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마스터 1급 필기 기출문제복원 (2011-09-03)

리눅스마스터 1급
(2011-09-03 기출문제)

목록

1과목: 리눅스 실무의 이해

1. 운영체제의 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하드웨어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 한다.
  2. 시스템 자원을 스케줄링 한다.
  3.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작업을 처리한다.
  4. 응용프로그램의 작성과 실행을 편리하게 한다.
(정답률: 67%)
  • 정답은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작업을 처리한다."가 아닌 다른 보기들이다.

    운영체제는 하드웨어와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시스템 자원을 스케줄링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응용프로그램의 작성과 실행을 편리하게 한다. 하지만 운영체제가 직접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응용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운영체제가 필요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 리눅스에서 강력하게 지원하는 프로토콜이며, 인터넷의 기본 프로토콜로 알맞은 것은?

  1. NetBEUI
  2. IPX/SPX
  3. TCP/IP
  4. Novell Netware
(정답률: 89%)
  • TCP/IP는 인터넷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며, 데이터의 전송과 라우팅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리눅스에서도 TCP/IP를 강력하게 지원하며, 인터넷의 기본 프로토콜로 사용됩니다. NetBEUI, IPX/SPX, Novell Netware은 모두 네트워크 프로토콜이지만, TCP/IP에 비해 보다 제한적인 용도로 사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 리눅스의 메모리 관리 시 실시간 페이지 적재 기능과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용어로 알맞은 것은?

  1. DDL(Dynamic Link Library)
  2. 스왑(Swap)
  3. Page Switching
  4. DSL(Dynamic Shared Library)
(정답률: 54%)
  • 스왑(Swap)은 리눅스에서 메모리 부족 상황에서 사용되는 가상 메모리 기술 중 하나로, 현재 사용하지 않는 메모리 페이지를 하드 디스크의 스왑 영역에 저장하고 필요할 때 다시 메모리로 불러와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실시간 페이지 적재 기능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 GNU프로젝트와 관련한 자유 소프트웨어의 의미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프로그램을 복제하고 친구나 동료와 함께 이를 공유할 수 있는 자유
  2. 프로그램을 일부 수정하여 개인 저작권을 등록할 수 있는 자유
  3. 소스 코드를 이용해서 이를 개작할 수 있는 자유
  4. 개작된 프로그램을 배포할 수 있는 자유
(정답률: 83%)
  • "프로그램을 일부 수정하여 개인 저작권을 등록할 수 있는 자유"는 GNU프로젝트와 관련한 자유 소프트웨어의 의미로 알맞지 않은 것입니다. GNU프로젝트에서는 소프트웨어를 자유롭게 복제, 배포, 수정, 개작할 수 있는 자유를 강조하며, 이를 위해 소스 코드를 공개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 저작권을 등록하는 것은 이와 상반되는 개념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 초기 유닉스 시스템의 설계 목적과 상황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1. 대형 시스템으로 설계하려 했다.
  2. 멀틱스라는 시스템과의 차별화로 유닉스라는 명칭이 생겨났다.
  3. 한번에 한 사용자만이 사용할 수 있게 했다.
  4. 한번에 한 가지 일처리만 가능하기도 했다.
(정답률: 50%)
  • "대형 시스템으로 설계하려 했다."는 적절하지 않은 것이다. 초기 유닉스 시스템은 대형 시스템이 아니라 작은 규모의 컴퓨터에서도 동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이는 초기 유닉스 시스템이 대학 연구실에서 개발되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 컴퓨터의 제어장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프로그램 계수기
  2. 명령 레지스터
  3. 수치 보조프로세서
  4. 명령 해독기
(정답률: 66%)
  • 수치 보조프로세서는 컴퓨터의 제어장치에 속하지 않는다. 이는 수치 보조프로세서가 주로 산술 연산을 수행하는데, 이는 제어장치의 역할이 아닌 데이터 처리를 담당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치 보조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PU)의 일부분으로 분류된다. 반면, 프로그램 계수기, 명령 레지스터, 명령 해독기는 모두 컴퓨터의 제어장치에 속한다. 프로그램 계수기는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주소를 저장하고, 명령 레지스터는 현재 실행 중인 명령어를 저장한다. 명령 해독기는 명령어를 해독하여 실행할 동작을 결정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 리눅스 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아닌 것은?

  1. 커널
  2. 유틸리티
  3. 레지스터
(정답률: 70%)
  • 레지스터는 하드웨어의 구성 요소이며, 리눅스 시스템의 소프트웨어적인 구성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커널, 쉘, 유틸리티는 모두 리눅스 시스템의 소프트웨어적인 구성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 리눅스 구성요소 중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스케줄링을 담당하는 것은?

  1. Shell
  2. Utility
  3. Kernel
  4. Application
(정답률: 78%)
  • Kernel은 운영체제의 핵심 부분으로, 하드웨어를 제어하고 스케줄링을 담당합니다. 따라서 이 문제에서는 Kernel이 정답입니다. Shell은 사용자와 운영체제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Utility는 시스템 관리를 위한 도구들을 의미하며, Application은 사용자가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 리눅스 부트로더인 LILO/GRUB가 설치되는 영역으로 알맞은 것은?

  1. ROOT 영역
  2. MBR 영역
  3. Directory 영역
  4. 데이터 영역
(정답률: 79%)
  • LILO/GRUB는 부팅 시 운영체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부트로더이며, 이 부트로더는 MBR(Master Boot Record) 영역에 설치됩니다. MBR 영역은 디스크의 첫 번째 섹터에 위치하며, 부팅 시 가장 먼저 읽히는 영역입니다. 따라서 LILO/GRUB는 MBR 영역에 설치되어야 부팅 시 운영체제 선택이 가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 사용자의 기본 환경설정에 사용되며, 로그인 시 본쉘이나 C쉘에 의해 실행되는 스크립트가 아닌 것은?

  1. /etc/profile
  2. /etc/csh.login
  3. /etc/config
  4. /etc/csh.cshrc
(정답률: 57%)
  • "/etc/config"은 사용자의 기본 환경설정이 아닌 시스템 전반적인 설정 파일이기 때문에 로그인 시 실행되는 스크립트가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etc/config"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1. GNOME에서 X윈도우를 실행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startwindow
  2. startgnome
  3. startwin
  4. startx
(정답률: 85%)
  • 정답: startx

    설명: GNOME은 X윈도우 시스템 위에서 동작하는 윈도우 매니저이다. 따라서 GNOME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X윈도우를 실행해야 한다. 이때 사용하는 명령어가 바로 startx이다. startx 명령어는 X윈도우 시스템을 시작하고, 사용자가 로그인한 후에는 ~/.xinitrc 파일을 실행하여 윈도우 매니저를 실행한다. 따라서 GNOME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xinitrc 파일에 GNOME을 실행하는 명령어를 추가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2. 기본 윈도우 매니저를 변경하기 위해 편집해야 할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etc/console
  2. /etc/sysconfig/grub
  3. /etc/sysconfig/console
  4. /etc/sysconfig/desktop
(정답률: 58%)
  • 정답은 "/etc/sysconfig/desktop"입니다. 이 파일은 시스템의 데스크톱 환경 설정을 관리하는 파일입니다. 이 파일을 수정하여 기본 윈도우 매니저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콘솔 설정이나 부트로더 설정과 관련된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3. /etc/passwd의 등록 사용자 정보 중 내용을 확인 할 수 없는 것은?

  1. 사용자의 홈디렉토리
  2. 사용자의 shell
  3. 사용자의 ID
  4. 사용자의 암호
(정답률: 77%)
  • /etc/passwd 파일은 사용자 계정 정보를 담고 있는 파일이다. 그 중에서도 "사용자의 암호"는 확인할 수 없는데, 이는 보안상의 이유로 암호화되어 저장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etc/passwd 파일에서는 사용자의 암호를 직접 확인할 수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4. 다음 부팅 과정 중 일부에 대한 순서를 알맞게 나열한 것은?

  1. ㄱ - ㄴ - ㄷ - ㄹ - ㅁ
  2. ㄱ - ㅁ - ㄷ - ㄴ - ㄹ
  3. ㄱ - ㄴ - ㄹ - ㄷ - ㅁ
  4. ㄱ - ㅁ - ㄷ - ㄹ - ㄴ
(정답률: 61%)
  • 정답은 "ㄱ - ㅁ - ㄷ - ㄹ - ㄴ" 입니다.

    - ㄱ: BIOS가 실행되어 하드웨어를 초기화하고, 부팅 가능한 디바이스를 찾습니다.
    - ㅁ: 부트로더가 실행되어 운영체제를 로드합니다.
    - ㄷ: 운영체제가 실행되어 초기화 및 로그인 화면을 띄웁니다.
    - ㄹ: 사용자가 로그인하면, 운영체제가 사용자의 설정과 프로그램을 로드합니다.
    - ㄴ: 사용자가 사용하는 운영체제와 프로그램이 모두 실행됩니다.

    이 순서대로 부팅 과정이 진행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5. 프로세스가 기억장치를 할당받은 활동상태가 아닌 것은?

  1. 실행상태
  2. 지연상태
  3. 준비상태
  4. 대기상태
(정답률: 66%)
  • 지연상태는 프로세스가 실행을 위해 필요한 자원이 부족하여 대기하는 상태이며, 기억장치를 할당받은 활동상태가 아닌 것이다. 실행상태는 현재 CPU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 준비상태는 CPU를 사용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는 상태, 대기상태는 입출력 등의 외부 자원을 기다리는 상태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6. OSI 7 계층 참조모델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능이 아닌 것은?

  1. 시간 제한 및 확인
  2. 오류제어
  3. 암호화
  4. 흐름제어
(정답률: 77%)
  •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 계층에서 송수신되는 비트열을 논리적인 단위인 프레임으로 구성하고, 오류를 검출하고 수정하며, 흐름제어와 접근제어를 수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암호화는 데이터의 기밀성을 보호하기 위한 보안 기술로, 데이터 링크 계층의 기능은 아닙니다. 따라서 정답은 "암호화"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7. 컴퓨터와 컴퓨터를 직접 연결할 때 사용하는 네트워크 케이블로 알맞은 것은?

  1. 크로스(Cross) 케이블
  2. 다이렉트(Direct) 케이블
  3. 점퍼(Jumper) 케이블
  4. 모뎀(Modem) 케이블
(정답률: 65%)
  • 크로스(Cross) 케이블은 컴퓨터와 컴퓨터를 직접 연결할 때 사용하는 케이블로, 한 쪽의 핀과 다른 쪽의 핀이 서로 교차되어 있어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다이렉트(Direct) 케이블과는 달리 컴퓨터와 컴퓨터를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 점퍼(Jumper) 케이블은 작은 회로판이나 부품을 연결할 때 사용하고, 모뎀(Modem) 케이블은 컴퓨터와 인터넷 회선을 연결할 때 사용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8. 이더넷(Ethernet)에서 사용하는 논리 토폴로지로 알맞은 것은?

  1. Linear Topology
  2. Ring Topology
  3. Bus Topology
  4. Mesh Topology
(정답률: 58%)
  • 이더넷에서는 Bus Topology를 사용합니다. 이는 모든 컴퓨터가 하나의 케이블에 연결되어 있으며, 데이터가 이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구조입니다. 이더넷에서는 CSMA/CD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충돌을 방지하고 데이터 전송을 보장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9. 양방향 통신 중 어느 한순간에는 한쪽 방향으로만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방식으로 알맞은 것은?

  1. 단방향 통신
  2. 반이중 통신
  3. 전이중 통신
  4. 쌍방향 통신
(정답률: 72%)
  • 반이중 통신은 양쪽 방향으로 동시에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방식이며, 전이중 통신은 양쪽 방향으로 동시에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지만 한쪽 방향으로만 전송이 가능한 경우는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반이중 통신"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0. 네트워크 환경설정 명령이 아닌 것은?

  1. ifconfig
  2. netstat
  3. netconfig
  4. linuxconf
(정답률: 35%)
  • "ifconfig", "netconfig", "linuxconf"는 모두 네트워크 환경설정 명령어이지만, "netstat"은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이기 때문에 네트워크 환경설정 명령어가 아니다. 즉,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과목: 리눅스 시스템 관리

21. su 명령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일반사용자가 su를 사용하여 일반사용자의 로그인 암호를 입력하면 root의 권한으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2. 일반사용자가 su를 사용하여 root의 로그인 암호를 입력하면 root 권한을 가질 수 있다.
  3. root가 su를 사용하면 아무런 암호 입력 없이 일반사용자의 권한으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
  4. su 뒤에 로그인 이름이 없으면, su root 명령과 동일하게 적용 된다.
(정답률: 65%)
  • "root가 su를 사용하면 아무런 암호 입력 없이 일반사용자의 권한으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일반사용자가 su를 사용하여 일반사용자의 로그인 암호를 입력하면 root의 권한으로 명령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일반사용자가 su를 사용하여 root의 로그인 암호를 입력하면 root 권한을 가질 수 있습니다. su 뒤에 로그인 이름이 없으면, su root 명령과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2. 사용자 및 그룹 관리에 대한 설명 중 알맞은 것은?

  1. 리눅스 시스템의 일반사용자는 usermod명령을 사용하여 본인의 로그인이름을 변경할 수 있다.
  2. 리눅스 시스템의 일반사용자는 change명령을 사용하여 본인의 암호를 변경할 수 있다.
  3. 리눅스 시스템의 일반사용자는 chsh명령을 사용하여 본인의 로그인쉘을 변경할 수 있다.
  4. 리눅스 시스템의 일반사용자는 groupmod명령을 사용하여 본인의 그룹ID를 변경할 수 있다.
(정답률: 59%)
  • 리눅스 시스템의 일반사용자는 chsh명령을 사용하여 본인의 로그인쉘을 변경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로그인할 때 기본 쉘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명령어이다. 로그인쉘은 사용자가 명령어를 입력할 때 사용되는 쉘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쉘로 변경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3. 다음에서 설명하는 내용을 만족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chage -m 30 -d 5 -E 7 aaa
  2. chage -M 30 -W 5 -m 7 aaa
  3. chage -m 30 -M 5 -W 7 aaa
  4. chage -M 30 -d 5 -m 7 aaa
(정답률: 60%)
  • 해당 명령은 사용자 "aaa"의 최대 암호 사용 기간을 30일로, 암호 만료 경고 기간을 5일로, 최소 암호 사용 기간을 7일로 설정하는 명령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4. 다음을 만족하도록 aaa 사용자를 추가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adduser -f /mnt/home/aaa -G parttime -U 150 aaa
  2. useradd -f /mnt/home/aaa -G parttime -u 150 aaa
  3. adduser -d /mnt/home/aaa -g parttime -U 150 aaa
  4. useradd -d /mnt/home/aaa -g parttime -u 150 aaa
(정답률: 62%)
  • 사용자를 추가하는 명령어는 useradd이며, -d 옵션은 홈 디렉토리를 지정하는 것이고, -g 옵션은 그룹을 지정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정답은 "useradd -d /mnt/home/aaa -g parttime -u 150 aaa" 입니다.

    다른 보기들은 -f 옵션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사용자를 추가할 때 필요한 필수 옵션이 아니므로 오답입니다. 또한 -U 옵션은 사용자를 추가할 때 UID를 지정하는 것이지만, 이미 -u 옵션으로 UID를 지정하고 있으므로 중복된 옵션이 되어 오답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5. 리눅스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파일의 종류에 속하지 않는 것은?

  1. 디렉토리: 다른 파일을 조직하고 액세스하는데 필요한 정보
  2. 일반파일: 텍스트파일이나 이진파일
  3. 실행파일: 명령어 실행을 위한 파일
  4. 특수파일: 리눅스가 자원을 관리하는 장치
(정답률: 44%)
  • 정답은 "디렉토리, 일반파일, 실행파일, 특수파일" 이다.

    실행파일은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파일로, 프로그램이나 스크립트 등이 해당된다. 이 파일은 실행 가능한 파일로 지정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해당 파일을 실행하면 프로그램이나 스크립트가 실행된다. 따라서 실행파일은 리눅스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6. 다음 aaa.txt 파일 중 사용자 ccc(속한 그룹은 ddd)가 읽을 수 없는 파일로 알맞은 것은?

  1. drwxr-xr-x 2 aaa bbb 123 2011-02-15 16:44 aaa.txt
  2. drwxr--r-- 2 aaa ddd 123 2011-02-15 16:44 aaa.txt
  3. drwxr-x--- 2 aaa bbb 123 2011-02-15 16:44 aaa.txt
  4. drwxr-xr-x 2 aaa ddd 123 2011-02-15 16:44 aaa.txt
(정답률: 78%)
  • 정답은 "drwxr--r-- 2 aaa ddd 123 2011-02-15 16:44 aaa.txt" 입니다.

    이유는 해당 파일의 퍼미션(permission)이 "r--"로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r--"은 읽기 권한이 없는 사용자는 파일을 읽을 수 없다는 뜻입니다.

    그룹은 ddd에 속하지만, 그룹에는 읽기 권한이 있으므로 그룹 내의 사용자는 파일을 읽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용자 ccc는 그룹에 속해 있지 않으며, 파일에 대한 개별적인 권한이 없으므로 파일을 읽을 수 없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7. 다음 각 파일의 특수 목적 접근 모드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rwsr-xr-x: s는 SUID로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에는 프로세스가 파일의 소유자와 같은 권한으로 실행된다.
  2. -rwxr-xr-s: s는 OUID로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에는 프로세스가 others와 같은 권한 으로 실행된다.
  3. drwxrwxrwt: t는 sticky bit로서 퍼미션에 관계없이 소유자만이 파일을 지울 수 있다.
  4. -rwxr-sr-x: s는 SGID로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에는 프로세스가 파일의 그룹과 같은 권한으로 실행된다.
(정답률: 65%)
  • "-rwxr-xr-s: s는 OUID로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에는 프로세스가 others와 같은 권한으로 실행된다." 이 설명이 틀린 것이다. 올바른 설명은 s는 SGID로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에는 프로세스가 파일의 그룹과 같은 권한으로 실행된다.

    SUID, SGID, sticky bit은 파일에 특수 목적 접근 모드를 부여하는데 사용된다. SUID는 파일의 소유자 권한으로 파일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고, SGID는 파일의 그룹 권한으로 파일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sticky bit는 일반적으로 디렉토리에 사용되며, 해당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은 소유자만이 삭제할 수 있도록 해준다.

    위의 보기에서 "-rwsr-xr-x: s는 SUID로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에는 프로세스가 파일의 소유자와 같은 권한으로 실행된다."와 "-rwxr-sr-x: s는 SGID로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동안에는 프로세스가 파일의 그룹과 같은 권한으로 실행된다."는 올바른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8. 리눅스의 파일시스템을 검사하는 fsck명령의 검사 진행 단계의 순서를 알맞게 나열한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38%)
  • ㉰-파일시스템의 슈퍼블록 검사
    ㉮-파일시스템의 노드리스트 검사
    ㉱-파일시스템의 데이터 블록 검사
    ㉯-파일시스템의 노드리스트와 데이터 블록의 연결관계 검사
    ㉲-파일시스템의 불일치된 블록 및 노드리스트 복구

    파일시스템의 슈퍼블록, 노드리스트, 데이터 블록 등을 검사하며, 노드리스트와 데이터 블록의 연결관계를 검사하고 불일치된 블록 및 노드리스트를 복구하는 과정을 거친다. 따라서, ㉰-㉮-㉱-㉯-㉲ 순서로 진행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29. 다음과 같은 파일시스템이 마운트되어 있다. 읽기 전용인 /dev/hdb1을 읽기/쓰기모두 가능하게 변경 할 수 있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remount -rw /dev/hdb1
  2. mount -rw -o remount /dev/hdb1
  3. mount -rw /dev/hdb1
  4. mount -o ro -o remount /dev/hdb1
(정답률: 59%)
  • 정답은 "mount -rw -o remount /dev/hdb1"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mount 명령어는 파일시스템을 마운트하는데 사용됩니다.
    - -rw 옵션은 읽기/쓰기 권한을 부여하는 옵션입니다.
    - -o 옵션은 다른 옵션을 추가로 지정할 때 사용됩니다.
    - remount 옵션은 이미 마운트된 파일시스템을 다시 마운트하는데 사용됩니다.
    - 따라서 "mount -rw -o remount /dev/hdb1" 명령어는 /dev/hdb1 파일시스템을 읽기/쓰기 가능하게 변경하고, 이미 마운트된 파일시스템을 다시 마운트하는 것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0. 다음 중 파일시스템의 종류별로 사용할 수 있는 –t 옵션으로 틀린 것은?

  1. 윈도즈98 : mount -t msdos /dev/hda1/mnt/disk1
  2. 윈도즈2000/XP : mount -t ntfs /dev/hda1/mnt/disk1
  3. 리눅스 파일 : mount -t ext2 /dev/hda1/mnt/disk1
  4. CD-ROM : mount -t iso9660 /dev/cdrom/mnt/cdrom
(정답률: 57%)
  • 정답은 "윈도즈98 : mount -t msdos /dev/hda1/mnt/disk1" 이다.

    윈도즈98은 FAT 파일시스템을 사용하기 때문에 -t 옵션으로 msdos를 사용해야 한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NTFS, ext2, iso9660 파일시스템을 사용하기 때문에 -t 옵션으로 각각 ntfs, ext2, iso9660을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1. 기존의 리눅스 시스템에 새로운 HDD를 추가하는 순서를 알맞게 나열한 것은?

  1. ㉰-㉲-㉮-㉯-㉳-㉱
  2. ㉳-㉰-㉲-㉮-㉯-㉱
  3. ㉳-㉮-㉯-㉰-㉲-㉱
  4. ㉮-㉳-㉲-㉰-㉱-㉯
(정답률: 67%)
  • 정답은 "㉳-㉰-㉲-㉮-㉯-㉱" 입니다.

    1. 새로운 HDD를 시스템에 연결합니다. (㉳)
    2. 새로운 HDD를 인식하기 위해 시스템을 재부팅합니다. (㉰)
    3. 새로운 HDD를 파티션을 나누고 포맷합니다. (㉲)
    4. 새로운 HDD를 마운트(mount)합니다. (㉮)
    5. 새로운 HDD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을 합니다. (㉯)
    6. 새로운 HDD를 사용합니다. (㉱)

    이유는 새로운 HDD를 시스템에 연결하고 인식시키는 것이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이 첫 번째 단계입니다. 그리고 시스템을 재부팅하여 새로운 HDD를 인식시키는 것이 ㉰번째 단계입니다. 그 다음으로는 새로운 HDD를 사용하기 위해 파티션을 나누고 포맷하는 ㉲번째 단계입니다. 그리고 새로운 HDD를 마운트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번째 단계와 필요한 설정을 하는 ㉯번째 단계가 이어집니다. 마지막으로 새로운 HDD를 사용하는 ㉱번째 단계가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2. 다음 fsck의 종료 코드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0 : 에러없음
  2. 1 : 파일 시스템에 고쳐지지 않은 에러가 남아 있음
  3. 2 : 파일 시스템 재부팅 필요
  4. 8 : 연산 에러
(정답률: 55%)
  • 정답은 "2 : 파일 시스템 재부팅 필요"이다.

    fsck는 파일 시스템을 검사하고 에러를 고치는 유틸리티이다. 종료 코드는 검사 후 발견된 에러의 종류와 심각도에 따라 결정된다.

    1번은 파일 시스템에 고쳐지지 않은 에러가 남아 있는 경우이다. 이는 검사 후에도 여전히 에러가 남아있어서 파일 시스템이 완전히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기 전에 반드시 에러를 해결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3. 다음 중 포그라운드 프로세스와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프로세스가 백그라운드로 실행되는 동안에는 입력을 받을 수 없다.
  2. 쉘 프롬프트에서 명령을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대부분 포그라운드로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3. 하나의 프로세스가 포그라운드로 실행 중일 때 새로운 명령어를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백그라운드로 프로세스가 실행된다.
  4. 포그라운드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는 Ctrl+C 인터럽트 키로 강제 종료시킬 수 있다.
(정답률: 43%)
  • 정답은 "하나의 프로세스가 포그라운드로 실행 중일 때 새로운 명령어를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백그라운드로 프로세스가 실행된다."가 아닌 "쉘 프롬프트에서 명령을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대부분 포그라운드로 프로세스가 실행된다."입니다.

    하나의 프로세스가 포그라운드로 실행 중일 때 새로운 명령어를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해당 명령어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며, 기존의 프로세스는 계속해서 포그라운드에서 실행됩니다. 이를 위해서는 명령어 뒤에 &를 붙여주면 됩니다.

    반면, 쉘 프롬프트에서 명령을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해당 명령어는 대부분 포그라운드에서 실행됩니다. 이는 명령어 뒤에 &를 붙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또한, 포그라운드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는 Ctrl+C 인터럽트 키로 강제 종료시킬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4. 다음 중 ps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현재 실행중인 작업을 사용자와 프로세스 ID로 보여주는 명령어이다.
  2. 옵션없이 ps 명령을 사용하면, 현재 터미널과 관련된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만 출력한다.
  3. 모든 프로세스에 대해, 그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의 ID도 출력된다.
  4. 프로세스 번호의 범위는 0부터 32737까지 사용 된다.
(정답률: 44%)
  • "프로세스 번호의 범위는 0부터 32737까지 사용 된다."는 틀린 설명이다. 실제로는 프로세스 번호의 범위는 1부터 65535까지 사용된다.

    ps 명령은 현재 실행중인 모든 프로세스에 대한 정보를 보여주며,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의 ID도 함께 출력된다. 이를 통해 프로세스 간의 계층 구조를 파악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5. 프로세스의 스케줄링 우선권을 변경할 때 사용 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nice
  2. fine
  3. mutt
  4. priority
(정답률: 74%)
  • 정답: nice

    이유: nice 명령어는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변경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우선순위는 "niceness" 값으로 표현되며, 값이 높을수록 우선순위가 낮아진다. 따라서 nice 명령어를 사용하여 niceness 값을 높이면 프로세스의 우선순위가 낮아지고, 낮추면 우선순위가 높아진다. 이를 통해 CPU 자원을 더 많이 할당받을 수 있게 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6. 다음 중 프로세스와 관련된 명령어와 그 설명이 틀린 것은?

  1. pstree: 부모 프로세스와 자식 프로세스의 관계를 트리형태로 보여 준다.
  2. nohup: hangup 신호와 무관하게 명령을 수행 하고, 출력은 nohup.out에 저장되도록 한다.
  3. fg: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포그라운드 프로세스로 변환한다.
  4. killall: 주어진 프로세스 번호와 관련된 모든 프로세스를 종료시킨다.
(정답률: 49%)
  • 정답은 "killall: 주어진 프로세스 번호와 관련된 모든 프로세스를 종료시킨다."가 틀린 것이다. killall은 주어진 프로세스 이름에 해당하는 모든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명령어이다. 따라서 주어진 프로세스 번호와 관련된 모든 프로세스를 종료시키는 것이 아니라 주어진 프로세스 이름에 해당하는 모든 프로세스를 종료시킨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7. RPM의 용도와 그 설명 중 틀린 것은?

  1. 패키지 정보검색: 설치되었거나, 설치할 패키지에 대한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2. 패키지 검증: 어떤 패키지에 속하는 특정파일을 검증해서 다시 설치할 수 있다.
  3. 업그레이드 기능: 기존 파일을 삭제한 후에 새로운 버전의 패키지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4. 패키지 자동설치 및 제거: *.rpm파일만 있으면, 해당 디렉토리에 자동적으로 설치가 가능하다.
(정답률: 52%)
  • RPM은 리눅스에서 소프트웨어를 설치, 업그레이드, 제거하는 패키지 관리 시스템이다. 따라서 RPM의 용도는 패키지 정보검색, 패키지 검증, 업그레이드 기능, 패키지 자동설치 및 제거 등이 있다. 하지만 "업그레이드 기능: 기존 파일을 삭제한 후에 새로운 버전의 패키지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는 틀린 설명이다. RPM은 기존 파일을 삭제하지 않고도 새로운 버전의 패키지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이는 RPM이 파일의 의존성을 자동으로 처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 파일을 삭제한 후에 업그레이드하는 것은 오히려 시스템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8. RPM 패키지의 이름을 정하는 규칙에 맞게 작성 된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패키지이름-버전-릴리즈-아키텍처.rpm
  2. 아키텍처-버전-릴리즈-패키지이름.rpm
  3. 버전-릴리즈-패키지이름-아키텍처.rpm
  4. 릴리즈-버전-아키텍처-패키지이름.rpm
(정답률: 74%)
  • 정답은 "패키지이름-버전-릴리즈-아키텍처.rpm" 입니다. 이는 RPM 패키지의 이름을 구성하는 규칙으로, 패키지 이름, 버전, 릴리즈, 아키텍처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 규칙을 따르면 패키지 이름이 명확하게 표시되어 유지보수와 관리가 용이해집니다. 또한, 패키지의 종류와 버전 정보를 쉽게 파악할 수 있어 사용자들이 패키지를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9. 소스 프로그램 파일을 컴파일하기 위한 make의 장점이 아닌 것은?

  1. 여러 소스 프로그램 파일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컴파일할 수 있다.
  2. Windows의 Visual Studio처럼 통합개발환경(IDE)을 제공해 준다.
  3. 다중 플랫폼에 대해 컴파일을 해야할 때에는 플랫폼별로 makefile만 준비하면 된다.
  4. 프로그래밍 언어가 다른 소스 프로그램 파일에 대해서도 동시에 make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49%)
  • make는 소스 프로그램 파일을 컴파일하는 도구로, 여러 소스 프로그램 파일에 대해서도 간단하게 컴파일할 수 있고, 다중 플랫폼에 대해 컴파일을 해야할 때에는 플랫폼별로 makefile만 준비하면 된다. 하지만 make는 Windows의 Visual Studio처럼 통합개발환경(IDE)을 제공해 주지 않는다. 따라서 make를 사용하면 IDE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불편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0. GNU C 컴파일러인 gcc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gcc hello.c 명령에 의해 컴파일된 hello 실행 파일이 생성된다.
  2. 비주얼 환경을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터미널을 통해서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한다.
  3. #include 문장에서 지정한 헤더파일이 들어 있는 곳을 지정하기 위하여 -I 옵션을 사용 한다.
  4. gcc가 컴파일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지정하기 위하여 -l옵션과 -L옵션을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34%)
  • 정답은 "gcc hello.c 명령에 의해 컴파일된 hello 실행 파일이 생성된다."가 아니다. gcc는 컴파일러이며, hello.c 파일을 컴파일하여 실행 파일을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정확한 설명은 "hello.c 파일을 gcc 컴파일러를 사용하여 컴파일하면 hello 실행 파일이 생성된다."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1. 리눅스는 하드디스크의 일정 부분을 ( )이라는 방식으로 RAM처럼 사용할 수 있다. ( 괄호 )안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boot
  2. root
  3. data
  4. swap
(정답률: 81%)
  • 정답: swap

    설명: 리눅스에서는 메모리 부족 상황에서 하드디스크의 일부를 RAM처럼 사용할 수 있는데, 이를 swap이라고 한다. swap 영역은 일반적으로 하드디스크의 일부를 할당받아 사용하며, 메모리 부족 시에는 swap 영역에 저장된 데이터를 메모리로 가져와 사용한다. 따라서 swap 영역은 메모리 부족 상황에서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2. 다음 중 시스템에 새로 장착된 사운드카드를 인식하여 사용하기 위해 리눅스에서 사운드카드 설정에 관련된 것으로 틀린 것은?

  1. alsaconfig
  2. sndconfig
  3. kudzu
  4. lsmod
(정답률: 54%)
  • 정답은 "kudzu"입니다. kudzu는 하드웨어를 자동으로 감지하고 구성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이지만, 리눅스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lsmod는 현재 시스템에서 로드된 커널 모듈을 나열하는 명령어입니다. 사운드카드 드라이버가 로드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새로운 사운드카드를 인식하고 사용하기 위해 lsmod를 사용하여 해당 드라이버가 로드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3. 다음 중 시리얼 포트를 나타내는 특수파일로 알맞은 것은?

  1. /dev/hda
  2. /dev/sda
  3. /dev/eth1
  4. /dev/ttyS0
(정답률: 76%)
  • 정답: "/dev/ttyS0"

    이유: 시리얼 포트는 컴퓨터와 다른 장치를 연결하는 데 사용되는 포트이며, 일반적으로 "/dev/ttyS0"부터 "/dev/ttyS3"까지의 특수 파일로 표시됩니다. "/dev/hda"와 "/dev/sda"는 하드 디스크를 나타내는 특수 파일이며, "/dev/eth1"은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특수 파일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4. 리눅스 운영체제 작성 시 대부분의 코딩을 담당한 프로그래밍 언어로 알맞은 것은?

  1. 어셈블리 언어
  2. C 언어
  3. 자바 언어
  4. 비주얼 베이직 언어
(정답률: 77%)
  • 리눅스 운영체제는 C 언어로 작성되었습니다. 이는 C 언어가 저수준의 하드웨어 제어와 메모리 관리를 지원하며, 높은 성능과 안정성을 제공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C 언어는 운영체제 개발에 많이 사용되는 언어 중 하나이며, 리눅스 커널 개발자들도 C 언어를 주로 사용합니다. 따라서 리눅스 운영체제를 개발할 때도 C 언어를 주로 사용하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5. 커널 컴파일을 위한 환경 설정 인터페이스가 아닌 것은?

  1. make config
  2. make menuconfig
  3. make xconfig
  4. make linux
(정답률: 70%)
  • "make linux"은 커널을 컴파일하는 명령어이지만, 환경 설정을 변경하는 인터페이스가 아닙니다. 따라서 이 보기에서 정답은 "make linux"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6. 커널 컴파일을 수행 시 의존성 관계를 설정하는 것으로 커널2.6 이후에는 불필요한 과정으로 알맞은 것은?

  1. make dep
  2. make clean
  3. make bzImage
  4. make modules
(정답률: 70%)
  • 커널2.6 이후에는 의존성 관계를 자동으로 설정하기 때문에 "make dep"는 불필요한 과정이다. 이전 버전에서는 모듈 간의 의존성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수동으로 설정해야 했지만, 2.6 이후부터는 자동으로 의존성을 파악하여 설정하기 때문에 "make dep"는 필요하지 않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7. mkfs.ext3 명령을 이용하여 포맷 시 불량 섹터를 검색하기 위한 옵션으로 알맞은 것은?

  1. -c
  2. -b
  3. -t
  4. -f
(정답률: 49%)
  • 정답: "-c"

    설명: "-c" 옵션은 포맷 과정에서 불량 섹터를 검색하고, 해당 섹터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포맷하는 옵션입니다. 이 옵션을 사용하면 파일 시스템이 생성될 때 불량 섹터를 자동으로 제외시켜줍니다. 이를 통해 불량 섹터로 인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8. 다음 중 리눅스 부팅디스켓을 만들기 위해 플로피 디스크를 포맷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mkfs.ext3 /dev/fd0
  2. fsck.ext3 -f /dev/hdb1
  3. mount -t ext3 /dev/fd0 /mnt
  4. mkbootdisk --device /dev/fd0
(정답률: 50%)
  • 정답은 "mkfs.ext3 /dev/fd0"입니다.

    이 명령어는 ext3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포맷을 만들고, 이를 /dev/fd0(플로피 디스크)에 적용합니다. 따라서 리눅스 부팅디스크를 만들기 위해 플로피 디스크를 포맷하는데 사용됩니다.

    다른 보기들은 각각 다음과 같은 명령어입니다.

    - fsck.ext3 -f /dev/hdb1: hdb1 파티션에 대해 ext3 파일 시스템을 체크하고, 문제가 있으면 자동으로 고치는 명령어입니다.
    - mount -t ext3 /dev/fd0 /mnt: /dev/fd0(플로피 디스크)를 ext3 파일 시스템으로 마운트하고, 마운트 포인트를 /mnt로 지정하는 명령어입니다.
    - mkbootdisk --device /dev/fd0: 부팅디스크를 만드는 명령어입니다. --device 옵션으로 플로피 디스크를 지정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49. 프린터의 작업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lpq
  2. lpr
  3. lp
  4. lprm
(정답률: 68%)
  • 정답은 "lpq"입니다.

    "lpq" 명령은 현재 프린터 대기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기 중인 작업의 수, 작업 번호, 우선순위, 작업자 이름 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프린터의 작업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lpq" 명령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른 보기들은 "lpr"은 프린터에 출력 작업을 보내는 명령, "lp"는 프린터 설정을 변경하는 명령, "lprm"은 프린터 대기열에서 특정 작업을 삭제하는 명령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0. 컴퓨터의 CPU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ls /proc/cpuinfo
  2. echo /proc/cpuinfo
  3. more /proc/cpuinfo
  4. edit /proc/cpuinfo
(정답률: 63%)
  • 정답은 "more /proc/cpuinfo"입니다.

    이유는 /proc/cpuinfo 파일은 현재 시스템의 CPU 정보를 담고 있으며, 이 파일을 more 명령어로 열면 페이지 단위로 CPU 정보를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ls 명령어는 디렉토리 내 파일 목록을 보여주는 명령어이고, echo 명령어는 인자로 받은 문자열을 출력하는 명령어입니다. edit 명령어는 파일을 편집하는 명령어이므로 /proc/cpuinfo 파일을 직접 수정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1. 시스템 로그(log)의 특성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1. 로그는 시스템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를 알려준다.
  2. 시스템에 이상징후가 발생하면 로그파일을 분석해야 한다.
  3. 로그파일은 절대로 삭제하지 말고 영구적으로 보관해야 한다.
  4.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에 따라서 여러개의 로그파일이 존재할 수 있다.
(정답률: 81%)
  • "로그파일은 절대로 삭제하지 말고 영구적으로 보관해야 한다."는 로그의 특성 중 맞는 것이다. 로그는 시스템에서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를 기록하는데, 이 기록이 삭제되면 문제 발생 시 원인 파악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로그파일은 보관해야 하며, 보관 기간은 보안 정책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다른 보기들은 로그의 특성으로 알맞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2. 다음 로그 파일의 이름과 관련 데몬, 그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ccess_log - httpd - 웹사이트 방문 기록에 대한 로그
  2. secure - xinetd - xinetd 타입의 데몬을 접근한 로그
  3. boot.log - boot – 시스템의 부팅 후 접속에 대한 로그
  4. messages - syslogd - 리눅스 커널로그 및 일반 로그
(정답률: 36%)
  • 정답은 "secure - xinetd - xinetd 타입의 데몬을 접근한 로그"입니다. secure 로그는 시스템 보안과 관련된 로그이며, xinetd 데몬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boot.log 파일은 시스템의 부팅 후 접속에 대한 로그를 기록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3. 시스템 로그 데몬인 syslogd와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etc/syslogd.conf - 로그데몬의 설정 파일
  2. /sbin/syslog - 로그 데몬의 위치 및 데몬 프로그램
  3. /var/run/syslogd.pid - 시스템 로그 데몬의 PID 파일
  4. /etc/rc.d/init.d/syslog start - 로그 데몬 실행 방법
(정답률: 46%)
  • 정답은 "/sbin/syslog - 로그 데몬의 위치 및 데몬 프로그램"이다. 이유는 syslogd가 로그 데몬이고, /sbin/syslog은 syslogd의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sbin/syslog - 로그 데몬의 위치 및 데몬 프로그램"은 틀린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4. 사용자 인증 프로세스의 보안을 위하여 사용하는 쉐도우 패스워드의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쉐도우 패스워드를 사용하기 이전에는 모든 패스워드가 /etc/passwd에 하나의 파일로 포함 되어 있었다.
  2. 현재의 배포판들은 대부분 기본적으로 쉐도우 패스워드를 제공한다.
  3. /etc/shadow 파일은 사용자의 암호와 관련된 정보만을 가지고 있다.
  4. 쉐도우 패스워드는 시스템 관리자만 읽을 수 있으며, 패스워드를 쉽게 알아 볼 수 있다.
(정답률: 75%)
  • "쉐도우 패스워드는 시스템 관리자만 읽을 수 있으며, 패스워드를 쉽게 알아 볼 수 있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쉐도우 패스워드는 시스템 관리자만 읽을 수 있지만, 패스워드를 쉽게 알아 볼 수 없도록 암호화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보안성이 높아집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5. 아래는 /etc/xinetd.d에 있는 swat 서비스의 설정 파일의 내용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현재 swat 서비스는 사용 가능하다.
  2. 이 서비스를 사용하여 접근할 수 있는 호스트는 192.168.1.2 뿐이다.
  3. /usr/sbin/swat이 늘 실행되고 있다가 서비스 요청이 들어오면 xinetd가 연결시켜 준다.
  4.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포트번호는 901번이다.
(정답률: 69%)
  • 정답은 "이 서비스를 사용하여 접근할 수 있는 호스트는 192.168.1.2 뿐이다." 이다.

    설정 파일에서는 swat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호스트를 192.168.1.2로 제한하고 있지만, 이 호스트 외에도 다른 호스트에서 접근이 가능할 수 있다.

    /usr/sbin/swat은 항상 실행되어 있지 않고, xinetd가 서비스 요청이 들어오면 실행시켜준다.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포트번호는 901번이다. 따라서 swat 서비스는 현재 사용 가능하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6. 리눅스 시스템의 보안을 위해서 시스템 관리자가 수행할 사항으로 틀린 것은?

  1. 시스템 설치후에 지속적으로 패치를 설치하도록 한다.
  2. 시스템 설치시에 루트 파티션은 최소한으로 작게 잡도록 한다.
  3. 불필요한 네트워크 서비스는 제거하도록 한다.
  4.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로깅을 설정하여야 한다.
(정답률: 70%)
  • "시스템 설치시에 루트 파티션은 최소한으로 작게 잡도록 한다."가 틀린 것이다. 이는 보안과는 관련이 없는 사항으로, 루트 파티션의 크기는 시스템의 용도와 필요한 소프트웨어에 따라 결정되어야 한다. 보안을 위한 시스템 관리자의 수행 사항으로는 "시스템 설치후에 지속적으로 패치를 설치하도록 한다.", "불필요한 네트워크 서비스는 제거하도록 한다.",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한 로깅을 설정하여야 한다." 등이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7. 다음은 ssh와 관련된 명령어들이다. 사용된 명령어에 대한 설명이 틀린 것은?

  1. # ssh -l silver gate.ihd.org - 호스트 gate.ihd.org에 계정이름 silver로 로그인
  2. # ssh silver@gate.ihd.org - 호스트 gate.ihd.org의 계정이름 silver에게 메일발송
  3. # ssh-keygen - 인증키 만들기
  4. # scp dumb silver@gate.ihd.org:. - 파일 dumb를 호스트 gate.ihd.org의 계정이름 silver의 홈디렉토리로 복사하기
(정답률: 56%)
  • "# ssh silver@gate.ihd.org - 호스트 gate.ihd.org의 계정이름 silver에게 메일발송"은 ssh 명령어와는 관련이 없는 설명이다.

    ssh 명령어는 원격 서버에 안전하게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이며, "-l" 옵션을 사용하여 특정 계정으로 로그인할 수 있다. "-keygen" 옵션을 사용하여 인증키를 만들 수 있고, "scp" 명령어를 사용하여 파일을 원격 서버로 복사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8. 리눅스 시스템에 대한 보안 감시 활동을 위한 프로그램인 COPS의 기능으로 틀린 것은?

  1. /etc/passwd, /etc/group 파일 내용 점검
  2. 파일, 디렉토리 및 장치 파일에 대한 퍼미션 점검
  3. /etc/rc*, /etc/rc*.d/*, cron 파일점검
  4. ssh 접속에 관련된 파일 점검
(정답률: 53%)
  • COPS는 ssh 접속에 관련된 파일 점검 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COPS가 개발된 시기에는 SSH가 보편화되기 전이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COPS는 SSH 접속에 관련된 파일을 점검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59. 시스템의 백업을 위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백업 테이프는 번갈아 가며 사용하라
  2. 백업 테이프는 자주 사용하므로 쓰기 방지를 할 필요가 없다.
  3. 백업 테이프는 가급적 컴퓨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곳에서 보관하자.
  4. 자료 가치에 따라 다른 백업 전략을 취하라.
(정답률: 79%)
  • 백업 테이프는 자주 사용하므로 쓰기 방지를 할 필요가 없다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백업 테이프는 자주 사용되는 것이 아니므로 쓰기 방지를 해야 한다. 쓰기 방지를 하지 않으면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테이프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기 때문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0. 다음 중 cpio 명령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1. 특정 파일이 갱신되었을 경우 갱신된 파일만을 다시 백업할 수 있다.
  2. 여러 시스템의 저장장치를 동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3. 테이프 장치에 원격 접근을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며, 보통 rexec, rcmd 호출로 시작된다.
  4. 리눅스 파일을 테이프 드라이브에 저장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정답률: 38%)
  • 리눅스 파일을 테이프 드라이브에 저장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 cpio 명령은 파일을 백업하거나 복원하기 위한 명령어 중 하나로, 특히 테이프 드라이브에 파일을 저장하거나 불러올 때 사용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3과목: 네트워크 및 서비스의 활용

61. 삼바 서버의 환경설정파일인 smb.conf의 문법적 오류를 검사하고 설정 내용을 확인할 때 사용하는 명령으로 알맞은 것은?

  1. smbclient
  2. smbstatus
  3. testparm
  4. smbmount
(정답률: 67%)
  • 정답은 "testparm"입니다.

    "testparm"은 smb.conf 파일의 구문 오류를 검사하고 설정 내용을 확인하는 명령입니다. 이 명령은 smb.conf 파일의 구문 오류를 검사하여 오류가 발견되면 해당 오류를 보고하고, 설정 내용을 확인하여 smb.conf 파일이 제대로 작성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smb.conf 파일을 수정하거나 새로 작성할 때 "testparm" 명령을 사용하여 구문 오류를 검사하고 설정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2. CGI(Common Gateway Interface)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웹 서버 확장의 하나로 외부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그 결과를 HTML로 돌려주는 방식이다.
  2. CGI 스크립트는 단순하지만, 다양한 언어로 코딩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기 어렵다.
  3. CGI 프로세스가 계속 생성될 경우, 메모리 고갈을 초래할 수 있다.
  4. 프로세스 생성과 초기화를 위한 시간이 필요 하다.
(정답률: 78%)
  • "CGI 스크립트는 단순하지만, 다양한 언어로 코딩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하기 어렵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이다. CGI 스크립트는 다양한 언어로 코딩이 가능하며, Perl, Python, Ruby, C 등 다양한 언어로 작성된 CGI 스크립트가 존재한다. 따라서, 이 설명은 잘못된 정보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3. APM에 포함되는 프로그램으로 알맞은 것은?

  1. Apache, PHP, MySQL
  2. Apache, PHP, MSSQL
  3. Apache, Postscript, MySQL
  4. Apache, Postscript, MSSQL
(정답률: 80%)
  • APM은 웹 서버, 프로그래밍 언어,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으로 구성되는데, 이 중에서 "Apache"는 웹 서버, "PHP"는 프로그래밍 언어, "MySQL"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정답은 "Apache, PHP, MySQL"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4. Mysql 버전 4.1.9를 설치 시, 환경 설정을 위한 ./configure 완료 후 데몬 테스트까지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를 순서에 맞게 나열한 것은?

  1. make, make install, ./mysql_install_db, ./safe_mysqld &
  2. make, ./make_insatall_db, make install, ./safe_mysqld &
  3. make, make install, ./safe_mysqld &, ./mysql_install_db
  4. ./mysql_install_db, make, make install, ./safe_mysqld &
(정답률: 65%)
  • 정답은 "make, make install, ./mysql_install_db, ./safe_mysqld &"이다.

    먼저, "make" 명령어는 소스 코드를 컴파일하여 실행 파일을 생성한다. 그 다음 "make install" 명령어는 컴파일된 실행 파일을 시스템에 설치한다. 그리고 "./mysql_install_db" 명령어는 MySQL 데이터베이스를 초기화하고 설정 파일을 생성한다. 마지막으로 "./safe_mysqld &" 명령어는 MySQL 데몬을 시작한다.

    따라서, 이 순서대로 명령어를 실행하면 MySQL을 설치하고 초기화하여 데몬을 실행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5. 아파치 서버에 의해 http://도메인명/~계정명으로 개인 홈페이지를 서비스하려고 한다. 웹 서버 설정파일의 ( 괄호 )에 들어갈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UserDir
  2. PageDir
  3. ServerRoot
  4. DocumentRoot
(정답률: 51%)
  • 정답은 "UserDir"입니다.

    "UserDir"은 아파치 웹 서버에서 사용자 개인 디렉토리를 지정하는 디렉티브입니다. 이 디렉티브를 사용하면 http://도메인명/~계정명 형식으로 사용자 개인 홈페이지를 서비스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UserDir public_html"로 설정하면, 아파치 웹 서버는 사용자 계정의 홈 디렉토리 아래에 public_html 디렉토리를 찾아서 해당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들을 웹으로 서비스합니다. 따라서 http://도메인명/~계정명으로 접속하면 해당 사용자의 홈페이지를 볼 수 있습니다.

    반면, "PageDir"은 아파치 웹 서버에서 지정한 디렉토리를 기본 페이지 디렉토리로 설정하는 디렉티브입니다. "ServerRoot"는 아파치 웹 서버의 루트 디렉토리를 지정하는 디렉티브이며, "DocumentRoot"는 웹 서버에서 서비스하는 문서의 루트 디렉토리를 지정하는 디렉티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6. IP 기반 가상호스팅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IP 주소를 많이 보유하고 있는 곳이나 사설 IP를 사용하고 있는 인트라넷 환경에 적합하다.
  2. 가상의 IP 한 개를 추가할 경우, eth0:1의 형식으로 가상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3. route 명령어로 가상 인터페이스에 대해 라우팅 테이블을 추가하여 사용한다.
  4. 한 개의 LAN 카드에 총 128개의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
(정답률: 57%)
  • 한 개의 LAN 카드에 총 128개의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는 설명이 틀립니다.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LAN 카드는 하나의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가상호스팅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가상 인터페이스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한 개의 LAN 카드에 생성할 수 있는 가상 인터페이스의 개수는 제한적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7.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똑같은 데이터는 절대 중복되지 않는다.
  2. 컴퓨터가 접근할 수 있는 저장매체에 저장된다.
  3.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는 임시 데이터가 아닌 운영 데이터이다.
  4. 여러 응용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이 공동으로 소유하고 유지하는 공용 데이터이다.
(정답률: 66%)
  • "똑같은 데이터는 절대 중복되지 않는다."는 틀린 설명입니다.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중복된 데이터를 최소화하기 위해 정규화 과정을 거치지만, 중복된 데이터가 완전히 없는 것은 아닙니다. 중복된 데이터가 있을 경우 데이터의 일관성과 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해 관리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8. 자바 서브릿을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JServ를 사용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설치해야 할 요소가 아닌 것은?

  1. CGI
  2. JSDK
  3. Apache
  4. ANSI-C 컴파일러
(정답률: 39%)
  • CGI는 JServ와는 별개의 웹 서버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기 때문에 JServ를 사용하기 위해선 필수적이지 않다. JServ는 자바 서블릿을 실행하기 위한 서버 사이드 기술이며, JSDK는 자바 서블릿 개발을 위한 도구 모음이다. Apache는 웹 서버이며, ANSI-C 컴파일러는 C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컴파일하기 위한 도구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69. SSL(Secure Socket Layer)을 이용하여 보안 가상 호스트를 정의하기 위한 지시자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SSLEngine on은 SSL을 부팅하는 modSSL 명령이다.
  2. SSLCertificateFile은 인증서 위치와 이름을 아파치에게 알려준다.
  3. SSLCACertificateFile은 Intermediate 인증서 위치를 알려주는 것으로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다.
  4. SSLCertificateKeyFile은 단지 루트에게만 읽기/쓰기 허가권이 주어져야 한다.
(정답률: 38%)
  • "SSLCACertificateFile은 Intermediate 인증서 위치를 알려주는 것으로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입니다. SSLCACertificateFile은 중간 인증서의 위치를 알려주는 역할을 하며, SSL 인증서 체인을 완성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0. SMB(Server Message Block)의 공개된 변종인 CIFS(Common Internet File Syste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파일 이름에 유니코드를 사용
  2. 서버에 있는 파일에 접근, 읽기, 쓰기 모두 가능
  3. 네트워크 고장이 발생한 경우, 수동으로 접속을 복원
  4. 특수한 Lock을 사용하여 다른 클라이언트와 함께 파일 공유
(정답률: 62%)
  • "CIFS(Common Internet File System)"는 SMB의 공개된 변종으로, 파일 이름에 유니코드를 사용하며 서버에 있는 파일에 접근, 읽기, 쓰기 모두 가능하며 특수한 Lock을 사용하여 다른 클라이언트와 함께 파일 공유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네트워크 고장이 발생한 경우, 수동으로 접속을 복원"이라는 설명은 틀린 것입니다. CIFS는 네트워크 고장 시 자동으로 접속을 복원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1. 삼바 서버에 삼바 사용자를 추가하는 명령어로 알맞은 것은?

  1. smbclient
  2. smbstatus
  3. smbpasswd
  4. smbadduser
(정답률: 56%)
  • 정답은 "smbadduser"입니다. 이 명령어는 삼바 서버에 새로운 사용자를 추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smbclient"는 삼바 서버와 상호작용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며, "smbstatus"는 현재 삼바 서버의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smbpasswd"는 삼바 사용자의 암호를 변경하는 데 사용되며, 이미 존재하는 사용자의 암호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2. SWAT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슈퍼데몬에 의해 동작한다.
  2.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포트 번호는 901번이다.
  3. 웹에서 루트 계정으로 삼바를 설정할 수 있는 유틸리티이다.
  4. 삼바서버 사용자 추가, 변경, 삭제는 STATUS에서 수행한다.
(정답률: 55%)
  • "삼바서버 사용자 추가, 변경, 삭제는 STATUS에서 수행한다."는 SWAT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과는 무관한 내용이므로 틀린 것이 아니다.

    따라서, 정답은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3. NFS(Network File System)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클라이언트/서버형 응용 프로그램이다.
  2. 개발사인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등록 상표이다.
  3. 파일 전송 후 파일을 조작할 필요가 없다.
  4. 서버와 클라이언트에 TCP/IP 프로토콜을 설치해야 한다.
(정답률: 70%)
  • NFS(Network File System)는 개발사인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등록 상표가 아니다. NFS는 클라이언트/서버형 응용 프로그램으로, 파일 전송 후 파일을 조작할 필요가 없으며, 서버와 클라이언트에 TCP/IP 프로토콜을 설치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4. NFS 서버에 접근할 때 사용하는 옵션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retrans : 재전송 시간을 지정
  2. wsize : 서버에 기록할 때 사용하는 바이트 수 지정
  3. hard : 타임아웃이 발생하면 메시지를 표시하고 계속 재시도
  4. soft : 타임아웃이 발생하면 I/O 에러 표시
(정답률: 36%)
  • "retrans : 재전송 시간을 지정"이 틀린 설명입니다. 이 옵션은 재전송 시도 횟수를 지정하는 옵션이며, 시간을 지정하는 것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5. NFS 서버에 대해 질의를 하여 사용중인 상태를 표시하는 showmount 옵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a : 클라이언트 호스트이름, 마운트된 디렉토리를 출력한다.
  2. -d :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하는 디렉토리 이름만 출력한다.
  3. -e : NFS 서버에서 마운트된 디렉토리를 제거 한다.
  4. -h : 간단한 도움말을 출력한다.
(정답률: 50%)
  • "-e : NFS 서버에서 마운트된 디렉토리를 제거 한다." 옵션은 showmount 명령어에서 사용되는 옵션이 아니라, NFS 서버에서 사용되는 옵션이다. 따라서 이 옵션은 showmount 명령어와는 관련이 없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6. ProFTPD 환경설정 파일에서 일반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가 최상위 디렉토리까지 접근 가능하게 하기위한 ( 괄호 )의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1. yes
  2. no
  3. ~ /
  4. X
(정답률: 51%)
  • 정답은 "~ /"입니다.

    이유는 "~"는 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나타내고, "/"는 최상위 디렉토리를 나타냅니다. 따라서 "~ /"는 현재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부터 최상위 디렉토리까지의 모든 디렉토리에 대한 접근 권한을 부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설정을 사용하면 일반 사용자도 시스템의 모든 디렉토리에 접근할 수 있게 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7. FTP 서버의 디렉토리 권한을 설정하는 명령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WRITE : MKD, RMD 명령 포함
  2. STOR : LIST, NLST 명령 포함
  3. READ : RETR과 STAT 명령 포함
  4. LOGIN : 서버에 연결하거나 로그인을 제한 할 경우
(정답률: 57%)
  • STOR 명령은 파일을 업로드하는 명령이므로 디렉토리 권한 설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따라서 "STOR : LIST, NLST 명령 포함"이 틀린 설명입니다.

    - WRITE : MKD, RMD 명령 포함 : 디렉토리를 생성하거나 삭제하는 명령어를 포함한 쓰기 권한
    - STOR : LIST, NLST 명령 포함 : 파일을 업로드하는 명령어를 포함한 쓰기 권한
    - READ : RETR과 STAT 명령 포함 :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명령어와 파일 정보를 조회하는 명령어를 포함한 읽기 권한
    - LOGIN : 서버에 연결하거나 로그인을 제한 할 경우 : 서버에 접속하거나 로그인하는 권한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8. FTP 서버에서 사용하는 기본 포트번호로 알맞은 것은?

  1. 21
  2. 23
  3. 25
  4. 80
(정답률: 75%)
  • 정답은 "21"입니다. FTP 서버는 파일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파일을 전송하는 서버입니다. 이 프로토콜은 기본적으로 21번 포트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FTP 클라이언트가 FTP 서버에 연결하려면 21번 포트를 사용하여 연결해야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79. 사용자가 메일을 보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으로 유도라, 아웃룩 등을 나타내는 용어로 알맞은 것은?

  1. MUA(Mail User Agent)
  2. MSA(Mail Service Agent)
  3. MDA(Mail Delivery Agent)
  4. MTA(Mail Transfer Agent)
(정답률: 63%)
  • MUA는 사용자가 메일을 보고 받기 위해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따라서 유도라, 아웃룩 등과 같은 메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은 MUA에 해당합니다. MSA는 메일을 보내는 서버를 나타내며, MDA는 메일을 받는 사용자의 메일박스에 메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MTA는 메일을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여러 개의 MTA가 연결되어 이루어진 메일 전송 네트워크에서 중간에 메일을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0. sendmail은 스패머들로부터 메일서버를 보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접근제어를 /etc/mail/access 파일을 통해서 하고 있다. 다음 메일의 Relay에 대한 설정 및 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OK - 지정된 호스트나 사용자에게는 무조건 메일 수신
  2. REJECT - 지정된 도메인의 모든 메일을 송 수신 거부
  3. DISCARD - 지정된 도메인에게서 메일을 받아 모두 폐기
  4. 550 - 지정된 메일 주소와 일치하는 메일 수신 거부
(정답률: 61%)
  • 정답은 "550 - 지정된 메일 주소와 일치하는 메일 수신 거부"이다. 이유는 이 설정은 특정한 메일 주소로부터 오는 모든 메일을 거부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설정을 사용하면 해당 메일 주소로부터 오는 모든 메일이 거부되므로 주의해서 사용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1. 메일서버 sendmail의 access 파일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특정한 서버가 로컬 메일서버를 릴레이 서버로 사용할지를 결정한다.
  2. access 파일을 수정하면 등록된 access.db 파일은 자동으로 갱신된다.
  3. 특정 주소로 오는 메일을 받을 것인지 거절할 것인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4. 127.0.0의 주소를 RELAY로 세팅하면 로컬 컴퓨터에서 요청하는 모든 메일의 릴레이를 허용한다는 의미이다.
(정답률: 52%)
  • 정답은 "access 파일을 수정하면 등록된 access.db 파일은 자동으로 갱신된다."이다. access 파일을 수정하더라도 access.db 파일은 수동으로 갱신해야 한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2. 스팸 메일과 관련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procmail은 MDA의 일종으로 수많은 스팸 메일이 전송되어도 서버의 부하는 커지지 않는다.
  2. sendmail 설정 파일 중 access 파일에 DISCARD 옵션은 지정된 도메인에서 메일을 받아 모두 폐기한다.
  3. 사용자 차원에서 스팸 메일을 막는 방법은 자신의 홈 디렉토리에 .procmailrc 파일을 생성하여 차단할 수 있다.
  4. sendmail 설정 파일 중 access 파일에 501 옵션은 지정된 메일 주소와 일치하는 메일 수신을 거부할 수 있게 한다.
(정답률: 60%)
  • "procmail은 MDA의 일종으로 수많은 스팸 메일이 전송되어도 서버의 부하는 커지지 않는다."가 틀린 설명이 아니다.

    procmail은 MDA의 일종으로, 메일을 필터링하고 정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스팸 메일을 차단하거나 특정 조건에 따라 메일을 분류할 수 있다. 이는 서버의 부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sendmail 설정 파일 중 access 파일에 DISCARD 옵션은 지정된 도메인에서 메일을 받아 모두 폐기하는 것이 맞는 설명이다.

    또한, 사용자 차원에서 스팸 메일을 막는 방법으로 .procmailrc 파일을 생성하여 차단할 수 있다는 것은 맞는 설명이다.

    마지막으로, sendmail 설정 파일 중 access 파일에 501 옵션은 지정된 메일 주소와 일치하는 메일 수신을 거부할 수 있게 한다는 것도 맞는 설명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3. 메일 보안을 위해 필 짐머만에 의해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보안성은 다소 취약하지만 구현이 쉬워 널리 사용되는 도구로 알맞은 것은?

  1. PGP
  2. PEM
  3. DES
  4. ASE
(정답률: 56%)
  • PGP는 필 짐머만에 의해 개발된 프로그램으로, 메일 보안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도구입니다. PGP는 구현이 쉽고 사용이 간편하며, 메일 보안을 위한 암호화와 전자서명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보안성은 다소 취약하지만 널리 사용되는 도구로 알맞습니다. PEM, DES, ASE는 모두 암호화 기술에 관련된 용어이지만, PGP와는 다른 기술이므로 정답이 아닙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4. 슈퍼데몬 동작을 변경할 수 있는 시그널의 종류로 틀린 것은?

  1. SIGUSR1
  2. SIGUSR2
  3. SIGTERM
  4. SIGDOWN
(정답률: 54%)
  • "SIGDOWN"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시그널이기 때문에 틀린 것이다. 다른 보기들은 모두 슈퍼데몬 동작을 변경할 수 있는 시그널의 종류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5. 슈퍼데몬 설정파일의 속성을 지정할 때, socket_type에 들어갈 인수값으로 알맞은 것은?

  1. raw
  2. dgram
  3. stream
  4. seqpacket
(정답률: 58%)
  • "stream"은 TCP 소켓을 의미합니다. 슈퍼데몬은 네트워크 통신을 위해 소켓을 사용하며, TCP는 신뢰성 있는 연결 지향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에는 "stream"을 사용합니다. "raw"는 원시 소켓, "dgram"은 UDP 소켓, "seqpacket"은 시퀀스 패킷 소켓을 의미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6. 다음 중 xinetd 데몬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몬이 아닌 것은?

  1. telnet
  2. pop3
  3. ftp
  4. arp
(정답률: 57%)
  • xinetd 데몬은 네트워크 서비스를 관리하는 데몬으로,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을 때만 해당 서비스를 실행시켜줍니다. 따라서 xinetd 데몬으로 관리할 수 있는 데몬은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있을 때만 실행되는 서비스여야 합니다. "arp"는 Address Resolution Protocol으로, IP 주소를 물리적인 MAC 주소로 변환하는 프로토콜입니다. 클라이언트의 요청이 없이 시스템이 자동으로 실행되는 서비스이므로 xinetd 데몬으로 관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정답은 "arp"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7. 도메인 이름을 구성하는 규칙으로 틀린 것은?

  1. 영문자의 대소문자의 구별이 없다.
  2. 도메인 명은 영문이나 숫자로 시작해야 한다.
  3. 도메인 명의 길이는 최소 2자에서 최대 63자까지 가능하다.
  4. 도메인 명에 특수문자는 사용할 수 없으나 언더바(_)는 사용할 수 있다.
(정답률: 50%)
  • 도메인 명에 특수문자는 사용할 수 없는 이유는 인터넷 주소체계에서 특수문자는 다른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는 URL에서 경로를 구분하는데 사용되고, "?"는 쿼리 문자열을 구분하는데 사용된다. 따라서 도메인 명에 특수문자를 사용하면 인터넷 주소체계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언더바는 특수문자가 아니라 일반적인 문자로 인식되기 때문에 도메인 명에 사용할 수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8. 네임서버를 분류하는 종류가 아닌 것은?

  1. 캐싱 서버
  2. 포워딩 서버
  3. 주네임 서버
  4. 보조네임 서버
(정답률: 69%)
  • 네임서버를 분류하는 종류 중 포워딩 서버는 실제 도메인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고, 다른 네임서버에 질의를 보내는 역할만 수행하기 때문에 네임서버의 정보를 관리하는 역할을 하지 않는다. 따라서 포워딩 서버는 네임서버의 분류 종류가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89. DNS서버를 테스트할 수 있는 도구로 알맞은 것은?

  1. dig
  2. host
  3. netstat
  4. nslookup
(정답률: 50%)
  • 정답은 "nslookup"입니다.

    "nslookup"은 DNS(Domain Name System) 서버를 테스트하고, 도메인 이름과 IP 주소를 확인하는 유틸리티 도구입니다. 이를 통해 DNS 서버의 문제를 진단하고, DNS 레코드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dig"와 "host"도 DNS 질의를 수행하는 유틸리티 도구이지만, "nslookup"은 더 간단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하기 쉽습니다. "netstat"은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도구이므로 DNS 서버를 테스트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0. PROXY 서버 프로그램인 squid를 소스 설치하고 설정한 후 데몬을 구동시키는 방법으로 알맞은 것은?

  1. /usr/local/squid/bin/squid &
  2. /usr/local/squid/bin/squid -z
  3. /usr/local/squid/bin/squid start
  4. /usr/local/squid/bin/squid squid
(정답률: 44%)
  • 정답은 "/usr/local/squid/bin/squid &"입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usr/local/squid/bin/squid"는 squid 프로그램이 설치된 경로입니다.
    2. "&"는 백그라운드에서 squid를 실행하도록 하는 명령어입니다.
    3. 따라서 "/usr/local/squid/bin/squid &" 명령어는 squid를 설치된 경로에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시키는 명령어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1. NIS 서버에서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아닌 것은?

  1. ypcat
  2. ypbind
  3. ypinstall
  4. ypswitch
(정답률: 40%)
  • "ypinstall"은 NIS 서버에서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아니라, NIS 서버에서 사용하는 유틸리티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정답입니다. "ypcat", "ypbind", "ypswitch"는 모두 NIS 서버에서 사용하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2. NIS+ 서버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NIS+의 모델은 스타구조에 근간하고 있다.
  2. NIS+ namespace의 루트를 형성하는 NIS+디렉토리를 루트 디렉토리라 한다.
  3. 오브젝트는 directory, entry, group, link, table, private의 6개 타입을 갖는다.
  4. NIS와의 차이점은 secure RPC를 통해 데이터의 암호화와 인증을 지원한다.
(정답률: 40%)
  • "NIS+의 모델은 스타구조에 근간하고 있다."가 틀린 것이 아니라 옳은 것이다. NIS+의 모델은 스타구조에 근간하고 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3.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여 DHCP 클라이언트를 설정하였을 때, 설명한 내용 중 틀린 것은?

  1. MAC 주소는 00:10:4B:D6:49:22 이다.
  2. lastlogin은 60초이다.
  3. 타임아웃은 30초이다.
  4. 호스트 이름은 yoon이다.
(정답률: 70%)
  • 정답은 "lastlogin은 60초이다." 이다.

    이유는 lastlogin은 DHCP 서버에서 클라이언트에게 IP 주소를 할당한 후, 해당 클라이언트가 다시 IP 주소를 요청하기 전까지의 시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 값은 클라이언트가 IP 주소를 사용하는 시간과는 무관하며, DHCP 서버에서 설정한 값이다.

    즉, 클라이언트가 IP 주소를 사용하는 시간은 타임아웃 값인 30초이며, 이 시간 내에 클라이언트가 다시 IP 주소를 요청하지 않으면 IP 주소가 반환되고, 다른 클라이언트가 해당 IP 주소를 할당받을 수 있다.

    따라서, "lastlogin은 60초이다." 라는 설명은 틀린 내용이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4. DHCP 서버에서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1. DHCP는 1개의 서브넷만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2.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3. DHCP는 사설망에서 고정 IP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4. DHCP 클라이언트는 부팅 시, IP 주소를 받아오기 위해 요청한다.
(정답률: 53%)
  • "DHCP는 사설망에서 고정 IP를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라는 설명이 틀린 것입니다.

    DHCP는 IP 주소를 동적으로 할당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며, DHCP 클라이언트는 부팅 시 IP 주소를 받아오기 위해 요청합니다. DHCP 서버는 여러 개의 서브넷을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DHCP는 고정 IP를 부여하는 기능은 수행하지 않습니다. 대신 DHCP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일정 기간 동안 IP 주소를 할당하며, 이 기간이 지나면 IP 주소를 반환하고 다른 클라이언트에게 할당할 수 있도록 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5. 다음 중 CVS 기능이 아닌 것은?

  1. Diff
  2. Update
  3. Export
  4. Checkout
(정답률: 38%)
  • CVS의 기능 중 "Export"는 해당 프로젝트의 특정 버전을 가져와서 로컬 컴퓨터에 저장하는 것으로, 프로젝트의 버전 관리와는 관련이 없는 일종의 백업 기능이므로 CVS의 기능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6. DoS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데이터를 파괴, 변조하기 위한 공격이 아니다.
  2. 공격의 원인이나 공격자를 추적하기 힘들다.
  3. 시스템 루트 권한을 획득하는 공격 패턴이다.
  4. 다른 공격을 위한 사전 공격으로 이용될 수 있다.
(정답률: 77%)
  • "시스템 루트 권한을 획득하는 공격 패턴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DoS는 서비스 거부 공격으로, 시스템 자원을 고갈시켜 정상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게 만드는 공격입니다. 시스템 루트 권한을 획득하는 것은 다른 유형의 공격인 권한 상승 공격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7. 다음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

  1. 트로이 목마
  2. 웜 바이러스
  3. 백도어
  4. 방화벽
(정답률: 71%)
  • 이 그림은 "트로이 목마"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트로이 목마"는 악성코드의 일종으로,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고 다운로드하거나 설치한 후, 사용자의 컴퓨터를 제어하거나 정보를 수집하는 등의 악의적인 행위를 수행합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8. 대표적인 백도어인 루트킷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Es : sun4 기반 이더넷 스니퍼이다.
  2. Fix : 인터럽트 루틴을 삽입하여 은닉하는 도구이다.
  3. z2 : utmp, wtmp, lostlog로 부터 특정 엔트리를 제거한다.
  4. SI : 매직 패스워드를 통해 관리자로 로그인하는 도구이다.
(정답률: 52%)
  • 정답은 "Fix : 인터럽트 루틴을 삽입하여 은닉하는 도구이다." 이다. 루트킷은 시스템에 침투하여 관리자 권한을 획득하고,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백도어 도구이다. 인터럽트 루틴을 삽입하여 은닉하는 것은 루트킷의 일부 기능 중 하나일 뿐이며, 루트킷의 대표적인 특징이 아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99. 방화벽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1. iptables는 INPUT, OUTPUT, FORWARD 체인이 있다.
  2. 안전하지 않은 서비스를 필터링하여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3. 방화벽 구축시 고려사항은 시간지연, 손실제어, 시스템실패환경 등을 들 수 있다.
  4. 방화벽 시스템을 구축하는 2가지 유형은 네트워크 레벨과 응용 레벨이다.
(정답률: 55%)
  • "방화벽 시스템을 구축하는 2가지 유형은 네트워크 레벨과 응용 레벨이다."가 틀린 설명입니다. 방화벽 시스템을 구축하는 유형은 네트워크 레벨, 응용 레벨, 하이브리드 방식 등이 있습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100. VPN의 대표적인 기술인 터널링 프로토콜이 아닌 것은?

  1. PPTP
  2. L2TP
  3. IPsec
  4. MD5
(정답률: 60%)
  • MD5는 암호화 기술이 아니라 해시 함수로, 데이터 무결성 검증에 사용됩니다. 따라서 VPN의 터널링 프로토콜이 아닙니다. PPTP, L2TP, IPsec은 모두 VPN의 터널링 프로토콜입니다.
profile_image
1

*오류신고 접수시 100포인트 지급해드립니다.

< 이전회차목록 다음회차 >