가 있는 장소에 함께 보관한다.
  2. 백업을 한 후에는 백업 테이프에 쓰기 방지를 해 둔다.
  3. 중요한 백업 자료는 암호화를 해 둔다.
  4. 가끔씩 백업 테이프의 상태를 확인한다.
(정답률: 70%)
  • "백업 테이프는 가급적 컴퓨터가 있는 장소에 함께 보관한다."가 틀린 것이다. 백업 테이프는 컴퓨터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곳에 보관하는 것이 안전하다. 컴퓨터와 함께 보관하면 컴퓨터가 고장나거나 재해가 발생했을 때 백업 자료도 함께 손실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리눅스에서 백업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1. taper - 테이프 드라이브만 지원한다.
  2. cpio - 테이프 드라이브에 파 일 백업/복구 기능을 제공하는 친숙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3. rdist - 클러스터에서 전체 노드의 저장 장치를 동일하게 유지시켜 준다.
  4. dump - 여러 개의 테이프에 백업 할 수 없다.
(정답률: 28%)
  • 정답은 "rdist - 클러스터에서 전체 노드의 저장 장치를 동일하게 유지시켜 준다."이다.

    rdist는 원격 호스트 간에 파일을 복사하고 동기화하는 유틸리티이다. 클러스터에서는 여러 대의 노드가 동일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어야 하는데, rdist를 사용하면 한 대의 노드에서 변경된 데이터를 다른 모든 노드에 동기화할 수 있다. 따라서 클러스터에서 전체 노드의 저장 장치를 동일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다.

    taper는 테이프 드라이브만 지원하고, dump는 여러 개의 테이프에 백업할 수 없으며, cpio는 테이프 드라이브에 파일 백업/복구 기능을 제공하는 친숙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

61. 다음 웹 관련 서비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HTTP는 인터넷에서 하이퍼텍스트 문서를 교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2. HTML에 대한 표준화작업은 IETF 컨소시엄에서 주관하고 있다.
  3. 웹의 시작은 조직내의 정보교환을 빠르게 하기 위해서 시작되었다.
  4. 1990년에 팀 버너스 리(Tim Berners Lee) 박사는 윌드 와이드웹 이라는 최초의 넥스트(Next) 플랫폼용 브라우저를 공개하였다.
(정답률: 58%)
  • "HTML에 대한 표준화작업은 IETF 컨소시엄에서 주관하고 있다." 이 설명이 틀렸습니다. 실제로 HTML에 대한 표준화 작업은 W3C(World Wide Web Consortium)에서 주관하고 있습니다. IETF는 인터넷 프로토콜과 관련된 표준화 작업을 주관하는 조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웹서비스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웹 개발 언어인 PHP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MySQL, Oracle, mSQL등 다양한 DBMS와 연동할 수 있다.
  2. 윈도우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3. 윈도우의 ASP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
  4. HTML문서안에 코드를 삽입하면 서버쪽에서 문서를 처리하여 그 결과를 HTML로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69%)
  • "윈도우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는 적절하지 않은 설명이다. PHP는 윈도우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실제로 많은 윈도우 서버에서도 PHP를 사용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아파치 웹서버에 웹 개발 언어인 PHP를 연동 설치하였다. 설치후에 HTML파일내의 PHP프로그램을 실행시키려 한다. 아파치 환경설정 파일(httpd.conf)파일에 다음 중 무엇을 추가해야 하는가?

  1. AddType application/x-httpd-php .html
  2. AddType applications/php .html
  3. AddType applications/httpd-php .html
  4. AddType application/php .html
(정답률: 53%)
  • 정답은 "AddType application/x-httpd-php .html"이다.

    이유는 이 코드가 HTML 파일 내에 포함된 PHP 코드를 인식하도록 아파치 웹서버에 지시하는 코드이기 때문이다. 이 코드를 추가하면 아파치 웹서버는 .html 확장자를 가진 파일에서도 PHP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다른 보기들은 올바른 MIME 타입이 아니거나, 중복된 타입을 추가하는 것이므로 오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웹서버인 아파치를 특정 디렉토리(/usr/local/apache/)에 설치하였다. 설치된 경로아래에 여러 디렉토리가 생성되었다. 생성된 디렉토리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bin/ : 아파치 서버프로그램, 유틸리티 및 PID가 포함되어 있다.
  2. cgi-bin/ : cgi 스크립트 파일이 존재한다.
  3. icons/ : 아파치 서버에서 사용하는 아이콘들이 들어있다.
  4. logs/ : 아파치로그 파일이 저장된다.
(정답률: 47%)
  • "bin/ : 아파치 서버프로그램, 유틸리티 및 PID가 포함되어 있다."라는 설명은 맞다. /usr/local/apache/bin/ 디렉토리에는 아파치 웹서버 실행 파일과 함께 유틸리티와 PID 파일이 저장된다. PID 파일은 프로세스 ID를 저장하는 파일로, 아파치 웹서버가 실행 중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이 설명은 틀린 것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서버관리자인 홍길동은 아파치 서버를 사용하여 웹서비스를 하고 있다. 접속자가 많아져 아파치 서버에 더 이상 접속되지 않는 것을 알게 된 홍길동이 아파치 설정파일(httpd.conf)에서 수정해 줘야 하는 지시자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Apache 1.3.XX)

  1. MinSpareServers
  2. MaxSpareServers
  3. StartServers
  4. MaxClients
(정답률: 56%)
  • 정답: "MaxClients"

    이유: "MaxClients" 지시자는 아파치 서버가 처리할 수 있는 최대 클라이언트 연결 수를 설정하는 지시자이다. 따라서 접속자가 많아져 서버가 처리할 수 있는 연결 수를 초과하면 이 값을 증가시켜야 한다. "MinSpareServers", "MaxSpareServers", "StartServers"는 서버의 성능을 조절하는 지시자이지만, "MaxClients"는 서버의 연결 수를 제한하는 지시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아파치 웹서버는 접속자에 대한 다양한 로그를 남길 수 있다. 다음은 아파치 접근로그(access_log)파일의 로그 포맷을 정의한 부분이다. 각 별명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h : 요구된 헤더 내용
  2. %l : 원격 로그 이름
  3. %t : 시간
  4. %b : 전송량
(정답률: 27%)
  • "%h : 요구된 헤더 내용"은 정답이 아니다. "%h"는 접속자의 호스트명(IP 주소 또는 도메인명)을 나타내는데, 요구된 헤더 내용과는 관련이 없다.

    "%h : 요구된 헤더 내용"이라는 옵션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는, 요구된 헤더 내용은 로그 포맷에 포함되지 않는다. 요구된 헤더 내용은 HTTP 요청 헤더에 포함되는 정보로, 로그 포맷에는 접속자의 정보와 서버의 응답 정보만 포함된다.

    따라서, 올바른 정답은 "%h : 접속자의 호스트명(IP 주소 또는 도메인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웹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 DBMS는 꼭 필요한 요소이다. 공개 S/W DBMS 중 PostgreSQL의 3가지 주요특징이 아닌 것은?

  1. 관계형 모델
  2. 고수준 확장성
  3. 인공지능
  4. 객체지향
(정답률: 59%)
  • PostgreSQL은 관계형 모델과 객체지향적인 특징을 가지며, 고수준 확장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PostgreSQL은 인공지능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인공지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최근에는 개인정보 유출이나, 피싱 등의 이유로 보안서버 구축을 의무화 하고 있다. 보안서버 구축에 사용되는 SSL(Secure Sockets Layer)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웹서버와 브라우저간에 데이터를 안전하게 주고받기 위한 업계 표준 프로토콜로서 미국 네스케이프 사가 개발하였다.
  2. SSL은 웹 제품뿐만 아니라 파일 전송 규약(FTP)등 다른 TCP/IP 응용 프로그램에 적용 할 수 있다.
  3. SSL은 전송계층 서비스(OSI 7계층)로 플랫폼과 어플리케이션에 독립적이다.
  4. 동일한 IP에서는 포트를 달리하여 여러 개의 보안 가상 호스트를 만들 수 있다.
(정답률: 50%)
  • "SSL은 전송계층 서비스(OSI 7계층)로 플랫폼과 어플리케이션에 독립적이다."라는 설명이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SSL은 전송계층(Transport Layer)과 세션계층(Session Layer) 사이에 위치하며, 플랫폼과 어플리케이션에 독립적이지 않다. SSL은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통신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지만, 다른 TCP/IP 응용 프로그램에도 적용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은 삼바서버의 환경설정 파일(smb.conf)에 대한 설명이다. 다음 중 틀린 것은?

  1. security 지시자 는 인증 레벨을 부여하는 것으로 4가지(share, user, server, client) 종류가 있다.
  2. “#, ;” 는 모두 주석으로 처리된다.
  3. “load printers = yes” 로 설정하면 프린터 목록을 자동으로 로드 한다.
  4. “hosts deny = 아이피” 이렇게 설정하여 특정 “아이피”를 차단할 수 있다.
(정답률: 38%)
  • "security 지시자 는 인증 레벨을 부여하는 것으로 4가지(share, user, server, client) 종류가 있다."가 틀린 것이다. security 지시자는 3가지 종류가 있다. share, user, domain이다.

    - share: 공유 디렉토리에 대한 접근 권한을 설정한다.
    - user: 사용자 인증을 통해 접근 권한을 설정한다.
    - domain: Windows 도메인 컨트롤러와 통신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 ;” 는 모두 주석으로 처리된다."는 맞는 설명이다.

    "“load printers = yes” 로 설정하면 프린터 목록을 자동으로 로드 한다."는 맞는 설명이다.

    "“hosts deny = 아이피” 이렇게 설정하여 특정 “아이피”를 차단할 수 있다."는 맞는 설명이다. hosts deny 옵션을 사용하여 특정 IP 주소나 호스트 이름을 차단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은 삼바관련 명령어들이다. 명령어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samba 3.0.X)

  1. smbpasswd : 삼바서버 사용자의 계정생성, 비밀번호 변경 등에 사용된다.
  2. testparm : 삼바서버 마운트시 사용된 옵션을 테스트하기 위한 명령이다.
  3. smbstatus : 현재 삼바 서버 상태를 확인 할 수 있다.
  4. smbclient : 삼바서버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다.
(정답률: 30%)
  • 정답은 "testparm : 삼바서버 마운트시 사용된 옵션을 테스트하기 위한 명령이다."가 아니다. testparm은 smb.conf 파일의 구문 오류를 검사하고 삼바 서버의 현재 설정을 표시하는 명령어이다.

    smbpasswd는 삼바서버 사용자의 계정생성, 비밀번호 변경 등에 사용되는 명령어이다.

    smbstatus는 현재 삼바 서버의 연결 상태 및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smbclient는 삼바서버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삼바 서버의 보안 모델은 크게 4가지가 있다. 아래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user 레벨의 경우 UNIX쪽과 PC쪽의 계정 이름이 동일한 사용자가 대다수일 때 그 위력을 발휘한다.
  2. user 레벨에서 암호화된 암호파일을 사용하여 인증하도록 하려면 Security Options의 encrypt passwords를 Yes로 설정하는 동시에 Security Options의 smbpasswd파일을 설정해야 한다.
  3. share 레벨은 프린트, CD-ROM, anonymous ftp등의 공유 디렉토리를 불특정 사용자들이 공유할 경우 유용하다.
  4. user 레벨보다 share 레벨이 관리가 어렵고, 성능은 우수하다.
(정답률: 45%)
  • "user 레벨보다 share 레벨이 관리가 어렵고, 성능은 우수하다." 이유는 간단하게 말하면, share 레벨은 모든 사용자가 공유 디렉토리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가지므로 관리가 어렵지만, user 레벨은 각 사용자에 대한 개별적인 액세스 권한을 설정할 수 있어서 관리가 더 쉽다. 그러나 user 레벨에서는 각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확인해야 하므로 성능이 떨어지는 반면, share 레벨에서는 인증 과정이 간단하므로 성능이 우수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NFS 서버는 항상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자원을 마운트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익스포팅(exporting)이라고 한다. 익스포팅 설정에는 다양한 옵션을 적용할 수 있다. 옵션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root_squash :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루트 계정을 사용
  2. rw : 공유된 자원을 읽기/쓰기 전용으로 마운트
  3. link_relative : 절대 심벌릭 링크를 상대 심벌릭 링크로 변경시 사용
  4. insecure : 인증 되지 않은 액세스도 가능 하도록 함
(정답률: 36%)
  • "root_squash :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루트 계정을 사용" 옵션은 틀린 설명이다. 이 옵션은 클라이언트에서 루트 계정으로 NFS 자원에 접근할 때, 해당 계정을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변경하여 보안상의 이슈를 방지하는 옵션이다. 즉, 루트 계정으로 접근해도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NFS에서 제공되는 여러 프로그램이 있다. 각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한 것은?

  1. mount 명령으로 NFS를 마운트 하지 못하므로 전용명령어인 mntnfs 를 사용해야 한다.
  2. showmount 명령어에서 서버측의 상태만을 보여주기 위해 -s 옵션을 사용한다.
  3. nfsstat명령어에서 -d 옵션을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하는 디렉토리 이름만을 출력할 수 있다.
  4. nhfsstone 명령어는 NFS를 벤치마킹하기 위한 프로그램인데, 시간당 부하의 수 , 전송률, 실패율 등의 NFS에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정답률: 44%)
  • nhfsstone 명령어는 NFS를 벤치마킹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NFS에 관련된 데이터인 시간당 부하의 수, 전송률, 실패율 등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은 FTP서버인 proftpd의 환경설정파일(proftpd.conf)의 일부분이다. 다음 설명 중 적절 하지 않은 것은?

  1. 인터넷 수퍼데몬에 의해서 실행된다.
  2. FTP서버의 1차 IP주소 또는 가상 호스트 설정 블록에서 설정된 IP주소가 아닌 IP주소로부터 연결이 있을 때 기본으로 사용될 서버 설정을 해준다.
  3. 새로운 파일이 만들어지면, 기본적인 파일 퍼미션은 644이다.
  4. 최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는 30이다.
(정답률: 29%)
  • "새로운 파일이 만들어지면, 기본적인 파일 퍼미션은 644이다."는 proftpd.conf 파일의 일부분과는 관련이 없는 설명이므로 적절하지 않다.

    최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는 30인 이유는 "MaxClients 30"이라는 설정으로 인해 최대 30명까지 동시에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파일 공유를 위한 목적으로 무명 FTP 서버를 구축하였다. proftpd의 설정파일(proftpd.conf)에 다음과 같이 설정했을 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무명 FTP의 자료가 보관되는 곳은 ftp 계정의 홈 디렉토리이다.
  2. 디렉토리 및 파일의 이름을 바꿀 수 있다.
  3. incoming 디렉토리는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파일을 전송 할 수 없다.
  4. incoming 디렉토리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파일을 전송 할 수 없다.
(정답률: 50%)
  • 정답은 "incoming 디렉토리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파일을 전송 할 수 없다."가 아닌 "incoming 디렉토리는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파일을 전송 할 수 없다."이다.

    incoming 디렉토리는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파일을 업로드할 때 사용되는 디렉토리이다. 따라서 incoming 디렉토리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파일을 전송할 수 있는 디렉토리이다. 그러나 설정 파일에서 incoming 디렉토리에 대해 "STOR" 명령어를 비활성화시켰기 때문에, 클라이언트는 incoming 디렉토리에 파일을 업로드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과 같이 메일 서버를 사용하여 사용자 A가 사용자 B에게 메일을 보내려 한다. 다음 ( )안에 들어갈 프로토콜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순서대로 (ㄱ), (ㄴ), (ㄷ))

  1. POP3, SMTP, POP3
  2. POP3, POP3, SMTP
  3. POP3, SMTP, SMTP
  4. SMTP, SMTP, POP3
(정답률: 34%)
  • (ㄱ) SMTP, (ㄴ) SMTP, (ㄷ) POP3

    이유:
    1. 사용자 A가 메일을 작성하면 SM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메일 서버에 전송한다.
    2. 메일 서버는 SM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수신자 메일 서버에 메일을 전송한다.
    3. 사용자 B는 POP3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자신의 메일 서버에서 메일을 수신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최근에 나오는 센드메일 버전들은 메일 릴레이를 기본적으로 막고 있다. 메일 발송을 위해서 특정 아이피만 열어 메일을 Relay 한다. 하지만, 메일을 보내는 사용자가 유동IP를 사용한다면, 변경되는 IP를 서버에서 수동적으로 허용하는 일은 힘든 일이다. 수동으로 허용해 줬던 부분을 자동으로 해주는 DRAC이라는 프로그램이 있다. 이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etc/mail/dracd.db 파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Relay한다.
  2. 사용자의 IP가 바뀌어도 자동으로 적용된다.
  3. 자체 인증시스템으로 메일을 보낼때 인증(id/pw)을 받고 메일을 전송한다.
  4. DRAC은 Dynamic Relay Authorization Control의 약자이다.
(정답률: 34%)
  • 정답: "/etc/mail/dracd.db 파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Relay한다."

    설명: DRAC은 Dynamic Relay Authorization Control의 약자로, 메일 릴레이를 자동으로 허용해주는 프로그램이다. 사용자의 IP가 바뀌어도 자동으로 적용되며, 자체 인증시스템으로 메일을 보낼 때 인증(id/pw)을 받고 메일을 전송한다. 이 프로그램은 /etc/mail/access 파일에 사용자 IP를 등록하는 대신, /etc/mail/dracd.db 파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Relay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센드메일의 설정파일인 sendmail.cf파일의 일부이다.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1. localhost로 들어오는 메일은 수신을 거부한다.
  2. /etc/mail/acc 파일에 등록된 사용자만 메일을 수신 할 수 있다.
  3. 센드메일이 에러 메시지를 보낼 때 사용하는 사용자 이름은 ihd이다.
  4. 센드메일은 nobody권한으로 실행된다.
(정답률: 36%)
  • 설정 파일에서 localhost로 들어오는 메일은 수신을 거부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etc/mail/acc 파일에 등록된 사용자만 메일을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설정 파일에서는 센드메일이 에러 메시지를 보낼 때 사용하는 사용자 이름이 ihd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 마지막으로, 설정 파일에서는 센드메일이 nobody 권한으로 실행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센드메일은 기본적으로 스팸 메일 방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sendmail.cf 파일에 하나의 옵션만 넣어주면 된다. 이 옵션을 사용하게 되면 EXPN과 VRFY 명령어를 제한하게 되고, 이 결과로 VERB 명령도 제한되게 된다. 여기에서 설명하고 있는 옵션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spamOptions=authwarnings, goaway
  2. relayOptions=authwarnings, goaway
  3. privacyOptions=authwarnings, goaway
  4. securityOptions=authwarnings, goaway
(정답률: 23%)
  • 정답: "privacyOptions=authwarnings, goaway"

    설명: privacyOptions 옵션은 sendmail.cf 파일에서 스팸 메일 방지와 관련된 옵션 중 하나이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EXPN, VRFY, VERB 명령어를 제한할 수 있으며, authwarnings와 goaway 옵션을 함께 사용하면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로부터의 메일 전송을 제한할 수 있다. 따라서, privacyOptions=authwarnings, goaway 옵션을 사용하면 스팸 메일 방지와 보안 강화를 동시에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pop3서버의 정상유무를 확인하기 위해 telnet 명령을 이용하여 확인 할 수 있다. 다음 빈칸에 들어갈 pop3명령어들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순서대로 (ㄱ), (ㄴ), (ㄷ), (ㄹ))

  1. name, passwd, ls, ret
  2. user, password, ls, ret
  3. user, pass, list, retr
  4. name, passwd, ls, retr
(정답률: 28%)
  • (ㄱ) telnet pop3서버주소 110
    (ㄴ) user 사용자아이디
    (ㄷ) pass 사용자비밀번호
    (ㄹ) list 또는 retr 메일번호

    정답이 "user, pass, list, retr" 인 이유는 pop3서버에 접속한 후에는 사용자 인증을 위해 user와 pass 명령어를 사용해야 하며, 이후에는 메일함에 있는 메일 목록을 확인하기 위해 list 명령어를 사용하거나, 특정 메일을 읽기 위해 retr 명령어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name, passwd, ls, retr 보기는 user와 pass 명령어가 잘못되었고, ls 대신 list 명령어를 사용해야 하며, retr 명령어는 올바르게 포함되어 있지만, list 명령어가 빠져있기 때문에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인터넷 수퍼데몬(xinetd)은 여러 가지 시그널을 사용하여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다음 각 시그널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SIGUSR1 : xinetd와 이 데몬이 생성한 데몬을 종료
  2. SIGUSR2 : 하드웨어 재설정
  3. SIGUSR3 : 서버의 모든 프로세스를 종료
  4. SIGTERM : 소프트웨어 재설정
(정답률: 34%)
  • SIGUSR2 시그널은 인터넷 수퍼데몬(xinetd)에서 하드웨어 재설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 시그널은 사용자가 직접 정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시그널 중 하나이다. 따라서, 이 시그널을 받으면 xinetd는 하드웨어 재설정을 수행하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인터넷 수퍼데몬(xinetd)은 보안과 성능을 위해서 여러 가지 옵션들을 제공한다. 다음 옵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wait : 스레드에 대한 서비스 동작을 정의한다.
  2. server : 서버 프로그램의 경로이다.
  3. per_source : 동일 호스트로부터의 서버 접속수를 설정한다.
  4. cps : 초당 문자 전송률을 제한한다.
(정답률: 50%)
  • "cps : 초당 문자 전송률을 제한한다." 옵션은 틀린 설명이 없다. 이 옵션은 xinetd가 관리하는 서비스에서 초당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문자 수를 제한하는 옵션이다. 이를 통해 서비스의 부하를 제한하고, DoS 공격 등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은 인터넷 수퍼데몬을 이용하여 ftp서비스를 설정한 예이다. 서버 부하가 5이상일 때 서버에 대한 요청을 거부하기 위하여 ( )안에 들어갈 속성은 무엇인가?

  1. max_loadavg
  2. instances
  3. max_load
  4. max_uptime
(정답률: 29%)
  • 인터넷 수퍼데몬은 서버 부하를 모니터링하여 설정한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서버에 대한 요청을 거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때, 서버 부하를 판단하는 기준은 load average 값이다. 따라서, 서버 부하가 5이상일 때 서버에 대한 요청을 거부하기 위해서는 "max_loadavg" 속성을 설정해야 한다. "instances" 속성은 인터넷 수퍼데몬에서 실행할 수 있는 인스턴스의 최대 개수를 설정하는 속성이므로, 이 문제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DNS에서 존(zone)은 해당 DNS가 담당하는 영역의 이름풀이를 하는데 필요한 레코드들이 저장되어 데이터베이스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레코드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SOA : zone의 전 체 설정. 반드시 첫 번째 레코드로 지정되어야 함
  2. A : 호스트 이름에 대응하는 IP 주소
  3. PTR : 특정 호스트 이름을 포인팅 하기위한 IP 주소
  4. CNAME : Aliase, 즉 별칭
(정답률: 47%)
  • PTR 레코드는 IP 주소를 호스트 이름으로 변환하는 역방향 DNS 조회(reverse DNS lookup)를 위해 사용되며, 특정 호스트 이름을 포인팅하는 것이 아니라 IP 주소를 호스트 이름으로 매핑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PTR : 특정 호스트 이름을 포인팅 하기위한 IP 주소"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DNS서버에 다음과 같은 zone파일을 생성하여 DNS를 운영하려고 한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주 DNS 서버와 보조 DNS 서버간의 정보 동기화를 위한 시간 간격은 15분이다.
  2. 마스터 서버와의 정보 동기화를 위해 통신이 실패하였을 때 다음 시도를 위한 대기 시간은 3시간이다.
  3. 동기화를 하려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일정 시간동안 접속이 실패하여 작업을 진행하지 못했을 때 보조 DNS서버가 기존의 정보를 파기하는 시간은 일주일이다.
  4. 메일은 192.168.1.5서버에서 수신한다.
(정답률: 30%)
  • 주 DNS 서버와 보조 DNS 서버간의 정보 동기화를 위한 시간 간격은 15분이다. 이는 zone 파일의 변경사항이 있을 때 주 DNS 서버에서 변경된 정보를 보조 DNS 서버에 전달하기 위한 시간 간격이다. 보조 DNS 서버는 일정 시간동안 주 DNS 서버와 연결이 끊어져 있더라도, 일주일간은 기존의 정보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후에는 정보를 파기하게 된다. 따라서, 보조 DNS 서버가 주 DNS 서버와 연결이 끊어져 있더라도 일주일간은 기존의 정보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정보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zone 파일은 메일 서버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운영중인 서버의 부하가 폭주하여 서비스가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아 DNS 서비스를 이용하여 로드 밸런싱을 하려고 한다. 다음은 설정하려는 도메인에 대한 zone파일의 일부분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192.168.1.5서버의 응답이 없을 때 192.168.1.6 서버에서 응답을 한다.
  2. 192.168.1.6서버의 응답이 느릴 때 192.168.1.7 서버에서 응답을 한다.
  3. 이런 설정은 RR(Round-Robin)방식의 부하분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4. 서버중 어느 한 대에 장애가 있어도 나머지 서버에서 자동 부하 분산이 된다.
(정답률: 43%)
  • 이 설정은 DNS 서버에서 도메인에 대한 IP 주소를 조회할 때마다 순서대로 다른 IP 주소를 반환하여 부하를 분산하는 RR(Round-Robin) 방식의 부하분산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서버 중 어느 한 대에 장애가 있어도 나머지 서버에서 자동으로 부하 분산이 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프록시(proxy)서버를 이용하면 여러 가지 장점을 얻을 수 있지만 단점도 있다. 이런 장단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프록시 서버는 모든 사용자들에게 캐시 서비스를 할 수 있다.
  2. 프록시 서버는 속도 개선을 위해 캐시 기능만을 제공 할 수 있다.
  3. 프록시 서버를 사용할 경우 모든 클라이언트에 프록시 설정을 해주지 않아도 된다.
  4. 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입출력에 관한 기록을 남길 수 있다.
(정답률: 32%)
  • "프록시 서버를 사용할 경우 모든 클라이언트에 프록시 설정을 해주지 않아도 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모든 클라이언트가 프록시 서버를 사용하려면 해당 클라이언트의 네트워크 설정에서 프록시 서버를 지정해주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프록시서버 squid의 설정파일(squid.conf)설정에서 캐시에 사용될 메모리 크기를 100M 설정하려고 한다. 설정을 하기 위해 필요한 지시자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cache_mem 100 MB
  2. cache_memory 100 MB
  3. memory_size 100 MB
  4. max_mem_size 100 MB
(정답률: 38%)
  • 정답은 "cache_mem 100 MB"이다.

    이유는 squid.conf 설정 파일에서 캐시 메모리 크기를 지정하는 지시자는 "cache_mem"이며, 이 지시자 뒤에 사용할 메모리 크기를 MB 단위로 지정해주면 된다. 따라서 "cache_mem 100 MB"는 캐시 메모리 크기를 100MB로 설정하는 지시자이다.

    다른 보기들은 squid.conf 설정 파일에서 사용되지 않는 지시자들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은 NIS의 동작구조에 대한 설명이다.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기계는 하나의 NIS “도메인”을 지정하여 하나의 NIS 서버만 사용할 수 있다.
  2. 슬레이브 서버는 단지 NIS 데이터베이스의 복사본을 갖고 있다.
  3. NIS 데이터베이스들은 ASCII 데이터베이스로 부터 상속된 DBM 포맷 안에 있다.
  4. NIS 클라이언트들은 항상 서버로부터 서버의 DBM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들을 읽는다.
(정답률: 42%)
  • "기계는 하나의 NIS “도메인”을 지정하여 하나의 NIS 서버만 사용할 수 있다."는 적절한 설명이 아니다. 하나의 기계는 여러 개의 NIS 도메인을 지정하여 여러 개의 NIS 서버를 사용할 수 있다.

    이유: 하나의 기계는 여러 개의 NIS 도메인을 지정하여 여러 개의 NIS 서버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NIS 클라이언트는 /etc/nsswitch.conf 파일에서 NIS 도메인의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NIS 도메인을 지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기계는 여러 개의 NIS 서버를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NIS의 여러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중요하며 항상 실행 중에 있어야 하는 프로그램은 다음 중 어느것인가?

  1. ypswitch
  2. yppoll
  3. ypmatch
  4. ypbind
(정답률: 54%)
  • 정답은 "ypbind"입니다. 이는 NIS 클라이언트가 NIS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으로, NIS 도메인에 가입하고 NIS 맵을 사용하기 위해 ypbind가 항상 실행 중에 있어야 합니다. ypbind는 NIS 서버의 IP 주소를 찾아서 클라이언트가 NIS 서버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따라서 ypbind가 실행되지 않으면 NIS 클라이언트는 NIS 서버와 통신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은 DHCP서버 설정파일인 dhcpd.conf 파일의 일부분이다. 설정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은?

  1. 게이트웨이 서버는 192.168.1.1이다.
  2. DHCP클라이언트가 요청하지 않아도 IP를 할당해 주는 최대 시간은 6시간이다.
  3. DHCP클라이언트에게 할당된 IP는 6시간이 지나면 사용자의 요청과 상관없이 자동적으로 24시간까지 사용할 수 있다.
  4. DHCP 클라이언트에게 할당된 IP는 요청이 있어도 6시간이 지나면 소멸되고 재 할당된다.
(정답률: 40%)
  • DHCP클라이언트가 요청하지 않아도 IP를 할당해 주는 최대 시간은 6시간이다. 이는 설정 파일에서 lease time 옵션에 21600(초)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는 DHCP 클라이언트가 IP 주소를 요청하지 않아도 최대 6시간 동안 해당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후에는 자동으로 IP 주소가 해제되고,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할당될 수 있도록 되돌아간다. DHCP 클라이언트가 IP 주소를 요청하면, lease time은 클라이언트가 사용하는 동안에만 적용되며, 클라이언트가 IP 주소를 반환하면 해당 IP 주소는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할당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ARP는 연결이 들어온 IP를 기억해 MAC주소로 변환한 다음 기억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다음은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arp 명령어의 옵션들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a : 캐시에 있는 특정된 또는 모든 호스트를 나열
  2. -d : 지정한 장치의 arp를 보여줌
  3. -v : 동적인 모드로 보여줌
  4. -n : 32bit로 된 IP, 즉 풀이(resolving)를 하지 않고 IP로 보여줌
(정답률: 48%)
  • 정답: "-d : 지정한 장치의 arp를 보여줌"은 틀린 설명이다.

    "-d" 옵션은 지정한 호스트의 ARP 캐시를 삭제하는 옵션이다. 따라서 "지정한 장치의 arp를 보여줌"이라는 설명은 옳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DHCP 클라이언트는 DHCP 서버에 요청을 하여 IP, 게이트웨이 정보, DNS 정보 등을 받아오는 역할을 한다. MAC 주소가 00:10:4B:D6:49:22이고, 요청하는 IP를 192.168.5.5로 요청한다고 하고, leasetime은 60초 그리고 호스트 이름을 ihd, 타임 아웃은 30초라고 설정했을 때 다음 ( )안에 알맞은 옵션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순서대로 (ㄱ) (ㄴ) (ㄷ) (ㄹ) (ㅁ))

  1. -I -s -l -t -h
  2. -i -r -l -t -h
  3. -i -s -l -o -h
  4. -I -r -l -o -h
(정답률: 27%)
  • (ㄱ) -I: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IP 주소를 지정한다.
    (ㄴ) -s: DHCP 서버의 IP 주소를 지정한다.
    (ㄷ) -l: IP 주소의 유효 기간을 지정한다.
    (ㄹ) -t: 클라이언트의 타임 아웃 시간을 지정한다.
    (ㅁ) -h: 클라이언트의 호스트 이름을 지정한다.

    정답이 "-I -s -l -t -h" 인 이유는 다음과 같다.
    -I 옵션은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IP 주소를 지정하기 위해 필요하다.
    -s 옵션은 DHCP 서버의 IP 주소를 지정하기 위해 필요하다.
    -l 옵션은 IP 주소의 유효 기간을 지정하기 위해 필요하다.
    -t 옵션은 클라이언트의 타임 아웃 시간을 지정하기 위해 필요하다.
    -h 옵션은 클라이언트의 호스트 이름을 지정하기 위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은 CVS 서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현재 GNU 그룹과 같은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많이 사용한다.
  2. 각종 파일의 버전을 관리해 주는 도구이다.
  3. CVS를 이용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코드의 버그를 수정할 수 있다.
  4. 공동 프로젝트에서 효율적으로 버전 관리를 함으로써 파일의 중복이나 변경에 의한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정답률: 53%)
  • "CVS를 이용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코드의 버그를 수정할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CVS는 각종 파일의 버전을 관리해 주는 도구로, 공동 프로젝트에서 효율적으로 버전 관리를 함으로써 파일의 중복이나 변경에 의한 오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코드의 버그를 자동으로 수정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이는 개발자의 역량과 경험에 따라 달라지는 부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CVS를 이용한 프로젝트 수행 절차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프로젝트 초기화 -> 저장소 초기화 -> 작업 공간 마련 -> 프로젝트 작업
  2. 프로젝트 초기화 -> 작업 공간 마련 -> 저장소 초기화 -> 프로젝트 작업
  3. 작업 공간 마련 -> 프로젝트 초기화 -> 저장소 초기화 -> 프로젝트 작업
  4. 저장소 초기화 -> 프로젝트 초기화 -> 작업 공간 마련 -> 프로젝트 작업
(정답률: 34%)
  • CVS를 이용한 프로젝트 수행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저장소 초기화: CVS 저장소를 생성하고 설정합니다.
    2. 프로젝트 초기화: 프로젝트를 CVS 저장소에 등록하고 초기 버전을 등록합니다.
    3. 작업 공간 마련: 개발자들이 작업할 수 있는 로컬 작업 공간을 마련합니다.
    4. 프로젝트 작업: 개발자들이 작업 공간에서 코드를 수정하고 CVS 저장소에 반영합니다.

    따라서, "저장소 초기화 -> 프로젝트 초기화 -> 작업 공간 마련 -> 프로젝트 작업"이 정답입니다. 저장소 초기화와 프로젝트 초기화는 CVS 저장소와 프로젝트를 설정하는 과정이므로 먼저 이루어져야 합니다. 작업 공간 마련은 개발자들이 작업할 수 있는 로컬 작업 공간을 마련하는 과정이므로 그 다음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개발자들이 작업한 코드를 CVS 저장소에 반영하는 프로젝트 작업이 이루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보기 중 DOS공격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데이터 파괴, 변조, 훔쳐가는 것이 목적인 공격이다.
  2. 공격의 원인이나 공격자를 추적하기 힘들다.
  3. 같은 공격에 대해서 각 시스템마다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4. 다른 공격을 위한 사전 공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정답률: 43%)
  • "DOS공격의 특징이 아닌 것은?"이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데이터 파괴, 변조, 훔쳐가는 것이 목적인 공격이다." 이다. DOS공격은 서비스 거부 공격으로, 시스템을 과부하시켜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게 만드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데이터 파괴, 변조, 훔쳐가는 것은 DOS공격의 목적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C언어로 작성된 소스코드는 내부공격 중 하나 이다. 어떤 공격을 하는 코드인가?

  1. 디스크 채우기
  2. 메모리 고갈
  3. 프로세스 대량 만들기
  4. 모든 프로세스 죽이기
(정답률: 69%)
  • 이 코드는 무한 반복문을 실행하여 메모리를 계속해서 할당하고 해제하는 과정을 반복하므로, 결국에는 시스템의 메모리를 고갈시키는 메모리 고갈 공격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듀얼 홈드 호스트
  2. 스크린 호스트
  3. 배스천 호스트
  4. 스크린 라우터
(정답률: 44%)
  • 이 그림은 네트워크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중앙에 위치한 "배스천 호스트"는 다른 호스트들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중계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배스천 호스트"가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정답은 "배스천 호스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인터넷과 같은 공중망(Public Network)을 이용하여 전용선의 효과를 줄 수 있는 기술로, 기존의 전용선이 가지고 있던 확장의 어려움과 고비용을 해결하면서 전용선의 장점인 QOS와 보안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ATM
  2. NAT
  3. DMZ
  4. VPN
(정답률: 65%)
  • VPN은 인터넷과 같은 공중망을 이용하여 전용선과 같은 효과를 내는 기술로, 기존의 전용선의 단점을 보완하면서 QoS와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VPN은 가상의 전용선을 구축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안전하게 전송함으로써 보안성을 보장하며, QoS 기능을 통해 데이터 전송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원활한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VPN은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전용선과 같은 효과를 내기 때문에 많은 기업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리눅스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방화벽인 iptables가 있다. 100.100.10.12에서 입력(INPUT)되는 패킷을 모두 차단하기 위한 명령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iptables -A INPUT -s 100.100.10.12 -j DROP
  2. iptables -D INPUT -I 100.100.10.12 -t DROP
  3. iptables -D INPUT -s 100.100.10.12 -m DROP
  4. iptables -R INPUT -i 100.100.10.12 -j DROP
(정답률: 56%)
  • 정답은 "iptables -A INPUT -s 100.100.10.12 -j DROP"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iptables: 리눅스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방화벽이다.
    - INPUT: 입력 패킷을 의미하는 체인이다.
    - -s 100.100.10.12: 소스 IP 주소가 100.100.10.12인 패킷을 선택한다.
    - -j DROP: 선택된 패킷을 모두 차단한다.

    따라서, 100.100.10.12에서 입력되는 모든 패킷을 차단하는 명령어는 "iptables -A INPUT -s 100.100.10.12 -j DRO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