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09-09-06)

리눅스마스터 1급
(2009-09-06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리눅스 실무의 이해

1. 다음 중 시스템에 새로 적재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 배치시키는 기억장소 배치 기법(Storage Placement Strategy)이 아닌 것은?

  1. 최초 적합(First Fit) 방법
  2. 최적 적합(Best Fit) 방법
  3. 최단 적합(Fast Fit) 방법
  4. 최악 적합(Worst Fit) 방법
(정답률: 59%)
  • 최단 적합(Fast Fit) 방법은 시스템에 적재되는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주기억장치에 배치시키는 기억장소 배치 기법이 아닙니다. 이유는 최단 적합 방법은 프로세스 크기에 따라 가장 작은 메모리 공간을 찾아 배치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세스 크기와 가장 가까운 메모리 공간을 찾아 배치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이는 기억장소 배치 기법이 아닌 프로세스 스케줄링 기법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중 GNU 프로젝트의 자유 소프트웨어에서 보장하는 자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프로그램을 복제(Copying)하고 공유할 수 있는 자유
  2. 소스 코드를 원용하여 이를 개작(Modification) 할 수 있는 자유
  3. 개작된 프로그램을 배포(Distribution)할 수 있는 자유
  4. 배포된 GNU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직접 제작한 프로그램을 판매(Merchandising)할 수 있는 자유
(정답률: 81%)
  • "배포된 GNU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직접 제작한 프로그램을 판매(Merchandising)할 수 있는 자유"는 GNU 프로젝트의 자유 소프트웨어에서 보장하는 자유와는 거리가 먼 것입니다. 이유는 GNU 프로젝트에서는 소프트웨어를 자유롭게 사용, 복제, 수정, 배포할 수 있지만, 이를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제한됩니다. 따라서 GNU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직접 제작한 프로그램을 판매하는 것은 자유로운 이용에 제한이 있으며, 이는 GNU 프로젝트의 목적과는 맞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다음 중 실시간 운영체제(RTOS)가 아닌 것은?

  1. LynxOS
  2. ChorusOS
  3. VFAT
  4. VxWorks
(정답률: 66%)
  • VFAT은 파일 시스템으로, 실시간 운영체제가 아니다. 실시간 운영체제는 실시간성이 중요한 시스템에서 사용되며, 정해진 시간 안에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LynxOS, ChorusOS, VxWorks는 모두 실시간 운영체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시스템프로그램 중 매크로 호출(Macro Call)을 매크로 정의(Macro Definition)로 바꾸어 주는 프로그램을 무엇이라 하는가?

  1. 컴파일러(Compiler)
  2. 로더(Loader)
  3. 어셈블러(Assembler)
  4. 매크로 프로세서(Macro Processor)
(정답률: 66%)
  • 매크로 프로세서는 매크로 호출을 매크로 정의로 바꾸어 주는 프로그램으로,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작성된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는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매크로 프로세서가 정답이다. 컴파일러는 소스코드를 목적코드로 변환하는 프로그램, 로더는 목적코드를 메모리에 적재하는 프로그램, 어셈블러는 어셈블리어로 작성된 소스코드를 목적코드로 변환하는 프로그램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다음 중 일반적으로 배포는 허용하지만 개작을 허용하지 않는 소프트웨어를 무엇이라 하는가?

  1. 셰어웨어
  2. 독점소프트웨어
  3. 프리웨어
  4. 상용소프트웨어
(정답률: 48%)
  • 정답: 프리웨어

    프리웨어는 일반적으로 무료로 배포되는 소프트웨어이며, 사용자는 자유롭게 사용, 복사, 배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작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프리웨어는 일반적으로 개인 및 비영리적인 용도로 사용되며, 상업적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라이선스를 구매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하드웨어에서 중요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해 여러대의 하드디스크가 있을 때 동일한 데이터를 다른 위치에 중복해서 저장하는 방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RAID
  2. SCSI
  3. SATA
  4. DUAL RECORD
(정답률: 70%)
  • 정답은 "RAID"이다. RAID는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의 약자로, 여러 개의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논리적인 디스크로 구성하여 데이터를 중복 저장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안정성과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SCSI와 SATA는 하드디스크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기술이며, Dual Record는 데이터를 두 번 기록하여 안정성을 높이는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운영체제에서 부트 매니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리눅스에는 LILO와 GRUB가 있다.
  2. 리눅스와 윈도우를 동시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다중 부팅도 가능하다.
  3. 윈도우XP에서는 config.sys와 autoexec.bat가 역할을 담당한다.
  4. 부트 매니저를 대표하는 것은 OS/2의 부트 관리 프로그램이다.
(정답률: 44%)
  • "윈도우XP에서는 config.sys와 autoexec.bat가 역할을 담당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윈도우XP에서는 부트 매니저로 NTLDR이 사용되며, config.sys와 autoexec.bat은 MS-DOS 시절에 사용되던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디렉토리에 대한 설명 중 알맞은 것은?

  1. /sbin : rm, mount 등의 기본 명령어들이 모여 있는 디렉토리이다.
  2. /etc : 외부 장치들을 마운트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디렉토리이다.
  3. /boot : 리눅스 커널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 이다.
  4. /usr : 시스템 계정 사용자들의 정보와 접속을 하는 사용자들을 위한 공간이다.
(정답률: 40%)
  • "/boot : 리눅스 커널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 이다." 정답은 리눅스 시스템이 부팅될 때 필요한 커널 이미지 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토리입니다. 이 디렉토리는 시스템 파티션에 위치하며, 부트로더가 이 디렉토리에서 커널 이미지 파일을 찾아서 로드합니다. 따라서 이 디렉토리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보안성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대부분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구조적 공통점이 아닌 것은?

  1. 파일의 이름을 제외한 해당 파일의 모든 정보를 가지는 아이노드(Inode)가 있다.
  2. 파일 시스템의 전체적인 정보를 가지는 슈퍼블록(Super Block)이 있다.
  3. 간접 블록 안에 데이터 블록의 주소로 특별한 값을 저장하는 홀(Hole)을 가진다.
  4. 파일이름과 아이노드 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블록(Data Block)이 있다.
(정답률: 35%)
  • 정답은 "파일이름과 아이노드 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블록(Data Block)이 있다." 이다. 이유는 대부분의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 이름과 아이노드 번호는 디렉토리 엔트리(Directory Entry)에 저장되며, 이 디렉토리 엔트리는 데이터 블록에 저장된다. 따라서 파일 이름과 아이노드 번호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데이터 블록이 존재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서 ext2의 특징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fsck(file system check)라는 파일 시스템 복구 기능을 갖는다.
  2. ext2 파일시스템은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논리 적인 파티션을 블록으로 다시 나눈 것이다.
  3. 파일 시스템에서 무결성의 핵심을 이루는 정보를 중복해서 저장한다.
  4.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해서 저널링 기술이 구현 되어 있다.
(정답률: 62%)
  •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해서 저널링 기술이 구현되어 있지 않다는 것은 ext2 파일 시스템이 파일 시스템의 변경 사항을 기록하지 않고 바로 디스크에 쓴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스템이 갑작스럽게 종료되거나 전원이 꺼지는 등의 상황에서 파일 시스템이 손상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리눅스에서 사용 가능한 윈도매니저 중 넥스트스텝과 관련된 리눅스 윈도매니저가 아닌 것은?

  1. FVWM95
  2. Blackbox
  3. Fluxbox
  4. WindowMaker
(정답률: 23%)
  • 정답은 "FVWM95"입니다. FVWM95는 윈도우 메니저 중 하나이지만, 넥스트스텝과 관련이 없는 윈도우 메니저입니다. 다른 보기인 Blackbox, Fluxbox, WindowMaker는 모두 넥스트스텝과 관련된 리눅스 윈도우 메니저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쉘(Shell)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각 운영체제와 사용자가 대화하는 중간 창구 역할을 한다.
  2. 표준 유닉스 명령 인터프리터로서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해석한다.
  3. 사용자의 작업 환경을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맞추어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4. 리눅스에서 사용자와 운영체제가 통신하는 유일한 수단이다.
(정답률: 69%)
  • "리눅스에서 사용자와 운영체제가 통신하는 유일한 수단이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다른 설명들은 모두 맞는 내용입니다.

    Shell은 사용자와 운영체제가 대화하는 중간 창구 역할을 하며,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을 해석하여 실행합니다. 또한 사용자의 작업 환경을 사용자의 요구 사항에 맞추어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리눅스에서 사용자와 운영체제가 통신하는 유일한 수단은 아닙니다. 다른 예로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나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쉘 명령어에서 사용되는 메타 문자들에 대한 설명 중 알맞은 것은?

  1. > : 표준 출력을 파일 끝에 덧붙이는 출력 리다이렉션 기호
  2. ? : 변수 접근 기호
  3. # : 문자들을 주석 처리할 경우 사용되는 기호
  4. || : 어떤 프로세스의 출력을 다른 프로세스의 입력으로 보내는 파이프 기호
(정답률: 37%)
  • 쉘 명령어에서 # 기호는 주석 처리를 할 때 사용됩니다. 즉, # 기호 뒤에 오는 문자열은 실행되지 않고 단순히 주석으로 처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프로세스 상태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실행 상태 : 프로세서를 할당받은 상태
  2. 준비 상태 : 필요한 자원들을 할당받고 프로세서를 요청하고 있는 상태
  3. 생성 상태 : 프로세서가 기억장치를 할당받지 못하고 있는 상태
  4. 대기 상태 : 임의의 자원을 요청한 후 할당 받을 때까지 기다리고 있는 상태
(정답률: 71%)
  • 생성 상태는 프로세서가 아직 생성되어 기억장치를 할당받지 못한 상태입니다. 즉, 프로세서가 아직 실행되기 전의 초기 상태를 말합니다. 따라서 "프로세서가 기억장치를 할당받지 못하고 있는 상태"가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의 프로세스 스케줄링 기법 중 현재 준비 상태에 있는 프로세스들 중에서 총 실행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부터 스케줄링하는 기법으로서 비선점 정책에 근거하는 것은?

  1. HRRN 스케줄링
  2. MFQ 스케줄링
  3. FIFO 스케줄링
  4. SPN 스케줄링
(정답률: 40%)
  • SPN 스케줄링은 Shortest Process Next 스케줄링의 약자로, 현재 준비 상태에 있는 프로세스들 중에서 총 실행시간이 가장 짧은 프로세스부터 스케줄링하는 기법입니다. 이는 비선점 정책에 근거하며, 실행시간이 짧은 프로세스를 먼저 처리함으로써 평균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고 응답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SPN 스케줄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네트워크 OSI 참조 모델의 각 계층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데이터 링크 계층 : 데이터가 목적지까지 도달 할 수 있도록 경로 선택 및 중계 기능을 수행 한다.
  2. 전송 계층 : 인접한 두 노드간의 전송로상에서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3. 표현 계층 : 데이터의 구문 방식, 상이한 부호 체계간의 변화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4. 세션 계층 : 송신측이 보낸 데이터를 원래의 내용 그대로 수신측이 수신하는 것을 보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정답률: 41%)
  • 표현 계층은 데이터의 구문 방식, 즉 데이터의 형식과 표현 방법에 대한 규정을 담당합니다. 이 계층은 상이한 부호 체계간의 변환, 데이터의 압축 및 암호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식에 대한 규정을 담당하는 계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 중 네트워크 장비인 허브(Hub)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LAN이 보유한 대역폭을 PC의 대수만큼 나누어 제공하는 허브를 더미 허브라고 한다.
  2. 케이블이 연결되어 물려 있는 여러 노드간에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해준다.
  3. 네트워크 관리 기능이 추가된 허브를 스태커블 허브라고 부른다.
  4. 해당 데이터의 목적지 노드로만 직접 연결해 주는 허브를 스위칭 허브라고 부른다.
(정답률: 32%)
  • "해당 데이터의 목적지 노드로만 직접 연결해 주는 허브를 스위칭 허브라고 부른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네트워크 관리 기능이 추가된 허브를 스태커블 허브라고 부르는 이유는 여러 대의 스태커블 허브를 하나의 논리적인 단위로 묶어서 관리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를 통해 네트워크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TCP/IP 각 계층과 OSI 참조모델의 연결이 잘못된 것은?

  1. 전송 계층 - TCP, UDP
  2. 네트워크 계층 - NFS, ARP
  3. 세션 계층 - NetBIOS
  4. 응용 계층, 표현 계층 - FTP, SMTP, DNS
(정답률: 53%)
  • TCP/IP는 OSI 참조모델과는 다른 계층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TCP/IP의 각 계층과 OSI 참조모델의 계층을 일대일로 매칭시키는 것은 어렵습니다.

    하지만, "네트워크 계층 - NFS, ARP"는 잘못된 연결입니다.

    NFS(Network File System)는 응용 계층 프로토콜로 파일 공유를 위해 사용됩니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로 IP 주소를 물리적인 MAC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NFS는 응용 계층에 해당하고 ARP는 네트워크 계층에 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TCP/IP에서 IP(Internet Protocol)에 대한 설명 중 알맞은 것은?

  1. 발송한 데이터가 정확한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2. IP 주소 중에서 첫 번째 숫자가 239에서 244까지는 클래스 D의 주소로 다중 전송의 목적으로 예약되어 있다.
  3. 도메인과 IP 주소간의 변환을 위해서는 호스트 파일을 이용하거나 도메인 매니저 서버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4. IP 주소는 총 40 bits로 구성되어 있다.
(정답률: 42%)
  • "발송한 데이터가 정확한 목적지를 찾아갈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는 IP(Internet Protocol)의 기본 역할로, 데이터를 보내는 컴퓨터에서 목적지 컴퓨터의 IP 주소를 지정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이를 통해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가 정확한 목적지로 전송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리눅스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에 대해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netstat : 네트워크의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
  2. traceroute : 패킷이 지나가는 경로를 추적하는 명령어
  3. nslookup : 네임서버의 질의 도구
  4. route : MAC 주소를 알아내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
(정답률: 73%)
  • route 명령어는 라우팅 테이블을 확인하거나 수정하는 명령어로, MAC 주소를 알아내는 데 사용되지 않습니다. MAC 주소를 알아내는 명령어는 대표적으로 arp 명령어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리눅스 시스템 관리

21. 다음 리눅스 사용자 관리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리눅스에서 모든 파일은 어떤 사용자에 의해 소유 되어야 한다.
  2. 사용자는 사용자 ID라 불리는 고유 식별자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3. 한 사용자는 여러 그룹에 동시에 속할 수 없다.
  4. 파일이나 프로그램에 대한 권한은 UID와 GID를 기반으로 검사된다.
(정답률: 61%)
  • "한 사용자는 여러 그룹에 동시에 속할 수 없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리눅스에서는 한 사용자가 여러 그룹에 동시에 속할 수 있습니다. 이는 사용자가 여러 그룹의 권한을 동시에 가질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개발자 그룹과 디자이너 그룹에 모두 속한 사용자는 개발자 그룹의 파일과 디자이너 그룹의 파일에 모두 접근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root 사용자의 권한을 획득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는?

  1. su
  2. super
  3. root
  4. get
(정답률: 60%)
  • 정답: su

    설명: su는 "switch user"의 약자로, 다른 사용자로 전환하는 명령어입니다. 일반적으로 root 사용자로 전환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su 명령어를 실행하면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입력한 비밀번호가 맞다면 root 권한을 얻을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사용자 삭제시에 사용하는 리눅스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rmuser
  2. userdel
  3. kill
  4. erase
(정답률: 68%)
  • 정답은 "userdel"입니다.

    "rmuser"는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입니다.
    "kill"은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명령어입니다.
    "erase"는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사용자를 삭제할 때는 "userdel" 명령어를 사용합니다. 이 명령어는 사용자 계정을 삭제하고, 관련 파일과 디렉토리를 삭제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그룹 파일에서 각 필드의 의미를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그룹 이름 : 그룹의 이름
  2. 그룹 패스워드 : 그룹을 위한 패스워드로 보통 사용하지 않음
  3. 그룹 ID : 그룹에 해당하는 유일한 정수
  4. 사용자들 : 사용자들의 목록이며 ‘;’으로 구분
(정답률: 47%)
  • 정답은 "그룹 패스워드 : 그룹을 위한 패스워드로 보통 사용하지 않음" 입니다.

    사용자들 필드는 해당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의 목록을 나타내며, 각 사용자는 ';'으로 구분됩니다. 예를 들어, "developers:john;mary;peter"는 "developers" 그룹에 "john", "mary", "peter" 사용자들이 속해있음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리눅스에서 많이 사용되는 쉘(Shell)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최초에 사용된 쉘은 본 쉘(Bourne Shell)이다.
  2. 본 쉘(Bourne Shell)을 확장하여 사용한 것은 콘 쉘(Korn Shell)이다.
  3. tcsh는 초기 C 쉘(C Shell)의 확장 버전이다.
  4. bash는 본 쉘(Bourne Shell)과는 달리 독자적인 명령어 세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본 쉘(Bourne Shell)로 작성한 스크립트를 재사용할 수 없다.
(정답률: 63%)
  • "bash는 본 쉘(Bourne Shell)과는 달리 독자적인 명령어 세트를 사용하기 때문에, 본 쉘(Bourne Shell)로 작성한 스크립트를 재사용할 수 없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bash는 본 쉘(Bourne Shell)의 대체 쉘이며, 본 쉘(Bourne Shell)에서 작성된 대부분의 스크립트는 bash에서도 작동한다. 따라서, bash에서도 본 쉘(Bourne Shell)의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본 쉘(Bourne Shell)에서 작성된 스크립트를 bash에서도 재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리눅스의 그룹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그룹은 사용자 계정의 집합체이다.
  2. 그룹 추가를 위해서는 groupadd를 사용한다.
  3. 그룹 변경을 위해서는 chgroup을 사용한다.
  4. 그룹 설정 파일은 /etc/group이다.
(정답률: 59%)
  • 정답은 "그룹 변경을 위해서는 chgroup을 사용한다." 이다.

    올바른 명령어는 "chgrp"이다. chgrp 명령어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그룹을 변경하는데 사용된다.

    그룹은 사용자 계정의 집합체이며, 그룹 추가를 위해서는 groupadd를 사용하고, 그룹 설정 파일은 /etc/grou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리눅스 명령어 passwd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passwd는 사용자의 패스워드를 변경한다.
  2. passwd 옵션 중 -S는 사용자 암호를 삭제할 때 사용한다.
  3. passwd 옵션 중 -l은 사용자 계정을 잠글 때 사용한다.
  4. passwd 옵션 중 -d은 사용자 계정의 암호를 사용하지 못하게 할 때 사용한다.
(정답률: 46%)
  • "passwd 옵션 중 -S는 사용자 암호를 삭제할 때 사용한다."라는 설명이 틀렸다. -S 옵션은 사용자 계정의 패스워드 상태를 보여주는 옵션이다. 즉, 패스워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만료되었는지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패스워드를 삭제하려면 -d 옵션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리눅스 시스템에서 이야기 하는 일반적인 파일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일반 파일(Regular File)
  2. 디렉토리(Directory)
  3. 특수 파일(Special File)
  4. 시스템 파일(System File)
(정답률: 43%)
  • 시스템 파일(System File)은 일반적으로 운영 체제나 시스템의 동작에 필요한 파일로, 일반 사용자가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없는 파일입니다. 예를 들어, /etc/passwd 파일은 시스템 파일로서 사용자 계정 정보를 담고 있으며, /dev/null 파일은 특수 파일로서 데이터를 버리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시스템 파일은 일반적인 파일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파일 시스템 호출과 관련된 목록 중 파일 입출력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read()
  2. lseek()
  3. write()
  4. ioctl()
(정답률: 34%)
  • 정답은 "ioctl()"입니다.

    "read()", "lseek()", "write()"는 파일 입출력과 관련된 시스템 호출이며, 각각 파일에서 데이터를 읽고, 파일 내에서 위치를 이동하고, 파일에 데이터를 쓰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ioctl()"은 입출력 이외의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는 시스템 호출입니다. 주로 장치 드라이버와 상호작용하여 장치의 상태를 변경하거나 정보를 얻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파일 입출력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모든 사용자와 모든 그룹은 파일을 읽을 수만 있고, 파일 소유자는 읽기, 쓰기, 실행을 할 수 있게 권한을 바꾸고자 할 때 사용하는 절대 모드의 값으로 알맞은 것은?

  1. 446
  2. 744
  3. 644
  4. 764
(정답률: 61%)
  • 정답은 "744"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7: 파일 소유자에게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부여한다.
    - 4: 그룹에게 읽기 권한을 부여한다.
    - 4: 다른 모든 사용자에게 읽기 권한을 부여한다.

    즉, 파일 소유자는 읽기, 쓰기, 실행이 가능하고, 그룹과 다른 모든 사용자는 읽기만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fsck를 수행하고 난 뒤 반환되는 종료값의 의미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1 - 파일 시스템 재부팅 필요
  2. 8 - 연산 에러
  3. 4 - 파일 시스템 에러가 고쳐짐
  4. 2 - 파일 시스템 에러가 고쳐지지 않음
(정답률: 31%)
  • 8 - 연산 에러는 파일 시스템의 불일치나 손상이 발견되어 복구가 불가능한 경우에 반환되는 값입니다. 이는 파일 시스템의 데이터가 손상되어 복구할 수 없는 상태이므로, 디스크를 교체하거나 백업된 데이터를 복원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mount의 옵션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v : 자세한 출력 모드
  2. -w : 쓰기만 가능하도록 마운트
  3. -r : 읽기만 가능하도록 마운트
  4. -f : 마운트 가능 여부를 조사
(정답률: 20%)
  • "-w : 쓰기만 가능하도록 마운트"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w" 옵션은 읽기와 쓰기가 모두 가능하도록 마운트하는 옵션이다.

    "-w" 옵션은 읽기와 쓰기가 모두 가능하도록 마운트하는 옵션이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파일 시스템에 쓰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파일 시스템을 새로이 만들거나 초기화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fdisk
  2. format
  3. mkfs
  4. mount
(정답률: 50%)
  • 정답: mkfs

    설명: mkfs는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파일 시스템을 초기화하거나 새로 생성할 때 사용됩니다. fdisk는 디스크 파티션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명령어이며, format은 디스크를 포맷하는 명령어입니다. mount는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파일 시스템을 새로이 만들거나 초기화할 때는 mkfs를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파일 소유자와 그룹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chmod
  2. chown
  3. chgrp
  4. chuser
(정답률: 50%)
  • 정답: chown

    설명: chown은 "change owner"의 약자로, 파일 소유자와 그룹을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chgrp는 그룹을 변경할 때 사용하고, chmod는 파일 권한을 변경할 때 사용합니다. chuser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리눅스에서 스왑 영역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는?

  1. sync
  2. swapon
  3. swap
  4. mkswap
(정답률: 50%)
  • 정답: mkswap

    설명: mkswap 명령어는 리눅스에서 스왑 영역을 지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명령어는 스왑 파티션을 생성하고 스왑 파일 시스템을 초기화합니다. 다른 보기인 sync는 파일 시스템의 버퍼를 디스크에 동기화하는 명령어이고, swapon은 스왑 영역을 활성화하는 명령어입니다. swap은 스왑 영역을 관리하는데 사용되는 파일이나 파티션을 지정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리눅스 실행 레벨을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실행 레벨 0 : 셧다운 절차에 대해 책임진다.
  2. 실행 레벨 6 : 재실행 모드
  3. 실행 레벨 3 : 단일 사용자 모드
  4. 실행 레벨 5 : 그래픽 로그인 모드
(정답률: 48%)
  • 정답은 "실행 레벨 3 : 단일 사용자 모드" 이다. 실행 레벨 3은 다중 사용자 모드로, 시스템이 네트워크를 통해 여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드이다. 따라서 "단일 사용자 모드"가 아니라 "다중 사용자 모드"로 설명되어야 한다.

    실행 레벨 3은 일반적으로 서버 운영에 사용되며,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없이 콘솔 화면에서 작업을 수행한다. 이 모드에서는 네트워크 서비스와 같은 백그라운드 서비스가 실행되지만, 그래픽 인터페이스나 다중 사용자 로그인 기능은 제공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프로세스의 종료될 때 발생하는 일련의 사건이 아닌 것은?

  1. 모든 시그널을 무시
  2. 프로세스 그룹에게 시그널 보냄
  3. 계정 레코드를 만들고 프로세스를 실행 상태로 변환한다
  4. 문맥 교환
(정답률: 49%)
  • 계정 레코드를 만들고 프로세스를 실행 상태로 변환하는 일은 프로세스의 시작과 관련된 일이며, 종료와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는 종료와 관련된 일련의 사건들이 나열되어 있지만, 이 중에서 "계정 레코드를 만들고 프로세스를 실행 상태로 변환한다"는 종료와는 관련이 없는 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명령어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1. top : 현재 실행중인 작업을 사용자와 프로세스 ID로 보여준다.
  2. ps : CPU 프로세서의 현황을 보여준다.
  3. exec : 자식 프로세스를 만든다.
  4. cron : 계획된 명령을 실행하는 데몬이다.
(정답률: 41%)
  • cron은 계획된 시간에 지정된 명령어를 실행하는 데몬으로,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작업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tar 옵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c : 새로운 아카이브 파일을 작성한다.
  2. -u : 묶여진 파일보다 새로운 파일이면 업데이트 한다.
  3. -f : 묶여진 파일에 새 파일을 추가한다.
  4. -v : 묶는 과정을 보여준다.
(정답률: 37%)
  • "-f : 묶여진 파일에 새 파일을 추가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f" 옵션은 묶여진 파일의 이름을 지정하는 옵션이며, 새 파일을 추가하는 옵션은 "-r" 옵션이다. "-r" 옵션은 기존 아카이브 파일에 새로운 파일을 추가할 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gcc의 옵션 중 실행 바이너리의 이름을 지정할 때 사용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L
  2. -I
  3. -o
  4. -g
(정답률: 55%)
  • "-o" 옵션은 실행 바이너리의 이름을 지정할 때 사용하는 옵션이다. 이 옵션 뒤에 지정한 이름으로 컴파일된 실행 파일이 생성된다. 예를 들어, "gcc main.c -o myprogram" 명령어는 "main.c" 파일을 컴파일하여 "myprogram"이라는 이름의 실행 파일을 생성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커널에 대한 설명 중 알맞은 것은?

  1. 커널에는 인터럽트 처리기와 스케줄러, 슈퍼 바이저 등이 포함되어 있다.
  2. 모든 종류의 응용 프로그램과 유틸리티에 대해 GUI를 사용할 수 있는 기본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클라이언트 시스템이다.
  3. 넓게는 컴퓨터 시스템내의 각종 자원들을 요구하고 할당받을 수 있는 개체로 정의되며 PCB 영역에 할당받아 관리된다.
  4. 운영체제가 파일을 시스템의 디스크상에 구성하는 방식을 말한다.
(정답률: 41%)
  • 커널에는 인터럽트 처리기와 스케줄러, 슈퍼 바이저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간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하며,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제어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USB /proc 드라이버에서 현재 USB 버스에 연결된 장치의 정보 표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T:로 시작하는 행에서 Lev는 장치의 레벨을 표시한다.
  2. D:로 시작하는 행에서 Ver는 해당 장치의 버전을 표시한다.
  3. P:로 시작하는 행에서 ProcID는 제품 고유 코드를 표시한다.
  4. C:로 시작하는 행에서 MPwr은 현재 장치 설정에서의 최대 전력 사용 값을 표시한다.
(정답률: 26%)
  • D:로 시작하는 행에서 Ver는 해당 장치의 버전을 표시하는 것은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ISA 버스에서만 사용하는 것으로 장치에서부터 메모리로 직접 바이트 열을 보내는 1개 스텝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버스 마스터링
  2. IRQ
  3. DMA
  4. SATA
(정답률: 48%)
  • 정답은 "DMA"이다. DMA는 Direct Memory Access의 약자로, ISA 버스에서만 사용하는 것으로, 장치에서부터 메모리로 직접 바이트 열을 보내는 1개 스텝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CPU의 부담을 줄이고 데이터 전송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DMA는 ISA 버스에서 데이터 전송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필수적인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커널을 컴파일할 때 환경 설정을 하기 위한 명령 인터페이스가 아닌 것은?

  1. make config
  2. make menuconfig
  3. make xFree86
  4. make xconfig
(정답률: 57%)
  • "make xFree86"은 X Window System을 사용하는 그래픽 환경을 설정하는 명령어이며, 커널 환경 설정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커널을 컴파일할 때 환경 설정을 하기 위한 명령 인터페이스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커널 컴파일 명령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은?

  1. a→b→c→d→e
  2. b→e→a→d→c
  3. e→d→c→b→a
  4. c→b→e→a→d
(정답률: 42%)
  • c→b→e→a→d

    1. make menuconfig : 커널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메뉴를 제공하는 환경 설정 도구
    2. make : 커널을 빌드하여 컴파일
    3. make modules_install : 커널 모듈을 설치
    4. make install : 커널 이미지를 설치
    5. reboot : 새로운 커널을 적용하기 위해 시스템을 재부팅

    위의 과정에서는 먼저 커널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 make menuconfig를 실행하고, 변경된 설정을 바탕으로 커널을 빌드하여 컴파일하는 make를 실행합니다. 그 다음으로는 커널 모듈을 설치하는 make modules_install를 실행하고, 커널 이미지를 설치하는 make install을 실행합니다. 마지막으로는 새로운 커널을 적용하기 위해 시스템을 재부팅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c→b→e→a→d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다음 중 커널 모듈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insmod 명령을 통해서 커널 데몬이 자동으로 모듈을 커널에 추가한다.
  2. 커널 데몬은 슈퍼 유저 권한을 가지고 있다.
  3. 로드된 모듈들은 rmmod에 의해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제거된다.
  4. kerneld는 커널에 로드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이 주된 역할이다.
(정답률: 30%)
  • 커널 모듈은 커널에 동적으로 추가되는 코드이며, insmod 명령을 통해 추가됩니다. 커널 데몬은 슈퍼 유저 권한을 가지고 있어서 커널 모듈을 로드하고 언로드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로드된 모듈은 rmmod 명령을 통해 제거할 수 있습니다. kerneld는 커널 모듈을 자동으로 로드하고 언로드하는 데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새로운 디스크가 예전 디스크와는 다르게 파티션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경우 변경해 주어야 하는 파일은 무엇인가?

  1. /etc/fstab
  2. /etc/mtab
  3. /etc/lilo.conf
  4. /dev/hda1
(정답률: 53%)
  • "/etc/fstab" 파일은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되는 파일 시스템을 정의하는 파일이다. 새로운 디스크가 예전 디스크와는 다르게 파티션 구조를 가지고 있다면, 이 파일을 수정하여 새로운 디스크의 파티션 정보를 추가해주어야 한다. 따라서 "/etc/fstab" 파일을 변경해 주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커널 패치가 성공했을 때 패치 대상이 된 파일의 원본 이름 끝에 붙는 것은?

  1. .rej
  2. .bak
  3. .org
  4. .orig
(정답률: 33%)
  • 커널 패치가 성공했을 때 원본 파일을 백업하기 위해 ".orig" 확장자를 사용한다. 이는 원본 파일의 이름을 변경하지 않고, ".orig" 확장자를 추가하여 백업 파일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이후 패치가 실패하면 백업 파일을 사용하여 원본 파일을 복원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모듈 기능을 이용해 커널에 포함되지 않는 기능을 필요할 때에만 동적으로 메모리에 적재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 커널의 버전은?

  1. 커널 버전 2.0 이후
  2. 커널 버전 1.2 이후
  3. 커널 버전 2.2 이후
  4. 커널 버전 1.0 이후
(정답률: 13%)
  • 커널 버전 1.2 이후부터는 모듈 기능이 추가되어 커널에 포함되지 않는 기능을 필요할 때에만 동적으로 메모리에 적재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전 버전에서는 커널에 필요한 모든 기능이 빌드되어 있어서 필요하지 않은 기능도 항상 메모리에 상주하고 있어 자원 낭비가 발생하였다. 모듈 기능을 이용하면 필요한 기능만 메모리에 적재하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리눅스 커널 메카니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리눅스는 단일 커널이다.
  2. 커널에 새로운 컴포넌트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커널 설정을 바꾸고 컴파일 하면 된다.
  3. 로드된 리눅스 모듈은 다른 보통 커널 코드처럼 커널의 한 부분이 된다.
  4. 커널은 커널의 모든 자원의 목록을 커널의 오브젝트 목록으로 관리한다.
(정답률: 21%)
  • 정답은 "커널은 커널의 모든 자원의 목록을 커널의 오브젝트 목록으로 관리한다."가 아니다. 커널은 자원을 관리하기 위해 구조체를 사용하며, 이 구조체들은 커널 내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커널의 모든 자원을 목록으로 관리하는 것은 아니다.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이며, 시스템의 자원을 관리하고 프로세스 간 통신, 파일 시스템, 네트워크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리눅스는 단일 커널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커널 내부에서 모든 기능을 처리한다.

    새로운 컴포넌트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커널 소스 코드를 수정하고 컴파일해야 한다. 이때 커널 설정을 변경하여 필요한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로드된 리눅스 모듈은 커널의 일부가 되어서, 커널 내부에서 사용될 수 있다. 모듈은 필요할 때 동적으로 로드되고,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때 언로드될 수 있다.

    따라서, 틀린 설명은 "커널은 커널의 모든 자원의 목록을 커널의 오브젝트 목록으로 관리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logrotate에서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이 아닌 것은?

  1. 로그 파일을 순환 시킨다.
  2. 로그 파일을 압축해서 보관한다
  3. 로그 파일을 생성한다
  4. 작업시 에러가 발생했을 때 지정한 주소로 메일을 보낸다.
(정답률: 20%)
  • logrotate는 이미 생성된 로그 파일을 관리하는 도구이기 때문에 "로그 파일을 생성한다"는 수행할 수 없는 작업이다. logrotate는 주기적으로 로그 파일을 순환시키고, 압축해서 보관하며, 작업시 에러가 발생했을 때 지정한 주소로 메일을 보내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일반적으로 로그 파일이 위치하는 디렉토리는 무엇인가?

  1. /etc/log
  2. /var/log
  3. /tmp/log
  4. /opt/log
(정답률: 66%)
  • 로그 파일은 시스템의 작동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기록하는 파일이다. 이러한 로그 파일은 일반적으로 시스템의 관리자나 개발자가 문제를 해결하거나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그리고 로그 파일은 시스템의 다양한 부분에서 생성되며, 이러한 로그 파일이 위치하는 디렉토리는 다양하다. 그러나 대부분의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로그 파일이 "/var/log" 디렉토리에 위치한다.

    이는 "/var" 디렉토리가 시스템의 가변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렉토리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로그 파일도 이 디렉토리에 위치하게 된다.

    반면에 "/etc/log"나 "/tmp/log", "/opt/log" 디렉토리는 로그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표준 디렉토리가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디렉토리에 로그 파일이 위치할 가능성은 적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다음 중 아파치 액세스 로그에서 제공하는 정보와 설명이 옳지 않은 것은?

  1. Host : 방문자의 정보를 제공한다.
  2. Time Stamp : 접속한 시간을 제공한다.
  3. Status Code : 웹 서버의 상태를 제공한다.
  4. HTTP Request Field : 정보의 요청 방식과 파일이름 및 HTTP의 버전 등을 제공한다.
(정답률: 42%)
  • 정답: "Host : 방문자의 정보를 제공한다."

    설명: Host는 방문자의 정보가 아니라, 요청이 발생한 호스트(도메인 또는 IP 주소)를 제공한다.

    추가 설명:

    - Time Stamp : 접속한 시간을 제공한다.
    - Status Code : 웹 서버가 요청에 대해 반환한 상태 코드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200은 성공, 404는 찾을 수 없음, 500은 서버 오류 등을 나타낸다.
    - HTTP Request Field : 요청 방식(GET, POST 등), 파일 이름, HTTP 버전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커널 2.4 이후로 사용되는 패킷 필터링 S/W의 이름은 무엇인가?

  1. iptables
  2. ipchain
  3. ipfilter
  4. ipcontrol
(정답률: 61%)
  • 커널 2.4 이후로는 iptables가 사용되는데, 이는 이전에 사용되던 ipchain, ipfilter 등의 패킷 필터링 S/W보다 더욱 강력하고 유연한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또한 iptables는 네트워크 보안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며, 많은 리눅스 배포판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패킷 필터링 S/W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다음 ssh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1. ssh는 네트워크의 다른 컴퓨터에 로그인 하여 원격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준다.
  2. ssh는 공개키/개인키 방식을 모두 지원한다.
  3. ssh는 모든 문자들을 암호화 하여 전송한다.
  4. ssh는 비 상업적인 경우에만 자유롭게 사용 할 수 있으며, ssh2는 공개 소프트웨어이다.
(정답률: 56%)
  • "ssh는 비 상업적인 경우에만 자유롭게 사용 할 수 있으며, ssh2는 공개 소프트웨어이다."가 옳지 않은 설명이다. SSH는 오픈 소스 라이선스인 BSD 라이선스를 따르고 있으며, 상업적인 용도로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SSH2도 마찬가지로 오픈 소스 라이선스를 따르고 있으며, 상업적인 용도로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OpenSSH
  2. PAM
  3. MD5
  4. kerberos
(정답률: 45%)
  • 이미지에서 보이는 로그인 화면은 PAM (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s)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정답은 "PAM"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tripwire 설정 파일의 필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POFILE
  2. DBFILE
  3. EDITOR
  4. SITEKEYFILE
(정답률: 36%)
  • EDITOR는 tripwire 설정 파일의 필수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POFILE은 정책 파일, DBFILE은 데이터베이스 파일, SITEKEYFILE은 사이트 키 파일로 모두 tripwire 설정 파일에서 필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하지만 EDITOR는 설정 파일을 편집하는 데 사용되는 텍스트 편집기로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COPS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파일, 디렉토리 및 장치 파일에 대한 퍼미션 점검
  2. suid 파일 내용 점검
  3. 사용자 계정에 있는 모든 파일에 대한 점검
  4. 시스템의 파일, 디렉토리 소유권과 퍼미션 변화 점검
(정답률: 47%)
  • COPS의 기능 중 "사용자 계정에 있는 모든 파일에 대한 점검"은 아닙니다. 이는 Tripwire와 같은 다른 보안 도구에서 제공되는 기능입니다. COPS는 파일, 디렉토리 및 장치 파일에 대한 퍼미션 점검, suid 파일 내용 점검, 시스템의 파일, 디렉토리 소유권과 퍼미션 변화 점검 등의 기능을 제공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백업을 하기 위한 검토 사항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자동 백업 : 사람의 개입 없이 정기적으로 자동적인 백업이 진행될 필요 여부
  2. 원격 백업 : 원격지에 있는 호스트의 백업을 진행하는 기능의 필요 여부
  3. 사용자 편의성 : 백업 중 시스템 사용자가 겪는 불편함은 어떤 것이 있는지 확인 여부
  4. 매체의 종류 : 백업 매체의 안정성, 저장 용량, 전송 속도 등의 요소를 비교 결정
(정답률: 37%)
  • 설명이 틀린 것은 없습니다. "사용자 편의성"은 백업 중 시스템 사용자가 겪는 불편함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백업이 진행되는 동안 시스템 사용자가 작업을 계속할 수 있는지, 백업이 진행되는 동안 시스템이 느려지거나 멈추는 현상이 있는지 등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이를 고려하지 않으면 백업이 진행되는 동안 사용자들이 불편을 겪을 수 있으며, 이는 생산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cpio
  2. rdist
  3. taper
  4. dump
(정답률: 31%)
  • 이 보기는 백업과 관련된 프로그램들을 나열한 것이다. "cpio"는 파일을 복사하거나 백업하는데 사용되는 유틸리티 프로그램으로, 다른 프로그램들과 마찬가지로 백업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cpio"가 정답인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

61. 다음 중 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모자이크는 인터넷의 대중화 시대를 연 선두 주자로서 윈도우 3.1에서 실행되었다.
  2. 최초의 상업용 브라우저는 넷스케이프이다.
  3. 초기의 웹 서비스는 동적인 HTML페이지를 바탕으로 구현되었다.
  4. WWW는 현재 W3C 컨소시엄에서 주관하고 있다.
(정답률: 53%)
  • "초기의 웹 서비스는 동적인 HTML페이지를 바탕으로 구현되었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초기의 웹 서비스는 정적인 HTML 페이지를 바탕으로 구현되었지만, 이후에 동적인 HTML 페이지를 지원하는 기술이 개발되면서 동적인 웹 서비스가 가능해졌다. 이는 CGI(Common Gateway Interface)와 서버 측 스크립트 언어(PHP, ASP 등)의 등장으로 이루어졌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CGI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CGI는 어떤 언어로도 코딩 될 수 있으며 프로토콜이 단순하여 사용하기가 쉽다.
  2. 여러 개의 CGI 스크립트를 계속해서 동작시키면 프로세서가 많이 생성되고 서버 내의 메모리자원 부족을 야기 시킨다.
  3. CGI 스크립트용 언어에는 C, C++, Perl, PHP, ASP등이 있다.
  4. 정적 HTML을 구현시키는 대표적인 스크립트 이다.
(정답률: 43%)
  • "정적 HTML을 구현시키는 대표적인 스크립트 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CGI는 동적인 웹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스크립트입니다. 정적 HTML을 구현시키는 것은 HTML과 CS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웹 브라우저는 인터넷에 연결된 호스트로 접속하여, 문서를 가져와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 )이며, 웹 브라우저를 ( ) 클라이언트, 호스트에서 문서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 ) 서버라고 한다." 다음 ( ) 안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내용은 무엇 인가?

  1. FTP
  2. HTTP
  3. SMTP
  4. IRC
(정답률: 61%)
  • 정답: HTTP

    설명: 웹 브라우저는 인터넷에 연결된 호스트로 접속하여 문서를 가져오기 위해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이때 웹 브라우저는 HTTP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고, 호스트에서 문서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을 HTTP 서버라고 한다.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 SMTP는 이메일 전송 프로토콜, IRC는 인터넷 릴레이 채팅 프로토콜로, 이들은 모두 웹 브라우저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다음 APM에 속하는 구성원 중에서 데이터베이스 연동 API를 지원하는 것은?

  1. Aparche
  2. PHP
  3. ASP
  4. MySQL
(정답률: 33%)
  • PHP는 APM(Apache, PHP, MySQL) 스택의 구성원으로, MySQL과 데이터베이스 연동 API를 지원합니다. 따라서 PHP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설치되어 있는 아파치를 삭제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rpm –e apache-1.3.19-5
  2. rpm –q apache-1.3.19-5
  3. rpm –i apache-1.3.19-5
  4. rpm –U apache-1.3.19-5
(정답률: 59%)
  • 정답은 "rpm –e apache-1.3.19-5"입니다. 이 명령어는 RPM 패키지 관리자를 사용하여 설치된 아파치를 삭제하는 명령어입니다. "rpm –q apache-1.3.19-5"는 아파치 패키지가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이고, "rpm –i apache-1.3.19-5"는 패키지를 설치하는 명령어입니다. "rpm –U apache-1.3.19-5"는 이미 설치된 패키지를 업그레이드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 중 아파치 웹서버 설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서버루트 디렉토리의 기본경로는 ServerRoot “/usr/local/apache”에서 설정해준다.
  2. “MaxKeepAliveReqeusts 100” 설정은 지속적인 접속동안에 허용할 최대 요청횟수를 지정하는 것이다.
  3. “Timeout 300” 설정은 서버에 요청한 정보를 받을 때 소요되는 시간을 정해주는 것으로 단위는 밀리세컨드 이다.
  4. “KeepAlive On” 설정은 지속적인 접속, 즉 한번 연결에 대하여 한번이상의 요청을 허용할 것인가 여부를 결정하는 부분이다.
(정답률: 38%)
  • 정답은 "서버루트 디렉토리의 기본경로는 ServerRoot “/usr/local/apache”에서 설정해준다." 이다. 이유는 아파치 웹서버의 기본 경로는 "/etc/httpd"이며, 이를 변경하려면 httpd.conf 파일에서 "ServerRoot" 디렉티브를 수정해야 한다.

    “Timeout 300” 설정은 서버에 요청한 정보를 받을 때 소요되는 시간을 정해주는 것으로, 단위는 초이다. 따라서 보기에서는 단위를 잘못 기재하였다.

    “MaxKeepAliveReqeusts 100” 설정은 지속적인 접속동안에 허용할 최대 요청횟수를 지정하는 것이다.

    “KeepAlive On” 설정은 지속적인 접속, 즉 한번 연결에 대하여 한번 이상의 요청을 허용할 것인가 여부를 결정하는 부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다음은 아파치 접근로그(access_log)파일의 로그 포맷을 정의한 부분이다. 각 별명에 대한 설명 중 적절하지 않는 것은?

  1. %l : 원격 로그 이름
  2. %u : 요청의 첫번째 줄
  3. %t : 시간
  4. %b : 전송량
(정답률: 42%)
  • "%u : 요청의 첫번째 줄"은 올바른 설명이 아니다. "%u"는 인증된 사용자의 이름을 나타내는데, 이 로그 포맷에서는 "-"로 표시되므로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를 나타낸다. 요청의 첫번째 줄은 "%r"로 표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SSL(Secure Sockets Layer)
  2. HTML
  3. HTTP
  4. Samba
(정답률: 59%)
  • 위 그림은 SSL(Secure Sockets Layer)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통신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SSL은 인터넷 상에서 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보호합니다. 따라서 SSL을 사용하면 개인정보나 비밀번호 등 민감한 정보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HTML은 웹 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언어이고, HTTP는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Samba는 리눅스와 윈도우 간의 파일 공유를 위한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아파치 웹 서버의 설정 파일인 httpd.conf 파일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SSLEngine on : 서버의 루트 디렉토리의 기본 경로를 지정해 준다.
  2. SSLCertificateFile : 인증서의 위치와 그 이름을 아파치에게 알려 준다.
  3. SSLCertificateKeyFile : 비밀키 이름과 그 위치를 아파치에게 알려 준다.
  4. SSLCACertificateFile : Intermediate(root) 인증서의 위치를 아파치에게 알려 준다.
(정답률: 45%)
  • "SSLEngine on : 서버의 루트 디렉토리의 기본 경로를 지정해 준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SSLEngine on은 SSL 프로토콜을 사용하도록 아파치에 지시하는 지시어입니다. 따라서 서버의 루트 디렉토리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SMB 서버의 활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삼바 서버가 지원하는 플랫폼은 크게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나눌 수 있는데 서버환경은 대다수의 유닉스 기종들을 지원한다.
  2. 삼바를 이용하면 리눅스 서버에서 사용하는 디스크를 윈도우즈와 같은 다른 운영체제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3. 삼바기능은 리눅스나 윈도우즈 시스템에 자료를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때 FTP를 사용하지 않고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백업 시스템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4. 리눅스서버에 연결되어 있는 프린터, CD-ROM을 윈도우즈에서도 공유하여 사용하기는 어려우며 별도의 윈도우즈 서버를 이용하면 윈도우즈와 같이 클라이언트를 관리할 수 있다.
(정답률: 61%)
  • 리눅스서버에 연결되어 있는 프린터, CD-ROM을 윈도우즈에서도 공유하여 사용하기는 어려우며 별도의 윈도우즈 서버를 이용하면 윈도우즈와 같이 클라이언트를 관리할 수 있다. - 이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삼바를 이용하면 리눅스 서버에서 사용하는 디스크, 프린터, CD-ROM 등을 윈도우즈와 같은 다른 운영체제에서도 공유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별도의 윈도우즈 서버를 이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FTP
  2. NFS
  3. SMB
  4. DNS
(정답률: 47%)
  • 이 그림은 파일 공유 프로토콜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이고, "NFS"는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입니다. "DNS"는 도메인 이름 시스템이므로, 이 중에서 파일 공유 프로토콜에 해당하는 것은 "SMB"입니다. SMB는 Windows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파일 공유 프로토콜로, 다른 운영체제에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삼바서버의 보안 모델에서 공유(share)를 기준으로 볼 때 다음 설명 중 알맞지 않은 것은?

  1. 사용자 레벨은 공유 레벨과는 달리 한번 접속에 성공하면 그 이후에는 암호를 체크하지 않으므로 성능 면에서 유리하다.
  2. 공유 레벨은 프린터, CD-ROM, anonymous FTP 등의 공유 디렉토리를 불특정 사용자들이 공유할 경우에 유용하다.
  3. 서버 레벨은 사용자로부터 계정과 암호를 받아 다른 NT와 같은 SMB 서버로 인증을 맡기는 방법을 사용한다.
  4. 도메인 레벨은 삼바의 기본설정으로 기존 윈도우 95를 대신하여 급속히 윈도우 98과 NT가 보급되어 기본설정이 변경된 것이다.
(정답률: 40%)
  • "도메인 레벨은 삼바의 기본설정으로 기존 윈도우 95를 대신하여 급속히 윈도우 98과 NT가 보급되어 기본설정이 변경된 것이다."가 알맞지 않은 설명입니다.

    이유: 삼바의 도메인 레벨은 윈도우와는 다른 개념으로, 윈도우 95, 98, NT와는 무관합니다. 삼바의 도메인 레벨은 네트워크 내에서 사용자와 그룹을 관리하는 방법을 정의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NFS 서버의 익스포팅 설정 파일인 /etc/exports 파일에서 사용가능한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root_squash : 클라이언트에서 루트를 서버상에 nobody사용자로 매핑
  2. no_root_squash :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루트 계정을 사용안함
  3. ro : 공유된 자원을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
  4. insecure : 인증되지 않은 액세스도 가능하도록 함
(정답률: 46%)
  • "no_root_squash :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루트 계정을 사용안함"이 틀린 것이다. 올바른 설명은 "no_root_squash : 클라이언트에서 루트를 서버상에 루트로 매핑"이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에서 루트 계정으로 NFS 자원에 액세스할 수 있으며, 이는 보안상 위험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옵션은 보안상 취약점이 될 수 있으므로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NFS에서 제공하는 유틸리티와 그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showmount : mount 데몬에, NFS 서버에 대해서 질의하여 사용 중인 상태를 표시한다.
  2. nfsstat : NFS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유틸리티이다.
  3. nhfsstone : NFS를 벤치마킹하기 위한 프로그램인데 시간당 부하의 수, 전송률, 실패율 등의 NFS에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4. nfscps : NFS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접속 수를 보여준다.
(정답률: 28%)
  • 정답은 "nfscps : NFS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접속 수를 보여준다." 이다. nfscps는 NFS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파일 전송 속도를 측정하는 유틸리티이다. 따라서, "NFS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접속 수를 보여준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NFS 마운트할 때 사용되는 옵션과 그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rsize : NFS 서버로부터 읽어 들이는 바이트 수를 지정하며 기본은 1024byte
  2. timeo : 클라이언트에서 타임아웃이 발생되고 나서 다시 재전송 요구를 보낼 때 사용하는 시간
  3. fg : 타임아웃이 발생하면 곧바로 foreground로 전환
  4. soft : 클라이언트에서 타임아웃이 발생되고 나서 다시 재전송 요구
(정답률: 28%)
  • 정답은 "fg : 타임아웃이 발생하면 곧바로 foreground로 전환"입니다. fg 옵션은 NFS 마운트 시에 사용되는 옵션 중에는 없습니다.

    추가 설명:
    - rsize 옵션은 NFS 서버로부터 읽어들이는 데이터의 크기를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기본값은 1024byte이며, 이 값을 늘리면 데이터를 더 빠르게 읽어들일 수 있습니다.
    - timeo 옵션은 클라이언트에서 NFS 서버로부터 응답을 받을 때까지 기다리는 시간을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이 시간을 초과하면 재전송을 요구합니다.
    - soft 옵션은 NFS 서버와의 연결이 끊어졌을 때, 클라이언트에서 에러를 발생시키고 연결을 끊는 옵션입니다. 반면에 hard 옵션은 연결이 끊어졌을 때, 계속해서 재시도를 하다가 연결이 되면 데이터를 전송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인터넷의 TCP/IP 응용 프로토콜 중의 하나로 인터넷 상의 컴퓨터들 간에 파일을 교환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은 무엇인가?

  1. FTP
  2. NFS
  3. DNS
  4. ProFTP
(정답률: 49%)
  • FTP는 File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 상의 컴퓨터들 간에 파일을 교환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FTP를 사용하면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으며, 파일의 크기나 종류에 상관없이 빠르고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터넷에서 파일을 공유하거나 전송할 때 가장 많이 사용되는 프로토콜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리눅스에서 제공하는 대표적인 FTP 서버 프로그램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1. ProFTPD
  2. wuFTPD
  3. gFTP
  4. vsFTPD
(정답률: 36%)
  • gFTP는 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며, FTP 서버 프로그램이 아니기 때문에 제공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ProFTPD 서버 설치를 하기 위한 환경파일 설정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ServerName “ihd server” : ServerName은 ProFTPD가 현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의 서버 이름을 “ihd server”로 설정한다.
  2. ServerType standalone : ProFTPD을 실행 시키는 방법으로 ServerType을 standalone으로 설정한다.
  3. MaxInstances 30 : MaxInstances는 ProFTPD 서버가 standalone 모드일 때 최대 접속 가능한 사용자 수를 지정한다.
  4. RequireValidShell off : RequireValidShell은 /etc/shells파일에 정의되지 않는 쉘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FTP 접속을 허락하거나 거절하는 것에 대한 지정이다.
(정답률: 11%)
  • 정답은 "ServerName “ihd server” : ServerName은 ProFTPD가 현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의 서버 이름을 “ihd server”로 설정한다." 이다. 이유는 ServerName은 ProFTPD가 현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의 서버 이름을 설정하는 것이 아니라 ProFTPD 서버의 이름을 설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ProFTPD 서버의 이름은 클라이언트가 접속할 때 사용되는 것으로, 컴퓨터의 서버 이름과는 별개의 개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메일 서비스를 하기 위한 기본적인 3가지 컴포넌트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MUA(Mail User Agent)는 사용자들이 메일을 보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이다.
  2. MTA(Mail Transfer Agent)는 한 호스트로부터 메일을 받아 다른 호스트로 메일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3. MMA(Mail Messenger Agent)는 메일의 도착지가 자신인지 확인한 후 자신이 아니면 도착지로 메시지를 다시 전송한다.
  4. MDA(Mail Delivery Agent)는 수신된 메시지를 해당 사용자의 메일 박스에 저장해 주는 역할을 한다.
(정답률: 42%)
  • 정답은 "MMA(Mail Messenger Agent)는 메일의 도착지가 자신인지 확인한 후 자신이 아니면 도착지로 메시지를 다시 전송한다." 이다.

    MMA는 메일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메일 서버에서 수신한 메일을 해당 사용자의 메일 박스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도착지로 메시지를 다시 전송한다"는 설명이 잘못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일반적인(Well Known) 포트번호와 프로토콜의 연결이 잘못 짝지어진 것은?

  1. 21, 23 : FTP, Telnet
  2. 143, 445 : INAP, SMB
  3. 25, 110 : SMTP, POP3
  4. 53, 80 : DNS, HTTP
(정답률: 58%)
  • 143은 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의 포트번호이고, 445는 SMB(Server Message Block)의 포트번호이다. INAP(Intelligent Network Application Protocol)은 8148번 포트를 사용하므로, 143과는 연결이 없다. SMB는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위한 프로토콜이므로, 445와 함께 사용된다. 따라서, 143과 445는 INAP과 SMB와 연결이 잘못 짝지어진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IRC
  2. Messenger
  3. SMTP
  4. POP3
(정답률: 59%)
  • 이 그림은 이메일을 보내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메일을 보내기 위해서는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서버를 사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SMT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슈퍼 데몬(xinetd)이 보안과 성능을 위해서 제공하는 여러 가지 옵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wait : 스레드에 대한 서비스 동작을 정의한다.
  2. cps : 초당 문자 전송률을 제한한다.
  3. per_source : 동일 호스트로부터의 서버 접속 수를 설정한다.
  4. server : 서버 프로그램의 경로이다.
(정답률: 29%)
  • "cps : 초당 문자 전송률을 제한한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슈퍼 데몬(xinetd)은 보안과 성능을 위해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는데, "cps" 옵션은 초당 연결 수를 제한하는 옵션이 아니라 초당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한하는 옵션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메일 서버 프로그램이 아닌 것은?

  1. Sendmail
  2. Kmail
  3. Sendmail Pro
  4. Qmail
(정답률: 27%)
  • 정답은 "Kmail"입니다. Kmail은 이메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며, 나머지 세 가지 프로그램은 모두 메일 서버 프로그램입니다. Qmail은 다른 메일 서버 프로그램과는 달리 보안과 안정성에 중점을 둔 프로그램으로, 일부 보안 전문가들에게는 인기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전자우편 도구는 무엇인가?

  1. PGP(Pretty Good Privacy)
  2. PEM(Privacy Enhanced Mail)
  3. BIND(Berkeley Internet Name Domain)
  4.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정답률: 49%)
  • 이미지에서 보이는 도구는 PGP(Pretty Good Privacy)이다. PGP는 전자우편 보안을 위한 암호화 프로그램으로, 이메일의 기밀성과 무결성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PEM(Privacy Enhanced Mail)은 이메일 보안 프로토콜이며, BIND(Berkeley Internet Name Domain)은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를 관리하기 위한 도구이다.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는 인터넷 프로토콜의 표준화를 위한 국제 기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Sendmail 환경설정 파일인 Sendmail.cf 파일의 작성규칙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Sendmail 파일에서 새로운 줄의 시작은 탭 문자로 시작한다.
  2. Sendmail 파일의 모든 라인은 config 명령이거나 주석문자(#)로 시작해야 한다.
  3. Sendmail 파일은 줄 단위로 실행한다.
  4. Sendmail 파일의 모든 라인에는 반드시 하나의 명령이 존재한다.
(정답률: 18%)
  • "Sendmail 파일에서 새로운 줄의 시작은 탭 문자로 시작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은, 실제로는 Sendmail 파일에서 새로운 줄의 시작은 스페이스나 탭 문자 모두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이는 Sendmail.cf 파일이 다양한 텍스트 편집기에서 작성될 수 있도록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Sendmail.cf 파일의 7개 섹션 중 메일 작성시 헤더를 생성하는 규칙이 정의되어 있는 섹션은 어느 것인가?

  1. Local Info Section
  2. Trusted Users Section
  3. Rewriting Rules Section
  4. Format of Headers Section
(정답률: 53%)
  • 정답: "Format of Headers Section"

    이유: "Format of Headers Section"은 메일 작성시 헤더를 생성하는 규칙을 정의하는 섹션이다. 이 섹션에서는 메일의 발신자, 수신자, 제목 등의 정보를 포함한 헤더를 어떻게 구성할지에 대한 규칙을 설정할 수 있다. 이 규칙에 따라 메일 헤더가 생성되며, 이는 메일의 전달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다. 따라서 이 섹션은 메일 서버의 동작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은 무엇에 대한 설명인가?

  1. IMAP
  2. DRAC
  3. MDA
  4. MLM
(정답률: 44%)
  • 이미지는 Dell Remote Access Controller (DRAC)를 나타냅니다. DRAC은 Dell 서버에서 원격으로 서버를 관리하고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이와 관련이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서버, 즉 데몬의 2가지 실행모드(유형)에 대한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Standalone모드로 실행되는 데몬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즉각 응답을 한다.
  2.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빈번하지 않은 텔넷과 같은 데몬은 Inetd모드로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인 상식이다.
  3. Standalone모드로 실행되는 데몬은 시스템을 부팅하면서 바로 실행할 수 있도록 /etc/rc.d/init.d 디렉토리에 스크립트 파일로 제어된다.
  4. Inetd모드로 실행되는 데몬들은 다른 데몬들과 함께 /etc/hosts.d 아래의 서비스별 설정파일에 설정한다.
(정답률: 24%)
  • "Standalone모드로 실행되는 데몬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즉각 응답을 한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Inetd모드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들어올 때만 해당 데몬을 실행하고, 요청이 없으면 대기 상태에 머무른다. 따라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빈번하지 않은 데몬은 Inetd모드로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반면에 Standalone모드는 시스템이 부팅될 때 자동으로 실행되며,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즉각적으로 응답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xinetd에서 관리하는 telnet 서비스 설정의 일부이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호스트 203.237.190.3은 주어진 시간 동안 텔넷을 이용할 수 있다.
  2. 텔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최대 연결 수는 10이다.
  3. 한 호스트당 접속할 수 있는 연결 수는 2이다.
  4. 호스트 203.237.190.5는 09:00∼16:00 이외의 시간 동안 텔넷을 이용할 수 있다.
(정답률: 53%)
  • 정답은 "한 호스트당 접속할 수 있는 연결 수는 2이다." 이다.

    호스트 203.237.190.5가 09:00∼16:00 이외의 시간 동안 텔넷을 이용할 수 없는 이유는 access_times 옵션에서 해당 시간대에만 접속을 허용하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텔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최대 연결 수는 10으로 설정되어 있고, 한 호스트당 접속할 수 있는 연결 수는 2로 설정되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슈퍼 데몬 중 xinetd의 속성이 아닌 것은?

  1. client
  2. log_type
  3. flags
  4. nice
(정답률: 29%)
  • xinetd는 슈퍼 데몬 중 하나로, 네트워크 서비스를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xinetd의 속성 중 "client"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client"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DNS 서버를 테스트하기 위하여 명령을 입력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볼 수 있었다. 다음 중 DNS서버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nslookup
  2. ipconfig
  3. domainname
  4. hostname
(정답률: 48%)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결과는 "nslookup" 명령을 사용하여 DNS 서버에 질의한 결과이다. 따라서 DNS 서버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nslookup" 명령을 사용해야 한다. "ipconfig" 명령은 IP 주소와 관련된 정보를 확인하는 명령이며, "domainname"과 "hostname" 명령은 각각 시스템의 도메인 이름과 호스트 이름을 확인하는 명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프록시 서버인 squid의 환경설정 파일인 squid.conf의 일부이다. 다음 중 디스크에 생성되는 프록시 서버의 크기는 얼마인가?

  1. 8MB
  2. 1GB
  3. 4MB
  4. 256MB
(정답률: 31%)
  • cache_dir 디렉티브에서 "1GB"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에 생성되는 프록시 서버의 크기는 1GB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NIS 서버 설정에 사용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아닌 것은?

  1. ypbind
  2. ypswitch
  3. ypcat
  4. yppull
(정답률: 49%)
  • "yppull"은 NIS 서버 설정에 사용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아닙니다. "yppull"은 NIS 맵 데이터를 가져오는 데 사용되는 유틸리티입니다. 반면, "ypbind"는 NIS 클라이언트가 NIS 서버에 연결하는 데 사용되며, "ypswitch"는 NIS 도메인을 변경하는 데 사용됩니다. "ypcat"은 NIS 맵의 내용을 출력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중 DHCP 서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DHCP는 동적으로 IP를 할당해 주고 할당을 받는 것을 말한다.
  2. DHCP는 각각의 호스트에 중요한 네트워크 매개 변수 및 설정 사항들을, 서버의 세팅을 사용하여 원격으로 설정해 주는 프로그램이다.
  3. IP 주소와 게이트웨이는 클라이언트에게 할당할 수 있으나 네임서버는 할당할 수 없다.
  4. DHCP는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이다.
(정답률: 48%)
  • "IP 주소와 게이트웨이는 클라이언트에게 할당할 수 있으나 네임서버는 할당할 수 없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DHCP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IP 주소, 게이트웨이, 서브넷 마스크, DNS 서버 등 다양한 네트워크 설정 정보를 할당해 줄 수 있다. 따라서 네임서버도 DHCP 서버에서 할당해 줄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MAC 주소를 이용하여 서버나 호스트의 위치를 찾기 위한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의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rp –a : 캐시에 있는 특정된 호스트 또는 모든 호스트를 나열한다.
  2. arp –s : 현재 캐시에 있는 특정한 호스트에 대한 MAC 주소의 값을 생성 또는 변경한다.
  3. arp –d : 현재 캐시에 있는 특정한 호스트에 대한 MAC 주소의 값을 지운다.
  4. arp –v : 정적인 모드로 보여준다.
(정답률: 32%)
  • 정답은 "arp –v : 정적인 모드로 보여준다." 이다.

    arp -v 옵션은 존재하지 않는 옵션이므로 틀린 설명이다. arp 명령어는 -a, -s, -d 옵션을 사용하여 캐시에 있는 호스트의 MAC 주소를 나열하거나 생성/변경/삭제할 수 있다. -v 옵션은 존재하지 않으며, 정적인 모드로 보여주는 옵션도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중 DoS(Denial of Service) 공격의 특징이 아닌 것은?

  1. 루트 권한을 획득하는 공격이 아니다
  2. 데이터를 파괴, 변조 또는 훔쳐가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공격이 아니다.
  3. 같은 공격에 대하여 공격당한 시스템에 피해 결과는 똑같이 일어난다.
  4. 데이터의 삭제나 파일시스템의 파괴와 같은 시스템에 치명적인 문제를 끼치지는 못하지만, 시스템의 네트워크나 시스템 서비스 등의 정상적인 수행 문제를 야기시켜 사용자에게 불편을 준다.
(정답률: 54%)
  • "같은 공격에 대하여 공격당한 시스템에 피해 결과는 똑같이 일어난다."가 DoS 공격의 특징이 아니다. 이는 공격의 종류, 공격 대상 시스템의 상태, 공격자의 기술 등에 따라 피해 결과가 다양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같은 DoS 공격이라도 공격 대상 시스템의 성능이 강력하면 피해가 적을 수 있고, 공격자의 기술이 뛰어나면 피해가 크게 일어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DoS 공격은 크게 외부에서의 공격과 내부에서의 공격으로 나눌 수 있다. 다음 중 외부에서의 공격에 해당하지 않은 것은?

  1. 응용프로그램의 정상적 동작을 하지 못하게 한다.
  2. TCP/IP, 이더넷 층에서 돌아다니는 패킷 조정을 통하여 목표 시스템의 네트워크 기능을 마비시킨다.
  3. 네트워크의 트래픽을 증가시켜 시스템이 네트워크 서비스를 수행하지 못하게 한다.
  4. 시스템의 프로세스 테이블을 모두 고갈(Full) 시킨다.
(정답률: 27%)
  • 시스템의 프로세스 테이블을 모두 고갈(Full) 시킨다는 것은 내부에서의 공격에 해당한다. 외부에서의 공격은 주로 네트워크를 통해 시스템에 대량의 패킷을 보내 응용프로그램의 정상적 동작을 방해하거나 네트워크 기능을 마비시키는 것이다. 이에 비해 내부에서의 공격은 시스템 자원을 고갈시켜 시스템 전체적인 동작을 마비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시스템의 프로세스 테이블을 모두 고갈시키면 시스템은 더 이상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할 수 없게 되어 전체적인 동작이 마비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트로이 목마에 대한 설명과 그 대응책이 잘못된 것은?

  1.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으로 가장하여 프로그램 내에 숨어서 의도하지 않은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다.
  2. 사용자의 합법적인 권한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방어체제를 침해하고 공격자는 접근이 허락되지 않는 정보를 획득한다.
  3. 트로이 목마는 자기 존재의 흔적을 남기지 않아 발견 가능성이 적고, 의심받지 않는 소프트웨어에 숨어있다.
  4. 백 오리피스(Back Orifice) 같은 프로그램은 트로이 목마와 유형이 다르다.
(정답률: 55%)
  • 백 오리피스와 같은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설치하고 실행하는 것으로, 명시적으로 사용자에게 설치 동의를 받는 반면, 트로이 목마는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황에서 시스템에 침투하고, 사용자의 동의 없이 작동한다. 따라서 백 오리피스와 같은 프로그램은 트로이 목마와 유형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웜(Worm) 바이러스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1. 자기 자신을 컴퓨터 시스템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장소에 위치하는 바이러스나 복제 코드의 일종이다.
  2. 전자우편을 통해 많은 컴퓨터들에게 자기자신을 복제하는 멜리사와 같은 바이러스도 있다.
  3. DoS공격의 일반적 유형을 보이는 바이러스다.
  4. 대부분의 컴퓨터 바이러스와 같이 웜도 대체로 트로이 목마 내에 삽입된 상태로 침투한다.
(정답률: 37%)
  • 웜 바이러스는 DoS 공격의 일반적 유형을 보이는 바이러스가 아니라, 자기 자신을 컴퓨터 시스템에 해를 끼칠 수 있는 장소에 위치하는 바이러스나 복제 코드의 일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VPN(Virtual Private Network)은 인터넷과 같은 공중망을 이용하여 전용선의 효과를 줄 수 있는 기술로 구현 기술에는 터널링(Tunneling) 기술을 들 수 있다. 다음 중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터널링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1. PPTP(Point-to-Point Tunneling Protocol)
  2. L2TP(Layer 2 Tunneling Protocol)
  3. IPsec(IP Security Protocol)
  4.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정답률: 40%)
  • 정답은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이다. NAT는 터널링 프로토콜이 아니라 IP 주소 변환 기술로, 사설 네트워크에서 공인 네트워크로 나가는 패킷의 출발지 IP 주소를 사설 IP 주소에서 공인 IP 주소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사설 네트워크 내부의 여러 호스트들이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공유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