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3-12)

리눅스마스터 1급
(2011-03-12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리눅스 실무의 이해

1. 리눅스의 특징에 대하여 설명한 것 중 틀린 것은?

  1. 리눅스는 shareware로 배포된다.
  2. 리눅스는 배포본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받기도 한다.
  3. 리눅스는 수정이나 업그레이드에 누구나 참여가 가능하다.
  4. 리눅스는 소스코드가 공개되어 있다.
(정답률: 61%)
  • "리눅스는 shareware로 배포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리눅스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로서 무료로 배포되며, 누구나 소스코드를 열어보고 수정하거나 업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 배포본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받는 경우도 있지만, 이는 주로 기술지원 등의 추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운영체제의 구성요소 중에서 성격이 다른 것은?

  1. 시스템을 운영을 감시하는 프로그램
  2. 데이터 관리 프로그램
  3. 작업 관리 프로그램
  4. 사용자의 특정 문제 처리 프로그램
(정답률: 78%)
  • 운영체제의 구성요소 중에서 성격이 다른 것은 "사용자의 특정 문제 처리 프로그램"입니다. 이는 운영체제의 일부가 아니라,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설치하고 사용하는 프로그램으로,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다른 세 가지 구성요소는 모두 운영체제의 핵심 기능을 담당하며, 시스템의 안정성과 성능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리눅스의 특징을 나열한 것 중 거리가 가장 먼것은 어느 것인가?

  1. 실시간 페이지 적재 기능 제공
  2. 가상콘솔 기능 제공
  3. 동적 공유 라이브러리 제공
  4. 단일 사용자, 단일 작업 시스템
(정답률: 93%)
  • 단일 사용자, 단일 작업 시스템은 리눅스의 다중 사용자, 다중 작업 시스템이 갖는 특징과는 반대로, 오직 하나의 사용자만이 시스템을 사용하고, 하나의 작업만을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리눅스가 개인용 컴퓨터나 작은 서버 등에 적합하다는 것을 나타내며, 대규모 시스템에서는 다중 사용자, 다중 작업 시스템이 필요하다. 따라서, 다른 보기들은 리눅스의 다중 사용자, 다중 작업 시스템을 지원하는 기능들이지만, "단일 사용자, 단일 작업 시스템"은 그와는 다른 특징을 갖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리눅스의 이용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라고 볼 수 없는 곳은?

  1. 인터넷 서버 분야
  2. 임베디드 분야
  3. 데스크톱 분야
  4. 클러스터링 서버 분야
(정답률: 78%)
  • 리눅스는 인터넷 서버 분야와 임베디드 분야에서 매우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데스크톱 분야에서는 아직까지 윈도우즈에 비해 사용자 수가 적고, 일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호환성 문제가 있어서 이용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라고 볼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레드햇 리눅스 배포 판의 패키지 관리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1. slackware
  2. rpm
  3. GNOME
  4. tar
(정답률: 84%)
  • 레드햇 리눅스 배포판의 패키지 관리 프로그램은 "rpm"이다. 이는 Red Hat Package Manager의 약자로, 리눅스 시스템에서 소프트웨어를 설치, 업데이트, 삭제하는 데 사용되는 표준 패키지 관리 시스템이다. rpm은 패키지를 설치할 때 의존성 문제를 자동으로 처리하고, 패키지의 버전 관리와 충돌 방지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컴퓨터의 기본 5대 장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입출력 장치
  2. 하드디스크
  3. 컴퓨터 메모리
  4. 중앙처리장치
(정답률: 61%)
  • 하드디스크는 저장장치에 속하며, 입출력 장치, 컴퓨터 메모리, 중앙처리장치는 컴퓨터의 기본 5대 장치에 속합니다. 따라서 하드디스크는 기본 5대 장치에 속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리눅스 시스템 중 사용자의 명령을 해독하고 시스템에 전달하는 명령어 해석기는 무엇인가?

  1. Shell
  2. Utility
  3. Kernel
  4. Application
(정답률: 80%)
  • "Shell"은 사용자의 명령어를 해석하고 시스템에 전달하는 명령어 해석기이다. 다른 보기들은 시스템의 다른 부분을 나타내는 용어들이며, 사용자와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을 담당하는 것은 "Shell"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lilo 부팅시 /etc/lilo.conf 설정파일 내용 중 ‘timeout=50’으로 설정하였을 때 키보드 무 입력시 자동부팅 대기시간을 몇 초로 설정한 것인가?

  1. 1초
  2. 5초
  3. 10초
  4. 50초
(정답률: 52%)
  • timeout=50은 부팅 대기시간을 50/10초(5초)로 설정한 것이다. 즉, 키보드 입력이 없을 경우 5초 후에 자동으로 부팅이 시작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LILO를 제거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lilo -u
  2. lilo -r
  3. lilo -d
  4. lilo -D
(정답률: 44%)
  • 정답: "lilo -u"

    설명: LILO는 리눅스 부트로더로, 시스템 부팅 시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LILO를 제거하고자 할 때는 "lilo -u" 명령을 사용한다. 이 명령은 LILO를 언인스톨(uninstall)하는 역할을 한다. 이 명령을 실행하면 LILO가 설치된 MBR(Master Boot Record)을 삭제하고, /etc/lilo.conf 파일도 삭제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리눅스 시스템을 바로 재부팅하여야 할 경우에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shutdown -h +10
  2. shutdown -r +10
  3. shutdown -h now
  4. shutdown -r now
(정답률: 82%)
  • 정답: "shutdown -r now"

    설명:
    - "shutdown -h +10": 10분 후 시스템을 종료(shutdown)한다.
    - "shutdown -r +10": 10분 후 시스템을 재부팅(reboot)한다.
    - "shutdown -h now": 즉시 시스템을 종료한다.
    - "shutdown -r now": 즉시 시스템을 재부팅한다.

    따라서, 시스템을 바로 재부팅해야 할 경우 "shutdown -r now" 명령을 사용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윈도우 매니저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twm
  2. WindowMaker
  3. FVWM
  4. WinManager
(정답률: 41%)
  • "WinManager"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윈도우 매니저의 이름이기 때문에 윈도우 매니저의 종류가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다음 중 쉘의 종류가 아닌 것은?

  1. Bash
  2. Csh
  3. Korn shell
  4. Super shell
(정답률: 83%)
  • "Super shell"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쉘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쉘의 종류가 아닌 것은 "Super shel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쉘의 환경변수를 설정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1. echo $PWD
  2. print TERM
  3. import /etc/passwd
  4. export path=/bin/local
(정답률: 54%)
  • 환경변수를 설정할 때는 "export" 명령어를 사용한다. "export 변수명=값" 형태로 사용하며, 이 경우 해당 변수는 현재 쉘 세션에서만 유효하다.

    따라서 "export path=/bin/local"은 현재 쉘 세션에서 "path"라는 환경변수를 "/bin/local"로 설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설정된 환경변수는 다른 명령어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bin/local"에 위치한 실행파일을 실행할 때 "path" 환경변수를 참조하여 실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프로세스 정의를 설명한 것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특정 작업을 위하여 실행 중인 프로그램
  2. 커널에 등록되고 커널의 관리 하에 있는 작업
  3.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작업
  4. 각종 자원들을 요청하고 할당받을 수 있는 개체
(정답률: 66%)
  •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우선순위를 조정하는 작업"은 프로세스가 아닌 프로세스 관리의 일부분인 작업이기 때문에 프로세스 정의를 설명한 것으로 볼 수 없습니다. 이 작업은 운영체제가 프로세스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 중 하나로, 우선순위를 높이면 해당 프로세스가 더 많은 CPU 시간을 할당받게 되고, 우선순위를 낮추면 다른 프로세스에게 CPU 시간을 양보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인터럽트들 중 오류에 의해 발생되는 것은?

  1. 클록 인터럽트
  2. 콘솔 인터럽트
  3. 하드웨어 검사 인터럽트
  4. 시스템 호출 인터럽트
(정답률: 42%)
  • 하드웨어 검사 인터럽트는 하드웨어 오류가 발생했을 때 발생하는 인터럽트이기 때문에 오류에 의해 발생됩니다. 클록 인터럽트는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인터럽트, 콘솔 인터럽트는 입출력 장치와 관련된 인터럽트, 시스템 호출 인터럽트는 사용자 프로그램이 운영체제의 서비스를 요청할 때 발생하는 인터럽트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OSI 참조모델에서 가장 하위계층에 해당 되는 것은?

  1. 네트워크계층
  2. 데이터링크계층
  3. 세션계층
  4. 전송계층
(정답률: 80%)
  • OSI 참조모델에서 가장 하위계층은 "데이터링크계층"입니다. 이는 물리적인 연결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데이터의 오류 검출과 수정, 흐름제어, 접근제어 등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즉, 데이터를 비트 단위로 전송하고, 물리적인 매체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의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는 등의 역할을 담당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네트워크 통신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보통 LAN 카드라고 부르는 장비는 어느 것인가?

  1. NIC
  2. HUB
  3. Router
  4. Bridge
(정답률: 77%)
  • NIC는 Network Interface Card의 약자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를 의미합니다. 컴퓨터에 장착하여 네트워크 통신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LAN 카드라고도 부릅니다. HUB, Router, Bridge는 모두 네트워크 장비이지만, NIC는 컴퓨터에 설치되는 장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현재 32비트 체계인 인터넷의 IP 주소의 버전은?

  1. IPv2
  2. IPv4
  3. IPv6
  4. IPv8
(정답률: 86%)
  • 현재 32비트 체계인 인터넷의 IP 주소의 버전은 IPv4입니다. 이는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주소 체계 중 가장 오래된 버전으로, 32비트의 주소 공간을 가지고 있어 약 42억 개의 주소를 할당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주소 부족 문제가 발생하게 되어 IPv6로의 전환 작업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리눅스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종류가 아닌 것은?

  1. 이더넷 인터페이스
  2. PPP 인터페이스
  3. SLIP 인터페이스
  4. MIDI 인터페이스
(정답률: 60%)
  • MIDI 인터페이스는 음악 장비와 컴퓨터 간의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가 아니다. 따라서 리눅스는 MIDI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네임 서버의 질의 도구이며 기본 네임 서버의 변경도 가능한 명령은?

  1. ping
  2. netstat
  3. traceroute
  4. nslookup
(정답률: 73%)
  • "nslookup"은 네임 서버의 질의 도구로, 도메인 이름에 대한 IP 주소를 확인하거나, IP 주소에 대한 도메인 이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본 네임 서버의 변경도 가능합니다. "ping"은 호스트 간의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도구이고, "netstat"은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도구입니다. "traceroute"는 패킷이 목적지까지 도달하는 경로를 추적하는 도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리눅스 시스템 관리

21. 다음과 같은 사용자계정 파일이 있을 때 ‘id bbb’ 명령의 실행결과로 알맞은 것은?

  1. uid=0(root) gid=0(root) groups=0(root),1(ccc), 2(ddd)
  2. uid=1(aaa) gid=1(ccc) groups=1(ccc), 2(ddd)
  3. uid=2(bbb) gid=2(ddd) groups=2(ddd)
  4. 결과가 출력되지 않는다.
(정답률: 64%)
  • 사용자계정 파일에서 uid가 2이고 username이 bbb인 사용자가 존재하며, 이 사용자는 gid가 2인 그룹 ddd에 속해있고, 해당 그룹이 유일한 소속 그룹이기 때문에 groups에도 ddd가 출력된다. 따라서 'id bbb' 명령의 실행결과는 "uid=2(bbb) gid=2(ddd) groups=2(ddd)"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사용자 aaa가 로그인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닌 것은?

  1. [root@ihd /]# userdel aaa
  2. [root@ihd /]# vi /etc/passwd 해서 로그인 이름이 aaa인 라인을 삭제하고 저장
  3. [root@ihd /]# passwd -l aaa
  4. [root@ihd /]# \rm -rf /home/aaa
(정답률: 60%)
  • 정답: "[root@ihd /]# \rm -rf /home/aaa"

    이유: 이 명령어는 aaa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완전히 삭제하기 때문에, aaa 사용자가 로그인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 외에도 aaa 사용자의 모든 파일과 폴더를 삭제하게 된다. 이는 매우 위험한 명령어이며, 다른 사용자의 파일이나 시스템 파일까지 삭제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사용자 그룹에 관련되는 명령어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groups : 시스템 상에 정의된 그룹들을 모두 출력한다.
  2. chgrp :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속한 그룹을 바꾼다.
  3. groupmod : 시스템상의 그룹 정의를 변경한다.
  4. groupdel : 시스템상의 그룹을 삭제한다.
(정답률: 50%)
  • "groups : 시스템 상에 정의된 그룹들을 모두 출력한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이 명령어는 현재 사용자가 속한 그룹들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은 passwd 명령을 사용해서 패스워드를 변경 할 때 나타날 수 있는 메시지와 그 의미가 잘못 연결된 것은?

  1. ‘BAD PASSWORD : is too similar to the old one’ : 과거의 패스워드와 유사하다.
  2. ‘BAD PASSWORD : it is too short’ : 새로운 단어가 너무 짧다.
  3. ‘BAD PASSWORD : it is too simplistic/systematic’ :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는 단어가 새로운 암호에 사용되고 있다.
  4. ‘BAD PASSWORD : it is based on a dictionary word’ : 사전에 있는 단어가 새로운 암호에 사용되고 있다.
(정답률: 71%)
  • 정답은 "‘BAD PASSWORD : it is too short’ : 새로운 단어가 너무 짧다." 이다. 이유는 "it is too simplistic/systematic"은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단어가 새로운 암호에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보안상 취약하다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리눅스 시스템의 사용자 aaa가 소유하고 있는 /home/aaa/ccc.txt 파일에 대해 사용자 bbb는 읽기/쓰기권한을 가지게 하고, 사용자 ccc는 이 파일에 대한 읽기/쓰기/실행권한이 모두 없도록 하고자 할 때 다음 (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groupadd bbb
  2. usermod -G ggg ccc
  3. usermod -G ggg bbb
  4. chgrp ccc /home/aaa/ccc.txt
(정답률: 66%)
  • "chmod u-rwx,g+rw,o-rwx /home/aaa/ccc.txt"

    정답이 "usermod -G ggg bbb"인 이유는 bbb를 ggg 그룹에 추가하여, ggg 그룹의 권한을 가진 사용자들이 /home/aaa/ccc.txt 파일에 대해 읽기/쓰기 권한을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룹 권한을 이용하여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그 외의 보기들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 "groupadd bbb": bbb라는 이름의 그룹을 생성하는 명령어이다.
    - "usermod -G ggg ccc": ccc 사용자를 ggg 그룹에 추가하는 명령어이다.
    - "chgrp ccc /home/aaa/ccc.txt": /home/aaa/ccc.txt 파일의 그룹을 ccc로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보기와 같이 aaa.txt 파일에 대한 권한 설정을 변경하고자 할 때 그 결과가 다른 것은?

  1. chmod 615 aaa.txt
  2. chmod u-x,g-r aaa.txt
  3. chmod 777 aaa.txt
    chmod u-x,g-rw,o-w aaa.txt
  4. chmod 444 aaa.txt
    chmod u+w,g-r,o+x aaa.txt
(정답률: 57%)
  • 정답: "chmod 615 aaa.txt"인 경우, 다른 사용자들도 파일을 실행할 수 있게 되므로 보안에 취약해진다.

    "chmod u-x,g-r aaa.txt"인 경우, 파일 소유자와 그룹은 파일을 실행할 수 없게 되므로 파일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chmod 777 aaa.txt"인 경우, 모든 사용자가 파일을 읽고 쓰고 실행할 수 있게 되므로 보안에 취약해진다.

    "chmod u-x,g-rw,o-w aaa.txt"인 경우, 파일 소유자는 파일을 실행할 수 없고, 그룹과 다른 사용자는 파일을 쓸 수 없게 된다.

    따라서, "chmod 444 aaa.txt"와 "chmod u+w,g-r,o+x aaa.txt"가 올바른 권한 설정 방법이다. 파일 소유자는 읽기 권한만 가지고, 그룹과 다른 사용자는 읽기 권한만 있고 실행 권한은 없다. 파일 소유자는 쓰기 권한을 가지고, 그룹과 다른 사용자는 쓰기 권한이 없고 실행 권한만 있다. 이렇게 설정하면 파일의 보안성을 유지하면서도 필요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현재 사용자 작업 디렉터리가 다음과 같을 때, 부모 디렉터리의 파일 리스트를 출력해 주기 위한 방법 중 틀린 것은?

  1. cd /home 명령으로 디렉터리 변경 후 ls
  2. ls ../
  3. ls /home
  4. ls ./
(정답률: 67%)
  • 정답은 "ls ./"입니다.

    "./"은 현재 디렉터리를 나타내는 경로이므로, "ls ./"은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 리스트를 출력하는 것과 동일합니다. 따라서 이 방법은 현재 디렉터리의 부모 디렉터리의 파일 리스트를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 디렉터리의 파일 리스트를 출력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올바른 방법은 "ls ../"입니다. "../"는 부모 디렉터리를 나타내는 경로이므로, "ls ../"는 현재 디렉터리의 부모 디렉터리의 파일 리스트를 출력하는 것입니다.

    "cd /home 명령으로 디렉터리 변경 후 ls"와 "ls /home"도 부모 디렉터리의 파일 리스트를 출력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cd /home"은 "/home" 디렉터리로 이동하는 명령이므로, 이후에 "ls"를 입력하면 "/home" 디렉터리의 파일 리스트가 출력됩니다. "ls /home"은 절대 경로를 사용하여 "/home" 디렉터리의 파일 리스트를 출력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지워진 파일을 복구하기 위한 절차를 진행 순서 대로 알맞게 배열한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47%)
  • ㉱. 복구하고자 하는 파일이 저장된 디스크에서 새로운 파일이 생성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해당 디스크에 대한 쓰기 권한을 제한한다.
    ㉮. 복구하고자 하는 파일이 저장된 디스크에서 복구 가능한 파일을 찾기 위해 복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 복구하고자 하는 파일이 저장된 디스크에서 복구 가능한 파일을 찾은 후, 해당 파일을 복구하고자 하는 위치로 복사한다.
    ㉰. 복구된 파일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해당 파일을 열어본다.
    ㉳. 복구된 파일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경우, 다른 복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파일을 복구한다.
    ㉯. 복구된 파일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다시 한번 확인한다.
    ㉴. 복구가 완료된 후, 해당 디스크에 대한 쓰기 권한을 다시 부여한다.

    정답이 "㉱-㉮-㉲-㉰-㉳-㉯-㉴" 인 이유는, 복구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해당 디스크에 대한 쓰기 권한을 제한하고, 복구 가능한 파일을 찾은 후 복사하는 등의 순서를 따라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복구된 파일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며, 복구가 완료된 후에는 해당 디스크에 대한 쓰기 권한을 다시 부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마운트와 관련된 파일들과 그 설명이 바르게 연결된 것은?

  1. /etc/mtab : 커널에 적재되어 있는 마운트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
  2. /etc/fstab : 부팅되면서 자동으로 마운트 되는 파일시스템 테이블
  3. /proc/mounts : 커널이 인식 가능한 파일 시스템 타입의 정보를 가지고 있는 파일
  4. /etc/filesystems : 부팅되면서 수동으로 마운트 되는 파일시스템 테이블
(정답률: 69%)
  • "/etc/fstab : 부팅되면서 자동으로 마운트 되는 파일시스템 테이블" - /etc/fstab 파일은 부팅 시 자동으로 마운트되는 파일 시스템을 정의하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에는 파일 시스템의 장치 이름, 마운트 포인트, 파일 시스템 유형, 마운트 옵션 등이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과 같이 파일시스템이 마운트되어 있을 때 /mnt/disk1에 마운트 되어 있는 /dev/hdb1을 언 마운트 할 수 없는 명령은?

  1. umount /dev/hdb1
  2. umount -a
  3. mount -o unmount /dev/hdb1
  4. umount /mnt/disk1
(정답률: 56%)
  • 정답은 "mount -o unmount /dev/hdb1"이다. 이는 올바른 명령이 아니기 때문에 /dev/hdb1을 언 마운트 할 수 없다. 올바른 명령은 "umount /dev/hdb1"이다. "umount -a"는 모든 마운트를 언 마운트하는 명령이며, "umount /mnt/disk1"은 /mnt/disk1에 마운트되어 있는 파일시스템을 언 마운트하는 명령이다. "mount -o unmount"는 존재하지 않는 옵션이기 때문에 올바르지 않은 명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dev/hdb1을 리눅스 파일시스템으로 만들기 위해서 사용하는 명령어로 적절하지 못한 것은?

  1. mke2fs /dev/hdb1
  2. mkfs.ext3 /dev/hdb1
  3. mkfs /dev/hdb1
  4. mke3fs /dev/hdb1
(정답률: 46%)
  • 정답은 "mkfs /dev/hdb1"입니다. 이유는 mkfs는 파일시스템 유형을 지정하지 않기 때문에 기본 파일시스템으로 생성되며, 리눅스에서 기본 파일시스템은 ext2 또는 ext3이 아닐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dev/hdb1을 리눅스 파일시스템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mke2fs /dev/hdb1" 또는 "mkfs.ext3 /dev/hdb1" 또는 "mke3fs /dev/hdb1"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리눅스시스템의 각 실행레벨(run level)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실행레벨5 : 사용자 정의레벨로 정의될 수 있도록 비어 있는 레벨이다.
  2. 실행레벨2 : 다중사용자 모드, 단, NFS를 지원하지 않는다.
  3. 실행레벨3 : 다중사용자 모드, 텍스트 모드를 지원한다.
  4. 실행레벨1 : 단일 사용자모드, 관리자가 관리 목적으로 사용한다.
(정답률: 64%)
  • 정답은 "실행레벨5 : 사용자 정의레벨로 정의될 수 있도록 비어 있는 레벨이다." 이다. 실행레벨5는 그래픽 모드를 지원하는 사용자 정의 레벨이다. 따라서 "비어 있는 레벨"이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top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CPU 프로세서의 현황을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2. 시스템의 관리자 권한으로만 실행시킬 수 있다.
  3. 각 프로세스의 CPU 사용률과 메모리 사용률 등이 출력된다.
  4. top 명령어 실행 중 키보드 k를 누르면 강제 종료시킬 프로세스의 PID를 입력할 수 있다.
(정답률: 67%)
  • "시스템의 관리자 권한으로만 실행시킬 수 있다."가 틀린 설명이다. top 명령어는 일반 사용자 권한으로도 실행할 수 있다. 다만, 시스템 전체의 모든 프로세스를 볼 수는 없고, 해당 사용자가 실행한 프로세스만 볼 수 있다. 이는 보안상의 이유로 제한되어 있는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kill 명령과 killall 명령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기술한 것 중 알맞은 것은?

  1. kill 명령과 killall 명령 모두 프로세스 번호를 사용하여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수 있다.
  2. kill 명령과 killall 명령 모두 프로세스 명령어를 사용하여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수 있다.
  3. kill 명령과 killall 명령 모두 한 명령어로 한 개의 프로세스만 종료시킬 수 있다.
  4. kill 명령은 프로세스 번호를 알아야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수 있고, killall 명령은 프로세스 번호를 몰라도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수 있다.
(정답률: 62%)
  • "kill 명령은 프로세스 번호를 알아야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수 있고, killall 명령은 프로세스 번호를 몰라도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수 있다." 이유는, kill 명령은 특정 프로세스를 종료시키기 위해 해당 프로세스의 번호를 알아야 하지만, killall 명령은 프로세스의 이름을 기반으로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둘 다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명령어이지만, 사용하는 방법이 다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etc/crontab 파일이 다음과 같을 때 다음 설명 중에 틀린 것은?

  1. /etc/cron.hourly는 한 시간마다 한 번씩, 매 시간 1분에 실행된다.
  2. /etc/cron.daily는 한 하루에 한 번씩, 매일 4시 2분에 실행된다.
  3. /etc/cron.weekly는 일주일에 한 번씩, 월요일 4시 22분에 실행된다.
  4. /etc/cron.monthly는 한 달에 한 번씩, 1일 4시 42분에 실행된다.
(정답률: 68%)
  • "/etc/cron.weekly는 일주일에 한 번씩, 월요일 4시 22분에 실행된다." 이 설명은 맞다. 이유는 crontab 파일에서 해당 작업의 실행 시간이 "22 4 * * 1"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는 매주 월요일 4시 22분에 실행된다는 뜻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RPM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RPM은 레드햇 배포판에서만 사용되는 패키지 관리 툴이다.
  2. RPM을 사용하면 좀 더 편리하게 패키지를 설치/제거할 수 있다.
  3. RPM은 RedHat Package Manager의 약자이다.
  4. GPL(GNU General Public License)하에서 자유롭게 공개, 개발되고 있다.
(정답률: 61%)
  • "RPM은 레드햇 배포판에서만 사용되는 패키지 관리 툴이다."가 틀린 설명이다. RPM은 레드햇 배포판 뿐만 아니라 다른 리눅스 배포판에서도 사용되는 패키지 관리 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rpm 명령어의 주요 옵션과 그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rpm -i : 패키지 설치를 위한 설치모드 옵션이다.
  2. rpm -q : 패키지에 대한 질문을 위한 질문 모드 옵션이다.
  3. rpm -V : 패키지에 대한 검증을 위한 검증 모드 옵션이다.
  4. rpm -u : 패키지에 대한 업그레이드를 위한 업그레이드 모드 옵션이다.
(정답률: 46%)
  • 답: "rpm -q : 패키지에 대한 질문을 위한 질문 모드 옵션이다." 이 옵션은 패키지 정보를 조회하는 옵션이다.

    rpm -u 옵션은 기존에 설치된 패키지를 업그레이드하는 옵션이다. 즉, 새로운 버전의 패키지를 설치하면서 기존에 설치된 패키지를 대체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데비안 패키지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데비안 패키지 파일의 확장자는 .deb 이다.
  2. 데비안 패키지 시스템을 관리하기 위해서 dpkg 명령을 사용한다.
  3. 패키지 설치에 필요한 의존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해준다.
  4. 일반 사용자가 특별한 도구 없이 패키지를 설치 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정답률: 51%)
  • 정답은 "데비안 패키지 파일의 확장자는 .deb 이다." 이다.

    데비안 패키지 시스템은 패키지 설치, 업그레이드, 제거 등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dpkg 명령을 사용하여 관리한다. 또한 패키지 설치에 필요한 의존성 문제를 해결해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데비안 패키지 시스템은 일반 사용자가 특별한 도구 없이 패키지를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를 위해 apt-get, apt-cache 등의 명령어를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make가 사용하는 makefile에는 기본적인 규칙들의 나열로 이루어져 있다고 볼 수 있는데 다음 중 이 규칙의 구성요소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의존관계(dependency)
  2. 목표(target)
  3. 프로그램(program)
  4. 명령(command)
(정답률: 42%)
  • makefile의 규칙 구성요소는 의존관계(dependency), 목표(target), 명령(command)으로 이루어져 있다. 프로그램(program)은 makefile에서 목표(target)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실행 파일을 의미하는 것으로, 규칙 구성요소에 속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다음 중 보기의 명령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는 명령은 어느 것인가?

  1. tar cvf aaa.tar.gz bbb
  2. tar cvzf aaa.tar.gz bbb
  3. tar cvjf aaa.tar.gz bbb
  4. tar cgvf aaa.tar.gz bbb
(정답률: 55%)
  • 보기 중 "tar cvzf aaa.tar.gz bbb" 명령은 bbb 파일을 압축하여 aaa.tar.gz 파일로 만드는 명령이다. "c" 옵션은 새로운 아카이브를 생성하고, "v" 옵션은 아카이브 생성 과정을 출력하며, "z" 옵션은 gzip으로 압축하고, "f" 옵션은 아카이브 파일 이름을 지정한다. 따라서 "tar cvzf aaa.tar.gz bbb" 명령은 보기 중에서 유일하게 bbb 파일을 gzip으로 압축하여 aaa.tar.gz 파일로 만드는 명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다음 중 일반적인 스카시(SCSI) 하드 디스크의 장치 이름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1. /dev/hda
  2. /dev/sda
  3. /dev/lp
  4. /dev/fd0
(정답률: 70%)
  • 일반적으로 SCSI 하드 디스크는 "/dev/sda"로 표시됩니다. 이는 "s"가 SCSI를 나타내고 "a"가 첫 번째 디스크를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dev/hda"는 IDE 하드 디스크를 나타내며, "/dev/lp"는 프린터를 나타내며, "/dev/fd0"은 플로피 디스크를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레드햇 계열의 배포판에서 gpm을 이용하여 설정된 마우스를 사용할 때 관련파일이 저장된 위치로 가장 알맞은 것은?

  1. /etc/rc.d/init.d
  2. /etc/sysconfig/console
  3. /proc/misc
  4. /dev/input
(정답률: 29%)
  • "/etc/rc.d/init.d"는 시스템 부팅 시 실행되는 스크립트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토리이다. gpm은 마우스를 사용하기 위해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실행되어야 하므로, gpm 설정 파일도 이 디렉토리에 저장된다. 따라서, gpm 설정 파일도 "/etc/rc.d/init.d" 디렉토리에 저장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커널의 역할을 잘못 설명한 것은?

  1. 다양한 인터럽트 처리를 담당한다.
  2. 사용자의 명령을 처리하는 것을 담당한다.
  3. 프로세스의 처리 우선순위를 담당한다.
  4. 메모리나 저장장치 내의 운영체제의 주소 공간을 관리한다.
(정답률: 41%)
  •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다양한 인터럽트 처리, 프로세스의 처리 우선순위 관리, 메모리나 저장장치 내의 운영체제의 주소 공간 관리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사용자의 명령을 처리하는 것은 커널이 아닌 쉘(shell)이 담당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명령을 처리하는 것을 담당한다."는 커널의 역할을 잘못 설명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일반적으로 리눅스 커널 컴파일 작업을 하려할 때 가장 적당한 디렉터리는?

  1. /usr/src/linux
  2. /usr/bin/linux
  3. /usr/etc/linux
  4. /usr/lib/linux
(정답률: 58%)
  • "/usr/src/linux" 디렉터리는 리눅스 커널 소스 코드가 위치하는 디렉터리이다. 따라서 리눅스 커널을 컴파일하려면 이 디렉터리에서 작업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다른 디렉터리들은 리눅스 커널 소스 코드와는 관련이 없는 디렉터리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커널 컴파일 전에 이전 컴파일 과정의 쓰레기 파일을 정리하고, 설정 등을 초기 상태로 만드는 명령은?

  1. make config
  2. make modules
  3. make mrproper
  4. make install
(정답률: 68%)
  • "make mrproper" 명령은 이전 컴파일 과정에서 생성된 쓰레기 파일들을 정리하고, 설정 등을 초기 상태로 만들어주는 명령입니다. 이를 통해 컴파일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커널 컴파일 전에 "make mrproper" 명령을 실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리눅스에서 플로피디스크 이용 시 필요한 명령어와 관련이 가장 적은 것은?

  1. mkfs
  2. fdisk
  3. mount
  4. umount
(정답률: 48%)
  • 플로피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디스크를 파티션으로 나누고 파일 시스템을 생성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필요한 명령어는 "fdisk"와 "mkfs"입니다. "mount"와 "umount"는 생성된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고 언마운트하는 명령어이므로 플로피디스크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fdisk"가 관련이 가장 적은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컴퓨터에 설치된 하드디스크들의 정보를 알아 볼 수 있는 파일은?

  1. /etc/hosts
  2. /etc/fstab
  3. /etc/hda
  4. /etc/init
(정답률: 50%)
  • "/etc/fstab" 파일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하드디스크와 파일 시스템을 관리하는 파일이다. 이 파일은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읽혀지며, 각 하드디스크의 마운트 포인트와 파일 시스템 종류 등의 정보를 담고 있다. 따라서 이 파일을 통해 컴퓨터에 설치된 하드디스크들의 정보를 알아 볼 수 있다. "/etc/hosts" 파일은 호스트 이름과 IP 주소를 매핑하는 파일이고, "/etc/hda" 파일은 하드디스크의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이 아니므로 정답이 아니다. "/etc/init" 파일은 시스템 초기화와 관련된 파일이므로 하드디스크 정보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프린터 설정 유틸리티와 설정 파일로 적당한 것은?

  1. printinstall, /etc/printcap
  2. printconf, /etc/printcap
  3. printinstall, /etc/termcap
  4. printconf, /etc/termcap
(정답률: 71%)
  • 프린터 설정 유틸리티는 프린터를 설정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며, 설정 파일은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의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파일입니다. 따라서 "printconf, /etc/printcap"가 적당한 것입니다. printconf는 프린터 설정 유틸리티이며, /etc/printcap은 프린터 설정 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프린터의 이름, 위치, 종류 등의 정보를 저장합니다. 따라서 이 두 가지를 함께 사용하여 프린터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사운드 카드 설정 명령인 sndconfig을 이용할 때 설정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modules.conf
  2. /etc/hosts.conf
  3. /etc/devices.conf
  4. /etc/mtools.conf
(정답률: 54%)
  • sndconfig은 사운드 카드를 설정하는 명령어이며, 이때 설정 파일로는 /etc/modules.conf를 사용합니다. 이 파일은 커널 모듈을 로드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사운드 카드와 관련된 모듈 정보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sndconfig을 이용하여 사운드 카드를 설정할 때는 /etc/modules.conf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리눅스에서 지원하는 대부분의 터미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파일은?

  1. /etc/fstab
  2. /etc/hosts
  3. /etc/printcap
  4. /etc/termcap
(정답률: 69%)
  • "/etc/termcap" 파일은 리눅스에서 지원하는 대부분의 터미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파일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이 파일은 터미널에서 사용되는 제어 시퀀스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터미널에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파일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터미널 설정과 관련된 중요한 파일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리눅스의 로그파일 관리 툴인 logrotate가 할 수 있는 작업이 아닌 것은?

  1. 로그 파일의 내용 중 중요한 것만 보관한다.
  2. 로그 파일을 순환시킨다.
  3. 로그 파일을 압축해서 보관한다.
  4. 로그 파일이 지정한 용량만큼 찼을 때 다른 파일로 순환시킨다.
(정답률: 64%)
  • logrotate는 로그 파일을 순환시키고 압축하여 보관하며, 지정한 용량만큼 찼을 때 다른 파일로 순환시키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로그 파일의 내용 중 중요한 것만 보관하는 작업은 logrotate가 수행할 수 없습니다. 이는 로그 파일의 내용을 분석하고 중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logrotate와는 별개의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시스템 로그 분석을 해야 하는 이유와 그 로그 파일이 짝지어진 것 중 틀린 것은?

  1. 리눅스 시스템에서 주고받은 메일에 대해 분석 하고자 한다. → /var/log/messages
  2. 부팅시 에러나 부팅시 장애 등을 확인하고자 한다. → /var/log/boot.log
  3. 웹사이트의 트래픽을 분석하고자 한다. → /usr/local/apache/logs/access_log
  4. cron의 동작을 분석하고자 한다. - /etc/cron
(정답률: 48%)
  • 시스템 로그 분석을 해야 하는 이유는 시스템의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하기 위해서이다. 로그 파일은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이벤트를 기록하고 있으며, 이를 분석하여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할 수 있다.

    정답: "리눅스 시스템에서 주고받은 메일에 대해 분석 하고자 한다. → /var/log/messages"는 틀린 것이다. 메일 로그는 일반적으로 /var/log/maillog에 기록된다. /var/log/messages는 시스템 로그의 일반적인 위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리눅스 시스템의 관리자가 보안 관리를 위하여, 시스템에 대한 물리적인 접근을 제한하는 방법으로 부적절한 것은?

  1. BIOS의 부트 패스워드 이용한다.
  2. 부트 로더의 패스워드 보안기능을 사용한다.
  3. xlock을 이용하여 X윈도 화면을 잠근다.
  4. 항상 모든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다.
(정답률: 59%)
  • "항상 모든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보안 관리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모든 사용자에게 시스템 접근 권한을 부여하면 보안 위협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방법은 사용자 계정 관리, 권한 설정, 암호 정책 등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BIOS의 부트 패스워드, 부트 로더의 패스워드 보안기능, xlock 등은 추가적인 보안 기능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항상 모든 사용자의 시스템 사용을 허용하지 않는다."는 가장 기본적인 보안 관리 방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xinetd를 사용한 서비스 보안에서 xinetd의 기본적인 접근제어 방법이 아닌 것은?

  1. 내장된 접근제어 시스템을 통해 올바른 사용자만이 접근 가능하도록 한다.
  2. 방화벽을 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3. IP 클래스에 따라 다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4. 시간별 서비스 접속수를 제한할 수 있다.
(정답률: 62%)
  • xinetd는 서비스를 실행하기 전에 접근제어를 수행하는 데 중점을 둔 데몬으로, 내장된 접근제어 시스템을 통해 올바른 사용자만이 접근 가능하도록 한다. IP 클래스에 따라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시간별 서비스 접속수를 제한하는 등의 기능도 제공하지만, 방화벽을 우회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파일 시스템에 존재하는 특정 파일은 시스템에 보안 위험 요소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파일을 찾는 명령어와 그에 대한 설명이 올바른 것은?

  1. # find / -type f \( -perm -04000 -o -perm -02000 \) : 파일의 권한이 소유자가 읽을 수만 있거나 쓸 수만 있는 파일
  2. # find / -perm -2 -type l -ls : 시스템 사용권을 얻고 누구나 쓸 수 있는 파일
  3. # find / -nouser -o -nogroup -print : 주인있는 파일이나 그룹에 속해 있는 파일
  4. # find /home -name .rhosts -print : 파일 이름이 rhosts인 파일
(정답률: 47%)
  • 정답은 "# find / -perm -2 -type l -ls : 시스템 사용권을 얻고 누구나 쓸 수 있는 파일"이다. 이 명령어는 시스템 전체에서 권한이 2(소유자, 그룹, 다른 사용자 모두 쓰기 권한)인 심볼릭 링크 파일을 찾아서 출력한다. 이러한 파일은 누구나 쓰기 권한을 가지므로 시스템 보안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파일을 찾아서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ssh가 telnet, rlogin, rcp 등에 비해서 보안성이 우수한 이유는 무엇인가?

  1. ssh는 호스트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IP주소를 사용하여 서버에 접속한다.
  2. telnet, rlogin, rcp 등의 패킷은 스니핑을 당해 패킷이 노출될 수 있지만, ssh의 패킷은 스니핑을 당하지 않는다.
  3. ssh는 암호화하여 패킷을 전송한다.
  4. ssh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료서비스에 가입을 해야 한다.
(정답률: 64%)
  • ssh는 암호화하여 패킷을 전송하기 때문에 telnet, rlogin, rcp 등과 달리 패킷이 스니핑을 당해 노출될 가능성이 적습니다. 이러한 암호화 기술은 ssh를 보안성이 우수한 프로토콜로 만들어주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가 ps, ls, login 등의 시스템 프로그램들을 동일한 이름의 다른 프로그램으로 바꿔치기 해서 비정상적인 동작을 하도록 하는 보안 침해 방법이 있는데, 이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패키지로 알맞은 것은?

  1. sudo
  2. PAM
  3. tripwire
  4. IPChain
(정답률: 65%)
  • tripwire는 시스템 파일의 변경을 감지하는 호스트 기반 침입 탐지 시스템으로, 파일의 해시 값을 저장하고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변경된 파일을 감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허가받지 않은 사용자가 시스템 프로그램을 바꿔치기하여 비정상적인 동작을 시도하더라도, tripwire는 해당 파일의 해시 값이 변경되었음을 감지하여 시스템 관리자에게 경고를 보내어 보안 침해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tripwire"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시스템 백업의 종류와 그에 대한 설명이 잘못 기술된 것은?

  1. 단순 백업 : 풀 백업 후에 변경분 백업을 주기적으로 실시한다.
  2. 변경분 백업 : 이전의 백업 후 변경된 파일들만 백업한다.
  3. 풀 백업 : 시스템 전체를 백업한다.
  4. 데이제로 백업 : 매월 초에 시스템 전체를 백업한다.
(정답률: 65%)
  • 정답은 "데이제로 백업 : 매월 초에 시스템 전체를 백업한다." 이다. 이유는 "데이제로 백업"이라는 용어 자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다른 세 가지 백업 종류는 모두 실제로 사용되는 백업 방식이다.

    데이제로 백업이라는 용어가 실제로는 "전체 백업"이나 "정기적인 전체 백업"을 의미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지만,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용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데이터 파일뿐만 아니라 시스템 파일을 백업해야 하는 이유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일반 사용자가 시스템의 운영에 필요한 파일을 지우거나, 수정하였을 경우 복원하기 위하여
  2. 관리자가 시스템의 중요한 파일들을 실수로 지우거나 수정하였을 경우 복원하기 위하여
  3.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할 경우 시스템의 설치를 쉽게 하기 위하여
  4. 시스템에 허락받지 않는 사용자가 침투하여 시스템의 중요한 파일들을 수정할 경우 이를 감지하기 위하여
(정답률: 33%)
  • 일반 사용자가 시스템의 운영에 필요한 파일을 지우거나 수정하였을 경우, 이를 복원하기 위해서 시스템 파일을 백업해야 합니다. 이는 시스템의 안정성과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작업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전통적인 백업 프로그램 dump의 특징으로 볼 수 없는 것은?

  1. 여러 개의 테이프에 백업할 수 있다.
  2. 백업이 기존 파일에 내용을 더하면서 수행될 수 있다.
  3. 모든 파일시스템 전체를 한번에 백업해야 한다.
  4. 파일에 대한 접근 권한, 소유자 등의 사항도 복구될 수 있다.
(정답률: 64%)
  • dump는 파일시스템의 블록 단위로 백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모든 파일시스템 전체를 한번에 백업해야 한다. 이는 파일시스템의 일부분만 백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

61.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구현하는데 선봉에 선 브라우저로 일리노이 대학에서 무료로 배포한 것은 무엇인가?

  1. WWW
  2. HTML
  3. Mosaic
  4. Android
(정답률: 53%)
  • Mosaic은 최초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춘 웹 브라우저로, 인터넷 대중화 시대를 구현하는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이전에는 텍스트 기반의 인터넷 사용이 일반적이었지만, Mosaic의 등장으로 인해 그래픽과 이미지를 포함한 다양한 콘텐츠를 쉽게 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인터넷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접근 가능한 매체가 되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웹 브라우저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는 호스트 중에서 사용자가 지정한 호스트로 접속한다.
  2. 리눅스에서 사용하는 웹 브라우저로 파이어폭스, 크롬 등이 대표적이다.
  3. 서버의 요청에 의한 클라이언트 응답을 기본 메커니즘으로 한다.
  4. 대표적인 프로토콜로 HTTP가 있다.
(정답률: 56%)
  • "서버의 요청에 의한 클라이언트 응답을 기본 메커니즘으로 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웹 브라우저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서버로부터 응답을 받아 화면에 표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즉,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의한 서버 응답을 기본 메커니즘으로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다음 명령어로 아파치 RPM 패키지 설치를 확인하려 할 때 ( )에 들어갈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E
  2. -Q
  3. -ef
  4. -qa
(정답률: 65%)
  • 정답: -qa

    "-qa" 옵션은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RPM 패키지를 나열하는 옵션입니다. 따라서 이 옵션을 사용하면 아파치 RPM 패키지가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른 옵션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E": RPM 패키지 설치 중 발생한 오류를 무시하고 계속 진행합니다.
    - "-Q": 특정 RPM 패키지가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옵션입니다.
    - "-ef": RPM 패키지 설치 중 발생한 오류를 자세히 출력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qa" 옵션이 아파치 RPM 패키지 설치를 확인하기에 가장 적합한 옵션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PH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속도, 개발 편의성, 확장성이 매우 우수하다.
  2. 윈도우 운영체제의 ASP와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3.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연동을 위한 API를 지원한다.
  4. 리눅스나 유닉스 계열에 사용하며, 윈도우 계열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정답률: 78%)
  • PHP는 리눅스나 유닉스 계열에서 주로 사용되며, 윈도우에서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일부 기능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리눅스나 유닉스 계열에 사용하며, 윈도우 계열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웹서버 설정 파일의 내용 중 다음과 같은 로그 메시지를 정의한 지시자 부분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1. %h는 헤더정보를 나타내는 지시자이다.
  2. %u는 요구한 URL를 나타내는 지시자이다.
  3. %s는 원격로그이름을 나타내는 지시자이다.
  4. %r은 요청한 내용의 첫 번째 줄을 나타내는 지시자이다.
(정답률: 30%)
  • "%r은 요청한 내용의 첫 번째 줄을 나타내는 지시자이다."라는 설명이 올바른 이유는 로그 메시지에서 %r은 "GET /index.html HTTP/1.1"과 같은 요청 라인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요청 라인은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한 메소드, URL 및 HTTP 버전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HTTP 요청의 첫 번째 줄이다. 따라서 %r은 요청한 내용의 첫 번째 줄을 나타내는 지시자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웹 호스팅 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 고려할 사항 중 틀린 것은?

  1. 일일 파일 전송량을 제한해 주는 것이 좋다.
  2. 웹서버, 네임서버, 메일서버를 분산하여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웹 호스팅의 경우 많은 사용자에 의한 자료의 누락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백업서버를 운영하는 것이 좋다.
  4. 네임서버는 다중도메인 설정, 포워딩 서비스 등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메모리와 하드 디스크이 용량을 늘리는 것이 좋다.
(정답률: 43%)
  • "네임서버는 다중도메인 설정, 포워딩 서비스 등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메모리와 하드 디스크이 용량을 늘리는 것이 좋다."가 틀린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문제는 잘못된 문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인 PostgreSQL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객체지향 기능을 갖고 있는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이다.
  2. 사용자 정의 오퍼레이터와 타입, 함수, 액세스 메서드를 지원한다.
  3. 일반적으로 postmaster, postgres, backend의 세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4. 마이클 스톤브레이커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상업용이 아닌 교육연구차원에서 개발되었다.
(정답률: 31%)
  • 정답은 "일반적으로 postmaster, postgres, backend의 세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다. PostgreSQL은 일반적으로 postmaster, postgres, backend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다. 대신, postmaster는 PostgreSQL 서버의 프로세스 관리자이며, postgres는 기본적인 데이터베이스 사용자 계정이다. backend는 PostgreSQL 서버에서 실행되는 각 클라이언트 연결에 대한 프로세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JServ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동적 모듈로 아파치에 설치할 때 아파치에서 제공하는 apxs라는 툴을 사용한다.
  2. 아파치에 직접 포함시켜 컴파일하거나 동적 로딩 모듈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3. 웹 서버에서 바로 실행되므로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CGI에 비해 효율성이 좋다.
  4. 동작확인은 컴파일 시, 생성된 jserv.conf 파일의 경로로 httpd.conf 파일에 AddModule 명령어로 경로를 지정하면 된다.
(정답률: 26%)
  • 정답은 "동작확인은 컴파일 시, 생성된 jserv.conf 파일의 경로로 httpd.conf 파일에 AddModule 명령어로 경로를 지정하면 된다." 이다.

    이유는 JServ는 아파치 웹 서버와 함께 사용되는 자바 서블릿 컨테이너이며, 동적 모듈로 아파치에 설치할 때 apxs라는 툴을 사용하거나 동적 로딩 모듈을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웹 서버에서 바로 실행되므로 CGI에 비해 효율성이 좋다.

    하지만 동작확인은 jserv.conf 파일의 경로를 httpd.conf 파일에 지정하는 것이 아니라, httpd.conf 파일에서 LoadModule 명령어를 사용하여 JServ 모듈을 로드해야 한다. 따라서 보기에서 "동작확인은 컴파일 시, 생성된 jserv.conf 파일의 경로로 httpd.conf 파일에 AddModule 명령어로 경로를 지정하면 된다." 라는 설명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SSL 기능을 새로 포함하여 웹 서버를 재 구동시키기 위해 서버를 중지시킨 후 부팅해야 하는데 데몬이 apachectl 이라고 할 때 다음 ( )에 사용 되지 않는 명령어는 무엇인가?

  1. kill
  2. stop
  3. restart
  4. startssl
(정답률: 39%)
  • 정답은 "kill"이다.

    "kill"은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시키는 명령어이며, 서버를 중지시키는 명령어가 아니다.

    서버를 중지시키기 위해서는 "apachectl stop" 명령어를 사용해야 하며, SSL 기능을 포함하여 재구동시키기 위해서는 "apachectl restart" 또는 "apachectl startssl"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마이크로소프트와 인텔 진영에서 사용한 프로토콜로 파일이나 디렉터리 및 주변장치를 공유하기 위한 GPL 정책을 따르는 공개 소프트웨어는 무엇인가?

  1. NFS
  2. SMB
  3. TCP
  4. CGI
(정답률: 50%)
  • SMB는 마이크로소프트와 인텔이 사용한 프로토콜로 파일이나 디렉터리 및 주변장치를 공유하기 위한 것이며, 이는 GPL 정책을 따르는 공개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SMB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삼바서버의 환경설정에 대한 옵션 값 중 공유 디렉터리의 리스트를 보여주는 함수는 무엇인가?

  1. path
  2. guest ok
  3. write list
  4. browseable
(정답률: 34%)
  • 정답은 "browseable"이다. 이 옵션은 공유 디렉터리가 네트워크에서 볼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browseable" 옵션이 "yes"로 설정되어 있다면, 해당 공유 디렉터리는 네트워크에서 볼 수 있으며, 사용자들은 해당 디렉터리에 접근할 수 있다. 반면에 "no"로 설정되어 있다면, 해당 디렉터리는 네트워크에서 볼 수 없으며, 사용자들은 해당 디렉터리에 접근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삼바 서버 보안의 4가지 모델 중 서버레벨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삼바 서버 보안의 기본 설정이다.
  2. 사용자 인증에 실패할 경우 사용자 레벨로 떨어지게 설계되어 있다.
  3. CD-ROM, 익명 FTP 등의 공유 디렉터리를 불특정 사용자들이 공유할 경우 유용하다.
  4. 삼바서버가 윈도우즈의 PDC나 BCD에 사용자 계정과 암호 쌍을 전송하여 인증을 위임하게 된다.
(정답률: 32%)
  • 사용자 인증에 실패할 경우 사용자 레벨로 떨어지게 설계되어 있다. 이는 삼바 서버 보안의 기본 설정이며, 사용자가 인증에 실패하면 권한이 낮은 사용자 레벨로 떨어지게 되어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NFS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항상 접속할 수 있도록 두 개의 데몬을 항상 작동해야 되는데 이 두 개의 데몬은 무엇인가?

  1. rpc.mountd, rpc.mapd
  2. rpc.mountd, rpc.nfsd
  3. rpc.exports, rpc.mapd
  4. rpc.exports, rpc.nfsd
(정답률: 41%)
  • NFS 서버는 클라이언트가 파일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도록 RPC(Remote Procedure Call)를 사용하여 통신합니다. 이 때, 클라이언트가 NFS 서버에 접속하면 먼저 rpc.mountd 데몬이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들이고, 이후에 rpc.nfsd 데몬이 실제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접근을 처리합니다. 따라서 NFS 서버는 항상 rpc.mountd와 rpc.nfsd 두 개의 데몬을 작동시켜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NFS 서버에 접근하여 파일 시스템에 접속하는 방식을 무엇이라 하는가?

  1. mount
  2. access
  3. switch
  4. service
(정답률: 34%)
  • "mount"는 NFS 서버에 접근하여 파일 시스템에 접속하는 방식을 뜻합니다. 이는 NFS 클라이언트가 NFS 서버의 공유 디렉토리를 로컬 파일 시스템에 마운트하여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NFS 클라이언트는 마운트 명령어를 사용하여 NFS 서버의 공유 디렉토리를 로컬 파일 시스템에 연결하고, 이후에는 마치 로컬 파일 시스템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mount"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ProFTPD 서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서버 타입은 Standalone과 inetd로 선택할 수 있다.
  2. 환경설정파일은 proftpd.conf로 통합되어 있다.
  3. 일부 사용자의 ftp 접속을 제한할 수 있다.
  4. wu-ftp에 비해 보안상 취약하다.
(정답률: 57%)
  • ProFTPD 서버는 wu-ftp에 비해 보안상 취약하지 않습니다. ProFTPD는 안정성과 보안성을 강조하는 FTP 서버 중 하나이며, 다양한 보안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wu-ftp에 비해 보안상 취약하다."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FTP 서버 Umask 값을 022로 설정하였다면 디렉터리 허가권과 파일 허가권의 의미는 무엇인가?

  1. 디렉터리 허가권 : 770 파일 허가권 : 660
  2. 디렉터리 허가권 : 757 파일 허가권 : 646
  3. 디렉터리 허가권 : 755 파일 허가권 : 644
  4. 디렉터리 허가권 : 705 파일 허가권 : 604
(정답률: 71%)
  • Umask 값이 022로 설정되면, 새로운 파일과 디렉터리의 기본 허가권은 644와 755가 된다. 이는 새로운 파일은 소유자는 읽기와 쓰기 권한을 가지고, 그룹과 다른 사용자는 읽기 권한만 가지며, 새로운 디렉터리는 소유자, 그룹, 다른 사용자 모두 읽기와 실행 권한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디렉터리 허가권이 755이 되는 이유는 새로운 디렉터리가 소유자, 그룹, 다른 사용자 모두 읽기와 실행 권한을 가지기 때문이다. 파일 허가권이 644가 되는 이유는 새로운 파일이 소유자는 읽기와 쓰기 권한을 가지고, 그룹과 다른 사용자는 읽기 권한만 가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디렉터리 허가권은 770, 757, 705이 아닌 755가 되고, 파일 허가권은 660, 646, 604이 아닌 644가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ProFTPD 서버의 익명 FTP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통상적으로 ID는 anonymous를 사용한다.
  2. 접속 시 패스워드는 자신의 이메일을 사용할 수 있다.
  3. 접속 시 현재 사용하는 사용자의 수는 확인 할 수 없다.
  4. 접속할 때 보여주는 별도의 메시지 파일을 만들 수 있다.
(정답률: 54%)
  • "접속 시 현재 사용하는 사용자의 수는 확인 할 수 없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ProFTPD 서버에서 익명 FTP 사용자의 수를 확인하는 방법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ftpwho" 명령어를 사용하면 현재 접속 중인 사용자의 수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TCP/IP의 상위계층 프로토콜의 하나로 컴퓨터 간 전자우편을 전송하기 위한 RFC 821로 규정되어 있는 것은 무엇인가?

  1. PPP
  2. DHCP
  3. SMTP
  4. CCITT
(정답률: 73%)
  • SMTP는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전자우편을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RFC 821에서 규정되어 있으며, TCP/IP의 상위계층 프로토콜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SMT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메일서버에 도착한 메일을 저장 및 전송을 담당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메일을 읽게 되면 사용자의 컴퓨터로 메일이 다운로드 되게 하는 프로토콜은?

  1. POP3
  2. IMAP
  3. SMTP
  4. Sendmail
(정답률: 48%)
  • POP3는 사용자의 메일 서버에 도착한 메일을 다운로드하여 사용자의 컴퓨터에 저장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사용자가 메일을 읽을 때, 해당 메일이 이미 사용자의 컴퓨터에 다운로드되어 있기 때문에 인터넷 연결 없이도 메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와 달리 IMAP은 메일 서버에 저장된 메일을 직접 읽어오는 프로토콜이며, SMTP는 메일을 보내는 프로토콜입니다. Sendmail은 메일 서버 소프트웨어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메일서버 sendmail에서 해시 테이블을 만들기 위해 제공되는 유틸리티는 무엇인가?

  1. makemap
  2. make dep
  3. make config
  4. make install
(정답률: 55%)
  • sendmail에서 해시 테이블을 만들기 위해 제공되는 유틸리티는 "makemap"입니다. 이는 sendmail의 설정 파일에서 사용되는 해시 테이블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make dep"는 의존성 파일을 생성하는 데 사용되며, "make config"는 sendmail의 구성을 설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make install"은 sendmail을 시스템에 설치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sendmail.cf 설정파일의 섹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Option 섹션은 sendmail의 환경을 정의하는 부분으로 사용옵션이 100여 개에 이른다.
  2. Trusted Users 섹션에 등록된 root, daemon, uucp 리스트는 절대로 변경하면 안 된다.
  3. Message Precedences 섹션은 메시지의 우선 순위를 숫자로 표현하며, 음수는 사용되지 않는다.
  4. Rewriting Rules에서는 입력된 주소를 패턴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것을 정의된 규칙에 의해서 주소를 새로운 포맷으로 다시 작성한다.
(정답률: 29%)
  • "Message Precedences 섹션은 메시지의 우선 순위를 숫자로 표현하며, 음수는 사용되지 않는다."가 틀린 것이다. Message Precedences 섹션에서는 메시지의 우선 순위를 숫자로 표현하며, 음수도 사용할 수 있다. 음수일수록 우선순위가 높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메일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하게 되면 aliases 파일로 관리하기 어려워진다. 이때 관리를 위해 사용하는 MLM(Mailing List Manager)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GPL에 의거하여 무료로 배포되는 Majordomo라는 프로그램이 대표적이다.
  2. 관리자 측면에서 보면 메일링 리스트의 관리와 유지를 쉽게 해준다는 이점이 있다.
  3. 메일의 머리말, 꼬리말 기능을 지원하나, 스팸 메일로부터의 보호기능은 제공되지 않는다.
  4. 사용자 측면에서 보면 하나의 메일로 그룹의 모든 사용자에게 메일을 보내는 이점이 있다.
(정답률: 59%)
  • MLM은 메일링 리스트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으로, 메일의 머리말, 꼬리말 기능을 지원하며 사용자 측면에서는 하나의 메일로 그룹의 모든 사용자에게 메일을 보내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스팸 메일로부터의 보호기능은 제공되지 않는다. 이러한 프로그램 중 대표적인 것은 GPL에 의거하여 무료로 배포되는 Majordomo이다. 관리자 측면에서는 메일링 리스트의 관리와 유지를 쉽게 해준다는 이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xinetd를 컴파일하여 설치하려고 한다. 이때 DOS 공격을 예방하기 위한 컴파일 옵션으로 필수적인 것은?

  1. --with-libwrap
  2. --with-loadavg
  3. --with-inet6
  4. --with-nls
(정답률: 38%)
  • DOS 공격은 대량의 연결 요청으로 인해 서비스를 마비시키는 공격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xinetd를 컴파일할 때 "--with-loadavg" 옵션을 사용한다. 이 옵션은 시스템의 부하를 모니터링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부하가 발생하면 새로운 연결 요청을 거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 옵션을 사용하면 DOS 공격으로부터 서비스를 보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슈퍼데몬에 의해 telnetd를 구동하려고 한다. /etc/xinetd.d/telnet 파일의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no
  2. ok
  3. yes
  4. root
(정답률: 63%)
  • telnet 서비스는 보안상의 이유로 권장되지 않으며,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기본적으로 비활성화되어 있다. 따라서 (no)가 정답이다. "ok"와 "yes"는 올바른 답변이 아니며, "root"는 이 문제와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슈퍼데몬 설정파일의 속성을 지정할 때, 동시에 작동할 수 있는 동일 유형 서버의 최대 수를 정의 하는 것은 무엇인가?

  1. cps
  2. instances
  3. max_load
  4. per_source
(정답률: 50%)
  • "instances"는 동시에 작동할 수 있는 동일 유형 서버의 최대 수를 정의하는 속성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cps"는 초당 처리할 수 있는 연결 수를 정의하는 속성이고, "max_load"는 서버의 최대 부하를 정의하는 속성입니다. "per_source"는 각 클라이언트 IP 주소당 최대 연결 수를 정의하는 속성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네임서버에 사용되는 레코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A : 도메인에 IP를 부여하는 항목
  2. MX : 해당 호스트의 메일 라우팅 경로 지시
  3. PTR : 서브 도메인 IP 주소
  4. CNAME : 도메인에 대한 별칭
(정답률: 58%)
  • 정답은 "PTR : 서브 도메인 IP 주소"이다. PTR 레코드는 IP 주소에 대한 도메인 이름을 제공하는 레코드이며, 서브 도메인 IP 주소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PTR 레코드는 주로 역방향 DNS 조회를 위해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DNS 서비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DNS 서버는 주네임 서버, 보조네임서버, 캐싱 서버로 나눌 수 있다.
  2. IP 주소를 호스트 명으로 변경하는 서비스이다.
  3. 모든 DNS는 수평구조를 갖고 클라이언트에 응답한다.
  4. 리눅스에서 가장 보편적인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은 BIND이다.
(정답률: 50%)
  • "모든 DNS는 수평구조를 갖고 클라이언트에 응답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DNS는 계층 구조를 갖고 있으며, 상위 DNS 서버에서 하위 DNS 서버로 쿼리를 전달하면서 응답합니다. 따라서 DNS는 수직 구조를 갖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웹 서버 도메인이 ihd.or.kr이며, IP 주소가 10.18.1.100일 경우, DNS 메인 설정 파일인 named.conf 에 역방향 존 파일을 구성하기 위한 설정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10.18.1.in-addr.arpa
  2. 1.18.10.in-addr.arpa
  3. 10.18.1.ihd.or.kr.rev
  4. 1.18.10.ihd.or.kr.rev
(정답률: 41%)
  • zone "1.18.10.in-addr.arpa" {
    type master;
    file "reverse.zone";
    };

    정답은 "1.18.10.in-addr.arpa" 입니다. 이유는 IP 주소가 10.18.1.100이므로, 역방향 DNS 쿼리를 할 때는 100.1.18.10.in-addr.arpa 형식으로 요청이 들어오게 됩니다. 따라서 named.conf 파일에서 역방향 존 파일을 구성할 때는 "1.18.10.in-addr.arpa" 형식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이용해 서핑을 할 때 느린 속도를 보완해 주기 위해 캐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무엇인가?

  1. NIS
  2. SMTP
  3. DHCP
  4. PROXY
(정답률: 69%)
  • PROXY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한 웹 페이지를 캐시에 저장하여 다음에 같은 요청이 들어올 경우 캐시에서 바로 제공함으로써 빠른 속도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사용자의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하며, 네트워크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프록시 서버 squid의 설정 파일(squid.conf) 설정에서 캐시에 사용될 메모리의 최대 크기를 100M로 설정하려고 한다. 설정을 하기 위해 필요한 지시자는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memory_size 100 MB
  2. cache_memory 100 MB
  3. cache_mem 100 MB
  4. max_mem_size 100 MB
(정답률: 40%)
  • 정답: "cache_mem 100 MB"

    설명: cache_mem은 squid.conf 파일에서 캐시에 사용될 메모리의 크기를 설정하는 지시자이다. 이 지시자를 사용하여 캐시에 할당할 최대 메모리 크기를 100MB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squid.conf 파일에서 사용되지 않는 지시자들이므로 정답이 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NIS 서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NIS는 Yellow Pages를 줄여서 YP라고도 불린다.
  2. 마스터 서버와 슬레이브 서버로 구성되며 협동적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3. 네트워크를 통하여 알려진 네트워크상의 모든 기계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4. NIS 클라이언트는 필요한 경우에만 서버의 DBM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읽는다.
(정답률: 30%)
  • "NIS 클라이언트는 필요한 경우에만 서버의 DBM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정보를 읽는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NIS 클라이언트는 필요한 정보를 요청할 때마다 서버의 DBM 데이터베이스에서 정보를 읽어온다. 따라서 필요한 경우에만 정보를 읽는다는 것이 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NIS의 여러 프로그램 중에서 가장 중요하며 항상 실행 중에 있어야 하는 프로그램은 어느 것인가?

  1. ypswitch
  2. yppoll
  3. ypmatch
  4. ypbind
(정답률: 60%)
  • 정답은 "ypbind"입니다. 이는 NIS 클라이언트가 NIS 서버와 통신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으로, NIS 도메인에 가입하고 NIS 맵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따라서 ypbind가 실행 중이 아니면 NIS 클라이언트는 NIS 서버와 통신할 수 없으며, NIS 맵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른 프로그램들은 ypbind 없이도 실행될 수 있지만, ypbind 없이는 NIS 클라이언트가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DHCP 서버에서 MAC 주소와 IP 주소를 변환 해주는 프로토콜은 무엇인가?

  1. ARP
  2. ICP
  3. TCP
  4. ASP
(정답률: 67%)
  • DHCP 서버에서 MAC 주소와 IP 주소를 변환해주는 프로토콜은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입니다. ARP는 네트워크 상에서 IP 주소를 가지고 있는 컴퓨터의 MAC 주소를 찾아주는 프로토콜로, DHCP 서버에서 IP 주소를 할당할 때 클라이언트의 MAC 주소를 알아내기 위해 ARP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ARP가 DHCP 서버에서 MAC 주소와 IP 주소를 변환해주는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DHCP 서버에서 IP 범위를 설정하는 인자는 무엇인가?

  1. client
  2. range
  3. router
  4. broadcast
(정답률: 60%)
  • DHCP 서버에서 IP 범위를 설정하는 인자는 "range"이다. 이는 DHCP 서버가 할당할 수 있는 IP 주소 범위를 지정하는 것으로, 클라이언트가 DHCP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 DHCP 서버는 이 범위 내에서 사용 가능한 IP 주소를 할당해준다. "client"는 DHCP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 클라이언트를 의미하고, "router"는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라우터를 의미한다. "broadcast"는 네트워크 상에서 메시지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방식 중 하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CV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프로그램 소스나 문서 파일 버전 관리를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2. /etc 아래에 들어가는 설정 파일을 백업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3. 작업공간마련 -> 저장소초기화 -> 프로젝트초기화 -> 프로젝트작업 순으로 수행한다.
  4. 공동 프로젝트에서 버전 관리를 통해 파일의 중복이나 변경에 의한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정답률: 38%)
  • "작업공간마련 -> 저장소초기화 -> 프로젝트초기화 -> 프로젝트작업 순으로 수행한다."가 틀린 것이다. CVS에서는 저장소 초기화 -> 프로젝트 초기화 -> 작업공간 마련 -> 프로젝트 작업 순으로 수행한다. 이는 저장소와 프로젝트를 먼저 설정하고 작업공간을 마련한 후에 작업을 시작하는 것이 좋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TCP DUMP와 같이 네트워크상에서 패킷 교환을 도청하는 과정은 무엇인가?

  1. Sniffing
  2. Routing
  3. Spoofing
  4. Scanning
(정답률: 67%)
  • Sniffing은 네트워크상에서 패킷을 도청하는 과정을 말한다. 따라서 TCP DUMP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패킷을 캡처하고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Routing은 패킷이 목적지까지 전달되는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이며, Spoofing은 패킷의 출발지나 목적지를 위조하는 과정이다. Scanning은 네트워크상에서 취약점을 찾기 위해 시스템이나 포트를 스캔하는 과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버퍼 오버플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모리스 웜 사건 때 그 심각성이 부각되었다.
  2. 버퍼 오버플로를 이용하여 임의의 명령어를 수행할 수 있다.
  3. 프로그램 실행 과정에서 디스크와 관련된 개념을 이용한 공격 기술이다.
  4. 지정된 버퍼보다 더 많은 데이터를 입력하여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게 한다.
(정답률: 47%)
  • "프로그램 실행 과정에서 디스크와 관련된 개념을 이용한 공격 기술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버퍼 오버플로는 프로그램 실행 과정에서 메모리 버퍼에 할당된 공간을 넘어서 데이터를 입력하여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동작하게 하는 공격 기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ID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접속하는 IP를 기반으로 침입을 차단한다.
  2. 탐지뿐만 아니라 추적하는 기능까지 제공한다.
  3. 탐지하는 방식에 따라 오용 탐지와 변칙 탐지로 나눌 수 있다.
  4. 정보수집, 정보가공 및 축약, 분석 및 침입탐지, 보고 및 조치 단계로 구성된다.
(정답률: 31%)
  • "접속하는 IP를 기반으로 침입을 차단한다."는 ID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이다. IDS는 침입 탐지 시스템으로, 네트워크 상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악성 행위나 침입을 탐지하는 시스템이다. 따라서 IDS는 침입을 차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다. 대신, 침입을 탐지하고 해당 정보를 보고하여 보안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방화벽의 부가적인 기능이 아닌 것은?

  1. VPN
  2. NAT
  3. NMS
  4. DMZ
(정답률: 30%)
  • DMZ는 방화벽의 부가적인 기능이 아니라, 네트워크 보안 구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 구역이다. DMZ는 외부와 내부 네트워크 사이에 위치하여 외부에서 내부로 직접적인 접근을 차단하면서, 외부와 내부 간 필요한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DMZ는 방화벽의 부가적인 기능이 아니라, 네트워크 보안 구성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Honeypot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컴퓨터 해킹의 위험성을 미리 알려주는 경보 예측시스템이다.
  2. 매사추세츠공대 데이비드 클록이 처음으로 제안한 시스템이다.
  3. 컴퓨터 프로그램에 침입한 크래커를 탐지하는 가상 컴퓨터이다.
  4. 시스템에 해커가 접근하면 해커의 동작을 모니터링 하여 각종 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
(정답률: 37%)
  • "컴퓨터 해킹의 위험성을 미리 알려주는 경보 예측시스템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Honeypot은 실제 시스템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가짜 시스템으로 해커를 유인하여 공격을 탐지하고 분석하는 시스템입니다. 따라서, 해킹의 위험성을 미리 알려주는 것이 아니라, 공격이 발생한 후에 탐지하여 대응하는 시스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