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0-09-04)

리눅스마스터 1급
(2010-09-04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리눅스 실무의 이해

1. 시스템의 성능을 나타내는 4가지 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Throughput : 단위시간당 처리량을 나타낸다.
  2. Turn-around Time : 작업이 제출되어 결과를 얻을 때까지의 총 소요 시간을 나타낸다.
  3. Reliability : 시스템이 얼마나 정확하게 작동하는지를 나타낸다.
  4. Availability : 시스템이 처리할 수 있는 작업 종류의 다양성을 나타낸다.
(정답률: 74%)
  • Availability가 시스템이 처리할 수 있는 작업 종류의 다양성을 나타낸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Availability는 시스템이 얼마나 가동 가능한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예를 들어, 시스템이 24시간 가동 가능하다면 100%의 가용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상업적인 목적을 위한 마케팅의 일환으로 일정한 기간 동안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등의 부분적인 제한을 설정하여 배포되지만, 계속해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비용을 지불하여야 하는 소프트웨어는?

  1.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Open Source software)
  2. 카피레프트 소프트웨어(Copylefted software)
  3. 쉐어웨어(Shareware)
  4. GPL 소프트웨어
(정답률: 74%)
  • 쉐어웨어는 일정 기간 동안 무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이후에는 비용을 지불하여야 계속해서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이다. 이는 마케팅의 일환으로 일시적인 무료 제공을 통해 사용자들의 관심을 끌고, 이후에는 유료로 전환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전략이다. 따라서 쉐어웨어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리눅스 배포판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사용자의 편의성을 위하여 커널과 여러 가지 프로그램을 하나의 패키지로 묶은 것이다.
  2. 대표적인 배포판으로 레드햇, 데비안, 맨드레이크 등이 있다.
  3. 배포판들은 리눅스 커널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지고 제작되어 진다.
  4. 배포판은 동일한 응용프로그램들을 업체들만의 패키징 방법으로 묶어서 공개하고 있다.
(정답률: 53%)
  • "배포판은 동일한 응용프로그램들을 업체들만의 패키징 방법으로 묶어서 공개하고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배포판은 동일한 응용프로그램들을 업체들만의 패키징 방법으로 묶어서 공개하는 것이 아니라, 리눅스 커널과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을 하나의 패키지로 묶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제작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운영체제의 발전순서를 기술한 것 중 알맞은 것은?

  1. 일괄처리시스템-시분할시스템-다중모드시스템-분산처리시스템
  2. 시분할시스템-다중모드시스템-분산처리시스템-일괄처리시스템
  3. 다중모드시스템-분산처리시스템-일괄처리시스템-시분할시스템
  4. 분산처리시스템-시분할시스템-일괄처리시스템-다중모드시스템
(정답률: 91%)
  • 일괄처리시스템은 컴퓨터가 일련의 작업을 처리하는 방식이며, 시분할시스템은 여러 사용자가 동시에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다중모드시스템은 여러 가지 모드를 지원하는 시스템이며, 분산처리시스템은 여러 대의 컴퓨터가 연결되어 하나의 시스템처럼 동작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이들의 발전순서는 일괄처리시스템-시분할시스템-다중모드시스템-분산처리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최근에는 리눅스가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어지고 있다. 리눅스가 제도권으로 진입하여 사용되어 지게된 성공요인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기본적으로 무료배포를 전제로 한 공유와 나눔의 철학적 배경
  2. 다양한 개발자들에 의해 기능개선이 가능토록한 소스코드의 공개
  3. 기술의 폐쇄성을 무기로 하는 독점 소프트웨어에 대한 반발 심리
  4. 윈도우즈 시스템과의 데이터 호환성 확대와 관리미숙으로 인해 시스템에 문제 발생 시 이에 대한 완벽한 보상체제 확립
(정답률: 67%)
  • 리눅스가 제도권으로 진입하여 사용되어 지게된 성공요인 중에서 "윈도우즈 시스템과의 데이터 호환성 확대와 관리미숙으로 인해 시스템에 문제 발생 시 이에 대한 완벽한 보상체제 확립"이라는 것은, 리눅스가 기존에 사용되던 윈도우즈 시스템과의 호환성 문제와 관리 미숙으로 인해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보상체제를 확립하여 사용자들에게 안정적인 시스템 사용을 보장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의 특징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현재의 SCSI 세트들은 병렬 인터페이스이다.
  2. SCSI 기반의 저장기기는 대체로 IDE 저장기기보다 고가이고 고성능이다.
  3. 현재 SCSI는 PC에서만 호환되고 있지만 이후 리눅스 서버에서도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된다.
  4. SCSI는 스캐너, 프린터 등과 같은 주변자치를 이전의 인터페이스보다 더 빠르고 더 유연하게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인터페이스이다.
(정답률: 88%)
  • "현재 SCSI는 PC에서만 호환되고 있지만 이후 리눅스 서버에서도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SCSI는 PC뿐만 아니라 다양한 운영체제와 서버에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SCSI는 운영체제나 플랫폼에 종속되지 않는 범용 인터페이스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운영체제에서 부트매니저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다양한 운영체제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부팅할 때 본인이 필요로 하는 운영체제를 선택하여 부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다.
  2. 윈도우를 설치한 후 리눅스를 설치하면 우선 윈도우로 부팅된 후 리눅스 LILO/GRUB가 실행되어진다.
  3. 부트매니저를 대표하는 것은 OS/2의 부트관리 프로그램이다.
  4. 리눅스에서는 LILO와 GRUB가 대표적인 부트로더이다.
(정답률: 69%)
  • 정답은 "부트매니저를 대표하는 것은 OS/2의 부트관리 프로그램이다."이다.

    윈도우와 리눅스를 설치한 경우, 부트매니저는 운영체제를 선택하여 부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기능이다. 그러나 윈도우를 설치한 후 리눅스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윈도우의 부트로더가 우선 실행되어진다. 이후에 리눅스의 부트로더인 LILO 또는 GRUB가 실행되어 리눅스를 부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리눅스의 터미널 모드에서 shutdown 명령을 실행시켰을 경우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hotdown -h now 명령어의 옵션이 -h는 halt의 뜻을 나타내는 옵션이다.
  2. shotdown -h now 명령 중 now는 지금 바로 실행하고자 하는 의미이다.
  3. shotdown -h now를 실행시키면 종료 후 시스템이 자동으로 reboot 된다.
  4. shotdow -h +60 이라고 실행하게 되면 시스템을 1시간 이후에 shotdown 시킬 수 있다.
(정답률: 74%)
  • 정답은 "shotdown -h now를 실행시키면 종료 후 시스템이 자동으로 reboot 된다." 이다. 이유는 shutdown 명령어의 -r 옵션을 사용해야지만 시스템이 자동으로 reboot 된다. -h 옵션은 시스템을 종료(halt)시키는 옵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리눅스 파일시스템에서 ex2의 특징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ex2 파일시스템은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논리적인 파티션을 블록으로 다시 나눈 것이다.
  2. 파일시스템에서 무결성의 핵심을 이루는 정보를 중복해서 저장한다.
  3. 디렉토리는 파일시스템 상에서 파일에 대한 접근경로를 생성하고 저장하는 특별한 의미의 파일로 취급된다.
  4. ex2 파일시스템에서는 저널링에 의해 파일 시스템을 복구하였으나, ex3 파일시스템 부터는 fsck(file system check)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
(정답률: 67%)
  • "ex2 파일시스템에서는 저널링에 의해 파일 시스템을 복구하였으나, ex3 파일시스템 부터는 fsck(file system check) 기능이 제공되고 있다."가 정답이다. ex2 파일시스템은 저널링 기능이 없어 파일 시스템이 손상될 경우 복구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지만, ex3 파일시스템부터는 fsck 기능이 제공되어 파일 시스템의 무결성을 검사하고 복구할 수 있다. 따라서 ex2 파일시스템의 특징 중에서는 이 부분이 다른 것들에 비해 보기 어렵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x 윈도우 시스템을 이루는 4가지 요소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서버/클라이언트
  2. X 저널
  3. Xlib, Xtoolkit
  4. X 프로토콜
(정답률: 57%)
  • X 저널은 x 윈도우 시스템을 이루는 구성 요소 중에서는 유일하게 기술 문서나 사용자 지침서와 같은 문서화된 자료를 제공하는 요소이기 때문에, 다른 요소들과는 달리 시스템 자체를 구성하는 역할을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X 저널은 x 윈도우 시스템을 이루는 4가지 요소 중에서 보기 어려운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중 윈도 매니저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x protocol
  2. Enlightenment
  3. FVWM
  4. WindowMaker
(정답률: 44%)
  • "x protocol"은 윈도우 매니저가 아니라 X 윈도 시스템의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윈도우 매니저로 보기 어렵습니다. X 프로토콜은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컴퓨터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로컬에서 실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X 프로토콜은 윈도우 매니저와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쉘(Shell) 환경변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HOME : 사용자 홈 디렉토리
  2. PS1 : 프롬프트 설정 값
  3. PWD : 현재 사용하는 셀의 패스워드 값
  4. TERM : 터미널의 종류
(정답률: 65%)
  • "PWD : 현재 사용하는 셀의 패스워드 값"은 틀린 설명입니다. PWD는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나타내는 환경변수입니다. 따라서 현재 사용하는 셀의 패스워드 값이 아닌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경로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bash 쉘에서 사용되는 특수문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 : 0개 이상의 문자와 일치하는 파일 치환 대표 문자 기호
  2. ? : 단일 문자와 일치하는 파일치환 대표문자 기호
  3. $ : 이전의 명령이 실패하면 실행하는 조건부 실행기호
  4. & : 명령을 백그라운드로 실행하고자 할 경우 (독립적으로 사용)에 사용되는 기호
(정답률: 73%)
  • "$ : 이전의 명령이 실패하면 실행하는 조건부 실행기호"가 틀린 것이다. "$"는 변수를 참조할 때 사용되는 기호이다.

    "$"는 이전 명령이 실패하면 실행되는 조건부 실행기호가 아니라, "$?"와 함께 사용되어 이전 명령의 종료 상태를 나타내는 변수를 참조할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ls" 명령어를 실행한 후 "$?"를 입력하면, "ls" 명령어의 종료 상태를 나타내는 값이 출력된다. 이 값이 0이면 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음을 의미하고, 0이 아닌 값이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를 이용하여 이전 명령의 실행 결과에 따라 다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프로세스와 관련된 용어의 설명 중 틀린 것은?

  1. 프로세스(Process) :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인스턴스
  2. 프로세서(Processor) : 특정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의 조합
  3. 프로시저(Procedeur) : 프로그램의 일부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특정 루틴
  4. 스레드(Thread) : 프로세스의 일부 특정 데이터만 가지고 있는 가벼운 프로세스
(정답률: 66%)
  • 정답은 "스레드(Thread) : 프로세스의 일부 특정 데이터만 가지고 있는 가벼운 프로세스" 이다.

    프로세스(Process)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인스턴스를 의미하며, 프로세서(Processor)는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의 조합을 의미한다. 프로시저(Procedure)는 프로그램의 일부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특정 루틴을 의미한다.

    스레드(Thread)는 프로세스 내에서 실행되는 작은 실행 단위를 의미하며, 프로세스의 일부 특정 데이터만 가지고 있는 가벼운 프로세스이다. 스레드는 프로세스 내에서 동시에 여러 개가 실행될 수 있으며, 각각의 스레드는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비선점(Non-Preemption) 스케줄링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대화식 시분할시스템에 적합하다.
  2. 긴 작업이 짧은 작업을 오랫동안 기다리게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3. 프로세스 간의 문맥교환 횟수가 적고, 보통 일괄 처리 시스템에 적합하다.
  4. 한 프로세스가 일단 CPU를 할당 받으면 다른 프로세스가 CPU를 강제적으로 빼앗아 갈 수 없는 방식이다.
(정답률: 17%)
  • "프로세스 간의 문맥교환 횟수가 적고, 보통 일괄 처리 시스템에 적합하다."는 비선점 스케줄링 기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습니다. 비선점 스케줄링은 대화식 시분할시스템에 적합하며, 한 프로세스가 CPU를 할당 받으면 다른 프로세스가 CPU를 강제적으로 빼앗아 갈 수 없는 방식입니다. 그러나 긴 작업이 짧은 작업을 오랫동안 기다리게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선점 스케줄링에서는 해결할 수 있지만, 비선점 스케줄링에서는 해결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디지털신호와 아날로그신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아날로그 데이터는 전기적 신호가 연속적으로 변하는 것으로 전자파의 연속적인 값으로 이루어진다.
  2. 디지털 데이터는 이산적인 값으로 전압 펄스의 연속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3. 통신 전용망 및 ISDN은 아날로그 통신망에 해당된다.
  4. 아날로그 전송은 장거리 전송 시 잡음 성분까지 포함되어 신호의 정확성을 기할 수 없으며, 전송 속도나 전송 품질의 향상이 어렵다.
(정답률: 50%)
  • "통신 전용망 및 ISDN은 아날로그 통신망에 해당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이유는 통신 전용망 및 ISDN은 디지털 통신망에 해당된다. 디지털 신호는 이산적인 값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아날로그 신호와는 구분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다음에서 설명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의 종류는?

  1. 스타(star) 토폴로지
  2. 링(ring) 토폴로지
  3. 버스(bus) 토폴로지
  4. 복합링(dual-ring) 토폴로지
(정답률: 86%)
  • 위 그림은 스타(star) 토폴로지를 나타낸다. 스타 토폴로지는 중앙에 허브(hub)나 스위치(switch)가 있고, 각각의 컴퓨터가 이에 연결되는 형태의 네트워크 구성이다. 이 구성은 각각의 컴퓨터가 중앙 허브나 스위치를 통해 통신하기 때문에, 한 컴퓨터의 문제가 전체 네트워크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새로운 컴퓨터를 추가하기도 쉽고, 허브나 스위치를 교체하면 전체 네트워크의 성능을 개선할 수도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IP 주소를 실제로 컴퓨터상에서 네트워크 주소와 호스트 주소로 구분하기 위하여 서브넷마스크(Subnet Mask)를 이용한다. B 클래스의 네트워크 주소를 구하기 위한 서브넷마스크에 해당하는 것은?

  1. 0.0.0.0
  2. 255.0.0.0
  3. 255.255.0.0
  4. 255.255.255.0
(정답률: 69%)
  • B 클래스의 IP 주소는 첫 번째 옥텟이 128~191 사이이고, 서브넷마스크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옥텟을 모두 255로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255.255.0.0"이 B 클래스의 네트워크 주소를 구하기 위한 서브넷마스크에 해당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ifconfig 명령을 사용하면 eth0 장치에 IP 주소를 직접 할당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주소는 리눅스 시스템을 다시 시작하게 되면 사라지게 된다. 리눅스 시스템을 시작할 때마다 자동으로 특정 IP주소를 할당하기 위해서는 다음 중 어느 파일에 IP주소를 설정하여야 하는가?

  1. /etc/hosts
  2. /etc/resolv.conf
  3. /etc/sysconfig/network
  4.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정답률: 71%)
  •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파일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파일이며, 이 파일에는 해당 인터페이스의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게이트웨이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따라서 이 파일에 IP 주소를 설정하면 리눅스 시스템이 시작될 때 자동으로 해당 IP 주소가 할당되게 된다. "/etc/hosts" 파일은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는 파일이며, "/etc/resolv.conf" 파일은 DNS 서버 정보를 설정하는 파일이다. "/etc/sysconfig/network" 파일은 네트워크 관련 전반적인 설정을 담당하는 파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라우팅테이블에서 210.101.242.0의 네트워크에 대한 라우터를 삭제하고자 할 때 가장 올바른 명령은?

  1. route rm -net 210.101.242.10
  2. route del -net 210.101.242.10
  3. ifconfig -net 210.101.242.10 down
  4. netstat -d 210.101.242.10
(정답률: 40%)
  • 올바른 명령은 "route del -net 210.101.242.0"이다. 이유는 "del"은 삭제를 의미하고, "-net"은 네트워크를 지정하는 옵션이며, "210.101.242.0"은 삭제할 네트워크 주소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route del -net 210.101.242.10"은 잘못된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리눅스 시스템 관리

21.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TMOUT
  2. LGOUT
  3. TIMEOUT
  4. LOGOUT
(정답률: 75%)
  • "TMOUT"은 "timeout"의 축약어로,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의 입력이 없을 경우 자동으로 로그아웃하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시간 제한과 관련된 기능을 묻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lS -l /bin/*sh
  2. find /bin/?sh
  3. touch /bin/*sh
  4. rm /bin/?sh
(정답률: 50%)
  • "lS -l /bin/*sh"는 /bin 디렉토리 안에 있는 모든 sh로 끝나는 파일들의 상세 정보를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이 명령어를 입력하면 /bin 디렉토리 안에 있는 모든 쉘 파일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의 내용과 가장 관련이 높은 명령어는?

  1. useradd
  2. userdel
  3. usermod
  4. rmuser
(정답률: 59%)
  • 이미 생성된 사용자 계정을 삭제하는 명령어인 "userdel"이 가장 관련이 높습니다. 위의 그림은 "userdel" 명령어를 사용하여 사용자 계정을 삭제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useradd"는 새로운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는 명령어이며, "usermod"는 기존 사용자 계정의 속성을 수정하는 명령어입니다. "rmuser"는 존재하지 않는 명령어이며, "userdel"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deluser" 명령어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현재 사용자와 root 사용자의 쉘 환경 설정이 다르다고 가정할 때, 변경된 root 사용자의 쉘 환경이 나머지 셋과 다른 것은?

  1. su -
  2. su -l root
  3. su - root
  4. su
(정답률: 61%)
  • "su"는 현재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로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su"를 사용하여 root 사용자로 변경하면, 현재 사용자의 쉘 환경 설정과는 무관하게 root 사용자의 쉘 환경 설정을 따르게 된다. 따라서 "su"가 정답이다.

    - "su -" : 현재 사용자의 환경 설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root 사용자로 변경한다.
    - "su -l root" : root 사용자로 변경하면서 로그인 쉘을 사용한다.
    - "su - root" : root 사용자로 변경하면서 root 사용자의 환경 설정을 따른다.
    - "su" : 현재 사용자의 환경 설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root 사용자로 변경한다. (기본값)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file.txt 파일과 동일한 퍼미션을 갖고 잇는 파일을 모두 찾아내기 위한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find / -perm 744
  2. find / -perm 765
  3. find / -perm 544
  4. find / -perm 565
(정답률: 58%)
  • 정답은 "find / -perm 744"입니다.

    - "find / -perm 744"는 루트 디렉토리부터 시작하여 모든 파일을 검색하며, 파일의 퍼미션이 744인 파일을 찾아냅니다.
    - "find / -perm 765"는 파일의 퍼미션이 765인 파일을 찾아냅니다. 하지만 file.txt 파일의 퍼미션은 744이므로 이 명령어는 해당 파일을 찾아내지 못합니다.
    - "find / -perm 544"와 "find / -perm 565"도 마찬가지로 file.txt 파일의 퍼미션과 일치하지 않으므로 해당 파일을 찾아내지 못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현재 사용자 작업 디렉토리가 다음과 같을 때, 부모 디렉토리의 파일 리스트를 출력해 주기 위한 방법 중 알맞지 않은 것은?

  1. cd /home 명령으로 디렉토리 변경 후 ls
  2. ls ../
  3. ls /home
  4. ls ./
(정답률: 62%)
  • 정답은 "ls ./"입니다.

    "./"은 현재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경로이므로, "ls ./"은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리스트를 출력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현재 디렉토리의 파일 리스트를 출력하는 것이며, 부모 디렉토리의 파일 리스트를 출력하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부모 디렉토리의 파일 리스트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ls ../"를 사용하면 됩니다. "../"는 부모 디렉토리를 나타내는 경로이므로, "ls ../"는 부모 디렉토리의 파일 리스트를 출력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서버 관리자인 홍길동은 사용자들이 시스템의 디스크 공간을 무제한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하려고 한다. 이에 적합한 명령어는 무엇인가?

  1. quota
  2. grep
  3. mkswap
  4. chmod
(정답률: 83%)
  • "quota" 명령어는 사용자들이 시스템의 디스크 공간을 제한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홍길동이 원하는 목적에 적합한 명령어이다. "grep"은 문자열 검색에 사용되는 명령어이고, "mkswap"은 스왑 파티션을 생성하는 명령어이며, "chmod"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은 리눅스 명령어 ls -l test.txt를 수행한 결과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파일의 소유자는 ihd 이다.
  2. 파일의 소유 그룹은 ihd 이며, 그룹에 속한 사용자는 읽기와 쓰기가 가능하다.
  3. chmod 1664 test.txt로 설정하였다.
  4. 그룹에 속한 사용자는 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
(정답률: 56%)
  • 정답은 "그룹에 속한 사용자는 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 이다. 이유는 파일의 권한이 -rw-rw-r--으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소유자와 그룹에 속한 사용자가 읽기와 쓰기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사용자는 읽기 권한만 가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그룹에 속한 사용자는 파일을 삭제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etc/fstab 파일은 어떤 장치를 어디에 그리고 어떤 옵션으로 마운트 할 것인지 저장되어 있다. 다음 중 /etc/fstab 파일을 참고해서 마운트를 하지 않는 경우는?

  1. 부팅 과정에서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시킬 경우
  2. fstab에 기술된 파일 시스템을 장치 이름 혹은 마운트 포인트만 써서 마운트 시킬 경우
  3. mount 명령을 사용할 때 -a 옵션을 준 경우
  4. mount 명령을 사용할 때 어떤 옵션도 주지 않은 경우
(정답률: 50%)
  • 정답은 "mount 명령을 사용할 때 어떤 옵션도 주지 않은 경우"이다. 이는 mount 명령어를 사용할 때 어떤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할지, 어디에 마운트할지, 어떤 옵션을 사용할지 등을 지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지 않는다. fstab 파일에는 미리 지정된 정보가 있지만, mount 명령어를 사용할 때는 해당 정보를 지정해주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파일시스템 복구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리눅스 파일시스템은 데이터블록, 블록의 리스트, 디렉토리 정보를 포함한다.
  2. fsck명령은 파일 시스템을 조사하지만 손상된 파일의 복구는 할 수 없다.
  3. fsck명령을 수행한 후 재부팅 하지 않아도 된다.
  4. fsck를 수행한 후 종료값 ‘0’을 반환하면 연산에러를 의미한다.
(정답률: 53%)
  • 리눅스 파일시스템은 데이터블록, 블록의 리스트, 디렉토리 정보를 포함한다. 이는 파일시스템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을 설명하는 것으로, 파일시스템 복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프로세스와 관련이 없는 시스템 호출은?

  1. fork
  2. vfork
  3. open
  4. clone
(정답률: 65%)
  • "open"은 파일을 열기 위한 시스템 호출로, 프로세스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습니다. "fork", "vfork", "clone"은 프로세스를 생성하기 위한 시스템 호출이므로, 프로세스와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open"이 프로세스와 관련이 없는 시스템 호출이 아닌 이유는, 파일을 다루는 것이 프로세스와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시그널과 가장 관련이 적은 시스템 호출은?

  1. signal
  2. creat
  3. kill
  4. sigaction
(정답률: 63%)
  • 시그널과 가장 관련이 적은 시스템 호출은 "creat"입니다.

    시그널은 프로세스 간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기능으로,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에게 중요한 정보를 전달하거나 예외 상황을 처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반면에 "creat" 시스템 호출은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시그널과 관련된 시스템 호출은 "signal"과 "sigaction"입니다. "signal"은 시그널 핸들러를 등록하거나 시그널을 무시하도록 설정하는 데 사용되며, "sigaction"은 더욱 정교한 시그널 처리를 위해 사용됩니다. "kill" 시스템 호출은 다른 프로세스에게 시그널을 보내기 위해 사용됩니다.

    따라서, "creat"은 파일 생성과 관련된 시스템 호출로 시그널과는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기 때문에 시그널과 가장 관련이 적은 시스템 호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시그널(signal) 시스템 호출을 통해 사용자 정의 함수를 signum 번호의 시그널에 대해 시그널 핸들러로 설정할 수 있지만 일부 시그널들은 시그널 핸들러를 지정할 수 없다. 다음 중 시그널 핸들러를 지정할 수 없는 시그널은 무엇인가?

  1. SIGINT
  2. SIGTERM
  3. SIGUSRI
  4. SIGKILL
(정답률: 27%)
  • 정답: SIGKILL

    SIGKILL은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시키는 시그널로, 시스템이나 사용자가 프로세스를 중단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 시그널은 항상 처리되며, 시그널 핸들러를 지정할 수 없다. 따라서 SIGKILL은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시키는 가장 강력한 방법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test 프로그램을 실행한 뒤, 일반 사용자가 다음과 같이 우선권을 변경한 경우 현재 우선권의 값은? (단, 초기 우선권은 0으로 가정한다.)

  1. 19
  2. 20
  3. 0
  4. 15
(정답률: 22%)
  • 일반 사용자가 우선권을 변경하면서 1씩 증가시켰으므로, 1+2+3+4+5+6=21이 된다. 하지만, 이미 초기 우선권 0이 있었으므로 21에 0을 더한 값인 21이 아닌, 21에 0을 더한 값에서 1을 뺀 20이 아닌, 21에 0을 더한 값에서 2를 뺀 19이 현재 우선권의 값이 된다. 따라서 정답은 "19"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리눅스 시스템에서 다음 프로그램의 실행결과로 알맞은 것은?

  1. 부모 프로세스는 자신의 프로세스 PID 값을 출력하고 종료된다.
  2. 부모 프로세스가 먼저 종료된 후 자식 프로세스의 부모 프로세스 PID는 1이다.
  3. 10초동안 자식 프로세스의 상태는 R(Running) 이다.
  4. 부포 프로세스가 종료될 때, 자식 프로세스도 종료된다.
(정답률: 37%)
  • 부모 프로세스가 종료되면, 자식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를 가리키는 PPID(Parent Process ID)를 1로 변경하게 된다. 이는 리눅스 시스템에서 모든 프로세스의 PPID는 최종적으로 init 프로세스(프로세스 ID 1)를 가리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부모 프로세스가 먼저 종료된 후 자식 프로세스의 부모 프로세스 PID는 1이다."가 정답이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rpm 질문 옵션 중 그 설명이 잘못된 것은?

  1. -a : 모든 패키지에 대하여 질문을 수행한다.
  2. -f <파일> : <파일>을 포함하는 패키지에 대하여 질문을 수행한다.
  3. -w < 패키지 파일> : 설치된 또는 설치되지 않은 <패키지 파일>에 대하여 질문을 수행한다.
  4. -l : 패키지 안의 파일을 보여준다.
(정답률: 67%)
  • 정답은 "-w <패키지 파일> : 설치된 또는 설치되지 않은 <패키지 파일>에 대하여 질문을 수행한다." 이다. 이 옵션은 설치되지 않은 패키지 파일에 대해서는 질문을 수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설치된 또는"이라는 표현이 잘못되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다음 중 dpkg를 이용하여 현재 사용자 설정이 유지된 채 삭제된 패키지의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을 바르게 나타낸 것은?

  1. dpkg -C
  2. dpkg -l "*" | grep "^ic"
  3. dpkg -l "*" | grep "^uc"
  4. dpkg -l "*" | grep "^rc"
(정답률: 46%)
  • 정답은 "dpkg -l "*" | grep "^uc""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dpkg -l : 현재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패키지의 목록을 출력하는 dpkg 명령어입니다.
    - "*" : 모든 패키지를 의미하는 와일드카드입니다.
    - | : 앞의 명령어의 출력을 뒤의 명령어의 입력으로 전달하는 파이프 기호입니다.
    - grep : 특정 문자열을 검색하는 명령어입니다.
    - "^uc" : 패키지 상태가 "uc"로 시작하는 패키지를 검색하는 정규표현식입니다. "uc"는 "unpacked but not configured"를 의미하며, 패키지가 설치되었지만 아직 설정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dpkg -l "*" | grep "^uc" 명령어는 현재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패키지 중에서 상태가 "unpacked but not configured"인 패키지의 목록을 출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 gcc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품질이 매우 좋으며 이식성이 좋은 C, C++ 컴파일러이다.
  2. 모든 옵션이나 명령어를 사용자가 다 명령어 라인에 입력해야 한다.
  3. 결과 파일은 기본적으로 a.out 이라는 이름을 갖는다.
  4. 결과 파일의 이름을 바꾸기 위해서는 -r 옵션을 사용한다.
(정답률: 35%)
  • "결과 파일의 이름을 바꾸기 위해서는 -r 옵션을 사용한다."는 틀린 설명이다. 결과 파일의 이름을 바꾸기 위해서는 -o 옵션을 사용해야 한다. -r 옵션은 오브젝트 파일을 합치는데 사용된다.

    이유: -r 옵션은 오브젝트 파일을 합치는데 사용되는 옵션이다. 결과 파일의 이름을 바꾸기 위해서는 -o 옵션을 사용해야 한다. -o 옵션 뒤에 새로운 파일 이름을 지정하면 결과 파일의 이름을 바꿀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gcc의 -I 옵션에 대해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1. 헤더 파일의 이름을 지정한다.
  2. #include 문장에 언급하지 않은 헤더 파일을 지정하기 위해 쓰인다.
  3. 라이브러리를 검색할 디렉토리를 지정한다.
  4. 헤더 파일을 검색할 디렉토리를 지정한다.
(정답률: 37%)
  • -I 옵션은 컴파일러가 헤더 파일을 검색할 디렉토리를 지정하는 옵션이다. 따라서 "헤더 파일을 검색할 디렉토리를 지정한다."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tar 옵션 중 잘못 설명된 것은?

  1. -c : 새로운 묶음 파일을 작성한다.
  2. -t : 묶음 파일 이름을 지정한다.
  3. -x : 묶음 파일을 해제한다.
  4. -v : 묶음 과정을 보여준다.
(정답률: 81%)
  • 정답은 "-t : 묶음 파일 이름을 지정한다." 이다.

    -t 옵션은 묶음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묶음 파일 이름을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존재하는 묶음 파일의 내용을 확인할 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커널 컴파일 과정 중 이전 커널 컴파일에서 남아 있을지도 모르는 많은 불필요한 파일들을 정리하는 것과 동시에 모든 설정과 커널의 소스가 초기상태로 되돌아가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명령어는?

  1. make mrproper
  2. make config
  3. make modules
  4. make modules_install
(정답률: 83%)
  • 정답은 "make mrproper"이다. 이 명령어는 이전 커널 컴파일에서 생성된 모든 오브젝트 파일, 커널 이미지, 모듈 파일 등을 삭제하고, 현재 디렉토리를 초기화하여 모든 설정과 소스를 초기상태로 되돌리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이전 커널 컴파일에서 남아 있을지도 모르는 불필요한 파일들을 정리하고, 새로운 커널 컴파일을 위한 깨끗한 환경을 만들 수 있다. "make config"는 커널 설정을 변경하기 위한 명령어이고, "make modules"와 "make modules_install"는 커널 모듈을 빌드하고 설치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에서 설명된 리눅스 커널 모듈 관련 명령어가 순서대로 알맞은 것은?

  1. insmod, rmmod, lsmod
  2. insertmod, deletemod, dspmod
  3. addmod, rmmod, listmod
  4. addmod, delmod, lsmod
(정답률: 72%)
  • 이미지에서 보이는 명령어는 insmod, rmmod, lsmod 이다.

    - insmod: 새로운 커널 모듈을 로드하는 명령어로, 커널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 사용한다.
    - rmmod: 로드된 커널 모듈을 제거하는 명령어로,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기능을 제거할 때 사용한다.
    - lsmod: 현재 로드된 커널 모듈의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로, 어떤 모듈이 로드되어 있는지 확인할 때 사용한다.

    따라서, "insmod, rmmod, lsmod"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프린터 관련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lpr : 프린터로 파일을 인쇄할 경우에 사용한다.
  2. lps : 프린터가 현재 작업을 할 수 있는지 없는지에 관한 사항을 알려준다.
  3. lpq : 현재 프린트 작업 상태를 출력한다.
  4. lprm : 프린터 큐에 있는 지정된 출력작업을 취소할 수 있다.
(정답률: 48%)
  • 답: "lps : 프린터가 현재 작업을 할 수 있는지 없는지에 관한 사항을 알려준다." 이유는 lps는 프린터의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며, 현재 작업을 할 수 있는지 없는지에 대한 정보는 제공하지 않는다. lps는 프린터의 이름, 위치, 상태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리눅스 시스템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부팅디스켓을 만들어 두고자 한다. 만약 플로피 디스크를 매체로 사용한다면 이를 포맷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mkdir /new-disk fd0
  2. mount -t ext2/dev/fd0 /new-disk
  3. mkfs.ext2 /dev/fd0
  4. fsck.ext2 /dev/fd0
(정답률: 50%)
  • 정답은 "mkfs.ext2 /dev/fd0"이다. 이는 플로피 디스크를 ext2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부팅디스크를 만들기 위해서는 플로피 디스크를 ext2 파일 시스템으로 포맷해야 한다. 다른 보기들은 플로피 디스크를 마운트하거나 파일 시스템을 체크하는 명령어이므로 부팅디스크를 만들기 위해서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다음 중 사운드 설정에 관련된 드라이버나 유틸리티로 보기 어려운 것은?

  1. OSS 드라이버
  2. ALSA 드라이버
  3. SANE 드라이버
  4. sndconfig
(정답률: 78%)
  • "SANE 드라이버"는 이미지 스캐너를 위한 드라이버이며, 사운드 설정과는 관련이 없기 때문에 보기에서 사운드 설정에 관련된 드라이버나 유틸리티로 보기 어렵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lpr -#2 -P lp text.txt 라는 명령을 실행하였을때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text.txt 파일을 lp라는 이름을 가진 프린터로 2장 출력한다.
  2. text.txt 파일을 lp라는 파일명으로 저장한다.
  3. text.txt 파일을 2번 장치로 출력한다.
  4. text.txt 파일을 2번 포트의 lp라는 프린터로 출력한다.
(정답률: 70%)
  • "text.txt 파일을 lp라는 이름을 가진 프린터로 2장 출력한다." - lpr은 파일을 프린터로 출력하는 명령어이며, -#2는 출력할 페이지 수를 나타내는 옵션으로 2장을 출력하도록 지정하고, -P lp는 출력할 프린터의 이름을 지정하는 옵션으로 lp라는 이름을 가진 프린터로 출력하도록 지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etc/printcap 파일의 설정에 대한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1. sd : 프린터에 대한 스풀 디렉토리의 이름을 저장한다.
  2. lf : 프린터의 오류가 기록될 파일을 지정한다.
  3. lp : 프린트 할 디바이스를 지정한다.
  4. mx : 원격프린터의 이름을 지정한다.
(정답률: 62%)
  • 정답은 "mx : 원격프린터의 이름을 지정한다." 이다. 이유는 /etc/printcap 파일에서 mx는 로컬 프린터가 아닌 원격 프린터를 지정하는데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프린터의 최대 크기를 지정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mx : 원격프린터의 이름을 지정한다." 라는 설명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DMA 채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DMA는 Direct Momory Access의 약자이다.
  2. DMA는 기억장치와 주변장치 사이의 직접적인 데이터전송을 제공한다.
  3. 인터럽트와 같이 DMA 요구에는 번호가 붙여져 있다.
  4. DMA는 입출력 전송시 CPU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CPU의 부하가 증가한다.
(정답률: 88%)
  • DMA는 입출력 전송시 CPU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기억장치와 주변장치 사이의 직접적인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여 CPU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DMA는 입출력 전송시 CPU의 리소스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므로 CPU의 부하가 증가한다."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ihd-3.4-1.i386.spec을 이용하여 RPM을 만들려고 한다. 바이너리와 소스패키지를 모두 생성하면서, 패키지를 만든 후 build 디렉토리를 지우려고 할 때 다음 명령 중 올바른 것은?

  1. rpmmake -bp --delete ihd-3.4-1.i386.spec
  2. rpmmake -bb --clean ihd-3.4-1.i386.spec
  3. rpmbulid -bi --delete ihd-3.4-1.i386.spec
  4. rembulid -ba --clean ihd-3.4-1.i386.spec
(정답률: 47%)
  • 올바른 명령은 "rembulid -ba --clean ihd-3.4-1.i386.spec"이다.

    - rpmmake: 해당 명령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 rpmbuild -bb --clean: 이 명령어는 바이너리 패키지를 빌드하고, 빌드 후에 build 디렉토리를 지우는 옵션이 아니다.
    - rpmbuild -bi --delete: 이 명령어는 바이너리 패키지를 빌드하지 않고, build 디렉토리를 지우는 옵션이다.
    - rpmbuild -ba --clean: 이 명령어는 소스와 바이너리 패키지를 모두 빌드하고, 빌드 후에 build 디렉토리를 지우는 옵션이다.

    따라서, ihd-3.4-1.i386.spec을 이용하여 RPM을 만들 때, 바이너리와 소스패키지를 모두 생성하면서, 패키지를 만든 후 build 디렉토리를 지우려면 "rpmbuild -ba --clean ihd-3.4-1.i386.spec"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lsmod 명령의 실행결과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로드된 모듈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을 때 사용하는 명령이다.
  2. 모듈의 이름은 drv_ihd 이다.
  3. 모듈의 사이즈는 1024 Mbyte 이다.
  4. 이 모듈은 3번의 컴파일이 이루어 졌다.
(정답률: 83%)
  • lsmod 명령은 현재 로드된 커널 모듈들의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를 실행한 결과, 모듈의 이름이 drv_ihd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모듈의 이름은 drv_ihd 이다."가 정답이 된다. 나머지 보기들은 해당 명령어와는 관련이 없거나 잘못된 정보이므로 선택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시스템 로그 데몬과 관련된 파일, 데몬 그리고 실행방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sbin/syslogd : 데몬 프로그램
  2. /var/run/syslogd.pid : 데몬의 실행 방법
  3. /etc/syslog.conf : 데몬의 설정파일
  4. /etc/rc.d/init.d/syslog restart : 데몬의 재시작 방법
(정답률: 49%)
  • 정답은 "/var/run/syslogd.pid : 데몬의 실행 방법"이다.

    /var/run/syslogd.pid 파일은 syslogd 데몬의 PID(Process ID)를 저장하는 파일이다. 이 파일은 데몬이 실행될 때 자동으로 생성되며, 데몬을 중지할 때 이 파일을 삭제한다. 따라서 이 파일은 데몬의 실행 방법이 아니라, 데몬의 PID를 확인하는 방법이다.

    /syslogd는 시스템 로그를 관리하는 데몬 프로그램이다. /etc/syslog.conf 파일은 이 데몬의 설정 파일로, 로그 메시지를 어떻게 처리할지를 정의한다. /etc/rc.d/init.d/syslog restart 명령어는 데몬을 재시작하는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쉐도우 패스워드와 관련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1. /etc/passwd 파일에 사용자 암호를 함께 저장한다.
  2. /etc/passwd 파일을 루트만 읽을 수 있게 바꾼다.
  3. 사용자 암호를 /etc/shadow에 별도로 저장한다.
  4. 쉐도우 패스워드를 쓰지 않아도 루트의 비밀번호는 사용자가 읽을 수 없는 곳에 저장된다.
(정답률: 48%)
  • 정답은 "사용자 암호를 /etc/shadow에 별도로 저장한다." 이다. 이유는 /etc/passwd 파일은 모든 사용자가 읽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암호를 함께 저장하면 보안상 취약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쉐도우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사용자 암호를 별도의 파일인 /etc/shadow에 저장하고, 이 파일은 루트만 읽을 수 있도록 설정하여 보안성을 높인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파일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일반적인 원칙 중 틀린 것은?

  1. SUID/SGID를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사용 하는 것은 보안에 좋다.
  2. 사용자의 파일 생성 umask를 가능한 제한된 값으로 조절한다.
  3. 보호되어야 할 파일에는 특수비트인 변경불가비트(Immutable Bit)를 사용한다.
  4. 주인이 없는 파일은 침입자의 흔적일 수 있으니 확인해 본다.
(정답률: 57%)
  • "SUID/SGID를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에 사용하는 것은 보안에 좋다"는 옳지 않은 원칙입니다. SUID/SGID는 특정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해당 프로그램의 소유자나 그룹의 권한으로 실행되도록 하는 기능입니다. 하지만 홈 디렉토리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파일을 생성하고 수정할 수 있는 공간이므로 SUID/SGID를 사용하면 보안상 취약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UID/SGID는 보안에 취약한 디렉토리나 파일에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외의 원칙들은 모두 파일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한 일반적인 원칙으로, 사용자의 파일 생성 umask를 가능한 제한된 값으로 조절하고, 보호되어야 할 파일에는 변경불가비트(Immutable Bit)를 사용하며, 주인이 없는 파일은 침입자의 흔적일 수 있으므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OpenSSH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ssh.server.com에 user1 계정으로 접속하는 명령어는?

  1. ssh --user user1 --server ssh.server.com
  2. ssh user1@ssh.server.com
  3. ssh --user user1 ssh.server.com
  4. ssh ssh.server.com/user1
(정답률: 53%)
  • 정답은 "ssh user1@ssh.server.com"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ssh --user user1 --server ssh.server.com" : 옵션으로 "--user"와 "--server"를 사용하는데, 실제로는 "--user" 옵션은 없고, 호스트명과 사용자명을 "@"로 구분하여 입력해야 합니다.
    - "ssh user1@ssh.server.com" : 호스트명과 사용자명을 "@"로 구분하여 입력하는 방식으로, 정확한 명령어입니다.
    - "ssh --user user1 ssh.server.com" : "--user" 옵션은 존재하지만, 호스트명과 사용자명을 구분하지 않아 올바른 명령어가 아닙니다.
    - "ssh ssh.server.com/user1" : 호스트명과 사용자명을 "/"로 구분하는 방식은 올바른 방식이 아니므로, 정확한 명령어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PAM 구성 파일의 문법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type은 해당 모듈에 어떤 타입의 인증이 사용될 것인지를 알려준다.
  2. control은 이 모듈이 동작하지 않는다면 PAM에게 무엇을 해야 할지 알려준다.
  3. control이 requisite일 경우, 해당 모듈이 실패할 때 해당 서비스에서 유일한 모듈인 경우에만 PAM은 인증을 거부한다.
  4. type이 auth인 경우 패스워드보다 정교한 방법들을 쓸 수 있다.
(정답률: 46%)
  • 정답은 "control이 requisite일 경우, 해당 모듈이 실패할 때 해당 서비스에서 유일한 모듈인 경우에만 PAM은 인증을 거부한다." 이다. 이 문장은 틀린 설명이다. control이 requisite일 경우, 해당 모듈이 실패하면 이후의 모든 모듈이 실행되지 않고 인증이 거부된다.

    - type은 해당 모듈에 어떤 타입의 인증이 사용될 것인지를 알려준다.
    - control은 이 모듈이 동작하지 않는다면 PAM에게 무엇을 해야 할지 알려준다.
    - control이 requisite일 경우, 해당 모듈이 실패하면 이후의 모든 모듈이 실행되지 않고 인증이 거부된다.
    - type이 auth인 경우 패스워드보다 정교한 방법들을 쓸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다음 COPS 명령 옵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d : 전에 출력된 메시지와 다를 경우에만 메시지가 출력된다.
  2. -x : 버전 정보를 출력한다.
  3. -s : 에러 메시지를 출력할 곳을 지정한다.
  4. -m : 특정 사용자에게 결과를 메일로 보낸다.
(정답률: 50%)
  • "-s : 에러 메시지를 출력할 곳을 지정한다." 옵션에 대한 설명이 틀렸습니다. "-s" 옵션은 에러 메시지를 출력할 로그 파일의 경로를 지정하는 옵션입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에러 메시지가 표준 출력이 아닌 로그 파일에 기록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 중 시스템을 설치한 후 사용자들이 시스템을 사용해 보기 전에 하는 백업을 의미하는 것은?

  1. 데이 제로 백업
  2. 변경분 백업
  3. 단순 백업
  4. 다단계 백업
(정답률: 72%)
  • 사용자들이 시스템을 사용하기 전에 하는 백업은 시스템을 설치한 후의 초기 상태를 백업하는 것이다. 이를 데이 제로 백업이라고 한다. 이유는 시스템을 설치한 후 사용자들이 시스템을 사용하기 전에는 아직 시스템에 어떠한 변경도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초기 상태를 백업하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백업의 중요성이 가장 낮은 디렉토리는?

  1. /root
  2. /home
  3. /var
  4. /proc
(정답률: 52%)
  • "/proc" 디렉토리는 가상 파일 시스템으로,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와 시스템 정보를 제공하는 파일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디렉토리는 실제 파일이 저장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백업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백업의 중요성이 가장 낮은 디렉토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중 cpio에 대해 잘못 설명한 것은?

  1. 바이트 스와핑이 가능하다.
  2. 파이프를 통해 다른 프로그램으로 데이터를 넘겨줄 수 있다.
  3. 사본이 아닌 파일 자제와의 링크는 절대 만들 수 없다.
  4. 디렉토리를 다룰 수 없다.
(정답률: 71%)
  • "사본이 아닌 파일 자제와의 링크는 절대 만들 수 없다."가 잘못된 설명이다. cpio는 하드 링크와 심볼릭 링크를 모두 지원하므로 사본이 아닌 파일 자제와의 링크를 만들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iptables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TCP SYN flood를 통한 DoS 공격을 막기 위한 명령이다.
  2. 1초에 20회 이상의 SYN 패킷이 들어오면 RETURN 한다.
  3. 최대 50개의 패킷에 대해 그 평균값을 측정하여 동작한다.
  4. RETURN 되지 못한 패킷은 DROP 한다.
(정답률: 20%)
  • 1초에 20회 이상의 SYN 패킷이 들어오면 RETURN 하는 것은 TCP SYN flood 공격을 막기 위한 명령이다. SYN flood 공격은 대량의 SYN 패킷을 보내서 서버의 자원을 고갈시키는 공격이다. 이 명령은 SYN 패킷이 일정 수준 이상 들어오면 RETURN 하여 서버의 자원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최대 50개의 패킷에 대해 그 평균값을 측정하여 동작하며, RETURN 되지 못한 패킷은 DROP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

61. WWW와 HTML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초기에 웹서비스는 텍스트와 최소화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하는 정적인 HTML페이지로 구성되었다.
  2. WWW는 World Wide Web의 약자이다.
  3. NCSA에서 만들었던 웹서버는 Lighttpd이며 이후에 아파치(Apache)로 이름이 바뀌었다.
  4. HTML은 Hyper Text Markup Language의 약자이다.
(정답률: 63%)
  • "NCSA에서 만들었던 웹서버는 Lighttpd이며 이후에 아파치(Apache)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 부분이 틀린 것입니다. NCSA에서 만든 웹서버는 아파치(Apache)가 아니라 NCSA HTTPd입니다. Lighttpd는 나중에 개발된 웹서버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apache_2.2.4 버전 소스 컴파일시 443번 포트를 이용하는 SSL 보안서버 설치 옵션으로 올바른 것은?

  1. ./configure --prefix=/usr/local/apache --enable-modules=so --enable-mod-openssl
  2. ./configure --prefix=/usr/local/apache --enable-modules=so --enable-ssl
  3. ./configure --prefix=/usr/local/apache --enable-modules=so --enable-mod-ssl
  4. ./configure --prefix=/usr/local/apache --enable-modules=so --modssl
(정답률: 37%)
  • 정답은 "./configure --prefix=/usr/local/apache --enable-modules=so --enable-ssl" 입니다.

    이유는 "--enable-ssl" 옵션은 SSL 모듈을 활성화하고, 443번 포트를 이용하는 SSL 보안서버를 설치하기 위한 옵션입니다. "--enable-mod-openssl"은 OpenSSL 모듈을 활성화하는 옵션이며, "--enable-mod-ssl"은 mod_ssl 모듈을 활성화하는 옵션입니다. 마지막으로 "--modssl"은 올바른 옵션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웹서버 환경 설정에서 HostnameLookups On, Off는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가?

  1. On으로 설정시 클라이언트 IP 확인후 다시 DNS 서버에 질의하여 도메인 이름으로 로그를 기록하며 Off로 설정시 111.111.111.111과 같이 아이피로 기록한다.
  2. On으로 설정시 로그를 기록하며 Off로 설정시 로그를 기록하지 않는다.
  3. On으로 설정시 클라이언트 IP를 111.111.111.111과 같이 로그를 기록하며 Off로 설정시 DNS 서버에 질의하여 도메인 이름으로 로그를 기록한다.
  4. On으로 설정시 클라이언트 IP를 캐쉬에 저장하고 Off로 설정시 저장하지 않는다.
(정답률: 40%)
  • HostnameLookups On으로 설정시 클라이언트 IP 확인 후 다시 DNS 서버에 질의하여 도메인 이름으로 로그를 기록하며 Off로 설정시 111.111.111.111과 같이 아이피로 기록한다. 즉, On으로 설정하면 로그에는 도메인 이름이 포함되어 있고 Off로 설정하면 IP 주소만 포함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CustomLog 지시자의 의미가 틀린 것은?

  1. %h - 호스트 이름
  2. %1 - 원격 로그 이름
  3. %s - 서버 상태
  4. %t - 전송량
(정답률: 30%)
  • "%t - 전송량"은 올바른 CustomLog 지시자가 아닙니다.

    "%t"는 로그에 기록되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t - 전송량"이라는 지시자는 시간과 전송량을 함께 기록하겠다는 의미가 되어버리므로, 올바르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현재 웹서버의 아이피는 인터페이스 eth0에 192.168.0.100으로 설정되어 있다. IP 기반 가상호스팅을 위해 호스트 아이피 주소 192.168.0.101을 추가하는 명령은?

  1. route add -host 192.168.0.101 dev eth0:1
  2. route hostadd -host 192.168.0.101 dev eth0:1
  3. route add -host 192.168.0.101 dev eth0
  4. route hostadd -host 192.168.0.101 dev eth0
(정답률: 50%)
  • IP 기반 가상호스팅을 위해 호스트 아이피 주소를 추가하기 위해서는 eth0 인터페이스에 가상 인터페이스를 생성해야 한다. 이를 위해 "dev eth0:1"을 사용하여 eth0 인터페이스에 가상 인터페이스를 생성하고, 이 가상 인터페이스에 호스트 아이피 주소를 추가하기 위해 "route add -host 192.168.0.101" 명령을 사용한다. 따라서 정답은 "route add -host 192.168.0.101 dev eth0:1"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httpd 명령어에 사용 가능한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d : ServerRoot 변수에 대한 지정
  2. -f : 환경 설정 파일을 지정
  3. -X : 내부적인 테스트를 위해 싱글 프로세스 모드로 실행
  4. -v : 로그 디렉토리 지정
(정답률: 37%)
  • "-v : 로그 디렉토리 지정" 옵션은 httpd 명령어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옵션은 틀린 것입니다.

    추가 설명: httpd 명령어의 "-v" 옵션은 Apache HTTP Server의 버전 정보를 출력하는 옵션입니다. 로그 디렉토리를 지정하려면 "-d" 옵션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아파치 유틸리티 ab는 어떠한 유틸리티 인가?

  1. 아파치 환경설정 점검 유틸리티
  2. 아파치 벤치마크, 성능 테스트 유틸리티
  3. 아파치 로그 유틸리티
  4. 아파치 실행 유틸리티
(정답률: 71%)
  • ab는 아파치 웹 서버의 성능을 테스트하기 위한 유틸리티로, 다수의 요청을 동시에 보내고 응답 시간과 처리량 등을 측정하여 서버의 성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파치 벤치마크, 성능 테스트 유틸리티"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SSL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미국 넷스케이프 커퓨티케이션즈(Netscape Communications)회사가 개발 하였다.
  2. 인증 암호화 기능이 있다.
  3. SSL은 웹서버만 지원된다.
  4. 플랫폼과 어플리케이션에 독립적이다.
(정답률: 85%)
  • SSL은 웹서버뿐만 아니라 다양한 서버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지원된다. 따라서 "SSL은 웹서버만 지원된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SSL은 네트워크 통신에서 보안성을 제공하는 프로토콜로, 인터넷 뱅킹, 이메일, FTP 등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CGI를 사용하는 이유로 부적합한 것은?

  1. CGI를 통해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동적 페이지를 만들 수 있다.
  2. 클라이언트의 입력 값을 받아 생성, 저장, 변경 할 수 있다.
  3. 양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4. 고정된 페이지를 전송받는 단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
(정답률: 73%)
  • CGI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서버에서 동적으로 페이지를 생성하고 전송하는 기술이므로, 고정된 페이지를 전송받는 단방향 통신을 할 수 없다. 따라서 "고정된 페이지를 전송받는 단방향 통신을 할 수 있다."가 CGI를 사용하는 이유로 부적합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삼바 명령어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testparm : smb.conf 파일의 문법적인 오류 점검을 한다.
  2. smbadduser : 삼바 서버에 계정을 생성한다.
  3. smbstatus : 삼바 서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4. smbtree : 윈도우즈로 접속할 수 있다.
(정답률: 75%)
  • smbtree 명령어는 삼바 서버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와 공유 폴더를 트리 구조로 보여주는 명령어이며, 윈도우즈로 접속하는 것이 아니라 삼바 서버에 접속하여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smbtree : 윈도우즈로 접속할 수 있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삼바 서버에 접속할 때 4가지의 인증 레벨이 부여되는데 각 레벨별 설명이 틀린 것은?

  1. share : 사용자/패스워드 인증을 거치지 않고 바로 접근이 가능하다.
  2. user : 사용자/패스워드 인증을 통해 접근이 가능하다.
  3. sever : 사용자/패스워드 인증이 미리 등록된 유저만 접근이 가능하다.
  4. domain : 인증정보 처리를 윈도즈 NT 도메인에서 처리하는 방식이다.
(정답률: 34%)
  • 보기 중 "share : 사용자/패스워드 인증을 거치지 않고 바로 접근이 가능하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sever 레벨은 사용자/패스워드 인증이 미리 등록된 유저만 접근이 가능한 레벨입니다. 이는 높은 보안성을 가지며, 허가되지 않은 사용자의 접근을 막을 수 있습니다.

    share 레벨은 사용자/패스워드 인증을 거치지 않고 바로 접근이 가능한 레벨입니다. 이는 보안성이 낮아서, 공유 폴더 등에서 간단한 파일 공유에 사용됩니다.

    user 레벨은 사용자/패스워드 인증을 통해 접근이 가능한 레벨입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인증 방식으로,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하여 접근 권한을 부여합니다.

    domain 레벨은 인증정보 처리를 윈도즈 NT 도메인에서 처리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대규모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며, 중앙 집중적인 인증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NF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분산 파일 공유 시스템 소프트웨어이다.
  2. NFS는 FTP 기반의 파일 공유 서비스이다.
  3. NFS 서버-클라이언트 통신방법으로 RPC를 사용한다.
  4. NFS 파일 공유를 통한 디스크 공간 절약을 가져올 수 있다.
(정답률: 38%)
  • NFS는 FTP 기반의 파일 공유 서비스가 아니라, RPC 기반의 파일 공유 서비스이다. FTP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로, NFS와는 다른 프로토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다음 NFS 익스포팅 설정파일(/etc/export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root 권한으로 마운트 하더라도 nobody 사용자로 매핑된다.
  2. 192.168.12.1 아이피에서만 접근이 가능하다.
  3. NFS 마운트시 읽기만 가능하다.
  4. root 권한으로 마운트하면 root권한으로 마운트 접근된다.
(정답률: 62%)
  • 설정 파일에서 "root_squash" 옵션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root 권한으로 마운트하더라도 NFS 서버에서는 nobody 사용자로 매핑된다. 이는 보안상의 이유로 NFS 클라이언트에서 root 권한으로 파일 시스템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root 권한으로 마운트하면 root권한으로 마운트 접근된다."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Proft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컴퓨터들간에 파일을 교환하기 위한 표준 FTP프로토콜을 사용한다.
  2. 설정파일로 ftpd.conf 파일을 사용한다.
  3. 기본포트는 21번 포트를 사용한다.
  4. /etc/shells 파일로 사용자 접속 제한을 할 수 있다.
(정답률: 12%)
  • 설정파일로 ftpd.conf 파일을 사용하지 않고 proftpd.conf 파일을 사용한다. proftpd.conf 파일은 ProFTPd의 주요 설정 파일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ProFTP의 Limit 항목의 Command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CWD : 디렉토리를 변경할 경우
  2. RMD : 디렉토리를 삭제할 경우
  3. RETR : 파일 이름을 바꿀경우
  4. DELE : 파일을 삭제할 경우
(정답률: 63%)
  • "RETR : 파일 이름을 바꿀경우"가 틀린 설명입니다. RETR은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명령어이며, 파일 이름을 바꾸는 명령어는 RNFR과 RNTO입니다. RNFR은 바꿀 파일의 이름을 지정하고, RNTO는 새로운 파일 이름을 지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메일 서비스를 위한 컴포넌트 MUA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아웃룻, 썬더버드등 메일 사용자 에이전트로 메일을 보거나 보낼 수 있는 역할을 핟나.
  2. 메일 전송 에이전트로 메일을 받아 다른 호스트로 메일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3. 수신된 메시지를 사용자의 메일 박스에 저장해주는 역할을 한다.
  4. MUA는 서버에서만 사용되는 컴포넌트이다.
(정답률: 40%)
  • MUA는 메일 사용자 에이전트로 메일을 보거나 보낼 수 있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linux 계정 사용자에게 오는 메일을 webmaster 계정과 service@paran.com으로 포워딩 설정을 하려고 한다. alias 파일에 올바르게 작성된 것은?

  1. linux : webmaster,service@paran.com
  2. linux webmaster,service@paran.com
  3. webmaster,service@paran.com linux
  4. webmaster,service@paran.com :linux
(정답률: 28%)
  • 정답은 "linux : webmaster,service@paran.com"이다.

    이유는 alias 파일에서 각각의 계정에 대해 포워딩 설정을 할 때, 왼쪽에는 해당 계정의 이름을, 오른쪽에는 포워딩할 이메일 주소를 적어준다. 이 때, 왼쪽에는 계정 이름만 적어주면 되고, 오른쪽에는 이메일 주소를 적어줄 때 쉼표(,)로 구분하여 여러 개의 이메일 주소를 적어줄 수 있다.

    따라서 "linux : webmaster,service@paran.com"은 "linux"이라는 계정으로 오는 메일을 "webmaster"와 "service@paran.com" 이메일 주소로 포워딩하겠다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192.168.0.1 아이피에서 발송되는 스팸메일 수신을 막기 위해 /etc/mail/access 파일에 올바르게 작성한 것은?

  1. 192.168.0.1 RELAY
  2. 192.168.0.1 REJECT
  3. REJECT:192.168.0.1
  4. DROP:192.168.0.1
(정답률: 50%)
  • 정답은 "192.168.0.1 REJECT"입니다. 이는 192.168.0.1 IP에서 발송되는 모든 메일을 거부하겠다는 의미입니다. RELAY는 메일을 전달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므로 사용하면 안됩니다. REJECT와 DROP은 모두 거부를 의미하지만, DROP은 거부된 메일을 무시하고 버리는 것이므로 보안상 더 안전하지만, REJECT는 거부된 메일을 발신자에게 알리는 것이므로 추적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보안상의 이유로 REJECT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alias
  2. pop3
  3. sendmail
  4. relay
(정답률: 30%)
  • "relay"은 메일 서버에서 다른 서버로 메일을 전달하는 기능을 말합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relay"이 정답인 이유는 다른 보기들이 메일 서버에서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나 기능들을 나타내는 반면, "relay"은 메일 전달 기능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sendmail.cf 파일에 아래와 같이 설정되어 있었으며 클라이언트 PC에서 아웃룩을 이용하여 포털사이트로 메일을 보내면 발송이 되지 않고 있다. 어떻게 수정하면 메일 발송이 가능한지 다음 내용 중 알맞은 것은?

  1. Name=MUA
  2. Addr=0.0.0.0
  3. Addr=localhost
  4. Name=MDA
(정답률: 30%)
  • "Addr=0.0.0.0"은 모든 IP 주소에서의 접근을 허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설정으로 인해 클라이언트 PC에서의 메일 발송이 차단되지 않고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메일 호스팅을 하는데 한 계정이 아웃룩으로 편지가 받아지지 않아 패스워드 점검을 로컬에서 진행하였다. 패스워드가 1234라고 가정할 때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 중 알맞은 것은?

  1. 25, pass
  2. 143, passwd
  3. 110, pass
  4. 110, passwd
(정답률: 22%)
  • (1) telnet mail.example.com 110
    (2) user 계정이름
    (3) pass 1234
    (4) list

    정답은 "110, pass"입니다. 이는 POP3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메일을 받는 과정에서, 메일 서버의 110번 포트에 접속하여 사용자 계정의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110, pass"가 올바른 답입니다.

    각 보기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25, pass": SMT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메일을 보내는 과정에서, 메일 서버의 25번 포트에 접속하여 사용자 계정의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 "143, passwd": IMA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메일을 받는 과정에서, 메일 서버의 143번 포트에 접속하여 사용자 계정의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 "110, passwd": POP3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메일을 받는 과정에서, 메일 서버의 110번 포트에 접속하여 사용자 계정의 패스워드를 입력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문제에서는 패스워드가 "1234"라고 주어졌으므로 이는 올바른 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슈퍼데몬 xinetd 데몬의 특징으로만 묶인 것은?

  1. ㉠, ㉡
  2. ㉡, ㉢
  3. ㉢, ㉣
  4. ㉠, ㉢
(정답률: 56%)
  • 슈퍼데몬 xinetd 데몬은 네트워크 서비스를 관리하는 데몬으로, 다른 데몬들을 대신하여 포트를 열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합니다. 이 때문에 xinetd 데몬은 보안성이 높고, 서비스의 유연성과 확장성이 뛰어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따라서, "㉠. 다른 데몬들을 대신하여 포트를 열고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한다."와 "㉡. 보안성이 높고, 서비스의 유연성과 확장성이 뛰어나다."는 xinetd 데몬의 대표적인 특징이므로 정답이 "㉠, ㉡"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xinetd의 속성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per_source - 동일 호스트로부터의 서버 접속수 제한
  2. no_access - 접근할 수 없는 클라이언트 리스트
  3. instances - 서버에 주어지는 인수
  4. cps - 들어오는 접속 수를 제한하며 한계 숫자를 넘을 때 주어진 시간동안 서비스 비활성화
(정답률: 41%)
  • xinetd의 instances 속성은 서버에 동시에 실행될 수 있는 인스턴스 수를 제한하는 속성이 아니라, 각 클라이언트에 대해 실행될 수 있는 인스턴스 수를 제한하는 속성입니다. 즉, 한 클라이언트가 동시에 여러 개의 인스턴스를 실행할 수 있는지를 제한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xinetd의 속성을 이용하여 특정 포트로 접근하게 되면 다른 서버로 포트를 넘길려고 한다. 어떤 속성을 이용하면 가능한가?

  1. redirect
  2. only_from
  3. bind
  4. socket_type
(정답률: 58%)
  • "redirect" 속성은 xinetd가 해당 포트로 들어오는 연결을 다른 서버의 포트로 전달하도록 지시하는 속성이다. 따라서 이 속성을 이용하면 특정 포트로 접근하면 다른 서버로 포트를 넘길 수 있다. "only_from"은 접근을 허용하는 호스트를 지정하는 속성이고, "bind"는 xinetd가 해당 포트에 바인딩할 IP 주소를 지정하는 속성이다. "socket_type"은 xinetd가 사용할 소켓 유형을 지정하는 속성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DNS 레코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OA - zone의 전체 설정. 마지막 레코드로 지정되어야 함
  2. NA - 해당 zone을 담당하는 네임 서버 주소
  3. A - 호스트 이름에 대응하는 IP 주소
  4. MX - 메일서버
(정답률: 56%)
  • SOA 레코드가 마지막 레코드로 지정되어야 하는 것은 맞습니다. 다른 레코드들은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 메일서버 등을 지정하는 역할을 하지만, SOA 레코드는 해당 DNS 존의 전체 설정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SOA 레코드는 해당 존의 최상위 레코드이며, 다른 레코드들보다 먼저 정의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DNS 서버를 구축하고 실행하기위해 테스트 할 때 사용되는 것이다.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netstat
  2. dig
  3. nslookup
  4. hostname
(정답률: 69%)
  • 이 명령어는 DNS 서버에 질의하여 해당 도메인의 IP 주소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결과로 해당 도메인의 IP 주소와 함께 DNS 서버의 이름과 IP 주소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 주어진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nslookup"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NYS
  2. dhcp
  3. NIS
  4. Proxy
(정답률: 71%)
  • 이미지에서 보이는 것은 네트워크 구성요소들 중 하나인 DHCP 서버입니다. DHCP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IP 주소, 서브넷 마스크, 기본 게이트웨이 등의 정보를 자동으로 할당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DHCP와 관련된 용어들인 "NYS"와 "NIS"는 DHCP와는 다른 역할을 수행합니다.

    반면, "Proxy"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수행하는데,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대신 받아서 서버로 전달하고, 서버의 응답을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이미지에서 보이는 DHCP 서버와는 별개의 역할을 수행하는 "Proxy"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프록시 서버 squid의 설정 파일(squid.conf)설정에서 캐쉬 메모리를 256M로 설정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cache_mem 256 MB
  2. cache_memory 256 MB
  3. mem 256 MB
  4. cache_memoty 256
(정답률: 70%)
  • 정답은 "cache_mem 256 MB"입니다.

    이유는 squid.conf 파일에서 캐시 메모리를 설정할 때, "cache_mem"이라는 옵션을 사용하며, 이 옵션 뒤에는 캐시 메모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을 지정해야 합니다. 이때,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는 MB이며, 이를 명시하기 위해 "MB"를 함께 적어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cache_mem 256 MB"가 올바른 설정 값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올바른 옵션이나, 캐시 메모리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이 잘못되었거나, 올바른 단위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프록시 서버 squid의 설정 파일(squid.conf) 설정에서 모든 호스트에 대한 접속을 제한하는 것은 어느 것인가?

  1. icp_access allow all
  2. http_access deny all
  3. http_access allow all
  4. http_access deny manager !localhost
(정답률: 80%)
  • 정답은 "http_access deny all"이다. 이 설정은 모든 호스트에 대한 접속을 거부하는 것을 의미한다. "icp_access allow all"은 ICP(Internet Cache Protocol) 접근을 허용하는 설정이며, "http_access allow all"은 모든 호스트에 대한 접속을 허용하는 설정이다. "http_access deny manager !localhost"는 로컬호스트를 제외한 모든 호스트에서 관리자 접속을 거부하는 설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다음 NIS 동작 구조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슬레이브 서버는 단지 NIS 데이터베이스의 복사본을 가지고 있다.
  2. NIS 클라이언트들은 항상 서버로부터 서버의 DBM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들을 읽는다.
  3. NIS 데이터베이스들은 ASCII 데이터베이스로 부터 상속된 DBM 포맷 안에 있다.
  4. 기계는 하나의 NIS 도메인을 지정하여 하나의 NIS 서버만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80%)
  • "NIS 클라이언트들은 항상 서버로부터 서버의 DBM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들을 읽는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NIS 클라이언트는 로컬 캐시에 저장된 정보를 먼저 확인하고, 캐시에 없는 정보만 서버로부터 읽어옵니다. 이는 네트워크 부하를 줄이고 응답 시간을 단축시키는데 도움이 됩니다.

    "기계는 하나의 NIS 도메인을 지정하여 하나의 NIS 서버만 사용할 수 있다."는 올바른 설명입니다. NIS 도메인은 네트워크 상에서 고유한 이름을 가지며, 하나의 도메인에는 여러 대의 NIS 서버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클라이언트는 하나의 도메인에 대해 하나의 NIS 서버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NIS의 여러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중요하며 항상 실행 중에 있어야 하는 프로그램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ypswitch
  2. yppoll
  3. ypmatch
  4. ypbind
(정답률: 66%)
  • 정답은 "ypbind"입니다. 이는 NIS 클라이언트가 NIS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으로, NIS 도메인에 가입하고 NIS 맵을 검색하는 데 필요합니다. 따라서 ypbind가 실행되지 않으면 NIS 클라이언트는 NIS 서버와 통신할 수 없으며, NIS 맵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없습니다. 다른 프로그램들은 ypbind가 실행 중이 아니어도 일시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ypbind는 항상 실행 중이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DHCP에서 MAC 주소를 이용해 서버나 호스트의 위치를 알아낼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1.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2.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3.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
  4. UDP(User Datagram Protocol)
(정답률: 70%)
  • ARP는 MAC 주소와 IP 주소 간의 매핑 정보를 관리하고, MAC 주소를 이용해 IP 주소를 찾아내는 프로토콜이다. DHCP에서는 ARP를 이용해 클라이언트의 MAC 주소를 이용해 서버나 호스트의 위치를 알아낸다. 따라서 정답은 ARP이다. ICMP는 인터넷 제어 메시지 프로토콜로, 네트워크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오류 메시지를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TCP와 UDP는 전송 계층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ADSL을 사용하는데 전산실에 동적으로 IP 주소를 할당해 주는 서버가 있다고 한다. 다음 중 어떤 것인가?

  1. Mail 서버
  2. Proxy 서버
  3. NIS 서버
  4. DHCP 서버
(정답률: 79%)
  • DHCP 서버는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로,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나 기기에 자동으로 IP 주소를 할당해주는 서버이다. 따라서 ADSL을 사용하는데 전산실에 동적으로 IP 주소를 할당해 주는 서버는 DHCP 서버이다. Mail 서버는 이메일을 보내고 받는 서버, Proxy 서버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관리하는 서버, NIS 서버는 네트워크 인증 정보를 관리하는 서버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다음 명령을 수행 하였을 때 나타나는 결과를 바르게 설명한 것은?

  1. 192.168.1.1은 MAC 주소가 00.A0.B0.00.09.7B로 변경되고 MAC 주소값이 지워진다.
  2. 네트워크 게이트웨이가 192.168.1.1로 설정되고 netmask가 지워진다.
  3. 00.A0.B0.00.09.7B MAC 어드레스가 차단되었다가 지워진다.
  4. 모두 동일한 명령으로 arp 값은 지워진다.
(정답률: 67%)
  • 주어진 명령은 "arp -s 192.168.1.1 00:A0:B0:00:09:7B"로, ARP 테이블에 192.168.1.1 IP 주소와 00:A0:B0:00:09:7B MAC 주소를 추가하는 명령이다. 따라서 "192.168.1.1은 MAC 주소가 00.A0.B0.00.09.7B로 변경되고 MAC 주소값이 지워진다."라는 보기는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CVS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Export
  2. Branch
  3. Checkout
  4. Commit
(정답률: 14%)
  • CVS의 기능 중 "Export"는 저장소에서 파일을 가져와서 로컬 컴퓨터에 저장하는 것이지만, 변경 내용을 저장소에 반영하지 않는 기능이므로 CVS의 기능이 아니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CVS의 기능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 해킹 기법 중 대상 서버를 찾아서 포트를 scan 할 때 사용하는 것은?

  1. smurf
  2. syn flooding
  3. ping attack
  4. port scan
(정답률: 83%)
  • 정답: "port scan"

    해당 해킹 기법은 대상 서버의 포트를 스캔하여 열려있는 포트를 찾아내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공격자는 대상 서버의 취약점을 파악하고 공격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해킹 기법을 나타내며, 대상 서버를 공격하는 방법이 다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으로 가장하여 프로그램 내에 숨어서 의도하지 않은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1. 크래킹
  2. 트로이 목마
  3. DoS
(정답률: 78%)
  • 정상적인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으로 가장하여 사용자의 동의 없이 의도하지 않은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트로이 목마"라고 한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른 유형의 악성 코드를 나타내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시스템의 전체적인 파일들이 자신이 처음 설치한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가를 확인하기 위한 보안 점검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1. Nessus
  2. iptables
  3. John The Ripper
  4. Tripwire
(정답률: 53%)
  • Tripwire는 시스템의 파일들의 해시값을 저장하고, 이후에 이 값들과 비교하여 변경된 파일을 감지하는 보안 점검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시스템의 전체적인 파일들이 자신이 처음 설치한 그대로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Nessus는 취약점 스캐너, iptables는 방화벽, John The Ripper는 패스워드 크래킹 도구이므로 이들은 파일 무결성 검사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lastlog에 master 계정으로 외국 IP에서 정상적으로 로그인한 로그를 발견하였다. 패스워드가 쉬워서 크래킹을 당했는지 점검을 하려고 한다. 어떤 툴을 이용하면 되는가?

  1. Nessus
  2. iptables
  3. John The Ripper
  4. Tripwire
(정답률: 43%)
  • 정답은 "John The Ripper"이다. John The Ripper는 패스워드 크래킹 툴로, 다양한 암호화 방식을 지원하며, 디폴트 패스워드나 사전에 등록된 패스워드 리스트를 이용하여 크래킹을 시도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툴을 이용하여 해당 계정의 패스워드를 크래킹하여 패스워드가 쉬워서 크래킹을 당했는지 점검할 수 있다. Nessus는 취약점 스캐너, iptables는 방화벽 설정 도구, Tripwire는 파일 시스템 모니터링 도구이므로, 이 문제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리눅스에서는 기본적으로 방화벽의 역할을 할 수 있는 iptables가 있다. 100.100.10.12에서 입력 (INPUT)되는 패킷을 모두 무시하기 위한 명령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intables -A INPUT -s 100.100.10.12 -jDROP
  2. intables -D INPUT -I 100.100.10.12 -tDROP
  3. intables -D INPUT -s 100.100.10.12 -mDROP
  4. intables -R INPUT -i 100.100.10.12 -jDROP
(정답률: 53%)
  • 정답은 "intables -A INPUT -s 100.100.10.12 -jDROP"이다. 이 명령은 iptables에서 INPUT 체인에 대해 규칙을 추가하는 것이며, 소스 IP 주소가 100.100.10.12인 모든 패킷을 DROP(버림)하도록 설정한다. 즉, 100.100.10.12에서 입력되는 모든 패킷을 방화벽에서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