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8-01-20)

리눅스마스터 1급
(2008-01-2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리눅스 실무의 이해

1. 리눅스 운영체제의 주요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용자들이 하드웨어 자원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2. 시스템 자원을 스케줄링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3. 오류의 발생을 막고 복구를 지원한다.
  4. 컴퓨터의 소프트웨어에 한해서 제어한다.
(정답률: 68%)
  • 리눅스 운영체제는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 자원을 관리하고,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오류의 발생을 막고 복구를 지원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컴퓨터의 소프트웨어에 한해서 제어한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리눅스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두를 제어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최근 운영체제의 특징들을 나열한 것 중 틀린 것은?

  1. 다중사용자시스템 - 동시에 여러 사용자가 접속하여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2. 다중작업시스템 - 여러 사용자가 여러 가지의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3. CUI(Character user Interface)위주의 인터페이스 -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CUI 환경에서 모든 작업을 한다.
  4. 고성능의 프로세서에 최적화 - 전원 및 자원 관리가 매우 효율적이고 프로세서의 성능이 최대한 발휘될 수 있는 실행 환경을 제공하게 되었다.
(정답률: 63%)
  • "CUI(Character user Interface)위주의 인터페이스 -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CUI 환경에서 모든 작업을 한다."가 틀린 것이다. 현재 대부분의 운영체제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사용하며,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GUI 환경에서 작업을 한다. GUI는 사용자가 그래픽으로 표현된 아이콘, 버튼, 창 등을 클릭하거나 드래그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리눅스 시스템 성능을 나타내는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사용 가능도(Availability) : 한 시스템에서 최대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수를 나타낸다.
  2. 신뢰도(Reliability) : 시스템이 얼마나 정확하게 작동되는지를 나타낸다.
  3. 반환 시간(Turnaround Time) : 작업이 제출되어 결과를 얻을 때까지의 총 소요 시간을 말한다.
  4. 처리 능력(Throughput) : 컴퓨터가 단위 시간당 얼마나 많은 일을 할 수 있는지의 정도를 나타낸다.
(정답률: 48%)
  • "사용 가능도(Availability) : 한 시스템에서 최대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 수를 나타낸다."가 틀린 것이다. 사용 가능도는 시스템이 얼마나 유효한 시간 동안 작동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즉, 시스템이 얼마나 가동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GPL(General Public Licens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GNU 정신에 입각하여 모든 프로그램의 소스를 공개하자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2. GNU 정신에 입각한 소스 공개를 전제로 누구나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으나 다른 사람에게 돈 받고 판매는 불가능하다.
  3. 프로그램을 마음대로 배포, 복사, 수정할 수 있으며, 수정한 프로그램 역시 GPL을 가지도록 하는 라이센스를 말하는 것이다.
  4.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저작권에 대해서 Copyright에 반대한다는 의미로 Copyleft라는 말도 많이 쓰이고 있다.
(정답률: 55%)
  • "GNU 정신에 입각한 소스 공개를 전제로 누구나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으나 다른 사람에게 돈 받고 판매는 불가능하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GPL은 누구나 마음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수정, 배포, 판매도 가능하지만, 그러한 행위들도 모두 GPL을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즉, GPL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거나 수정하여 만든 프로그램도 모두 GPL로 공개해야 한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은 리눅스 배포판의 종류 중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슬랙웨어
  2. 데비안 리눅스
  3. 맨드레이크
  4. 수세리눅스
(정답률: 49%)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수세리눅스의 로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은 RAID의 형태별 분류 중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RAID-0
  2. RAID-1
  3. RAID-7
  4. RAID-3
(정답률: 64%)
  • 위 그림은 RAID-1의 구성 방식을 나타내고 있다. RAID-1은 미러링 방식으로, 동일한 데이터를 2개 이상의 디스크에 저장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으며, 한 디스크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디스크에서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 따라서 위 그림은 RAID-1의 구성 방식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정답은 RAID-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다음 중 리눅스에서 여러 운영체제 중 필요한 운영체제를 골라 사용할 수 있는 부트 매니저가 아닌 것은?

  1. LILO
  2. GRUB
  3. Loadlin
  4. MultiBR
(정답률: 37%)
  • MultiBR은 존재하지 않는 부트 매니저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LILO, GRUB, Loadlin은 모두 리눅스에서 여러 운영체제 중 필요한 운영체제를 골라 사용할 수 있는 부트 매니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리눅스에서 시스템에 관한 각종 환경 설정에 연관된 파일들과 디렉토리들을 가진 디렉토리를 무엇이라 하는가?

  1. /bin
  2. /boot
  3. /etc
  4. /prob
(정답률: 82%)
  • 정답은 "/etc"입니다. 이는 "et cetera"의 약어로, 시스템의 각종 환경 설정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토리입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설정, 사용자 계정, 시스템 보안 등과 관련된 파일들이 이 디렉토리에 저장됩니다. 따라서 시스템 관리자들은 이 디렉토리를 자주 사용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중 리눅스 시스템을 리부팅 하기위한 명령어와 거리가 가장 먼 것은?

  1. halt
  2. init 6
  3. reboot
  4. shutdown -r now
(정답률: 70%)
  • 정답: "init 6"

    설명: "halt", "reboot", "shutdown -r now" 모두 시스템을 종료하고 리부팅하는 명령어이지만, "init 6"은 시스템을 다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런레벨 6으로 이동하는 명령어이다. 런레벨 6은 시스템을 재시작하는 런레벨이므로, "init 6" 명령어는 시스템을 리부팅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다음 중 CPU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주기억장치(Main Memory Unit)
  2. 보조기억장치(Secondary Memory Unit)
  3. 제어장치(Control Unit)
  4. 산술논리연산장치(Arithmetic & Logic Unit)
(정답률: 65%)
  • 보조기억장치는 CPU의 구성요소가 아닙니다. CPU는 주기억장치, 제어장치, 산술논리연산장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보조기억장치는 CPU 외부에 위치하며 데이터를 장기간 보관하고 필요할 때 불러와 사용합니다. 대표적인 보조기억장치로는 하드디스크, SSD, USB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현재 사용 중인 sh 쉘을 tcsh 쉘로 변경하고자 할 때의 명령으로 맞는 것은?

  1. su tcsh
  2. sh
  3. tcsh
  4. ch sh tcsh
(정답률: 50%)
  • "tcsh"가 정답이다.

    "su tcsh"는 다른 사용자로 변경하는 명령어이며, "sh"는 현재 사용 중인 쉘을 나타내는 명령어이다. "ch sh tcsh"는 쉘을 변경하는 명령어가 아니라, 현재 디렉토리를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tcsh" 명령어를 사용하여 현재 사용 중인 쉘을 tcsh 쉘로 변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리눅스의 쉘(shel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쉘은 각 운영체제와 사용자가 대화하는 중간 창구 역할을 한다.
  2. 쉘은 DOS의 command.com 및 윈도우즈의 탐색기와 비슷하다.
  3. 컴퓨터 운영체제의 가장 중요한 핵심으로서, 운영체계의 다른 모든 부분에 여러 가지 기본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4. 표준 유닉스 명령 인터프리터로서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해석하여 또 다른 프로그램을 수행하라는 명령으로 해석한다.
(정답률: 58%)
  • 쉘은 DOS의 command.com 및 윈도우즈의 탐색기와 비슷하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쉘은 각 운영체제와 사용자가 대화하는 중간 창구 역할을 하며, 표준 유닉스 명령 인터프리터로서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해석하여 또 다른 프로그램을 수행하라는 명령으로 해석합니다. 그리고 컴퓨터 운영체제의 가장 중요한 핵심으로서, 운영체계의 다른 모든 부분에 여러 가지 기본적인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 중 X윈도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두 개의 개별 소프트웨어 부분에 의해 제어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이다.
  2. X 프로토콜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통신되는 Request, Reply, Event, Error의 기본 메시지이다.
  3. Xtoolkit의 종류에는 Xaw, XView, Motif, XtIntrinsics 등이 있다.
  4. Xlib는 XFree86의 4.4rc2 버전을 X.org기구에서 가져다가 개발한 것이다.
(정답률: 36%)
  • "Xlib는 XFree86의 4.4rc2 버전을 X.org기구에서 가져다가 개발한 것이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Xlib는 XFree86의 4.4rc2 버전을 X.org기구에서 가져다가 개발한 것이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프로세스(Process)에 관련된 용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프로그램(Program) :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 집합
  2. 스레드(Thread) : 프로세스의 일부 특정 데이터만 가지고 있는 프로세스를 말하며, 프로세스보다 작은 실행 단위
  3. 프로세서(Processor) : 연산을 수행하고 처리하기 위한 자원, 보통 CPU를 말함
  4. 작업(Job) :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의 조합
(정답률: 57%)
  • 틀린 것은 없습니다. 모든 용어에 대한 설명이 맞습니다.

    작업(Job)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의 조합으로, 프로그램과 유사하지만 실행 가능한 형태가 아니라 실행을 위한 준비 상태에 있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을 컴파일하고 링크한 후 실행 파일을 만들면 이를 작업으로 등록하여 실행을 위한 준비를 합니다. 작업은 실행 파일이 아니기 때문에 메모리에 적재되지 않으며, 실행을 위해서는 작업 스케줄링과 같은 추가적인 처리가 필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시스템이 제어 불가능일 때, shutdown 명령어를 이용하여 시스템 종료시 사용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n
  2. -p
  3. -h
  4. -k
(정답률: 23%)
  • "-n" 옵션은 시스템 종료를 예약하고 지정된 시간(초) 후에 강제 종료하는 옵션이다. 따라서 시스템이 제어 불가능한 상태에서도 종료할 수 있어 유용하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OSI 7 Layer 에서 최하위 계층으로,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해 주는 전송매체로 생각할 수 있는 계층으로 알맞은 것은?

  1. 물리 계층(Physical Layer)
  2.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3. 세션 계층(Session Layer)
  4.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정답률: 76%)
  • 물리 계층은 전기적인 신호를 전송하는 계층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적인 매체와 데이터의 전송 속도, 전송 방식 등을 다룹니다. 따라서 OSI 7 Layer에서 최하위 계층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프로토콜이 다른 통신망을 상호 접속하기 위한 장치이며 프로토콜 변환기의 일종으로 볼 수 있는 장비는 무엇인가?

  1. 리피터(repeater)
  2. 스위치(switch)
  3. 라우터(router)
  4. 게이트웨이(gateway)
(정답률: 56%)
  • 게이트웨이는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통신망을 연결하기 위한 장치로, 프로토콜 변환기의 일종입니다. 따라서 다른 보기인 리피터, 스위치, 라우터는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토폴로지의 종류로 알맞은 것은?

  1. 버스 (Bus)
  2. 스타 (Star)
  3. 링 (Ring)
  4. 라인 (Line)
(정답률: 67%)
  • 위 그림은 스타 (Star) 토폴로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스타 토폴로지는 중앙에 허브 (Hub)가 있고, 각각의 장치들이 허브에 직접 연결되는 구조입니다. 이러한 구조는 허브를 통해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허브에 문제가 생기면 전체 네트워크가 마비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각각의 장치들이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장치들의 영향을 받지 않고 통신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작은 규모의 네트워크에서 많이 사용되는 구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TCP/IP 프로토콜중 TCP 헤더의 구성필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Source Port/Destination Port : SP는 보내는 측 포트번호, DP는 목적지 포트 번호이다.
  2. Sequence Number : TCP 세그먼트안에 데이터의 송신바이트 흐름의 위치를 나타낸다.
  3. HLEN : TCP 세그먼트의 길이를 정의한다.
  4. RESERVED : 세그먼트의 용도와 내용을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정답률: 38%)
  • HLEN은 TCP 세그먼트의 길이를 정의하는 것이 아니라, TCP 헤더의 길이를 정의하는 것이다. 따라서 "HLEN : TCP 세그먼트의 길이를 정의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RESERVED는 세그먼트의 용도와 내용을 결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필드가 아니라, 예약된 필드이다. 이 필드는 현재는 사용되지 않지만, 나중에 프로토콜이 업데이트되거나 확장될 때 사용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traceroute 명령을 이용하여 얻을 수 없는 정보는?

  1. 목적지까지 경유하는 홉(Hop)의 주소
  2. 목적지까지 경유하는 홉(Hop)의 개수
  3. 목적지까지 경유하는 홉(Hop)의 소유자
  4. 목적지까지 소요된 경과 시간
(정답률: 48%)
  • traceroute 명령은 목적지까지 경유하는 홉(Hop)의 주소, 개수, 소요된 경과 시간을 모두 제공하지만, 홉의 소유자 정보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는 traceroute 명령이 네트워크 경로를 추적하는 데에만 초점을 맞추기 때문입니다. 홉의 소유자 정보는 해당 네트워크의 관리자나 소유자에게 문의해야 알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리눅스 시스템 관리

21. 다음 중 su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u 명령에 사용자 계정이 주어지지 않을 경우 슈퍼 유저인 root로 설정된다.
  2. 하나 이상의 계정을 갖고 있는 경우, 다른 계정으로도 변경할 수 있다.
  3. 계정변경 후 원래의 계정으로 돌아오기 위해서 quit 명령어를 사용한다.
  4. 일반계정으로 접속하여 루트의 권한을 획득 할 수 있다.
(정답률: 63%)
  • "일반계정으로 접속하여 루트의 권한을 획득 할 수 있다."는 su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이다.

    "계정변경 후 원래의 계정으로 돌아오기 위해서 quit 명령어를 사용한다."는 su 명령어를 사용한 후 다시 원래 계정으로 돌아오기 위한 방법이다. su 명령어를 사용하여 다른 계정으로 변경하면, 해당 계정의 권한으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계정을 갖고 있는 경우, 다른 계정으로도 변경할 수 있다. su 명령에 사용자 계정이 주어지지 않을 경우 슈퍼 유저인 root로 설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로그인 계정을 확인하기 위하여「whoami」 또는 「who am i」를 사용한다. 이 중에서 who am I를 사용할 경우 확인 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닌 것은?

  1. 로그인 이름
  2. 로그인한 가상콘솔
  3. 현재 시간
  4. 로그인 날짜
(정답률: 48%)
  • who am I 명령어는 현재 로그인한 사용자의 로그인 이름과 로그인한 가상콘솔, 그리고 로그인한 날짜를 확인할 수 있지만, 현재 시간은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정답은 "현재 시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ihd 사용자에 대해 어떠한 패스워드 또는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아도 로그인 가능하도록 하기위한 passwd 명령의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k .
  2. -x
  3. -d
  4. -S
(정답률: 32%)
  • "-d" 옵션은 패스워드를 삭제하는 옵션이다. 따라서 이 옵션을 사용하면 패스워드를 입력하지 않아도 로그인이 가능해진다. 이는 보안상 위험하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루트로 접속 후 로그아웃을 하지 않고 그대로 둔다면, 위험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정 시간 후 루트계정에서 자동으로 로그아웃 되도록 /etc/profile 또는 ~/.bash_profile에 사용하는 환경 변수로 알맞은 것은?

  1. QUIT
  2. ROOTOUT
  3. EXIT
  4. TMOUT
(정답률: 67%)
  • 정답은 "TMOUT"입니다.

    TMOUT 환경 변수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도록 설정하는 변수입니다. 이를 설정해두면 루트 계정에 로그인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므로 보안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반면, "QUIT", "ROOTOUT", "EXIT"는 환경 변수가 아니며, 로그아웃을 위한 명령어나 옵션입니다. 따라서 이들은 로그아웃을 수행하는 것이지 자동 로그아웃을 설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각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1. usermod - 사용자 기본 그룹, 패스워드 변경
  2. chdir - 사용자 홈디렉터리 변경
  3. chage - 사용자 패스워드 만료기간 변경
  4. change - 사용자 콘솔 변경
(정답률: 56%)
  • chage - 사용자 패스워드 만료기간 변경: 사용자의 패스워드 만료기간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이를 통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내용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로그온 이름이 ihd 이다.
  2. 이 계정은 현재 로그온이 가능하다.
  3. 홈디렉터리는 /home/ihd 이다.
  4. 이 계정의 그룹 ID는 503 이다.
(정답률: 63%)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처럼, 로그인 가능한 계정은 "ihd"이며, 로그인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계정은 현재 로그온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리눅스에서 디렉토리는 파일과 마찬가지로 취급한다. 디렉토리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트리(Tree) 구조의 계층적 구조를 가진다.
  2. 디렉토리는 다른 디렉토리를 포함할 수 없다.
  3. ‘..’은 상위 디렉토리를 가리킨다.
  4.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으면서 다른 파일을 조직하고 액세스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정답률: 67%)
  • 디렉토리는 다른 디렉토리를 포함할 수 있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디렉토리는 트리(Tree) 구조의 계층적 구조를 가지며, 다른 파일과 마찬가지로 디스크에 저장되어 있으면서 다른 파일을 조직하고 액세스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리눅스 파일 시스템을 점검하고 수리하는 fsck 옵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A : /etc/fstab 파일에 표시된 모든 파일 시스템을 한 번씩 모두 점검한다.
  2. -R : -A 플래그와 같이 사용될 때 루트 파일 시스템을 포함 하도록 한다.
  3. -N : 실행은 하지 않고, 어떤 작업을 할 것인지만 보여준다.
  4. -T : 시작할 때 제목을 보여주지 않는다.
(정답률: 19%)
  • "-R : -A 플래그와 같이 사용될 때 루트 파일 시스템을 포함 하도록 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아니다.

    - 옵션 설명:
    - -A : /etc/fstab 파일에 표시된 모든 파일 시스템을 한 번씩 모두 점검한다.
    - -R : 파일 시스템을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하고 점검한다. -A 플래그와 같이 사용될 때 루트 파일 시스템을 포함 하도록 한다.
    - -N : 실행은 하지 않고, 어떤 작업을 할 것인지만 보여준다.
    - -T : 시작할 때 제목을 보여주지 않는다.

    따라서, 이 중에서 틀린 것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허가권 755로 지정된 IHD_LMF 파일에 대해 아래의 명령어를 실행한 후 변경된 허가권 중 알맞은 것은?
명령어 : [ihd@ihd /]# chmod a-r,g-wx IHD_LMF

  1. -wxr--r-x
  2. -wx-----x
  3. -wx-w---x
  4. rwxr--r-x
(정답률: 50%)
  • chmod 명령어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허가권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이때 a는 all, 즉 모든 사용자를 의미하며, -r은 읽기 권한을 제거하고, -wx는 쓰기와 실행 권한을 제거한다. 따라서, a-r은 모든 사용자의 읽기 권한을 제거하고, g-wx는 그룹 사용자의 쓰기와 실행 권한을 제거한다. 따라서, 최종적으로 IHD_LMF 파일의 허가권은 -wx-----x가 된다. 이는 owner는 쓰기와 실행 권한이 있고, group은 아무 권한도 없으며, others는 실행 권한만 있음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sticky bit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chmod o+t 파일명으로 sticky bit를 적용시킨다.
  2. 허가권의 절대적 표기는 1000 이다.
  3. 타인의 실행 퍼미션이 t로 표기된다
  4. 파일에 실행 권한이 있는 경우 T로 표기된다.
(정답률: 52%)
  • "파일에 실행 권한이 있는 경우 T로 표기된다."가 틀린 설명이다. 파일에 실행 권한이 있는 경우에는 소문자 t로 표기된다. 대문자 T는 실행 권한이 없는 경우에만 적용된다.

    Sticky bit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에 적용되며, 해당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소유한 사용자나 그룹에 대해서만 삭제 권한을 부여하는 기능을 한다. 디렉토리에 적용되는 경우 해당 디렉토리 내의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사용자나 그룹에 대해서만 삭제가 가능하다.

    chmod o+t 파일명으로 sticky bit를 적용시킨다는 것은 해당 파일에 대해서 타인에게 삭제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다. 허가권의 절대적 표기는 1000이며, 타인의 실행 퍼미션이 t로 표기된다는 것은 sticky bit가 적용된 경우에 해당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파일 권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이 파일의 소유자는 root이다.
  2. 이 파일은 현재 실행 모드가 없다.
  3. 이 파일은 소유자만이 내용을 수정 할 수 있다.
  4. 파일 소유자 외 나머지 사용자들은 접근권한이 없다.
(정답률: 75%)
  • 파일 권한이 "rw-------"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파일 소유자만이 읽기 및 쓰기 권한을 가지고 있고, 그 외의 사용자들은 어떠한 권한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접근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시스템 관리자인 홍길동은 리눅스 시스템의 보안을 위해 패스워드를 변경하고자 한다. 다음중 패스워드를 주기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chsh
  2. chage
  3. chmod
  4. chpasswd
(정답률: 45%)
  • 정답은 "chage"이다.

    "chage" 명령어는 사용자 계정의 패스워드 변경 주기를 설정하는 명령어이다. 이를 통해 패스워드를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시스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명령어이다. "chsh"는 사용자의 로그인 셸을 변경하는 명령어, "chmod"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 "chpasswd"는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리눅스 파일시스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파일 구조는 유형, 파일허가, 링크수, 소유자, 파일크기, 파일명 등으로 구성된다.
  2. 2진 데이터 파일은 파일의 종류 중 특수파일에 해당된다.
  3. 파일 링크를 통해 효율적인 파일 관리를 수행 할 수 있다.
  4. CD-ROM 드라이브도 파일시스템으로 인식한다.
(정답률: 37%)
  • 2진 데이터 파일은 일반 파일에 해당되며, 특수파일이 아닙니다. 특수파일은 디바이스 파일이나 FIFO 파일 등을 말합니다. 따라서, "2진 데이터 파일은 파일의 종류 중 특수파일에 해당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리눅스 파일시스템에서 파일의 이름을 제외한 해당 파일의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는 것은?

  1. 아이노드(Inode)
  2. 슈퍼블록(super block)
  3. 디렉토리 블록(Directory block)
  4. 데이터 블록(Data block)
(정답률: 40%)
  • 아이노드(Inode)는 리눅스 파일시스템에서 파일의 이름을 제외한 해당 파일의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는 구조체입니다. 이 정보에는 파일의 소유자, 권한, 크기, 생성 시간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파일의 내용을 제외한 메타데이터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슈퍼블록(super block)은 파일시스템 전체의 정보를 담고 있으며, 디렉토리 블록(Directory block)은 디렉토리 정보를 저장하고, 데이터 블록(Data block)은 파일의 실제 내용을 저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그룹 계정 관리에 관한 명령어와 설명이 알맞은 것은?

  1. group : /etc/group에 등록되어 있는 그룹을 조회한다.
  2. groupadd -g 700 ihdcp : 그룹 id를 700으로 그룹명 ihdcp을 생성한다.
  3. groupmod -n ihdcp ihd : ihdcp 그룹의 이름을 ihd로 변경한다.
  4. groupdelete ihdcp : ihdcp이라는 그룹을 삭제한다.
(정답률: 36%)
  • 정답은 "groupadd -g 700 ihdcp : 그룹 id를 700으로 그룹명 ihdcp을 생성한다." 이다.

    group은 /etc/group에 등록되어 있는 그룹을 조회하는 명령어이고, groupmod은 그룹의 이름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며, groupdelete는 그룹을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groupadd는 새로운 그룹을 생성하는 명령어이며, -g 옵션을 사용하여 그룹 id를 지정할 수 있다. 위 명령어는 그룹 id를 700으로 지정하고, 그룹명을 ihdcp로 지정하여 새로운 그룹을 생성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데몬과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1. httpd는 웹 서비스를 해주는 데몬이다.
  2. 수퍼데몬은 INET 방식으로 실행된다.
  3. INET 방식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이 있을 때 프로세스가 생성되는 방식이다.
  4. 스탠드얼론(Stand alone) 방식은 메모리에 계속 상주하며 서비스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55%)
  • "수퍼데몬은 INET 방식으로 실행된다."가 틀린 설명이다. 수퍼데몬은 다른 데몬들을 관리하고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INET 방식과 스탠드얼론 방식 모두 지원한다. INET 방식은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이 있을 때 프로세스가 생성되는 방식이며, 스탠드얼론 방식은 메모리에 계속 상주하며 서비스하는 방식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은 top에 대한 설명 중 알맞은 것은?

  1. i옵션을 사용하면 좀비(Zombie)나 휴지(Idle) 상태를 포함하여 표시된다.
  2. top이 시행된 상태에서 스페이스를 사용하면 명령프롬프트로 돌아온다.
  3. p옵션을 이용하여 해당 id에 대한 프로세스를 제외하고 모니터할 수 있다.
  4. kill 명령을 사용할 필요없이 top상태에서 k를 입력하면 PID를 입력하여 프로세스를 종료 할 수 있다.
(정답률: 54%)
  • "kill 명령을 사용할 필요없이 top상태에서 k를 입력하면 PID를 입력하여 프로세스를 종료 할 수 있다." 이유는 top이 실행 중인 상태에서 k를 입력하면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는 기능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간편하게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백그라운드로 실행하려면 명령어 뒤에 &를 적는다.
  2.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는 프로세스는 ps 명령어로 확인할 수 없다.
  3.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는 키보드 입력 없이 장기간 실행될 경우에 주로 사용된다.
  4.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는 즉시 명령 대기상태가 되어 다른 명령을 받아들일 준비를 한다
(정답률: 65%)
  • "백그라운드로 동작하는 프로세스는 ps 명령어로 확인할 수 없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백그라운드로 실행된 프로세스도 ps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ps 명령어에는 옵션으로 -e, -f, -l 등이 있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도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다음 nice 명령어에 대한 설명 중 알맞은 것은?

  1. nice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범위는 -19에서 20까지 이다.
  2. nice 명령수행 시 조정 수치가 생략되면 우선권은 10만큼 감소한다.
  3. nice는 스케줄링 우선권을 변경하여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4. 가장 높은 우선권은 20이다.
(정답률: 44%)
  • nice는 스케줄링 우선권을 변경하여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RPM(Redhat Package Manager)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패키지 정보 검색
  2. 패키지 자동 설치
  3. 패키지 오류 수정
  4. 업그레이드 기능
(정답률: 54%)
  • RPM은 "패키지 오류 수정"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RPM은 패키지 정보 검색, 패키지 자동 설치, 업그레이드 기능을 제공합니다. 패키지 오류 수정은 보통 패키지 관리자나 시스템 관리자가 직접 수행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에서 설명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make clean
  2. make config
  3. make dep
  4. make mrproper
(정답률: 30%)
  • 이 명령어는 리눅스 커널 소스 코드를 정리하고 초기화하는 명령어입니다. "make clean"은 컴파일된 파일을 삭제하고 "make config"는 커널 구성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make dep"는 커널 소스 코드의 의존성을 갱신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이 중에서 "make mrproper"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리눅스에서 새로운 하드디스크를 장착하고, 설정하는 과정에 대한 보기의 내용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 중 알맞은 것은?

  1. 다 -> 라 -> 가 -> 나
  2. 다 -> 가 -> 라 -> 나
  3. 다 -> 나 -> 라 -> 가
  4. 다 -> 라 -> 나 -> 가
(정답률: 35%)
  • 다 -> 라 -> 가 -> 나 순서대로 설명해보면,

    다. 하드디스크를 컴퓨터에 물리적으로 장착한다.
    라. 하드디스크를 인식하고 파티션을 생성한다.
    가. 생성한 파티션에 파일 시스템을 생성한다.
    나. 생성한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순서대로 진행해야 새로운 하드디스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리눅스 커널 매커니즘에 대한 설명 중 틀린것은?

  1. insmod 명령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모듈을 커널에 추가할 수 있다.
  2. 모듈은 커널 코드와 똑같은 권한과 책임을 진다.
  3. 커널은 모듈을 로드할 때, 엄격한 버전 검사를 통해 문제를 선택적으로 막을 수 있다.
  4. 모듈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을 경우, umount에 의해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제거된다.
(정답률: 61%)
  • "모듈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을 경우, umount에 의해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제거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모듈은 umount가 아닌 rmmod 명령어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제거해야 합니다.

    - insmod 명령을 사용하여 수동으로 모듈을 커널에 추가할 수 있다.
    - 모듈은 커널 코드와 똑같은 권한과 책임을 진다.
    - 커널은 모듈을 로드할 때, 엄격한 버전 검사를 통해 문제를 선택적으로 막을 수 있다.
    - 모듈이 더 이상 사용되지 않을 경우, rmmod 명령어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제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다음은 프린터 설정 유틸리티 프로그램의 설정값이 저장되는 printcap 파일의 일부이다. 설정 파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sd : spool directory를 말하는 것으로 프린트할 데이터를 프린터에 보내기 전에 임시로 저장할 디렉토리 이다.
  2. mx : 인쇄 가능한 최대 파일 크기를 나타낸다.
  3. sh : suppress headers를 말하며 디폴트는 헤더 출력을 한다.
  4. if : 입력 필터를 말한다
(정답률: 33%)
  • "sh : suppress headers를 말하며 디폴트는 헤더 출력을 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실제로는 디폴트 값이 헤더 출력을 하지 않는 것이다. suppress headers 옵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헤더가 출력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설명하는 내용에 해당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lpr
  2. lpq
  3. lprm
  4. lpd
(정답률: 47%)
  • 이 명령어는 현재 대기 중인 프린트 작업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림에서 보면 "lpq" 명령어를 입력하면 대기 중인 프린트 작업 목록이 출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리눅스에서 커널을 업그레이드하여 컴파일 하는 이유로 틀린 것은?

  1. 시스템 관리 능력의 개선
  2. 버그 수정
  3. 하드웨어간의 호환성 유지
  4. 속도 개선
(정답률: 50%)
  • 리눅스에서 커널을 업그레이드하여 컴파일하는 이유는 하드웨어간의 호환성 유지가 아니라 시스템 관리 능력의 개선, 버그 수정, 속도 개선 등의 이유로 진행됩니다. 커널 업그레이드는 새로운 기능 추가나 기존 기능 개선, 보안 강화 등을 위해 필요합니다. 또한, 새로운 하드웨어가 출시될 때 해당 하드웨어를 지원하기 위해 커널 업그레이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리눅스에 하드웨어를 설치함에 있어, 중복될 수 있는 자원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DMA Channels
  2. IRQs
  3. I/O Port Addresses
  4. Slot
(정답률: 37%)
  • "Slot"은 중복될 수 있는 자원이 아닙니다. 다른 자원들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자원으로 중복될 경우 충돌이 발생할 수 있지만, "Slot"은 하드웨어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 물리적인 장소를 의미하므로 중복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mount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mount 명령어에 -f 옵션을 사용하면 마운트 가능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2. 현재 마운트 되어 있는 정보는 mount명령어를 사용하여 확인할 수 있으며, /etc/fstab파일의 내용과 동일하다.
  3. mount 명령으로 마운트된 디스켓은 unmount로 마운트를 해제할 수 있다.
  4. /dev/hdb1을(ext3로 포맷되어 있음) /ihd에 마운트 하기위한 명령어는 “mount -t ext3 /ihd /dev/hdb1” 이다.
(정답률: 12%)
  • "mount 명령어에 -f 옵션을 사용하면 마운트 가능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이 옵션을 사용하면 마운트하려는 파일 시스템이나 디렉토리가 존재하는지, 그리고 마운트 가능한 상태인지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모듈을 현재 실행중인 커널에서 사용하기 위해 로드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addmod
  2. rmmod
  3. insmod
  4. module
(정답률: 60%)
  • 정답은 "insmod"입니다.

    "insmod"는 커널에 새로운 모듈을 로드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여 모듈을 커널에 추가하면 해당 모듈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addmod":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입니다.
    - "rmmod": 커널에서 모듈을 제거하는 명령어입니다.
    - "module": 모듈을 나타내는 단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PNP가 지원되지 않는 사운드 카드를 설정하려고 한다. 이를 위해 필요한 정보 중 틀린 것은?

  1. 직접 메모리 액세스 채널(DMA)
  2. 인터럽트 번호(IRQ)
  3. 입출력 주소(I/O Address)
  4. 버스 유형(Bus Type)
(정답률: 47%)
  • 버스 유형은 사운드 카드가 연결된 버스의 종류를 나타내는데, 이는 PNP 기능과는 관련이 없다. PNP 기능은 사운드 카드가 자동으로 시스템에 인식되고 설정되도록 도와주는 기능이므로, PNP가 지원되지 않는 사운드 카드를 설정할 때는 직접 메모리 액세스 채널(DMA), 인터럽트 번호(IRQ), 입출력 주소(I/O Address) 등의 정보를 수동으로 설정해주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로그파일 관리 툴인 logrotat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정한 기간이 지나면 다른 파일로 대체한다.
  2. 로그 파일을 압축해서 보관한다.
  3. 지정한 용량에 도달하면 다른 파일로 순환시킨다.
  4. 작업시 에러가 발생했을 때 해당 서비스를 중지 시킨다.
(정답률: 52%)
  • 작업시 에러가 발생했을 때 해당 서비스를 중지 시킨다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logrotate는 로그 파일 관리를 자동화하기 위한 도구로, 로그 파일의 용량이나 보관 기간 등을 설정하고 해당 조건에 따라 로그 파일을 관리합니다. 작업시 에러가 발생하면 해당 로그 파일은 처리되지 않을 뿐, 다른 로그 파일들은 정상적으로 처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var/log/lastlog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lastlog -u 계정명” 명령을 사용하여 특정 계정에 대한 최근 접속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2. 일반적으로 /var/log/lastlog 파일은 cat나 vi 등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3. lastlog는 /etc/passwd파일에 정의되어 있는 모든계정의 마지막 접속 정보를 출력해 준다.
  4. “lastlog -t 30” 명령을 이용하여 최근 접속정보 중 30개의 항목에 대해서 확인이 가능하다.
(정답률: 24%)
  • lastlog는 모든 계정의 마지막 접속 정보를 출력해주는 파일이며, /etc/passwd 파일에 정의되어 있다. 따라서 "lastlog는 /etc/passwd파일에 정의되어 있는 모든계정의 마지막 접속 정보를 출력해 준다."가 알맞은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은 시스템 로그 데몬(syslogd)이 실행 될 때 참조되는 환경파일인 syslogd.conf 파일의 일부분이다. 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var/log/secure 파일에 ftp 또는 ssh 등으로 접속되는 로그가 기록된다.
  2. /var/log/boot.log 파일에 시스템 부팅시의 로그 메시지가 기록된다.
  3. /var/log/maillog 파일에 메일에 의해 발생되는 메시지가 기록된다.
  4. /var/log/cron 파일에 로그인과 같은 사용자 인증에 관한 로그가 기록된다.
(정답률: 79%)
  • "/var/log/cron 파일에 로그인과 같은 사용자 인증에 관한 로그가 기록된다."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실제로는 "/var/log/auth.log 파일에 로그인과 같은 사용자 인증에 관한 로그가 기록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액세스 로그의 구성요소가 아닌 것은?

  1. Host
  2. Status Code
  3. HTTP Request Field
  4. Mac Address
(정답률: 41%)
  • 액세스 로그는 웹 서버에서 발생하는 클라이언트의 요청과 서버의 응답에 대한 정보를 기록하는 로그이다. 이 중에서 "Mac Address"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네트워크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물리적인 주소이지만, 액세스 로그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액세스 로그는 주로 IP 주소, 요청한 URL, HTTP 메소드, 응답 코드, 응답 크기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시스템 백업을 수행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가 아닌 것은?

  1. dump
  2. cpio
  3. dd
  4. backup
(정답률: 39%)
  • 정답은 "backup"입니다.

    "backup"은 시스템 백업을 수행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중 하나가 아닙니다. "dump", "cpio", "dd"는 모두 시스템 백업을 수행하는 명령어입니다.

    "backup"은 일반적으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백업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시스템 백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는 아니지만, 일부 시스템에서는 "backup"을 시스템 백업에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중 PA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PAM은 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의 약자이다
  2. PAM은 사용자 정보의 저장 방법과 관계없이 프로그램들이 투명하게 사용자를 인증하게하여 혼잡을 제거하였다.
  3. PAM의 구성 파일은 /bin/pam.d 에 저장되어 있다.
  4. PAM의 가장 큰 장점은 유동성이다.
(정답률: 31%)
  • PAM의 구성 파일은 /bin/pam.d 가 아니라 /etc/pam.d 에 저장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에서 설명하는 백업의 종류로 알맞은 것은?

  1. 단순 백업
  2. 변경분 백업
  3. 다단계 백업
  4. 데이 제로 백업
(정답률: 56%)
  • 데이 제로 백업은 모든 데이터를 백업하는 것으로, 초기 상태의 데이터와 동일한 상태로 백업을 수행하는 것입니다. 다른 백업 종류들은 변경된 부분만을 백업하는 것이지만, 데이 제로 백업은 모든 데이터를 백업하기 때문에 복원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가장 안전한 백업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ssh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네트워크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할 수 있다.
  2. 두 호스트간의 통신 암호화와 사용자 인증을 위하여 공개키 암호 기법을 사용한다.
  3. 원격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할 수 있지만,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는 없다.
  4. 강력한 인증 방법과 안전하지 못한 네트워크에서 안전하게 통신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정답률: 69%)
  • "원격시스템에서 명령을 실행할 수 있지만,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는 없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SSH는 파일 전송을 위한 SCP(Secure Copy)와 SFTP(Secure File Transfer Protocol)를 지원하므로 다른 시스템으로 파일을 복사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dump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소프트 링크 혹은 마운트된 다른 파일 시스템과 같이 다수의 파일 시스템이 연결된 디렉토리까지 백업한다.
  2. dump는 데이프 드라이브에 백업할 수 없다.
  3. 0-9까지의 레벨 수준을 설정하여 백업을 진행 할 수 있다.
  4. dump의 백업 레벨 수준 “9”는 풀백업을 의미 한다.
(정답률: 46%)
  • dump 명령은 0-9까지의 레벨 수준을 설정하여 백업을 진행 할 수 있다. 이는 백업의 깊이를 설정하는 것으로, 레벨이 높을수록 더 많은 파일을 백업하게 된다. 예를 들어, 레벨 0은 전체 파일 시스템을 백업하고, 레벨 1은 변경된 파일만 백업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cpio 명령어 사용시 동일한 이름을 가진 기존의 파일 위에 겹쳐 쓰도록 파일을 복사하도록 하기위한 것으로 "-o"와 함께 사용할 수 없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c
  2. -u
  3. -p
  4. -V
(정답률: 24%)
  • 정답: "-u"

    설명: "-u" 옵션은 기존 파일과 비교하여 업데이트된 파일만 복사하는 옵션이므로 "-o"와 함께 사용할 수 없습니다. "-c" 옵션은 파일을 압축하여 복사하고, "-p" 옵션은 파일의 권한과 소유자를 유지하면서 복사합니다. "-V" 옵션은 cpio 작업 중에 진행 상황을 출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

61. 다음 아파치의 주요 디렉토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bin : 아파치 사용시에 필요한 유틸리티들이 들어 있다.
  2. /cgi-bin : cgi 스크립트가 있는 곳이다.
  3. /conf : 아파치 서버의 여러 가지 설정 파일들이 있다.
  4. /icons : 아파치 서버를 이용한 웹페이지 구성시 아이콘은 이 디렉토리에 저장해야만 한다.
(정답률: 30%)
  • "/icons : 아파치 서버를 이용한 웹페이지 구성시 아이콘은 이 디렉토리에 저장해야만 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아이콘은 웹페이지 구성에 필수적이지 않으며, 저장 위치도 다른 디렉토리에 저장할 수 있다.

    "/bin" 디렉토리는 아파치 서버에서 사용하는 유틸리티들이 들어있다. 예를 들어, "apachectl"은 아파치 서버를 시작하거나 중지하는 데 사용된다.

    "/cgi-bin" 디렉토리는 CGI 스크립트가 위치하는 곳이다.

    "/conf" 디렉토리는 아파치 서버의 설정 파일들이 위치한다. 예를 들어, "httpd.conf" 파일은 아파치 서버의 기본 설정을 담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아파치의 가상호스트 기능 중 IP 기반 가상호스팅(IP-based Virtual Hosting)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한 개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웹호스팅 서비스를 할 때에 사용되는 기법이다.
  2. IP 기반으로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가상의 IP가 필요하다.
  3. ifconfig와 route 명령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지고 있는 LAN카드에 가상의 IP를 추가해 주어야 한다.
  4. IP 주소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이다.
(정답률: 23%)
  • "한 개의 IP 주소를 이용하여 웹호스팅 서비스를 할 때에 사용되는 기법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올바른 설명입니다. IP 기반 가상호스팅은 하나의 IP 주소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도메인을 호스팅하는 기술로, 다른 보기들도 맞는 설명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습니다.

    추가 설명으로, IP 기반 가상호스팅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웹서버에 여러 개의 도메인을 등록하고, DNS 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그리고 웹서버의 가상호스트 설정에서 각 도메인에 대한 디렉토리 경로와 설정을 지정해주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하나의 IP 주소로 여러 개의 도메인을 호스팅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아파치 가상호스트 설정에 관련된 설명 중 틀린 것은?

  1. ServerName : 서버의 계정 디렉토리 위치를 기입한다.
  2. ServerAdmin : 가상 호스트 부분에 발생되는 에러 등을 관리자에게 이메일로 전해주기 위한 이메일 주소를 말한다.
  3. TransferLog : 어느 위치에 접속 로그를 남길것인지 결정한다.
  4. NameVirtualHost : 가상 호스트로 사용하고자 하는 IP 주소를 기입해 준다.
(정답률: 45%)
  • 정답은 "ServerName : 서버의 계정 디렉토리 위치를 기입한다." 이다. ServerName은 가상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을 설정하는데 사용되며, 서버의 계정 디렉토리 위치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중 SSL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SSL은 Secure Sockets Level의 약자이다.
  2. 업계 표준 프로토콜로서 미국 넷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가 개발하였고, 마이크로소프트등은 채택하지 않고 있다.
  3. SSL은 웹 제품뿐만 아니라 파일 전송 규약(FTP) 등 다른 TCP/IP 응용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다.
  4. 아파치에서 SSL을 사용할 경우 API모듈과 상관없이 운영할 수 있다.
(정답률: 46%)
  • SSL은 웹 제품뿐만 아니라 파일 전송 규약(FTP) 등 다른 TCP/IP 응용 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다. 이는 SSL이 TCP/IP 프로토콜 스택과 상호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SSL을 사용하면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다음 중 MySQL을 table grant 권한 없이 실행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mysqld_safe
  2. mysqld_safe &
  3. mysqld_safe --skip-grant-table &
  4. mysqld_safe --skip-nogrant-table &
(정답률: 50%)
  • 정답: "mysqld_safe --skip-grant-table &"

    이유: "mysqld_safe --skip-grant-table &" 명령은 MySQL 서버를 실행할 때 grant 테이블을 무시하고 실행하는 옵션을 추가한 것이다. 이렇게 하면 MySQL 서버에 로그인할 때 사용자 인증을 거치지 않고 바로 접속할 수 있으므로, 이 옵션을 사용하면 grant 권한 없이 MySQL을 실행할 수 있다. 이는 임시적인 방법으로, 보안상의 이유로 권장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MySQL의 소스 컴파일 설치과정 중 configure에서 한글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기위해 설정해야 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prefix
  2. --with-charset
  3. --localstatedir
  4. --sysconfdir
(정답률: 74%)
  • 정답: "--with-charset"

    설명: "--with-charset" 옵션은 MySQL에서 사용할 문자셋을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여 한글을 포함한 다양한 문자셋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이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Latin1 문자셋이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옵션을 지정하여 한글을 포함한 다양한 문자셋을 지원하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 MySQL 접속 명령어 형식에서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가)MySQL 계정명, (나)접속할 포트번호
  2. (가)시스템 계정명, (나)접속할 데이터베이스명
  3. (가)MySQL 계정명, (나)접속할 데이터베이스명
  4. (가)시스템 계정명, (나)서버 IP 주소
(정답률: 42%)
  • (가)MySQL 계정명은 접속하려는 MySQL 서버에 등록된 계정명을 입력해야 하며, (나)접속할 데이터베이스명은 해당 MySQL 서버에 존재하는 데이터베이스 중 접속하고자 하는 데이터베이스의 이름을 입력해야 합니다. 즉, 이 명령어는 특정 MySQL 서버에 접속하고, 해당 서버에서 지정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 samba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기본적으로 삼바 서버를 서비스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전체 설정과 공유 정의로 나눌 수 있다.
  2. 환경 설정시 “#”는 주석을 가리킨다.
  3. 삼바 서버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삼바 데몬을 띄워야 한다.
  4. 환경 설정시 “;”는 문장의 끝을 의미한다.
(정답률: 34%)
  • 환경 설정시 ";"는 문장의 끝을 의미하는 것은 틀린 설명입니다. ";"는 주석 처리된 줄의 끝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samba 설정 파일의 내용 중 아래의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IHD 라는 공유 디렉토리는 IHD 그룹 내의 사용자만 쓰기가 가능하다.
  2. IHD 그룹이외의 사용자는 로그인 기능과 읽기 기능만이 가능하다.
  3. 로그인 후 공유 디렉토리의 리스트를 보여준다.
  4. 공유된 디렉토리의 이름은 IHD 이다.
(정답률: 48%)
  • Samba 설정 파일에서 IHD 그룹이외의 사용자는 로그인 기능과 읽기 기능만 가능한 이유는 "valid users = @IHD"라는 옵션으로 인해 IHD 그룹에 속하지 않은 사용자는 접근 권한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쓰기 기능은 IHD 그룹에 속한 사용자만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삼바 서버의 보안 모델은 크게 4가지로 구분된다. 다음 중 삼바 서버의 보안 모델로 틀린 것은?

  1. 서버 레벨
  2. 로컬 레벨
  3. 사용자 레벨
  4. 공유 레벨
(정답률: 38%)
  • 정답은 "공유 레벨"이다.

    로컬 레벨은 삼바 서버에 직접 로그인한 사용자의 권한을 관리하는 모델이다. 이 모델에서는 사용자가 로그인한 시스템에서만 권한이 적용되며, 다른 시스템에서는 권한이 적용되지 않는다.

    서버 레벨은 삼바 서버 자체의 보안을 관리하는 모델이다. 이 모델에서는 삼바 서버에 접근하는 모든 사용자의 권한을 관리하며, 서버 자체의 보안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 레벨은 삼바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의 권한을 관리하는 모델이다. 이 모델에서는 각 사용자의 권한을 설정하여, 해당 사용자가 접근 가능한 리소스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공유 레벨은 삼바 서버에 등록된 공유 폴더의 권한을 관리하는 모델이다. 이 모델에서는 공유 폴더에 접근하는 모든 사용자의 권한을 설정하여, 해당 폴더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삼바 관련 명령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testparm 명령을 이용하여 smb.conf 파일의 문법적인 오류를 체크한다.
  2. 삼바 디렉토리에 사용자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를 smbstatus 명령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3. smbclient 명령의 -h 옵션은 대상 호스트를 가리킨다.
  4. smbclient 명령을 이용하여 윈도 서버에 접속 할 수 있다.
(정답률: 36%)
  • 정답은 "smbclient 명령의 -h 옵션은 대상 호스트를 가리킨다."가 아닌 "smbclient 명령을 이용하여 윈도 서버에 접속 할 수 있다."입니다.

    smbclient 명령의 -h 옵션은 대상 호스트를 가리키며, smbclient 명령을 이용하여 삼바 서버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mbclient 명령을 이용하여 윈도 서버에 접속 할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SWAT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Samba Web Administration Tool의 약자로서 웹에서 루트 계정으로 삼바를 설정하는 유틸리티 이다.
  2. SWAT는 기본적으로 포트 번호 901번을 사용한다.
  3. 이 도구는 삼바 2.x 버전부터 나오기 시작했다.
  4. SWAT는 smb.config 파일을 쉽게 다루도록 하고 있다.
(정답률: 45%)
  • "SWAT는 smb.config 파일을 쉽게 다루도록 하고 있다."가 틀린 설명이다. SWAT는 삼바 서버를 웹 인터페이스를 통해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이지만, smb.config 파일을 직접 수정하는 것은 아니다. SWAT를 통해 삼바 서버의 설정을 변경하면, 이 설정이 smb.config 파일에 자동으로 반영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NFS(Network File System)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정보통신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컴퓨터에 파일이나 파일시스템을 공용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한 운영체제에서 가능하다.
  2. NFS 서버는 항상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자원을 마운트 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exporting 이라고 한다.
  3. NFS는 IBM에서 개발되었으며, 컴퓨터들간의 통신 방법으로 RPC를 사용한다.
  4. NFS는 흩어져 있는 자원을 하나의 시스템과 같이 공유하는 것이므로 보안성이 강하다.
(정답률: 44%)
  • "NFS(Network File System)는 정보통신네트워크에 접속되어 있는 다른 컴퓨터에 파일이나 파일시스템을 공용하기 위한 것으로 동일한 운영체제에서 가능하다."라는 설명은 NFS의 개념을 설명하는 것이지만, 정답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NFS 서버는 항상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자원을 마운트 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exporting 이라고 한다."라는 설명은 NFS 서버의 동작 방식을 설명하고 있으며, 정답입니다. NFS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자원을 마운트할 수 있도록 공유 폴더를 exporting 해야 합니다.

    "NFS는 IBM에서 개발되었으며, 컴퓨터들간의 통신 방법으로 RPC를 사용한다."라는 설명은 NFS의 개발자와 통신 방법을 설명하는 것이지만, 정답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NFS는 흩어져 있는 자원을 하나의 시스템과 같이 공유하는 것이므로 보안성이 강하다."라는 설명은 NFS의 보안성을 강조하는 것이지만, NFS는 보안성이 강한 것이 아니므로 정답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다음 NFS에 제공되는 유틸리티 중 틀린 것은?

  1. showmount
  2. nfsstat
  3. nfsstart
  4. nhfsstone
(정답률: 28%)
  • 정답은 "nfsstart"입니다. NFS에는 "nfsstart"라는 유틸리티가 없습니다. "showmount"는 NFS 서버에서 공유 디렉토리를 보여주는 명령어이고, "nfsstat"은 NFS 서버 및 클라이언트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nhfsstone"은 NFS 서버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유틸리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NFS 서버의 설정 파일인 /etc/exports의 옵션중에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루트 계정을 사용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nobody_squash
  2. no_root_squash
  3. root_squash
  4. all_squash
(정답률: 48%)
  • 정답: "no_root_squash"

    이유: "no_root_squash" 옵션은 클라이언트가 NFS 서버에 접근할 때 루트 계정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옵션이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에서 NFS 서버에 접근할 때 루트 권한으로 파일을 읽고 쓸 수 있으므로, 시스템 관리자가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해야 한다. "root_squash" 옵션은 NFS 클라이언트에서 루트 계정으로 접근할 때 해당 계정을 "nobody" 계정으로 매핑하여 보안상의 이슈를 방지한다. "nobody_squash" 옵션은 모든 사용자 계정을 "nobody" 계정으로 매핑하여 보안상의 이슈를 방지한다. "all_squash" 옵션은 모든 사용자 계정을 "anonymous" 계정으로 매핑하여 보안상의 이슈를 방지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NFS 마운트할 때 사용되는 옵션과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timeo : 클라이언트에서 타임아웃이 발생되고 나서, 다시 재전송 요구를 보낼 때 소요되는 시간
  2. fg : NFS 서버에 타임아웃이 발생되면 즉각 접속을 중지
  3. intr : 인터럽트 허용 안함
  4. retrans : 재전송 횟수를 지정
(정답률: 32%)
  • "intr : 인터럽트 허용 안함" 옵션은 NFS 마운트 시에 인터럽트를 허용하지 않는 옵션이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NFS 마운트가 중단되지 않고 계속 진행되지만, 만약 NFS 서버와의 연결이 끊어지면 마운트된 파일 시스템에 접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 옵션은 NFS 서버와의 연결이 끊어지는 경우에 대한 대처 방법을 미리 설정해놓지 않은 경우에 사용하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FT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FTP도 HTTP나 SMTP 등과 같이 TCP/IP 응용 프로토콜 중 하나이다.
  2. 인터넷상의 컴퓨터들간에 파일을 교환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다.
  3. FTP의 기본 포트번호는 23번 이다.
  4. 브라우저를 통해 data.ihd.or.kr FTP 서버에 접속 할 경우 ftp://data.ihd.or.kr로 접속한다.
(정답률: 62%)
  • FTP의 기본 포트번호는 23번이 아니라 21번이다. FTP는 TCP/IP 응용 프로토콜 중 하나이며, 인터넷상의 컴퓨터들간에 파일을 교환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이다. 브라우저를 통해 FTP 서버에 접속할 경우 ftp://주소 형식으로 접속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은 ProFTP의 설정파일인 proftpd.conf 파일의 일부분 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해당 FTP 서버는 standalone으로 실행되어 있다.
  2. 최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는 50명이다.
  3. 포트번호 21번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4. 사용자가 FTP 서버에 접속했을 때 출력되는 서버의 이름은 IHD FTP Server 이다.
(정답률: 72%)
  • 정답은 "최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는 50명이다." 이다.

    FTP 서버는 기본적으로 21번 포트를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와 통신한다. 따라서 "포트번호 21번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는 맞는 설명이다.

    또한, proftpd.conf 파일에서 "ServerName IHD FTP Server"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FTP 서버에 접속했을 때 출력되는 서버의 이름은 IHD FTP Server 이다."도 맞는 설명이다.

    하지만, "해당 FTP 서버는 standalone으로 실행되어 있다."는 proftpd.conf 파일에서 확인할 수 없는 정보이므로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ProFTP에서 anonymous 사용자로 접속할 때 클라이언트들이 최대로 접속할 수 있는 수를 30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Maxanonymous 30
  2. MaxInstances 30
  3. MaxAllow 30
  4. MaxClients 30
(정답률: 35%)
  • 정답은 "MaxClients 30"입니다.

    이유는 ProFTP에서 MaxClients는 서버에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의 최대 수를 설정하는 옵션입니다. 따라서 anonymous 사용자로 접속할 때 클라이언트들이 최대로 접속할 수 있는 수를 30으로 설정하려면 MaxClients 30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다른 보기들은 ProFTP에서 사용되는 옵션은 아니거나, Maxanonymous는 anonymous 사용자의 최대 수를 설정하는 옵션은 아닙니다. MaxInstances는 ProFTP 서버의 최대 인스턴스 수를 설정하는 옵션입니다. MaxAllow는 특정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는 최대 수를 설정하는 옵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다음 중 Sendmail 설정 후 에러여부를 체크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sendmail -bi
  2. sendmail -bd -q1h
  3. newaliases
  4. makemap
(정답률: 54%)
  • sendmail -bi는 Sendmail의 설정 파일을 다시 읽고 구성을 검사하며, 구성 오류가 있으면 오류 메시지를 표시합니다. 따라서 Sendmail 설정 후 에러 여부를 체크하는 명령으로 가장 적합합니다.

    sendmail -bd -q1h는 Sendmail 데몬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고, 1시간마다 대기열을 처리하는 것으로, 설정 오류를 확인하는 명령은 아닙니다.

    newaliases는 Sendmail의 별칭 파일을 다시 읽는 명령이며, 설정 오류를 확인하는 명령은 아닙니다.

    makemap은 Sendmail의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으로, 설정 오류를 확인하는 명령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다음은 /etc/mail/access 파일의 내용이다. 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192.168.1.x의 로컬네트워크 사용자들은 메일을 보낼 수 있지만, 그 외의 사용자들은 메일을 보낼 수 없다.
  2. test.com이라는 도메인에서 전송되어지는 모든 메일은 거부된다.
  3. access 파일은 수정한 후 명령을 수행하여 새로운 DB를 생성해야 한다.
  4. makemap hash access > access 명령으로 새로운 DB를 생성한다.
(정답률: 24%)
  • "test.com이라는 도메인에서 전송되어지는 모든 메일은 거부된다."가 틀린 설명이다. access 파일에서 "@test.com REJECT"라는 규칙은 test.com 도메인에서 전송되는 모든 메일을 거부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도메인의 모든 이메일 주소에서 전송되는 메일을 거부하는 규칙이다.

    "makemap hash access > access" 명령은 access 파일을 해시 데이터베이스로 변환하여 새로운 DB를 생성하는 명령이다. 이렇게 생성된 DB는 sendmail 서버에서 접근하여 규칙을 적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은 Sendmail 보안을 위하여 설정파일을 수정 할 수 없도록 속성을 변경하는 명령이다.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i
  2. no
  3. +u
  4. -x
(정답률: 46%)
  • "+i"는 immutable 속성을 설정하는 것으로, 파일의 내용이나 속성을 변경할 수 없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따라서 Sendmail 설정 파일을 수정할 수 없게 됩니다. "no"는 모든 속성을 제거하는 것이고, "+u"는 소유자만 파일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x"는 실행 권한을 제거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메일서비스를 위한 컴포넌트 중 사용자가 메일을 보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MRA (Mail Receiver Agent)
  2. MUA (Mail User Agent)
  3. MTA (Mail Transfer Agent)
  4. MDA (Mail Delivery Agent)
(정답률: 56%)
  • MUA (Mail User Agent)는 사용자가 메일을 보기 위해 사용하는 컴포넌트입니다. 다른 컴포넌트들은 메일을 전송하거나 수신하는 역할을 하지만, MUA는 사용자가 메일을 작성하고 읽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MUA가 메일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컴포넌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 xinetd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TCP, UDP 및 RPC 서비스들에 대한 접근 제어
  2. DoS 공격에 대한 효과적인 억제
  3. 동시에 작동하는 동일 유형 서버 수에 대한 제한
  4. 로그 파일 개수에 대한 제한
(정답률: 53%)
  • xinetd는 서비스 관리자로서 TCP, UDP 및 RPC 서비스들에 대한 접근 제어, DoS 공격에 대한 효과적인 억제, 동시에 작동하는 동일 유형 서버 수에 대한 제한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지만, 로그 파일 개수에 대한 제한 기능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xinetd 데몬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몬이 아닌 것은?

  1. telnet
  2. pop3
  3. ftp
  4. arp
(정답률: 47%)
  • 정답은 "arp"입니다.

    xinetd 데몬은 인터넷 서비스를 관리하는 데몬으로, 네트워크 상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을 관리합니다. 따라서 xinetd 데몬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몬은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몬들입니다.

    "arp"는 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약자로, 네트워크 상에서 IP 주소를 물리적인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arp"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몬이 아니므로 xinetd 데몬으로 관리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DNS의 zone파일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Refresh : 주 DNS 서버와 보조 DNS 서버간의 정보 동기화를 위해 시간 간격을 지정한다.
  2. A : 한 개의 도메인에 대해 다른 이름을 갖도록 하는 기능이다.
  3. MX : 해당 호스트의 메일 라우팅 경로를 지시한다.
  4. NS : 도메인의 네임 서버를 지시한다.
(정답률: 40%)
  • 정답은 "A : 한 개의 도메인에 대해 다른 이름을 갖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다. DNS의 zone 파일에는 도메인 이름과 해당 도메인에 대한 IP 주소, 네임 서버 정보, 메일 라우팅 경로 등이 포함된다. "A"는 도메인 이름과 해당 도메인에 대한 IP 주소를 매핑하는 레코드 타입으로, 다른 이름을 갖도록 하는 기능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은 DNS 서버의 forward 영역 파일의 설정 내용 중에 메일 서버와 관련된 내용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ihd.or.kr의 네임서버는 ns.ihd.or.kr이다.
  2. ftp.ihd.or.kr의 IP 주소는 192.168.1.5 이다
  3. SOA는 해당 도메인(ihd.or.kr)에 대해서 여기서 설정한 네임서버가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음을 선언하는 것이다.
  4. 해당 도메인(ihd.or.kr)의 관리자 Email 주소는 ns@ihd.or.kr 이다.
(정답률: 65%)
  • 보기 중 틀린 것은 "해당 도메인(ihd.or.kr)의 관리자 Email 주소는 ns@ihd.or.kr 이다." 이다. 이유는 ns@ihd.or.kr은 해당 도메인의 네임서버 주소이며, 관리자 Email 주소는 별도로 설정되어 있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DNS는 크게 세 종류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다음 중 DNS 서버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주서버
  2. 보조 서버
  3. 캐싱 서버
  4. 슬레이브 서버
(정답률: 34%)
  • 슬레이브 서버는 DNS 서버의 종류 중 하나가 맞지만, "DNS 서버의 종류가 아닌 것"을 찾으라는 문제이므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중 DNS 캐싱(Caching) 서버의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이 서버는 자체가 도메인에 관련된 데이터 베이스를 가지고 있다.
  2. 도메인을 등록할 때 통상 이 서버에 등록하게 된다.
  3. 자체가 도메인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갖지는 않지만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변환된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4. 주네임 서버의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으며 주네임 서버에 문제가 생겼을 때 대응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정답률: 55%)
  • 자체가 도메인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갖지는 않지만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변환된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 DNS 캐싱(Caching) 서버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여 기억하고 있어서, 같은 요청이 들어올 경우에는 이전에 변환한 정보를 제공하여 빠른 응답을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이 서버는 자체적으로 도메인에 관련된 데이터베이스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에 기술한 Proxy 서버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인터넷 활용시 현저히 느린 속도를 보완해 준다.
  2. Proxy 서버는 캐시 서버를 만들어 이미 방문한 웹 사이트를 캐시에 미리 저장한다.
  3. 이전에 방문한 사이트를 접속시 캐시 서버에 저장된 내용을 보여준다.
  4. Proxy가 서버에 설치되면 클라이언트 PC에서는 별도의 설정이 필요 없다.
(정답률: 65%)
  • "Proxy가 서버에 설치되면 클라이언트 PC에서는 별도의 설정이 필요 없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클라이언트 PC에서는 Proxy 서버의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설정해야 합니다. 이 설정을 하지 않으면 Proxy 서버를 통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 arp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arp는 MAC 주소를 알아낼 때 사용한다.
  2. arp -d [hostname]을 이용하여 현재 캐시에 있는 특정한 호스트에 대한 MAC 주소의 값을 지운다.
  3. arp -s를 이용하여 현재 캐시에 있는 특정한 호스트에 대한 MAC 주소의 값을 저장할 수 있다.
  4. arp -i를 이용하면 지정한 인터페이스의 arp를 확인할 수 있다.
(정답률: 27%)
  • "arp -s를 이용하여 현재 캐시에 있는 특정한 호스트에 대한 MAC 주소의 값을 저장할 수 있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arp -s는 정적 ARP 항목을 추가하는 데 사용되며, 현재 캐시에 있는 특정 호스트의 MAC 주소를 저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중 동적으로 IP 주소를 할당해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SMB
  2. DHCP
  3. DNS
  4. NIS
(정답률: 74%)
  • DHCP는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컴퓨터나 기기에게 동적으로 IP 주소를 할당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DHCP가 정답입니다. SMB는 Server Message Block의 약자로,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DNS는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는 역할을 합니다. NIS는 Network Information Service의 약자로, 네트워크 상의 사용자 정보와 컴퓨터 정보를 관리하는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 중 CVS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각종 파일의 버젼을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도구이다
  2. Apache HTTP server, Mozilla 등의 대표적인 공개 프로젝트가 CVS를 사용한다.
  3. CVS 역시 같은 파일을 여러 사람이 함께 작업하는 것은 지원하지 않는다.
  4. CVS의 저장소에는 CVS의 전반적인 설정 사항과 각 프로젝트의 파일들은 물론, 각 파일의 버전 관리에 필요한 정보, 파일별 작업 기록들을 저장하게 된다.
(정답률: 63%)
  • "CVS 역시 같은 파일을 여러 사람이 함께 작업하는 것은 지원하지 않는다."가 틀린 설명이다. CVS는 여러 사람이 같은 파일을 함께 작업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해 CVS는 파일을 체크아웃하여 작업하고, 체크인하여 변경 내용을 저장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여러 사람이 동시에 같은 파일을 수정할 때 충돌을 방지하고, 변경 내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CVS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Export
  2. Branch
  3. Checkout
  4. Commit
(정답률: 18%)
  • CVS의 기능 중 "Export"는 저장소에서 파일을 가져와서 작업 디렉토리를 만드는 것이 아니라, 저장소에서 파일을 가져와서 작업 디렉토리를 만들지 않고 그대로 파일을 내보내는 기능이기 때문에 CVS의 기능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CVS 저장소 접근권한 제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접근제어 설정은 CVSROOT 디렉토리의 readers와 writers 파일로 한다.
  2. readers 파일만 존재한다면 파일에 설정된 계정은 읽기만 허용되며, 나머지는 읽기와 쓰기가 가능하다.
  3. readers와 writers 파일은 CVSROOT 디렉토리에 기본적으로 있으며, 정책에 맞게 수정해주면 된다.
  4. readers에는 계정이 없고 writers에만 계정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읽기와 쓰기 권한을, 나머지 모든 계정은 읽기만 가능하다.
(정답률: 5%)
  • 정답은 "readers와 writers 파일은 CVSROOT 디렉토리에 기본적으로 있으며, 정책에 맞게 수정해주면 된다."가 아니다.

    해당 문장은 오히려 맞는 설명이다. CVS 저장소의 접근제어 설정은 CVSROOT 디렉토리의 readers와 writers 파일로 한다. readers 파일은 읽기 권한을 가진 계정을 설정하고, writers 파일은 쓰기 권한을 가진 계정을 설정한다. 이 파일들은 CVSROOT 디렉토리에 기본적으로 존재하며, 필요에 따라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틀린 설명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스니핑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네트워크를 통과하는 패킷을 도청하여 아이디/암호 등을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엿보는 행위 이다.
  2. 스니핑은 더미허브 환경에서 모든 패킷을 모든 포트에 전달함으로써 쉽게 패킷을 캡쳐할 수 있다.
  3. 스니핑은 더미허브가 아닌 스위치를 사용함으로써 간단히 대처할 수 있다.
  4. 인터넷의 표준 프로토콜인 TCP/IP의 전송 방식이 암호화되지 않는 점도 스니핑이 가능한 이유이다.
(정답률: 46%)
  • "스니핑은 더미허브가 아닌 스위치를 사용함으로써 간단히 대처할 수 있다."는 틀린 설명이다. 스위치를 사용하더라도 스니핑을 막는 추가적인 보안 조치가 필요하다. 스위치는 패킷을 목적지로 전달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만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스니핑을 하기 위해서는 스위치에서 포트 미러링 등의 기능을 사용하여 패킷을 캡쳐해야 한다. 따라서 스위치를 사용하더라도 스니핑을 완전히 막을 수는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에 기술한 명령어 중 world-writable(누구나 쓰기 가능) 형식으로 되어 있는 파일을 찾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find / -type f \( -perm -04000 -o -perm -02000 \)
  2. find / -perm -2 -print
  3. find / -nouser -o -nogroup -print
  4. find / -name .rhosts -print
(정답률: 25%)
  • 정답은 "find / -perm -2 -print" 입니다. 이 명령어는 루트 디렉토리부터 시작하여 모든 파일 중 누구나 쓰기 가능한 파일을 찾아 출력합니다. -perm -2는 파일 권한 중 누구나 쓰기 가능한 권한을 나타내며, -print는 찾은 파일을 출력하는 옵션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집니다.

    - "find / -type f \( -perm -04000 -o -perm -02000 \)": 루트 디렉토리부터 시작하여 모든 파일 중 SUID나 SGID 권한이 설정된 파일을 찾아 출력합니다.
    - "find / -nouser -o -nogroup -print": 루트 디렉토리부터 시작하여 소유자나 그룹이 존재하지 않는 파일을 찾아 출력합니다.
    - "find / -name .rhosts -print": 루트 디렉토리부터 시작하여 이름이 .rhosts인 파일을 찾아 출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에서 설명하는 내용에 대한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해킹
  2. 크래킹
  3. 스캐닝
  4. 프록시
(정답률: 32%)
  • 이미 보안이 강화된 시스템에 불법적으로 침입하여 정보를 탈취하거나 조작하는 것을 크래킹이라고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에서 설명하는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NAT
  2. IDS
  3. VPN
  4. DMZ
(정답률: 54%)
  • DMZ는 Demilitarized Zone의 약자로, 외부와 내부 네트워크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내부로의 직접적인 접근을 막으면서 내부에서 외부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보안 구역입니다. 따라서 외부에서 내부로의 공격을 막기 위해 DMZ에 서버를 배치하고, 외부와 내부 네트워크를 분리하여 보안성을 높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에 반해, NAT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 IDS는 침입 탐지 시스템, VPN은 가상 사설망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 중 DoS(Denial of Service)에 대한 개념으로 틀린 것은?

  1. 공격의 원인이나 공격자를 추적하기 힘들다.
  2. 같은 공격에 대해서 각 시스템 마다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3. 루트 권한을 획득하는 공격이다.
  4. 데이터를 파괴하거나, 변조하거나, 훔쳐가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공격이 아니다.
(정답률: 71%)
  • 정답은 "루트 권한을 획득하는 공격이다." 이다. DoS는 서비스 거부 공격으로, 시스템이나 네트워크를 공격하여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도록 만드는 공격이다. 따라서 루트 권한을 획득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