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3-16)

리눅스마스터 1급
(2008-03-1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리눅스 실무의 이해

1. 운영체제의 유형을 구분짓는 주요 기능 중 다중사용자(Multi-user) 기능은 단일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여러 사용자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능을 일컫는다. 아래 보기 중 다중 사용자 기능을 제공하는 운영체제로 틀린 것은?

  1. Linux
  2. UNIX
  3. PC-DOS
  4. Windows XP
(정답률: 79%)
  • 정답: PC-DOS

    설명: PC-DOS는 단일 사용자 운영체제로, 한 번에 하나의 사용자만 로그인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중 사용자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반면 Linux, UNIX, Windows XP는 다중 사용자 기능을 제공하는 운영체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GNU/FSF에서 자유소프트웨어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제시한 4가지 조건 중 알맞은 것은?

  1. 프로그램에 상업용 목적을 위한 배너광고를 게재할 수 있는 자유
  2. 이웃을 돕기 위해 이웃의 PC에 프로그램을 임의로 설치할 수 있는 자유
  3. 프로그램을 향상시키고 이를 공동체 전체의 이익을 위해서 다시 환원시킬수 있는 자유
  4. 프로그램의 작동 원리를 연구하고, 이를 저작권자의 필요에 맞도록 변경시킬 수 있는 자유
(정답률: 84%)
  • 정답은 "프로그램을 향상시키고 이를 공동체 전체의 이익을 위해서 다시 환원시킬수 있는 자유"입니다. 이 조건은 자유 소프트웨어의 핵심 원칙 중 하나로, 소프트웨어를 수정하고 개선할 수 있는 자유를 보장합니다. 이를 통해 개인이나 공동체가 소프트웨어를 개선하고 이를 다시 공유함으로써, 소프트웨어의 질을 높이고 더 많은 사람들이 이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자유 소프트웨어의 지속적인 발전과 발전된 소프트웨어의 공유를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GNU/FSF에서 제시한 자유소프트웨어의 분류체계에서 자유소프트웨어 범주에 포함되는 소프트웨어로 알맞은 것은?

  1. 독점 소프트웨어
  2. 공용 소프트웨어
  3. 상용 소프트웨어
  4. 셰어웨어
(정답률: 65%)
  • 정답: 공용 소프트웨어

    설명: GNU/FSF에서 제시한 자유소프트웨어의 분류체계에서 자유소프트웨어 범주에 포함되는 소프트웨어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복사, 배포, 수정, 실행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이에 따라 공용 소프트웨어는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리눅스 배포판으로 보기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RedHat
  2. Slackware
  3. Debian
  4. FreeBSD
(정답률: 77%)
  • "FreeBSD"는 리눅스 배포판이 아니라,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이기 때문에 가장 거리가 먼 것이다. 리눅스와 유닉스는 모두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지만, 서로 다른 커널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호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리눅스 배포판과 FreeBSD는 서로 다른 운영체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리눅스가 글로벌 프로젝트 형식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성공적인 운영체제로 자리 매김한 원인으로 틀린 것은?

  1. 공유와 나눔의 철학을 기반으로 한 소스코드 공개
  2. 기술의 폐쇄성을 무기로 독점적 지위를 누려온 일부 운영체제에 대한 다변화 요구
  3. 많은 소프트웨어 업체들의 적극적인 리눅스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및 지원
  4. 리차드 스톨만, 에릭 레이몬드의 리눅스에 대한 전폭적인 지지와 눈부신 상업적 성공
(정답률: 78%)
  • "많은 소프트웨어 업체들의 적극적인 리눅스기반 소프트웨어 개발 및 지원"이 틀린 것입니다. 리눅스가 글로벌 프로젝트 형식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여 성공적인 운영체제로 자리 매김한 원인은 "공유와 나눔의 철학을 기반으로 한 소스코드 공개", "기술의 폐쇄성을 무기로 독점적 지위를 누려온 일부 운영체제에 대한 다변화 요구", "리차드 스톨만, 에릭 레이몬드의 리눅스에 대한 전폭적인 지지와 눈부신 상업적 성공"입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리눅스를 성공적인 운영체제로 만들어주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하드웨어 장치 약어와 내용이 틀린 것은?

  1. CPU : Command Processing Unit
  2. ALU : Arithmetic Logic Unit
  3. RAID :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4. SCSI :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정답률: 57%)
  • 정답은 "CPU : Command Processing Unit" 이다. CPU는 Central Processing Unit의 약어로, 컴퓨터 시스템에서 중앙 처리 장치를 의미한다. 컴퓨터에서 모든 명령어를 처리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ALU는 Arithmetic Logic Unit의 약어로, 산술 논리 연산 장치를 의미한다.

    RAID는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의 약어로, 여러 개의 하드 디스크를 묶어서 하나의 대용량 저장 장치로 사용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SCSI는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의 약어로, 컴퓨터와 주변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 기술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부트 매니저(Boot Manager)란 부팅할 때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운영체제 중 본인이 필요로 하는 운영체제를 선택하여 부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다음 중 부트 매니저가 아닌 것은?

  1. 리눅스의 LILO
  2. OS/2의 부트 관리 프로그램
  3. 윈도우즈 98의 msdos.sys
  4. 유닉스의 MBR
(정답률: 60%)
  • 유닉스의 MBR은 부트 매니저가 아니다. MBR은 Master Boot Record의 약자로, 하드 디스크의 첫 번째 섹터에 위치하며, 부팅 시에 컴퓨터가 가장 먼저 읽는 부분이다. MBR은 하드 디스크의 파티션 정보와 부트로더를 담고 있으며, 운영체제를 선택하는 기능은 없다. 따라서 유닉스의 MBR은 부트 매니저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대부분의 리눅스는 FHS(Filesystem Hierarchy Standard) 표준 파일 시스템 계층을 사용하고 같은 목적의 파일들은 일관된 장소에 모아 관리 한다. 다음 중 메일이나 뉴스, 프린터 큐 등과 같이 시스템상에서 캐시 상태에 있는 작업들을 위한 디렉토리로 알맞은 것은?

  1. /var/log
  2. /var/spool
  3. /var/tmp
  4. /var/cache
(정답률: 44%)
  • 정답은 "/var/spool" 입니다.

    "/var/spool" 디렉토리는 시스템에서 캐시 상태에 있는 작업들을 위한 디렉토리입니다. 메일이나 뉴스, 프린터 큐 등과 같은 작업들은 이 디렉토리에 저장됩니다.

    "/var/log" 디렉토리는 시스템 로그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입니다.

    "/var/tmp" 디렉토리는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임시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입니다.

    "/var/cache" 디렉토리는 패키지 매니저 등에서 사용하는 캐시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분산파일시스템이란 LAN 등 네트워크상의 여러컴퓨터 간에 파일을 상호 공유하는 파일 시스템으로서 이를 사용하여 원격지의 컴퓨터에 있는 파일을 직접 판독 기록할 수 있다. 다음 중 분산 파일 시스템이 아닌 것은?

  1. ext3 (third Extended File System)
  2. NFS (Network File System)
  3. RFS (Remote File System)
  4. AFS (Andrew File System)
(정답률: 48%)
  • ext3는 로컬 파일 시스템으로, 여러 컴퓨터 간에 파일을 공유하지 않는다. 따라서 분산 파일 시스템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X 윈도우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X 윈도우 시스템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즈 운영체제를 리눅스에서 가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2. X 윈도우 시스템은 분산형 개방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 아데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MIT 에서 1984년 최초로 개발되었다.
  3. 윈도우 시스템에서 사실상 표준인 마이크로 소프트의 윈도우즈에 대항하기 위해 개발된 리눅스의 GUI 시스템이다.
  4. X 윈도우 시스템은 PC 상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네트워킹을 지원하지 않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52%)
  • "X 윈도우 시스템은 분산형 개방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된 아데나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MIT 에서 1984년 최초로 개발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Xlib는 X Protocol에 대한 저수준 라이브러리로서 보다 풍부한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Xtoolkit을 사용해야 한다. 다음 중 Xtoolkit이 아닌 것은?

  1. XView
  2. Qt
  3. XFree86
  4. GTK
(정답률: 50%)
  • XFree86은 X Window System의 오픈 소스 구현체이며, Xtoolkit과는 관련이 없다. XView, Qt, GTK는 모두 Xtoolkit의 일종으로 Xlib보다 더 높은 수준의 추상화를 제공하여 GUI 개발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쉘과 그 설명이 가장 알맞게 설명된 것은?

  1. Bourne Shell : 프로그램 이름은 sh 이며, 오랜 시간 동안 모든 유닉스 시스템의 표준 구성요소이지만 C쉘이나 콘 쉘과 비교해 보았을때 기능적인 면에서 미흡하다.
  2. C Shell : 프로그램 이름은 csh 이며, C 언어로 제작된 쉘로서 현재 리눅스 배포판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3. Bash Shell : 프로그램 이름은 bash 이며, csh 호환의 명령언어 해석기로서 현존하는 다양한 쉘중에서 가장 역사가 오래된 쉘이다.
  4. Korn Shell : 프로그램 이름은 ksh 이며, 사용이 편리하고 기능이 탁월한 장점이 있으나 명령행 편집기능을 제공하지 않고, c shell, bourne shell 등과 호환되지 않는 단점이 있다.
(정답률: 43%)
  • 정답은 "Bourne Shell : 프로그램 이름은 sh 이며, 오랜 시간 동안 모든 유닉스 시스템의 표준 구성요소이지만 C쉘이나 콘 쉘과 비교해 보았을때 기능적인 면에서 미흡하다." 이다. Bourne Shell은 오랜 시간 동안 모든 유닉스 시스템의 표준 구성요소이지만, C쉘이나 콘 쉘과 비교해 보았을때 기능적인 면에서 미흡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다른 쉘들은 각각의 장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자의 용도와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bash 쉘에서 사용되는 특수 문자와 그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 표준 출력을 파일 끝에 덧붙이는 출력 리다이렉션 기호
  2. ? 0개 이상의 문자와 일치하는 파일 치환 대표 문자 기호
  3. ; 어떤 프로세스의 출력을 다른 프로세스의 입력으로 보내는 파이프 기호
  4. < 파일로부터 표준 입력을 읽는 입력 리다이렉션 기호
(정답률: 58%)
  • "< 파일로부터 표준 입력을 읽는 입력 리다이렉션 기호"는 '<' 기호이다. 이 기호는 파일로부터 입력을 받아 명령어를 실행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cat < file.txt'는 file.txt 파일로부터 입력을 받아서 그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중 프로세스들의 수행순서를 결정하는 프로세스 스케쥴링을 위해 고려되는 보편적인 기준으로 틀린 것은?

  1. 프로세스의 속성
  2. 신속한 응답 시간의 중요성
  3. 프로세스의 총 실행시간
  4. 서버의 부팅시간
(정답률: 75%)
  • 서버의 부팅시간은 프로세스 스케쥴링을 결정하는 기준이 아닙니다. 프로세스 스케쥴링은 프로세스의 속성, 신속한 응답 시간의 중요성, 프로세스의 총 실행시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됩니다. 서버의 부팅시간은 시스템의 초기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프로세스 스케쥴링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nice
  2. nohup
  3. cron
  4. top
(정답률: 82%)
  • 정답: nice

    설명: nice 명령어는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하는데 사용됩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CPU 자원을 더 많이 할당받을 수 있어서 프로세스의 실행 속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nice 명령어는 우선순위를 높이는 것도 가능하지만, 낮추는 것도 가능합니다. 높은 우선순위를 가진 프로세스는 낮은 우선순위를 가진 프로세스보다 더 많은 CPU 자원을 할당받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OSI 7 계층과 해당하는 프로토콜 연결이 알맞은 것은?

  1. Application Layer - FTP
  2. Presentation Layer - MAC
  3. Transport Layer - SLIP,PPP
  4. Physical Layer - RPC Portmapper
(정답률: 61%)
  • 정답은 "Application Layer - FTP" 입니다.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로, OSI 7 계층 중에서 Application Layer에 해당합니다. Application Layer는 사용자와 직접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계층으로,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FTP는 이러한 서비스 중 하나로, 파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Application Layer - FTP"가 알맞은 연결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틀립니다.

    - Presentation Layer - MAC: Presentation Layer는 데이터의 표현 방식을 정의하는 계층으로, MAC은 물리적인 주소를 할당하는 계층인 Data Link Layer에 해당합니다.
    - Transport Layer - SLIP,PPP: Transport Layer는 데이터의 전송을 관리하는 계층으로, SLIP과 PPP는 Data Link Layer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 Physical Layer - RPC Portmapper: Physical Layer는 데이터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계층으로, RPC Portmapper는 Application Layer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네트워크 장비의 하나인 허브에 대한 종류와 그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더비 허브 : 가장 일반적인 허브를 의미하며 LAN이 보유한 대역폭을 PC의 대수만큼 나누어서 제공한다는 것이 약점이다.
  2. 스위칭 허브 : 더미 허브와 비교하여 스위칭 허브는 전용 매체 교환 기술을 이용하여 트래픽 병목 현상을 제거해 각 포트당 속도가 일정하게 보장된다.
  3. 스태커블 허브 : 허브 여러대를 묶어서 마치 하나의 허브처럼 확장시킬수 있는 허브를 의미 한다.
  4. 매니지먼트 허브 :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목적의 허브로서 프로토콜이 다른 통신망을 상호 접속시켜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정답률: 49%)
  • 정답은 "더비 허브 : 가장 일반적인 허브를 의미하며 LAN이 보유한 대역폭을 PC의 대수만큼 나누어서 제공한다는 것이 약점이다." 이다.

    허브는 네트워크 장비 중 하나로, 여러 대의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더비 허브는 가장 일반적인 허브로, LAN의 대역폭을 연결된 PC의 대수만큼 나누어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대역폭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네트워크 전체의 속도가 느려지는 병목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반면, 스위칭 허브는 전용 매체 교환 기술을 이용하여 트래픽 병목 현상을 제거해 각 포트당 속도가 일정하게 보장된다. 스태커블 허브는 여러 대의 허브를 묶어서 하나의 허브처럼 확장시킬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매니지먼트 허브는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목적의 허브로서, 프로토콜이 다른 통신망을 상호 접속시켜주는 기능을 가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LAN의 구성방식에 따른 분류로 보기에 알맞지 않은 것은?

  1. 이더넷
  2. TCP/IP
  3. 토큰링
  4. FDDI
(정답률: 56%)
  • 정답은 "TCP/IP"입니다.

    이유는 TCP/IP는 LAN의 구성방식에 따른 분류가 아니라 인터넷 프로토콜이기 때문입니다.

    이더넷, 토큰링, FDDI는 모두 LAN의 구성방식에 따른 분류입니다.

    - 이더넷: CSMA/CD 방식을 사용하는 LAN 구성방식
    - 토큰링: 토큰 패싱 방식을 사용하는 LAN 구성방식
    - FDDI: 광케이블을 사용하는 LAN 구성방식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상태 점검 및 환경 설정을 위한 명령어가 아닌 것은?

  1. ifconfig
  2. netconfig
  3. ping
  4. mkfs
(정답률: 70%)
  • 정답: "mkfs"

    설명: "mkfs"는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어로, 네트워크 상태 점검 및 환경 설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ifconfig"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확인하고 설정하는 명령어입니다. "netconfig"는 네트워크 설정을 구성하는 명령어입니다. "ping"은 네트워크 상태를 점검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은 네트워크 설정을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의 실행 결과이다. ( )안에 들어갈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netstat
  2. ping
  3. traceroute
  4. nslookup
(정답률: 62%)
  • ( )안에 들어갈 명령어는 "netstat"이다.

    이유는 실행 결과에서 현재 컴퓨터와 연결된 네트워크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ping"은 호스트 간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이고, "traceroute"는 패킷이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경로를 추적하는 명령어이며, "nslookup"은 도메인 이름에 해당하는 IP 주소를 조회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리눅스 시스템 관리

21. 사용자가 로그인을 성공했을 때 보여줄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motd
  2. /etc/messages
  3. /etc/profile.d
  4. /etc/login
(정답률: 52%)
  • 정답은 "/etc/motd"입니다.

    "/etc/motd"는 "Message of the Day"의 약자로, 사용자가 로그인을 성공했을 때 보여줄 메시지를 저장하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시스템 전체에 적용되며, 로그인 시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메시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로그인을 성공했을 때 보여줄 메시지를 저장하고 있는 파일로 "/etc/motd"가 알맞습니다.

    다른 선택지인 "/etc/messages", "/etc/profile.d", "/etc/login"은 모두 시스템 설정과 관련된 파일이지만, 사용자 로그인과 관련된 메시지를 저장하는 파일은 아닙니다. "/etc/messages"는 시스템 로그 메시지를 저장하는 파일이며, "/etc/profile.d"는 사용자 프로필 설정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입니다. "/etc/login"은 로그인 관련 설정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사용자 그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속하게 된다.
  2. 사용자 계정을 만들 때 자동으로 계정 이름과 동일 이름의 그룹이 생성되며 그 그룹에 소속 된다.
  3. 그룹의 정보는 /etc/groups 파일에 있다.
  4. groupadd 명령어를 사용하면 새 그룹을 만들 수 있다.
(정답률: 52%)
  • 정답은 "그룹의 정보는 /etc/groups 파일에 있다." 이다. 이유는 그룹 정보가 저장되는 파일은 "/etc/group" 이다. "/etc/groups"는 오타이다. 사용자 그룹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없다.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그룹에 속하며, 사용자 계정을 만들 때 자동으로 계정 이름과 동일한 이름의 그룹이 생성되며 그 그룹에 소속된다. 또한 groupadd 명령어를 사용하여 새 그룹을 만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명령어 who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b : 마지막으로 부트한 시간을 출력한다.
  2. -r : 현재 runlevel의 값을 출력한다.
  3. -q : 호스트 이름과 사용자 목록을 출력한다.
  4. -u : 로그인 중인 사용자 목록을 출력한다.
(정답률: 54%)
  • 정답은 "-q : 호스트 이름과 사용자 목록을 출력한다." 이다.

    이유는 who 명령어의 옵션 중 -q는 호스트 이름과 사용자 목록을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로그인 중인 사용자 수를 출력하는 옵션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중 /etc/default/useradd 파일에 설정하는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GROUP : 기본 소속 그룹
  2. HOME : 홈 디렉토리의 베이스 디렉토리
  3. SKEL : 홈 디렉토리에 복사될 초기화 파일이 있는 디렉토리 이름
  4. EXPIRE : 지정된 시간동안 사용이 되지 않는다면 자동으로 로그 아웃됨
(정답률: 57%)
  • EXPIRE : 지정된 시간동안 사용이 되지 않는다면 자동으로 로그 아웃됨은 /etc/default/useradd 파일에 설정하는 내용과는 관련이 없다. 이 옵션은 사용자 계정의 만료일을 설정하는 것으로, 일정 기간이 지나면 해당 계정을 사용할 수 없게 만드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usermod 명령어의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 : 계정이 종료될 날짜를 변경한다.
  2. -u : uid를 변경한다.
  3. -d : 로그인 디렉토리를 변경한다.
  4. -g : 그룹을 변경한다.
(정답률: 72%)
  • "-s : 계정이 종료될 날짜를 변경한다."가 틀린 것이다. "-s" 옵션은 사용자의 로그인 셸(shell)을 변경하는 옵션이다.

    사용자 계정이 종료될 날짜를 변경하려면 "-e" 옵션을 사용해야 한다. "-e" 옵션은 사용자 계정의 만료일을 설정하는 옵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finger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는 정보가 아닌 것은?

  1. 사용자 로그인 이름
  2. 사용자 홈디렉토리
  3. 기본 사용 쉘
  4. 로그인한 이후의 경과시간
(정답률: 63%)
  • finger 명령어는 사용자 계정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사용자 로그인 이름, 사용자 홈디렉토리, 기본 사용 쉘은 모두 사용자 계정 정보에 해당한다. 하지만 로그인한 이후의 경과시간은 현재 시간과 사용자가 로그인한 시간을 비교하여 계산되는 정보이므로, finger 명령어로 확인할 수 없다. 이 정보는 보통 who 명령어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ihd라는 사용자를 일시적으로 로그인할 수 없도록 lock을 거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passwd -l ihd
  2. passwd -d ihd
  3. passwd -u ihd
  4. passwd -s ihd
(정답률: 68%)
  • 정답은 "passwd -l ihd"입니다.

    "passwd -l"은 사용자 계정을 잠금 상태로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passwd -l ihd"는 "ihd" 사용자 계정을 일시적으로 로그인할 수 없도록 잠금 상태로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반면에 "passwd -d"는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를 삭제하는 명령어이며, "passwd -u"는 사용자 계정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명령어입니다. "passwd -s"는 사용자 계정의 비밀번호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dir 디렉토리 및 그 안에 있는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들의 소유자와 소유그룹을 nobody로 변경하기 위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chgrp -R nobody:nobody dir
  2. chown -R nobody nobody dir
  3. chown -R nobody:nobody dir
  4. chgrp -r dir nobody nobody
(정답률: 60%)
  • 정답: chown -R nobody:nobody dir

    설명: chown은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자를 변경하는 명령어이며, -R 옵션을 사용하면 디렉토리 안에 있는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들의 소유자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nobody:nobody는 소유자와 소유그룹을 나타내며, 디렉토리 dir과 그 안에 있는 모든 파일과 디렉토리들의 소유자와 소유그룹을 nobody로 변경합니다. 따라서 chown -R nobody:nobody dir이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ls -l 명령어로 출력되는 정보 중에서 파일 유형을 나타내는 심볼이 있다. 다음 중 이에 대한 의미로 틀린 것은?

  1. - : 일반 정규 파일
  2. b : 블록 장치 파일
  3. d : 디렉토리
  4. l : 하드 링크
(정답률: 86%)
  • 정답: "l : 하드 링크"

    해설:
    - "-" : 일반 정규 파일
    - "b" : 블록 장치 파일
    - "d" : 디렉토리
    - "l" : 심볼릭 링크

    하드 링크는 파일의 복사본이 아니라 원본 파일과 같은 파일을 가리키는 링크이며, ls -l 명령어로 출력되는 정보 중에서는 심볼릭 링크를 나타내는 "l"이 있지만 하드 링크를 나타내는 심볼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fsck 명령어의 종료값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1 : 파일 시스템 에러가 고쳐짐
  2. 2 : 재부팅 필요
  3. 4 : 고쳐지지 않은 에러가 남아 있음
  4. 8 : 공유 라이브러리 에러
(정답률: 47%)
  • 정답은 "8 : 공유 라이브러리 에러"이다. 이유는 fsck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을 검사하고 에러를 고치는 역할을 하지만, 공유 라이브러리 에러는 파일 시스템과는 관련이 없는 문제이기 때문에 fsck 명령어의 종료값에 포함되지 않는다. 따라서, "8 : 공유 라이브러리 에러"는 fsck 명령어와는 무관한 문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cp 명령어의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 : 원본 파일의 속성(attribute)과 링크 정보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복사
  2. -b : 동일한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원본 파일의 복사본을 만든다.
  3. -f : 동일한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복사하지 않는다.
  4. -u : 동일한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원본 파일과 비교하여 최신 날짜일 경우에 복사하지 않는다.
(정답률: 50%)
  • "-f : 동일한 파일이 존재하는 경우 복사하지 않는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f" 옵션은 복사할 파일이 이미 존재하는 경우에도 덮어쓰기를 하지 않고 복사를 진행합니다. 따라서, 원본 파일과 동일한 이름을 가진 파일이 이미 존재하는 경우에도 덮어쓰기를 하지 않고 복사를 진행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mount 명령어에서 -o 플래그에 사용되는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ro :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
  2. user : 모든 사용자가 사용이 가능함
  3. exec : 실행 파일의 실행이 가능함
  4. suid : Set-UID와 Set-GID의 사용을 허용함
(정답률: 46%)
  • 정답은 "user : 모든 사용자가 사용이 가능함"이 아닙니다.

    -o user 옵션은 일반 사용자도 마운트와 언마운트를 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옵션입니다. 기본적으로는 root 권한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도 마운트와 언마운트를 할 수 있도록 하려면 -o user 옵션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ps 명령어에서 출력하는 필드의 의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VSZ : 가상 메모리 크기
  2. TIME : 부트 이후의 경과 시간
  3. RSS : 실제 사용한 메모리 크기
  4. PPID : 부모 프로세스의 PID
(정답률: 47%)
  • 정답은 "TIME : 부트 이후의 경과 시간"이 아니라 "VSZ : 가상 메모리 크기"이다.

    VSZ는 프로세스가 사용하는 가상 메모리 크기를 나타내는데, 이는 실제로 할당되지 않은 메모리까지 포함한다. 따라서 이 값은 실제 메모리 사용량을 나타내는 RSS와는 다르다.

    반면, TIME은 프로세스가 실행된 후 경과한 시간을 나타내는데, 이는 부트 이후의 전체 시간이 아니라 해당 프로세스가 실행된 후 경과한 시간을 의미한다. 이 값은 CPU 사용량을 측정하는 데에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자식 프로세스를 만들기 위한 시스템 호출은?

  1. create
  2. new
  3. fork
  4. exec
(정답률: 64%)
  • 자식 프로세스를 만들기 위한 시스템 호출은 "fork" 입니다. 이는 부모 프로세스가 자식 프로세스를 생성할 때 사용하는 시스템 호출로, 부모 프로세스의 복사본을 만들어 자식 프로세스를 생성합니다. 이후 자식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와 독립적으로 실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runlevel을 사용하여 재부팅을 하기 위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runlevel 0
  2. runlevel 6
  3. init 0
  4. init 6
(정답률: 68%)
  • 정답: init 6

    설명: runlevel 명령어는 현재 시스템의 런레벨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런레벨 0은 시스템을 종료하는 런레벨이고, 런레벨 6은 시스템을 재부팅하는 런레벨이다. 따라서, 재부팅을 하기 위해서는 init 6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은 kill 명령어로 보낼 수 있는 시그널이다.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시그널과 관련 없는 것은?

  1. SIGINT
  2. SIGKILL
  3. SIGTSTP
  4. SIGTERM
(정답률: 30%)
  • "SIGTSTP"는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시그널과 관련이 없다. 이 시그널은 프로세스를 일시 중지시키는 시그널로, Ctrl+Z 키를 누르면 보내지며, 프로세스를 재개시키기 위해서는 "SIGCONT" 시그널을 보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killall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killall은 지정된 명령어를 실행 중인 모든 프로세스에게 시그널을 보낸다.
  2. 시그널은 이름이나 숫자로 지정한다.
  3. 자기 자신을 종료시킬 수도 있다.
  4. 시그널 이름이 지정되지 않으면 SIGTERM이 보내진다.
(정답률: 35%)
  • 자기 자신을 종료시킬 수 없다. killall은 실행 중인 다른 프로세스에게 시그널을 보내는 명령어이다. 자기 자신을 종료시키려면 kill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rpm 명령어의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nodeps : 의존성 검사를 하지 않는다.
  2. --test : 실제 설치를 하지 않고 설치가 성공 할 지를 검사한다.
  3. -h : 도움말을 보여준다.
  4. --percent : 설치 상황의 진행률을 보여준다.
(정답률: 42%)
  • 정답은 "--percent : 설치 상황의 진행률을 보여준다." 이다.

    -h 옵션은 도움말을 보여주는 옵션이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rpm 명령어의 사용법과 각 옵션에 대한 설명을 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tar 명령어의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x : 묶음 파일에서 파일을 삭제한다.
  2. -c : 새로운 묶음 파일을 만든다.
  3. -t : 묶음 파일의 내용을 보여준다.
  4. -z : 묶음 실행과 동시에 gzip으로 압축한다.
(정답률: 65%)
  • "-x : 묶음 파일에서 파일을 삭제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x 옵션은 묶음 파일에서 파일을 추출(extract)하는 옵션이다. 따라서 묶음 파일에서 파일을 삭제하는 옵션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gcc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 : object 파일을 생성한다.
  2. -L : 라이브러리와 링크한다.
  3. -D : 매크로를 지정한다.
  4. -I : 헤더 파일 위치를 지정한다.
(정답률: 18%)
  • 정답: "-L : 라이브러리와 링크한다."

    이유: -L 옵션은 라이브러리 파일이 위치한 디렉토리를 지정하는 옵션이며, -l 옵션과 함께 사용하여 라이브러리를 링크할 때 사용된다. 따라서 "-L : 라이브러리와 링크한다."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중 커널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커널에는 인터럽트 처리기와 스케줄러, 슈퍼바이저 등이 포함되어 있다.
  2. 모든 종류의 응용 프로그램과 유틸리티에 대해 GUI를 사용할 수 있는 기본 플랫폼을 제공하는 클라이언트/서버 시스템이다.
  3. 운영체제가 파일을 시스템의 디스크상에 구성하는 방식을 말한다.
  4. 넓게는 컴퓨터 시스템내의 각종 자원들을 요구하고 할당받을 수 있는 개체로 정의되며 PCB(Process Control Block) 영역에 할당받아 관리된다.
(정답률: 49%)
  • 커널에는 인터럽트 처리기와 스케줄러, 슈퍼바이저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시스템 자원을 관리하고 프로세스를 스케줄링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리눅스 커널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및 컴파일을 해야 하는 이유로 알맞은 것은?

  1. 사용자 계정 생성, 삭제 등의 계정 관리 수행
  2. 주기적으로 효율적인 서버 백업 수행
  3. 새로운 하드웨어 지원, 시스템 관리 능력 및 속도 개선
  4. 라이선스 만료에 따른 사용기간 연장
(정답률: 60%)
  • 리눅스 커널을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 및 컴파일을 해야 하는 이유는 새로운 하드웨어 지원, 시스템 관리 능력 및 속도 개선을 위해서입니다. 새로운 하드웨어가 출시될 때마다 해당 하드웨어를 지원하기 위한 드라이버가 추가되거나 업데이트되어야 하며, 시스템 관리 능력과 속도 개선을 위한 최신 기술들도 계속해서 추가되고 개선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리눅스 커널을 최신 버전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커널 컴파일시 사용되는 명령어와 그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make clean : 이전에 수행했던 커널 컴파일 과정에서 생성된 목적 파일, 커널, 임시파일, 설정값등을 삭제한다.
  2. make bzImage : 잘 못되었을 경우 이전 상태 복원을 위하여 현재 운영중인 시스템 이미지를 생성하는 명령어이다.
  3. make modules_install : 커널 환경 설정에서 모듈로 설정한 기능들을 컴파일한다.
  4. depmod : 커널 이미지를 담고 있는 RPM 패키지의 의존성 관계를 검사한다.
(정답률: 40%)
  • make clean : 이전에 수행했던 커널 컴파일 과정에서 생성된 목적 파일, 커널, 임시파일, 설정값등을 삭제한다.

    설명: make clean 명령어는 이전에 수행했던 커널 컴파일 과정에서 생성된 목적 파일, 커널, 임시파일, 설정값 등을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이를 통해 컴파일된 파일들을 깨끗하게 제거하고, 새로운 컴파일을 위한 환경을 만들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은 현재 커널상에 로드된 모듈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의 수행결과중 일부이다. ( )안에 들어갈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rmmod
  2. insmod
  3. lsmod
  4. modinfo
(정답률: 60%)
  • 이 명령어는 현재 커널상에 로드된 모듈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정답은 "lsmod"이다. "rmmod"는 모듈을 제거하는 명령어, "insmod"는 모듈을 삽입하는 명령어, "modinfo"는 모듈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리눅스 커널 모듈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커널 모듈을 운영중인 커널에 로딩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재부팅이 필요하다.
  2. 커널 모듈을 커널 자신이 필요로 할때 커널 데몬에게 모듈을 로드 또는 언로드 할 것을 요구할 수도 있다.
  3. 일반적으로 커널 모듈은 커널 코드보다 한단계 낮은 권한과 책임을 가지며, 커널은 커널 모듈의 위험 요소로부터 보호 기능을 갖추고 있다.
  4. 커널 모듈에 대한 컴파일은 단일 사용자 모드인 run level 1에서만 가능하다.
(정답률: 44%)
  • 정답은 "커널 모듈을 커널 자신이 필요로 할때 커널 데몬에게 모듈을 로드 또는 언로드 할 것을 요구할 수도 있다." 이다.

    커널 모듈은 운영중인 커널에 동적으로 로드되거나 언로드될 수 있는 코드이다. 이를 통해 커널의 기능을 확장하거나 수정할 수 있다. 커널 모듈은 커널 자신이 필요로 할 때 커널 데몬에게 모듈을 로드 또는 언로드 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을 재부팅하지 않고도 커널의 기능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운영중인 시스템의 일부 하드웨어 장치가 갑자기 작동하지 않을 경우 확인해 보아야 하는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해당 장치의 연결 상태 및 고장 여부
  2. 해당 장치와 관련된 리눅스 커널 모듈의 커널 적재 상태
  3. 해당 장치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상태 및 커널 메시지 로그
  4. 해당 장치와 관련된 커널 모듈의 컴파일 여부
(정답률: 63%)
  • 해당 장치와 관련된 커널 모듈의 컴파일 여부가 틀린 것이다. 하드웨어 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경우, 해당 장치의 연결 상태 및 고장 여부, 해당 장치와 관련된 리눅스 커널 모듈의 커널 적재 상태, 해당 장치를 사용하는 프로세스 상태 및 커널 메시지 로그 등을 확인해야 한다. 커널 모듈의 컴파일 여부는 해당 장치가 작동하지 않는 원인이 될 수는 있지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사항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은 시스템의 파티션 설정을 확인하기 위한 설정 파일을 출력한 결과이다. ( )안에 들어 갈 설정 파일 이름으로 알맞은 것은?

  1. /etc/fstab
  2. /sbin/lilo
  3. /etc/environment
  4. /etc/inittab
(정답률: 80%)
  • 정답: /etc/fstab

    /etc/fstab 파일은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되는 파일 시스템을 정의하는 설정 파일이다. 이 파일은 각 파티션의 마운트 포인트, 파일 시스템 유형, 마운트 옵션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파일을 확인하면 시스템의 파티션 설정을 확인할 수 있다.

    - /sbin/lilo: 부트 로더인 LILO의 설정 파일이다.
    - /etc/environment: 시스템 전역 환경 변수를 설정하는 파일이다.
    - /etc/inittab: 시스템 초기화 및 런레벨 설정을 담당하는 파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리눅스 부팅디스켓을 만들기 위해 플로피 디스크를 포맷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mkfs.ext3 /dev/fd0
  2. fsck.ext3 -f /dev/hdb1
  3. mount -t ext3 /dev/fd0 /mnt
  4. mkbootdisk --device /dev/fd0
(정답률: 65%)
  • 정답은 "mkfs.ext3 /dev/fd0"입니다.

    이 명령어는 ext3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포맷을 만들고, 이를 /dev/fd0(플로피 디스크)에 적용합니다. 따라서 리눅스 부팅디스크를 만들기 위해 플로피 디스크를 포맷하는데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음과 같은 명령어입니다.

    - fsck.ext3 -f /dev/hdb1: hdb1 파티션에 대해 ext3 파일 시스템을 체크하고, 문제가 있으면 자동으로 고치는 명령어입니다.
    - mount -t ext3 /dev/fd0 /mnt: /dev/fd0(플로피 디스크)를 ext3 파일 시스템으로 마운트하고, 마운트 포인트를 /mnt로 지정하는 명령어입니다.
    - mkbootdisk --device /dev/fd0: 부팅디스크를 만드는 명령어입니다. 하지만 이 명령어는 현재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중 리눅스 시스템상에 연결된 프린터들의 설정을 가지고 있는 설정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service
  2. /etc/printcap
  3. /etc/inetd.conf
  4. /usr/local/etc/sane.d/dll.conf
(정답률: 67%)
  • 정답은 "/etc/printcap"입니다.

    이유는 "/etc/printcap"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프린터 설정을 저장하는 파일이기 때문입니다. 이 파일은 각각의 프린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프린터의 이름, 위치, 프린트 서버의 IP 주소, 프린터 모델 등의 정보를 포함합니다. 이 파일은 프린터 서버에서 사용되며, 프린터 서버에서 프린터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etc/printcap"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프린터 설정을 관리하는 중요한 파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프린터 관련 명령어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lpq
  2. printconf
  3. printenv
  4. lprm
(정답률: 59%)
  • "printenv"는 환경 변수를 출력하는 명령어로, 프린터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다른 세 개의 명령어는 모두 프린터와 관련된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logrotate 명령어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특정 날짜 또는 특정 용량 이상이 되었을 때 로그 파일을 rotate한다.
  2. rotate 작업을 하면서 로그 파일을 압축할 수 있다.
  3. 로그 파일이 비어있다면 rotate하지 않고 에러를 지정된 메일 주소로 보낸다.
  4. rotate 후에 생성되는 파일의 소유자와 허가권을 설정할 수 있다.
(정답률: 52%)
  • 로그 파일이 비어있다면 rotate하지 않고 에러를 지정된 메일 주소로 보내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logrotate는 로그 파일이 비어있어도 rotate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유는 로그 파일이 비어있더라도 파일 자체는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로그 파일이 비어있어도 rotate 작업이 수행되며, 에러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로그 파일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var/log/messages : syslogd의 로그
  2. /var/log/dmesg : 사용자 로그인의 로그
  3. /var/log/mailog : sendmail의 로그
  4. /var/log/boot.log : 부팅시의 로그
(정답률: 69%)
  • "/var/log/dmesg : 사용자 로그인의 로그"가 틀린 설명입니다. /var/log/dmesg는 시스템 부팅시 하드웨어와 관련된 정보를 기록하는 로그 파일입니다. 사용자 로그인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실행 중인 xinetd의 프로세스 번호(pid)가 저장 되어 있는 파일은?

  1. /var/log/xinetd.pid
  2. /var/run/xinetd.pid
  3. /var/xinetd/pid
  4. /var/log/xinetd/pid
(정답률: 25%)
  • xinetd는 서비스를 관리하는 데몬으로, 실행 중인 프로세스 번호(pid)를 저장하기 위해 "/var/run/xinetd.pid" 파일을 사용합니다. 이 파일은 xinetd가 시작될 때 생성되며, xinetd가 종료될 때 삭제됩니다. 따라서 이 파일을 통해 xinetd의 실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var/log/xinetd.pid"와 "/var/log/xinetd/pid"는 로그 파일을 저장하는 경로이며, "/var/xinetd/pid"는 존재하지 않는 경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syslogd와 관련있는 파일이 아닌 것은?

  1. /sbin/syslogd
  2. /etc/syslog.conf
  3. /etc/rc.d/init.d/syslog
  4. /var/syslogd/messages
(정답률: 54%)
  • 정답은 "/var/syslogd/messages"입니다. 이 파일은 syslogd가 로그를 저장하는 디렉토리와 파일 이름입니다. 다른 파일들은 syslogd와 관련된 설정 파일이나 실행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PAM의 구성 파일에서 사용하는 토큰 중에서 모듈을 이용하는 인증이 실패한 경우 인증을 거부하기 위해 사용하는 토큰은?

  1. requisite
  2. required
  3. sufficient
  4. control
(정답률: 33%)
  • "requisite" 토큰은 필수적으로 모듈 인증이 성공해야만 인증을 허용하는 토큰이다. 따라서 모듈 인증이 실패하면 즉시 인증을 거부하게 된다. "required" 토큰은 필수적으로 모듈 인증을 시도하지만 실패해도 다른 모듈을 시도할 수 있다. "sufficient" 토큰은 하나 이상의 모듈 인증이 성공하면 인증을 허용한다. "control" 토큰은 PAM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파일의 무결성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은?

  1. file
  2. tripwire
  3. sudo
  4. ar
(정답률: 66%)
  • tripwire는 파일의 무결성을 검사하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으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변경사항을 감지하고 알림을 보내거나 복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파일의 변조나 침해를 감지하고 예방하는 보안에 유용한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중 COPS의 실행 파일이 아닌 것은?

  1. root.chk
  2. home.chk
  3. password.chk
  4. dev.chk
(정답률: 28%)
  • "password.chk"는 COPS의 실행 파일이 아니라 비밀번호 파일일 뿐입니다. COPS는 보안 검사 도구로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며, "root.chk", "home.chk", "dev.chk"와 같은 파일은 COPS가 검사하는 대상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백업 정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료의 중요도에 따라 다른 백업 전략을 취한다.
  2. 백업을 한 후에 백업 테이프에 쓰기 방지를 해둔다.
  3. 중요한 백업 자료에는 암호화를 해둔다.
  4. 백업 테이프는 빠른 복구를 위해 컴퓨터가 있는 장소에 보관한다.
(정답률: 73%)
  • 백업 테이프는 빠른 복구를 위해 컴퓨터가 있는 장소에 보관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백업 테이프는 컴퓨터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안전한 장소에 보관하는 것이 안전하다. 이는 재해나 사고 등으로 인해 컴퓨터와 함께 손실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백업 계획을 세우기 위해 반드시 고려해야할 요소가 아닌 것은?

  1. 시스템의 전체 용량
  2. 백업하기 위해 필요한 예산
  3. 사용할 백업 명령어
  4. 백업 기기의 종류
(정답률: 34%)
  • 백업 계획을 세우기 위해 고려해야할 요소 중에서 "사용할 백업 명령어"는 제외되어야 합니다. 이는 백업 계획을 세우는 단계에서는 백업 명령어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백업 명령어를 사용하여 실제 백업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백업 계획을 세울 때는 시스템의 전체 용량, 백업하기 위해 필요한 예산, 백업 기기의 종류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cpio의 옵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u : 동일한 파일 이름이 있는 경우 파일 복사를 취소한다.
  2. -o : 디스크로부터 보관(archive) 파일로 파일을 복사한다.
  3. -d : 디렉토리를 지정한다. -o와 같이 사용할 수 없다.
  4. -i : 보관 파일에서 파일을 디스크로 추출한다.
(정답률: 38%)
  • "-u : 동일한 파일 이름이 있는 경우 파일 복사를 취소한다." 이 옵션은 오히려 동일한 파일 이름이 있을 경우 덮어쓰기를 하지 않고 복사를 취소하는 옵션이다. 따라서 이 옵션은 틀린 설명이다.

    "-u : 동일한 파일 이름이 있는 경우 파일 복사를 취소한다." 옵션은 이미 존재하는 파일을 덮어쓰지 않고 복사를 취소하는 옵션이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보관 파일에서 추출하려는 파일이 이미 디스크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파일을 덮어쓰지 않고 추출을 취소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

61. 다음 설명 내용 중 틀린 것은?

  1. 최초의 브라우저는 넥스트(Next) 플랫폼에서 발표되었다.
  2. HTML의 표준은 W3C 컨소시엄에서 주관하고 있다.
  3. 최초의 상업용 브라우저는 Netscape 이다.
  4. HTML의 초기 버전은 동적인 미디어 및 대용량의 자료를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정답률: 66%)
  • 틀린 것은 없다. HTML의 초기 버전은 동적인 미디어 및 대용량의 자료를 표현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는 이유는 초기 인터넷에서는 텍스트 기반의 정보만 주로 사용되다가 그 이후에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다양한 미디어가 등장하면서 이를 표현하기 위한 방법으로 HTML이 사용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이 설명하는 것은 무엇인가?

  1. 자바 서블릿
  2. CGI
  3. DHTML
  4. XML
(정답률: 59%)
  • 보기에서 CGI는 Common Gateway Interface의 약자로, 웹 서버와 외부 프로그램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다른 보기들은 CGI와는 다른 웹 개발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웹 호스팅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아파치 웹 서버의 주소 기반 가상호스팅 (IP-based Virtual Host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http.conf 파일 안에서 NamevirtualHost 항목을 주석 처리한다.
  2. IP 주소 한 개로 여러 도메인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각각의 도메인들에 개별적으로 ServerName, DocumentRoot, CustomLog 등을 설정할 수 있다.
  3. 사설 IP를 사용하고 있는 인트라넷 환경에서 적합한 방법이다.
  4. 사용하는 랜카드에 ifconfig와 route를 이용하여 가상의 IP를 추가 설정해야 한다.
(정답률: 11%)
  • "http.conf 파일 안에서 NamevirtualHost 항목을 주석 처리한다."가 틀린 것이 아닌 이유는, 주소 기반 가상호스팅에서는 NamevirtualHost 항목을 주석 처리하지 않고 설정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IP 주소 한 개로 여러 도메인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각각의 도메인들에 개별적으로 ServerName, DocumentRoot, CustomLog 등을 설정할 수 있는 이유는, 아파치 웹 서버가 HTTP 요청 헤더의 Host 필드를 기반으로 요청된 도메인을 판별하고, 해당 도메인에 맞는 설정을 적용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하나의 IP 주소로 여러 도메인을 호스팅할 수 있습니다.

    사설 IP를 사용하고 있는 인트라넷 환경에서 적합한 방법이라는 것은, 공인 IP 주소를 할당받지 못한 내부망에서도 가상호스팅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사용하는 랜카드에 ifconfig와 route를 이용하여 가상의 IP를 추가 설정해야 한다는 것은, IP 주소 기반 가상호스팅에서는 하나의 랜카드에 여러 개의 IP 주소를 할당하여 사용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가상호스팅을 구현하기 위해 랜카드에 가상의 IP 주소를 추가 설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아파치 설치 디렉토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bin : 아파치의 구동에 필요한 시스템 파일 및 라이브러리가 들어 있다.
  2. /conf : 아파치 서버의 여러 가지 설정 파일들이 들어 있다.
  3. /icons : 아파치 서버에서 사용되는 아이콘들이 들어 있다.
  4. /cgi-bin : 아파치 서버에서 구동 되는 CGI 스크립트 또는 바이너리가 들어 있다.
(정답률: 53%)
  • "/bin : 아파치의 구동에 필요한 시스템 파일 및 라이브러리가 들어 있다." 이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다.

    "/bin" 디렉토리는 아파치 서버의 실행 파일들이 들어있는 디렉토리이다. 이 디렉토리에는 아파치 서버를 실행하는 데 필요한 실행 파일과 라이브러리 파일들이 들어있다. 따라서 "/bin" 디렉토리는 아파치 서버의 구동에 필수적인 디렉토리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아파치 설정 파일에서 웹문서의 기본 경로를 설정해주는 지시자로 알맞은 것은?

  1. ServerRoot "/usr/local/apache/htdocs"
  2. DocumentRoot "/usr/local/apache/htdocs"
  3. HttpdRoot "/usr/local/apache/htdocs"
  4. HttpdDocs "/usr/local/apache/htdocs"
(정답률: 57%)
  • 정답: DocumentRoot "/usr/local/apache/htdocs"

    설명: DocumentRoot 지시자는 웹문서의 기본 경로를 설정해주는 지시자입니다. 이 지시자를 사용하여 웹서버가 웹페이지를 찾을 때 검색할 디렉토리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위의 보기에서 DocumentRoot 지시자의 값이 "/usr/local/apache/htdocs"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웹서버는 이 디렉토리에서 웹페이지를 찾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SSL(Secure Sockets Laye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SLCertificateKeyFile은 보안 가상 호스트 설정시 비밀 키 이름과 그 위치를 아파치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2. SSL은 TCP와 응용계층 사이에 존재하는 표현계층 서비스로 플랫폼과 어플리케이션에 독립적이다.
  3. SSL은 기본적으로 443번 포트를 사용한다.
  4. SSL은 클라이언트가 최초 서버 접속 시 서버의 대칭키를 받아서 인증한 후 최종적으로 메시지는 RPC를 통해 공개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후 주고 받는다.
(정답률: 32%)
  • 정답은 "SSL은 클라이언트가 최초 서버 접속 시 서버의 대칭키를 받아서 인증한 후 최종적으로 메시지는 RPC를 통해 공개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한 후 주고 받는다." 이다. SSL은 메시지를 공개키로 암호화하는 것이 아니라 대칭키로 암호화하고, 대칭키는 공개키로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RPC는 SSL과는 관련이 없는 다른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중 PostgreSQL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고수준의 확장 가능한 관계형 DBMS가 가지고 있는 거의 모든 기능을 지원한다.
  2. 사용자 정의 오퍼레이터와 타입, 함수, 엑세스 메서드를 지원한다.
  3. 상속, 객체와 같은 객체 지향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을 구현하고 있다.
  4. Postgres에서 파생되어 MIT에서 개발 되었다.
(정답률: 34%)
  • Postgres에서 파생되어 MIT에서 개발 되었다는 것은 PostgreSQL의 특징이 아닙니다. 이는 PostgreSQL의 역사적 배경에 대한 설명입니다. Postgres는 1980년대에 개발된 초기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중 하나이며, PostgreSQL은 이를 기반으로 발전된 고수준의 확장 가능한 관계형 DBMS입니다. PostgreSQL은 사용자 정의 오퍼레이터와 타입, 함수, 엑세스 메서드를 지원하며, 상속, 객체와 같은 객체 지향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을 구현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은 MySQL의 소스컴파일 설치 과정 중 한 부분이다. 이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prefix=/usr/local/mysql는 MySQL이 설치될 홈 디렉토리를 지정하는 옵션이다.
  2. --localstatedir=/usr/local/mysql/data는 MySQL의 데이터들을 /usr/local/mysql/data에 저장 시키기 위한 옵션이다.
  3. --with-charset=euc_kr는 MySQL에서 한글사용을 가능하게 해주는 옵션이다.
  4. 이 작업의 결과 /usr/local/mysql/data에 mysql과 test 두 개의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된다.
(정답률: 62%)
  • "--with-charset=euc_kr는 MySQL에서 한글사용을 가능하게 해주는 옵션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with-charset=euc_kr" 옵션은 MySQL에서 사용할 문자셋을 지정하는 옵션이며, 한글 사용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은 아니다. 한글 사용을 위해서는 적절한 문자셋을 지정해야 한다. 이 작업의 결과 /usr/local/mysql/data에 mysql과 test 두 개의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되는 이유는 MySQL 설치 시 기본적으로 mysql과 test 두 개의 데이터베이스가 생성되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클라이언트가 삼바서버에 접속할 때 부여하는 인증 레벨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share : 사용자 계정 인증정보 처리를 윈도우 NT 도메인에서 처리하는 방식이다.
  2. user : 기본 보안정책으로 사용자 패스워드를 통해 삼바 서버에 접근하는 모델이다.
  3. server : 사용자가 요청한 자원을 연결해 주기전에 서버에 로그온하기 위한 사용자 패스워드 인증을 거치지 않는다.
  4. domain : 기본적으로 user 모드와 동일하나 사용자 계정의 인증 처리를 다른 서버를 통해 처리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32%)
  • 클라이언트가 삼바서버에 접속할 때 부여하는 인증 레벨은 "user"이다. 이는 기본 보안정책으로 사용자 패스워드를 통해 삼바 서버에 접근하는 모델이다. 즉, 사용자가 삼바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사용자 계정과 패스워드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인증이 이루어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삼바 서버의 보안 모델은 크게 4가지가 있다. 아래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사용자 레벨의 경우 UNIX쪽과 PC쪽의 계정 이름과 동일한 사용자가 대다수일 때 그 위력을 발휘한다.
  2. 사용자 레벨에서 암호화된 암호파일을 사용하여 인증하도록 하려면 Security Options의 encrypt passwords를 yes로 설정하는 동시에 Security Options의 smbpasswd 파일을 설정해야 한다.
  3. 공유 레벨은 프린트, CD-ROM, anonymous ftp등의 공유 디렉토리를 불특정 사용자들이 공유할 경우 유용하다.
  4. 사용자 레벨보다 공유 레벨이 관리가 어렵고 성능은 우수하다.
(정답률: 63%)
  • "사용자 레벨보다 공유 레벨이 관리가 어렵고 성능은 우수하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이유는 공유 레벨은 모든 사용자가 공유 디렉토리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가지므로 관리가 어렵고 보안에 취약하다. 또한, 공유 레벨에서는 모든 파일 및 디렉토리에 대한 액세스 권한이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사용자 레벨보다는 세밀한 권한 관리가 어렵다.

    반면에, 사용자 레벨은 각 사용자에 대한 권한을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보안성이 높다. 또한, 사용자 레벨에서는 각 사용자의 암호화된 암호파일을 사용하여 인증할 수 있으므로 보안성이 더욱 강화된다.

    따라서, "사용자 레벨보다 공유 레벨이 관리가 어렵고 성능은 우수하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 아니며, 오히려 사용자 레벨이 보안성이 높고 세밀한 권한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삼바(samba)서버의 설정 파일에서 주석으로 사용 할 수 있는 것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 ...
  2. * ...
  3. : ...
  4. /% ... %/
(정답률: 69%)
  • 정답은 "# ..."이다.

    이유는 "#"은 주석 처리를 할 때 사용하는 기호이기 때문이다. 즉, "#"으로 시작하는 줄은 설정 파일에서 실행되지 않고, 주석으로 처리된다. 주석은 설정 파일에 대한 설명이나 메모를 남기는 용도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etc/exports 파일의 옵션 설명 중 틀린 것은?

  1. no_root_squash : 클라이언트에서 루트를 서버상의 nobody 사용자로 매핑
  2. ro : 공유된 자원을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
  3. insecure : 인증되지 않은 액세스도 가능하게 함
  4. link_relative : 절대 심볼릭 링크를 상대 심볼릭 링크로 변경시 사용
(정답률: 59%)
  • "no_root_squash : 클라이언트에서 루트를 서버상의 nobody 사용자로 매핑"은 옵션 설명 중 틀린 것이 아닙니다.

    이 옵션은 NFS 서버에서 루트 권한을 가진 클라이언트가 NFS 공유 디렉토리에 접근할 때, 루트 권한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설정하는 옵션입니다. 기본적으로 NFS 서버는 루트 권한을 가진 클라이언트의 접근을 제한하기 위해, 루트 권한을 가진 클라이언트의 접근을 nobody 사용자로 매핑합니다. 하지만 이 옵션을 사용하면, 루트 권한을 가진 클라이언트도 NFS 공유 디렉토리에 쓰기 권한을 가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NFS 유틸리티에 대한 설명 중 알맞은 것은?

  1. nfsstat : NFS를 벤치마크하기 위한 프로그램인데, 시간당 부하의 수, 전송률, 실패율등 NFS에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2. showmount : mount 데몬에 NFS 서버에 대하여 질의를 하여 사용중인 상태를 표시한다.
  3. nfsmount : NFS 서버의 마운트 정보를 보여주는 유필리티이다.
  4. nhfsstone : NFS 서버와 클라이언트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유틸리티이다.
(정답률: 14%)
  • 정답은 "showmount : mount 데몬에 NFS 서버에 대하여 질의를 하여 사용중인 상태를 표시한다."입니다. 이 유틸리티는 NFS 서버에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을 보여주는데, 이를 통해 NFS 서버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클라이언트가 NFS 서버에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을 사용 중인지, 어떤 파일 시스템이 마운트되어 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Proftpd의 설정파일에서 Limit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FTP명령어들을 제한을 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Limit를 통해 제한하는 명령어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CWD : 디렉토리를 변경하는 경우
  2. RETR :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
  3. RNTO :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
  4. RNFR : 디렉토리의 이름을 바꾸는 경우
(정답률: 44%)
  • 정답: RNTO :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가 아니다.

    RNTO는 Rename To의 약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이름을 변경할 때 사용된다.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파일을 전송하는 경우는 STOR (Store) 명령어를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은 ProFTPD 서버의 설정파일 proftpd.conf의 일부이다. 다음 익명 사용자에 대한 설정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익명 사용자 anonymous로 접속을 하면 ftp라는 사용자 ID의 권한으로 접속이 되는 것이다.
  2. 익명 사용자 anonymous는 ftp라는 그룹 권한을 갖는다.
  3. 홈디렉토리 하위의 pub디렉토리에 업로드가 가능하다.
  4. 홈디렉토리 하위의 pub디렉토리에 접근이 가능하다.
(정답률: 60%)
  • 정답은 "익명 사용자 anonymous는 ftp라는 그룹 권한을 갖는다."이다.

    익명 사용자 anonymous로 접속을 하면 ftp라는 사용자 ID의 권한으로 접속이 되는 것이고, 이 사용자는 홈디렉토리 하위의 pub 디렉토리에 업로드가 가능하며 접근도 가능하다. 이는 proftpd.conf 파일에서 "DefaultRoot ~ ftp"와 "Umask 022" 설정으로 구현되었다. Umask 022는 새로운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생성할 때 기본 권한을 755로 설정하며, DefaultRoot ~ ftp는 익명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디렉토리를 pub로 지정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sendmail의 환경 설정 파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sendmail.cf : sendmail의 환경 설정 중 가장 중요한 파일로, sendmail은 메일을 보내고 받을 때 마다 sendmail.cf 파일을 해석하여 실행을 한다.
  2. local-host-names : sendmail 8.9.x 버전에서는 sendmail.hn 으로 이름이 명명 되었다.
  3. aliases 및 aliases.db : 메일링 리스트를 운영 할 때 또는 특정 ID로 들어오는 메일을 여러사람들에게 전달할 때 사용된다.
  4. access 및 access.db : 각종 접근 설정이 저장되는 파일이다.
(정답률: 50%)
  • 정답은 "local-host-names : sendmail 8.9.x 버전에서는 sendmail.hn 으로 이름이 명명 되었다." 이다. 실제로 sendmail 8.9.x 버전에서는 local-host-names 파일이 사용되었으며, sendmail.hn 파일은 존재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설명이 올바르지 않은 것은?

  1. MUA : 사용자들이 메일을 보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
  2. MTA : 한 호스트로부터 메일을 받아 다른 호스트로 메일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3. MDA : 수신된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의 메일 박스에 저장해 주는 역할을 한다.
  4. MCA : 다른 호스트로 메일을 중계하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52%)
  • MCA는 다른 호스트로 메일을 중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메일의 내용을 검사하고 스팸 메일 등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중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의 특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TCP/IP의 상위층 응용 프로토콜의 하나이다.
  2. 인터넷에서 전자 우편 기능을 사용하는 프로토콜로 사용된다.
  3. RFC 822에 규정되어 있다.
  4. 최근에는 그림과 소리를 메일 메시지에 포함 시킬 수 있다.
(정답률: 43%)
  • SMTP는 최근에는 그림과 소리를 메일 메시지에 포함 시킬 수 있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RFC 822는 이메일 메시지의 형식을 규정하는 표준 문서입니다. 따라서 SMTP는 RFC 822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sendmail은 기본적으로 스팸메일 방지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sendmail.cf 파일에 하나의 옵션만 넣어주면 된다. 이 옵션을 사용하게 되면 EXPN과 VRFY 명령어를 제한 하게 되고, 이 결과 VERB 명령도 제한되게 된다. 위에 설명한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spamOptions=authwarnings, goaway
  2. relayOptions=authwarnings, goaway
  3. privacyOptions=authwarnings, goaway
  4. securityOptions=authwarnings, goaway
(정답률: 41%)
  • 정답: privacyOptions=authwarnings, goaway

    해당 옵션은 "privacyOptions"이라는 옵션으로, "authwarnings"와 "goaway"라는 두 가지 값을 가진다. "authwarnings"는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가 메일을 보낼 때 경고 메시지를 보내는 기능이며, "goaway"는 EXPN, VRFY, VERB 명령어를 제한하는 기능이다. 따라서 이 옵션을 사용하면 스팸메일 방지 기능이 활성화되어 EXPN, VRFY 명령어를 사용한 스팸메일 전송을 막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sendmail은 스패머들로부터 메일서버를 보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접근제어를 /etc/mail/access 파일을 통해서 하고 있다. 다음 메일의 Relay에 대한 설정 및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OK - 지정된 호스트나 사용자에게는 무조건 메일 수신
  2. REJECT - 지정된 도메인의 모든 메일을 송수신 거부
  3. DISCARD - 지정된 도메인에게서 메일을 받아 모두 폐기
  4. 550 - 지정된 메일 주소와 일치하는 메일 수신 거부
(정답률: 50%)
  • 보기 중 "550 - 지정된 메일 주소와 일치하는 메일 수신 거부"가 틀린 것이 아니다. 이 설정은 access 파일에서 사용자나 도메인에 대한 거부 규칙을 설정하는 것으로, 지정된 메일 주소와 일치하는 메일을 수신 거부하는 것이다. 이는 스패머들이 특정 사용자나 도메인으로 스팸 메일을 보내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슈퍼 데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인터넷 서비스에서 여러 개의 데몬을 함께 관리 한다.
  2. 슈퍼 데몬은 클라이언트의 요구로부터 각각의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해 Process ID를 이용한다.
  3. /etc/xinetd.conf에 포함된 여러 개의 데몬은 독자적으로 실행되지 않고 슈퍼 데몬에 의해서 실행된다.
  4. 슈퍼 데몬은 /etc/xinetd.conf 설정 파일을 읽고 /etc/services 파일에 설정된 포트 번호에 대해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을 때 각 데몬을 실행 한다.
(정답률: 27%)
  • "슈퍼 데몬은 클라이언트의 요구로부터 각각의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해 Process ID를 이용한다."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슈퍼 데몬은 각각의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해 포트 번호를 이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xinetd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아닌 것은?

  1. 타임 세그먼트에 기초한 접근 제어
  2. 동시에 작동하는 동일 유형 서버 수에 대한 제어
  3. 로그 파일에 대한 크기 제한
  4. Squid와 같은 Proxy를 이용한 접근 제어
(정답률: 52%)
  • xinetd는 서비스 관리 데몬으로, Squid와 같은 Proxy를 이용한 접근 제어는 xinetd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아닙니다. xinetd는 네트워크 서비스의 접근 제어, 로깅, 제한 등을 관리하는 데몬으로, Squid와 같은 Proxy는 웹 캐시 서버로서 다른 기능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DNS 설정에 이용되는 레코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SOA - zone의 전체 설정, 반드시 마지막 레코드로 지정되어야 함
  2. A - 호스트 이름에 대응하는 IP 주소
  3. PTR - IP 주소에 대응하는 호스트 이름
  4. MX - 메일 서버
(정답률: 46%)
  • SOA 레코드가 반드시 마지막 레코드로 지정되어야 하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SOA 레코드는 DNS 존의 시작 부분에 위치하거나, 존 파일의 어느 곳에나 위치할 수 있습니다. SOA 레코드는 DNS 존의 전체 설정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존 파일에서 단 하나만 존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중 DNS 서버의 종류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주 네임 서버
  2. 캐싱 서버
  3. 보조 네임 서버
  4. 보안 서버
(정답률: 62%)
  • DNS 서버의 종류 중 "보안 서버"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DNS 서버의 주요 종류는 주 네임 서버, 캐싱 서버, 보조 네임 서버입니다. 주 네임 서버는 도메인의 기본적인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하며, 캐싱 서버는 DNS 쿼리 결과를 캐시하여 빠른 응답을 제공합니다. 보조 네임 서버는 주 네임 서버의 역할을 보조하여 도메인의 안정성을 높입니다. 보안 서버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보안 기능을 강화한 DNS 서버를 의미하는 것으로, DNSSEC와 같은 보안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DNS 서버를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DNS 서버로 활용하기 위해서 BIND를 설치 하였더니, 여러 가지 파일들이 생성 되었다. 이 때 생성된 각 파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var/named : 네임서버의 zone 파일이 존재한다. 이러한 디렉토리에 대한 위치는 named.conf 파일에서 변경할 수 있다.
  2. /var/named/localhost.zone : 루프백 ip에 관한 ip 주소를 가지며, 도메인으로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3. /etc/named.conf : named가 실행될 때 네임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기본 정보를 포함하는 파일로서 설정 파일의 디렉토리, 파일 위치 등을 지정한다.
  4. /var/named/named.rev : 사용하는 도메인에 대한 역 변환 데이터베이스 이다.
(정답률: 31%)
  • "/var/named/localhost.zone : 루프백 ip에 관한 ip 주소를 가지며, 도메인으로의 변경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var/named/localhost.zone 파일은 루프백 주소인 127.0.0.1에 대한 DNS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파일은 로컬 시스템에서 DNS 조회를 수행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도메인으로의 변경에 대한 정보는 포함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proxy 서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 이용시 느린 속도를 보완해 주기 위한 방법이다.
  2. 사용자가 이전에 방문하지 않은 사이트 방문시 자신의 IP를 이용해 외부 인터넷 접속을 대행한다.
  3. proxy 서버가 설치되면 클라이언트 PC에서는 별도의 설정이 필요없다.
  4. 이미 방문한 웹 사이트는 캐시에 미리 저장한 후 재접속 시 캐시 서버에 저장된 내용을 보여준다.
(정답률: 62%)
  • "proxy 서버가 설치되면 클라이언트 PC에서는 별도의 설정이 필요없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클라이언트 PC에서는 proxy 서버의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설정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 PC는 proxy 서버를 경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에서 설명하는 내용 중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DNS 서버
  2. proxy 서버
  3. CVS 서버
  4. DHCP 서버
(정답률: 52%)
  • 이미지에서 보이는 컴퓨터들은 인터넷에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고, 중간에 ( )를 거쳐 인터넷에 접속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proxy 서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프록시 서버 squid의 설정 파일(squid.conf) 설정에서 캐시에 사용될 메모리의 최대 크기를 100M 설정하려고 한다. 설정을 하기 위해 필요한 지시자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memory_size 100 MB
  2. cache_memory 100 MB
  3. cache_mem 100 MB
  4. max_mem_size 100 MB
(정답률: 47%)
  • 정답: "cache_mem 100 MB"

    설명: cache_mem은 squid.conf 파일에서 캐시에 사용될 메모리의 최대 크기를 설정하는 지시자이다. 이 지시자를 사용하여 캐시에 할당할 메모리의 크기를 지정할 수 있다. "memory_size"나 "max_mem_size"와 같은 지시자는 squid.conf 파일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cache_memory"는 유효한 지시자이지만, 올바른 구문은 "cache_mem"이다. 따라서, 정답은 "cache_mem 100 M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NIS의 여러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중요하며 항상 실행 중에 있어야 하는 프로그램은 어느 것인가?

  1. ypswitch
  2. yppoll
  3. ypmatch
  4. ypbind
(정답률: 67%)
  • 정답은 "ypbind"입니다. 이는 NIS 클라이언트가 NIS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으로, NIS 도메인에 가입하고 NIS 맵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ypbind가 실행 중이 아니면 NIS 클라이언트는 NIS 서버와 통신할 수 없으며, NIS 맵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른 프로그램들은 ypbind 없이도 실행될 수 있지만, ypbind 없이는 NIS 클라이언트가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NIS 동작 구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NIS 클라이언트들은 항상 서버로부터 서버의 DBM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들을 읽는다.
  2. 슬레이브 서버는 단지 NIS 데이터베이스의 복사본을 가지고 있다.
  3. NIS 데이터베이스들은 ASCII 데이터베이스로 부터 상속된 DBM 포맷 안에 있다.
  4. 기계는 하나의 NIS 도메인을 지정하여 하나의 NIS 서버만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50%)
  • "기계는 하나의 NIS 도메인을 지정하여 하나의 NIS 서버만 사용할 수 있다."가 틀린 설명이다. 하나의 기계는 여러 개의 NIS 도메인을 지정하여 여러 개의 NIS 서버를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ARP는 연결이 들어온 IP를 기억해 MAC 주소로 변환한 다음 기억하고 있는 것을 말한다. 다음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arp 명령어의 옵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a : 캐시에 있는 특정된 또는 모든 호스트를 나열
  2. -d : 지정된 장치의 arp를 보여 줌
  3. -v : 동적인 모드로 보여줌
  4. -n : 32bit로 된 IP, 즉 풀이(resolving)를 하지 않고 IP로 보여줌
(정답률: 30%)
  • "-d : 지정된 장치의 arp를 보여 줌"은 틀린 설명입니다. arp 명령어의 -d 옵션은 캐시에서 지정된 호스트의 ARP 항목을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지정된 장치의 ARP를 보여주는 기능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DHCP 서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각각의 클라이언트의 모든 서비스 설정을 원격으로 가능케 한다.
  2. 각 호스트의 중요한 네트워크 설정 사항을 서버에서의 설정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설정해 준다.
  3.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이다.
  4. Bootp와 호환을 유지한다.
(정답률: 36%)
  • 정답은 "각각의 클라이언트의 모든 서비스 설정을 원격으로 가능케 한다." 이다. DHCP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DNS 서버 등의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제공해주지만, 클라이언트의 모든 서비스 설정을 원격으로 가능케 하는 것은 아니다.

    DHCP 서버는 각 호스트의 중요한 네트워크 설정 사항을 서버에서의 설정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설정해 준다는 것이 맞다. DHCP는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이며, Bootp와 호환을 유지한다는 것도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CVS를 이용한 프로젝트 수행 절차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프로젝트 초기화 -> 저장소 초기화 -> 작업 공간 마련 -> 프로젝트 작업
  2. 프로젝트 초기화 -> 작업 공간 마련 -> 저장소 초기화 -> 프로젝트 작업
  3. 저장소 초기화 -> 프로젝트 초기화 -> 작업 공간 마련 -> 프로젝트 작업
  4. 작업 공간 마련 -> 프로젝트 초기화 -> 저장소 초기화 -> 프로젝트 작업
(정답률: 39%)
  • CVS를 이용한 프로젝트 수행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저장소 초기화: CVS 서버를 구축하고 저장소를 초기화합니다.
    2. 프로젝트 초기화: 저장소에 프로젝트를 등록하고 초기화합니다.
    3. 작업 공간 마련: 개발자들이 작업할 수 있는 로컬 작업 공간을 마련합니다.
    4. 프로젝트 작업: 개발자들이 작업 공간에서 코드를 작성하고 CVS 서버에 업로드합니다.

    따라서, "저장소 초기화 -> 프로젝트 초기화 -> 작업 공간 마련 -> 프로젝트 작업"이 정답입니다. 저장소와 프로젝트를 먼저 초기화하고 작업 공간을 마련한 후에 개발자들이 프로젝트 작업을 시작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CV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프로젝트 추가 : cvs import -m "log" project_name vendor_tag release_tag
  2. 프로젝트 갱신 : cvs checkout project_name
  3. 변경내용의 저장 : cvs commit -m "log"
  4. 폴더 추가 : cvs addfolder folder_name
(정답률: 30%)
  • 정답은 "폴더 추가 : cvs addfolder folder_name" 이다. CVS에는 addfolder 명령어가 없으며, 폴더를 추가하려면 "cvs add"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cvs add" 명령어를 사용하면 파일 또는 폴더를 추가할 수 있다. 따라서 정답은 "폴더 추가 : cvs add folder_name" 이어야 한다.

    폴더를 추가하려면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된다.
    ```
    cvs add folder_name
    ```
    이후에는 "cvs commit" 명령어를 사용하여 변경 내용을 저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CVS 사용법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 cvs ci -m "revision set to 2.0" -r2.0 ohmysrc.c : ohmysrc.c의 리비전을 2.0으로 강제 지정
  2. $ cvs get -D "3 month ago" myproj : myproject의 3개월 전 소스를 가져 온다.
  3. $ cvs release -d proj : project source를 릴리즈 한다.
  4. $ cvs annotate a.c : a.c 저작자를 확인한다.
(정답률: 25%)
  • "$ cvs release -d proj : project source를 릴리즈 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사용법이다.

    해당 명령어는 CVS에서 프로젝트를 릴리즈하고 해당 프로젝트를 다른 사용자들이 수정할 수 없도록 잠금을 해제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다른 사용자들이 해당 프로젝트를 수정하지 못하도록 보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DoS 공격의 유형이 아닌 것은?

  1. 디스크 채우기
  2. 메모리 고갈
  3. 프로세스의 만들기
  4. 네트워크 트래픽의 차단
(정답률: 50%)
  • DoS 공격은 서비스 거부 공격으로, 서버나 네트워크에 대한 공격으로 인해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만드는 공격이다. 디스크 채우기, 메모리 고갈, 프로세스의 만들기는 모두 서버 자원을 고갈시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만드는 공격이다. 하지만 네트워크 트래픽의 차단은 서버 자원을 고갈시키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 자체를 차단시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만드는 것이므로 DoS 공격의 유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트로이의 목마
  2. 버퍼 오버플로우
  3. 웜 바이러스 백도어
  4. 루트 킷
(정답률: 71%)
  • 이미 할당된 버퍼의 크기를 초과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면, 초과된 데이터는 다른 메모리 영역을 덮어쓰게 되는데, 이를 이용한 공격 기법을 버퍼 오버플로우라고 한다. 이 공격 기법은 해커가 악성 코드를 실행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보안 취약점을 이용하여 시스템에 침투하는 데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리눅스에서는 기본적으로 방화벽의 역할을 할 수 있는 iptables가 있다. 100.100.10.12 에서 입력(INPUT)되는 패킷을 모두 무시하기 위한 명령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iptables -A INPUT -s 100.100.10.12 -j DROP
  2. iptables -D INPUT -I 100.100.10.12 -t DROP
  3. iptables -D INPUT -s 100.100.10.12 -m DROP
  4. iptables -R INPUT -i 100.100.10.12 -j DROP
(정답률: 66%)
  • 정답은 "iptables -A INPUT -s 100.100.10.12 -j DROP" 이다.

    이 명령은 INPUT 체인에 대해 새로운 규칙을 추가하는 것이며, 소스 IP 주소가 100.100.10.12인 모든 패킷을 DROP(버림)하도록 설정한다. 따라서 100.100.10.12에서 입력되는 모든 패킷이 무시되게 된다.

    다른 보기들은 올바른 명령어가 아니다.

    - "iptables -D INPUT -I 100.100.10.12 -t DROP" : INPUT 체인에서 100.100.10.12를 찾아 삭제하는 명령어이지만, -t 옵션은 잘못 사용된 것이다.
    - "iptables -D INPUT -s 100.100.10.12 -m DROP" : -m 옵션은 패킷을 처리할 때 사용할 모듈을 지정하는 것인데, DROP은 모듈이 아니므로 잘못 사용된 것이다.
    - "iptables -R INPUT -i 100.100.10.12 -j DROP" : -i 옵션은 인터페이스를 지정하는 것인데, 100.100.10.12는 인터페이스가 아니므로 잘못 사용된 것이다. 또한, -R 옵션은 규칙을 대체하는 것이므로 이미 존재하는 규칙을 변경할 때 사용한다. 새로운 규칙을 추가할 때는 -A 옵션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은 무엇인가?

  1. VPN
  2. IDS
  3. NAT
  4. NMS
(정답률: 72%)
  • 이 그림은 IDS (Intrusion Detection System)을 나타낸 것입니다. IDS는 네트워크 상에서 침입을 감지하고 이를 알려주는 시스템입니다. 이 그림에서는 네트워크 상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IDS가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침입이 감지되면 해당 정보를 보안 담당자에게 전달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트로이 목마와 백도어에 대한 대응책으로 가장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CD-ROM으로 깨끗한 부팅을 수행한다.
  2. 주기적으로 파일에 대한 무결성 점검을 한다.
  3. 슈퍼 유저의 권한을 일반 사용자에게 까지 확대한다.
  4. 침입 탐지시스템을 구축한다.
(정답률: 78%)
  • 슈퍼 유저의 권한을 일반 사용자에게 까지 확대하는 것은 보안을 약화시키는 것이므로 가장 적절하지 못한 대응책이다. 이는 일반 사용자가 불필요한 권한을 가지게 되어 공격자가 악용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