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3-15)

리눅스마스터 1급
(2009-03-15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리눅스 실무의 이해

1. 운영체제를 기능에 따라 분류할 경우 아래의 설명에 해당하는 제어 프로그램(control program)은 무엇인가?

  1. 슈퍼바이저 프로그램(supervisor program)
  2. 작업 관리 프로그램(job management program)
  3.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data management program)
  4. 통신 관리 프로그램(communication management program)
(정답률: 93%)
  • 위 그림은 작업 관리 프로그램(job management program)의 기능을 나타내고 있다. 작업 관리 프로그램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작업들을 관리하며, 작업 스케줄링, 작업 제어, 작업 감시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위 그림에서 보이는 것처럼 작업 스케줄링, 작업 제어, 작업 감시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프로그램은 작업 관리 프로그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LRU (Least Recently Used) 기법을 이용하여 페이지 교체 기법을 사용하는 시스템에서 새로운 페이지를 적재하고자 한다. 어떤 페이지를 교체 하여야 하는가?

  1. 가장 먼저 기록된 페이지를 교체한다.
  2. 가장 최근에 적게 사용된 페이지를 교체한다.
  3. 적재된 지 가장 오래된 페이지를 교체한다.
  4. 가장 오랫동안 사용되지 않을 페이지를 교체 한다.
(정답률: 69%)
  • LRU 기법은 가장 최근에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를 교체하는 기법이다. 이유는 최근에 사용되지 않은 페이지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페이지를 교체함으로써 메모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자유 소프트웨어는 무엇에 구속되거나 얽매이지 않아도 되는 소프트웨어를 뜻한다. 자유 소프트 웨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프로그램의 작동 원리를 연구하고 이를 자신의 필요에 맞게 변경시킬 수 있는 자유
  2. 소프트웨어의 수정 및 수정본의 재배포는 인간이 해독 가능한 프로그램의 소스코드가 있어야만 가능
  3. 공익을 목적으로 프로그램을 복제하고 배포 할 수 있는 자유
  4. 개작과 배포를 허용하지 않는 상용 프로그램을 향상시키고 공익을 목적으로 무료로 배포할 수 있는 자유
(정답률: 74%)
  • "개작과 배포를 허용하지 않는 상용 프로그램을 향상시키고 공익을 목적으로 무료로 배포할 수 있는 자유"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자유 소프트웨어는 개인이 소프트웨어를 자유롭게 사용, 복제, 수정, 배포할 수 있는 것을 뜻한다. 상용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저작권이 보호되어 있어 개인이 자유롭게 사용, 수정, 배포할 수 없다. 따라서 상용 프로그램은 자유 소프트웨어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다음 중 자유소프트웨어의 분류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카피레프트 소프트웨어 : 소스코드의 개작 여부에 관계없이 원래의 배포 기준을 그대로 유지시켜야 하는 소프트웨어
  2. 공용 소프트웨어 : 저작권자가 저작권을 명시 적으로 포기했거나 저작권자를 알 수 없는 공개된 소프트웨어
  3. 프리웨어 : 배포는 허용되지 않지만 개작은 허용하는 소스코드가 공개되지 않는 소프트웨어
  4. 쉐어웨어 : 일정한 기간 동안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등의 부분적인 제한을 설정해서 배포하는 소프트웨어
(정답률: 72%)
  • 옳지 않은 분류 방법은 "프리웨어 : 배포는 허용되지 않지만 개작은 허용하는 소스코드가 공개되지 않는 소프트웨어"입니다. 이유는 프리웨어는 소스코드가 공개되어 있으며, 개인 및 상업적인 목적으로 자유롭게 사용, 배포, 개작이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따라서 "소스코드가 공개되지 않는" 부분이 옳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리눅스 배포판 (Distribution)의 패키지라고 할 수 없는 것은?

  1. 슬랙웨어 (Slackware)
  2. 맨드레이크 (Mandrake)
  3. 데비안 (Debian)
  4. 솔라리스 (Solaris)
(정답률: 83%)
  • 솔라리스는 리눅스 배포판이 아닌 유닉스 계열 운영체제이기 때문에 패키지라고 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다음 중 여러 대의 하드 디스크가 있을 때 동일한 데이터를 다른 위치에 중복해서 저장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1. SCSI
  2. RAID
  3. IDE
  4. EIDE
(정답률: 92%)
  • 정답은 "RAID"입니다. RAID는 여러 대의 하드 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인 디스크로 구성하는 기술로, 데이터를 중복 저장하여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고 성능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동일한 데이터를 다른 위치에 중복해서 저장하는 방법으로 RAID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SCSI, IDE, EIDE는 모두 하드 디스크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기술이며, RAID와는 다른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각 운영체제 별 부트 매니저의 역할을 담당하는 파일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DOS : config.sys
  2. Windows98 : msdos.sys
  3. Linux(LILO) : /bin/lilo.conf
  4. Linux(GRUB) : /boot/grub/grub.conf
(정답률: 52%)
  • Linux(LILO)의 부트 매니저 설정 파일은 /etc/lilo.conf이며, /bin/lilo는 LILO 부트 로더를 설치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Linux(LILO) : /bin/lilo.conf"는 잘못된 짝지어진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계층(tree) 구조를 사용하는 리눅스의 각 디렉토리 기능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root” : 루트 디렉토리라고 부르며 리눅스 시스템에서 가장 최상위 디렉토리
  2. “/bin” : 리눅스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명령어들이 모여 있는 디렉토리
  3. “/sbin” : 시스템 관리(부팅, 복구, 보수 등)를 위한 명령어들이 모여 있는 디렉토리
  4. “/etc” : 리눅스 시스템의 각종 환경설정에 연관된 파일들과 디렉토리들을 가진 디렉토리
(정답률: 64%)
  • "/root" 디렉토리는 일반 사용자가 아닌 시스템 관리자(root)의 홈 디렉토리를 의미한다. 따라서, "“/root” : 루트 디렉토리라고 부르며 리눅스 시스템에서 가장 최상위 디렉토리"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레드햇 리눅스와 국내 리눅스 배포판에서 적용되는 부팅디스켓을 만드는 과정의 순서를 바르게 나열한 것은 무엇인가?

  1. 가-나-다
  2. 나-가-다
  3. 나-다-가
  4. 다-나-가
(정답률: 62%)
  • 정답은 "나-가-다"이다.

    1. 먼저, 부팅디스크 이미지 파일을 다운로드 받는다. (나)
    2.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 파일을 USB나 CD/DVD 등의 매체에 복사한다. (가)
    3. 부팅디스크를 이용하여 시스템을 부팅하고, 설치 또는 복구 작업을 수행한다. (다)

    이 순서대로 진행해야 부팅디스크를 만들고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X 윈도우 시스템을 이루는 4가지 요소로 옳지 않은 것은?

  1. Server/Client
  2. X Protocol
  3. IPL(Initial Program Loader)
  4. Xlib, Xtoolkt
(정답률: 73%)
  • 정답은 "IPL(Initial Program Loader)"이다.

    IPL(Initial Program Loader)은 컴퓨터 부팅 시에 운영체제를 메모리에 로드하는 프로그램으로, X 윈도우 시스템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따라서, X 윈도우 시스템을 이루는 4가지 요소는 "Server/Client", "X Protocol", "Xlib, Xtoolk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GNOME (GNU Network Object Model Environment)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전용 윈도 매니저가 없는 대신에 대응 윈도매니저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윈도 매니저가 바뀌더라도 데스크톱의 중요한 부분들은 바뀌지 않는다.
  2. GNOME과 호환되지 않는 프로그램들의 기능도 충분히 살릴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드래그 앤 드롭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3. CORBA(Common Object Broker Architecture)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들의 작성 언어나 실행 가능한 기계에 대하여 종속적인 동작이 가능 하다.
  4. 사용자가 원하는 방법으로 데스크톱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정답률: 58%)
  • GNOME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CORBA(Common Object Broker Architecture)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들의 작성 언어나 실행 가능한 기계에 대하여 종속적인 동작이 가능 하다."가 아닌 것입니다. GNOME은 CORBA를 사용하여 소프트웨어들의 작성 언어나 실행 가능한 기계에 대하여 종속적인 동작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리눅스 쉘(Shell)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각 운영체제와 사용자가 대화하는 중간 창구 역할을 한다.
  2. 리눅스에서 사용자와 운영체제가 통신하는 주요 수단이다.
  3. 쉘의 종류로는 sh, csh, ksh, Bash이 있다.
  4. 표준 유닉스 명령 인터프리터로서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해석하지 못하고 단순히 커널에 넘겨준다.
(정답률: 91%)
  • "표준 유닉스 명령 인터프리터로서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해석하지 못하고 단순히 커널에 넘겨준다."는 옳지 않은 설명입니다. 쉘은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해석하고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사용자와 운영체제 간의 중간 창구 역할을 하며, 운영체제와 사용자가 통신하는 주요 수단입니다. 쉘의 종류로는 sh, csh, ksh, Bash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1. 쉘 스크립터 (Shell Script)
  2. MBR (Master Boot Record)
  3. 커널 (Kernel)
  4. LILO (LInux LOader)
(정답률: 73%)
  • 이 그림은 컴퓨터 부팅 과정에서 MBR (Master Boot Record)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보여줍니다. MBR은 하드 디스크의 첫 번째 섹터에 위치하며, 부팅 가능한 파티션을 찾아 부트로더를 실행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MBR은 컴퓨터 부팅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그림은 MBR이 부팅 과정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관리정보들을 포함하는 것은 무엇인가?

  1. 커널(Kernel)
  2. 쉘(Shell)
  3. GRUB
  4. 프로세스관리블록(PCB)
(정답률: 83%)
  • 위 그림은 프로세스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담고 있는 프로세스관리블록(PCB)을 나타내고 있다. PCB는 운영체제가 프로세스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하는 자료구조로, 프로세스의 상태, 우선순위, 메모리 할당 정보, 입출력 상태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따라서, PCB는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데 필수적인 정보를 담고 있기 때문에 정답이 "프로세스관리블록(PCB)"이다. 커널(Kernel)은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고, 시스템 자원을 관리한다. 쉘(Shell)은 사용자와 운영체제 간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프로그램이다. GRUB은 리눅스 부트로더로, 컴퓨터를 부팅할 때 운영체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해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프로세스의 시간 할당량 종료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인터럽트는 무엇인가?

  1. 시스템 호출 인터럽트(System Call Interrupt)
  2. 프로그램 검사 인터럽트(Program Check Interrupt)
  3. 콘솔 인터럽트(Console Interrupt)
  4. 클록 인터럽트(Clock Interrupt)
(정답률: 63%)
  • 정답: 클록 인터럽트(Clock Interrupt)

    이유: 클록 인터럽트는 시스템의 클록이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인터럽트를 발생시키는데, 이 때 프로세스의 시간 할당량이 끝나면 해당 프로세스는 인터럽트를 받아 CPU를 반환하게 된다. 따라서 프로세스의 시간 할당량 종료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인터럽트는 클록 인터럽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OSI7 Layer 물리계층에서 정의하는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기계적 특성
  2. 계층적 특성
  3. 절차적 특성
  4. 전기적 특성
(정답률: 54%)
  • 정답: "계층적 특성"

    설명: OSI7 Layer에서 물리계층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물리적 매체와 전기적 특성을 정의합니다. 따라서 "기계적 특성"과 "전기적 특성"은 물리계층에서 정의하는 것으로 옳습니다. "절차적 특성"은 물리계층에서 정의하지 않습니다. "계층적 특성"은 OSI7 Layer 전체에 걸쳐 적용되는 개념으로, 각 계층이 서로 독립적이고 통신을 위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광섬유를 구성하는 구성요소 중에서 클래딩(Cladding)의 역할은 무엇인가?

  1. 광섬유가 통과하는 통로역할을 한다.
  2. 외부충격으로부터 코어(Core)를 보호한다.
  3. 작은 굴절율의 투명한 덮개로 코어 외부를 싸고 있으며, 거울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여 빛을 반사한다.
  4. 외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박막 전도층으로 내부를 차단한다.
(정답률: 55%)
  • 클래딩은 광섬유 코어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작은 굴절율의 투명한 덮개로 코어 외부를 싸고 있으며, 거울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여 빛을 반사합니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여 광섬유의 광신호가 외부 간섭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특별한 목적으로 예약된 IP 주소가 아닌 것은?

  1. 호스트ID 필드의 비트값이 모두 ‘0’인 IP주소는 일반 호스트에는 할당할 수 없는 IP주소로 브로드 케스트 주소이다.
  2. 호스트ID 부분의 모든 값이 ‘0’ 이거나 ‘1’인 것은 이용하지 않는다.
  3. 클래스를 나타내는 ‘앞부분 비트(Prefix bit)’를 제외한 네트워크 ID부분의 비트 값이 모두 ‘0’ 또는 ‘1’로 되어 있는 것은 이용하지 않는다.
  4. IP 주소 중에서 127.으로 시작되는 주소는 어떠한 호스트에서도 IP주소로 할당할 수 없는 소프트웨어 루프백 주소이다.
(정답률: 53%)
  • 답: "클래스를 나타내는 ‘앞부분 비트(Prefix bit)’를 제외한 네트워크 ID부분의 비트 값이 모두 ‘0’ 또는 ‘1’로 되어 있는 것은 이용하지 않는다."

    호스트ID 필드의 비트값이 모두 ‘0’인 IP주소는 브로드 케스트 주소이기 때문에 일반 호스트에는 할당할 수 없다. 호스트ID 부분의 모든 값이 ‘0’ 이거나 ‘1’인 것은 이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네트워크 ID와 호스트ID를 나누는 기준이 되는 서브넷 마스크와 관련된 내용이다. IP 주소 중에서 127.으로 시작되는 주소는 소프트웨어 루프백 주소이기 때문에 호스트에서 IP주소로 할당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리눅스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종류가 아닌 것은?(문제 오류로 실제 시험에서는 모두 정답 처리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lo : 루프백 인터페이스
  2. ppp[number] : SLIP 인터페이스
  3. eth[number] : 이더넷 인터페이스
  4. plip[number] : Parallel 라인 인터페이스
(정답률: 79%)
  • 1. lo : 루프백 인터페이스 - 자기 자신으로 데이터를 보내는 가상 인터페이스로, 네트워크 연결 없이도 로컬 호스트에서 테스트 및 디버깅에 사용됩니다.
    2. ppp[number] : SLIP 인터페이스 - 시리얼 라인을 통해 연결된 다른 컴퓨터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3. eth[number] : 이더넷 인터페이스 - 이더넷 카드를 통해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4. plip[number] : Parallel 라인 인터페이스 - 병렬 포트를 통해 다른 컴퓨터와 통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입니다.

    따라서, 리눅스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종류는 모두 포함되어 있으므로 1번이 아닌 다른 보기는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중 리눅스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 하는 명령어와 관련이 없는 것은?

  1. ifconfig
  2. netconfig
  3. linuxconf
  4. netstat
(정답률: 72%)
  • 정답은 "linuxconf"입니다.

    "ifconfig"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상태를 확인하고 구성하는 명령어입니다.

    "netconfig"는 네트워크 구성을 관리하는 명령어입니다.

    "netstat"은 네트워크 연결 상태와 통계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하지만 "linuxconf"는 시스템 구성을 관리하는 GUI 도구이며, 네트워크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리눅스 시스템 관리

21. 다음 중 USB 마우스가 제대로 설정되어 있지 않을 때 확인하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마우스가 쉘에 의해 제대로 인식되는지 확인 한다.
  2. 마우스가 사용할 /dev 항목을 설정해야 한다.
  3. more/proc/interrupts를 실행하여 USB에 관한 내용을 확인한다.
  4. UHCI에서는 /proc/interrupts를 살펴보는 시간동안 지연된 시간(초)를 빼야한다.
(정답률: 37%)
  • "마우스가 쉘에 의해 제대로 인식되는지 확인 한다."는 USB 마우스가 제대로 설정되어 있지 않을 때 확인하는 방법이 아닙니다. 이는 마우스가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며, 설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것이 정답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키보드의 설정이 잘못되어 있을 때 확인 하는 방법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usr/lib/kbd/keytables에서 키보드의 종류에 따라서 적당한 키 테이블을 선택한다.
  2. 키보드를 설정할 권한을 얻기 위해 ~#chmod 666 /usr/lib/kbd/ 명령을 실행한다.
  3. /etc/profile에 키보드의 반복 비율과 지연 시간을 설정한다.
  4. 이탈리아 키보드의 경우 /etc/sysconfig/keyboard를 편집하여KEYTABLE="usr/lib/kbd/keytables/it.map"와 같이 되도록 한다.
(정답률: 37%)
  • "키보드를 설정할 권한을 얻기 위해 ~#chmod 666 /usr/lib/kbd/ 명령을 실행한다."가 옳지 않은 것이다. 이유는 chmod 666은 해당 파일에 대한 읽기 및 쓰기 권한을 모든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것이므로 보안상 위험하다. 대신에 root 권한으로 실행하여 적절한 권한을 설정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리눅스에서 pci 버스와 설치한 pci카드, 그리고 pci 버스를 사용하는 다른 장치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하여 필요한 사항으로 알맞은 것은?

  1. make mrproper 명령어를 실행한다.
  2. Ctrl + Alt + F1을 눌러 가상 터미널을 띄운다.
  3. /proc/pci 파일을 열어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4. /XF86Config 파일을 실행하여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
(정답률: 52%)
  • "/proc/pci 파일을 열어 내용을 확인 할 수 있다."는 리눅스에서는 모든 하드웨어 정보가 가상 파일 시스템인 proc 파일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proc/pci 파일을 열어서 pci 버스와 설치한 pci카드, 그리고 pci 버스를 사용하는 다른 장치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파일은 간단하게 cat 명령어를 사용하여 열어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 DMA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T: 시작하는 행은 토폴리지(Topology)이다.
  2. Lev : 장치의 레벨을 표시하며 레벨 00은 루트 허브를 표시한다.
  3. prnt : 프린트 포트로의 데이터 전송 표시이다.
  4. Port : 상위 장치의 포트이며 00은 각 장치의 첫째 포트이다.
(정답률: 40%)
  • 정답은 "prnt : 프린트 포트로의 데이터 전송 표시이다." 이다. DMA(Direct Memory Access)는 컴퓨터에서 주변 장치가 메모리에 직접 접근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을 말한다. DMA에서 prnt는 프린트 포트가 아니라, DMA 컨트롤러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안 해당 장치의 상태를 나타내는 표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직접 메모리 엑세스 (Direct Memory Access)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장치가 CPU로부터 컴퓨터 메인 버스를 계승하고 바이트 열을 메인 메모리에 직접 전송하는 것이 허가되는 장소이다.
  2. ISA 버스상의 장치가 DMA를 하려고 할 때 인터럽트를 이용해 처리한다.
  3. DMA 채널은 메인 버스를 모두 사용한다.
  4. DMA를 요구하기 위해서는 각 채널의 현재 상태를 저장하고 있는 장치가 물리적 장치의 디스크에 저장된다.
(정답률: 36%)
  • "DMA를 요구하기 위해서는 각 채널의 현재 상태를 저장하고 있는 장치가 물리적 장치의 디스크에 저장된다."는 옳지 않은 설명이다. DMA를 요구하기 위해서는 각 채널의 현재 상태를 저장하고 있는 장치가 아닌 DMA 컨트롤러가 필요하다. DMA 컨트롤러는 메모리와 I/O 장치 간 데이터 전송을 관리하는 하드웨어 장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컴파일러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소스로부터 수행 가능한 바이너리 코드를 만드는 과정은 무엇인가?

  1. 컴파일(Compile)
  2. 디버깅(Debugging)
  3. 로딩(Loading)
  4. 이식성(Porting)
(정답률: 73%)
  • 컴파일러는 프로그램 소스 코드를 읽어들여 기계어로 된 바이너리 코드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소스 코드의 문법적 오류를 검사하고, 기계어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최적화 작업도 수행합니다. 따라서 컴파일러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소스로부터 수행 가능한 바이너리 코드를 만드는 과정은 "컴파일(Compil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중 리눅스 커널을 계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여 컴파일 하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1. 새로운 하드웨어의 지원
  2. 시스템 관리 능력의 개선
  3. 속도의 개선
  4. 패키지프로그램 개발
(정답률: 72%)
  • 리눅스 커널을 계속적으로 업그레이드하여 컴파일하는 이유로 옳지 않은 것은 "패키지프로그램 개발"입니다. 리눅스 커널의 업그레이드는 시스템 관리 능력의 개선, 새로운 하드웨어의 지원, 속도의 개선 등을 위해 필요합니다. 패키지프로그램 개발은 리눅스 커널의 업그레이드와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리눅스 커널의 패치가 성공했다면, 패치 대상이 된 파일의 원본은 이름 끝에 ( ㉮ )를 붙혀 백업되고 패치과정에서 문제가 생겨 실패하였다면, 실패한 파일 이름 뒤에 ( ㉯ )를 붙인 파일을 만든다."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순서대로 ㉮ ㉯)

  1. 성공 : *.rej, 실패 : *.orig
  2. 성공 : *.orig, 실패 : *.rej
  3. 성공 : *.orig, 실패 : *.gz
  4. 성공 : *.gz, 실패 : *.rej
(정답률: 66%)
  • "리눅스 커널의 패치가 성공했다면, 패치 대상이 된 파일의 원본은 이름 끝에 ( ㉮ )를 붙혀 백업되고 패치과정에서 문제가 생겨 실패하였다면, 실패한 파일 이름 뒤에 ( ㉯ )를 붙인 파일을 만든다."에서 (㉮)은 성공한 파일의 백업 파일을 의미하고, (㉯)은 실패한 파일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공 : *.orig, 실패 : *.rej"이 정답이다. *.orig는 백업 파일의 확장자로 사용되고, *.rej는 패치 과정에서 거부된 변경 사항을 담은 파일의 확장자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리눅스 커널 컴파일 환경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아닌 것은?

  1. make config
  2. make fatchconfig
  3. make menuconfig
  4. make xconfig
(정답률: 68%)
  • 정답: make fatchconfig

    이유: make config, make menuconfig, make xconfig은 모두 리눅스 커널 컴파일 환경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이지만, make fatchconfig는 미리 설정된 기본값으로 환경 설정을 자동으로 구성하는 인터페이스이므로 사용자 지정 설정을 할 수 없다. 따라서, make fatchconfig는 환경 설정을 위한 인터페이스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리눅스 주변장치의 설정을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로 옳지 않은 것은?

  1. 새로운 디스크 포맷하기 : #mkfs.ext3 /dev/hdb1
  2. 새로운 디스크에 파티션 만들기 : #fdisk /dev/hdb
  3. 새로운 디스크 마운트 하기 : #mkdir /new-disk
  4. 리눅스 이외의 OS(DOS)가 사용하는 파티션 언 마운트 하기 : # umount /dos
(정답률: 78%)
  • 정답은 "리눅스 이외의 OS(DOS)가 사용하는 파티션 언 마운트 하기 : # umount /dos"입니다. 이유는 이 명령어는 마운트된 파티션을 언마운트하는 명령어이기 때문입니다.

    "새로운 디스크 마운트 하기 : #mkdir /new-disk"는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들어서 새로운 디스크를 마운트하기 위한 명령어입니다. 디스크를 마운트하기 전에는 해당 디렉토리가 존재해야 하므로 이 명령어는 옳은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의 루트 계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루트 계정이 되면 시스템을 제한 없이 운영 할 수 있다.
  2. 루트 사용자에서 일반 사용자로 바꾸려면 “su” 명령을 사용한다.
  3. 관리자라면 처음부터 루트 계정으로 로그인해서 작업하는 것이 권장된다.
  4. 루트 계정에서 일정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로그아웃 되도록 하는 게 좋다.
(정답률: 75%)
  • "루트 계정에서 일정시간 동안 사용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로그아웃 되도록 하는 게 좋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루트 계정은 시스템의 모든 권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실수로 중요한 파일을 삭제하거나 시스템을 망가뜨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보안상의 이유로 루트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대신 필요한 작업을 할 때마다 필요한 권한을 부여받아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작업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현재 쉘을 사용하는 사용자 계정을 확인하기 위한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whoami
  2. cat /etc/passwd
  3. myinfo
  4. login
(정답률: 69%)
  • 정답: "whoami"

    설명: "whoami" 명령은 현재 쉘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계정 이름을 출력하는 명령입니다. 반면에 "cat /etc/passwd" 명령은 시스템에 등록된 모든 사용자 계정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이며, "myinfo"와 "login"은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현재 쉘을 사용하는 사용자 계정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whoami" 명령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리눅스에서 제공하는 쉘의 종류를 알아보기 위한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cat /etc/shells
  2. ls /etc/shells
  3. /bin/bash
  4. ls /bin/shells
(정답률: 57%)
  • 정답은 "cat /etc/shells"입니다. 이 명령은 /etc/shells 파일을 출력하는 것으로, 이 파일은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쉘의 목록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명령을 사용하면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쉘의 종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ls /etc/shells"는 잘못된 경로를 사용하고 있으며, "/bin/bash"와 "ls /bin/shells"는 쉘의 종류를 확인하는 명령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그룹 계정 관리에 대한 설명 중 알맞은 것은?

  1. 그룹이 삭제되어도 그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의 권한은 절대 영향을 받지 않는다.
  2. 사용자가 속한 그룹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groups 명령을 사용한다.
  3. 특정 그룹에 권한을 지정하여 그 그룹 내에 사용자들을 포함시키는 것 보다 사용자 각각에 대해 권한을 지정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4. “/etc/passwd” 파일과 “/etc/group” 파일을 직접 변경하여 그룹을 변경하는 것이 좋다.
(정답률: 49%)
  • 사용자가 속한 그룹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groups 명령을 사용한다. 이는 간단하게 사용자가 속한 그룹을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su 명령으로 사용자를 변경할 때 변경하는 사용자의 쉘 환경으로 대체하기 위한 명령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su -c tester
  2. su tester
  3. su -l tester
  4. su -s tester
(정답률: 26%)
  • 정답은 "su -l tester"입니다.

    "su" 명령은 다른 사용자로 변경하는 명령입니다. 그러나 사용자를 변경할 때, 변경하는 사용자의 쉘 환경으로 대체하기 위해서는 "-l" 옵션을 사용해야 합니다. "-l" 옵션은 로그인 쉘을 사용하도록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따라서 "su -l tester" 명령은 "tester" 사용자로 변경하면서 "tester" 사용자의 로그인 쉘 환경으로 대체하겠다는 의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리눅스의 파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종류는 일반 파일, 디렉토리, 특수 파일 등이 있다.
  2. 일반 파일은 사용자가 평소에 사용하는 텍스트 파일들을 말하며 바이너리 파일은 제외한다.
  3. 디렉토리는 다른 파일들을 조작하고 액세스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4. 특수 파일은 리눅스가 자원을 관리하는 장치(device)를 가리킨다.
(정답률: 42%)
  • "일반 파일은 사용자가 평소에 사용하는 텍스트 파일들을 말하며 바이너리 파일은 제외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일반 파일은 텍스트 파일 뿐만 아니라 바이너리 파일도 포함한다. 바이너리 파일은 실행 파일, 라이브러리 파일, 이미지 파일 등을 말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bash_profile 파일에 대해 소유자, 그룹, 다른 사용자 모두에게 읽기 허가권을 부여 하는 명령은 무엇인가?

  1. chmod a+r .bash_profile
  2. chmod g-rwx .bash_profile
  3. chmod g+rw .bash_profile
  4. chmod a-w .bash_profile
(정답률: 68%)
  • 정답: "chmod a+r .bash_profile"

    이유:
    - "chmod"는 파일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 "a"는 all(모든 사용자)를 의미한다.
    - "+"는 권한을 추가한다는 의미이다.
    - "r"은 읽기 권한을 부여한다는 의미이다.
    - ".bash_profile"은 권한을 변경할 파일명이다.
    - 따라서 "chmod a+r .bash_profile"은 .bash_profile 파일에 대해 소유자, 그룹, 다른 사용자 모두에게 읽기 권한을 부여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중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복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무엇인가?

  1. fsck 명령은 file system consistency check 의 약자로 파일 시스템을 조사하여 손상된 파일을 출력 할 뿐 복구하지는 않는다.
  2. 최초에 파일 시스템을 재구축한 후에는 sync 명령을 수행하고 fsck 명령을 수행한 후 반드시 재부팅해야 한다.
  3. 복구 쉘은 모든 파일 시스템의 마운트를 해제하고 루트 파일 시스템을 “읽기전용”으로 마운트 한다.
  4. 복구할 수 없는 파일 시스템의 문제에 대비하여 응급 복구 디스크와 백업 본을 준비해 두어야 한다.
(정답률: 63%)
  • "fsck 명령은 file system consistency check 의 약자로 파일 시스템을 조사하여 손상된 파일을 출력 할 뿐 복구하지는 않는다."가 틀린 설명이다. fsck 명령은 파일 시스템의 일관성을 검사하고 손상된 파일을 복구하는 기능도 포함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리눅스 2.0.x 이상 버전의 커널을 가진 리눅스에서 지워진 파일을 복구하는 단계들이 기술된 것 중 가장 올바른 것은?

  1. 가장 먼저, 지워진 파일이 있는 파티션이 언마운트 되지 않도록 하고 혹시 언 마운트 되었다면 다시 마운트 한다.
  2. 지워진 파일이 있는 파티션 원본과 동일한 크기의 또 다른 비어있는 파티션에 dd 명령을 사용하여 내용을 복사한다.
  3. 복사본을 만들었으면 원본을 가지고 debugfs를 읽고 쓰기 모드로 실행하여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드는 작업부터 수행한다.
  4. 파일들의 첫 문자들을 입력받아 파일들을 복원하고 아이노드(i-node)들을 계산한다.
(정답률: 29%)
  • 지워진 파일은 디스크 상에서 삭제되지만, 실제로 데이터가 지워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디스크 상에 데이터가 남아있다. 따라서, 지워진 파일이 있는 파티션 원본과 동일한 크기의 또 다른 비어있는 파티션에 dd 명령을 사용하여 내용을 복사하면, 지워진 파일의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 이후에는 복사본을 만들었으면 원본을 가지고 debugfs를 읽고 쓰기 모드로 실행하여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드는 작업부터 수행하면 된다. 파일들의 첫 문자들을 입력받아 파일들을 복원하고 아이노드(i-node)들을 계산하여 복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리눅스 명령어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mount - 저장이나 입출력을 위한 하드웨어가 디렉토리에 연결된 것을 해제한다.
  2. mkfs -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어이다.
  3. touch - 새로운 파일 생성하고, 파일의 액세스 시간이나 갱신 시간을 수정한다.
  4. mkswap - 스왑 영역을 만드는 명령이다.
(정답률: 82%)
  • 정답은 "mount - 저장이나 입출력을 위한 하드웨어가 디렉토리에 연결된 것을 해제한다."가 아닌 "umount - 저장이나 입출력을 위한 하드웨어가 디렉토리에 연결된 것을 해제한다."이다.

    mount 명령어는 저장 장치를 특정 디렉토리에 연결하는 명령어이다.

    - mkfs: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어
    - touch: 새로운 파일 생성하고, 파일의 액세스 시간이나 갱신 시간을 수정하는 명령어
    - mkswap: 스왑 영역을 만드는 명령어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백그라운드(background) 및 포그라운드(foreground) 프로세스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는 대부분 CTRL-Z 키 입력을 받으면 포그라운드로 전환된다.
  2. 쉘 프롬프트에서 명령을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대부분 포그라운드로 프로세스를 띄우는 것이다.
  3. 포그라운드로 실행 중인 프로세스는 대부분 CTRL-C 키로 강제로 종료시킬 수 있다.
  4. 쉘에서 백그라운드로 프로세스를 실행시키면 그 프로세스의 종료 여부와 관계없이 쉘은 다른 명령을 받을 수 있다.
(정답률: 58%)
  •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는 대부분 CTRL-Z 키 입력을 받으면 포그라운드로 전환된다."가 틀린 설명이다. 실제로는 CTRL-Z 키 입력을 받으면 백그라운드로 전환된다. 이는 해당 프로세스를 일시적으로 중지시키고 백그라운드로 보내기 위한 것이다. 포그라운드로 전환하려면 "fg"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프로세스가 종료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사건들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그 프로세스가 속한 프로세스 그룹에 hangup 신호를 보낸다.
  2. 그 프로세스의 부모 프로세스와 모든 자식 프로세스들에게 종료 신호를 보낸다.
  3. 열린 파일들을 닫고 디렉토리를 반납한다.
  4. 프로세스를 종료하기 위해서는 exit() 시스템 호출을 수행한다.
(정답률: 32%)
  • "그 프로세스의 부모 프로세스와 모든 자식 프로세스들에게 종료 신호를 보낸다."는 프로세스가 종료될 때 발생하는 사건 중 하나이다. 이는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들이 종료될 때까지 기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하다. 따라서 이 보기는 해당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프로그램이 실행 중에도 hangup 신호와 무관하게 계속 실행되게 하기위한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1. nohup 명령 뒤의 인수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2. nice 명령으로 스케쥴링 우선권을 가장 높은 값인 -20으로 조정한다.
  3. kill 명령으로 SIGHUP 신호를 보낸다.
  4. crontab 명령으로 그 프로세스의 PID를 /etc/crontab 테이블에 신규로 저장한다.
(정답률: 48%)
  • 정답은 "nohup 명령 뒤의 인수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이다.

    nohup은 "no hang up"의 약자로, 프로그램이 실행 중에 터미널 세션이 종료되어도 프로그램이 계속 실행되도록 하는 명령어이다. nohup 명령 뒤에 실행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을 인수로 전달하면, 해당 프로그램은 hangup 신호와 무관하게 계속 실행된다. 이를 통해 백그라운드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장기간 실행되는 작업을 수행할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cron 명령이 필요에 따라 실행결과를 사용자에게 메일로 보내기 위한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1. /etc/crontab 파일의 ADMIN-E-MAIL 필드에 메일을 받을 사용자 이메일 주소를 지정한다.
  2. /etc/crontab 파일의 MAILTO 필드에 메일을 받을 사용자 이메일 주소를 지정한다.
  3. crontab -e 명령을 실행하면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이메일을 보낼 사용자 주소를 묻는 데 그 때 입력한다.
  4. crond 데몬을 실행하는 rc.local 의 ADMIN-EMAIL 필드에 메일을 받을 사용자 이메일 주소를 지정한다.
(정답률: 33%)
  • 정답은 "/etc/crontab 파일의 MAILTO 필드에 메일을 받을 사용자 이메일 주소를 지정한다."입니다. 이유는 cron은 실행 결과를 기본적으로 로그 파일에 저장하고, MAILTO 필드에 이메일 주소를 지정하면 해당 주소로 실행 결과를 메일로 보내줍니다. 따라서 이 방법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실행 결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fork()와 exec() 시스템 호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fork() 시스템 호출은 어떤 프로세스가 자신의 사본을 생성하는 데 사용한다.
  2. exec() 시스템 호출은 프로세스의 메모리 공간을 수행 가능 파일로 대체하여 다른 프로그램을 호출한다.
  3. exec() 시스템 호출을 수행해도 시스템 호출을 한 프로세스의 특성이 변하지 않는 한 전체 시스템 내의 프로세스 수는 동일하다.
  4. fork() 시스템 호출을 하면 자식 프로세스의 PID가 부모 프로세스에게 리턴되고 자식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의 PID를 받는다.
(정답률: 38%)
  • 정답은 "exec() 시스템 호출을 수행해도 시스템 호출을 한 프로세스의 특성이 변하지 않는 한 전체 시스템 내의 프로세스 수는 동일하다." 이다. exec() 시스템 호출을 수행하면 현재 프로세스의 메모리 공간이 새로운 프로그램의 코드와 데이터로 대체되므로 프로세스의 특성이 변한다.

    fork() 시스템 호출을 하면 부모 프로세스는 자식 프로세스의 PID를 받고, 자식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의 PID를 받는다. 이는 각각의 프로세스가 서로 다른 메모리 공간을 가지기 때문에 가능하다. 부모 프로세스는 fork() 호출 이전의 상태를 유지하면서 자식 프로세스를 생성하고, 자식 프로세스는 fork() 호출 이전의 상태를 그대로 복사받아 새로운 프로세스를 시작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rpm 명령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rpm -i foobar-1.0-1.i386.rpm : 파일을 통해 foobar 패키지를 설치한다.
  2. rpm -i ftp://ftp.foobar.com/pub/redhat/foobar-1.0-1.i386.rpm : FTP를 통해 foobar 패키지를 설치 한다.
  3. rpm -qa : 설치된 모든 패키지의 작동을 중단 시킨다.
  4. rpm -e mod_perl : mod_perl 패키지를 제거 한다.
(정답률: 70%)
  • "rpm -qa : 설치된 모든 패키지의 작동을 중단 시킨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rpm -qa는 설치된 모든 패키지의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작동을 중단시키는 명령어는 rpm -e (패키지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다음 dpkg 명령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dpkg -l : dpkg의 가능한 옵션들을 출력한다.
  2. dpkg --info foobar.deb : foobar 패키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3. dpkg --contents foobar.deb : foobar 패키지에 들어있는 파일들을 출력한다.
  4. dpkg --unpack foobar.deb : foobar 패키지를 풀기만 하고 설치하지 않는다.
(정답률: 49%)
  • 정답은 "dpkg -l : dpkg의 가능한 옵션들을 출력한다."이다. dpkg -l은 이미 설치된 패키지들의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dpkg -l : dpkg의 가능한 옵션들을 출력한다."는 틀린 설명이다. dpkg -h나 dpkg --help를 사용하면 dpkg의 가능한 옵션들을 출력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은 Makefile의 한 부분이다. ( )안에 들어갈 문자로 알맞은 것은?

  1. 탭 문자 ('\t')
  2. 스페이스 문자 (' ')
  3. '>' 문자
  4. '~' 문자
(정답률: 52%)
  • Makefile에서는 탭 문자를 사용하여 명령어와 명령어 실행 부분을 구분하기 때문에 정답은 "탭 문자 ('t')"입니다. 스페이스 문자나 다른 문자를 사용하면 Makefile이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다음 gcc의 옵션들 중 출력파일의 이름을 정하기 위한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I
  2. -L
  3. -c
  4. -o
(정답률: 57%)
  • "-o" 옵션은 출력파일의 이름을 정하는 옵션이다. 이 옵션 뒤에 출력파일의 이름을 지정하면 컴파일된 결과물이 해당 이름으로 저장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주어진 .tar 묶음 파일을 해제하여 풀어 주는 tar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tar xvf test.tar
  2. tar cvf test.tar
  3. tar tvf test.tar
  4. tar uvf test.tar
(정답률: 64%)
  • 정답: "tar xvf test.tar"

    해설:
    - "tar cvf test.tar":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들을 test.tar 라는 이름으로 묶음 파일을 생성한다.
    - "tar tvf test.tar": test.tar 라는 묶음 파일에 포함된 파일들의 목록을 출력한다.
    - "tar uvf test.tar": test.tar 라는 묶음 파일에 새로운 파일을 추가한다.
    - "tar xvf test.tar": test.tar 라는 묶음 파일을 해제하여 포함된 파일들을 현재 디렉토리에 풀어준다.

    따라서, 주어진 .tar 묶음 파일을 해제하여 풀어 주는 명령은 "tar xvf test.tar" 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로그 파일과 그에 대한 설명이 알맞게 짝지 어진 것은?

  1. 시스템 로그(/var/log/messages) - 리눅스 커널 로그 및 주된 로그
  2. 보안 로그(/var/log/secure) - 시스템 부팅 시 로그
  3. 부팅 로그(/var/log/boot.log) - 웹 사이트 방문 기록에 대한 로그
  4. 액세스 로그(/usr/local/apache/logs/access_log) - inetd에 의한 로그
(정답률: 69%)
  • 정답: "시스템 로그(/var/log/messages) - 리눅스 커널 로그 및 주된 로그"

    /var/log/messages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모든 로그를 기록하는 파일로, 시스템 로그와 커널 로그, 그리고 다양한 서비스의 로그를 포함합니다. 따라서 시스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반면, 보안 로그(/var/log/secure)는 시스템 보안과 관련된 로그를 기록하며, 부팅 로그(/var/log/boot.log)는 시스템 부팅 시 로그를 기록합니다. 마지막으로, 액세스 로그(/usr/local/apache/logs/access_log)는 웹 서버에서 발생하는 클라이언트의 요청과 응답에 대한 로그를 기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syslogd 데몬을 실행하고 종료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sbin/syslogd” 데몬을 실행시키고 종료시키는 것은 “/etc/rc.d/init.d/syslog” 라는 스크립트를 통해서 하는 것이 좋다.
  2. 로그 데몬을 처음 시작할 때는 스크립트가 있는 디렉토리에서 “./syslog start” 명령으로 실행시킨다.
  3. 로그 데몬을 재시작할 때는 스크립트가 있는 디렉토리에서 “./syslog replay” 명령으로 실행 시킨다.
  4. 로그 데몬을 종료시킬 때는 스크립트가 있는 디렉토리에서 “./syslog stop” 명령으로 실행 시킨다
(정답률: 60%)
  • 정답은 "로그 데몬을 재시작할 때는 스크립트가 있는 디렉토리에서 “./syslog replay” 명령으로 실행 시킨다." 이다. 이유는 "replay"는 syslogd 데몬을 재시작하는 명령어가 아니라, 이전에 로그된 메시지를 다시 보여주는 명령어이기 때문이다. 올바른 재시작 명령어는 "restar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부팅시 문제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부팅 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dmesg | less
  2. cat /var/log/messages | grep "Boot" | less
  3. /etc/rc.d/init.d/syslog showboot
  4. bootmesg | less
(정답률: 49%)
  • 정답: dmesg | less

    설명: dmesg 명령은 시스템 부팅 후 커널이 출력한 메시지를 보여주는 명령이다. 이 명령을 파이프(|)를 이용하여 less 명령과 함께 사용하면 부팅 시 출력된 메시지를 페이지 단위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부팅 시 발생한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부팅 메시지를 출력하는 명령이 아니거나, 부팅 시 발생한 문제점을 파악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명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부트 로더 (boot loader)를 보안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ROM-BIOS의 사용자 패스워드와 어드민 패스워드를 설정한다.
  2. LILO를 사용하면 password와 restricted 명령어를 설정하고 GRUB에서는 password 명령을 설정한다.
  3. xlock과 vlock 명령을 사용한다.
  4. 부트 로그인 /var/log/boot.log의 파일 퍼미션을 사용자(user)만 쓸 수 있도록 한다.
(정답률: 33%)
  • LILO와 GRUB은 부트 로더로서 시스템을 부팅할 때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이들을 보안하는 방법으로는 LILO에서는 password와 restricted 명령어를 설정하고, GRUB에서는 password 명령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설정하면 부팅 시에 비밀번호를 입력해야만 부트 로더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보안성이 높아진다. ROM-BIOS의 사용자 패스워드와 어드민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것은 부트 로더를 보안하는 방법이 아니며, xlock과 vlock 명령을 사용하거나 부트 로그인 /var/log/boot.log의 파일 퍼미션을 사용자(user)만 쓸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부트 로더를 보안하는 방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중 일반 사용자나 슈퍼 유저의 접근을 제한하는 방법으로 틀린 것은?

  1.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 계정은 삭제한다.
  2. 책임 관계가 불분명해지므로 공유하는 사용자 계정은 만들지 않도록 한다.
  3. /etc/securetty 파일을 설정하여 root로 로그인 하지 못하게 한다.
  4. /etc/nologin 파일을 만들어서 필요 없는 사용자의 접근을 막는다.
(정답률: 39%)
  • "/etc/nologin 파일을 만들어서 필요 없는 사용자의 접근을 막는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이 방법은 로그인 시도 시 /etc/nologin 파일이 존재하면 해당 파일에 작성된 메시지를 출력하고 로그인을 거부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접근을 제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tripwire 명령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무결성 검사를 위해서 “tripwire --check”를 입력한다.
  2. 이메일 경고 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tripwire --test --email admin@mytest.com”을 입력한다.
  3. 주기적인 점검을 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tripwire 프로그램을 실행해 줄 수 밖에 없다.
  4. 데이터베이스와 리포트 파일을 텍스트로 출력하기 위해서는 “twprint --print-dbfile > db.txt”을 입력한다.
(정답률: 56%)
  • "주기적인 점검을 하기 위해서는 관리자가 주기적으로 tripwire 프로그램을 실행해 줄 수 밖에 없다."가 틀린 설명이다. Tripwire는 스케줄러를 사용하여 주기적으로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자가 수동으로 실행할 필요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tripwir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tripwire는 MD5, SHA, CRC-32등의 다양한 암호화 함수를 제공한다.
  2. 두 호스트간의 통신 암호화와 사용자 인증을 위해 공개키 암호기법을 사용한다.
  3. 파일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불법적인 외부 침입자에 의한 파일 변조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4. tripwire는 기본적으로 /etc/tripwire디렉토리에 설치된다.
(정답률: 48%)
  • "두 호스트간의 통신 암호화와 사용자 인증을 위해 공개키 암호기법을 사용한다."이 틀린 설명입니다. Tripwire는 파일 무결성 검사 도구로, 파일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 불법적인 외부 침입자에 의한 파일 변조여부를 판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Tripwire는 암호화나 인증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백업 요령 중 가장 알맞지 않은 것은?

  1. 2년 넘게 보관된 백업 테이프들은 절대적으로 필요 없기 때문에 체계적으로 폐기한다.
  2. 자료의 가치에 따라 다른 백업 전략을 취한다.
  3. 백업 테이프는 번갈아 가면서 사용한다.
  4. 백업을 한 후에는 백업 테이프에 쓰기 방지를 해 둔다.
(정답률: 70%)
  • "2년 넘게 보관된 백업 테이프들은 절대적으로 필요 없기 때문에 체계적으로 폐기한다."는 알맞지 않은 요령이다. 백업 데이터의 중요성과 보존 기간은 기업이나 조직의 정책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정 기간이 지나면 폐기하는 것이 아니라 보관 기간을 재검토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 보관을 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cpio 명령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바이트 스와핑이 가능하다.
  2. 파이프를 통해 다른 프로그램으로 데이터를 넘겨 줄 수 있다.
  3. 네트워크를 통한 백업은 지원하지 않는다.
  4. cpio 명령만 이용하여 디렉토리 트리를 옮길 수 있다.
(정답률: 32%)
  • "cpio 명령만 이용하여 디렉토리 트리를 옮길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cpio 명령은 파일과 디렉토리를 아카이브로 묶거나 압축 해제하는 데 사용되지만, 디렉토리 트리를 복사하려면 tar 명령을 사용해야 합니다. tar 명령은 디렉토리 트리를 보존하면서 파일과 디렉토리를 아카이브로 묶거나 압축 해제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rdist 명령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여러 호스트에 파일들이 동일하도록 유지시키는 시스템 관리 명령어이다.
  2. rdist는 파일을 복제할 때 기본적으로 ssh를 사용하여 통신하며 다른 프로그램의 사용이 불가능하다.
  3. rdist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etc/hosts.equiv” 파일과 “/.rhosts” 파일을 원하는 host와 사용자에 맞게 편집해 주어야 한다.
  4. 복수의 시스템들 사이에 복제, 변경되는 파일들만 서로 갱신하면서 중요한 파일들의 변경 사항을 감시할 수 있다.
(정답률: 52%)
  • "rdist는 파일을 복제할 때 기본적으로 ssh를 사용하여 통신하며 다른 프로그램의 사용이 불가능하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rdist는 기본적으로 rsh를 사용하여 통신하며, ssh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프로그램의 사용도 가능하다.

    따라서 정답은 "rdist는 파일을 복제할 때 기본적으로 ssh를 사용하여 통신하며 다른 프로그램의 사용이 불가능하다."가 아니라 "rdist는 기본적으로 rsh를 사용하여 통신하며, ssh를 사용할 수도 있고 다른 프로그램의 사용도 가능하다."이다.

    rdist는 여러 호스트에 파일들이 동일하도록 유지시키는 시스템 관리 명령어이며, rdist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etc/hosts.equiv” 파일과 “/.rhosts” 파일을 원하는 host와 사용자에 맞게 편집해 주어야 한다. 또한 복수의 시스템들 사이에 복제, 변경되는 파일들만 서로 갱신하면서 중요한 파일들의 변경 사항을 감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

61. 동적인 웹페이지 및 웹 사용자들의 참여가 가능한 사이트로 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CGI(Common Gateway Interfac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GI 프로토콜은 단순해서 사용하기가 간단하다.
  2. 여러 개의 CGI 스크립트를 동작시키면 서버내의 메모리를 많이 차지한다.
  3. CGI의 스크립트는 제한된 언어로만 코딩될 수 있다.
  4. CGI 스크립트의 작성에 많이 사용되는 언어로 초기에는 C나 perl이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PHP, ASP 등이 사용되고 있다.
(정답률: 74%)
  • "CGI의 스크립트는 제한된 언어로만 코딩될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CGI 스크립트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될 수 있습니다. 초기에는 C나 Perl이 많이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PHP, ASP, Python 등 다양한 언어가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서버관리자 홍길동은 아파치를 설치하여 웹서버를 구성하고자 한다. 아파치 웹사이트에 접속해보니 3가지 버전으로 제공되고 있다. 다음 조건이라면 가장 적합한 아파치 버전은?

  1. 아파치 1.3
  2. 아파치 2.0
  3. 아파치 2.2
  4. 3가지 버전 모두 가능
(정답률: 46%)
  • 이유: 서버관리자 홍길동이 사용하고 있는 운영체제가 Windows Server 2008 R2이므로, 아파치 2.0 버전이 가장 적합하다. 이는 아파치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Windows용 아파치 버전 중에서 윈도우 서버 2008 R2를 지원하는 버전이 아파치 2.0이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운영 중인 아파치 웹서버의 성능을 테스트(Benchmarking)하고자 한다. 이 경우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ab
  2. apxs
  3. htdigest
  4. rotatelogs
(정답률: 33%)
  • 정답은 "ab"이다. "ab"는 Apache HTTP 서버 벤치마크 도구로, 웹 서버의 성능을 테스트하고 부하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웹 서버의 성능을 측정하고 최적화할 수 있다. "apxs"는 Apache HTTP 서버 확장 모듈을 빌드하고 설치하는 도구이며, "htdigest"는 Apache HTTP 서버의 인증 파일을 생성하는 도구이다. "rotatelogs"는 Apache HTTP 서버의 로그 파일을 자동으로 회전시켜주는 도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아파치 웹서버를 설치하고 하나의 IP주소에 여러 도메인을 부여하는 가상 호스트를 설정하였다. httpd 명령어를 사용하여 가상호스트 관련 설정을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해야 할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d
  2. -S
  3. -f
  4. -X
(정답률: 36%)
  • 정답은 "-S"입니다.

    "-S" 옵션은 아파치 웹서버의 설정 파일에서 가상 호스트 관련 설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해주는 옵션입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아파치 웹서버가 현재 사용 중인 모든 가상 호스트의 정보를 출력해줍니다. 이를 통해 가상 호스트의 도메인 이름, 포트 번호, 문서 루트 경로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 옵션은 아파치 웹서버의 루트 디렉토리를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f" 옵션은 아파치 웹서버의 설정 파일 경로를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X" 옵션은 아파치 웹서버를 디버그 모드로 실행하는 옵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아파치 환경 설정파일인 httpd.conf에서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의 수를 지정하는 항목으로 알맞은 것은?

  1. Clients
  2. Instances
  3. MaxInstances
  4. MaxClients
(정답률: 49%)
  • 정답은 "MaxClients"입니다. 이는 동시에 접속할 수 있는 최대 클라이언트 수를 지정하는 항목입니다. 이 값을 너무 낮게 설정하면 서버가 과부하가 걸리거나 클라이언트가 연결을 거부받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너무 높게 설정하면 서버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값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아파치 환경 설정파일인 httpd.conf에서 웹 문서(html파일)중 가장먼저 읽어 들이는 파일명을 지정하는 항목은?

  1. DocumentRoot
  2. ServerAdmin
  3. DirectoryIndex
  4. ServerRoot
(정답률: 47%)
  • "DirectoryIndex"는 웹 서버가 웹 문서를 처리할 때 가장 먼저 읽어들이는 파일명을 지정하는 항목입니다. 이 항목을 설정하면 웹 서버는 해당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중에서 설정된 파일명을 가진 파일을 먼저 읽어들이게 됩니다. 예를 들어, "DirectoryIndex index.html"로 설정하면 웹 서버는 해당 디렉토리에 있는 "index.html" 파일을 가장 먼저 읽어들이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아파치와 PHP, MySQL을 연동 설치한 후 test.php를 만들어 확인하고자 한다. 다음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는 것은?

  1. phpinfo();
  2. testphp();
  3. phptest() ;
  4. testinfo();
(정답률: 44%)
  • phpinfo(); 함수는 PHP의 현재 설정과 환경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보여주는 함수이다. 따라서 아파치와 PHP, MySQL을 연동 설치한 후 test.php를 만들어 확인하고자 할 때, phpinfo(); 함수를 사용하여 PHP가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설정이 올바른지, MySQL과의 연동이 잘 되었는지 등을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MySQL을 아래의 옵션으로 configure해서 설치가 된 상태이다. MySQL 관리자로부터 재설치할 예정이니 데이터만 tar로 백업해달라는 요청을 받았다. 백업해야할 디렉토리로 알맞은 것은?

  1. /usr/local/mysql/data
  2. /usr/local/mysql/var
  3. /usr/local/mysql/share
  4. /usr/local/mysql/bin
(정답률: 42%)
  • MySQL은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usr/local/mysql/var 디렉토리에 저장한다. 따라서 데이터를 백업하기 위해서는 이 디렉토리를 백업해야 한다. /usr/local/mysql/data 디렉토리는 MySQL 5.5 이전 버전에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usr/local/mysql/share 디렉토리는 MySQL 설치에 필요한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고, /usr/local/mysql/bin 디렉토리는 MySQL 실행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아파치, PHP, MySQL 연동 웹서버를 구성하고자 한다.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보안 웹서버를 구성하기 위해 추가로 설치해야 되는 프로그램으로 알맞은 것은?

  1. Jserv
  2. SWAT
  3. ZendOptimizer
  4. OpenSSL
(정답률: 59%)
  • 정답은 "OpenSSL"입니다. OpenSSL은 암호화와 보안 프로토콜을 구현하는 오픈 소스 라이브러리입니다. HTTPS와 같은 보안 통신을 위해 SSL/TLS 프로토콜을 구현하고, 데이터의 암호화와 복호화를 수행합니다. 따라서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보안 웹서버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OpenSSL을 설치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은 삼바 서버의 설정 파일인 smb.conf파일의 일부이다. 다음의 설정과 관련된 내용 중 가장 알맞은 것은?

  1. staff 그룹에 속한 삼바사용자 posein은 /data에 읽기만 가능하다.
  2. 삼바 사용자인 yuloje는 /data에 접근하여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3. /data 디렉토리는 staff라는 사용자를 제외하고는 파일 생성이 가능하다.
  4. /data 디렉토리는 모든 삼바 유저가 접근가능 하지만 파일 생성은 staff그룹에 속한 사용자들만 가능하다.
(정답률: 56%)
  • "/data 디렉토리는 모든 삼바 유저가 접근가능 하지만 파일 생성은 staff그룹에 속한 사용자들만 가능하다." 이유는 "create mask = 0660" 설정으로 인해 새로운 파일이 생성될 때, 해당 파일의 권한이 0660으로 설정되기 때문이다. 이는 소유자와 그룹에 대해서는 읽기, 쓰기 권한이 있고, 다른 사용자에 대해서는 권한이 없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staff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만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모든 삼바 유저는 /data 디렉토리에 접근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삼바 서버에서는 초기 SMB(Server Message Block)프로토콜을 사용했으나 지금은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이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다음 중 알맞은 것은?

  1. NIS
  2. CIFS
  3. RPC
  4. NFS
(정답률: 34%)
  • CIFS는 Common Internet File System의 약자로, 클라이언트/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하는 파일 공유 프로토콜이다. 이전에는 SMB 프로토콜을 사용했지만, 이제는 CIFS가 대부분의 운영체제에서 지원되고 있어 더욱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삼바 서버에서도 CIFS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리눅스 클라이언트에서 윈도우 서버에 공유되어 있는 폴더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삼바관련 명령어는?

  1. smbclient
  2. smbstatus
  3. testparm
  4. smbmount
(정답률: 40%)
  • 정답은 "smbclient"입니다.

    "smbclient"는 삼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윈도우 서버에 공유되어 있는 폴더를 확인하고 파일을 읽거나 쓸 수 있습니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삼바 서버에 연결하여 파일 및 폴더를 검색하고, 다운로드 및 업로드할 수 있습니다.

    반면, "smbstatus"는 현재 삼바 서버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이고, "testparm"은 삼바 설정 파일의 구문 오류를 검사하는 명령어입니다. "smbmount"는 리눅스에서 삼바 공유 폴더를 마운트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NFS 서버의 설정 파일인 /etc/exports의 옵션 중 클라이언트 접근 관련 설정인 root_squash와 all_squash의 설명 중 알맞은 것은?

  1. root로 접근시 root_squash는 nobody권한으로 인정되고, all_squash는 root권한으로 인정된다.
  2. root로 접근시 root_squash는 root권한으로 인정되고, all_squash는 nobody권한으로 인정된다.
  3. 일반사용자로 접근시 root_squash는 nobody 권한으로 인정되고, all_squash는 해당 계정 권한으로 인정된다.
  4. 일반사용자로 접근시 root_squash는 해당 계정 권한으로 인정되고, all_squash는 nobody계정으로 인정된다.
(정답률: 45%)
  • 일반사용자로 접근시 root_squash는 해당 계정 권한으로 인정되고, all_squash는 nobody계정으로 인정된다.

    root_squash 옵션은 root 계정으로 접근할 경우 해당 계정을 nobody 계정으로 인식하도록 설정하는 옵션이며, all_squash 옵션은 모든 사용자가 접근할 경우 nobody 계정으로 인식하도록 설정하는 옵션이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로 접근할 경우 root_squash는 해당 계정 권한으로 인정되고, all_squash는 nobody 계정으로 인정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NFS 서버와 클라이언트간의 통신 방법으로 RPC(Remote Procedure Call)를 사용하는데, 이 프로토콜을 사용하기 위해 서버 및 클라이언트에 반드시 동작시켜야 할 데몬은 무엇인가?

  1. xinetd
  2. portmap
  3. autofs
  4. tcpd
(정답률: 46%)
  • RPC는 네트워크 상에서 프로시저 호출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이다. NFS에서도 RPC를 사용하기 때문에, NFS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RPC를 지원하는 데몬이 필요하다. 이 중에서 NFS에서는 portmap 데몬을 사용한다. portmap은 RPC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포트 번호를 매핑해주는 역할을 하며, NFS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위해서는 반드시 동작해야 한다. 따라서 정답은 "portma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NFS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호스트 이름과 마운트된 디렉토리를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

  1. showmount
  2. nfsstat
  3. exportfs
  4. nhfsstone
(정답률: 57%)
  • 정답은 "showmount"입니다. 이 명령어는 NFS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의 호스트 이름과 마운트된 디렉토리를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를 통해 NFS 서버에서 어떤 클라이언트가 어떤 디렉토리를 마운트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NFS와 관련된 명령어이지만, 이 문제에서 요구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은 ProFTPD 서버의 설정 파일인 proftpd.conf 파일의 일부이다. 다음 설정과 관련된 내용 중 틀린 것은?

  1. 192.168.3.15에서 접속하는 익명사용자는 홈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2. 192.168.3.15에서 접속하는 익명사용자는 홈디렉토리에 파일 업로드가 가능하다.
  3. 192.168.3.22에서 접속하는 익명사용자는 홈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다운로드만 가능하다.
  4. 접속한 IP주소에 상관없이 접속한 익명사용자는 로그인 가능하다.
(정답률: 53%)
  • 설정 파일에서 "RequireValidShell off" 옵션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접속한 IP 주소에 상관없이 익명 사용자는 로그인이 가능하다. 이 옵션은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 유효한 쉘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로그인이 가능하도록 설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접속한 IP주소에 상관없이 접속한 익명사용자는 로그인 가능하다."가 맞는 답이다. "192.168.3.15에서 접속하는 익명사용자는 홈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192.168.3.15에서 접속하는 익명사용자는 홈디렉토리에 파일 업로드가 가능하다.", "192.168.3.22에서 접속하는 익명사용자는 홈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다운로드만 가능하다."는 설정 파일에서 언급되지 않았으므로 틀린 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운영 중인 ProFTPD의 root 접속을 허가하자고 한다. 다음 중 proftpd.conf 파일에 추가해야 할 항목으로 알맞은 것은?

  1. RootLogin on
  2. RootLogin off
  3. PermitRootLogin yes
  4. PermitRootLogin no
(정답률: 39%)
  • 정답: "RootLogin on"

    설명: ProFTPD에서 root 계정으로의 접속을 허용하려면 "RootLogin on"을 proftpd.conf 파일에 추가해야 합니다. 이 옵션은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으며, 보안상의 이유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옵션을 사용하기 전에 잘 고려해야 합니다. "RootLogin off"는 root 계정으로의 접속을 비활성화하는 옵션입니다. "PermitRootLogin yes"와 "PermitRootLogin no"는 SSH 서버에서 root 계정으로의 접속을 허용하거나 거부하는 옵션입니다. ProFTPD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proftpd.conf 파일에서는 <Limit>를 사용하여 <Directory>와 <Anonymous>에 적용된 설정을 제한 할 수 있다. 다음 중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파일을 전송할 경우를 제한하고자 할 때 사용해야 할 command로 알맞은 것은?

  1. LOGIN
  2. RETR
  3. STOR
  4. DIRS
(정답률: 29%)
  • 정답은 "STOR"이다.

    "STOR"는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파일을 전송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Limit>를 사용하여 <Directory>와 <Anonymous>에 "STOR" 명령어를 제한하면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파일을 전송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 "LOGIN":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로그인하는 명령어
    - "RETR":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파일을 전송하는 명령어
    - "DIRS": 서버에서 디렉토리 목록을 전송하는 명령어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은 메일 서비스와 관련된 프로그램들이다. 다음 나열된 프로그램 중 나머지 3개와 종류가 다른 프로그램은?

  1. Procmail
  2. Qmail
  3. Postfix
  4. Sendmail
(정답률: 37%)
  • 정답: "Procmail"

    나머지 3개의 프로그램(Qmail, Postfix, Sendmail)은 모두 메일 전송을 위한 에이전트(메일 서버)이지만, Procmail은 메일 필터링 및 정리를 위한 로컬 데몬 프로그램이다. Procmail은 메일을 받아들이고, 사용자가 지정한 규칙에 따라 메일을 분류하고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Procmail은 메일 서버와는 다른 종류의 프로그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Sendmail로 메일 서버를 구축하고 POP3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화벽에서 허가해야 할 포트로 알맞은 것은?(단, 이 메일 서버는 기본 well-known 포트를 사용하고 있다.)

  1. 23, 110
  2. 25, 110
  3. 23, 143
  4. 25, 143
(정답률: 58%)
  • 정답은 "25, 110"이다.

    25번 포트는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를 사용하여 이메일을 보내는 데 사용되며, 110번 포트는 POP3(Post Office Protocol version 3)를 사용하여 이메일을 받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이메일 서버를 구축하고 POP3 서비스를 제공하려면 방화벽에서 25번과 110번 포트를 허용해야 한다.

    다른 보기들은 23번 포트(Telnet)와 143번 포트(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들은 이메일 서버와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다른 프로토콜에 사용되는 포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서버 관리자인 홍길동은 리눅스 시스템 및 Sendmail 서버를 관리하고 있다. 고객지원부서에서 webmaster계정으로 들어오는 메일을 고객 지원부서 전체 사원이 받을 수 있도록 요청이 와서 /etc/aliases에 등록하였다. 다음 중 설정 후 반드시 실행시켜야 할 명령어는?

  1. mail -v
  2. mailq
  3. sendmail -bp
  4. newaliases
(정답률: 45%)
  • 정답은 "newaliases"입니다.

    이유는 /etc/aliases 파일에 새로운 이메일 주소를 추가하거나 변경한 경우, 이 변경 사항을 적용하기 위해 "newaliases" 명령어를 실행해야 합니다. 이 명령어는 /etc/aliases 파일을 읽어서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파일을 생성하고, Sendmail 서버가 이를 읽어들일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이 명령어를 실행하지 않으면 새로운 이메일 주소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Sendmail 서버나 메일 큐 등과 관련된 명령어이지만, /etc/aliases 파일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으므로 정답이 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Sendmail을 이용하여 메일 서버를 구축하고 있다. 다음 중 사용할 도메인을 등록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mail/sendmail.mc
  2. /etc/mail/virtusertable
  3. /etc/mail/local-host-names
  4. /etc/aliases
(정답률: 46%)
  • "/etc/mail/local-host-names" 파일은 Sendmail이 수신할 도메인 이름을 지정하는 파일이다. 이 파일에 등록된 도메인 이름은 Sendmail이 메일을 수신할 수 있는 도메인으로 인식하게 된다. 따라서 이 파일에 사용할 도메인을 등록해야 Sendmail이 해당 도메인으로부터 메일을 수신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Sendmail을 이용하여 메일서버를 운영하고 있다. spammer@ihd.or.kr에서 전송되는 메일을 차단하려 할 때 사용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mail/access
  2. /etc/mail/virtusertable
  3. /etc/mail/local-host-names
  4. /etc/aliases
(정답률: 65%)
  • 정답은 "/etc/mail/access"입니다.

    이 파일은 Sendmail에서 접근 제어를 위해 사용되며, 특정 도메인이나 이메일 주소를 차단하거나 허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pammer@ihd.or.kr에서 전송되는 메일을 차단하려면 이 파일에 해당 도메인이나 이메일 주소를 추가하여 차단하면 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Sendmail에서 사용되는 파일이지만, spammer@ihd.or.kr에서 전송되는 메일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이 파일들을 사용할 필요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Sendmail로 메일서버를 운영 중인데 외부로 메일을 전송하면 설정한 발신자 도메인이 제대로 인식 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 경우 sendmail.cf에서 해당 도메인을 지정할 때 사용하는 항목으로 알맞은 것은?

  1. Cw
  2. Fw
  3. Dj
  4. Dn
(정답률: 30%)
  • sendmail.cf에서 해당 도메인을 지정할 때 사용하는 항목은 "Dj"이다. "Dj"는 "Define the domain name that this machine considers itself to be in"의 약자로, 이 기능은 sendmail이 메일을 보낼 때 사용하는 기본 도메인 이름을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따라서 이 항목을 올바르게 설정하면 외부로 메일을 보낼 때 발신자 도메인이 제대로 인식되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Sendmail로 메일서버를 운영 중에 있다. 일반 계정 사용자가 현재 운영 중인 서버로 들어오는 메일을 다른 메일서버로 전송하고 싶다는 요청이 들어왔다. 이 경우에 사용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rhosts
  2. .exrc
  3. .forward
  4. .message
(정답률: 52%)
  • 알맞은 파일은 ".forward" 파일이다. 이 파일은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위치하며, 해당 사용자가 받은 메일을 다른 메일서버로 전달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이 파일에는 전달하고자 하는 메일 주소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일반 계정 사용자가 받은 메일을 다른 메일서버로 전달하고자 하므로, 해당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forward" 파일을 생성하고, 전달하고자 하는 메일 주소를 입력하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메일서버에서 외부로 전송되는 메일이 대기하는 디렉토리로 알맞은 것은?

  1. /etc/mail/spool
  2. /var/spool/mail
  3. /etc/mail/mqueue
  4. /var/spool/mqueue
(정답률: 39%)
  • "/var/spool/mqueue"는 메일서버에서 외부로 전송되는 메일이 대기하는 디렉토리이다. 이 디렉토리는 메일을 보내기 전에 처리되어야 할 작업들을 수행하고, 메일을 보내기 위해 대기하는 곳이다. 따라서 이 디렉토리는 메일서버에서 가장 중요한 디렉토리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중 취약한 전자우편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암호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1. SSL(Secure Sockets Layer)
  2. PAM(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
  3. MD5
  4. PGP(Pretty Good Privacy)
(정답률: 43%)
  • PGP(Pretty Good Privacy)은 전자우편의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암호화 방법 중 하나입니다. PGP는 공개키 암호화 방식을 사용하여 전자우편의 내용을 암호화하고, 인증서를 통해 보안성을 보장합니다. 이를 통해 전자우편의 내용이 누출되더라도 암호화되어 있어 해독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PGP는 전자우편 보안을 강화하는 데 매우 유용한 암호화 방법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다음 /etc/xinetd.conf 파일의 내용 중 cps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초당 연결수가 30개 이상이 되면 25초 동안 연결을 비활성화 한다.
  2. 초당 연결수가 25개 이상이 되면 30초 동안 연결을 비활성화 한다.
  3. 1개 IP주소 당 접속 수가 25개 이상이 되면 30초 동안 연결을 비활성화 한다.
  4. 1개 IP주소 당 접속 수가 30개 이상이 되면 25초 동안 연결을 비활성화 한다.
(정답률: 52%)
  • 정답은 "초당 연결수가 25개 이상이 되면 30초 동안 연결을 비활성화 한다." 이다. 이는 cps 옵션에서 초당 연결수를 제한하고, 초당 연결수가 25개 이상이 되면 30초 동안 연결을 비활성화하는 설정이다. 즉, 초당 연결수를 제한하여 서비스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과도한 연결로 인한 서버 부하를 방지하기 위한 설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다음 /etc/xinetd.d/telnet 파일의 내용 중 telnet 서비스를 203.247.50 네트워크 대역에 속한 호스트들만 접속할 수 있도록 허가하고자 할때 추가 해야 될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only_from = 203.247.50.0
  2. no_access = 203.247.50.0
  3. only_from = 203.247.50.0/255.255.255.0
  4. no_access = 203.247.50.0/255.255.255.0
(정답률: 29%)
  • only_from = 203.247.50.0/255.255.255.0

    이유: only_from 옵션은 접속을 허용할 IP 대역을 설정하는 옵션이며, 203.247.50.0/255.255.255.0은 203.247.50 네트워크 대역에 속한 모든 호스트들을 허용하는 대역을 의미한다. /255.255.255.0은 24비트 서브넷 마스크를 의미하며, 이를 통해 203.247.50.0부터 203.247.50.255까지의 IP 주소를 모두 포함하는 대역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옵션을 추가하면 203.247.50 네트워크 대역에 속한 호스트들만 telnet 서비스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중 DNS 서버의 존(reverse zone) 파일에서 메일 서버 구성에 사용되는 레코드로 알맞은 것은?(문제 오류소 실제 시험에서는 1, 2번이 정답 처리되었습니다. 여기서는 1번을 누르면 정답 처리 됩니다.)

  1. MX
  2. PTR
  3. CNAME
  4. NS
(정답률: 73%)
  • 1. MX
    - 메일 서버를 지정하는 레코드
    - 이 레코드를 사용하여 도메인의 메일 서버를 설정하고, 메일을 수신할 서버를 지정할 수 있음

    2. PTR
    -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하는 레코드
    - 역방향 DNS 조회를 통해 IP 주소에 해당하는 도메인 이름을 찾을 때 사용됨

    3. CNAME
    - 별칭(alias)을 설정하는 레코드
    - 하나의 도메인 이름을 다른 도메인 이름으로 대체할 수 있음

    4. NS
    - 네임 서버를 지정하는 레코드
    - 도메인 이름에 대한 네임 서버를 설정할 때 사용됨

    정답은 1번인 MX이다. DNS 서버의 존 파일에서 메일 서버 구성에 사용되는 레코드는 MX 레코드이다. MX 레코드는 도메인의 메일 서버를 설정하고, 메일을 수신할 서버를 지정하는 레코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다음은 DNS서버의 설정 파일인 /etc/named.conf 파일의 일부이다. 다음의 설정과 관련된 내용 중 알맞은 것은?

  1. 192.168.51.33 주소를 갖는 호스트는 보조 네임 서버로 구성 가능하다.
  2. 외부에서 질의 요청시 192.168.32.31에 넘기고, 만약 질의응답을 못하면 이 서버가 응답해준다.
  3. 192.168.56.103 주소를 갖는 호스트는 보조 네임서버로 구성 가능하지만, 질의는 할 수 없다.
  4. 192.168.10.10 주소를 갖는 호스트는 이 서버에 질의를 할 수 없다.
(정답률: 36%)
  • 외부에서 질의 요청시 192.168.32.31에 넘기고, 만약 질의응답을 못하면 이 서버가 응답해준다. 이 설정은 forwarders 옵션으로, 외부에서의 DNS 질의를 다른 DNS 서버(192.168.32.31)로 전달하고, 만약 해당 DNS 서버가 응답하지 못하면 이 DNS 서버가 대신 응답하도록 설정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프록시(Proxy)서버를 구성하기 위해 Squid를 소스로 설치한 뒤 환경설정까지 끝낸 상태이다. Squid에서 사용할 디렉토리를 생성하기 위해 squid 명령어를 이용하는데, 이 때 사용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c
  2. -C
  3. -z
  4. -Z
(정답률: 23%)
  • 정답은 "-z"입니다.

    "-z" 옵션은 Squid에서 사용할 디렉토리를 생성하는 옵션입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Squid가 사용할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디렉토리 내에 필요한 파일들을 초기화합니다. 이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Squid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다른 옵션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c": Squid를 실행할 때 사용할 설정 파일을 지정합니다.
    - "-C": Squid 설정 파일의 유효성을 검사합니다.
    - "-Z": Squid를 SSL 프록시로 사용할 때 사용하는 옵션입니다. SSL 인증서를 생성하고, 인증서를 저장할 디렉토리를 지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NIS(Network Information System)서버를 구성한 후 호스트(Host) 검색시 NIS를 이용하도록 설정 할 때 사용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services
  2. /etc/host.conf
  3. /etc/fstab
  4. /etc/resolv.conf
(정답률: 25%)
  • 정답은 "/etc/host.conf"입니다.

    이 파일은 호스트 이름 해석에 대한 설정을 제어하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을 수정하여 호스트 이름 검색에 대한 우선순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NIS를 이용하여 호스트 검색을 하도록 설정하려면 "order" 항목을 "hosts nis"로 설정해야 합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먼저 로컬 호스트 파일에서 호스트 이름을 검색하고, 그 다음에 NIS 서버에서 검색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은 DHCP 서버의 설정 파일인 dhcpd.conf 파일의 일부이다. DHCP를 이용하는 클라이언트에게 할당되는 게이트웨이 주소로 알맞은 것은?

  1. 192.168.0.1
  2. 192.168.1.1
  3. 192.168.0.128
  4. 192.168.0.254
(정답률: 50%)
  • DHCP 서버의 설정 파일에서 default-router 옵션에 192.168.0.1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클라이언트에게 할당되는 게이트웨이 주소는 192.168.0.1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의 CVS관련 명령어 중 로컬(Local)에서 작업한 프로젝트 파일을 CVS서버에 반영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는?

  1. import
  2. update
  3. commit
  4. checkout
(정답률: 53%)
  • 정답은 "commit"입니다. "commit" 명령어는 로컬에서 수정한 파일을 CVS 서버에 반영하는 명령어입니다. "import"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CVS 서버에 추가하는 명령어이고, "update"는 CVS 서버에서 최신 버전의 파일을 로컬로 가져오는 명령어입니다. "checkout"은 CVS 서버에서 프로젝트를 로컬로 복사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스크립트는 DOS(Denial of Service)공격 중 어떤 유형의 공격인가?

  1. 프로세스 만들기
  2. 디스크 채우기
  3. 모든 프로세스 죽이기
  4. 메모리 고갈
(정답률: 67%)
  • 이 스크립트는 "모든 프로세스 죽이기" 유형의 DOS(Denial of Service)공격입니다. 이 공격은 공격자가 대상 시스템에 대량의 요청을 보내어 시스템의 모든 프로세스를 다운시키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시스템은 더 이상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으로 가장하여 프로그램내에 숨어서 의도하지 않는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의 코드 조각을 무엇이라 하는가?

  1. 허니팟(Honeypot)
  2. 버퍼 오버플로(Buffer Overflow)
  3. DMZ
  4. 트로이목마(Trojan Horse)
(정답률: 73%)
  •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에 숨어서 의도하지 않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은 트로이목마(Trojan Horse)이다. 이는 그리스 신화에서 유래한 용어로, 적군이 선물로 받아들인 나무 말 안에 그리스 병사들이 숨어들어 공격하는 전략에서 유래하였다. 따라서, 트로이목마는 악성 코드를 포함한 프로그램으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작업을 수행하도록 유도하거나,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탈취하거나, 시스템을 해킹하는 등의 악의적인 목적을 가지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의 내용으로 서버를 운영하려면 iptables의 어느 사슬(chain)에서 정책 설정을 해야 하는가?

  1. FORWARD
  2. PREROUTING
  3. INPUT
  4. POSTROUTING
(정답률: 29%)
  • 이 서버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패킷을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을 통해 내부로 전달해야 하므로 PREROUTING 사슬에서 정책 설정을 해야 한다. PREROUTING 사슬은 패킷이 라우팅되기 전에 적용되는 사슬으로, 이 사슬에서 NAT 설정을 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시스템 관리자인 홍길동은 SSH서버를 운영 중이다. 많은 계정 중 특정 계정만 서버에 접속 할 수 있게 하려고 할 때 사용하면 유용한 것은?

  1. GnuPG
  2. PAM
  3. VPN
  4. TCP wrapper
(정답률: 38%)
  • PAM은 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s의 약자로, 다양한 인증 방식을 지원하여 SSH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인증을 관리하는 데 유용하다. 따라서 특정 계정만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설정하려면 PAM을 사용하여 해당 계정의 인증을 관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은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보안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이다. 어떠한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인가?

  1. GnuPG
  2. PAM
  3. VPN
  4. TCP wrapper
(정답률: 33%)
  • 이 그림은 GnuPG(GNU Privacy Guard)에 대한 설명입니다. GnuPG는 오픈소스로 개발된 암호화 소프트웨어로, 이메일이나 파일 등의 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하고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를 이용해 개인정보나 중요한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PAM은 인증과 관련된 모듈을 제공하는 프로그램, VPN은 가상 사설망, TCP wrapper는 네트워크 접근 제어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