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2-03-10)

리눅스마스터 1급
(2012-03-10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리눅스 실무의 이해

1. 시스템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어셈블러 : 저급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번역하는 언어 번역 프로그램이다.
  2. 매크로 프로세서 : 매크로 호출(Macro Call)을 매크로 정의(Macro Definition)로 바꾸어 주는 프로그램이다.
  3. 로더 : 다른 프로그램의 호출에 의해서 실행되는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다.
  4. 컴파일러 : 고급 언어로 된 원시 프로그램을 분석해서 이에 대응되는 목적 프로그램을 생성하는 프로그램이다.
(정답률: 59%)
  • 로더는 다른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적재하고 실행하는 프로그램이며, "다른 프로그램의 호출에 의해서 실행되는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로더 : 다른 프로그램의 호출에 의해서 실행되는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다."입니다.

    로더는 컴파일된 프로그램을 메모리에 적재하고 실행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프로그램의 실행 위치를 지정하고,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로드하며, 실행에 필요한 자원을 할당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다음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을 순서에 맞게 나열한 것은?

  1. 압축(Compaction, Recompaction), 쓰레기 수집(Garbage Collection)
  2. 세그먼트 기법(Segmentation), 압축(Compaction, Recompaction)
  3. 쓰레기 수집(Garbage Collection), 세그먼트 기법(Segmentation)
  4. 베이스-경계 재배치(Base-Bound Relocation), 압축(Compaction, Recompaction)
(정답률: 55%)
  • 프로그램 실행 중에 메모리 공간이 계속해서 할당되고 해제되면서 남는 빈 공간들이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빈 공간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쓰레기 수집(Garbage Collection)이 필요하다. 쓰레기 수집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메모리 공간을 찾아내고, 이를 해제하여 빈 공간으로 만든다. 이때, 압축(Compaction, Recompaction) 기법을 사용하여 빈 공간들을 한 곳으로 모아서 메모리 공간을 최적화할 수 있다. 따라서 "압축(Compaction, Recompaction), 쓰레기 수집(Garbage Collection)"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GPL(General Public Licens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FSF(Free Software Foundation)에 의해 만들어진 특별한 라이선스이다.
  2. GNU 정신에 입각하여 모든 프로그램의 소스를 공개하자는 것이 목적이다.
  3. 개발된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를 자유롭게 수정하고 재배포할 수 있다.
  4. vi 편집기를 수정해서 편집기 개발 도구를 만들었다면 이 개발 도구는 GPL라이선스를 가질 수 있다.
(정답률: 70%)
  • "vi 편집기를 수정해서 편집기 개발 도구를 만들었다면 이 개발 도구는 GPL라이선스를 가질 수 있다."는 옳은 설명입니다.

    GPL은 FSF(Free Software Foundation)에 의해 만들어진 특별한 라이선스로, GNU 정신에 입각하여 모든 프로그램의 소스를 공개하자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에 따라 개발된 프로그램의 소스 코드를 자유롭게 수정하고 재배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vi 편집기를 수정해서 새로운 개발 도구를 만들었다면, 이 개발 도구도 GPL 라이선스를 가질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자유 소프트웨어(Free Software)를 충족시키는 조건을 모두 고른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ㄱ), (ㄴ)
  2. (ㄱ), (ㄴ), (ㄷ)
  3. (ㄱ), (ㄷ), (ㄹ)
  4. (ㄱ), (ㄴ), (ㄷ), (ㄹ)
(정답률: 82%)
  • 정답은 "(ㄱ), (ㄴ), (ㄷ), (ㄹ)" 입니다.

    (ㄱ) Free Redistribution: 소프트웨어를 어떤 목적으로든 자유롭게 복사, 배포, 판매할 수 있어야 합니다.

    (ㄴ) Source Code: 소프트웨어의 소스 코드가 반드시 제공되어야 합니다.

    (ㄷ) Derived Works: 소프트웨어를 수정, 개작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만들 수 있어야 합니다. 이때 새로 만들어진 소프트웨어도 자유 소프트웨어여야 합니다.

    (ㄹ) No Discrimination Against Persons or Groups: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사람이나 그룹에 대해 어떤 형태의 차별도 허용되지 않아야 합니다. 즉, 누구나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오픈소스(자유 소프트웨어)의 종류로 틀린 것은?

  1. 공용 소프트웨어
  2. GPL 소프트웨어
  3. 프리웨어(Freeware)
  4. XFree86 형태의 소프트웨어
(정답률: 49%)
  • 프리웨어는 오픈소스(자유 소프트웨어)가 아닌 소프트웨어 종류입니다. 프리웨어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말하며, 소스코드가 공개되지 않아 수정이나 배포가 제한됩니다. 따라서 오픈소스(자유 소프트웨어)의 종류로는 "공용 소프트웨어", "GPL 소프트웨어", "XFree86 형태의 소프트웨어"가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RAID(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의 각 레벨에 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RAID-0 : 데이터를 중복해서 기록하지 않아서 가장 높은 성능과 고장 대비 능력이 있다.
  2. RAID-1 : 중복 저장된 데이터를 가진 2개의 드라이브로 구성되며 각 드라이브를 동시에 읽고 쓰기를 못한다.
  3. RAID-5 : 패리티 정보를 저장하지만 데이터를 중복 저장하지 않고, 다중 사용자 시스템에 적합하다.
  4. RAID-53 : 각 스트립은 raid-5 디스크 어레이인 스트립 어레이지를 제공하고 raid-3보다 높은 성능을 제공하지만 값이 더 비싸다.
(정답률: 58%)
  • RAID-5은 데이터를 중복 저장하지 않고 패리티 정보를 저장하여 고장 대비 능력을 강화하며, 다중 사용자 시스템에 적합하다. 이는 데이터를 여러 디스크에 분산 저장하면서도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으로, 디스크 하나가 고장나도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GRUB/LILO에 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GRUB/LILO가 MBR(Master Boot Record)에 설치된다.
  2. 윈도우 비스타/7에서는 bootrec.exe /fixmbr로 MBR을 복구한다.
  3. GRUB은 grub-uninstall로 삭제한다.
  4. LILO는 lilo -u로 삭제한다.
(정답률: 51%)
  • 정답은 "GRUB은 grub-uninstall로 삭제한다." 이다.

    GRUB은 grub-install 명령어로 설치되며, grub-uninstall 명령어로 삭제할 수 있다. LILO는 lilo 명령어로 설치되며, lilo -u 명령어로 삭제할 수 있다. 따라서 GRUB은 grub-uninstall로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grub-install 명령어로 설치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다음 중 /etc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시스템에 관한 각종 환경 설정에 연관된 파일들과 디렉토리를 가진 디렉토리이다.
  2. 시스템의 부팅과 시스템 실행 레벨 변경시에 실행되는 스크립트들이 저장되어 있다.
  3. 이 디렉토리에는 5가지의 실행 레벨별로 각 각의 해당 디렉토리가 있다.
  4. 이 디렉토리에는 사용자가 로그인을 할 때 본(Bourne)쉘이나 C쉘에 의해서 실행되는 스크립트 파일들이 있다.
(정답률: 61%)
  • "이 디렉토리에는 사용자가 로그인을 할 때 본(Bourne)쉘이나 C쉘에 의해서 실행되는 스크립트 파일들이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etc 디렉토리에는 로그인과 관련된 스크립트 파일이 아닌, 시스템 설정과 관련된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이 디렉토리에는 5가지의 실행 레벨별로 각각의 해당 디렉토리가 있어서, 시스템 부팅 및 실행 레벨 변경시에 실행되는 스크립트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다음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lost+found
  2. /mnt
  3. /usr/lib
  4. /lib/modules
(정답률: 74%)
  • "/lost+found"는 리눅스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 시스템 검사 후 복구된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토리이다. 다른 보기들은 일반적인 리눅스 파일 시스템 디렉토리들이지만, "/lost+found"는 파일 시스템 검사 후에만 생성되는 특수한 디렉토리이기 때문에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현재 디렉토리와 현재 디렉토리의 모든 하위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 중 .c 로 끝나는 파일들에서 ihd라는 문자열이 포함된 파일을 찾기 위한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find . -name "*.c" | grep "ihd"
  2. find . -name "*.c" -exec grep ihd {} \;
  3. grep -l "ihd" | find -name "*.c"
  4. find . -name "*.c" -exec grep -l ihd {} \;
(정답률: 44%)
  • 정답은 "find . -name "*.c" -exec grep -l ihd {} \;"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find . : 현재 디렉토리부터 시작해서 모든 하위 디렉토리를 탐색합니다.
    - -name "*.c" : 파일 이름이 .c 로 끝나는 파일들을 찾습니다.
    - -exec grep -l ihd {} ; : 찾은 파일들에 대해 grep 명령어를 실행합니다. -l 옵션은 ihd 문자열이 포함된 파일의 이름만 출력하도록 합니다. {} 는 find 명령어가 찾은 파일들을 의미하며, ; 는 명령어의 끝을 나타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다음 cal.sh 스크립트의 실행 결과 값으로 알맞은 것은?

  1. 3215.36
  2. 3215.360
  3. 3072
  4. 3.141
(정답률: 60%)
  • 정답은 "3215.360"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스크립트를 실행하면, 먼저 변수 a, b, c, d에 각각 3.14, 2.15, 1000, 0.001을 할당합니다.
    2. 그 다음, bc 명령어를 사용하여 a와 b를 곱한 값을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출력합니다. 따라서 결과값은 6.751입니다.
    3. 이어서, awk 명령어를 사용하여 6.751에 c를 곱한 값을 출력합니다. 이때, 출력값은 소수점 이하 3자리까지 반올림하여 3215.360이 됩니다.
    4. 마지막으로, echo 명령어를 사용하여 결과값을 출력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3215.360"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반복문 while의 문법 형식으로 알맞은 것은?

  1. while 조건문 do 명령어들 done
  2. while 변수 do 명령어들 done
  3. while 조건문 in 명령어들 done
  4. until 조건문 do 명령어들 done
(정답률: 80%)
  • 정답은 "while 조건문 do 명령어들 done" 입니다.

    while 반복문은 조건문이 참(True)인 동안 명령어들을 반복해서 실행합니다. 따라서 while 반복문의 문법 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while 조건문
    do
    명령어들
    done

    조건문이 참(True)인 동안 명령어들이 반복해서 실행되고, 조건문이 거짓(False)이 되면 반복문이 종료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다음에서 설명하는 디렉토리로 알맞은 것은?

  1. /var/lock
  2. /var/run
  3. /var/spool
  4. /var/tmp
(정답률: 60%)
  • "/var/lock" 디렉토리는 시스템에서 프로세스나 파일 등의 잠금(lock) 파일을 저장하는 디렉토리이다. 다른 디렉토리들은 각각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만, "/var/lock"은 오직 잠금 파일만을 저장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var/lock"이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프로세스 상태에 대한 설명 중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디스패치(Dispatch), 스케줄(Schedule)
  2. 선점(Preemption), 디스패치(Dispatch)
  3. 스케줄(Schedule), 선점(Preemption)
  4. 디스패치(Dispatch), 블록(Block)
(정답률: 54%)
  • 프로세스가 실행 대기 상태에서 실행 상태로 바뀌기 위해서는 CPU를 할당받아야 합니다. 이때 CPU를 할당하는 과정을 스케줄링(Scheduling)이라고 합니다. 스케줄링은 선점(Preemption) 방식과 비선점(Non-preemption) 방식으로 나뉩니다. 이 프로세스 상태에서는 선점 방식으로 스케줄링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스케줄링의 결과로 실행 대기 상태에서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프로세스가 실행 상태로 바뀌고 있습니다. 이때 실행 대기 상태에서 실행 상태로 바뀌는 과정을 디스패치(Dispatch)라고 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디스패치(Dispatch), 스케줄(Schedul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다음 중 프로세스 관련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프로그램(Program) :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의 조합이다.
  2. 작업(Job) : 프로그램과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입력 데이터이다.
  3. 프로세스(Process) : 실행중인 프로그램의 인스턴스이다.
  4. 스레드(Thread) : 프로그램의 일부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특정 루틴이다.
(정답률: 56%)
  • 정답은 "프로그램(Program) :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의 조합이다." 이다. 프로그램은 명령어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실행 가능한 파일 형태로 저장되어 있으며, 프로세스는 실행 중인 프로그램의 인스턴스이다. 스레드는 프로그램의 일부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특정 루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다음 중 OSI 7 Layer 중 전송 계층을 (N)계층 이라 하면 (N+1)계층은?

  1. 데이터 계층
  2. 네트워크 계층
  3. 세션 계층
  4. 응용 계층
(정답률: 82%)
  • 전송 계층은 OSI 7 Layer에서 4계층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N+1)계층은 5계층인 세션 계층입니다. 세션 계층은 통신 세션을 설정, 유지, 종료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하는 오류를 처리하고, 데이터 전송의 흐름을 관리합니다. 또한, 세션 계층은 다중화, 동기화, 체크포인트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TCP의 Three-way handshake 3단계의 연결 절차로 알맞은 것은?

  1. SYN, SYN+ACK, ACK
  2. SYN, SYN+SYN, ACK
  3. ACK, SYN+ACK, SYN
  4. SYN, ACK+SYN, SYN
(정답률: 72%)
  • 정답은 "SYN, SYN+ACK, ACK"이다.

    TCP의 Three-way handshake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과정으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1. 클라이언트가 서버에게 SYN 패킷을 보낸다. 이때 SYN은 Synchronize의 약자로, 연결을 요청하는 신호이다.

    2.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SYN 패킷을 받고, 클라이언트에게 SYN+ACK 패킷을 보낸다. 이때 SYN+ACK는 SYN에 대한 응답으로, 연결을 수락한다는 신호이다.

    3. 클라이언트는 서버의 SYN+ACK 패킷을 받고, ACK 패킷을 보내서 서버와의 연결이 성공적으로 설정되었음을 알린다. 이때 ACK는 Acknowledge의 약자로, 수락을 의미하는 신호이다.

    따라서, "SYN, SYN+ACK, ACK"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다음 중 커널에 모듈을 다루는 명령어 중 틀린 것은?

  1. /sbin/lsmod : 현재 적재되어 있는 모듈들의 정보를 보여준다.
  2. /sbin/insmod : 적재하고자 하는 모듈을 인서트 한다.
  3. /sbin/rmmod : 현재 적재되어 있는 모듈을 제거한다.
  4. /sbin/modprobe : 의존성 있는 모듈들은 수동으로 적재 및 제거한다.
(정답률: 74%)
  • "/sbin/modprobe : 의존성 있는 모듈들은 수동으로 적재 및 제거한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오히려 맞는 것입니다. modprobe 명령어는 의존성 있는 모듈들을 자동으로 적재하고,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모듈들의 의존성 모듈들도 함께 적재합니다. 따라서 수동으로 적재 및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으로 처리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다음 중 리눅스가 지원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관련 설정파일이 들어 있는 디렉토리로 알맞은 것은?

  1. /etc/init.d/network
  2. /etc/sysconfig/network-scripts
  3. /etc/sysconfig/network
  4. /etc/resolv.conf
(정답률: 74%)
  •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관련 설정파일은 "/etc/sysconfig/network-scripts" 디렉토리에 위치합니다. 이 디렉토리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 파일들이 저장되어 있으며, 각각의 파일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이름으로 구분됩니다. 이 디렉토리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을 관리하는 중요한 디렉토리 중 하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다음 내용 중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서브넷 마스크
  2. 라우팅 테이블
  3. ARP
  4. DNS
(정답률: 83%)
  • 이미지에서 보이는 IP 주소는 192.168.0.1이고, 이는 클래스 C 주소이므로 기본 서브넷 마스크는 255.255.255.0이다. 하지만 이 네트워크에서는 서브넷을 나누어 사용하고 있으므로 서브넷 마스크를 더 세분화하여 설정해야 한다. 따라서 (서브넷 마스크)가 정답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리눅스 시스템 관리

21. 다음의 환경 변수 중 로그인 한 뒤에 일정 시간동안 작업을 하지 않을 경우 로그아웃 되도록 설정할 때 알맞은 것은?

  1. TERM
  2. TMOUT
  3. HISTSIZE
  4. LOGOUT
(정답률: 77%)
  • 알맞은 환경 변수는 "TMOUT"입니다. "TMOUT" 환경 변수는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가 입력을 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로그아웃되도록 설정하는 변수입니다. 다른 환경 변수들은 다음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TERM"은 터미널 타입을 설정하는 변수이고, "HISTSIZE"는 쉘 히스토리에 저장되는 명령어의 개수를 설정하는 변수입니다. "LOGOUT"은 로그아웃 시 실행되는 명령어를 설정하는 변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다음 중 사용자 계정 파일인 /etc/passwd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숫자로 표현된 사용자 ID를 알 수 있다.
  2. 사용자가 속한 그룹명을 알 수 있다.
  3. 사용자의 홈디렉토리를 알 수 있다.
  4. 사용자의 로그인 쉘을 알 수 있다.
(정답률: 54%)
  • 정답은 "사용자가 속한 그룹명을 알 수 있다."가 아닙니다.

    사용자 계정 파일인 /etc/passwd는 사용자 계정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에는 사용자의 이름, 암호화된 비밀번호, 숫자로 표현된 사용자 ID, 사용자가 속한 그룹 ID, 사용자의 홈디렉토리 경로, 사용자의 로그인 쉘 경로 등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etc/passwd 파일을 통해 사용자가 속한 그룹 ID를 알 수 있지만, 그룹명은 /etc/group 파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etc/group 파일에는 그룹명, 그룹 ID, 그룹에 속한 사용자 리스트 등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 중 사용자와 그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것은?

  1. 사용자를 생성하면 자동으로 특정 그룹에 속한다.
  2. 사용자를 추가로 다른 그룹에 포함시키려면 groupmod 명령을 사용한다.
  3. /etc/group 파일에서 해당 그룹에 추가로 포함된 사용자를 확인할 수 있다.
  4. 그룹 추가는 groupadd, 그룹 삭제는 groupdel 명령을 사용한다.
(정답률: 57%)
  • "사용자를 생성하면 자동으로 특정 그룹에 속한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사용자를 생성할 때는 특정 그룹에 속하지 않으며, 사용자를 추가로 그룹에 포함시키려면 groupmod 명령을 사용해야 합니다.

    사용자를 생성하면 그룹을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사용자와 같은 이름의 그룹이 생성되며, 사용자는 해당 그룹에 속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는 자동으로 속하는 것이 아니며, 사용자를 다른 그룹에 추가하려면 groupmod 명령을 사용해야 합니다.

    또한, /etc/group 파일에서는 해당 그룹에 속한 사용자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룹 추가는 groupadd, 그룹 삭제는 groupdel 명령을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의 명령을 수행했을 경우 변화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passwd
  2. /etc/shadow
  3. /etc/group
  4. /etc/login.defs
(정답률: 64%)
  • 이 명령은 "/etc/group" 파일의 소유자를 "root"로, 그룹을 "staff"로 변경하고 권한을 "rw-r--r--"로 설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etc/group" 파일이 변화된다.

    "/etc/passwd" 파일은 사용자 계정 정보를 담고 있고, "/etc/shadow" 파일은 사용자 계정의 암호화된 비밀번호를 담고 있으므로 이 명령과는 관련이 없다. "/etc/login.defs" 파일은 로그인 설정을 담고 있지만, 이 명령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다음 중 사용자 계정을 일시적으로 로그인하지 못하도록 할 때 유용한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passwd
  2. userdel
  3. su
  4. sudo
(정답률: 60%)
  • 정답: passwd

    사용자 계정을 일시적으로 로그인하지 못하도록 할 때는 해당 계정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면 된다. 이때 사용하는 명령어가 passwd이다. 새로운 비밀번호를 설정하면 해당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없게 된다.

    userdel은 사용자 계정을 삭제하는 명령어이며, su와 sudo는 다른 사용자로 권한을 변경하여 명령어를 실행하는 명령어이다. 이들은 사용자 계정을 일시적으로 로그인하지 못하도록 하는 명령어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명령의 결과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posein 계정은 yuloje.txt의 내용을 볼 수 없다.
  2. jalin 계정이 /project 디렉토리에 파일생성을 할 수 없다.
  3. yuloje 계정은 posein.txt를 지울 수 있다.
  4. jalin 계정이 posein.txt의 내용을 볼 수 있다.
(정답률: 48%)
  • 이미지가 제공하는 정보로는 명령의 결과와 관련된 설명을 알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PAM
  2. SUID
  3. SGID
  4. Sticky bit
(정답률: 68%)
  • 이 그림은 파일 권한을 나타내는데, SUID는 파일 소유자의 권한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이 파일을 실행하는 사용자는 파일 소유자의 권한을 가지게 됩니다. 따라서 SUID가 정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다음 중 실수로 삭제한 파일을 복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dumpe2fs
  2. debugfs
  3. tune2fs
  4. e2fsck
(정답률: 37%)
  • 정답은 "debugfs"입니다.

    debugfs는 ext2, ext3, ext4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을 복구하기 위해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의 inode와 block 정보를 검색하고 수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실수로 삭제한 파일을 복구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dumpe2fs는 파일 시스템의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tune2fs는 파일 시스템의 속성을 변경하는 명령어입니다.

    e2fsck는 파일 시스템의 무결성을 검사하고 복구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 중 하드디스크 추가 후에 필요한 명령을 순서에 맞게 나열한 것은?

  1. (ㄱ) → (ㄴ) → (ㄷ) → (ㄹ)
  2. (ㄱ) → (ㄹ) → (ㄴ) → (ㄷ)
  3. (ㄱ) → (ㄴ) → (ㄹ) → (ㄷ)
  4. (ㄹ) → (ㄱ) → (ㄴ) → (ㄷ)
(정답률: 34%)
  • (ㄱ)에서는 하드디스크를 인식하고 파티션을 생성한다. (ㄴ)에서는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고 포맷한다. (ㄷ)에서는 마운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따라서 정답은 "(ㄱ) → (ㄹ) → (ㄴ) → (ㄷ)"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은 스왑파일을 생성하는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ㄱ) /dev/null (ㄴ) mkswap
  2. (ㄱ) /dev/null (ㄴ) mkswap -c
  3. (ㄱ) /dev/zero (ㄴ) mkswap
  4. (ㄱ) /dev/zero (ㄴ) mkswap -c
(정답률: 37%)
  • 스왑파일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빈 파일을 생성해야 한다. 이때, "(ㄱ) /dev/zero"를 사용하는 이유는 이 파일이 무한히 0으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빈 파일을 생성할 때 사용하면 용량이 큰 파일을 빠르게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ㄴ) mkswap"은 스왑파일을 생성하기 위한 명령어로,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스왑파일을 생성하고 스왑영역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정답은 "(ㄱ) /dev/zero (ㄴ) mkswap"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다음 중 부팅시 실행되는 프로세스의 실행 레벨(Run Level)을 변경하고자 할 때 수정해야할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fstab
  2. /etc/xinetd.conf
  3. /etc/inittab
  4. /etc/ld.so.conf
(정답률: 81%)
  • 정답: /etc/inittab

    설명: /etc/inittab 파일은 시스템 부팅시 실행되는 프로세스의 실행 레벨(Run Level)을 설정하는 파일이다. 이 파일을 수정하여 부팅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변경할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파일 시스템, 인터넷 서비스 관리, 공유 라이브러리 경로 설정과 관련된 파일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중 포그라운드(Foreground)로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백그라운드(Background)로 전환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인터럽트 키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

  1. [ctrl]+[c]
  2. [ctrl]+[d]
  3. [ctrl]+[x]
  4. [ctrl]+[z]
(정답률: 70%)
  • 정답: [ctrl]+[z]

    이유: [ctrl]+[z]는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일시 중지하고 백그라운드로 전환하는 인터럽트 키 조합이다. 이후에는 "bg" 명령어를 사용하여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시킬 수 있다. 반면에, [ctrl]+[c]는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강제로 종료시키는 인터럽트 키 조합이고, [ctrl]+[d]는 현재 입력 모드를 종료시키는 인터럽트 키 조합이다. [ctrl]+[x]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인터럽트 키 조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kill 및 killall 명령어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두 명령어 모두 시그널 이름을 지정하지 않으면 SIGTERM 시그널이 전송된다.
  2. 두 명령어 모두 같은 시그널 이름 및 번호를 공유해서 사용한다.
  3. 두 명령어 모두 PID(Process ID)를 이용해서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수 있다.
  4. kill 명령어는 PID 이외에 작업 번호로도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수 있다.
(정답률: 43%)
  • "두 명령어 모두 같은 시그널 이름 및 번호를 공유해서 사용한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kill 명령어와 killall 명령어는 둘 다 PID(Process ID)를 이용해서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시그널 이름을 지정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SIGTERM 시그널이 전송됩니다. 하지만 두 명령어는 서로 다른 시그널 이름과 번호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kill 명령어에서는 -9 옵션을 사용하여 SIGKILL 시그널을 전송할 수 있지만, killall 명령어에서는 -9 옵션 대신 -KILL 옵션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tar 명령을 이용하여 백업할 때 사용자가 로그아웃하거나 터미널창이 닫혀도 해당 프로세스를 계속 진행하고자 한다. 다음 ( 괄호 )안에 들어갈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renice
  2. nohup
  3. fork
  4. exec
(정답률: 73%)
  • 정답은 "nohup"입니다.

    "nohup"은 "no hang up"의 약자로, 터미널 세션이 종료되어도 프로세스가 계속 실행되도록 하는 명령입니다. 이를 사용하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프로세스가 로그아웃이나 터미널 종료 등의 이벤트로 인해 종료되지 않고 계속 실행됩니다. 따라서 "tar" 명령을 이용하여 백업할 때 "nohup"을 사용하면 백업이 중단되지 않고 계속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다음 중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ㄱ) fork, (ㄴ) exec
  2. (ㄱ) kernel, (ㄴ) init
  3. (ㄱ) exec, (ㄴ) fork
  4. (ㄱ) init, (ㄴ) kernel
(정답률: 73%)
  • 이미 실행 중인 프로세스를 복제하여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하는 것은 fork이고, 새로운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은 exec입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는 먼저 fork를 사용하여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하고, 그 다음에 exec를 사용하여 새로운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rpm으로 설치된 httpd 패키지를 제거하려 했으나, 의존성으로 인해 제거되지 않았다. 의존성을 검사하지 않고, 제거하려고 할 때 ( 괄호 )안에 알맞은 것은?

  1. (ㄱ) -i (ㄴ) --nodeps
  2. (ㄱ) -e (ㄴ) --nodeps
  3. (ㄱ) -x (ㄴ) --nodeps
  4. (ㄱ) -d (ㄴ) --nodeps
(정답률: 66%)
  • 정답은 "(ㄱ) -e (ㄴ) --nodeps"이다.

    -e 옵션은 패키지를 제거하는 옵션이며, --nodeps 옵션은 의존성 검사를 하지 않고 강제로 제거하는 옵션이다. 따라서 이 옵션을 사용하면 의존성 검사 없이 httpd 패키지를 강제로 제거할 수 있다.

    -i 옵션은 패키지를 설치하는 옵션이고, -x 옵션은 패키지를 추출하는 옵션이다. -d 옵션은 패키지를 삭제하지 않고, 정보만 출력하는 옵션이다. 이들 옵션은 httpd 패키지를 제거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rpm 명령어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은 결과를 얻었을 경우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qa
  2. -V
  3. -qc
  4. -ql
(정답률: 52%)
  • 결과에서 "(not installed)"라고 표시된 패키지들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패키지들이다. 따라서 이 패키지들에 대해서는 버전 정보가 없으므로 "-V" 옵션을 사용하여 버전 정보를 출력하지 않는다.

    따라서 정답은 "-V"이다.

    보기에서 "-qa" 옵션은 시스템에 설치된 모든 패키지를 나열하고, "-qc" 옵션은 패키지의 설정 파일을 나열하며, "-ql" 옵션은 패키지에 포함된 파일들을 나열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yum
  2. apt-get
  3. dselect
  4. alien
(정답률: 71%)
  • 이 보기는 리눅스에서 패키지를 설치하고 관리하는 도구들을 나열한 것이다. "apt-get"은 데비안 계열 리눅스에서 사용되는 패키지 관리 도구로, 패키지를 설치, 업그레이드, 삭제하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apt-get"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C언어를 이용하여 어떤 프로그램을 posein.c, yuloje.c 두 개의 소스로 구성하였다. 이 두 개의 소스를 이용하여 jalin이라는 실행파일을 만들고자 할 때 알맞은 것은?

  1. gcc jalin posein.c yuloje.c
  2. gcc -o jalin posein.c yuloje.c
  3. gcc -c jalin posein.c yuloje.c
  4. gcc -I jalin posein.c yuloje.c
(정답률: 56%)
  • 정답은 "gcc -o jalin posein.c yuloje.c"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gcc는 C언어 컴파일러이다.
    - -o 옵션은 출력 파일의 이름을 지정하는 옵션이다. 여기서는 jalin으로 지정하였다.
    - posein.c와 yuloje.c는 컴파일할 소스 파일들이다.
    - 따라서, "gcc -o jalin posein.c yuloje.c"는 posein.c와 yuloje.c를 컴파일하여 jalin이라는 실행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최신 리눅스 커널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최신의 소스를 다운받아 설치하고자 한다. ( 괄호 )안에 들어갈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Zxvf
  2. zxvf
  3. jxvf
  4. bxvf
(정답률: 67%)
  • 정답은 "jxvf"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j" 옵션은 tar 파일의 압축 형식이 bzip2일 경우 사용합니다.
    - "x" 옵션은 tar 파일을 추출할 때 사용합니다.
    - "v" 옵션은 추출 과정에서 파일 이름을 출력합니다.
    - "f" 옵션은 tar 파일 이름을 지정합니다.

    따라서, 최신 리눅스 커널 소스를 다운로드 받은 tar 파일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jxvf" 옵션을 사용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커널 모듈을 로드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insmod, modprobe
  2. rmmod, modprobe
  3. lsmod, modprobe
  4. lsmod, insmod
(정답률: 59%)
  • 정답은 "insmod, modprobe"입니다.

    - insmod: 커널 모듈을 로드하는 명령어로, 모듈 파일 경로를 인자로 받습니다.
    - modprobe: insmod와 유사하지만, 모듈 파일 경로 대신 모듈 이름을 인자로 받습니다. 또한, 해당 모듈이 의존하는 다른 모듈들도 함께 로드합니다.

    따라서, insmod와 modprobe는 모듈을 로드하는 명령어로 사용됩니다. rmmod는 모듈을 언로드하는 명령어이며, lsmod는 현재 로드된 모듈들의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결과의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lspci
  2. lsmod
  3. lsof
  4. lsusb
(정답률: 73%)
  • 정답은 "lsmod"입니다.

    이유는 해당 결과가 현재 시스템에 로드된 커널 모듈들의 정보를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 "lspci"는 시스템에 연결된 PCI 장치들의 정보를 보여줍니다.
    - "lsof"는 열려있는 파일들의 정보를 보여줍니다.
    - "lsusb"는 시스템에 연결된 USB 장치들의 정보를 보여줍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커널이 플래시, RAM, 칩과 같은 장치를 하나의 파일 시스템으로 인식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MTD(Memory Technology Devices)
  2. 플러그 엔 플레이(Plug-and-Play)
  3. 블록장치(Block devices)
  4. 다중 장치 지원(Multi-device Support)
(정답률: 43%)
  • MTD(Memory Technology Devices)는 플래시, RAM, 칩과 같은 메모리 기술을 사용하는 장치들을 하나의 파일 시스템으로 인식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기술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메모리 기술을 사용하는 장치들을 일관된 방식으로 다룰 수 있게 되며, 플러그 엔 플레이(Plug-and-Play)와 다중 장치 지원(Multi-device Support) 등의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MTD는 커널이 다양한 메모리 기술을 사용하는 장치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중요한 기술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디스크의 물리적 불량 섹터(Bad Sector)를 검사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badblocks
  2. fsck
  3. mount
  4. fdisk
(정답률: 66%)
  • 정답: badblocks

    설명: badblocks 명령어는 디스크의 물리적 불량 섹터를 검사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명령어는 디스크의 모든 섹터를 검사하고, 불량 섹터를 찾아내어 마킹하거나 제거할 수 있습니다. fsck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의 불량을 검사하고 복구하는 명령어이며, mount 명령어는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는 명령어입니다. fdisk 명령어는 디스크 파티션을 관리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시스템이 심각한 문제(Crash)가 있어도 Magic System Request key를 통제할 수 있는데, Magic System Request key의 조합으로 알맞은 것은?

  1. <Alt> + <SysRq> + "Key"
  2. <Ctrl> + <SysRq> + "Key"
  3. <Alt> + <ScrLK> + "Key"
  4. <Ctrl> + <Break> + "Key"
(정답률: 45%)
  • 정답은 "<Alt> + <SysRq> + "Key""이다.

    이유는 다음과 같다.

    - <Alt> + <SysRq> : 시스템 요청 키를 활성화하는 조합이다.
    - "Key" : 실제로 수행하고자 하는 명령어를 입력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시스템이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 <Alt> + <SysRq> 조합으로 시스템 요청 키를 활성화하고, 적절한 "Key"를 입력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리눅스 파티션을 복사하기 전에 언마운트를 시도 했지만 umount: /mnt: device is busy로 실패했다. /mnt 디렉토리에서 해당 프로세스를 식별하고 종료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fuser
  2. pkill
  3. killall
  4. ps
(정답률: 36%)
  • 정답: fuser

    설명: fuser 명령어는 특정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umount를 시도했을 때 "device is busy" 오류가 발생하면 fuser를 사용하여 해당 디렉토리를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를 식별하고 종료시켜야 합니다. pkill, killall, ps는 모두 프로세스를 관리하는 명령어이지만, 특정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사용하고 있는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기능은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새로운 16Tb 디스크에 파티션을 만들기 위해서 fdisk 명령어를 사용했지만 fdisk 유틸리티는 gpt 레이블을 지원하지 못한다는 메시지가 출력되었다. 이럴 경우 2Tb 이상의 대용량 디스크를 지원하기 위해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sfdisk
  2. parted
  3. partprobe
  4. mkfs
(정답률: 40%)
  • 정답은 "parted"입니다.

    fdisk는 MBR(Master Boot Record) 파티션 테이블만 지원하므로 2TB 이상의 대용량 디스크를 지원하지 못합니다.

    반면에 parted는 GPT(GUID Partition Table) 파티션 테이블을 지원하므로 2TB 이상의 대용량 디스크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16TB 디스크에 파티션을 만들기 위해서는 parted 명령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sfdisk는 파티션 테이블을 생성하거나 복사하는 데 사용되는 명령어입니다.

    partprobe는 커널에게 파티션 테이블이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명령어입니다.

    mkfs는 파일 시스템을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모듈 사이의 의존성을 검사하여 modules.dep 와 map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depmod
  2. modprobe
  3. mkfs
  4. mkinitrd
(정답률: 65%)
  • 정답: depmod

    depmod는 커널 모듈 간의 의존성을 검사하여 modules.dep와 map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어입니다. 이 파일들은 모듈 로드 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며, 모듈 간의 의존성을 파악하여 올바른 순서로 모듈을 로드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따라서 depmod는 모듈 관리에 필수적인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커널 컴파일시 모듈이 설치되는 디렉토리로 알맞은 것은?

  1. /lib/modules/‘uname -r’
  2. /lib/modules/‘uname -a’
  3. /lib/‘uname -r’
  4. /lib/‘uname -a’
(정답률: 49%)
  • 커널 컴파일시 생성된 모듈은 해당 커널 버전과 호환되는 디렉토리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lib/modules/‘uname -r’"이 정답입니다. 여기서 'uname -r'은 현재 실행 중인 커널의 버전을 나타내는 명령어입니다. 따라서 이 디렉토리는 현재 실행 중인 커널 버전과 일치하며, 커널 모듈들이 설치되는 디렉토리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다음 중 프린터 설정 파일의 특징으로 틀린 것은?

  1. mx : 인쇄 가능한 최대 파일 크기를 나타낸다.
  2. sh : suppress headers를 말하며 디폴트는 헤더 출력을 하지 않는다.
  3. if : 출력 필터를 말한다.
  4. lp : 프린터가 장착된 포트 이름을 가리킨다.
(정답률: 56%)
  • if는 출력 필터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인쇄 작업을 처리하기 전에 실행할 명령어나 스크립트를 지정하는 옵션이다. 따라서 "if : 출력 필터를 말한다."가 틀린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다음 중 리눅스 로그 파일 관리 도구인 logrotat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지정한 기간이 지나면 로그 파일을 순환시킨다.
  2. 지정한 파일 크기보다 커지면 로그 파일을 순환시킨다.
  3. 로그 파일을 압축해서 보관할 수 있다.
  4. cron에 의해 1주일 단위로만 실행된다.
(정답률: 75%)
  • "cron에 의해 1주일 단위로만 실행된다."가 틀린 설명이다. 이는 logrotate의 기본 설정이지만, 설정 파일을 수정하여 실행 주기를 변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중 su 명령을 사용하여 root로 사용자 전환한 기록을 확인하고자 할 때 ( 괄호 )안에 들어갈 로그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var/log/messages
  2. /var/log/secure
  3. /var/log/boot.log
  4. /var/log/access_log
(정답률: 52%)
  • su 명령은 사용자가 root 권한으로 전환하는 명령이므로, 이에 대한 로그는 시스템 보안 로그인 /var/log/secure에 기록됩니다. 이 로그 파일은 시스템 보안과 관련된 모든 로그를 기록하므로 su 명령의 사용 기록도 포함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최근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로그인에 실패한 계정 정보만을 모아서 특정 로그 파일에 기록하여 저장한다. 해당 로그 기록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dmesg
  2. last
  3. lastb
  4. lastlog
(정답률: 63%)
  • 정답은 "lastb"이다.

    "lastb" 명령어는 마지막으로 로그인에 실패한 사용자 계정 정보를 보여준다. 이 명령어는 /var/log/btmp 파일에서 로그인 실패 기록을 읽어와서 출력한다.

    반면에 "last" 명령어는 마지막으로 로그인한 사용자 계정 정보를 보여준다. 이 명령어는 /var/log/wtmp 파일에서 로그인 기록을 읽어와서 출력한다.

    "lastlog" 명령어는 모든 사용자의 마지막 로그인 정보를 보여준다. 이 명령어는 /var/log/lastlog 파일에서 정보를 읽어와서 출력한다.

    "dmesg" 명령어는 시스템 메시지를 출력하는 명령어로, 커널이 부팅될 때부터 발생한 메시지를 출력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다음 중 원격 터미널에서 접근하는 모든 사용자를 제한하고 메시지를 전달할 때 사용하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securetty
  2. /etc/issue.net
  3. /etc/nologin
  4. /etc/services
(정답률: 47%)
  • 정답은 "/etc/nologin"입니다.

    "/etc/nologin" 파일은 시스템 유지 관리를 위해 로그인을 제한할 때 사용됩니다. 이 파일이 존재하면 원격 터미널에서 접근하는 모든 사용자는 로그인할 수 없으며, 대신에 "/etc/nologin" 파일에 작성된 메시지가 표시됩니다. 이 파일은 일반적으로 시스템 유지 보수나 업그레이드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etc/passwd 파일 점검 중 변경 시간(Modify Time)에는 이상이 없으나 파일의 크기가 의심스러워 실제 변경 시간(Change Time)을 확인하기 위해 명령을 수행하였다. ( 괄호 )안에 알맞은 명령어는?

  1. stat
  2. status
  3. fuser
  4. sync
(정답률: 51%)
  • 정답은 "stat"이다.

    "stat" 명령어는 파일의 상세 정보를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이 명령어를 사용하면 파일의 크기, 수정 시간, 변경 시간 등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파일의 변경 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stat" 명령어를 사용한 것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SSH의 공개키 및 개인키 방식을 이용하여 접속하고자 할 경우 SSH 클라이언트에서 생성한 공개키를 SSH 서버에 복사해야 한다. 다음 중 서버에 생성해야 할 파일명으로 알맞은 것은?

  1. identity
  2. id_rsa
  3. id_dsa
  4. authorized_keys
(정답률: 59%)
  • 정답: authorized_keys

    이유: SSH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의 공개키를 인증하기 위해 authorized_keys 파일에 저장한다. 이 파일에는 인증된 클라이언트의 공개키가 저장되어 있으며, 클라이언트가 접속할 때마다 이 파일에서 해당 공개키를 찾아 인증을 수행한다. 따라서 SSH 클라이언트에서 생성한 공개키를 SSH 서버의 authorized_keys 파일에 복사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일반 사용자인 posein을 계정 관리자로 지정하고자 한다. root 암호를 알려주기에는 부담스럽고, 계정 관리를 위해 useradd 및 passwd 명령만 사용하도록 할 경우에 유용한 도구로 알맞은 것은?

  1. su
  2. sudo
  3. tripwire
  4. cops
(정답률: 70%)
  • 정답은 "sudo"이다.

    "sudo"는 일반 사용자가 root 권한을 가진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도구이다. 따라서, 일반 사용자인 posein을 계정 관리자로 지정하고자 할 때, root 암호를 알려주지 않아도 "sudo"를 사용하여 필요한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보안상의 이점을 가지며, 계정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다음 중 백업 대상으로 고려할 디렉토리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1. /etc
  2. /var
  3. /usr
  4. /proc
(정답률: 64%)
  • "/proc"은 가상 파일 시스템으로, 현재 실행 중인 프로세스와 시스템 정보를 제공하는 디렉토리입니다. 이 디렉토리는 실제 파일 시스템이 아니므로 백업 대상으로 고려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proc"이 가장 거리가 먼 백업 대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다음 cpio 명령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복원 할 경우 ( 괄호 )안에 알맞은 것은?

  1. -icdv
  2. -ocv
  3. -rf
  4. -bf
(정답률: 43%)
  • cpio 명령에서 "-i"는 복원(입력)을 의미하고, "-c"는 파일을 압축하여 처리하라는 옵션이다. "-d"는 디렉토리를 생성하라는 옵션이다. "-v"는 처리과정을 자세히 출력하라는 옵션이다. 따라서 "-icdv"는 압축된 파일을 복원하면서 처리과정을 자세히 출력하고, 디렉토리도 생성하도록 하는 옵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dump를 이용한 백업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파티션 단위의 백업을 지원한다.
  2. 복원은 restore 명령을 사용한다.
  3. /etc 등 디렉토리 단위의 백업을 지원한다.
  4. 전체 백업 뿐만 아니라 증분백업도 지원한다.
(정답률: 51%)
  • "/etc 등 디렉토리 단위의 백업을 지원한다."가 틀린 설명이다. dump는 파일 시스템 단위의 백업을 지원하며, 디렉토리 단위의 백업은 tar 등의 다른 도구를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

61. 다음 중 apache 웹서버의 httpd.conf 파일의 섹션으로 틀린 것은?

  1. Main Server
  2. Global Environment
  3. Virtual Host
  4. Share Definitions
(정답률: 49%)
  • "Share Definitions"은 apache 웹서버의 httpd.conf 파일에 존재하지 않는 섹션입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Share Definitions"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다음 중 httpd.conf 환경설정에서 특정 디렉토리를 제어할 때 사용하는 지시자 옵션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None : 어떤 옵션도 이용할 수 없으므로 모든 접근을 거부
  2. ALL : MultiViews 옵션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모든 접근을 허용
  3. ExecCGI : CGI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있도록 허용
  4. FollowSymLinks : 디렉토리의 심볼릭 링크 사용을 거부
(정답률: 55%)
  • 정답은 "FollowSymLinks : 디렉토리의 심볼릭 링크 사용을 거부"이다. 이 옵션은 디렉토리 내부의 심볼릭 링크를 따라가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 옵션이 설정된 디렉토리 내부의 심볼릭 링크를 클릭하면 "403 Forbidden" 오류가 발생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모자이크 브라우저의 개발에 참여하였던 사람들이 모체가 되어 탄생시킨 최초의 상업용 웹브라우저로 알맞은 것은?

  1. 파이어폭스
  2. 인터넷 익스플로러
  3. 사파리
  4. 네스케이프
(정답률: 61%)
  • 모자이크 브라우저를 개발한 사람들이 모여 만든 최초의 상업용 웹브라우저는 네스케이프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NCSA에서 내놓았던 웹 서버로 처음에는 NCSA httpd로 불리우다가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웹 서버로 알맞은 것은?

  1. IIS
  2. iplanet
  3. apache
  4. Enterprise
(정답률: 79%)
  • 정답은 "apache"입니다. 이유는 Apache 웹 서버가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웹 서버이기 때문입니다. Apache는 오픈 소스로 개발되어 있으며, 다양한 운영 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Apache는 안정성과 보안성이 뛰어나며, 다양한 모듈을 지원하여 유연한 구성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Apache는 많은 기업과 개인이 웹 서버로 선택하는 대표적인 솔루션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apache 서버(/usr/local/apache/)의 주요 하위 디렉토리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bin : 아파치에 필요한 유틸리티 디렉토리
  2. cgi-bin : cgi 스크립트가 있는 디렉토리
  3. conf : 아파치 서버의 여러 설정파일이 들어 있는 디렉토리
  4. var : 아파치 서버 사용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로그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
(정답률: 40%)
  • var 디렉토리는 아파치 서버 사용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로그들이 위치하는 디렉토리가 아니라, 서버에서 생성되는 변수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렉토리입니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에서 업로드한 파일이나 세션 데이터 등이 저장됩니다. 로그 파일은 보통 /var/log/apache2/ 디렉토리에 저장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다음의 httpd.conf 환경설정 중 MPM 모듈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처음 웹서버가 시작할 때 실행될 서버의 개수는 5개 이다.
  2. 최대 실행 될 수 있는 서버의 개수는 10개 이다.
  3. 동시에 실행 할 수 있는 서버의 개수는 256개이다.
  4. 클라이언트가 동시에 접속했을 때 실행 가능한 프로세스의 수는 256개 이다.
(정답률: 41%)
  • "최대 실행 될 수 있는 서버의 개수는 10개 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이유는 MPM 모듈의 MaxClients 디렉티브에 따라 설정되며, 현재 설정된 값은 256입니다. 따라서 최대 실행 가능한 서버의 개수는 256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apache의 이름기반 가상호스트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관리자 메일주소는 admin@ihd.or.kr 이다.
  2. 홈 디렉토리는 /www/ 디렉토리 이다.
  3. 도메인 네임은 www.ihd.or.kr 이다.
  4. access 로그는 logs/ihd-access_log 파일로 기록된다.
(정답률: 67%)
  • 정답은 "홈 디렉토리는 /www/ 디렉토리 이다." 이다. 이유는 Apache의 이름기반 가상호스트에서는 각 가상호스트마다 별도의 홈 디렉토리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문장은 일반화된 설명이며, 이 가상호스트의 홈 디렉토리가 정확히 /www/ 디렉토리인지는 문서에서 확인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웹 브라우저에서 HTML로 여러 가지 정보를 표현 할 수 있지만, 그 기능만으로 모든 정보처리를 할 수 없다. 이것을 보충하기 위해 외부 프로그램과 웹서버(HTTP Server) 간의 연결 역할을 하기 위한 규약으로 알맞은 것은?

  1. Java
  2. CGI
  3. SSL
  4. PHP
(정답률: 55%)
  • CGI는 웹서버와 외부 프로그램 간의 연결을 위한 규약으로, 웹 브라우저에서 HTML로 표현할 수 없는 정보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CGI는 웹서버에서 요청된 정보를 외부 프로그램에 전달하고, 외부 프로그램에서 처리한 결과를 다시 웹서버에 전달하여 웹 브라우저에서 표시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한다. 따라서 CGI는 웹서버와 외부 프로그램 간의 중개자 역할을 하며, 다양한 정보처리를 가능하게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다음 중 아파치 httpd 명령어 옵션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httpd -t : 환경설정파일의 문법을 점검한다.
  2. httpd -l : 현재 컴파일된 모듈에 대한 목록을 보여준다.
  3. httpd -S : 현재 시스템에 설정되어있는 가상 호스트의 리스트를 보여준다.
  4. httpd -X : httpd 버전을 프린트하고 실행을 마친다.
(정답률: 50%)
  • 정답: httpd -X : httpd 버전을 프린트하고 실행을 마친다.

    설명: httpd -X 옵션은 httpd를 실행하고 버전 정보를 출력한 후 즉시 종료시키는 옵션이다. 따라서 httpd를 실행하고 종료시키기 때문에 다른 옵션들과는 달리 서버를 운영하는 데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다음 중 메인 아파치 설정 파일의 일반적인 위치로 알맞은 것은?

  1. /etc/httpd/conf/apache.conf
  2. /etc/httpd/conf/httpd.conf
  3. /etc/httpd/httpd.conf
  4. /etc/httpd/apache.conf
(정답률: 45%)
  • 정답은 "/etc/httpd/conf/httpd.conf" 입니다.

    이유는 대부분의 리눅스 배포판에서 아파치 웹 서버의 설정 파일은 "/etc/httpd/conf/httpd.conf" 경로에 위치하기 때문입니다. 이 파일은 아파치 웹 서버의 주요 설정을 담고 있으며, 가상 호스트, 모듈, 로깅 등 다양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 파일은 아파치 웹 서버를 구성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다음 중 아파치 웹서버의 디렉토리 인증 설정 중 ihd.or.kr 도메인을 제외한 모든 도메인으로부터, “/var/www/html/” 디렉토리에 접근하는 것을 막고자 할 때 지시어로 알맞은 것은?

  1. order allow,deny
    allow from .ihd.or.kr
    deny from all
  2. order deny,allow
    allow from .ihd.or.kr
    deny from all
  3. acl all src 0.0.0.0/0.0.0.0
    acl ihd srcdomain .ihd.or.kr
    http_access accept ihd
    http_access deny all
  4. order deny,allow
    allow from all
    deny from .ihd.or.kr
(정답률: 38%)
  • 정답은 "order deny,allow
    allow from .ihd.or.kr
    deny from all" 입니다.

    이유는 "order deny,allow"는 먼저 "deny" 지시어를 적용하고, 그 다음에 "allow" 지시어를 적용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deny from all"은 모든 도메인에서의 접근을 막고, "allow from .ihd.or.kr"은 ihd.or.kr 도메인에서의 접근을 허용합니다. 이렇게 설정하면 ihd.or.kr 도메인을 제외한 모든 도메인에서는 "/var/www/html/" 디렉토리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다음 중 apache 웹서버의 가상 호스트(Virtual Host)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하나의 시스템에서 여러개의 호스트로 웹서비스를 할 수 있다.
  2. 시스템 자원을 절약할 수 있다.
  3. 혼합이름/IP 기반(Mixed Name & IP-based Virtual Hosting) 가상호스팅을 이용하여 2개 이상의 IP주소로 웹 호스팅을 할 수 있다.
  4. port 기반으로 도메인을 호스팅 할 수 없다.
(정답률: 69%)
  • "port 기반으로 도메인을 호스팅 할 수 없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가상 호스트는 하나의 IP 주소를 공유하는 여러 개의 도메인을 호스팅하는 방법으로, 포트 번호를 이용하여 구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하나의 시스템에서 여러 개의 호스트로 웹서비스를 할 수 있고, 시스템 자원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혼합이름/IP 기반 가상호스팅을 이용하여 2개 이상의 IP주소로 웹 호스팅을 할 수도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WWW(World Wide Web)브라우저와 WWW 서버간에 데이터를 안전하게 주고받기 위한 업계 표준 프로토콜로 미국 네스케이프 커뮤니케이션즈 회사가 개발하였고, 마이크로 소프트사 등 주요 웹 제품업체가 채택하고 있는 프로토콜로 전송 규약 및 인증 암호화 기능이 있다." 다음 내용이 설명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1. VPN
  2. SSL
  3. HTML
  4. CGI
(정답률: 69%)
  • SSL (Secure Socket Layer) 프로토콜을 설명하고 있으며,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에 데이터를 안전하게 주고받기 위한 업계 표준 프로토콜이다. SSL은 전송 규약 및 인증 암호화 기능을 제공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리눅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것은?

  1. MySQL
  2. PostgreSQL
  3. Informix
  4. MSSQL
(정답률: 67%)
  • MSSQL은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윈도우 환경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리눅스 환경에서는 사용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다음 apache, php, mysql 연동설치를 위한 php configure 설정의 설명이 틀린 것은?

  1. php가 설치되는 디렉토리는 /usr/local/php 이다.
  2. apache 환경설정파일의 위치는 /usr/local/apache 이다.
  3. php가 mysql의 /usr/local/mysql 디렉토리로 연동 설치 된다.
  4. apache는 /usr/local/apache 디렉토리에 설치 되어 있다.
(정답률: 51%)
  • 정답은 "apache는 /usr/local/apache 디렉토리에 설치 되어 있다." 이다.

    이유는 configure 설정에서 "--with-apxs=/usr/local/apache/bin/apxs" 옵션을 사용하여 apache의 apxs 경로를 지정해주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apache가 설치된 경로는 /usr/local/apache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다음 중 Samba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Windows 기반의 네트워킹을 사용하는 시스템들과 디스크 공유 및 프린터 공유
  2. 시스템의 공유 폴더를 보여주고 서비스 상태를 나타낸다.
  3. SWAT라는 웹기반 설정도구를 이용하여 편리한 입력폼을 제공한다.
  4. Samba서버에 접속 후 윈도우즈용 편집기를 이용하여 파일을 편집할 수 없다.
(정답률: 61%)
  • "Samba서버에 접속 후 윈도우즈용 편집기를 이용하여 파일을 편집할 수 없다."는 Samba의 기능이 아닌 것이다. 이는 오히려 Samba의 한계로, Samba는 Windows와 Linux/Unix 간의 파일 및 프린터 공유를 지원하지만, Windows용 편집기를 이용하여 Samba 서버에 접속하여 파일을 편집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다음 중 Samba의 유효한 보안설정 방식이 아닌 것은?

  1. security = domain
  2. security = ldap
  3. security = user
  4. security = share
(정답률: 50%)
  • 보안 설정에서 "security = ldap"는 유효한 설정이 아닙니다. 이는 Samba가 LDAP 서버를 사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것으로, 이는 Samba에서 지원되지 않는 보안 모델입니다. Samba에서 지원하는 보안 모델은 "security = domain", "security = user", "security = share"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다음 samba 설정 파일의 내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공유된 디렉토리의 이름은 IHD 이다.
  2. 공유된 디렉토리의 접근은 누구나 가능하다.
  3. ihduser 사용자는 쓰기가 가능하다.
  4. ihduser 사용자는 읽기전용으로만 가능하다.
(정답률: 69%)
  • 정답은 "ihduser 사용자는 쓰기가 가능하다." 이다.

    이유는 설정 파일에서 "writeable = yes"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ihduser 사용자는 읽기 및 쓰기가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NFS 서버의 설정 파일인 /etc/exports의 옵션중에서 클라이언트의 root 사용자를 서버에서의 root사용자로 매핑할 수 있도록 하는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root_squash
  2. no_root_squash
  3. nobody_squash
  4. all_squash
(정답률: 57%)
  • 정답: "no_root_squash"

    이유: "no_root_squash" 옵션은 클라이언트의 root 사용자를 서버에서의 root 사용자로 매핑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옵션이다. 이 옵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클라이언트의 root 사용자는 서버에서의 일반 사용자로 매핑되어 권한이 제한될 수 있다. "root_squash" 옵션은 클라이언트의 root 사용자를 서버에서의 일반 사용자로 매핑하는 옵션이다. "nobody_squash" 옵션은 클라이언트의 모든 사용자를 서버에서의 nobody 사용자로 매핑하는 옵션이다. "all_squash" 옵션은 모든 사용자를 서버에서의 일반 사용자로 매핑하는 옵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NFS 서비스의 보안에 필요한 설정 파일 및 관련 데몬이 아닌 것은?

  1. hosts.allow
  2. showmount
  3. hosts.deny
  4. portmap
(정답률: 65%)
  • "showmount"는 NFS 서비스의 보안 설정과는 관련이 없는 명령어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hosts.allow", "hosts.deny", "portmap"은 NFS 서비스의 보안 설정과 관련된 파일 및 데몬입니다. "hosts.allow"과 "hosts.deny"는 클라이언트의 접근을 제어하는데 사용되며, "portmap"은 RPC 프로그램을 매핑하는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다음 ProFTPD 서비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FTP 서비스 포트는 20/21 포트를 사용한다.
  2. ProFTPD 서비스는 단독데몬(Standalone)으로만 작동되며, xinetd 서비스로는 동작할 수 없다.
  3. FTP 서비스의 최대 자식 프로세스 수를 지정 할 수 있다.
  4. <Limit> 문맥을 사용하여 FTP에서 사용가능한 명령어에 대한 사용제한을 설정한다.
(정답률: 67%)
  • ProFTPD 서비스는 xinetd 서비스로도 동작할 수 있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ProFTPD는 standalone 데몬으로만 작동되며, xinetd를 통해 실행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다음 중 메일 전송 에이전트(MTA)가 사용하는 포트로 알맞은 것은?

  1. 22
  2. 25
  3. 110
  4. 143
(정답률: 55%)
  • MTA는 메일을 전송하기 위해 SMTP (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SMTP는 기본적으로 25번 포트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25"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다음 중 메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과 프로토콜이 알맞게 짝지어진 것은?

  1. sendmail – smtp
  2. qmail – pop3
  3. pop3 – imap
  4. pop3 – sendmail
(정답률: 63%)
  • 메일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프로그램은 sendmail이며, 이때 사용되는 프로토콜은 smtp입니다. sendmail은 메일을 보내는 데에 사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메일 전송 에이전트 중 하나이며, smtp는 인터넷에서 메일을 전송하기 위한 표준 프로토콜입니다. 따라서 "sendmail – smtp"가 알맞은 짝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Sendmail 환경설정 파일중 sendmail.cf 파일을 생성하기 위해서 m4 매커니즘을 사용할 때, m4 입력 파일 내에서 주석문을 입력하기 위한 문자열로 알맞은 것은?

  1. !
  2. #
  3. //
  4. dnl
(정답률: 32%)
  • 정답: dnl

    이유: m4는 입력 파일 내에서 "#" 문자를 주석문으로 인식하지만, sendmail.cf 파일 생성 시에는 "#" 문자가 특수한 의미를 가지므로 주석문으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sendmail.cf 파일 생성 시에는 "dnl" (delete to newline) 문자열을 주석문으로 사용한다. 이 문자열은 m4에서 무시되며, 입력 파일 내에서 주석문으로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다음 중 ihd.or.kr시스템에 web123@ihd.or.kr 이라는 메일계정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web123@ihd.or.kr으로 도착한 메일 메시지를 ihd123@linux.com으로 포워딩하기 위해 수정할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mail/virtusertable
  2. /etc/aliases
  3. /etc/mail/mailertable
  4. /etc/mail/access
(정답률: 40%)
  • 정답은 "/etc/mail/virtusertable"입니다.

    이 파일은 메일 서버에서 가상 사용자를 설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가상 사용자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지만, 메일을 수신하거나 포워딩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web123@ihd.or.kr이라는 가상 사용자를 ihd123@linux.com으로 포워딩하기 위해 "/etc/mail/virtusertable" 파일을 수정해야 합니다. 이 파일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됩니다.

    web123@ihd.or.kr ihd123@linux.com

    이렇게 설정하면, web123@ihd.or.kr로 도착한 메일은 ihd123@linux.com으로 자동으로 포워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xinetd.conf 파일의 내용 중 옵션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instances : 동시에 작동할 수 있는 동일 유형 서버의 최소 개수는 60개 이다.
  2. log_on_success : 서버가 구동할 때 클라이언트의 IP와 프로세스 ID 타입으로 기록된다.
  3. cps : 25개의 접속수가 넘었을 경우에 30초 동안 해당 서비스가 비활성화 된다.
  4. log_type : 로그 포맷을 지정하는 속성으로 SYSLOG 와 auth 타입으로 기록된다.
(정답률: 40%)
  • "instances : 동시에 작동할 수 있는 동일 유형 서버의 최소 개수는 60개 이다." 이 옵션에 대한 설명이 틀렸습니다. 실제로는 "instances : 동시에 작동할 수 있는 동일 유형 서버의 최대 개수를 지정한다." 입니다. 이 옵션은 xinetd 서비스가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최대 클라이언트 요청 수를 제한하는 데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다음 슈퍼 데몬의 서비스 제어 TCP Wrapper의 hosts.deny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localhost와 ihd.or.kr의 모든 호스트들에게 telnet 서비스를 거부한다.
  2. rsync 서비스는 192.168.0.0 대역에서 서비스를 거부한다.
  3. ftp 서비스는 10.10.1.100을 제외하고 모두 허용 한다.
  4. ftp 서비스는 ihd.or.kr 대역만 제외하고 모두 허용한다.
(정답률: 52%)
  • 정답은 "ftp 서비스는 10.10.1.100을 제외하고 모두 허용 한다." 이다.

    ftp 서비스는 ihd.or.kr 대역만 제외하고 모두 허용하는 것이 아니라, 10.10.1.100을 제외하고 모두 허용한다는 것이다.

    이유는 hosts.deny 파일에서는 거부할 호스트나 대역을 설정하고, 허용할 호스트나 대역은 설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ftp 서비스를 제외할 호스트나 대역을 설정하지 않으면 모든 호스트나 대역에서 ftp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BIND 네임 서버의 최상위 설정파일로 알맞은 것은?

  1. /var/named/bind.conf
  2. /etc/bind.conf
  3. /etc/named.conf
  4. /var/name.conf
(정답률: 54%)
  • 정답은 "/etc/named.conf"입니다.

    BIND 네임 서버는 DNS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etc/named.conf" 파일은 BIND 네임 서버의 최상위 설정 파일로, 네임 서버가 어떻게 작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모든 정보를 포함합니다. 이 파일은 네임 서버의 도메인 이름, IP 주소, 캐시 설정, 보안 설정 등을 정의합니다. 따라서 이 파일은 BIND 네임 서버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DNS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네임서버가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포트번호로 알맞은 것은?

  1. port 25
  2. port 53
  3. port 23
  4. port 22
(정답률: 60%)
  • 네임서버는 DNS(Domain Name System)을 사용하여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DNS 쿼리와 응답을 주고받는데, 이를 위해 네임서버는 기본적으로 포트번호 53을 사용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port 53"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DNS(bind)의 설정 내용 중 리소스 레코드가 잘못 지정된 것은?

  1. @ IN NS ns.linux.co.kr.
  2. @ IN MX 5 mail.linux.co.kr.
  3. @ IN A 192.168.0.1
  4. @ IN PTR 192.168.0.2
(정답률: 58%)
  • 정답은 "@ IN PTR 192.168.0.2" 입니다. PTR 레코드는 IP 주소를 호스트 이름으로 변환하는 데 사용됩니다. 따라서 이 레코드는 호스트 이름이 아닌 IP 주소를 가리켜야 합니다. 따라서 "@ IN PTR 192.168.0.2"는 잘못된 리소스 레코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DNS 서비스의 zone 파일 영역의 세부항목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erial : zone 파일의 작성된 시간을 표시하는 정보영역 데이터의 번호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조 DNS와 정보업데이트를 결정할 때 확인 하는 값이다.
  2. Refresh : 주DNS와 보조 DNS간에 정보 동기화를 위해 3시간(10800초)에 한번씩 요청한다.
  3. Retry : 보조 네임서버가 얼마간격으로 주 네임서버와 다시 접속할지를 설정하는 값으로 4시간(14400초)으로 설정되어 있다.
  4. Expire : 주 네임서버가 기존 정보를 파기하는 시간으로 1주(604800초)로 설정되어 있다.
(정답률: 49%)
  • 정답은 "Expire : 주 네임서버가 기존 정보를 파기하는 시간으로 1주(604800초)로 설정되어 있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입니다.

    Serial : zone 파일의 작성된 시간을 표시하는 정보영역 데이터의 번호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조 DNS와 정보업데이트를 결정할 때 확인하는 값이다.
    Refresh : 주DNS와 보조 DNS간에 정보 동기화를 위해 3시간(10800초)에 한번씩 요청한다.
    Retry : 보조 네임서버가 얼마간격으로 주 네임서버와 다시 접속할지를 설정하는 값으로 4시간(14400초)으로 설정되어 있다.

    Expire 값은 보조 네임서버가 주 네임서버와 연결이 끊어졌을 때,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보를 얼마나 오래 사용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값입니다. 이 값이 지나면 보조 네임서버는 해당 정보를 사용하지 않고, 다시 주 네임서버와 연결하여 정보를 업데이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다음 squid.conf 환경설정파일 설명 중 틀린 것은?

  1. http_port 3128 : 스퀴드 프록시서버의 접속 서비스 수를 3128로 지정한다.
  2. cache_mem 8 MB : 스퀴드서버에서 사용하는 캐시 사이즈를 8 MB 로 설정한다.
  3. cache_dir /usr/local/squid/cache 1000 16 256 : 캐시데이터가 최대 1000M 이고 저장될 1차 디렉토리 16개, 2차 디렉토리 256개로 설정한다.
  4. cache_effective_user nobody : 스퀴드 서버를 작동시킬 유저는 nobody로 지정한다.
(정답률: 48%)
  • 정답은 "http_port 3128 : 스퀴드 프록시서버의 접속 서비스 수를 3128로 지정한다." 가 아니다. 이는 올바른 설명이다.

    http_port 3128은 Squid 프록시 서버의 접속 포트를 3128로 지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는 Squid 서버에 접속하여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

    cache_mem 8 MB는 Squid 서버에서 사용하는 메모리 캐시의 크기를 8MB로 설정하는 것이다.

    cache_dir /usr/local/squid/cache 1000 16 256은 Squid 서버에서 사용하는 디스크 캐시의 크기와 디렉토리 구조를 설정하는 것이다. 최대 1000MB의 캐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1차 디렉토리는 16개, 2차 디렉토리는 256개로 설정된다.

    cache_effective_user nobody는 Squid 서버를 실행할 사용자를 nobody로 지정하는 것이다. 이는 보안상의 이유로 권장되는 설정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프록시(Proxy) 서버를 구성하기위해 Squid를 설정 후 스왑 디렉토리를 초기화 하기 위한 명령어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z
  2. -Z
  3. -c
  4. -C
(정답률: 24%)
  • 정답은 "-z"입니다.

    "-z" 옵션은 Squid 프록시 서버를 구성할 때 스왑 디렉토리를 초기화하는 명령어 옵션입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Squid가 처음 실행될 때 스왑 디렉토리를 초기화하고 새로운 스왑 파일을 생성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이전에 사용되었던 스왑 파일이나 캐시 데이터를 모두 삭제하고 새로운 프록시 서버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NISDOMAIN 설정 변수가 재부팅시에도 적용되기 위해 저장되어지는 위치로 알맞은 것은?

  1. /etc/sysconfig/network
  2.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interface
  3. /var/yp/securenets
  4. /etc/resolv.conf
(정답률: 39%)
  • "/etc/sysconfig/network" 파일은 시스템 네트워크 설정을 저장하는 파일이며, NISDOMAIN 설정 변수도 이 파일에 저장됩니다. 이 파일은 시스템이 부팅될 때 자동으로 로드되므로, 재부팅시에도 NISDOMAIN 설정 변수가 적용되기 위해 이 파일에 저장되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네트워크 인증 구성 요소(network authentication scheme)로 틀린 것은?

  1. NIS
  2. LDAP
  3. PAM
  4. autofs
(정답률: 55%)
  • autofs는 네트워크 인증 구성 요소가 아닙니다. autofs는 자동 파일 시스템 마운트를 관리하는 데 사용되는 유틸리티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autofs"입니다.

    -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 계정 정보, 그룹 정보, 호스트 정보 등을 중앙에서 관리하는 인증 방식
    -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 디렉터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토콜로, 사용자 정보, 그룹 정보, 호스트 정보 등을 중앙에서 관리하는 인증 방식
    - PAM(Pluggable Authentication Modules): 다양한 인증 방식을 지원하는 모듈화된 인증 시스템으로, 로그인, 패스워드 변경 등 다양한 인증 과정에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트로이 목마
  2. DoS(Denial of Service) 공격
  3. 웜 바이러스
  4. 버퍼 오버플로
(정답률: 65%)
  • 위 그림은 DoS(Denial of Service) 공격을 나타내는 것으로, 공격자가 대량의 데이터를 목표 시스템에 보내서 해당 시스템의 자원을 고갈시켜 서비스를 정지시키는 공격 방법을 말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 iptables 방화벽 설정중 192.168.1.100으로 들어오는 모든 패킷중에서 tcp 프로토콜 관련 패킷만 거부하는 설정의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을 순서에 맞게 나열한 것은?

  1. -s, -p
  2. -d, -u
  3. -s, -u
  4. -d, -p
(정답률: 43%)
  • "-s, -p"는 소스 IP 주소와 프로토콜을 지정하는 옵션으로, 192.168.1.100에서 들어오는 모든 TCP 패킷을 거부하기 위해 사용된다. "-d, -u"는 대상 IP 주소와 포트를 지정하는 옵션으로, 이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는다. "-s, -u"는 소스 IP 주소와 UDP 프로토콜을 지정하는 옵션으로, 이 경우에도 사용되지 않는다. "-d, -p"는 대상 IP 주소와 프로토콜을 지정하는 옵션으로, 이 경우에도 사용되지 않는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다음 중 방화벽의 기본적인 기능이 아닌 것은?

  1. 상태 기반 감시
  2. 응용 계층 프록시
  3. 패킷 필터링
  4. 네트워크 계층 프록시
(정답률: 32%)
  • 방화벽의 기본적인 기능은 "상태 기반 감시", "응용 계층 프록시", "패킷 필터링"이며, "네트워크 계층 프록시"는 방화벽의 기본적인 기능이 아닙니다. 이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프록시로, 패킷을 중계하여 보안성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합니다. 하지만 이는 방화벽의 필수적인 기능은 아니며,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DMZ
  2. VPN
  3. PROXY
  4. IDS
(정답률: 52%)
  • 위 그림은 한국과 북한 사이에 위치한 DMZ(비무장지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DMZ"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다음에서 설명하는 공격유형으로 알맞은 것은?

  1. Host Sweep
  2. TCP DRDOS Attack
  3. TCP SYN Flooding(DDoS)
  4. 버퍼 오버플로우(Buffer overflow)
(정답률: 66%)
  • 이 그림은 TCP SYN Flooding(DDoS) 공격을 나타낸 것입니다. 공격자는 대량의 SYN 패킷을 보내서 서버의 자원을 고갈시키고, 정상적인 사용자의 접속을 방해합니다. 이는 DDoS 공격의 일종으로, 대규모의 컴퓨터를 이용하여 동시에 공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