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7-08-19)

리눅스마스터 1급
(2007-08-19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리눅스 실무의 이해

1. 다음 중 시스템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매크로 프로세서(Macro Processor) : 매크로 호출(Macro Call)을 매크로 정의(Macro Definition)로 바꾸어 주는 프로그램
  2. 컴파일러(Compiler) : 저급언어인 어셈블리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하는 언어 번역 프로그램
  3. 운영체제 : 기억장치 , 프로세 서 , 주변장치 그리고 정보와 같은 자원들과 서비스들의 할당에 관련되어 있는 프로그램
  4. 로더(Loader) :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해서 그 프로그램의 명령문들과 데이터들을 주기억장치에 적재하는 프로그램
(정답률: 44%)
  • 컴파일러(Compiler) : 저급언어인 어셈블리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하는 언어 번역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리눅스 커널 2.2와 비교하여 커널 2.4만의 특징에 해당하는 것은?

  1. 가, 나
  2. 가, 나, 다
  3. 가, 나, 다, 라
(정답률: 12%)
  • 가. 개선된 네트워크 처리 및 스케줄링 기능: 커널 2.4에서는 네트워크 처리 및 스케줄링 기능이 개선되어 더욱 효율적인 네트워크 처리가 가능해졌다. 이는 네트워크 기능이 많이 사용되는 서버 환경에서 더욱 중요한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과 같은 소프트웨어 종류에서 저작권이 없는 소프트웨어는 어느 것인가?

  1. 자유 소프트웨어(Free software)
  2. 카피레프트 소프트웨어(Copylefted software)
  3. 공용 소프트웨어(Public Domain software)
  4. GPL 소프트웨어(GPL'ed software)
(정답률: 24%)
  • 공용 소프트웨어는 저작권이 없는 소프트웨어로,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 복사, 수정, 배포할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자유 소프트웨어는 저작권은 있지만,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 복사, 수정, 배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카피레프트 소프트웨어는 저작권은 있지만, 자유 소프트웨어와 비슷하게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 복사, 수정, 배포할 수 있습니다. GPL 소프트웨어는 자유 소프트웨어 중 하나로, 저작권은 있지만,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 복사, 수정, 배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리눅스 커널에 관련된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리눅스를 새로 설치하지 않고, 리눅스 커널을 2.6.3에서 2.6.7로 업그레이드하였다.
  2. 레드햇 리눅스 배포판을 설치하였는데, 리눅스 커널의 버전이 2.5.3이었다.
  3. 우리 회사에서 어제 새로 개발한 CPU에 리눅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인터넷에서 다운받은 커널을 수정없이 바로 설치하였다.
  4. 새로운 커널이 나오면 무조건 업그레이드 하여야 한다.
(정답률: 48%)
  • "리눅스를 새로 설치하지 않고, 리눅스 커널을 2.6.3에서 2.6.7로 업그레이드하였다." - 이는 기존에 설치된 리눅스 시스템에서 커널 버전을 업그레이드하여 기능 개선 및 보안 강화 등을 수행한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배포판 중에서 패키지를 .tar.gz로 배포하고 있으며 패키지 관리가 어려운 패키지는 무엇인가?

  1. 맨드레이크(Mandrake)
  2. 레드햇(RedHat)
  3. 슬랙웨어(Slackware)
  4. 페도라(Fedora)
(정답률: 53%)
  • 슬랙웨어는 패키지 관리를 위한 도구가 부족하고, 패키지 의존성을 자동으로 해결해주지 않기 때문에 패키지 관리가 어렵다. 또한, 패키지 업데이트가 늦어지는 경우가 많아 사용자가 직접 업그레이드를 해야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슬랙웨어는 패키지 관리가 어려운 배포판으로 알려져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하드웨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메인보드 : 리눅스를 설치할 수 없는 메인보드도 있다.
  2. RAID :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데이터를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에 분산 또는 중복시켜 저장하는 기술이다.
  3. PROM : 메모리속에 저장된 내용을 지우고 재사용할 수 있는 ROM이다.
  4. CPU : 레지스터 , 산술논리연산장 치 , 제어장치로 구성된다.
(정답률: 60%)
  • 정답은 "PROM : 메모리속에 저장된 내용을 지우고 재사용할 수 있는 ROM이다." 이다. PROM은 "Programmable Read-Only Memory"의 약자로, 한 번 프로그램이 적힌 이후에는 내용을 지우고 재사용할 수 없는 ROM이다. 따라서 "재사용할 수 있는 ROM"이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정상적으로 다중 OS 부팅(리눅스와 MS 윈도우즈 XP)이 되는 시스템에서 다중 OS 부팅이 불가능 하게 되는 경우는?

  1. 리눅스의 재설치
  2. 첫 번째 HDD의 MBR의 삭제
  3. 부트로더 재설치
  4. 부트매니저의 변경
(정답률: 70%)
  • 첫 번째 HDD의 MBR(Master Boot Record)은 부팅 시스템에서 가장 먼저 읽히는 부분으로, 다중 OS 부팅을 가능하게 하는 부트로더 정보가 저장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첫 번째 HDD의 MBR이 삭제되면 부팅 시스템은 부트로더 정보를 찾을 수 없어 다중 OS 부팅이 불가능해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proc 디렉토리에는 시스템의 각종 프로세스, 프로그램 정보, 그리고 하드웨어적인 정보들이 저장 된다. /proc 내의 파일과 그 정보가 올바르게 설명된 것은?

  1. /proc/cpu : 프로세서(CPU)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이다.
  2. /proc/file : 시스템에 설정 되어 있는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3. /proc/meminfo : 가상메모리에 대한 정보도 포함하고 있다.
  4. /proc/stat : 시스템이 현재 사용 중인 커널 버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정답률: 40%)
  • /proc/meminfo 파일은 시스템의 가상 메모리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이다. 이 파일은 시스템의 메모리 사용량, 사용 가능한 메모리 양, 캐시 메모리, 스왑 공간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이 정보는 시스템의 성능을 모니터링하고 최적화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ext2와 ext3 파일시스템을 비교하였을 때의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ext2는 저널링을 지원하지 않는다.
  2. ext2의 슈퍼블록의 구조와 ext3의 슈퍼블록의 구조는 서로 다르다.
  3. ext2로 구성된 파일시스템을 ext3로 변경할 수는 없다.
  4. ext3은 ext2와 호환되지 않는다.
(정답률: 69%)
  • ext2는 저널링을 지원하지 않는다는 이유는 파일 시스템이 데이터를 저장할 때 일어날 수 있는 예기치 않은 시스템 종료나 전원 손실 등의 문제로 인해 데이터가 손실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ext3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널링 기능을 추가하여 파일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X 서버의 이름이 아닌 것은?

  1. Xorg
  2. Xlib
  3. X386
  4. XFree86
(정답률: 48%)
  • 정답은 "X386"입니다. X386은 X 서버의 이름이 아니며, Xlib은 X Window System에서 사용되는 클라이언트-서버 프로토콜 라이브러리입니다. Xorg와 XFree86은 X 서버의 이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MS의 Windows XP와 같이 GUI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스크탑 환경은?

  1. KWin
  2. WindowMaker
  3. KDE
  4. Xorg
(정답률: 40%)
  • KDE는 GUI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스크탑 환경으로, Windows XP와 유사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합니다. KWin은 KDE의 창 관리자이며, WindowMaker는 다른 데스크탑 환경의 창 관리자입니다. Xorg는 X Window System을 구현하는 서버이며, 데스크탑 환경을 제공하지는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사용자 쉘(shell) 환경 설정 파일을 수정한 후에, 그 내용을 적용시킬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리눅스 시스템을 종료시킨 후 다시 시작한다.
  2. 사용자 계정을 삭제 후 다시 생성한다.
  3. 로그 아웃 후에 다시 로그인 한다.
  4. source 명령을 사용한다.
(정답률: 64%)
  • 사용자 계정을 삭제 후 다시 생성하는 것은 해당 사용자의 모든 데이터와 설정을 삭제하고 다시 생성하는 것이므로, 다른 방법들과는 달리 매우 극단적인 방법이다. 이 방법은 사용자의 데이터와 설정을 모두 삭제하기 때문에, 다른 방법들보다는 훨씬 불편하고 위험한 방법이다. 따라서, 다른 방법들을 먼저 시도해보고, 만약 그것들이 실패할 경우에만 사용자 계정을 삭제 후 다시 생성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사용자 쉘(shell)에서 파이프(pipe, |)는 앞 명령어의 출력을 다음 명령어의 입력으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 명령을 실행하였을때 화면에 출력되는 내용은 무엇인가?

  1. ls -l 의 실행결과
  2. ls 의 실행결과
  3. ls -al 의 실행결과
  4. 세 명령의 실행결과 모두
(정답률: 25%)
  • 정답은 "ls -al 의 실행결과"이다. 파이프(|)는 앞 명령어의 출력을 다음 명령어의 입력으로 보내기 때문에, "ls -al" 명령어의 실행결과가 다음 명령어인 "more"의 입력으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화면에 출력되는 내용은 "ls -al" 명령어의 실행결과이다. "ls -l" 명령어의 실행결과는 파일의 상세정보를 보여주고, "ls" 명령어의 실행결과는 파일 목록을 보여준다. "세 명령의 실행결과 모두"는 파이프(|)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프로세스(Process)의 정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커널에 등록되고 커널의 관리하에 있는 작업
  2. 실행중인 프로그램
  3. 프로세스 관리 블록을 할당받은 개체
  4. 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
(정답률: 57%)
  • "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는 프로세스의 정의와 관련이 없는 용어입니다. 프로세스는 실행중인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커널에 등록되고 관리되는 작업이며, 프로세스 관리 블록을 할당받은 개체입니다. 따라서 "동기적 행위를 일으키는 주체"는 프로세스의 정의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프로세스 스케줄링 방법 중 RR(Round-Robin)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간할당량이 작을 경우 문맥교환에 따른 오버헤드가 커진다.
  2. 대화형 시스템이나 시분할 시스템에 적합한 방식이다.
  3. 처리하여야 할 작업의 양이 가장 작은 프로세스에게 cpu를 할당하는 기법이다.
  4. FIFO 방식으로 선점(preemptive)형 기법이다.
(정답률: 43%)
  • "처리하여야 할 작업의 양이 가장 작은 프로세스에게 cpu를 할당하는 기법이다."라는 설명이 틀립니다. RR 방식은 시간 할당량이 일정한 시간으로 정해져 있고, 각 프로세스는 해당 시간 동안 CPU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처리해야 할 작업의 양과는 무관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LAN 간을 상호 접속해 주는 연결 장치로서 제2계층(데이터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는?

  1. 브리지
  2. 게이트웨이/라우터
  3. 리피터
  4. 프로토콜 번역기
(정답률: 75%)
  • 브리지는 제2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로, MAC 주소를 이용하여 LAN 간을 상호 접속해 주는 연결 장치입니다. 브리지는 패킷을 수신하여 목적지 MAC 주소를 확인하고, 해당 MAC 주소가 속한 LAN으로 패킷을 전달합니다. 이를 통해 LAN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줍니다. 따라서, 브리지가 제2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인 이유로 정답이 "브리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TCP/IP의 계층 중 종단 시스템간 에러탐지와 수정기능 등을 포함하며 신뢰성을 보장하는 데이터 전달 서비스를 담당하는 계층은?

  1. 전송 계층
  2. 응용 계층
  3. 네트워크 주소 계층
  4. 세션 계층
(정답률: 44%)
  • 전송 계층은 종단 시스템 간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며, 에러 탐지와 수정 기능 등을 포함하여 신뢰성을 보장하는 데이터 전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종단 시스템 간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계층이 전송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TCP/IP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1개의 C 클래스 주소를 할당받았다. C 클래스 주소를 이용 하여 2개의 동일한 크기의 서브네트워크를 구성 하고자 한다면 서브넷 마스크(subnet mask)를 어떻게 정해야 하는가?

  1. 255.255.254.0
  2. 255.255.255.0
  3. 255.255.255.128
  4. 255.255.255.1
(정답률: 69%)
  • C 클래스 주소는 24비트를 사용하므로, 서브넷 마스크는 8비트 중에서 2비트를 빌려야 한다. 이는 2의 2승인 4개의 서브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각 서브네트워크는 2의 6승인 64개의 호스트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서브넷 마스크는 11111111.11111111.11111111.10000000 (빌린 2비트가 마지막 2비트에 해당) 또는 255.255.255.128 이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ifconfig 명령을 사용하면 eth0 장치에 IP 주소를 직접 할당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주소는 리눅스 시스템을 다시 시작하게 되면 사라지게 된다. 리눅스 시스템을 시작할 때마다 자동으로 특정 IP 주소를 할당하기 위해서는 다음 중 어느 파일에 IP주소를 설정하여야 하는가?

  1. /etc/hosts
  2. /etc/resolv.conf
  3. /etc/sysconfig/network
  4.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정답률: 56%)
  •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파일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파일이다. 이 파일에는 해당 인터페이스의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등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이 파일을 수정하여 IP 주소를 설정하면, 시스템이 시작될 때 자동으로 해당 IP 주소가 할당된다. 다른 파일들은 호스트 이름, DNS 서버 정보 등과 같은 다른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만, IP 주소를 설정하는 데 사용되지는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aaa.ihd.or.kr에서 telnet bbb라는 명령어로 같은 사무실의 bbb.ihd.or.kr로 접속하고자 하였으나 실패하였다. 다음 중 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aaa.ihd.or.kr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ping bbb.ihd.or.kr 명령어로 시스템의 동작여부를 점검한다.
  2. nslookup bbb 명령어를 사용하여 IP주소로 DNS변환이 되는지 점검한다.
  3. ps -aux를 사용하여 telnet을 서비스하기위한 관련 데몬이 실행되고 있는지 점검한다.
  4. traceroute bbb 명령어로 네트워크 경로를 추적해 본다.
(정답률: 48%)
  • "ps -aux를 사용하여 telnet을 서비스하기위한 관련 데몬이 실행되고 있는지 점검한다."가 아닌 것은 ping, nslookup, traceroute 모두 bbb.ihd.or.kr에 대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ps -aux" 명령어는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므로, telnet 서비스를 위한 데몬이 실행 중인지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bbb.ihd.or.kr로 접속할 수 없는 원인을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리눅스 시스템 관리

21. 리눅스에 등록된 사용자 계정을 일시 비활성화하기 위해 useradd 명령어를 사용하여 설정하고자 할때 사용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f
  2. -d
  3. -g
  4. -o
(정답률: 34%)
  • 정답: "-f"

    설명: "-f" 옵션은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때, 이미 존재하는 사용자 이름을 사용할 경우 기존 사용자 계정을 삭제하고 새로운 계정을 생성합니다. 따라서 일시적으로 사용자 계정을 비활성화하기 위해 "-f"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해당 사용자의 로그인이 차단되며, 비밀번호를 변경하지 않은 경우 로그인이 불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userdel 명령어를 사용하여 사용자 계정 및 홈디렉토리까지 삭제하고자 할때 사용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r
  2. -d
  3. -e
  4. -m
(정답률: 73%)
  • "-r" 옵션은 사용자 계정을 삭제할 때 홈 디렉토리까지 함께 삭제하는 옵션이다. 따라서 "-r" 옵션을 사용하면 사용자 계정과 함께 홈 디렉토리도 삭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리눅스에서 프로그램 설치와 가장 관련이 먼 명령어는 어느 것인가?

  1. make install
  2. yum
  3. modprobe
  4. rpm
(정답률: 81%)
  • 정답은 "modprobe"입니다.

    "modprobe"는 리눅스에서 커널 모듈을 로드하거나 언로드하는 명령어입니다. 이는 프로그램 설치와 직접적으로 관련은 없지만, 프로그램이 필요로 하는 커널 모듈을 로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야 할 경우, 해당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커널 모듈을 로드하기 위해 "modprobe"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modprobe"는 프로그램 설치와 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습니다.

    반면에, "make install"은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여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명령어입니다. "yum"은 리눅스 패키지 매니저 중 하나로, 패키지를 설치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rpm"은 리눅스 패키지 매니저 중 하나로, RPM 패키지를 설치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명령어들은 직접적으로 프로그램 설치와 관련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userdel 명령어와 가장 관련이 먼 파일은 어느 것인가?

  1. /etc/passwd
  2. /etc/group
  3. /etc/hosts
  4. /etc/shadow
(정답률: 37%)
  • 정답은 "/etc/passwd"이다. userdel 명령어는 사용자 계정을 삭제하는 명령어이며, 이때 사용자 계정 정보는 "/etc/passwd" 파일에서 삭제된다. "/etc/hosts" 파일은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는데 사용되는 파일로, 사용자 계정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다. "/etc/group" 파일은 그룹 정보를 담고 있고, "/etc/shadow" 파일은 사용자 계정의 암호화된 비밀번호를 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리눅스의 디렉토리 중 일반적인 시스템 로그파일들이 있는 상위 디렉토리는 어디인가?

  1. /etc
  2. /var
  3. /proc
  4. /home
(정답률: 45%)
  • 정답은 "/var"이다. 이는 시스템 로그파일들이 일반적으로 "/var/log" 디렉토리에 저장되기 때문이다. "/etc" 디렉토리는 시스템 설정 파일들이 저장되는 곳이고, "/proc" 디렉토리는 프로세스 정보가 저장되는 가상 파일 시스템이다. "/home" 디렉토리는 사용자 홈 디렉토리들이 저장되는 곳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중 리눅스에서 부팅영역으로 사용하도록 권장되는 파일시스템인 것은?

  1. EXT3
  2. JFS
  3. ReiserFS
  4. XFS
(정답률: 48%)
  • EXT3은 일반적으로 리눅스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파일시스템 중 하나이며, 안정성과 신뢰성이 높아 부팅영역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EXT3은 파일 시스템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저널링 기능을 제공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는데 도움을 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계정자의 홈 디렉토리, 유효기간, 기본 그룹등을 변경하는 명령어는?

  1. su
  2. usermod
  3. chown
  4. chage
(정답률: 62%)
  • "usermod" 명령어는 사용자 계정의 속성을 변경하는 명령어로, 홈 디렉토리, 유효기간, 기본 그룹 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su"는 다른 사용자로 전환하는 명령어이고, "chown"은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소유자를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chage"는 사용자 계정의 암호 유효기간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프로세스 관리와 가 장 관련이 있는 명령어는 어느 것인가?

  1. ifconfig
  2. cd
  3. xkill
  4. modinfo
(정답률: 34%)
  • 정답: xkill

    설명: xkill은 X Window System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강제로 종료시키는 명령어이다. 이는 프로세스 관리와 관련이 있으며, 사용자가 프로그램이 응답하지 않을 때나 시스템이 멈추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때 사용된다. 따라서 프로세스 관리와 가장 관련이 있는 명령어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리눅스에서 백그라운드로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명령어 입력시 명령줄 맨 끝에 추가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77%)
  • 정답은 "&"이다.

    "&"는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호이다. 이 기호를 명령어 뒤에 붙이면 해당 명령어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며, 새로운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ls -l &" 명령어를 입력하면 "ls -l" 명령어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며, 새로운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리눅스 기반의 모든 파일시스템에서 가지는 구조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부트스트랩
  2. 헤더블록
  3. I-node
  4. 데이터블록
(정답률: 19%)
  • 리눅스 기반의 모든 파일시스템에서 가지는 구조의 구성요소 중에서 "헤더블록"은 없습니다. 부트스트랩은 파일시스템을 초기화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I-node는 파일의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데이터블록은 파일의 실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헤더블록은 파일시스템의 구조와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지만, 모든 파일시스템에서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헤더블록은 모든 파일시스템에서 가지는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리눅스에서 rpm을 이용하여 시스템에 설치된 clone라 는 패키지 정보를 보고 자 한다. 다음 명령어 중 올바른 것은?

  1. rpm -qf clone
  2. rpm -qi clone
  3. rpm -qp clone
  4. rpm -qr clone
(정답률: 48%)
  • 올바른 명령어는 "rpm -qi clone"이다.

    - "rpm -qf clone": clone이라는 파일이 어떤 패키지에 속해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이므로, 패키지 정보를 보는 것이 아니다.
    - "rpm -qp clone": clone이라는 패키지 파일의 정보를 보는 명령어이므로, 시스템에 설치된 패키지 정보를 보는 것이 아니다.
    - "rpm -qr clone": clone이라는 패키지를 의존하는 다른 패키지들을 검색하는 명령어이므로, 시스템에 설치된 패키지 정보를 보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rpm -qi clone" 명령어를 사용하여 시스템에 설치된 clone 패키지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컴파일을 통한 리눅스 패키지 설치 과정에 필요한 항목들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make
  2. gcc
  3. configure
  4. comm
(정답률: 74%)
  • 정답은 "comm"입니다.

    "make"는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여 실행 파일을 만들어주는 도구입니다.
    "gcc"는 C 언어 컴파일러로,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변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configure"는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기 전에 시스템 환경을 체크하고 설정하는 스크립트입니다.

    하지만 "comm"은 리눅스 명령어 중 하나로, 두 개의 파일을 비교하여 공통된 라인을 출력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리눅스 패키지 설치 과정에서는 필요하지 않은 항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4블록크기의 파일이 손상되어 복구하고자 한다. 이럴 경우 크기가 얼마인 파일들을 검색하여 복구 대상으로 선정해야 하는가?

  1. 1024KB
  2. 2048KB
  3. 4096KB
  4. 8192KB
(정답률: 56%)
  • 4블록크기의 파일은 4096KB 크기를 가지며, 이는 4블록을 모두 합친 크기와 같다. 따라서 복구 대상으로 선정할 파일은 4096KB 크기를 가진 파일들이다. 다른 크기의 파일들은 4블록크기의 파일을 복구하기에는 부족하거나 초과하기 때문에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리눅스에 마운트 된 CD롬은 언제까지 마운트된 상태로 유지가 되는가?

  1. 사용자 모드 변경시
  2. open 명령어 하기 전까지
  3. 파일 복사가 완료될때 까지
  4. 언마운트(umount)하기 전까지
(정답률: 79%)
  • CD롬은 마운트된 상태에서 파일을 읽거나 복사할 수 있기 때문에, 언마운트하기 전까지 마운트된 상태로 유지됩니다. 따라서 "언마운트(umount)하기 전까지"가 정답입니다. 사용자 모드 변경이나 open 명령어는 CD롬의 마운트 상태와는 관련이 없으며, 파일 복사가 완료될 때까지 마운트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도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리눅스 커널이 로딩될 당시 최초의 프로세스는 어느 것인가?

  1. vmlinuz 프로세스
  2. init 프로세스
  3. root 프로세스
  4. 슈퍼데몬 프로세스
(정답률: 53%)
  • 리눅스 커널이 로딩될 당시 최초의 프로세스는 "init 프로세스"이다. 이는 시스템 초기화를 담당하는 프로세스로, 다른 모든 프로세스들의 부모 프로세스이기도 하다. 따라서 시스템이 부팅되면 init 프로세스가 가장 먼저 실행되며, 이후에 다른 프로세스들이 생성되어 실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ssh를 이용해 리눅스 시스템에 원격접속을 하여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실행하던 중 사용자의 시스템이 다운 되었다. 이 경우 실행한 명령어의 결과는 어떻게 되는가?

  1. 파일복사가 중지된다.
  2. 파일복사가 완료된다.
  3. 복사된 파일이 삭제된다.
  4. 다음번 동일 계정으로 접속시 파일복사가 계속된다.
(정답률: 45%)
  • 실행한 명령어는 "cp"로 파일 복사를 하는 명령어이다. 그러나 사용자의 시스템이 다운되면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도 중지되므로 파일 복사도 중지된다. 따라서 정답은 "파일복사가 중지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은 RPM 명령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방법 및 명령어 형식의 관계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제작방법 : rpmbuild -bb 패키지 스팩
  2. 업그레이드 방법 : rpm -v 패키지 명
  3. 질의방법 : rpm -q 패키지 목록
  4. 제거방법 : rpm -e 패키지 명
(정답률: 54%)
  • 정답은 "질의방법 : rpm -q 패키지 목록"이다.

    rpm -q는 패키지의 정보를 조회하는 명령어이며, 패키지 목록을 조회하는 것이 아니다.

    업그레이드 방법은 rpm -Uvh 패키지명으로도 가능하며, -U 옵션은 기존에 설치된 패키지를 업그레이드하는 옵션이다.

    따라서, 업그레이드 방법은 "업그레이드 방법 : rpm -Uvh 패키지 명"이다.

    rpmbuild -bb는 패키지를 빌드하는 명령어이며, rpm -e는 패키지를 제거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리눅스 패키지 설치프로그램인 rpm -i 명령어와 가장 유사한 패턴의 명령어는 어느 것인가?

  1. make install
  2. mkfs
  3. gzip
  4. makefile
(정답률: 64%)
  • 정답은 "make install" 입니다.

    "make install" 명령어는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여 실행 파일을 만들고, 해당 파일을 시스템에 설치하는 명령어입니다. 이는 rpm -i 명령어와 유사하게 소스 코드를 패키지화하여 시스템에 설치하는 것과 비슷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make install" 명령어가 rpm -i 명령어와 가장 유사한 패턴의 명령어입니다.

    "mkfs"는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어이고, "gzip"는 파일을 압축하는 명령어입니다. "makefile"은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기 위한 설정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패키지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x86_64 기반의 커널에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없다.
  2. i386은 인텔 386이상 CPU 플랫폼에서 작동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3. rpm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설치할 수 있다.
  4. 제작자가 2번 걸쳐 이 패키지를 패키징 한 것을 알 수 있다.
(정답률: 30%)
  • "x86_64 기반의 커널에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없다."가 틀린 설명이다. i386 아키텍처는 x86_64 아키텍처와 호환되므로 x86_64 기반의 커널에서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rpm을 이용하여 패키지를 설치하고자 하는데, 이미 설치된 패키지들과의 의존성 문제가 발생하여 이를 무시하고 설치하고자 한다. 다음 중 이때 사용될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force
  2. --loop
  3. --nodeps
  4. --nocheck
(정답률: 73%)
  • 정답: --nodeps

    --nodeps 옵션은 의존성 문제를 무시하고 패키지를 설치할 때 사용되는 옵션이다. 이미 설치된 패키지와의 의존성 문제를 무시하고 강제로 설치하고자 할 때 사용된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의존성 문제로 인해 설치가 실패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force 옵션은 이미 설치된 패키지를 덮어쓰고 강제로 설치할 때 사용되는 옵션이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의존성 문제를 무시하지 않으므로 --nodeps 옵션과는 다르다.

    --loop 옵션은 rpm 패키지를 설치할 때 의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패키지를 자동으로 찾아 설치하는 옵션이다.

    --nocheck 옵션은 패키지를 설치할 때 체크섬 검사나 파일 권한 등의 검사를 수행하지 않고 바로 설치하는 옵션이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설치 과정이 빨라지지만,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중 리눅스 시스템의 I/O와 관련된 내용으로 틀린 것은?

  1. DMA는 외부장치로부터 메모리로 직접 바이트열을 보내는 기능을 말한다.
  2. IRQ는 외부장치가 장치 드라이버에 신호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각각마다 고유의 번호를 가지고 있다.
  3. PC의 구조에는 IRQ, I/O주소의 수에 제한이 있으므로 각 장치 드라이버의 프로그램 중에 I/O주소와 IRQ를 하드코드화 하면 용이하다.
  4. I/O주소를 사용하면 장치 드라이버가 외부장치에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정답률: 63%)
  • 정답은 "PC의 구조에는 IRQ, I/O주소의 수에 제한이 있으므로 각 장치 드라이버의 프로그램 중에 I/O주소와 IRQ를 하드코드화 하면 용이하다."이다. 이유는 하드코드화된 I/O주소와 IRQ는 시스템의 유연성을 제한하고, 다른 장치와 충돌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대신에, 시스템은 동적으로 장치를 할당하고, 장치 드라이버는 이를 인식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커널 2.6.7에서 커널 2.6.10으로 업그레이드를 하려고 한다. 꼭 필요한 파일들로만 구성된 것은?

  1. 가, 다, 마
  2. 나, 라, 바
  3. 나, 라, 마
(정답률: 39%)
  • 커널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파일들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파일은 바로 커널 이미지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커널의 핵심이 되는 부분으로, 컴퓨터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커널을 업그레이드하려면 반드시 새로운 커널 이미지 파일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업그레이드를 위해서는 커널 소스 코드 파일도 필요합니다. 이 파일은 커널 이미지 파일을 만들기 위한 소스 코드를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커널을 업그레이드하려면 새로운 커널 소스 코드 파일도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업그레이드를 위해서는 커널 설정 파일도 필요합니다. 이 파일은 커널을 구성하는 다양한 옵션들을 설정하는 파일입니다. 따라서 업그레이드를 위해서는 새로운 커널 설정 파일도 필요합니다.

    따라서 "나, 라, 바"가 정답입니다. "가, 다, 마"는 커널 업그레이드를 위한 필수 파일들이 모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바"는 커널 이미지 파일만 있고, 다른 필수 파일들이 빠져 있습니다. "나, 라, 마"는 커널 설정 파일이 빠져 있으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리눅스 커널 설정에서 사용하지 않기로 설정한 하드웨어를 사용하기 위하여 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해당 하드웨어를 직접 사용하는 프로그램 사용
  2.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모듈로 사용하도록 커널 설정 수정 후 커널 재 컴파일
  3. 디바이스 드라이버 모듈을 수동으로 직접 로드
  4. 커널 에 디바이 스 드라이버 삽입 후 커널 재컴파일
(정답률: 78%)
  • 해당 하드웨어를 직접 사용하는 프로그램 사용은 커널 설정과는 무관하게 해당 하드웨어를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사용하는 것이므로, 커널 설정에서 사용하지 않기로 설정한 하드웨어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해당 하드웨어를 직접 사용하는 프로그램 사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은 커널에 로드되어 있는 모듈이다. 이중 rmmod 명령에 의해 언로드될 수 있는 것은?

  1. soundcore
  2. snd_page_alloc
  3. i2c_core
  4. e100
(정답률: 60%)
  • "e100"은 네트워크 카드 드라이버 모듈이므로, rmmod 명령으로 언로드될 수 있다. 나머지 모듈들은 사운드, 메모리 할당, I2C 등과 관련된 모듈이므로 시스템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에 rmmod 명령으로 언로드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커널 2.6에서 사용할 모듈들을 다루기 위한 insmod, rmmod, lsmod, modprobe, depmod 등을 포함하는 패키지는?

  1. usermode-x.y.z.tar.gz
  2. module-init-tools-x.y.z.tar.gz
  3. environment-modules-x.y.z.tar.gz
  4. mod_security-x.y.z.tar.gz
(정답률: 55%)
  • 커널 2.6에서 사용할 모듈들을 다루기 위한 insmod, rmmod, lsmod, modprobe, depmod 등을 포함하는 패키지는 "module-init-tools-x.y.z.tar.gz" 입니다. 이는 모듈을 적재하고 제거하며, 현재 적재된 모듈들을 확인하고, 모듈을 자동으로 적재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이 패키지는 커널 모듈 관리를 위한 필수적인 도구들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디스크가 1개뿐인 리눅스 시스템의 디스크를 리눅스 재설치 없이 새 디스크로 교체하고자 한다. 새 디스크의 파티션은 기존과 동일하게 1개의 파티션만 설정할 예정이다. 이때 해야 하는 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새 디스크 포맷하기
  2. 기존 디스크의 내용을 새 디스크로 복사하기
  3. /etc/fstab 설정하기
  4. 새 디스크로 부팅하기 위하여 LILO준비하기
(정답률: 20%)
  • "/etc/fstab 설정하기"가 적당하지 않은 것은 새 디스크로 교체하더라도 기존 시스템의 설정 파일인 /etc/fstab은 변경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새 디스크의 파티션을 마운트하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etc/fstab 파일을 수정하여 새로운 파티션을 자동으로 마운트하도록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과 같은 명령으로 응급복구 디스켓을 만들었다. 이 응급복구 디스켓의 lilo.conf 부분으로 틀린 것은?

  1. boot=/mnt/boot
  2. map=/mnt/map
  3. image=/mnt/vmlinuz
  4. install=/mnt/boot.b
(정답률: 14%)
  • lilo.conf 파일에서 boot 항목은 시스템이 부팅될 때 LILO가 참조할 부트 로더가 있는 위치를 지정하는 것입니다. "boot=/mnt/boot"는 부트 로더가 /mnt/boot 디렉토리에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항목이 틀린 것은 아닙니다.

    다른 항목들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 map: LILO가 사용할 맵 파일의 위치를 지정합니다.
    - image: 부팅할 커널 이미지 파일의 위치를 지정합니다.
    - install: LILO가 설치될 위치를 지정합니다. 이 항목은 일반적으로 boot 항목과 같은 값을 가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 및 수정되는 파일이 아니며, 시스템 관리자가 필요에 따라 수정할 수 있는 것은?

  1. /etc/mtab
  2. /etc/printcap
  3. /etc/fstab
  4. /etc/sysconfig/hwconf
(정답률: 58%)
  • "/etc/fstab"은 시스템 부팅 시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기 위한 설정 파일로, 시스템 관리자가 필요에 따라 수정할 수 있습니다. 반면 "/etc/mtab"은 현재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로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고 수정되며, "/etc/printcap"은 프린터 설정 파일이며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고 수정되며, "/etc/sysconfig/hwconf"는 하드웨어 설정 파일로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고 수정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시스템에서 지원하지 않는 사운드카드를 사용하려고 할때 해야 하는 단계를 순서별로 알맞게 나열한 것은?

  1. 가-나-다-라-마
  2. 라-다-가-나-마
  3. 나-가-라-다-마
  4. 라-나-가-다-마
(정답률: 19%)
  • 1. 사운드카드 제조사 웹사이트에서 드라이버 다운로드
    2. 다운로드한 드라이버 설치
    3. 시스템 설정에서 사운드카드 선택
    4. 사운드카드 설정 확인
    5. 시스템 재부팅

    정답은 "라-다-가-나-마"이다. 이유는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먼저, 사운드카드를 사용하려면 해당 카드의 드라이버가 필요하다.
    - 이를 위해 사운드카드 제조사 웹사이트에서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한다.
    - 다운로드한 드라이버를 설치한다.
    - 시스템 설정에서 해당 사운드카드를 선택한다.
    - 마지막으로, 사운드카드 설정을 확인하고 시스템을 재부팅한다. 이러한 순서로 진행해야 정상적으로 사운드카드를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 )안에 들어갈 단어가 차례대로 알맞게 나열된 것은?

  1. sndconfig, system-config-soundcard, sysconf-sound
  2. redhat-config-soundcard, system-config-soundcard, sysconf-snd
  3. soundconfig, system-config-sound, sysconf-sound
  4. sysconf-sound, system-config-soundcard, soundconfig
(정답률: 25%)
  • 보기에서는 리눅스에서 사운드 카드를 설정하는 도구들의 이름이 나열되어 있다. 그 중에서도 "system-config-soundcard"는 리눅스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사운드 카드 설정 도구이며, "sndconfig"와 "sysconf-sound"는 이전 버전의 리눅스에서 사용되던 사운드 카드 설정 도구이다. 따라서, 이전 버전의 리눅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sndconfig"와 "sysconf-sound"를 사용할 수 있고, 최신 버전의 리눅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system-config-soundcard"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파일시스템 전체를 이미지로 저장하여 시스템 장애시 저장해둔 이미지 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복구하고자 한다. 이 두 가지 작업을 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명령어는 어느 것인가?

  1. dd
  2. tar
  3. gzip
  4. restore
(정답률: 34%)
  • 정답: dd

    이유: dd 명령어는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변환하는 데 사용되는 유틸리티이다. 파일시스템 전체를 이미지로 저장할 때 사용할 수 있으며, 저장된 이미지를 사용하여 시스템을 복구할 수도 있다. dd 명령어는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복사하므로 파일시스템 전체를 복사하는 데 적합하다. 또한, dd 명령어는 복사 중에 발생한 에러를 자세히 보고할 수 있어 복구 작업에서 유용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리눅스 기반에서 외부로부터의 해킹시도를 차단하기위해 제공되는 보안서비스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어느 것인가?

  1. squid
  2. ssh
  3. selinux
  4. nmap
(정답률: 30%)
  • 정답은 "nmap"입니다.

    "Squid"는 프록시 서버로서 외부에서 내부 네트워크로의 접근을 제어하고, "SSH"는 안전한 원격 접속을 제공하며, "SELinux"는 시스템 보안을 강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반면에 "nmap"은 네트워크 스캐닝 도구로서, 외부에서 내부 네트워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nmap"은 보안 서비스가 아니라 오히려 보안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웹 서버 보안을 위한 관련 지침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어느 것인가?

  1. CGI 디렉토리에는 쉘과 인터프리터를 설치하지 않는다.
  2. 관리자(root) 계정으로만 웹 관리를 한다.
  3. 필요하지 않은 쉘과 인터프리터는 설치하지 않는다.
  4. HTML문서에 접근하는 모든 사용자를 위한 특정 그룹을 만든다.
(정답률: 28%)
  • "HTML문서에 접근하는 모든 사용자를 위한 특정 그룹을 만든다."가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이유는 HTML문서에 접근하는 사용자를 위한 그룹을 만들어도 이는 웹 서버 보안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기 때문이다.

    "관리자(root) 계정으로만 웹 관리를 한다."는 웹 서버 관리 권한을 최소화하여 보안을 강화하는 것이다. 관리자 권한을 가진 계정이 아닌 다른 계정으로 웹 서버를 관리하면 보안 위협이 발생할 수 있다.

    "CGI 디렉토리에는 쉘과 인터프리터를 설치하지 않는다."와 "필요하지 않은 쉘과 인터프리터는 설치하지 않는다."는 웹 서버에서 실행되는 CGI 스크립트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쉘과 인터프리터는 보안 취약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필요한 경우에만 설치하고 그 외에는 설치하지 않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리눅스 시스템 보안을 위해 수행할 작업으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최신 보안패치 설치
  2. 불필요한 서비스 제거
  3. ssh를 통한 root 원격 접속
  4. shadow 기능을 이용한 사용자 계정 관리
(정답률: 60%)
  • ssh를 통한 root 원격 접속은 보안상 매우 취약한 방법이기 때문에 알맞지 않다. root 계정은 시스템의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원격에서 접속할 경우 해커들이 root 권한을 획득하여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ssh를 통한 root 원격 접속은 보안상 매우 위험하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외부에서 NFS의 접속을 막기 위해 포트 번호를 차단하고자 한다. 만약 리눅스 시스템에서 현재 제공되고 있는 NFS의 접속포트를 알지 못하는 경우 이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적당한 것은?

  1. host 명령어를 통해 포트 번호를 알아낸다.
  2. ping 명령어를 통해 포트 번호를 알아낸다.
  3. /etc/resolve.conf 파일정보를 통해 포트번호를 알아낸다.
  4. /etc/services 파일정보를 통해 포트번호를 알아낸다.
(정답률: 60%)
  • NFS는 기본적으로 TCP/UDP 2049번 포트를 사용하므로, 이를 차단하면 NFS 접속이 막힙니다. 이때, NFS가 사용하는 포트 번호를 알아내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etc/services 파일을 확인하면 됩니다. 이 파일은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서비스와 해당 서비스가 사용하는 포트 번호를 정의한 파일이므로, NFS가 사용하는 포트 번호도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Sendmail 보안을 위해 적용해야될 내용들로 알맞지 않는 것은?

  1. 주기적으로 가장 최신 패치를 적용해야 한다.
  2. Wizard 옵션을 가급적이면 사용하지 않는다.
  3. Debug 옵션을 가급적이면 사용하지 않는다.
  4. aliases 파일에 정의되어 실행되는 모든 프로그램의 사용권한은 777, 소유자는 일반 관리자가 되어야 한다.
(정답률: 57%)
  • "aliases 파일에 정의되어 실행되는 모든 프로그램의 사용권한은 777, 소유자는 일반 관리자가 되어야 한다."는 올바르지 않은 내용입니다. 777 권한은 모든 사용자가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가지는 것으로 매우 위험합니다. 따라서 보안을 위해 권한을 최소한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aliases 파일은 root 권한으로 소유되어야 하며, 실행 권한은 필요한 경우에만 부여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외부로 Anonymous FTP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안전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관리자가 설정 해야될 내용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은?

  1. ∼ftp 디렉토리 내에 어떤 외부 기계의 디스크도 마운트하지 않는다.
  2. ∼ftp의 파일을 옮기거나 지울 때 패스워드 파일에서 ftp 계정을 지운다.
  3. guest, anonymous 계정 사용자의 delete, overwrite, rename, chmod 옵션을 없애고 umask 옵션을 추가한다.
  4. 패스워드 파일의 ftp 계정 패스워드에 *를 넣거나 NP를 넣어서 패스워드를 사용한 로그인을 금지하고 정상적인 쉘을 주지 않는다.
(정답률: 16%)
  • 정답인 "guest, anonymous 계정 사용자의 delete, overwrite, rename, chmod 옵션을 없애고 umask 옵션을 추가한다."는 외부로 Anonymous FTP 서비스를 제공할 때 안전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설정이다. 이는 사용자가 파일을 삭제, 덮어쓰기, 이름 변경, 권한 변경 등의 작업을 할 수 없도록 제한하고, umask 옵션을 추가하여 새로운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기본 권한을 제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보안 위협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FTP 서비스와는 관련이 없거나, 보안에 대한 제한적인 내용을 제시하고 있어 적당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외부로부터의 스니핑(sniffing)에 대한 대책으로 적당하지 않는 것은?

  1. 보안 프로그램 등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카드가 Promiscuous 모드에 있는가 확인한다.
  2. 열린 파일을 조사한다.
  3. 네트워크에 ICPM 패킷을 발생시킨다.
  4. ps 명령어로 수상한 이름의 Process를 찾는다.(예 : a.out, in.telnetd, in.uucpd 등)
(정답률: 59%)
  • "네트워크에 ICPM 패킷을 발생시킨다."는 스니핑에 대한 대책으로 적당하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ICMP 패킷은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패킷으로, 스니핑을 방지하는 기능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스니핑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다른 대책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리눅스시스템 부팅과정이 기록된 로그 파일은 어느 것인가?

  1. /var/log/boot.log
  2. /var/log/dmesg
  3. /var/log/secure
  4. /var/log/lastlog
(정답률: 25%)
  • 정답: /var/log/dmesg

    설명: dmesg는 "디바이스 메시지"를 의미하며, 시스템 부팅과정에서 발생하는 로그 메시지를 기록하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시스템이 부팅될 때 자동으로 생성되며, 시스템의 하드웨어 정보와 부팅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러 메시지 등을 기록합니다. 따라서 리눅스시스템 부팅과정이 기록된 로그 파일은 /var/log/dmesg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tar 명령어를 통해 파일을 백업하려고 한다. 백업시 백업되는 파일을 bzip으로 압축하고자 할 경우 추가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z
  2. j
  3. a
  4. g
(정답률: 34%)
  • 정답은 "j"입니다.

    tar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을 백업할 때, 압축 방식을 지정하는 옵션은 "-z", "-j", "-a", "-g"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z" 옵션은 gzip으로 압축하고, "-j" 옵션은 bzip2로 압축합니다.

    따라서, 문제에서 "bzip으로 압축하고자 할 경우"에는 "-j" 옵션을 추가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

61. 다음은 무엇에 관련된 설명인가?

  1. ASCII CODE
  2. KSC5601
  3. UNICODE
  4. PDF
(정답률: 70%)
  • 이미지에서 보이는 문자열은 다양한 언어와 문자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문자 인코딩 방식이 존재합니다. 그 중에서도 UNICODE은 전 세계의 모든 문자를 표현할 수 있는 가장 포괄적인 문자 인코딩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 이미지에서 사용된 문자열은 UNICODE으로 인코딩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설명 중 올바른 내용으로 짝지어진 것은?

  1. 나, 다
  2. 가, 라
  3. 다, 라
  4. 가, 나
(정답률: 9%)
  • - 가: 이 그림은 "프로세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 나: 이 그림은 "메모리"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유: 그림에서 왼쪽에 있는 큰 사각형은 프로세서를 나타내고, 오른쪽에 있는 작은 사각형은 메모리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가는 프로세서, 나는 메모리를 나타내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설명 중 ( ) 안에 들어갈 내용과 이와 관련이 있는 아파치 옵션은 무엇인가?

  1. MaxSpareServer - MaxClients
  2. KeepAlive - MaxKeepAliveRequests
  3. Timeout - MaxClients
  4. KeepAliveTimeout - MaxKeepAliveRequests
(정답률: 41%)
  • (KeepAlive - MaxKeepAliveRequests)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연결을 유지하는 기능인 KeepAlive와 최대 연결 요청 수를 제한하는 MaxKeepAliveRequests 옵션을 의미한다. KeepAlive는 클라이언트가 다수의 리소스를 요청할 때, 매번 새로운 연결을 맺는 것이 아니라 기존 연결을 유지하여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능이다. 하지만 이 기능이 계속 유지되면 서버 자원을 과도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MaxKeepAliveRequests 옵션을 통해 최대 연결 요청 수를 제한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아파치 옵션은 KeepAliveTimeout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동적 웹 페이지와 관련된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동적 웹 페이지 구성에는 데이터베이스가 필수 요소이다.
  2. 클라이언트에서는 JSP가 주로 사용된다.
  3. 자바 서블릿은 CGI 스트립트이다.
  4. CGI는 프로세스의 생성과 초기화 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정답률: 42%)
  • CGI는 매번 요청이 들어올 때마다 프로세스를 생성하고 초기화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 )안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내용은 무엇인가?

  1. FTP
  2. HTTP
  3. NNTP
  4. IRC
(정답률: 63%)
  • 이미지 URL에서 "http"로 시작하기 때문에 정답은 "HTT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데이터베이스에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이 통합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2.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서버를 운영할 수도 있지만 파일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3. 기본적으로 데이터의 중복을 피하려고 하지만, 필요에 따라 중복성을 유지할 수도 있다.
  4. 운영 데이터는 필요한 정보를 얻기위해 생성한 임시 데이터까지 포함한다.
(정답률: 74%)
  • "운영 데이터는 필요한 정보를 얻기위해 생성한 임시 데이터까지 포함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운영 데이터는 조직의 핵심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데이터를 말하며, 임시 데이터는 일시적으로 생성되는 데이터로 운영 데이터에 포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동적 웹 페이지를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기술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웹 브라우저 상에서 이미지 편집을 위하여 JPEG2000 기술이 개발되었다.
  2. 사용자와 서버간의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 CGI가 사용되기도 한다.
  3. 웹 페이지를 구성하기 위한 중요 데이터는 주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4. 자바 스크립트는 웹 브라우저에 따라 다르게 동작할 수 있다.
(정답률: 22%)
  • 정답: "웹 브라우저 상에서 이미지 편집을 위하여 JPEG2000 기술이 개발되었다."

    이유: JPEG2000 기술은 이미지 압축 기술로, 이미지를 더 작은 용량으로 압축하여 전송하거나 저장할 때 사용된다. 이미지 편집을 위한 기술은 다른 기술들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중 smbpasswd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유닉스의 사용자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삼바 사용자를 생성하는 도구이다.
  2. 삼바 사용자 정보는 유닉스 시스템 계정 정보와 별개로 관리된다.
  3. smbpasswd 파일에는 사용자의 쉘 정보가 포함 되어있다.
  4. 삼바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을 포함한다.
(정답률: 18%)
  • 정답은 "삼바 사용자 정보는 유닉스 시스템 계정 정보와 별개로 관리된다." 이다.

    이유는 삼바는 윈도우와 같은 다른 운영체제와 파일 공유를 하기 위한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유닉스 시스템과는 별개로 사용자 정보를 관리해야 한다. 따라서 smbpasswd는 삼바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도구로, 유닉스 시스템 계정 정보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SMB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CIFS 프로젝트의 부산물이다.
  2. FTP와 동일한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3. 윈도 시스템과 유닉스 시스템간 파일 공유에 사용된다.
  4. UDP/IP 기반으로 작성된 시스템이다.
(정답률: 58%)
  • 정답은 "윈도 시스템과 유닉스 시스템간 파일 공유에 사용된다." 이다. SMB는 Server Message Block의 약자로, 윈도 시스템과 유닉스 시스템간 파일 공유에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운영체제 간에 파일 및 프린터 등을 공유할 수 있다. CIFS 프로젝트는 SMB를 개선한 것으로, SMB2와 SMB3 등이 이에 해당한다. FTP와는 다른 프로토콜이며, UDP/IP 기반으로 작성된 것도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SMB 설정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 SMB 사용자/패스워드 정보를 기록한 파일을 설정한다.
  2. SMB에 접속한 클라이언트의 이름을 기록한 파일을 설정한다.
  3. 리눅스 사용자와 SMB 사용자가 서로 다를 경우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이다.
  4. SMB 사용자에 대한 허가권을 기록한 파일이다.
(정답률: 50%)
  • 이 설정은 "리눅스 사용자와 SMB 사용자가 서로 다를 경우 매핑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이다." 입니다. 이 파일은 smbpasswd 파일로, SMB 사용자와 패스워드 정보를 저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은 NFS와 관련된 설명이다. 올바른 내용을 모두 고른 것은?

  1. 가, 다
  2. 나, 라
  3. 나, 다, 라
  4. 가, 나, 라
(정답률: 30%)
  • - NFS는 Network File System의 약자이다. (가)
    - NFS는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사용하여 파일 공유를 제공한다. (다)
    - NFS는 TCP/I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나)
    - NFS는 UNIX 및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에서 주로 사용된다. (라)

    따라서, 올바른 정답은 "가, 나, 라"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에서 설명하는 내용 중 올바른 것은?

  1. NFS는 FTP 기반의 파일 공유 서비스이다.
  2. NFS 서버-클라이언트간의 통신방법으로 RPC를 사용한다.
  3. nfsstone을 이용하여 일반 파일 시스템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
  4. NFS를 이용하여 접근하는 경우 심볼릭 링크는 하드 링크로 변경된다.
(정답률: 40%)
  • NFS 서버-클라이언트간의 통신방법으로 RPC를 사용하는 이유는, RPC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요청을 보내고, 서버가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보내기 때문에 효율적인 통신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은 Proftpd 설정의 일부분이다. 다음 설명 중 알맞은 것은?

  1. 동시에 10개의 클라이언트 접속이 가능하다.
  2. Anonymous 사용자에 대해 덮어쓰기를 허용 한다.
  3. 사용자의 쉘 정보를 확인하도록 한다.
  4. 한 사용자에 대해 30개의 동시 접속을 허용 한다.
(정답률: 5%)
  • 설정 파일에서 "RequireValidShell on"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쉘 정보를 확인하도록 한다. 이는 보안상의 이유로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 유효한 쉘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중 메일 서비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는 전자우편 시스템 간에 메시지 교환 형식을 규정하는 것이다.
  2. MUA(M ail User Agent)로 는 sendmail이 대표적이다.
  3. MTA(Mail Transfer Agent)는 한 호스트로 부터 메일을 받아 다른 호스트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4. MDA(Mail Delivery Agent)는 수신된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의 메일 박스에 저장한다.
(정답률: 24%)
  • "MUA(Mail User Agent)로는 sendmail이 대표적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sendmail은 MTA(Mail Transfer Agent)의 일종으로, 메일을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MUA는 메일을 작성하고 보내는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MUA로는 Outlook, Gmail, Thunderbird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프로토콜 암호화를 통하여 보안이 강화된 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할때 다음 중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1. Qmail, Procmail
  2. IMAP, Postfix
  3. Postfix, SSL
  4. sendmail, DRAC
(정답률: 20%)
  • 암호화된 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메일 전송 프로토콜과 암호화 기술이 필요합니다. Postfix는 메일 전송 프로토콜을 제공하며 SSL은 암호화 기술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Postfix와 SSL이 알맞게 짝지어진 것입니다. Qmail, Procmail, IMAP, sendmail, DRAC은 메일 서비스와 관련된 기술이지만, 암호화 기술과 짝지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Procmail을 이용하여 스팸 메일을 관리하려고 한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사용자가 관리자에게 요청해서 서버 차원에서 스팸 메일을 차단하도록 한다.
  2. 사용자 스스로 자신의 홈디렉토리에 .procmailrc 파일을 생성해서 차단한다.
  3. spamhost.com에서 전송되는 모든 메일을 차단하는 규칙은 *From:.*spamhost.com 이다.
  4. 대량의 스팸 메일이 전송된 경우 메일 서버자체에서 수신 거부하도록 설정한다.
(정답률: 10%)
  • 정답: "spamhost.com에서 전송되는 모든 메일을 차단하는 규칙은 *From:.*spamhost.com 이다."

    대량의 스팸 메일이 전송된 경우 메일 서버 자체에서 수신 거부하도록 설정하는 것은 스팸 메일을 처리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이렇게 설정하면 스팸 메일이 서버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팸 메일을 받지 않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스팸 메일을 처리하는 부담을 덜어주고, 서버 자체에서 스팸 메일을 처리하기 때문에 보안성도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POP3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서버로부터 클라이언트가 메일을 받을 수 있도록 통신을 하기위한 프로토콜이다.
  2. MUA 프로그램이 사용자의 서버와 통신하게 한다.
  3. 제목을 전달한 후 필요한 시점에 본문을 전달 한다.
  4. 메시지를 전송한 후 서버에서 삭제하는 것이 원칙이나 삭제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정답률: 48%)
  • "제목을 전달한 후 필요한 시점에 본문을 전달 한다."는 POP3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이다. POP3는 메일의 본문과 함께 제목, 보낸 사람, 받는 사람 등의 메일 헤더 정보를 모두 받아오며, 메일 전체를 받아온 후에 서버에서 삭제하는 것이 원칙이다. 따라서 본문과 제목을 따로 전달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xinetd를 컴파일하여 설치하려고 한다. 이때 DOS 공격을 예방하기 위한 컴파일 옵션으로 필수적인 것은?

  1. --with-libwrap
  2. --with-loadavg
  3. --with-inet6
  4. --with-nls
(정답률: 19%)
  • DOS 공격은 대량의 연결 요청으로 인해 서비스를 마비시키는 공격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xinetd를 컴파일할 때 "--with-loadavg" 옵션을 사용한다. 이 옵션은 시스템의 부하를 모니터링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부하가 발생하면 새로운 연결 요청을 거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 옵션을 사용하면 DOS 공격으로부터 서비스를 보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은 xinetd의 속성에 대한 설명 중 알맞은 것으로 구성된 것은?

  1. 가, 라, 마
  2. 가, 나, 다
  3. 나, 다, 마
  4. 나, 라, 마
(정답률: 23%)
  • - "가"는 xinetd의 동작 방식을 나타내는 속성으로, standalone 모드와 inetd 모드로 나뉘어진다.
    - "라"는 xinetd가 관리하는 서비스의 포트 번호와 프로토콜을 지정하는 속성으로, 이를 통해 xinetd가 해당 포트로 들어오는 요청을 어떤 서비스로 전달할지 결정한다.
    - "마"는 xinetd가 관리하는 서비스의 실행 방식을 지정하는 속성으로, 해당 서비스를 실행할 때 사용할 실행 파일 경로와 옵션 등을 설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DNS 설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도메인 정보는 /etc/slave/ihd.or.kr 파일로 기록된다.
  2. ihd.or.kr에 대한 주 DNS는 10.0.0.253 이다.
  3. 이 서버는 ihd.or.kr 도메인에 대한 백업 기능을 수행한다.
  4. 도메인은 master와 slave 두가지 타입으로 정의할 수 있다.
(정답률: 44%)
  • 설명 중 틀린 것은 "도메인은 master와 slave 두가지 타입으로 정의할 수 있다."이다. 도메인은 master와 slave 두 가지 타입이 아니라, DNS 서버의 역할에 따라 master DNS와 slave DNS로 구분된다.

    "도메인 정보는 /etc/slave/ihd.or.kr 파일로 기록된다."는 이 DNS 서버가 ihd.or.kr 도메인의 slave DNS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도메인의 정보를 /etc/slave/ihd.or.kr 파일에 저장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ihd.or.kr에 대한 주 DNS는 10.0.0.253 이다."는 이 DNS 서버가 ihd.or.kr 도메인의 slave DNS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도메인의 주 DNS는 다른 DNS 서버인 10.0.0.253이다.

    "이 서버는 ihd.or.kr 도메인에 대한 백업 기능을 수행한다."는 이 DNS 서버가 ihd.or.kr 도메인의 slave DNS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도메인의 백업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다음은 nslookup의 결과이다. ( )안에 들어갈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server
  2. root
  3. query
  4. mx
(정답률: 48%)
  • (1) server

    "server"는 nslookup에서 사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로, DNS 서버를 변경할 때 사용한다. 이 경우에는 "server" 명령어 뒤에 변경하고자 하는 DNS 서버의 IP 주소를 입력하여 해당 DNS 서버로부터 정보를 조회하도록 설정한 것이다.

    "root"는 DNS 계층 구조에서 최상위 DNS 서버를 의미하며, "query"는 DNS 질의를 수행하는 명령어이다. "mx"는 DNS 레코드 유형 중 하나로, 메일 서버 정보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mx" 명령어 뒤에 조회하고자 하는 도메인 이름을 입력하여 해당 도메인의 메일 서버 정보를 조회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DNS 설정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문제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3, 4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3번을 누르시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이 호스트의 IP는 10.0.0.10 이다.
  2. 메일을 전송하는 경우 mx1.ihd.or.kr로 전달 된다.
  3. ftp.ihd.or.kr의 IP는 10.0.0.11이 된다.
  4. www.ihd.or.kr로 두개의 IP가 연결되어 부하를 공유한다.
(정답률: 68%)
  • 보기에서 옳지 않은 설명은 "메일을 전송하는 경우 mx1.ihd.or.kr로 전달 된다." 이다. 이는 DNS 설정에서 MX 레코드를 설정해주어야 하는데, 이 설정이 보기에는 없기 때문이다. 나머지 보기들은 모두 옳은 설명이다. ftp.ihd.or.kr의 IP가 10.0.0.11이 된 이유는 DNS 설정에서 A 레코드를 설정해주었기 때문이다. www.ihd.or.kr로 두개의 IP가 연결되어 부하를 공유하는 것은 DNS 설정에서 Round Robin 방식을 사용하여 A 레코드를 설정해주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은 Squid 설정 중 접근 제어 부분이다. 알맞은 내용을 고르시오.

  1. 192.168.0.1에서 목적지 포트를 80으로 하면 사용할 수 있다.
  2. 10.0.0.10에서 목적지 포트를 443으로 하면 접근이 거절된다.
  3. 목적지 포트가 563이고 192.168.0.1에서 접근 한다면 사용가능하다.
  4. 목적지 포트가 80이고 10.0.0.1에서 접근하면 접근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46%)
  • 주어진 Squid 설정에서 "acl mynet src 192.168.0.1/255.255.255.255"은 IP 주소가 192.168.0.1인 호스트를 나타내며, "acl SSL_ports port 563"은 포트 번호가 563인 SSL 포트를 나타낸다. "http_access allow mynet SSL_ports"는 mynet ACL에서 정의된 IP 주소에서 SSL 포트(563)로의 접근을 허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목적지 포트가 563이고 192.168.0.1에서 접근 한다면 사용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은 Proxy 서비스에 관련된 내용이다. 알맞은 내용으로 짝지어진 것은?(문제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1, 4번이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시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가, 나
  2. 나, 다
  3. 다, 라
  4. 가, 라
(정답률: 66%)
  • Proxy 서비스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중계 역할을 수행하여 보안성을 높이고 네트워크 성능을 개선하는 서비스이다. 이 때, "가, 나"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Proxy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를 숨기고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나, 다"는 Proxy 서버와 서버 간의 통신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서버의 IP 주소를 숨길 수 있다. "다, 라"는 Proxy 서버와 다른 Proxy 서버 간의 통신을 의미하며, 이는 보통 다중 Proxy 서버를 사용할 때 필요한 기능이다. "가, 라"는 Proxy 서버를 거치지 않고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직접 통신하는 것을 의미하며, Proxy 서비스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올바르지 않은 선택지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은 nsswitch.conf 파일 내용의 일부이다. 다음 중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파일에 저장된 계정정보를 LDAP 서버와 동기화 한다.
  2. LDAP 서버에서 계정 정보를 얻어온다.
  3. 이 시스템의 사용자는 로그인시 LDAP 인증을 거쳐야한다.
  4. 이 시스템은 NIS를 사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20%)
  • nsswitch.conf 파일은 시스템이 사용하는 이름 해결 서비스를 구성하는 파일이다. 이 파일에서 "passwd" 항목에서 "ldap"이 우선순위가 가장 높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시스템은 계정 정보를 얻어오기 위해 LDAP 서버를 우선적으로 참조한다. 따라서 정답은 "LDAP 서버에서 계정 정보를 얻어온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은 DHCP 서버 설정 정보의 일부이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node1으로 정의한 시스템은 네트워크 부트기능을 사용한다.
  2. MAC 주소를 기반으로 고정 IP를 할당하도록 설정되어있다.
  3. 커널 파일명으로 “vmlinuz”를 사용한다.
  4. node1 시스템은 NFS를 사용한다.
(정답률: 60%)
  • DHCP 서버는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DNS 서버 등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클라이언트에게 자동으로 할당해주는 서버이다. 따라서 DHCP 서버 설정 정보에서 "node1 시스템은 NFS를 사용한다."라는 설명은 DHCP 서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NFS(Network File System)는 네트워크를 통해 파일을 공유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따라서 "node1 시스템은 NFS를 사용한다."라는 설명은 해당 시스템이 파일 공유를 위해 NFS를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은 DHCP 클라이언트의 resolv.conf이다. 이와 관련된 DHCP 서버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subnet, netmask
  2. routers, range
  3. domain-name-servers, domain-name
  4. subnet-mask, broadcast-address
(정답률: 60%)
  • DHCP 클라이언트의 resolv.conf는 DNS 서버의 IP 주소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DHCP 서버 옵션 중 DNS 서버의 IP 주소를 설정하는 옵션인 "domain-name-servers"가 알맞다. 또한, DNS 서버에서 사용하는 도메인 이름을 설정하는 "domain-name" 옵션도 함께 설정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DHCP와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bootp의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2. udp로 설정 정보를 전송한 뒤, 실패하면 tcp를 이용하여 IP를 할당한다.
  3. diskless 시스템을 위하여 root-path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4. IP를 할당한 뒤 일정시간 이 지나면 만료시키지만 회수하지는 않는다.
(정답률: 10%)
  • "udp로 설정 정보를 전송한 뒤, 실패하면 tcp를 이용하여 IP를 할당한다."는 옳은 내용이 아니다. DHCP는 기본적으로 UDP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에게 IP 주소 및 기타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제공한다. TCP는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은 cvs를 사용하기 위한 xinetd 설정이다.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no, stream, pserver
  2. false, dgram, -f
  3. yes, pserver, root
  4. true, tcp, cvsserver
(정답률: 62%)
  • - "no, stream, pserver":
    - "no": disable 옵션으로, 해당 서비스를 비활성화한다는 의미이다.
    - "stream": 데이터 전송 방식으로, TC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 "pserver": CVS 프로토콜을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 따라서, CVS 서비스를 비활성화한다.

    - "false, dgram, -f":
    - "false": disable 옵션으로, 해당 서비스를 비활성화한다는 의미이다.
    - "dgram": 데이터 전송 방식으로, UD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 "-f": 해당 옵션은 사용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 "yes, pserver, root":
    - "yes": enable 옵션으로, 해당 서비스를 활성화한다는 의미이다.
    - "pserver": CVS 프로토콜을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 "root": 해당 서비스를 실행할 때 사용할 계정으로, root 계정을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 "true, tcp, cvsserver":
    - "true": enable 옵션으로, 해당 서비스를 활성화한다는 의미이다.
    - "tcp": 데이터 전송 방식으로, TC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 "cvsserver": 해당 서비스를 실행할 때 사용할 실행 파일 이름으로, cvsserver를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은 cvs 명령을 실행한 결과이다. 실행한 명령과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update : Hello.java 파일은 손상되었다.
  2. update : World.java 파일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였다.
  3. checkout : 서버에 있는 Hello.java 파일과 로컬에 있는 내용이 합쳐졌다.
  4. checkout : World.java 파일을 서버로 업로드 하였다.
(정답률: 32%)
  • 실행한 명령: cvs update

    설명: 현재 로컬에 있는 파일들과 서버에 있는 파일들을 비교하여 변경된 내용이 있는 파일들을 업데이트한다. 이때 "update : World.java 파일을 서버로부터 다운로드하였다." 라는 메시지가 나온 이유는 서버에 있는 World.java 파일이 로컬에 없거나 로컬에 있는 파일보다 서버에 있는 파일이 더 최신 버전이기 때문에 서버에서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업데이트 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은 CVS 설정에 대해 기술한 내용이다.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etc/CVS, writers
  2. CVSROOT, readers
  3. CVSROOT, writers
  4. /etc/CVS, readers
(정답률: 22%)
  • CVS 설정에서 CVSROOT는 CVS 저장소의 루트 디렉토리를 나타내며, 이 디렉토리에는 저장소의 설정 파일과 모든 프로젝트 파일이 저장됩니다. 따라서 CVSROOT는 모든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어야 합니다.

    readers와 writers는 CVS 저장소에 대한 접근 권한을 나타냅니다. readers는 저장소를 읽을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용자를 나타내며, writers는 저장소를 쓸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사용자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정답은 "CVSROOT, readers"입니다. CVSROOT는 모든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어야 하므로, readers 권한을 가진 모든 사용자가 CVSROOT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writers 권한은 저장소를 수정할 수 있는 권한이므로, 이 권한은 CVSROOT에 부여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CVS 명령과 그 설명이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1. init - 프로젝트를 생성할때마다 수행하는 명령이다.
  2. update - CVS 저장소로부터 변경된 내용을 다운로드하는 명령이다.
  3. import - 백업한 데이터를 CVS 저장소로 복원하기 위한 명령이다.
  4. checkout - 프로젝트가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음을 표시하는 명령이다.
(정답률: 20%)
  • 정답은 "update - CVS 저장소로부터 변경된 내용을 다운로드하는 명령이다." 이다.

    이유는 update 명령은 로컬 저장소와 CVS 저장소 간의 변경 사항을 동기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변경된 내용을 다운로드하여 로컬 저장소에 반영한다. 따라서 로컬 저장소에 있는 파일들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된다.

    init 명령은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초기화하는 명령이다. import 명령은 백업한 데이터를 CVS 저장소로 복원하기 위한 명령이다. checkout 명령은 로컬 저장소에서 프로젝트를 삭제하고, CVS 저장소에서도 삭제하는 명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SSH를 이용한 CVS 서버에 login 하기 위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단, 서버는 cvs.ihd.or.kr, 디렉토리는 /cvsroot로 가정한다.)

  1. cvs -d :ssh:cvs.ihd.or.kr:cvsroot login
  2. cvs ssh://cvs.ihd.or.kr login
  3. cvs -d :pserver:cvs.ijhd.or.kr:/cvsroot login
  4. cvs -d :ext:cvs.ihd.or.kr:/cvsroot login
(정답률: 18%)
  • 정답: "cvs -d :ext:cvs.ihd.or.kr:/cvsroot login"

    이유:
    - SSH를 이용한 접속이므로 "-d" 옵션을 이용하여 접속 프로토콜을 지정해줘야 한다.
    - SSH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ext:"를 사용한다.
    - 서버 주소는 "cvs.ihd.or.kr"이며, 디렉토리는 "/cvsroot"이므로 ":ext:cvs.ihd.or.kr:/cvsroot"으로 지정해준다.
    - 마지막으로 "login" 명령어를 입력하여 로그인을 진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CVS와 관련이 없는 내용은 무엇인가?

  1. CVS는 2401 포트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
  2. 환경변수 CVSROOT가 설정되지 않으면 동작하지 않는다.
  3. CVS에 등록된 프로젝트를 처음 다운로드하는 과정을 checkout 이라고 한다.
  4. 자신이 수정한 내용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commit 명령을 사용한다.
(정답률: 5%)
  • "CVS는 2401 포트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CVS와 관련이 없는 내용이다.

    환경변수 CVSROOT는 CVS 서버의 주소를 지정하는 변수이다. 이 변수가 설정되지 않으면 클라이언트가 CVS 서버와 통신할 수 없기 때문에 동작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CVS를 이용하여 작업하던 도중 서버에 있는 내용과 로컬에서 작업한 내용의 차이점을 보고자 할때 알맞은 명령은 무엇인가?(단, 파일명은 driver.c이며, checkout 이후에 작업한 것으로 가정한다.)

  1. cvs diff driver.c
  2. cvs -d driver.c
  3. cvs release driver.c
  4. cvs ci driver.c
(정답률: 53%)
  • 정답은 "cvs diff driver.c"이다.

    "cvs diff" 명령은 로컬 작업 디렉토리와 저장소 간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보고서를 생성한다. 따라서 "cvs diff driver.c" 명령은 로컬에서 작업한 driver.c 파일과 저장소에 있는 driver.c 파일 간의 차이점을 보고서로 출력해준다.

    "cvs -d" 명령은 저장소의 위치를 지정하는 옵션이며, "cvs release" 명령은 작업 디렉토리에서 파일을 삭제하고 저장소에서도 삭제하는 명령이다. "cvs ci" 명령은 로컬 작업 디렉토리에서 변경된 파일을 저장소에 반영하는 명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시나리오 상에서 추측할 수 있 는 공격 패턴을 모두 나열한 것은?

  1. 루트킷
  2. DoS, 트로이목마
  3. DoS, 백도어
  4. 백도어, 루트킷
(정답률: 47%)
  • 위 시나리오에서는 먼저 DoS 공격이 시도될 것으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 이후에는 트로이목마가 전송되어 시스템에 침투하게 됩니다. 이는 공격자가 시스템을 제어하고 악성코드를 실행할 수 있는 백도어를 설치하기 위한 준비 단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DoS, 트로이목마"입니다. "루트킷"과 "백도어, 루트킷"은 시나리오에서 언급되지 않았으므로 추측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루트킷
  2. 버퍼 오버플로우
  3. 백 오리피스
(정답률: 39%)
  • 이 그림은 버퍼 오버플로우 공격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버퍼 오버플로우란, 프로그램이 할당된 버퍼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입력받을 때 발생하는 보안 취약점입니다. 이 취약점을 이용하여 공격자는 프로그램의 실행 흐름을 조작하거나 악성 코드를 실행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버퍼 오버플로우는 매우 위험한 보안 취약점으로 여겨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은 시스템의 정상적인 수행에 문제를 야기하는 DOS 공격에 대한 설명이다.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1. 가, 나, 다
  2. 가, 다, 라
  3. 나, 다, 라
  4. 나, 다, 마
(정답률: 69%)
  • DOS 공격은 대상 시스템에 대량의 데이터를 보내서 시스템의 자원을 고갈시키는 공격이다. 이 때, 공격자는 대량의 데이터를 보내기 위해 여러 개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공격을 수행할 수 있다.

    위의 그림에서는 여러 개의 컴퓨터가 대상 시스템에 대량의 데이터를 보내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때, 공격자는 여러 개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공격을 수행하므로 "나, 다, 라"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단, 다른 정책은 적용되지 않았다고 가정한다.)

  1. 포트 161에서 전송한 데이터를 차단한다.
  2. 10.0.0.200에서 포트 161번으로 tcp 연결 시도는 허용한다.
  3. 10.0.0.1로 udp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다.
  4. 10.0.0.1에서 포트 161로 udp 통신을 시도하면 거절되었다는 메시지를 볼 수 있다.
(정답률: 8%)
  • 이 명령은 10.0.0.200에서 포트 161번으로 tcp 연결 시도를 허용하는 것이다. 이유는 이 명령에서는 "permit tcp host 10.0.0.200 eq 161"라는 구문이 있기 때문이다. 이 구문은 10.0.0.200에서 포트 161번으로 tcp 연결 시도를 허용한다는 의미이다. 다른 정책은 적용되지 않았다고 가정하므로, 이 명령에 따라 포트 161에서 전송한 데이터는 차단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IDS
  2. NMS
  3. VPN
  4. DMZ
(정답률: 45%)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VPN을 나타내며, VPN은 Virtual Private Network의 약자로 인터넷을 통해 안전하게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가상 사설망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